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2374A - Hair dryer - Google Patents

Hair dry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2374A
KR20210012374A KR1020190090006A KR20190090006A KR20210012374A KR 20210012374 A KR20210012374 A KR 20210012374A KR 1020190090006 A KR1020190090006 A KR 1020190090006A KR 20190090006 A KR20190090006 A KR 20190090006A KR 20210012374 A KR20210012374 A KR 202100123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dryer
handle
body portion
present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00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90795B1 (en
Inventor
문재화
Original Assignee
문재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재화 filed Critical 문재화
Priority to KR10201900900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0795B1/en
Publication of KR202100123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237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07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079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4Hot-air producers
    • A45D20/08Hot-air producers heated electrically
    • A45D20/10Hand-held drying devices, e.g. air douch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4Hot-air producers
    • A45D20/08Hot-air producers heated electrically
    • A45D20/10Hand-held drying devices, e.g. air douches
    • A45D20/12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e.g. nozzles,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4Hot-air producers
    • A45D20/08Hot-air producers heated electrically
    • A45D20/14Portable drying stands

Landscapes

  • Cleaning And Drying Hair (AREA)

Abstract

Provided is a hair dryer for convenient use. The hair dryer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handle part; and a main body part which is hinge coupled to the handle part, wherein the handle part has an opening for hinge bending in a direction opposite to an air discharge direction.

Description

헤어 드라이어{HAIR DRYER}Hair dryer {HAIR DRYER}

본 발명은 드라이어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거치형 사용 편의성을 극대화한 헤어 드라이어에 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y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hair dryer that maximizes the convenience of use of the stationary type.

헤어 드라이어(hair dryer)는 축축한 머리카락을 차갑거나 따뜻한 공기로 말리는 전자 기기이다. 이로써 물 입자의 증발을 가속시켜서 머리카락이 건조하게 된다. 헤어 드라이어는 각 머리가닥의 일시적인 수소 결합의 형성을 가속하고 제어함으로써 머리 스타일과 모양을 제어하기 쉽게 만들어 준다. Hair dryers are electronic devices that dry moist hair with cold or warm air. This accelerates the evaporation of the water particles, resulting in dry hair. Hair dryers make it easier to control hair style and shape by accelerating and controlling the formation of temporary hydrogen bonds in each hair strand.

최근에는 모터 기술의 현저한 발전에 따라 여러 가지 헤어 드라이어가 시판되고 있는데 아직까지 사용시에는 한손으로 드라이어를 파지하는 방식을 주로 사용하고 있어 머리카락을 한손으로 정리하는 경우의 불편은 그대로 유지되는 실정이다. Recently, with the remarkable development of motor technology, various hair dryers have been commercially available. However, when using the hair dryer, the method of holding the dryer with one hand is mainly used, so the inconvenience of organizing the hair with one hand is maintained.

이에, 선행기술문헌에서는 카메라의 삼각대와 같은 별도의 장비를 헤어 드라이어의 하부에 설치하여 사용자의 두손을 자유롭게 활용하는 내용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문헌은 일반적인 헤어 드라이어에 부가되고 오히려 설치 면적의 증가에 따른 불편함이 오히려 커지는 문제가 있다.
Accordingly, in the prior art literature, a separate device such as a tripod for a camera is installed under the hair dryer to freely utilize both hands of a user. However, the prior art literature is added to a general hair dryer, but rath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nconvenience due to an increase in the installation area is rather large.

한국공개특허 제10-2019-0059811호(2019. 05. 31.)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9-0059811 (2019. 05. 31.)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헤어 드라이어를 고정 거치하여 편리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헤어 드라이어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air dryer that allows convenient use by fixing the hair dryer.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는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와 힌지 결합되는 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는 공기 배출 방향과 반대 방향에 힌지 절곡을 위한 개구가 형성된다. The hair dryer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andle portion, a body portion hingedly coupled to the handle portion, and the handle portion has an opening for bending the hinge in a direction opposite to an air discharge direction.

이때, 상기 본체부는 상기 공기 배출 방향으로 단면적이 커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main body portion may be formed to increase the cross-sectional area in the air discharge direction.

또한, 상기 본체부에는 단부 쪽을 둘러싸는 흡입부가 형성되고, 단부는 폐쇄될 수 있다. In addition, a suction part surrounding an end portion may be formed in the main body portion, and the end portion may be closed.

