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3923A - 영상 통화 중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영상 통화 중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3923A
KR20210013923A KR1020190091753A KR20190091753A KR20210013923A KR 20210013923 A KR20210013923 A KR 20210013923A KR 1020190091753 A KR1020190091753 A KR 1020190091753A KR 20190091753 A KR20190091753 A KR 20190091753A KR 20210013923 A KR20210013923 A KR 202100139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user
video call
area
prof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1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0212B1 (ko
Inventor
안상일
김병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퍼커넥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퍼커넥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퍼커넥트
Priority to KR10201900917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0212B1/ko
Priority to JP2020121806A priority patent/JP7116124B2/ja
Priority to US16/931,534 priority patent/US11252373B2/en
Priority to EP20188232.1A priority patent/EP3772221A1/en
Publication of KR20210013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39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02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02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7Communication arrangements, e.g. identifying the communication as a video-communication, intermediate storage of the sig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7Server based end-user applications
    • H04N21/274Storing end-user multimedia data in response to end-user request, e.g. network recorder
    • H04N21/2743Video hosting of uploaded data from cli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communicating with other users, e.g. chat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32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using a connection between clients on a wide area network, e.g.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for retrieving video segments from the hard-disk of other clie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terminal equipment, e.g. arrangements of the camera and the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2866Architectures; Arrangements
    • H04L67/30Profiles
    • H04L67/306User prof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영상 통화 중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통화 중개 방법은,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 사이에 영상 통화 세션을 수립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제2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기의 표시 영역 상에 상기 제1 단말기에 의해 획득된 영상, 상기 제2 단말기에 의해 획득된 영상 및 상기 제2 단말기의 사용자의 프로필을 각각 제1 내지 제3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2 단말기의 사용자의 프로필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 입력 수신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단말기의 표시 영역 상의 제4 영역에 상기 제2 단말기의 사용자가 업로드한 컨텐츠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영상 통화 중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Video Call Mediating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of}
본 발명은 영상 통화 중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영상 통화 화면에 상대방 사용자가 업로드한 컨텐츠를 동시에 표시함으로써 비 지인간 영상 통화에서 보다 원활한 대화를 유도할 수 있는 영상 통화 중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통신 기술이 발달하고 전자 장치가 소형화됨에 따라 개인용 단말기가 일반 소비자에게 널리 보급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 태블릿과 같은 휴대용 개인 단말기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대부분의 휴대용 개인 단말기들은 통신 기능을 구비하고 있어 통신망에 연결되어 다른 단말기들과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으며, 예컨대, 다른 단말기들과 영상 및 음성을 주고받을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이용하여 복수 개의 단말기들 사이에 영상 통화가 이루어질 수 있는데, 영상 통화 플랫폼에 접속하여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받는 경우 서로 모르는 사람 사이에 영상 통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비-지인(非-知人) 간의 영상 통화가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자연스러운 대화를 하기 어려울 수 있는데, 적절한 대화 주제를 찾을 수 있다면 보다 원활한 대화를 기대해볼 수 있다.
다만, 기존의 비-지인 간의 영상 통화를 제공하는 서비스에서는 사용자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그 종류와 수에 제한이 있을 수 밖에 없었으므로 영상 통화 사용자가 상대방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영상 통화를 수행하는 사용자의 사용자 경험을 해치지 않으면서 연결된 상대방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원활한 대화를 유도하는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비 지인간 영상 통화에서 원활한 대화를 유도할 수 있는 영상 통화 중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통화 중개 방법은,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 사이에 영상 통화 세션을 수립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제2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기의 표시 영역 상에 상기 제1 단말기에 의해 획득된 영상, 상기 제2 단말기에 의해 획득된 영상 및 상기 제2 단말기의 사용자의 프로필을 각각 제1 내지 제3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2 단말기의 사용자의 프로필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 입력 수신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단말기의 표시 영역 상의 제4 영역에 상기 제2 단말기의 사용자가 업로드한 컨텐츠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 단말기의 표시 영역에 상기 제2 단말기에 의해 획득된 영상, 상기 제1 단말기에 의해 획득된 영상 및 상기 제1 단말기의 사용자의 프로필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텐츠는 각 사용자가 선택한 