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3985A - 가공 장치 - Google Patents

가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3985A
KR20210013985A KR1020190091937A KR20190091937A KR20210013985A KR 20210013985 A KR20210013985 A KR 20210013985A KR 1020190091937 A KR1020190091937 A KR 1020190091937A KR 20190091937 A KR20190091937 A KR 20190091937A KR 20210013985 A KR20210013985 A KR 202100139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ing
vertical direction
support
unit
power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1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1314B1 (ko
Inventor
박홍순
Original Assignee
박홍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홍순 filed Critical 박홍순
Priority to KR1020190091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1314B1/ko
Priority to CN202010717746.XA priority patent/CN112296681B/zh
Publication of KR20210013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39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1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13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23/00Machines or arrangements of machines for performing specified combinations of different metal-working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23P23/04Machines or arrangements of machines for performing specified combinations of different metal-working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for both machining and other metal-working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10Die sets; Pillar guides
    • B21D37/12Particular guiding equipment, e.g. pliers; Special 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or cooperation of 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28Associations of cutting devices therewith
    • B21D43/287Devices for handling sheet or strip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4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on brakes making use of clamping means on one side of the work
    • B21D5/042With a rotational movement of the bending bla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6Work-clamp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가공 장치는, 소정의 이송방향을 따라 이송된 가공대상물을 벤딩 또는 커팅하기 위해 회전 중에 가압하는 가압부; 상기 가압부에 의한 가압 중에 상기 가공대상물을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가압부가 상기 가공대상물을 선택적으로 벤딩 또는 커팅하도록, 상기 가압부를 연직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높이결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공 장치 {PROCESSING APPARATUS}
본 발명은 가공대상물을 가압하여 가공하는 가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절삭용 블레이드와 같은 스트립 형태의 가공대상물을 원하는 형태로 가공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가공대상물에 대한 가압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가공의 예시로는 가공대상물을 구부리는 가공인 벤딩과, 가공대상물을 절삭하는 커팅이 있을 수 있다.
가공대상물에 대한 벤딩을 하기 위해서는 벤딩 장치가 필요하고, 가공대상물에 대한 커팅을 하기 위해서는 커팅 장치가 필요하다. 이러한 장치들은 가공대상물을 지지하는 부재와 가압하는 부재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하나의 장치를 이용해서 벤딩과 커팅이 이루어질 수 없어, 별도의 장치를 구비해 순차적으로 배열해야 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종래에는 가공대상물을 가압하는 부재 및 가공대상물을 지지하는 부재의 마모가 일어나거나, 가공대상물의 크기가 변하여 상기 부재들을 다른 종류로 변경해야 하는 경우, 이를 고정하는 다른 구성요소들 역시 변경된 크기에 맞추어 변경되어야 해서, 사실상 장치 전체를 교체해야 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가공대상물에 대해 다양한 가공이 가능한 가공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공 장치는, 소정의 이송방향을 따라 이송된 가공대상물을 벤딩 또는 커팅하기 위해 회전 중에 가압하는 가압부; 상기 가압부에 의한 가압 중에 상기 가공대상물을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가압부가 상기 가공대상물을 선택적으로 벤딩 또는 커팅하도록, 상기 가압부를 연직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높이결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공 장치는, 소정의 이송방향을 따라 이송된 가공대상물의 벤딩 또는 커팅 시에 상기 가공대상물을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고 있는 상기 가공대상물을 벤딩 또는 커팅하기 위해 회전 중에 가압하는 가압부; 연직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가압부의 하단과 인접한 영역이 삽입되는 하부 하우징; 상기 하부 하우징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말단에 인접한 부분인 상부 연장부를 가지는 상부 하우징; 상기 상부 연장부가 상기 연직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상부 홀에 삽입되고, 상기 가압부가 배치된 위치에서 상기 가압부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가압부의 상단을 덮는 덮개 삽입부와, 상기 덮개 삽입부가 상기 상부 홀에 삽입될 때 상기 상부 연장부에 걸리도록 상기 덮개 삽입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덮개 플랜지를 포함하는 덮개부; 및 상기 연직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가압부가 상기 덮개 삽입부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높이를 결정하도록, 상기 상부 하우징과 상기 덮개 플랜지의 사이에 배치되는 와셔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벤딩 장치와 커팅 장치를 일렬로 나열하여 배치하지 않고도, 하나의 가공 장치를 이용해 가공대상물에 대해 커팅 또는 벤딩 작업을 선택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다른 크기의 가공대상물의 가공을 위해 높이가 다른 가압부를 사용할 때에도, 덮개는 교체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 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 장치를 소정의 평면으로 자른 단면을 가지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 장치를 다른 소정의 평면으로 자른 단면을 가지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 장치의 가압부가 도 3의 상태에서 연직방향으로 들어올려진 위치에 배치된 상황을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가공 장치의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 장치(1)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 장치(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 장치(1)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 장치(1)를 소정의 평면으로 자른 단면을 가지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 장치(1)를 다른 소정의 평면으로 자른 단면을 가지는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 장치(1)는, 가압부(20) 및 지지부(10)를 포함하고, 높이결정부(31), 하우징(80), 덮개부(60), 연결 링(91), 가이드부(70), 동력전달부(51), 잠금 체결구(92), 푸시부(32), 및 와셔(40, 40a)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이송방향(D1)이라 함은,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과 나란한 연직방향(D2)에 수직하고, 가공대상물(M)이 가공 장치(1)를 통과하도록 이송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폭 방향(D3)이라 함은 상기 이송방향(D1)과 연직방향(D2)에 수직한 방향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 장치(1)에 삽입되는 가공대상물(M)은, 연직방향(D2)과 이송방향(D1)을 따라 확장된 판형의 형태를 가지되, 연직방향(D2)을 따라 연장된 길이보다 이송방향(D1)을 따라 연장된 길이가 더 긴, 스트립 또는 테이프의 형태일 수 있다.
지지부(10)
지지부(10)는 가공대상물(M)에 대한 가공이 이루어지는 중에 가공대상물(M)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구성요소이다. 가압부(20)에 의한 가공대상물(M)에 대한 가압 중에, 지지부(10)가 가공대상물(M)을 지지할 수 있다.
지지부(10)는 연직방향(D2)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되, 일부분이 원기둥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10)는 연직방향(D2)을 기준으로 중간에 지지부 본체(11)를 가질 수 있고, 지지부 본체(11)의 상단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지지부 상단돌기(12), 지지부 본체(11)의 하단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된 지지부 하단돌기(13)를 포함할 수 있다.
