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3575A - 삽입 제어되는 안구내 렌즈 삽입기 - Google Patents

삽입 제어되는 안구내 렌즈 삽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3575A
KR20210013575A KR1020207035412A KR20207035412A KR20210013575A KR 20210013575 A KR20210013575 A KR 20210013575A KR 1020207035412 A KR1020207035412 A KR 1020207035412A KR 20207035412 A KR20207035412 A KR 20207035412A KR 20210013575 A KR20210013575 A KR 202100135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h rod
intraocular lens
pen
button
inser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5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드레아 치니
Original Assignee
안드레아 치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드레아 치니 filed Critical 안드레아 치니
Publication of KR20210013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35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61F2/16Intraocular lenses
    • A61F2/1662Instruments for inserting intraocular lenses into the eye
    • A61F2/1672Instruments for inserting intraocular lenses into the eye with a two-stage plunger, e.g. rotatable and pushable or rotatable at different spee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61F2/16Intraocular lenses
    • A61F2/1662Instruments for inserting intraocular lenses into the eye
    • A61F2/167Instruments for inserting intraocular lenses into the eye with pushable plu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61F9/00736Instruments for removal of intra-ocular material or intra-ocular injection, e.g. cataract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01Means for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01Means for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 A61M2005/3151Means for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by fri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Surger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rosthese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삽입 제어되는 안구내 렌즈 삽입기는 펜형 케이싱(1) 내에 환자의 눈에 안구내 렌즈(IOL)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 로드(19) 앞쪽에 연결되는 액추에이터(18)를 포함하는 후방부 및 푸시 로드(9)의 전진을 제어하기 위한 디바이스가 제공된 중간 핸들을 갖는다. 푸시 로드(9)는 프리즘 형태를 가지고 톱니형 랙(24)이 제공되며, 푸시 로드(9)의 전진을 제공하기 위한 디바이스는 푸시 로드(9)의 전진을 제어하도록 펜형 케이싱(1)과 인접하는 탄성 복귀 요소로서 공동 동작하는 톱니형 랙(24)에 대해 결합 및 결합 해제시킨다.

Description

삽입 제어되는 안구내 렌즈 삽입기
본 발명은 삽입 제어되는 안구내 렌즈 삽입기(IOL)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삽입기는 로딩 챔버, 테이퍼드(tapered) 전달 채널 및 IOL을 빠져나가기 위한 말단 팁을 갖는 전방 부분과, 푸시 로드를 통해 IOL을 환자의 눈 속으로 전달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핸들 부분을 포함한다.
US 2014/0257317 A1은 로딩 챔버 및 연결된 전달 튜브를 포함하는 펜형 IOL 삽입기, 그리고 전달 튜브를 통해 IOL을 말단 팁 밖으로 밀어내기 위한 코일 스프링이 장착된 푸시 로드를 개시한다. 삽입기는 자동 전달 코일 스프링을 압축하도록 코킹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한다. 제동 메커니즘은 스프링-바이어스 IOL 진행을 제어할 수 있다. 로딩 후 스프링에 의해 인가되는 힘은 조정가능하지 않다. 수술의는 기구 본체에 힌지된 한 쌍의 암을 통해서만 푸시 로드의 전진에 반대하는 작용을 할 수 있다. 각 암은 코일 스프링을 차단하는 근위 단부 및 푸시 로드의 표면 상의 마찰에 의해 상호작용하는 말단 단부를 갖는다.
EP 0 937 443 A2는 로딩 챔버를 포함하는 전면부, 테이퍼드 전달 채널 및 안구내 렌즈(IOL)를 빠져나가기 위한 말단 팁, 안구내 렌즈(IOL)를 환자의 눈에 삽입하기 위한 삽입 로드 전방에 연결된 푸시 로드 상에 작용하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후방부 및 푸시 로드의 진행을 제어하기 위한 디바이스가 제공된 중간 핸들부를 갖는 펜형 하우징을 포함하는 안구내 렌즈 삽입기를 개시하고, 코일 스프링은 푸시 로드에 연결된 전단부가 제공된 스프링-고정 슬리브 상에 하우징되며, 이것에 의해 코일 스프링이 코일 스프링의 로딩을 조정하는 스크류 디바이스에 의해 변할 수 있는 길이방향 위치를 갖는 후방 단부를 갖는다.
US 2,472,116은 원하는 크기로 로딩된 코일 스프링에 의해 주사기를 자동으로 동작시키는 주사기 홀더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스프링 로딩의 조정은 다양한 크기의 주사기를 주사기 홀더에 삽입하거나 주사기 플런저의 서로 다른 스트로크를 허용하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하면, 바늘을 통해 토출되는 액체의 양이 많을수록 스프링이 더 많이 로딩된다. US 2,472,116은 톱니 모양의 표면을 통해 스프링 홀더에 작용하는 제동 레버 메커니즘을 갖는다.
US 5,222,972는 슬라이더가 돌출하는 슬롯이 제공되는 상단 상에 펜형 케이싱을 갖는 삽입기로 IOL을 로딩하기 위한 겸자를 개시한다.
US 4,976,716은 렌즈를 환자의 눈에 삽입하기 위한 기구를 개시하며, 이 기구는 랙에 폴이있는 작동 레버를 포함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한다.
