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3023A - 교체 셰이빙 카트리지의 음성 인식 주문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교체 셰이빙 카트리지의 음성 인식 주문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3023A
KR20210013023A KR1020207030521A KR20207030521A KR20210013023A KR 20210013023 A KR20210013023 A KR 20210013023A KR 1020207030521 A KR1020207030521 A KR 1020207030521A KR 20207030521 A KR20207030521 A KR 20207030521A KR 20210013023 A KR20210013023 A KR 202100130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ving
command
query
internet
cart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0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마스 브헤뜨
Original Assignee
빅-비올렉스 에스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빅-비올렉스 에스아 filed Critical 빅-비올렉스 에스아
Publication of KR202100130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30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40Details or accessories
    • B26B21/405Electric features; Charging; Compu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40Details or accessories
    • B26B21/405Electric features; Charging; Computing devices
    • B26B21/4056Sensors or control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40Details or accessories
    • B26B21/4081Shaving methods; Usage or wear indication; Testing methods
    • B26B21/4087Usage or wear ind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3Querying
    • G06F16/9035Filtering based on additional data, e.g. user or group profi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08Speech classification or search
    • G10L15/18Speech classification or search using natural language modelling
    • G10L15/183Speech classification or search using natural language modelling using context dependencies, e.g. language model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8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ssociated with devices performing functions other than acoustics, e.g. electric cand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Dry Shavers And Clipper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독립형 사물 인터넷(IoT) 장치로서 기능하도록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기능을 갖는 "스마트" 면도기와 연관된 마이크/스피커를 통해 입력된 교체 셰이빙 카트리지(들)의 구매 또는 이에 관한 정보에 대한 음성 인식 명령 또는 질의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명령 또는 질의는 인터넷에 연결된 인터넷 게이트웨이를 통해 인터넷에 연결된 벤더 플랫폼으로 전송된다. 교체 셰이빙 카트리지(들)의 구매 또는 이에 관한 정보에 대한 명령 또는 질의에 따른 벤더 플랫폼으로부터의 응답 전송은 제어 유닛에 의해 처리된다. 마이크/스피커는 벤더 플랫폼으로부터의 응답 전송에 대응하는 자연어 음성 출력을 출력한다.

Description

교체 셰이빙 카트리지의 음성 인식 주문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관련 출원의 교차 참조
본 출원은, 35 U.S.C. §119(e)에 근거하여, 미국 특허 가출원 제62/674,105호(출원일: 2018년 5월 21일, 발명의 명칭: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VOICE-ACTIVATED ORDERING OF REPLACEMENT SHAVING CARTRIDGE")의 이익을 주장하며, 이는 본 명세서에 참조에 의해 원용된다.
기술분야
본 개시내용은 하나 이상의 블레이드를 갖는 교체식 카트리지를 구비한 셰이빙 면도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내용은 셰이빙 면도기를 통해 교체 셰이빙 카트리지(replacement shaving cartridge)(들)의 음성 인식 주문(voice-activated ordering)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셰이빙 면도기의 사용자는 카트리지의 블레이드가 무뎌지면 셰이빙 카트리지 또는 셰이빙 면도기 블레이드를 교체하는 문제에 직면한다. 셰이빙 카트리지를 교체하기 위해, 사용자는 예를 들어 상점에서 물리적으로 쇼핑하거나, 벤더에 전화를 걸거나, 또는 모바일 장치(예를 들어, 휴대폰 또는 태블릿) 또는 컴퓨터를 사용하여 교체 카트리지를 온라인으로 주문할 수 있는 데, 이러한 모든 행위는 통상적으로 사용자가 셰이빙을 마치고 욕실을 떠날 때까지 기다린 후에, 셰이빙 카트리지를 교체하기 위해 기억하고 교체 주문을 위해 특정 유형의 면도기에 관한 정보를 기억할 것을 사용자에게 요구한다. 전화를 걸거나 또는 온라인으로 주문을 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또한 전화기, 모바일 장치 및/또는 컴퓨터에 물리적으로 액세스해야 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셰이빙을 마치는 경우, 사용자는 셰이빙 카트리지를 교체할 필요성에 대해 꽤 자주 잊기가 쉽다. 그러므로, (i) 사용자가 셰이빙 중에 욕실을 떠나지 않고, 그리고/또는 (ii) 추가적인 통신 장치에, 예를 들어 전화기, 모바일 장치 및/또는 컴퓨터에, 물리적으로 액세스할 필요없이 교체 카트리지를 주문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개시내용은 셰이빙 면도기를 통해 교체 셰이빙 카트리지(들)의 음성 인식 주문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내용은 셰이빙 면도기와 연관된 마이크를 통해 교체 셰이빙 카트리지(들)의 음성 인식 주문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또한 제공한다.
본 개시내용은 교체 셰이빙 카트리지(들)의 주문을 원하는 특정 사용자에게 적합한 특정 유형의 셰이빙 카트리지에 관한 음성 인식 질의를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더 제공하며, 이러한 음성 인식 질의는 셰이빙 면도기와 연관된 마이크를 통해 구현된다.
본 개시내용은 독립형 사물 인터넷(IoT) 장치로서 기능하도록 마이크(및/또는 스피커) 및 하드웨어/소프트웨어 기능을 갖는 "스마트" 면도기를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더 제공한다.
본 개시내용은 "스마트" 면도기가, 외부 "스마트" 장치에 물리적으로 액세스 및/또는 의존할 필요없이, 교체 셰이빙 카트리지(들)를 주문하기 위해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구현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더 제공한다.
본 개시내용은 "스마트" 면도기가, 사용자의 음성 질의/명령에 따라, 특정 사용자의 신체적 특성 및 셰이빙 습관에 적합한 유형의 셰이빙 카트리지에 대한 도움을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더 제공한다.
본 개시내용은 "스마트" 면도기 및/또는 연결된 장치가 특정 사용자의 신체적 특성(예를 들어, 모발 및 피부 특성), 과거의 셰이빙 카트리지 정보, 및/또는 셰이빙 습관에 액세스 및/또는 이를 누적 수집, 저장, 및/또는 분석하여 특정 사용자의 신체적 특성, 과거의 셰이빙 카트리지 정보 및 셰이빙 습관에 적합한 유형의 셰이빙 카트리지와 관련하여 특정 사용자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더 제공한다.
도 1은 셰이빙 카트리지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셰이빙 카트리지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 라인에 셰이빙 카트리지의 단면도이다.
도 4는 핸들 및 셰이빙 카트리지를 갖는 면도기의 사시도이다.
도 5는 핸들 및 셰이빙 카트리지를 갖는 면도기의 다른 사시도이다.
도 6a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외부 통신 인프라 및 면도기의 다양한 전기/전자 구성요소뿐만 아니라, 면도기와 외부 통신 인프라 간의 통신 경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b는 본 개시내용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면도기의 다양한 전기/전자 구성요소뿐만 아니라, 면도기, 외부 장치, 및 외부 통신 인프라 간의 통신 경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7은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방법의 로직 플로우차트이다.