하나 이상의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하나 이상의 이미지 또는 동영상은 상기 각 사용자가 미리 결정한 순서 또는 랜덤한 순서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 영역의 크기는 상기 제3 영역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텐츠의 재생이 완료되면, 상기 프로필의 표시를 종료하거나 상기 프로필을 다시 상기 제3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택 입력은 터치(touch)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통화 중개 장치는, 복수의 단말기로부터 영상 통화 중개 요청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영상 통화 중개 요청을 전송한 단말기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를 획득하는 추출부, 상기 복수의 단말기 중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 사이에 영상 통화 세션을 수립하고, 상기 제1 단말기의 표시 영역 상에 상기 제1 단말기에 의해 획득된 영상, 상기 제2 단말기에 의해 획득된 영상 및 상기 제2 단말기의 사용자의 프로필을 각각 제1 내지 제3 영역에 표시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1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2 단말기의 사용자의 프로필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 입력 수신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단말기의 표시 영역 상의 제4 영역에 상기 제2 단말기의 사용자가 업로드한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단말기의 표시 영역에 상기 제2 단말기에 의해 획득된 영상, 상기 제1 단말기에 의해 획득된 영상, 및 상기 제1 단말기의 사용자의 프로필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텐츠는 각 사용자가 선택한 하나 이상의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상기 각 사용자가 미리 결정한 순서 또는 랜덤한 순서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 영역의 크기는 상기 제3 영역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의 재생이 완료되면, 상기 프로필의 표시를 종료하거나 상기 프로필을 다시 상기 제3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택 입력은 터치(touch)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통화 중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비 지인간 영상 통화에서 원활한 대화를 유도할 수 있는 영상 통화 중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통화 중개 장치가 동작하는 환경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통화 중개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통화 중개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업로드 컨텐츠가 표시되는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통화 중개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업로드 컨텐츠가 표시되는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통화 중개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비록 "제1" 또는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를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러한 구성요소는 상기와 같은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용어는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또는 단계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또는 단계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는 의미를 내포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통화 중개 장치가 동작하는 환경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 단말기(100), 제2 단말기(200), 및 제3 단말기(300)가 동작하는 환경은 서버(10) 및 서버(10)와 서로 연결된 제1 단말기(100), 제2 단말기(200), 및 제3 단말기(300)를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에서는 세 개의 단말기, 즉 제1 단말기(100), 제2 단말기(200), 및 제3 단말기(300) 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세 개보다 더 많은 수의 단말기가 포함될 수 있다. 추가될 수 있는 단말기에 대하여, 특별히 언급될 설명을 제외하고, 제1 단말기(100), 제2 단말기(200), 및 제3 단말기(300)에 대한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
서버(10)는 통신망에 연결될 수 있다. 서버(10)는 상기 통신망을 통해 외부의 다른 장치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서버(10)는 서로 연결된 다른 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상기 다른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서버(10)와 연결된 통신망은 유선 통신망, 무선 통신망, 또는 복합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망은 3G, LTE, 또는 LTE-A 등과 같은 이동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망은 와이파이(Wi-Fi), UMTS/GPRS, 또는 이더넷(Ethernet) 등과 같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망은 마그네틱 보안 전송(MST, Magnetic Secure Transmission),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지그비(ZigBee), Z-Wave, 블루투스(Bluetooth), 저전력 블루투스(BLE, Bluetooth Low Energy), 또는 적외선 통신(IR, InfraRed communication) 등과 같은 근거리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망은 근거리 네트워크(LAN, Local Area Network), 도시권 네트워크(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또는 광역 네트워크(WAN, Wide Area Network)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10)는 통신망을 통해 제1 단말기(100), 제2 단말기(200), 및 제3 단말기(300) 중 적어도 하나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서버(10)가 제1 단말기(100)와 서로 연결된 경우, 서버(10)는 제1 단말기(100)와 상기 통신망을 통해 서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서버(10)가 제2 단말기(200)와 서로 연결된 경우, 서버(10)는 제2 단말기(200)와 상기 통신망을 통해 서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서버(10)가 제3 단말기(300)와 서로 연결된 경우, 서버(10)는 제3 단말기(300)와 상기 통신망을 통해 서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서버(10)는 제1 단말기(100), 제2 단말기(200), 및 제3 단말기(30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서버(10)는 제1 단말기(100), 제2 단말기(200), 및 제3 단말기(30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서버(10)는 상기 연산 결과를 제1 단말기(100), 제2 단말기(200), 및 제3 단말기(300)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할 수 있다.
서버(10)는 제1 단말기(100), 제2 단말기(200), 및 제3 단말기(300) 중 복수의 단말기로부터 영상 통화 중개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서버(10)는 중개 요청을 전송한 복수의 단말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는 제1 단말기(100), 제2 단말기(200), 및 제3 단말기(300) 중에서 제1 단말기(100) 및 제2 단말기(200)를 선택할 수 있다.
