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1474A - 데이터베이스 관리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데이터베이스 관리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1474A
KR20210011474A KR1020210007482A KR20210007482A KR20210011474A KR 20210011474 A KR20210011474 A KR 20210011474A KR 1020210007482 A KR1020210007482 A KR 1020210007482A KR 20210007482 A KR20210007482 A KR 20210007482A KR 20210011474 A KR20210011474 A KR 202100114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
level
key
recorded
current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7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우진
이주현
박상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맥스티베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맥스티베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맥스티베로
Priority to KR1020210007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11474A/ko
Publication of KR20210011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14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4Querying
    • G06F16/242Query formulation
    • G06F16/2433Query languages
    • G06F16/244Grouping and aggreg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2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06F16/221Column-oriented storage; Management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2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06F16/2282Tablespace storage structures; Management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 가능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개시된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로 하여금 데이터베이스 관리를 위한 이하의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하며 상기 동작들은: 하나 이상의 레코드를 포함하는 테이블을 적어도 하나의 칼럼(column)을 기준으로 소팅(sorting)하여 소팅된 테이블을 생성하는 동작, 상기 소팅된 테이블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로우(row) 각각에 대응하는 현재 키(current key)를 식별하는 동작, 상기 하나 이상의 로우 각각에 대응하는 현재 키와 이전 키(previous key)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로우 각각에 대응하는 레코드를 자료 구조체에 순차적으로 기록하는 동작 및 상기 자료 구조체에 기록된 레코드에 대한 종합 결과값을 생성하여 출력 테이블에 기록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데이터베이스 관리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FOR PROVIDING DATABASE MANAGEMENT}
본 개시는 데이터베이스 관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데이터베이스의 처리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데이터베이스는 여러 사람에 공유되어 사용될 목적으로 통합하여 관리되는 표준 데이터의 집합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한 조직체의 특정 영역과 연관된 데이터를 수집하며, 이는 여러 수준의 의사 결정을 지원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오늘날 데이터의 양이 갈수록 방대해짐에 따라 데이터베이스에서 필요한 데이터를 검색하거나 데이터를 변경하기 위해서 이를 효율적으로 지원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이하, DBMS)의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다.
DBMS는 모든 데이터를 테이블 형태로 데이터베이스 저장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데이터를 관계로서 표현하여 제공할 수 있다. 즉, 행과 열의 집합으로 구성된 테이블의 묶음 형식으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으며, 테이블 형식의 데이터를 조작할 수 있는 관계 연산자를 제공할 수 있다.
테이블은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본 구조를 말하며, 하나의 테이블은 하나 이상의 레코드들로 구성된다. 이러한 DBMS는 외부로부터 특정 질의(Query)가 입력되는 경우, 입력된 질의에 대응하여 테이블로부터 원하는 출력을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질의란,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에 대한 어떠한 요구, 즉 데이터에 대한 어떠한 조작을 하기 원하는지를 기술한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SQL(Structured Query Language)과 같은 언어를 통해 표현될 수 있다.
한편, 최근 빅데이터 분석 수요는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분석 대상 데이터의 크기도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빅 데이터 분석에 기반한 의사결정을 통해 비즈니스 성공 확률을 높이고자 하는 욕구가 높아지고 있으며, 빅데이터 분석 성능의 향상은 실시간 기업 환경에서 필수적인 기술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보다 방대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여러 수준의 의사 결정을 하기 위해서는,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다방향의 분석이 필요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레코드에 대한 다양한 레벨 별 누적 연산값 등이 요구될 수 있다.
다만, 종래의 DBMS에서는 특정 테이블에서 칼럼을 기준으로 하여 레벨 별 총계를 구하는 경우, 테이블에 존재하는 칼럼의 레벨 별로 연산을 수행하여 연산량이 증가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에서 데이터베이스의 처리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에 대한 수요가 당 업계에 존재할 수 있다.
미국 등록 특허 US6,775,682 미국 등록 특허 US9,886,474
본 개시는 전술한 배경기술에 대응하여 안출된 것으로, 데이터베이스 관리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 가능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개시된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로 하여금 데이터베이스 관리를 위한 이하의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하며 상기 동작들은: 하나 이상의 레코드를 포함하는 테이블을 적어도 하나의 칼럼(column)을 기준으로 소팅(sorting)하여 소팅된 테이블을 생성하는 동작, 상기 소팅된 테이블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로우(row) 각각에 대응하는 현재 키(current key)를 식별하는 동작, 상기 하나 이상의 로우 각각에 대응하는 현재 키와 이전 키(previous key)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로우 각각에 대응하는 레코드를 자료 구조체에 순차적으로 기록하는 동작 및 상기 자료 구조체에 기록된 레코드에 대한 종합 결과값을 생성하여 출력 테이블에 기록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자료 구조체는, 하나 이상의 레벨을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레벨 각각에 상기 소팅된 테이블의 레코드가 기록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현재 키는, 상기 소팅된 테이블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칼럼에 기초하여 생성되며, 기준 키 및 상기 기준 키를 제외한 종속 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로우 각각에 대응하는 현재 키와 이전 키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로우 각각에 대응하는 레코드를 자료 구조체에 순차적으로 기록하는 동작은, 상기 현재 키와 상기 이전 키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소팅된 테이블의 레코드를 상기 자료 구조체 상에 기록할 레벨을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로우 각각에 대응하는 현재 키와 이전 키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로우 각각에 대응하는 레코드를 자료 구조체에 순차적으로 기록하는 동작은, 상기 이전 키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자료 구조체의 최하위 레벨에 상기 현재 키에 대응하는 로우의 레코드를 기록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로우 각각에 대응하는 현재 키와 이전 키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로우 각각에 대응하는 레코드를 자료 구조체에 순차적으로 기록하는 동작은, 상기 비교 결과 상기 현재 키와 상기 이전 키가 동일한 경우, 상기 자료 구조체 상에 상기 이전 키와 동일 레벨에 상기 현재 키에 대응하는 레코드를 기록하는 동작 및 상기 비교 결과 상기 현재 키와 상기 이전 키가 상이한 경우, 상기 자료 구조체 상에 상기 이전 키와 상이한 레벨에 상기 현재 키에 대응하는 레코드를 기록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로우 각각에 대응하는 현재 키와 이전 키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로우 각각에 대응하는 레코드를 자료 구조체에 순차적으로 기록하는 동작은, 상기 비교 결과 상기 현재 키가 상기 이전 키와 동일한 경우, 상기 자료 구조체의 최하위 레벨에 상기 현재 키에 대응하는 로우의 레코드를 기록하는 동작 및 상기 비교 결과 상기 현재 키가 상기 이전 키와 상이한 경우, 상기 자료 구조체의 최하위 레벨에 사전 기록된 레코드를 상위 레벨인 제 1 레벨에 전환하여 기록하고, 그리고 상기 최하위 레벨에 상기 현재 키에 대응하는 로우의 레코드를 기록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비교 결과 상기 현재 키가 상기 이전 키와 상이한 경우, 상기 자료 구조체의 최하위 레벨에 사전 기록된 레코드를 상위 레벨인 제 1 레벨에 전환하여 기록하고, 그리고 상기 최하위 레벨에 상기 현재 키에 대응하는 로우의 레코드를 기록하는 동작은, 상기 제 1 레벨에 추가 레코드가 기록되는 경우, 상기 제 1 레벨에 기록된 레코드를 상기 제 1 레벨 보다 상위 레벨인 제 2 레벨에 전환하여 기록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비교 결과 상기 현재 키가 상기 이전 키와 상이한 경우, 상기 자료 구조체의 최하위 레벨에 사전 기록된 레코드를 상위 레벨인 제 1 레벨에 전환하여 기록하고, 그리고 상기 최하위 레벨에 상기 현재 키에 대응하는 로우의 레코드를 기록하는 동작은, 상기 현재 키와 상기 이전 키 각각의 기준 키의 일치 여부를 판별하는 동작 및 상기 현재 키의 기준 키와 상기 이전 키의 기준 키가 상이한 경우, 상기 제 1 레벨에 기록된 레코드를 상기 제 1 레벨 보다 상위 레벨인 제 2 레벨에 전환하여 기록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로우 각각에 대응하는 현재 키와 이전 키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로우 각각에 대응하는 레코드를 자료 구조체에 순차적으로 기록하는 동작은, 상기 하나 이상의 레벨 각각에 위치한 레코드가 타 레벨로 전환되는 경우, 상기 타 레벨에 기록된 레코드에 대하여 추가적인 소팅을 수행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자료 구조체에 기록된 레코드에 대한 종합 결과값을 생성하여 출력 테이블에 기록하는 동작은, 상기 현재 키와 상기 이전 키를 비교하는 동작 및 상기 현재 키와 상기 이전 키가 상이한 경우, 상기 자료 구조체에서 상기 이전 키에 대응하는 레벨에 기록된 레코드에 대한 종합 결과값을 생성하여 상기 출력 테이블에 기록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자료 구조체에 기록된 레코드에 대한 종합 결과값을 생성하여 출력 테이블에 기록하는 동작은, 상기 현재 키와 상기 이전 키를 비교하는 동작, 상기 현재 키와 상기 이전 키 각각의 기준 키의 일치 여부를 판별하는 동작 및 상기 현재 키의 기준 키와 상기 이전 키 각각의 기준 키가 상이한 경우, 상기 자료 구조체의 상위 레벨 레코드에 대한 종합 결과값을 생성하여 상기 출력 테이블에 기록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자료 구조체에 기록된 레코드에 대한 종합 결과값을 생성하여 출력 테이블에 기록하는 동작은, 상기 자료 구조체에 기록된 레코드의 레벨 전환을 식별하는 동작 및 상기 레벨 전환에 대응하여 상기 레벨 전환이 발생하는 레코드에 대한 종합 결과값을 생성하여 출력 테이블에 기록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종합 결과값은,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한 SQL(Structured Query Language)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것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로우 각각의 현재 키에 대응하여 레벨 별로 산출되는 레코드 값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서 데이터베이스 관리를 위한 서버가 개시된다. 