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3491A - Urban Railway Main Line Ventilation Exposed Bidirectional Dust Collection System - Google Patents

Urban Railway Main Line Ventilation Exposed Bidirectional Dust Collection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3491A
KR20210013491A KR1020190091092A KR20190091092A KR20210013491A KR 20210013491 A KR20210013491 A KR 20210013491A KR 1020190091092 A KR1020190091092 A KR 1020190091092A KR 20190091092 A KR20190091092 A KR 20190091092A KR 20210013491 A KR20210013491 A KR 202100134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ust collecting
main line
subway
wash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109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59575B1 (en
Inventor
정종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트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트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트코
Priority to KR10201900910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9575B1/en
Publication of KR20210013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349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95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957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02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 B03C3/04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dry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38Particle charging or ionising stations, e.g. using electric discharge, radioactive radiation or fl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74Cleaning the electrodes
    • B03C3/78Cleaning the electrodes by wa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82Housing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00Ventilation of mines or tunnels; Distribution of ventilating currents
    • E21F1/003Ventilation of traffic tun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rban railway main line ventilator exposed-type two-way dust collection system which is installed on the ground of a main line ventilator of an urban railroad, and solves an underground space securing problem by using a two-way dust collection means. The urban railway main line ventilator exposed-type two-way dust collection system is installed at a subway vent of an urban railway main line ventilator. The urban railway main line ventilator comprises: a main line ventilator for providing a predetermined space connected to the ground; the subway vent installed on the ground; and a forced blower installed at the main line ventilator. The urban railway main line ventilator exposed-type two-way dust collection system comprises: a subway vent installation structure which includes an open passage having an open surface vertically opened as a tower-shaped structure that covers the entire subway vent exposed on the ground; an automatic damper which is installed at an entrance of the open passage to open or close the open surface; a two-way dust collecting unit which is installed over the whole parts thereof in parallel with the open surface of the open passage, and has a wall formed to cover the open surface; a primary side cleaning unit; a secondary side cleaning unit; a washing water recovery unit; a fresh water tank; a washing water supply pump; an air pump; and a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remove fine dust from a main line subway tunnel and fine dust from the ground without changing underground facilities of a main line ventilator. No change is required to underground facilities. Due to relatively low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costs, a relatively high fine dust collection effect can be exhibited. Furthermore, an accident caused by a subway vent can be preemptively prevented.

Description

도시철도 본선환기구 노출형 양방향 집진 시스템{Urban Railway Main Line Ventilation Exposed Bidirectional Dust Collection System}Urban Railway Main Line Ventilation Exposed Bidirectional Dust Collection System}

본 발명은 미세먼지 등을 제거하는 집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시철도의 본선환기구의 지상부에 설치되고 양방향 집진 수단을 이용하여 지하 공간 확보 문제를 해결하는 노출형 양방향 집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st collection system for removing fine dust,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xposed two-way dust collection system that is installed on the ground part of a main line ventilation mechanism of an urban railway and solves the problem of securing an underground space by using a two-way dust collection means.

최근 급진적인 도시화와 산업화가 진행되면서 도시의 인구 및 경제활동 범위의 팽창에 따른 산업시설과 교통량의 증가로 대기환경 오염도가 심화 되었고, 도심이 발전하면서 국민의 생활수준이 점차 높아짐과 더불어 대부분의 사람들이 하루 중 80-90%의 시간을 사무실, 가정, 학교 등의 실내공간에서 보내게 되면서 실내공기질의 청정도는 삶의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척도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With the recent rapid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air pollution has intensified due to the increase in industrial facilities and traffic volume due to the expansion of the urban population and the scope of economic activity. As 80-90% of the day is spent in indoor spaces such as offices, homes, and schools, the cleanliness of indoor air quality has become an important measure of quality of life.

지하철의 공기오염물질은 환기구나 계단을 통하여 유입되는 실외적인 요인과 선로에서 발생되거나 승객들의 유동에 따른 실내적인 요인으로 분류된다. 최근 연구결과에 의하면 지하철 터널과 지하역사의 미세먼지는 대부분 터널 내 열차운행 등 실내적 요인에 의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터널은 역사와 역사를 연결하는 열차의 이동구간으로 열차가 운행하면서 발생하는 레일과 차륜 사이의 마찰과 긁힘으로 인한 마모, 팬토그래프 와 급전시설의 마찰로 인한 마모, 레일 연마작업과 지하구조물 유지 보수작업 등으로 각종 오염물질이 지속적으로 발생되어 열차풍에 의해 흩어지고 있다.Air pollutants in subways are classified into outdoor factors that are introduced through ventilation or stairs, and indoor factors that are generated from tracks or flow of passengers. According to recent research results, most of the fine dust in subway tunnels and underground stations is caused by indoor factors such as train operation in the tunnel. Tunnel is a moving section of the train that connects the station to the station. Abrasion due to friction and scratches between rails and wheels generated while the train is running, wear due to friction in pantographs and power supply facilities, rail polishing work and maintenance of underground structures Various pollutants are continuously generated by work, etc., and are scattered by the train wind.

최근에는 각 역마다 스크린도어(PSD: platform screen door)를 설치하여 터널 공기가 승강장과 대합실로 확산되는 것을 차단하여 역사의 공기질을 개선하고 있는 반면 터널에서 발생되는 이물질과 미세먼지들이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고 축적될 수 있어 스크린도어 설치 전보다 더 공기질이 악화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Recently, a screen door (PSD: platform screen door) has been installed at each station to block the spread of tunnel air to the platform and waiting rooms to improve the air quality of the station, while foreign substances and fine dust generated from the tunnel are not discharged to the outside. It is predicted that the air quality may deteriorate even more than before the screen door was installed as it could not be installed and accumulated.

특히, 미세먼지(Particulate Matter, PM)는 거대입자와 달리 코나 목에서 걸러지지 않고 폐 깊숙이 침투하여 각종 호흡기 질환을 일으키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In particular, particulate matter (PM), unlike large particles, is not filtered out of the nose or throat, but penetrates deep into the lungs and acts as a cause of various respiratory diseases.

이와 같은 미세먼지의 인체위해도에 대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먼지의 크기가 10㎛인 PM10 농도가 높을수록 영아사망 위험이 커지고, 조산, 저체중, 자궁내 발육지연, 선천성 기형, 사산 등의 다양한 출산 결과의 위험을 높인다.According to the results of such research on the human body risk of fine dust, the higher the concentration of PM10 with a dust size of 10 μm, the higher the risk of infant mortality. Increases the risk of consequences.

또한, PM2.5가 PM10보다 사망에 더 큰 영향을 기여하며, 실외보다는 실내에서 PM2.5의 농도가 높다.In addition, PM2.5 contributes more to death than PM10, and the concentration of PM2.5 is higher indoors than outdoors.

지하역사의 경우, 오래된 역사일수록 환기설비의 노후 등의 이유로 미세먼지의 농도는 높게 나타나고 있다.In the case of underground stations, the older the stations, the higher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due to the aging of ventilation facilities.

지하역사의 승강장이나 대합실의 경우, 대부분 급기구와 환기구에 설치된 강제환기설비를 통하여 미세먼지를 집진하고 있으나, 효과가 미비하여 오래된 지하역사일수록 실내공기질 유지기준인 150㎍/㎥을 넘는 측정 빈도가 많아지며, 대부분 2015년 발효되는 환경정책기본법의 100㎍/㎥ 유지기준을 초과하거나 근접하는 실정이다.In the case of platform or waiting room in underground stations, most of the fine dust is collected through forced ventilation facilities installed in the supply and ventilation ports, but the effect is insufficient, so the measurement frequency exceeding the indoor air quality maintenance standard of 150㎍/㎥ in older underground stations. It is increasing, and most of them exceed or are close to the 100㎍/㎥ maintenance standard of the Framework Act on Environmental Policy in effect in 2015.

종래 지하역사의 환기방식은 도 1 종래 지하철 본선터널의 환기방식을 보인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연 환기방식(도 1a, 1b) 또는 기계 환기방식(도 1c)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The ventilation method of the conventional underground station is made of a natural ventilation method (Fig. 1a, 1b) or a mechanical ventilation method (Fig. 1c), as shown in the drawing showing the ventilation method of the conventional subway main line tunnel.

상기 자연 환기방식은 종래기술로 출원번호 10-2006-0098335호 '지하철역사 공기정화 환기시스템'이 개시된 바 있다.As for the natural ventilation method, application number 10-2006-0098335'subway station air purification ventilation system' has been disclosed as a prior art.

