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5821A - 페라이트 비드 및 다른 통과형 전기 필터 소자를 위한 하우징 - Google Patents

페라이트 비드 및 다른 통과형 전기 필터 소자를 위한 하우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5821A
KR20210015821A KR1020207034345A KR20207034345A KR20210015821A KR 20210015821 A KR20210015821 A KR 20210015821A KR 1020207034345 A KR1020207034345 A KR 1020207034345A KR 20207034345 A KR20207034345 A KR 20207034345A KR 20210015821 A KR20210015821 A KR 202100158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element
circuit board
mount
wir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4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72606B1 (ko
Inventor
안드레아스 야콥
올리비에 가르시아
지몬 바움가르트너
페테르 크롤
다니 야즈벡
Original Assignee
파워 인티그레이션즈,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워 인티그레이션즈, 인크. filed Critical 파워 인티그레이션즈, 인크.
Publication of KR202100158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58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26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26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4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 H01F17/06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with core substantially closed in itself, e.g. toroi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4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 H01F17/06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with core substantially closed in itself, e.g. toroid
    • H01F17/062Toroidal core with turns of coil around 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2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6Mounting, supporting or suspend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not being of the signal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9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 H01F27/292Surface mounted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01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by means of a mounting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4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 H01F17/06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with core substantially closed in itself, e.g. toroid
    • H01F2017/065Core mounted around conductor to absorb noise, e.g. EMI fil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6Mounting, supporting or suspend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not being of the signal type
    • H01F2027/065Mounting on printed circuit 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마운트(mount)는 필터 소자를 회로 기판에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마운트는 와이어 대 기판 전기 커넥터(wire-to-board electrical connector)를 수용하도록 치수가 부여된 리셉터클(receptacle)을 형성한다. 상기 마운트 내에 와이어 대 기판 전기 커넥터의 수용은 커넥터에 의해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하나 이상의 와이어들을 필터 소자 하우징 내에 수용된 필터 소자와 정렬시킨다.

Description

페라이트 비드 및 다른 통과형 전기 필터 소자를 위한 하우징
이 출원은 2018년 5월 31일자로 출원된 미국 임시출원 번호 62/678,842호의 이익을 주장하며, 그 내용은 그 전체가 여기에 참조로서 통합된다.
본 발명은 페라이트 비드(ferrite beads)를 위한 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하우징은 인쇄 회로 기판 또는 다른 회로 기판상에 장착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페라이트 비드(또한, 페라이트 블록, 코어, 링, EMI 필터, 또는 초크(choke)로 알려져 있음)는, 예를 들어, 수백 kHz 내지 10 MHz 이상의 노이즈 범위의, 고주파 노이즈와, 공통 모드 전류(common mode current)를 억제할 수 있는 수동 전기 소자(passive electric component)이다. 페라이트 비드는 노이즈를 저지하거나 필터링하기 위해 전류의 흐름과 연관된 자기장을 집중시킬 수 있으며 인덕턴스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페라이트 비드는 페라이트 자체 내부의 저항 손실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 결과는 비교적 넓은 주파수 범위에 걸친 임피던스이며, 이는 그 주파수 범위에 걸쳐 노이즈를 감소시키거나 제거한다.
본 발명은 페라이트 비드 또는 다른 필터 소자를 위한 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상기 하우징은 인쇄 회로 기판과 같은 전기 회로 기판에 직접적인 연결에 의해 또는 하나 이상의 중간 요소들에 의해 간접적으로 기계적으로 결합되도록 설계된다. 상기 하우징은 와이어 대 기판 커넥터(wire-to-board connector)와 함께 상기 기판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와이어 대 기판 커넥터는 인쇄 회로 기판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페라이트 비드 하우징은 상기 와이어 대 기판 커넥터에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페라이트 비드 하우징은 와이어 대 기판 커넥터의 부근에서 인쇄 회로 기판에 연결될 수 있다, 어쨌든, 상기 페라이트 비드와 기판 사이에 비교적 강건한 기계적 결합이 달성된다.
이러한 비교적 강건한 기계적 결합은 인쇄 회로 기판이 가동 부품의 부분이거나 또는 그 부품이 진동하거나 덜컥거리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기계적으로 흔들리는 경우의 많은 애플리케이션들에서 유익하다. 예를 들어, 인쇄 회로 기판은 이동 차량들(예컨대, 자동차, 트램)에, 가동 부품들(예컨대, 풍차, 발전기) 상의 또는 가까이의 발전 장치에, 산업적 애플리케이션들에, 뜨는 기타 등등에 장착 될 수 있다. 비교적 강건한 결합을 형성함으로써, 페라이트 비드, 기판, 및 와이어들 또는 다른 전기 도체들의 상대적인 위치가 더욱 일관성 있게 유지된다. 또한, 페라이트 비드와 기판의 움직임과 연관된 힘들은, 페라이트 비드와 예컨대, 페라이트 비드를 통과하는 임의의 전기 도체 사이의 결합보다는 페라이트 비드와 기판 사이의 결합에 의해 지탱된다.
예를 들어, 장치는 회로 기판, 필터 소자, 상기 필터 소자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회로 기판에 결합되는 필터 소자 하우징, 및 상기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필터 소자를 통과하는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필터 소자를 회로 기판에 장착하기 위한 시스템은, 필터 소자를 수용하도록 치수가 부여된 필터 소자 하우징, 및 상기 필터 소자 하우징을 상기 회로 기판에 결합하기 위해 상기 필터 소자 하우징과 상기 회로 기판 사이에 배치될 수 있는 마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마운트(mount)는 필터 소자를 회로 기판에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마운트는
상기 마운트는 와이어를 상기 회로 기판에 연결하기 위한 전기적 연결부(electrical connection)를 수용하도록 치수가 부여된 리셉터클(receptacle)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마운트 내에 상기 전기적 연결부의 수용은 커넥터에 의해 상기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하나 이상의 와이어들을 상기 필터 소자 하우징 내에 수용된 상기 필터 소자와 정렬시킨다.
하나 이상의 구현예들의 상세 내용이 첨부된 도면들과 아래의 설명에서 제시된다. 다른 특징들, 목적들, 및 이점들은 설명과 도면들로부터, 그리고 청구항들로부터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비제한적이고 비전면적인 실시예들이 아래의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되며,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달리 규정된 바가 없다면 다양한 도면들에 걸쳐서 동일한 부분들을 나타낸다.
도면들은 페라이트와 같은 필터 소자를 인쇄 회로 기판 또는 다른 회로 기판에 장착하기 위한 조립체와, 회로 기판상에 조립체들의 예시적인 장착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다양한 도면들에서 동일한 참조 부호들은 동일한 요소들을 가리킨다.
도 1은 페라이트 또는 다른 필터 소자를 홀딩하기 위한 조립체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의 조립체의 분해도이다.
도 2b는 와이어 또는 케이블을 포함하는, 도 1의 조립체의 분해도이다.
도 3a는 도 1의 필터 소자를 홀딩하기 위한 조립체의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3b는 확대된 정렬 메커니즘을 보여주는, 도 1의 하우징의 바닥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5는 하우징의 바닥과 베이스의 상부 및 이들 각개의 정렬 기구들을 보여주는, 도 1의 하우징과 베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6a는 필터 소자를 홀딩하는 조립체의 베이스와 와이어 대 기판 커넥터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의 분해도이다.
도 6b는 와이어 대 기판 커넥터를 둘러싸는 베이스를 가진 도 6a의 전기 커넥터 조립체의 평면도이다.
도 7a는 필터 소자를 홀딩하기 위한 조립체를 위한 다른 베이스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7b는 도 7a의 필터 소자를 홀딩하기 위한 조립체를 위한 다른 베이스의 하부 사시도이다.
도 8a는 회로 기판상에 장착된 필터 소자들을 홀딩하기 위한 조립체들의 사시도이다.
도 8b는 도 8a의 회로 기판상에 장착된 필터 소자들을 홀딩하기 위한 조립체들의 평면도이다.
도 8c는 도 8a의 회로 기판상에 장착된 필터 소자들을 홀딩하기 위한 조립체들 중 하나의 측면도이다.
도 8d는 도 8a의 회로 기판상에 장착된 필터 소자들을 홀딩하기 위한 조립체들 중 하나의 단면도이다.
다음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많은 구체적인 상세 사항들이 제시된다. 그러나,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구체적인 상세 사항들은 본 발명을 실행하기 위해 채용하지 않아도 된다는 것을 명확히 알 것이다. 다른 예로서, 잘 알려진 재료들 또는 방법들은 본 발명을 모호하게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았다.
