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2895A - Automatic Responsive Multi-purpose Lift - Google Patents

Automatic Responsive Multi-purpose Lif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2895A
KR20210012895A KR1020200064809A KR20200064809A KR20210012895A KR 20210012895 A KR20210012895 A KR 20210012895A KR 1020200064809 A KR1020200064809 A KR 1020200064809A KR 20200064809 A KR20200064809 A KR 20200064809A KR 20210012895 A KR20210012895 A KR 202100128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variable
shaft
loading box
li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480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38198B1 (en
Inventor
강대호
Original Assignee
대원이엔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원이엔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원이엔티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100128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289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8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819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4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having a loading platform thereon raising the load to the level of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4407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having a loading platform thereon raising the load to the level of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and lifting achieved by pivoting of the loading plat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1/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 F16H21/02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the movements of two or more independently-moving members being combined into a single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2Heavy duty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1Sensors for position or displac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responsive multipurpose lift, which includes: an X-shaped link in which fixed ends are hinge-connected to the back of a base and a loading box, respectively, and free ends are installed to be slidingly movable along a first guide rail of the base and a second guide rail of the loading box, respectively; a shaft position varying means selectively connecting first and second variable shafts to the X-shaped link to vary a shaft position; and a link operation actuator of which a front end of a lower portion is hinge-connected to the base and a front end of an upper portion is connected to the X-shaped link and which lifts or lowers the X-shaped link as a rod part is extended.

Description

자동감응식 다용도 리프트{Automatic Responsive Multi-purpose Lift}Automatic Responsive Multi-purpose Lift}

본 발명은 자동감응식 다용도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리프트의 사용용도에 따라 회동, 승강회동, 수평승강 모션으로 선택적으로 전환하여 사용가능하고, 하적장소에 적재함의 하적위치를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한 자동감응식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responsive multipurpose lift, and in particular, depending on the purpose of use of the lift, it can be used by selectively switching to rotation, elevation rotation, and horizontal elevation motion, and the unloading position of the loading box at the unloading location can be automatically set. It relates to an automatic responsive lift.

일반적으로, 리프트는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적재물을 실어나르거나 차량이나 운송수단의 적재함에 적용되어 적재물을 적재장소에 하역시키는데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lifts are used to carry loads from low to high and from high to low, or are applied to loading boxes of vehicles or transportation means to unload and unload loads at loading locations.

차량이나 운송수단에 적용된 리프트는 적재물을 적재장소의 내부공간에 하역하여야 오하역에 따른 추가작업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적재장소가 평지가 아닌 경우 예컨대 적재벽이 있거나 높이가 있는 적재장소의 경우, 리프트의 적재물을 외부로 쏟아지지 않고 적재장소의 내부공간에 정확하게 하역하기가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A lift applied to a vehicle or transportation means must unload the load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loading place so that additional work due to incorrect unloading is not performed. When the loading place is not flat,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loading place with a loading wall or a height, it is practically not easy to unload the loads of the lift accurately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loading place without pouring them out.

등록실용신안 20-0322583(특허문헌1)에서는 유압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X자 링크(9)가 펼쳐지거나 접혀짐으로써 기대(10)로부터 적재함이 수평승강 또는 수평하강하는 리프트장치가 구비된 덤프차량이 개시되어 있다.In the registered utility model 20-0322583 (Patent Document 1), the X-shaped link 9 is unfolded or fold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hydraulic cylinder, so that the loading box is horizontally elevated or lowered from the base 10, a dump vehicle equipped with a lift device. Is disclosed.

그리고, 등록특허 10-1327367(특허문헌2)에서는 제2리프트바(320)의 하부선단이 하부레일(200)의 지지부(400)에 구속될 경우 실린더(110)의 작동에 따라 제1,2리프트바(310,320)가 펼쳐지거나 접혀짐으로써 적재함(600)이 수평승강 또는 수평하강하고, 한편 제2리프트바(320)의 하부선단이 하부레일(200)의 지지부(400)로 구속해제될 경우 실린더(110)의 작동에 따라 제1리프트바(310)가 힌지점을 기준으로 회전함에 따라 적재함(600)이 일정각도로 회동되는 리프트 및 덤프장치가 구비된 4륜구동 농업용 운반차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등록특허 10-0819384(특허문헌3)에서는 X자 링크(110)의 축이 적재함(200)이 기울어지는 방향으로 편심지지되어 유압실린더(106)을 작동에 따라 적재함(200)이 승강회동되는 적재함의 경사가 가능한 리프트장치가 개시되어 있다.In addition, in Patent Document 2, when the lower end of the second lift bar 320 is constrained by the support part 400 of the lower rail 200, the first and second parts of the cylinder 110 are operated. When the lift bars 310 and 320 are unfolded or folded so that the loading box 600 is horizontally raised or lowered horizontally, while the lower end of the second lift bar 320 is released from the restraint by the support part 400 of the lower rail 200 There is disclosed a four-wheel drive agricultural transport vehicle provided with a lift and dump device in which the loading box 600 is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as the first lift bar 310 rotates based on the hinge point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cylinder 110. In addition, in Registration Patent 10-0819384 (Patent Document 3), the axis of the X-shaped link 110 is eccentrically support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loading box 200 is tilted, so that the loading box 200 moves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hydraulic cylinder 106. A lift device capable of inclining a loading box to be used is disclosed.

상기 특허문헌1과 특허문헌3은 각각 적재함이 수평승강(수평하강)과 승강회동(하강회동)만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2는 적재함이 수평승강(수평하강)과 회동되도록 되어 있다. In the above Patent Document 1 and Patent Document 3, respectively, the loading box is designed to be capable of horizontal lifting (horizontal descending) and lifting rotation (lowering rotation). The patent document 2 is designed to rotate the loading box horizontally (horizontal lowering).

이러한 특허문헌1,2,3은 적재함이 수평승강, 회동, 승강회동 모션이 모두 이루어지지 않고, 적재장소(장벽, 적재함 등)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차량에 적용할 때 적재물이 외부로 쏟아지지 않고 적재장소의 내부에 정확하게 하역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These Patent Documents 1, 2, and 3 are applicable to vehicles because the loading box does not perform all horizontal lifting, rotating, and lifting and rotating motions, and does not have a sensing means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loading place (barrier, loading box, etc.).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load does not pour out and cannot be unloaded accurately inside the loading place.

또한, 특허문헌1,2,3은 X자 링크를 연결하는 연결축이 한곳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리프트를 동작시키는 구동수단을 복수개로 사용하지 않고서는 적재함이 수평승강, 회동, 승강회동 모션을 모두 이루어낼 수 없는 구조적인 한계가 있다.In addition, Patent Documents 1, 2, and 3 show that since the connecting shaft connecting the X-shaped link is fixed in one place, the loading box performs all horizontal lifting, rotating, and lifting and rotating motions without using multiple driving means for operating the lift. There are structural limitations that cannot be achieved.

한편, 특허문헌2는 적재함이 수평승강 또는 회동 모션으로 전환되는 과정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용상 불편함이 있다.On the other hand, Patent Document 2 is inconvenient in use because the process of converting the loading box to horizontal lifting or rotating motion is performed by hand.

등록실용신안 20-0322583(2003.07.30)Registration utility model 20-0322583 (2003.07.30) 등록특허 10-1327367(2013.11.04)Registered Patent 10-1327367 (2013.11.04) 등록특허 10-0819384(2008.03.28)Registered Patent 10-0819384 (2008.03.28)

본 발명의 제1 과제는 적재장소의 위치를 감지하여 적재함의 적재물을 적재공간에 정확하게 하역할 수 있도록 한 자동감응식 다용도 리프트를 제공하는데 있다.A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tomatic responsive multi-purpose lift capable of accurately unloading and unloading loads of a loading box into a loading space by detecting the location of a loading place.

그리고, 본 발명의 제2 과제는 사용용도에 따라 승강작업, 평지 적재물하역작업, 높이가 있는 적재공간에 범용적으로 사용가능하고, 적재물 하역작업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자동감응식 다용도 리프트를 제공하는데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su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tomatic responsive multi-purpose lift that can be used universally for lifting work, unloading work on flat ground, and loading space with a height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e, and allows the work of loading and unloading to be conveniently performed. It is in providing.

그리고, 본 발명의 제3 과제는 X자 링크의 연결축 위치를 가변하여 적재함이 수평승강, 회동, 승강회동 모션으로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자동감응식 다용도 리프트를 제공하는데 있다.In addition, a thir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tomatic responsive multi-purpose lift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connecting shaft of the X-shaped link is varied so that the loading box can be selectively made in horizontal lifting, rotating, and lifting and rotating motions.