IOL 삽입기를 사용하면, 푸시 로드에 대한 작용이 마찰에 의해서만 발휘되는 US20140257317A1에 의해 제공하는 것보다, 그리고 액체의 압력 조절을 사용하는 EP 0 937 443 A2에서 제공하는 것보다 더 정밀하게 수술의가 환자 눈으로의 IOL의 삽입을 제어할 수 있은 것이 유용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추력을 가하는 액추에이터와 정밀하게 연동할 수 있은 IOL의 전달 제어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을 용이하게 하는 작은 치수 및 인체공학적 형태를 갖는 삽입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들 목적과 그 외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청구범위 제 1 항 및 그의 종속 청구항에 따른 삽입 제어되는 안구내 렌즈 삽입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 제어되는 IOL 삽입기의 실시예에 대한 지시적이고 비제한적인 설명으로부터 가장 명확하게 나타날 것이다:
- 도 1은 정지 위치(rest position)에 있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IOL 삽입기의 개략적인 종단면도이고;
- 도 2a 내지 도 2e는 도 1의 것과 유사한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며 연속적인 동작 단계에서의 삽입기를 도시하고;
-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IOL 삽입기의 평면도이고;
- 도 4는 도 3의 IOL 삽입기의 좌측 단부의 확대도이고;
- 도 5는 정지 위치에서 도 3의 IOL 삽입기의 개략적인 종단면도이고;
- 도 6은 코일 스프링의 로딩을 조절하기 위한 스크류 및 너트 스크류 디바이스의 확대된 사시도이고,
- 도 7은 도 5의 A-A을 따르는 확대된 단면도이고,
- 도 8a 내지 도 8e는 도 5의 것과 유사한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며 연속적인 동작 단계에서의 삽입기를 도시하고;
- 도 9 내지 도 12는 각각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투시도, 정면도, 부분적인 사시 종단면도 및 평면 종단면도이고,
- 도 13 및 도 14는 삽입기의 두 동작 단계에서 도 12의 부분적인 확대도이며;
-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각각 도 15의 라인 B-B를 따라 형성된 평면 종단면도 및 확대된 횡단면도이다.
먼저 정지 위치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IOL 삽입기 또는 간단히 삽입기의 제 1 실시예의 개략적인 종단면도인 도 1을 참조한다.
삽입기는 상부 플랭크(fs)와 하부 플랭크(fi)를 갖는 펜형 케이싱(1)을 포함한다. 케이싱(1)은 로딩 챔버(3), 테이퍼드 전달 채널(4) 및 안구내 렌즈를 빠져 나가기 위한 말단 팁(5)을 포함하는 전면부(2)를 가지며, 이는 IOL로 표시되고 로딩 챔버(3)에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하나의 전방 도어(7)는 로딩 챔버(3)로의 IOL의 도입을 가능하게 한다.
중간 핸들부(6)를 갖는 케이싱(1)은 IOL을 이동시키기 위한 삽입 로드(19)를 전면에서 지탱하는 푸시 로드(9)를 통해 환자의 눈에 IOL을 자동 전달하기 위한 코일 스프링(8)이 제공된 액추에이터(18)를 후방에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푸시 로드(9)는 상부면(ls) 및 하부면(li)을 갖는 프리즘 형태이다.
코일 스프링(8)은 내부적으로 매끄러운 스프링-고정 슬리브(10)에 대해 외부에 동심으로 수용된다. 스프링-고정 슬리브(10)는 푸시 로드(9)에 결합된 전방 접합 부재(11)를 갖는다. 코일 스프링(8)은 전방 접합 부재(11)에 인접한 전방 단부(12) 및 코일 스프링(8)의 로딩을 조정하는 스크류 및 너트 스크류 디바이스(14)에 의해 가변 길이방향 위치를 갖는 후방 단부(13)를 갖는다.
스크류 및 너트 스크류 디바이스(14)는 삽입기의 케이싱(1)의 후방 단부(20)에 위치한 조정 손잡이(15)를 포함한다. 조정 손잡이(15)에는 스프링-고정 슬리브(10)에 자유롭게 삽입되는 나사형 샤프트(16)가 제공된다. 나사형 샤프트(16)에는 코일 스프링(8)의 후방 단부(13)에 인접하는 너트(17)가 장착된다. 너트(17)는 나사형 샤프트(16)와 결합하는 스크류 및 너트 스크류에 있다. 스크류 및 너트 스크류 디바이스(14)의 상세한 표현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참조하여 아래에 기술된다.
코일 스프링(8)의 접합 너트(17)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 인덱스(21)를 갖는다. 삽입기의 케이싱(1)은 돌출 인덱스(21)가 슬롯(22) 자체를 따라 미끄러지도록 허용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길이방향 슬롯(22)을 갖는다.
코일 스프링(8)의 후방 단부에 대해 접합 너트(17)의 돌출 인덱스(21)에 의해서 코일 스프링(8)의 후방 단부(13)의 위치를 판독하기 위해서 슬롯(22)에 인접한 삽입기의 케이싱(1) 상에 눈금이 제공되며, 이는 이후에 보여질 것이다.
푸시 로드(9)는 자신의 상부면 상에 위쪽으로 돌출하는 돌출부(23) 및 역시 위쪽을 향하는 톱니형 랙(24)을 갖는다.
아래에 기술된 푸시 로드 전진 제어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푸시 로드 전진 제어 디바이스는 톱니형 랙(24)에 작용하는 레버를 포함한다. 레버는 컷아웃(25)을 통해 케이싱(1)의 상부 플랭크(fs)로부터 돌출하는 버튼(28) 형태의, 힘이 인가되는 제 1 암 및 케이싱(1)과 접합부에서 탄력적으로 변형될 수 있는, 저항력이 있는 제 2 암(29)을 갖는다. 제 2 암(29)은 버튼(28)을 위한 복귀 탄성 부재로서 작용한다. 펄크럼(fulcrum)(27)은 케이싱 내부의 레버의 제 1 암과 제 2 암 사이에 위치된다.
레버의 제 2 암(29)은 버튼(28)의 전방에 있고 푸시 로드(9)에서 위쪽으로 돌출하는 돌출부(23)를 잠금하고 톱니형 랙(24)의 톱니를 결합시키기 위해 아래쪽을 향하는 한 쌍의 핑거(33, 34)가 제공된 자유 단부(32)로 후방으로 연장한다. 또한, 버튼(28)은 푸시 로드(9)와의 마찰 결합을 위해 아래쪽을 향하는 전방 단부(31)를 갖는다.
보다 상세하게, 케이싱(1)은 상부 플랭크(fs)에 컷아웃(25)을 갖는다. 레버의 제 2 암(29)은 암(26)에서 펄크럼(27)으로부터 연장한다. 암(26)은 버튼(28)에 결합된다. 버튼(28)은 컷아웃(25)을 통해 위쪽으로 돌출하여 수동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제 2 레버 암(29)은 30으로 표시된 케이싱의 고정된 내부 부분을 갖는 접합부에 대해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하다.