또한, 상기 손잡이부의 하단에 자력부가 형성되고, 상기 자력부와 자석 결합하는 거치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a magnetic force portion is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handle portion, and a mounting fixing portion magnetically coupled to the magnetic force portion may be further included.

또한, 상기 손잡이부의 하단 단부에는 회전 가능한 전원부 및 상기 전원부에 전원선이 연결되고, 상기 자력부가 거치 고정부에 결합된 후 상기 전원부를 회전시켜 상기 전원선을 하부 방향 또는 사용자가 설정한 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a power line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and the power supply unit, which can be rotated at the lower end of the handle unit, and after the magnetic unit is coupled to the mounting fixing unit, the power supply unit is rotated to adjust the power line in a lower direction or a direction set by the user I can.

또한, 상기 헤어 드라이어가 벽면에 배치된 고정부와 결합 거치되는 경우에 상기 본체부는 설정 각도 이상 절곡되지 않을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hair dryer is mounted in combination with a fixing portion disposed on a wall, the body portion may not be bent more than a set angle.

또한, 상기 손잡이부는 하부 방향으로 단면적이 넓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handle portion may be formed so as to increase the cross-sectional area in the lower direction.

또한, 상기 본체부에는 본체부 내부 쪽으로 삽입 고정되는 노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ain body may further include a nozzle inserted and fixed toward the inside of the main body.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는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와 힌지 결합되는 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는 공기 배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만 절곡된다. On the other hand, the hair dryer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andle portion, a body portion hinged to the handle portion, and the handle portion is bent only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air discharge direction.

또한, 상기 헤어 드라이어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본체부 내부의 히터를 가열하는 드라이 모드, 및 바람만을 인가하는 선풍기 모드를 구성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어부는 드라이 모드 및 선풍기 모드 중 어느 하나에서 다른 모드로 변경되는 경우에 바람의 강도 기준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hair dryer further includes a control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o configure a dry mode that heats a heater inside the body unit and a fan mode that applies only wind, and the control unit includes any one of a dry mode and an electric fan mode. In the case of changing to another mode, the wind strength standard can be set differently.

또한, 상기 손잡이부의 하단 단부에는 거치를 위한 자력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력부가 면접촉되어 거치 또는 고정되는 경우에 선풍기 모드로 자동 변경될 수 있다.
In addition, a magnetic force portion for mounting is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handle portion, and the controller may automatically change to an electric fan mode when the magnetic force portion is mounted or fixed in surface contact.

본 발명은 헤어 드라이어를 간편하게 거치하면서 두손을 이용하여 손질이 가능하므로 헤어 드라이어의 사용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maximize the usability of the hair dryer because it is possible to clean with both hands while simply mounting the hair dryer.

또한, 본 발명은 헤어 드라이어의 노즐에 의한 화상을 방지하면서도 본체의 형상에 따라 음이온 발생 등의 부가 작용도 용이하게 수행하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burns caused by the nozzles of the hair dryer, and also facilitates additional actions such as generation of negative ions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body.

또한, 본 발명은 헤어 드라이를 거치하는 경우에 전원선을 간단하게 정리하여 사용 편의성을 더욱 극대화 시킨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maximizes the convenience of use by simply arranging the power line when installing the hair dryer.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에 적용되는 다양한 노즐의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의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의 사용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1 to 3 are perspective views of a hair dr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hair dr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configurations of various nozzles applied to a hair dr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hair dr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and 9 are diagrams illustrating the use of a hair dr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m.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exemplifying specific embodiments in the drawings, since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and various embodiments may be provided.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embodiment, it is to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s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elem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element, and similarly, a second elem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element. The term and/or include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a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Does not.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의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다. Hereinafter, a hair dr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1 to 3 are perspective and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a hair dr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헤어 드라이어(1000)는 크게 본체부(100), 손잡이부(200) 및 풍속과 온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hair dryer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largely includes a body portion 100, a handle portion 200, and a controller (not shown) for controlling wind speed and temperature.

