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5904A - Image processing device and image processing program - Google Patents

Image processing device and image processing progra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5904A
KR20210015904A KR1020207037329A KR20207037329A KR20210015904A KR 20210015904 A KR20210015904 A KR 20210015904A KR 1020207037329 A KR1020207037329 A KR 1020207037329A KR 20207037329 A KR20207037329 A KR 20207037329A KR 20210015904 A KR20210015904 A KR 202100159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ue
saturation value
saturation
threshold
target pix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73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53070B1 (en
Inventor
유스케 밤바
Original Assignee
에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159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590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3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307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colour is displayed
    • G09G5/026Control of mixing and/or overlay of colours in genera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colour is display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90Dynamic range modification of images or parts thereof
    • G06T5/94Dynamic range modification of images or parts thereof based on local image properties, e.g. for local contrast enhancem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colour is displayed
    • G09G5/0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colour is displayed using colour palettes, e.g. look-up tab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9/68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for controlling the amplitude of colour signals, e.g. automatic chroma control circuits
    • H04N9/69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for controlling the amplitude of colour signals, e.g. automatic chroma control circuits for modifying the colour signals by gamma corr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004Biomedical image process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42Compensation of deficiencies in the appearance of colou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71Adjustment of the gradation levels within the range of the gradation scale, e.g. by redistribution or clipping
    • G09G2320/0276Adjustment of the gradation levels within the range of the gradation scale, e.g. by redistribution or clipping for the purpose of adaptation to the characteristics of a display device, i.e. gamma correc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73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gamma adjustment, e.g. selecting another gamma curv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8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with two or more screen areas displaying information with different brightness or colou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10Mixing of images, i.e. displayed pixel being the result of an operation, e.g. adding, on the corresponding input pix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6Calculation or use of calculated indices related to luminance levels in display data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80/00Specific applications
    • G09G2380/08Biomedical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모노크롬 화소와 컬러 화소를 같이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보다 적절한 명도값으로의 표시를 실현한다. 대상 화소의 채도값 또는 해당 대상 화소와 그 주변의 주변 화소를 포함하는 대상 소영역의 채도값을 취득하고, 상기 대상 화소를 보정하여 얻어지는 보정 후의 계조 특성이, 상기 채도값에 기초하여 컬러 계조 특성과 모노크롬 계조 특성을 소정의 혼합 비율로 혼합하여 합성된 계조 특성과 일치하도록, 상기 대상 화소를 보정하여 상기 채도값을 c로 하고, 상기 컬러 계조 특성의 혼합 비율을 W로 하면, c를 변수로 했을 때의 W의 값은 관계 W=f(c)로 나타내어지며, 이하의 조건을 만족하는 화상 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조건: 상기 채도값 c에 대해 상기 혼합 비율 W가 비례하여 증가하는 관계를 W=g(c)로 하면, 상기 채도값이 역치 이상의 경우에, f(c)>αg(c)가 만족되는 채도값 c 및 승수 α가 존재하고, α≥1이다.
In a display in which monochrome pixels and color pixels are displayed at the same time, display with more appropriate brightness values is realized. The saturation value of the target pixel or the saturation value of the target small region including the target pixel and its surrounding pixels is obtained, and the corrected gradation characteristic obtained by correcting the target pixel is a color gradation characteristic based on the saturation value. If the target pixel is corrected to match the synthesized grayscale characteristics by mixing the and monochrome grayscale characteristics at a predetermined mixing ratio, and the saturation value is set to c, and the mixing ratio of the color grayscale characteristics is set to W, c is used as a variable. The value of W is expressed by the relationship W=f(c), and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satisfying the following conditions is provided.
Condition: If the relationship in which the blending ratio W increases proportionally with respect to the saturation value c is W=g(c), then f(c)>αg(c) is satisfied when the saturation valu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threshold value. There is a value c and a multiplier α, and α≥1.

Description

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처리 프로그램 Image processing device and image processing program

본 발명은 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처리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an image processing program.

최근, 의료진단용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모노크롬 화소와 컬러 화소를 같이 표시함으로써, 종합적인 진단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의료진단용 디스플레이에 화상을 표시할 때, 모노크롬 화소를 표시할 경우에는 DICOM(Digital Imaging and Communications in Medicine) 규격으로 정해진 GSDF(Grayscale Standard Display Function) 커브에 의한 명도값(明度値)의 보정이 일반적으로 실시되고 있다. 한편, 컬러 화소를 표시하는 경우에는 sRGB규격으로 정해진 γ2.2커브에 의한 명도값의 보정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In recent years, in medical diagnosis displays, it is possible to perform comprehensive diagnosis by displaying both monochrome pixels and color pixels. When displaying images on such medical diagnostic displays, when displaying monochrome pixels, it is common to correct the brightness value by the GSDF (Grayscale Standard Display Function) curve specified by DICOM (Digital Imaging and Communications in Medicine) standards. Is being carried out.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displaying color pixels, correction of the brightness value by a γ2.2 curve determined by the sRGB standard is widely used.

도 1에는 상술한 GSDF커브와 γ2.2커브를 나타낸다. 디스플레이에 입력되는 계조값(階調値)과 표시해야 할 명도값의 관계를 "계조 특성"이라 하고,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노크롬 화소와 컬러 화소에서는 계조 특성이 다르다. 그래서, 입력 화상의 화소 단위에 계조 특성을 적절하게 보정하는 화상 처리 기술이 개발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은 입력 화상의 화소 단위의 채도값(彩度値) 혹은 에어리어 단위의 채도값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혼합 비율에 근거하여 컬러 계조 특성과 모노크롬 계조 특성을 혼합하여 합성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1 shows the above-described GSDF curve and γ2.2 curv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radation value input to the display and the brightness value to be displayed is referred to as "gradation characteristic", and as shown in Fig. 1, the gradation characteristic is different between a monochrome pixel and a color pixel. Thus, image processing techniques have been developed for appropriately correcting gradation characteristics for each pixel of an input image.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is a technology that combines and synthesizes color gradation characteristics and monochrome gradation characteristics based on a blending ratio determined based on a saturation value in pixels of an input image or a saturation value in an area unit. Is disclosed.

일본 공개특허 2016-180787호 공보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16-180787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에 있어서의 기술에서는, 화소 단위의 채도값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컬러 화상에 대해 γ2.2커브에 의한 컬러 계조 특성 보정만을 실시하는 디스플레이로의 진단에 익숙한 의사 등의 진단자에게,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컬러 화상이 어둡게 느껴져 정확한 진단을 실시하기 어려운 우려가 있었다. 또한, 에어리어 단위의 채도값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에어리어마다의 채도 계산 결과에 따라서는 화면 표시가 붕괴되어 적절한 명도값을 출력할 수 없는 우려가 있었다. However, in the technique of Patent Document 1, in the case of using a saturation value in units of pixels, a diagnostician such as a doctor who is familiar with diagnosis on a display that performs only color gradation characteristic correction by γ2.2 curve on a color image There is a concern that it is difficult to perform accurate diagnosis because the color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feels dark. In addition, in the case of using the saturation value in units of areas, there is a fear that the screen display collapses depending on the saturation calculation result for each area, and an appropriate brightness value cannot be output.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실시된 것이며, 모노크롬 화소와 컬러 화소를 같이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보다 적절한 명도값으로의 표시를 실현하기 위한 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처리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mplemented in view of these circumstance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an image processing program for realizing display with more appropriate brightness values in a display that displays monochrome pixels and color pixels together. .

본 발명에 의하면, 채도값 취득부와 보정부를 구비하는 화상 처리 장치로서, 상기 채도값 취득부는 대상 화소의 채도값 또는 해당 대상 화소와 그 주변의 주변 화소를 포함하는 대상 소영역의 채도값을 취득하고, 상기 보정부는 상기 대상 화소를 보정하여 얻어지는 보정 후의 계조 특성이, 상기 채도값에 기초하여 컬러 계조 특성과 모노크롬 계조 특성을 소정의 혼합 비율로 혼합하여 합성된 계조 특성과 일치하도록, 상기 대상 화소를 보정하고, 상기 채도값을 c로 하고, 상기 컬러 계조 특성의 혼합 비율을 W로 하면, c를 변수로 했을 때의 W의 값은 관계 W=f(c)로 나타내어지고, 이하의 조건을 만족하는 화상 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a saturation value acquisition unit and a correction unit, wherein the saturation value acquisition unit acquires a saturation value of a target pixel or a saturation value of a target small region including the target pixel and surrounding pixels. And the correcting unit so that the corrected gradation characteristic obtained by correcting the target pixel matches the gradation characteristic synthesized by mixing the color gradation characteristic and the monochrome gradation characteristic at a predetermined mixing ratio based on the saturation value. When is corrected, the saturation value is c, and the blending ratio of the color gradation characteristics is W, the value of W when c is a variable is represented by the relationship W=f(c), and the following conditions A satisfactory image processing apparatus is provided.

조건: 상기 채도값 c에 대해 상기 혼합 비율 W가 비례하여 증가하는 관계를 W=g(c)로 하면, 상기 채도값이 역치 이상의 경우에, f(c)>αg(c)가 만족되는 채도값 c 및 승수 α가 존재하고, α≥1이다.Condition: If the relationship in which the blending ratio W increases proportionally with respect to the saturation value c is W=g(c), then f(c)>αg(c) is satisfied when the saturation valu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threshold value. There is a value c and a multiplier α, and α≥1.

따라서, 대상 화소의 채도와 컬러 계조 특성의 혼합 비율의 관계를 대상 화소의 채도가 소정의 역치를 초과했을 경우에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고, 대상 화소의 채도가 낮을 때에는 컬러 계조 특성의 혼합 비율을 억제하면서, 대상 화소의 채도가 높을 때에는 컬러 계조 특성의 혼합 비율을 높일 수 있다. 그 때문에, 대상 화소의 채도가 높을 때에는 그 명도값을 높이는 보정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보다 적절한 명도값으로 디스플레이 표시를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에어리어 단위의 채도값을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에어리어마다의 채도값의 차이에 의해 화면 표시가 붕괴되는 우려도 없다. Therefore, it becomes possible to chang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aturation of the target pixel and the mixing ratio of the color gradation characteristics when the saturation of the target pixel exceeds a predetermined threshold, and suppress the mixing ratio of the color gradation characteristics when the saturation of the target pixel is low. Meanwhile, when the saturation of the target pixel is high, the mixing ratio of the color gradation characteristics can be increased. Therefore, when the saturation of the target pixel is high, it becomes possible to realize correction to increase the brightness value, and display display with a more appropriate brightness value becomes possible. In addition, since the saturation value for each area is not used, there is no fear that the screen display is collapsed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saturation value for each area.

이하, 본 발명의 여러가지 실시 형태를 예시한다.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는 서로 조합 가능하다. 또한, 각 특징이 독립적으로 발명을 구성한다. 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illustrated. Embodiments shown below can be combined with each other. In addition, each feature independently constitutes the inven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정부는 취득된 상기 채도값에 기초하여 컬러 화소용의 컬러 계조 특성과 모노크롬 화소용의 모노크롬 계조 특성의 혼합 비율을 결정하는 혼합부를 포함한다. Preferably, the correction unit includes a mixing unit for determining a mixing ratio of the color gradation characteristics for color pixels and the monochrome gradation characteristics for monochrome pixels based on the obtained saturation value.

바람직하게는, 상기 관계 f(c)는 상기 역치 이하에 있어서의 관계 W1=f1(c)와, 상기 역치 이상에 있어서의 관계 W2=f2(c)를 포함하고, 역치 이하의 임의의 채도값을 c1, 역치 이상의 임의의 채도값을 c2로 하면, f1(c1)≤f2(c2)이 만족된다. Preferably, the relationship f(c) includes a relationship W1=f1(c) below the threshold and a relationship W2=f2(c) above the threshold, and an arbitrary saturation value below the threshold. If c1 and c2 are arbitrary saturation value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threshold, f1(c1)≦f2(c2) is satisfied.