상기와 같은 자연 환기방식에 따른 종래기술은 지하철이 이동하는 힘에 의한 피스톤효과를 이용하여 터널 내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방법으로 급기구와 배기구의 구분이 없으며 열차의 진행 방향 전면부는 양압이 발생되어 배기구의 역할을 하고, 후면부는 음압이 발생하여 급기구 역할을 한다.The prior art according to the natural ventilation method as described above is a method of discharging the air in the tunnel to the outside by using the piston effect by the force that the subway moves. There is no distinction between the supply port and the exhaust port, and positive pressure is generated in the front part of the train direction. It acts as an exhaust port, and the rear part acts as an air supply port by generating negative pressure.

자연 환기방식은 환기구의 급기/배기 구분이 없고 별도의 장치가 필요하지 않는 장점을 가지지만, 지하철이 지나치는 순간에만 효과를 볼 수 있으므로 지속적인 환기 효과를 보기 힘든 단점을 가지며 특히 도심의 심도가 깊은 터널의 경우, 피스톤효과에 의한 압력이 약해 오염물질을 외부로 충분히 밀어내기 힘든 단점이 발생한다.The natural ventilation method has the advantage that there is no distinction between air supply/exhaust air in the ventilation port and does not require a separate device, but it has the disadvantage that it is difficult to see a continuous ventilation effect because it is only effective when the subway passes by. In the case of the tunnel, the pressure due to the piston effect is weak, so it is difficult to sufficiently push the contaminants to the outside.

상기 기계 환기방식은 종래기술로 출원번호 10-2013-0127158호 '지하철 터널 내부 미세먼지 저감장치'가 개시된 바 있다.The mechanical ventilation method has been disclosed in the prior art, Application No. 10-2013-0127158,'a device for reducing fine dust inside a subway tunnel'.

상기와 같은 기계 환기방식에 따른 종래기술은 지하철의 운행에 관계없이 작동하며 계획된 환기량 공급이 가능하고 비상시 배연기능을 갖는 장점이 있으나, 초기 시설비가 매우 크고 유지관리에 따른 전력비 및 유지관리비가 과도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The prior art according to the mechanical ventilation method as described above operates irrespective of the operation of the subway, and has the advantage of providing a planned ventilation amount and having an emergency exhaust function, but the initial facility cost is very large and the power cost and maintenance cost according to maintenance are excessive. There is a problem that is required.

특히, 종래의 환기방식은 오염물질을 충분히 제거하지 못하고 계속 순환만 시킨다는 점에서도 문제가 있다.In particular, the conventional ventilation method has a problem in that it does not sufficiently remove pollutants and only continuously circulates.

지하철 본선터널에서 비산되는 미세먼지는 본선터널의 열차풍에 의하여 특이한 성격을 갖고 있어 그 제거 자체가 매우 어렵다.The fine dust scattered from the main subway tunnel is very difficult to remove because it has a peculiar character due to the train wind of the main tunnel.

열차의 통과 시에 발생하는 압력풍과 통과후에 발생하는 흡입풍이 최소 약 6초 간격으로 풍향이 반대로 바뀌는 특수한 조건이 발생하여 일반적인 필터장치로서는 그 미세비산먼지를 제거하는 것은 불가능하다.A special condition occurs in which the pressure wind generated during the passage of the train and the suction wind generated after the passage reverse the wind direction at least about 6 seconds intervals, so it is impossible to remove the fine scattered dust with a general filter device.

이러한 미세먼지는 풍압에 의하여 역사 승강장에 설치된 PSD 자동문이 개방될 때에 승강장으로 유입되어 승강장 및 대합실의 공기가 오염되며 또 이를 제거하기 위하여 공조실의 공조 설비가 계속적인 가동을 하여 비산먼지를 제거하는 반복적인 공기정화과정을 하고 있는 현실이며, 이에 승강장 및 대합실의 공기질의 개선이 지하철 본선터널에서 발생한 미세먼지의 유입으로 공기질의 효율을 높이기가 어려우며 효율을 유지하기도 어렵다.Such fine dust is introduced into the platform when the PSD automatic door installed in the station platform is opened by wind pressure, and the air in the platform and waiting room is polluted.In order to remove this, the air conditioning facility in the air conditioning room is repeatedly operated to remove scattered dust. It is a reality that the air purification process is in progress, and it is difficult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air quality due to the inflow of fine dust generated from the main subway tunnel, and it is difficult to maintain the efficiency due to the influx of air quality in the platform and waiting room.

즉, 지하에서 발생한 미세먼지는 열차풍에 의하여 승강장 및 대합실로 이동하여 지하역사의 공기질을 악화시키거나 본선터널의 환기시스템을 통하여 대기로 배출되어 대기오염을 증가시킨다.In other words, the fine dust generated from the basement moves to the platform and waiting room by the train wind, deteriorating the air quality of the underground station, or is discharged to the atmosphere through the ventilation system of the main tunnel to increase air pollution.

또한, 본선 터널 환기구를 통하여 유입된 외부 공기는 터널 내부 고농도 오염물질을 희석시키지만, 오히려 대기중의 미세먼지가 터널 내부로 유입되어 미세먼지의 농도를 누적시키는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In addition, the external air introduced through the main tunnel ventilation port dilutes the high-concentration pollutants inside the tunnel, but rather, fine dust in the atmosphere flows into the tunnel and has an effect of accumulating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비록, 지하역사의 미세먼지를 줄이기 위한 방편으로 지하철 본선터널을 고압살수차, 미세먼지 청소장치, 마그네틱 집진장치 등을 활용하여 청소를 정기적으로 실시하고 있으나, 이와 같은 방법은 미세먼지의 저감 효과를 일시적으로 밖에 볼 수 없고 지속적으로 미세먼지의 양을 법정 기준 이하로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Although, as a way to reduce fine dust in underground stations, the main subway tunnel is regularly cleaned by using a high-pressure sprinkler, fine dust cleaning device, and magnetic dust collector, but this method temporarily reduces the effect of fine dust. It can only be seen as a problem, and it is difficult to continuously maintain the amount of fine dust below the legal standard.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기술 출원번호 10-2015-0146080호 '발명의 명칭 도시철도 본선환기구 미세먼지 제거시스템'이 개시된 바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prior art application No. 10-2015-0146080'name of the invention urban rail main line ventilation system fine dust removal system' has been disclosed.

상기 종래기술은 도시철도의 본선환기구에 설치되고 강제 송풍과 양방향집진기를 이용하여 자연 환기방식과 기계 환기방식을 융합한 본선환기구 미세먼지 제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지상과 지하철 본선터널을 연결하는 환기용 구조물로써 상기 지상측과 연결되는 출입구가 형성된 소정의 공간을 갖는 급배기실과 상기 급배기실에 접하되 공간적으로 구분되어 형성되며 상기 지하철 본선터널과 연결되는 출입구가 형성된 소정의 공간을 갖는 집진실과 상기 급배기실과 상기 집진실 사이에 설치되는 자동댐퍼와 상기 급배기실과 상기 집진실 사이에 설치되는 강제송풍기와 미세먼지를 집진하는 양방향전기집진기 및 상기 자동댐퍼, 상기 강제송풍기 및 상기 양방향전기집진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여, 지하철 본선터널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효과, 열차에 의하여 변경되는 풍향에 관계없이 효과적으로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효과, 자연 환기와 기계 환기가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면서 미세먼지를 집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유지비용으로 상대적으로 높은 미세먼지 집진효과를 발휘하는 효과 및 세정을 통해 집진된 미세먼지의 재비산을 방지하고 집진효율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합니다.The prior art relates to a system for removing fine dust from a main line ventilation system that is installed in the main line ventilation system of an urban railway and combines a natural ventilation system and a mechanical ventilation system using forced ventilation and a two-way dust collector. As a structure, an air supply and exhaust room having a predetermined space in which an entrance connected to the ground side is formed, and a dust collection room having a predetermined space in which an entrance is formed that is spatially separated and is in contact with the air supply and exhaust room, and is connected to the main subway tunnel. The automatic damper installed between the supply and exhaust chamber and the dust collecting chamber, a forced blower installed between the supply and exhaust chamber and the dust collecting chamber, a two-way electric dust collector for collecting fine dust, and the automatic damper, the forced blower and the two-way electric dust collector Technical features include a control unit to control the operation, effectively removing fine dust generated in the main subway tunnel, the effect of effectively removing fine dust regardless of the wind direction changed by the train, natural ventilation and mechanical ventilation By selectively collecting fine dust, the effect of exerting a relatively high fine dust collection effect at a relatively low maintenance cost, and the effect of preventing re-scattering of the collected fine dust through cleaning and maintaining a constant dust collection efficiency. Exert.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본선환기구의 지하 시설에 양방향전기집진기를 설치하기 위한 집진실을 별도로 만들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prior art has a problem in that a separate dust collection chamber for installing a bidirectional electric dust collector in an underground facility of the main line ventilation mechanism is required.

