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4514A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sensor based on palladium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sensor based on palladiu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4514A
KR20210014514A KR1020190092686A KR20190092686A KR20210014514A KR 20210014514 A KR20210014514 A KR 20210014514A KR 1020190092686 A KR1020190092686 A KR 1020190092686A KR 20190092686 A KR20190092686 A KR 20190092686A KR 20210014514 A KR20210014514 A KR 202100145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lladium
substrate
assembly
aggregate
based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26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23066B1 (en
Inventor
박인규
조민규
지안성주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900926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3066B1/en
Publication of KR20210014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451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3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306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403Cells and electrode assemblies
    • G01N27/406Cells and probes with solid electrolytes
    • G01N27/407Cells and probes with solid electrolytes for investigating or analysing gase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02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co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06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 C23C14/14Metallic material, boron or silicon
    • C23C14/20Metallic material, boron or silicon on organic substr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58After-treatment
    • C23C14/5873Removal of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27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 G01N33/0036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specially adapted to detect a particular component
    • G01N33/005H2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Physical Vapour Deposition (AREA)

Abstrac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palladium-based sensor comprises: a step of forming an assembly having porosity on a first substrate by using electric radiation; a step of depositing the palladium on the assembly at predetermined thickness; a step of arranging the assembly where the palladium is deposited on a second substrate; a step of forming a palladium tube having an assembly-shaped space based on the assembly disposed on the substrate molten by using an organic solvent; and a step of manufacturing a palladium-based sensor by using the second substrate and the palladium tube.

Description

팔라듐 기반 센서 제조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SENSOR BASED ON PALLADIUM}Palladium-based sensor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SENSOR BASED ON PALLADIUM}

본 발명은 용해가능한 다공성의 집합체를 이용하여 팔라듐 기반 센서를 제조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palladium based sensor using a soluble porous aggregate.

수소는 새롭게 각광받는 에너지 자원으로서, 수소를 주요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경제산업구조인 수소경제는 차세대 에너지 생태계로서 주목받고 있다. 안정적인 수소경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자원, 인프라 및 연료 저장 시스템과 같은 수소경제와 관련된 전반적인 부분의 안전이 요구된다. 이러한 측면에서, 수소의 누출을 감지하는 센서는 안전한 수소경제의 유지를 위한 중요한 역할을 한다. Hydrogen is a newly spotlighted energy resource, and the hydrogen economy, which is an economic industrial structure that uses hydrogen as a major energy source, is drawing attention as a next-generation energy ecosystem. In order to maintain a stable hydrogen economy, the overall safety of the hydrogen economy, such as resources, infrastructure and fuel storage systems, is required. In this respect, a sensor that detects the leakage of hydrogen plays an important role in maintaining a safe hydrogen economy.

수소의 누출을 감지하는 센서에는 다양한 원리로 동작하는 많은 센서들이 있는데, 그 중 팔라듐 기반 센서는 저전력으로 구동이 가능하고 감지속도가 빠르다는 이점이 있어 이에 대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There are many sensors that operate on a variety of principles in the sensor for detecting the leakage of hydrogen, among which palladium-based sensors have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operate with low power and high detection speed, so a lot of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this.

팔라듐 기반 센서는, 수소 분자의 팔라듐에 대한 흡수, 해리 확산으로부터 생성된 팔라듐 하이드라이드(PdHx) 형성에 의하여 저항이 변화되는 원리를 이용한 센서이다. 팔라듐 기반 센서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 중 하나는 팔라듐의 부피 대 표면적을 높이기 위하여 나노 구조체를 형성하는 것이다. The palladium-based sensor is a sensor using the principle that resistance is changed by the formation of palladium hydride (PdHx) generated from absorption of palladium by hydrogen molecules and dissociation diffusion. One of the ways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a palladium-based sensor is to form a nanostructure to increase the volume versus surface area of palladium.

나노 구조체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포토리소그래피 공정 등을 이용해야 하는데, 이러한 공정의 경우 제조 비용이 높거나 제조 공정이 다소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보다 간단하며 용이한 방법으로 팔라듐 기반 센서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In order to form a nanostructure, a photolithography process or the like must be used, but this process has disadvantages that the manufacturing cost is high or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somewhat complicated.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palladium-based sensor in a simpler and easier method.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119151호 (2018년 11월 01일 공개)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119151 (published on November 01, 2018)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용해가능한 다공성의 집합체를 이용하여 팔라듐을 형성함으로써 보다 용이하고 저렴하게 팔라듐 기반 센서를 제조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palladium-based sensor more easily and inexpensively by forming palladium using a soluble porous aggregate.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바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는 않았으나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는 목적을 포함할 수 있다.However, 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as mentioned above, and are not mentioned, but include objects that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can do.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팔라듐 기반 센서 제조 방법은, 전기방사를 이용하여 제1 기판 위에 다공성을 가지는 집합체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집합체에 소정 두께로 팔라듐을 증착하는 단계와, 상기 팔라듐이 증착된 상기 집합체를 제2 기판 상에 배치하는 단계와, 유기용매제를 이용하여 상기 제2 기판 상에 배치된 집합체를 녹임에 기초하여, 상기 집합체 형상의 공간을 포함하는 팔라듐 튜브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2 기판 및 상기 팔라듐 튜브를 이용하여 팔라듐 기반 센서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alladium-based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forming an aggregate having a porosity on a first substrate using electrospinning, depositing palladium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on the aggregate, and the palladium Arranging the deposited aggregate on a second substrate, and forming a palladium tube including the aggregate-shaped space based on melting the aggregate disposed on the second substrate using an organic solvent And, it may include the step of manufacturing a palladium-based sensor using the second substrate and the palladium tube.

또한, 상기 집합체를 형성하는 단계는, 소정 크기의 개구부를 가지며 상기 집합체를 구성할 물질이 내부에 포함된 물체와 상기 제1 기판 사이에 소정 전압이 인가되도록 하여 상기 개구부로 상기 물질이 방출됨에 기초하여 상기 다공성을 가지는 집합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orming of the aggregate may be based on the fact that a predetermined voltage is applied between the first substrate and the object having an opening of a predetermined size and containing a material constituting the assembly therein so that the material is discharged through the opening. By doing so, it may include the step of forming an aggregate having the porosity.

또한, 상기 다공성을 가지는 집합체는, PVA(polyvinyl alcohol)로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ggregate having the porosity may be composed of polyvinyl alcohol (PVA).

또한, 상기 팔라듐을 증착하는 단계는, 상기 집합체가 진공 챔버에 위치됨에 기초하여, 상기 진공 챔버 내에서 상기 팔라듐을 증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depositing the palladium may include depositing the palladium in the vacuum chamber based on the assembly being located in the vacuum chamber.