서버(10)는 상기 선택된 제1 단말기(100) 및 제2 단말기(200) 사이의 영상 통화 연결을 중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는 제1 단말기(100)에 대한 연결 정보를 제2 단말기(200)에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서버(10)는 제2 단말기(200)에 대한 연결 정보를 제1 단말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
제1 단말기(100)에 대한 연결 정보는 예를 들어, 제1 단말기(100)의 아이피(IP) 주소 및 포트(port) 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단말기(200)에 대한 연결 정보를 수신한 제1 단말기(100)는 상기 수신된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제2 단말기(200)에의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제1 단말기(100)의 제2 단말기(200)에의 연결 시도 또는 제2 단말기(200)의 제1 단말기(100)에의 연결 시도가 성공함으로써, 제1 단말기(100) 및 제2 단말기(200) 사이의 영상 통화 세션이 수립될 수 있다. 상기 영상 통화 세션을 통해 제1 단말기(100)는 제2 단말기(200)에 영상 또는 소리를 전송할 수 있다. 제1 단말기(100)는 영상 또는 소리를 디지털 신호로 인코딩하고, 상기 인코딩 된 결과물을 제2 단말기(2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 통화 세션을 통해 제1 단말기(100)는 제2 단말기(200)로부터 영상 또는 소리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단말기(100)는 디지털 신호로 인코딩 된 영상 또는 소리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영상 또는 소리를 디코딩할 수 있다.
상기 영상 통화 세션을 통해 제2 단말기(200)는 제1 단말기(100)에 영상 또는 소리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 통화 세션을 통해 제2 단말기(200)는 제1 단말기(100)로부터 영상 또는 소리를 수신할 수 있다. 이로써, 제1 단말기(100)의 사용자 및 제2 단말기(200)의 사용자는 서로 영상 통화를 할 수 있다.
제1 단말기(100), 제2 단말기(200), 및 제3 단말기(300)는, 예를 들어, 데스크탑 컴퓨터, 랩탑 컴퓨터, 스마트폰, 스마트 태블릿, 스마트 워치, 이동 단말, 디지털 카메라,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또는 휴대용 전자기기 등일 수 있다. 제1 단말기(100), 제2 단말기(200), 및 제3 단말기(300)는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제1 단말기(100), 제2 단말기(200), 및 제3 단말기(300) 각각은 서로 동일한 종류의 장치일 수 있고, 서로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통화 중개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통화 중개 장치(500)는 수신부(510), 추출부(520), 제어부(530), 및 입력부(540)를 포함한다. 수신부(510)는 복수의 단말기로부터 영상 통화 중개 요청을 수신한다. 상기 복수의 단말기들은 도 1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단말기(100, 200, 3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영상 통화 중개 장치(500)는 도 1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서버(10)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수신부(510)는 상기 복수의 단말기로부터 영상 통화 중개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영상 통화 중개 요청을 전송한 단말기들 사이에 영상 통화 세션이 수립될 수 있다. 이 때, 영상 통화 세션이 수립되는 단말기들의 사용자들은 서로 상대방의 연락처를 알고 있을 수도 있고, 서로 모르는 사이일 수도 있다.
추출부(520)는 상기 영상 통화 중개 요청을 전송한 단말기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를 획득한다. 상기 사용자 정보는 해당 단말기에서 상기 영상 통화 중개 요청이 전송되면서 영상 통화 중개 장치(500)로 함께 전송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사용자 정보는 영상 통화 중개 장치(500)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영상 통화 중개 장치(500)는 저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정보는 해당 단말기의 사용자의 닉네임(nickname), 프로필(profile) 사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정보는 영상 통화 중개 장치(500)를 통해 제공되는 영상 통화 서비스에 가입할 당시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즉, 추출부(520)가 획득하는 상기 사용자 정보는 상기 영상 통화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제공한 모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530)는 상기 복수의 단말기 중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 사이에 영상 통화 세션을 수립한다. 상기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는 상기 영상 통화 중개 요청을 전송한 단말기에 해당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를 예로써 사용하지만, 제어부(530)에 의해 영상 통화 세션이 수립되는 단말기는 상기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를 포함하여 더 많이 존재할 수 있음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할 것이다.
상기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 사이에 영상 통화 세션이 수립되면, 제어부(530)는 상기 제1 단말기의 표시 영역 상에 상기 제1 단말기에 의해 획득된 영상, 상기 제2 단말기에 의해 획득된 영상 및 상기 제2 단말기의 사용자의 프로필을 각각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에 표시한다.
상기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는 카메라와 같은 촬상 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카메라는 단말기의 전면 또는 후면, 또는 전면과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단말기의 전면 카메라 또는 후면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영상은 상기 제1 단말기의 표시 영역 상에 존재하는 상기 제1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 단말기의 전면 카메라 또는 후면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영상은 상기 제1 단말기의 표시 영역 상에 존재하는 상기 제2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단말기의 사용자의 프로필은 상기 제1 단말기의 표시 영역 상에 존재하는 상기 제3 영역에 표시된다. 한편, 상기 제1 내지 제3 영역은 서로 중첩되거나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단말기에 의해 획득된 영상, 상기 제2 단말기에 의해 획득된 영상은 각각 상기 제1 단말기와 상기 제2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에 구비되는 촬상 장치에 의해 획득되는 영상이 아닌 이미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 또는 영상이 상기 제1 영역 또는 상기 제2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입력부(540)는 상기 제1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2 단말기의 사용자의 프로필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한다. 상기 선택 입력은 터치(touch) 입력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단말기의 사용자의 프로필이 표시되는 상기 제3 영역을 선택하는 입력일 수 있다.