즉, 본선환기구의 지하 시설에 집진실을 만들 수 있는 공간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종래기술을 적용할 수 있으나, 대부분의 본선환기구의 지하 시설은 집진실을 만들수 있는 공간이 없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많은 지하철 역사에 종래기술을 적용하는데 한계가 있다.That is, if there is a space for making a dust collection room in the underground facility of the main line ventilation, the above conventional technology can be applied, but since most of the underground facilities of the main line ventilation system do not have a space for making a dust collection room, many subways There are limitations in applying the prior art to history.

이로 인하여 본선환기구의 지하 시설의 변경없이 지하철 본선터널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와 지상의 미세먼지가 지하철 역사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양방향 집진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For this reason, there is a need for a two-way dust collection system that prevents fine dust generated in the main subway tunnel and fine dust on the ground from entering the subway station without changing the underground facilities of the main line ventilation system.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선환기구의 지하 시설 변경없이 지하철 본선터널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와 지상의 미세먼지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집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invent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ust collection system that effectively removes fine dust generated in a subway main tunnel and fine dust on the ground without changing the underground facilities of the main line ventilation system. do.

또한, 본 발명은 열차에 의하여 변경되는 풍향에 관계없이 효과적으로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미세먼지 제거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ne dust removal system that effectively removes fine dust regardless of the wind direction changed by a train.

또한, 본 발명은 지하철 본선터널의 급기와 배기를 위한 본선환기구의 지상 말단에 설치되어 열차의 진입 및 통과 시 발생하는 풍압을 이용하여 본선의 미세먼지를 80% 이상 제거하여 승강장에 유입되는 미세먼지를 근본적으로 차단하는 집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t the ground end of the main line ventilation device for supply and exhaust of the main subway tunnel, and removes more than 80% of the fine dust from the main line by using the wind pressure generated when the train enters and passes through the train. It aims to provide a dust collection system that blocks fundamentally.

또한, 본 발명은 본선환기구의 지하 시설에 대한 변경이 요구되지 않음으로 상대적으로 낮은 설치비용과 유지비용으로 상대적으로 높은 미세먼지 집진효과를 발휘하는 집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ust collection system that exhibits a relatively high fine dust collection effect at a relatively low installation cost and maintenance cost since no change to the underground facility of the main ventilation system is required.

또한, 본 발명은 세정을 통해 집진된 미세먼지의 재비산을 방지하고 집진효율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집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ust collection system capable of preventing re-scattering of fine dust collected through cleaning and maintaining a constant dust collection efficiency.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특징을 통해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를 통해 보다 분명하게 알 수 있고,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nderstood through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re clearly understood thr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an be realized by means and combinations shown in the claims.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기술적 특징을 갖는다.In order to achieve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technical characteristics.

본 발명 도시철도 본선환기구 노출형 양방향 집진 시스템은 공기의 유통을 위해 지상과 지하철 본선터널을 연결하는 환기용 구조물로써 지상과 연결되는 소정의 공간을 제공하는 본선환기구와 상기 본선환기구에 연결되어 지상에 설치되는 지하철 환풍구와 상기 본선환기구에 설치되는 강제송풍기를 포함하는 도시철도 본선환기구의 상기 지하철 환풍구에 설치되는 노출형 양방향 집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지상에 노출된 지하철 환풍구 전체를 덮는 구조의 탑 형상의 구조물로 수직으로 개방된 개방면을 갖는 개방통로를 포함하는 지하철 환풍구 설치구조물; 상기 개방통로의 입구에 설치되어 개방면을 개폐하는 자동댐퍼; 상기 개방통로의 개방면과 나란하게 전체에 걸쳐 설치되며, 지상에서 지하철 환풍구 설치구조물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하전시키는 1차측 대전부와 지하철 환풍구 설치구조물 내부에서 지상으로 유출되는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하전시키는 2차측 대전부를 갖고, 상기 1차측 대전부와 2차측 대전부 사이에 집진부가 형성된 양방향 집진셀을 평면으로 적층시켜 상기 개방면을 가리는 벽을 형성하는 양방향 집진부; 상기 1차측 대전부의 전방에 설치되어 세척수와 공기를 상기 양방향 집진부를 향하여 분사하는 1차측 세척부; 상기 2차측 대전부의 전방에 설치되어 세척수와 공기를 상기 양방향 집진부를 향하여 분사하는 2차측 세척부; 상기 양방향 집진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세척수를 회수하는 세척수 회수부; 상기 1차측 세척부 및 2차측 세척부에 공급되는 세척수를 저장하는 청수탱크; 상기 청수탱크에 저장된 세척수를 상기 1차측 세척부 및 2차측 세척부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 공급펌프; 상기 1차측 세척부 및 2차측 세척부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펌프; 및 상기 양방향 집진부, 자동댐퍼, 1차측 세척부, 2차측 세척부, 세척수 공급펌프 및 공기펌프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structure for ventilation that connects the ground and the main subway tunnel for air circulation, and is connected to the main line ventilation system and the main line ventilation system to provide a predetermined space connected to the ground. In the exposed two-way dust collecting system installed at the subway vent of the main line vent of an urban railroad including a subway vent to be installed and a forced blower installed at the main ventilator, a tower-shaped structure that covers the entire subway vent exposed to the ground Subway vent installation structure including an open passage having an open surface vertically open to the structure; An automatic damper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the open passage to open and close the open surface; It is installed across the entire surface in parallel with the open surface of the open passage, and the primary charging part that charges fine dust contained in the air flowing into the subway vent installation structure from the ground and the air flowing out from the inside of the subway vent installation structure to the ground A two-way dust collecting unit having a secondary-side charging unit for charging the fine dust contained in the two-way dust collecting unit to form a wall covering the open surface by stacking two-way dust collecting cells in which a dust collecting unit is formed between the primary charging unit and the secondary charging unit in a plane; A primary-side washing unit installed in front of the primary-side charging unit to inject washing water and air toward the two-way dust collecting unit; A secondary-side washing unit installed in front of the secondary-side charging unit to inject washing water and air toward the two-way dust collecting unit; A washing water recovery unit installed below the bidirectional dust collecting unit to recover washing water; A fresh water tank for storing washing water supplied to the primary and secondary washing units; A washing water supply pump for supplying washing water stored in the fresh water tank to the primary and secondary washing units; An air pump supplying air to the primary and secondary washing units;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driving of the bidirectional dust collecting unit, the automatic damper, the primary washing unit, the secondary washing unit, the washing water supply pump, and the air pump.

또한, 본 발명 도시철도 본선환기구 노출형 양방향 집진 시스템은 상기 세척수 회수부를 통해 회수된 세척수를 저장하는 퇴수탱크; 상기 퇴수탱크에 저장된 퇴수를 정화하는 퇴수 정화부; 및 상기 퇴수 정화부를 통화 정화된 청수를 상기 청수탱크에 공급하는 청수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the urban rail main line ventilation system exposed two-way dust collection system includes a discharge tank for storing the washing water recovered through the washing water recovery unit; A wastewater purification unit that purifies wastewater stored in the wastewater tank; And a fresh water supply unit for supplying the fresh water purified by currency of the wastewater purification unit to the fresh water tank.

또한, 본 발명 도시철도 본선환기구 노출형 양방향 집진 시스템의 상기 양방향 집진부를 구성하는 상기 양방향 집진셀은 오염된 공기가 유통되는 방향으로 개방이 되고, 양쪽 측면이 폐쇄되어 내부에 설치공간을 제공하는 셀함체; 상기 셀함체의 유통되는 방향의 양측에 설치되며, 고전압 인가수단에 연결되어 코로나 방전으로 미세먼지를 하전시키기 위해 소정의 길이를 갖는 톱의 형상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고 양쪽 면에 코로나방전을 일으키는 다수의 측면 돌기를 길이방향으로 형성한 하나 이상의 멀티크로스핀 이오나이저로 이루어진 1/2차측 대전부; 및 상기 1차측 대전부와 상기 2차측 대전부 사이에 위치하며, 접지된 평행한 금속판이 연속으로 설치되어 하전된 미세먼지를 포집하는 집진전극과 상기 집진전극의 금속판 사이에 상기 멀티크로스핀 이오나이저와 나란하게 설치되며 고전압 인가수단에 연결되는 전압판으로 이루어진 집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wo-way dust collecting cell constituting the two-way dust collect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urban rail main line ventilation type two-way dust collecting system is opened in the direction in which contaminated air flows, and both sides are closed to provide an installation space therein. Enclosure; It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cell case in the direction of circulation, is connected to a high voltage application means, and has a shape of a saw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to charge fine dust by corona discharge. A half secondary charging portion made of at least one multi-cross pin ionizer having a plurality of side protrusions forming a corona discharg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multi-cross pin ionizer between the primary-side charging part and the secondary-side charging part, and between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and the metal plate of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by continuously installing a grounded parallel metal plate to collect charged fine dust.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d a dust collecting unit made of a voltage plate that is installed in parallel with and connected to the high voltage application means.

