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2819A - 인공 고관절용 베어링 - Google Patents

인공 고관절용 베어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2819A
KR20210012819A KR1020190091199A KR20190091199A KR20210012819A KR 20210012819 A KR20210012819 A KR 20210012819A KR 1020190091199 A KR1020190091199 A KR 1020190091199A KR 20190091199 A KR20190091199 A KR 20190091199A KR 20210012819 A KR20210012819 A KR 202100128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ring
liner
sensor unit
ball head
friction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1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혁
유준일
Original Assignee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911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12819A/ko
Publication of KR20210012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28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32Joints for the hip
    • A61F2/34Acetabular c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6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 A61F2/4657Measuring instruments used for implanting artificial joi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6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 A61F2/468Testing instruments for artificial joi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L5/0009Force sensors associated with a bearing
    • G01L5/0014Force sensors associated with a bearing by using capacitive sens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L5/0009Force sensors associated with a bearing
    • G01L5/0019Force sensors associated with a bearing by using strain gages, piezoelectric, piezo-resistive or other ohmic-resistance based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316The prosthesis having different structural features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Connections between prosthetic parts; 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329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 A61F2002/30331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made by longitudinally pushing a protrusion into a complementarily-shaped recess, e.g. held by friction fi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6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 A61F2/4657Measuring instruments used for implanting artificial joints
    • A61F2002/4666Measuring instruments used for implanting artificial joints for measuring force, pressure or mechanical tension

Abstract

본 발명은 정밀한 작동상태 점검이 가능하고, 작동상태 점검이 용이한 인공 고관절을 제공하기 위해, 일면이 반구형으로 음각되어 개구된 라이너, 일단이 구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라이너에 삽입되는 골두 및 상기 라이너와 상기 골두가 접하는 면에 구비되는 복수의 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을 제공한다. 또한, 골반에 고정되어 구비되고 상기 라이너가 결합되는 컵, 일단은 상기 골두에 결합되고 타단은 대퇴골에 결합되어 상기 골두를 축으로 관절운동되는 스템 및 상기 베어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고관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공 고관절의 정밀한 작동을 점검을 통해 환자의 불편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인공 고관절의 점검을 점검하기 위한 장비의 구성이 간단해진다.

Description

인공 고관절용 베어링{BEARING FOR AN ARTIFICIAL HIP JOINT}
본 발명은 인공 고관절 치환술(THA, Total Hip Arthroplasty)에 사용되는 인공 고관절용 베어링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 센서를 포함하여 인공 고관절의 정상 가동을 용이하게 점검할 수 있는 인공 고관절용 베어링에 관한 것이다.
퇴행성 관절염과 대퇴골 경부 골절을 포함하는 고관절관련 질병을 치료하기 위해 인공 고관절 치환술(THA)이 개시되고 있다. 인공 고관절은 정상적인 고관절의 관절 방식을 따라 구상관절의 형태로 제작되어 삽입된다. 따라서, 인공 고관절은 필수적으로 정상적인 관골구를 대체하는 역할을 하는“컵”, 상기 컵에 삽입되어 정상적인 대퇴경부를 대체하는 인공 골두 및 대퇴골과 결합되는 ”스템”을 포함한다.
인공 고관절은 정상 고관절을 대체하여 인체에 삽입되는 바, 상기 컵, 골두 및 스템은 가공 및 배치에 있어 정밀성이 요구된다. 따라서, 인공 고관절의 정상적인 작동을 점검하기 위한 측정 장치 또는 방법이 개시된다. 하지만, 종래의 측정 장치는 광학적, 전자적 신호를 이용하여 인공 고관절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므로, 측정 장치의 규모가 커지며 미세한 오차에 의한 문제점은 감지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128939호 (2014년 11월 06일 등록) 미국 등록특허 제07877131호 (2011년 01월 25일 등록)
본 발명의 과제는 종래 기술에 비하여 정밀한 작동상태 점검이 가능한 인공 고관절용 베어링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종래 기술에 비하여 작동상태 점검이 용이한 인공 고관절용 베어링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일면이 반구형으로 음각되어 개구된 라이너, 일단이 구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라이너에 삽입되는 골두 및 상기 라이너와 상기 골두간의 압력 강도를 측정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공 고관절의 작동의 정밀한 점검을 통해 환자의 불편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인공 고관절의 작동을 점검하기 위한 장비의 구성이 간단해진다.