본 발명의 구현예는, 고정단이 기대와 적재함의 후미에 각각 힌지연결되고, 자유단이 상기 기대의 제1 가이드레일과 상기 적재함의 제2 가이드레일을 따라 각각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X자 링크와, 상기 X자 링크에 가변축을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축위치를 가변시키는 축위치가변수단 및, 하부선단이 상기 기대에 힌지연결되고 상부선단이 상기 X자 링크에 연결되어 로드부가 신축함에 따라 상기 X자 링크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링크작동엑츄에이터를 포함하는 자동감응식 다용도 리프트를 제공한다. 여기서, 축위치가변수단을 통해 X자 링크의 연결링크 위치를 가변하여 적재함을 회동, 승강회동, 수평승강 모션으로 선택 전환할 수 있게 된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ed end is hingedly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base and the loading box, and the free end is installed to slide along the first guide rail of the base and the second guide rail of the loading box. , A variable axis position for changing the axis position by selectively connecting a variable axis to the X-shaped link, and the lower end is hingedly connected to the base and the upper end is connected to the X-shaped link, so that the X-shaped It provides an automatic responsive multipurpose lift including a link actuating actuator that raises or lowers the link. Here,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connecting link of the X-shaped link through the variable axis position, it is possible to select and switch the loading box to rotation, elevation rotation, and horizontal elevation motion.

또한, 본 발명의 구현예는 상기 기대에 설치되어 상기 적재함과 하적장소 사이의 위치를 감지하는 하적위치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자동감응식 다용도 리프트를 제공한다.In additi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utomatic responsive multi-purpose lift that is installed on the base and further comprises an unloading position sensing unit configured to detect a position between the loading box and the unloading location.

상기 X자 링크는 뒤쪽선단이 상기 적재함의 힌지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앞쪽선단이 상기 제1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고 제1 중심홀과 제1 편심홀이 구비된 제1 링크와, 뒤쪽선단이 상기 기대의 힌지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앞쪽선단이 상기 제2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고 제2 중심홀과 제2 편심홀이 구비된 제2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The X-shaped link has a rear e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hinge bracket of the loading box so that the front end slides along the first guide rail, a first link having a first central hole and a first eccentric hole, and a rear end A front end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hinge bracket of the base so that the front end may include a second link provided with a second center hole and a second eccentric hole while moving along the second guide rail.

상기 제1 가이드레일의 앞쪽에 개방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 링크의 앞쪽선단이 상기 개방부로 빠져나오거나 빠져나오지 않게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링크구속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An opening portion is formed in the front of the first guide rail, and a link restraining means may be further included for selectively restricting the front end of the first link to escape or escape from the opening portion.

상기 축위치가변수단은 상기 X자 링크의 제1링크 설치되어 가변축이 회전하면서 제1,2 중심홀와 제1,2 편심홀을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회전형 축위치가변부 또는 기대에 일정간격을 두고 제1,2 가변축액츄에이터가 설치되어 제1,2 중심홀와 제1,2편심홀을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고정형 축위치가변부로 구현할 수 있다.The axial position variable end is provided with a first link of the X-shaped link so that the variable shaft rotates at a certain interval on the rotating shaft position variable part or base that selectively fixes the first and second center holes and the first and second eccentric holes. The first and second variable shaft actuators are installed, and the first and second center holes and the first and second eccentric holes are selectively fixed to each other.

상기 회전형 축위치가변부는 상기 제1링크의 외표면에 설치된 몸체와, 상기 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2 링크의 제1,2 중심홀 또는 제1,2 링크의 제1,2 편심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가변축을 포함할 수 있다.The rotary shaft position variable part is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link, the body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body and rotates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to rotate the first and second center holes or the first of the first link It may include a variable shaft selectively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eccentric holes of the 1,2 links.

상기 고정형 축위치가변부는 상기 고정형 축위치가변부는 상기 제2 중심홀과 제2 편심홀을 덮도록 상기 제2 링크 표면에 설치된 제1,2 하우징과, 상기 제1,2 하우징의 내부에서 각각 스프링을 매개로 탄성지지되어 선단 접촉에 따라 상기 제1 중심홀과 제2 중심홀이 동시에 결합되거나 상기 제1 편심홀과 제2 편심홀이 동시에 결합되는 제1,2 접촉식가변축 및, 상기 제1,2 접촉식가변축의 선단과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상기 제1,2 접촉식가변축을 작동시키는 제1,2 가변축엑츄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xed shaft position variable part The fixed shaft position variable part includes first and second housings installed on the second link surface so as to cover the second center hole and the second eccentric hole, and springs inside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respectively. The first and second contact-type variable shafts are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medium and the first and second center holes are simultaneously coupled or the first and second eccentric holes are simultaneously coupled according to contact with the tip, and the second It may include first and second variable shaft actuators that selectively contact the tip of the 1,2 contact-type variable shaft to operate the first and second contact-type variable shafts.

상기 제1 접촉식가변축은 상기 제1 가변축엑츄에이터에 의해 한번 접촉될 때마다 교대로 상기 제1 중심홀과 제2 중심홀이 동시에 결합되거나 결합해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접촉식가변축은 상기 제2 가변축엑츄에이터에 의해 한번 접촉될 때마다 교대로 제1 편심홀과 제2 편심홀이 동시에 결합되거나 결합해제되게 구성할 수 있다.The first contact-type variable shaft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first center hole and the second center hole are simultaneously coupled or disengaged, alternately each time the first variable shaft actuator is contacted. In addition, the second contact-type variable shaft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first eccentric hole and the second eccentric hole are coupled or disengaged at the same time each time the second variable shaft actuator is contacted once.

상기 제1,2 가변축엑츄에이터는 상기 기대 횡방향으로 구비된 지지프레임에 설치하거나 상기 제1 중심홀 및 제1 편심홀이 대응되게 상기 제1 링크의 측면에 설치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variable shaft actuators may be installed on a support frame provided in the expected transverse direction, or may be configured to be installed on a side surface of the first link so that the first central hole and the first eccentric hole correspond to each other.

상기 X자 링크는 상기 제1,2 링크가 복수단으로 구성되어 상기 적재함의 동작 높이가 가변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The X-shaped link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first and second links are configured in a plurality of stages so that the operating height of the loading box is variable.

본 발명의 구현예에 의하면, 간단한 조작으로 축위치가변부의 가변축을 제1,2 링크의 중심홀 또는 편심홀에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X자 링크의 연결축 위치를 가변할 수 있기 때문에 적재함을 회동, 승강회동, 수평승강 모션으로 자유롭게 전환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osition of the connecting shaft of the X-shaped link can be changed by selectively coupling the variable shaft of the axial position variable part to the center hole or the eccentric hole of the first and second links, the loading box is rotated, It is possible to freely switch between lifting and lowering and horizontal lifting motions.

또한, 차량 후방에 설치되는 하적위치감지부를 통하여 하적장소와의 거리, 하적장소의 높이 등을 감지함으로써 적재함의 하적위치를 최적위치로 설정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by detecting the distance to the unloading location and the height of the unloading location through the unloading position detecting unit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vehicle, it is possible to set the unloading position of the loading box to the optimum position.

본 발명의 구현에 따른 자동감응식 다용도 리프트는 차량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농업용, 어업용, 산업용 하역장치 등 다양하게 적용가능하다. 더욱이 차량, 농업용/산업용 하역장치에 적용될 경우 사용용도에 따라 승강작업, 평지 적재물하역작업, 높이가 있는 적재공간에 적재물하역 작업을 모두 이루낼 수 있기 때문에 편의성과 사용성을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 automatic responsive multi-purpose lif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not only to a vehicle, but also can be applied in various ways, such as for agriculture, fishing, and industrial handling equipment. Moreover, when applied to vehicles and agricultural/industrial unloading devices, it is possible to improve convenience and usability because it can accomplish all of the lifting, unloading of flat land, and unloading of loads in a high loading space depending on the intended us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감응식 다용도 리프트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감응식 다용도 리프트가 접혀진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동감응식 다용도 리프트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동감응식 다용도 리프트의 링크구속수단이 도시된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동감응식 다용도 리프트의 축위치가변부의 단면구성도,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리프트 모드별 축위치가변부의 결합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감응식 다용도 리프트가 회동되는 사용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감응식 다용도 리프트가 승강회동되는 사용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감응식 다용도 리프트가 수평승강되는 사용상태도이다.
1 is a side view showing an automatic responsive multi-purpose lif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1;
3 is a folded state diagram of an automatic multi-purpose lif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ide view showing an automatic responsive multipurpose lif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link restraining means of an automatic responsive multipurpose lif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axial position variable part of an automatic sensing multipurpose lif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A to 7C are a combined state diagram of a axial position variable part for each multipurpose lift mod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use state in which the automatic sensing multipurpose lif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otated,
9 is a use state diagram in which the automatic responsive multi-purpose lif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ved up and down,
10 is a state diagram in which the automatic responsive multipurpose lif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horizontally elevated.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범위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가능한 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낸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However, this is presented as an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by,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The embodiments described later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concep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far as possible, the same or similar parts are indicated us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이하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The terminology used below is only for referring to specific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forms as used herein also include plural forms unless the phrases clearly indicate the opposite. The meaning of “comprising” as used in the specification specifies a specific characteristic, region, integer, step, action, element and/or component, and other specific characteristic, region, integer, step, action, element, component and/or group It does not ex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비교예를 기재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preferred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However, the following examples are only preferred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감응식 다용도 리프트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1 is a side view showing an automatic multi-purpose lif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1.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감응식 다용도 리프트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대(10), 적재함(20), X자 링크(30), 링크구속수단(40), 축위치가변수단(50), 링크작동엑츄에이터(60), 하적위치감지부(70)를 포함한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링크구속수단(40), 축위치가변수단(50), 링크작동엑츄에이터(60), 하적위치감지부(70)를 선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The automatic responsive multipurpose lif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ase 10, a loading box 20, an X-shaped link 30, a link restraining means 40, as shown in FIGS. 1 to 3, The shaft position includes a variable stage (50), a link actuator (60), and a load position detection unit (70). 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it includes a control unit for selectively controlling the link restraining means 40, the variable axis position 50, the link operation actuator 60, and the unloading position detection unit 70.