바람직하게는, 상기 역치 이하에 있어서의 관계 f1(c)는 비례 함수이다. Preferably, the relationship f1(c) below the threshold is a proportional func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역치를 제1역치로 했을 때의 제2역치가 존재하고, 상기 제2역치는 상기 제1역치 이상이며, 상기 채도값이 제2역치 이상의 경우에, 상기 관계 f2(c)의 기울기가 제로를 향해 감소한다. Preferably, there is a second threshold when the threshold is the first threshold, the second threshold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first threshold, and the saturation valu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econd threshold, the relationship f2(c) The slope of decreases toward zero.

바람직하게는, 상기 관계 f(c)는 시그모이드 함수의 적어도 일부이다. Preferably, the relationship f(c) is at least part of the sigmoid func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정부는 또한 상기 대상 화소의 컬러 계조 특성에 있어서의 명도값과, 상기 대상 화소의 모노크롬 계조 특성에 있어서의 명도값의 차분이 클수록 상기 역치가 보다 크게 설정된 관계를 이용하여 상기 혼합 비율 W를 결정하여 보정을 실시한다. Preferably, the correction unit also uses a relationship in which the threshold value is set to be larger as the difference between the brightness value in the color gradation characteristic of the target pixel and the brightness value in the monochrome gradation characteristic of the target pixel is increased. Correction is performed by determining the ratio W.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의하면, 대상 화소의 채도값 또는 해당 대상 화소와 그 주변의 주변 화소를 포함하는 대상 소영역의 채도값을 취득하는 취득 스텝과, 상기 보정부에 의해 상기 대상 화소를 보정하여 얻어지는 보정 후의 계조 특성이, 상기 채도값에 기초하여 컬러 계조 특성과 모노크롬 계조 특성을 소정의 혼합 비율로 혼합하여 합성된 계조 특성과 일치하도록, 상기 대상 화소를 보정하는 보정 스텝을 포함하고, 상기 채도값을 c로 하고 상기 컬러 계조 특성의 혼합 비율을 W로 하면, c를 변수로 했을 때의 W의 값은 관계 W=f(c)로 나타내어지며, 이하의 조건을 만족하는, 화상 처리 방법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cquisition step of acquiring a saturation value of a target pixel or a saturation value of a target small region including the target pixel and surrounding pixels thereof, and the target pixel is corrected by the correction unit. And a correction step of correcting the target pixel so that the obtained gradation characteristic after correction matches the gradation characteristic synthesized by mixing the color gradation characteristic and the monochrome gradation characteristic based on the saturation value at a predetermined mixing ratio, and the saturation When the value is c and the blending ratio of the color gradation characteristics is W, the value of W when c is a variable is represented by the relationship W=f(c), and an image processing method that satisfies the following conditions is Is provided.

조건: 상기 채도값이 최소값으로부터 최대값까지 증가함에 따라, 상기 혼합 비율이 최소값으로부터 최대값까지 비례하여 증가하는 관계를 W=g(c)로 하면, 상기 채도값이 역치 이상의 경우에, f(c)>αg(c)가 만족되는 채도값 c 및 승수 α가 존재하고, α≥1이다. Condition: If the relationship in which the blending ratio increases proportionally from the minimum value to the maximum value as the saturation value increases from the minimum value to the maximum value is W=g(c), when the saturation valu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threshold value, f( There is a saturation value c and a multiplier α for satisfying c)>αg(c), and α≥1.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의하면, 컴퓨터를, 채도값 취득부와 보정부를 구비하는 화상 처리 장치로서 기능시키는 화상 처리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채도값 취득부에 의해, 대상 화소의 채도값 또는 해당 대상 화소와 그 주변의 주변 화소를 포함하는 대상 소영역의 채도값을 취득하는 취득 스텝과, 상기 대상 화소를 보정하여 얻어지는 보정 후의 계조 특성이, 상기 채도값에 기초하여 컬러 계조 특성과 모노크롬 계조 특성을 소정의 혼합 비율로 혼합하여 합성된 계조 특성과 일치하도록, 상기 대상 화소를 보정하는 스텝을 포함하고, 상기 채도값을 c로 하고 상기 컬러 계조 특성의 혼합 비율을 W로 하면, c를 변수로 했을 때의 W의 값은 관계 W=f(c)로 나타내어지며, 이하의 조건을 만족하는, 화상 처리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image processing program for causing a computer to function as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a saturation value acquisition unit and a correction unit, the saturation value acquisition unit provides the saturation value of the target pixel or the target pixel and the same. An acquisition step of acquiring a saturation value of a target small area including surrounding pixels, and a corrected gradation characteristic obtained by correcting the target pixel are mixed with a color gradation characteristic and a monochrome gradation characteristic based on the saturation value. Comprising the step of correcting the target pixel so as to match the gradation characteristics synthesized by mixing at a ratio, and if the saturation value is c and the blending ratio of the color gradation characteristics is W, W when c is a variable The value of is represented by the relationship W=f(c), and an image processing program that satisfies the following condition is provided.

조건: 상기 채도값이 최소값으로부터 최대값까지 증가함에 따라, 상기 혼합 비율이 최소값으로부터 최대값까지 비례하여 증가하는 관계를 W=g(c)로 하면, 상기 채도값이 역치 이상의 경우에, f(c)>αg(c)가 만족되는 채도값 c 및 승수 α가 존재하고, α≥1이다.Condition: If the relationship in which the blending ratio increases proportionally from the minimum value to the maximum value as the saturation value increases from the minimum value to the maximum value is W=g(c), when the saturation valu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threshold value, f( There is a saturation value c and a multiplier α for satisfying c)>αg(c), and α≥1.

도 1은 GSDF커브와 γ2.2커브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제1의 실시 형태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100)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도 3은 제어부(1)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4 중, 도 4A는 모노크롬 화소용의 룩업 테이블(look-up table)L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B는 컬러 화소용의 룩업 테이블 L2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채도값 c와 혼합 비율 W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보정 처리의 순서를 설명하는 처리 순서도이다.
도 7 중, 도 7A는 변형예1에 있어서의 채도값과 혼합 비율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B는 변형예2에 있어서의 채도값과 혼합 비율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C는 변형예3에 있어서의 채도값과 혼합 비율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중, 도 8A는 GSDF커브와 γ2.2커브에 있어서의 명도값의 차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B는 GSDF커브와 γ2.2커브에 있어서의 명도값의 차분 비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중, 도 9A는 도 8B에 대해 차분 비율의 크기마다 입력 계조값의 영역 분할을 한 도면이다. 도 9B는 채도값 c와 혼합 비율 W의 관계를 입력 계조값의 영역 분할에 대응하여 복수 규정한 도면이다.
도 10은 제2의 실시 형태에 따른 보정 처리의 순서를 설명하는 처리 순서도이다.
1 is a graph showing a GSDF curve and a γ2.2 curve.
2 is a hardware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3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the control unit 1.
In Fig. 4, Fig. 4A is a diagram showing a look-up table L1 for a monochrome pixel. 4B is a diagram showing a lookup table L2 for color pixels.
5 is a diagram showing a relationship between a saturation value c and a blending ratio W.
6 is a processing flow chart for explaining the procedure of correction processing.
In FIG. 7, FIG. 7A is a diagram showing a relationship between a saturation value and a blending ratio in Modification Example 1. FIG. 7B is a diagram showing a relationship between a saturation value and a blending ratio in Modified Example 2. FIG. 7C is a diagram showing a relationship between a saturation value and a blending ratio in Modified Example 3. FIG.
In Fig. 8, Fig. 8A is a diagram show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brightness value between the GSDF curve and the γ2.2 curve. Fig. 8B is a diagram showing the difference ratio of the brightness values between the GSDF curve and the γ2.2 curve.
In Fig. 9, Fig. 9A is a diagram in which regions of input grayscale values are divided for each size of a difference ratio with respect to Fig. 8B. Fig. 9B is a diagram in which a plurality of relations between a saturation value c and a blending ratio W are defined in correspondence with division of an input gray level value.
10 is a processing flow chart for explaining the procedure of the correction processing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히, 본 명세서에서 "부"는, 예를 들면 광의의 회로에 의해 실시되는 하드웨어 자원과, 이 하드웨어 자원에 의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소프트웨어의 정보처리를 합친 것을 나타낼 수 있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particular, "unit"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represent a combination of a hardware resource implemented by, for example, a broader circuit and information processing of software that can be specifically realized by the hardware resource.

또한, 광의의 회로는 회로(circuit), 회로류(circuitry), 프로세서(Processor) 및 메모리(Memory) 등을 적어도 적당히 조합시킴으로써 실현되는 회로이다. 즉, 특정 용도 대상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프로그래머블 논리 장치(예를 들면 단순 프로그래머블 논리 장치(Simple Programmable Logic Device: SPLD), 복합 프로그래머블 논리 장치(Complex Programmable Logic Device: CLPD) 및 현장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등을 포함하는 것이다. Further, a circuit in a broad sense is a circuit realized by at least appropriately combining a circuit, circuitry, a processor, and a memory. That i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programmable logic device (e.g., Simple Programmable Logic Device (SPLD)), Complex Programmable Logic Device (CLPD), and field It includes a programmable gate array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입력 화상의 하나의 화소 또는 해당 화소와 그 주변의 주변 화소를 포함하는 영역을 소영역으로 정의한다. 또한, 화상이란, 정지 영상/동영상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하고 동영상의 경우에 있어서는 특히 지정이 없는 한 그 중의 1프레임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 single pixel of an input image or an area including the pixel and surrounding pixels of the input image is defined as a small area. In addition, an image is assumed to include both a still image and a moving image, and in the case of a moving image, it is assumed that one frame among them is indicated unless otherwise specified.

또한, 하기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실시 형태에서는, 여러가지 정보나 이것을 포함하는 개념을 취급하지만, 이들은 0 또는 1로 구성되는 2진수의 비트 집합체로서 신호값의 고저에 의해 나타내어지고, 광의의 회로 상에서 통신E연산이 실행될 수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소영역", "입력 계조값", "채도값", "명도값" 등이 이러한 정보/개념에 포함될 수 있다. 이들에 대해서는 필요에 따라 다시 상세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Further, in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and concepts including these are handled, but these are binary bits consisting of 0 or 1, represented by the high and low signal values, and communicated on a circuit in a broad sense. E operation can be executed. Specifically, "small area", "input grayscale value", "saturation value", "brightness value", and the like may be included in this information/concept. Thes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gain as necessary.

<제1의 실시 형태> <First embodiment>

(1.1. 화상 처리 장치(100)의 구성) (1.1. Configuration of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도 2를 참조하여 화상 처리 장치(10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한편, 도 2를 이용한 설명에서는, 각 구성 요소의 기본적인 기능을 설명하는 것에 머물며 처리의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The configuration of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On the other hand, in the description using FIG. 2, only the basic function of each component is described,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ocess will be described later.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처리 장치(100)는 제어부(1)와, 기억부(2)와, 조작부(3)와, 표시부(4)와, 백라이트(5)와, 통신부(6)와, 버스(7)를 구비한다. 제어부(1)는 기억부(2)에 기억된 프로그램(미도시)을 판독하여 여러가지 연산 처리를 실행하는 것이며, 예를 들면 CPU 등에 의해 구성된다. As shown in Fig. 2,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includes a control unit 1, a storage unit 2, an operation unit 3, a display unit 4, a backlight 5, a communication unit 6, and , With a bus (7). The control unit 1 reads a program (not shown) stored in the storage unit 2 and executes various arithmetic processing, and is configured by, for example, a CPU or the like.

