KR20210016674A - 이족보행 로봇형 완구 - Google Patents

이족보행 로봇형 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6674A
KR20210016674A KR1020190094714A KR20190094714A KR20210016674A KR 20210016674 A KR20210016674 A KR 20210016674A KR 1020190094714 A KR1020190094714 A KR 1020190094714A KR 20190094714 A KR20190094714 A KR 20190094714A KR 20210016674 A KR20210016674 A KR 202100166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vertical member
toy
leg
biped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4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국
Original Assignee
(주)에이티로봇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티로봇 filed Critical (주)에이티로봇
Priority to KR10201900947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16674A/ko
Publication of KR202100166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66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1/00Self-movable toy figures
    • A63H11/18Figure toys which perform a realistic walking mo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9/00Drive mechanisms for toys in general
    • A63H29/24Details or accessories for drive mechanisms, e.g. means for winding-up or starting toy eng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05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using batteries, e.g. as a back-up power sou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009Constructional details, e.g. manipulator supports, b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 B25J9/12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electric
    • B25J9/126Rotary actu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족보행 로봇형 완구로서, 제1 다리 모듈 및 제2 다리 모듈을 양측에 구비하는 하체부; 상기 이족보행 로봇형 완구의 상체에 해당하며 양측에 제1 팔 모듈 및 제2 팔 모듈을 구비하는 상체부; 및 상기 상체부와 상기 하체부를 연결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보행 동작을 위해 상기 제1 다리 모듈 또는 상기 제2 다리 모듈의 구동에 앞서 상기 상체부의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이족보행 로봇형 완구의 무게 중심을 상기 제1 다리 모듈 또는 상기 제2 다리 모듈 측으로 이동시키는 무게 중심 이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족보행 로봇형 완구{BIPED ROBOT TPYE TOY}
본 발명은 이족보행 로봇형 완구로서, 구체적으로는 직류 모터를 사용하여 이족보행 동작을 수행하는 로봇형 완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완구용 보행 로봇은 어린이들의 놀이와 과학적 사고방식 함양을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직접 조립하는 조립식 로봇과 미리 완성된 완성용 로봇으로 구별된다.
특히, 완구용 보행 로봇은 동력발생수단에 의한 기구식 구동원리를 적용하여 어린이나 청소년들의 호기심을 유발하고 재미를 배가시키는 제품으로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보행 로봇은 2개의 다리를 가지는 로봇 또는 그 이상의 복수의 다리를 가지는 다족(多足) 보행 로봇 등으로 제작하고 있다.
다족보행 완구는 4개의 다리를 가지고 있는 고양이나 개와 같은 동물 형태를 하고 있는 완구에 적용된다.
다족보행 완구의 경우 최소 두 개의 다리가 지면에 접하는 형태로 보행 동작이 이루어지므로 비교적 단순한 구성으로 안정적인 보행이 가능하다.
이와 비교하여, 2개의 다리로 보행하는 완구는 사람과 같이 두 다리가 교차하여 이동하는 완구용 로보트에 적용된다. 종래의 2족 보행 완구의 경우 넘어지지 않기 위해 동작의 정밀한 제어가 가능한 서보 모터가 사용되고 있으나, 서보 모터를 사용하는 구조의 경우 완구의 제조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8-0050072호 공개일자 2008년06월05일 특허문헌 2 :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000976호 공개일자 2019년01월04일