하나 이상의 코어를 포함하는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들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클라이언트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네트워크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레코드를 포함하는 테이블을 적어도 하나의 칼럼(column)을 기준으로 소팅하여 소팅된 테이블을 생성하고, 상기 소팅된 테이블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로우 각각에 대응하는 현재 키를 식별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로우 각각에 대응하는 현재 키와 이전 키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로우 각각에 대응하는 레코드를 자료 구조체에 순차적으로 기록하고, 그리고 상기 자료 구조체에 기록된 레코드에 대한 종합 결과값을 생성하여 출력 테이블에 기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데이터베이스 관리를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방법은, 하나 이상의 레코드를 포함하는 테이블을 적어도 하나의 칼럼을 기준으로 소팅하여 소팅된 테이블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소팅된 테이블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로우 각각에 대응하는 현재 키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로우 각각에 대응하는 현재 키와 이전 키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로우 각각에 대응하는 레코드를 자료 구조체에 순차적으로 기록하는 단계 및 상기 자료 구조체에 기록된 레코드에 대한 종합 결과값을 생성하여 출력 테이블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 데이터베이스 처리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로 기재되며, 여기서 유사한 참조 번호들은 총괄적으로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지칭하는데 이용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설명 목적을 위해, 다수의 특정 세부사항들이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총체적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제시된다. 그러나, 그러한 양상(들)이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 실시될 수 있음은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 대한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블록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관리를 위한 방법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을 소팅하여 소팅된 테이블을 생성하는 방법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합 결과값을 생성하여 출력 테이블에 기록하는 방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합 결과값을 생성하여 출력 테이블에 기록하는 방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합 결과값을 생성하여 출력 테이블에 기록하는 방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 따른 데이터베이스 관리를 수행하기 위한 수단을 도시한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환경에 대한 간략하고 일반적인 개략도를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이 이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명세서에서, 다양한 설명들이 본 개시의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설명 없이도 실행될 수 있음이 명백하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컴포넌트", "모듈", "시스템" 등은 컴퓨터-관련 엔티티,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조합, 또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컴포넌트는 프로세서상에서 실행되는 처리과정(procedure), 프로세서, 객체, 실행 스레드, 프로그램, 및/또는 컴퓨터일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및 컴퓨팅 장치 모두 컴포넌트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는 프로세서 및/또는 실행 스레드 내에 상주할 수 있다. 일 컴포넌트는 하나의 컴퓨터 내에 로컬화 될 수 있다. 일 컴포넌트는 2개 이상의 컴퓨터들 사이에 분배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컴포넌트들은 그 내부에 저장된 다양한 데이터 구조들을 갖는 다양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로부터 실행할 수 있다. 컴포넌트들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데이터 패킷들을 갖는 신호(예를 들면, 로컬 시스템, 분산 시스템에서 다른 컴포넌트와 상호작용하는 하나의 컴포넌트로부터의 데이터 및/또는 신호를 통해 다른 시스템과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에 따라 로컬 및/또는 원격 처리들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더불어, 용어 "또는"은 배타적 "또는"이 아니라 내포적 "또는"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는 자연적인 내포적 치환 중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X가 A를 이용하거나; X가 B를 이용하거나; 또는 X가 A 및 B 모두를 이용하는 경우,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가 이들 경우들 어느 것으로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열거된 관련 아이템들 중 하나 이상의 아이템의 가능한 모든 조합을 지칭하고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만,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단수 형태를 지시하는 것으로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본 명세서와 청구범위에서 단수는 일반적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들은 추가적으로 여기서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되어 설명된 다양한 예시 적 논리적 블록들, 구성들, 모듈들, 회로들, 수단들, 로직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이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양쪽 모두의 조합들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상호교환성을 명백하게 예시하기 위해, 다양한 예시 적 컴포넌트들, 블록들, 구성들, 수단들, 로직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은 그들의 기능성 측면에서 일반적으로 위에서 설명되었다. 그러한 기능성이 하드웨어로 또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되는지 여부는 전반적인 시스템에 부과된 특정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및 설계 제한들에 달려 있다. 숙련된 기술자들은 각각의 특정 어플리케이션들을 위해 다양한 방법들로 설명된 기능성을 구현할 수 있다. 다만, 그러한 구현의 결정들이 본 개시내용의 영역을 벗어나게 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 대한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1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데이터베이스 시스템(10)은 컴퓨팅 장치(100), 네트워크 및 클라이언트(200)를 포함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200)는 데이터베이스 컴퓨팅 장치(100)와 통신을 위한 매커니즘을 갖는 시스템에서의 임의의 형태의 노드(들)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클라이언트는 PC, 랩탑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단말 및/또는 네트워크 접속성을 갖는 임의의 전자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는 에이전트,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및 플러그-인(Plug-in)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구현되는 임의의 서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클라이언트로부터 발행된 쿼리에 따라서, 컴퓨팅 장치(100)의 후술될 동작들이 수행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프로세서, 메인프레임 컴퓨터, 디지털 싱글 프로세서, 휴대용 디바이스 및 디바이스 제어기 등과 같은 임의의 타입의 컴퓨터 시스템 또는 컴퓨터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팅 장치(100)는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 및/또는 영구 저장 매체(persistent storage)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의 컴퓨팅 장치(100)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10)에서의 임의의 형태의 노드(node)들을 의미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블록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2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컴퓨팅 장치(100)는 네트워크부(110), 저장부(120) 및 프로세서(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컴포넌트들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개시내용의 권리범위가 전술한 컴포넌트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즉,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대한 구현 양태에 따라서 추가적인 컴포넌트들이 포함되거나 또는 전술한 컴포넌트들 중 일부가 생략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컴퓨팅 장치(100)는 클라이언트(2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네트워크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부(110)는 컴퓨팅 장치(100)의 외부에 위치하는 경우, 특정 테이블에 대하여 수신한 SQL에 기초한 연산을 수행하여 생성한 출력 테이블을 컴퓨팅 장치(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부(110)는 클라이언트(200)로부터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부(110)는 클라이언트(200)로부터 데이터 저장, 변경 및 조회 그리고 인덱스 빌드, 변경 및 조회와 관련된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네트워크부(110)는 컴퓨팅 장치(100)로 프로시저를 호출하는 방식으로 컴퓨팅 장치(100)와 클라이언트(200) 간의 정보 전달을 허용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부(110)는 공중전화 교환망(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xDSL(x Digital Subscriber Line), RADSL(Rate Adaptive DSL), MDSL(Multi Rate DSL), VDSL(Very High Speed DSL), UADSL(Universal Asymmetric DSL), HDSL(High Bit Rate DSL) 및 근거리 통신망(LAN) 등과 같은 다양한 유선 통신 시스템들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제시되는 네트워크부(110)는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 Access), SC-FDMA(Single Carrier-FDMA) 및 다른 시스템들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시스템들을 사용할 수 있다. 추가적인 실시예로서, 본 명세서에서의 네트워크부(110)는 데이터베이스 링크(dblink)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컴퓨팅 장치(100)는 이러한 데이터베이스 링크를 통해 통신하여 다른 데이터베이스 서버로부터의 데이터들을 가져올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술들은 위에서 언급된 네트워크들뿐만 아니라, 다른 네트워크들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부(120)는 영구 저장 매체(persistent storage) 및 메모리(memory)를 포함할 수 있다.
영구 저장 매체는, 예를 들어 자기(magnetic) 디스크, 광학(optical) 디스크 및 광자기(magneto-optical) 저장 디바이스뿐만 아니라 플래시 메모리 및/또는 배터리-백업 메모리에 기초한 저장 디바이스와 같은, 임의의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할 수 있는 비-휘발성(non-volatile) 저장 매체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영구 저장 매체는 다양한 통신 수단을 통하여 컴퓨팅 장치(100)의 프로세서(130) 및 메모리와 통신할 수 있다.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이러한 영구 저장 매체는 컴퓨팅 장치(100) 외부에 위치하여 컴퓨팅 장치(100)와 통신 가능할 수도 있다.