기억부(2)는 표시부(4)에 적용되는 계조 특성 보정을 실시하는 룩업 테이블이나, 각종 데이터나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것이며, 예를 들면 메모리, HDD 또는 SSD에 의해 구성된다. 여기에서, 프로그램은 화상 처리 장치(100)의 출하 시점에 사전 설치되어 있어도 되고, 웹(Web) 상의 사이트로부터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으로서 다운로드해도 되고, 유선 또는 무선 통신에 의해 기타 정보 처리 장치 또는 기록 매체로부터 전송되어도 된다. 룩업 테이블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The storage unit 2 stores a look-up table for performing gradation characteristic correction applied to the display unit 4 and various types of data and programs, and is constituted by, for example, a memory, an HDD, or an SSD. Here, the program may be pre-installed at the time of shipment of the image processing device 100, may be downloaded as an application from a site on the Web, or other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or recording medium by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It may be transmitted from The lookup tabl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조작부(3)는 화상 처리 장치(100)를 조작하는 것이며, 예를 들면 스위치, 버튼, 마우스, 키보드, 터치 패널(touch panel), 음성 입력부 또는 카메라 등을 이용한 움직임 인식 장치에 의해 구성된다. 예를 들면 조작부(3)에 의해 OSD(On Screen Display) 상의 각종 설정 정보가 조작된다. The operation unit 3 operates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and is constituted by a motion recognition device using, for example, a switch, button, mouse, keyboard, touch panel, voice input unit, camera, or the like. For example, various setting information on the OSD (On Screen Display) is manipulated by the operation unit 3.

표시부(4)는 입력 화상 데이터(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포함)를 화상으로서 표시하는 것이며,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 유기EL 디스플레이,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 전자 페이퍼 또는 기타의 디스플레이로 구성된다. The display unit 4 displays input image data (including still images and moving pictures) as an image, and is constituted by, for example, a liquid crystal display, an organic EL display, a touch panel display, electronic paper, or other displays.

백라이트(5)는 표시부(4)의 배면으로부터 표시부(4)를 조명하는 것이다. 한편, 표시부(4)가 액정 디스플레이가 아닐 경우에는, 백라이트(5)는 불필요하다. The backlight 5 illuminates the display unit 4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unit 4. On the other hand, when the display unit 4 is not a liquid crystal display, the backlight 5 is unnecessary.

통신부(6)는 기타 정보 처리 장치 또는 각 구성 요소와 여러가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이며, 임의의 I/O에 의해 구성된다. 버스(7)는 시리얼 버스, 병렬 버스 등으로 구성되며, 각 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여러가지 데이터의 송수신을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The communication unit 6 transmits and receives various data to and from other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s or components, and is configured by arbitrary I/O. The bus 7 is composed of a serial bus, a parallel bus, or the like, and electrically connects each unit to enabl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various data.

각 구성 요소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해도 되고,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해도 된다.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할 경우, CPU가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각종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프로그램은 내장의 기억부(2)에 격납해도 되고, 컴퓨터 판독 가능한 비일시적인 기록 매체에 격납해도 된다. 또한, 외부의 기억부에 격납된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소위 클라우드 컴퓨팅에 의해 실현해도 된다.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할 경우, ASIC, FPGA 또는 DRP 등 여러가지 회로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Each component may be realized by software or by hardware. When realized by software, various functions can be realized by the CPU executing the program. The program may be stored in the built-in storage unit 2 or may be stored in a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urther, a program stored in an external storage unit may be read and realized by so-called cloud computing. When implemented by hardware, it can be implemented by various circuits such as ASIC, FPGA or DRP.

(1.2. 기능 구성) (1.2. Function composition)

도 3을 참조하여 제어부(1)의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부(1)는 판정부(11)와, 채도값 취득부(12)와, 보정부(20)를 구비한다. 보정부(20)는 혼합부(21)와, 모노크롬 보정부(22)와, 컬러 보정부(23)를 포함한다. The function of the control unit 1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As shown in FIG. 3, the control unit 1 includes a determination unit 11, a saturation value acquisition unit 12, and a correction unit 20. The correction unit 20 includes a mixing unit 21, a monochrome correction unit 22, and a color correction unit 23.

판정부(11)는 화상 처리 장치(100)에 입력되는 입력 화상 데이터의 대상 화소에 대해, 모노크롬인지 컬러인지를 판정한다. 여기에서, 판정 방법으로서는 여러가지 방법이 알려져 있다. 일례로서, 대상 화소가 갖는 입력 계조값(R, G, B)을 RGB공간에 플롯하고, RGB공간에 있어서의 (1, 1, 1)방향으로 규정되는 직선과의 거리가 기준치에 제한되면 모노크롬으로 판정하는 방법을 이용해도 된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입력 계조값은 0~1023까지의 값을 취하는 10비트의 디지털 값으로서 규정되어 있다. The determination unit 11 determines whether the target pixel of the input image data input to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is monochrome or color. Here, various methods are known as the determination method. As an example, if the input gradation values (R, G, B) of the target pixel are plotted in the RGB space, and the distance from the straight line defined in the (1, 1, 1) direction in the RGB space is limited to the reference value, the monochrome You may use the method of judging by. On the other hand, in this embodiment, the input gradation value is defined as a 10-bit digital value taking values from 0 to 1023.

채도값 취득부(12)는 화상 처리 장치(100)에 입력되는 입력 화상 데이터의 대상 화소에 관해서 입력 계조값에 기초하여 채도값(이하, 채도값c라고도 한다)를 취득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채도값은 0~255의 값을 취하는 8비트의 디지털값으로서 정의되어 있다. 여기에서, 채도값 취득부(12)는 대상 화소와 그 주위의 주변 화소를 포함하는 대상 소영역에 관한 채도값을 취득해도 된다. 그 경우에는, 예를 들면 대상 화소와 그 주위의 화소의 각각에 대응된 채도값에 관해서 상가 평균을 연산하여 대상 소영역의 채도값으로 해도 되고, 또는 대상 소영역 내의 1개의 채도값을 대표값으로서 취득해도 된다. The saturation value acquisition unit 12 acquires a saturation value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saturation value c) with respect to the target pixel of the input image data input to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based on the input gradation value. In this embodiment, the saturation value is defined as an 8-bit digital value taking a value of 0 to 255. Here, the saturation value acquisition unit 12 may acquire a saturation value for a target small region including the target pixel and surrounding pixels. In that case, for example, the saturation value of the target small region may be calculated by calculating an additive average with respect to the saturation value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target pixel and the surrounding pixels, or one saturation value in the target small region is a representative value. You may acquire as.

보정부(20)는 입력 화상 데이터에 관해서 컬러 화소용의 컬러 계조 특성 보정과 모노크롬 화소용의 모노크롬 계조 특성 보정을 실시한다. 여기에서, 계조 특성이란, 입력 화상 데이터의 대상 화소의 입력 계조값과, 해당 대상 화소가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될 때의 명도값의 관계를 말한다. 컬러 계조 특성 보정이란, 컬러 화소에 대해 계조 특성을 보정하는 것을 말한다. 모노크롬 계조 특성 보정이란, 모노크롬 화소의 계조 특성을 보정하는 것을 말한다. The correction unit 20 corrects the color gradation characteristics for color pixels and the monochrome gradation characteristics for monochrome pixels with respect to the input image data. Here, the gradation characteristic refers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put gradation value of the target pixel of the input image data and the brightness value when the target pixel is output from the display. Color gradation characteristic correction refers to correcting gradation characteristics for color pixels. The monochrome gradation characteristic correction refers to correcting the gradation characteristic of a monochrome pixel.

혼합부(21)는 채도값 취득부(12)가 취득한 채도값에 기초하여 컬러 계조 특성과 모노크롬 계조 특성의 혼합 비율(이하, 혼합 비율 W라고도 한다)을 결정한다. 혼합부(21)의 구체적인 처리의 내용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The blending unit 21 determines a blending ratio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blending ratio W) of the color tone characteristic and the monochrome tone characteristic based on the chroma value acquired by the chroma value acquisition unit 12. Details of the specific processing of the mixing unit 21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모노크롬 보정부(22)는 입력 화상 데이터의 대상 화소마다 모노크롬 계조 특성 보정을 실행한다. 모노크롬 보정부(22)가 실시하는 모노크롬 계조 특성 보정의 구체적인 처리의 내용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The monochrome correction unit 22 performs monochrome gradation characteristic correction for each target pixel of the input image data. Details of the specific processing of the monochrome gradation characteristic correction performed by the monochrome correction unit 22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컬러 보정부(23)는 입력 화상 데이터의 대상 화소마다 컬러 계조 특성 보정을 실행한다. 컬러 보정부(23)가 실시하는 컬러 계조 특성 보정의 구체적인 처리의 내용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The color correction unit 23 performs color gradation characteristic correction for each target pixel of the input image data. Details of specific processing of color gradation characteristic correction performed by the color correction unit 23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기억부(2)는 일례로서는, 계조 특성 보정을 실시하기 위한 룩업 테이블(L)과, 채도값 c와 혼합 비율 W의 관계가 규정된 혼합 비율 테이블(K)을 기억한다. The storage unit 2 stores, as an example, a look-up table L for performing gradation characteristic correction, and a blending ratio table K in which a relationship between a saturation value c and a blending ratio W is defined.

표시부(4)는 입력 화상 데이터의 대상 화소에 관해서 모노크롬 보정부(22) 또는 컬러 보정부(23)에 의해 보정된 계조 특성에 대응하는 명도값으로 입력 화상 데이터를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The display unit 4 is configured to display the input image data with a brightness value corresponding to the gradation characteristic corrected by the monochrome correction unit 22 or the color correction unit 23 with respect to the target pixel of the input image data.

(1.3. 룩업 테이블) (1.3.Lookup Table)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기억부(2)에 격납되는 룩업 테이블(L)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룩업 테이블(L)의 규정 방법은 어디까지나 일례에 지나지 않고, 여기에서 예시하는 양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The lookup table L stored in the storage unit 2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A and 4B. However, the method of defining the lookup table L is only an example, and is not limited to the mode illustrated here.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억부(2)는 모노크롬 화소용의 룩업 테이블 L1과, 컬러 화소용의 룩업 테이블 L2를 기억하고 있다. 룩업 테이블 L1에는 0~1023까지의 입력 계조값과 그것에 대응하는 명도값이 규정되어 있다. 여기에서, 명도값 M0~M1023은 0~100%로 나타낼 수 있는 값이며, 0%는 표시부(4)가 표현할 수 있는 최저 명도를, 100%는 표시부(4)가 표현할 수 있는 최대 명도를 나타낸다. 룩업 테이블 L1은 DICOM 규격에 의해 정해지는 GSDF커브를 만족하도록, 입력 계조값과 명도값이 1대1로 대응되어 있다. 한편, 명도값은 0~100%에 대신하여, 예를 들면 0~65535까지의 값을 취하는 16비트의 디지털값으로서 규정해도 된다. 4A and 4B, the storage unit 2 stores a look-up table L1 for monochrome pixels and a lookup table L2 for color pixels. In the lookup table L1, input grayscale values from 0 to 1023 and brightness values corresponding thereto are defined. Here, the brightness values M0 to M1023 are values that can be expressed as 0 to 100%, 0% is the lowest brightness that can be expressed by the display unit 4, and 100% is the maximum brightness that can be expressed by the display unit 4 . In the lookup table L1, the input grayscale value and the brightness value are mapped one-to-one to satisfy the GSDF curve determined by the DICOM standard. On the other hand, the brightness value may be defined as a 16-bit digital value taking a value from 0 to 65535 instead of 0 to 100%.