본 발명은 제조 비용을 낮출 수 있도록 브러쉬형 직류 모터로 구동되는 이족보행 로봇형 완구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족보행 로봇형 완구는, 제1 다리 모듈 및 제2 다리 모듈을 양측에 구비하는 하체부; 상기 이족보행 로봇형 완구의 상체에 해당하며 양측에 제1 팔 모듈 및 제2 팔 모듈을 구비하는 상체부; 및 상기 상체부와 상기 하체부를 연결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보행 동작을 위해 상기 제1 다리 모듈 또는 상기 제2 다리 모듈의 구동에 앞서 상기 상체부의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이족보행 로봇형 완구의 무게 중심을 상기 제1 다리 모듈 또는 상기 제2 다리 모듈 측으로 이동시키는 무게 중심 이동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하체부는, 상기 제1 다리 모듈을 구동하는 제1 모터 모듈; 상기 제2 다리 모듈을 구동하는 제2 모터 모듈; 및 상기 제1 모터 모듈 및 상기 제2 모터 모듈을 수용하는 하체 하우징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족보행 로봇형 완구를 구동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부는, 상기 제1 다리 모듈 및 상기 제2 다리 모듈의 하단에 각각 구비되는 제1 배터리 수납 모듈 및 제2 배터리 수납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모터 모듈과 상기 제2 모터 모듈, 상기 제1 다리 모듈과 상기 제2 다리 모듈 및 상기 제1 배터리 수납 모듈과 제2 배터리 수납 모듈은 각각 상기 이족보행 로봇형 완구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다리 모듈은, 상기 이족보행 로봇형 완구의 직립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수직 부재; 상기 제1 수직부재와 평행하도록 배치되는 제2 수직 부재; 및 상기 제1 수직부재와 상기 제2 수직부재가 평행한 상태로 구동되도록 상기 제1 수직부재의 하단 결합공 및 상기 제2 수직부재의 하단 결합공에 결합하는 하단 고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모터 모듈은, 상기 제1 수직 부재의 상단 결합공에 결합하여 상기 제1 수직 부재를 회전 구동하는 구동축; 상기 제2 수직 부재의 상단 결합공에 결합하는 구동 보조축; 및 상기 구동축을 구동하는 직류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단 고정 부재는, 상기 제1 수직부재와 상기 제2 수직부재가 평행을 유지하며 구동되도록 상기 구동축과 상기 보조축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상기 제1 수직부재의 하단 결합공및 상기 제2 수직부재의 하단 결합공과 결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배터리 수납 모듈은, 평탄한 바닥면을 구비하여 상기 이족보행 로봇 완구가 직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발 역할을 수행하되, 상기 이족보행 로봇 완구가 이족으로 직립한 상태에서 상기 바닥면의 내측 엣지 부분만이 지면과 접하도록 상기 지면에 대해 상기 바닥면이 5°내지 10°각도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무게 중심 이동부는, 보행 동작을 위해 상기 제1 배터리 수납 모듈의 바닥면 또는 상기 제2 배터리 수납 모듈의 바닥면 가운데 어느 한 쪽의 바닥면이 상기 지면에 완전하게 접하도록 상기 상체부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기울임 구동시키는 틸트 구동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틸트 구동 모듈은, 상기 하체 하우징 또는 상기 상체부를 이루는 상체 하우징에 결합하여 상기 상체 하우징이 상기 하체 하우징에 좌측 및 우측 방향으로 틸팅 구동되도록 회전시키는 틸트축; 및 상기 틸트축을 구동하는 직류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족보행 로봇형 완구에 의하면, 무게 중심 이동부가 상체부를 이동시켜 로봇형 완구의 무게중심을 한 발에서 다른 발로 이동시키므로 간단한 다리 관절 구성으로도 보행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족 보행 로봇 완구의 실물 사진이다.
도 2는 다리 모듈의 실물 사진이다.
도 3은 제1 모터 모듈 및 제2 모터 모듈이 결합된 상태의 하체 하우징의 실물 사진이다.
도 4는 제1 모터 모듈만을 분리한 사진이다.
도 5는 제1 다리 모듈과 제1 모터 모듈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는 사진이다.
도 6은 제1 다리모듈이 보행 동작을 위해 전후로 구동되는 사진이다.
도 7은 이족보행 로봇 완구가 직립한 상태에서 배터리 수납 모듈의 바닥면이 지면과 접하는 것을 보여준다.
도 8은 상체부가 틸트된 것을 보여준다.
도 9는 상체부의 틸트시 배터리 수납 모듈의 바닥면이 지면과 접하는 것을 보여준다.
도 10은 상체부가 무게중심 이동부를 통해 하체부와 연결된 것을 도시한 사진이다.
도 11은 상체부와 무게중심 이동부 만을 도시한 사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게중심 이동부를 설명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족 보행 로봇 완구의 실물 사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완구의 팔 부분 및 외장 케이스가 결합되지 않은 상태의 몸체 부분만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족보행 로봇 완구(1000)는 하체부(100), 상체부(200), 무게 중심 이동부(300) 및 전원부(400)를 포함한다.
하체부(100)는 이족보행 로봇 완구(1000)의 하반신을 이루는 부분으로서, 양측에 제1 다리모듈(110R), 제2 다리모듈(110L), 제1 모터 모듈(120R), 제2 모터 모듈(120L) 및 하체 하우징(130)을 포함한다.
