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5700A - 수술 기구 - Google Patents

수술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5700A
KR20210015700A KR1020200095444A KR20200095444A KR20210015700A KR 20210015700 A KR20210015700 A KR 20210015700A KR 1020200095444 A KR1020200095444 A KR 1020200095444A KR 20200095444 A KR20200095444 A KR 20200095444A KR 20210015700 A KR20210015700 A KR 202100157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gical instrument
blade
longitudinal axis
ultrasonic
bas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5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파융크-스켈링 시모네
하우거 마틴
Original Assignee
파융크 게엠베하 메디친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융크 게엠베하 메디친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파융크 게엠베하 메디친테크놀로지
Publication of KR20210015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57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9Markers, e.g. radio-opaque or breast lesions mark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016Endoscopic cutting instruments, e.g. arthroscopes, resectoscopes
    • A61B17/320036Endoscopic cutting instruments, e.g. arthroscopes, resectoscopes adapted for use within the carpal tunn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9Incision instruments
    • A61B17/3211Surgical scalpels, knives; Accessories therefor
    • A61B17/3213Surgical scalpels, knive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achable bla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016Endoscopic cutting instruments, e.g. arthroscopes, resect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08Detecting organic movements or changes, e.g. tumours, cysts, swellings
    • A61B8/0858Detecting organic movements or changes, e.g. tumours, cysts, swellings involving measuring tissue layers, e.g. skin,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8Accessories or related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6Image-producing devices or illumination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90/361Image-producing devices, e.g. surgical camer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6Image-producing devices or illumination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90/37Surgical systems with images on a monitor during oper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5/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 G01S15/88Son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5/89Son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mapping or imag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238Type of minimally invasive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2017/320052Guides for cutting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8Accessories or related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90/0801Prevention of accidental cutting or pricking
    • A61B2090/08021Prevention of accidental cutting or pricking of the patient or his org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6Image-producing devices or illumination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90/37Surgical systems with images on a monitor during operation
    • A61B2090/378Surgical systems with images on a monitor during operation using ultrasound
    • A61B2090/3782Surgical systems with images on a monitor during operation using ultrasound transmitter or receiver in catheter or minimal invasive instru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9Markers, e.g. radio-opaque or breast lesions markers
    • A61B2090/3925Markers, e.g. radio-opaque or breast lesions markers ultrason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48Diagnostic techniques
    • A61B8/481Diagnostic techniques involving the use of contrast agent, e.g. microbubbles introduced into the bloodstrea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핸들(20)과 그 위에 배치된 오목하게 형성된 절삭날을 갖는 블레이드(30)를 구비하고, 블레이드(30)가 평면(EK)를 갖는 수술 기구(10)에 있어서, 상기 수술 기구(10)는 초음파 가시성-향상 수단(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 기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술 기구{SURGICAL INSTRUMENT}
본 발명은 수술 기구에 관한 것이다.
엄지와 손허리(metacarpus)의 근육들을 자극하는 손의 정중신경(median nerve)은 소위 손목 터널(carpal tunnel)로 불리우는 터널형 튜브를 통과한다. 손목의 수준에서, 엄지와 새끼손가락 사이에 넓은 인대가 뻗어있다. 굽힘근지지띠(retinaculum flexorum)로도 불리는 이러한 인대는 정중신경과 손가락의 굽힘힘줄을 포함하는 손목 터널의 루프를 형성한다. 손목 터널 증후군에서, 이 채널은 과도하게 수축되고 정중신경이 압박된다. 이것은 예를 들어 손의 저림이나 마비와 같은 형태의 불편함을 유발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손목 터널 증후군의 치료를 위해 외과적 시술이 필요하다. 이 수술은 손목뼈 위로 뻗어있고 손목 터널을 손바닥 쪽에 한정하는 굽힘근지지띠를 절단하여 신경 채널을 확장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러한 시술은 최소침습수술 절차뿐만 아니라 개방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손목 루프에 대해 최소 침습적인 수술에서는, 손목의 손바닥쪽을 약 2 ㎝ 절개한다. 이러한 절개 부위를 통해서 소형 나이프를 갖는 소형 프로브가 정중신경과 손목 루프 사이에 손목 터널 내로 도입된다. 프로브가 손목 터널 내에 위치되면, 손목 루프가 내부로부터 유리될 수 있다. 다른 수술 방법에서는, 2 내지 3 ㎝의 긴 절개부위를 손목 터널 끝 부분에 형성하고나서, 직접 보면서 횡손목인대(transverse wrist ligament)의 보이는 부분을 절단한다. 인대의 나머지 부분은 직접 보지 않는 블라인드 상태에서 가위나 특수 나이프로 절단될 수 있다.