도 8은 다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방법의 로직 플로우차트이다.
도 9는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방법의 로직 플로우차트이다.
도 10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이다.
도 11은 본 명세서에서 하나 이상의 로직 흐름을 구현하기 위한 통신 장치의 일 실시형태이다.
도 12는 본 개시내용의 시스템의 일 실시형태이다.
둘 이상의 도면에 공통되는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부호로 표시된다.
도면, 특히 도 1을 참조하면, 셰이빙 카트리지가 도시되고 일반적으로 참조 부호 (100)으로 표시되어 있다. 셰이빙 카트리지(100)는 셰이빙 카트리지(100)에 블레이드(117)를 고정하기 위한 리테이너(200)를 포함한다. 셰이빙 카트리지(100)는 또한 전방 에지(101), 후방 에지(103), 한 쌍의 측면 에지(105, 107), 상면(109), 및 하면(111)을 갖는 하우징을 구비한다. 한 쌍의 측면 에지(105, 107)는 하우징의 전방 에지(101)와 하우징의 후방 에지(103) 사이에서 연장된다. 셰이빙 카트리지(100)는 하우징의 전방 에지(101)에 인접한 가드 바(113) 및 하우징의 후방 에지(103)에 인접한 캡(115)을 포함한다. 윤활 스트립(116)은 캡(115)의 표면에 제공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블레이드(117)는 가드 바(113)와 캡(115) 사이에 위치되고, 하나 이상의 유지 요소(들)를 사용하여, 예를 들어 하우징에 위치된 한 쌍의 리테이너(200)를 사용하여, 하우징에서 제자리에 유지된다. 도 1에 도시된 셰이빙 카트리지(100)는 한 쌍의 리테이너(200)를 사용하여 하우징에서 제자리에 유지되는 5개의 블레이드(117)를 포함하고, 임의의 개수의 블레이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임의의 개수 및/또는 유형의 유지 요소(들)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유지 클립은, 블레이드(들)를 제자리에 유지하기 위하여 적절한 위치(들)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윤활 스트립(116)이 캡(115)에 제공되는 것으로 이러한 예에 도시되어 있지만, 윤활 스트립은 카트리지의 임의의 다른 영역에, 예를 들어 가드 바(113) 및/또는 리테이너(들)(200)에, 제공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리테이너(200)는 이격되어 하우징의 대향 측면에 위치된다. 리테이너(200)는 하우징의 측면 에지(105 및 107)를 따라 연장되고 하우징에서 블레이드(117)의 위치를 유지하기 위해 하우징의 상면(109) 위로 그리고 하나 이상의 블레이드(117) 위로 연장되는 상부(201)를 포함한다. 리테이너(200)는 블레이드(117)를 제자리에 유지하고 물 및 비누 거품과 같은 셰이빙 조건을 견디는 임의의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리테이너(200)는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테이너(200)는 블레이드(117)와 물리적으로 접촉하여, 리테이너(200) 및 블레이드 중 하나 이상은 전기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리테이너(200)는 예를 들어 약 8.5 mm의 측면 에지(105 및 107) 상의 길이(L)를 따라 연장된다. 그러나, 리테이너(200)는 측면 에지(105 및 107)의 더 짧거나 더 긴 부분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한 쌍의 리테이너(200)는 각각 측면 에지(105 및 107)의 전체 길이, 더 짧은 부분 또는 더 긴 부분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연장은 예를 들어 가드 바, 캡 요소, 또는 트리머 조립체를 제자리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임의의 개수의 리테이너(200)가 셰이빙 카트리지(100)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일 리테이너(200) 또는 4개의 리테이너(200)는 하우징에서 블레이드(117)의 위치를 유지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핸들(199) 및 카트리지(100)를 갖는 예시적인 면도기(1)를 도시하고 있다. 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윤활제, 화장품 및/또는 다른 재료를 선택적으로 생성하도록 설계된 "스마트" 폴리머(1150)가 카트리지에 제공될 수 있다. "스마트" 폴리머는 적어도 하나의 환경 자극에 노출될 때 특정 방식으로 반응하도록 설계된 인공 재료이다. 환경 자극은 온도, pH, 습도/수분, 산화 환원, 무게, 전기 자극, 화학적 자극, 빛(파장 및/또는 강도), 전기/자기장, 및/또는 전기화학적 자극을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 폴리머(1150)의 위치는 실질적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캡(115)의 표면에 대응한다. 또한, 다양한 구성요소(전기 및/또는 전자 구성요소를 포함) 및 회로는,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양태를 구현하기 위해 면도기 내에 또는 그 상에 제공될 수 있다.
도 6a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i) 카트리지(100), 핸들(199) 및 스마트 폴리머 스트립(1150)을 갖는 면도기(1)(도 6a의 좌측에 도시됨)의 전기 및/또는 전자 구성요소, (ii) 외부 통신 인프라(6200)(도 6a의 우측에 도시됨)의 전자 구성요소, 및 (iii) 면도기(1)와 외부 통신 인프라(6200) 간의 다양한 연결 및 통신 경로의 다양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6a에 도시된 면도기(1)는 전기적으로 그리고/또는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다음의 예시적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블레이드 마모 센서(6001); 블레이드 마모 센서(6001)에 더해 추가로 제공될 수 있는 이미지 센서(6002); 양방향 마이크/스피커(6115); 비주얼(예를 들어, 조명), 헵틱 및/또는 사운드 알림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알림 유닛(6003a); 제어기, 처리 유닛 및/또는 메모리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제어 유닛(6004); 국부 전원(6005)(예를 들어, 배터리); 외부 전력 연결 및/또는 외부 데이터 연결용 인터페이스로 구성될 수 있는 인터페이스 유닛(6006a); 무선 통신용 트랜시버 유닛(6007a); 및 안테나(1518a). 대안적인 실시형태에서, 마이크 및 스피커는 별도로 제공될 수 있다. 유닛(6006a 및 6007a)과 관련해서 사용될 수 있는 일부 통신 기술은 셀룰러, 위성, WiFi, 블루투스, 저전력 광역 네트워크(LPWAN), 또는 이더넷을 통한 인터넷으로의 직접 연결을 포함한다. 이용될 수 있는 일부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은 예를 들어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HTTP), 메시지 대기열 텔레메트리 전송(MQTT), 및 제한된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CoAP)를 포함하며, 이러한 예는 한정되지 않는다.