또한, 본 발명 도시철도 본선환기구 노출형 양방향 집진 시스템의 상기 셀함체는 상면과 하면이 개방되고, 개방된 부위의 전단부위와 후단부위에는 오염된 공기가 상기 집진부 측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ell en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urban rail main line ventilation type bidirectional dust collecting system has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open, and a guide for guiding contaminated air so that contaminated air can be introduced into the dust collecting unit at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open area;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technical feature.

또한, 본 발명 도시철도 본선환기구 노출형 양방향 집진 시스템의 상기 1/2차측 세정부는 상기 공급펌프에서 공급된 공기를 공급받아 분사하는 에어 분사노즐이 다수 형성된 에어관; 상기 세척수 공급펌프에서 공급되는 세척수를 공급받아 분사하는 세척수 분사노즐이 다수 형성된 세척수관; 및 상기 에어관 및 세척수관을 상기 양방향 집진부를 따라 상하로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1/2 secondary side clean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urban rail main line ventilation system exposed two-way dust collecting system air pipe having a plurality of air injection nozzles for receiving and spraying the air supplied from the supply pump; A washing water pipe having a plurality of washing water spray nozzles for receiving and spraying the washing water supplied from the washing water supply pump; And a driving unit for moving the air pipe and the washing water pipe up and down along the bi-directional dust collecting unit.

또한, 본 발명 도시철도 본선환기구 노출형 양방향 집진 시스템의 상기 지하철 환풍구 설치구조물은 상기 지하철 환풍구의 길이방향의 일측에 개방면이 형성되고 타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며 출입이 이루어지는 내부공간을 갖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ubway vent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urban rail main line vent exposed two-way dust collecting system has an open surface formed on one side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bway vent, the height decreases toward the other side, and has an internal space through which entry and exit are made. It is a technical feature.

또한, 본 발명 도시철도 본선환기구 노출형 양방향 집진 시스템의 상기 지하철 환풍구 설치구조물은 상기 지하철 환풍구의 길이방향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개방면이 형성되고 중심부위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며 출입이 이루어지는 내부공간을 갖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ubway vent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urban rail main line vent exposed two-way dust collecting system has an inner space in which an open surface is form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bway vent, and the height decreases toward the center. It consists of a structure; it is characterized by a technical featur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의 해결 수단을 통해 본선환기구의 지하 시설 변경없이 지하철 본선터널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와 지상의 미세먼지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effectively remove fine dust and fine dust on the ground generated in a main subway tunnel without changing the underground facilities of the main train ventilation system through the means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또한, 본 발명은 열차에 의하여 변경되는 풍향에 관계없이 효과적으로 미세먼지를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effectively removing fine dust regardless of the wind direction changed by the train.

또한, 본 발명은 지하철 본선터널의 급기와 배기를 위한 본선환기구의 지상 말단에 설치되어 열차의 진입 및 통과 시 발생하는 풍압을 이용하여 본선의 미세먼지를 80% 이상 제거하여 승강장에 유입되는 미세먼지를 근본적으로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t the ground end of the main line ventilation device for supply and exhaust of the main subway tunnel, and removes more than 80% of the fine dust from the main line by using the wind pressure generated when the train enters and passes through the train. It has the effect of fundamentally blocking.

또한, 본 발명은 본선환기구의 지하 시설에 대한 변경이 요구되지 않음으로 상대적으로 낮은 설치비용과 유지비용으로 상대적으로 높은 미세먼지 집진효과를 발휘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exerting a relatively high fine dust collecting effect at a relatively low installation cost and maintenance cost since no change to the underground facility of the main ventilation system is required.

또한, 본 발명은 세정을 통해 집진된 미세먼지의 재비산을 방지하고 집진효율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re-scattering of fine dust collected through cleaning and maintaining a constant dust collection efficiency.

또한, 본 발명은 수평으로 노출된 지하철 환풍구 전체를 덮는 지하철 환풍구 설치구조물을 통해 노출된 지하철 환풍구로 인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preventing accidents caused by the subway vents exposed through the subway vents installation structure covering the entire subway vents exposed horizontally.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본 발명의 특징을 통해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를 통해 보다 분명하게 알 수 있고,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수단 및 조합에 의해 발휘될 수 있다.Other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nderstood through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re clearly known thr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an be exerted by means and combinations shown in the claims.

도 1은 종래 지하철 본선터널의 환기방식을 보인 도면,
도 2는 종래기술 적용에 따른 지하철 본선터널의 환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 도시철도 본선환기구 노출형 양방향 집진 시스템의 기술적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 도시철도 본선환기구 노출형 양방향 집진 시스템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 도시철도 본선환기구 노출형 양방향 집진 시스템에 따른 지하철 환기구 설치구조물의 실시 예를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 도시철도 본선환기구 노출형 양방향 집진 시스템에 따른 양방향 집진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 도시철도 본선환기구 노출형 양방향 집진 시스템에 따른 양방향 집진부의 집진셀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 도시철도 본선환기구 노출형 양방향 집진 시스템에 따른 양방향 집진부의 설치 예를 보인 도면,
도 9는 본 발명 도시철도 본선환기구 노출형 양방향 집진 시스템에 따른 1차측 세정부와 2차측 세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 도시철도 본선환기구 노출형 양방향 집진 시스템에 따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ventilation method of a conventional subway main line tunnel,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ventilation structure of the subway main line tunnel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the prior art;
Figure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urban rail main line ventilation exposed type two-way dust collection system,
4 is a view for conceptually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urban rail main line ventilation exposed type two-way dust collecting system,
5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subway ventilation port installa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rban rail main line ventilation exposed type two-way dust collection system,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two-way dust collect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rban rail main line ventilation exposed type two-way dust collection system,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dust collecting cell of a two-way dust collect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rban rail main line ventilation exposed type two-way dust collection system,
8 is a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example of a two-way dust collect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rban rail main line ventilation exposed type two-way dust collection system,
9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imary side cleaning unit and a secondary side clean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rban rail main line ventilation exposed type bidirectional dust collection system;
10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rban rail main line ventilation system exposed type two-way dust collecting system.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 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 는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described below refers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specific embodiments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These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detail sufficient to enable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but need not be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specific shap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relation to one embodiment. In addi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location or arrangement of individual components in each disclosed embodiment may be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detailed description to be described below is not intended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along with all the scopes equivalent to those claimed by the claims. In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over several aspects.

도 2 종래기술 적용에 따른 지하철 본선터널의 환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기술 출원번호 10-2015-0146080호 '발명의 명칭 도시철도 본선환기구 미세먼지 제거시스템'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미세먼지의 집진을 위한 집진 수단인 양방향전기집진기를 지하 시설인 본선환기구(2)에 설치하기 위한 집진실과 같은 집진공간(S)이 요구된다.2 As shown in (a) of the drawing for explaining the ventilation structure of the subway main line tunnel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the prior art, Patent Application No. 10-2015-0146080'Name of the invention Urban rail main line ventilation system fine dust removal system' In order to apply, a dust collection space (S), such as a dust collection room, is required to install a two-way electric dust collector, which is a dust collection means for collecting fine dust, in the main line ventilation mechanism 2 which is an underground facility.

그러나, 대부분의 본선환기구(2)는 상기 도 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하철 본선터널(3)과 환기 통로를 제공하는 구조로 강제송풍기(4)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 정도만 제공하는 본선환기구(2)와 연결되는 구조로 되어 있어 집진공간(S)을 확보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However, most of the main line ventilation mechanism 2 is a structure that provides a main line tunnel 3 and a ventilation passage, as shown in Fig. 2(b), and provides only a space for installing the forced blower 4 Since it has a structure connected to the main line ventilation mechanism 2, it is often difficult to secure a dust collection space (S).