연직방향(D2)에 수직한 평면으로 자른 지지부 상단돌기(12)와 지지부 하단돌기(13)의 단면적은, 지지부 본체(11)의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 상단돌기(12)와 지지부 하단돌기(13)의 단면은, 정원이 아닌 형태로 형성되고, 지지부 본체(11)의 단면은 정원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10)의 상단을 포함하는 지지부 상단돌기(12)는 후술할 덮개부(60)에 형성되는 지지부 삽입홀(63)에 연직방향(D2)을 따라 삽입될 수 있다. 지지부(10)의 하단을 포함하는 지지부 하단돌기(13)는, 후술할 푸시부(32)에 형성되는 푸시부 홈(3211)에 연직방향(D2)을 따라 삽입될 수 있다. 상술한 단면의 형상을 각각의 돌기가 가지고, 이에 대응되는 형상을 지지부 삽입홀(63)과 푸시부 홈(3211)이 가져, 지지부(10)는 푸시부(32)와 덮개부(6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
지지부(10)에는 지지부 슬릿(14)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 슬릿(14)은, 지지부 본체(11)를 이송방향(D1)을 따라 관통하는 슬릿이다. 지지부 슬릿(14)은 이송방향(D1)을 따라 봤을 때, 연직방향(D2)을 따라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지지부 슬릿(14)은 가공대상물(M)이 이송방향(D1)을 따라 진입하여 삽입된 가공대상물(M)을 지지한다. 지지부 슬릿(14)이, 가압부(20)의 회전에 의해 가공대상물(M)이 가공되도록, 가공대상물(M)을 연직방향(D2) 및 이송방향(D1)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지지하는 것이다. 지지부(10)가 가공대상물(M)을 지지하는 상황에서 가압부(20)가 가공대상물(M)을 가압해, 변형이 일어나고, 이에 따라 가공이 이뤄질 수 있다.
지지부 슬릿(14)과 인접한 지지부(10)의 일부 영역은, 복수 개로 구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후술할 가압부(20)의 커팅 부분(212)에 대응되는 일부분인, 커팅 지지부분(112)과, 다른 일부분인, 가압부(20)의 벤딩 부분(211)에 대응되는 벤딩 지지부분(111)으로 나뉠 수 있으나, 그 종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커팅 지지부분(112)은 원기둥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벤딩 부분(211)에 대응되는 지지부(10)의 다른 일부분인 벤딩 지지부분(111)은, 커팅 지지부분(112)의 외측면보다 내측으로 함몰된 외측면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커팅 지지부분(112)의 외측면과 벤딩 지지부분(111)의 외측면 사이에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커팅 지지부분(112)은 후술할 가압부(20)의 가압부 홀(25)에 지지부(10)가 삽입될 때, 가압부(20)의 내측면에 대해 미끄러질 수 있도록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커팅 지지부분(112)에 가공대상물(M)이 지지된 상태에서 가압부(20)의 회전이 일어나는 경우, 커팅 부분(212)에 의해 가압되는 가공대상물(M) 상의 지점과, 커팅 지지부분(112)에 의해서 지지되는 가공대상물(M) 상의 지점이 가공대상물(M)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되는 위치에 배치되거나 이송방향(D1)을 기준으로 매우 인접한 상태여서, 가공대상물(M)의 커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벤딩 지지부분(111)은 커팅 지지부분(112)의 외측면보다 내측으로 함몰된 외측면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벤딩 지지부분(111)에 가공대상물(M)이 지지된 상태에서 가압부(20)의 회전이 일어나는 경우, 벤딩 부분(211)에 의해 가압되는 가공대상물(M) 상의 지점과, 벤딩 지지부분(111)에 의해서 지지되는 가공대상물(M) 상의 지점이 가공대상물(M)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면에 배치되되 이송방향(D1)을 따라 이격된 상태일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가공대상물(M)에 가해지는 압력이 한 개소에 모이지 못하고 분산되어 모멘트를 만들어, 커팅이 아닌 벤딩이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이송방향(D1)을 기준으로 커팅 부분(212)에 의해 가압되는 가공대상물(M) 상의 지점과 커팅 지지부분(112)에 의해서 지지되는 가공대상물(M) 상의 지점 사이의 거리는, 벤딩 부분(211)에 의해 가압되는 가공대상물(M) 상의 지점과 벤딩 지지부분(111)에 의해서 지지되는 가공대상물(M) 상의 지점 사이의 거리보다 작을 수 있다.
지지부 하단돌기(13)에는, 후술할 잠금 체결구(92)가 체결되는 지지부 체결홈(131)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 체결홈(131)은, 지지부 하단돌기(13)가, 연직방향(D2)과 나란하지 않은 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파임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지지부 체결홈(131)은 지지부 하단돌기(13)가 아닌 지지부 본체(11)에 형성될 수도 있다.
가압부(20)
가압부(20)는 가공대상물(M)을 가압하여 가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가압부(20)는 이송방향(D1)을 따라 이송된 가공대상물(M)을 벤딩 또는 커팅하기 위해, 회전 중에 가공대상물(M)을 가압한다.
가압부(20)가 가공대상물(M)을 벤딩 또는 커팅하기 위해 가압을 실시한다는 말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와 같이 가압부(20)가 벤딩 부분(211)과 커팅 부분(212)을 포함하여, 부품의 교체 없이 가공대상물(M)에 대해 벤딩 및 커팅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는 의미일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와 같이 벤딩만이 가능한 가압부(20)를 가지거나, 또 다른 실시예에서와 같이 커팅만이 가능한 가압부(20)를 가진다는 의미일 수 있다.
벤딩 부분(211)과 커팅 부분(212)을 동시에 구비하는 가압부(20)를 가져, 일렬로 별도의 커팅 장치와 벤딩 장치를 나열하여 가공을 실시하지 않고, 하나의 가공 장치(1)만을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벤딩과 커팅을 수행할 수 있다.
가압부(20)는 가압부 상부(22), 가압부 본체(21) 및 가압부 하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연직방향(D2)을 기준으로 가압부 본체(21)의 상단에 가압부 상부(22)가 배치되고, 가압부 본체(21)의 하단에 가압부 하부(23)가 배치될 수 있다. 즉 가압부 상부(22)로부터 연직방향(D2)을 따라 아래로 가면서 가압부 본체(21), 가압부 하부(23)가 순서대로 배치될 수 있다.