이 명세서 전체에서, "일 실시예(one embodiment)", "실시예", "일 예", 또는 "예"를 언급하는 것은 그 실시예 또는 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특정한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이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 내에 포함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명세서 전체의 다양한 장소에서 "일 실시예에서", "실시예에서", "일 예" 또는 "예"라는 문구는 반드시 모두 동일한 실시예 또는 예를 언급하는 것은 아니다. 더욱이, 특정 특징들, 구조들 또는 특성들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 또는 예들 내에서 임의의 적합한 조합 및/또는 하위 조합들로 조합될 수 있다. 특정 특징들, 구조들 또는 특성들은 집적 회로, 전자 회로, 조합 논리 회로, 또는 서술된 기능들을 제공하는 다른 적합한 구성요소들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여기에서 도면들은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설명의 목적으로 제공되며, 도면들은 반드시 축척에 맞게 그려지지 않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페라이트 비드는 고주파 노이즈를 억제할 수 있는 수동 전기 소자이다. 페라이트 비드는 다양한 상이한 폼 팩터들(form factors)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페라이트 비드는 도체상에 고정되거나 회로 기판 소자들, 예컨대 트랜지스터, 커넥터 및 집적 회로의 핀들의 둘레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페라이트 비드는 와이어(및 그 절연재)를 클램핑하는 "스냅-온(snap-on)" 또는 "클램프-온(clamp-on)" 코어들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페라이트 비드는 커넥터를 통해 회로 기판에 결합되는 와이어 상으로 미끄러진다. 그러나, 회로 기판이 진동하거나, 덜컥거리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기계적으로 흔들림을 받는 가동 소자의 부분인 애플리케이션에서는, 그 움직임은 페라이트 비드를 이탈시킬 수 있다. 몇몇의 경우에, 페라이트 비드의 이탈은 진동 시험 실패를 초래하거나 와이어와 기판 사이의 연결부 또는 심지어 와이어 자체를 손상시킬 수 있다.
본 출원은, 예를 들어, 페라이트 비드 또는 다른 통과형(pass-through) 필터 소자(예컨대, 변환기)를 수용하고 수용된 통과형 필터 소자를 회로 기판에 결합시키는 것에 관련된다. 예를 들어, 하우징은 인쇄 회로 기판과 같은 전기 회로 기판에 직접적인 연결에 의해 또는 하나 이상의 중간 요소들에 의해 간접적으로 기계적으로 결합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하우징은 와이어 대 기판(wire-to-board) 커넥터의 부근 내에서 기판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과형 필터 소자 하우징은 와이어 대 기판 커넥터의 부근에서 인쇄 회로 기판에 연결될 수 있다. 어쨌든, 통과형 필터 소자와 기판 사이에 비교적 강건한 기계적 결합이 달성될 수 있다.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비교적 강건한 기계적 결합은 인쇄 회로 기판이 가동 소자의 부분이거나 소자가 진동하거나, 덜컥거리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기계적으로 흔들리는 많은 애플리케이션들에서 유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쇄 회로 기판은 IGBT 게이트 드라이버(gate driver)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IGBT 게이트 드라이버들은, 이동 차량에서, 전력 생산, 수송 또는 소비 장치에서, 건설 장비에서, 기타 등등에서 (예컨대, 병렬로 또는 직렬로) 함께 결합될 수 있다. 하나의 인쇄 회로 기판으로부터 다른 인쇄 회로 기판으로 연장된 와이어들은 이러한 전기적 결합들을 구현할 수 있다.
IGBT 게이트 드라이버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이러한 와이어들 및 다른 와이어들은 필터 소자 하우징으로부터 이익을 얻을 수 있다. IGBT 게이트 드라이버들은 노이즈의 문제점과 공통 모드 전류에 꽤 취약하다. 페라이트 비드 및 다른 필터 소자들은 공통 모드 노이즈를 감소시키고 신호 내성(signal immunity)을 증가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필터 소자가 IGBT 게이트 드라이버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와이어 상에서 간단하게 미끄러질 경우에는, 그 와이어는 기계적으로 흔들릴 때 과도하게 높은 힘을 받을 수 있다.
도면들은 페라이트 비드 또는 다른 필터 소자를 인쇄 회로 기판 또는 다른 회로 기판에 장착하기 위한 조립체(100)와, 회로 기판상에 하나 이상의 조립체들(100)의 예시적인 장착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각각의 조립체(100)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105)와, 페라이트 비드 또는 다른 필터 소자를 위한 하우징(110)을 포함한다. 전기 커넥터 조립체(105)는 도 8a, 8b, 8c 및 8d에 도시된 회로 기판(230)에 와이어를 고정시키는 와이어 대 기판 연결부(wire-to-board connection)를 형성한다. 하우징(110)은 페라이트 비드 또는 다른 필터 소자(115)를 수용하도록 크기가 부여된 조립체이다. 하우징(110)은 개구(120)를 형성하며, 하나 이상의 와이어들이 전기 커넥터 조립체(105)에 도달하기 위해 이 개구(120)를 통과한다. 전기 커넥터 조립체(105)와 하우징(110)은, 회로 기판(230)과 조립체(100)가 움직이더라도 일관된 기계적 및 전기적 성질들을 제공하는 비교적 강건한 결합을 형성하도록, 회로 기판(230)에 결합될 수 있다.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 하우징(110)은 "페라이트 비드 하우징(110)"으로 지칭될 것이고, 필터 소자(115)는 "페라이트 비드(115)"로 지칭될 것이다. 그러나, 하우징(110)은 몇몇의 경우에 페라이트 비드 이외의 필터 소자를 수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전기 커넥터 조립체(105)와 하우징(110)을 포함하는 조립체(100)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조립체(100)에서, 상기 하우징(1100은 전기 커넥터 조립체(105)상에 장착된다. 도시된 구현예들에서, 전기 커넥터 조립체(105)는 와이어 대 기판 커넥터(135)와 마운트(mount)(125)를 포함한다. 와이어 대 기판 커넥터(135)는 도 1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더라도, 도 6a, 6b, 8a, 8b, 8c 및 8d에 도시된다. 와이어 대 기판 커넥터(135)는 회로 기판의 도체(들)과 기판에서 떨어져서 연장된 와이어(들) 사이에 하나 이상의 전기 커넥터들을 형성하기에 적합한 다수의 상이한 커넥터들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와이어 대 기판 커넥터(135)는 전기적 연결(들)을 형성하기 위해 다양한 상이한 기술들, 예를 들어, 핀과 소켓, 블레이드/콘택트, 납땜, 또는 그밖에 유사한 것들 중 임의의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와이어 대 기판 커넥터(135)의 전기 단자들은 기판-관통(thru-board) 또는 표면-실장(surface-mount) 배치로 회로 기판의 도체(들)에 연결될 수 있다.
마운트(125)는 와이어 대 기판 커넥터(135)의 부근에서 회로 기판과 페라이트 비드 하우징(110) 사이에 비교적 강건한 기계적 결합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기계적 부재이다. 마운트(125)는 일반적으로 기계적으로 안정된, 비-전도성 재료로 만들어진다. 마운트(125)는 와이어 대 기판 커넥터(135)의 부근에서 회로 기판과 페라이트 비드 하우징(110) 사이의 중간 부재로서 작용한다. 일반적으로, 마운트(125)는 와이어 대 기판 커넥터(135)를 둘러싸며, 와이어 대 기판 커넥터(135) 둘레에 방사상으로 분포된 다수의 위치들에서 회로 기판에 연결된다.
도시된 구현예에서, 마운트(125)는 리셉터클(receptacle)(140), 다수의 기판-관통 돌기들(145, 150), 및 다수의 장착 플랜지들(155, 160)을 포함한다. 리셉터클(140)은 도 1에는 명시적으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도 4, 5, 6a, 6b, 7a 및 7cdp 도시되어 있다. 유사하게, 장착 플랜지들(155, 160)은 도 1에는 명시적으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도 2, 5, 6a 및 6b에 도시되어 있다. 리셉터클(140)은 와이어 대 기판 커넥터(135)의 적어도 부분을 수용하도록 크기가 부여된 체적 또는 공간을 형성한다. 뒤에서 도시되고 논의되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140)은 일반적으로 마운트(125)의 중심에 있다. 돌기들(145, 150)과 장착 플랜지들(155, 160)은 일반적으로 리셉터클(140) 둘레에 대칭적이고 방사상으로 배치된다. 그러나, 이는 반드시 필요한 것이 아니며, 돌기들(145, 150)과 장착 플랜지들(155, 160)은 리셉터클(14) 둘레에 비대칭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실제로, 개연성 있는 기계적 흔들림의 방향성이 알려진 애플리케이션에서는 비대칭적인 배치들이 바람직할 수 있다.
기판-관통 돌기들(145, 150)은 마운트(125)의 기판-대향 표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며 도 8a, 8b, 8c, 및 8d에 일반적으로 도시된 회로 기판(230)의 두께에 걸치도록 크기가 부여된다. 도시된 구현예에서, 기판-관통 돌기들(145)은 날개들(wings)(165)을 포함하는 스냅-핏(snap-fit) 부재들이다. 조립될 때, 날개들(165)은 돌기들(145)로부터 바깥쪽으로 확장된다. 날개들은 회로 기판(230) 내의 적절한 크기를 가진 개구를 통해 삽입되는 중에 돌기들(145)을 향해 안쪽으로 휘어질 수 있으며, 마운트(125)의 기판-대향 표면이 회로 기판(230)에 접근함에 따라 바깥쪽으로 확장된 위치로 복귀함으로써 강건한 기계적 결합을 형성한다. 기판-관통 돌기들(145)과 대조적으로, 기판-관통 돌기들(150)은 날개들을 가지지 않는다. 돌기들(150)은 회로 기판 내의 적절하게 크기가 부여되고 배치된 개구들을 통과하도록 크기가 부여되고 배치된다. 따라서, 기판-관통 돌기들은 회로 기판상에 마운트(125)의 적절한 상대적 위치결정을 보장할 수 있으며, 약간의 추가적인 기계적 안정성을 제공한다.