따라서, 대부분의 지하철 역사 등에 상기 종래기술을 적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 도시철도 본선환기구 노출형 양방향 집진 시스템은 도 3 본 발명 도시철도 본선환기구 노출형 양방향 집진 시스템의 기술적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상(1)에 노출된 지하철 환풍구(5)의 상부 공간(S1)을 이용하여 상기 도 3의 (b) 및 (c)와 같은 형태의 지하철 환풍구 설치구조물(10)을 통해 집진을 위한 집진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종래기술의 지하 공간에 집진공간을 형성하기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는 기술적 특징을 갖는다.Therefore, there is a problem in which the prior art cannot be applied to most subway stations,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urban rail main line ventilation system exposed two-way dust collection system for solving this is the technic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urban rail main line ventilation system exposed type two-way dust collection system As shown in (a) of the drawing for explaining, using the upper space (S1) of the subway ventilator (5) exposed to the ground (1), the shape as in (b) and (c) of FIG. 3 By providing a dust collection space for dust collection through the subway vent installation structure 10, it has a technical feature to solve the problem of difficult to form a dust collection space in the underground space of the prior art.

따라서, 위와 같은 기술적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집진 시스템은 도 4 본 발명 도시철도 본선환기구 노출형 양방향 집진 시스템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의 유통을 위해 지상(1)과 지하철 본선터널(3)을 연결하는 환기용 구조물로써 지상과 연결되는 소정의 공간을 제공하는 본선환기구(2)와 상기 본선환기구(2)에 연결되어 지상에 설치되는 지하철 환풍구(5)에 설치되는 노출형 양방향 집진 시스템에 관한 발명으로, 지하철 환풍구 설치구조물(10), 자동댐퍼(15), 양방향 집진부(20), 1차측 세척부(30), 2차측 세척부(40), 세척수 회수부(50), 청수탱크(60), 세척수 공급펌프(70), 공기펌프(80) 및 제어부(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refore, the bidirectional dust collec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technical characteristics is as shown in the diagram for conceptually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urban rail main line ventilation exposed-type two-way dust collection system, the ground for air circulation As a ventilation structure connecting the main line tunnel (1) and the subway (3), the main line ventilation (2) providing a predetermined space connected to the ground, and the subway ventilation (5) connected to the main line ventilation (2) and installed on the ground Invention related to an exposed two-way dust collection system installed in the subway ventilator installation structure (10), an automatic damper (15), a two-way dust collection unit (20), a primary side washing unit (30), a secondary side washing unit (40), It includes a washing water recovery unit 50, a fresh water tank 60, a washing water supply pump 70, an air pump 80, and a control unit 90.

한편, 본 발명은 퇴수탱크(510). 퇴수 정화부(520) 및 청수공급부(530)를 더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a discharge tank (510). It further includes a wastewater purification unit 520 and a fresh water supply unit 530.

상기 지하철 환풍구 설치구조물(10)은 상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상(1)에 노출된 지하철 환풍구(5) 전체를 덮는 구조의 탑 형상의 구조물로 도 5 본 발명 도시철도 본선환기구 노출형 양방향 집진 시스템에 따른 지하철 환기구 설치구조물의 실시 예를 보인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으로 개방된 개방면(11)을 갖는 개방통로(12)를 갖는다. The subway ventilation opening installation structure 10 is a tower-shaped structure covering the entire subway ventilation opening 5 exposed to the ground 1 as shown in FIG. As shown in the drawing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subway ventilation opening installa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dust collection system, it has an open passage 12 having an open surface 11 vertically open.

이와 같은 지하철 환풍구 설치구조물(10)은 철골 구조물 또는 콘크리트 구조물이 될 수 있고, 지하철 환풍구(5)의 상부에 지하철 환풍구(5)와 연결되는 소정의 밀폐된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개방면(11)을 통해 공기가 유통된다. The subway vent installation structure 10 may be a steel structure or a concrete structure, and serves to provide a predetermined enclosed space connected to the subway vent 5 at the top of the subway vent 5, and Air flows through the side (11).

한편, 상기 지하철 환풍구 설치구조물(10)은 지하철 환풍구(5) 전체를 덮으면서 수직으로 개방된 개방면(11)을 형성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구조물이 될 수 있으나, 상기 도 3의 (b) 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하철 환풍구(5)의 길이방향의 일측에 개방면(11)이 형성되고 타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며 출입이 이루어지는 내부공간을 갖는 구조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도 3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하철 환풍구(5)의 길이방향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개방면(11)이 형성되고 중심부위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며 출입이 이루어지는 내부공간을 갖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subway vent installation structure 10 may be a structure of various types capable of forming a vertically open open surface 11 while covering the entire subway vent (5). 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5, an open surface 11 is formed on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bway ventilator 5, and the height decreases toward the other side, and has a structure having an internal space through which access is made, or As shown in (c) of, an open surface 11 is form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bway ventilation opening 5, respectively, and the height is lowered toward the center, and the structure has an internal space in which entry and exit are made. desirable.

한편, 각 개방면(11)에는 상기 도 2 및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자동댐퍼(15)가 설치된다.Meanwhile, an automatic damper 15 as shown in FIGS. 2 and 3 is installed on each of the open surfaces 11.

이와 같은 자동댐퍼(15)는 상기 개방통로(12)의 입구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90)의 제어신호에 따라 전기모터와 같은 전동수단에서 공급되는 힘에 의해 다수의 셧터를 동작시킴으로써 개방면(11)을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Such an automatic damper 15 is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the open passage 12, and operates a plurality of shutters by a force supplied from an electric motor such as an electric motor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90 It serves to open and close (11).

예를 들면, 상기 양방향 집진부(20)의 세척을 위해 상기 1차측 세척부(30) 내지 2차측 세척부(40)가 구동하는 경우 상기 자동댐퍼(15)는 자동으로 개방면(11)을 폐쇄한다.For example, when the primary-side cleaning unit 30 to the secondary-side cleaning unit 40 is driven to clean the bi-directional dust collecting unit 20, the automatic damper 15 automatically closes the open surface 11 do.

즉, 상기 자동댐퍼(15)가 열리면, 상기 지하철 환풍구 설치구조물(10)의 내부공간과 외부 사이에서 공기의 출입을 허용하고, 상기 자동댐퍼(15)가 닫히면 상기 개방면(11)이 폐쇄되어 지하철 환풍구 설치구조물(10)의 내부공간과 외부 사이에서 공기의 출입이 제한된다.That is, when the automatic damper 15 is opened, air is allowed to enter between the inner space and the outside of the subway ventilator installation structure 10, and when the automatic damper 15 is closed, the open surface 11 is closed. Access of air is restricted between the inner space and the outside of the subway ventilator installation structure 10.

상기 양방향 집진부(20)는 상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개방통로(12)의 개방면(11)과 나란하게 전체에 설치되며, 도 6 본 발명 도시철도 본선환기구 노출형 양방향 집진 시스템에 따른 양방향 집진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과 도 7 본 발명 도시철도 본선환기구 노출형 양방향 집진 시스템에 따른 양방향 집진부의 집진셀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상(1)에서 지하철 환풍구 설치구조물(1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하전시키는 1차측 대전부(210)와 지하철 환풍구 설치구조물(10) 내부에서 지상(1)으로 유출되는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하전시키는 2차측 대전부(220)를 갖고, 상기 1차측 대전부(210)와 2차측 대전부(220) 사이에 집진부(230)가 형성된 양방향 집진셀(200)을 상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으로 형성된 개방면(11)과 대응하는 평면으로 적층시켜 상기 개방면(11)을 가리는 벽을 형성한다.The two-way dust collecting unit 20 is installed on the whole side in parallel with the open surface 11 of the open passage 12 as shown in FIG. 5, and in FIG. 6, a two-way dust collec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drawings for explaining the dust collecting unit and the drawings for explaining the dust collecting cells of the two-way dust collect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rban rail main line ventilation system exposed type two-way dust collecting system, the subway vent installation structure 10 on the ground 1 The primary-side charging unit 210 that charges fine dust contained in the air flowing into the interior and the secondary-side charging unit that charges the fine dust contained in the air flowing out from the inside of the subway ventilator installation structure 10 to the ground 1 A two-way dust collecting cell 200 having 220 and having a dust collecting part 230 between the primary charging part 210 and the secondary charging part 220 is vertically formed as shown in FIG. 6. A wall covering the open surface 11 is formed by laminating in a plane corresponding to (11).