상기 기대(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B)의 상부 양쪽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X자 링크(30)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기대(10)는 상부에 1쌍의 제1 가이드레일(12)이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후술하는 1쌍의 제1 링크(32)의 하부가 슬라이드이동가능하게 지지되도록되어 있고, 후단부에 1쌍의 힌지브라켓(14)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1쌍의 제2 링크(34)의 하부가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가이드레일(12)은 상단 앞쪽에 개방부(12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기대(10)는 후미에 상기 링크작동엑츄에이터(60)의 하부선단이 힌지연결되어 상기 X자 링크(30)를 작동시키도록 되어 있다.The base 10 is disposed on both upper sides of the vehicle body B, as shown in FIGS. 1 and 2, and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lower portion of the X-shaped link 30. In the base 10, a pair of first guide rails 12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t an upper portion so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pair of first links 3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supported to be slidably movable, and at the rear end A pair of hinge brackets 14 are formed so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pair of second links 34 to be described later is rotatably supported. Here, the first guide rail 12 has an opening 12a formed in the front of the top. In addition, the base 10 is hinged to the lower end of the link operating actuator 60 at the rear to operate the X-shaped link 30.

상기 적재함(2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X자 링크(30)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기대(10)를 기준으로 승하강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적재함(20)은 크게 회동, 승강회동(하강회동), 수평승강(수평하강) 모션으로 선택적으로 전환되도록 되어 있다. 이는 후술하는 링크구속수단(40)에 의해 X자 링크(30)의 제1 링크(32) 하부가 구속되어 제1 가이드레일(12)를 따라 슬라이드이동을 할 수 있는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축위치가변수단(50)이 X자 링크(30)의 중심홀 또는 편심홀 중 어느 부분을 연결하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FIG. 1, the loading box 20 is supported by the X-shaped link 30 to move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base 10. Here, the loading box 20 is largely rotated, vertically rotated (lowered), and selectively switched to horizontal lifting (horizontal lowering) motion. This may vary depending on whether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link 32 of the X-shaped link 30 is constrained by the link restraining means 40 to be described later, so that the slide can be moved along the first guide rail 12. In addition, the axis position variable end 5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ay vary depending on which part of the center hole or the eccentric hole of the X-shaped link 30 is connected.

그리고, 적재함(20)은 하부에 1쌍의 제2 가이드레일(22)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X자 링크(30)의 제2 링크(34)의 상부가 슬라이드이동하도록 되어 있고, 후단부에 힌지브라켓(24)이 형성되어 X자 링크(30)의 제1 링크(32)의 뒤쪽선단이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loading box 20 has a pair of second guide rails 22 formed at the bottom so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link 34 of the X-shaped link 30 to be described later slides, and is hinged at the rear end. The bracket 24 is formed so that the rear end of the first link 32 of the X-shaped link 30 is rotatably supported.

상기 X자 링크(30)는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대(10)와 적재함(20) 사이에 배치되어 링크작동엑츄에이터(60)의 로드부(62)가 신축작동함에 따라 기대(10)를 기준으로 적재함(20)을 승하강하도록 되어 있다.The X-shaped link 30 is arranged between the base 10 and the loading box 20, as shown in FIGS. 1 and 4, and is expected as the rod part 62 of the link operating actuator 60 expands and contracts. Based on (10), the loading box 20 is raised and lowered.

그리고, X자 링크(30)는 뒤쪽선단이 상기 힌지브라켓(24)에 힌지연결되어 앞쪽선단이 상기 제1 가이드레일(12)을 따라 이동하는 제1 링크(32)와, 뒤쪽선단이 상기 힌지브라켓(14)에 힌지연결되어 앞쪽선단이 상기 제2 가이드레일(22)을 따라 이동하는 제2 링크(34)로 이루어져 있다. In addition, the X-shaped link 30 includes a first link 32 whose rear end is hingedly connected to the hinge bracket 24 so that the front end moves along the first guide rail 12, and the rear end is the hinge. It consists of a second link 34 that is hinged to the bracket 14 so that the front end moves along the second guide rail 22.

상기 제1 링크(32)는 앞쪽선단부에 1쌍의 제1 롤러(33)가 구비되어 상기 제1 가이드레일(12)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1쌍의 제1 롤러(33)는 제1 롤러연결축(미도시)의 선단에 각각 구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링크(32)는 중심부에 형성된 제1 중심홀(32a)과 상기 제1 중심홀(32a)에서 상부로 일정거리를 두고 제1 편심홀(32b)이 형성되어 있다. The first link 32 is provided with a pair of first rollers 33 at the front end thereof to slide along the first guide rail 12. Here, the pair of first rollers 33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first roller connecting shaft (not shown) so as to be rollable. In addition, the first link 32 has a first center hole 32a formed in the center and a first eccentric hole 32b at a predetermined distance upward from the first center hole 32a.

상기 제1 롤러(33)는 상기 제1 가이드레일(12)의 개방부(12a)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링크구속수단(40)에 의해 구속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롤러(33)를 선택적으로 구속시키는 이유는, 상기 X자 링크(30)의 작동에 따라 상기 적재함(20)이 회동, 승강회동(하강회동), 수평승강(수평하강) 모션으로 선택적으로 전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first roller 33 is constrained by a link restraining means 40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12a of the first guide rail 12. Here, the reason for selectively restraining the first roller 33 is that the loading box 20 rotates, lifts and rotates (lower rotation), and horizontal lift (horizontal lowering) mo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X-shaped link 30 It is to be selectively converted into.

상기 제2 링크(34)는 앞쪽선단부에 1쌍의 제2 롤러(35)가 구비되어 상기 제2 가이드레일(22)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1쌍의 제2 롤러(35)는 제2 롤러연결축(미도시)의 선단에 각각 구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제2 링크(34)는 중심부에 형성된 제2 지지홀(34a)과 상기 제2 지지홀(34a)에서 상부로 일정거리를 두고 제2 편심홀(34b)이 형성되어 있다.The second link 34 is provided with a pair of second rollers 35 at the front end thereof to slide along the second guide rail 22. Here, the pair of second rollers 35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second roller connecting shaft (not shown) so as to be rollable. In addition, the second link 34 has a second support hole 34a formed in the center and a second eccentric hole 34b with a predetermined distance upward from the second support hole 34a.

상기 제2 롤러(35)는 상기 제1 롤러(33)와 달리, 항상 제2 가이드레일(22)의 내부에서 이탈하지 않고 좌우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Unlike the first roller 33, the second roller 35 is designed to slide left and right without always being separated from the inside of the second guide rail 22.

한편, X자 링크(30)는 제1,2 링크(32,34)를 2단, 3단 등 복수단으로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X자링크(30)는 제1,2 링크(32,34)를 2단 또는 3단으로 형성할 경우 수평승강 모션에서 적재함(20)의 높이를 2배 또는 3배로 높게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제1,2 링크(32,34)를 2단 이상으로 할 경우 이를 작동시키는 추가 엑츄에이터가 필요하게 된다.Meanwhile, the X-shaped link 30 may be configured by forming the first and second links 32 and 34 in a plurality of stages, such as two stages and three stages. Here, the X-shaped link 30 can be set as high as 2 or 3 times the height of the loading box 20 in the horizontal lifting motion when the first and second links 32 and 34 are formed in two or three stages. . Of course, when the first and second links 32 and 34 are in two or more stages, an additional actuator to operate them is required.

상기 링크구속수단(4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이드레일(12)의 선단에 설치된 레크(42)와, 상기 레크(42)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피니언(44)을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링크수속수단(40)은 상기 제1 링크(32)의 제1 롤러(33)가 상기 개방부(12a)로 빠져나오거나 빠져나오지 않게 구속하는 역할을 한게 된다. 즉 링크구속수단(40)은 상기 레크(42)와 피니언(44)을 통해 상기 제1 가이드레일(12)의 개방부(12a)를 여닫으므로써 제1 링크(32)의 제1 롤러(33)를 선택적으로 구속하게 되는 것이다.The link restraint means 40 includes a rack 42 installed at the front end of the first guide rail 12 and a pinion 44 for moving the rack 42 left and right, as shown in FIG. have. Here, the link procedure means 40 serves to restrain the first roller 33 of the first link 32 so that it may or may not come out of the opening portion 12a. That is, the link restraining means 40 opens and closes the opening 12a of the first guide rail 12 through the rack 42 and the pinion 44, so that the first roller 33 of the first link 32 ) Is selectively bound.

상기 축위치가변수단(5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X자 링크(30)의 제1 링크(32)에 설치되어 회전식가변축(52)이 회전하면서 상기 제1,2 링크(32,34)의 제1,2 중심홀(32a,34a)와 제1,2 편심홀(32b,34b)을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회전형 축위치가변부로 구성할 수 있다. The variable shaft position 50 is installed on the first link 32 of the X-shaped link 30, as shown in Figs. 1 and 2, and the rotary variable shaft 52 rotates while the first, 2 It may be composed of a rotating shaft position variable portion for selectively fixing the first and second center holes 32a and 34a of the links 32 and 34 and the first and second eccentric holes 32b and 34b.