제어부(530)는 상기 선택 입력 수신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단말기의 표시 영역 상의 제4 영역에 상기 제2 단말기의 사용자가 업로드한 컨텐츠를 표시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4 영역은 상기 제3 영역에 대응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컨텐츠는 상기 사용자 프로필이 표시되는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4 영역은 상기 제3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일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제3 영역의 모양과 크기는 상기 제4 영역의 모양과 크기와 서로 다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제3 영역과 제4 영역의 구분은 각각 사용자 프로필이 표시되는 영역과 사용자 업로드 컨텐츠가 표시되는 영역을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3 영역과 상기 제4 영역이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결정될 수도 있다.
기존의 일대일 영상 통화는 상대방의 모습과 나의 모습을 단말기를 통해 표시하고, 이와 함께 상대방의 프로필 정보, 예컨대 프로필 사진, 닉네임 등을 표시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통화 중개 장치(500)는 기존의 일대일 영상 통화에서 제공하거나 표시하던 정보를 비롯하여 상대방 사용자가 업로드한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는 일대일 영상 통화가 진행되는 도중에 동일한 단말기 화면을 통해 표시되거나 재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이미지와 복수의 동영상을 업로드한 사용자와 일대일 영상 통화를 수행하는 경우, 상대방 사용자의 프로필 또는 상기 프로필이 표시되는 상기 제3 영역을 선택함으로써 상기 상대방 사용자가 업로드한 컨텐츠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이미지와 복수의 동영상은 상기 제4 영역에서 소정의 순서대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순서는 해당 사용자가 상기 복수의 이미지와 복수의 동영상을 업로드한 순서에 대응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러한 순서로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사용자가 업로드한 동영상은 해당 동영상의 전체 재생 시간동안 재생되며, 이미지는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표시되고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다음 컨텐츠가 표시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동영상 재생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에도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다음 컨텐츠가 표시될 수 있으며,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도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현재 표시되는 이미지의 표시가 중단되고 다음 컨텐츠가 표시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통화 중개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통화 중개 방법은,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 사이에 영상 통화 세션을 수립하는 단계(S110), 상기 제1 단말기 및 상기 제2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20), 사용자 프로필 등을 표시하는 단계(S130), 프로필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S140), 및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S15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는 앞선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제1 단말기(100) 및 제2 단말기(2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로 하여 설명되는 영상 통화 중개 방법은 도 1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서버(10) 또는 도 2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 영상 통화 중개 장치(500)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단계(S110)에서는 상기 제1 단말기와 상기 제2 단말기 사이에 영상 통화 세션을 수립한다. 상기 영상 통화 세션은 도 2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 제어부(530)에 의해 수립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단말기와 상기 제2 단말기는 영상 통화 중개 요청을 전송한 단말기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를 예로써 사용하지만, 단계(S110)에서 영상 통화 세션이 수립되는 단말기는 상기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를 포함하여 더 많이 존재할 수 있음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할 것이다. 즉, 상기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는 서로 다른 단말기임을 나타내기 위해서 사용하는 용어로서, 특정한 두 개의 단말기를 의미하지 않는다.
단계(S120)에서는 상기 제1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제2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획득한다. 즉, 단계(S120)에서는 영상 통화 세션을 통해 서로 연결된 복수의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획득한다. 단계(S120)에서 수행되는 사용자 정보 획득은 단계(S110)에서 영상 통화 세션이 수립된 이후에 이루어질 수 있지만,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영상 통화 세션이 수립되기 전이라도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통해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모든 단말기에 대하여 사용자 정보를 미리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정보는 해당 단말기의 사용자의 닉네임(nickname), 프로필(profile) 사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정보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통화 중개 방법을 통해 제공되는 영상 통화 서비스에 가입할 당시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즉, 단계(S120)에서 획득되는 상기 사용자 정보는 상기 영상 통화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제공한 모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S130)에서는 상기 제1 단말기의 표시 영역 상에 상기 제1 단말기에 의해 획득된 영상, 상기 제2 단말기에 의해 획득된 영상 및 상기 제2 단말기의 사용자 프로필을 각각 제1 내지 제3 영역에 표시한다.
상기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는 카메라와 같은 촬상 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카메라는 단말기의 전면 또는 후면, 또는 전면과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단말기의 전면 카메라 또는 후면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영상은 상기 제1 단말기의 표시 영역 상에 존재하는 상기 제1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 단말기의 전면 카메라 또는 후면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영상은 상기 제1 단말기의 표시 영역 상에 존재하는 상기 제2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단말기의 사용자의 프로필은 상기 제1 단말기의 표시 영역 상에 존재하는 상기 제3 영역에 표시된다. 한편, 상기 제1 내지 제3 영역은 서로 중첩되거나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단말기에 의해 획득된 영상, 상기 제2 단말기에 의해 획득된 영상은 각각 상기 제1 단말기와 상기 제2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에 구비되는 촬상 장치에 의해 획득되는 영상이 아닌 이미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 또는 영상이 상기 제1 영역 또는 상기 제2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단계(S140)에서는 상기 제1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2 단말기의 사용자의 프로필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한다. 상기 선택 입력은 터치(touch) 입력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단말기의 사용자의 프로필이 표시되는 상기 제3 영역을 선택하는 입력일 수 있다.