또한, 상기 다공성을 가지는 집합체는, 실 형태의 물질이 그룹화되어 내부에 공간이 포함됨에 기초하여 상기 다공성을 가지게 되고, 상기 실 형태의 물질의 단면은 원형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porous aggregate may have the porosity based on the fact that the thread-shaped material is grouped to include a space therein, and the cross-section of the thread-shaped material may be circular.

또한, 상기 팔라듐 튜브는, 하프파이프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palladium tube may have a shape of a half pipe.

또한, 상기 제1 기판은 소정 크기의 홀을 가지고, 상기 집합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기판의 홀 상부에서 공중부유된 채로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substrate may have a hole of a predetermined size, and at least a part of the assembly may be formed while floating above the hole of the first substrat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팔라듐 기반 센서 제조 장치는, 전기방사를 이용하여 제1 기판 위에 다공성을 가지는 집합체를 형성하는 집합체 형성부와, 상기 집합체에 소정 두께로 팔라듐을 증착하는 증착부와, 상기 팔라듐이 증착된 상기 집합체를 센서를 구성할 제2 기판 상에 배치하는 배치부와, 유기용매제를 이용하여 상기 제2 기판 상에 배치된 집합체를 녹임에 기초하여, 상기 집합체 형상의 공간을 포함하는 팔라듐 튜브를 형성하는 튜브 형성부와, 상기 제2 기판 및 상기 팔라듐 튜브를 이용하여 팔라듐 기반 센서를 제조하는 센서 제조부를 포함할 수 있다.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palladium-based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ssembly forming unit for forming an aggregate having porosity on a first substrate by using electrospinning, and a deposition unit for depositing palladium at a predetermined thickness on the assembly, On the basis of dissolving the assembly disposed on the second substrate using an organic solvent and an arrangement portion for disposing the assembly on which the palladium is deposited on a second substrate to form a sensor, the assembly-shaped space is A tube forming unit for forming a palladium tube including, and a sensor manufacturing unit for manufacturing a palladium-based sensor using the second substrate and the palladium tube.

또한, 상기 집합체 형성부는, 소정 크기의 개구부를 가지며 상기 집합체를 구성할 물질이 내부에 포함된 물체와 상기 제1 기판 사이에 소정 전압이 인가되도록 하여 상기 개구부로 상기 물질이 방출됨에 기초하여 상기 다공성을 가지는 집합체를 형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ssembly forming unit has an opening of a predetermined size, and a predetermined voltage is applied between the first substrate and the object containing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assembly, so that the porosity is discharged through the opening. Can form an aggregate with

또한, 상기 다공성을 가지는 집합체는, PVA(polyvinyl alcohol)로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ggregate having the porosity may be composed of polyvinyl alcohol (PVA).

또한, 상기 증착부는, 상기 집합체가 진공 챔버에 위치됨에 기초하여, 상기 진공 챔버 내에서 상기 팔라듐을 증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eposition unit may deposit the palladium in the vacuum chamber based on the assembly being located in the vacuum chamber.

또한, 상기 다공성을 가지는 집합체는, 실 형태의 물질이 그룹화되어 내부에 공간이 포함됨에 기초하여 상기 다공성을 가지게 되고, 상기 실 형태의 물질의 단면은 원형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porous aggregate may have the porosity based on the fact that the thread-shaped material is grouped to include a space therein, and the cross-section of the thread-shaped material may be circular.

또한, 상기 팔라듐 튜브는, 하프파이프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palladium tube may have a shape of a half pipe.

또한, 상기 제1 기판은 소정 크기의 홀을 가지고, 상기 집합체 형성부는, 상기 제1 기판의 홀 상부에서 공중부유된 상태로 상기 집합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substrate may have a hole of a predetermined size, and the assembly forming part may form at least a part of the assembly while floating above the hole of the first substrat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팔라듐 기반 센서는, 기판과,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하프파이프 형태의 팔라듐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팔라듐 튜브는, 전기방사를 이용하여 형성된 다공성 집합체 상에 소정 두께로 팔라듐이 증착되고, 상기 팔라듐이 증착된 상기 집합체가 상기 기판에 배치됨에 기초하여, 상기 집합체가 유기용매제에 의해 녹여짐에 기초하여 형성될 수 있다. A palladium-based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bstrate and a palladium tube in the form of a half pipe disposed on the substrate, and the palladium tube has a predetermined thickness on a porous assembly formed using electrospinning. Palladium is deposited, and the aggregate on which the palladium is deposited is disposed on the substrate, and thus the aggregate may be formed on the basis of melting by an organic solven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팔라듐 기반 센서 제조 방법 및 장치는, 용해가능한 다공성의 집합체를 이용하여 팔라듐을 형성함으로써 보다 용이하고 저렴하게 팔라듐 기반 센서를 제조할 수 있다. In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palladium-based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lladium-based sensor can be manufactured more easily and inexpensively by forming palladium using a soluble porous aggregate.

다만,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However, the effects obtainable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I will be able to.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팔라듐 기반 센서 제조 방법의 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팔라듐 기반 센서 제조 장치의 기능 블록도의 예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팔라듐 기반 센서 제조 방법의 각 단계의 흐름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팔라듐 기반 센서의 제조 과정에서 도출되는 실험 결과물의 예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팔라듐 기반 센서의 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한다.
1 conceptually shows an example of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palladium-based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shows an example of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palladium-based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shows the flow of each step of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palladium-based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shows an example of experimental results derived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a palladium-based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conceptually illustrates an example of a palladium-based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주는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erson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claim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실제로 필요한 경우 외에는 생략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will be omitted except when actually necessary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users or operators.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includ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embodiment, and should be understood as including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including an ordinal number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corresponding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connected' or'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the middle. Should b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팔라듐 기반 센서 제조 방법의 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1은 팔라듐 기반 센서 제조 방법의 단계와 단계별 획득되는 결과물에 도시한다. 1 conceptually shows an example of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palladium-based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FIG. 1 shows the steps of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palladium-based sensor and a result obtained step by step.

참조번호 1a에 따르면, 물체(10)로부터 제1 기판(30) 상에 다공성을 가지는 집합체(20)를 구성할 물질이 방사될 수 있다. 물체(10)는 전도성을 가지는 물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소정 크기의 개구부(1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물질은 유기용매제에 의해 용해 가능한 다양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물질은 PVA(polyvinyl alcohol)로 이루어질 수 있다. According to reference number 1a, a material that will constitute the aggregate 20 having porosity on the first substrate 30 may be radiated from the object 10. The object 10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conductivity and may include an opening 11 having a predetermined size. In addition, the material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that can be dissolved by an organic solvent. For example, the material may be made of polyvinyl alcohol (PVA).