최소침습시술을 위해, 핸들 및 그위에 배치된 오목하게 형성된 절삭날을 갖는 블레이드를 갖는 수술 기구가 공지되어 있고, 여기서 블레이드는 평면을 갖는다. 최소침습시술은 손으로 뻗는 신경에 매우 근접하게 블레이드를 전진시켜야 하기 때문에 신경이 손상될 위험이 존재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손의 손목 터널에 대한 최소침습시술의 안전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수술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특허 청구항 제1항의 특성을 갖는 수술 기구를 통해서 해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들 및 추가적인 세부 특징들은 종속항에 명시되어 있다.
핸들과 그위에 배치된 오목하게 형성된 절삭날을 갖는 블레이드를 갖고, 블레이드가 평면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수술 기구는, 수술 기구가 초음파 가시성-향상 수단 또는 도구(ultrasound visibility-enhancing means or medi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초음파 가시성을 향상시키는 수단을 배치함으로써, 수술 기구는 최소 침습 시술 중에 가시적이 되어서, 외과의사가 시술 중 언제나 수술 기구의 블레이드가 손의 어느 지점에 위치하는지 신경을 손상시킬 위험이 없는지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수술 기구의 전진 동작을 제때에 수정할 수 있게 되어 신경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초음파 가시성-향상 수단은 바람직하게 초음파 가시성을 특히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초음파 반사기들(ultrasound reflectors)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추가 구현예에 의하면, 초음파 반사기들은 오목부들(indentations)로 형성된다. 이것은 초음파 가시성-향상 수단의 간단한 제조를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는 상기 오목부들은 각각의 경우에 서로 수직으로 배향되는 2 개 이상, 바람직하게 정확하게 3 개의 측면들을 포함하는 것을 제공한다. 이러한 오목부는 특히 우수한 초음파 가시성을 허용한다. 특히, 서로 직교하는 정확하게 3 개의 측면을 갖는 오목부는 상이한 방향들로부터 우수한 초음파 가시성을 얻을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초음파 가시성-향상 수단은 상기 블레이드 상에 떼어낼 수 없게 배치되는데, 예를 들어 부착되거나 일체로 결합된다. 이러한 배치에 의해서 초음파 가시성-향상 수단과 블레이드 사이의 상대적인 배향이 보장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초음파 가시성-향상 수단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코팅체가 제공된다. 코팅체는 초음파에 대해서 투과성으로 구현된다. 이러한 코팅체는 예를 들어, 오목부가 코팅체로 채워질 수 있고 코팅체가 매끄러운 외부면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수술 기구의 세정성(cleanability)을 향상시킬 수 있다.
초음파 가시성-향상 수단은 바람직하게 적어도 부분적으로 블레이드와 함께 캡슐화된다. 이에 의해, 오염물이 축적될 수 있는 틈새 또는 스크래치가 감소되거나 제거될 수 있다.
초음파 가시성-향상 수단은 바람직하게 평면(plane)을 포함하는 시이트형 베이스 부재(sheet-like base element)를 포함한다. 이러한 베이스 부재는 초음파 가시성-향상 수단의 계획된 특수한 배향을 허용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추가 실시예에 의하면, 초음파 반사기는 상기 베이스 부재 상에 배치된다. 이것은 제조의 간단성을 보장한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는 시트형 베이스 부재의 평면이 블레이드의 평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치되는 것을 제공한다. 이것은 통상적으로 수술 중에 피부 표면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블레이드의 특히 우수한 초음파 가시성을 보장한다.
초음파 가시성은 오목부의 측면들 중 제1 측면이 베이스 부재의 평면에 대해 약 35°의 각도를 형성하는 경우에 더욱 더 향상된다.