가압부 본체(21)의 외측면은, 가압부 상부(22)의 외측면 및 가압부 하부(23)의 외측면보다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가압부(20)의 회전을 지지하는 구성요소들에 가압부 상부(22) 및 가압부 하부(23)가 각각 연결되어 회전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되, 가압부 본체(21)는 가공대상물(M)의 가공시 불필요한 가압부(20)와 가공대상물(M)의 접촉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가압부 본체(21)의 측면 중 이송방향(D1)을 바라보는 측면은, 도시된 것과 같이 이송방향(D1)의 반대방향과 폭 방향(D3)을 기준으로 외측으로 향하는 빗면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빗면이 가압부 개구(24)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가압부 본체(21)는 벤딩 부분(211)과 커팅 부분(212)을 포함할 수 있다. 벤딩 부분(211)은, 가공대상물(M)을 가압하여 벤딩하게 마련되는 부분이다. 커팅 부분(212)은 가공대상물(M)을 가압하여 커팅하게 마련되는 부분이다.
벤딩 부분(211)과 커팅 부분(212)은, 연직방향(D2)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것과 같이, 벤딩 부분(211)이 커팅 부분(212)보다 연직방향(D2)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할 수 있으나, 그 배치가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벤딩 지지부분(111)과 커팅 지지부분(112)은 각각 벤딩 부분(211)과 커팅 부분(212)에 대응되게 배치되므로, 벤딩 지지부분(111)이 연직방향(D2)을 기준으로 커팅 지지부분(112)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가압부(20)의 벤딩 부분(211)과 커팅 부분(212)은, 가압부 개구(24)를 정의할 수 있다. 가압부 개구(24)는, 기본 상태에서 이송방향(D1)을 따라 가압부(20)를 관통하는 개구를 의미한다. 가압부 개구(24)를 통해서, 가압부(20)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는 지지부(10)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기본 상태란, 도 1 내지 도 5와 같이, 가공대상물(M)이 가압부(20)에 의해 가압되지 않도록 각 구성요소들이 배치된 상태를 의미한다. 따라서 기본 상태에서 가압부 개구(24)는 지지부 슬릿(14)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이송방향(D1)을 따라 개구된 상태이고, 기본 상태에서 가공대상물(M)이 이송방향(D1)을 따라 지지부 슬릿(14)과 가압부 개구(24)를 관통할 수 있다. 가공대상물(M)이 지지부 슬릿(14)에 의해 지지되는 기본 상태에서, 가압부(20)가 회전하여 가공대상물(M)을 가압하고 가공할 수 있다.
벤딩 부분(211)이 정의하는 가압부 개구(24)의 일부분의 폭은, 커팅 부분(212)이 정의하는 가압부 개구(24)의 다른 일부분의 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지지부(10)의 벤딩 지지부분(111)과 커팅 지지부분(112)의 외측면 형상에 의해 유발되는 효과와 유사하게, 벤딩 부분(211)에서는 벤딩이 일어나고, 커팅 부분(212)에서는 커팅이 일어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가압부(20)가 연직방향(D2)을 따라 관통되어, 가압부 홀(25)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10)는, 연직방향(D2)을 따라 가압부 홀(25)에 삽입될 수 있다. 가압부 홀(25)에 지지부(10)가 삽입되어, 가압부(20)의 내측에 지지부(10)가 수용될 수 있다. 가압부 홀(25)의 형상이 지지부(10)의 외측면의 형상에 대응되는 원기둥형으로 형성되어, 지지부(10)의 외측면이 가압부(20)의 내측면과 접촉할 수 있다.
지지부(10)와의 관계에서 가압부(20)가 연직방향(D2)을 중심으로 상대적인 회전을, 도 1의 화살표의 방향인 회전방향(D4)과 같이 가질 수 있으므로, 가압부(20)의 회전축은 연직방향(D2)을 따라 가압부(20)를 지나갈 수 있다. 따라서 지지부(10)가 고정된 상황이라면, 가압부(20)는 마치 지지부(10)를 축부재로 하여 회전하는 것과 같이 작동할 수 있다.
후술할 높이결정부(31)에 의해서 가압부(20)와 지지부(10)는 연직상방으로 밀려서 이동할 수 있는데, 가압부(20)가 높이결정부(31) 또는 높이결정부(31)와 가압부(20) 사이의 푸시부(32)에 결합되지 않은 상태인 경우, 높이결정부(31)가 연직하방으로 하강해도 가압부(20)는 마찰 등에 의해 여전히 상승된 위치에서 내려오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연결 링(91)이 사용될 수 있다.
연결 링(91)은 지지부(10)와 가압부(20)가 서로 상대적으로 회전은 가능하나, 연직방향(D2)을 따라서는 상대적인 움직임을 가지지 못하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지지부(10)의 외측면에 형성된 지지부 홈(15)과, 가압부 홀(25)을 정의하는 상기 가압부 하부(23)의 내측면에 형성된 가압부 홈(26)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 홈(15)과 가압부 홈(26)에, 연결 링(91)이 삽입될 수 있다.
연결 링(91)은, 지지부 홈(15)과 가압부 홈(26)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 링(91)에 의해, 지지부(10)와 가압부(20)의 연직방향(D2) 움직임은 서로 연동되되, 회전은 연동되지 않아, 지지부(10)와 가압부(20)가 서로 상대적인 회전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이 가능하도록, 연결 링(91)은, 일부가 개방된 환형의 스냅 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지지부 홈(15)을 둘러싸도록 연결 링(91)을 배치할 때, 연결 링(91)의 개방된 부분과 인접한 연결 링(91)의 양단을 잡아당겨 서로 접촉하도록 해, 지지부 홈(15)을 구성하는 지지부(10)의 외측면에 연결 링(91)의 내측면이 최대한 밀착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지지부(10)를 가압부(20)에 삽입함에 따라, 연결 링(91)의 양단이 서로 멀어지고, 연결 링(91)이 가압부 홈(26)에 삽입되면서 연결 링(91)의 외측면이 가압부 홈(26)을 형성하는 가압부(20)의 내측면에 접촉할 수 있다.
가압부 상부(22)는 원기둥형의 외측면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할 덮개부(60)에 삽입되어 회전시 지지될 수 있다. 그러나 가압부 하부(23)는 도시된 것과 같이 연직방향(D2)에 수직한 평면으로 자른 단면이 원이 아닌 형상을 가져, 동력전달부(51)에 의해 가압부(20)가 회전되도록 동력전달부(51)의 동력전달부 홀(512)에 삽입될 수 있다.