메모리는, 예를 들어 동적 램(DRAM,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정적 램(S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등의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와 같은, 프로세서가 직접 접근하는 주된 저장 장치로서 전원이 꺼지면 저장된 정보가 순간적으로 지워지는 휘발성(volatile) 저장 장치를 의미할 수 있지만,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메모리는 프로세서(130)에 의하여 동작 될 수 있다. 메모리는 데이터 값을 포함하는 데이터 테이블(data table)을 임시로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테이블은 데이터 값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데이터 테이블의 데이터 값은 메모리로부터 영구 저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추가적인 양상에서, 메모리는 버퍼 캐시를 포함하며, 상기 버퍼 캐시의 데이터 블록에는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버퍼 캐시에 저장된 데이터는 백그라운드 프로세스에 의하여 영구 저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통산적으로 컴퓨팅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3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저장부(12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데이터베이스 관리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하나 이상의 레코드를 포함하는 테이블을 적어도 하나의 칼럼을 기준으로 소팅(sorting)하여 소팅된 테이블을 생성할 수 있다. 테이블에 대한 소팅은, 상기 테이블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레코드를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테이블에 대한 소팅은, 하나 이상의 레코드에 대한 검색(또는, 인덱싱)을 통해 효율적으로 레코드를 종합할 수 있도록, 상기 테이블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레코드에 대하여 병합 및/또는 정렬을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즉, 테이블에 대한 소팅을 수행하는 경우, 정의된 순서를 통해 레코드가 정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테이블(300)을 소팅하여,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소팅된 테이블(400)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테이블(300)에 대하여 소팅을 수행하는 경우, 프로세서(130)는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테이블의 2개의 칼럼(즉, 'c1' 및 'c2')을 기준으로 오름차순 정렬을 수행함으로써 소팅된 테이블(400)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도 4의 (b)에 도시된 소팅된 테이블(400)은 'c1' 및 'c2' 칼럼 각각이 동일한 레코드를 갖는 경우, 프로세서(130)는 각각의 로우에 대응하는 레코드들을 병합함으로써, 소팅된 테이블을 생성할 수도 있다. 전술한 테이블에 대한 소팅하는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기재는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소팅된 테이블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로우 각각에 대응하는 현재 키를 식별할 수 있다. 키는 레코드를 그룹화 하기 위한 기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키는 레코드를 그룹화 하기 위한 칼럼에 기록된 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의 (a)에서, C1, C2 칼럼은 레코드를 그룹화 하기 위하여 기준이 될 수 있는 값들을 기록 한 칼럼 일 수 있으며, 이들 칼럼에 기록된 값은 키가 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데이터베이스는 테이블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테이블은 칼럼과 로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레코드는 로우에 포함된 각각의 칼럼의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키는 레코드 중 각각의 로우를 정렬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칼럼에 기록된 레코드 일 수 있다. 현재 키는, 테이블에서 레벨 별 출력 값을 산출하는 위한 기준이 되는 레코드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현재 키는, 테이블에 포함된 하나의 칼럼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으며, 기준 키 및 상기 기준 키를 제외한 종속 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팅된 테이블(400)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경우, 각 로우 별 c1 칼럼에 포함된 레코드들이 각 로우에 대응하는 현재 키일 수 있으며, 각 로우 별 c1 및 c2 칼럼에 포함된 레코드들이 각 우에 대응하는 현재 키일 수도 있다. 즉, 테이블 내에서 그룹 별 출력 값을 산출하기 위한 기준의 개수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특정 칼럼에 대응하는 레코드들을 현재 키로 식별할 수 있다. 또한, 'c1' 및 'c2' 두개의 칼럼에 대한 레코드들이 각 로우에 대응하는 현재 키인 경우, 'c1'에 대응하는 칼럼에 위치한 레코드들은 기준 키일 수 있으며, 'c2'에 대응하는 칼럼에 위치한 레코드들은 종속 키일 수 있다. 즉, 키가 여러 칼럼의 레코드들로 구성되는 경우, 키의 성분의 수에 따라 로우를 그룹화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1, c2를 키의 성분으로 하는 그룹화 동작에서, c1 만을 키의 성분으로 하는 그룹화는 c1 및 c2 모두를 키의 성분으로 하는 그룹화 보다 상위 레벨일 수 있으며, 이 경우, c1 만이 키의 성분이므로, c1이 기준 키, c2는 종속 키가 될 수 있다. 전술한, 현재 키에 대응하는 칼럼의 수 및 기준 키와 종속 키에 대한 구체적인 기재는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c1' 및 'c2' 두개의 성분에 대응하는 칼럼에 대한 세부 레별 별 출력 값을 산출하고자 하는 경우, 프로세서(130)는 제 1 로우(410)에 대응하는 현재 키를 '1, 1'(411)로 식별할 수 있으며, 제 2 로우(420)에 대응하는 현재 키를 '1, 1'(421)로 식별할 수 있고, 제 3 로우(430)에 대응하는 현재 키를 '1, 1'(431)로 식별할 수 있고, 제 4 로우(440)에 대응하는 현재 키를 '1, 2'(441)로 식별할 수 있고, 그리고 제 5 로우(450)에 대응하는 현재 키를 '(2, 1'(451)로 식별할 수 있다. 전술한 테이블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로우 각각에 대응하는 현재 키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프로세서(130)는 특정 테이블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레코드에 대한 효율적으로 검색(또는, 인덱싱), 그룹핑이 가능하도록 하나 이상의 칼럼을 기준으로 소팅을 수행하여 소팅된 테이블을 생성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소팅된 테이블의 레코드를 자료 구조체에 로우 별로 순차적으로 기록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현재 키와 이전 키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소팅된 테이블의 레코드를 자료 구조체에 순차적으로 기록할 수 있다. 자료 구조체는 테이블의 하나 이상의 레코드에 대하여 세부 레벨 별 레코드의 종합 결과 값을 획득하기 위해 사전 구축된 것일 수 있다. 자료 구조체는 저장부(120)의 일부 공간을 점유할 수 있다. 자료 구조체는 예를 들어, 메인 메모리에 저장되거나, 영구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자료 구조체는 소팅된 테이블의 레코드가 기록되는 하나 이상의 레벨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하나 이상의 레벨은 하나 이상의 칼럼을 기준으로 분할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소팅된 테이블의 정의된 순서(예컨대, 소팅된 테이블의 로우의 배치 순서)를 통해 레코드를 순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제 1 레코드(즉, 첫번째 로우에 대응하는 레코드)가 프로세서(130)에 의해 자료 구조체 상에 기록되는 경우, 제 1 레코드에 대한 제 1 현재 키가 메모리 상에 유지될 수 있다. 이 후, 제 2 레코드(즉, 두번째 로우에 대응하는 레코드)가 프로세서(130)에 의해 자료 구조체 상에 기록되는 경우, 제 2 레코드에 대한 제 2 현재 키가 유지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30)는 제 2 현재 키와 제 1 현재 키를 비교할 수 있다. 즉, 제 2 현재 키에 대응하는 제 2 레코드를 자료 구조체 상에 기록하는 경우, 제 1 현재 키는 이전 키로 취급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소팅된 테이블의 레코드를 자료 구조체에 순차적으로 기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현재 키와 이전 키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소팅된 테이블의 레코드를 자료 구조체 상에 기록할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현재 키와 이전 키가 동일한 경우, 자료 구조체 상에 이전 키에 대응하는 레코드가 기록된 레벨과 동일한 레벨에 현재 키에 대응하는 레코드를 기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팅된 테이블의 첫번째 로우에 대응하는 제 1 현재 키가 '1'이며, 제 1 레코드가 '5'이고, 상기 제 1 레코드가 자료 구조체의 제 1 레벨에 기록되어 있으며, 두번째 로우에 대응하는 제 2 현재 키가 '1' 이며, 제 2 레코드가 '10'인 경우, 프로세서(130)는 제 1 현재 키와 제 2 현재 키가 동일한 것을 식별하여 상기 제 2 레코드인 '10'을 제 1 레코드가 기록된 레벨과 동일한 제 1 레벨에 기록할 수 있다. 전술한 현재 키 및 레코드의 구체적인 수치에 대한 기재는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이전 키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자료 구조체의 최하위 레벨에 현재 키에 대응하는 로우의 레코드를 기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소팅된 테이블의 최초 로우(즉, 가장 상단에 위치한 로우)를 자료 구조체에 기록하는 경우, 메모리 상에 유지되어 있는 현재 키가 존재하지 않음으로, 상기 최초 로우에 대응하는 현재 키와 비교될 이전 키가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프로세서(130)는 최초 로우의 레코드를 자료 구조체의 최하위 레벨에 기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현재 키와 이전 키가 동일한 경우, 자료 구조체의 최하위 레벨에 현재 키에 대응하는 로우의 레코드를 기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소팅된 테이블(400)이 도 4의 (b)와 같은 경우, 프로세서(130)는 제 1 로우(410) 내지 제 5 로우(450) 각각의 현재 키(즉, 제 1 현재 키(411), 제 2 현재 키(421), 제 3 현재 키(431), 제 4 현재 키(441) 및 제 5 현재 키(451))를 식별할 수 있으며, 식별된 현재 키에 기초하여 제 1 레코드(412) 내지 제 5 레코드(452)를 순차적으로 자료 구조체(500)에 기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가 제 1 로우(410)의 제 1 레코드(412)를 자료 구조체(500)에 기록하는 경우, 제 1 현재 키(411)는 메모리 상에 유지될 수 있다. 