제1 기판(30)은 전도체일 수 있고, 제1 기판(30)에는 소정 크기의 홀(또는 중공)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The first substrate 30 may be a conductor, and a hole (or hollow) having a predetermined size may be formed in the first substrate 30.

물체(10)와 제1 기판(30) 사이에는 소정의 전압이 걸릴 수 있는데, 이에 따라 물체(10)에 주입되었던 물질이 개구부(11)를 통해 뿜어져나와 제1 기판(30)과 물체(10) 사이로 물질이 방사되어 랜덤하게 꼬여서(또는 뭉쳐져) 다공성을 가지는 집합체(2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압의 인가에 기초한 물질의 방사는 전기방사로 지칭될 수 있다. A predetermined voltage may be applied between the object 10 and the first substrate 30. Accordingly, the material injected into the object 10 is ejected through the opening 11 and the first substrate 30 and the object ( 10) The material is radiated through the gap and randomly twisted (or lumped together) to form an aggregate 20 having a porosity. Radiation of a material based on the application of such a voltage may be referred to as electrospinning.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집합체(20)는 가느다란, 즉 소정 지름 이하를 가지는 실(또는 섬유) 형태로 물질이 뿜어져 나와 실뭉치 형태를 이룸으로써 다공성을 가지게 될 수 있다. 집합체(20)를 구성하는 실 형태의 물질의 단면은 참조번호 2a와 같이 원형으로 나타날 수 있고, 그 지름이 소정 값 이하로 나노수준의 미세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Specifically, the aggregate 20 may have porosity by being spewed out in the form of a thread (or fiber) having a diameter less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diameter to form a bundle of threads. The cross-section of the material in the form of a thread constituting the assembly 20 may be circular as shown in reference number 2a, and the diameter thereof may be less than a predetermined value and may have a fine size of a nano level.

경우에 따라, 참조번호 2a와 같은 단면은 개구부(11)의 형태에 상응하는 것일 수 있다. 즉, 개구부(11)가 나노수준의 미세한 크기를 가짐에 기초하여 물질이 방사되면서 나노 수준의 미세한 크기를 가지는 단면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In some cases, a cross section such as reference numeral 2a may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opening 11. That is, based on the opening 11 having a fine size of a nano level, a cross section having a fine size of a nano level may be formed as the material is radiated.

한편, 제1 기판(30)의 홀은 집합체(20)보다 작거나 같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기초하여 집합체(20)의 적어도 일부는 제1 기판(30)의 홀 위에 공중부유된 채로 형성될 수 있다. 후술하겠으나, 이에 따라 공중부유된 채로 형성된 집합체(20)는 제1 기판(30)과의 분리가 용이하며, 이에 따라 다른 기판(예: 제2 기판(50))에 보다 용이하게 옮겨질 수(또는 전사될 수) 있다. Meanwhile, the holes of the first substrate 30 may be formed to be smaller than or equal to the assembly 20, and based on this, at least a part of the assembly 20 may be formed while floating above the hole of the first substrate 30. I can. It will be described later, but accordingly, the assembly 20 formed while floating in the air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first substrate 30, and thus can be more easily transferred to another substrate (for example, the second substrate 50) ( Or can be transferred).

이와 관련하여, 홀을 포함하는 제1 기판(30)의 예는 도 4의 참조번호 3a를 참고할 수 있다. 한편, 제1 기판(30) 위에 형성되는 집합체(20)는 투명할 수 있는데, 이를 나타내는 예는 도 4의 참조번호 3b를 참고할 수 있다. In this regard, for an example of the first substrate 30 including a hole, reference numeral 3a of FIG. 4 may be referred to. Meanwhile, the assembly 20 formed on the first substrate 30 may be transparent, and an example of this may refer to reference numeral 3b of FIG. 4.

도 1에 도시된 참조번호 1b에 따르면, 집합체(20) 위에 팔라듐이 증착될 수 있다. 팔라듐(40)의 증착은, 집합체(20)가 진공 챔버 내로 옮겨져서 진공 챔버 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팔라듐(40)의 증착은 집합체(20)의 일부, 예를 들면 집합체(20)의 외부에 노출되는 일부 또는 제1 기판(30)에 대향한 채로 외부에 노출된 집합체(20)의 일부에만 이루어질 수 있다. According to reference numeral 1b shown in FIG. 1, palladium may be deposited on the assembly 20. The palladium 40 may be deposited in the vacuum chamber by moving the assembly 20 into the vacuum chamber. The deposition of palladium 40 is made only on a part of the assembly 20, for example, a part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assembly 20 or a part of the assembly 20 exposed to the outside while facing the first substrate 30. I can.

예를 들면, 팔라듐의 증착이 이루어진 집합체(40)를 구성하는 물질(또는 실 형태의 물질)의 단면은 참조번호 2b와 같이 구현될 수 있다. 참조번호 2b에 따르면, 집합체(20)의 적어도 일부(예: 집합체(20)의 상단부분)에만 팔라듐이 증착됨으로써 팔라듐이 하프파이프 형태가 될 수 있다. 다만, 팔라듐의 증착은 집합체(20)의 외부에 노출된 부분에 대해 일어나기 때문에, 팔라듐의 형태는 참조번호 2b에 도시된 바에 제한되지 않고, 집합체(20)의 외부에 노출된 부분의 형태에 상응하는 한 다양한 모양(예: 다양한 길이를 가지는 곡면 형태)으로 형성 될 수 있다. For example, a cross section of a material (or a material in the form of a thread) constituting the aggregate 40 on which palladium is deposited may be implemented as shown in reference number 2b. According to reference number 2b, palladium is deposited only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assembly 20 (eg, the upper portion of the assembly 20), so that palladium may be in the form of a half pipe. However, since the deposition of palladium occurs on the part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assembly 20, the shape of palladium is not limited to that shown in reference number 2b, and corresponds to the shape of the part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assembly 20 As long as it is possible, it can be formed into various shapes (eg, curved surfaces having various lengths).

참조번호 1c에 따르면, 팔라듐이 증착된 집합체(40)는 센서를 구성하는 기판인 제2 기판(50)으로 옮겨질 수 있다. 팔라듐이 증착된 집합체(40)는 유기용매제에 의해 녹여질 수(또는 용해될 수)있으며, 이에 따라 제2 기판(50) 상에는 물체(10)를 통해 방사된 집합체(20)를 제외한 팔라듐만이 남게될 수 있다. According to reference number 1c, the aggregate 40 on which palladium is deposited may be transferred to the second substrate 50, which is a substrate constituting the sensor. The aggregate 40 on which palladium is deposited can be dissolved (or dissolved) by an organic solvent, and thus, only palladium excluding the aggregate 20 radiated through the object 10 on the second substrate 50 This can be left behind.