단계(S150)에서는 상기 선택 입력 수신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단말기의 표시 영역 상의 제4 영역에 상기 제2 단말기의 사용자가 업로드한 컨텐츠를 표시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4 영역은 상기 제3 영역에 대응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컨텐츠는 상기 사용자 프로필이 표시되는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4 영역은 상기 제3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일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제3 영역의 모양과 크기는 상기 제4 영역의 모양과 크기와 서로 다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제3 영역과 제4 영역의 구분은 각각 사용자 프로필이 표시되는 영역과 사용자 업로드 컨텐츠가 표시되는 영역을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3 영역과 상기 제4 영역이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결정될 수도 있다.
기존의 일대일 영상 통화는 상대방의 모습과 나의 모습을 단말기를 통해 표시하고, 이와 함께 상대방의 프로필 정보, 예컨대 프로필 사진, 닉네임 등을 표시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통화 중개 방법은, 기존의 일대일 영상 통화에서 제공하거나 표시하던 정보를 비롯하여 상대방 사용자가 업로드한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는 일대일 영상 통화가 진행되는 도중에 동일한 단말기 화면을 통해 표시되거나 재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이미지와 복수의 동영상을 업로드한 사용자와 일대일 영상 통화를 수행하는 경우, 상대방 사용자의 프로필 또는 상기 프로필이 표시되는 상기 제3 영역을 선택함으로써 상기 상대방 사용자가 업로드한 컨텐츠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이미지와 복수의 동영상은 상기 제4 영역에서 소정의 순서대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순서는 해당 사용자가 상기 복수의 이미지와 복수의 동영상을 업로드한 순서에 대응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러한 순서로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사용자가 업로드한 동영상은 해당 동영상의 전체 재생 시간동안 재생되며, 이미지는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표시되고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다음 컨텐츠가 표시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동영상 재생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에도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다음 컨텐츠가 표시될 수 있으며,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도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현재 표시되는 이미지의 표시가 중단되고 다음 컨텐츠가 표시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업로드 컨텐츠가 표시되는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영상 통화 세션이 수립되어 두 사용자 간에 이루어지는 영상 통화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사용자가 사용하는 제1 단말기에 표시되는 화면을 예로써 사용하기로 한다.
먼저 도 4(a)를 참조하면,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제1 단말기가 도시된다. 상기 표시 영역은 제1 내지 제3 영역을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제1 영역에는 제1 단말기를 통해 획득된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도 4(a)에서는 상기 제1 단말기를 통해 제1 사용자의 영상이 획득되고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한편, 제2 영역에는 제2 단말기를 통해 획득된 영상이 표시될 수 있으며, 도 4(a)에서는 상기 제2 단말기를 통해 제2 사용자의 영상이 획득되고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제3 영역에는 상기 제2 단말기의 사용자의 프로필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3 영역에 표시되는 프로필은 상기 제2 단말기의 사용자, 즉 제2 사용자가 직접 선택하여 업로드한 이미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필 이미지는 상기 제2 사용자가 영상 통화 서비스에 가입할 당시 혹은 그 이후에 사용자 정보로서 업로드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통화 중개 방법은 상기 영상 통화 세션이 수립된 이후에 상기 사용자 정보를 불러들여 상기 프로필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영상 통화 세션이 수립되기 전 상기 제2 사용자로부터 영상 통화 중개 요청이 전송되면 상기 사용자 정보를 불러올 수도 있다.
도 4(b)는 제1 단말기의 사용자, 즉 제1 사용자로부터 선택 입력이 수신된 이후에 제1 단말기에 표시되는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선택 입력이 수신되면 제4 영역에 상기 제2 사용자가 업로드한 컨텐츠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4 영역은 상기 제3 영역과 구분되는 영역으로, 상기 제4 영역은 상기 제3 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4 영역의 모양과 크기는 상기 제3 영역의 모양과 크기와는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는 각 사용자가 선택한 하나 이상의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포함할 수 있는데, 도 4(b)에서 상기 제4 영역에 표시되는 컨텐츠는 상기 제2 사용자가 업로드한 것으로, 상기 제2 사용자 이외의 다른 사용자들은 상기 컨텐츠를 통해 상기 제2 사용자의 관심사, 취미, 성향 등을 예상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선택 입력은 상기 제3 영역에 대한 터치(touch) 입력일 수 있으며, 터치 입력을 지원하지 않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다른 입력 장치, 예컨대, 마우스, 트랙볼, 키보드 등을 통한 상기 제3 영역에 대한 선택 입력일 수 있다.