본체부(100)는 하우징(110), 공기 토출부(120), 흡입부(130), 및 내부에 배치된 모터(미도시) 및 히터(미도시)로 이루어진다. 흡입부(130)에서 인입된 공기는 히터에 의해 가열되고 모터가 공기 토출부(120)로 배출하도록 한다. 본체부(100)의 다른 구성은 당업자에 자명한 바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The main body 100 includes a housing 110, an air discharge unit 120, a suction unit 130, and a motor (not shown) and a heater (not shown) disposed therein. The air drawn in from the suction unit 130 is heated by the heater and the motor discharges it to the air discharge unit 120. Other configurations of the main body 100 ar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further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손잡이부(200)는 본체부(100)를 파지하거나 헤어 드라이어(1000) 전체를 고정 거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에, 손잡이부(200)의 하단은 자력 결합이 가능한 자석이 내부에 배치된 자력부(230)를 포함한다. 이때 원활한 거치 또는 파지를 위해 손잡이부(200)는 하부 방향으로 단면적이 넓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handle part 200 serves to hold the body part 100 or to fix the entire hair dryer 1000. Accordingly, the lower end of the handle portion 200 includes a magnetic force portion 230 in which a magnet capable of magnetic force coupling is disposed therein. In this case, for smooth mounting or gripping, the handle part 200 may be formed to have a wide cross-sectional area in the lower direction.

또한, 손잡이부(200)에는 조작 버튼(210)이 형성되고, 전원선(240)이 인입되는 전원부(220)가 형성되는데, 전원부(220)는 회전 가능한 구조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전원부(220)의 중심을 회전 캠 배선 구조로 형성시켜 전원부(220)의 회전과 무관하게 본체부(100)쪽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an operation button 210 is formed on the handle portion 200 and a power supply unit 220 through which the power line 240 is inserted is formed, and the power supply unit 220 is formed in a rotatable structure. For example, the center of the power supply 220 is formed in a rotation cam wiring structure so that power can be supplied to the main body 100 regardless of the rotation of the power supply 220.

한편, 흡입부(130)는 2중의 먼지 필터로 이루어져 분리 후 청소가 가능한 구조로 결합 장착된다. 또한,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의 외곽에는 필터 타공망(160)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흡입부(130)는 본체부(100)의 단부 쪽을 둘러싸도록 하고 본체부(100)의 단부는 폐쇄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suction unit 130 is composed of a double dust filter and is coupled and mounted in a structure capable of cleaning after separation. In addition, as shown, a filter perforation network 160 may be coupled to the outer side of the motor.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suction unit 130 is formed to surround the end of the main body 100 and the end of the main body 100 is closed.

그런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1000)는 손잡이부(200)와 본체부(100)가 종래의 헤어 드라이어와 다른 방향으로 힌지 결합한다. 즉, 본체부의 하단에는 힌지부(150)가 형성되는데 손잡이부(200)는 공기 배출 방향과 반대 방향에 힌지의 절곡을 위한 개구(250)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도 2에서와 같이 본체부(100)는 공기 배출 방향의 하부로 절곡되지 못하고, 공기 배출 반대 방향의 하부로 절곡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발현되는 편리성은 사용예를 들어 다시 설명한다. By the way, in the hair dryer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andle part 200 and the body part 100 are hinge-coupled to the conventional hair dryer in different directions. That is, the hinge portion 150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body portion, and the handle portion 200 has an opening 250 for bending the hing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air discharge direction. Accordingly, as shown in FIG. 2, the main body 100 is not bent downward in the air discharge direction, but is bent downward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air discharge. Convenience expressed accordingly will be described again with an example of use.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의 본체부(100)는 공기 배출 방향으로 하우징(110)의 단면적이 커지도록 형성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100)는 공기가 공기 토출부(120)로 이동하는 동안 압력을 낮춘 후 이후에 노즐(310)을 통과시키면서 압력을 높이도록 한다. 종래의 헤어 드라이어는 일정한 압력에 의해 공기를 토출시키므로 공기에 음이온 공급 등의 부가 작용을 위한 최소 시간을 확보하지 못하였다. Further, the body portion 100 of the hair dr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increase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housing 110 in the air discharge direction. That is, the main body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lowers the pressure while the air moves to the air discharge unit 120 and then increases the pressure while passing the nozzle 310 thereafter. Since the conventional hair dryer discharges air by a constant pressure, it is not possible to secure a minimum time for an additional action such as supply of negative ions to the air.