이 후, 제 2 로우(420)의 제 2 레코드(422)를 자료 구조체(500)에 기록하는 경우, 프로세서(130)는 제 2 현재 키(421)와 메모리 상에 유지된 상기 제 1 현재 키(411)를 비교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2 현재 키(421)와 제 1 현재 키(411)가 동일하므로, 프로세서(130)는 자료 구조체(500) 상에서 제 1 레코드(412)와 같은 레벨인 최하위 레벨에 제 2 레코드(422)를 기록할 수 있다. 즉, 제 2 레코드(422)를 자료 구조체에 기록하는 경우, 제 2 레코드(422) 보다 먼저 기록된 제 1 레코드(412)에 대응하는 제 1 현재 키(411)가 이전 키로 취급될 수 있다. 또한, 제 3 로우(430)의 제 3 레코드(432)를 자료 구조체(500)에 기록하는 경우, 제 3 현재 키(431)와 이전 키인 제 2 현재 키(421)를 비교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3 현재 키(431)와 이전 키인 제 2 현재 키(421)가 동일하므로, 제 3 레코드 또한 자료 구조체(500) 상에서 제 2 레코드(또는, 제 1 레코드)와 같은 레벨인 최하위 레벨에 기록될 수 있다. 즉, 제 1 로우, 제 2 로우 및 제 3 로우 각각의 레코드가 자료 구조체 상에 순차적으로 기록되는 경우, 각각의 현재 키가 각각의 이전 키와 동일하므로,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료 구조체의 최하위 레벨에 제 1 레코드, 제 2 레코드 및 제 3 레코드가 기록(510)될 수 있다. 전술한 소팅된 테이블의 로우, 현재 키 및 레코드의 구체적인 수치에 대한 기재는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현재 키와 이전 키가 상이한 경우, 자료 구조체 상에 이전 키와 상이한 레벨에 현재 키에 대응하는 레코드를 기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팅된 테이블의 두번째 로우에 대응하는 제 2 현재 키가 '1'이며, 제 2 레코드가 '10'이고, 상기 제 2 레코드가 자료 구조체의 제 1 레벨에 기록되어 있으며, 세번째 로우에 대응하는 제 3 현재 키가 '2'이며, 제 3 레코드가 '5'인 경우, 프로세서(130)는 제 2 현재 키와 제 3 현재 키가 상이한 것을 식별하여 상기 제 2 레코드인 '10'을 상기 제 3 레코드가 기록된 레벨과 상이한 레벨(예컨대, 제 2 레벨 또는 최하위 레벨 등)에 기록할 수 있다. 전술한 현재 키 및 레코드의 구체적인 수치에 대한 기재는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현재 키와 이전 키가 상이한 경우, 자료 구조체의 최하위 레벨에 현재 키에 대응하는 로우의 레코드를 기록할 수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프로세서(130)는 현재 키와 이전 키가 상이한 경우, 자료 구조체의 최하위 레벨에 사전 기록된 레코드를 상위 레벨인 제 1 레벨에 전환하여 기록하고, 그리고 상기 최하위 레벨에 현재 키에 대응하는 로우의 레코드를 기록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현재 키와 이전 키가 상이한 경우, 자료 구조체의 최하위 레벨을 제 1 레벨로 변경하고, 상기 새로운 최하위 레벨을 생성하여 현재 키에 대응하는 로우의 레코드를 기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소팅된 테이블이 도 4의 (b)와 같은 경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로우(410), 제 2 로우(420) 및 제 3 로우(430) 각각의 레코드가 자료 구조체(500)에 순차적으로 기록되는 경우, 각각의 현재 키가 각각의 이전 키와 동일함에 따라, 자료 구조체(500) 상에서 동일한 최하위 레벨에 기록(510)될 수 있다. 즉, 현재 메모리 상에는 제 3 로우(430)의 제 3 현재 키(431)가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제 4 로우(440)의 제 4 레코드(442)를 자료 구조체(500)에 기록하는 경우, 프로세서(130)는 제 4 현재 키(441)와 이전 키인 제 3 현재 키(431)를 비교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4 현재 키(441)와 이전 키인 제 3 현재 키(431)가 상이하므로, 프로세서(130)는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하위 레벨에 사전 기록된 레코드(510)를 상위 레벨인 제 1 레벨로 전환하여 기록(520)하고, 그리고 자료 구조체의 최하위 레벨에 제 4 레코드(442)를 기록(530)할 수 있다. 전술한 소팅된 테이블의 로우, 현재 키 및 레코드의 구체적인 수치에 대한 기재는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프로세서(130)는 소팅된 테이블의 하나 이상의 로우에 대한 레코드들을 자료 구조체에 순차적으로 기록하는 경우, 각각의 레코드에 대응하는 현재 키와 이전 키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레코드들을 상기 자료 구조체 상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레벨 중 특정 레벨에 기록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소팅된 테이블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로우 각각의 현재 키에 따른 레벨 별 분류를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자료 구조체에 기록된 하나 이상의 레코드의 레벨 전환에 기초하여 추가적인 소팅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자료 구조체의 하나 이상의 레벨 각각에 위치한 레코드가 타 레벨로 전환되는 경우, 상기 타 레벨에 기록된 레코드에 대한 추가적인 소팅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 4 현재 키(441)가 이전 키인 제 3 현재 키(431)와 상이함에 따라, 최하위 레벨에 기록(510)된 제 1 레코드(412), 제 2 레코드(422) 및 제 3 레코드(432)는 프로세서(130)에 의해 제 1 레벨로 전환되어 기록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최하위 레벨에 기록(510)된 레코드들이 타 레벨(즉, 제 1 레벨)로 전환되는 것을 식별하여 상기 타 레벨에 기록된 레코드에 대한 추가적인 소팅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최하위 레벨에 기록된 레코드들(510)은 제 1 레벨로 전환되어 기록되는 동시에 프로세서(130)에 의해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적인 소팅을 통해 레코드들의 오름차순 정렬되어 기록(520)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자료 구조체의 하나 이상의 레벨 중 특정 레벨에 추가적인 레코드가 기록되는 경우, 프로세서(130)는 상기 특정 레벨에 레코드에 대하여 추가적인 소팅을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추가적인 소팅을 통한 레코드들의 정렬은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추가적인 소팅은, distinct에 기초한 정렬, 내림차순 정렬, 선택 정렬, 중복 제거 및 삽입 정렬 등 다양한 소팅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자료 구조체의 제 1 레벨에 추가 레코드가 기록되는 경우, 제 1 레벨에 사전 기록된 레코드를 상기 제 1 레벨 보다 상위 레벨인 제 2 레벨에 전환하여 기록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소팅된 테이블(400)의 제 1 레코드(412) 내지 제 4 레코드(442)를 자료 구조체(500)에 순차적으로 기록하는 경우,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레코드(412) 내지 제 3 레코드(432)는 자료 구조체(500)에 제 1 레벨에 기록(520)될 수 있으며, 제 4 레코드(530)는 최하위 레벨에 기록될 수 있다. 즉, 현재 메모리 상에는 제 4 로우(440)의 현재 키가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제 5 로우(450)의 제 5 레코드(452)를 자료 구조체(500)에 기록하는 경우, 프로세서(130)는 제 5 현재 키(451)와 이전 키인 제 4 현재 키(441)를 비교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5 현재 키(451)와 제 4 현재 키(441)가 상이하므로, 프로세서(130)는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하위 레벨에 기록된 레코드(540)를 제 1 레벨로 전환하여 기록(550)할 수 있다. 자료 구조체의 제 1 레벨에 레코드들(즉, 제 1 레코드 내지 제 3 레코드)이 이미 존재하는 상황에서 별도의 레코드(즉, 제 4 레코드)(540)가 상기 제 1 레벨에 추가되는 경우, 프로세서(130)는 제 1 레벨에 기록된 레코드들(즉, 제 1 레코드 및 제 4 레코드)(550)을 상기 제 1 레벨 보다 상위 레벨인 제 2 레벨에 전환하여 기록(560)할 수 있다. 전술한 소팅된 테이블의 로우, 현재 키 및 레코드의 구체적인 수치에 대한 기재는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현재 키와 이전 키 각각의 기준 키의 일치 여부에 기초하여 자료 구조체의 제 1 레벨에 기록된 레코드를 상기 제 1 레벨 보다 상위 레벨인 제 2 레벨에 전환하여 기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현재 키의 기준 키와 이전 키의 기준 키가 상이한 경우, 제 1 레벨에 사전 기록된 레코드를 상기 제 1 레벨 보다 상위 레벨인 제 2 레벨에 전환하여 기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소팅된 테이블(400)의 제 1 레코드(412) 내지 제 4 레코드(442)를 자료 구조체(500)에 순차적으로 기록하는 경우,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레코드(412) 내지 제 3 레코드(432)는 자료 구조체(500)에 제 1 레벨에 기록(520)될 수 있으며, 제 4 레코드(530)는 최하위 레벨에 기록될 수 있다. 즉, 현재 메모리 상에는 제 4 로우(440)의 현재 키가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제 5 로우(450)의 제 5 레코드(452)를 자료 구조체(500)에 기록하는 경우, 프로세서(130)는 제 5 현재 키(451)와 이전 키인 제 4 현재 키(441)를 비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5 현재 키의 기준 키와 제 4 현재 키의 기준 키의 일치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이 경우, 소팅된 테이블의 c1 칼럼의 레코드 값이 기준 키일 수 있으며, c2 칼럼의 레코드 값이 종속 키일 수 있다. 즉, 제 5 현재 키의 기준 키는 '2' 일 수 있으며, 제 4 현재 키(441)의 기준 키는 '1'일 수 있어, 각각의 기준 키는 상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5 현재 키의 기준 키와 제 4 현재 키(441)의 기준 키가 상이한 경우, 프로세서(130)는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레벨에 기록된 레코드들(즉, 제 1 레코드 및 제 4 레코드)(550)을 상기 제 1 레벨 보다 상위 레벨인 제 2 레벨에 전환하여 기록(560)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자료 구조체에 할당된 저장부(120)의 공간 상에서 현재 레벨에 기록된 레코드들을 판독하여, 상위 레벨에 할당된 공간에 기록하고, 현재 레벨에 기록된 레코드들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자료 구조체 상에서 현제 레벨에 기록된 레코드들에 대하여 할당된 공간을 상위 레벨로 변경하여, 레코드들의 물리적인 저장 위치는 유지한 상태로, 해당 저장 위치에 할당된 레벨을 변경하는 방식으로 레코드들을 상위 레벨로 전환하여 기록할 수 있다. 전술한 소팅된 테이블의 로우, 현재 키, 기준 키 및 레코드의 구체적인 수치에 대한 기재는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자료 구조체에 기록할 추가적인 로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자료 구조체에 기록된 레코드를 상위 레벨로 전환하여 기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자료 구조체에 기록할 추가적인 로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하나 이상의 레벨에 기록된 레코드를 최상위 레벨까지 순차적으로 전환하여 기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자료 구조체에 기록된 레코드에 대한 종합 결과값을 출력하여 출력 테이블에 기록할 수 있다. 