즉, 상기 양방향 집진부(20)는 상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하철 환풍구 설치구조물(10)의 공기 출입구인 개방면(11)의 전면에 설치되어 양방향 유도전압 집진벽을 형성함으로써 지상(1)에서 지하철 환풍구(5)로 유입되는 공기 및 지하철 환풍구(5)에서 지상(1)으로 유출되는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집진한다.That is, the bi-directional dust collecting unit 20 is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open surface 11, which is the air entrance of the subway ventilator installation structure 10, as shown in FIG. 6 to form a bi-directional induced voltage dust collecting wall. Fine dust contained in the air flowing into the subway vents 5 from 1) and the air flowing out of the subway vents 5 to the ground 1 is collected.

이와 같은 양방향 전집부(20)는 상기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은 양방향 집진셀(200)로 이루어진다.Such a bidirectional collecting unit 20 is made of a bidirectional dust collecting cell 200 as shown in FIG. 7.

상기 양방향 집진셀(200)은 상기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1차측 대전부(210)와 2차측 대전부(220)는 이오나이저에 10DCKV ~ 12DCKV를 공급하여 통과하는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전기를 띄도록 전하하고, 상기 집진부(230)는 접지된 집진판(231, 집진전극)과 5DCKV ~ 6DCKV를 공급받는 전압판(232)으로 이루어지고, 하전된 미세먼지는 상기 집진판(231)에 포집된다. As shown in FIG. 7, the bi-directional dust collecting cell 200 supplies 10DCKV to 12DCKV to the ionizer to provide fine dust contained in the air passing through the primary charging unit 210 and the secondary charging unit 220. The dust collecting unit 230 is composed of a grounded dust collecting plate 231 (a dust collecting electrode) and a voltage plate 232 receiving 5DCKV ~ 6DCKV, and the charged fine dust is the dust collecting plate ( 231).

즉, 하전된 미세먼지(+)는 집진판(231, -)과 전압판(232, +) 사이의 전기장 내에서 집진판(231) 방향으로 발생한 쿨롱력에 의해 힘을 받게 되고, 결국 집진판(231)으로 끌려가 집진판(231)의 표면에 부착됨으로써 포집된다.That is, the charged fine dust (+) receives force by the coulomb force generated in the direction of the dust collection plate 231 in the electric field between the dust collection plates 231,-and the voltage plates 232, +, and eventually, the dust collection plate 231 It is attracted to and is collected by being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plate 231.

이와 같은 1차측 대전부(210)와 2차측 대전부(220) 및 집진부(230)는 상기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은 셀함체(240)에 의해 조립되어 고정된다.The primary side charging unit 210, the secondary side charging unit 220, and the dust collecting unit 230 are assembled and fixed by the cell enclosure 240 as shown in FIG. 7.

즉,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집진부(20)를 이루는 양방향 집진셀(200)은 셀함체(240)에 상기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1차측 대전부(210), 2차측 대전부(220) 및 집진부(230)를 구성함으로써 양방향으로 집진이 이루어지는 양방향 집진셀(200)을 형성한다.That is, the two-way dust collecting cell 200 constituting the two-way dust collecting unit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imary charging unit 210, a secondary charging unit 220, and a cell enclosure 240 as shown in FIG. By configuring the dust collecting unit 230, a two-way dust collecting cell 200 that collects dust in both directions is formed.

이와 같은 셀함체(240)는 상기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면과 하면이 개방되고, 개방된 부위의 전단부위와 후단부위에는 오염된 공기가 상기 집진부(230) 측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가이드(241)를 더 포함한다.As shown in FIG. 7, the cell enclosure 240 has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open, and guides contaminated air so that contaminated air can be introduced into the dust collecting unit 230 at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open area. It further includes a guide 241.

한편, 상기 1차측 대전부(210)와 2차측 대전부(220)는 상기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전압 인가수단에 연결되어 코로나 방전으로 미세먼지를 하전시키기 위해 소정의 길이를 갖는 톱의 형상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고 양쪽 면에 코로나방전을 일으키는 다수의 측면 돌기를 길이방향으로 형성한 하나 이상의 멀티크로스핀 이오나이저(I)로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the primary-side charging unit 210 and the secondary-side charging unit 220 are connected to a high voltage application means as shown in FIG. 7 to charge the fine dust by corona discharge. It consists of one or more multi-cross pin ionizers (I) in which a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a shape and a plurality of side protrusions that cause corona discharge on both sides ar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위와 같은 양방향 집진부(20)는 도 8 본 발명 도시철도 본선환기구 노출형 양방향 집진 시스템에 따른 양방향 집진부의 설치 예를 보인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하철 환풍구(5)에 설치된 지하철 환풍구 설치구조물(10)이 상기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쪽에 개방면(11)이 형성되는 형태를 갖는 경우에는 양방향 집진부(20-1, 20-2) 역시 양쪽에 설치된다.As shown in the drawing showing the installation example of the two-way dust collect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wo-way dust collecting system exposed to the main line ventil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wo-way dust collecting unit 20 as described above is a subway ventilation opening installation structure 10 installed in the subway ventilation opening 5 ) Has a shape in which open surfaces 11 are formed on both sides as shown in FIG. 8, the two-way dust collecting units 20-1 and 20-2 are also installed on both sides.

상기 1차측 세척부(30)는 상기 1차측 대전부(210)의 전방에 설치되어 세척수와 공기를 상기 양방향 집진부(20)를 향하여 분사하고, 상기 2차측 세척부(40)는 상기 2차측 대전부(220)의 전방에 설치되어 세척수와 공기를 상기 양방향 집진부(20)를 향하여 분사한다.The primary-side washing unit 30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primary-side charging unit 210 to inject washing water and air toward the two-way dust collecting unit 20, and the secondary-side washing unit 40 is the secondary-side charging unit. It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unit 220 and sprays washing water and air toward the bidirectional dust collecting unit 20.

즉, 1차측 세척부(30)와 2차측 세척부(40)는 도 9 본 발명 도시철도 본선환기구 노출형 양방향 집진 시스템에 따른 1차측 세정부와 2차측 세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집진벽을 형성하는 양방향 집진부(20)에서 공기가 유입되는 양쪽 방향인 1차측 대전부(210)의 전방과 2차측 대전부(220)의 전방에 각각 위치하여 양방향 집진부(20)를 세척하는 역할을 한다.That is, the primary-side cleaning unit 30 and the secondary-side cleaning unit 40 are shown in the drawings for explaining the primary side cleaning unit and the secondary side clean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two-way dust collecting system exposed to the main line ventilation system As shown, the two-way dust collecting unit 20 is located in front of the primary charging unit 210 and in front of the secondary charging unit 220 in both directions in which air is introduced from the bidirectional dust collecting unit 20 forming the dust collecting wall to clean the bidirectional dust collecting unit 20 Plays a role.

이와 같이, 상기 1/2차측 세척부(30, 40)는 건조용 에어(air)를 분사하여 건조 및 건식 세정을 실시하는 에어 분사노즐이 다수 형성된 에어관(32)과 세척수 분사노즐이 다수 형성되어 습식 세정을 실시하는 세척수관(31)과 상기 에어관(32) 및 세척수관(31)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구동부(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this way, the first and second washing units 30 and 40 are formed with a plurality of air pipes 32 and a plurality of washing water injection nozzles formed with a plurality of air injection nozzles for drying and dry cleaning by spraying drying air. It comprises a washing water pipe 31 for performing wet cleaning and a driving unit 33 for moving the air pipe 32 and the washing water pipe 31 up and down.

즉, 상기 구동부(33)는 수직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 좌/우측 레일 각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회전축과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회전축을 체인으로 연결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at is, the driving unit 33 may be formed by connecting an upper rotation shaft formed on each of the left and right rails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lower rotation shaft formed on the lower side by a chain.

상기 세척수 회수부(50)는 상기 도 4 내지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방향 집진부(20)의 수직 하부에 위치하여 세척수를 이용한 습식 세정시에 사용된 세척수를 회수하여 퇴수한다.As shown in FIGS. 4 to 6, the washing water recovery unit 50 is located vertically below the bi-directional dust collection unit 20 to recover and discharge the washing water used in wet washing using the washing water.

즉, 상기 세척수 회수부(50)는 1차측 대전부(210)와 2차측 대전부(220) 및 이들 사이에 위치하는 집진부(230)의 하부에 형성되어 집진부(230)에 포집된 먼지 등을 함께 낙수되는 세척수를 회수한다.That is, the washing water recovery unit 50 is formed under the primary charging unit 210 and the secondary charging unit 220 and the dust collecting unit 230 positioned therebetween to collect dust collected by the dust collecting unit 230, etc. The washing water that falls together is recovered.