즉 회전형 축위치가변부는 몸체(51)와, 상기 몸체(5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2 링크(32,34)의 제1,2 중심홀(32a,34a) 또는 제1,2 링크(32,34)의 제1,2 편심홀(32b,34b)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회전식가변축(52)을 포함한다.That is, the rotating shaft position variable part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body 51 and the body 51 and rotates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to the first and second center holes of the first and second links 32 and 34 It includes a rotary variable shaft 52 selectively coupled to the (32a, 34a) or the first and second eccentric holes (32b, 34b) of the first and second links (32, 34).

상기 회전식가변축(5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쌍의 축심(52a)이 대향하게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축심(52a)은 상기 제1,2 중심홀(32a,34a) 또는 제1,2 편심홀(32b,34b)이 동시에 결합될 만큼 일정길이로 형성되어야 하고, 제1,2 중심홀(32a,34a) 또는 제1,2 편심홀(32b,34b)에 결합된 상태에서 적재함(20)의 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을 정도의 강도를 가져야 한다.As shown in Fig. 2, the rotary variable shaft 52 has a pair of shaft centers 52a facing each other. Here, the shaft center 52a must b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center holes 32a and 34a or the first and second eccentric holes 32b and 34b are simultaneously coupled, and the first and second center holes (32a, 34a) or the first and second eccentric holes (32b, 34b) should have enough strength to withstand the load of the loading box (20).

상기 회전식가변축(52)이 실선으로 도시된 제1,2 링크(32,34)의 제1,2 편심홀(32b,34b)에 결합되는 경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함(20)이 승강회동(하강회동) 모션을 이루어내는데 적용하게 된다. When the rotary variable shaft 52 is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eccentric holes 32b and 34b of the first and second links 32 and 34 shown in solid lines, a loading box 20 as shown in FIG. 5 It is applied to achieve this up and down rotation (down rotation) motion.

반면, 회전식가변축(52)이 점선으로 도시된 제1,2 링크(32,34)의 제1,2 중심홀(32a,34a)에 결합되는 경우는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함(20)이 회동, 수평승강(수평하강) 모션을 이루어내는데 적용하게 된다. 물론, 도 4와 같이 적재함(20)이 회동 모션을 이루어내기 위해서는 회전식가변축(52)이 제1,2 링크(32,34)의 제1,2 중심홀(32a,34a)에 결합되고, 상기 제1 가이드레일(12)의 개방부(12a)가 열린 상태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rotary variable shaft 52 is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center holes 32a and 34a of the first and second links 32 and 34 shown in dotted lines, as shown in FIGS. 4 and 6 The loading box 20 is applied to achieve a rotating, horizontal lifting (horizontal lowering) motion. Of course, in order for the loading box 20 to achieve a rotational motion as shown in FIG. 4, the rotary variable shaft 52 is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center holes 32a and 34a of the first and second links 32 and 34, The opening 12a of the first guide rail 12 may be opened.

상기 링크작동엑츄에이터(6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X자 링크(30)를 승강시키거나 하강시키는 구동수단이다. 링크작동엑츄에이터(60)는 하부선단이 상기 기대(10)에 회동가능하게 힌지연결되어 있고, 상부선단이 상기 X자 링크(30)의 제2 링크(34)에 고정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링크작동엑츄에이터(60)는 상기 X자 링크(30)가 접혀질 때 기대(10)의 내부로 수용되도록 설치되어 있다.The link operation actuator 60 is a driving means for raising or lowering the X-shaped link 30 as shown in FIGS. 1 and 3. The link operating actuator 60 has a lower end hingedly connected to the base 10 so as to be rotatable, and an upper end fixed to the second link 34 of the X-shaped link 30. Further, the link operation actuator 60 is installed so as to be accommodated into the base 10 when the X-shaped link 30 is folded.

따라서, 링크작동엑츄에이터(60)는 로드부(62)가 신장하게 되면 도 9 내지 도 11과 같이 X자 링크(30)의 제1,2 링크(32,34)가 펼쳐짐에 따라 적재함(20)이 회동, 승강회동, 수평승강 모션을 이루어낼 수 있게 된다. 물론, 링크작동엑츄에이터(60)는 로드부(62)가 수축하게 되면 X자 링크(30)의 제1,2 링크(32,34)가 접혀짐에 따라 적재함(20)이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rod part 62 is extended, the link actuator 60 is loaded as the first and second links 32 and 34 of the X-shaped link 30 are unfolded as shown in FIGS. 9 to 11. This rotation, lifting and descending rotation, and horizontal lifting motion can be achieved. Of course, when the rod part 62 is contracted, the link operating actuator 60 returns the loading box 20 to its original position as the first and second links 32 and 34 of the X-shaped link 30 are folded. .

상기 하적위치감지부(7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대(10) 후면에 설치되어 상기 적재함(20)의 하적위치를 감지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하적위치감지부(70)는 적재함(20)과 하적장소와의 거리, 하적장소의 높이 등을 감지함으로써 적재함(20)의 하적위치를 손쉽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FIGS. 1 and 3, the unloading position detecting unit 70 is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base 10 to detect the unloading position of the loading box 20. Here, the unloading position detecting unit 70 can easily adjust the unloading position of the loading box 20 by sensing the distance between the loading box 20 and the unloading place, the height of the unloading place, and the like.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제어부는 링크구속수단(40), 축위치가변수단(50), 링크작동엑츄에이터(60), 하적위치감지부(70)를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하적장소의 하적위치를 설정한 이후 X자 링크(30)를 선택 작동시킴에 따라 적재함(20)이 회동, 승강회동, 수평승강 모션을 이루어낼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control unit selectively controls the link restraining means 40, the axis position variable stage 50, the link operation actuator 60, and the unloading position detection unit 70 to control the unloading position of the unloading place. After setting, as the X-shaped link 30 is selectively operated, the loading box 20 can rotate, lift and rotate, and achieve horizontal lift motion.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동감응식 다용도 리프트에 의하면, 레크(42)와 피니언(44)으로 구성된 링크구속수단(40)을 통해 제1 링크(32)의 제1 롤러(33)를 선택적으로 구속하고, 몸체(51)와 회전식가변축(52)으로 구성된 축위치가변수단(50)을 통해 상기 회전식가변축(52)의 축심(52a)이 회전하여 제1,2 링크(32,34)의 중심홀(32a,34a) 또는 편심홀(32b,34b)에 선택적으로 결합함으로써 회동, 승강회동(하강회동), 수평승강(수평하강) 모션으로 전환될 수 있게 된다. 또한, X자링크(30)의 제1,2 링크(32,34)를 2단 또는 3단으로 형성할 경우 수평승강 모션에서 적재함(20)의 높이를 2배 또는 3배로 높게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According to the automatic responsive multipurpose lif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roller 33 of the first link 32 is moved through the link restraining means 40 composed of the rack 42 and the pinion 44. Selectively constrained, and the shaft center 52a of the rotary variable shaft 52 rotates through the shaft position variable end 50 composed of the body 51 and the rotary variable shaft 52 to rotate the first and second links 32, By selectively coupling to the center holes 32a and 34a or the eccentric holes 32b and 34b of 34), it is possible to switch to a rotation, an elevation rotation (downward rotation), and a horizontal elevation (horizontal lowering) motion. In addition, when the first and second links 32 and 34 of the X-shaped link 30 are formed in two or three stages, the height of the loading box 20 can be set as high as 2 or 3 times in the horizontal lifting motion. .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동감응식 다용도 리프트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동감응식 다용도 리프트의 링크구속수단이 도시된 구성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동감응식 다용도 리프트의 축위치가변부의 단면구성도이다.4 is a side view showing an automatic responsive multi-purpose lif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link restraining means of an automatic responsive multi-purpose lif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axial position variable part of an automatic sensing multipurpose lif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동감응식 다용도 리프트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대(10), 적재함(20), 제1,2 링크(32)가 구비돈 X자 링크(30), 링크구속수단(40), 축위치가변수단(50), 링크작동엑츄에이터(60), 하적위치감지부(70)를 포함한다.The automatic responsive multipurpose lif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X-shaped link provided with the base 10, the loading box 20, and the first and second links 32 as shown in FIGS. 4 to 6 (30), link restraint means (40), the axis position variable stage (50), and a link operation actuator (60), and a load position detection unit (70).

상기 기대(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B)의 상부 양쪽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X자 링크(30)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기대(10)는 상부에 1쌍의 제1 가이드레일(12)이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후술하는 1쌍의 제1 링크(32)의 하부가 슬라이드이동가능하게 지지되도록되어 있고, 후단부에 1쌍의 힌지브라켓(14)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1쌍의 제2 링크(34)의 하부가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가이드레일(12)은 상단 앞쪽에 개방부(12a)가 형성되어 있다.The base 10 is disposed on both upper sides of the vehicle body B, as shown in FIG. 4, and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lower portion of the X-shaped link 30. In the base 10, a pair of first guide rails 12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t an upper portion so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pair of first links 3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supported to be slidably movable, and at the rear end A pair of hinge brackets 14 are formed so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pair of second links 34 to be described later is rotatably supported. Here, the first guide rail 12 has an opening 12a formed in the front of the top.