종합 결과값은, 클라이언트(200)로부터 수신한 SQL에 기초하여 산출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로우에 포함되는 레코드에 기초하여 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종합 결과값은 그룹화된 하나 이상의 로우에 대하여 그룹 별로 포함된 레코드에 기초하여 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종합 결과 값은 하나 이상의 로우 각각의 현재 키에 대응하여 레벨 별로 산출되는 레코드 값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레벨은 하나 이상의 그룹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종합 결과값은 테이블에 기록된 레코드의 개수에 대응하는 경우의 수에 대한 그룹 별 총계값을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현재 키와 이전 키를 비교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현재 키와 이전 키가 상이한 경우, 자료 구조체에서 이전 키에 대응하는 레벨에 기록된 레코드에 대한 종합 결과값을 생성하여 출력 테이블에 기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 내지 도 5을 참조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소팅된 테이블(400)의 제 1 레코드(412) 내지 제 3 레코드(432)를 자료 구조체(500)에 순차적으로 기록하는 경우,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레코드(412) 내지 제 3 레코드(432)는 자료 구조체(500)의 최하위 레벨에 기록(510)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소팅된 테이블(400)의 다음 로우인 제 4 로우(440)의 제 4 레코드(442)를 자료 구조체에 기록하는 경우, 프로세서(130)는 제 4 현재 키(441)와 이전 키인 제 3 현재 키(431)를 비교할 수 있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4 현재 키(441)가 제 3 현재 키(431)와 상이한 것을 판별하여, 프로세서(130)는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전 키에 대응하는 레벨인 최하위 레벨의 레코드들(510)(즉, 제 1 레코드 내지 제 3 레코드)에 대한 종합 결과값을 생성하여 출력 테이블(600)에 기록(610)할 수 있다. 이때, 종합 결과값은 클라이언트의 SQL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결과값일 수 있으며, 도 5에 도시된 종합 결과값은 각 레벨에 따른 레코드들의 median 산출한 것이다. 즉, 이전 키에 대응하는 레벨인 최하위 레벨에 포함된 레코드들(510)의 median 값인 '10, 5'가 출력될 수 있다. 상술한 예시에서는 종합 결과값으로 레코드들의 median을 생성하는 것을 설명하고 있으나, 본 개시는 Sum, Distinct, Count, Max 및 Avg 등과 같은 다양한 함수들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이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즉, 본 개시의 종합 결과값은 클라이언트의 레코드의 분석 목적에 따라 다양한 함수를 통해 종합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종합 결과값은, 클라이언트의 레코드의 분석 목적에 따라 다양한 함수를 통해 종합될 수 있는 것으로, 특정 함수에 제한되지 않음이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다른 예를 들어,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소팅된 테이블(400)의 제 1 레코드(412) 내지 제 4 레코드(442)를 자료 구조체(500)에 순차적으로 기록하는 경우,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레코드(412) 내지 제 3 레코드(432)는 자료 구조체(500)에 제 1 레벨에 기록(520)될 수 있으며, 제 4 레코드(530)는 최하위 레벨에 기록될 수 있다. 즉, 현재 메모리 상에는 제 4 로우(440)의 현재 키가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제 5 로우(450)의 제 5 레코드(452)를 자료 구조체(500)에 기록하는 경우, 프로세서(130)는 제 5 현재 키(451)와 이전 키인 제 4 현재 키(441)를 비교할 수 있다.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5 현재 키(451)가 제 4 현재 키(441)와 상이한 것을 판별하여, 프로세서(130)는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전 키에 대응하는 레벨인 최하위 레벨의 레코드들(540)(즉, 제 1 레코드 내지 제 3 레코드)에 대한 종합 결과값을 생성하여 출력 테이블(600)에 기록(620)할 수 있다. 이 경우, 최하위 레벨에 레코드는 하나의 로우에 대응하는 레코드만이 기록되어 있음으로, '10, 10'이 종합 결과값으로 생성되어 출력 테이블(600)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종합 결과값의 구체적인 수치에 대한 기재는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현재 키와 이전 키 각각의 기준 키의 일치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자료 구조체의 레코드에 대한 종합 결과값을 생성하여 출력 테이블에 기록할 수 있다. 상기 상위 레벨 레코드는, 최하위 레벨의 레코드를 제외한 모든 레벨의 레코드를 의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현재 키의 기준 키와 이전 키의 기준 키가 상이한 경우, 상위 레벨 레코드에 대한 종합 결과값을 생성하여 출력 테이블에 기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소팅된 테이블(400)의 제 1 레코드(412) 내지 제 5 레코드(452)를 자료 구조체(500)에 순차적으로 기록하는 경우,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레코드(412) 내지 제 4 레코드(442)는 자료 구조체(500)의 제 1 레벨에 기록(520)될 수 있다. 즉, 현재 메모리 상에는 제 4 로우(440)의 현재 키가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제 5 로우(450)의 제 5 레코드(452)를 자료 구조체(500)에 기록하는 경우, 프로세서(130)는 제 5 현재 키(451)와 이전 키인 제 4 현재 키(441)를 비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제 5 현재 키의 기준 키와 제 4 현재 키의 기준 키의 일치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이 경우, 소팅된 테이블의 c1 칼럼의 레코드 값이 기준 키일 수 있으며, c2 칼럼의 레코드 값이 종속 키일 수 있다. 즉, 제 5 현재 키의 기준 키는 '2' 일 수 있으며, 제 4 현재 키(441)의 기준 키는 '1'일 수 있어, 각각의 기준 키는 상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5 현재 키의 기준 키와 제 4 현재 키(441)의 기준 키가 상이한 경우, 프로세서(130)는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하위 레벨의 레코드를 제외한 모드 레벨에 기록된 레코드(550)에 대한 종합 결과값을 생성하여 출력 테이블(600)에 기록(630)할 수 있다. 이 경우, 모든 레벨에 기록된 레코드(550)의 d1은 '5', '10', '10', '15' 이며, d2는 '5', '5', '10', '15'이므로, 각각의 레코드의 median값인 '10, 7.5'가 종합 결과값으로 생성되어 출력 테이블(600)에 기록(630)될 수 있다. 전술한 종합 결과값의 구체적인 수치에 대한 기재는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프로세서(130)는 현재 키와 이전 키 각각의 기준 키의 일치 여부에 기초하여 종합 결과값을 출력할 수 있다. 현재 키의 기준 키가 이전 키의 기준 키와 상이한 것은 현재 레코드와 이전 레코드가 상이한 레벨이라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30)는 레벨이 상이한 구간을 식별함으로써, 특정 레벨 별 종합 결과값을 생성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자료 구조체에 기록된 레코드의 레벨 전환에 기초하여 종합 결과값을 생성하여 출력 테이블에 기록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자료 구조체에 기록된 레코드의 레벨 전환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상기 레벨 전환에 대응하여 레벨 전환이 발생하는 레코드에 대한 종합 결과값을 생성하여 출력 테이블에 기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를 참조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4 로우(440)의 제 4 레코드를 자료 구조체(500)에 기록하는 경우, 상기 제 4 현재 키(441)와 이전 키인 제 3 현재 키(431)가 상이함에 따라, 최하위 레벨에 기록된 레코드들(510)(즉, 제 1 레코드 내지 제 3 레코드)은 제 1 레벨로 전환되어 기록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30)는 최하위 레벨에 위치한 레코드들(510)이 제 1 레벨로 전환되어 기록(520)된 것을 식별하여, 상기 제 1 레벨에 전환된 레코드들의 종합 결과값을 생성하여 출력 테이블(600)에 기록(610)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레벨로 전환이 발생한 레코드(520)의 d1은 '5', '10', '10' 이며, d2는 '5', '5', '10' 이므로, 각각의 레코드의 median값인 '10, 5'가 종합 결과값으로 생성되어 출력 테이블(600)에 기록(610)될 수 있다. 전술한 종합 결과값의 구체적인 수치에 대한 기재는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예를 들어, 도 6을 참조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5 로우(450)의 제 5 레코드(452)를 자료 구조체(500)에 기록하는 경우, 상기 제 5 현재 키(451)와 이전 키인 제 4 현재 키(441)가 상이함에 따라, 최하위 레벨에 기록된 레코드들(540)(즉, 제 4 레코드)은 제 1 레벨로 전환되어 기록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30)는 최하위 레벨에 위치한 레코드들(540)이 제 1 레벨로 전환되어 기록(550)된 것을 식별하여, 상기 제 1 레벨에 전환된 레코드들(즉, 제 4 레코드)의 종합 결과값을 생성하여 출력 테이블(600)에 기록(620)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레벨로 전환이 발생한 레코드(520)의 d1은 '10' 이며, d2는 '10' 이므로, 각각의 레코드의 median값인 '10, 10'이 종합 결과값으로 생성되어 출력 테이블(600)에 기록(620)될 수 있다. 전술한 종합 결과값의 구체적인 수치에 대한 기재는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도 6을 참조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자료 구조체의 제 1 레벨에 레코드들(즉, 제 1 레코드 내지 제 3 레코드)이 이미 존재하는 상황에서 별도의 레코드(즉, 제 4 레코드)(540)가 상기 제 1 레벨에 추가되는 경우, 제 1 레벨에 기록된 레코드들(즉, 제 1 레코드 및 제 4 레코드)(550)은 상기 제 1 레벨 보다 상위 레벨인 제 2 레벨에 전환하여 기록(560)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프로세서(130)는 상기 제 1 레벨에 기록된 레코드들(550)이 제 2 레벨에 전환하여 기록되는 것에 대응하여, 제 1 레벨에 기록된 레코드들(550)에 대한 종합 결과값을 생성하여 출력 테이블(600)에 기록(630)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이전 키 값과 상이한 현재 키가 판독되는 경우, 프로세서(130)는 제 1 레벨에 기록된 레코드들(550)을 판독하여 제 1 레벨에 기록된 레코드들(550)에 대한 종합 결과값을 생성하여, 출력 테이블에 기록(630)할 수 있고, 그리고 제 1 레벨에 기록된 레코드들(550)을 제 2 레벨에 전환하여 기록할 수 있다. 