한편, 룩업 테이블 L2에는, 입력 계조값과 그것에 대응하는 RGB마다의 명도값이 규정되어 있다. 룩업 테이블 L2에서는, 룩업 테이블 L1로 규정되는 관계를 RGB마다 규정한다. 즉, 명도값R0~R1023이 R(레드), 명도값G0~G1023이 G(그린), 명도값B0~B1023이 B(블루)에 각각 대응하고 있다. 룩업 테이블 L2는 sRGB규격에 의해 정해지는 γ2.2커브를 만족하도록, 입력 계조값과 명도값이 RGB마다 1대1로 대응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lookup table L2, an input grayscale value and a brightness value for each RGB corresponding thereto are defined. In the lookup table L2, the relationship defined by the lookup table L1 is defined for each RGB. That is, the brightness values R0 to R1023 correspond to R (red), the brightness values G0 to G1023 correspond to G (green), and the brightness values B0 to B1023 correspond to B (blue). In the lookup table L2, input gradation values and brightness values are corresponded one-to-one for each RGB so as to satisfy the γ2.2 curve determined by the sRGB standard.

따라서, 모노크롬 화소의 입력 계조값에 관해서, 룩업 테이블 L1을 참조함으로써, GSDF커브를 만족하는 명도값으로 되도록 계조 특성 보정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컬러 화소의 입력 계조값에 관해서, 룩업 테이블 L2을 참조함으로써, γ2.2커브를 만족하는 명도값으로 되도록 계조 특성 보정을 실시할 수 있다. Accordingly, by referring to the lookup table L1 regarding the input grayscale value of the monochrome pixel, the grayscale characteristic correction can be performed so that the brightness value satisfies the GSDF curve. Further, with respect to the input gradation value of the color pixel, by referring to the lookup table L2, gradation characteristic correction can be performed so that the luminance value satisfies the ?2.2 curve.

(1.4. 혼합부(21)) (1.4. Mixing part (21))

혼합부(21)는 채도값 취득부(12)가 취득한 채도값c에 기초하여 컬러 화소용의 컬러 계조 특성(룩업 테이블 L2에 상당)과 모노크롬 화소용의 모노크롬 계조 특성(룩업 테이블 L1에 상당)을 혼합하기 위한 혼합 비율 W를 결정한다. 여기에서, 혼합 비율 W는 W=1의 때에 컬러 계조 특성으로 되고, W=0의 때에 모노크롬 계조 특성으로 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W=0.5의 때에 컬러 계조 특성과 모노크롬 계조 특성을 50%씩 혼합한 계조 특성이 합성되는 것으로 된다. The blending unit 21 is based on the saturation value c acquired by the saturation value acquisition unit 12, the color gradation characteristics for color pixels (equivalent to lookup table L2) and the monochrome gradation characteristics for monochrome pixels (equivalent to lookup table L1). Determine the mixing ratio W for mixing. Here, the blending ratio W means that when W=1, the color gradation characteristic becomes, and when W=0, it becomes the monochrome gradation characteristic. Further, when W=0.5, a gradation characteristic obtained by mixing 50% of a color gradation characteristic and a monochrome gradation characteristic is synthesized.

채도값 c와 혼합 비율 W의 관계는 기억부(2)에 격납되는 혼합 비율 테이블(K)에 규정되어 있다. 혼합부(21)는 혼합 비율 테이블(K)을 참조함으로써, 채도값 취득부(12)가 취득한 채도값 c에 대응하는 혼합 비율 W를 결정할 수 있다.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aturation value c and the blending ratio W is defined in the blending ratio table K stored in the storage unit 2. The mixing unit 21 can determine the mixing ratio W corresponding to the saturation value c acquired by the saturation value acquisition unit 12 by referring to the mixing ratio table K.

도 5는 채도값 c와 혼합 비율 W의 관계 W=f(c)(이하, 대응 관계 f(c)라고도 한다)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혼합 비율 테이블(K)에 대응한다. 도 5에는 채도값 c가 최소값 0으로부터 최대값 255까지 증가함에 따라, 혼합 비율 W가 최소값 0으로부터 최대값 1까지 비례하여 증가하는 관계 W=g(c)(이하, 비례 관계 g(c)라고도 한다)가 나타내어져 있다. 또한, 채도값 c에 대한 제1역치 P와 제2역치 Q가 나타내어져 있다. 5 is a diagram showing a relationship W=f(c)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a correspondence relationship f(c)) between the saturation value c and the blending ratio W, and corresponds to the blending ratio table K. In FIG. 5, as the saturation value c increases from the minimum value 0 to the maximum value 255, the blending ratio W increases proportionally from the minimum value 0 to the maximum value 1, W=g(c)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the proportional relationship g(c). To) is indicated. In addition, the first threshold P and the second threshold Q for the saturation value c are shown.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응 관계 f(c)는 채도값 c가 제1역치 P 이상의 영역(즉, f(c)에 있어서의 점X 이후의 영역)에서 비례 관계 g(c)보다 큰 값을 취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채도값 c가 제1역치 P 이상의 경우에, f(c)>αg(c)라는 조건이 만족되는 채도값 c 및 승수 α가 존재하고, α≥1이다. As shown in Fig. 5, the correspondence relationship f(c) is a value greater than the proportional relationship g(c) in the area where the saturation value c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first threshold P (that is, the area after the point X in f(c)). It is structured to take. In other words, when the saturation value c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first threshold P, the saturation value c and the multiplier α for satisfying the condition f(c)>αg(c) exist, and α≥1.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채도값 c의 증가에 비례하여 컬러 계조 특성의 혼합 비율 W를 증가시키는 비례 관계 g(c)에 비해, 제1역치 P 이상의 경우에, 컬러 계조 특성의 혼합 비율 W를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결과, 제1역치 P 이상의 경우에, 입력 화소에 대한 컬러 계조 특성의 비율이 높아져 명도값을 더 높인 화상을 실현할 수 있다. With this configuration, compared to the proportional relationship g(c) that increases the blending ratio W of the color tone characteristics in proportion to the increase of the saturation value c, increasing the blending ratio W of the color tone characteristics in the case of the first threshold P or more It becomes possible. As a result, in the case of the first threshold P or more, the ratio of the color gradation characteristic to the input pixel is increased, and an image with a higher brightness value can be realized.

여기에서, 승수 α의 값은 1~20이며, 바람직하게는 1.5~15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2~10이다. 승수 α의 값은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1, 1.5, 2, 2.5, 3, 3.5, 4, 4.5, 5, 5.5, 6, 6.5, 7, 7.5, 8, 8.5, 9, 9.5, 10, 10.5, 11, 11.5, 12, 12.5, 13, 13.5, 14, 14.5, 15, 15.5, 16, 16.5, 17, 17.5, 18, 18.5, 19, 19.5, 20이며, 여기에서 예시한 임의의 2개 수치 사이의 범위 내이어도 된다. Here, the value of the multiplier α is 1 to 20, preferably 1.5 to 15, and more preferably 2 to 10. The value of the multiplier α is specifically, for example 1, 1.5, 2, 2.5, 3, 3.5, 4, 4.5, 5, 5.5, 6, 6.5, 7, 7.5, 8, 8.5, 9, 9.5, 10, 10.5 , 11, 11.5, 12, 12.5, 13, 13.5, 14, 14.5, 15, 15.5, 16, 16.5, 17, 17.5, 18, 18.5, 19, 19.5, 20, between any two numbers exemplified here It may be within the range of.

여기에서, 채도값 c가 제1역치 P 이상의 경우, 제1역치 P로부터 최대값 255까지의 채도값 중, 50% 이상의 비율의 채도값에 관해서 상기 조건이 만족되도록 한다. 해당 비율은 구체적으로는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이며, 여기에서 예시한 임의의 2개 수치 사이의 범위 내이어도 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해당 비율을 70%로 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제1역치 P 이상의 채도값 c의 70% 이상에 관해서 컬러 계조 특성의 혼합 비율을 비례 관계 g(c)의 경우의 혼합 비율보다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고, 제1역치P 이상의 채도값 c의 70% 이상에 관해서 명도값을 향상시킨 화상으로 표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Here, when the saturation value c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first threshold P, the above condition is satisfied with respect to a saturation value of 50% or more of the saturation values from the first threshold P to the maximum value 255. The ratio is specifically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and within the range between any two numbers exemplified herein. May be. More preferably, the ratio may be 70%. In this way, it becomes possible to increase the blending ratio of the color gradation characteristics more than the blending ratio in the case of the proportional relationship g(c) with respect to 70% or more of the saturation value c of the first threshold P or more, and the saturation value c or more of the first threshold P It becomes possible to represent an image with an improved brightness value of 70% or more.

또한, 바람직하게는 채도값 c가 제1역치 P 이상의 경우, 제1역치 P로부터 최대값 255까지의 채도값 중, 값이 낮은 50% 이상의 영역에 포함되는 채도값에 관해서 상기 조건이 만족되도록 한다. 해당 영역은 구체적으로는 값이 낮은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이며, 여기에서 예시한 임의의 2개 수치 사이의 범위 내이어도 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해당 비율을 90%로 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대응 관계 f(c) 중, 제1역치 P로부터 최대치 255까지의 채도값 중, 값이 낮은 90%의 영역에 관해서 컬러 계조 특성의 혼합 비율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제1역치 P로부터 최대값 255까지의 채도값 중, 값이 낮은 90%이상의 영역에서 명도값을 향상시킨 화상을 표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In addition, preferably, when the saturation value c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first threshold P, the above condition is satisfied with respect to the saturation value included in a region of 50% or more with a lower value among the saturation values from the first threshold P to the maximum value 255. . The area is specifically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with lower values, between any two numbers exemplified herein. It may be within the range of. More preferably, the ratio may be set to 90%. In this way, it becomes possible to increase the blending ratio of the color gradation characteristics in a region of 90% of the saturation values from the first threshold P to the maximum value 255 in the correspondence relationship f(c) with a low value. As a result, it becomes possible to express an image in which the brightness value is improved in a region of 90% or more of which the value is low among the saturation values from the first threshold P to the maximum value 255.

또한, 도 5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채도값 c와 혼합 비율 W의 관계 f(c)는 제1역치 P 이하에 있어서의 관계 W=f1(c)과, 제1역치 P 이상에 있어서의 관계 W=f2(c)을 포함하고 있고, 제1역치 P 이하가 임의의 채도값을 c1, 제1역치 P 이상의 임의의 채도값을 c2로 하면, f1(c1)≤f2(c2)이 만족되어 있다. In the example shown in Fig. 5, the relationship f(c) between the saturation value c and the blending ratio W is the relationship W=f1(c) at the first threshold P or less, and the relationship W at the first threshold P or more. =f2(c) is included, and if an arbitrary saturation value equal to or less than the first threshold P is c1, and an arbitrary saturation value equal to or higher than the first threshold P is c2, f1(c1) ≤ f2(c2) is satisfied. .

또한, 도 5의 예에서는, f1(c)는 비례 함수이며, 비례 관계 g(c)와 일치되어 있다. 한편, 도 5의 예에서는, f2(c)는 시그모이드 함수(Sigmoid function)의 적어도 일부가 이용되고 있다. 여기에서, f1(c) 및 f2(c)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f1(c1)≤f2(c2)를 만족하는 관계이면 된다. 이와 같이, f1(c)를 비례 함수로 함으로써, 채도값 c가 낮은 영역에서, 모노크롬 계조 특성의 혼합 비율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채도값 c가 낮은 영역에서, 컬러 계조 특성의 혼합 비율이 높은 것에 의한 노이즈의 발생을 억제하면서, 모노크롬 계조 특성의 비율을 지나치게 향상시키는 것에 의한 의도한 컬러 표시로부터의 괴리가 커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In addition, in the example of FIG. 5, f1(c) is a proportional function, and is consistent with the proportional relationship g(c). Meanwhile, in the example of FIG. 5, f2(c) is at least a part of a sigmoid function. Here, f1(c) and f2(c) are not limited to this, and may be a relationship satisfying f1(c1)≦f2(c2). In this way, by using f1(c) as a proportional func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mixing ratio of the monochrome gradation characteristics in the region where the saturation value c is low. Therefore, in the region where the saturation value c is low, the occurrence of noise due to the high blending ratio of the color gradation characteristics is suppressed, while preventing an increase in the deviation from the intended color display by excessively improving the ratio of the monochrome gradation characteristics. It becomes possible.