그리고, 기대(10)는 폭방향으로 종지지프레임(16)과 길이방향으로 횡지지프레임(18)이 구비되어 상기 링크구속수단(40)과 축위치가변수단(50)이 설치되도록 되어 있다. 기대(10)의 후미에는 상기 링크작동엑츄에이터(60)의 하부선단이 힌지연결되어 상기 X자 링크(30)를 작동시키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base 10 is provided with a longitudinal support frame 16 in the width direction and a transverse support frame 18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link restraining means 40 and the axial position variable end 50 are installed. The lower end of the link operation actuator 60 is hingedly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base 10 to operate the X-shaped link 30.

상기 적재함(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X자 링크(30)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기대(10)를 기준으로 승하강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적재함(20)은 크게 회동, 승강회동(하강회동), 수평승강(수평하강) 모션으로 선택적으로 전환되도록 되어 있다. 이는 후술하는 링크구속수단(40)에 의해 X자 링크(30)의 제1 링크(32) 하부가 구속되어 제1 가이드레일(12)을 따라 슬라이드이동을 할 수 있는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축위치가변수단(50)이 X자 링크(30)의 중심홀 또는 편심홀 중 어느 부분을 연결하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FIG. 4, the loading box 20 is supported by the X-shaped link 30 to move up and down based on the base 10. Here, the loading box 20 is largely rotated, vertically rotated (lowered), and selectively switched to horizontal lifting (horizontal lowering) motion. This may vary depending on whether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link 32 of the X-shaped link 30 is constrained by the link restraining means 40 to be described later, so that the slide can be moved along the first guide rail 12. In addition, the axis position variable end 5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ay vary depending on which part of the center hole or the eccentric hole of the X-shaped link 30 is connected.

그리고, 적재함(20)은 하부에 1쌍의 제2 가이드레일(22)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X자 링크(30)의 제2 링크(34)의 상부가 슬라이드이동하도록 되어 있고, 후단부에 힌지브라켓(24)이 형성되어 X자 링크(30)의 제1 링크(32)의 뒤쪽선단이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loading box 20 has a pair of second guide rails 22 formed at the bottom so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link 34 of the X-shaped link 30 to be described later slides, and is hinged at the rear end. The bracket 24 is formed so that the rear end of the first link 32 of the X-shaped link 30 is rotatably supported.

상기 X자 링크(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대(10)과 적재함(20) 사이에 배치되어 링크작동엑츄에이터(60)의 로드부(62)가 신축작동함에 따라 기대(10)를 기준으로 적재함(20)을 승하강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X자 링크(30)는 뒤쪽선단이 상기 힌지브라켓(24)에 힌지연결되어 앞쪽선단이 상기 제1 가이드레일(12)을 따라 이동하는 제1 링크(32)와, 뒤쪽선단이 상기 힌지브라켓(14)에 힌지연결되어 앞쪽선단이 상기 제2 가이드레일(22)을 따라 이동하는 제2 링크(34)로 이루어져 있다. As shown in FIG. 4, the X-shaped link 30 is disposed between the base 10 and the loading box 20 to expand and contract the base 10 as the rod part 62 of the link operating actuator 60 expands and contracts. It is designed to elevate the loading box 20 as a reference. In addition, the X-shaped link 30 includes a first link 32 whose rear end is hingedly connected to the hinge bracket 24 so that the front end moves along the first guide rail 12, and the rear end is the hinge. It consists of a second link 34 that is hinged to the bracket 14 so that the front end moves along the second guide rail 22.

상기 제1 링크(32)는 앞쪽선단부에 1쌍의 제1 롤러(33)가 구비되어 상기 제1 가이드레일(12)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링크(32)는 중심부에 형성된 제1 중심홀(32a)과 상기 제1 중심홀(32a)에서 상부로 일정거리를 두고 제1 편심홀(32b)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1 링크(32)는 상기 힌지브라켓(24)이 연결되는 부분이 일정한 각도로 굽어진 구조로 되어 승강회동(하강회동) 또는 수평승강(수평하강) 모션에서 주변부재와 간섭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The first link 32 is provided with a pair of first rollers 33 at the front end thereof to slide along the first guide rail 12. In addition, the first link 32 has a first center hole 32a formed in the center and a first eccentric hole 32b at a predetermined distance upward from the first center hole 32a. Here, the first link 32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portion to which the hinge bracket 24 is connected is bent at a certain angle, so that i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surrounding members in an ascending rotation (downward rotation) or a horizontal elevation (horizontal lowering) motion. have.

상기 1쌍의 제1 롤러(33)는 제1 롤러연결축(36)의 선단에 각각 구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롤러(33)는 상기 제1 가이드레일(12)의 개방부(12a)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링크구속수단(40)에 의해 구속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롤러(33)를 선택적으로 구속시키는 이유는, 상기 X자 링크(30)의 작동에 따라 상기 적재함(20)이 회동, 승강회동(하강회동), 수평승강(수평하강) 모션으로 선택적으로 전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pair of first rollers 33 are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first roller connecting shaft 36 so as to be rollable. Further, the first roller 33 is constrained by a link restraining means 40 that selectively opens and closes the opening 12a of the first guide rail 12. Here, the reason for selectively restraining the first roller 33 is that the loading box 20 rotates, lifts and rotates (lower rotation), and horizontal lift (horizontal lowering) mo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X-shaped link 30 It is to be selectively converted into.

상기 제2 링크(34)는 앞쪽선단부에 1쌍의 제2 롤러(35)가 구비되어 상기 제2 가이드레일(22)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제2 링크(34)는 중심부에 형성된 제2 지지홀(34a)과 상기 제2 지지홀(34a)에서 상부로 일정거리를 두고 제2 편심홀(34b)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2 링크(34)는 상기 제2 가이드레일(22)을 따라 이동하는 앞쪽부분이 부분이 일정한 각도로 굽어진 구조로 되어 승강회동(하강회동) 또는 수평승강(수평하강) 모션에서 주변부재와 간섭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The second link 34 is provided with a pair of second rollers 35 at the front end thereof to slide along the second guide rail 22. In addition, the second link 34 has a second support hole 34a formed in the center and a second eccentric hole 34b with a predetermined distance upward from the second support hole 34a. Here, the second link 34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front part moving along the second guide rail 22 is bent at a certain angle, so that the surrounding area in an ascending rotation (descent rotation) or a horizontal lifting (horizontal descent) motion. It is designed not to interfere with the member.

상기 1쌍의 제2 롤러(35)는 제2 롤러연결축(미도시)의 선단에 각각 구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제2 롤러(35)는 상기 제1 롤러(33)와 달리, 항상 제2 가이드레일(22)의 내부에서 이탈하지 않고 좌우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The pair of second rollers 35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second roller connecting shaft (not shown) so as to be rollable. And, unlike the first roller 33, the second roller 35 is designed to slide left and right without always leaving the inside of the second guide rail 22.

상기 링크구속수단(4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지지프레임(16)의 중앙에 설치되고 로드부(46a)가 구비된 링크구속엑츄에이터(46)와, 상기 제1 롤러연결축(36)의 중앙에 설되고 상기 로드부(46a)가 전진시 맞물리는 가이드블록(48)을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블록(48)은 상면에 가이드홈(48a)이 형성되어 상기 로드부(46a)가 맞물리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링크구속수단(40)은 상기 제1 링크(32)의 제1 롤러(33)가 상기 개방부(12a)로 빠져나오거나 빠져나오지 않게 구속하는 역할을 한다.As shown in FIG. 5, the link restraining means 40 includes a link restraining actuator 46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longitudinal support frame 16 and provided with a rod part 46a, and the first roller connecting shaft ( It is installed in the center of 36) and includes a guide block 48 that is engaged when the rod portion 46a is advanced. The guide block 48 has a guide groove 48a form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so that the rod part 46a is engaged. Here, the link restraining means 40 serves to restrain the first roller 33 of the first link 32 so as not to escape or escape through the opening 12a.

상기 링크구속엑츄에이터(46)는 상기 로드부(46a)의 작동과 X자 링크(30)의 작동에 따라 상기 적재함(20)이 회동, 승강회동(하강회동), 수평승강(수평하강) 모션으로 선택적으로 전환될 수 있다. 여기서, 로드부(46a)가 작동될 경우 상기 제1 링크(32)의 제1 롤러(33)가 상기 개방부(12a)로 빠져나오지 않게 구속됨으로써 승강회동 또는 수평승강 모션으로 전환될 수 있다. 반면, 로드부(46a)가 작동되지 않을 경우 상기 제1 링크(32)의 제1 롤러(33)가 상기 개방부(12a)로 빠져나와 구속되지 않음으로써 회동 모션으로 전환될 수 있다.The link restraint actuator 46 rotates, lifts and turns (lower rotation), and horizontal lift (horizontal lowering) mo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rod part 46a and the X-shaped link 30. Can be selectively switched. Here, when the rod part 46a is operated, the first roller 33 of the first link 32 is constrained so that it does not escape to the opening part 12a, so that it can be switched to an elevation rotation or a horizontal elevation motion. On the other hand, when the rod portion 46a is not operated, the first roller 33 of the first link 32 may escape to the opening portion 12a and not be constrained, thereby converting into a rotational motion.