도 1은 인공 고관절 치환술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 고관절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템 및 정상 대퇴골을 대조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이너 및 센서부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두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 및 측정장비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의 변형 및 접촉대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의 배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템의 가동범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찰전기 센서의 측정 그래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골두 내부에 위치한 센서부의 배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이너 내부에 위치한 센서부의 배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인공 고관절 치환술(THA)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인공 고관절(1)은 환자의 고관절을 대체하여 고관절로서 기능하기 위한 인공 삽입물이다. 상세하게, 골반(P)의 고관절 부위가 가공되어 인공 고관절(1)이 삽입됨으로써, 정상적인 고관절과 마찬가지로 대퇴골을 구상관절운동 시킨다. 도 1의 왼쪽에 나타난 것은 정상 대퇴골이며, 도 1의 오른쪽에 도시된 것은 인공 고관절 치환술(THA) 치료 대퇴골이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 고관절(1)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 고관절(1)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공 고관절(1)은 골반에 결합되는 컵(C); 대퇴골에 결합되는 스템(S); 및 상기 컵(C)과 상기 스템(S) 사이에 연결되는 베어링(10);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베어링(10)은 라이너(100); 골두(200); 및 센서부(300);를 포함한다.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 고관절(1)의 각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C)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컵(C)은 골반에 결합되어 베어링(10)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세하게, 컵(C)은 골반의 정상 대퇴골이 결합되는 위치에 고정되도록 결합되고, 컵(C)의 일면은 후술할 라이너(100)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라이너 결합부(C1)가 음각되어 구비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컵(C)은 반구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컵(C)이 골반에 결합될 때 라이너 결합부(C1)의 방향을 각 환자에게 맞추어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라이너 결합부(C1)는 구형으로 음각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컵(C)이 골반에 결합된 후에도 라이너(100)의 방향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템(S) 및 정상 대퇴골(F0)을 대조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스템(S)은 스템(S) 및 베어링(10)에 결합되어 구상관절운동 되는 구성이다. 상세하게, 스템(S)의 일단은 베어링(10)에 고정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대퇴골과 결합된다. 바람직하게, 스템(S)은 정상 대퇴골간(F01)이 갖는 제1 대퇴방향(dF1)과 같은 방향의 막대 형상으로 구비되어 대퇴골 내부로 삽입되는 골간부(S1); 및 상기 골간부(S1)의 상단에 형성되고 정상 대퇴골두(F02)가 형성되는 방향인 제2 대퇴방향(dF2)과 같은 방향의 막대 형상으로 돌출되어 구비되어 베어링(10)과 결합되는 경부(S2);를 포함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10)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베어링(10)은 컵(C)에 삽입되어 구비되고 스템(S)과 결합되어 스템(S)을 구상관절운동 시키며, 스템(S)의 움직임에 따라 발생하는 마찰을 줄이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베어링(10)은 라이너(100); 골두(200); 및 센서부(300);를 포함한다.
라이너(100)는 컵(C)에 결합되어 후술할 골두(200)가 구상관절운동 할 수 있도록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라이너 결합부(C1)가 구형으로 음각되어 구비될 경우, 라이너(100)는 라이너 결합부(C1)와 동일하거나 작은 직경의 반구형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라이너(100)의 일면에는 후술할 골두(200)가 결합되기 위한 골두 삽입부(110)가 구비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골두 삽입부(110)는 반구형으로 음각되어 구비된다. 따라서, 스템(S)이 정상 고관절에 대응되는 구상관절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골두(200)는 라이너(100)에 의해 고정되며 스템(S)을 구상관절운동 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따라서, 골두(200)의 일단은 구 형상으로 구비되고, 타단에는 스템 결합부(220)가 형성된다.
센서부(300)는 라이너(100) 및 골두(200)의 사이에 구비되어 골두(200)가 라이너(100)에 가하는 압력 강도를 측정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세하게, 라이너(100)와 골두(200) 간의 결합이 비정상적인 경우 골두(200)가 라이너(100)에 압력을 가하게 되며, 압력에 의해 골두(200) 및/또는 라이너(100)가 마모되거나 구상관절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환자에게 고통 및 불편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센서부(300)를 구비하여 수술전 테스트를 통해 골두(200)가 라이너(100)에 가하는 압력을 측정하여 골두(200) 및 라이너(100)의 비정상적인 결합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10)의 각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이너(100) 및 센서부(300)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라이너(100)의 골두 삽입부(110)에는 센서부(300)가 장착된다. 상세하게, 골두 삽입부(110)에 센서부(300)가 장착되어 골두(200) 및 라이너(100) 사이에 위치하게 되어, 골두(200)가 라이너(100)에 가하는 압력 강도를 측정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로서, 센서부(300)는 골두(200)의 표면에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센서부(300)는 골두(200) 및 라이너(100)의 사이에 위치하게 되어 골두(200)가 라이너(100)에 가하는 압력 강도를 측정한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센서부(300)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센서부(300)가 각각 다른 위치에 장착되어 각 지점에서 압력 강도를 측정함으로써, 구상관절운동의 문제가 발생하는 방향 및 위치의 판단이 용이해진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두(2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골두(200)의 상기 제2 대퇴방향(dF2)의 일단에는 상기 골두(200) 삽입부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작은 직경의 구형으로 형성된 머리부(210)가 구비된다. 따라서, 머리부(210)가 라이너(100) 내에서 고정되어 골두(200)의 중심을 기준으로 자유롭게 회전하여 구상관절운동이 가능해진다.