상기 제3 영역에 대한 선택 입력은 상대방 사용자의 프로필이 표시되는 영역에 대한 선택 입력으로, 상기 영상 통화 세션이 수립되고 영상 통화가 진행되는 중에 상대방 사용자가 업로드한 다양한 컨텐츠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처음 만나는 사람과 영상 통화를 진행할 때 상대방의 관심사, 취미, 성향 등을 예상하고, 보다 자연스러운 대화를 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 단말기의 표시 영역에는 상기 제1 사용자의 프로필이 표시되고, 상기 제2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사용자의 프로필이 표시되는 영역에 대한 선택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1 사용자가 업로드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 등의 컨텐츠가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영상 통화를 수행하는 두 사용자가 서로의 관심사, 취미, 성향 등을 파악함으로써 대화 주제가 제공되고 자연스러운 대화가 유도될 수 있다.
도 5는 상기 제4 영역에 표시되는 사용자 업로드 컨텐츠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표시되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는 제2 사용자가 업로드한 컨텐츠 중 하나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며, 그 예로써 자전거 이미지를 보여준다. 상기 자전거 이미지는 스틸 컷(still cut)이거나 동영상(video)일 수 있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2 사용자가 업로드한 컨텐츠는 모두 3개 인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 중에서 상기 자전거 이미지는 두 번째로 표시되는 컨텐츠일 수 있다.
도 5(b)에 도시되는 사용자 업로드 컨텐츠는 상기 자전거 이미지에 이어서 표시되는 컨텐츠, 즉 세 번째 컨텐츠일 수 있으며, 상기 자전거 이미지와 마찬가지로 스틸 컷이거나 동영상일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업로드 컨텐츠, 즉 상기 이미지 또는 동영상은 각 사용자가 미리 결정한 순서에 따라 표시되거나, 랜덤(random)한 순서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업로드 컨텐츠는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표시되고, 상기 미리 결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다음 컨텐츠가 표시될 수 있다. 또는, 상대방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업로드 컨텐츠를 선택하면 다음 컨텐츠가 표시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통화 중개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통화 중개 방법은, 제3 영역에 프로필을 표시하거나 프로필 표시를 종료하는 단계(S160)를 더 포함한다.
단계(S160)에서는 단계(S150)에서의 컨텐츠 재생이 종료되면 단계(S130)에서 사용자 프로필이 상기 제3 영역에 표시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상기 사용자 프로필을 상기 제3 영역에 다시 표시한다. 도 5(a) 또는 도 5(b)에 도시되는 화면에서 도 4(a)에 도시되는 화면으로 전환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단계(S160)에서 상기 사용자 프로필이 상기 제3 영역에 다시 표시되면,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의 상기 제3 영역 또는 상기 사용자 프로필에 대한 선택 입력이 선택되는 경우, 단계(S150)가 다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단계(S160)에서는 상기 컨텐츠 재생이 종료되면 상기 컨텐츠 및 상기 사용자 프로필 표시를 종료할 수 있다. 즉, 단계(S150)의 컨텐츠 재생이 종료되면 상기 제1 단말기의 표시 영역에는 상기 제1 단말기를 통해 획득된 영상 및 상기 제2 단말기를 통해 획득된 영상만 표시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업로드 컨텐츠가 표시되는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앞선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제3 영역에 표시되는 사용자 프로필에 대한 선택 입력이 수신되면, 제4 영역에 사용자 업로드 컨텐츠가 표시된다.
도 7(a)는 제4 영역에 상기 사용자 업로드 컨텐츠가 표시되는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상기 사용자 업로드 컨텐츠를 상기 제4 영역에 표시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제1 사용자 입력으로 정의할 수 있다. 도 7(a)와 같이 상기 사용자 업로드 컨텐츠가 표시되고, 상기 제1 사용자 입력과 다른 제2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도 7(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더 큰 영역에서 상기 사용자 업로드 컨텐츠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은 도 7(a)와 같이 사용자 업로드 컨텐츠가 표시되는 중에 상기 제1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사용자 업로드 컨텐츠 내지 상기 제4 영역에 대한 선택 입력일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 입력은 도 3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상기 선택 입력과 마찬가지로 터치(touch)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7(b)에 상기 사용자 업로드 컨텐츠가 표시되는 영역은 제5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는데, 상기 제5 영역에서 각각의 컨텐츠가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표시되고 나면, 그 다음 컨텐츠가 표시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5 영역에 표시되는 동영상 컨텐츠 재생이 완료된 후, 다음 컨텐츠가 표시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통화 중개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통화 중개 방법은, 제2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제5 영역에 표시 또는 종료하는 단계(S170)를 더 포함한다.
