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1250A - 회전조절이 가능한 독서대 - Google Patents

회전조절이 가능한 독서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1250A
KR20210011250A KR1020190088458A KR20190088458A KR20210011250A KR 20210011250 A KR20210011250 A KR 20210011250A KR 1020190088458 A KR1020190088458 A KR 1020190088458A KR 20190088458 A KR20190088458 A KR 20190088458A KR 20210011250 A KR20210011250 A KR 202100112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upport
support frame
switching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8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지선
Original Assignee
황지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지선 filed Critical 황지선
Priority to KR10201900884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11250A/ko
Publication of KR20210011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12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4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supported from table, floor or wall
    • A47B23/042Book-rests or note-book holders resting on tables
    • A47B23/043Book-rests or note-book holders resting on tables adjustable, fold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6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characterised by association with auxiliary devices, e.g. line indicators, leaf turners, lampholders, book or page holder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다.
경사부;
상기 경사부를 지지하는 경사지지부;
상기 경사부와 상기 경사지지부의 일단을 회전결합하도록 상기 경사지지부와 상기 경사부 사이의 경사를 조절하는 경사조절부;
상기 경사지지부의 타단과 받침부를 결합하되,상기 경사지지부의 타단과 상기 받침부의 타단을 회전결합하도록 구성한 높이조절부;
상기 받침부는 바닥에 지지되는 구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회전조절이 가능한 독서대{Rotating adjustable reading compartment}
본 발명은 독서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독서대의 높낮이나 경사판의 경사가 회전조절로 가능한 것에 관한 독서대에 관한 것이다.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도5 에서 독서대 이면에 경사 조절용 지지판을 한 독서대에 관한 것이다.
지지판(20)의 상단 양측에서 힌지 결합하며 독서대(1) 뒤면 중앙에 고정되는 제 1 힌지부(10); 지지판(20)이 겹쳐지는 공간부를 가지며 지지판(20)의 하단을 공간부 후면 내벽에서 힌지 결합하는 제2 힌지부(40)를 가지는 받침판(30);
지지판(20)의 후면에 일정 높이 간격으로 돌출된 고정돌기(22); 및
상기 고정돌기(22) 중의 하나에 하단이 안치되어 고정되고 상단은 독서대 후면에 힌지 결합된 고정판(5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도면부호 5는 독서대(1)의 하단에서 책의 하단을 받치는 책받침이다.
이를 사용할 때는 고정판(50)의 하단을 고정돌기(22)의 원하는 돌기위치에 결합토록 하여 독서대(1)의 경사를 고정시킨다. 이는 세우기도 하고 기울이도록 고정시켜 사용 가능하다.
물론 이를 위하여는 고정판(50) 상단에 일체로 된 힌지봉(51)을 중심으로 고정판(50)의 하단이 회전 가능하므로, 회전하는 범위 내에서 고정판(50)의 하단을 고정돌기(22)에 고정시키고, 이는 기존의 힌지부(10,40)를 통한 고정력과 함께 안정된 고정 상태의 유지와, 원하는 각도로 다양하게 사용 가능토록 하는 요인이 된다. (52)는 힌지봉(51)의 힌지 기능을 가능토록 독서대(10) 뒷면에 고정된 힌지판 이다.
아울러 고정돌기(22)를 좌 돌기 및 우 돌기로 구분하고, 돌기의 돌출 높이를 낮게하였기로 독서대(1)의 이면과 거의 지지판(20)이 겹쳐질 정도로 접어서 사용할 경우도 겹침 작용이 지장을 주지않고 사용 가능토록 작용한다. 아울러 바 형상의 지지판(20) 위에 돌출한 방식이므로 지지판(20)의 강도에는 변함이 없어 안정적인 사용을 가능토록 한다.
그러나 종래기술은 독서대의 경사각을 조절하는 것이고 고정판(50)은 경사각을 고정시키는 것에 해당되는 것으로 독서대의 높이를 조절하는 효과는 발휘할 수 없는 것이다.
독서대의 경사각은 사용하는 사용자에 따라 이미 정하여 지는 것이 일반적으로 신장의 크기에 따라 책상의 높이를 바꾸지 않는 한 독서대의 높낮이를 조절할 필요가 있게 되었다.