바람직하게 오목부의 측면들 중의 제2 및 제3 측면들이 베이스 부재의 종축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되는 경우에 초음파 가시성의 추가적인 개선이 달성될 수 있다.
오목부는 바람직하게 베이스 부재의 외표면에 삼각형 베이스 영역을 포함하고, 여기서 삼각형의 정점은 수술 기구의 윈위 단부를 가리킨다. 이러한 물리적 형태는 초음파 가시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수술 기구는 원위 단부와 근위 단부를 갖는 스타일러스 형태로 형성되고, 블레이드는 근위 단부, 바람직하게 근위 단부의 전방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물리적 형태는 최소침습시술에 유리하다.
블레이드는 바람직하게 블레이드 홀더 상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추가 실시예에 의하면, 초음파 가시성-향상 수단은 블레이드상이 아니라 블레이드 홀더에 뗄 수 없게 배치될 수도 있다. 초음파 가시성- 향상 수단은 예를 들어 블레이드 홀더에 접착되거나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블레이드가 블레이드 홀더에 고정되면, 블레이드와 초음파 가시성-향상 수단 사이의 상대적인 배치는 이런 식으로 보장될 수 있다.
블레이드 홀더는 핸들 상에 일체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블레이드 또는 블레이드 홀더는 바람직하게 나사 연결부 또는 베이요넷 연결부에 의해 핸들에 탈착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탈착식 고정은 교환 및 교체를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구성은 블레이드 또는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블레이드 홀더가 핸들은 재사용가능하도록 구현되고 블레이드는 1회 사용 후에 버려지도록 구현될 수 있도록 보장한다.
수술 기구는 바람직하게 실질적으로 핸들에 의해서 형성되고 제1 종축을 갖는 제1 섹션 및 바람직하게 실질적으로 블레이드 홀더에 의해 형성되고 제2 종축을 갖는 제2 섹션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2 종축은 제1 종축에 대해서 소정의 각도로 구부러지는데, 이러한 각도는 10° 내지 40°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의 범위, 특히 바람직하게는 25°이다. 이러한 구성은 최소침습시술에 유리하다.
제2 종축이 제1 종축에 대해 구부러지는 각도는 바람직하게 블레이드의 평면에 놓여서, 수술 과정 동안 조작이 용이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의 수술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술 기구의 원위 단부의 확대상세도이다.
도 3은 블레이드 홀더를 제거한 도 2에 도시된 수술 기구의 원위 단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원위 단부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원위 단부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수술 기구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A-A 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3의 C의 확대상세도이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술 기구(10)의 다양한 도면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수술 기구(10)는 핸들(20) 및 오목하게 형성된 절삭날(32)을 갖는 핸들에 배치된 블레이드(30)를 포함한다. 블레이드(30)는 나이프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그 내부에 표면에 대해서 평행하게 연장되는 평면 EK을 포함한다. 도 7에서, 블레이드(30)의 평면(EK)은 종이의 평면이고 도 5에 부분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나이프형 블레이드의 두께는 적절한 안정성을 보장하기에 충분해야 한다. 절삭날(32)은 예를 들어 U자형 또는 V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절삭날(32)은 특히 블레이드(30)의 평면(EK)에 놓인다. 절삭날(32)은 예를 들어 나이프형 블레이드(30)의 하나의 측면 에지에서 시작하여 오목한 리세스로 형성될 수 있다.
블레이드(30)는 핸들(20) 상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블레이드(30)는 핸들(20) 상에 배치된 블레이드 홀더(50)에 고정된다. 본 발명에서 블레이드 홀더(50)는 핸들(20)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나사형 연결부(60) 또는 베이오넷 연결부를 통해서 핸들(20)에 탈착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블레이드(30)의 손쉬운 교환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블레이드 홀더(50)를 포함하는 블레이드(30)가 교환될 수 있게 한다.