높이결정부(31)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 장치(1)의 가압부(20)가 도 3의 상태에서 연직방향(D2)으로 들어올려진 위치에 배치된 상황을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6을 더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결정부(31)에 대해 설명한다. 높이결정부(31)는 가압부(20)를 연직방향(D2)을 따라 이동시키는 구성요소이다. 높이결정부(31)는 지지부(10) 역시 연직방향(D2)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높이결정부(31)는 지지부(10) 및 가압부(20)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도시한 것과 같이 지지부(10) 및 가압부(20)와의 사이에 푸시부(32)를 가져 서로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높이결정부(31)는 유압실린더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결정부(31)는, 실린더(311)와 실린더(311)에 일부분이 내장되어 실린더(311) 내부에 유입되거나 배출되는 유압에 의해 연직방향(D2)을 따라 이동 가능한 피스톤(312)을 포함할 수 있다. 피스톤(312)의 외측 말단에 가압부(20)가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피스톤(312)이 연직방향(D2)을 따라 이동할 때 가압부(20)도 이에 연동되어 이동할 수 있다.
다만 높이결정부(31)는 공압을 사용하는 실린더일 수 있고, 리니어 모터일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이 직선방향 움직임을 가지게 하는 기계요소라면, 다른 기계요소로 변형이 가능하다.
높이결정부(31)는, 가압부(20)를 연직방향(D2)을 따라 이동시킴에 따라, 벤딩 부분(211)과 커팅 부분(212) 중 어느 하나가 가공대상물(M)을 가압할 수 있는 위치에 놓이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높이결정부(31)가 신장하여 가압부(20)를 최대한 들어올린 도 6과 같은 상황에서, 벤딩 부분(211)이 가공대상물(M)을 벤딩할 수 있다. 높이결정부(31)가 수축하여 가압부(20)를 연직하방으로 이동시킨 상태인 도 3과 같은 상태에서, 커팅 부분(212)이 가공대상물(M)을 커팅할 수 있다.
도시된 것과 같이 높이결정부(31)는 지지부(10) 및 가압부(2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으나, 그 위치가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지지부(10) 및 가압부(20)의 상측에서 지지부(10)와 가압부(20)를 잡아당겨 상승시키거나, 밀어 하강시킬 수도 있다.
푸시부(32)
푸시부(32)는 가압부(20)에 대한 높이결정부(31)의 작용을 매개하는 구성요소이다. 푸시부(32)에는 가압부(20)가 안착될 수 있고, 지지부(10)가 상대적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안착될 수 있으며, 높이결정부(31)에 결합될 수 있다.
푸시부(32)는 높이결정부(31)의 운동에 연동되어 가압부(20)와 지지부(10)를 연직방향(D2)으로 이동시키도록 높이결정부(31)에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것과 같이, 푸시부(32)와 높이결정부(31)는 푸시부(32)를 연직방향(D2)으로 관통하되 높이결정부(31)의 상단에 체결되는 푸시부-높이결정부 체결구(93)에 의해서 체결될 수 있으나, 이외의 위치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서로 결합될 수도 있다.
푸시부(32)에는 잠금 체결구(92)가 체결될 수 있다. 잠금 체결구(92)는, 푸시부(32)와 지지부(10)의 연직방향(D2)에서의 움직임을 연동시키도록, 푸시부(32)와 지지부(10)를 체결할 수 있다. 즉, 푸시부(32)는 각 체결구에 의해, 높이결정부(31) 및 지지부(10)와 체결되어, 서로 상대적인 회전을 가지지 않고, 서로 연동되어 연직방향(D2)을 따라 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높이결정부(31)의 연직방향(D2) 움직임이, 지지부(10)에 전달될 수 있다. 지지부(10)에 전달된 연직방향(D2) 움직임은, 상술한 연결 링(91)에 의해 회전부에 전달되어, 회전부가 높이결정부(31)의 연직방향(D2) 움직임에 연동하여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회전부는 푸시부(32)에 안착된 상태이므로, 푸시부(32)가 높이결정부(31)의 연직상방 움직임에 연동하여 운동할 때, 푸시부(32)에 의해 밀려서 연직상방으로 운동할 수 있다.
푸시부(32)에 잠금 체결구(92)가 체결되기 위하여, 푸시부(32)에는 잠금 체결구 통과홀(3212)이 형성될 수 있다.
푸시부(32)는, 연직방향(D2)을 기준으로 상측을 바라보는 상면으로부터 하측으로 파인 푸시부 홈(3211)을 가질 수 있다. 지지부(10)가 푸시부(32)에 안착될 때, 지지부(10)가 푸시부(32)와의 관계에서 상대적인 회전을 가지지 않도록, 푸시부 홈(3211)에 지지부 하단돌기(13)가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푸시부 홈(3211)은 연직방향(D2)으로 연장된 원기둥형이 아닌, 지지부 하단돌기(13)를 연직방향(D2)과 나란하지 않은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시부 홈(3211)은, 폭 방향(D3)을 따라서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에 삽입되는 지지부 하단돌기(13) 역시, 푸시부 홈(3211)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지지부 본체(11)로부터 연직하방으로 돌출되되, 폭 방향(D3)을 따라서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푸시부(32)는 푸시부 상부(321)와 푸시부 하부(322)를 포함할 수 있다. 푸시부 하부(322)는 높이결정부(31)와 결합될 수 있고, 푸시부 상부(321)는 푸시부 하부(322)가 연직방향(D2)에 수직한 평면으로 자른 단면에서 가지는 단면적보다 큰 단면적을 가져, 푸시부 고정 하우징(85)에 걸려 푸시부(32)가 연직하방으로 하우징(8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동력전달부(51)
동력전달부(51)는 가압부(20)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성요소이다. 동력전달부(51)는 구동부(52)가 포함하는 구동원(521)이 발생시킨 구동력이 전달되어 회전하는 구동기어(522)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받아, 연직방향(D2)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동시에 동력전달부(51)는 가압부(20)에 연결되므로, 가압부(20)를 이에 연동하여 연직방향(D2)을 중심으로 회전토록 한다. 여기서 구동원(521)은, 모터일 수 있으나, 이외에도 회전하는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다른 기계요소가 사용될 수 있다.
동력전달부(51)는 동력전달부 본체(511)를 포함할 수 있다. 동력전달부 본체(511)의 측면중 일부분은 구동기어(522)에 접촉하여, 구동기어(522)의 회전에 따라 동력전달부 본체(511)를 회전케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일측면의 일부분은, 동력전달부 본체(511)의 회전축으로부터 동일한 거리만큼 떨어진 점들이 모여서 형성된 곡선형의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작용을 위해, 동력전달부 본체(511)의 측면과 구동기어(522)가 치합되도록 서로 맞물리는 기어치를 가질 수도 있다.