상기 축위치가변수단(50)은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대(10)에 횡지지프레임(18)을 매개로 일정간격을 두고 제1,2 가변축액츄에이터(57,58)가 설치되어 제1,2 중심홀(32a,34a)과 제1,2편심홀(32b,34b)을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고정형 축위치가변부로 구성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4 and 6, the axial position variable end 50 is the first and second variable axial actuators 57 and 58 at regular intervals through the transverse support frame 18 on the base 10. Is installed to be configured as a fixed shaft position variable portion for selectively fixing the first and second center holes 32a and 34a and the first and second eccentric holes 32b and 34b.

상기 고정형 축위치가변부는 제1,2 하우징(53,54)과, 상기 제1,2 하우징(53,54)의 내부에 스프링(55a,56a)을 매개로 탄성지지된 제1,2 접촉식가변축(55,56)과, 상기 제1,2 접촉식가변축(55,56)을 작동시키는 제1,2 가변축엑츄에이터(57,58)를 포함한다. 또한, 제어부의 신호를 받아서 제1,2 가변축엑츄에이터(57,58)를 선택적으로 가동시키는 작동패널(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ixed shaft position variable part is a first and second contact type elastically supported by springs 55a and 56a inside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53 and 54 and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53 and 54 It includes variable shafts (55, 56), and first and second variable shaft actuators (57, 58) for operating the first and second contact-type variable shafts (55, 56). In ad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an operation panel (not shown) for selectively operating the first and second variable shaft actuators 57 and 58 by receiving a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상기 제1 하우징(53)은 상기 제2 중심홀(34a)을 덮도록 상기 제2 링크(34)의 측면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 하우징(54)은 상기 제2 편심홀(34b)을 덮도록 상기 제2 링크(34)의 측면에 설치되어 있다.The first housing 53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second link 34 to cover the second central hole 34a. In addition, the second housing 54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second link 34 to cover the second eccentric hole 34b.

상기 제1 접촉식가변축(55)은 상기 제1 하우징(53)의 내부에서 스프링(55a)을 매개로 탄성지지되어 선단 접촉에 따라 상기 제1 중심홀(32a)과 제2 중심홀(34a)이 동시에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제1 접촉식가변축(55)은 상기 제2 링크(34)의 제2 중심홀(34a)에 관통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가변축엑츄에이터(57)에 의해 한번 접촉될 때마다 교대로 상기 제1 중심홀(32a)과 제2 중심홀(34a)이 동시에 결합되거나 결합해제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The first contact-type variable shaft 55 is elastically supported through a spring 55a inside the first housing 53, so that the first center hole 32a and the second center hole 34a are in contact with the tip end. ) Are supposed to be combined at the same time. Here, the first contact variable shaft 55 alternates each time it is contacted once by the first variable shaft actuator 57 in a state in which it is penetrating through the second center hole 34a of the second link 34 As a result, the first central hole 32a and the second central hole 34a are simultaneously coupled or disengaged.

상기 제2 접촉식가변축(56)은 상기 제2 하우징(54)의 내부에서 스프링(56a)을 매개로 탄성지지되어 선단 접촉에 따라 상기 제1 편심홀(32b)과 제2 편심홀(34b)이 동시에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접촉식가변축(56)은 상기 제2 링크(34)의 제2 편심홀(34b)에 관통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2 가변축엑츄에이터(58)에 의해 한번 접촉될 때마다 교대로 제1 편심홀(32b)과 제2 편심홀(34b)이 동시에 결합되거나 결합해제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The second contact-type variable shaft 56 is elastically supported through a spring 56a inside the second housing 54, and the first eccentric hole 32b and the second eccentric hole 34b are in contact with the tip end. ) Are supposed to be combined at the same time. Here, whenever the second contact variable shaft 56 is contacted once by the second variable shaft actuator 58 in a state in which it is penetrating through the second eccentric hole 34b of the second link 34 It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eccentric hole 32b and the second eccentric hole 34b are alternately coupled or disengaged.

상기 제1,2 접촉식가변축(55,56)은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 승강회동, 수평승강 모션에 따라 제1,2 중심홀(32a,34a)과 제,2 편심홀(32b,34b)에 결합상태가 달라지게 된다.The first and second contact-type variable shafts 55 and 56 are the first and second center holes 32a and 34a and the first and second center holes 32a and 34a according to rotation, lifting and lowering, and horizontal lifting motion, as shown in FIGS. 7A to 7C. 2 The coupling state to the eccentric holes 32b and 34b is changed.

회동 모션일 경우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 링크(32,34)에서 제1 접촉식가변축(55)이 제1,2 중심홀(32a,34a)에 동시에 결합되고, 제2 접촉식가변축(56)이 제1,2 편심홀(32b,34b)에 동시에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승강회동 모션일 경우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링크(32,34)에서 제1 접촉식가변축(55)이 제1,2 중심홀(32a,34a)에서 결합해제되고, 제2 접촉식가변축(56)이 제1,2 편심홀(32b,34b)에 동시에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수평승강 모션일 경우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 링크(32,34)에서 제1 접촉식가변축(55)이 제1,2 중심홀(32a,34a)에 동시에 결합되고, 제2 접촉식가변축(56)이 제1,2 편심홀(32b,34b)에서 결합해제되도록 되어 있다.In the case of a rotational motion, as shown in Fig. 7A, the first contact-type variable shaft 55 is simultaneously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center holes 32a and 34a in the first and second links 32 and 34, The two-contact variable shaft 56 is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eccentric holes 32b and 34b at the same time. In the case of the lifting and rotating motion, as shown in FIG. 7B, the first contact-type variable shaft 55 in the first and second links 32 and 34 is disengaged in the first and second central holes 32a and 34a, The second contact variable shaft 56 is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eccentric holes 32b and 34b at the same time. In the case of horizontal lifting motion, as shown in FIG. 7C, the first contact-type variable shaft 55 is simultaneously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center holes 32a and 34a in the first and second links 32 and 34, The second contact-type variable shaft 56 is disengaged in the first and second eccentric holes 32b and 34b.

상기 제1 가변축엑츄에이터(57)는 상기 제1 접촉식가변축(55)의 선단과 접촉하여 상기 제1 접촉식가변축(55)을 제1 중심홀(32a)과 제2 중심홀(34a)에 동시에 결합가능하게 작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2 가변축엑츄에이터(58)는 상기 제2 접촉식가변축(56)의 선단과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상기 제2 접촉식가변축(56)을 상기 제1 편심홀(32b)과 제2 편심홀(34b)을 동시에 결합가능하게 작동시키도록 되어 있다.The first variable shaft actuator 57 contacts the front end of the first contact variable shaft 55 to connect the first contact variable shaft 55 to a first central hole 32a and a second central hole 34a. ), it is designed to be operated so that it can be combined at the same time. The second variable shaft actuator 58 selectively contacts the tip of the second contact variable shaft 56 to connect the second contact variable shaft 56 to the first eccentric hole 32b and the second eccentric The hole 34b is designed to operate so as to be able to be engaged at the same time.

상기 제1,2 가변축엑츄에이터(57,58)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대(10)에 횡방향으로 구비된 횡지지프레임(18)에 설치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2 가변축엑츄에이터(57,58)가 X자 링크(30)의 작동에 무관하게 횡지지프레임(18)에 고정되어 위치가 변경되지 않기 때문에 유압호스 등 주변부재의 정렬이 용이하게 된다.The first and second variable shaft actuators 57 and 58 may be configured to be installed on a transverse support frame 18 provided on the base 10 in a transverse direction as shown in FIG. 4. In this case, since the first and second variable shaft actuators (57, 58) are fixed to the transverse support frame (18) regardless of the operation of the X-shaped link (30) and the position is not changed, it is easy to align peripheral members such as hydraulic hoses. Is done.

한편, 상기 제1,2 가변축엑츄에이터(57,58)는 상기 제1 중심홀(32a) 및 제1 편심홀(32b)이 대응되게 상기 제1 링크(32)의 측면에 직접 설치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and second variable shaft actuators 57 and 58 may be configured to be installed directly on the side of the first link 32 so that the first central hole 32a and the first eccentric hole 32b correspond to each other. I ca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감응식 다용도 리프트의 적재함이 회동, 승강회동, 수평승강 모션으로 작동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process in which the loading box of the automatic responsive multi-purpose lif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rated in rotation, elevation rotation, and horizontal elevation mo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먼저 회동 모션은 도 2, 도 3,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위치가변수단(50)의 회전식가변축(52)이 제1,2 링크(32,34)의 제1,2 중심홀(32a,34a)에 결합되고, 제1 가이드레일(12)의 개방부(12a)가 열린 상태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First, as shown in Figs. 2, 3, and 8, the rotational motion is the rotary variable shaft 52 of the variable axis position 50 is the first and second center holes of the first and second links 32 and 34. It is coupled to (32a, 34a), it can be made in the open state (12a) of the first guide rail (12).