블레이드 마모 센서(6001)는 블레이드(들)(117)의 블레이드 마모 수준에 관한 측정 파라미터를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블레이드 마모 센서(6001)는 예를 들어 전기적 감지 기술, 광학적 감지 기술, 및/또는 전기화학적 감지 기술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블레이드 마모 수준을 나타내는 블레이드(들)(117)의 물리적 및/또는 전기화학적 특성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레이드 마모 수준은 블레이드(들)(117) 중 하나 이상에 도포된 코팅의 고갈 수준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고갈 수준은 결국 하나 이상의 블레이드(들)(117)의 전기적 특성 및/또는 전기화학적 특성에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예는 제한적인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추가로 또는 대안적으로, 이미지 센서(6002)로부터 출력된 측정 파라미터(예를 들어, 블레이드 마모를 나타내는 광학적 또는 시각적 파라미터)는 블레이드(들)(117)의 블레이드 마모 수준을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블레이드 마모 센서(6001) 및/또는 이미지 센서(6002)로부터의 출력 정보는 블레이드 마모 수준을 결정하기 위해 기준 임계 파라미터 수준과 비교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제어 유닛(6004)은 블레이드 마모 센서(6001) 및/또는 이미지 센서(6002)로부터 출력된 정보를 수신 및 처리하여 블레이드(117)의 마모 수준에 관한, 예를 들어 블레이드(117)가 카트리지(100)의 교체를 요구할 만큼 충분히 마모되었는지에 관한, 표시(예를 들어, 알림 유닛(6003a)을 통해)를 출력한다. 알림 유닛(6003a)은 (i) 조명 표시(예를 들어, 상이한 채색 LED 조명을 사용), (ii) 청각 표시(예를 들어, 상이한 사운드 수준 및/또는 패턴을 사용), 및/또는 (iii) 헵틱 표시(예를 들어, 상이한 헵틱 강도 및/또는 패턴을 사용)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블레이드(117)의 마모 수준의 표시(블레이드(117)를 포함하는 카트리지를 교체하라는 표시를 포함)를 제공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사용자는 블레이드(117)가 카트리지(100)의 교체를 요구할 만큼 충분히 마모되었는지를 수동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제어 유닛(6004)은 또한 (i) 양방향 마이크/스피커(6115)로부터 출력된 정보를 수신 및 처리하고, 그리고/또는 (ii) 양방향 마이크/스피커(6115)를 제어하여 오디오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스피커(6115)를 통한 사용자의 자연어 음성 입력 명령은 예를 들어 자연어 처리(NLP)를 사용하여 제어 유닛(6004)에 의해 처리되어, 요청된 작업 및/또는 명령이 결정 및/또는 실행된다. 대안으로서, NLP는, 예를 들어 후술될 IoT 클라우드 네트워크 및/또는 IoT 플랫폼에서, 면도기의 외부에 위치된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자연어 음성 입력 명령의 예로는 예를 들어 교체 카트리지(들)의 주문, 교체 카트리지의 도착일 결정, 교체 카트리지(들)의 가격 결정, 및/또는 이러한 개별 사용자에게 더 적합한 카트리지의 조언을 포함한다. 입력 명령에 포함된 정보의 특정성 수준에 따라, 제어 유닛(6004)(개별적으로 또는 IoT 클라우드 네트워크 및/또는 IoT 플랫폼과 결합함)은 마이크/스피커(6115)를 통해 사용자에게 오디오 질의를 제공하여 요청된 작업을 이행하는 데 필요한 추가 특정 정보(예를 들어, 카트리지 제조업체, 모델 유형, 수량, 배송 주소, 쿠폰 코드 등)를 결정할 수 있다. 충분한 정보가 제공되면, 요청된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자연어 음성 입력 및/또는 출력은 다국어 입력 및/또는 출력일 수 있다.
제어 유닛(6004)은 결정된 블레이드 마모 수준에 관한 정보(또는 상응하는 잔류량/백분율)를 누적적으로 수집 및/또는 저장하여 블레이드 마모율을 분석 및/또는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유닛(6004)은 사용자가 제공한 데이터 또는 특정 피부 특성 및/또는 모발 특성에 관한 데이터베이스로부터의 데이터와 함께 블레이드 마모율을 분석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개별 사용자의 면도기 사용에 대한 맞춤형 분석 및 데이터 수집이 가능할 수 있다. 사용자 데이터는 면도기에, 클라우드 데이터베이스에, 또는 외부 장치(예를 들어, IoT 접속형 장치)에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제어 유닛(6004), 블레이드 마모 센서(6001), 이미지 센서(6002), 마이크/스피커(6115), 결정된 마모 수준에 관한 정보(또는 상응하는 남은 블레이드 사용), 및/또는 마이크/스피커(6115)를 통한 사용자의 자연어 음성 입력 명령에 대응하는 정보로부터 출력된 정보는 면도기(1)로부터, (i) 트랜시버(6007a)를 통해 무선으로 또는 (ii) 외부 전력/데이터 연결용 인터페이스 유닛(6006a)을 통한 유선 연결을 통해, IoT 게이트웨이(6020)에 전송될 수 있다. 도 6a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면도기(1)의 회로는 자체적으로 가능한 인터넷 프로토콜(IP)인 유닛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면도기(1)로부터 및 면도기(1)로의 정보 흐름은 예를 들어 IoT 게이트웨이(6020)의 역할을 하는 WiFi 라우터를 통해 라우팅된다. 대안적으로, 면도기(1)의 회로는 자체적으로 가능한 인터넷 프로토콜(IP)이 아닌 유닛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IoT 게이트웨이는 인터넷/클라우드를 통한 통신과 관련된 기능, 예를 들어 번역 프로토콜, 암호화, 프로세싱, 관리 데이터 등을 수행한다. 다른 통신 기술은 셀룰러, 위성, 블루투스, 저전력 광역 네트워크(LPWAN), 또는 이더넷을 통한 인터넷으로의 직접 연결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러한 예는 한정되지 않는다. 정보는 IoT 게이트웨이(6020)로부터 클라우드 네트워크(6021) 및 IoT 플랫폼(6022)을 통해 카트리지 벤더 플랫폼(6023)으로 라우팅될 수 있다. IoT 플랫폼(6022)이 도 6a에서 클라우드 네트워크(6021)와 별도로 도시되어 있지만, 클라우드 네트워크(6021)는 IoT 플랫폼(6022)을 포함할 수 있다. 자연어 처리는 제어 유닛(6004), 클라우드 네트워크(6021), IoT 플랫폼(6022), 및/또는 카트리지 벤더 플랫폼(6023)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클라우드 네트워크"란 용어는 인터넷 및 관련된 연결 인프라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사용자 데이터는 카트리지 벤더 플랫폼(6023) 및/또는 IoT 플랫폼(6022)에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면도기(1)로부터 전송된 정보의 유형에 따라, 카트리지 벤더 플랫폼(6023)은 (i) 요청된 작업을 이행(예를 들어, 요청된 교체 카트리지에 대한 주문을 이행)할 수 있고, 그리고/또는 (ii) 정보 질의와 관련된 응답 정보(예를 들어, 개별 사용자의 면도기 사용, 피부 특성, 모발 특성, 과거에 선호한 면도기 카트리지 모델 및/또는 수량 패키지 등에 관한 정보)를 면도기(1)에 전송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응답 정보는 마이크/스피커(6115)를 통해 자연어 음성 출력으로서 출력되어 사용자가 교체 카트리지를 확인 및/또는 선택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음성 명령이 "내 평상시의 카트리지의 주문"인 경우, "10개의 모델 A 카트리지를 주문했는 데, 이 주문을 반복하겠습니까?"와 같은 사용자의 과거 주문 정보를 검색하여 사용자에게 제시할 수 있고, 사용자는 해당 주문을 확인하거나 또는 그 주문을 다른 정보로 수정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사용자의 음성 질의가 "내 피부 특성에 가장 적합한 셰이빙 카트리지가 어떤 것인가"인 경우, 사용자의 피부 특성 정보 및 카트리지 벤더 플랫폼(예를 들어, 일반적인 소매 벤더 또는 특정 카트리지 제조업체의 서버 플랫폼)으로부터 구입 가능한 카트리지에 대한 적합성 정보를 참조하여 사용자가 주문할 카트리지를 선택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요청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시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 벤더 플랫폼(6023)에서 주문 실행의 수신 확인은, "주문이 벤더에 수신되었습니다"와 같이, 마이크/스피커(6115)를 통해 자연어 음성 출력으로 제시될 수 있다.