이와 같이 팔라듐이 증착된 집합체(40)에서 집합체(20)를 제외한 팔라듐 부분만은 별도로 구분되어 팔라듐 튜브로 지칭될 수 있다. 팔라듐 튜브는 집합체(20)의 형상을 기초로 형성된 것이기 때문에 집합체(20)의 형상과 유사한 형상으로 뭉쳐져 팔라듐 튜브 집합체(60)를 이룰 수 있다. In the aggregate 40 on which palladium is deposited as described above, only the palladium portion excluding the aggregate 20 may be separated and referred to as a palladium tube. Since the palladium tube is formed based on the shape of the assembly 20, the palladium tube assembly 60 can be formed by being aggregated into a shape similar to the shape of the assembly 20.

팔라듐 튜브의 단면은 예를 들어 곡면 형태 또는 하프파이프 형태일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팔라듐은 소정 값 이상의 투과성(또는 투명성)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팔라듐 튜브 집합체(60)도 투과성을 가지어 제2 기판(60) 상에 위치될 수 있다. The cross section of the palladium tube may be, for example, a curved shape or a half pipe shape. In addition, in some cases, palladium may have transmittance (or transparency) of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and accordingly, the palladium tube assembly 60 may also have transmittance and may be positioned on the second substrate 60.

팔라듐 튜브 집합체(60)를 구성하는 팔라듐 튜브의 단면은 참조번호 2c와 같을 수 있다. 팔라듐 튜브 집합체(60)는 불규칙하게 엉켜진 형태, 즉 실뭉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형태의 예는 도 4의 참조번호 3c를 참고할 수 있다. The cross section of the palladium tube constituting the palladium tube assembly 60 may be the same as the reference number 2c. The palladium tube assembly 60 may be implemented in an irregularly entangled form, that is, in the form of a bundle of threads, and an example of this form may be referred to reference numeral 3c of FIG. 4.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팔라듐 기반 센서 제조 장치의 기능 블록도의 예를 도시한다. 이하 사용되는 '…부'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도 2의 설명에서는 도 1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2 shows an example of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palladium-based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d below'… A term such as'negative' means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Hereinafter, in the description of FIG. 2, content overlapping with FIG. 1 may be omitted.

도 2를 참조하면, 팔라듐 기반 센서 제조 장치(100)는 집합체 형성부(110), 증착부(120), 배치부(130), 튜브 집합체 형성부(140), 센서 제조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집합체 형성부(110)는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를 포함하는 연산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이는 후술할 증착부(120), 배치부(130), 튜브 집합체 형성부(140), 센서 제조부(150)에 있어서도 같다. 2, the palladium-based sensor manufacturing apparatus 100 includes an assembly forming unit 110, a deposition unit 120, a placement unit 130, a tube assembly forming unit 140, and a sensor manufacturing unit 150 can do. The assembly forming unit 110 may be implemented by a computing device including a microprocessor,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a deposition unit 120, a placement unit 130, a tube assembly forming unit 140, and a sensor manufacturing unit. The same is true for (150).

집합체 형성부(110)는 전기방사를 이용하여 제1 기판 위에 다공성을 가지는 집합체(20)를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집합체 형성부(110)는 소정 크기의 개구부(11)를 가지며 집합체(20)를 구성할 물질이 내부에 포함된 물체(10)와 제1 기판(30) 사이에 소정 전압이 인가되도록 하여 개구부(11)로 물질이 방출됨에 기초하여 다공성을 가지는 집합체(20)를 형성할 수 있다. The assembly forming unit 110 may form the assembly 20 having porosity on the first substrate by using electrospinning. Specifically, the assembly forming unit 110 has an opening 11 of a predetermined size and a predetermined voltage is applied between the object 10 and the first substrate 30 in which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assembly 20 is contained. Accordingly, the aggregate 20 having a porosity may be formed based on the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the opening 11.

이 때, 다공성을 가지는 집합체는 유기용매제에 의해 녹는 물질 예를 들면 PVA로 구성될 수 있다. 다공성을 가지는 집합체는 실 형태의 물질이 그룹화되어 내부에 공간이 포함됨에 기초하여 다공성을 가지게 될 수 있다. 실 형태의 물질의 단면은 예를 들면 원형(또는 타원형)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실 형태의 물질의 단면은 개구부(11)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this case, the porous aggregate may be composed of a material, such as PVA, which is dissolved by an organic solvent. Aggregates having porosity may have porosity based on the presence of spaces within the yarn-shaped materials grouped. The cross section of the thread-shaped material may be, for example, a circular (or elliptical)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cross section of the thread-shaped material may have various shapes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opening 11.

제1 기판(30)은 소정 크기의 홀을 가지고, 집합체(20)의 적어도 일부는 제1 기판(30)의 홀 상부에서 공중부유된 채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substrate 30 may have a hole of a predetermined size, and at least a part of the assembly 20 may be formed while floating above the hole of the first substrate 30.

증착부(120)는 집합체(20)에 소정 두께로 팔라듐을 증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증착부(120)는 집합체(20)가 진공 챔버에 위치됨에 기초하여, 진공 챔버 내에서 팔라듐을 증착할 수 있다. 증착부(120)는 증착 시간을 제어하여 집합체(20)의 상부에 팔라듐을 소정 두께만큼 증착할 수 있다. 즉, 팔라듐은 집합체(20)의 적어도 일부에 증착될 수 있으며, 증착되는 부분은 외부(또는 주변 공간)로 노출된 집합체(20)의 일부일 수 있다.The deposition unit 120 may deposit palladium on the assembly 20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Specifically, the deposition unit 120 may deposit palladium in the vacuum chamber based on the assembly 20 being positioned in the vacuum chamber. The deposition unit 120 may control a deposition time to deposit palladium on an upper portion of the assembly 20 by a predetermined thickness. That is, palladium may be deposited on at least a part of the assembly 20, and the deposited portion may be a part of the assembly 20 exposed to the outside (or surrounding space).

배치부(130)는 팔라듐이 증착된 집합체(40)를 제2 기판(50) 상에 배치(또는 전사)할 수 있다. 제2 기판(50)은 제조하고자 하는 센서의 기판일 수 있다. The placement unit 130 may place (or transfer) the aggregate 40 on which palladium is deposited on the second substrate 50. The second substrate 50 may be a substrate of a sensor to be manufactured.