버튼(28)은 푸시 로드(9)와의 마찰 결합으로 인해 아래쪽을 향하는 전방 단부(31)를 갖는다. 암(26)은 아래쪽을 향하는 한 쌍의 핑거(33, 34)가 제공되는 후방 그립 단부(32)를 갖는다. 그와 함께, 핑거(33, 34)는 푸시 로드(9)에서 위쪽으로 돌출하는 돌출부(23)를 차단하고, 핑거(34)보다 긴 단일 핑거(33)는 도 2a 내지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속한 잠금을 획득하기 위해서 푸시 로드(9)의 톱니(24)와 결합한다. 이들은 후속 동작 단계에서 삽입기를 도시하는 도 1과 유사한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다. 도 2a에는 정지 위치에 있는 버튼(28) 및 버튼(28)이 결합되는 암(26)의 후방 단부(32)가 도시된다. 후방 단부(32)는 위쪽으로 돌출하는 돌출부(23)를 유지하도록 결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푸시 로드(9)는 정지 상태로 유지된다. 스크류 및 너트 스크류 디바이스(14)의 조정 손잡이(15)에 작용함으로써, 전방 접합 부재(11)와 후방 접합 너트(17) 사이에 접합되는 스프링(8)이 로딩된다.이 단계에서 삽입기가 로딩되고 사용 준비가 완료되며, 환자의 눈에 IOL을 삽입하기 위해 스프링에 의해 가해져야 하는 힘이 조정된다.
도 2b는 수술의가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제 2 레버 암(29)의 대립 작용에 대해 버튼(28)을 누르고 암(26)의 소켓(32)의 후방 단부와의 결합으로부터 푸시 로드(9)에서 위쪽으로 돌출하는 돌출부(23)를 해제한 것을 도시한다. 버튼(28)의 전방 단부(31)는 그 전진을 제어하기 위해 푸시 로드(9)와 마찰 접촉한다.
도 2c에서, 푸시 로드(9)는 버튼(28)에 대한 작용으로 인해 전진되고, 압축될 때 푸시 로드(9) 상의 팁(31)을 마찰에 의해 가압하여 전진을 조정하는 것이 도시되었다.
도 2d는 버튼(28)의 해제가 위쪽으로 돌출하는 톱니(24)와 함께 손가락(33)의 결합으로 인해 푸시 로드(9)의 전진을 중단시키는 것을 도시한다.
마지막으로, 도 2e에서 버튼(28)이 스프링(8)의 효과로 푸시 로드(9)의 최종 변위를 위해 핑거(33)를 톱니(24)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약간 눌려져 이제 완전히 이완된 것을 도시한다.
이제 각각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IOL 삽입기의 평면도, 확대된 좌측 단부 모습 및 개략적인 종단면도인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한다. 제 1 실시예에서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시된다. 차이점은 푸시 로드 전진 제어 디바이스와 관련된다.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이, 삽입기는 IOL을 빠져나가기 위한 전방 부분(2), 테이퍼드 전달 채널(4) 및 말단 팁(5)을 갖는 케이싱(1)을 포함한다.
중간 핸들 부분(6)을 갖는 케이싱(1)은 IOL의 변위를 위한 삽입 로드(19)를 전방에서 지탱하는 푸시 로드(90)에 의해 환자의 눈에 IOL을 자동으로 전달하기 위한 코일 스프링(8)이 제공된 액추에이터(18)를 후방에 포함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시 로드는 프리즘 형태이다.
액추에이터(18)는 코일 스프링(8)의 로딩을 조정하기 위한 스크류 및 너트 스크류 디바이스(14)를 갖는다. 스크류 및 너트 스크류 디바이스(14)의 확대된 사시도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8)은 내부적으로 부드럽게 스프링-고정 슬리브(10)로 외부에서 동심으로 수용된다. 스프링-고정 슬리브(10)는 푸시 로드(90)에 결합된 전방 접합 부재(11)를 갖는다. 코일 스프링(8)은 전방 접합 부재(11) 및 코일 스프링(8)의 로딩을 조정하는 스크류 및 너트 스크류 디바이스(14)에 의해 가변 길이 방향 위치를 갖는 후방 단부(13)를 갖는다. 스프링-고정 슬리브(10)는 스프링-고정 슬리브(10)가 기본적으로 반달 모양의 단면을 갖는 2개의 대향하는 상부 및 하부 프로파일(102)로 감소되도록 2개의 대향하는 홈(101)으로 가벼워진 후방 부분을 갖는다.
나사 및 너트 스크류 디바이스(14)는 삽입기의 후방 단부(20) 너머에 위치된 조정 손잡이(15)를 포함한다. 조정 손잡이(15)는 삽입기 케이싱의 후방 단부(20)에 인접하는 접합부(160)로 인해 예를 들어 화살표 F(도 6) 방향으로 만 회전할 수 있다(도 8a). 조정 손잡이(15)에는 스프링-고정 슬리브(10)에 자유롭게 삽입되는 나 사형 샤프트(16)가 제공된다. 나사형 샤프트(16)에는 코일 스프링(8)의 후방 단부(13)에 접하는 너트(17)가 장착된다. 너트(17)는 내부적으로 스레드 샤프트(16)를 결합하도록 내부적으로 스레드된다.
너트(17)는 손잡이(15)가 화살표 F의 방향으로 회전할 때 너트(17)가 스프링 단부(13)에 대해 화살표 G를 따라 전진할 수 있도록 스프링-고정 슬리브(10)의 대향하는 상부 및 하부 프로파일(102)과 일치하는 2개의 대향하는 개구(171)를 갖는다. 도 6에서, 단지 표현의 편의를 위해, 너트(17)가 전진할 수 있게 실제로 장착되는 스프링-고정 슬리브(10)로부터 분리되어 도시되었다. 제 1 실시예에 대해 전술된 바와 같이, 너트(17)는 스프링(8)의 로딩의 조정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길이방향 슬롯(22) 내부에서 이동 가능한 돌출 인덱스(21)(도 3)를 갖는다.