그러나, 본 실시예에 의하면 1차적으로 압력을 낮추면서 기체속력이 저감되는 경우에 음이온 투입 등의 부가 작용을 수행하고 이후에 2차적으로 압력을 현저하게 높이는 방식에 의해 공기를 토출하도록 하므로 더욱 많은 부가 효과의 실시가 가능해 진다. 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gas speed is reduced while lowering the pressure first, it performs an additional action such as anion injection, and afterwards, the air is discharged by a method of remarkably increasing the pressure. Additional effects can be implemented.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1000)는 노즐이 본체부(100) 내부 쪽으로 삽입 고정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에 적용되는 다양한 노즐의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인데, 도시한 바와 같이 다양한 구성의 노즐(310,320,330)이 본체부의 하우징(310) 내부에 삽입되는 것을 알 수 있다. Meanwhile, in the hair dryer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nozzle is inserted and fixed toward the inside of the body part 100. 5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various nozzles applied to the hair dr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nozzles 310, 320, and 330 of various configurations are inserted into the housing 310 of the main body. I can.

이는 상기한 바와 같이 본체부(100)가 공기 배출 방향으로 하우징(110)의 단면적이 커지도록 형성되지만 2차적으로 공기를 배출하는 큰 압력이 가해져야 되므로 공기가 배출되는 쪽 하우징의 온도가 높아지게 되므로 노즐(310)을 하우징(110)의 내부에 결합하여 발열에 따른 화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This is because the main body 100 is formed to increase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housing 110 in the air discharge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but since a large pressure to discharge air must be applied secondary, the temperature of the housing from which the air is discharged increases. This is to prevent burns due to heat generation by coupling the nozzle 310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110.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의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전술하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1000)는 손잡이부(200)와 본체부(100)가 종래의 헤어 드라이어와 다른 방향으로 힌지 결합한다. 즉, 손잡이부(200)는 공기 배출 방향과 반대 방향에 힌지 절곡을 위한 개구(250)가 형성된다. 6 and 7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hair dr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n the hair dryer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andle portion 200 and the body portion 100 are hingedly coupled to a conventional hair dryer in different directions. That is, the handle part 200 has an opening 250 for hinge bending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air discharge direction.

이에 따라, 본체부(100)는 공기 배출 방향의 하부로 절곡되지 못하고, 공기 배출 반대 방향의 하부로 절곡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벽면에 헤어 드라이어를 고정부(400)0를 통해 자력으로 결합 고정하는 경우에 본체부의 공기 배출 방향을 수직(-90도)이나 최대 수평(0도)으로 유지할 수 있고, 수평을 넘어(0도 초과) 절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헤어 드라이어(1000)가 벽면에 배치된 고정부(400)와 결합 거치되는 경우에 본체부(100)는 설정 각도 이상 절곡되지 않게 된다. Accordingly, the main body 100 is not bent downward in the air discharge direction, but is bent downward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air discharge. Accordingly, as shown in FIG. 7, in the case of magnetically coupling and fixing the hair dryer to the wall surface through the fixing part 400 0, the air discharge direction of the main body is vertical (-90 degrees) or the maximum horizontal (0 degrees). Can be maintained, and can be prevented from bending beyond the horizontal (over 0 degrees). That is, when the hair dryer 1000 is coupled to the fixing part 400 disposed on the wall, the body part 100 is not bent more than a set angle.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의 사용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전술한 바에 따라 사용자는 도시한 것과 같이 두손으로 사용하게 되므로 그 사용성이 극대화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시한 것과 같이 자력부가 고정부(400)에 결합된 후 전원부(220)를 회전시켜 전원선을 하부 방향(도 9의 경우) 또는 사용자가 설정한 방향(도 8의 경우)으로 조정하게 되므로 사용 편리성이 더욱 향상된다. 8 and 9 are diagrams illustrating the use of a hair dr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user uses both hands as shown in the figure, it can be seen that the usability is maximized. In addition, as shown in the figure, after the magnetic force unit is coupled to the fixing unit 400, the power supply unit 220 is rotated to adjust the power line in the lower direction (in the case of FIG. 9) or the direction set by the user (in the case of FIG. 8). Therefore, the usability is further improved.

더욱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라이어로 머리를 말린 후 드라이어의 모드 버튼을 눌러 드라이 모드에서 선풍기 모드로 변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드라이어를 스탠드나 벽에 부착하여 본인의 얼굴로 선풍기 바람을 쐬게 된다. 이를 통해 드라이 후 땀이나는 얼굴로 화장을 하기 힘들었던 소비자들은 별도의 선풍기를 구입하지 않고 드라이기의 선풍기 모드를 통해 선풍기의 기능을 사용하는 효율성과 공간 할용도를 극대화 할 수 있다. Furthermore, in the hair dr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9, after drying hair with a dryer, it is possible to change from the dry mode to the fan mode by pressing the mode button of the dryer. At this time, by attaching the dryer to the stand or wall, the fan blows the air through your face. Through this, consumers who had difficulty wearing makeup with a sweaty face after drying can maximize the efficiency of using the function of the fan and space usage through the fan mode of the dryer without purchasing a separate fan.