도 6b는 본 개시내용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면도기(1)와 외부 통신 인프라(6200) 간의 다양한 연결 및 통신 경로를 도시하고 있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면도기(1)로부터의 및 면도기(1)로의 정보 흐름은 인터넷 프로토콜(IP)이 가능한 보조 장치를 통해, 예를 들어 모바일 장치(6040) 또는 컴퓨터(6030)를 통해, 라우팅된다. 도 6b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면도기(1)의 회로는 자체적으로 가능한 인터넷 프로토콜(IP)일 필요는 없지만, 예시적인 실시형태는 면도기(1)의 회로가 자체적으로 IP 가능인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대안적인 실시형태에서, 마이크 및 스피커는 별도로 제공될 수 있다.
도 6b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하나의 통신 경로에서, 제어 유닛(6004), 블레이드 마모 센서(6001), 이미지 센서(6002), 마이크/스피커(6115), 결정된 마모 수준에 관한 정보(또는 상응하는 남은 블레이드 사용), 및/또는 마이크/스피커(6115)를 통한 사용자의 자연어 음성 입력 명령에 대응하는 정보로부터 출력된 정보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욕실에서 면도기(1)를 사용하는 중에) 면도기(1)로부터 모바일 장치(6040)에 전송될 수 있고, 이러한 모바일 장치(6040)는 클라이언트(들)(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또는 "앱")를 구비할 수 있으며, 도 6a에 도시된 면도기(1)의 회로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 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교체 카트리지의 주문, 데이터 분석, 및/또는 획득한 정보의 저장을 수행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6040)에 의해 수신된 정보는 WiFi 라우터와 같은 IoT 게이트웨이(6020)로 라우팅된 후에, 클라우드 네트워크(6021) 및 IoT 플랫폼(6022)을 통해 카트리지 벤더 플랫폼(6023)으로 라우팅될 수 있다. IoT 플랫폼(6022)이 도 6a에서 클라우드 네트워크(6021)와 별도로 도시되어 있지만, 클라우드 네트워크(6021)는 IoT 플랫폼(6022)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통신 기술은 셀룰러, 위성, 블루투스, 저전력 광역 네트워크(LPWAN), 또는 이더넷을 통한 인터넷으로의 직접 연결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러한 예는 한정되지 않는다. 이용될 수 있는 일부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은 예를 들어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HTTP), 메시지 대기열 텔레메트리 전송(MQTT), 및 제한된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CoAP)를 포함하며, 이러한 예는 한정되지 않는다.
도 6b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다른 통신 경로에서, 제어 유닛(6004), 블레이드 마모 센서(6001), 이미지 센서(6002), 마이크/스피커(6115), 결정된 마모 수준에 관한 정보(또는 상응하는 남은 블레이드 사용), 및/또는 마이크/스피커(6115)를 통한 사용자의 자연어 음성 입력 명령에 대응하는 정보로부터 출력된 정보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욕실에서 면도기(1)를 사용하는 중에) 면도기(1)로부터 컴퓨터(6030)에 전송될 수 있고, 이러한 컴퓨터(6030)는 클라이언트(들)(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구비할 수 있으며, 도 6a에 도시된 면도기(1)의 회로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 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교체 카트리지의 주문, 데이터 분석, 및/또는 획득한 정보의 저장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6030)에 의해 수신된 정보는 WiFi 라우터와 같은 IoT 게이트웨이(6020)로 라우팅된 후에, 클라우드 네트워크(6021) 및 IoT 플랫폼(6022)을 통해 카트리지 벤더 플랫폼(6023)으로 라우팅될 수 있다. 다른 통신 기술은 셀룰러, 위성, 블루투스, 저전력 광역 네트워크(LPWAN), 또는 이더넷을 통한 인터넷으로의 직접 연결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러한 예는 한정되지 않는다.
도 6b에 도시된 예시적인 시스템에서, 정보 및/또는 정보 처리는 면도기(1), 컴퓨터(6030), 모바일 장치(6040), IoT 게이트웨이(6020), 클라우드 네트워크(6021), IoT 플랫폼(6022) 및/또는 카트리지 벤더 플랫폼(6023) 중 둘 이상 사이에서 공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연어 처리는 제어 유닛(6004), 컴퓨터(6030), 모바일 장치(6040), 클라우드 네트워크(6021), IoT 플랫폼(6022), 및/또는 카트리지 벤더 플랫폼(6023)에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자연어 음성 입력(예를 들어, 교체 카트리지의 주문) 및/또는 자연어 음성 출력(예를 들어, 카트리지 벤더 플랫폼(6023)에서 주문 실행의 수신 확인, 예를 들어 "주문이 벤더에 수신되었습니다")은 마이크/스피커(6115), 컴퓨터(6030), 및/또는 모바일 장치(6040)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자연어 음성 입력 및/또는 출력은 다국어 입력 및/또는 출력일 수 있다.
도 6b에 도시된 예시적인 시스템에서 분산 기능의 일 예로서, 블레이드 마모 센서(6001)로부터의 센서 데이터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블레이드 마모 센서(6001)가 제공된 카트리지를 사용하는 동안) 컴퓨터(6030) 또는 모바일 장치(6040)에 전송될 수 있고, 사용자의 음성 명령 및/또는 질의는 컴퓨터(6030) 또는 모바일 장치(6040)의 마이크/스피커를 통해 입력될 수 있다. 또한, 벤더 플랫폼으로부터의 응답 전송은 컴퓨터(6030) 또는 모바일 장치(6040)의 마이크/스피커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도 6b에 도시된 예시적인 시스템에서 분산 기능의 다른 예로서, 사용자의 음성 명령 및/또는 질의는 (사용자가 마이크/스피커(6115)가 제공된 면도기(1)를 사용하는 동안) 마이크/스피커(6115)를 통해 입력될 수 있고, 벤더 플랫폼(6023)으로부터의 응답 전송은 컴퓨터(6030) 또는 모바일 장치(604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셰이빙 카트리지 구매 및/또는 셰이빙 카트리지 정보에 관한 명령 및 질의 중 적어도 하나를 처리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의 로직 흐름(700)이다. 블록(7001)에서, 마이크/스피커(6115)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로부터의 자연어 음성 입력은 제어 유닛(예를 들어, 면도기(1) 내의 제어 유닛(6004))에 의해 처리되고, 이러한 자연어 음성 입력은 셰이빙 카트리지 구매 및/또는 셰이빙 카트리지 정보에 관한 명령 및 질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것이다. 블록(7002)에서, 셰이빙 카트리지 구매 및/또는 셰이빙 카트리지 정보에 관한 명령 및 질의 중 적어도 하나는 인터넷에 연결된 인터넷 게이트웨이(6020)(예를 들어, WiFi 라우터)를 통해 인터넷에 연결된 벤더 플랫폼(6023)으로 전송된다. 블록(7003)에서, 셰이빙 카트리지 구매 및/또는 셰이빙 카트리지 정보에 관한 명령 및 질의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른 벤더 플랫폼(6023)으로부터의 응답 전송은 제어 유닛에 의해 처리된다. 블록(7004)에서, 마이크/스피커(6115)는 벤더 플랫폼(6023)으로부터의 응답 전송에 대응하는 자연어 음성 출력을 출력한다.