이를 위해, 눈금이 도 3에 참조번호(35)로 도시되었다. 눈금(35)은 또한 또 다른 인덱스(21)를 전진시키기 위해 다른 길이방향 슬롯(22) 근처에서 케이싱의 반대쪽 측면 상에 제공될 수 있다.
푸시 로드(90)는 톱니형 랙(240)이 제공된 하부면을 갖는다.
푸시 로드의 전진을 제어하기 위한 디바이스가 제공되며, 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 1 실시예의 것과 상이하다.
케이싱(1)은 컷아웃(250)을 갖는다.
푸시 로드의 전진을 제어하기 위한 디바이스는 톱니형 랙(24)에 작용하는 레버를 포함한다. 레버는 컷아웃(25)을 통해 케이싱(1)의 상부면(fs)으로부터 돌출하는 버튼(28) 형태의, 힘이 인가되는 제 1 암 및 케이싱(1)과 접합부, 특히 자신의 상부면(fs)에서 탄력적으로 변형될 수 있는, 저항력이 있는 제 2 암(36)을 갖는다. 펄크럼(270)은 케이싱(1) 내부의 레버의 제 1 암과 제 2 암 사이에 위치된다.
버튼(260)은 아래쪽으로 연장하고 푸시 로드(90)가 가로지르는 관통 구멍(38)이 제공되는 돌출부(37), 톱니형 랙(240)과 결합하는 폴(pawl)(39), 그리고 푸시 로드(90)의 상부면(ls)을 마찰에 의해 결합시키기 위한 나란한 볼록부(40)를 구비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푸시 로드 전진 제어 디바이스는 펄크럼(270)에서 케이싱 내부에 힌지되고 컷아웃(250)을 통해 돌출하는 버튼(260)을 포함한다. 버튼(260)은 펄크럼(270)까지 후방으로 연장하고 버튼(260)과 케이싱(1)의 접합을 위해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제 2 레버 암(36)으로 작은 플레이트를 갖는다. 또한, 버튼(260)은 톱니형 랙(240)과 결합하는 푸시 로드(90)를 위한 관통 구멍(38)이 장착된 아래쪽을 향하는 돌출부(37)를 갖는다. 버튼(260)은 톱니형 랙(240)의 반대쪽에 있는 푸시 로드(90)와 마찰에 의해서 결합하는 볼록부(40)를 돌출부(37) 옆에 갖는다.
도 5의 라인 A-A를 따르는 확대된 단면인 도 7을 참조하면, 버튼(260)이 삽입기 케이싱(1) 내부에 어떻게 장착되는지가 도시되어있다. 푸시 로드(90)는 길이방향 지지 벽(41, 42) 상에 슬라이드식으로 안착되는 반면, 길이방향 벽(43)은 펄크럼(270)과 힌지된 푸시 버튼(260)을 지지하는 목적을 갖는다.
이제 도 5의 것과 유사한 개략적인 종단면도인 도 8a 내지 도 8e를 참조하며 연속적인 동작 단계에서의 삽입기를 도시한다. 도 8a는 버튼(260)이 정지 위치에 있고 푸시 로드(90)의 전진을 차단하는 것을 도시한다. 조정 손잡이(15) 덕분에, 이중 화살표(H)로 표시된 너트(17)를 이동시켜 도 6을 참조로 기술된 바와 같이 스프링(8)의 로딩을 조정할 수 있다. 스크류 및 너트 스크류 디바이스(14)의 조정 손잡이(15)에 작용함으로써, 코일 스프링(8)이 로딩되고, 이는 코일 스프링(8)의 전방 접합 부재(11)와 후방 접합 너트(17) 사이에 접합된다. 이 단계에서, 삽입기가 충전되고 사용 준비되며, IOL을 환자의 눈에 삽입하기 위해 스프링에 의해 인가되는 힘이 조정되었다.
도 8b는 관통 구멍(38)을 갖는 돌출부(37)가 푸시 로드(90)를 향하게 위치시키도록 수술의가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플레이트(36)의 대립 작용에 대해 버튼(260)을 누른 것을 도시한다.
도 8c에서 푸시 로드(90)는 버튼(260)에 대해 전술된 동작 덕분에 전진된 것이 도시되었다. 버튼(260)의 볼록부(40)는 톱니형 랙(240)의 반대쪽에 있는 푸시 로드(90) 상의 마찰에 의해서 가압되어 그것의 진행을 조정한다.
도 8d는 버튼(260)의 해제가 아래를 향해 돌출하는 연속적인 톱니(240)와 돌출부(37)의 결합으로 인해 푸시 로드(90)의 전진을 중단시킴을 도시한다.
마지막으로, 도 8e에서 버튼(260)이 스프링(8)의 효과로 푸시 로드(90)의 최종 변위를 위해 톱니(240)로부터 돌출부(37)를 분리하기 위해 약간 눌려져 이제 완전히 이완된 것을 도시한다. IOL은 말단부(5)의 전방에 도시되어 환자의 눈으로 빠져나간다.
이제 각각 본 발명의 IOL 삽입기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평면도, 정면도, 사시 종단면도 및 평면 종단면도인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한다. 도 12에서 복수의 작은 원은 케이싱(1)의 두 개의 절반부의 조립 지점을 도시한다.
나중에 볼 수 있듯이, 차이점은 푸시 로드에 작용하는 코일 스프링을 갖는 액추에이터 및 푸시 로드 제어 전진 디바이스 모두와 관련된다. 제 2 실시예에서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동일한 참조번호로 지정된다.
이전 실시예에서와 같이, 삽입기는 로딩 챔버(3), 테이퍼드 전달 채널(4) 및 안구내 렌즈를 빠져나가기 위한 말단 팁(5)을 포함하는 전방 부분(2)을 갖는 펜형 케이싱(1)을 포함한다.