다른 구현예들에서, 마운트(125)와 회로 기판 사이의 기계적 결합은 다른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관통 돌기들의 수와 배치가 상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다른 유형의 기계적 결합들(압축 결합, 나사 결합, 납땜 또는 용융 결합, 에폭시 또는 다른 접착제, 등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시된 구현예에서, 페라이트 비드 하우징(110)은 일반적으로 링-형상의 페라이트 비드를 수용하도록 크기가 부여된 튜브형 부재이다. 특히, 페라이트 비드 하우징(110)은 베이스(175)와 뚜껑(180)을 포함하며, 이들은 함께 결합된 때 페라이트 비드를 수용하는 크기를 가진 캐비티(cavity)를 형성한다. 일반적으로, 캐비티는 와이어 대 기판 전기 커넥터(135)와 와이어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형성하는 위치와 수직으로 정렬된다. 개구(120)를 제외하고, 베이스(175)와 뚜껑(180)이 일반적으로 중실형(solid) 구조물로서 도시되어 있다 할지라도, 이는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베이스(175) 및/또는 뚜껑(180)은 페라이트 비드(115)를 노출시키기 위해 하나 이상의 개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페라이트 비드 하우징(110)은 일반적으로 기계적으로 안정되고 비전도성인 재료로 만들어진다.
구성의 일 예로서, 회로 기판은 회로 기판에 부착되어 와이어 대 기판 커넥터(135)를 둘러싸는 마운트(125)를 구비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하나 이상의 와이어들을 와이어 대 기판 커넥터(135)에 부착하기에 앞서 하나 이상의 와이어들을 (페라이트 비드, 베이스(175) 및 뚜껑(180)을 포함하는) 하우징(110)의 개구(120)를 통해 삽입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와이어들이 와이어 대 기판 커넥터(135)에 부착된 때, 사용자는 하우징(110)의 베이스(175)를 마운트(125)에 부착시킬 수 있다.
도 2a는 페라이트 비드(115)를 포함하는 조립체(100)의 축(A)을 따른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페라이트 비드 하우징(110)은 일반적으로 페라이트 비드(115)를 수용하도록 치수가 부여되고, 베이스(185)와 뚜껑(180)을 포함한다. 도시된 구현예에서, 베이스(175)는 내부 벽(inner wall)(185), 외부 벽(outer wall)(190), 및 바닥(floor)(191)을 포함한다. 바닥(191)은 일반적으로 사시도에서 숨겨지기 때문에 점선으로 윤곽이 표시되어 있다. 내부 벽(185)은 링-형상의 페라이트 비드(115)의 내부 개구를 통과하도록 치수가 부여된다. 내부 벽(185)은 또한 와이어 대 기판 커넥터(13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와이어들을 수용하는 크기를 가진 제1 수직 개구(195)를 제공한다. 내부 벽(185)은 또한 바닥(191)에 의해 둘러싸인 제2 수직 개구(196)를 제공하도록 크기가 부여된다. 외부 벽(190)은 페라이트 비드(115)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크기가 부여된다. 도시된 구현예에서, 외부 벽(190)은 다수의 돌기들(192)을 포함하며, 이들은 뚜껑(180) 내의 대응되는 리세스들(recesses)(215)과 스냅-핏 연결을 형성하도록 크기가 부여되고 배치된다. 다른 구현예들에서, 베이스(175)와 뚜껑(180) 사이의 기계적 결합은 다른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기들과 리세스들의 수와 배치가 다를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다른 유형의 기계적 결합들(압축 결합, 나사 결합, 납땜 또는 용융 결합, 에폭시 또는 다른 접착제, 등등)이 사용될 수 있다.
바닥(191)은 베이스(175) 내에 수용된 링-형상의 페라이트 비드(115)를 아래로부터 지지하기 위해 내부 벽(185)과 외부 벽(190) 사이에서 연장된다. 바닥(191)의 저면은 슬릿들(slits)(167)을 형성하는 다수의 돌기들(168)과, 돌기들(170)을 포함한다. 상기 돌기들(170)은 도 2a에는 명시적으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도 5a에 도시된다. 또한, 슬릿들(167)은 도 4와 5에도 도시되어 있다. 슬릿들(167)과 돌기들(170)은 마운트(125)의 대응되는 장착 플랜지들(155, 160)과 상호 작용하도록 제2 수직 개구(196) 둘레에 일반적으로 대칭적으로 배치된다. 도 3b 및 5와 관련하여 더 논의되는 바와 같이, 돌기들(168)은, 슬릿들(167)이 측방향으로 배향되고 제2 수직 개구(196)를 향해 반경방향 안쪽으로 연장되도록, 배향된다. 각각의 돌기(168)는 돌기(168)에 의해 형성된 슬릿(167) 내에 대응되는 측방향으로 배향된 장착 플랜지(155)의 팁 부분을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배치된다. 특히, 각각의 장착 플랜지(155)는 대응되는 돌기(168)와 슬릿(167)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마운트(125)와 페라이트 비드 하우징(110) 사이의 상대적인 회전은 장착 플랜지들(155)의 팁 부분들이 각개의 슬릿(167) 내부로 미끄러져 들어가도록 할 수 있다. 도시된 구현예에서, 각각의 돌기(168)는, 슬릿(167)의 단부를 형성하여 장착 플랜지들(155)의 팁 부분들이 대응되는 슬릿(167)의 타측을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벽(197)을 포함한다. 도시된 구현예들에서, 마운트(125)와 페라이트 비드 하우징(110)은 가역적으로 연결된다. 특히, 페라이트 비드 하우징(110)을 마운트(125)로부터 손상 없이 분리하기 위해 마운트(125)와 페라이트 비드 하우징(110) 사이의 반대 방향으로의 상대적인 회전이 수행될 수 있다.
뚜껑(180)은 - 베이스(175)와 함께 - 일반적으로 페라이트 비드(115)를 수용하는 캐비티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며 크기가 부여된다. 도시된 구현예에서, 링-형상의 페라이트 비드(115)를 수용하는 상기 캐비티도 링-형상이되, 페라이트 비드를 편안하게 둘러싸며 페라이트 비드와 페라이트 비드 하우징(110) 사이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제한하는 더 큰 치수를 가진다. 도시된 구현예에서, 뚜껑(180)은 수직 벽(205)과 수평 천장(210)을 포함한다. 천장(ceiling)(210)은 수직 벽(205)으로부터 반경방향 안쪽으로 연장된다. 천장(210)은, 뚜껑(180)이 베이스(175)를 덮었을 때, 제1 수직 개구(195)와 정렬되도록 배치되고 크기가 부여된 구멍(220)을 형성한다. 구멍(180)은 와이어 대 기판 커넥터(135)와 연결하기 위해 수직 개구(195)를 통과하는 와이어들과 동일한 하나 이상의 와이어들을 수용할 수 있다.
수직 벽(205)은 베이스(175)의 외부 벽(190)을 둘러싸도록 치수가 부여된다. 도시된 구현예에서, 수직 벽(205)은 다수의 리세스들(recesses)(215)을 포함한다. 리세스들(215)은, 도 4, 8a, 8b, 8c 및 8d에 더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75)의 외부 벽(190)의 대응되는 돌기들(192)과 스냅-핏 연결을 형성하도록 치수가 부여되고 배치된다. 돌기들(192)은 베이스(175)에 뚜껑(180)의 스냅-핏 연결을 보조하기 위해 경사진다. 도시된 구현예에서, 리세스들(215)은 수직 벽(205)을 관통하여 연장된 구멍들이지만, 이는 반드시 필요한 경우는 아니다.
다른 구현예들에서, 뚜껑(180)과 베이스(175) 사이의 기계적 결합은 다른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세스들가 돌기들의 수와 배치는 다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다른 유형의 기계적 결합들(압축 결합, 나사 결합, 납땜 또는 용융 결합, 에폭시 또는 다른 접착제, 등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뚜껑(180)은 선택적일 수 있으며, 페라이트 비드(115)는 접착제와 같은 다른 수단에 의해 베이스(175)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도 2b는 페라이트 비드(115)와 와이어(117) 또는 케이블을 포함하는 조립체(100)의 축(A)을 따른 분해도를 도시한다. 케이블은 단일의 피복 내에 두 개 이상의 절연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b에 도시된 분해도는 도 2a에 도시된 조립체(100)의 분해도와 유사하다. 그러나, 하나의 차이점은 와이어(117) 또는 케이블이 조립체(100) 내에 삽입된 것으로 도시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은 개구(120)를 형성하며, 하나 이상의 와이어들(117) 또는 케이블은 전기 커넥터 조립체(105)에 도달하기 위해 이 개구를 통과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베이스(175)와 뚜껑(180)을 포함한다. 또한, 도 2b에는 페라이트 비드(115)도 도시된다. 하우징(110)의 베이스(175)는 내부 벽(185)과 외부 벽(190)을 포함한다. 상기 내부 벽(185)은
링-형상의 페라이트 비드(115)의 내부 개구를 통과하도록 치수가 부여되며, 와이어 대 기판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와이어들을 수용하도록 크기가 부여된 제1 수직 개구(195)를 제공한다. 상기 뚜껑(180)은 하우징(120)의 개구(120)를 형성하는 구멍을 형성하며, 이는 뚜껑(180)이 베이스(175)를 덮었을 때 제1 수직 개구(195)와 정렬되도록 배치되고 치수가 부여된다. 상기 개구(110)는 수직 개구(195)를 통과하는 와이어들과 동일한 하나 이상의 와이어들(117)을 수용할 수 있다.