동력전달부 본체(511)에는 동력전달부 홀(512)이 형성될 수 있다. 동력전달부 홀(512)은 동력전달부 본체(511)를 연직방향(D2)을 따라 관통하는 통공이다. 동력전달부 홀(512)에 푸시부(32)와 가압부(20)가 삽입될 수 있다. 동력전달부 홀(512)을 연직방향(D2)에 수직한 평면으로 자른 단면의 프로파일이 원형이 아닐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가압부 하부(23)가 동력전달부 홀(512)에 삽입되어, 연직방향(D2)을 중심으로 동력전달부(51)가 회전할 때 가압부(20)가 동력전달부(51)의 내측면에 의해 가압되어 연직방향(D2)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동력전달부 본체(511)로부터 연직상방으로 돌출되되, 동력전달부 홀(512)을 둘러싸는 형상의 동력전달부 돌출부(513)가 형성될 수 있다. 동력전달부 돌출부(513)는 후술할 하우징(80)의 하부 고정홀(811)에 삽입되어, 동력전달부(51)가 연직방향(D2)과 나란하지 않은 다른 방향으로 하우징(8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동력전달부 본체(511)는 연직방향(D2)을 가로지르는 다른 방향으로 더 관통되어, 동력전달부 체결홀(514)을 형성할 수 있다. 동력전달부 체결홀(514)은, 기본 상태에서, 잠금 체결구(92)가 푸시부(32)와 지지부(10)를 체결하는 방향과 나란하게 정렬될 수 있다. 도시된 것과 같이, 잠금 체결구(92)는 이송방향(D1)의 반대방향을 따라 나열될 수 있고, 동일한 방향을 따라 푸시부(32)와 지지부(10)를 체결할 수 있다. 따라서 동력전달부 체결홀(514) 역시 이송방향(D1)을 따라 동력전달부 본체(511)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동력전달부 체결홀(514)을 통해, 전체 가공 장치(1)가 조립된 상태에서도 잠금 체결구(92)가 푸시부(32)의 잠금 체결구 통과홀(3212) 및 지지부 체결홈(131)으로 삽입되어, 푸시부(32)와 지지부(10)를 체결할 수 있다. 또한 반대로, 동력전달부 체결홀(514)을 통해, 이미 푸시부(32)와 지지부(10)를 체결하고 있는 잠금 체결구(92)에 대해, 체결을 해제하고 외부로 배출할 수도 있다.
동력전달부 홀(512)에 삽입된 가압부 하부(23)의 외측면은, 동력전달부 홀(512)을 정의하는 동력전달부(51)의 내측면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동력전달부(51)의 내측면에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동력전달부(51)의 회전시 가압부(20) 역시 이에 연동되어 회전할 수 있다. 그러나 동력전달부 홀(512)에 삽입된 푸시부(32)의 외측면은, 동력전달부(51)에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동력전달부(51)의 회전이 일어나도, 푸시부(32)는 가압되지 않아,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
가이드부(70)
가이드부(70)는 가공대상물(M)이 이송방향(D1)을 따라 이동하도록, 가공대상물(M)을 가이드하는 구성요소이다. 가이드부(70)는 가압부(20)에 대해 이송방향(D1)을 기준으로 상류측에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부(70)는 가압부(20)로 가공대상물(M)을 가이드하도록, 이송방향(D1)을 따라 관통되어 가이드 슬릿(711, 721)을 형성하고, 이송방향(D1)을 기준으로 가압부(20)의 상류측에서 하부 하우징(81)에 안착될 수 있다.
가이드부(70)는 제1 가이드부(71)와 제2 가이드부(72)로 나뉠 수 있으나, 가공의 편의를 위한 것이므로, 가이드부(70)의 개수가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제1 가이드부(71)와 제2 가이드부(72)는 연속되게 배치되어, 제1 가이드부(71)의 제1 가이드 슬릿(711)을 통과한 가공대상물(M)이 제2 가이드부(72)의 제2 가이드 슬릿(721)을 통과해 지지부(10)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가이드 슬릿(711, 721)을 가공대상물(M)이 통과할 수 있도록, 가공대상물(M)을 가이드 슬릿(711, 721)이 형성된 방향을 따라 밀어주는 롤러(미도시)가 가이드부(70)에 내장되어 있을 수도 있다.
하우징(80)
하우징(80)은 가공 장치(1)의 뼈대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이다. 하우징(80)은 하부 하우징(81) 및 상부 하우징(86)을 포함할 수 있고, 기타 다른 하우징(80)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하우징(81)은 연직방향(D2)을 기준으로 가압부(20)의 하단과 인접한 영역인 가압부(20)하부가 삽입되는 하우징(80)이다. 하부 하우징(81)이 연직방향(D2)으로 관통되어 하부 고정홀(811)을 형성할 수 있고, 이러한 하부 고정홀(811)에 가압부(20)와 이를 감싸는 동력전달부 돌출부(513)가 삽입될 수 있다.
동력전달부 본체(511)는 하부 하우징(81)의 하측에 배치되어, 하부 하우징(81)은 동력전달부 본체(511)가 연직상방으로 이탈하는 것과, 연직방향(D2)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부 하우징(81)에는 가이드부(70)가 안착될 수 있고, 가이드부(70)가 이탈되지 않도록 가이드부(70)가 안착될 수 있는 홈이 하부 하우징(81)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부 하우징(86)은, 가이드부(70)에 결합될 수 있다. 상부 하우징(86)은, 하부 하우징(81)에 직접 결합될 수도 있으나, 도시된 것과 같이 가이드부(70)를 통해 간접적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상부 하우징(86)은, 상기 이송방향(D1)을 기준으로 말단에 인접한 영역인 상부 연장부(861)를 가질 수 있다. 가이드부(70)로부터 이송방향(D1)을 따라 연장된 부분인 상부 연장부(861)를 가질 수 있다. 상부 연장부(861)는 연직방향(D2)으로 관통되어 상부 홀(862)을 형성할 수 있다. 상부 홀(862)에는 덮개부(60)가 삽입될 수 있다.