케이싱(1)은 작업자의 그립을 향상시키기 위해 대향하는 널링 부분(60)을 갖는 중앙 그립 부분(6)을 갖는다. 케이싱(1)은 IOL을 변위시키기 위해 삽입 로드(19)를 전면에서 지탱하는 푸시 로드(900)에 의해 환자의 눈에 IOL을 자동으로 전달하도록 코일 스프링(8)이 제공되는 액추에이터(180)를 후방에 포함한다. 푸시 로드(9)는 프리즘 형태이다.
코일 스프링(8)은 내부적으로 매끄러운 스프링-고정 슬리브(100)와 외부에서 동심으로 수용된다. 스프링-고정 슬리브(100)는 이전 실시예에서 더 짧고, 이전 실시예에서 너트 스크류로서 작용하는 너트(17)와 액추에이터(18)의 스크류 및 너트 스크류 디바이스(14) 내의 스크류로서 동작하는 스레드 스핀들(16) 사이의 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2개의 반대되는 홈으로 가벼워진 후방부를 갖지 않는다.
스프링-고정 슬리브(100)는 푸시 로드(9)에 결합된 전방 접합 부재(11)를 갖는다. 코일 스프링(8)은 전방 접합 부재(11)에 인접한 전방 단부(12) 및 코일 스프링(8)의 로딩을 조절하는 스크류 및 너트 스크류 디바이스(140)에 의해 가변 길이방향 위치를 갖는 자신의 후방 단부(13)를 갖는다.
스크류 및 너트 스크류 디바이스(140)는 삽입기 케이싱(1)의 후방 단부(20) 너머에 위치된 조정 손잡이(15)를 포함한다. 조정 손잡이(15)에는 삽입기 케이싱의 후방 단부(20)와 인접하는 정지부(160)을 갖는 샤프트(70)가 제공된다. 원통형인 샤프트(70)는 근위 스레드 부분(161) 및 매끄러운 말단부(162)를 갖는다. 말단부(162)는 스프링-고정 슬리브(100)에 자유롭게 삽입된다. 샤프트(70)의 근위 스레드 부분(161)은 스크류와 너트 스크류의 결합에서 코일 스프링(8)의 후방 단부(13)에 인접하는 너트(170)와 결합된다. 코일 스프링(8)의 접합 너트(170)는 한 쌍의 대향하는 인덱스(21)를 갖는다. 삽입기 케이싱(1)은 돌출하는 인덱스(21)가 슬롯(22) 자체를 따라 슬라이딩하게 할 수 있는 2개의 길이방향 슬롯(22)을 갖는다.
코일 스프링(8)의 후방 단부에 대해 접합 너트(170)의 돌출 인덱스(21)에 의해서 코일 스프링(8)의 후방 단부(13)의 위치를 판독하기 위해서 길이방향 슬롯(22)에 인접한 삽입기의 케이싱(1) 상에 눈금이 제공된다.
앞선 실시예와 달리, 프리즘 형태를 갖는 푸시 로드(900)는 연속적인 하부 톱니(240)를 갖는 하부면(li) 및 연속적인 상부 톱니(241)를 갖는 상부면(Is)을 갖는다.
삽입기 동작의 두 순간에 도 12의 부분적인 확대인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기술되는 바와 같은, 제 2 실시예의 것과 상이한 푸시 로드의 진전을 제어하기 위한 디바이스가 이러한 연속적인 톱니와 협력한다.
제 2 실시예에서와 같이, 푸시 로드(900)의 전진을 제어하기 위한 디바이스는 톱니형 랙(240, 241) 상에서 작용하는 레버를 포함한다. 레버는 컷아웃(250)을 통해 케이싱(1)의 상부 플랭크(fs)로부터 돌출하는 버튼(261) 형태의, 힘이 인가되는 제 1 암 및 케이싱(1)과 접합부에서 탄력적으로 변형될 수 있는, 저항력이 있는 제 2 암(36)을 갖는다. 펄크럼(270)은 케이싱(1) 내부의 레버의 제 1 암과 제 2 암 사이에 위치된다.
버튼(261)은 아래쪽으로 연장하고 푸시 로드(900)가 가로지르는 관통 구멍(38)이 제공되는 돌출부(37), 톱니형 랙(240)과 결합하는 폴(39), 그리고 푸시 로드(900)의 상부면(ls) 상에서 톱니형 랙(241)을 결합시키는 나란한 볼록부(40)를 구비한다.
케이싱(1)의 컷아웃(250)에서 버튼(261)은 펄크럼(270)의 케이싱 내부에 힌지 연결되지만 컷아웃(250)을 통해 돌출한다. 버튼(261)은 케이싱(1)과 버튼(261)의 접합부에 대해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펄크럼(270) 뒤에서 연장하는 작은 플레이트(36)를 갖는다. 도 11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261)은 푸시 로드(900)가 가로지르는 관통 구멍(38)이 제공된 아래를 향하는 돌출부(37)를 갖는다. 돌출부(37)는 관통 구멍(38)으로 인해 돌출부(39)에 의해서 연속적인 하부 톱니(240)의 톱니와 결합한다. 돌출부(37)의 돌출부(39)와 협력하는 상부 톱니(24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진의 신속한 차단을 위한 톱니로서 기능한다. 반대 측에서, 톱니형 랙(241)은 돌출부(37)에 인접한 볼록부(44)를 아래쪽으로 향한다. 볼록부(44)와 톱니(241)의 상호 결합 덕분에, 푸시 로드(900)의 전진 속도의 감소 또는 가능하다면 정지를 획득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도 13을 참조하면 버튼(261)이 탄성 플레이트(36)의 대조 작용으로 인해 상승 위치에 있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며; 즉 버튼(261)은 예를 들어 그에 적용되는 엄지 손가락의 압력에 의해 아래로 눌러지지 않는다. 이러한 구성에서, 하부 톱니(240)에 작용하는 돌출부(39)는 푸시 로드(900)의 전진을 차단함을 주목한다. 푸시 버튼(261)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로 가압되면 돌출부(39)는 하부 톱니(240)를 분리하지만, 볼록부(44)는 푸시 로드(900)의 전진을 늦추거나 정지시키기 위해 상부 톱니(241)와 결합하기 시작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전 제어 디바이스는 순간의 동작 조건에 따라 IOL 전달 속도를 채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제 본 발명에 따른 IOL 삽입기의 제 4 실시예에 따르는, 각각 도 15의 라인 B-B을 따라 획득된 평면 종단면도 및 횡단면도인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해야 한다.