즉 회동 모션은 제어부가 축위치가변수단(50)을 작동되게 하여 회전식가변축(52)의 축심(52a)이 제1,2 링크(32,34)의 제1,2 중심홀(32a,34a)에 결합되게 하고, 링크구속수단(40)인 레크(42)와 피니언(44)이 작동되게 하여 제1 가이드레일(12)의 개방부(12a)를 개방상태에서 링크작동엑츄에이터(60)의 로드부(62)를 신장시키도록 한다. 이 때, 제1 링크(32)의 제1 롤러(33)가 개방부(12a)의 밖으로 나오게 되고 힌지연결된 제1 링크(32)의 상부선단을 기준으로 적재함(20)이 회동하게 되게 된다. 물론, 제어부를 통해 링크구속수단(40), 축위치가변수단(50), 링크작동엑츄에이터(60)를 역방향으로 제어하여 최초 상태인 도 3과 같은 위치로 복귀하도록 할 수 있다. That is, in the rotational motion, the control unit operates the variable shaft position 50 so that the shaft center 52a of the rotary variable shaft 52 becomes the first and second center holes 32a, 34a of the first and second links 32, 34. ), and the link restraining means 40, which is the rack 42 and the pinion 44, are operated so that the opening 12a of the first guide rail 12 is opened, and the link operating actuator 60 is The rod portion 62 is elongated. At this time, the first roller 33 of the first link 32 comes out of the opening 12a and the loading box 20 rotates based on the upper end of the hinge-connected first link 32. Of course, the link restraint means 40, the axis position variable stage 50, and the link operation actuator 60 can be controlled in the reverse direction to return to the initial position as shown in FIG. 3 through the control unit.

이러한 회동 모션의 경우는 평지나 별도의 장벽이 없는 적재장소에 적재함(20)의 적재물을 하역작업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In the case of such a rotational motion, it may be used for unloading and unloading the load of the loading box 20 on a flat ground or a loading place without a separate barrier.

다음으로 승강회동 모션은 도 2, 도 3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위치가변수단(50)의 회전식가변축(52)이 제1,2 링크(32,34)의 제1,2 편심홀(32b,34b)에 결합되고, 제1 가이드레일(12)의 개방부(12a)가 닫힌 상태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승강회동 모션은 제어부가 축위치가변수단(50)을 작동되게 하여 회전식가변축(52)의 축심(34a)이 제1,2 링크(32,34)의 제1,2 편심홀(32b,34b)에 결합되게 하고, 링크구속수단(40)인 레크(42)와 피니언(44)이 작동되게 하여 제1 가이드레일(12)의 개방부(12a)를 닫힌상태에서 링크작동엑츄에이터(60)의 로드(62)를 신장시키도록 한다. 이 때, 링크구속수단(40)인 레크(42)가 개방부(12a)를 닫힌 상태로 유지됨으로써 제1 링크(32)의 제1 롤러(33)가 제1 가이드레일(12)을 따라 좌측에서 우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고 동시에 제2 가이드레(22)을 따라 제2 링크(34)의 제2 롤러(35)가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힌지연결된 제2 링크(34)의 하부선단을 기준으로 적재함(20)이 회동하게 되게 된다.Next, as shown in Fig. 2, Fig. 3 and Fig. 9, the lifting and lowering motion is the rotary variable shaft 52 of the variable axial position 50 is the first and second links 32 and 34 It is coupled to the eccentric holes 32b and 34b, and may be 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 opening 12a of the first guide rail 12 is closed. That is, in the lifting and lowering motion, the control unit operates the variable shaft position 50 so that the shaft center 34a of the rotary variable shaft 52 becomes the first and second eccentric holes 32b of the first and second links 32 and 34. 34b), and the link restraining means 40, which is the rack 42 and the pinion 44, are operated so that the opening 12a of the first guide rail 12 is closed, and the link operating actuator 60 To elongate the rod 62 of. At this time, the first roller 33 of the first link 32 is left along the first guide rail 12 by maintaining the open portion 12a in the closed state by the link restraining means 40 At the same time, the second roller 35 of the second link 34 slides along the second guide rail 22, and at the same time, the second roller 35 of the second link 34 slides and loads based on the lower end of the hinged second link 34. ) Will meet.

이러한 승강회동 모션의 경우는 장벽이 있는 적재장소에 적재함(20)의 적재물을 하역작업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즉 승강회동 모션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 링크(32,34)의 제1,2 편심홀(32b,34b)에 축위치가변수단(50)의 회전식가변축(52)이 연결됨으로써 회동 모션의 상태보다 적재함(20)이 상승되고 더 뒷쪽으로 위치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장벽이 있는 적재장소의 내부에 적재물을 정확하게 하역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the case of such a lifting and rotating motion, it can be used to unload the loads of the loader 20 at a loading place with a barrier. In other words, as shown in Fig. 9, the rotational variable shaft 52 of the variable axis position 50 in the first and second eccentric holes 32b and 34b of the first and second links 32 and 34 is By being connected, the loading box 20 is raised and the position can be moved further backward than in the state of the rotational motion, so that the loading can be accurately unloaded inside the loading place with the barrier.

마지막으로 수평승강 모션은 도 2 및 도 3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가 축위치가변수단(50)을 작동되게 하여 회전식가변축(52)의 축심(52a)이 제1,2 링크(32,34)의 제1,2 중심홀(32a,34a)에 결합되게 하고, 레크(42)와 피니언(44)이 작동되게 하여 제1 가이드레일(12)의 개방부(12a)를 닫힌상태에서 링크작동엑츄에이터(60)의 로드(62)를 신장시키도록 한다. Finally, as shown in Figs. 2 and 3 and 10, the horizontal elevating motion causes the control unit to operate the variable axis position 50 so that the axis 52a of the rotary variable axis 52 is the first and second links. The first and second center holes (32a, 34a) of (32,34) are coupled, and the opening (12a) of the first guide rail (12) is closed by operating the rack (42) and pinion (44). In this state, the rod 62 of the link operating actuator 60 is elongated.

이 때, 링크구속수단(40)인 레크(42)가 개방부(12a)를 닫힌 상태로 유지됨으로써 제1 링크(32)의 제1 롤러(33)가 제1 가이드레일(12)을 따라 좌측에서 우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고 동시에 제2 가이드레(22)을 따라 제2 링크(34)의 제2 롤러(35)가 슬라이드 이동하되, X자 링크(30)가 완전히 펼쳐지게 될 때 제1 링크(32)의 상부선단과 제2 링크(34)의 하부선단에 의해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roller 33 of the first link 32 is left along the first guide rail 12 by maintaining the open portion 12a in the closed state by the link restraining means 40 At the same time, the second roller 35 of the second link 34 slides along the second guide rail 22 and slides to the right, but when the X-shaped link 30 is fully unfolded, the first link 32 ) Is supported by the upper end of the second link 34 and the lower end of the second link 34.

이러한 수평승강 모션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 링크(32,34)의 제1,2 중심홀(32a,34a)에 축위치가변수단(50)의 회전식가변축(52)이 연결되어 X자 링크(30)가 편심되지 않고 펼쳐지게 됨으로써 적재함(20)이 수평을 이룰 수 있게 된다. 물론, 제어부를 통해 링크구속수단(40), 축위치가변수단(50), 링크작동엑츄에이터(60)를 역방향으로 제어하여 최초 상태인 도 3과 같은 위치로 복귀하도록 할 수 있다.In this horizontal lifting motion, as shown in FIG. 10, the rotary variable shaft 52 of the variable axis position 50 is located in the first and second center holes 32a and 34a of the first and second links 32 and 34. It is connected and the X-shaped link 30 is unfolded without being eccentric, so that the loading box 20 can be horizontal. Of course, the link restraint means 40, the axis position variable stage 50, and the link operation actuator 60 can be controlled in the reverse direction to return to the initial position as shown in FIG. 3 through the control unit.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가 본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들에 의해 행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모두 고려되고 포함되어 본 발명의 진정한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할 것이다.Although th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as described above,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mbodiment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ese modifications and other embodiments are all considered and included in the appended claims and will not depart from the tru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기대 12 : 제1 가이드레일
14 : 힌지브라켓 16 : 종지지프레임
18 : 횡지지프레임 20 : 적재함
22 : 제2 가이드레일 24 : 힌지브라켓
30 : X자 링크 32 : 제1 링크
33 : 제1 롤러 34 : 제2 링크
35 : 제2 롤러 36 : 제1 롤러연결축
40 : 링크구속수단 42 : 레크
44 : 피니언 46 : 링크구속엑츄에이터
48 : 가이드블록 50 : 축위치가변수단
51 : 몸체 52 : 회전식가변축
53 : 제1 하우징 54 : 제2 하우징
55 : 제1 접촉식가변축 56 : 제2 접촉식가변축
57 : 제1 축가변엑츄에이터 58 : 제2 축가변엑츄에이터
60 : 링크작동엑츄에이터 62 : 로드부
70 : 하적위치감지부 B : 차체
10: expectation 12: first guide rail
14: hinge bracket 16: longitudinal support frame
18: horizontal support frame 20: loading box
22: second guide rail 24: hinge bracket
30: X-shaped link 32: First link
33: first roller 34: second link
35: second roller 36: first roller connecting shaft
40: link restraint means 42: lek
44: pinion 46: link restraint actuator
48: guide block 50: variable axis position
51: body 52: rotary variable shaft
53: first housing 54: second housing
55: first contact variable shaft 56: second contact variable shaft
57: first variable axis actuator 58: second variable axis actuator
60: link operating actuator 62: rod
70: unloading position detection unit B: vehicle body