상기 청수탱크(60)는 도 10 본 발명 도시철도 본선환기구 노출형 양방향 집진 시스템에 따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1차측 세척부(30) 및 2차측 세척부(40)에 공급되는 세척수를 저장하여 보관한다.The fresh water tank 60 is as shown in Figure 10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rban rail main line ventilation exposure type bidirectional dust collection system, the primary side washing unit 30 and the secondary side washing unit 40 Store and store the washing water supplied to it.

상기 세척수 공급펌프(70)는 상기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청수탱크(60)에 저장된 세척수를 상기 1차측 세척부(30) 및 2차측 세척부(40)에 세척수를 공급한다.The washing water supply pump 70 supplies washing water stored in the fresh water tank 60 to the primary washing unit 30 and the secondary washing unit 40 as shown in FIG. 10.

상기 공기펌프(80)는 상기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1차측 세척부(30) 및 2차측 세척부(40)에 공기를 공급한다.The air pump 80 supplies air to the primary-side washing unit 30 and the secondary-side washing unit 40 as shown in FIG. 10.

즉, 상기 세척수 공급펌프(70)는 상기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척수관(31)과 세척수공급관으로 연결되어 고압의 세척수를 공급하고, 상기 공기펌프(80)는 상기 에어관(32)과 에어공급관으로 연결되어 고압의 에어를 공급한다.That is, the washing water supply pump 70 is connected to the washing water pipe 31 and the washing water supply pipe as shown in FIG. 9 to supply high pressure washing water, and the air pump 80 is connected to the air pipe 32 It is connected to the air supply pipe to supply high pressure air.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도 4 및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방향 집진부(20), 자동댐퍼(15), 1차측 세척부(30), 2차측 세척부(40), 세척수 공급펌프(70) 및 공기펌프(80)의 구동을 제어한다.As shown in Figs. 4 and 10, the control unit 90 includes a two-way dust collecting unit 20, an automatic damper 15, a primary side washing unit 30, a secondary side washing unit 40, and a washing water supply pump 70. ) And control the drive of the air pump 80.

즉, 제어부(90)는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집진 시스템의 구동을 위하여 각 동작에 따른 제어를 실시한다.That is, the controller 90 performs control according to each operation to drive the bidirectional dust coll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예를 들어, 집진시에는 상기 양방향 집진부(20)에 고전압을 공급하는 제어를 하고, 양방향 집진부(20)의 세척시에는 전원 공급을 차단하고, 상기 자동댐퍼(15)를 폐쇄하고, 상기 1차측 세척부(30), 2차측 세척부(40), 세척수 공급펌프(70) 및 공기펌프(80)의 구동을 제어한다.For example, when collecting dust, a high voltage is supplied to the bidirectional dust collecting unit 20, and when washing the bidirectional dust collecting unit 20, the power supply is cut off, the automatic damper 15 is closed, and the primary side It controls the driving of the washing unit 30, the secondary washing unit 40, the washing water supply pump 70, and the air pump 80.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집진 시스템은 상기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척수의 재활용을 위하여 퇴수탱크(510). 퇴수 정화부(520) 및 청수공급부(530)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two-way dust collec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0, a discharge tank 510 for recycling of washing water. It further includes a wastewater purification unit 520 and a fresh water supply unit 530.

상기 퇴수탱크(510)는 상기 세척수 회수부(50)를 통해 회수된 세척수를 저장하고, 상기 퇴수 정화부(520)는 다수의 필터로 이루어져 상기 퇴수탱크(510)에 저장된 퇴수를 정화한다.The discharge tank 510 stores the washing water recovered through the washing water recovery unit 50, and the discharge purification unit 520 includes a plurality of filters to purify the discharge water stored in the discharge tank 510.

그리고, 상기 청수공급부(530)는 상기 퇴수 정화부(520)를 통해 정화된 청수를 상기 청수탱크(60)에 공급한다.In addition, the fresh water supply unit 530 supplies the fresh water purified through the wastewater purification unit 520 to the fresh water tank 60.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 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형이나 변경 실시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ased on a preferred embodiment, bu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odifications or changes can be implemented within the scope described in the claims. It is obvious to the user, and such modifications or changes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 : 지상
2 : 본선환기구
3 : 지하철 본선터널
4 : 강제송풍기
5 : 지하철 환풍구
10 : 지하철 환풍구 설치구조물
15 : 자동댐퍼
11 : 개방면
12 : 개방통로
20 : 양방향 집진부
30 : 1차측 세척부
31 : 세척수관
32 : 에어관
33 : 구동부
40 : 2차측 세척부
50 : 세척수 회수부
60 : 청수탱크
70 : 세척수 공급펌프
80 : 공기펌프
90 : 제어부
200 : 집진셀
210 : 1차측 대전부
220 : 2차측 대전부
230 : 집진부
231 : 집진판
232 : 전압판
240 : 셀함체
241 : 가이드
510 : 퇴수탱크
520 : 퇴수 정화부
530 : 청수공급부
1: ground
2: Main line ventilation
3: Subway Main Line Tunnel
4: Forced blower
5: subway vents
10: subway vent installation structure
15: Automatic damper
11: open side
12: open passage
20: two-way dust collecting unit
30: primary side washing part
31: washing water pipe
32: air pipe
33: drive unit
40: secondary side washing part
50: washing water recovery unit
60: fresh water tank
70: washing water supply pump
80: air pump
90: control unit
200: dust collecting cell
210: primary charging unit
220: secondary charging unit
230: dust collecting unit
231: dust collecting plate
232: voltage plate
240: cell enclosure
241: guide
510: discharge tank
520: wastewater purification unit
530: fresh water supply unit

Claims (7)