이후에 볼 수 있듯이, 차이점은 푸시 로드에 작용하는 코일 스프링을 갖는 액추에이터와 푸시 로드 전진 제어 디바이스 모두와 관련된다. 제 3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 또는 유사한 부분은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시된다.
케이싱(1) 상에는 관통 구멍이 제공되고, 정지 요소가 관통 구멍을 가로질러 자신의 동작에 앞서 삽입기의 대기 상태에서 푸시 로드(901)와 결합한다.
푸시 로드(901)에 결합된 전방 접합 부재(11)는 원주방향 리세스를 갖는다. 정지 요소는 자신의 외부 단부에 있는 링(282) 및 내부 단부에 있는 팁이 제공된 핀(281)이다. 팁은 전방 접합 부재(11)의 원주방향 리세스에 수용되도록 설계된다.
정지 요소는 수술의가 삽입기를 자발적으로 동작시킬 준비가 되기 전에 푸시 로드 전진 제어 디바이스의 비자발적인 동작이 후자를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을 방지하는 데 유용한다.
바람직하게는 프리즘 형태의 추력 요소(901)는 푸시 로드(901)의 하부면(li) 상의 톱니형 랙(242) 및 푸시 로드(901)의 상부면(ls) 상의 널링 톱니형 랙(243)을 갖는다.
케이싱(1)은 자신의 측면 플랭크(f1)와 내부적으로 일체형으로, 자신의 길이방향 슬라이딩에서 푸시 로드(901)에 대한 가이드로서 작용하는 길이방향 지지 벽(410, 420, 430)을 갖는다.
또한, 케이싱(1)은 내부적으로 케이싱(1)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 플랭크(fl)와 통합된 적어도 한 쌍의 가로 핀(251)을 포함한다. 가로 핀(251)의 쌍은 만약 케이싱(1)이 서로 연결된 2개의 대칭하는 절반부로 제조된 경우, 케이싱(1)의 측면 플랭크(fl) 모두와 일체형이 아닐 수 있다. 가로 핀(251)의 쌍은 컷아웃(250) 아래에 위치된다. 컷아웃(250)의 반대인 측면 상에는, 케이싱(1)의 하부면(fi)에 스프링 시트(252)가 형성된다. 시트(252)에는 판 스프링(253)이 위치된다: 그의 하나의 전단부는 돌출부(263)에 접하고, 그의 후단부는 가이드(264) 하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수용된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르면, 푸시 로드(901)의 전진 제어 디바이스는 푸시 로드(901)의 통과를 위한 내부 공동(255)이 제공된 튜브형 요소(254)를 포함한다. 튜브형 요소(254)는 케이스(1)의 상부 플랭크(fs)에 형성된 컷아웃(250)으로부터 상부로 돌출하는 버튼 형태의 볼록부(257)를 갖는 상부 벽(256)을 가진다. 버튼 형태의 볼록부(257)는 가로 핀(251)을 수용하는 2개의 관통 슬롯(265)을 갖는다: 이러한 배치는 버튼 형태의 볼록부(257)가 컷아웃(250)을 통해서 수직 슬라이딩하게 한다. 따라서, 튜브형 요소(254)는 케이싱(1)에서 횡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다. 튜브형 요소(254)는 케이싱(1)의 시트(252)에 수용된 판 스프링(253)을 위한 선반으로서 동작하는 하부 벽(258)을 갖는다.
튜브형 요소(254)의 상부 벽(256)은 푸시 로드(901)의 상부면(Is) 상의 연속적인 널링 톱니(243)와 결합하도록 구성된 쐐기 형태의 돌출부(259)가 제공된 내부 공동(255)을 향하는 표면을 갖는다.
튜브형 요소(254)의 하부 벽(258)은 푸시 로드(901)의 하부면 상의 톱니형 랙(242)과 결합할 수 있는 적어도 한 쌍의 톱니(262)가 제공된 내부 공동(255)을 향하는 표면을 갖는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푸시 로드 전진 제어 디바이스의 동작은 튜브형 요소(254)가 예를 들어 삽입기를 사용하기 전에 정지 상태에서 톱니형 랙(242)과 결합하는 것을 제공한다. 이것은 리턴 스프링(253)이 톱니(262)가 푸시 로드의 톱니(242)와 결합되는 상부 위치에서 오직 수직으로만 슬라이딩하도록 제한되는 튜브형 요소(254)를 밀어낸다는 사실에 의해 보장된다. 푸시 로드(901)의 유지 요소(281)가 해제되면, 추력 요소는 코일 스프링(8)의 영향으로 전진할 것이지만, 튜브형 요소(254)의 상부 벽(256)의 내부 표면 상의 쐐기형 돌출부(259)가 후자의 전진을 제어하는 푸시 로드(901)의 상부면(ls) 상의 널링 톱니 랙(243)과 결합한다. 따라서 푸시 로드(901)는 코일 스프링(8)의 영향 하에서 결코 자유롭지 않지만, 컷아웃(250)으로부터 돌출하는 볼록부(257)로 인해 수술의가 밀어낸 튜브형 요소(254)의 제어 하에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덕분에 그 목적이 달성되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의된다.