단계(S110)부터 단계(S130)까지는 도 3 및 도 6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영상 통화 중개 방법의 단계(S110)부터 단계(S130)까지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동작이 수행된다. 단계(S130)에서는 제1 단말기의 제3 영역에 제2 단말기의 사용자 프로필을 표시하고, 제2 단말기의 제3 영역에 제1 단말기의 사용자 프로필을 표시한다.
단계(S140)에서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단계(S150)에서는 상기 제2 단말기의 사용자가 업로드한 컨텐츠를 제1 단말기의 제4 영역에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은 앞선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선택 입력과 동일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단계(S130)부터 단계(S150)에서 수행되는 동작은 도 7(a)와 도 7(b)를 통해 설명될 수 있다.
단계(S160)에서는 상기 컨텐츠가 상기 제4 영역에 표시되는 상태에서 상기 제1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은 상기 제1 사용자 입력과 상이하나 두 입력 모두 터치(touch)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은 상기 제4 영역 또는 상기 컨텐츠를 선택하는 입력일 수 있다.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단계(S170)에서는 상기 제2 단말기의 사용자가 업로드한 컨텐츠를 제5 영역에 표시하거나, 상기 컨텐츠 표시를 종료할 수 있다. 상기 제5 영역은 도 7(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단말기의 표시 영역 중 상기 제4 영역보다 더 큰 영역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단말기 사용자로 하여금 상대방이 업로드한 컨텐츠를 보다 집중적으로 감상할 수 있게 한다. 또는, 상기 제2 사용자 입력 수신에 대응하여, 상기 제4 영역에서 상기 컨텐츠의 표시가 종료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에 의해 자유롭게 설정될 수 있으며, 더 넓은 영역에서의 표시, 표시 종료 이외에 다른 형태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 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 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서버 100: 제1 단말기
200: 제2 단말기 300: 제3 단말기
500: 영상 통화 중개 장치 510: 수신부
520: 추출부 530: 제어부
540: 입력부

Claims (15)

  1.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 사이에 영상 통화 세션을 수립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제2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기의 표시 영역 상에 상기 제1 단말기에 의해 획득된 영상, 상기 제2 단말기에 의해 획득된 영상 및 상기 제2 단말기의 사용자의 프로필을 각각 제1 내지 제3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2 단말기의 사용자의 프로필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 입력 수신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단말기의 표시 영역 상의 제4 영역에 상기 제2 단말기의 사용자가 업로드한 컨텐츠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 통화 중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기의 표시 영역에 상기 제2 단말기에 의해 획득된 영상, 상기 제1 단말기에 의해 획득된 영상 및 상기 제1 단말기의 사용자의 프로필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영상 통화 중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각 사용자가 선택한 하나 이상의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포함하는 영상 통화 중개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이미지 또는 동영상은 상기 각 사용자가 미리 결정한 순서 또는 랜덤한 순서로 표시되는 영상 통화 중개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영역의 크기는 상기 제3 영역의 크기보다 큰 영상 통화 중개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의 재생이 완료되면, 상기 프로필의 표시를 종료하거나 상기 프로필을 다시 상기 제3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영상 통화 중개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입력은 터치(touch) 입력을 포함하는 영상 통화 중개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9. 복수의 단말기로부터 영상 통화 중개 요청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영상 통화 중개 요청을 전송한 단말기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를 획득하는 추출부;
    상기 복수의 단말기 중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 사이에 영상 통화 세션을 수립하고, 상기 제1 단말기의 표시 영역 상에 상기 제1 단말기에 의해 획득된 영상, 상기 제2 단말기에 의해 획득된 영상 및 상기 제2 단말기의 사용자의 프로필을 각각 제1 내지 제3 영역에 표시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1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2 단말기의 사용자의 프로필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 입력 수신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단말기의 표시 영역 상의 제4 영역에 상기 제2 단말기의 사용자가 업로드한 컨텐츠를 표시하는 영상 통화 중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단말기의 표시 영역에 상기 제2 단말기에 의해 획득된 영상, 상기 제1 단말기에 의해 획득된 영상, 및 상기 제1 단말기의 사용자의 프로필을 표시하는 영상 통화 중개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각 사용자가 선택한 하나 이상의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포함하는 영상 통화 중개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상기 각 사용자가 미리 결정한 순서 또는 랜덤한 순서로 표시하는 영상 통화 중개 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영역의 크기는 상기 제3 영역의 크기보다 큰 영상 통화 중개 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의 재생이 완료되면, 상기 프로필의 표시를 종료하거나 상기 프로필을 다시 상기 제3 영역에 표시하는 영상 통화 중개 장치.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입력은 터치(touch) 입력을 포함하는 영상 통화 중개 장치.