수술 기구(10)는 주로 핸들(20)에 의해서 형성되고, 제1 종축(l1)을 갖는 제1 섹션(14)과 주로 블레이드 홀더(50)에 의해서 형성되고, 제2 종축(l2)을 갖는 제2 섹션(1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종축(l1)과 제2 종축(l2)은 정렬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 제2종축(l2)은 제1 종축(l1)에 대해서 소정의 각도(α)로 구부러진다. 상기 각도(α)는 10° 내지 40°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의 범위, 특히 바람직하게는 25°이다. 제2 종축(l2)이 제1 종축(l1)에 대해 구부러지는 각도(α)는 바람직하게 블레이드(30)의 평면(EK)에 놓인다(도 7 참조).
수술 기구(10)는 원위 단부(11)와 근위 단부(12)를 갖는 스타일러스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블레이드(30)는 근위 단부(12)에 배치되는데, 특히 근위 단부(12)에 전방으로 배치된다. 본원에서 블레이드(30)는 핸들(20)인 제1 섹션의 종축(l2)이 블레이드(30)의 평면에 놓이도록 배향된다.
수술 기구(10)는 초음파 가시성-향상 수단(40)을 포함한다. 이러한 수단(40)은 근위 단부(12)에 배치되거나 근위 단부에 근접하여 배치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 블레이드(30) 상에 배치된다. 초음파 가시성-향상 수단(40)은 블레이드(30) 또는 블레이드 홀더(50) 상에 뗄 수 없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초음파 가시성-향상 수단(40)은 예를 들어 블레이드(30)에 부착되거나 블레이드(30) 또는 블레이드 홀더(50)와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초음파 가시성-향상 수단(40)은 클리핑되거나 스냅될 수 있다. 초음파 가시성-향상 수단(40)은 크랙이나 균열을 저감하거나 방지하기 위해서 블레이드(30) 또는 블레이드 홀더(50)와 함께 캡슐화될 수 있다.
초음파 가시성-향상 수단(40)은 특히 오목부(44)로서 구현될 수 있는 초음파 반사기들을 포함한다. 오목부들(44)은 특히 초음파가 오목부(44)에 충돌하는 방향과 무관하게 초음파를 반사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오목부(44)는 예를 들어 서로 직교하는 정확히 3 개의 측면들(44a, 44b, 44c)을 가질 수 있다(특히 도 8 참조). 그 결과로 오목부(44)는 표면에 음각된 입방체의 모서리 같은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오목부(44)는 입사 방향과 독립적으로 입사 방향과 평행한 입사 초음파 빔을 반사시킨다.
오목부(44)의 제1 측면(44a)은 베이스 부재(42)의 평면(EB)과 대략 35°의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측면(44B) 및 제3 측면(44C)는 베이스 부재(42)의 종축(lB)에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목부(44)는 베이스 부재(42)의 외표면에 삼각형 베이스 영역(44d)을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삼각형의 정점은 수술 기구(10)의 원위 단부(11)를 가리킨다(도 4 및 8 참조).
초음파 가시성-향상 수단(40)은 바람직하게 시트형 베이스 부재(42)의 표면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평면(EB)을 포함하는 시트형 베이스 부재(42)를 포함한다. 도 4의 베이스 부재(42)의 평면(EB)은 종이의 평면이고, 도 5에 부분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베이스 부재(42)의 평면(EB)은 블레이드(30)의 평면(EK)에 특히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연장된다. 오목부들(44)은 특히 시트형 베이스 부재(42)에 배치된다. 따라서 시트형 베이스 부재(42)는 오목부(44)의 깊이보다 큰 적절한 두께를 가져야 한다. 베이스 부재(42)는 나이프형 블레이드(30)의 측면 에지들 중 하나 상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대안으로, 베이스 부재(4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이프형 블레이드(30)의 측면 에지들 중 하나에 연결 브래킷(46)에 의해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 부재(42)의 길이는 본 명세서에서 블레이드(30)의 길이보다 길거나 짧거나 동일할 수 있다.