한편, 제1 기판(30)은 집합체(20)의 크기 이하의 홀을 가질 수 있는데, 이에 따라 팔라듐이 증착된 집합체(40)는 홀 위에서 공중부유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팔라듐이 증착된 집합체(40)는 제1 기판(30)과의 분리가 용이할 수 있고 이에 기초하여 보다 용이하게 제2 기판(60)에 집합체(40)가 배치될 수 있다. Meanwhile, the first substrate 30 may have a hole less than or equal to the size of the assembly 20, and accordingly, the assembly 40 on which palladium is deposited may be formed in a form floating above the hole. Accordingly, the assembly 40 on which palladium is deposited may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first substrate 30 and the assembly 40 may be more easily disposed on the second substrate 60 based on this.

튜브 집합체 형성부(140)는 유기용매제를 이용하여 제2 기판(50) 상에 배치된 집합체(20)를 녹여 팔라듐 튜브 집합체(60)를 형성할 수 있다. 즉, 팔라듐 튜브 집합체(60)는 집합체(20)와 동일한 형태를 가지는 실타래 형태로 형성되지만 그 실타래 형태를 이루는 실의 형태는 곡면(예: 하프파이프) 형태를 띌 수 있다. The tube assembly forming unit 140 may form a palladium tube assembly 60 by melting the assembly 20 disposed on the second substrate 50 using an organic solvent. That is, the palladium tube assembly 6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skein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assembly 20, but the shape of the skein forming the skein may take the shape of a curved surface (eg, a half pipe).

한편, 팔라듐 튜브 집합체(60)를 구성하는 팔라듐 튜브의 단면에 나타나는 곡면의 길이는 일정하지 않을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단면이 반원 또는 원의 적어도 일부로만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On the other hand, the length of the curved surface appearing on the cross section of the palladium tube constituting the palladium tube assembly 60 may not be constant, and in some cases, the cross section may be composed of only a semicircle or at least a part of a circle. However,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센서 제조부(150)는 제2 기판(50) 및 팔라듐 튜브 집합체(60)를 이용하여 팔라듐 기반 센서를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서 제조부(150)는 제2 기판(50) 상에 형성된 팔라듐 튜브 집합체(60)가 포함되도록 센서를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조된 센서의 예는 도 5를 참조할 수 있다. The sensor manufacturing unit 150 may manufacture a palladium-based sensor using the second substrate 50 and the palladium tube assembly 60. Specifically, the sensor manufacturing unit 150 may manufacture a sensor such that the palladium tube assembly 60 formed on the second substrate 50 is included. In this regard, an example of the manufactured sensor may refer to FIG. 5.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팔라듐 기반 센서 제조 방법의 각 단계의 흐름을 도시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방법의 각 단계는 경우에 따라 도면에 도시된 바와 그 순서를 달리하여 수행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3 shows the flow of each step of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palladium-based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it goes without saying that each step of the method illustrated in FIG. 3 may b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as illustrated in the drawings depending on the case.

도 3을 참조하면, 집합체 형성부(110)는 제1 기판(30) 위에 다공성을 가지는 집합체를 형성할 수 있다(S110). 집합체 형성부(110)는 집합체의 형성을 위해 전기방사의 원리를 이용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 assembly forming unit 110 may form an assembly having porosity on the first substrate 30 (S110 ). The assembly forming unit 110 may use the principle of electrospinning to form an assembly.

예를 들어, 집합체 형성부(110)는, 소정 크기의 개구부(11)를 가지며 유기용매제에 용해가능한 물질이 내부에 주입된 물체(10)와 제1 기판(30) 사이에 소정 전압이 인가되도록 하여, 개구부(11)로 물질이 실(또는 섬유)의 형태로 방출되어 실 타래(또는 실 뭉치)형태로 뭉쳐셔 다공성을 가지는 집합체(20)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assembly forming part 110 has an opening 11 of a predetermined size and a predetermined voltage is applied between the object 10 and the first substrate 30 in which a material soluble in an organic solvent is injected therein. Thus, the material may be released in the form of a thread (or fiber) through the opening 11 and lumped together in the form of a skein (or a bundle of threads) to form a porous assembly 20.

경우에 따라, 제1 기판(30)에는 소정 크기의 홀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고, 이러한 홀 위에 공중부유되는 형태로 다공성을 가지는 집합체(20)가 형성될 수 있다. In some cases, holes having a predetermined size may be included in the first substrate 30, and an aggregate 20 having a porosity may be formed in a form floating on the holes.

증착부(120)는 집합체(20)에 소정 두께로 팔라듐을 증착시킬 수 있다(S120). 구체적으로, 증착부(120)는 진공 챔버로 집합체(20)를 이동시킨 후, 집합체(20)에 대해 기지정된 시간 동안 팔라듐의 증착을 수행할 수 있다. The deposition unit 120 may deposit palladium in a predetermined thickness on the assembly 20 (S120). Specifically, after moving the assembly 20 to the vacuum chamber, the deposition unit 120 may perform the deposition of palladium on the assembly 20 for a predetermined time.

한편, 팔라듐의 증착이 이루어지는 증착 시간은 기지정되어 있을 수 있는데, 증착부(120)는 팔라듐의 증착 시간을 제어함에 기초하여 팔라듐이 증착되는 두께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팔라듐의 증착 시간을 증가시켜 팔라듐이 보다 두껍게 증착되도록 하거나, 팔라듐의 증착 시간을 감소시켜 팔라듐이 보다 얇게 증착되도록 할 수 있다. Meanwhile, the deposition time at which palladium is deposited may be predetermined, and the deposition unit 120 may adjust the thickness at which palladium is deposited based on controlling the deposition time of palladium. For example, the deposition time of palladium may be increased so that the palladium is deposited thicker, or the deposition time of palladium may be reduced to allow the palladium to be deposited thinner.

배치부(130)는 팔라듐이 증착된 집합체(40)를 제2 기판(50) 상에 배치할 수 있다(S130). 여기서, 제2 기판(50)은 센서를 구성할 기판일 수 있는 데, 상술한 팔라듐이 증착된 집합체(40)는 홀을 가지는 제1 기판(30) 위에 있기 때문에 보다 용이하게 제2 기판(50) 상으로 옮겨질 수 있다. The placement unit 130 may arrange the aggregate 40 on which palladium is deposited on the second substrate 50 (S130). Here, the second substrate 50 may be a substrate for configuring the sensor. Since the above-described palladium-deposited assembly 40 is on the first substrate 30 having holes, the second substrate 50 ) Can be transferred.