내측 고정 하우징(82)은 하부 하우징(81)으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내측 고정 하우징(82)은 하부 하우징(81)과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하부 하우징(81)과 내측 고정 하우징(82)은, 연직방향(D2)에 수직한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내측 고정 하우징(82)이 연직방향(D2)으로 관통되어, 내측 고정홀이 형성될 수 있다. 내측 고정홀에는 동력전달부(51)가 안착될 수 있고, 내측 고정홀을 푸시부(32)와 푸시부 고정 하우징(85)이 통과할 수 있다. 내측 고정 하우징(82)이, 동력전달부(51)가 연직하방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푸시부 고정 하우징(85)은 내측 고정 하우징(82)의 연직하측으로부터 연직상방으로 내측 고정홀에 삽입되고, 푸시부(32)가 내측에 삽입되는 'T'자 형의 프로파일을 가지는 하우징(80)이다. 푸시부 고정 하우징(85)이 내측 고정 하우징(82)에 삽입 및 결합되고, 푸시부 상부(321)와 푸시부 하부(322)가 형성하는 단턱에 걸려, 푸시부(32)가 연직하방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부 하우징(81)의 둘레를 따라, 하부 하우징(81)의 하측에 정면 하우징(83)과 측면 하우징(84)이 배치될 수 있다. 정면 하우징(83)은 이송방향(D1)을 바라보는 판형으로 형성되어, 하부 하우징(81)의 이송방향(D1)측 말단에 결합되고, 내부 고정 하우징(80)의 이송방향(D1)측 말단에 결합되어, 하부 하우징(81)과 내부 고정 하우징(80)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정면 하우징(83)에는 이송방향(D1)을 따라 관통되어 정면 홀(831)이 형성될 수 있다. 정면 홀(831)은 동력전달부 홀(512)과 나란하게 형성되어, 잠금 체결구(92)가 외부로부터 동력전달부 홀(512)로 들어가거나, 동력전달부 홀(512)을 통해 나오는 잠금 체결구(92)가 외부로 나올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가공 장치(1)가 전부 조립된 상태에서도, 정면 홀(831)과 동력전달부 홀(512)을 통해, 잠금 체결구(92)가 외부로부터 내부로 제공되어 푸시부(32)와 지지부(10)를 체결할 수 있고, 그 반대도 가능하다.
측면 하우징(84)은 폭 방향(D3)을 따라 하부 하우징(81)의 양단에 연결될 수 있다.
내부 측면 하우징(87)은, 폭 방향(D3)을 따라 내부 고정 하우징(80)의 양단에 결합되고, 하부 하우징(81)의 하면에 결합되어, 하부 하우징(81)과 내부 고정 하우징(80)을 더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 하우징(84)과 내부 측면 하우징(87)은 폭 방향(D3)을 바라보는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덮개부(60)
덮개부(60)는 상부 연장부(861)와 연결되고, 가압부(20)를 덮는 구성요소이다. 덮개부(60)는, 덮개 삽입부(612)와, 덮개 플랜지(611)를 포함하는 덮개(61)를 가질 수 있다.
덮개 삽입부(612)는, 상부 연장부(861)의 상부 홀(862)에 삽입되고, 가압부(20)가 배치된 위치에서 가압부(20)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가압부(20)의 상단을 덮는다. 덮개 삽입부(612)가 상부 홀(862)에 삽입되되 가압부(20)를 덮을 수 있도록, 덮개 삽입부(612)의 하면은, 연직상방으로 파여 가압부(20)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가압부(20)가 삽입되어 덮힐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덮개 삽입부(612)의내측면에, 가압부(20)가 연직방향(D2)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원활하게 지지하기 위해 가지는, 상부 베어링(62)이 배치될 수 있다. 상부 베어링(62)은, 가압부 상부(22)의, 연직방향(D2)에 수직한 방향을 바라보는 외측면에 접촉하여, 회전부의 회전을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덮개부(60)가 포함하는 상부 베어링(62)은, 연직방향(D2)과 나란한 방향을 회전축으로 하는 전동체들이 내주면을 따라 복수 개 배치된 롤러 베어링일 수 있으나, 그 종류가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덮개 삽입부(612)는, 상부 하우징(86)의 상측으로부터, 연직하방으로 상부 홀(862)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덮개 플랜지(611)가 상부 하우징(86)에 걸려, 연직하방으로 덮개부(60)가 이동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덮개 플랜지(611)는, 덮개 삽입부(612)가 상부 홀(862)에 삽입될 때 상부 연장부(861)에 걸리도록, 덮개 삽입부(612)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가진다. 여기서 외측으로 돌출된다는 말은, 연직방향(D2)과 나란하지 않은 방향을 따라, 덮개 삽입부(612)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다는 의미이다.
덮개 삽입부(612)에는, 지지부(10)의 상대적인 회전은 제한되되 연직방향(D2)을 기준으로 한 지지부(10)의 상대적인 움직임은 가능하도록, 지지부 상단돌기(12)가 하측으로부터 연직상방으로 삽입되는 지지부 삽입홀(63)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부 삽입홀(63)은, 연직방향(D2)으로 연장된 원기둥형이 아닌, 지지부 상단돌기(12)를 연직방향(D2)과 나란하지 않은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 삽입홀(63)은, 폭 방향(D3)을 따라서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에 삽입되는 지지부 상단돌기(12) 역시, 지지부 삽입홀(63)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지지부 본체(11)로부터 연직상방으로 돌출되되, 폭 방향(D3)을 따라서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와셔(40, 40a)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가공 장치(1a)의 종단면도이다.
도 7을 더 참조로 하여, 와셔(40, 40a)에 대해 설명한다. 와셔(40, 40a)는 가압부(20)와 덮개(61)가 연직방향(D2)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된 높이를 결정하는 구성요소이다. 와셔(40, 40a)는 덮개 삽입부(612)를 감싸도록,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와셔(40, 40a)는 상부 하우징(86)과 덮개 플랜지(611)의 사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와셔(40, 40a)의 높이만큼 상부 하우징(86)과 덮개 플랜지(611)가 이격될 수 있다. 가압부(20)를 교체하지 않는 이상 가압부(20)의 높이는 변화하지 않을 것이므로, 와셔(40, 40a)의 높이를 조절함에 따라 가압부(20)와 덮개 삽입부(612)의 내측면이 서로 이격된 높이가 변화할 수 있다. 여기서 이격된 높이를 판단하기 위한 덮개 삽입부(612)의 내측면은, 덮개 삽입부(612)의 내측에 위치하고 연직 하방을 바라보는 일면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도 3과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20)와 지지부(10)가 사용될 때, 제1 높이(H1)를 가지는 와셔(40)가 사용되어, 가압부(20)가 가장 하측에 위치했을 때 덮개 삽입부(612)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높이를 소정의 값으로 유지한다.