이 경우에 드라이 모드는 강/중/약의 3 단계로 구성할 수 있는데, 제어부는 선풍기 모드의 강은 드라이 모드의 약에서 시작하여 더 낮은 속도로 바람이 나오도록 할 수 있으며,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헤어드라이어는 제어부가 의도적으로 모드 변화시 바람의 강도 단계 기준을 다르게 셋팅하여 드라이기와 선풍기가 한 제품에서 동시에 구현할 수 있게 된다. In this case, the dry mode can be composed of three stages: strong/medium/weak, and the control unit can make the wind in the fan mode start at the weakest in the dry mode and make the wind come out at a lower speed, and vice versa. Also possible. That is, in the hair dry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control unit intentionally changes the mode, the level of the intensity of the wind is set differently so that the dryer and the fan can be implemented simultaneously in one product.

또한, 상기한 손잡이부의 자력부에는 거치부와 결합되는 경우 제어부는 거치 결합을 인지하여 자동으로 드라이 모드에서 선풍기 모드로 변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손으로 거치 사용하다가 거치부와 결합시키는 경우 자동으로 선풍기 모드로 진입하게 된다. In addition, when the magnetic portion of the handle is coupled to the mounting portion, the control unit may recognize the mounting coupling and automatically convert the dry mode to the fan mode. In this case, if you mount it by hand and then combine it with the mount, it automatically enters the fan mode.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isclosed, and although specific terms are used, this is only used in a general meaning to easily explain the technical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aid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 It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it is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other modified example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1000: 헤어 드라이어
100: 본체부
110: 하우징
120: 공기 토출부
130: 흡입부
150: 힌지부
200: 손잡이부
210: 조작 버튼
220: 전원부
230: 자력부
240: 전원선
310,320,330: 노즐
400: 고정부
1000: hair dryer
100: main body
110: housing
120: air discharge unit
130: suction unit
150: hinge part
200: handle
210: operation button
220: power supply
230: magnetic field
240: power line
310,320,330: nozzle
400: fixed part

Claims (11)

헤어 드라이어에 있어서,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와 힌지 결합되는 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는 공기 배출 방향과 반대 방향에 힌지 절곡을 위한 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드라이어.
In the hair dryer,
Handle;
Including; a main body portion hinged with the handle portion,
The handle portion hair dryer,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ning for bending the hinge is form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air discharge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공기 배출 방향으로 단면적이 커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드라이어.
The method of claim 1,
The hair dryer, characterized in that the body portion is formed to increase the cross-sectional area in the air discharge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는 단부 쪽을 둘러싸는 흡입부가 형성되고, 단부는 폐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드라이어.
The method of claim 1,
A hair dryer, characterized in that the body portion has a suction portion surrounding the end portion is formed, the end portion is clos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의 하단에 자력부가 형성되고, 상기 자력부와 자석 결합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드라이어.
The method of claim 1,
A magnetic force portion is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handle portion, and the hair dryer further comprises a fixing portion magnetically coupled to the magnetic force por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의 하단 단부에는 회전 가능한 전원부 및 상기 전원부에 전원선이 연결되고, 상기 자력부가 고정부에 결합된 후 상기 전원부를 회전시켜 상기 전원선을 하부 방향 또는 사용자가 설정한 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드라이어.
The method of claim 4,
At the lower end of the handle part, a power line is connected to the rotatable power supply and the power supply, and after the magnetic power is coupled to the fixing part, the power supply can be rotated to adjust the power line downward or in a direction set by the user. Hair dryer characterize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헤어 드라이어가 벽면에 배치된 고정부와 결합 거치되는 경우에 상기 본체부는 설정 각도 이상 절곡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드라이어.
The method of claim 4,
The hair dryer, characterized in that the body portion is not bent more than a set angle when the hair dryer is mounted in conjunction with the fixing portion disposed on the wal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하부 방향으로 단면적이 넓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드라이어.
The method of claim 1,
The hair dryer, characterized in that the handle portion is formed to increase the cross-sectional area in the lower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는 본체부 내부 쪽으로 삽입 고정되는 노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드라이어.
The method of claim 1,
The hair dryer, characterized in that the body portion further comprises a nozzle inserted and fixed toward the inside of the body portion.
헤어 드라이어에 있어서,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와 힌지 결합되는 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는 공기 배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만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드라이어.
In the hair dryer,
Handle;
Including; a main body portion hinged with the handle portion,
The hair dryer, characterized in that the handle portion is bent only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air discharge direction.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헤어 드라이어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본체부 내부의 히터를 가열하는 드라이 모드, 및 바람만을 인가하는 선풍기 모드를 구성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어부는 드라이 모드 및 선풍기 모드 중 어느 하나에서 다른 모드로 변경되는 경우에 바람의 강도 기준을 다르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드라이어.
The method of claim 9,
The hair dryer further includes a control unit,
The control unit controls to configure a dry mode for heating a heater inside the main body and a fan mode for applying only wind,
The control unit is a hair dryer, characterized in that when changing from one of the dry mode and the fan mode to another mode, differently set the wind intensity standard.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의 하단 단부에는 거치를 위한 자력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력부가 면접촉되어 거치 또는 고정되는 경우에 선풍기 모드로 자동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드라이어.