구성의 일 예에서, 회로 기판은 회로 기판에 부착되어 와이어 대 기판 커넥터(134)를 둘러싸는 마운트(125)를 구비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하나 이상의 와이어들 및/또는 케이블(117)을 와이어 대 기판 커넥터(135)에 부착하기에 앞서 하나 이상의 와이어들 및/또는 케이블(117)을 (페라이트 비드, 베이스(175) 및 뚜껑(180)을 포함하는) 하우징(110)의 개구(120)를 통해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하나 이상의 와이어들 및/또는 케이블(117)을 와이어 대 기판 커넥터(135)에 부착시킨 때, 그 다음에 사용자는 하우징(110)의 베이스(175)를 마운트(125)에 부착시킬 수 있다.
도 3a는 베이스(175) 내부에 삽입된 페라이트 비드(115)를 가진 페라이트 비드 하우징(110)의 베이스(175)의 사시도를 보여준다. 베이스(175) 내부에 삽입된 페라이트 비드(115)를 더욱 명확하게 도시하기 위해 상기 뚜껑(180)은 도시되지 않았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유사하게, 상기 베이스(175)는 내부 벽(inner wall)(185), 외부 벽(outer wall)(190), 및 바닥(floor)(191)을 포함한다. 이 도면에서, 바닥(191)은 보이지 않는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내부 벽(185)은 링-형상의 페라이트 비드(115)의 내부 개구를 통과하도록 치수가 부여된다. 내부 벽(185)은 또한 와이어 대 기판 커넥터(13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와이어들을 수용하는 크기를 가진 제1 수직 개구(195)를 제공한다. 외부 벽(190)은 페라이트 비드(115)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크기가 부여된다. 도시된 구현예에서, 외부 벽(190)은 다수의 돌기들(192)을 포함하며, 이들은 뚜껑(180) 내의 대응되는 리세스들(recesses)(215)과 스냅-핏 연결을 형성하도록 크기가 부여되고 배치된다. 돌기들(192)은 베이스(175)에 대한 뚜껑(180)의 스냅-핏 연결을 보조하기 위해 경사져 있다. 도 3a에 도시된 베이스(175)는 돌기들(169)을 도시하고 있으며, 이 돌기들(168)은 마운트(125)의 대응되는 장착 플랜지들(155, 160)과 상호 작용하는 슬릿들(167)을 형성한다. 상기 돌기들(168)은, 슬릿들(167)이 측방향으로 배향되고 제2 수직 개구(196)(미도시)를 향해 반경방향 안쪽으로 연장되도록, 배향된다. 도시된 구현예에서, 각각의 돌기(168)는, 슬릿(167)의 단부를 형성하여 장착 플랜지들(155)의 팁 부분들이 대응되는 슬릿(167)의 타측을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벽(197)을 포함한다.
도 3b는 돌기들(170)과, 슬릿들(167)을 형성하는 돌기들(168)을 더 보여주기 위해 베이스(175)의 바닥 사시도를 도시한다. 상술한 바와 유사하게, 상기 베이스(175)는 내부 벽(185), 외부 벽(190), 및 바닥(191)을 포함한다. 상기 내부 벽(185)은 바닥(191)에 의해 둘러싸인 제2 수직 개구(196)를 제공하도록 치수가 부여된다. 바닥(191)의 저면은 슬릿들(167)을 형성하는 다수의 돌기들(168)을 포함한다. 또한, 바닥(191)의 저면은 돌기들(170)을 포함한다. 도시된 예에서, 상기 돌기(170)는 일반적으로 원형이지만, 돌기(170)는 장방형(oval), 타원형, 또는 다른 형상일 수 있다. 슬릿들(167)을 가진 돌기들(168)과 돌기들(170)은 마운트(125)의 대응되는 장착 플랜지들(155, 160)과 상호 작용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제2 수직 개구(196) 둘레에 대칭적으로 배치된다. 특히, 슬릿들(160)을 가진 돌기들(168)은 장착 플랜지들(155)과 상호 작용하며, 돌기들(170)은 장착 플랜지들(160)과 상호 작용한다. 돌기들(168)은, 슬릿들(167)이 측방향으로 배향되고 제2 수직 개구(196)를 향해 반경방향 안쪽으로 연장되도록, 배향된다. 도시된 구현예에서, 각각의 돌기(168)는 슬릿(167)의 단부를 형성하는 벽(197)을 포함한다.
각각의 돌기(168)는, 돌기(168)와 바닥(191)에 의해 형성된 슬릿(167) 내에 마운트(125)의 대응되는 측방향으로 배향된 장착 플랜지(155)의 팁 부분을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배치된다. 특히, 마운트(125)의 각각의 장착 플랜지(155)는 하우징(110)의 대응되는 돌기(168)와 슬릿(167)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5와 관련하여 더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운트(125)와 페라이트 비드 하우징(110) 사이의 상대적인 회전은 장착 플랜지들(155)의 팁 부분들이 각개의 슬릿(167) 내부로 미끄러져 들어가도록 할 수 있다. 도시된 구현예에서, 각각의 돌기(168)는, 장착 플랜지들(155)의 팁 부분들이 대응되는 슬릿(167)의 타측을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벽(197)을 포함한다.
도 4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105)와 하우징(110)을 포함하는, 페라이트 비드 또는 다른 필터 소자를 장착하기 위한 조립체(100)의 단면도이다. 전기 커넥터 조립체(105)는 와이어, 하나 이상의 와이어들, 및/또는 케이블을 회로 기판에 고정시키는 와이어 대 기판 연결부를 형성한다. 페라이트 비드 하우징(110)은 페라이트 비드 또는 다른 필터 소자(115)를 수용하도록 크기가 부여된 조립체이다. 페라이트 비드 하우징(110)은 개구(120)를 형성하며, 하나 이상의 와이어들이 전기 커넥터 조립체(105)에 도달하기 위해 이 개구(120)를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전기 커넥터 조립체(105)는 마운트(125)를 포함한다. 마운트 (125)는 와이어 대 기판 커넥터(135)의 부근에서 회로 기판과 페라이트 비드 하우징(110) 사이에 비교적 강건한 기계적 결합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기계적 부재이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마운트(125)는 일반적으로 기계적으로 안정된, 비-전도성 재료로 만들어진다. 마운트(125)는 와이어 대 기판 커넥터(135)의 부근에서 회로 기판과 페라이트 비드 하우징(110) 사이의 중간 부재로서 작용한다. 일반적으로, 마운트(125)는 (도 6a와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대 기판 커넥터(135)를 둘러싸며, 와이어 대 기판 커넥터(135) 둘레에 방사상으로 분포된 다수의 위치들에서 회로 기판에 연결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운트(125)는 리셉터클(receptacle)(140)돠 기판-관통 돌기들(145, 150)을 포함한다. 더 논의되는 바와 같이, 상기 마운트(125)는 장착 플랜지들을 포함한다. 상기 리셉터클(140)은, 와이어 대 기판 커넥터의 적어도 부분을 수용하도록 크기가 부여되며 일반적으로 마운트(125)의 중심에 있는 체적 또는 공간을 형성한다.
돌기들(145, 150)은 일반적으로 리셉터클(140) 둘레에 대칭적이고 방사상으로 배치된다. 그러나, 이는 반드시 필요한 것이 아니며, 돌기들(145, 150)은 리셉터클(14) 둘레에 비대칭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돌기들(145, 150)은 마운트(125)의 기판-대향 표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며, 회로 기판의 두께에 걸치도록 크기가 부여된다. 도시된 구현예에서, 기판-관통 돌기들(145)은 날개들(wings)(165)을 포함하는 스냅-핏(snap-fit) 부재들이다. 조립될 때, 날개(165)는 돌기들(145)로부터 바깥쪽으로 확장된다. 날개(165)는 회로 기판 내의 적절한 크기를 가진 개구를 통해 삽입되는 중에 돌기(145)를 향해 안쪽으로 휘어질 수 있으며, 마운트(125)의 기판-대향 표면이 회로 기판에 접근함에 따라 바깥쪽으로 확장된 위치로 복귀함으로써 강건한 기계적 결합을 형성한다.
기판-관통 돌기(145)와 대조적으로, 기판-관통 돌기(150)는 날개를 가지지 않는다. 돌기(150)는 회로 기판 내의 적절하게 크기가 부여되고 배치된 개구들을 통과하도록 크기가 부여되고 배치된다. 따라서, 기판-관통 돌기(150)는 회로 기판상에 마운트(125)의 적절한 상대적 위치결정을 보장할 수 있으며, 어느 정도의 추가적인 기계적 안정성을 제공한다. 점선들(1520은 회로 기판의 평면 표면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기판-관통 돌기(145)의 부분들과 돌기(145)는 회로 기판의 평면 표면(152)을 지나도록 연장된다.