제1 다리모듈(110R), 제2 다리모듈(110L), 제1 모터 모듈(120R), 제2 모터 모듈(120L)은 이족보행 로봇 완구(1000)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하는 형태이다.
상체부(200)는 이족보행 로봇 완구(1000)의 상반신을 이루는 부분으로서, 양측에 제1 팔모듈(미도시), 제2 팔모듈(미도시), 제1 팔모터 모듈(220R), 제2 팔모터 모듈(220L) 및 상체 하우징(230)을 포함한다.
제1 팔모듈(미도시), 제2 팔모듈(미도시), 제1 팔모터 모듈(220R), 제2 팔모터 모듈(220L) 또한 이족보행 로봇 완구(1000)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하는 형태이다.
무게 중심 이동부(300)는 이족보행 로봇 완구(1000)의 허리에 해당하는 부분으로서 상체부(200)와 하체부(100)를 연결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보행 동작을 위해 제1 다리 모듈(110R) 또는 제2 다리 모듈(110L)의 구동에 앞서 상체부(200)의 위치를 조절하여 이족보행 로봇 완구(1000)의 무게 중심을 제1 다리 모듈(110R) 또는 상기 제2 다리 모듈(110L) 측으로 이동시킨다.
전원부(400)는 이족보행 로봇 완구(1000)를 구동하는 전원을 공급한다.
본 발명에서 전원부(400)는 제1 배터리 수납 모듈(410R) 및 배터리 수납 모듈(410L)을 포함한다.
제1 배터리 수납 모듈(410R) 및 배터리 수납 모듈(410L)은 각각 제1 다리 모듈(110R) 및 제2 다리 모듈(110L)의 하단에 구비된다. 제1 배터리 수납 모듈(410R) 및 배터리 수납 모듈(410L) 또한 이족보행 로봇 완구(1000)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하는 형태이다.
보행 동작의 설명에 앞서 다리 모듈(110R, 110L)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제1 모터 모듈(120R) 및 제2 모터 모듈(120L)은 각각 제1 다리모듈(110R), 제2 다리모듈(110L)을 구동한다.
하체 하우징(130)은 하체에서 골반에 해당하는 부분으로서, 제1 모터 모듈(120R) 및 제2 모터 모듈(120L)을 양측에 수용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다리모듈(110R), 제2 다리모듈(110L), 제1 모터 모듈(120R), 제2 모터 모듈(120L)은 서로 대칭되는 형태이므로 형태이므로 간결한 설명을 위해 대칭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오른쪽에 구비되는 모듈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좌우 공통적인 부분을 설명할 때에는 좌우 구분을 위한 식별부호(L, R)는 생략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다리 모듈의 실물 사진이고, 도 3은 제1 모터 모듈 및 제2 모터 모듈이 결합된 상태의 하체 하우징의 실물 사진이고, 도 4는 제1 모터 모듈만을 분리한 사진이고, 도 5는 제1 다리 모듈과 제1 모터 모듈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는 사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제1 다리모듈(110)은 제1 수직 부재(111), 제2 수직 부재(112), 하단 고정 부재(113-1, 113-2), 중단 고정 부재(114) 및 스프링 부재(115-1, 115-2)를 포함한다.
제1 모터 모듈(120)은 구동축(121), 구동 보조축(122), 직류 모터(123) 및 기어 하우징(124)을 포함한다.
제1 수직 부재(111)는 이족보행 로봇 완구(1000)의 직립 방향으로 배치되고, 제2 수직 부재(112)는 제1 수직 부재(111)와 평행하도록 배치되어 제1 다리모듈(110)의 다리 골격을 이룬다. 본 발명에서, 구동축(121) 및 구동 보조축(122)은 고관절에 해당하고, 제1 수직 부재(111)의 하단 결합공(111c) 및 제2 수직 부재(112)의 하단 결합공(112c)은 발목 관절에 해당하고, 제1 배터리 수납 모듈(410)은 발에 해당한다.
하단 고정 부재(113-1, 113-2)는 제1 수직 부재(111)와 제2 수직 부재(112)가 평행한 상태로 구동되도록 제1 수직 부재(111)의 하단 결합공(111c) 및 제2 수직 부재(112)의 하단 결합공(112c)과 결합한다.