공기의 유통을 위해 지상과 지하철 본선터널을 연결하는 환기용 구조물로써 지상과 연결되는 소정의 공간을 제공하는 본선환기구와 상기 본선환기구에 연결되어 지상에 설치되는 지하철 환풍구와 상기 본선환기구에 설치되는 강제송풍기를 포함하는 도시철도 본선환기구의 상기 지하철 환풍구에 설치되는 노출형 양방향 집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지상에 노출된 지하철 환풍구 전체를 덮는 구조의 탑 형상의 구조물로 수직으로 개방된 개방면을 갖는 개방통로를 포함하는 지하철 환풍구 설치구조물;
상기 개방통로의 입구에 설치되어 개방면을 개폐하는 자동댐퍼;
상기 개방통로의 개방면과 나란하게 전체에 걸쳐 설치되며, 지상에서 지하철 환풍구 설치구조물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하전시키는 1차측 대전부와 지하철 환풍구 설치구조물 내부에서 지상으로 유출되는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하전시키는 2차측 대전부를 갖고, 상기 1차측 대전부와 2차측 대전부 사이에 집진부가 형성된 양방향 집진셀을 평면으로 적층시켜 상기 개방면을 가리는 벽을 형성하는 양방향 집진부;
상기 1차측 대전부의 전방에 설치되어 세척수와 공기를 상기 양방향 집진부를 향하여 분사하는 1차측 세척부;
상기 2차측 대전부의 전방에 설치되어 세척수와 공기를 상기 양방향 집진부를 향하여 분사하는 2차측 세척부;
상기 양방향 집진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세척수를 회수하는 세척수 회수부;
상기 1차측 세척부 및 2차측 세척부에 공급되는 세척수를 저장하는 청수탱크;
상기 청수탱크에 저장된 세척수를 상기 1차측 세척부 및 2차측 세척부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 공급펌프;
상기 1차측 세척부 및 2차측 세척부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펌프; 및
상기 양방향 집진부, 자동댐퍼, 1차측 세척부, 2차측 세척부, 세척수 공급펌프 및 공기펌프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철도 본선환기구 노출형 양방향 집진 시스템.
A ventilation structure that connects the ground and the main subway tunnel for the circulation of air, and a mains ventilation system that provides a predetermined space connected to the ground, and a subway ventilation system that is connected to the main line ventilation and is installed on the ground, In the exposed two-way dust collecting system installed in the subway vent of the main line ventilation of the urban railway including a blower,
A subway vent installation structure including an open passageway having an open surface vertically opened as a tower-shaped structure covering the entire subway ventilator exposed to the ground;
An automatic damper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the open passage to open and close the open surface;
It is installed across the entire surface in parallel with the open surface of the open passage, and the primary charging part that charges fine dust contained in the air flowing into the subway vent installation structure from the ground and the air flowing out from the inside of the subway vent installation structure to the ground A two-way dust collecting unit having a secondary-side charging unit for charging the fine dust contained in the two-way dust collecting unit to form a wall covering the open surface by stacking two-way dust collecting cells in which a dust collecting unit is formed between the primary charging unit and the secondary charging unit in a plane;
A primary-side washing unit installed in front of the primary-side charging unit to inject washing water and air toward the two-way dust collecting unit;
A secondary-side washing unit installed in front of the secondary-side charging unit to inject washing water and air toward the two-way dust collecting unit;
A washing water recovery unit installed below the bidirectional dust collecting unit to recover washing water;
A fresh water tank for storing washing water supplied to the primary and secondary washing units;
A washing water supply pump for supplying washing water stored in the fresh water tank to the primary and secondary washing units;
An air pump for supplying air to the primary and secondary washing units; And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two-way dust collecting unit, the automatic damper, the primary washing unit, the secondary washing unit, the washing water supply pump, and the air pum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 회수부를 통해 회수된 세척수를 저장하는 퇴수탱크;
상기 퇴수탱크에 저장된 퇴수를 정화하는 퇴수 정화부; 및
상기 퇴수 정화부를 통화 정화된 청수를 상기 청수탱크에 공급하는 청수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철도 본선환기구 노출형 양방향 집진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A discharge tank for storing the washing water recovered through the washing water recovery unit;
A wastewater purification unit that purifies wastewater stored in the wastewater tank; And
And a fresh water supply unit for supplying the fresh water purified by currency purification to the fresh water tan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집진부를 구성하는 상기 양방향 집진셀은
오염된 공기가 유통되는 방향으로 개방이 되고, 양쪽 측면이 폐쇄되어 내부에 설치공간을 제공하는 셀함체;
상기 셀함체의 유통되는 방향의 양측에 설치되며, 고전압 인가수단에 연결되어 코로나 방전으로 미세먼지를 하전시키기 위해 소정의 길이를 갖는 톱의 형상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고 양쪽 면에 코로나방전을 일으키는 다수의 측면 돌기를 길이방향으로 형성한 하나 이상의 멀티크로스핀 이오나이저로 이루어진 1/2차측 대전부; 및
상기 1차측 대전부와 상기 2차측 대전부 사이에 위치하며, 접지된 평행한 금속판이 연속으로 설치되어 하전된 미세먼지를 포집하는 집진전극과 상기 집진전극의 금속판 사이에 상기 멀티크로스핀 이오나이저와 나란하게 설치되며 고전압 인가수단에 연결되는 전압판으로 이루어진 집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철도 본선환기구 노출형 양방향 집진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bidirectional dust collecting cell constituting the bidirectional dust collecting unit
A cell enclosure that is opened in a direction in which contaminated air flows, and both sides are closed to provide an installation space therein;
It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cell case in the direction of circulation, is connected to a high voltage application means, and has a shape of a saw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to charge fine dust by corona discharge. A half secondary charging portion made of at least one multi-cross pin ionizer having a plurality of side protrusions forming a corona discharg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multi-cross pin ionizer is positioned between the primary-side charging unit and the secondary-side charging unit, and between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and the metal plate of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by continuously installing a grounded parallel metal plate to collect charged fine dust. A dust collecting unit comprising a voltage plate installed side by side and connected to a high voltage application mean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셀함체는
상면과 하면이 개방되고, 개방된 부위의 전단부위와 후단부위에는 오염된 공기가 상기 집진부 측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철도 본선환기구 노출형 양방향 집진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cell enclosure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re opened, and guides for guiding contaminated air to flow into the dust collecting unit at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open are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2차측 세정부는
상기 공급펌프에서 공급된 공기를 공급받아 분사하는 에어 분사노즐이 다수 형성된 에어관;
상기 세척수 공급펌프에서 공급되는 세척수를 공급받아 분사하는 세척수 분사노즐이 다수 형성된 세척수관; 및
상기 에어관 및 세척수관을 상기 양방향 집진부를 따라 상하로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철도 본선환기구 노출형 양방향 집진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1/2 primary cleaning unit
An air pipe having a plurality of air injection nozzles for receiving and spraying the air supplied from the supply pump;
A washing water pipe having a plurality of washing water spray nozzles for receiving and spraying the washing water supplied from the washing water supply pump; And
And a driving unit for moving the air pipe and the washing water pipe up and down along the bi-directional dust collecting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하철 환풍구 설치구조물은
상기 지하철 환풍구의 길이방향의 일측에 개방면이 형성되고 타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며 출입이 이루어지는 내부공간을 갖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철도 본선환기구 노출형 양방향 집진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ubway vent installation structure
An open surface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bway vent, the height is lowered toward the other side, and the structure has an internal space in which access is ma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하철 환풍구 설치구조물은
상기 지하철 환풍구의 길이방향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개방면이 형성되고 중심부위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며 출입이 이루어지는 내부공간을 갖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철도 본선환기구 노출형 양방향 집진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ubway vent installation structure
A structure having an inner space in which an open surface is form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bway ventilator, the height decreases toward the center, and access is made; and an exposed two-way dust collecting system for urban railroad main line, characterized in that.
KR1020190091092A 2019-07-26 2019-07-26 Urban Railway Main Line Ventilation Exposed Bidirectional Dust Collection System KR10225957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1092A KR102259575B1 (en) 2019-07-26 2019-07-26 Urban Railway Main Line Ventilation Exposed Bidirectional Dust Collec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1092A KR102259575B1 (en) 2019-07-26 2019-07-26 Urban Railway Main Line Ventilation Exposed Bidirectional Dust Collection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3491A true KR20210013491A (en) 2021-02-04
KR102259575B1 KR102259575B1 (en) 2021-06-03

Family

ID=74558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1092A KR102259575B1 (en) 2019-07-26 2019-07-26 Urban Railway Main Line Ventilation Exposed Bidirectional Dust Collection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9575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0498A (en) * 1999-09-17 2001-04-03 Kantou Regional Constr Bureau Ministry Of Constr Ventilation system, method and equipment for road tunnel
KR101679403B1 (en) * 2015-10-20 2016-11-25 주식회사 리트코 Particulate Matter removal system of subway vent
KR101867373B1 (en) * 2015-06-25 2018-06-15 한국기계연구원 Collecting Electrode Washing Equipment And Wet Electrostatic Precipitator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0498A (en) * 1999-09-17 2001-04-03 Kantou Regional Constr Bureau Ministry Of Constr Ventilation system, method and equipment for road tunnel
KR101867373B1 (en) * 2015-06-25 2018-06-15 한국기계연구원 Collecting Electrode Washing Equipment And Wet Electrostatic Precipitator Using The Same
KR101679403B1 (en) * 2015-10-20 2016-11-25 주식회사 리트코 Particulate Matter removal system of subway v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9575B1 (en) 2021-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9403B1 (en) Particulate Matter removal system of subway vent
KR100797057B1 (en) Dust removal system for subway tunnel using mist and air curtain
KR101835788B1 (en) Air purification trains for ultra dust removal.
KR102447230B1 (en) High-speed two-way air-purifying non-powered train with diverting jet fans
KR101965067B1 (en) Tunnel exit-standing tunnel dust collecting apparatus to control dust concentration.
CN201565228U (en) Atmospheric pollution purification system
KR101322886B1 (en) Set-type high-efficiency electrostatic precipitation system for air-purifying underground facilities
KR102221335B1 (en) Inertial Filter for Outdoor Air Purification of Subway Station
KR101046939B1 (en) Subway air filter
KR100913117B1 (en) Roof type high speed tunnel air cleaning system
KR102218726B1 (en) Building ventilation type dust collection air purification system with fine dust removal function
KR102259575B1 (en) Urban Railway Main Line Ventilation Exposed Bidirectional Dust Collection System
KR102276445B1 (en) Road separator system with fine dust removal and road management function
KR102208241B1 (en) High-efficiency bagfilter system for reducing fine dust in underground tunnel space
CN104093491A (en) Design method of fine dust filtering system for large underground electric facility using induced voltage electrostatic precipitating apparatus
KR101972219B1 (en) Air purifier for ventilation
KR20210028298A (en) Design method of unidirectional or two-way subway ventilation installation type electrostatic precipitating system that can be installed in a narrow underground space by removing noise means
KR102229507B1 (en) Pollutant removal and entry blocking system in underground parking lot
KR102447225B1 (en) High-speed two-way air-purifying non-powered train with diverting jet fans
KR102599462B1 (en) High-speed two-way air purification electric train that recycles driving train
CN205477717U (en) Tunnel dust collector
KR102070574B1 (en) Bus stop with fine dust reduction function
CN111648810A (en) Wind tower type air purification system for urban tunnel
KR102599472B1 (en) High-speed two-way air purification electric train that recycles passenger train
KR102518318B1 (en) High-speed two-way air purification electric train that recycles four electric trai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