종래의 독서대의 경사지지대의 구성은 복잡하고 독서대 조립작업효율이 저하되고 이에 따라 하자로 인한 비용이 증가되어왔다.
본원발명은 경사판과 지지대가 간단한 회전조절 가능한 구성으로 고장이 없고 견고하고 수려한 독서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경사를 조절하면서 독서대의 높낮이를 조정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배경하에서 착안하게 된 것이다.
대한민국특허청등록번호 10-0779393(2007.11.23) 대한민국특허청등록번호 20-2010-0008215(2010.08.19)
첫번째 과제로는 간단하면서도 견고한 독서대의 경사지지대를 제공하는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두번째 과제로는 구조가 간단하므로 저비용과 하자발생이 없도록 하는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세번째 과제로는 경사판 및 지지대가 회전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경사판의 경사각도조절과 높이조절부를 통하여 높이조절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구성을 둔다.
경사부;
상기 경사부를 지지하는 경사지지부;
상기 경사부와 상기 경사지지부의 일단을 회전결합하도록 상기 경사지지부와 상기 경사부 사이의 경사를 조절하는 경사조절부;
상기 경사지지부의 타단과 받침부를 결합하되,상기 경사지지부의 타단과 상기 받침부의 타단을 회전결합하도록 구성한 높이조절부;
상기 받침부는 바닥에 지지되는 독서대를 구성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경사부의 하단부에는 좌우책지지대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경사부는 경사판,경사부상부지지틀 및 경사부하부지지틀로 구성되되,
상기 경사부상부지지틀은 ㄷ 자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경사부상부지지틀의 내부에 제1지지틀홈부를 구성하여 상기 제1지지틀홈부에 상기 경사판을 삽입하고,
상기 경사판의 하부는 상기 경사부하부지지틀과 결합하되 상기 경사부하부지지틀의 내부에 제2지지틀홈부를 구성하여 상기 제2지지틀홈부에 상기 경사판의 하부를 삽입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경사부상부지지틀의 하부에 경사부홈부를 구성하되,
상기 경사부홈부에 경사회전부의 경사돌기부를 삽입하여 상기 경사부와 상기 경사회전부가 일체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경사조절부는 경사회전부에 회전하도록 결합되되,
상기 경사조절부는 스위칭부,탄성부,경사지지회전부로 구성하며,
상기 스위칭부의 일단에 결합하는 상기 탄성부의 탄성타단부;
상기 탄성부의 탄성일단부와 결합하는 상기 경사회전부의 바닥부에 구성된 탄성지지부;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경사지지회전부는 내부원통부와 외부원통부로 구성되되,
상기 스위칭부의 외부 일측부는 스위칭자유부와 상기 스위칭부의 외부타측부는 스위칭치차부로 구성되고,
상기 스위칭부의 외부는 상기 경사지지회전부의 내부원통부의 내측과 결합하되 상기 내부원통부의 내측의 일측부는 경사조절자유부와 상기 내부원통부의 내측의 타측부는 경사조절치차부로 구성되며,
상기 외부원통부의 내측에는 제1체결홈부와 제2체결홈부를 환형상의 체결홈부로 구성하고 상기 내부원통부와 상기 외부원통부가 한몸체로 구성되는 경사조절대응부를 구성하되,
상기 경사회전부의 일측부에 구성된 제1체결돌기부와 제2체결돌기부는 환형상의 체결돌기부로 구성되되, 각각 상기 제1체결홈부 및 제2체결홈부와 각각 결합하도록 환형상의 체결홈부의 형상을 구비하는 것으로,
상기 스위칭부를 누르면 상기 스위칭자유부가 상기 경사조절치차부에 위치하게 되므로 치차의 결합없이 자유롭게 상기 경사부와 결합된 경사회전부와 상기 경사지지부와 결합된 경사지지회전부와의 치차결합이 해제되어 경사도 조정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스위칭부에 힘을 가하지 않으면 상기 탄성부에 의하여 원위치되어 상기 경사지지회전부와 상기 경사회전부가 치차결합하게 되어 경사도가 유지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장바람직하다.
첫번째 효과로는 간단하면서도 견고한 효과를 가진다.