구동축(121)은 제1 수직 부재(111)의 상단 결합공(111a)에 결합하여 제1 수직 부재(111)을 회전 구동한다. 이때, 회전 구동을 위한 구동축(121)의 토크가 제1 수직 부재(111)에 보다 효과적으로 인가될 수 있도록(즉, 구동축(121)이 상단 결합공(111a)에서 헛도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 수직 부재(111)는 상단 결합공(111a)의 상측에 위치하는 추가 결합공(111d)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다리모듈(110)의 외장 케이스(미도시)는 구동축(121)의 사각형 돌기(121a)와 추가 결합공(111d)에 결합하는 형태로 제1 다리모듈(110)과 결합한다.
따라서, 구동축(121)의 회전력이 제1 수직 부재(111)에 효과적으로 인가될 수 있다.
구동 보조축(112)는 제2 수직 부재(112)의 상단 결합공(112a)에 결합하여 제1 수직 부재(111)의 회전에 평행하도록 제2 수직 부재(112)가 회전할 수 있게 한다.
직류 모터(123)는 직류 전원 인가에 따라 회전하여 구동축(121)을 구동하는 모터이다. 기어 하우징(124)은 구동축(121)의 회전이 적절한 토크를 가지도록 복수개의 기어를 수납하며 직류 모터(123)의 축을 연결한다.
이때, 하단 고정부재(113-1, 113-2)는 제1 수직부재(111)와 제2 수직부재(112)가 평행을 유지하며 구동되도록 구동축(121)과 구동 보조축(122)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제1 수직부재(111)의 하단 결합공(111c)및 제2 수직부재(112)의 하단 결합공(112c)과 결합한다.
중단 고정 부재(114)는 제1 수직 부재(111)와 제2 수직 부재(112)가 평행한 상태로 구동되도록 제1 수직 부재(111)의 중단 결합공(111b) 및 제2 수직 부재(112)의 중단 결합공(112b)와 결합한다.
스프링 부재(115-1, 115-2)는 각각 중단 고정 부재(114)의 양단, 즉 중단 결합공(111b) 및 중단 결합공(111c)에서 하단 고정 부재(113-1, 113-2)의 양 끝에 텐션이 발생하도록 한다. 따라서 구동축(121)에 토크가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제1 수직 부재(111)와 제2 수직 부재(112)가 직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도 6은 제1 다리모듈이 보행 동작을 위해 전후로 구동되는 사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축(121)의 회전에 따라 제1 다리모듈(110)의 보행을 위한 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6의 (a)는 제1 다리모듈이 후진 구동된 예이고, 도 6의 (b)는 제1 다리모듈이 후진 구동된 예이다.
배터리 수납 모듈(410)는 평탄한 바닥면(411)을 구비하여 이족보행 로봇 완구(1000)가 직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발 역학을 수행한다.
이때, 배터리 수납 모듈(410)은 이족보행 로봇 완구(1000)가 직립한 상태에서 바닥면(411)의 내측 엣지 부분(411e)만이 지면(B)과 접하도록 지면에 대해 5°내지 10° 각도를 갖도록 구비된다.
도 7은 이족보행 로봇 완구가 직립한 상태에서 배터리 수납 모듈의 바닥면이 지면과 접하는 것을 보여준다.
무게 중심 이동부(300)는 어느 한 발의 보행시 다른 쪽 발이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체부(200)의 위치를 보행이 이루어 지는 다리 모듈의 반대쪽 다리 모듈로 틸트 시킨다.
도 8은 상체부가 틸트된 것을 보여주고, 도 9는 상체부의 틸트시 배터리 수납 모듈의 바닥면이 지면과 접하는 것을 보여준다.
이를 위해, 무게 중심 이동부(300)는 보행 동작을 위해 상기 제1 배터리 수납 모듈(410R)의 바닥면(411) 또는 제2 배터리 수납 모듈(410L)의 바닥면(411) 가운데 어느 한 쪽의 바닥면이 지면(B)에 완전하게 접하도록 상체부(200)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기울임 구동시키는 틸트 구동 모듈을 포함한다.
틸트 구동 모듈(310)은 하체 하우징(130) 또는 상체부(200)를 이루는 상체 하우징(230)에 결합하여 상체 하우징(230)이 하체 하우징(130)에 좌측 및 우측 방향으로 틸팅 구동되도록 회전시키는 틸트축(311), 틸트축을 구동하는 직류 모터(312) 및 기어 하우징(313)를 포함한다.