또한, f(c)는 채도값 c가 제1역치 P 이상으며 제2역치 이하의 영역에서는, 그 기울기가 상승하고, 혼합 비율 W의 값이 크게 상승한다. 또한, 채도값 c가 제2역치 이상이며 최대값 255 이하의 영역(즉, f(c)에 있어서의 점 Y 이후의 영역)에서는, 그 기울기는 제로를 향해 감소하고, f(c)는 완만하게 증가한다. In addition, as for f(c), in a region where the saturation value c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first threshold P and equal to or less than the second threshold, the slope thereof increases, and the value of the blending ratio W increases significantly. In addition, in the region where the saturation value c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cond threshold and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maximum value of 255 (i.e., the region after the point Y in f(c)), the slope decreases toward zero, and f(c) is gentle. Increases.

이렇게 채도값 c와 혼합 비율 W의 관계를 규정함으로써, 채도값 c가 낮은 영역에서는 컬러 계조 특성의 혼합 비율을 억제하여 모노크롬 계조 특성과 컬러 계조 특성을 혼합한 계조 특성 보정을 실시하면서, 제1역치 P 이상의 영역에 있어서는 컬러 계조 특성의 혼합 비율을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By def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aturation value c and the blending ratio W in this way, the first threshold value while correcting the gradation characteristics in which the monochrome gradation characteristics and the color gradation characteristics are mixed by suppressing the mixing ratio of the color gradation characteristics in a region with a low saturation value c. In the region of P or more, it becomes possible to increase the mixing ratio of color gradation characteristics.

(1.5. 모노크롬 보정부(22)) (1.5. Monochrome correction unit (22))

모노크롬 보정부(22)는 판정부(11)에 의해 모노크롬 화소로 판정된 대상 화소의 입력 계조값에 관해서 룩업 테이블 L1을 참조하여 명도값을 취득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룩업 테이블 L1은 GSDF커브를 만족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그 결과, 모노크롬 화소를 GSDF커브를 만족하는 명도값으로 표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The monochrome correction unit 22 obtains a brightness value by referring to the lookup table L1 with respect to the input gradation value of the target pixel determined by the determination unit 11 as a monochrome pixel. As described above, the lookup table L1 is specified to satisfy the GSDF curve. As a result, it becomes possible to display a monochrome pixel with a brightness value satisfying the GSDF curve.

또한, 모노크롬 보정부(22)는 판정부(11)에 의해 컬러 화소로 판정된 대상 화소의 입력 계조값에 관해서, 룩업 테이블 L1을 참조하여 혼합 비율 W에 기초하여 혼합하기 위한 명도값을 결정한다. Further, the monochrome correction unit 22 determines a brightness value for mixing based on the blending ratio W with reference to the lookup table L1 with respect to the input gradation value of the target pixel determined by the determination unit 11 as a color pixel. .

(1.6. 컬러 보정부(23)) (1.6. Color correction unit (23))

컬러 보정부(23)는 판정부(11)에 의해 컬러 화소로 판정된 대상 화소의 입력 계조값에 관해서, 룩업 테이블 L1을 참조하고 혼합 비율 W에 근거하여 혼합하기 위한 명도값을 결정한다. The color correction unit 23 refers to the lookup table L1 with respect to the input gradation value of the target pixel determined by the determination unit 11 as a color pixel, and determines a brightness value for mixing based on the blending ratio W.

제어부(1)는 판정부(11)에 의해 모노크롬 화소로 판정된 화소를 모노크롬 보정부(22)가 결정한 명도값에 기초하여 표시부(4)에 표시시킨다. 한편, 제어부는 판정부(11)에 의해 컬러 화소로 판정된 화소를 모노크롬 보정부(22)가 결정한 명도값과 컬러 보정부(23)가 결정한 명도값에 기초하여 표시부(4)에 표시시킨다. The control unit 1 causes the pixels determined by the determination unit 11 to be monochrome pixels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4 based on the brightness value determined by the monochrome correction unit 22.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displays a pixel determined by the determination unit 11 as a color pixel on the display unit 4 based on the brightness value determined by the monochrome correction unit 22 and the brightness value determined by the color correction unit 23.

이하, 컬러 화소를 표시시킬 경우의 명도값에 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일례로서, 대상 화소의 입력 계조값이 (R, G, B)=(80, 90, 100), 컬러 계조 특성의 혼합 비율 W가 0.7로 했을 경우, 혼합 후의 명도값(MR, MG, MB)는 이하의 (식1)~(식3)로서 구한다. Hereinafter, the brightness value in the case of displaying color pixel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an example, when the input gradation value of the target pixel is (R, G, B) = (80, 90, 100) and the blending ratio W of the color gradation characteristics is 0.7, the brightness values after mixing (MR, MG, MB) Is calcula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1) to (Equation 3).

MR=L2(80)Х0.7+L1(80)Х0.3 (식1) MR=L2(80)Х0.7+L1(80)Х0.3 (Equation 1)

MG=L2(90)Х0.7+L1(90)Х0.3 (식2) MG=L2(90)Х0.7+L1(90)Х0.3 (Equation 2)

MB=L2(100)Х0.7+L1(100)Х0.3 (식3) MB=L2(100)Х0.7+L1(100)Х0.3 (Equation 3)

여기에서, 입력치를 80으로 했을 때의 룩업 테이블 L1의 명도값을 L1(80), 룩업 테이블 L2의 명도값을 L2(80)로 하고 있다. 다른 입력치 90, 100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Here, when the input value is 80, the brightness value of the lookup table L1 is set to L1(80), and the brightness value of the lookup table L2 is set to L2(80). The same is true for other input values 90 and 100.

(1.7. 보정 처리의 순서) (1.7. Procedure of correction processing)

도 6을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보정 처리의 순서를 설명한다. 이하의 처리는 예를 들면 CPU에 의해 구성되는 제어부(1)에 의해 실행된다. The procedure of the correction processing in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The following processing is executed by the control unit 1 constituted by a CPU, for example.

스텝 S10에서, 판정부(11)는 입력 화상 데이터의 대상 화소에 관해서 모노크롬 판정을 실시한다. 판정부(11)가 입력 화소를 모노크롬으로 판정했을 경우에는, 스텝 S45가 실행된다. 한편, 판정부(11)가 입력 화소를 컬러로 판정했을 경우에는, 스텝 S20이 실행된다. In step S10, the determination unit 11 performs a monochrome determination on the target pixel of the input image data. When the determination unit 11 determines the input pixel as monochrome, step S45 is execut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determination unit 11 determines the input pixel as a color, step S20 is executed.

스텝 S20에서, 채도값 취득부(12)는 판정부(11)에 의해 컬러로 판정된 대상 화소 또는 대상 소영역에 대한 채도값 c를 취득한다. In step S20, the saturation value acquisition unit 12 acquires the saturation value c for the target pixel or the target small region determined as color by the determination unit 11.

이어서, 스텝 S30에 있어서, 혼합부(21)는 취득된 채도값 c에 기초하여, 기억부(2)에 격납되어 있는 혼합 비율 테이블(K)을 참조하여 컬러 계조 특성의 혼합 비율 W를 결정한다. Next, in step S30, the blending unit 21 determines the blending ratio W of the color gradation characteristics by referring to the blending ratio table K stored in the storage unit 2 based on the acquired chroma value c. .

이어서, 스텝 S40에서, 모노크롬 보정부(22) 및 컬러 보정부(23)는 입력 화소의 입력 계조값에 기초하여 룩업 테이블 L1 및 L2를 참조하여 스텝 S30에서 결정된 혼합 비율 W에 기초하여 룩업 테이블 L1 및 L2의 값을 혼합하여 합성된 계조 보정 후의 명도값을 결정한다. Subsequently, in step S40, the monochrome correction unit 22 and the color correction unit 23 refer to the lookup tables L1 and L2 based on the input gradation value of the input pixel, and the lookup table L1 based on the blending ratio W determined in step S30. And L2 values are mixed to determine the brightness value after the synthesized gradation correction.

한편, 스텝 S45에서 모노크롬 보정부(22)는 판정부(11)에 의해 모노크롬으로 판정된 대상 화소에 관해서, 기억부(2)에 격납되어 있는 룩업 테이블 L1을 참조하여 대상 화소의 입력 계조값에 대응하는 명도값을 결정한다. On the other hand, in step S45, the monochrome correction unit 22 refers to the lookup table L1 stored in the storage unit 2 with respect to the target pixel determined to be monochrome by the determination unit 11 to determine the input gradation value of the target pixel. Determine the corresponding brightness value.

스텝 S50에서, 보정부(20)는 입력 화상 데이터의 전체 화소에 관해서, 상기 S10~S45의 처리가 완료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처리가 완료하지 않았을 경우, 스텝 S10이 다시 실행된다. 한편, 처리가 완료되어 있을 경우, 스텝 S60이 실행된다. In step S50, the correction unit 2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processing of S10 to S45 has been completed with respect to all pixels of the input image data. If the processing has not been completed, step S10 is executed again. On the other hand, when the processing is completed, step S60 is executed.

스텝 S60에서, 제어부(1)는 스텝 S40 및/또는 스텝 S45에서 결정된 명도값으로 입력 화상 데이터가 표시되도록 표시부(4)를 제어한다. In step S60, the control unit 1 controls the display unit 4 to display the input image data at the brightness value determined in step S40 and/or step S45.

이상과 같이 하여,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어부(1)는 채도값 취득부(12)와 보정부(20)를 구비한다. 채도값 취득부(12)는 입력 화상 데이터의 대상 화소 또는 대상 소영역의 채도값을 취득한다. 보정부(20)는 취득된 채도값에 기초하여 대상 화소를 보정하여 얻어지는 보정 후의 계조 특성이 컬러 화소용의 컬러 계조 특성과 모노크롬 화소용의 모노크롬 계조 특성을 소정의 혼합 비율로 혼합하여 합성된 계조 특성과 일치하도록 대상 화소를 보정한다. As described above, in this embodiment, the control unit 1 includes the saturation value acquisition unit 12 and the correction unit 20. The saturation value acquisition unit 12 acquires a saturation value of a target pixel or a target small region of the input image data. The correcting unit 20 is a gradation synthesized by mixing the color gradation characteristics for color pixels and the monochrome gradation characteristics for monochrome pixels at a predetermined mixing ratio in the corrected gradation characteristics obtained by correcting the target pixel based on the acquired saturation value. Correct the target pixel to match the characteristics.

여기에서, 채도값을 c로 하고, 컬러 계조 특성의 혼합 비율을 W로 하면, c를 변수로 했을 때의 혼합 비율 W의 대응 관계 W=f(c)는 비례 관계 g(c)에 대해 f(c)>αg(c)이 만족되는 채도값 c 및 승수 α가 존재하며, α≥1이라는 조건이 만족된다. Here, if the saturation value is c and the blending ratio of the color gradation characteristics is W, the correspondence relationship W=f(c) of the blending ratio W when c is a variable is f with respect to the proportional relationship g(c) (c)> A saturation value c and a multiplier α for satisfying αg(c) exist, and the condition α≥1 is satisfied.