도 8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셰이빙 카트리지 구매 및/또는 셰이빙 카트리지 정보에 관한 명령 및 질의 중 적어도 하나를 처리하기 위한 다른 예시적인 방법의 로직 흐름(800)이다. 블록(8001)에서, 알림 유닛(예를 들어, 면도기(1)의 유닛(6003a))은 감지 유닛(예를 들어, 면도기(1)의 유닛(6001))에 의해 검출된 셰이빙 카트리지의 마모 수준을 출력한다. 블록(8002)에서, 마이크/스피커(6115)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로부터의 자연어 음성 입력은 제어 유닛(예를 들어, 면도기(1) 내의 제어 유닛(6004))에 의해 처리되고, 이러한 자연어 음성 입력은 셰이빙 카트리지 구매 및/또는 셰이빙 카트리지 정보에 관한 명령 및 질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것이다. 블록(8003)에서, 셰이빙 카트리지 구매 및/또는 셰이빙 카트리지 정보에 관한 명령 및 질의 중 적어도 하나는 인터넷에 연결된 인터넷 게이트웨이(6020)(예를 들어, WiFi 라우터)를 통해 인터넷에 연결된 벤더 플랫폼(6023)으로 전송된다. 블록(8004)에서, 셰이빙 카트리지 구매 및/또는 셰이빙 카트리지 정보에 관한 명령 및 질의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른 벤더 플랫폼(6023)으로부터의 응답 전송은 제어 유닛에 의해 처리된다. 블록(8005)에서, 마이크/스피커(6115)는 벤더 플랫폼(6023)으로부터의 응답 전송에 대응하는 자연어 음성 출력을 출력한다.
도 9는 일 실시형태에 따른 셰이빙 카트리지 구매 및/또는 셰이빙 카트리지 정보에 관한 명령 및 질의 중 적어도 하나를 처리하기 위한 또 다른 예시적인 방법의 로직 흐름(900)이다. 블록(9001)에서, 알림 유닛(예를 들어, 면도기(1)의 유닛(6003a))은 감지 유닛(예를 들어, 면도기(1)의 유닛(6001))에 의해 검출된 셰이빙 카트리지의 마모 수준을 출력한다. 블록(9002)에서, 마이크/스피커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로부터의 자연어 음성 입력은 스마트 면도기의 트랜시버로부터 모바일 장치 또는 컴퓨터 중 하나로 전송되고, 이러한 자연어 음성 입력은 셰이빙 카트리지 구매 및/또는 셰이빙 카트리지 정보에 관한 명령 및 질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것이다. 블록(9003)에서, 모바일 장치 또는 컴퓨터 중 하나는 사용자로부터의 자연어 음성 입력을 처리한다. 블록(9004)에서, 모바일 장치 또는 컴퓨터 중 하나는 인터넷에 연결된 인터넷 게이트웨이를 통해 셰이빙 카트리지 구매 및/또는 셰이빙 카트리지 정보에 관한 명령 및 질의 중 적어도 하나를 인터넷에 연결된 벤더 플랫폼으로 전송된다. 블록(9005)에서, 모바일 장치 또는 컴퓨터 중 하나는 셰이빙 카트리지 구매 및/또는 셰이빙 카트리지 정보에 관한 명령 및 질의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른 벤더 플랫폼(6023)으로부터의 응답 전송을 처리한다. 블록(9006)에서, 마이크/스피커(6115)는 벤더 플랫폼(6023)으로부터의 응답 전송에 대응하는 자연어 음성 출력을 출력한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예시적인 기술(700, 800 및 900)의 일부는 부분적으로 및/또는 전체적으로 수정 및/또는 조합될 수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
도 10은 제조 물품을 포함할 수 있는 저장 매체(1100)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예를 들어 저장 매체(1100)는 임의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또는 기계 판독 가능 매체, 예를 들어 광학, 자기 또는 반도체 스토리지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 매체(1100)는 1120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컴퓨터 실행 가능 지령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 매체(2000)는 기술(700, 800, 및 900)을 구현하기 위해 다양한 유형의 컴퓨터 실행 가능 지령을 저장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이러한 지령은 예를 들어 제어 유닛(6004), 컴퓨터(6030) 및/또는 모바일 장치(6040)에 의해 실행되어 본 명세서에 기술된 기술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또는 기계 판독 가능 저장 매체의 일부 예로는 전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유형 매체, 예를 들어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이동식 또는 비이동식 메모리, 소거식 또는 비소거식 메모리, 기록식 또는 재기록식 메모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실행 가능 지령의 일부 예로는 적절한 유형의 코드, 예를 들어 소스 코드, 컴파일된 코드, 해석된 코드, 실행 가능 코드, 정적 코드, 동적 코드, 객체 지향 코드, 시각적 코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예는 이러한 맥락에서 한정되지 않는다.