Claims (10)

고정단이 기대와 적재함의 후미에 각각 힌지연결되고, 자유단이 상기 기대의 제1 가이드레일과 상기 적재함의 제2 가이드레일을 따라 각각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X자 링크;
상기 X자 링크에 제1,2가변축을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축위치를 가변시키는 축위치가변수단; 및
하부선단이 상기 기대에 힌지연결되고 상부선단이 상기 X자 링크에 연결되어 로드부가 신축함에 따라 상기 X자 링크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링크작동엑츄에이터;를 포함하는 자동감응식 다용도 리프트.
An X-shaped link having a fixed end hingedly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base and the loading box, and having a free end slideably movable along the first guide rail of the base and the second guide rail of the loading box;
An axis position variable stage for changing an axis position by selectively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variable axes to the X-shaped link; And
A link operation actuator having a lower tip hinged to the base and an upper tip connected to the X-shaped link to raise or lower the X-shaped link as the rod expands and contract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대에 설치되어 상기 적재함과 하적장소 사이의 위치를 감지하는 하적위치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감응식 다용도 리프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 unloading position detection unit installed on the base and detecting a position between the loading box and the unloading location; automatic responsive multipurpose lift, further comprising.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X자 링크는 뒤쪽선단이 상기 적재함의 힌지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앞쪽선단이 상기 제1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고 제1 중심홀과 제1 편심홀이 구비된 제1 링크와, 뒤쪽선단이 상기 기대의 힌지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앞쪽선단이 상기 제2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고 제2 중심홀과 제2 편심홀이 구비된 제2 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감응식 다용도 리프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X-shaped link has a rear e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hinge bracket of the loading box so that the front end slides along the first guide rail, a first link having a first central hole and a first eccentric hole, and a rear end The front end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hinge bracket of the base so that the front end moves along the second guide rail and includes a second link having a second center hole and a second eccentric hole. Versatile lift.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레일의 앞쪽에 개방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 링크의 앞쪽선단이 상기 개방부로 빠져나오거나 빠져나오지 않게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링크구속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감응식 다용도 리프트.
The method of claim 3,
And a link restraining means for selectively restraining an opening portion in front of the first guide rail so that the front end of the first link may or may not escape from the opening portion.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축위치가변수단은 상기 X자 링크의 제1링크 설치되어 가변축이 회전하면서 제1,2 중심홀와 제1,2 편심홀을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회전형 축위치가변부 또는 기대에 일정간격을 두고 제1,2 가변축액츄에이터가 설치되어 제1,2 중심홀와 제1,2편심홀을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고정형 축위치가변부로 적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감응식 다용도 리프트.
The method of claim 3,
The axial position variable end is provided with a first link of the X-shaped link so that the variable shaft rotates at a certain interval on the rotating shaft position variable part or base that selectively fixes the first and second center holes and the first and second eccentric holes. An automatic responsive multi-purpose lift,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and second variable shaft actuators are installed and applicable as a fixed shaft position variable part that selectively fixes the first and second center holes and the first and second eccentric holes.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회전형 축위치가변부는 상기 제1링크의 외표면에 설치된 몸체와, 상기 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2 링크의 제1,2 중심홀 또는 제1,2 링크의 제1,2 편심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회전식가변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감응식 다용도 리프트.
The method of claim 5,
The rotary shaft position variable part is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link, the body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body and rotates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to rotate the first and second central holes or the first of the first and second links. Automatically sensitive multi-purpose lif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otary variable shaft selectively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eccentric holes of the 1, 2 links.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고정형 축위치가변부는 상기 제2 중심홀과 제2 편심홀을 덮도록 상기 제2 링크 표면에 설치된 제1,2 하우징과, 상기 제1,2 하우징의 내부에서 각각 스프링을 매개로 탄성지지되어 선단 접촉에 따라 상기 제1 중심홀과 제2 중심홀이 동시에 결합되거나 상기 제1 편심홀과 제2 편심홀이 동시에 결합되는 제1,2 접촉식가변축 및, 상기 제1,2 접촉식가변축의 선단과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상기 제1,2 접촉식가변축을 작동시키는 제1,2 가변축엑츄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감응식 다용도 리프트.
The method of claim 5,
The fixed shaft position variable part is elastically supported by springs inside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installed on the second link surface to cover the second center hole and the second eccentric hole, and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respectively. The first and second contact-type variable shafts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center holes are combined at the same time or the first and second eccentric holes are combined at the same time according to the tip contact, and the first and second contact-type variable An automatic responsive multipurpose lift comprising first and second variable shaft actuators that selectively contact the tip of the shaft to operate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variable shafts.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촉식가변축은 상기 제1 가변축엑츄에이터에 의해 한번 접촉될 때마다 교대로 상기 제1 중심홀과 제2 중심홀이 동시에 결합되거나 결합해제되고,
상기 제2 접촉식가변축은 상기 제2 가변축엑츄에이터에 의해 한번 접촉될 때마다 교대로 제1 편심홀과 제2 편심홀이 동시에 결합되거나 결합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감응식 다용도 리프트.
The method of claim 7,
The first contact-type variable shaft alternately connects or disengages the first center hole and the second center hole at the same time each time it is contacted by the first variable shaft actuator,
The second contact-type variable shaft is an automatic responsive multi-purpose lift,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eccentric hole and the second eccentric hole are alternately coupled or disengaged at the same time each time the second variable shaft actuator is contacted once.
청구항 7항 또는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2 가변축엑츄에이터는 상기 기대 횡방향으로 구비된 지지프레임에 설치하거나 상기 제1 중심홀 및 제1 편심홀이 대응되게 상기 제1 링크의 측면에 설치하도록 된 특징으로 하는 자동감응식 다용도 리프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or 8,
The first and second variable shaft actuators are installed on a support frame provided in the expected transverse direction, or are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first link so that the first center hole and the first eccentric hole correspond to each other. Versatile lift.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X자 링크는 상기 제1,2 링크가 복수단으로 구성되어 상기 적재함의 동작 높이가 가변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감응식 다용도 리프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X-shaped link is a multi-purpose lift,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and second links are configured in a plurality of stages so that the operating height of the loading box is variable.
KR1020200064809A 2019-07-26 2020-05-29 Automatic Responsive Multi-purpose Lift KR10233819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90979 2019-07-26
KR1020190090979 2019-07-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2895A true KR20210012895A (en) 2021-02-03
KR102338198B1 KR102338198B1 (en) 2021-12-10

Family

ID=74571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4809A KR102338198B1 (en) 2019-07-26 2020-05-29 Automatic Responsive Multi-purpose Lif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8198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7834A (en) * 1997-01-31 1998-08-18 Fuji Heavy Ind Ltd Four-joint link elevation device
KR200322583Y1 (en) 2003-03-31 2003-08-09 주식회사 한성에코넷 Lifting device ofdump truck
KR100819384B1 (en) 2007-11-08 2008-04-04 강대호 Lift device for slanting a loading box
KR101327367B1 (en) 2012-06-15 2013-11-11 근우테크 주식회사 Four-wheel drive cart for agriculture with device lift and dump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7834A (en) * 1997-01-31 1998-08-18 Fuji Heavy Ind Ltd Four-joint link elevation device
KR200322583Y1 (en) 2003-03-31 2003-08-09 주식회사 한성에코넷 Lifting device ofdump truck
KR100819384B1 (en) 2007-11-08 2008-04-04 강대호 Lift device for slanting a loading box
KR101327367B1 (en) 2012-06-15 2013-11-11 근우테크 주식회사 Four-wheel drive cart for agriculture with device lift and dum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8198B1 (en) 2021-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56203A (en) Platform lift
US20140311995A1 (en) Vertical Storage System
EP2563691A1 (en) Container or vehicle body with side door and a side door drive unit
KR101495261B1 (en) Vertical type lift gate
US9090199B2 (en) Transport trailer liftgate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20210012895A (en) Automatic Responsive Multi-purpose Lift
US4067245A (en) Lever transmission particularly for lifting means
US3155203A (en) Multiple purpose door
KR101101761B1 (en) Lift Table provided with folderable Transporting Means
JP2006272989A (en) Control device of specially-equipped vehicle and specially-equipped vehicle wireless control system
JPH08150869A (en) Elevation device
JP5237072B2 (en) Vehicle loading platform lifting device
KR200444300Y1 (en) Going up and coming down of monitor with table
JP3131617B2 (en) lift device
US3367449A (en) Vehicle lift
JP2006312520A (en) Lift
JP2016222077A (en) Tailgate lifter
RU2307062C2 (en) Device for lifting and laying mast and lifting boom of lifting crane
JP3239629U (en) Loading table lifting device
KR200322583Y1 (en) Lifting device ofdump truck
KR101407984B1 (en) Lifter
EP3106141A1 (en) Wheelchair lift for mounting to a bottom side of a vehicle
JP7277293B2 (en) Vertical loading platform lifting device
KR102541581B1 (en) Wing body loading box for cargo transportation with roof opening and closing
JP3536271B2 (en) Vehicle lif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