두번째 효과로는 구조가 간단하므로 저비용과 하자발생이 없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세번째 효과로는 경사판 및 지지대가 회전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경사판의 각도조절과 높이조절부에 의하여 높이조절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전체를 보이는 도이다.
제2a도는 경사부의 후면을 보이는 도이다.
제2b도는 경사부에서 경사판을 제거한 것을 보이는 도이다.
제3a도는 경사부홈부가 경사부 하단 후면에 지지결합되는 것을 보이는 도이다.
제3b도는 경사판을 지지하고 경사각도를 조절하는 구성을 보이는 도이다.
제4a도는 경사조절부 및 경사회전부가 결합한 상태를 보이는 도이다.
제4b도는 4a도의 분해도 및 단면도를 보이는 도이다.
제4c도는 경사회전부와 경사지지회전부의 결합을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면1에 의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경사부(100);
상기 경사부(100)를 지지하는 경사지지부(200);
상기 경사부(100)와 상기 경사지지부(200)의 일단을 회전결합하도록 상기 경사지지부(200)와 상기 경사부(100) 사이의 경사를 조절하는 경사조절부(300)를 구성한다.
상기 경사지지부(200)의 타단과 받침부(500)를 결합하되,상기 경사지지부(200)의 타단과 상기 받침부(500)의 타단을 회전결합하도록 높이조절부(400);를 구성한다.
상기 받침부(500)는 바닥에 지지되는 구성을 갖는 독서대를 구성한다.
상기 경사부(100)의 하단부에는 좌우책지지대(610, 620)를 구성한다.
도면2a,2b도를 중심으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상기 경사부(100)는 경사판(120),경사부상부지지틀(110) 및 경사부하부지지틀(130)로 구성되되,
상기 경사부상부지지틀(110)은 ㄷ 자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경사부상부지지틀(110)의 내부에 제1지지틀홈부(112)를 구성하여 상기 제1지지틀홈부(112)에 상기 경사판(120)을 삽입한다.
상기 경사판(120)의 하부는 상기 경사부하부지지틀(130)과 결합하되 상기 경사부하부지지틀(130)의 내부에 제2지지틀홈부(114)(제1지지틀홈부(112)와 동일한 구성이어서 도면에서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음.)를 구성하여 상기 제2지지틀홈부(114)에 상기 경사판(120)의 하부를 삽입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3a에서 코너결합부(160)을 구성하여 경사부상부지지틀(110)과 경하부하부지지틀(130)의 모서리부를 매끄럽게 별도의 구성을 추가할 수 있다.
상기 경사부상부지지틀(110)의 하부에 경사부홈부(144)를 구성하되,경사부홈부의 지지부에 고정핀부(141,142)를 구성하여 경사부하부지지틀(130)과 경하부홈부(144)를 결합구성한다.
코너결합부(160)도 경사부홈부(144)와 더불어 경사부하부지지틀(130)에 고정핀부를 활용하여 결합할 수 있다.
도3b에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회전조절이 가능한 독서대에서 경사부(100)를 제거한 상태에서 보이는 도이다.
상기 경사부홈부(144)에 경사회전부(150)의 경사돌기부(154)를 삽입하여 상기 경사부(100)와 상기 경사회전부(150)가 일체로 구성되어 경사회전부(150)가 회전되면 경사부(100)가 함께 회전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4a 내지 도4c에 의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상기 경사회전부(150)는 경사지지부(200)의 일단에 회전하도록 결합된다.
도4a는 경사회전부(150)와 경사조절부(300)가 결합된 상태를 보이는 도이다.
도4b에 의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상기 경사조절부(300)는 경사회전부(150)에 회전하도록 결합되되,
상기 경사조절부(300)는 스위칭부(310),탄성부(320),경사지지회전부(350)로 구성한다.
상기 스위칭부(310)의 일단에 결합하는 상기 탄성부(320)의 탄성타단부(325)와 결합한다.
탄성부(320)의 탄성타단부(325)가 삽입되는 정도의 구성이면 족하다.
스위칭부(310)의 내부에 원통형상에 삽입하는 것이다.
상기 탄성부(320)의 탄성일단부(327)와 결합하는 상기 경사회전부(150)의 바닥부에 구성된 탄성지지부(157);의 구성을 갖는 것이다.