상기 구성으로 함으로써, 비례 관계 g(c)로 정할 경우와 비교하여 제1역치 P 이상의 영역에서 컬러 계조 특성의 혼합 비율 W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제1역치 P 이상의 영역에서 혼합된 계조 특성을 γ2.2커브에 기초하는 계조 특성에 근접시킬 수 있다. By setting it as the above structure, it becomes possible to improve the blending ratio W of the color gradation characteristics in a region equal to or higher than the first threshold P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proportional relationship g(c) is determined. As a result, the gradation characteristic mixed in the region of the first threshold P or higher can be brought close to the gradation characteristic based on the γ2.2 curve.

(1.8. 변형예) (1.8. Modification)

도 7A에 변형예1로서의 채도값 c와 혼합 비율 W의 대응 관계 f(c)를 나타낸다. 이 예에서는, 채도값 c에 대한 혼합 비율 W의 대응 관계 W=f(c)는 1개의 시그모이드 함수로 나타내어진다. 구체적으로는, 대응 관계 f(c)는 이하의 식으로 나타내어진다. Fig. 7A shows the correspondence relationship f(c) between the saturation value c and the blending ratio W as the first modification. In this example, the correspondence relationship W=f(c) of the blending ratio W to the saturation value c is represented by one sigmoid function. Specifically, the correspondence relationship f(c) is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1

여기에서, 계수 a 및 b에 대해서는, 도 7A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a=18, b=128로 하고 있지만, 이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렇게 함으로써, 1개의 함수를 이용하여 상술한 조건을 만족하도록 채도값과 혼합 비율의 관계를 규정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대응 관계 f(c)를 규정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Here, for the coefficients a and b, in the example shown in Fig. 7A, a = 18 and b = 128, but are not limited to this example. By doing so, it becomes possible to def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aturation value and the blending ratio so as to satisfy the above-described condition using one function, and it becomes easy to define the correspondence relationship f(c).

도 7B에 변형예2로서의 채도값 c와 혼합 비율 W의 대응 관계 f(c)를 나타낸다. 이 예에서는, 채도값 c에 대한 혼합 비율 W의 대응 관계 W=f(c)에서 f1(c)는 1차 함수이며, f2(c)는 상수로 되어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보다 간단한 연산으로 채도값 c에 대한 혼합 비율 W를 취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Fig. 7B shows a correspondence relationship f(c) between the saturation value c and the blending ratio W as the second modification. In this example, f1(c) is a linear function and f2(c) is a constant in the correspondence relationship W=f(c) of the blending ratio W to the saturation value c. By doing so, it becomes possible to obtain the blending ratio W with respect to the saturation value c with a simpler operation.

도 7C에 변형예3으로서의 채도값 c와 혼합 비율 W의 대응 관계 f(c)를 나타낸다. 이 예에서는, 채도값 c가 역치 P에 도달할 때까지는 대응 관계 f(c)<비례 관계 g(c)로 되어 있다. 이렇게 해도 상기 실시 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Fig. 7C shows the correspondence relationship f(c) between the saturation value c and the blending ratio W as the third modification. In this example, until the saturation value c reaches the threshold value P, the correspondence relationship f(c) <the proportional relationship g(c). Even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same effects as in the above embodiment.

여기에서, 도 7C에 있어서, 역치 P에 도달할 때까지 채도값 c와 혼합 비율 W의 관계는 단조증가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역치 P 이하로, 혼합 비율 W는 0이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7C에 일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0과 P의 사이의 임의의 역치를 S로 하고, 0≤c≤S까지는 W=0이며, c≥S에서는, W는 f(P)를 향해 단조증가하도록 해도 된다. Here, in Fig. 7C,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aturation value c and the blending ratio W until reaching the threshold P is not limited to monotonic increase. For example, it may be equal to or less than the threshold P, and the mixing ratio W may be zero. Specifically, as shown by the dashed-dotted line in Fig. 7C, an arbitrary threshold value between 0 and P is S, until 0≤c≤S, W=0, and in c≥S, W is f(P) You may make it monotonically increase toward.

이하, 상기 실시 형태에서, 채도값 c가 낮을 경우에 모노크롬 계조 특성의 혼합 비율을 높이는 이유에 대해 설명한다. 모노크롬 화소와 컬러 화소가 혼재하는 낮은 채도 화상에 있어서, 모노크롬 화소용의 모노크롬 계조 특성과, 컬러 화소용의 컬러 계조 특성의 명도값의 차가 클 경우, 해당 명도값의 차가 노이즈로서 사용자에게 지각(知覺)될 경우가 있다. 그래서, 노이즈가 지각되지 않도록, 낮은 채도 화상 컬러 화소에 대해, 모노크롬 계조 특성의 혼합 비율을 높인 계조 특성 보정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Hereinafter, the reason for increasing the mixing ratio of the monochrome gradation characteristic when the saturation value c is low in the abov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a low-saturation image in which monochrome pixels and color pixels are mixed,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brightness values of the monochrome gradation characteristics for monochrome pixels and the color gradation characteristics for color pixels is large, the difference in the brightness values is perceived by the user as noise. ) In some cas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erform gradation characteristic correction in which the mixing ratio of the monochrome gradation characteristic is increased with respect to the low-saturation image color pixels so that noise is not perceived.

마찬가지로, 모노크롬 화소와 컬러 화소가 혼재하는 높은 채도 화상에 있어서, 모노크롬 계조 특성과 컬러 계조 특성의 명도값의 차가 클 경우, 해당 명도값의 차가 노이즈로서 지각되는 우려가 있다. 그러나, 높은 채도 화상에서는 노이즈가 지각되는 것은 드물다. 그 이유는, 컬러(RGB 각 색)의 명도는 모노크롬의 명도에 비해 낮기 때문에 높은 채도에 있어서의 명도의 차를 사용자가 지각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Similarly, in a high-saturation image in which a monochrome pixel and a color pixel are mixed,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brightness value of the monochrome grayscale characteristic and the color grayscale characteristic is large, there is a concern that the difference in the brightness value is perceived as noise. However, noise is rarely perceived in a high-saturation image. The reason is that the brightness of the color (each RGB color) is lower than that of the monochrome, so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perceive the difference in brightness in high saturation.

또한, 다른 이유로서, 낮은 채도 화상에 있어서는 색차에 의한 차이를 지각하기 쉽지만, 높은 채도 화상에 있어서는 색차에 의한 차이를 지각하기 어려운 것도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높은 채도 화상에 있어서는, 컬러 계조 특성의 혼합 비율을 높여도 노이즈의 출현은 사용자에게 신경쓰이지 않을 정도로 된다. 그리고, 높은 채도에 있어서는, 컬러 계조 특성의 혼합 비율을 높임으로써, 화상 품질을 저하시키지 않고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컬러 화상이 어둡게 느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Another reason is that it is easy to perceive a difference due to color difference in a low-saturation image, but it is difficult to perceive a difference due to color difference in a high-saturation image. In this way, in a high-saturation image, even if the blending ratio of color gradation characteristics is increased, the appearance of noise becomes such that the user does not care. And, in high saturation, by increasing the mixing ratio of the color gradation characteristics, it becomes possible to prevent the color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from feeling dark without lowering the image quality.

<2. 제2의 실시 형태> <2. 2nd embodiment>

제2의 실시 형태에서는, 입력 계조값에 대한 GSDF커브에 의해 규정되는 명도값과, γ2.2커브에 의해 규정되는 명도값의 차분을 고려하여 채도값 c와 혼합 비율 W의 대응 관계 F(c)를 규정하는 점에서 제1의 실시 형태와 다르다. 한편, 제1의 실시 형태와 같은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In the second embodiment, in consideration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brightness value defined by the GSDF curve with respect to the input gray level value and the brightness value defined by the γ2.2 curve, the correspondence relationship F(c) between the saturation value c and the blending ratio W is considered. ) Is different from the first embodiment. On the other h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nfiguration as in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description is not repeated.

도 8A에는, GSDF커브와 γ2.2커브가 나타내어져 있다. 여기에서, 입력 계조값이 Z의 때에 있어서의 γ2.2커브 상의 명도값을 B1, GSDF커브 상의 명도값을 B2로 한다. 도 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력 계조값에 따라 명도값 B1과 명도값 B2의 차분은 변화하고 있다. In Fig. 8A, a GSDF curve and a γ2.2 curve are shown. Here, when the input grayscale value is Z, the brightness value on the γ2.2 curve is B1, and the brightness value on the GSDF curve is B2. As shown in Fig. 8A, the difference between the brightness value B1 and the brightness value B2 varies according to the input gray scale value.

도 8B에는, 도 8A에 기초하여 명도값 B1과 명도값 B2의 차분 비율 C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서, 차분 비율 C는 이하의 (식4)에 의해 산출된다. In Fig. 8B, the difference ratio C between the brightness value B1 and the brightness value B2 is shown based on Fig. 8A. Here, the difference ratio C is calcula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4).

C=|(B1-B2)/B2|(||은 절대값)(식4) C=|(B1-B2)/B2|(|| is an absolute value) (Equation 4)

여기에서, 입력 계조값에 대한 명도값 B1과 명도값 B2의 차분이 크다고 하는 것은 GSDF커브에 의한 모노크롬 계조 특성 보정과, γ2.2커브에 의한 컬러 계조 특성 보정의 보정 후의 명도값의 차가 큰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경우, 컬러 계조 특성의 혼합 비율 W를 급격하게 높이면, 노이즈가 발생하여 화상 품질이 저하되는 것으로 된다. Here, the difference between the brightness value B1 and the brightness value B2 with respect to the input grayscale value is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monochrome grayscale characteristic correction by the GSDF curve and the color grayscale characteristic correction by the γ2.2 curve is large. it means. In this case, if the mixing ratio W of the color gradation characteristics is rapidly increased, noise is generated and image quality is degraded.

그래서, 도 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명도값 B1과 명도값 B2의 차분 비율의 크기에 따른 영역I~영역IV를 규정한다. 그리고, 영역I~영역IV에 대응하는 입력 계조값을 영역(1)~(4)로서 규정한다. Thus, as shown in Fig. 9A, regions I to IV are defined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difference ratio between the brightness value B1 and the brightness value B2. In addition, input grayscale values corresponding to areas I to IV are defined as areas (1) to (4).

또한,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채도값 c와 혼합 비율 W의 대응 관계를 F1(c)~F4(c)과 같이 복수 준비한다. 여기에서, 도 8B 및 도 9에 있어서, 명도값 B1과 명도값 B2의 차분이 가장 작은 영역(영역(1)에 상당)에 속하는 입력 계조값에 대해서는 대응 관계 F1(c)을 적용한다. 그리고, 명도값 B1과 명도값 B2의 차분이 다음으로 작은 영역(영역(2)에 상당)에 있어서의 입력 계조값에 대해서는, 대응 관계 F2(c)를 적용한다. 이렇게 하여, 입력 계조값에 기초하여 혼합 비율의 결정에 이용되는 대응 관계 F1(c)~F4(c)가 결정된다. Further, as shown in Fig. 9B, a plurality of correspondences between the saturation value c and the blending ratio W are prepared as shown in F1(c) to F4(c). Here, in Figs. 8B and 9, the correspondence relationship F1(c) is applied to the input gray scale value belonging to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region 1) in which the difference between the brightness value B1 and the brightness value B2 is the smallest. Then, the correspondence relationship F2(c) is applied to the input gradation value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region 2) in which the difference between the brightness value B1 and the brightness value B2 is the next smallest. In this way, the correspondence relations F1(c) to F4(c) used for determining the blending ratio are determined based on the input gradation value.

여기에서, 대응 관계 F1(c)~F4(c)를 결정할 때의 입력 계조값으로서는, 대상 화소가 갖는 입력 계조값(R, G, B)의 3개의 산술 평균을 이용해도 되고, 또는 3개 중의 특정한 1개를 대표값으로서 이용해도 된다. Here, as the input gradation value when determining the correspondence relationship F1(c) to F4(c), three arithmetic averages of the input gradation values (R, G, B) of the target pixel may be used, or three One specific one of them may be used as a representative value.