Claims (13)

  1. 측면 플랭크(fl), 상부 플랭크(fs), 하부 플랭크(fi) 및 상부 플랭크(fs) 내의 컷아웃(25; 250)을 갖는 펜형 케이싱(1) 내의, 삽입이 제어되는 안구내 렌즈 삽입기(intraocular lens injector)로서,
    - 로딩 챔버(3), 테이퍼드(tapered) 전달 채널(4) 및 안구내 렌즈(IOL)를 빠져 나가기 위한 말단 팁(distal tip)(5)을 포함하는 전방부(2),
    - 환자의 눈에 안구내 렌즈(IOL)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 로드(insertion rod)(19)에 전방으로 연결된 푸시 로드(push rod)(9; 90; 900; 901)에 작용하는 코일 스프링(8) -상기 코일 스프링(8)은 푸시 로드(9; 90; 900; 901)에 결합된 전방 접합 부재(11)가 제공된 스프링-고정 슬리브(10; 100) 상에 수용됨- 을 포함하는 액추에이터(18; 180)를 포함하는 후방부,
    - 상기 푸시 로드(9; 90; 900; 901)의 전진을 제어하기 위한 디바이스가 제공되는 중간 핸들부(6)
    를 포함하고;
    - 상기 푸시 로드(9; 90; 900; 901)는 프리즘 형태를 가지고, 상부면(ls)과 하부면(li) 사이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톱니형 랙(toothed rack)(24; 240; 240, 241; 242, 243)이 제공되며,
    - 상기 푸시 로드(9; 90; 900; 901)의 전진을 제어하기 위한 디바이스는, 푸시 로드(9; 90; 900; 901)의 전진을 제어하기 위해 펜형 케이싱(1)에 접하는 탄성 복귀 요소와 협력하여 적어도 하나의 톱니형 랙(24; 240; 240, 241; 242, 243)에 대해 디바이스를 결합 및 결합해제하도록 펜형 케이싱(1)의 상부 플랭크(fs)로부터 컷아웃(25; 250)을 통해 위쪽으로 돌출하는 버튼(28; 260; 261; 257)을 포함하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안구내 렌즈 삽입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 로드(9; 90; 900)의 전진을 제어하기 위한 디바이스는 톱니형 랙(24; 240; 240, 241)에 작용하는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는 펜형 케이싱(1)의 상부 플랭크(fs)로부터 컷아웃(25; 250)을 통해 돌출하는 버튼(28; 260; 261)의 형태인 힘이 인가되는 제 1 암 및 저항력이 있는 펜형 케이싱(1)에 접하는 탄성 복귀 요소로서의 제 2 암(29; 36)을 포함하고, 펄크럼(fulcrum)(27; 270)이 케이싱 내부 레버의 제 1 암과 제 2 암 사이에 위치되는, 안구내 렌즈 삽입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 로드(9)는 위쪽으로 돌출하는 돌출부(23) 및 푸시 로드(9)의 상부면(ls)에 톱니형 랙(24)을 갖는, 안구내 렌즈 삽입기.
  4. 제 3 항에 있어서,
    - 상기 레버의 제 2 암(29)은 버튼(28)을 향하고, 푸시 로드(9)의 위쪽으로 돌출하는 돌출부(23)를 잠그고 톱니형 랙(24)의 톱니를 결합하기 위해 아래쪽을 향하는 한 쌍의 핑거(33, 34)가 제공된 자유 단부(32)를 향해 뒤로 연장하며,
    - 상기 버튼(28)은 푸시 로드(9)와의 마찰 결합을 위해 아래쪽을 향하는 전방 단부(31)를 갖는, 안구내 렌즈 삽입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 로드(90)는 푸시 로드(90)의 하부면(li) 상에 톱니형 랙(240)을 갖는, 안구내 렌즈 삽입기.
  6. 제 5 항에 있어서,
    버튼(260)은 아래쪽으로 연장하고 푸시 로드(90)가 가로지르는 관통 구멍(38)이 제공되는 돌출부(37), 톱니형 랙(240)과 결합하는 폴(pawl)(39), 그리고 푸시 로드(90)의 상부면(ls)을 마찰에 의해 결합시키기 위한 나란한 볼록부(40)를 구비하는, 안구내 렌즈 삽입기.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 로드(900)는 푸시 로드(900)의 하부면(li) 상의 톱니형 랙(240) 및 푸시 로드(900)의 상부면(ls) 상의 톱니형 랙(241)을 갖는, 안구내 렌즈 삽입기.
  8. 제 7 항에 있어서,
    버튼(261)은 아래쪽으로 연장하고 푸시 로드(900)가 가로지르는 관통 구멍(38)이 제공되는 돌출부(37), 톱니형 랙(240)과 결합하는 폴(39), 그리고 푸시 로드(900)의 상부면(ls) 상에 톱니형 랙(241)을 결합시키기 위한 나란한 볼록 부(44)를 구비하는, 안구내 렌즈 삽입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 로드(901)는 푸시 로드(901)의 하부면(li) 상의 톱니형 랙(242) 및 푸시 로드(901)의 상부면(Is) 상의 널링(knurled) 톱니형 랙(243)을 갖는, 안구내 렌즈 삽입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 상기 펜형 케이싱(1)은 펜형(1)의 측면 플랭크(fl) 중 적어도 하나와 일체형인 적어도 한 쌍의 측면 핀(251), 및 하부면(fi) 상의 스프링을 위한 시트(252)를 내부에 포함하며,
    - 상기 푸시 로드(901)의 전진을 제어하기 위한 디바이스는:
    펜형 케이싱(1)의 상부 플랭크(fs)에 있는 컷아웃(250)으로부터 상부로 돌출하는 버튼(257)을 가지고 측면 핀(251)을 수용하는 적어도 한 쌍의 관통 슬롯(265)이 제공되고, 펜형 케이싱(1) 내에서 횡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고, 푸시 로드(901)의 통로를 위해 내부 공동(255)이 제공되며, 버튼(257)과 일체형인 상부 벽(256) 및 스프링 접합부로서 동작하는 하부 벽(258)을 갖는 튜브형 요소(254),
    상기 펜형 케이싱(1)에 인접하는 탄성 복귀 요소로서 판 스프링(leaf spring)(253)이 시트(252)에 수용되고,
    푸시 로드(901)의 상부면(ls) 상의 널링 톱니형 랙(243)과 결합하도록 구성된 쐐기형 돌출부(259)가 제공된, 내부 공동(255)를 향하는 표면을 갖는 튜브형 요소(254)의 상부 벽(256),
    내부 공동(255)를 향하는 표면을 갖고, 푸시 로드(901)의 하부면(li) 상의 톱니형 랙(242)과 결합할 수 있는 적어도 한 쌍의 톱니(260)가 제공된 튜브형 요소(254)의 하부 벽(258)
    을 포함하는, 안구내 렌즈 삽입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펜형 케이싱(1)은 자신의 측면 플랭크(fl) 중 적어도 하나와 내부적으로 일체형으로 자신의 길이방향 슬라이딩에서 푸시 로드(90, 900, 901)를 위한 가이드로서 작용하는 길이방향 지지 벽(41, 42; 410, 420, 430)을 갖는, 안구내 렌즈 삽입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관통 구멍이 펜형 케이싱(1) 상에 제공되고, 정지 요소가 자신의 동작에 앞서 삽입기의 대기 상태에서 푸시 로드(901)를 결합시키도록 관통 구멍을 가로지르는, 안구내 렌즈 삽입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푸시 로드(901)에 결합된 전방 접합 부재(11)는 원주방향 리세스를 가지며, 상기 정지 요소는 자신의 외부 단부에 그립 링(grip ring)(282)이 제공되고 상기 전방 접합 부재(11)의 원주방향 리세스에 수용되도록 의도된 자신의 내부 단부에 팁이 제공되는 핀(281)인, 안구내 렌즈 삽입기.