탄성지지부(157)의 구성은 스프링이 삽입될 수 있도록 볼록형상의 원기둥형상이면 족하다.
따라서 스위칭부(310)를 누르고 경사각도를 변화시키고 스위칭부(310)에 힘을 제거하면 탄성부(320)의 탄성에 의하여 원위치되어 경사각도가 유지되는 것이다.
상기 경사지지회전부(350)는 내부원통부(357)와 외부원통부(358)로 구성되되,
상기 스위칭부(310)의 외부 일측부는 스위칭자유부(314)와 상기 스위칭부(310)의 외부타측부는 스위칭치차부(316)로 구성되고,
상기 스위칭부(310)의 외부는 상기 경사지지회전부(350)의 내부원통부(357)의 내측과 결합하되 상기 내부원통부(357)의 내측의 일측부는 경사조절자유부(354)와 상기 내부원통부(357)의 내측의 타측부는 경사조절치차부(356)로 구성된다.
상기 외부원통부(358)의 내측에는 제1체결홈부(351)와 제2체결홈부(352)를 환형상의 체결홈부로 구성하고 상기 내부원통부(357)와 상기 외부원통부(358)가 한몸체로 구성되는 경사조절대응부(353)를 구성한다.
상기 경사회전부(150)의 일측부에 구성된 제1체결돌기부(151)와 제2체결돌기부(152)는 환형상의 체결돌기부로 구성되되, 각각 상기 제1체결홈부(351) 및 제2체결홈부(352)와 각각 결합하도록 환형상의 체결홈부의 형상을 구비하는 것이다.
상기 체결돌기부와 상기 체결홈부를 따라서 경사회전부(150)와 경사지지회전부(350)가 경사각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서로 회전하면서 결합을 유지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스위칭부(310)를 누르면 상기 스위칭자유부(314)가 상기 경사조절치차부(356)에 위치하게 되므로 치차의 결합없이 자유롭게 상기 경사부(100)와 결합된 경사회전부(150)와 상기 경사지지부(200)와 결합된 경사지지회전부(350)와의 치차결합이 해제되어 경사도 조정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스위칭부(310)에 힘을 가하지 않으면 상기 탄성부(320)에 의하여 원위치되어 상기 경사지지회전부(350)와 상기 경사회전부(150)가 치차결합하게 되어 경사도가 유지되는 것이다.
스위칭부(310)의 스위칭자유부(314)와 맞닿은 스위칭치차부(316)의 선단부는 내부원통부(357)의 경사조절치차부(356)의 선단부에 결합되어 맞물림치차를 형성하면서 스위칭부가 탄성부(320)에 의하여도 외부로 벗어나지 못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높이조절부(400)는 경사조절부(300)및 경사회전부(150)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것이다.
높이조절부(400)은 경사지지부(200)과 받침부(500)와의 경사각도를 조절하는 것으로 받침부(500)와의 수직으로 회전하여 고정하면 높이가 가장높을 때를 구성하는 것이다.
반면 받침부(500)와 경사지지부(200)와 예각이 되도록 회전하여 고정하면 높이가 점점 낮을 때를 구성하는 것으로 개인의 취향에 따라 또는 여러구성원들이 공통으로 하나의 독서대를 사용할 수 있도록 높이를 조절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 독서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받침부(500)에 구성된 스위칭부가 있는 곳은 상기 경사조절부(300)의 구성과 동일하고 상기 받침부(500)와 결합되어 있는 경사지지부(200)의 단부에 구성된 것은 상기 경사회전부(150)의 구성과 동일하다.