골두(200)의 타단에는 스템 결합부(220)가 구비된다. 상세하게, 골두(200)의 타단은 상기 경부(S2)의 상단에 대응되도록 음각되어 구비됨으로써, 경부(S2)의 상단이 골두(200)에 결합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3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센서부(300)는 서로 다른 대전 특성을 갖는 제1 마찰층(310)과 제2 마찰층(320)의 접촉 대전을 이용하는 마찰전기 센서일 수 있다. 상세하게, 센서부(300)에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제1 마찰층(310) 및 제2 마찰층(320)간에 접촉 대전이 발생하고, 접촉의 강도에 따라 발생되는 전력의 정도가 달라지므로, 이 값을 측정함으로써 센서부(300)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
각 마찰층의 형태는 설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직사각형의 판 형태인 것을 기준으로 도시하였다.
제1 마찰층(310)은 접촉 대전에 의해 음전하를 띠게 되는 마찰층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제1 마찰층(310)은 PDMS (Polydimethylsiloxane) 소재의 마찰층일 수 있다.
상세하게, 상기 제1 마찰층(310)은 PDMS 베이스와 경화제를 혼합하는 혼합 단계, PDMS 베이스-경화제 혼합물 내부의 기포를 제거하는 기포 제거 단계, 상기 PDMS 베이스-경화제 혼합물로 박막을 형성하는 박막 형성 단계, 및 상기 PDMS 베이스-경화제 혼합물을 가열하여 경화시키는 경화 단계를 통해 제조되어, 상기 제 2 마찰층과 접촉 대전 효과가 용이하도록 제조된 PDMS 소재일 수 있다.
혼합 단계는, PDMS의 원료인 PDMS 베이스 및 PDMS 베이스를 경화시키기 위한 화학성분인 경화제를 혼합하는 단계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PDMS 베이스와 경화제는 10:1의 중량비로 구비되어 혼합될 수 있다.
기포 제거 단계는, 상기 혼합 단계에서 제조된 PDMS 베이스-경화제 혼합물의 내부에 존재하는 기포를 제거하는 단계이다. 상세하게, PDMS 베이스 및 경화제를 혼합하는 과정에서 기포가 발생하여 균일성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PDMS 베이스-경화제 혼합물 내부의 기포를 제거하는 단계이다. 바람직하게, 진공 건조기를 통해 기포를 제거할 수 있다.
박막 형성 단계는, 상기 PDMS 베이스-경화제 혼합물을 이용하여 소정의 두께로 구비되는 박막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상기 소정의 두께는 PDMS 베이스-경화제 혼합물이 경화후에 상기 제1 마찰층(310)의 두께를 형성하도록 경화에 의한 팽창 및 수축을 고려하여 정하여진다. 바람직하게, PDMS 베이스-경화제 혼합물을 실리콘 웨이퍼 상에 30분 동안 300rpm으로 스핀 코팅하여 박막을 형성한다.
경화 단계는 상기 PDMS 베이스-경화제 혼합물을 가열하여 경화시키는 단계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박막 형성 단계를 거친 PDMS 베이스-경화제 혼합물을 오븐에서 65℃에서 2시간동안 가열하여 경화시킨다.
이에 따른 PDMS는 마찰전기의 발생이 용이하며, 탄성이 있어 베어링(10)에 삽입되기에 용이하다.