튜브 집합체 형성부(140)는 유기용매제를 이용하여 제2 기판(50) 상에 배치된 집합체를 녹임에 기초하여, 집합체 형상의 공간을 포함하는 팔라듐 튜브 집합체를 형성할 수 있다(S140). 구체적으로, 튜브 집합체 형성부(140)는 뭉쳐진 형태가 집합체(20)에 상응하되 집합체(20)를 구성하는 요소가 팔라듐 튜브인 팔라듐 튜브 집합체(60)를 형성할 수 있다. The tube assembly forming unit 140 may form a palladium tube assembly including an aggregate-shaped space based on melting the assembly disposed on the second substrate 50 using an organic solvent (S140). Specifically, the tube assembly forming unit 140 may form a palladium tube assembly 60 in which a united form corresponds to the assembly 20, but the element constituting the assembly 20 is a palladium tube.

센서 제조부(150)는 제2 기판(50) 및 팔라듐 튜브 집합체(60)를 이용하여 팔라듐 기반 센서를 제조할 수 있다(S150). 구체적으로, 센서 제조부(150)는 제2 기판(50)과 제2 기판(50) 상의 팔라듐 튜브 집합체(60)가 센서에 포함되도록 하여 센서를 제조할 수 있다. The sensor manufacturing unit 150 may manufacture a palladium-based sensor using the second substrate 50 and the palladium tube assembly 60 (S150). Specifically, the sensor manufacturing unit 150 may manufacture the sensor by allowing the second substrate 50 and the palladium tube assembly 60 on the second substrate 50 to be included in the sensor.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팔라듐 기반 센서의 제조 과정에서 도출되는 실험 결과물의 예를 도시한다. 4 shows an example of experimental results derived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a palladium-based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참조번호 3a는 홀을 가지는 제1 기판(30)의 예를 나타낸다. 제1 기판(3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에 소정의 홀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참조번호 3a에서는 제1 기판(30)의 홀이 사각형의 형태로 나타났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Reference numeral 3a denotes an example of the first substrate 30 having holes. The first substrate 30 may have a predetermined hole in the middle as shown. Meanwhile, in reference numeral 3a, the hole of the first substrate 30 has a rectangular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shapes.

참조번호 3b는 제1 기판(30) 상에 집합체(20)가 형성된 경우, 집합체(20)가 투명함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이에 따르면, 제1 기판(30)의 적어도 일부에는 집합체(20)의 적어도 일부가 위치되어 있지만, 집합체(20)가 투명하기 때문에 제1 기판(30)의 홀 뒷면이 그대로 보임을 알 수 있다. Reference number 3b is a diagram for indicating that the assembly 20 is transparent when the assembly 20 is formed on the first substrate 30. According to this, although at least a part of the assembly 20 is position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substrate 30, it can be seen that the rear surface of the hole of the first substrate 30 is visible because the assembly 20 is transparent.

참조번호 3c는 팔라듐 튜브 집합체(60)의 일부를 확대한 예를 나타낸다. 이에 따르면, 팔라듐 튜브 집합체(60)는 다공성을 가지는 집합체(20)와 마찬가지로 다공성을 가지도록 불규칙하게 배열되어 있을 수 있다. Reference number 3c shows an enlarged example of a part of the palladium tube assembly 60. According to this, the palladium tube assembly 60 may be irregularly arranged to have porosity, similar to the porosity assembly 20.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팔라듐 기반 센서의 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한다. 도 5의 센서는 상술한 센서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으로 수소의 존재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수소 센서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설명한 바와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겠다. 5 conceptually illustrates an example of a palladium-based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or of FIG. 5 is manufactured by the above-described sensor manufacturing method, and may be a hydrogen sensor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hydrogen. In this regard, contents overlapping with thos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will be omitted.

도 5를 참조하면, 제2 기판(50) 상에는 팔라듐 튜브 집합체(60)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센서(1)는 이를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5에서는 센서의 예를 간단하게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센서를 구성하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이 더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Referring to FIG. 5, a palladium tube assembly 60 may be formed on the second substrate 50, and the sensor 1 may be implemented to include it. Although an example of the sensor is simply illustrated in FIG. 5,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various components constituting the sensor may be further included.

한편, 센서의 민감도는 팔라듐의 두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팔라듐의 두께가 얇아질수록 팔라듐의 부피 대 표면적이 증가하기 때문에, 팔라듐 기반 센서의 민감도가 증가할 수 있다. 이는 상술한 센서 제조 장치(100)의 증착부(120)에 의해 팔라듐 증착 시간이 제어됨에 기초하여 두께가 조정될 수 있다. Meanwhile, the sensitivity of the sensor may vary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palladium. For example, as the thickness of palladium decreases, the volume versus surface area of palladium increases, so the sensitivity of a palladium-based sensor may increase. The thickness may be adjusted based on the palladium deposition time being controlled by the deposition unit 120 of the sensor manufacturing apparatus 100 described abov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팔라듐 기반 센서 제조 방법 및 장치는, 포토마스크 또는 나노리소그래피를 이용하지 않고 팔라듐 나노구조의 제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보다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센서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센서 제조 방법이 간단하기 때문에 제조 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 In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palladium-based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 palladium nanostructure without using a photomask or nanolithography, a sensor can be manufactured more easily and efficiently. In addition, since the sensor manufacturing method is simple, manufacturing cost can also be reduc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팔라듐 기반 센서 제조 방법 및 장치는, 팔라듐 튜브 집합체(60)를 구성하는 팔라듐의 두께를 증착 시간을 조정하여 제어함으로써 민감도를 보다 효율적이고 용이하게 팔라듐의 두께를 조정할 수 있다. In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palladium-based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ontrolling the thickness of palladium constituting the palladium tube assembly 60 by adjusting the deposition time, the sensitivity can be more efficiently and easily adjusted. hav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팔라듐 기반 센서 제조 방법 및 장치는, 홀을 가지는 제1 기판(30)을 이용하여 집합체(20)의 형성 및 팔라듐의 증착을 수행함으로써 다양한 기판으로의 전사가 보다 용이하게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palladium-based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acilitates transfer to various substrates by forming the assembly 20 and depositing palladium using the first substrate 30 having holes. It can be done in a way.