초음파 가시성-향상 수단(40)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코팅체가 제공될 수 있는데, 특히 오목부(44)를 채우고 쉽게 세척가능한 매끄러운 외부면을 형성하는 코팅체를 형성할 수 있다. 초음파 가시성-향상 수단(40)은 특히 금속으로 제조될 수 있는 반면에, 코팅체는 예를 들어 초음파-투과 물질로 제조될 수 있다. 블레이드 홀더(50) 및/또는 핸들(20)은 예를 들어 사출 성형 공정을 이용하여 합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으며, 특히 블레이드 홀더(50) 및 핸들(20)은 두 부분으로 형성되거나 서로 연결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10: 수술 기구
11: 원위 단부
12: 근위 단부
14: 제1 섹션
15: 제2 섹션
20: 핸들
30: 블레이드
32: 절삭날
40: 초음파 가시성-향상 수단
42: 베이스 부재
44: 오목부
44a: 제1 측면
44b: 제2 측면
44c: 제3 측면
44d: 베이스 영역
46: 연결 브래킷
50: 블레이드 홀더
60: 나사 연결부
EK: 블레이드의 평면
EB: 베이스 부재의 평면
lB: 베이스 부재의 종축
l1: 제1 종축
l2: 제2 종축
α: 각도

Claims (19)

  1. 핸들(20)과 그 위에 배치된 오목하게 형성된 절삭날을 갖는 블레이드(30)를 구비하고, 블레이드(30)가 평면(EK)을 갖는 수술 기구(10)에 있어서,
    상기 수술 기구(10)는 초음파 가시성-향상 수단(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가시성-향상 수단(40)은 초음파 반사기들(ultrasound reflectors)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 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반사기들은 오목부들(44)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 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들(44)은 각각의 경우에 서로에 대해서 수직으로 배향된 두 개 이상, 바람직하게 정확하게 3 개의 측면들(44A, 44B, 44C)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 기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가시성-향상 수단(40)은 예를 들어 접착에 의해서 또는 서로 일체로 결합되어 블레이드(30)에 뗄 수 없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 기구.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가시성-향상 수단(40)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코팅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 기구.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가시성-향상 수단(40)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블레이드(30)와 함께 캡슐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 기구.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가시성-향상 수단(40)은 평면(EB)을 포함하는 시트형 베이스 부재(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 기구.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반사기들은 상기 베이스 부재(EB)(42)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기구.
  10. 제8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형 베이스 부재(42)의 평면(EB)은 블레이드(30)의 평면(EK)에 대해서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기구.
  11. 제3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오목부(44)의 측면들(44a) 가운데 제1 측면이 베이스 부재(42)의 평면(EB)에 대해서 약 35°의 각도(α)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기구.
  12. 제3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제2 및 제3 측면들(44b, 44c)은 베이스 부재(42)의 종축(lB)에 대해서 실질적으로 대칭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기구.
  13. 제3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들(44)은 베이스 부재(42)의 외표면에 삼각형 베이스 영역(44d)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삼각형의 정점은 수술 기구(10)의 원위 단부(11)를 가리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기구.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수술 기구(10)는 원위 단부(11)와 근위 단부(12)를 갖는 스타일러스 형태로 형성되고, 여기서 상기 블레이드(30)는 근위 단부(12)에, 바람직하게 근위 단부(12)의 전방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기구.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30)는 블레이드 홀더(50)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기구.
  16. 제15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가시성-향상 수단(40)은 예를 들어 접착에 의해서 또는 서로 일체로 결합되어 블레이드 홀더에 뗄 수 없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 기구.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30) 또는 블레이드 홀더(50)는 핸들(20)에 탈착가능하게, 바람직하게 나사 연결부(60) 또는 베이오넷 연결부에 의해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기구.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수술 기구(10)는 바람직하게 실질적으로 핸들(20)에 의해서 형성되고, 제1 종축(l1)을 갖는 제1 섹션(14)과 바람직하게 실질적으로 블레이드 홀더(50)에 의해서 형성되고, 제2 종축(l2)을 갖는 제2 섹션(15)을 포함하고, 여기서 제2종축(l2)은 제1 종축(l1)에 대해서 소정의 각도(α)로 구부러지며, 상기 각도(α)는 10° 내지 40°의 범위, 바람직하게 20° 내지 30°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기구.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종축(l2)이 제1 종축(l1)에 대해서 구부러지는 각도(α)는 블레이드(30)의 평면(EK)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 기구.