이전 키 값과 상이한 현재 키 값이 판독되는 경우 프로세서(130)는 자료구조체 상에서 현재 기록 중인 레벨에 기록된 레코드를 상위 레벨로 전환하여 기록하기 위하여, 현재 기록 중인 레벨을 식별하고, 식별된 현재 기록 중인 레벨에 포함된 레코드들을 판독하여 종합 결과를 생성하고, 현재 기록 중인 레벨에 포함된 레코드들을 상위 레벨로 전환하여 기록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현재 기록 중인 레벨에 포함된 레코드들을 상위 레벨로 전환하여 기록하기 위하여, 현재 기록 중인 레벨에 포함된 레코드들을 상위 레벨에 할당된 저장 공간에 기록할 수도 있고, 현재 기록 중인 레벨에 할당된 저장 공간을 상위 레벨로 할 당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 2 레벨로 전환이 발생한 레코드(520)의 d1은 '5', '10', '10', '15' 이며, d2는 '5', '5', '10', '15'이므로, 각각의 레코드의 median값인 '10, 7.5'가 종합 결과값으로 생성되어 출력 테이블(600)에 기록(630)될 수 있다. 전술한 종합 결과값의 구체적인 수치에 대한 기재는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소팅된 테이블(400)이 5개의 로우를 포함하며, 제 1 로우(410) 내지 제 4 로우(440)의 각각의 레코드를 자료 구조체(500)에 순차적으로 기록하는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은 프로세서(130)의 동작들에 의해 도 6의 (b)와 같이, 제 1 레코드(412) 내지 제 4 레코드(442)가 기록(560)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제 5 로우(450)의 제 5 레코드(452)를 자료 구조체에 기록하는 경우,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5 현재 키(451)가 이전 키인 제 4 현재 키(441)와 상이함에 따라, 최하위 레벨에 제 5 레코드(452)가 기록(570)될 수 있다. 자료 구조체(500)에 추가적으로 기록할 레코드가 존재하지 않음으로,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하위 레벨에 기록된 레코드(570)(즉, 제 5 레코드)는 제 1 레벨로 전환하여 기록(580)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프로세서(130)는 최하위 레벨에 기록된 레코드(570)가 제 1 레벨로 전환하여 기록(580)되는 것에 대응하여,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하위 레벨에 기록된 레코드(570)에 대한 종합 결과값을 생성하여 출력 테이블(600)에 기록(640)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레벨로 전환이 발생한 레코드(570)의 d1은 '20' 이며, d2는 '5'이므로, 각각의 레코드의 median값인 '20, 5'가 종합 결과값으로 생성되어 출력 테이블(600)에 기록(640)될 수 있다. 전술한 종합 결과값의 구체적인 수치에 대한 기재는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후에도 추가적으로 기록할 레코드가 존재하지 않음으로, 프로세서(130)는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레벨에 기록된 레코드(580)(즉, 제 5 레코드)는 제 2 레벨로 전환하여 기록(590)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프로세서(130)는 제 1 레벨에 기록된 레코드(580)가 제 2 레벨로 전환하여 기록(590)되는 것에 대응하여,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레벨에 기록된 레코드(580)에 대한 종합 결과값을 생성하여 출력 테이블(600)에 기록(650)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2 레벨로 전환이 발생한 레코드(580)의 d1은 '20' 이며, d2는 '5'이므로, 각각의 레코드의 median값인 '20, 5'가 종합 결과값으로 생성되어 출력 테이블(600)에 기록(650)될 수 있다. 전술한 종합 결과값의 구체적인 수치에 대한 기재는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자료 구조체의 최상위 레벨에 모든 레코드가 기록된 경우, 종합 결과값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료 구조체(500)의 최상위 레벨인 제 2 레벨에 소팅 테이블(400)이 포함하는 모든 레코드가 기록(590)된 경우, 프로세서(130)는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레벨에 기록된 레코드(590)의 종합 결과값을 산출하여 출력 테이블(600)에 기록(660)할 수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은 프로세서(130)에 동작들에 따라 기록된 출력 테이블은 레벨 별 종합 출력값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프로세서(130)는 특정 테이블에 대한 한번의 연산을 통해 상기 특정 테이블의 레코드들에 대한 레벨 별 종합 결과값을 포함하는 출력 테이블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최소화된 연산량을 통해 테이블에 포함된 레코드들에 대한 다양한 레벨 별 누적 연산값을 출력할 수 있어, 데이터베이스 처리 성능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분석 응용에 적용 시, 분석 성능의 향상으로 보다 경쟁력 있는 의사결정이 가능해질 수 있으며, 고성능 분석 플랫폼을 통해 빅데이터 관련 제품의 경쟁력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관리를 위한 방법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컴퓨팅 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레코드를 포함하는 테이블을 적어도 하나의 칼럼을 기준으로 소팅하여 소팅된 테이블을 생성할 수 있다(310).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컴퓨팅 장치(100)는 소팅된 테이블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로우 각각에 대응하는 현재 키를 식별할 수 있다(320).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컴퓨팅 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로우 각각에 대응하나 현재 키와 이전 키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로우 각각에 대응하는 레코드를 자료 구조체에 순차적으로 기록할 수 있다(330).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컴퓨팅 장치(100)는 자료 구조체에 기록된 레코드에 대한 종합 결과값을 출력하여 출력 테이블에 기록할 수 있다(340).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 따른 데이터베이스 관리를 수행하기 위한 수단을 도시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컴퓨터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은 수단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 이상의 레코드를 포함하는 테이블을 적어도 하나의 칼럼을 기준으로 소팅하여 소팅된 테이블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710), 상기 소팅된 테이블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로우 각각에 대응하는 현재 키를 식별하기 위한 수단(720), 상기 하나 이상의 로우 각각에 대응하는 현재 키와 이전 키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로우 각각에 대응하는 레코드를 자료 구조체에 순차적으로 기록하기 위한 수단(730) 및 상기 자료 구조체에 기록된 레코드에 대한 종합 결과값을 생성하여 출력 테이블에 기록하기 위한 수단(740)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자료 구조체는, 하나 이상의 레벨을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레벨 각각에 상기 소팅된 테이블의 레코드가 기록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현재 키는, 상기 소팅된 테이블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칼럼에 기초하여 생성되며, 기준 키 및 상기 기준 키를 제외한 종속 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로우 각각에 대응하는 현재 키와 이전 키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로우 각각에 대응하는 레코드를 자료 구조체에 순차적으로 기록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현재 키와 상기 이전 키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소팅된 테이블의 레코드를 상기 자료 구조체 상에 기록할 레벨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로우 각각에 대응하는 현재 키와 이전 키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로우 각각에 대응하는 레코드를 자료 구조체에 순차적으로 기록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이전 키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자료 구조체의 최하위 레벨에 상기 현재 키에 대응하는 로우의 레코드를 기록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로우 각각에 대응하는 현재 키와 이전 키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로우 각각에 대응하는 레코드를 자료 구조체에 순차적으로 기록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비교 결과 상기 현재 키와 상기 이전 키가 동일한 경우, 상기 자료 구조체 상에 상기 이전 키와 동일 레벨에 상기 현재 키에 대응하는 레코드를 기록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비교 결과 상기 현재 키와 상기 이전 키가 상이한 경우, 상기 자료 구조체 상에 상기 이전 키와 상이한 레벨에 상기 현재 키에 대응하는 레코드를 기록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로우 각각에 대응하는 현재 키와 이전 키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로우 각각에 대응하는 레코드를 자료 구조체에 순차적으로 기록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비교 결과 상기 현재 키가 상기 이전 키와 동일한 경우, 상기 자료 구조체의 최하위 레벨에 상기 현재 키에 대응하는 로우의 레코드를 기록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비교 결과 상기 현재 키가 상기 이전 키와 상이한 경우, 상기 자료 구조체의 최하위 레벨에 사전 기록된 레코드를 상위 레벨인 제 1 레벨에 전환하여 기록하고, 그리고 상기 최하위 레벨에 상기 현재 키에 대응하는 로우의 레코드를 기록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비교 결과 상기 현재 키가 상기 이전 키와 상이한 경우, 상기 자료 구조체의 최하위 레벨에 사전 기록된 레코드를 상위 레벨인 제 1 레벨에 전환하여 기록하고, 그리고 상기 최하위 레벨에 상기 현재 키에 대응하는 로우의 레코드를 기록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제 1 레벨에 추가 레코드가 기록되는 경우, 상기 제 1 레벨에 기록된 레코드를 상기 제 1 레벨 보다 상위 레벨인 제 2 레벨에 전환하여 기록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비교 결과 상기 현재 키가 상기 이전 키와 상이한 경우, 상기 자료 구조체의 최하위 레벨에 사전 기록된 레코드를 상위 레벨인 제 1 레벨에 전환하여 기록하고, 그리고 상기 최하위 레벨에 상기 현재 키에 대응하는 로우의 레코드를 기록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현재 키와 상기 이전 키 각각의 기준 키의 일치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현재 키의 기준 키와 상기 이전 키의 기준 키가 상이한 경우, 상기 제 1 레벨에 기록된 레코드를 상기 제 1 레벨 보다 상위 레벨인 제 2 레벨에 전환하여 기록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로우 각각에 대응하는 현재 키와 이전 키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로우 