도 11은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른 로직 흐름(700), 로직 흐름(800), 및 로직 흐름(900) 중 하나 이상, 저장 매체(1100), 컴퓨터(6030), 모바일 장치(6040), 및 면도기(1)의 회로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통신 장치(1500)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통신 장치(1500)는 로직 흐름(700), 로직 흐름(800), 및 로직 흐름(900) 중 하나 이상에 대해 기술된 작동을 수행하기 위한 물리적 회로를 포함할 수 있는 로직 회로(1528)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장치(1500)는 무선 인터페이스(1510), 베이스밴드 회로(1520), 및 컴퓨팅 플랫폼(153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는 이러한 예시적인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통신 장치(1500)는 (i) 단일 컴퓨팅 엔티티, 예를 들어 단일 장치에서, 또는 (ii) 분산 방식으로 로직 흐름(700), 로직 흐름(800), 및 로직 흐름(900) 중 하나 이상, 저장 매체(1100), 컴퓨터(6030), 모바일 장치(6040), 면도기(1)의 회로의 하나 이상의 기능, 및 로직 회로(1528)에 대한 구조 및/또는 작동의 일부 또는 전부를 구현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통신 장치(1500)는 분산 시스템 아키텍처, 예를 들어 마스터-슬레이브 아키텍처, 클라이언트-서버 아키텍처, 피어-투-피어 아키텍처, 공유 데이터베이스 아키텍처 등을 사용하여 다중 컴퓨팅 플랫폼 및/또는 엔티티에 걸쳐 로직 흐름(700), 로직 흐름(800), 및 로직 흐름(900) 중 하나 이상, 저장 매체(1100), 컴퓨터(6030), 모바일 장치(6040), 면도기(1)의 회로의 하나 이상의 기능, 및 로직 회로(1528)에 대한 구조 및/또는 작동의 일부를 분산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는 이러한 맥락에서 한정되지 않는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무선 인터페이스(1510)는 CCK(상보 코드 키잉), OFDM(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및/또는 SC-FDMA(단일 반송파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 심볼과 같은 단일 반송파 또는 다중 반송파 변조 신호를 전송 및/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페이스(1510)는 예를 들어 수신기(1511), 주파수 합성기(1514), 송신기(1516), 및 하나 이상의 안테나(1518)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는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수신 신호 및/또는 송신 신호를 처리하기 위해 무선 인터페이스(1510)와 통신하는 베이스밴드 회로(1520)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및 수신/송신 신호의 물리적 링크 계층 처리를 위한 베이스밴드 또는 물리 계층(PHY) 처리 회로를 포함하는 유닛(152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밴드 회로(1520)는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1534)를 통해 컴퓨팅 플랫폼(1530)과 통신하기 위한 메모리 제어기(1532)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1500)에 컴퓨팅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컴퓨팅 플랫폼(1530)은 프로세서(1540) 및 기타 플랫폼 구성요소(1750), 예를 들어 프로세서, 메모리 유닛, 칩셋, 제어기, 주변 장치, 인터페이스, 입/출력(I/O) 구성요소, 전원 공급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장치(1500)는 예를 들어 모바일 장치, 스마트폰, 고정 장치, 사물지능통신 장치,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DA), 모바일 컴퓨팅 장치, 사용자 장비, 컴퓨터, 네트워크 기기, 웹 기기, 가전 제품, 프로그래머블 가전 제품, 게임 장치, 텔레비전, 디지털 텔레비전, 셋톱 박스,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지국, 가입자 지국, 모바일 가입자 센터,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 라우터, 허브, 게이트웨이 등일 수 있다. 이러한 예는 한정되지 않는다.
도 12는 버스(312) 및 칩셋(904)을 통해 서로 결합되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902), 칩셋(904), I/O(입/출력) 장치(906), RAM(랜덤 액세스 메모리)(908), 예를 들어 DRAM(동적 RAM), ROM(판독 전용 메모리)(910), 무선 통신 칩(916), 그래픽 장치(918), 및 디스플레이(920), 및 기타 플랫폼 구성요소(914)(예를 들어, 냉각 시스템, 히트 싱크, 벤트 등)를 포함할 수 있는 플랫폼(1200)으로 구성된 예시적인 시스템 실시형태이다. 이러한 예는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술은 예시적이며 본 개시내용에 대한 임의의 특정 제한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대안, 조합 및 수정이 고안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설명된 프로세스와 연관된 단계는 단계 자체에 의해 달리 명시되거나 지시되지 않는 한 임의의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은 첨부된 청구 범위 내에 속하는 이러한 모든 대안,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포함하다" 또는 "포함하는"이란 용어는 언급된 특징, 정수, 단계 또는 구성요소의 존재를 지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정수, 단계 또는 구성요소 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단수 형태의 용어는 복수의 형태를 갖는 실시형태를 배제하지 않는다.
일부 실시형태는 "하나의 실시형태" 또는 "일 실시형태"라는 표현을 이의 파생어와 함께 사용하여 기술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설명된 특정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이 적어도 하나의 실시형태에 포함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의 여러 부분에서 나타낸 "실시형태"라는 문구는 반드시 모두 동일한 실시형태를 지칭하는 것은 아니다.
위에서 제시된 도면 및 텍스트뿐만 아니라 아래의 예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형태가 고려된다.
실시형태:
1. 명령 및 질의 중 적어도 하나를 처리하도록 구성된 셰이빙 시스템으로서,
면도기 핸들(199);
면도기 핸들 상에 또는 그 내부에 제공되고 셰이빙 카트리지 구매 및 셰이빙 카트리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명령 및 질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사용자로부터의 자연어 음성 입력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마이크(6115);
셰이빙 카트리지 구매 및 셰이빙 카트리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명령 및 질의 중 적어도 하나를 처리하도록 구성된 제어 유닛(6004);
면도기 핸들 상에 또는 그 내부에 제공되고 (i) 셰이빙 카트리지 구매 및 셰이빙 카트리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명령 및 질의 중 적어도 하나를 인터넷에 연결된 벤더 플랫폼(6023)으로 전송하고, 그리고 (ii) 셰이빙 카트리지 구매 및 셰이빙 카트리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명령 및 질의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른 벤더 플랫폼으로부터의 응답 전송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트랜시버(6007a) 및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로서, 제어 유닛은 응답 전송을 처리하도록 구성되는, 트랜시버(6007a) 및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 및
벤더 플랫폼으로부터의 응답 전송에 대응하는 자연어 음성 출력을 출력하도록 구성된 스피커(6115)를 포함하는, 명령 및 질의 중 적어도 하나를 처리하도록 구성된 셰이빙 시스템.
2. 실시형태 1에 있어서, 셰이빙 시스템은 인터넷 프로토콜(IP) 가능 시스템이고, 트랜시버(6007a) 및 인터페이스(6006a) 중 적어도 하나는 인터넷에 연결된 인터넷 게이트웨이와 직접 인터페이스하여 명령 및 질의 중 적어도 하나를 벤더 플랫폼(6023)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
3. 실시형태 1 또는 2에 있어서,
면도기 카트리지(100); 및
전기적 감지 기술, 광학적 감지 기술, 및 전기화학적 감지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구현하여 블레이드의 마모 수준을 나타내는 면도기 카트리지의 블레이드(117)의 물리적 특성 및 전기화학적 특성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감지 유닛(6001)을 더 포함하고,
제어 유닛(6004)은 블레이드의 물리적 특성 및 전기화학적 특성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 임계 파라미터와 비교하고 그 비교에 기초하여 블레이드의 마모 수준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
4. 실시형태 3에 있어서,
(i) 결정된 블레이드 마모 수준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조명 표시 유닛, (ii) 결정된 블레이드 마모 수준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청각 표시 유닛, 및 (iii) 결정된 블레이드 마모 수준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헵틱 표시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알림 유닛(6003a)을 더 포함하되, 알림 유닛은 면도기 카트리지(100)를 교체하기 위한 표시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
5. 실시형태 1에 있어서, 트랜시버(6007a) 및 인터페이스(6006a) 중 적어도 하나는 명령 및 질의 중 적어도 하나를 인터넷 프로토콜(IP) 가능 모바일 장치 및 인터넷 프로토콜(IP) 가능 컴퓨터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모바일 장치 및 컴퓨터 중 적어도 하나는 인터넷에 연결된 인터넷 게이트웨이와 인터페이스하여 명령 및 질의 중 적어도 하나를 벤더 플랫폼으로 전송하는, 시스템.