KR1020200095444A 2019-07-31 2020-07-30 수술 기구 KR2021001570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9120671.5A DE102019120671A1 (de) 2019-07-31 2019-07-31 Chirurgisches Instrument
DE102019120671.5 2019-07-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5700A true KR20210015700A (ko) 2021-02-10

Family

ID=71527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5444A KR20210015700A (ko) 2019-07-31 2020-07-30 수술 기구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10030513A1 (ko)
EP (1) EP3771445B1 (ko)
KR (1) KR20210015700A (ko)
CN (1) CN112294401A (ko)
AU (1) AU2020207884A1 (ko)
CA (1) CA3087471A1 (ko)
DE (1) DE102019120671A1 (ko)
DK (1) DK3771445T3 (ko)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87222A (en) * 1993-05-14 1995-02-07 Strickland; James W. Carpal tunnel tome and carpal tunnel release surgery
US5413580A (en) * 1993-06-14 1995-05-09 Stephenson; David V. Carpal tunnel knife
US5908433A (en) * 1996-05-10 1999-06-01 Stryker Corporation Carpal tunnel knife
US6019774A (en) * 1998-12-10 2000-02-01 Kinetikos Medical Incorporated Carpal tunnel release apparatus and method
US6358211B1 (en) * 1999-10-12 2002-03-19 Scimed Life Systems, Inc. Ultrasound lucent apparatus and methods of using
US20060241665A1 (en) * 2005-04-08 2006-10-26 Vance Products Incorporated, D/B/A Cook Urological Incorporated Percutaneous and endoscopic cutters
DE102009030254B4 (de) * 2009-06-23 2018-02-08 Geuder Ag Chirurgisches Messer
US8652157B2 (en) * 2009-08-07 2014-02-18 Thayer Intellectual Property, Inc.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ment of compressed nerves
US20140171790A1 (en) * 2012-04-30 2014-06-19 Joseph Guo Method and apparatus for thread transection of a body tissue
WO2015156919A1 (en) * 2014-02-27 2015-10-15 The George Washington University Ultrasound visible catheter
EP3193748B1 (en) * 2014-09-18 2020-07-01 Mayo Foundation for Medical Education and Research Soft tissue cutting device
US20170042565A1 (en) * 2015-08-11 2017-02-16 Summit Medical Products, Inc. Cannula guided surgical tool
US10864055B2 (en) * 2017-10-13 2020-12-15 Sonex Health, Inc. Tray for a soft tissue cutting device and methods of 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20207884A1 (en) 2021-02-18
EP3771445A1 (de) 2021-02-03
CA3087471A1 (en) 2021-01-31
DK3771445T3 (da) 2024-05-06
US20210030513A1 (en) 2021-02-04
DE102019120671A1 (de) 2021-02-04
CN112294401A (zh) 2021-02-02
EP3771445B1 (de) 2024-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35528A (en) Hockey stick chisel
US11395663B2 (en) Surgical saw blade for wedge osteotomies
US4239045A (en) Surgical knife
US5100391A (en) Double-bladed scalpel
KR101651715B1 (ko) 의료용 나이프 손잡이 및 나이프
US20070073303A1 (en) Bone-cutting circular saw
ES2912193T3 (es) Instrumento ultrasónico
DK1138264T3 (da) Kirurgisk ultralydblad med forbedrede skærende og koagulationsfremmende egenskaber
WO2004064651A3 (en) Apparatus for making precise incisions in body vesseles
WO1991015158A1 (en) Double-bladed scalpel
US5413580A (en) Carpal tunnel knife
US20060271077A1 (en) Combination scalpel blade
WO2018195482A1 (en) Ergonomic scalpel
US20050065542A1 (en) Surgical cutting tools and related methods
US20080312658A1 (en) Bone-shaping tools
US20110230887A1 (en) Double row keel cut saw blade
KR20210015700A (ko) 수술 기구
JPH11169379A (ja) 手術用メス
KR200446835Y1 (ko) 치과시술용 절삭 팁
US20110034932A1 (en) Surgical chisel assembly and method of use
CN211325364U (zh) 一种限位式弧形骨刀
US8900258B2 (en) Debridement device
KR101491710B1 (ko) 초음파 방식 의료 시술용 턱관절 절삭 팁
SU1438743A1 (ru) Инструмент дл эндоназальной хирургии
KR102264307B1 (ko) 새로운 형태의 수술용 메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