관계 F1(c)~F4(c)는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수학식1]에 있어서의 계수b를 변화시킴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일례로서, F1(c)는 a=18, b=55, F2(c)는 a18, b=70, F3(c)는 a=18, b=96, F4(c)는 a=18, b=128로 하는 상기 [수학식 1]에 기재된 시그모이드 함수를 포함하고 있다. The relations F1(c) to F4(c) can be specifically realized by changing the coefficient b in the above-described [Equation 1]. As an example, F1(c) is a=18, b=55, F2(c) is a18, b=70, F3(c) is a=18, b=96, F4(c) is a=18, b It contains the sigmoid function described in [Equation 1] with =128.

그리고, 관계 F1(c)~F4(c)에 각각 대응하는 제1역치 P1~P4는 P1이 가장 작고, P2, P3은 좀 더 크고, P4가 가장 크다. 바꿔 말하면, 명도값 B1과 명도값 B2의 차분 비율C가 커질 수록 제1역치가 보다 커지도록 설정된다. 이렇게 하여 설정된 대응 관계 F1(c)~F4(c)가 각각 규정된 혼합 비율 테이블 K1~K4가 기억부(2)에 격납된다. And, the first threshold values P1 to P4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the relations F1(c) to F4(c), P1 is the smallest, P2 and P3 are slightly larger, and P4 is the largest. In other words, as the difference ratio C between the brightness value B1 and the brightness value B2 increases, the first threshold value is set to increase. Mixing ratio tables K1 to K4 in which correspondence relations F1(c) to F4(c) set in this way are respectively defined are stored in the storage unit 2.

혼합부(21)는 대상 화소의 입력 계조값에 대응하는 혼합 비율 테이블(K)을 참조하여 혼합 비율 W를 결정한다. 그리고, 상기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컬러 보정부(23)는 결정된 혼합 비율 W에 기초하여 룩업 테이블 L1 및 L2를 참조하여 입력 계조값에 대해 계조 특성 보정을 실시한다. The blending unit 21 determines the blending ratio W by referring to the blending ratio table K corresponding to the input gray scale value of the target pixel. And, similarly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color correction unit 23 performs grayscale characteristic correction on the input grayscale value by referring to the lookup tables L1 and L2 based on the determined blending ratio W.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GSDF커브에 의해 정해지는 명도값과, γ2.2커브에 의해 정해지는 명도값의 차분의 절대치가 큰 입력 계조값에서는, 채도가 낮을 경우에 컬러 계조 특성의 혼합 비율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해당 차분이 작은 입력 계조값에서는, 채도가 낮을 경우에도 혼합 비율을 높일 수 있다. 그 결과, 입력 계조값에 따라 적절한 혼합 비율을 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With this configuration, in the input grayscale value where the absolute value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brightness value determined by the GSDF curve and the brightness value determined by the γ2.2 curve is large, the mixing ratio of the color grayscale characteristics can be suppressed when the saturation is low. I can. In addition, in an input grayscale value having a small difference, the mixing ratio can be increased even when the saturation is low. As a result, it becomes possible to determine an appropriate blending ratio according to the input gradation value.

도 10을 참조하여 제2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보정 처리의 순서를 설명한다. 한편, 제2의 실시 형태와 같은 처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고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The procedure of the correction processing in the secon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0. On the other h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processing as in the second embodiment, and the description is not repeated.

스텝 S20 이후의 스텝 S25에서, 보정부(20)는 대상 화소의 입력 계조값에 기초하여 해당 대상 화소에 대해 적용해야 할 관계 F(c)를 결정한다. 이어서, 스텝 S30이 실행되어 해당 대상 화소에 관한 혼합 비율 W가 결정된다. In step S25 after step S20, the correction unit 20 determines the relationship F(c) to be applied to the target pixel based on the input gray scale value of the target pixel. Then, step S30 is executed to determine the blending ratio W for the target pixel.

<3. 기타의 실시 형태> <3. Other embodiments>

본 발명의 적용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컬러 계조 특성을 규정하는 3D룩업 테이블을 참조한 후에, 컬러용 및 모노크롬용으로 공통의 1D룩업 테이블을 참조하는 소위 3D-1D룩업 테이블도 적용할 수 있다. The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For example, after referring to a 3D lookup table defining color gradation characteristics, a so-called 3D-1D lookup table referring to a common 1D lookup table for color and monochrome can also be applied.

또한, GSDF커브를 만족하는 명도값, γ2.2커브를 만족하는 명도값 및 채도값 c에 기초하는 혼합 비율 W를 축으로서, 혼합 결과로서의 명도값이 규정된 3D룩업 테이블을 규정하는 방법을 이용해도 된다. In addition, the brightness value satisfying the GSDF curve, the brightness value satisfying the γ2.2 curve, and the blending ratio W based on the saturation value c are the axes, using a method of defining a 3D lookup table in which the brightness value as the mixing result is defined. Also works.

또한, 입력 계조값에 있어서의 R, G, B를 축으로서, 채도값 c에 기초하여 컬러 계조 특성과 모노크롬 계조 특성이 혼합 비율 W로 혼합되어 합성된 계조 특성으로 되는 명도값이 규정된 3D룩업 테이블을 규정하는 방법을 이용해도 된다. In addition, a 3D lookup in which a brightness value is defined as the gradation characteristic synthesized by mixing the color gradation characteristics and the monochrome gradation characteristics at the blending ratio W based on the saturation value c, with R, G, and B as the axis of the input gradation value. You can also use the method of defining the table.

또한,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는 대신에 연산식을 이용하여 입력 계조값을 채도값 c에 기초하여 컬러 계조 특성과 모노크롬 계조 특성이 혼합 비율 W로 혼합되어 합성된 계조 특성으로 되는 명도값을 출력해도 된다. In addition, instead of using a lookup table, an input gradation value may be outputted as a synthesized gradation characteristic by mixing the color gradation characteristic and the monochrome gradation characteristic based on the saturation value c by using an arithmetic expression.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화소마다 모노크롬용의 룩업 테이블 L1의 값(명도값)과, 컬러용의 룩업 테이블 L2의 값(명도값)을 혼합 비율 W에 기초하여 혼합했지만, 입력 화소의 입력 계조값에 혼합 비율 W에 기초한 보정 계수를 연산함으로써(또는 룩업 테이블로 동일한 처리를 함으로써), 채도값 c에 기초하여 컬러 계조 특성과 모노크롬 계조 특성이 혼합 비율 W로 혼합되어 합성된 계조 특성에 의한 명도값을 결정하도록 해도 된다. Further, in the above embodiment, the value (brightness value) of the monochrome lookup table L1 and the value (brightness value) of the color lookup table L2 are mixed for each pixel based on the blending ratio W, but the input gradation of the input pixel By calculating a correction coefficient based on the blending ratio W to the value (or by performing the same processing with a lookup table), the color tone characteristic and the monochrome tone characteristic are mixed with the blending ratio W based on the saturation value c, and the brightness by the synthesized tone characteristic You may decide the value.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컬러 화소의 계조 특성 보정에 관해서 γ2.2커브를 만족하는 명도값으로 되는 계조 특성 보정을 실시하는 예를 제시했지만, γ2.2커브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감마 값은 1.8~2.6의 값을 이용해도 되고, 또한 Rec. 709, PQ방식(Perceptual Quantization) 또는 HLG방식(Hybrid Log Gamma) 등을 만족하는 명도값으로 되는 계조 특성을 이용해도 된다. In addition, in the above embodiment, an example of performing gradation characteristic correction to a brightness value that satisfies γ2.2 curve with respect to gradation characteristic correction of color pixels, is not limited to γ2.2 curve, for example, gamma value May use a value of 1.8 to 2.6, and Rec. 709, PQ method (Perceptual Quantization), HLG method (Hybrid Log Gamma), etc. may be used as a brightness value that satisfies the grayscale characteristic.

또한, 본 발명은 컴퓨터를, 채도값 취득부와 보정부를 구비하는 화상 처리 장치로서 기능시키는 화상 처리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채도값 취득부에 의해, 대상 화소의 채도값 또는 해당 대상 화소와 그 주변의 주변 화소를 포함하는 대상 소영역의 채도값을 취득하는 취득 스텝과, 상기 보정부에 의해, 상기 대상 화소를 보정하여 얻어지는 보정 후의 계조 특성이, 취득된 상기 채도값에 기초하여 컬러 계조 특성과 모노크롬 계조 특성을 소정의 혼합 비율로 혼합하여 합성된 계조 특성과 일치하도록, 상기 대상 화소를 보정하는 스텝을 구비하고, 상기 채도값을 c로 하고 상기 컬러 계조 특성의 혼합 비율을 W로 하면, c를 변수로 했을 때의 W의 값은 관계 W=f(c)로 나타내어지며, 상술한 조건을 만족하는, 화상 처리 프로그램으로서 실현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mage processing program for causing a computer to function as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a saturation value acquisition unit and a correction unit, wherein the saturation value acquisition unit provides the saturation value of the target pixel or the target pixel and its surroundings. An acquisition step of acquiring a saturation value of a target small region including a pixel, and a corrected gradation characteristic obtained by correcting the target pixel by the correction unit, based on the acquired saturation value, a color gradation characteristic and a monochrome gradation A step of correcting the target pixel so as to match the synthesized gradation characteristics by mixing characteristics at a predetermined mixing ratio, and if the saturation value is c and the mixing ratio of the color gradation characteristics is W, c is a variable The value of W is represented by the relationship W=f(c), and can also be realized as an image processing program that satisfies the above conditions.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프로그램을 격납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비일시적인 기록 매체로서 실현할 수도 있다.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implemented as a computer-readable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storing the above-described program.

본 발명에 따른 여러가지 실시 형태를 설명했지만, 이들은 예로서 제시한 것이며,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의도하지 않는다. 해당 새로운 실시 형태는 기타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 생략, 치환, 변경을 실시할 수 있다. 해당 실시 형태나 그 변형은 발명의 범위나 요지에 포함되는 동시에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한 범위에 포함되는 것이다. Although various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these have been presented as example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This new embodiment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other forms, and various omissions, substitu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invention. The embodiment and its modifications are included in the scope and summary of the invention, and are included in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and its equivalent range.