페라이트 비드 하우징(110)은 페라이트 비드를 수용하도록 크기가 부여된다. 특히, 페라이트 비드 하우징(110)은 베이스(175)와 뚜껑(180)을 포함하며, 이들은 함께 페라이트 비드를 수용하는 크기를 가진 캐비티(cavity)(141)를 형성한다. 일반적으로, 캐비티(141)는 와이어 대 기판 전기 커넥터와 와이어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형성하는 위치와 수직으로 정렬된다. 개구(120)를 제외하고, 베이스(175)와 뚜껑(180)이 일반적으로 중실형(solid) 구조물로서 도시되어 있다 할지라도, 이는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베이스(175) 및/또는 뚜껑(180)은 페라이트 비드를 노출시키기 위해 하나 이상의 개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페라이트 비드 하우징(110)은 일반적으로 기계적으로 안정되고 비전도성인 재료로 만들어진다.
위에서 논의되고 도 4에 더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75)는 내부 벽(185), 외부 벽(190), 및 바닥(191)을 포함한다. 내부 벽(185)은 링-형상의 페라이트 비드의 내부 개구를 통과하도록 크기가 부여된다. 외부 벽(190)은 페라이트 비드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크기가 부여된다. 바닥(191)은 베이스(175) 내에 수용된 링-형상의 페라이트 비드를 아래로부터 지지하기 위해 내부 벽(185)과 외부 벽(190) 사이에서 연장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191)의 저면은 다수의 슬릿들(167)을 포함한다. 바닥(191)의 저면은 또한, 다음 도면에서 더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슬릿들(167)은 제2 수직 개구(196) 둘레에 일반적으로 대칭적으로 배치된다. 특히, 슬릿들(167)은 측방향으로 배향되며 수직 개구(195)를 향해 반경방향 안쪽으로 연장된다. 더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각각의 슬릿(167)은 마운트(125)의 대응되는 장착 플랜지의 팁 부분을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배치된다.
뚜껑(180)은 - 베이스(175)와 함께 - 일반적으로 페라이트 비드를 수용하는 캐비티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며 크기가 부여된다. 도시된 구현예에서, 뚜껑(180)은 수직 벽(205)과 수평 천장(210)을 포함한다. 천장(ceiling)(210)은 수직 벽(205)으로부터 반경방향 안쪽으로 연장된다. 천장(210)은, 뚜껑(180)이 베이스(175)를 덮었을 때, 제1 수직 개구(195)와 정렬되도록 배치되고 크기가 부여된 구멍을 형성한다. 상기 뚜껑(180)의 구멍은 수직 개구(195)와 함께 조립체(100)의 개구(120)를 형성한다.
도 5는 도 1의 하우징(110)과 마운트(125)의 사시도이다. 특히, 사시도는 각개의 정렬 기구들을 보여주기 위해 하우징(110)의 바닥부와 마운트(125)의 상부를 도시한다.
도 5의 우측은 마운트(125)를 도시한다. 마운트(125)는 와이어 대 기판 커넥터(135)의 부근에서 회로 기판과 페라이트 비드 하우징(110) 사이의 비교적 강건한 기계적 결합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기계적 부재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운트(125)는 리셉터클(140), 기판-관통 돌기들(145), 및 다수의 장착 플랜지들(155, 160)을 포함한다. 리셉터클(140)은 와이어 대 기판 커넥터(135)의 적어도 부분을 수용하도록 크기가 부여된 체적 또는 공간을 형성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140)은 일반적으로 마운트(125)의 중심에 있다. 기판-관통 돌기(145)는 마운트(125)의 기판-대향 표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며, 회로 기판의 두께에 걸치도록 크기가 부여된다. 도시된 구현예에서, 기판-관통 돌기들(145)은 날개들(wings)(165)을 포함하는 스냅-핏(snap-fit) 부재들이다. 돌기들(145, 150)과 장착 플랜지들(155, 160)은 일반적으로 리셉터클(140) 둘레에 대칭적이고 방사상으로 배치된다. 그러나, 이는 반드시 필요한 것이 아니며, 돌기들(145, 150)과 장착 플랜지들(155, 160)은 리셉터클(14) 둘레에 비대칭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실제로, 개연성 있는 기계적 흔들림의 방향성이 알려진 애플리케이션에서는 비대칭적인 배치들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돌기들(150)은 도 5에서 보이지 않는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장착 플랜지들(155, 160)은 페라이트 비드 하우징(110)의 대응되는 부재(들)와 상호 작용하도록 치수가 부여되며 페라이트 비드 하우징(110)을 마운트(125)에 장착시킨다. 도시된 구현예에서, 장착 플랜지들(155, 160)은 리셉터클(140) 둘레에 분포되며 리셉터클(140)의 수직(즉, 회로 기판의 표면에 대해 일반적으로 직각 방향인) 벽들로부터 측방향으로(즉, 회로 기판의 표면과 일반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장착 플랜지들(155)은 각각, 페라이트 비드 하우징(110)이 마운트(125)에 연결된 때 페라이트 비드 하우징(110)의 기판-대향 표면 내의 돌기(168)의 대응되는 슬릿(167) 내에 수용되도록 치수가 부여되고 배치된다. 도시된 구현예에서, 장착 플랜지들(160)은 각각, 페라이트 비드 하우징(110)의 기판-대향 표면 내의 대응되는 돌기(170)를 수용하도록 치수가 부여되고 배치된 오목부(depression)(171)를 포함한다. 도시된 예에서, 상기 오목부(171)와 돌기(170)는 일반적으로 원형이다. 그러나, 오목부(171)와 돌기(170)는 장방형(oval), 타원형, 또는 다른 형상일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다른 구현예들에서, 페라이트 비드 하우징(110)의 기판-대향 표면이 오목부를 포함할 수 있고 장착 플랜지(160)가 대응되는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어쨌든, 마운팅 플랜지들(155, 160)은 돌기(168)의 슬릿들(167) 및 돌기(170)와 상호 작용하여 페라이트 비드 하우징(110)과 마운트(125) 사이의 비교적 강건한 연결을 제공한다. 아래에서 더 논의되는 바와 같이, 이러한 연결은 가역적이며, 페라이트 비드 하우징(110)은 서로 손상 없이 마운트(125)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페라이트 비드 하우징(110)과 마운트(125) 사이의 연결은 비가역적이다.
다른 구현예들에서, 페라이트 비드 하우징(110)과 마운트(125) 사이의 기계적 결합은 다른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랜지들의 수와 배치는 다를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다른 유형의 기계적 결합들(압출 결합, 나사 결합, 납땜 또는 용융 결합, 에폭시 또는 다른 접착제, 등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5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10)은 베이스(175)와 뚜껑(180)을 포함한다. 베이스(175)는 내부 벽(185), 외부 벽(190) 및 바닥(191)을 포함한다. 내부 벽(185)은 와이어 대 기판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와이어들을 수용하도록 크기가 부여된 제2 수직 개구(196)를 제공한다. 외부 벽(190)은 페라이트 비드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크기가 부여된다. 도시된 구현예에서, 외부 벽(190)은 다수의 돌기들(192)을 포함하며, 이들은 뚜껑(180) 내의 대응되는 리세스들(recesses)과 스냅-핏 연결을 형성하도록 크기가 부여되고 배치된다.
바닥(191)은 베이스(175) 내에 수용된 링-형상의 페라이트 비드를 아래로부터 지지하기 위해 내부 벽(185)과 외부 벽(190) 사이에서 연장된다. 바닥(191)의 저면은 다수의 슬릿들(slits)(167)과 돌기들(170)을 포함한다. 도시된 돌기들(170)은 일반적으로 원형이지만, 장방형, 타원형, 따른 다른 형상이 사용될 수 있다. 돌기들(168)의 슬릿들(168)과 돌기들(170)은 마운트(125)의 대응되는 장착 플랜지들(155, 160)과 상호 작용하도록 제2 수직 개구(196) 둘레에 일반적으로 대칭적으로 배치된다. 특히, 슬릿들(167)은 측방향으로 배향되며 제2 수직 개구(196)를 향해 반경방향 안쪽으로 연장된다. 각각의 돌기(168)는, 슬릿(167)이 대응되는 측방향으로 배향된 장착 플랜지(155)의 팁 부분을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배치된다. 특히, 각각의 장착 플랜지(155)는 대응되는 돌기(168)와 슬릿(167)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마운트(125)와 페라이트 비드 하우징(110) 사이의 상대적인 회전은 장착 플랜지들(155)의 팁 부분들이 돌기(168)의 각개의 슬릿(167) 내부로 미끄러져 들어가도록 할 수 있다. 도시된 구현예에서, 각각의 돌기(168)는, 장착 플랜지들(155)의 팁 부분들이 대응되는 슬릿(167)의 타측을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벽(197)을 포함한다. 도시된 구현예에서, 마운트(125)와 페라이트 비드 하우징(110)은 가역적으로 연결된다. 특히, 페라이트 비드 하우징(110)을 마운트(125)로부터 손상 없이 분리하기 위해 마운트(125)와 페라이트 비드 하우징(110) 사이의 반대 방향으로의 상대적인 회전이 수행될 수 있다.
돌기들(170)은 수직-배향되며 바닥(191)의 기판-대향 표면으로부터 연장된다. 돌기들(170)은, 장착 플랜지들(155)이 대응되는 슬릿들(167) 내에 수용된 때 장착 플랜지(160) 내의 대응되는 오목부(171)에 의해 수용되도록 크기가 부여되고 배치된다. 장착 플랜지(160) 내의 대응되는 오목부(171) 내에 돌기들(170)의 수용은 페라이트 비드 하우징(110)과 마운트(125)의 상대적인 회전 위치결정을 가역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슬릿들(167)과 돌기들(168)은 페라이트 비드 하우징(110)과 마운트(125) 사이에 비교적 강건한 연결을 제공하도록 장착 플랜지들(155, 160)과 상호 작용한다.