도 10은 상체부가 무게중심 이동부를 통해 하체부와 연결된 것을 도시한 사진이다. 도 11은 상체부와 무게중심 이동부 만을 도시한 사진이다.
도시된 실시예는 틸트 구동 모듈(310)은 상체 하우징(230)에 구비되는 예이다.
기어 하우징(313)은 틸트축(3111)의 회전이 적절한 토크를 가지도록 복수개의 기어를 수납하며 직류 모터(312)의 축을 연결한다.
틸트축(311)은 하체 하우징(130)에 구비되는 틸트 결합홈(131)과 결합하여 상체부(200)가 하체부(100)에 대해 틸트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보행동작시 틸트 구동 모듈(310)은 상체부(200)를 틸트 시켜 한쪽 발이 지면에 완전히 접하도록 구동한 이후 반대쪽 다리 모듈을 구동하여 발을 내딛는 동작을 수행한 다음 상체부(200)를 반대쪽을 틸트 시켜 다른쪽 발의 내딛는 동작이 연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게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게중심 이동부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무게 중심 이동부(300')는 무게추(310') 및 무게추(310')를 수용하는 하우징(320')을 포함할 수 있다.
무게 중심 이동부(300')는 하우징(320') 내부에 수납된 무게추(310')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켜 보행동작시 이족보행 로봇 완구가 직립한 상태에서 배터리 수납 모듈의 바닥면이 지면과 접하도록 한다.
즉, 보행동작시 무게추(310')의 이동에 따라 이족보행 로봇 완구의 무게 중심이 무게추(310')가 이동된 발에 위치하게 되고, 따라서 한쪽 발이 지면에 완전히 접하게 된다. 이어서 반대쪽 다리 모듈을 구동하여 발을 내딛는 동작을 수행한 무게추(310')를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켜 보행 동작이 연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게 한다.
무게 중심 이동부(300')는 이족보행 로봇 완구의 형태에 따라 상체부(200) 또는 하체부(100)에 위치될 수 있다.
무게 중심 이동부(300')는 무게추(310')를 좌우 이동시키는 이동 기어(미도시) 및 이동 기어를 구동하는 무게추 구동 모터(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0 : 이족보행 로봇 완구
100 : 하체부 200 : 상체부
300 : 무게 중심 이동부 400 : 전원부
G : 무게 중심 B : 지면

Claims (8)

  1. 이족보행 로봇형 완구로서,
    제1 다리 모듈 및 제2 다리 모듈을 양측에 구비하는 하체부;
    상기 이족보행 로봇형 완구의 상체에 해당하며 양측에 제1 팔 모듈 및 제2 팔 모듈을 구비하는 상체부; 및
    상기 상체부와 상기 하체부를 연결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보행 동작을 위해 상기 제1 다리 모듈 또는 상기 제2 다리 모듈의 구동에 앞서 상기 상체부의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이족보행 로봇형 완구의 무게 중심을 상기 제1 다리 모듈 또는 상기 제2 다리 모듈 측으로 이동시키는 무게 중심 이동부를 포함하는 이족보행 로봇 완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체부는,
    상기 제1 다리 모듈을 구동하는 제1 모터 모듈;
    상기 제2 다리 모듈을 구동하는 제2 모터 모듈; 및
    상기 제1 모터 모듈 및 상기 제2 모터 모듈을 수용하는 하체 하우징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족보행 로봇 완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이족보행 로봇형 완구를 구동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부는,
    상기 제1 다리 모듈 및 상기 제2 다리 모듈의 하단에 각각 구비되는 제1 배터리 수납 모듈 및 제2 배터리 수납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모터 모듈과 상기 제2 모터 모듈, 상기 제1 다리 모듈과 상기 제2 다리 모듈 및 상기 제1 배터리 수납 모듈과 제2 배터리 수납 모듈은 각각 상기 이족보행 로봇형 완구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하는 형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족보행 로봇 완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다리 모듈은,
    상기 이족보행 로봇형 완구의 직립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수직 부재;
    상기 제1 수직부재와 평행하도록 배치되는 제2 수직 부재; 및
    상기 제1 수직부재와 상기 제2 수직부재가 평행한 상태로 구동되도록 상기 제1 수직부재의 하단 결합공 및 상기 제2 수직부재의 하단 결합공에 결합하는 하단 고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모터 모듈은,
    상기 제1 수직 부재의 상단 결합공에 결합하여 상기 제1 수직 부재를 회전 구동하는 구동축;
    상기 제2 수직 부재의 상단 결합공에 결합하는 구동 보조축; 및
    상기 구동축을 구동하는 직류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족보행 로봇 완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하단 고정 부재는,