각각에 대응하는 레코드를 자료 구조체에 순차적으로 기록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하나 이상의 레벨 각각에 위치한 레코드가 타 레벨로 전환되는 경우, 상기 타 레벨에 기록된 레코드에 대하여 추가적인 소팅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자료 구조체에 기록된 레코드에 대한 종합 결과값을 생성하여 출력 테이블에 기록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현재 키와 상기 이전 키를 비교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현재 키와 상기 이전 키가 상이한 경우, 상기 자료 구조체에서 상기 이전 키에 대응하는 레벨에 기록된 레코드에 대한 종합 결과값을 생성하여 상기 출력 테이블에 기록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자료 구조체에 기록된 레코드에 대한 종합 결과값을 생성하여 출력 테이블에 기록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현재 키와 상기 이전 키를 비교하기 위한 수단, 상기 현재 키와 상기 이전 키 각각의 기준 키의 일치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현재 키의 기준 키와 상기 이전 키 각각의 기준 키가 상이한 경우, 상기 자료 구조체의 상위 레벨 레코드에 대한 종합 결과값을 생성하여 상기 출력 테이블에 기록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자료 구조체에 기록된 레코드에 대한 종합 결과값을 생성하여 출력 테이블에 기록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자료 구조체에 기록된 레코드의 레벨 전환을 식별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레벨 전환에 대응하여 상기 레벨 전환이 발생하는 레코드에 대한 종합 결과값을 생성하여 출력 테이블에 기록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종합 결과값은,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한 SQL(Structured Query Language)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것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로우 각각의 현재 키에 대응하여 레벨 별로 산출되는 레코드 값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베이스 관리를 수행하기 위한 수단은, 컴퓨팅 장치를 구현하기 위한 모듈, 회로 또는 로직에 의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당업자들은 추가적으로 여기서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되어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 논리적 블록들, 구성들, 모듈들, 회로들, 수단들, 로직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이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양쪽 모두의 조합들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상호교환성을 명백하게 예시하기 위해, 다양한 예시적 컴포넌트들, 블록들, 구성들, 수단들, 로직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은 그들의 기능성 측면에서 일반적으로 위에서 설명되었다. 그러한 기능성이 하드웨어로 또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되는지 여부는 전반적인 시스템에 부과된 특정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및 설계 제한들에 달려 있다. 숙련된 기술자들은 각각의 특정 어플리케이션들을 위해 다양한 방법들로 설명된 기능성을 구현할 수 있으나, 그러한 구현의 결정들이 본 개시내용의 영역을 벗어나게 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환경에 대한 간략하고 일반적인 개략도를 도시한다.
본 개시가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와 관련하여 전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본 개시가 기타 프로그램 모듈들과 결합되어 및/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잘 알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로그램 모듈은 특정의 태스크를 수행하거나 특정의 추상 데이터 유형을 구현하는 루틴, 프로시져, 프로그램, 컴포넌트, 데이터 구조, 기타 등등을 포함한다. 또한, 당업자라면 본 개시의 방법이 단일-프로세서 또는 멀티프로세서 컴퓨터 시스템, 미니컴퓨터, 메인프레임 컴퓨터는 물론 퍼스널 컴퓨터, 핸드헬드 컴퓨팅 장치, 마이크로프로세서-기반 또는 프로그램가능 가전 제품, 기타 등등(이들 각각은 하나 이상의 연관된 장치와 연결되어 동작할 수 있음)을 비롯한 다른 컴퓨터 시스템 구성으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잘 알 것이다.
본 개시의 설명된 실시예들은 또한 어떤 태스크들이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원격 처리 장치들에 의해 수행되는 분산 컴퓨팅 환경에서 실시될 수 있다. 분산 컴퓨팅 환경에서, 프로그램 모듈은 로컬 및 원격 메모리 저장 장치 둘다에 위치할 수 있다.
컴퓨터는 통상적으로 다양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매체는 그 어떤 것이든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가 될 수 있고,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전송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이동식 및 비-이동식 매체를 포함한다.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를 저장하는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되는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이동식 및 비이동식 매체를 포함한다.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RAM, ROM, EEP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기타 메모리 기술, CD-ROM, DVD(digital video disk) 또는 기타 광 디스크 저장 장치, 자기 카세트,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또는 기타 자기 저장 장치, 또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고 원하는 정보를 저장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임의의 기타 매체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컴퓨터 판독가능 전송 매체는 통상적으로 반송파(carrier wave)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transport mechanism)과 같은 피변조 데이터 신호(modulated data signal)에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등을 구현하는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피변조 데이터 신호라는 용어는 신호 내에 정보를 인코딩하도록 그 신호의 특성들 중 하나 이상을 설정 또는 변경시킨 신호를 의미한다. 제한이 아닌 예로서, 컴퓨터 판독가능 전송 매체는 유선 네트워크 또는 직접 배선 접속(direct-wired connection)과 같은 유선 매체, 그리고 음향, RF, 적외선, 기타 무선 매체와 같은 무선 매체를 포함한다. 상술된 매체들 중 임의의 것의 조합도 역시 컴퓨터 판독가능 전송 매체의 범위 안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컴퓨터(1102)를 포함하는 본 개시의 여러가지 측면들을 구현하는 예시적인 환경(1100)이 나타내어져 있으며, 컴퓨터(1102)는 처리 장치(1104), 시스템 메모리(1106) 및 시스템 버스(1108)를 포함한다. 시스템 버스(1108)는 시스템 메모리(1106)(이에 한정되지 않음)를 비롯한 시스템 컴포넌트들을 처리 장치(1104)에 연결시킨다. 처리 장치(1104)는 다양한 상용 프로세서들 중 임의의 프로세서일 수 있다. 듀얼 프로세서 및 기타 멀티프로세서 아키텍처도 역시 처리 장치(1104)로서 이용될 수 있다.
시스템 버스(1108)는 메모리 버스, 주변장치 버스, 및 다양한 상용 버스 아키텍처 중 임의의 것을 사용하는 로컬 버스에 추가적으로 상호 연결될 수 있는 몇가지 유형의 버스 구조 중 임의의 것일 수 있다. 시스템 메모리(1106)는 판독 전용 메모리(ROM)(1110)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1112)를 포함한다. 기본 입/출력 시스템(BIOS)은 ROM, EPROM, EEPROM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1110)에 저장되며, 이 BIOS는 시동 중과 같은 때에 컴퓨터(1102) 내의 구성요소들 간에 정보를 전송하는 일을 돕는 기본적인 루틴을 포함한다. RAM(1112)은 또한 데이터를 캐싱하기 위한 정적 RAM 등의 고속 RAM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1102)는 또한 내장형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1114)(예를 들어, EIDE, SATA)―이 내장형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1114)는 또한 적당한 섀시(도시 생략) 내에서 외장형 용도로 구성될 수 있음―, 자기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FDD)(1116)(예를 들어, 이동식 디스켓(1118)으로부터 판독을 하거나 그에 기록을 하기 위한 것임), 및 광 디스크 드라이브(1120)(예를 들어, CD-ROM 디스크(1122)를 판독하거나 DVD 등의 기타 고용량 광 매체로부터 판독을 하거나 그에 기록을 하기 위한 것임)를 포함한다.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1114), 자기 디스크 드라이브(1116) 및 광 디스크 드라이브(1120)는 각각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인터페이스(1124), 자기 디스크 드라이브 인터페이스(1126) 및 광 드라이브 인터페이스(1128)에 의해 시스템 버스(1108)에 연결될 수 있다. 외장형 드라이브 구현을 위한 인터페이스(1124)는 USB(Universal Serial Bus) 및 IEEE 1394 인터페이스 기술 중 적어도 하나 또는 그 둘다를 포함한다.
이들 드라이브 및 그와 연관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데이터, 데이터 구조,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 기타 등등의 비휘발성 저장을 제공한다. 컴퓨터(1102)의 경우, 드라이브 및 매체는 임의의 데이터를 적당한 디지털 형식으로 저장하는 것에 대응한다. 상기에서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대한 설명이 HDD, 이동식 자기 디스크, 및 CD 또는 DVD 등의 이동식 광 매체를 언급하고 있지만, 당업자라면 집 드라이브(zip drive), 자기 카세트, 플래쉬 메모리 카드, 카트리지, 기타 등등의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한 다른 유형의 매체도 역시 예시적인 운영 환경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또 임의의 이러한 매체가 본 개시의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잘 알 것이다.
운영 체제(1130),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132), 기타 프로그램 모듈(1134) 및 프로그램 데이터(1136)를 비롯한 다수의 프로그램 모듈이 드라이브 및 RAM(1112)에 저장될 수 있다. 운영 체제, 애플리케이션, 모듈 및/또는 데이터의 전부 또는 그 일부분이 또한 RAM(1112)에 캐싱될 수 있다. 본 개시가 여러가지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운영 체제 또는 운영 체제들의 조합에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잘 알 것이다.