6. 실시형태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스피커(6115)는 면도기 핸들(199) 상에 또는 그 내부에 제공되는, 시스템.
7. 실시형태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어 유닛(6004)은 면도기 핸들(199) 상에 또는 그 내부에 제공되는, 시스템.
8. 실시형태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의 자연어 음성 입력은 다국어 음성 입력인, 시스템.
9. 실시형태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응답 전송에 대응하는 자연어 음성 출력은 다국어 음성 출력인, 시스템.
10. 셰이빙 시스템(700, 800, 900)을 사용하여 명령 및 질의 중 적어도 하나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셰이빙 시스템의 면도기 핸들(199) 상에 또는 그 내부에 중 하나에 제공된 마이크(6115)를 통해, 셰이빙 카트리지 구매 및 셰이빙 카트리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명령 및 질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사용자로부터의 자연어 음성 입력을 입력하는 단계;
제어 유닛(6004)이 셰이빙 카트리지 구매 및 셰이빙 카트리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명령 및 질의 중 적어도 하나를 처리하는 단계;
트랜시버(6007a) 및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가 셰이빙 카트리지 구매 및 셰이빙 카트리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명령 및 질의 중 적어도 하나를 인터넷에 연결된 벤더 플랫폼(6023)으로 전송하는 단계;
트랜시버 및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가 셰이빙 카트리지 구매 및 셰이빙 카트리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명령 및 질의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른 벤더 플랫폼으로부터의 응답 전송을 수신하는 단계;
제어 유닛이 응답 전송을 처리하는 단계; 및
스피커(6115)가 벤더 플랫폼으로부터의 응답 전송에 대응하는 자연어 음성 출력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셰이빙 시스템(700, 800, 900)을 사용하여 명령 및 질의 중 적어도 하나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
11. 실시형태 10에 있어서, 셰이빙 시스템은 인터넷 프로토콜(IP) 가능 시스템이고, 트랜시버(6007a) 및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는 인터넷에 연결된 인터넷 게이트웨이(6020)와 직접 인터페이스하여 명령 및 질의 중 적어도 하나를 벤더 플랫폼으로 전송하는, 방법(700, 800, 900).
12. 실시형태 10 또는 11에 있어서, 트랜시버(6007a) 및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는 명령 및 질의 중 적어도 하나를 인터넷 프로토콜(IP) 가능 모바일 장치 및 인터넷 프로토콜(IP) 가능 컴퓨터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하고, 모바일 장치 및 컴퓨터 중 적어도 하나는 인터넷에 연결된 인터넷 게이트웨이와 인터페이스하여 명령 및 질의 중 적어도 하나를 벤더 플랫폼으로 전송하는, 방법(900).
13. 실시형태 10 내지 1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의 자연어 음성 입력은 다국어 음성 입력인, 방법.
14. 실시형태 10 내지 1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응답 전송에 대응하는 자연어 음성 출력은 다국어 음성 출력인, 방법.

Claims (14)

  1. 명령 및 질의 중 적어도 하나를 처리하도록 구성된 셰이빙 시스템(shaving system)으로서,
    면도기 핸들;
    상기 면도기 핸들 상에 또는 그 내부에 제공되고 셰이빙 카트리지 구매 및 셰이빙 카트리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명령 및 질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사용자로부터의 자연어 음성 입력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마이크;
    상기 셰이빙 카트리지 구매 및 상기 셰이빙 카트리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상기 명령 및 상기 질의 중 적어도 하나를 처리하도록 구성된 제어 유닛;
    상기 면도기 핸들 상에 또는 그 내부에 제공되고 (i) 상기 셰이빙 카트리지 구매 및 상기 셰이빙 카트리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상기 명령 및 상기 질의 중 적어도 하나를 인터넷에 연결된 벤더 플랫폼으로 전송하고, 그리고 (ii) 상기 셰이빙 카트리지 구매 및 상기 셰이빙 카트리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상기 명령 및 상기 질의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른 상기 벤더 플랫폼으로부터의 응답 전송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트랜시버 및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로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응답 전송을 처리하도록 구성되는, 트랜시버 및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 및
    상기 벤더 플랫폼으로부터의 상기 응답 전송에 대응하는 자연어 음성 출력을 출력하도록 구성된 스피커를 포함하는, 명령 및 질의 중 적어도 하나를 처리하도록 구성된, 셰이빙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셰이빙 시스템은 인터넷 프로토콜(IP) 가능 시스템이고, 상기 트랜시버 및 상기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는 인터넷에 연결된 인터넷 게이트웨이와 직접 인터페이스하여 상기 명령 및 상기 질의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벤더 플랫폼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셰이빙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면도기 카트리지; 및
    전기적 감지 기술, 광학적 감지 기술, 및 전기화학적 감지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구현하여 블레이드의 마모 수준을 나타내는 상기 면도기 카트리지의 상기 블레이드의 물리적 특성 및 전기화학적 특성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감지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블레이드의 물리적 특성 및 전기화학적 특성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 임계 파라미터와 비교하고 상기 비교에 기초하여 상기 블레이드의 마모 수준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셰이빙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i) 상기 결정된 블레이드 마모 수준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조명 표시 유닛, (ii) 상기 결정된 블레이드 마모 수준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청각 표시 유닛, 및 (iii) 상기 결정된 블레이드 마모 수준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헵틱 표시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알림 유닛을 더 포함하되, 상기 알림 유닛은 상기 면도기 카트리지를 교체하기 위한 표시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셰이빙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시버 및 상기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명령 및 상기 질의 중 적어도 하나를 인터넷 프로토콜(IP) 가능 모바일 장치 및 인터넷 프로토콜(IP) 가능 컴퓨터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모바일 장치 및 상기 컴퓨터 중 적어도 하나는 인터넷에 연결된 인터넷 게이트웨이와 인터페이스하여 상기 명령 및 상기 질의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벤더 플랫폼으로 전송하는, 셰이빙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는 상기 면도기 핸들 상에 또는 그 내부에 제공되는, 셰이빙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 및 상기 스피커는 상기 면도기 핸들 상에 또는 그 내부에 제공되는, 셰이빙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의 상기 자연어 음성 입력은 다국어 음성 입력인, 셰이빙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전송에 대응하는 상기 자연어 음성 출력은 다국어 음성 출력인, 셰이빙 시스템.