제2 마찰층(320)은 접촉 대전에 의해 양전하를 띠게 되는 마찰층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제2 마찰층(320)은 구리 소재로 형성된 마찰층일 수 있다. 제2 마찰층(320)을 구리 소재로 구비함으로써, 제2 마찰층(320)이 센서부(300)의 전극으로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마찰층 (310) 및 제2 마찰층 (320)의 변형되기 전 초기상태를 설정하기 위해 스페이싱(330)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포함된 도면에서는 스페이싱(330)의 두께를 과장하여 도시하였지만, 실제로 스페이싱(330)은 제1 마찰층(310) 및 제2 마찰층(320)의 두께에 비하여 미세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센서부(300)에서 감지되는 압력을 측정하고 기록하기 위하여 측정장비(400)가 포함될 수 있다. 상세하게, 측정장비(400)는 센서부(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측정부(410) 및 상기 측정부(410)에서 측정되는 전압값을 기록하는 기록부(420)를 포함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300) 및 측정장비(400)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측정부(410)는 센서부(300)에서 발생되는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세하게, 측정부(410)의 일단은 상기 제2 마찰층(3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타단은 접지된다. 따라서, 양 단의 전압 차이로부터 센서부(300)에서 발생되는 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측정부(410)는 측정된 전압값을 후술할 기록부(420)로 송신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기록부(420)는 측정부(410)에서 측정되는 전압값을 기록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세하게, 시간별로 전압값을 측정하여 기록하고, 사용자에게 시간별 전압값에 대한 자료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기록부(420)는 모니터, 저장장치, 측정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컴퓨터일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300)의 변형 및 접촉대전을 나타낸 도면이다.
센서부(300)에 압력이 가해짐으로써 센서부(300)에 변형이 생기고, 제1 마찰층(310) 및 제2 마찰층(320)이 접촉된다. 따라서 접촉 대전에 의해 제1 마찰층(310)은 음전하가 대전되고, 제2 마찰층(320)은 양전하가 대전되어 전압이 발생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300)의 배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골두(200)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수직인 4방향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세하게, 골두(200)의 중심으로부터 바깥쪽을 향하는 일 방향을 제1 측정방향(D1), 상기 제1 측정방향(D1)의 반대 방향을 제2 측정방향(D2), 상기 제1 측정방향(D1)에 대한 일 측방향을 제3 측정방향(D3), 상기 제3 측정방향(D3)의 반대 방향을 제4 측정방향(D4)으로 하여 4개의 센서부(300)가 각 측정방향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측정방향(D1) 내지 상기 제4 측정방향(D4)에 제1 센서부(301), 제2 센서부(302), 제3 센서부(303) 및 제4 센서부(304)가 각각 구비된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환자가 똑바로 서있는 상태를 가정한 기본 상태를 기준으로 제1 측정방향(D1)은 상기 제1 대퇴방향(dF1)이 라이너(100)에 투영된 방향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측정방향(D1)은 상기 기본 상태를 기준으로 환자의 머리 방향일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센서부(300)의 방향을 직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템(S)의 가동범위(ROM, Range Of Motion)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실선으로 도시된 스템(S) 및 골두(200)는 상기 제2 측정방향(D2)으로 최대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점선으로 도시된 스템(S) 및 골두(200)는 상기 제1 측정방향(D1)으로 최대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즉, 제1 측정방향(D1) 및 제2 측정방향(D2)으로의 스템(S)의 가동범위(ROM)를 나타낸다. 도 12에서 볼 수 있듯이, 라이너(100)의 형태 및 방향에 의해 스템(S)의 가동범위가 결정된다. 스템(S)의 가동범위는 가능한 정상 고관절의 가동범위를 포함하도록 넓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라이너(100)의 방향이 알맞지 않게 고정되면 스템(S)의 가동범위가 잘못된 방향을 향할 수 있으므로, 수술전 라이너(100)의 형태 및 방향을 결정할 수 있도록 가동범위 테스트가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찰전기 센서의 측정 그래프이다.