도 7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서 가공되는 가공대상물(M)의 높이보다 더 큰 높이를 가지는 가공대상물을 가공하기 위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가공 장치(1a)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르면, 연직방향(D2)을 기준으로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20)와 지지부(10)가 가지는 높이보다 더 큰 높이를 가지는 가압부(20a)와 지지부(10a)가 사용될 수 있다. 더 큰 가공대상물을 가공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경우, 일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1 높이(H1)를 가지는 와셔(40)가 사용되면, 지지부(10a)와 가압부(20a)가 충분히 상승하지 못하고, 덮개(61)에 의해 연직상방으로 이동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충분히 지지부(10a)와 가압부(20a)가 상승하지 못하면, 벤딩 또는 커팅이 가공대상물(M)에 대해 적절하게 이루어질 수 없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변형예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1 높이(H1)보다 큰 제2 높이(H2)를 가지는 와셔(40a)가 사용될 수 있다. 지지부(10a)와 가압부(20a)의 높이가 증가한 만큼 높이가 증가한 와셔(40a)가 사용될 경우, 덮개 삽입부(612)의 내측면과 가압부(20a)가 연직방향(D2)을 따라 이격된 높이를, 일 실시예에서와 같이 소정의 값으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그 변형예에 따른 가공 장치(1, 1a)를 사용하여, 높이가 상이한 지지부(10a)와 가압부(20a)를 사용해야 하는 경우라도, 덮개(61)의 교체 없이 와셔(40a)의 높이만을 조절하여 동일한 가공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밖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 장치(1)는, 각 회전되는 요소들 사이 또는 회전되는 요소와 정지된 요소 사이에서 마찰을 저감시키기 위해 각종 보조 베어링(9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배치되는 베어링의 수와 위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1a : 가공 장치
10, 10a : 지지부
11 : 지지부 본체
12 : 지지부 상단돌기
13 : 지지부 하단돌기
14 : 지지부 슬릿
15 : 지지부 홈
20, 20a : 가압부
21 : 가압부 본체
22 : 가압부 상부
23 : 가압부 하부
24 : 가압부 개구
25 : 가압부 홀
26 : 가압부 홈
31 : 높이결정부
32 : 푸시부
40, 40a : 와셔
51 : 동력전달부
52 : 구동부
60 : 덮개부
61 : 덮개
62 : 상부 베어링
63 : 지지부 삽입홀
70 : 가이드부
71 : 제1 가이드부
72 : 제2 가이드부
80 : 하우징
81 : 하부 하우징
82 : 내측 고정 하우징
83 : 정면 하우징
84 : 측면 하우징
85 : 푸시부 고정 하우징
86 : 상부 하우징
87 : 내부 측면 하우징
91 : 연결 링
92 : 잠금 체결구
93 : 푸시부-높이결정부 체결구
94 : 보조 베어링
111 : 벤딩 지지부분
112 : 커팅 지지부분
131 : 지지부 체결홈
211 : 벤딩 부분
212 : 커팅 부분
311 : 실린더
312 : 피스톤
321 : 푸시부 상부
322 : 푸시부 하부
511 : 동력전달부 본체
512 : 동력전달부 홀
513 : 동력전달부 돌출부
514 : 동력전달부 체결홀
521 : 구동원
522 : 구동기어
611 : 덮개 플랜지
612 : 덮개 삽입부
711 : 제1 가이드 슬릿
721 : 제2 가이드 슬릿
811 : 하부 고정홀
831 : 정면 홀
861 : 상부 연장부
862 : 상부 홀
3211 : 푸시부 홈
3212 : 잠금 체결구 통과홀
D1 : 이송방향
D2 : 연직방향
D3 : 폭 방향
D4 : 회전방향
H1 : 제1 높이
H2 : 제2 높이
M : 가공대상물

Claims (15)

  1. 소정의 이송방향을 따라 이송된 가공대상물을 벤딩 또는 커팅하기 위해 회전 중에 가압하는 가압부;
    상기 가압부에 의한 가압 중에 상기 가공대상물을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가압부가 상기 가공대상물을 선택적으로 벤딩 또는 커팅하도록, 상기 가압부를 연직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높이결정부를 포함하는, 가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가 안착되고, 상기 지지부가 상대적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안착되며, 상기 높이결정부의 동작에 연동되어 상기 가압부와 상기 지지부를 상기 연직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높이결정부에 결합되는 푸시부를 더 포함하는, 가공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부는, 상기 연직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을 바라보는 상면으로부터 하측으로 파인 푸시부 홈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가 상기 푸시부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상기 연직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지지부의 하단은, 상기 푸시부 홈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져, 상기 지지부가 상기 푸시부에 안착될 때 상기 푸시부 홈에 삽입되는, 가공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부와 상기 지지부의 상기 연직방향에서의 움직임을 연동시키도록, 상기 푸시부와 상기 지지부를 체결하는 잠금 체결구를 더 포함하는, 가공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동력전달부 본체와, 상기 동력전달부 본체를 상기 연직방향을 따라 관통하여 상기 푸시부와 상기 가압부가 삽입되되 상기 연직방향에 수직한 평면으로 자른 단면의 프로파일이 원형이 아닌 동력전달부 홀을 포함하고, 상기 연직방향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가압부를 회전시키는 동력전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공대상물이 상기 가압부에 의해 가압되지 않도록 상기 가압부를 상기 동력전달부가 위치시키는 상태인 기본 상태에서, 상기 동력전달부 본체를 상기 연직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관통하는 동력전달부 체결홀이, 상기 잠금 체결구가 상기 푸시부와 상기 지지부를 체결하는 방향과 나란하게 정렬되고,
    상기 동력전달부 홀에 삽입된 상기 가압부의 외측면은, 상기 동력전달부 홀을 정의하는 상기 동력전달부의 내측면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동력전달부의 내측면에 접촉하고,
    상기 동력전달부 홀에 삽입된 상기 푸시부의 외측면은, 상기 동력전달부에 접촉하지 않는, 가공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가압부를 상기 연직방향을 따라 관통하는 가압부 홀에 삽입되고,
    상기 지지부의 일부분은, 상기 가공대상물이 삽입되고 배출되도록 상기 이송방향을 따라 상기 가압부를 관통하는 가압부 개구에 의해 외부에 노출되는, 가공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와 가압부가 서로 상대적으로 회전은 가능하나, 연직방향을 따라서는 상대적인 움직임을 가지지 못하도록, 상기 지지부의 외측면에 형성된 지지부 홈과, 상기 가압부 홀을 정의하는 상기 가압부의 내측면에 형성된 가압부 홈에 삽입되는 연결 링을 더 포함하는, 가공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링은, 일부가 개방된 환형의 스냅 링인, 가공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가공대상물을 가압하여 벤딩하게 마련되는 벤딩 부분과, 상기 벤딩 부분에서 상기 연직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가공대상물을 가압하여 커팅하게 마련되는 커팅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높이결정부는, 상기 벤딩 부분과 상기 커팅 부분 중 어느 하나가 상기 가공대상물을 가압하게, 상기 가압부를 상기 연직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가공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의 벤딩 부분과 커팅 부분은, 상기 가공대상물이 삽입되고 배출되도록 상기 이송방향을 따라 상기 가압부를 관통하는 가압부 개구를 정의하고,