    상기 제1 수직부재와 상기 제2 수직부재가 평행을 유지하며 구동되도록 상기 구동축과 상기 보조축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상기 제1 수직부재의 하단 결합공및 상기 제2 수직부재의 하단 결합공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족보행 로봇 완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배터리 수납 모듈은,
    평탄한 바닥면을 구비하여 상기 이족보행 로봇 완구가 직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발 역할을 수행하되,
    상기 이족보행 로봇 완구가 이족으로 직립한 상태에서 상기 바닥면의 내측 엣지 부분만이 지면과 접하도록 상기 지면에 대해 상기 바닥면이 5°내지 10°각도를 갖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족보행 로봇 완구.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무게 중심 이동부는,
    보행 동작을 위해 상기 제1 배터리 수납 모듈의 바닥면 또는 상기 제2 배터리 수납 모듈의 바닥면 가운데 어느 한 쪽의 바닥면이 상기 지면에 완전하게 접하도록 상기 상체부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기울임 구동시키는 틸트 구동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족보행 로봇 완구.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틸트 구동 모듈은,
    상기 하체 하우징 또는 상기 상체부를 이루는 상체 하우징에 결합하여 상기 상체 하우징이 상기 하체 하우징에 좌측 및 우측 방향으로 틸팅 구동되도록 회전시키는 틸트축; 및
    상기 틸트축을 구동하는 직류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족보행 로봇 완구.
KR1020190094714A 2019-08-05 2019-08-05 이족보행 로봇형 완구 KR202100166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4714A KR20210016674A (ko) 2019-08-05 2019-08-05 이족보행 로봇형 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4714A KR20210016674A (ko) 2019-08-05 2019-08-05 이족보행 로봇형 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6674A true KR20210016674A (ko) 2021-02-17

Family

ID=74732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4714A KR20210016674A (ko) 2019-08-05 2019-08-05 이족보행 로봇형 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16674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0072A (ko) 2006-12-01 2008-06-05 유한대학산학협력단 Rc 서보모터를 사용하는 2족 보행 로봇의 관절 구동 장치
KR20190000976A (ko) 2017-06-26 2019-01-04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족 보행로봇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0072A (ko) 2006-12-01 2008-06-05 유한대학산학협력단 Rc 서보모터를 사용하는 2족 보행 로봇의 관절 구동 장치
KR20190000976A (ko) 2017-06-26 2019-01-04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족 보행로봇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52352B1 (en) Robotic toy
US7982423B2 (en) Statically stable biped robotic mechanism and method of actuating
US20050275367A1 (en) Robot and robot leg mechanism
US11192600B2 (en) Robot leg
KR101046710B1 (ko) 8족 보행로봇
CN212290080U (zh) 一种四足行走式仿生设计装置
KR102011751B1 (ko) 이족보행 로봇형 완구의 제어 방법
US20030017779A1 (en) Biped toy that can walk on two feet
KR102067221B1 (ko) 한 쌍의 탄성 액츄에이터를 병렬로 사용하는 로봇 발목 구조
CN210063193U (zh) 带有机械防失衡的机器人行走机构
KR102011750B1 (ko) 이족보행 로봇형 완구
KR20210016674A (ko) 이족보행 로봇형 완구
US20160001831A1 (en) Multi-Legged Running Robot
US9022151B2 (en) Multi-legged walking apparatus
CN206885197U (zh) 可移动机器人
EP1957174B1 (en) Articulated walking toy device
KR101068123B1 (ko) 놀이공원용 이족보행 하반신 로봇
KR101267349B1 (ko) 완구용 보행 로봇
KR102445308B1 (ko) 다족 로봇용 다리유닛
JP2005066810A (ja) ロボットのための関節装置
JP4313301B2 (ja) 格闘フィギュア玩具
JPH0465712B2 (ko)
JP2003266358A (ja) ロボット装置及び関節軸駆動装置
KR100558904B1 (ko) 걸어다니는 교육용 로봇
CN111806590B (zh) 爬行机器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