도 6a는 마운트(125)와 와이어 대 기판 커넥터(135)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105)의 분해도를 도시하며, 도 6b는 와이어 대 기판 커넥터(135)를 둘러싸는 마운트(125)를 가진 전기 커넥터 조립체(105)의 상면도를 도시한다.
도시된 구현예에서, 전기 커넥터 조립체(105)는 와이어 대 기판 커넥터(135)와 마운트(125)를 포함한다. 와이어 대 기판 커넥터(135)는 회로 기판의 도체(들)과 기판에서 떨어져서 연장된 와이어(들) 사이에 하나 이상의 전기적 연결을 형성하기에 적합한 다수의 상이한 커넥터들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와이어 대 기판 커넥터(135)는 전기적 연결(들)을 형성하기 위해 다양한 상이한 기술들, 예를 들어, 핀과 소켓, 블레이드/콘택트, 납땜, 또는 그밖에 유사한 것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상이한 기술들 중 임의의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와이어 대 기판 커넥터(135)의 전기 단자들은 기판-관통(thru-board) 또는 표면-실장(surface-mount) 배치로 회로 기판의 도체(들)에 연결될 수 있다.
도 6a와 6b에 도시된 구현예에서, 와이어 대 기판 커넥터(135)는 2열 플러그(dual-row plug)이다. 그러나, 회로 기판의 도체(들)과 와이어(들) 사이에 다른 유형의 전기적 연결도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와이어들은 제공된 별도의 와이어 대 기판 커넥터와 함께 회로 기판상의 패드에 납땜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와이어를 회로 기판의 도체에 연결하기 위해 크림프 커넥터(crimp connector)가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마운트(125)는 와이어 대 기판 커넥터(135)의 부근에서 회로 기판과 페라이트 비드 하우징(110) 사이에 비교적 강건한 기계적 결합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기계적 부재이다. 마운트(125)는 일반적으로 기계적으로 안정된, 비-전도성 재료로 만들어진다. 마운트(125)는 와이어 대 기판 커넥터(135)의 부근에서 회로 기판과 페라이트 비드 하우징(110) 사이의 중간 부재로서 작용한다. 일반적으로, 마운트(125)는 와이어 대 기판 커넥터(135)를 둘러싸며, 와이어 대 기판 커넥터(135) 둘레에 방사상으로 분포된 다수의 위치들에서 회로 기판에 연결된다.
마운트(125)는 리셉터클(140), 다수의 기판-관통 돌기들(145, 150), 및 다수의 장착 플랜지들(155, 160)을 포함한다. 리셉터클(140)은 와이어 대 기판 커넥터(135)의 적어도 부분을 수용하도록 크기가 부여된 체적 또는 공간을 형성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140)은 일반적으로 마운트(125)의 중심에 있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운트(125)는 실질적으로 와이어 대 기판 커넥터(135)를 둘러싼다. 돌기들(145, 150)과 장착 플랜지들(155, 160)은 일반적으로 리셉터클(140) 둘레에 대칭적이고 방사상으로 배치된다. 그러나, 이는 반드시 필요한 것이 아니며, 돌기들(145, 150)과 장착 플랜지들(155, 160)은 리셉터클(14) 둘레에 비대칭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실제로, 개연성 있는 기계적 흔들림의 방향성이 알려진 애플리케이션에서는 비대칭적인 배치들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7a와 7b는 마운트(125)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들이다. 도 7a와 7b에 도시된 마운트(125)는 상술한 마운트(125)와 유사하다. 예를 들어, 도 7a와 7b에 도시된 마운트(125)는 회로 기판의 두께에 걸치는 기판-관통 돌기들(145, 150)을 포함한다. 또한, 기판-관통 돌기들(145)은 날개들(165)을 포함하는 스냅-핏 부재들이지만, 기판-관통 돌기들(150)은 날개들을 포함하지 않는다. 도시된 마운트(125)는 또한 리셉터클(140)을 포함한다. 리셉터클(140)은 와이어 대 기판 커넥터(135)의 적어도 부분을 수용하도록 크기가 부여된 체적 또는 공간을 형성한다. 그러나, 적어도 하나의 차이점은 도 7a와 7b에 도시된 마운트(125)는 안착 표면(resting surface)(235)을 포함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 7a와 7b에 도시된 마운트(125)는 상기 안착 표면(235)은 일반적으로 측방향으로 배향된다. 안착 표면(235)으로부터 리지들(ridges)(240, 245, 250)이 수직으로 돌출되며, 이들은 페라이트 비드 하우징(110)을 마운트(125)에 부착시키고 위치결정한다.
도 8a, 8b, 8c, 8d는 회로 기판(230)상에 장착된 페라이트 비드 하우징(100)과 전기 커넥터 조립체(100)를 포함하는 몇몇의 조립체들(100)의 사시도(800), 상면도(801), 측면도(802), 및 단면도(804)를 도시한다. 다양한 도면들(800, 801, 802, 803)은 회로 기판(230) 상에 장착되며 두 개의 와이어 대 기판 커넥터들(135)을 둘러싸는 두 개의 조립체들(100)을 도시한다. 페라이트 비드 하우징(110) 또는 마운트(125)에 의해 둘러싸이지 않은 와이어 대 기판 커넥터들(135)도 도시되어 있다. 조립체들(100)에 의해 둘러싸인 와이어 대 기판 커넥터들(135)은 회로 기판(230)의 좌측에 도시되고, 조립체들(100)에 의해 둘러싸이지 않은 와이어 대 기판 커넥터들(135)은 회로 기판(230)의 우측에 도시된다.
도 8a에 도시된 사시도는 두 개의 조립체들(100)을 도시하며, 이들은 회로 기판(230)의 좌측의 와이어 대 기판 커넥터(135)를 둘러싼다. 상기 조립체들(100)은 회로 기판(230) 상에 조립된 마운트들(125)을 포함한다. 사시도(800)에는 기판-관통 돌기(145)가 도시된다. 각개의 베이스들(175)과 뚜껑들은 마운트(125) 상에 부착된다. 개구(120)가 보이며, 이는 하나 이상의 와이어들이 조립체를 통과하여 각개의 와이어 대 기판 커넥터(135)에 부착되도록 허용한다.
구성의 일 예에서, 회로 기판(230)은 회로 기판(230)에 부착되어 와이어 대 기판 커넥터(135)를 둘러싸는 마운트(125)를 구비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하나 이상의 와이어들을 와이어 대 기판 커넥터(135)에 부착하기에 앞서 하나 이상의 와이어들을 (페라이트 비드, 베이스(175) 및 뚜껑(180)을 포함하는) 하우징(110)의 개구(120)를 통해 삽입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와이어들이 와이어 대 기판 커넥터(135)에 부착된 때, 사용자는 하우징(110)의 베이스(175)를 각개의 마운트(125)에 부착시킬 수 있다.
도 8b에 도시된 상면도는 조립체들(100)에 어떻게 와이어 대 기판 커넥터들(135)을 둘러싸고, 하나 이상의 와이어들이 각개의 조립체(100)를 통과하여 각개의 와이어 대 기판 커넥터(135)에 부착되도록 접근을 허용하는지를 도시한다. 와이어 대 기판 커넥터(135)는 회로 기판의 도체(들)과 기판에서 떨어져서 연장된 와이어(들) 사이에 하나 이상의 전기 커넥터들을 형성하기에 적합한 다수의 상이한 커넥터들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와이어 대 기판 커넥터(135)는 전기적 연결(들)을 형성하기 위해 다양한 상이한 기술들, 예를 들어, 핀과 소켓, 블레이드/콘택트, 납땜, 또는 그밖에 유사한 것들 중 임의의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와이어 대 기판 커넥터(135)의 전기 단자들은 기판-관통(thru-board) 또는 표면-실장(surface-mount) 배치로 회로 기판의 도체(들)에 연결될 수 있다. 도시된 구현예에서, 와이어 대 기판 커넥터(135)는 2열 플러그(dual-row plug)이다. 그러나, 회로 기판의 도체(들)과 와이어(들) 사이에 다른 유형의 전기적 연결도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와이어들은 제공된 별도의 와이어 대 기판 커넥터와 함께 회로 기판상의 패드에 납땜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와이어를 회로 기판의 도체에 연결하기 위해 크림프 커넥터(crimp connector)가 사용될 수 있다.
도 8c에 도시된 측면도는 기판-관통 돌기들(145, 150)에 의해 회로 기판(230)에 조립체(100)의 부착을 명확하게 보여준다. 기판-관통 돌기들(145, 150)은 마운트(125)의 기판-대향 표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며 회로 기판(230)의 두께에 걸치도록 크기가 부여된다. 도시된 구현예에서, 기판-관통 돌기들(145)은 날개들(wings)(165)을 포함하는 스냅-핏(snap-fit) 부재들이다. 조립될 때, 날개들(165)은 돌기들(145)로부터 바깥쪽으로 확장된다. 날개들은 회로 기판(230) 내의 적절한 크기를 가진 개구를 통해 삽입되는 중에 돌기들(145)을 향해 안쪽으로 휘어질 수 있으며, 마운트(125)의 기판-대향 표면이 회로 기판(230)에 접근함에 따라 바깥쪽으로 확장된 위치로 복귀함으로써 강건한 기계적 결합을 형성한다. 기판-관통 돌기들(145)과 대조적으로, 기판-관통 돌기들(150)은 날개들을 가지지 않는다. 돌기들(150)은 회로 기판 내의 적절하게 크기가 부여되고 배치된 개구들을 통과하도록 크기가 부여되고 배치된다. 따라서, 기판-관통 돌기들(150)은 회로 기판상에 마운트(125)의 적절한 상대적 위치결정을 보장할 수 있으며, 약간의 추가적인 기계적 안정성을 제공한다.