좌측 상단은 제1 센서부(301)로부터 측정된 시간별 전압 그래프이며, 우측 상단은 제2 센서부(302), 좌측 하단은 제3 센서부(303), 우측 하단은 제4 센서부(304)로부터 각각 측정된 시간별 전압 그래프이다. 도 13은 제1 센서부(301)에 압력이 가해진 예시로서, 제1 센서부(301)에는 다른 센서부에서 나타나는 노이즈와 달리 상대적으로 큰 전압값이 측정된 것을 알 수 있다. 즉, 제1 센서부(301)가 위치한 라이너(100)의 제1 측정방향(D1)에 압력이 가해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2에 나타난 것과 같이, 일 방향으로 스템(S)이 최대한 이동하였을 때는 골두(200)가 라이너(100)의 타 방향에 압력을 가하여, 타 방향의 센서부(300)에 압력이 감지된다. 따라서, 각 센서부(300)를 통해 측정되는 압력을 통해 스템(S)의 가동범위를 알 수 있다. 또한, 스템(S)의 가동범위 내에서 압력이 발생하면 골두(200) 및 라이너(100)의 결합상에 문제점이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를 미리 감지하여 대처함으로써 환자의 고통 및 불편을 미리 예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센서부(300)는 스트레인 게이지 또는 MEMS 압력센서일 수 있다. 상세하게, 각 센서부(300)는 압력에 따라 저항이 변화하는 특성을 이용한 스트레인 게이지 또는 압저항형 MEMS 압력센서, 또는 압력에 따라 정전용량이 변화하는 특성을 이용한 정전용량 MEMS 압력센서일 수 있다. 단, 센서부(300)가 스트레인 게이지, 압저항형 MEMS 압력센서 또는 정전용량 MEMS 압력센서 중 하나로 구비되는 경우는 마찰전기 센서인 경우에 비해 센서부(300)의 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센서부(300)가 스트레인 게이지, 압저항형 MEMS 압력센서 또는 정전용량 MEMS 압력센서 중 하나로 구비되는 경우, 센서부(300)는 골두(200)의 내부, 라이너(100)의 내부 또는 골두(200) 및 라이너(100)의 내부에 구비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골두(200) 내부에 위치한 센서부(300)의 배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스트레인 게이지, 압저항형 MEMS 압력센서 또는 정전용량 MEMS 압력센서로 구비된 센서부(300)는 골두(20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골두(200)의 라이너(100)와 접하는 표면과 인접한 내부에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도 14에 나타난 제1 센서부(301), 제2 센서부(302), 제3 센서부(303) 및 제4 센서부(304)는 상기 제1 측정방향(D1) 내지 상기 제4 측정방향(D4)에 각각 구비된 센서부(300)를 도시한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이너(100) 내부에 위치한 센서부(300)의 배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스트레인 게이지, 압저항형 MEMS 압력센서 또는 정전용량 MEMS 압력센서로 구비된 센서부(300)는 라이너(10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라이너(100)의 골두(200)와 접하는 표면과 인접한 내부에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도 15에 나타난 제1 센서부(301), 제2 센서부(302), 제3 센서부(303) 및 제4 센서부(304)는 상기 제1 측정방향(D1) 내지 상기 제4 측정방향(D4)에 각각 구비된 센서부(300)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센서부(300)를 구비함으로써 관절 운동에 따라 골두(200)가 라이너(100)에 가하는 압력 강도를 측정함으로써, 골두(200) 및 라이너(100)의 결합위치 및 방향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골두(200) 및 라이너(100)의 결합상 문제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마찰전기 센서는 종래의 압력감지 수단에 비해 보다 정밀한 측정이 가능하므로, 보다 문제점을 찾아내기 용이하여 환자의 고통 및 불편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마찰전기 센서는 별도의 전원공급이 필요없이 자체적으로 발생시킨 전력을 통해 신호를 송신하므로 구성이 간단해지고 수술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으로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상기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P: 골반
F0: 정상 대퇴골 F1: 인공 고관절 치환술 치료 대퇴골
1: 인공 고관절 10: 베어링
C: 컵 S: 스템
100: 라이너 200: 골두
300: 센서부 400: 측정장비
F01: 정상 대퇴골간 F02: 정상 대퇴골두
dF1: 제1 대퇴방향 dF2: 제2 대퇴방향

Claims (19)

  1. 인공 고관절 치환술(THA)에 사용되는 베어링에 있어서,
    일면이 반구형으로 음각되어 개구된 라이너(100);
    일단이 구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라이너(100)에 삽입되는 골두(200); 및
    상기 라이너(100)와 상기 골두(200) 간의 압력을 측정하는 센서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300)는 상기 라이너(100)의 음각된 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300)는 상기 골두(200)의 표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300)는 상기 라이너(100)와 상기 골두(200)가 접하는 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300)는 상기 골두(200)가 상기 라이너(100)에 가하는 압력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300)는 상기 골두(200)가 상기 라이너(100)에 가하는 압력 강도를 측정하는 스트레인 게이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300)는 상기 골두(200)가 상기 라이너(100)에 가하는 압력 강도를 측정하는 압저항형 MEMS 압력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300)는 상기 골두(200)가 상기 라이너(100)에 가하는 압력 강도를 측정하는 정전용량 MEMS 압력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9.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300)는 상기 골두(200)가 상기 라이너(100)를 가압하여 발생하는 마찰전기를 측정해 압력 강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300)는,