1: 표시 제어부
2: 기억부
3: 조작부
4: 표시부
5: 백라이트
6: 통신부
7: 버스
11: 판정부
12: 채도값 취득부
13: 혼합부
20: 보정부
21: 혼합부
22: 모노크롬 보정부
23: 컬러 보정부
100: 화상 처리 장치
K: 혼합 비율 테이블
L: 룩업 테이블
1: display control unit
2: memory
3: control panel
4: display
5: backlight
6: Communication Department
7: bus
11: Judgment
12: saturation value acquisition unit
13: mixing section
20: correction unit
21: mixing section
22: monochrome correction unit
23: color correction unit
100: image processing device
K: mix ratio table
L: lookup table

Claims (9)

채도값 취득부와 보정부를 구비하는 화상 처리 장치로서,
상기 채도값 취득부는 대상 화소의 채도값 또는 해당 대상 화소와 그 주변의 주변 화소를 포함하는 대상 소영역의 채도값을 취득하고,
상기 보정부는 상기 대상 화소를 보정하여 얻어지는 보정 후의 계조 특성이, 상기 채도값에 기초하여 컬러 계조 특성과 모노크롬 계조 특성을 소정의 혼합 비율로 혼합하여 합성된 계조 특성과 일치하도록, 상기 대상 화소를 보정하고,
상기 채도값을 c로 하고, 상기 컬러 계조 특성의 혼합 비율을 W로 하면, c를 변수로 했을 때의 W의 값은 관계 W=f(c)로 나타내어지고, 이하의 조건을 만족하는 화상 처리 장치.
조건: 상기 채도값c에 대해 상기 혼합 비율 W가 비례하여 증가하는 관계를 W=g(c)로 하면, 상기 채도값이 역치 이상의 경우에,
f(c)>αg(c)
가 만족되는 채도값 c 및 승수 α가 존재하고, α≥1이다.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comprising a saturation value acquisition unit and a correction unit,
The saturation value acquisition unit acquires a saturation value of a target pixel or a saturation value of a target small region including the target pixel and surrounding pixels,
The correction unit corrects the target pixel so that the corrected gradation characteristic obtained by correcting the target pixel matches the gradation characteristic synthesized by mixing the color gradation characteristic and the monochrome gradation characteristic at a predetermined mixing ratio based on the saturation value. and,
If the saturation value is c and the blending ratio of the color gradation characteristics is W, the value of W when c is a variable is expressed by the relationship W=f(c), and image processing satisfying the following conditions Device.
Condition: If the relationship in which the blending ratio W increases proportionally with respect to the saturation value c is W=g(c), when the saturation valu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threshold value,
f(c)>αg(c)
There is a saturation value c and a multiplier α for satisfying α, and α≥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부는 취득된 상기 채도값에 기초하여 컬러 화소용의 컬러 계조 특성과 모노크롬 화소용의 모노크롬 계조 특성의 혼합 비율을 결정하는 혼합부를 포함하는, 화상 처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wherein the correction unit includes a mixing unit that determines a mixing ratio of a color gradation characteristic for a color pixel and a monochrome gradation characteristic for a monochrome pixel based on the acquired saturation valu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계 f(c)는
상기 역치 이하에 있어서의 관계 W1=f1(c)과,
상기 역치 이상에 있어서의 관계 W2=f2(c)를 포함하고,
역치 이하의 임의의 채도값을 c1, 역치 이상의 임의의 채도값을 c2로 하면,
f1(c1)≤f2(c2)가 만족되는, 화상 처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relationship f(c) is
Relationship W1=f1(c) below the above threshold,
Including the relationship W2 = f2 (c) above the threshold,
If an arbitrary saturation value below the threshold is c1, and an arbitrary saturation value above the threshold is c2,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in which f1(c1)≦f2(c2) is satisfie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역치 이하에 있어서의 관계 f1(c)는 비례 함수인, 화상 처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wherein the relationship f1(c) below the threshold is a proportional function.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역치를 제1역치로 했을 때의 제2역치가 존재하고,
상기 제2역치는 상기 제1역치 이상이며,
상기 채도값이 제2역치 이상의 경우에, 상기 관계 f2(c)의 기울기가 제로를 향해 감소하는, 화상 처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4,
There is a second threshold when the above threshold is the first threshold,
The second threshold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first threshold,
When the saturation valu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second threshold, the slope of the relationship f2(c) decreases toward zero.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계 f(c)는 시그모이드 함수의 적어도 일부인, 화상 처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relationship f(c) is at least a part of a sigmoid function.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부는 또한 상기 대상 화소의 컬러 계조 특성에 있어서의 명도값과, 상기 대상 화소의 모노크롬 계조 특성에 있어서의 명도값의 차분이 클수록 상기 역치가 보다 크게 설정된 관계를 이용하여 상기 혼합 비율W를 결정하여 보정을 실시하는, 화상 처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The correction unit further determines the blending ratio W using a relationship in which the threshold value is set larger as the difference between the brightness value in the color gradation characteristic of the target pixel and the brightness value in the monochrome gradation characteristic of the target pixel is larger.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which performs correction by doing.
화상 처리 방법으로서,
대상 화소의 채도값 또는 해당 대상 화소와 그 주변의 주변 화소를 포함하는 대상 소영역의 채도값을 취득하는 취득 스텝과,
상기 대상 화소를 보정하여 얻어지는 보정 후의 계조 특성이, 상기 채도값에 기초하여 컬러 계조 특성과 모노크롬 계조 특성을 소정의 혼합 비율로 혼합하여 합성된 계조 특성과 일치하도록, 상기 대상 화소를 보정하는 보정 스텝을 포함하고,
상기 채도값을 c로 하고 상기 컬러 계조 특성의 혼합 비율을 W로 하면, c를 변수로 했을 때의 W의 값은 관계 W=f(c)에서 나타내어지며, 이하의 조건을 만족하는, 화상 처리 방법.
조건: 상기 채도값이 최소치로부터 최대치까지 증가함에 따라, 상기 혼합 비율이 최소치로부터 최대치까지 비례하여 증가하는 관계를 W=g(c)로 하면, 상기 채도값이 역치 이상의 경우에,
f(c)>αg(c)
가 만족되는 채도값 c 및 승수 α가 존재하고, α≥1이다.
As an image processing method,
An acquisition step of acquiring the saturation value of the target pixel or the saturation value of the target small region including the target pixel and surrounding pixels;
A correction step of correcting the target pixel such that the corrected gradation characteristic obtained by correcting the target pixel matches the gradation characteristic synthesized by mixing the color gradation characteristic and the monochrome gradation characteristic at a predetermined mixing ratio based on the saturation value Including,
If the saturation value is c and the blending ratio of the color gradation characteristics is W, the value of W when c is a variable is represented by the relationship W=f(c), and the following conditions are satisfied. Way.
Condition: As the saturation value increases from the minimum value to the maximum value, when the relationship in which the mixing ratio increases proportionally from the minimum value to the maximum value is W=g(c), when the saturation valu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threshold value,
f(c)>αg(c)
There is a saturation value c and a multiplier α for satisfying α, and α≥1.
컴퓨터를, 채도값 취득부와 보정부를 구비하는 화상 처리 장치로서 기능시키는 화상 처리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채도값 취득부에 의해, 대상 화소의 채도값 또는 해당 대상 화소와 그 주변의 주변 화소를 포함하는 대상 소영역의 채도값을 취득하는 취득 스텝과,
상기 보정부에 의해, 상기 대상 화소를 보정하여 얻어지는 보정 후의 계조 특성이, 상기 채도값에 기초하여 컬러 계조 특성과 모노크롬 계조 특성을 소정의 혼합 비율로 혼합하여 합성된 계조 특성과 일치하도록, 상기 대상 화소를 보정하는 스텝을 상기 컴퓨터에 실행시키고,
상기 채도값을 c로 하고 상기 컬러 계조 특성의 혼합 비율을 W로 하면, c를 변수로 했을 때의 W의 값은 관계 W=f(c)로 나타내어지며, 이하의 조건을 만족하는, 화상 처리 프로그램.
조건: 상기 채도값이 최소치로부터 최대치까지 증가함에 따라, 상기 혼합 비율이 최소치로부터 최대치까지 비례하여 증가하는 관계를 W=g(c)로 하면, 상기 채도값이 역치 이상의 경우에,
f(c)>αg(c)
가 만족되는 채도값 c 및 승수 α가 존재하고, α≥1이다.
An image processing program for causing a computer to function as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having a saturation value acquisition unit and a correction unit,
An acquisition step of acquiring, by the saturation value acquisition unit, a saturation value of a target pixel or a saturation value of a target small region including the target pixel and surrounding pixels;
The corrected gradation characteristic obtained by correcting the target pixel by the correction unit coincides with the gradation characteristic synthesized by mixing the color gradation characteristic and the monochrome gradation characteristic at a predetermined mixing ratio based on the saturation value. Let the computer execute the step of correcting the pixels,
When the saturation value is c and the blending ratio of the color gradation characteristics is W, the value of W when c is a variable is represented by the relationship W=f(c), and the following conditions are satisfied. program.
Condition: As the saturation value increases from the minimum value to the maximum value, when the relationship in which the mixing ratio increases proportionally from the minimum value to the maximum value is W=g(c), when the saturation valu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threshold value,
f(c)>αg(c)
There is a saturation value c and a multiplier α for satisfying α, and α≥1.
KR1020207037329A 2018-06-05 2018-06-05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program KR102453070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8/021553 WO2019234825A1 (en) 2018-06-05 2018-06-05 Image processing device and image processing progra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5904A true KR20210015904A (en) 2021-02-10
KR102453070B1 KR102453070B1 (en) 2022-10-07

Family

ID=68770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7329A KR102453070B1 (en) 2018-06-05 2018-06-05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program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276367B2 (en)
EP (1) EP3806083A4 (en)
JP (1) JP6992176B2 (en)
KR (1) KR102453070B1 (en)
CN (1) CN112236811B (en)
WO (1) WO2019234825A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80787A (en) 2015-03-23 2016-10-13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Image correction device, image correction method, and image correction program
KR20170049241A (en) * 2015-10-28 2017-05-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72346B2 (en) 2003-07-15 2008-10-29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program
JP2006330094A (en) * 2005-05-23 2006-12-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Color image display device, color image display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US8164594B2 (en) * 2006-05-23 2012-04-24 Panasonic Corporatio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program, storage medium and integrated circuit
JP2008006191A (en) * 2006-06-30 2008-01-17 Fujifilm Corp Image processing apparatus
WO2008087886A1 (en) * 2007-01-16 2008-07-24 Konica Minolta Medical & Graphic, Inc. Image displaying method, image display system, image display device and program
WO2008105268A1 (en) * 2007-02-28 2008-09-04 Nikon Corporation Image processing method
JP5183568B2 (en) * 2009-05-21 2013-04-17 キヤノン株式会社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US9214112B2 (en) * 2009-09-29 2015-12-15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JP5210348B2 (en) * 2010-04-23 2013-06-12 株式会社ナナオ Image display device, image region detectio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JP5509173B2 (en) 2011-10-19 2014-06-04 Eizo株式会社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JP5470415B2 (en) * 2012-03-30 2014-04-16 Eizo株式会社 Epsilon filter threshold determination method and low-pass filter coefficient determination method
JP5184707B1 (en) * 2012-03-30 2013-04-17 株式会社ナナオ Liquid crystal display
JP5837009B2 (en) * 2012-09-26 2015-12-24 キヤノン株式会社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4057586A1 (en) 2012-10-12 2014-04-17 Necディスプレイ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US20150262552A1 (en) * 2012-10-18 2015-09-17 Nec Display Solutions, Ltd.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 method
JP2016090723A (en) * 2014-10-31 2016-05-23 シャープ株式会社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pixel data processing method
JP2018084760A (en) * 2016-11-25 2018-05-31 パナソニック液晶ディスプレイ株式会社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80787A (en) 2015-03-23 2016-10-13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Image correction device, image correction method, and image correction program
KR20170049241A (en) * 2015-10-28 2017-05-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234825A1 (en) 2019-12-12
CN112236811B (en) 2023-05-09
KR102453070B1 (en) 2022-10-07
JPWO2019234825A1 (en) 2021-04-08
EP3806083A1 (en) 2021-04-14
US20210233490A1 (en) 2021-07-29
US11276367B2 (en) 2022-03-15
CN112236811A (en) 2021-01-15
EP3806083A4 (en) 2021-05-26
JP6992176B2 (en) 2022-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96889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CN107888943B (en) Image processing
US1112072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lor gamut mapping color gradient preservation
US9432551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configured to execute correction on scan image data
JP6122716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KR102499549B1 (en) Image processing system, image processing device and computer program
JP5235759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2006229925A (en) Dynamic image saturation enhancement apparatus
JP2010199659A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JP2014140160A (en) Image processor and image processing method
US10834293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storage medium, display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KR102453070B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program
JP6749504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image processing program
CN110264972B (en) Method for obtaining brightness compensation value, computer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US20180063380A1 (en) Image processing device
EP3301902A1 (en) Lightness independent non-linear relative chroma mapping
JP6701687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image processing program
JP6484244B2 (en) Image processing method for maintaining small color / gray difference
JP7005570B2 (en) Equipment, methods, and programs
JP5212481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KR102287622B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image processing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