도 8d는 도 8c에 도시된 측면도(802)의 단면도(804)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운트(125)는 와이어 대 기판 커넥터(135)를 실질적으로 둘러싼다. 상기 베이스(175)는 내부 벽(185), 외부 벽(190) 및 바닥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내부 벽(185)은 링-형상의 페라이트 비드의 내부 개구를 통과하도록 치수가 부여되며, 와이어 대 기판 커넥터(13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와이어들을 수용하기 위해 수직 개구를 제공한다. 외부 벽(190)은 페라이트 비드(115)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크기가 부여되며, 바닥(191)은 베이스(175) 내에 수용된 페라이트 비드를 지지하기 위해 외부 벽(190)과 내부 벽(185) 사이에서 연장된다.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대 기판 커넥터(135)는 베이스(175)와 내부 벽(185)에 의해 형성된 수직 개구 내부로 수직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연장된다. 뚜껑(180)은 베이스(175)에 부착된 것으로 도시되며 수직 벽(205)과 천장(210)을 포함한다. 천장(210)은 수직 벽(205)으로부터 반경방향 안쪽으로 연장된다.
요약서에 기재된 것을 포함하여, 본 발명의 도시된 예들의 상기한 설명은 전면적이거나 개시된 정확한 형태로 제한하고자 의도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과 예들은 여기서 보여주기 위한 목적으로 서술되었으며, 본 발명의 넓은 사상과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다양한 동등한 변형들이 가능하다. 실제로, 전압, 전류, 주파수, 전력 범위 값, 시간, 등의 구체적인 예들은 설명의 목적으로 제공되었으며, 본 발명의 교시에 따라 다른 값들이 다른 실시예들과 예들에서 채용될 수 있다.
상기한 상세한 설명에 비추어 본 발명의 예들에 대해 이러한 수정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의 청구항들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을 명세서와 청구항들에 개시된 구체적인 실시예들로 제한하여 해석하지 말아야 한다. 오히려, 범위는 다음의 청구항들에 의해 전체적으로 결정되는 것이며, 청구항 해석의 확립된 원칙에 따라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와 도면들은 제한적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청구항들에서 정의된다고 할지라도, 본 발명은 아래의 예들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정의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 1. 회로 기판; 필터 소자; 상기 필터 소자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회로 기판에 결합되는 필터 소자 하우징; 및 상기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필터 소자를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를 포함하는 장치.
예 2. 상기 회로 기판에 결합되며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를 상기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와이어 대 기판 전기 커넥터(wire-to-board electrical connector)를 더 포함하는, 예 1의 장치.
예 3. 상기 필터 소자는 페라이트 비드(ferrite bead)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 소자 하우징은 페라이트 비드 하우징인, 예 1 또는 2의 장치.
예 4. 상기 필터 소자는, 와이어와 와이어 대 기판 전기 커넥터 사이의 전기적 연결부를 형성하는 위치와 정렬된 개구(opening)를 형성하는, 예 1또는 3의 장치.
예 5. 상기 개구는 상기 전기적 연결부를 형성하는 위치와 축방향으로 정렬되는, 예 4의 장치.
예 6. 상기 필터 소자는 전반적으로 링-형상이며; 상기 필터 소자 하우징은 상기 필터 소자를 수용하도록 치수가 부여된(dimensioned) 캐비티(cavity)를 형성하는, 예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의 장치.
예 7. 상기 필터 소자 하우징은, 상기 와이어 대 기판 전기 커넥터를 둘러싸는 마운트(mount)에 의해 상기 회로 기판에 결합되는, 예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의 장치.
예 8. 상기 마운트는 예 24 내지 34 중 어느 하나의 마운트인, 예 7의 장치.
예 9. 상기 회로 기판은 게이트 드라이버 유닛(gate driver unit) 또는 전력 변환기(power converter)의 부분인, 예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의 장치.
예 10. 상기 회로 기판에 결합된 전력 변환기 제어기를 더 포함하는, 예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의 장치.
예 11. 제2 필터 소자; 상기 제2 필터 소자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회로 기판에 결합되는 제2 필터 소자 하우징; 상기 회로 기판에 결합되는 제2 와이어 대 기판 전기 커넥터; 및 상기 제2 와이어 대 기판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 필터 소자를 통과하는 제2 와이어;를 더 포함하는, 예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의 장치.
예 12. 상기 필터 소자는 페라이트 블록, 코어, 링, EMI 필터, 초크(choke) 중 하나인, 예 1의 장치.
예 13. 필터 소자를 회로 기판에 장착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상기 시스템은: 필터 소자를 수용하도록 치수가 부여된 필터 소자 하우징; 및 상기 필터 소자 하우징과 상기 회로 기판 사이에서 상기 필터 소자 하우징을 상기 회로 기판에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마운트;를 포함하는 시스템.
예 14. 상기 마운트는 상기 필터 소자 하우징과 상기 회로 기판에 연결되는, 예 13의 시스템.
예 15. 상기 마운트는, 상기 회로 기판을 관통하여 돌출되며 상기 마운트를 상기 회로 기판에 연결하도록 치수가 부여된 하나 이상의 기판-관통 돌기들을 포함하는, 예 13 또는 14의 시스템.
예 16. 상기 마운트는 와이어 대 기판 전기 커넥터를 수용하도록 치수가 부여된 리셉터클(receptacle)을 형성하며, 상기 마운트 내에 상기 와이어 대 기판 전기 커넥터의 수용은 상기 커넥터에 의해 상기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하나 이상의 와이어들을 상기 필터 소자 하우징 내에 수용된 상기 필터 소자와 정렬시키는, 예 13 내지 15 중 어느 하나의 시스템.
예 17. 상기 필터 소자와 상기 필터 소자 하우징은 각각 하나 이상의 와이어들을 통과시키도록 치수가 부여된 각개의 개구를 형성하며, 상기 필터 소자가 상기 필터 소자 하우징 내에 수용된 때, 상기 각개의 개구들은 정렬되는, 예 13 내지 16 중 어느 하나의 시스템.
예 18. 상기 필터 소자 하우징은 전반적으로 링-형상의 필터 소자를 수용하도록 치수가 부여된 전반적으로 링-형상의 캐비티를 형성하는, 예 13 내지 17 중 어느 하나의 시스템.
예 19. 상기 필터 소자 하우징은 상기 마운트에 가역적으로 결합되는, 예 13 내지 18 중 어느 하나의 시스템.
예 20. 상기 필터 소자 하우징과 상기 마운트는 이들 사이의 상대적인 회전에 의해 연결될 수 있는, 예 13 내지 19 중 어느 하나의 시스템.
예 21. 상기 필터 소자는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가 통과하도록 구성된 개구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 소자 하우징은, 상기 회로 기판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된 와이어를 수용하도록 배향된 개구를 가진 상기 필터 소자를 수용하도록 치수가 부여된, 예 13 내지 20 중 어느 하나의 시스템.
예 22. 상기 필터 소자는 페라이트 비드(ferrite bead)이며, 상기 필터 소자 하우징은 페라이트 비드 하우징인, 예 13 내지 20 중 어느 하나의 시스템.
예 23. 상기 마운트는 예 24 내지 34 중 어느 하나의 마운트인, 예 13 내지 22 중 어느 하나의 시스템.
예 24. 필터 소자를 회로 기판에 결합하도록 구성된 마운트(mount)로서, 상기 마운트는 전기적 연결부(electrical connection)를 수용하도록 치수가 부여된 리셉터클(receptacle)을 형성하며, 상기 마운트 내에 상기 전기적 연결부의 수용은 상기 필터 소자가 필터 소자 하우징 내에 수용된 때 커넥터에 의해 상기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하나 이상의 와이어들을 정렬시키는, 마운트.
예 25. 상기 전기적 연결부는 와이어 대 기판 전기 커넥터를 포함하는, 예 24의 마운트.
예 26. 상기 마운트는 상기 회로 기판을 관통하여 연장되도록 치수가 부여된 기판-관통 돌기를 포함하는, 예 24 또는 25의 마운트.
예 27. 상기 기판-관통 돌기는 상기 회로 기판과 스냅-핏 연결부(snap-fit connection)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예 26의 마운트.
예 28. 상기 기판-관통 돌기는 바깥쪽으로 확장된 날개를 포함하며, 상기 날개는 상기 기판-관통 돌기가 상기 회로 기판 내의 적절하게 치수 부여된 개구를 통해 삽입되는 동안 안쪽으로 휘어지되, 상기 마운트의 기판-대향 표면이 상기 회로 기판에 접근함에 따라 바깥쪽으로 확장된 위치로 복귀하도록 구성되는, 예 26 또는 27의 마운트.
예 29. 상기 마운트는 상기 필터 소자 하우징에 가역적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예 26 내지 28 중 어느 하나의 마운트.