KR1020190091753A 2019-07-29 2019-07-29 영상 통화 중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2802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1753A KR102280212B1 (ko) 2019-07-29 2019-07-29 영상 통화 중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JP2020121806A JP7116124B2 (ja) 2019-07-29 2020-07-16 映像通話の仲介装置、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Video Call Mediating Apparatus、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of)
US16/931,534 US11252373B2 (en) 2019-07-29 2020-07-17 Video call mediating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of
EP20188232.1A EP3772221A1 (en) 2019-07-29 2020-07-28 Video call mediating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1753A KR102280212B1 (ko) 2019-07-29 2019-07-29 영상 통화 중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3923A true KR20210013923A (ko) 2021-02-08
KR102280212B1 KR102280212B1 (ko) 2021-07-22

Family

ID=71846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1753A KR102280212B1 (ko) 2019-07-29 2019-07-29 영상 통화 중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252373B2 (ko)
EP (1) EP3772221A1 (ko)
JP (1) JP7116124B2 (ko)
KR (1) KR1022802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337781A1 (en) 2021-04-16 2022-10-20 Hyperconnect, Inc.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Providing Video Call Ser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0347A (ko) * 2010-01-05 2011-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20190056538A (ko) * 2017-11-17 2019-05-27 주식회사 하이퍼커넥트 서버 및 그것의 동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96229A (ja) * 1997-09-19 1999-04-09 Hitachi Ltd 情報提供方法及び情報提供システム
KR101669521B1 (ko) 2010-08-23 2016-10-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20150227902A1 (en) * 2014-02-07 2015-08-13 Bank Of America Corporation Specialist presentation
US10003563B2 (en) * 2015-05-26 2018-06-19 Facebook, Inc. Integrated telephone applications on online social networks
JP6206890B2 (ja) * 2016-01-29 2017-10-04 株式会社ライフパートナー 婚活支援システム、婚活支援方法、サーバ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10248847B2 (en) * 2017-02-10 2019-04-02 Accenture Global Solutions Limited Profile information identification
WO2019043655A1 (en) * 2017-09-01 2019-03-07 Hochart Christophe Michel Pierre SYSTEMS AND METHODS FOR DISTRIBUTING MOBILE DEVICE CONTENT
KR102059170B1 (ko) 2017-11-02 2019-12-24 주식회사 하이퍼커넥트 전자 장치 및 그것의 통신 방법
KR102271308B1 (ko) 2017-11-21 2021-06-30 주식회사 하이퍼커넥트 영상통화 중에 상호작용 가능한 시각적 오브젝트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상호작용 가능한 시각적 오브젝트 제공 시스템
US11670427B2 (en) * 2018-12-04 2023-06-06 Mycare Integrated Software Solutions, LLC Remote healthcare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0347A (ko) * 2010-01-05 2011-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20190056538A (ko) * 2017-11-17 2019-05-27 주식회사 하이퍼커넥트 서버 및 그것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022925A (ja) 2021-02-18
US20210037209A1 (en) 2021-02-04
US11252373B2 (en) 2022-02-15
JP7116124B2 (ja) 2022-08-09
KR102280212B1 (ko) 2021-07-22
EP3772221A1 (en) 2021-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62840B2 (en) Services ove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high flexibility and efficiency
CN107409060B (zh) 用于在视频/音频电信中的邻近资源池化的设备和方法
CN105635625B (zh) 视频通话方法和装置
US972326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onference system and storage medium
US20120173622A1 (en) Social screen casting
US9319229B2 (en) Transmission terminal and method of transmitting display data
US9024997B2 (en) Virtual presence via mobile
KR102157634B1 (ko) 영상 획득 방법 및 로컬 엔드포인트 호스트 장치
CN106210797B (zh) 网络直播方法及装置
US10237214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sharing media data between terminals
US8599236B2 (en) Utilizing a video image from a video communication session as contact information
US20140240450A1 (en) Transmission terminal, transmission system and program
US20130198635A1 (en) Managing Multiple Participants at the Same Location in an Online Conference
US20130329114A1 (en) Image magnifier for pin-point control
CN113329240A (zh) 投屏的方法及装置
JP2020500488A (ja) 映像表示装置及び映像表示方法(device and method of displaying images)
CN108933914B (zh) 一种使用移动终端进行视频会议的方法及系统
JP6458464B2 (ja) 制御システム、制御装置、通信システム、中継装置の選択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602770B2 (en) Method and system for supporting videoconference in distributed telepresence platform
JP7116124B2 (ja) 映像通話の仲介装置、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Video Call Mediating Apparatus、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of)
JP7157194B2 (ja) 仲介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6464696B2 (ja) 制御システム、通信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9842542B (zh) 即时会话方法及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
KR101458408B1 (ko) Sip 기반의 통화가 가능한 스마트 디바이스들을 이용하는 정보 공유 방법 및 시스템
KR101492007B1 (ko) Sip 기반의 통화와 디지털멀티미디어 공유를 지원하는 iptv를 이용한 정보 공유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