본 명세서에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Combinations of each block of the block diagram attached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each step of the flowchart may be performed by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Since thes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can be mounted on a processor of a general purpose computer, special purpose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the instructions executed by the processor of the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are shown in each block or flow chart of the block diagram. Each step will create a means to perform the functions described. Thes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can also be stored in computer-usable or computer-readable memory that can be directed to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to implement a function in a particular way, so that the computer-usable or computer-readable memory It is also possible to produce an article of manufacture in which the instructions stored in the block diagram contain instruction means for performing the functions described in each block or flow chart.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can also be mounted on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so that a series of operating steps are performed on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to create a computer-executable process to create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It is also possible for the instructions to perform the processing equipment to provide steps for performing the functions described in each block of the block diagram and each step of the flowchart.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each block or each step may represent a module, segment, or part of code comprising one or more executable instructions for executing the specified logical function(s). In addition, it should be noted that in some alternative embodiments, functions mentioned in blocks or steps may occur out of order. For example, two blocks or steps shown in succession may in fact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the blocks or steps may sometimes be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depending on the corresponding function.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품질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qua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disclosure, but to explain the technical idea,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물체 20: 집합체
30: 제1 기판 40: 팔라듐이 증착된 집합체
50: 제2 기판 60: 팔라듐 튜브 집합체
100: 센서 제조 장치 110: 집합체 형성부
120: 증착부 130: 배치부
140: 튜브 집합체 형성부 150: 센서 제조부
10: object 20: aggregate
30: first substrate 40: aggregate on which palladium is deposited
50: second substrate 60: palladium tube assembly
100: sensor manufacturing device 110: assembly forming unit
120: evaporation unit 130: placement unit
140: tube assembly forming unit 150: sensor manufacturing unit

Claims (15)

전기방사를 이용하여 제1 기판 위에 다공성을 가지는 집합체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집합체에 소정 두께로 팔라듐을 증착하는 단계와,
상기 팔라듐이 증착된 상기 집합체를 제2 기판 상에 배치하는 단계와,
유기용매제를 이용하여 상기 제2 기판 상에 배치된 집합체를 녹임에 기초하여, 상기 집합체의 형상에 대응하되 팔라듐으로 구성되는 팔라듐 튜브 집합체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2 기판 및 상기 팔라듐 튜브 집합체를 이용하여 팔라듐 기반 센서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팔라듐 기반 센서 제조 방법.
Forming an aggregate having porosity on the first substrate by using electrospinning,
Depositing palladium with a predetermined thickness on the aggregate,
Disposing the aggregate on which the palladium is deposited on a second substrate,
Forming a palladium tube assembly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aggregate but composed of palladium based on melting the aggregate disposed on the second substrate using an organic solvent; and
Including the step of manufacturing a palladium-based sensor using the second substrate and the palladium tube assembly
Palladium-based sensor manufacturing meth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합체를 형성하는 단계는,
소정 크기의 개구부를 가지며 상기 집합체를 구성할 물질이 내부에 포함된 물체와 상기 제1 기판 사이에 소정 전압이 인가되도록 하여 상기 개구부로 상기 물질이 방출됨에 기초하여 상기 다공성을 가지는 집합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팔라듐 기반 센서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step of forming the aggregate,
Forming an aggregate having the porosity based on the release of the material through the opening by applying a predetermined voltage between the first substrate and an object having an opening having a predetermined size and including a material constituting the assembly therein Including
Palladium-based sensor manufacturing meth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을 가지는 집합체는,
PVA(polyvinyl alcohol)로 구성되는
팔라듐 기반 센서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aggregate having the porosity,
Consisting of PVA (polyvinyl alcohol)
Palladium-based sensor manufacturing meth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팔라듐을 증착하는 단계는,
상기 집합체가 진공 챔버에 위치됨에 기초하여, 상기 진공 챔버 내에서 상기 팔라듐을 증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팔라듐 기반 센서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step of depositing the palladium,
Based on the assembly being placed in a vacuum chamber, depositing the palladium in the vacuum chamber.
Palladium-based sensor manufacturing meth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을 가지는 집합체는,
실 형태의 물질이 그룹화되어 내부에 공간이 포함됨에 기초하여 상기 다공성을 가지게 되고,
상기 실 형태의 물질의 단면은 원형인
팔라듐 기반 센서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aggregate having the porosity,
The material in the form of a thread is grouped to have the porosity based on the space inside,
The cross section of the thread-shaped material is circular
Palladium-based sensor manufacturing meth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팔라듐 튜브 집합체를 구성하는 팔라듐 튜브는,
하프파이프의 형태를 가지는
팔라듐 기반 센서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palladium tube constituting the palladium tube assembly,
Half-pipe
Palladium-based sensor manufacturing meth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은 소정 크기의 홀을 가지고,
상기 집합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기판의 홀 상부에서 공중부유된 채로 형성되는
팔라듐 기반 센서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substrate has a hole of a predetermined size,
At least a portion of the assembly is formed while floating above the hole of the first substrate
Palladium-based sensor manufacturing method.
전기방사를 이용하여 제1 기판 위에 다공성을 가지는 집합체를 형성하는 집합체 형성부와,
상기 집합체에 소정 두께로 팔라듐을 증착하는 증착부와,
상기 팔라듐이 증착된 상기 집합체를 센서를 구성할 제2 기판 상에 배치하는 배치부와,
유기용매제를 이용하여 상기 제2 기판 상에 배치된 집합체를 녹임에 기초하여, 상기 집합체의 형상에 대응하되 팔라듐으로 구성되는 팔라듐 튜브 집합체를 형성하는 튜브 형성부와,
상기 제2 기판 및 상기 팔라듐 튜브 집합체를 이용하여 팔라듐 기반 센서를 제조하는 센서 제조부를 포함하는
팔라듐 기반 센서 제조 장치.
An assembly forming portion for forming an aggregate having porosity on the first substrate by using electrospinning,
A deposition unit for depositing palladium in a predetermined thickness on the assembly,
A placement unit for disposing the aggregate on which the palladium is deposited on a second substrate to constitute a sensor,
A tube forming part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aggregate but forming a palladium tube assembly composed of palladium based on melting the aggregate disposed on the second substrate using an organic solvent;
Including a sensor manufacturing unit for manufacturing a palladium-based sensor using the second substrate and the palladium tube assembly
Palladium-based sensor manufacturing devic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집합체 형성부는,
소정 크기의 개구부를 가지며 상기 집합체를 구성할 물질이 내부에 포함된 물체와 상기 제1 기판 사이에 소정 전압이 인가되도록 하여 상기 개구부로 상기 물질이 방출됨에 기초하여 상기 다공성을 가지는 집합체를 형성하는
팔라듐 기반 센서 제조 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assembly forming part,
Forming the aggregate having the porosity based on the release of the material through the opening by applying a predetermined voltage between the object and the first substrate having an opening of a predetermined size and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assembly therein.
Palladium-based sensor manufacturing devic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을 가지는 집합체는,
PVA(polyvinyl alcohol)로 구성되는
팔라듐 기반 센서 제조 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aggregate having the porosity,
Consisting of PVA (polyvinyl alcohol)
Palladium-based sensor manufacturing devic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증착부는,
상기 집합체가 진공 챔버에 위치됨에 기초하여, 상기 진공 챔버 내에서 상기 팔라듐을 증착하는
팔라듐 기반 센서 제조 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deposition unit,
Based on the assembly being placed in a vacuum chamber, depositing the palladium in the vacuum chamber
Palladium-based sensor manufacturing devic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을 가지는 집합체는,
실 형태의 물질이 그룹화되어 내부에 공간이 포함됨에 기초하여 상기 다공성을 가지게 되고,
상기 실 형태의 물질의 단면은 원형인
팔라듐 기반 센서 제조 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aggregate having the porosity,
The material in the form of a thread is grouped to have the porosity based on the space inside,
The cross section of the thread-shaped material is circular
Palladium-based sensor manufacturing devic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팔라듐 튜브 집합체를 구성하는 팔라듐 튜브는,
하프파이프의 형태를 가지는
팔라듐 기반 센서 제조 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palladium tube constituting the palladium tube assembly,
Half-pipe
Palladium-based sensor manufacturing devic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은 소정 크기의 홀을 가지고,
상기 집합체 형성부는,
상기 제1 기판의 홀 상부에서 공중부유된 상태로 상기 집합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팔라듐 기반 센서 제조 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first substrate has a hole of a predetermined size,
The assembly forming part,
Forming at least a part of the assembly while floating above the hole of the first substrate
Palladium-based sensor manufacturing device.
기판과,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팔라듐 튜브 집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팔라듐 튜브 집합체는,
전기방사를 이용하여 형성된 다공성을 가지는 집합체 상에 소정 두께로 팔라듐이 증착되고, 상기 팔라듐이 증착된 집합체가 상기 기판에 배치됨에 기초하여, 상기 팔라듐이 증착된 집합체 중 집합체에 상응하는 부분이 유기용매제에 의해 녹여짐에 기초하여 형성되는
팔라듐 기반 센서.
The substrate,
Including a palladium tube assembly disposed on the substrate,
The palladium tube assembly,
On the basis of the deposition of palladium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on the porous aggregate formed by electrospinning, and the palladium-deposited aggregate is disposed on the substrate,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aggregate of the palladium-deposited aggregate is an organic solvent Formed on the basis of melting by the agent
Palladium-based sensor.
KR1020190092686A 2019-07-30 2019-07-30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sensor based on palladium KR10222306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2686A KR102223066B1 (en) 2019-07-30 2019-07-30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sensor based on palladiu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2686A KR102223066B1 (en) 2019-07-30 2019-07-30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sensor based on palladiu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4514A true KR20210014514A (en) 2021-02-09
KR102223066B1 KR102223066B1 (en) 2021-03-05