예 30. 상기 마운트와 상기 필터 소자 하우징은 이들 사이의 상대적인 회전에 의해 연결될 수 있는, 예 26 내지 29 중 어느 하나의 마운트.
예 31. 상기 마운트는 상기 리셉터클 둘레에 방사상으로 배치된 두 개 이상의 플랜지들을 포함하는, 예 26 내지 30 중 어느 하나의 마운트.
예 32. 상기 플랜지들은 상기 리셉터클로부터 측방향 바깥쪽으로 멀어지도록 연장되는, 예 31의 마운트.
예 33. 상기 플랜지들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필터 소자 하우징의 대응되는 부분 내에 수용되도록 배치되고 치수 부여되는, 예 31 또는 32의 마운트.
예 34. 상기 플랜지들은 상기 필터 소자 하우징의 대응되는 부분을 수용하도록 배치되고 치수 부여된 오목부(depression)를 형성하는, 예 31 내지 33 중 어느 하나의 마운트.
예 35. 상기 필터 소자는 페라이트 비드이며, 상기 필터 소자 하우징은 페라이트 비드 하우징인, 예 31 내지 34 중 어느 하나의 마운트.
예 36. 상기 필터 소자는 페라이트 블록, 코어, 링, EMI 필터, 또는 초크(choke) 중 하나인, 예 24의 마운트.

Claims (30)

  1. 회로 기판;
    필터 소자;
    상기 필터 소자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회로 기판에 결합되는 필터 소자 하우징; 및
    상기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필터 소자를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를 포함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에 결합되며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를 상기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와이어 대 기판 전기 커넥터(wire-to-board electrical connector)를 더 포함하는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소자는 페라이트 비드(ferrite bead)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 소자 하우징은 페라이트 비드 하우징인, 장치.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소자는, 와이어와 와이어 대 기판 전기 커넥터 사이의 전기적 연결부를 형성하는 위치와 정렬된 개구(opening)를 형성하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는 상기 전기적 연결부를 형성하는 위치와 축방향으로 정렬되는,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소자는 전반적으로 링-형상이며;
    상기 필터 소자 하우징은 상기 필터 소자를 수용하도록 치수가 부여된(dimensioned) 캐비티(cavity)를 형성하는,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소자 하우징은, 상기 와이어 대 기판 전기 커넥터를 둘러싸는 마운트(mount)에 의해 상기 회로 기판에 결합되는,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는 제23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마운트인,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은 게이트 드라이버 유닛(gate driver unit) 또는 전력 변환기(power converter)의 부분인, 장치.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에 결합된 전력 변환기 제어기를 더 포함하는 장치.
  11.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필터 소자;
    상기 제2 필터 소자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회로 기판에 결합되는 제2 필터 소자 하우징;
    상기 회로 기판에 결합되는 제2 와이어 대 기판 전기 커넥터; 및
    상기 제2 와이어 대 기판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 필터 소자를 통과하는 제2 와이어;를 더 포함하는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소자는 페라이트 블록, 코어, 링, EMI 필터, 초크(choke) 중 하나인, 장치.
  13. 필터 소자를 회로 기판에 장착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상기 시스템은:
    필터 소자를 수용하도록 치수가 부여된 필터 소자 하우징; 및
    상기 필터 소자 하우징과 상기 회로 기판 사이에서 상기 필터 소자 하우징을 상기 회로 기판에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마운트;를 포함하는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는 상기 필터 소자 하우징과 상기 회로 기판에 연결되는, 시스템.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는, 상기 회로 기판을 관통하여 돌출되며 상기 마운트를 상기 회로 기판에 연결하도록 치수가 부여된 하나 이상의 기판-관통 돌기들을 포함하는, 시스템.
  16.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는 와이어 대 기판 전기 커넥터를 수용하도록 치수가 부여된 리셉터클(receptacle)을 형성하며, 상기 마운트 내에 상기 와이어 대 기판 전기 커넥터의 수용은 상기 커넥터에 의해 상기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하나 이상의 와이어들을 상기 필터 소자 하우징 내에 수용된 상기 필터 소자와 정렬시키는, 시스템.
  17. 제13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소자와 상기 필터 소자 하우징은 각각 하나 이상의 와이어들을 통과시키도록 치수가 부여된 각개의 개구를 형성하며,
    상기 필터 소자가 상기 필터 소자 하우징 내에 수용된 때, 상기 각개의 개구들은 정렬되는, 시스템.
  18. 제13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소자 하우징은 전반적으로 링-형상의 필터 소자를 수용하도록 치수가 부여된 전반적으로 링-형상의 캐비티를 형성하는, 시스템.
  19. 제13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소자 하우징은 상기 마운트에 가역적으로 결합되는, 시스템.
  20. 제13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소자는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가 통과하도록 구성된 개구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 소자 하우징은, 상기 회로 기판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된 와이어를 수용하도록 배향된 개구를 가진 상기 필터 소자를 수용하도록 치수가 부여된, 시스템.
  21. 제13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소자는 페라이트 비드(ferrite bead)이며,
    상기 필터 소자 하우징은 페라이트 비드 하우징인, 시스템.
  22. 제13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는 제23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마운트인, 시스템.
  23. 필터 소자를 회로 기판에 결합하도록 구성된 마운트(mount)로서,
    상기 마운트는 와이어를 상기 회로 기판에 연결하기 위한 전기적 연결부(electrical connection)를 수용하도록 치수가 부여된 리셉터클(receptacle)을 형성하며, 상기 마운트 내에 상기 전기적 연결부의 수용은 상기 필터 소자가 필터 소자 하우징 내에 수용된 때 커넥터에 의해 상기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하나 이상의 와이어들을 정렬시키는, 마운트.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연결부는 와이어 대 기판 전기 커넥터를 포함하는, 마운트.
  25. 제23항 또는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는 상기 회로 기판을 관통하여 연장되도록 치수가 부여된 기판-관통 돌기를 포함하는, 마운트.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관통 돌기는 상기 회로 기판과 스냅-핏 연결부(snap-fit connection)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마운트.
  27. 제26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관통 돌기는 바깥쪽으로 확장된 날개를 포함하며, 상기 날개는 상기 기판-관통 돌기가 상기 회로 기판 내의 적절하게 치수 부여된 개구를 통해 삽입되는 동안 안쪽으로 휘어지되, 상기 마운트의 기판-대향 표면이 상기 회로 기판에 접근함에 따라 바깥쪽으로 확장된 위치로 복귀하도록 구성되는, 마운트.
  28. 제26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는 상기 필터 소자 하우징에 가역적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마운트.
  29. 제23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소자는 페라이트 비드이며,
    상기 필터 소자 하우징은 페라이트 비드 하우징인, 마운트.
  30.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소자는 페라이트 블록, 코어, 링, EMI 필터, 또는 초크(choke) 중 하나인, 마운트.
KR1020207034345A 2018-05-31 2019-05-30 페라이트 비드 및 다른 통과형 전기 필터 소자를 위한 하우징 KR1026726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862678842P 2018-05-31 2018-05-31
US62/678,842 2018-05-31
PCT/US2019/034621 WO2019232193A1 (en) 2018-05-31 2019-05-30 Housing for ferrite beads and other pass-through electrical filter componen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5821A true KR20210015821A (ko) 2021-02-10
KR102672606B1 KR102672606B1 (ko) 2024-06-07

Family

I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074463A1 (en) 2021-03-11
CN112204683B (zh) 2023-03-07
JP2021526730A (ja) 2021-10-07
JP7404274B2 (ja) 2023-12-25
CN112204683A (zh) 2021-01-08
EP3803921A1 (en) 2021-04-14
WO2019232193A1 (en) 2019-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89350B2 (ja) 回路基板と導電レールとを有するフィルタ
US4661792A (en) Apparatus for mounting printed circuit boards
JPH03116674A (ja) 電気フイルタコネクタ
JP2004523078A (ja) 改良された超小型コネクタ組立て品と製造方法
JP2003526195A (ja) 部品キャリア
JP2000353573A (ja) 終端装置及びプローブ・ヘッド
US20220407390A1 (en) Emc filter plug-in arrangement
EP1978604A2 (en) High-density pass-through filter apparatus
EP3226265A1 (en) Coil-included terminal block
US20210212192A1 (en) Circuit device
JP3218900U (ja) フィルタコネクタ
US7018240B2 (en) Motor assembly of X2Y RFI attenuation capacitors for motor radio frequency interference (RFI) and 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EMC) suppression
KR102672606B1 (ko) 페라이트 비드 및 다른 통과형 전기 필터 소자를 위한 하우징
KR20210015821A (ko) 페라이트 비드 및 다른 통과형 전기 필터 소자를 위한 하우징
JP2007123447A (ja) 電子機器
JP2009010116A (ja) 表面実装型電子部品
CN103943331A (zh) 变压器组件及其制造方法以及电源转换器
KR101654991B1 (ko) 유도 구성품
JP2014157718A (ja) ケーブルコネクタおよびケーブルアッセンブリ
US10692647B2 (en) Coil component
KR100723550B1 (ko) 구성요소 패키지를 갖는 전기 커넥터
US6821130B2 (en) Device and method using a flexible circuit secured for reliably inter-connecting components therein in the presence of vibration events
GB2184293A (en) Screening enclosures for electronic circuits
CN210123936U (zh) 变频器-滤波器组件
KR101150168B1 (ko) 케이블 고정접속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