    서로 다른 대전 특성을 갖는 제1 마찰층(310)과 제2 마찰층(320)의 접촉 대전을 이용하는 마찰전기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찰층(310)은 PDMS 소재로 이루어진 마찰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마찰층(320)은 구리 소재로 이루어진 마찰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찰층(310)은,
    PDMS 베이스와 경화제를 혼합하는 혼합 단계;
    PDMS 베이스-경화제 혼합물 내부의 기포를 제거하는 기포 제거 단계;
    상기 PDMS 베이스-경화제 혼합물로 박막을 형성하는 박막 형성 단계; 및
    상기 PDMS 베이스-경화제 혼합물을 가열하여 경화시키는 경화 단계;를 통해 제조되어,
    상기 제2 마찰층(320)과 접촉 대전 효과가 용이하도록 제조된 PDMS 인 것을 특징으로 베어링.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단계는,
    상기 PDMS 베이스 및 상기 경화제를 10:1 중량비로 혼합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기포 제거 단계는,
    진공 건조기를 통해 상기 PDMS 베이스-경화제 혼합물 내부의 기포를 제거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 형성 단계는,
    실리콘 웨이퍼 상에 상기 PDMS 베이스-경화제 혼합물을 스핀 코팅하여 박막을 형성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핀 코팅은 30분간 300rpm으로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 단계는,
    오븐을 통해 상기 PDMS 베이스-경화제 혼합물을 가열하여 경화시키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300)는 복수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KR1020190091199A 2019-07-26 2019-07-26 인공 고관절용 베어링 KR202100128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1199A KR20210012819A (ko) 2019-07-26 2019-07-26 인공 고관절용 베어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1199A KR20210012819A (ko) 2019-07-26 2019-07-26 인공 고관절용 베어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2819A true KR20210012819A (ko) 2021-02-03

Family

ID=74572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1199A KR20210012819A (ko) 2019-07-26 2019-07-26 인공 고관절용 베어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12819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77131B2 (en) 2002-10-04 2011-01-25 Orthosoft Inc. Method for providing pelvic orientation information in computer-assisted surgery
KR20140128939A (ko) 2011-09-29 2014-11-06 알쓰로메다, 인코포레이티드 고관절 성형술용 삽입물의 정밀 배치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77131B2 (en) 2002-10-04 2011-01-25 Orthosoft Inc. Method for providing pelvic orientation information in computer-assisted surgery
KR20140128939A (ko) 2011-09-29 2014-11-06 알쓰로메다, 인코포레이티드 고관절 성형술용 삽입물의 정밀 배치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70288B2 (en) Telemetric tibial tray
US2017006543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easuring orthopedic parameters in arthroplastic procedures
KR102502593B1 (ko) 동적 인대 균형조정 시스템
US6245109B1 (en) Artificial joint system and method utilizing same for monitoring wear and displacement of artificial joint members
JP2019162487A5 (ko)
Weightman et al. A comparative study of total hip replacement prostheses
EP2818187A2 (en) Smart joint implant sensors
Witt et al. Quantification of the contact area at the head-stem taper interface of modular hip prostheses
JP2000517051A (ja) 把持型物質テスタ
Maher et al. Measurement of the migration of a cemented hip prosthesis in an in vitro test
US4364399A (en) Diagnostic instrument
US4318191A (en) Compliant head femoral endoprosthesis
KR20210012819A (ko) 인공 고관절용 베어링
US20190003831A1 (en) Device for detecting deformation of a hollow component
Wei et al. Design of an affordable, modular implant device for soft tissue tension assessment and range of motion tracking during total hip arthroplasty
Sun et al. Development of a flexible meniscus sensor for detection of force distribution in knee arthroplasty
EP3291772A1 (en) Universal force sensor for medical applications
Frimpong Torques in total hip replacements
US20180185167A1 (en) Methods and systems to determine proper seating of a first orthopedic component with a second orthopedic component
Wang et al. The application of impantable sensors in the musculoskeletal system: a review
JP2023543669A (ja) マイクロ流体センサ
EP3576680A1 (en) Socket-suspension monitoring system for amputees
US20050000104A1 (en) Acetabular measuring device
Pritchard Biocompatible Microelectromechanical Sensor Array for Orthopaedic Use
AU2021105382A4 (en) Testing die device capable of monitoring head-acetabulum position relationship and edge impact ris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