  10. 셰이빙 시스템을 사용하여 명령 및 질의 중 적어도 하나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셰이빙 시스템의 면도기 핸들 상에 또는 그 내부에 중 하나에 제공된 마이크를 통해, 셰이빙 카트리지 구매 및 셰이빙 카트리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명령 및 질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사용자로부터의 자연어 음성 입력을 입력하는 단계;
    제어 유닛이 상기 셰이빙 카트리지 구매 및 상기 셰이빙 카트리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상기 명령 및 상기 질의 중 적어도 하나를 처리하는 단계;
    트랜시버 및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셰이빙 카트리지 구매 및 상기 셰이빙 카트리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상기 명령 및 상기 질의 중 적어도 하나를 인터넷에 연결된 벤더 플랫폼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트랜시버 및 상기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셰이빙 카트리지 구매 및 상기 셰이빙 카트리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상기 명령 및 상기 질의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른 상기 벤더 플랫폼으로부터의 응답 전송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 유닛이 상기 응답 전송을 처리하는 단계; 및
    스피커가 상기 벤더 플랫폼으로부터의 상기 응답 전송에 대응하는 자연어 음성 출력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셰이빙 시스템을 사용하여 명령 및 질의 중 적어도 하나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셰이빙 시스템은 인터넷 프로토콜(IP) 가능 시스템이고, 상기 트랜시버 및 상기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는 인터넷에 연결된 인터넷 게이트웨이와 직접 인터페이스하여 상기 명령 및 상기 질의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벤더 플랫폼으로 전송하는, 셰이빙 시스템을 사용하여 명령 및 질의 중 적어도 하나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시버 및 상기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명령 및 상기 질의 중 적어도 하나를 인터넷 프로토콜(IP) 가능 모바일 장치 및 인터넷 프로토콜(IP) 가능 컴퓨터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하고, 상기 모바일 장치 및 상기 컴퓨터 중 적어도 하나는 인터넷에 연결된 인터넷 게이트웨이와 인터페이스하여 상기 명령 및 상기 질의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벤더 플랫폼으로 전송하는, 셰이빙 시스템을 사용하여 명령 및 질의 중 적어도 하나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의 상기 자연어 음성 입력은 다국어 음성 입력인, 셰이빙 시스템을 사용하여 명령 및 질의 중 적어도 하나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전송에 대응하는 상기 자연어 음성 출력은 다국어 음성 출력인, 셰이빙 시스템을 사용하여 명령 및 질의 중 적어도 하나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
KR1020207030521A 2018-05-21 2019-05-13 교체 셰이빙 카트리지의 음성 인식 주문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1302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862674105P 2018-05-21 2018-05-21
US62/674,105 2018-05-21
PCT/EP2019/062232 WO2019224039A1 (en) 2018-05-21 2019-05-13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voice-activated ordering of replacement shaving cartrid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3023A true KR20210013023A (ko) 2021-02-03

Family

ID=66597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0521A KR20210013023A (ko) 2018-05-21 2019-05-13 교체 셰이빙 카트리지의 음성 인식 주문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10192434A1 (ko)
EP (1) EP3797018B1 (ko)
JP (1) JP2021523761A (ko)
KR (1) KR20210013023A (ko)
CN (1) CN112041134B (ko)
WO (1) WO20192240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19978B2 (en) * 2020-02-26 2022-01-11 Ritesafety Products Int'l, Llc Utility knife with a replacement blade and a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the end of life of the blade
EP4142995A1 (en) * 2020-04-30 2023-03-08 BIC Violex Single Member S.A. Shaving systems and methods
USD972776S1 (en) * 2020-12-25 2022-12-13 Foshan Yingjili Electrical Equipment Co., Ltd. Razor head
US11389980B1 (en) * 2021-04-07 2022-07-19 The Gillette Company Llc Personal care appliance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61287A (en) * 1998-04-24 2000-12-19 The Gillette Company Razor blade system
KR20120120197A (ko) * 2009-12-08 2012-11-01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교체 인디케이터를 구비하는 면도 도구
US10185934B2 (en) * 2013-07-09 2019-01-22 Qualcomm Incorporated Real-time context aware recommendation engine based on a user internet of things environment
WO2016094327A1 (en) * 2014-12-10 2016-06-16 Haggai Goldfarb Intelligent shaving system having sensors
US10956957B2 (en) * 2015-03-25 2021-03-23 Facebook, Inc. Techniques for automated messaging
RU2718036C2 (ru) * 2015-04-28 2020-03-30 Конинклейке Филипс Н.В.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хода за внешностью
PL3341167T3 (pl) * 2015-08-24 2022-03-21 Koninklijke Philips N.V. Etapowe porady dotyczące optymalnego korzystania z urządzenia do golenia
US20170232624A1 (en) * 2016-02-12 2017-08-17 The King Of Shaves Company Limited Shaving System
US10769708B2 (en) * 2016-11-22 2020-09-08 OrderGroove, Inc. Consumable usage sensors and applications to facilitate automated replenishment of consumables via an adaptive distribution platform
CN206663301U (zh) * 2017-01-21 2017-11-24 李美莉 一种多功能车载装置
CN108346073B (zh) * 2017-01-23 2021-11-02 北京京东尚科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语音购物方法和装置
US10614805B2 (en) * 2018-03-09 2020-04-07 Midea Group Co., Ltd. Voice-assisted restocking method and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97018B1 (en) 2022-02-16
WO2019224039A1 (en) 2019-11-28
US20210192434A1 (en) 2021-06-24
CN112041134B (zh) 2022-08-26
JP2021523761A (ja) 2021-09-09
CN112041134A (zh) 2020-12-04
EP3797018A1 (en) 2021-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13023A (ko) 교체 셰이빙 카트리지의 음성 인식 주문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JP7351852B2 (ja) シェービング作業でユーザーを支援するように構成されているシステム、シェービング作業でユーザーを支援するための方法
CN105359167B (zh) 与接触镜片传感器和显示设备进行的读取器通信
WO2009060417A3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data management in a p2p network
CN112088076A (zh) 智能剃刮配件
CN104010607A (zh) 用于监控吸收性产品的使用的方法、监控系统和计算机程序
CN105612768A (zh) 轻量级iot信息模型
CN110140030A (zh) 用于提供传感器数据收集和传感器配置的方法、装置和计算机程序产品
KR20200024142A (ko) 스마트 중합체를 갖는 면도 윤활제를 공급하기 위한 센서를 갖는 면도기 및 방법
CN108537971A (zh) 一种按摩椅的控制方法、终端以及存储介质
CN105389405A (zh) 一种多推理引擎融合上下文感知系统框架及其工作方法
CN102641198A (zh) 基于无线网络和声音定位的盲人环境感知方法
CN107862426B (zh) 基于物联网的状态检测方法及设备
CN110839062A (zh) 一种传感器接入物联网的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20150179087A1 (en) Mobile-device instigated facilitation of user-environment interaction
CN109089417B (zh) 用于通知用户关于产品消耗的预估时间的方法和系统
KR20200021454A (ko) 면도날 마모를 전기적으로 감지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N105828280B (zh) 数据传输方法、装置及系统
KR102573295B1 (ko) 뉴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무인 카페 내부의 복수의 좌석 영역을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CN208607703U (zh) 一种上门探访的监管系统
US11052555B2 (en) System and method for sensing debris accumulation in shaving razor cartridge
CN115024690A (zh) 酒精代谢检测方法、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N113689254A (zh) 用于耗材购买的方法、服务器以及终端
US20210000243A1 (en) Personal care product recommendation platform
Abraham 7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Knowledge Management in Organizations: Service and Cloud Compu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