사용자는 하나 이상의 유선/무선 입력 장치, 예를 들어, 키보드(1138) 및 마우스(1140) 등의 포인팅 장치를 통해 컴퓨터(1102)에 명령 및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기타 입력 장치(도시 생략)로는 마이크, IR 리모콘, 조이스틱, 게임 패드, 스타일러스 펜, 터치 스크린, 기타 등등이 있을 수 있다. 이들 및 기타 입력 장치가 종종 시스템 버스(1108)에 연결되어 있는 입력 장치 인터페이스(1142)를 통해 처리 장치(1104)에 연결되지만, 병렬 포트, IEEE 1394 직렬 포트, 게임 포트, USB 포트, IR 인터페이스, 기타 등등의 기타 인터페이스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모니터(1144) 또는 다른 유형의 디스플레이 장치도 역시 비디오 어댑터(1146) 등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시스템 버스(1108)에 연결된다. 모니터(1144)에 부가하여, 컴퓨터는 일반적으로 스피커, 프린터, 기타 등등의 기타 주변 출력 장치(도시 생략)를 포함한다.
컴퓨터(1102)는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을 통한 원격 컴퓨터(들)(1148) 등의 하나 이상의 원격 컴퓨터로의 논리적 연결을 사용하여 네트워크화된 환경에서 동작할 수 있다. 원격 컴퓨터(들)(1148)는 워크스테이션, 서버 컴퓨터, 라우터, 퍼스널 컴퓨터, 휴대용 컴퓨터, 마이크로프로세서-기반 오락 기기, 피어 장치 또는 기타 통상의 네트워크 노드일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컴퓨터(1102)에 대해 기술된 구성요소들 중 다수 또는 그 전부를 포함하지만, 간략함을 위해, 메모리 저장 장치(1150)만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되어 있는 논리적 연결은 근거리 통신망(LAN)(1152) 및/또는 더 큰 네트워크, 예를 들어, 원거리 통신망(WAN)(1154)에의 유선/무선 연결을 포함한다. 이러한 LAN 및 WAN 네트워킹 환경은 사무실 및 회사에서 일반적인 것이며, 인트라넷 등의 전사적 컴퓨터 네트워크(enterprise-wide computer network)를 용이하게 해주며, 이들 모두는 전세계 컴퓨터 네트워크, 예를 들어,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다.
LAN 네트워킹 환경에서 사용될 때, 컴퓨터(1102)는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또는 어댑터(1156)를 통해 로컬 네트워크(1152)에 연결된다. 어댑터(1156)는 LAN(1152)에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용이하게 해줄 수 있으며, 이 LAN(1152)은 또한 무선 어댑터(1156)와 통신하기 위해 그에 설치되어 있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포함하고 있다. WAN 네트워킹 환경에서 사용될 때, 컴퓨터(1102)는 모뎀(1158)을 포함할 수 있거나, WAN(1154) 상의 통신 서버에 연결되거나, 또는 인터넷을 통하는 등, WAN(1154)을 통해 통신을 설정하는 기타 수단을 갖는다. 내장형 또는 외장형 및 유선 또는 무선 장치일 수 있는 모뎀(1158)은 직렬 포트 인터페이스(1142)를 통해 시스템 버스(1108)에 연결된다. 네트워크화된 환경에서, 컴퓨터(1102)에 대해 설명된 프로그램 모듈들 또는 그의 일부분이 원격 메모리/저장 장치(1150)에 저장될 수 있다. 도시된 네트워크 연결이 예시적인 것이며 컴퓨터들 사이에 통신 링크를 설정하는 기타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잘 알 것이다.
컴퓨터(1102)는 무선 통신으로 배치되어 동작하는 임의의 무선 장치 또는 개체, 예를 들어, 프린터, 스캐너, 데스크톱 및/또는 휴대용 컴퓨터, PDA(portable data assistant), 통신 위성, 무선 검출가능 태그와 연관된 임의의 장비 또는 장소, 및 전화와 통신을 하는 동작을 한다. 이것은 적어도 Wi-Fi 및 블루투스 무선 기술을 포함한다. 따라서, 통신은 종래의 네트워크에서와 같이 미리 정의된 구조이거나 단순하게 적어도 2개의 장치 사이의 애드혹 통신(ad hoc communication)일 수 있다.
Wi-Fi(Wireless Fidelity)는 유선 없이도 인터넷 등으로의 연결을 가능하게 해준다. Wi-Fi는 이러한 장치, 예를 들어, 컴퓨터가 실내에서 및 실외에서, 즉 기지국의 통화권 내의 아무 곳에서나 데이터를 전송 및 수신할 수 있게 해주는 셀 전화와 같은 무선 기술이다. Wi-Fi 네트워크는 안전하고 신뢰성있으며 고속인 무선 연결을 제공하기 위해 IEEE 802.11(a,b,g, 기타)이라고 하는 무선 기술을 사용한다. 컴퓨터를 서로에, 인터넷에 및 유선 네트워크(IEEE 802.3 또는 이더넷을 사용함)에 연결시키기 위해 Wi-Fi가 사용될 수 있다. Wi-Fi 네트워크는 비인가 2.4 및 5 GHz 무선 대역에서, 예를 들어, 11Mbps(802.11a) 또는 54 Mbps(802.11b) 데이터 레이트로 동작하거나, 양 대역(듀얼 대역)을 포함하는 제품에서 동작할 수 있다.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프로세서들, 수단들, 회로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이 전자 하드웨어, (편의를 위해, 여기에서 "소프트웨어"로 지칭되는) 다양한 형태들의 프로그램 또는 설계 코드 또는 이들 모두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이러한 상호 호환성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다양한 예시적인 컴포넌트들,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이 이들의 기능과 관련하여 위에서 일반적으로 설명되었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되는지 여부는 특정한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시스템에 대하여 부과되는 설계 제약들에 따라 좌우된다.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각각의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다양한 방식들로 설명된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나, 이러한 구현 결정들은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여기서 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방법, 장치, 또는 표준 프로그래밍 및/또는 엔지니어링 기술을 사용한 제조 물품(article)으로 구현될 수 있다. 용어 "제조 물품"은 임의의 컴퓨터-판독가능 장치로부터 액세스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 캐리어, 또는 매체(media)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자기 저장 장치(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자기 스트립, 등), 광학 디스크(예를 들면, CD, DVD, 등), 스마트 카드, 및 플래쉬 메모리 장치(예를 들면, EEPROM, 카드, 스틱, 키 드라이브, 등)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여기서 제시되는 다양한 저장 매체는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장치 및/또는 다른 기계-판독가능한 매체를 포함한다. 용어 "기계-판독가능 매체"는 명령(들)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 보유, 및/또는 전달할 수 있는 무선 채널 및 다양한 다른 매체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시된 프로세스들에 있는 단계들의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는 예시적인 접근들의 일례임을 이해하도록 한다. 설계 우선순위들에 기반하여, 본 개시의 범위 내에서 프로세스들에 있는 단계들의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가 재배열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도록 한다. 첨부된 방법 청구항들은 샘플 순서로 다양한 단계들의 엘리먼트들을 제공하지만 제시된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에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개시를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개시는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

  1. 데이터베이스(Database) 관리를 위한 방법.

KR1020210007482A 2021-01-19 2021-01-19 데이터베이스 관리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202100114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7482A KR20210011474A (ko) 2021-01-19 2021-01-19 데이터베이스 관리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7482A KR20210011474A (ko) 2021-01-19 2021-01-19 데이터베이스 관리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0251A Division KR102233944B1 (ko) 2019-04-05 2019-04-05 데이터베이스 관리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1474A true KR20210011474A (ko) 2021-02-01

Family

ID=74571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7482A KR20210011474A (ko) 2021-01-19 2021-01-19 데이터베이스 관리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11474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75682B1 (en) 2002-02-26 2004-08-10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Evaluation of rollups with distinct aggregates by using sequence of sorts and partitioning by measures
US9886474B2 (en) 2011-11-22 2018-02-0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ultidimensional grouping operator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75682B1 (en) 2002-02-26 2004-08-10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Evaluation of rollups with distinct aggregates by using sequence of sorts and partitioning by measures
US9886474B2 (en) 2011-11-22 2018-02-0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ultidimensional grouping operator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6802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fficient indexing and computer program included in computer readable medium therefor
KR102230245B1 (ko) 피벗 쿼리를 처리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195836B1 (ko) 인덱스 관리 방법
KR101797483B1 (ko)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에서 쿼리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기법
KR102233944B1 (ko) 데이터베이스 관리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US20210318994A1 (en) Extensible streams for operations on external systems
KR101747262B1 (ko) 동적인 알고리즘 변경을 통하여 쿼리 처리 시간을 축소시키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US20190392332A1 (en) Computer Program Stored in Computer Readable Medium and Database Server Transforming Decision Table Into Decision Tree
KR20190036770A (ko) 메인프레임 시스템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개방형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한 방법
KR102057055B1 (ko) 인덱스 관리 방법
KR20210011474A (ko) 데이터베이스 관리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20170122151A (ko) 동적인 알고리즘 변경을 통하여 쿼리 처리 시간을 축소시키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KR102127785B1 (ko) 효율적인 인덱싱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에 포함된 컴퓨터 프로그램
CN114547034A (zh) 一种数据查询的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2085608B1 (ko) 복구 서버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210029174A (ko) 피벗 쿼리를 처리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US10977249B2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flow-based processing using stored procedure
KR20200078426A (ko) 복구 서버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200121986A (ko)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에서 데이터 저장을 위한 공간 관리를 제공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KR102195838B1 (ko) 데이터 베이스 관리 방법
US11880608B2 (en) Organizing information using hierarchical data spaces
KR20230096180A (ko) 블록체인 기반의 지리 공간 포인트 데이터 인덱싱을 위한 공간 lsm 트리 장치 및 방법
KR20200144520A (ko) 데이터 베이스 관리 방법
KR20200001575A (ko) 인덱스 관리 방법
KR20200136858A (ko) 인덱스 관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