Family

ID=74559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2686A KR102223066B1 (en) 2019-07-30 2019-07-30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sensor based on palladiu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3066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5893A (en) * 2009-11-20 2011-05-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for fabricating metal wire using electrospinning process
KR20180119151A (en) 2016-04-06 2018-11-01 울산과학기술원 Hydrogen gas sensor and Fabrication method of the same
KR20190017165A (en) * 2017-08-10 2019-02-20 울산과학기술원 Method of manufacturing transmittance electrode with high transparent and low resistance and transmittance electrode with high transparent and low resistance manufactured using the method
KR20190018851A (en) * 2017-08-16 2019-02-26 한국과학기술원 Gas sensor and membrane using metal oxide semiconductor combination of cellulose and apoferritin bio-templates derived nanotube functionalized by nanoparticle catalyst, and manufacturing mehtod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5893A (en) * 2009-11-20 2011-05-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for fabricating metal wire using electrospinning process
KR20180119151A (en) 2016-04-06 2018-11-01 울산과학기술원 Hydrogen gas sensor and Fabrication method of the same
KR20190017165A (en) * 2017-08-10 2019-02-20 울산과학기술원 Method of manufacturing transmittance electrode with high transparent and low resistance and transmittance electrode with high transparent and low resistance manufactured using the method
KR20190018851A (en) * 2017-08-16 2019-02-26 한국과학기술원 Gas sensor and membrane using metal oxide semiconductor combination of cellulose and apoferritin bio-templates derived nanotube functionalized by nanoparticle catalyst, and manufacturing mehtod thereof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조민규 등, 2019 20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olid-State Sensors, Actuators and Microsystems & Eurosensors XXXIII.(2019.06.27.)* *
조민규 등, ACS Appl. Mater. Interfaces, 2019, 11권, 페이지 13343-13349.(2019.03.15.)*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3066B1 (en) 2021-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87827B2 (en) Touch panel
US10535792B2 (en) Transparent conductor and preparation method for same
Cao et al. Electro‐blown spun silk/graphene nanoionotronic skin for multifunctional fire protection and alarm
CN102269724B (en) Manufacturing method of oriented nano-fiberized three-dimensional stereoscopic interdigital electrode of semiconductor gas-sensitive sensor
KR102153428B1 (en) Electroconductive Nanowire Network, and Electroconductive Substrate and Transparent Electrode Using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conductive Nanowire Network, Electroconductive Substrate, and Transparent electrode
CN104681764A (en) Composite lithium ion battery ceramic diaphragm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Tu et al. Aerosol jet printed silver nanowire transparent electrode for flexible electronic application
TW201413753A (en) Nanowires-based transparent conductors
Fang et al. Four self-made free surface electrospinning devices for high-throughput preparation of high-quality nanofibers
US9462681B2 (en) Conductive film with networked nano-material
KR10222306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sensor based on palladium
Ning et al. Tailoring the morphologies of PVDF nanofibers by interfacial diffusion during coaxial electrospinning
Cho et al. Design of hollow nanofibrous structures using electrospinning: an aspect of chemical sensor applications
ATE402482T1 (en) METHOD AND DEVICE FOR EZR PLASMA APPLICATION OF TEXTILE LAYERS MADE OF CARBON NANOFIBERS AND TEXTILE LAYERS THEREOF
Lee et al. Fabrication of nanofibrous mats with uniform thickness and fiber density
CN103243408B (en) Preparation method of porous fiber with surface-enhanced Raman scattering effect
CN102583222A (en) Process of forming a material having nano-particles and a material having nano-particles
Aslam et al. Polyacrylonitrile‐based electrospun nanofibers–A critical review
Liu et al. Nanowelding and patterning of silver nanowires via mask-free atmospheric cold plasma-jet scanning
Zhao et al. Enhanced gas sensing properties of aligned porous SnO2 nanofibers
KR101847477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metal nano fiber using electrospan fiber containing metal salt
CN202989641U (en) Device using plasma graft polymerization to conduct material surface modification at normal pressure
CN105183202A (en) Touch control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Bettega et al. Experimental and numerical analysis of the electron injection in a Malmberg-Penning trap
JP2013083010A (en) Porous 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