KR1020207035412A 2018-05-21 2019-05-16 삽입 제어되는 안구내 렌즈 삽입기 KR2021001357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102018000005554A IT201800005554A1 (it) 2018-05-21 2018-05-21 Iniettore di lente intraoculare
IT102018000005554 2018-05-21
PCT/IT2019/000037 WO2019224847A1 (en) 2018-05-21 2019-05-16 Intraocular lens injector with controlled inser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3575A true KR20210013575A (ko) 2021-02-04

Family

ID=6331227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5413A KR20210013576A (ko) 2018-05-21 2019-05-16 푸시 제어 디바이스를 갖는 안구내 렌즈 삽입기
KR1020207035412A KR20210013575A (ko) 2018-05-21 2019-05-16 삽입 제어되는 안구내 렌즈 삽입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5413A KR20210013576A (ko) 2018-05-21 2019-05-16 푸시 제어 디바이스를 갖는 안구내 렌즈 삽입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20210205071A1 (ko)
EP (2) EP3796871A1 (ko)
JP (2) JP2021524319A (ko)
KR (2) KR20210013576A (ko)
CN (2) CN112312859A (ko)
BR (2) BR112020023307A2 (ko)
CA (2) CA3100831A1 (ko)
IT (1) IT201800005554A1 (ko)
WO (2) WO20192248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40865S1 (en) * 2016-08-15 2022-01-11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texas System Allograft insertion device
KR102467542B1 (ko) * 2022-08-10 2022-11-14 이정영 동물용 연속주사기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44366A (en) * 1979-10-30 1981-01-13 Burron Medical, Inc. Syringe stroke controlling mechanism
DE19807233A1 (de) * 1998-02-20 1999-08-26 Acritec Gmbh Vorrichtung zum Implantieren einer Intraocularlinse
US20040059343A1 (en) * 2002-09-25 2004-03-25 Kevin Shearer Novel enhanced system for intraocular lens insertion
WO2011138790A1 (en) * 2010-05-06 2011-11-10 Nulens Ltd Injector apparatus for injecting intraocular lens
WO2012082736A1 (en) * 2010-12-13 2012-06-21 I-Tech Development Company Proximally actuated surgical instrument
US10350059B2 (en) * 2012-12-05 2019-07-16 Hoya Corporation Ocular implant insertion apparatus and methods
WO2014137983A1 (en) * 2013-03-05 2014-09-12 Abbott Medical Optics Inc. Automated preloaded intraocular lens injector
DE102015110343A1 (de) * 2015-06-26 2016-12-29 Gerresheimer Regensburg Gmbh Mehrteilige Sicherheitsvorrichtung für eine Spritze
US10722347B2 (en) * 2015-12-17 2020-07-28 Atrion Medical Products, Inc. Intraocular lens delivery device and method of use
JP6969876B2 (ja) * 2016-02-29 2021-11-24 メディセル・アーゲー 伝動機構、特に歯車列を有するインジェ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96870A1 (en) 2021-03-31
WO2019224848A1 (en) 2019-11-28
IT201800005554A1 (it) 2019-11-21
US20210205071A1 (en) 2021-07-08
JP2021524320A (ja) 2021-09-13
CN112312859A (zh) 2021-02-02
KR20210013576A (ko) 2021-02-04
EP3796871A1 (en) 2021-03-31
BR112020023307A2 (pt) 2021-02-02
WO2019224847A1 (en) 2019-11-28
CN112367946A (zh) 2021-02-12
CA3100832A1 (en) 2019-11-28
CA3100831A1 (en) 2019-11-28
BR112020023306A2 (pt) 2021-02-02
US20210186682A1 (en) 2021-06-24
JP2021524319A (ja) 2021-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126315B (zh) 具有传动机构,尤其是齿轮传动链的注射器
US3905365A (en) Dental injection gun
EP1800624B1 (en) Spring-biased injector for an intraocular lens
CA2875871C (en) Automated preloaded intraocular lens injector
US6673049B2 (en) Injection device for injecting fluid
DK2373362T3 (en) INJECTION DEVICE WITH HOLDERS TO PREVENT INCIDENTAL MOVEMENT OF THE Piston Rod
KR20210013575A (ko) 삽입 제어되는 안구내 렌즈 삽입기
CN108024853B (zh) 弹簧动力的、液压操作的人工晶状体插入器
JP7424993B2 (ja) インジェクタ、特に二重機能インジェクタ及び/又は停止要素を備えるインジェクタ
WO2007098622A1 (en) Spring-biased injector for an intraocular lens
JP7405761B2 (ja) 眼球内レンズを患者に注入するために圧縮ガス及び機械式ブレーキを使用する注入器組立体
KR102026582B1 (ko) 정량 반복주사기 장치
CN211485092U (zh) 一种可单手操作精确控制进给量的人工晶状体植入系统
WO1999008735A2 (en) Hand-held manual injector
RU2020139358A (ru) Инжектор интраокулярной линзы с управляемым введение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