    상기 벤딩 부분이 정의하는 상기 가압부 개구의 일부분의 폭은, 상기 커팅 부분이 정의하는 상기 가압부 개구의 다른 일부분의 폭보다 큰, 가공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는, 상기 가공대상물이 상기 이송방향을 따라 진입하여 상기 가압부의 회전에 의해 벤딩 또는 커팅되도록, 상기 지지부를 상기 이송방향을 따라 관통하고, 삽입된 상기 가공대상물을 지지하는 지지부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커팅 부분에 대응되는 상기 지지부의 일부분은 원기둥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벤딩 부분에 대응되는 상기 지지부의 다른 일부분은, 상기 원기둥형으로 형성되는 일부분의 외측면보다 내측으로 함몰된 외측면을 가져, 단차가 형성되는, 가공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직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가압부의 하단과 인접한 영역이 삽입되는 하부 하우징;
    상기 가공대상물을 상기 가압부로 가이드하도록 마련된 가이드 슬릿을 가지고, 상기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가압부의 상류측에서 상기 하부 하우징에 안착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에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부로부터 상기 이송방향을 따라 연장된 부분인 상부 연장부를 가지는 상부 하우징;
    상기 상부 연장부가 상기 연직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상부 홀에 삽입되고, 상기 가압부가 배치된 위치에서 상기 가압부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가압부의 상단을 덮는 덮개 삽입부와, 상기 덮개 삽입부가 상기 상부 홀에 삽입될 때 상기 상부 연장부에 걸리도록 상기 덮개 삽입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덮개 플랜지를 포함하는 덮개부; 및
    상기 연직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가압부가 상기 덮개 삽입부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높이를 결정하도록, 상기 상부 하우징과 상기 덮개 플랜지의 사이에 배치되는 와셔를 더 포함하는, 가공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삽입부에는, 상기 지지부의 상대적인 회전은 제한되되 연직방향을 기준으로 한 상기 지지부의 상대적인 움직임은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부의 상단이 상기 연직방향으로 삽입되는 지지부 삽입홀이 형성되는, 가공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가압부가 상기 연직방향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지지하도록, 상기 덮개 삽입부의 내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연직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바라보는 상기 가압부의 외측면에 접촉하는 베어링인 상부 베어링을 더 포함하는, 가공 장치.
  15. 소정의 이송방향을 따라 이송된 가공대상물의 벤딩 또는 커팅 시에 상기 가공대상물을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고 있는 상기 가공대상물을 벤딩 또는 커팅하기 위해 회전 중에 가압하는 가압부;
    연직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가압부의 하단과 인접한 영역이 삽입되는 하부 하우징;
    상기 하부 하우징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말단에 인접한 부분인 상부 연장부를 가지는 상부 하우징;
    상기 상부 연장부가 상기 연직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상부 홀에 삽입되고, 상기 가압부가 배치된 위치에서 상기 가압부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가압부의 상단을 덮는 덮개 삽입부와, 상기 덮개 삽입부가 상기 상부 홀에 삽입될 때 상기 상부 연장부에 걸리도록 상기 덮개 삽입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덮개 플랜지를 포함하는 덮개부; 및
    상기 연직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가압부가 상기 덮개 삽입부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높이를 결정하도록, 상기 상부 하우징과 상기 덮개 플랜지의 사이에 배치되는 와셔를 포함하는, 가공 장치.
KR1020190091937A 2019-07-29 2019-07-29 가공 장치 KR1022413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1937A KR102241314B1 (ko) 2019-07-29 2019-07-29 가공 장치
CN202010717746.XA CN112296681B (zh) 2019-07-29 2020-07-23 加工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1937A KR102241314B1 (ko) 2019-07-29 2019-07-29 가공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3985A true KR20210013985A (ko) 2021-02-08
KR102241314B1 KR102241314B1 (ko) 2021-04-16

Family

ID=74483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1937A KR102241314B1 (ko) 2019-07-29 2019-07-29 가공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41314B1 (ko)
CN (1) CN112296681B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5551A (ko) * 2000-09-29 2002-04-04 송병준 커팅블레이드의 절곡 및 절단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88991A (ja) * 1999-04-07 2000-10-17 Naoki Ogawa 帯刃の曲げと切断の方法と装置
DE10358991B4 (de) * 2002-12-17 2016-03-17 Komatsu Ltd. Steuerverfahren für eine Pressenlinie und Tandempressenlinie
CN107755973A (zh) * 2016-08-20 2018-03-06 青岛立博汽车零部件精密铸造有限公司 一种汽车导风连接装置制作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5551A (ko) * 2000-09-29 2002-04-04 송병준 커팅블레이드의 절곡 및 절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1314B1 (ko) 2021-04-16
CN112296681B (zh) 2023-02-03
CN112296681A (zh) 2021-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27559B1 (en) Wire feeding apparatus
CN102458784B (zh) 链锯
US20090317507A1 (en) Press for producing powder based parts using compaction
AU752309B2 (en) Apparatus for punching steel studs
US9617079B2 (en) Conveying device with a braking device
US9285021B2 (en) Linear module with a support device
KR102241314B1 (ko) 가공 장치
KR20090010212A (ko) 에너지 유도 체인
EP1710176A2 (de) Gurtförderer
KR20130064674A (ko) 구동력 전달 벨트의 톱니-스킵 방지기구
EP2530236A2 (en) Device for guiding a piece of fabric
DE10117040B4 (de) Türöffnungs- und Schliessantriebsvorrichtung des Band- oder Riementyps
CN101027504A (zh) 推拉式链条和致动器
EP1492968A1 (de) Vorrichtung zur lagerung und zur zumindest hilfsweisen betätigung eines schaltelementes
WO2010108509A1 (de) Elektrischer linearantrieb
JP5862583B2 (ja) 増力機構、それを備えた加圧装置および圧入装置
EP3546399A1 (de) Hub- und fördervorrichtung und streckenförderer mit der hub- und fördervorrichtung
CA1144509A (en) Roller conveyors
US20140011617A1 (en) Rotary connection
EP3126717B1 (en) Connecting rod with modified end
US2951410A (en) Tape cutter
EP4276327A1 (en) Reverse input blocking clutch
US20100140035A1 (en) Bicycle clutch
KR100429560B1 (ko) 커팅 블레이드 절곡장치
EP2062766B1 (en) Sunscreen assembly with two sunscree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