The method of claim 10,
A magnetic force portion for mounting is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handle portion, and the control unit automatically changes to a fan mode when the magnetic force portion is mounted or fixed by surface contact.



KR1020190090006A 2019-07-25 2019-07-25 Hair dryer KR10229079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0006A KR102290795B1 (en) 2019-07-25 2019-07-25 Hair dry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0006A KR102290795B1 (en) 2019-07-25 2019-07-25 Hair dry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2374A true KR20210012374A (en) 2021-02-03
KR102290795B1 KR102290795B1 (en) 2021-08-17

Family

ID=74572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0006A KR102290795B1 (en) 2019-07-25 2019-07-25 Hair dry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0795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1304A (en) * 1997-08-30 1999-03-25 윤종용 Power Cord Twist Prevention Structure of Hair Dryer
KR20040003871A (en) * 2002-07-04 2004-01-13 최수연 Dry dvice for menicure using hairdrier and nozzle
KR200448778Y1 (en) * 2008-03-27 2010-05-20 최영호 Hair Dryer of Wall-Attachment Type
KR20110137410A (en) * 2010-06-17 2011-12-23 이상헌 Auto liner dryer
US20180249803A1 (en) * 2017-03-01 2018-09-06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Heated air blower
KR20180127616A (en) * 2017-05-21 2018-11-29 장미진 desk hair drie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1304A (en) * 1997-08-30 1999-03-25 윤종용 Power Cord Twist Prevention Structure of Hair Dryer
KR20040003871A (en) * 2002-07-04 2004-01-13 최수연 Dry dvice for menicure using hairdrier and nozzle
KR200448778Y1 (en) * 2008-03-27 2010-05-20 최영호 Hair Dryer of Wall-Attachment Type
KR20110137410A (en) * 2010-06-17 2011-12-23 이상헌 Auto liner dryer
US20180249803A1 (en) * 2017-03-01 2018-09-06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Heated air blower
KR20180127616A (en) * 2017-05-21 2018-11-29 장미진 desk hair drier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삭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0795B1 (en) 2021-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28785B2 (en) Hair dryer
US11602208B2 (en) Hair dryer
US20100089413A1 (en) Hair straightening and drying device
US20120324755A1 (en) Combination hair-hand dryer assembly, and blow drying method
KR101372045B1 (en) Hands free hair bend dryer and hands free apparatus for conventional hair dryer
CN113180525A (en) Air blowing device
JP2001211927A (en) Hair dryer
KR20210127960A (en) hair styling device
CN111134435A (en) Hand-held hair drier
KR20210012374A (en) Hair dryer
CN215820725U (en) Air blowing device
CN208259286U (en) Hair dryer
CN210960773U (en) Hand-held hair drier
JP5554668B2 (en) Hair dryer
CN111418987A (en) Electric hair drier shell assembly and electric hair drier
KR101682069B1 (en) Smart Fan
JP2021142308A (en) Hair Dryer
CN210726982U (en) Hand-held blowing device
CN219845427U (en) Blowing device
WO2021021056A1 (en) Novelty in relation to a hair-dryer
CN210783275U (en) Hand-held blowing device
KR200270369Y1 (en) stand type hair drier
CN210104375U (en) Portable multifunctional dryer
KR20090010493U (en) Hair drier and nozzle for the same
CN110403326A (en) A kind of hair dry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