따라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경사부 110:경사부상부지지틀 112:제1지지틀홈부
114:제2지지틀홈부 120:경사판 130:경사부하부지지틀
140:경사케이스부 141,142:고정핀부 144:경사부홈부
150:경사회전부 151:제1체결돌기부 152:제2체결돌기부
153:경사회전일단부 154:경사돌기부 155:경사회전내측단부
156:경사회전치차부 157:탄성지지부 160:코너결합부
200:경사지지부
300:경사조절부 310:스위칭부 314:스위칭자유부 316:스위칭치차부
320:탄성부 325:탄성타단부 327:탄성일단부 330:스위칭케이스부
350:경사지지회전부 351:제1체결홈부 352:제2체결홈부
353:경사조절대응부 354:경사조절자유부
355:경사조절일단부 357:내부원통부 358:외부원통부
356:경사조절치차부 400:높이조절부 500:받침부
600:책지지대 610,620:좌우책지지대 630:회전핀부

Claims (6)

  1. 경사부;
    상기 경사부를 지지하는 경사지지부;
    상기 경사부와 상기 경사지지부의 일단을 회전결합하도록 상기 경사지지부와 상기 경사부 사이의 경사를 조절하는 경사조절부;
    상기 경사지지부의 타단과 받침부를 결합하되,상기 경사지지부의 타단과 상기 받침부의 타단을 회전결합하도록 구성한 높이조절부;
    상기 받침부는 바닥에 지지되는 구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조절이 가능한 독서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의 하단부에는 좌우책지지대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조절이 가능한 독서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경사판,경사부상부지지틀 및 경사부하부지지틀로 구성되되,
    상기 경사부상부지지틀은 ㄷ 자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경사부상부지지틀의 내부에 제1지지틀홈부를 구성하여 상기 제1지지틀홈부에 상기 경사판을 삽입하고,
    상기 경사판의 하부는 상기 경사부하부지지틀과 결합하되 상기 경사부하부지지틀의 내부에 제2지지틀홈부를 구성하여 상기 제2지지틀홈부에 상기 경사판의 하부를 삽입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조절이 가능한 독서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상부지지틀의 하부에 경사부홈부를 구성하되,
    상기 경사부홈부에 경사 회전부의 경사돌기부를 삽입하여 상기 경사부와 상기 경사회전부가 일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조절이 가능한 독서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조절부는 경사회전부에 회전하도록 결합되되,
    상기 경사조절부는 스위칭부,탄성부,경사지지회전부로 구성하며,
    상기 스위칭부의 일단에 결합하는 상기 탄성부의 탄성타단부;
    상기 탄성부의 탄성일단부와 결합하는 상기 경사회전부의 바닥부에 구성된 탄성지지부;의 구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조절이 가능한 독서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지지회전부는 내부원통부와 외부원통부로 구성되되,
    상기 스위칭부의 외부 일측부는 스위칭자유부와 상기 스위칭부의 외부타측부는 스위칭치차부로 구성되고,
    상기 스위칭부의 외부는 상기 경사지지회전부의 내부원통부의 내측과 결합하되 상기 내부원통부의 내측의 일측부는 경사조절자유부와 상기 내부원통부의 내측의 타측부는 경사조절치차부로 구성되며,
    상기 외부원통부의 내측에는 제1체결홈부와 제2체결홈부를 환형상의 체결홈부로 구성하고 상기 내부원통부와 상기 외부원통부가 한몸체로 구성되는 경사조절대응부를 구성하되,
    상기 경사회전부의 일측부에 구성된 제1체결돌기부와 제2체결돌기부는 환형상의 체결돌기부로 구성되되, 각각 상기 제1체결홈부 및 제2체결홈부와 각각 결합하도록 환형상의 체결홈부의 형상을 구비하는 것으로,
    상기 스위칭부를 누르면 상기 스위칭자유부가 상기 경사조절치차부에 위치하게 되므로 치차의 결합없이 자유롭게 상기 경사부와 결합된 경사회전부와 상기 경사지지부와 결합된 경사지지회전부와의 치차결합이 해제되어 경사도를 조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스위칭부에 힘을 가하지 않으면 상기 탄성부에 의하여 원위치되어 상기 경사지지회전부와 상기 경사회전부가 치차결합하게 되어 경사도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조절이 가능한 독서대.


KR1020190088458A 2019-07-22 2019-07-22 회전조절이 가능한 독서대 KR202100112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8458A KR20210011250A (ko) 2019-07-22 2019-07-22 회전조절이 가능한 독서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8458A KR20210011250A (ko) 2019-07-22 2019-07-22 회전조절이 가능한 독서대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3633A Division KR102191887B1 (ko) 2019-08-23 2019-08-23 회전조절부
KR1020210003137A Division KR20210011465A (ko) 2021-01-11 2021-01-11 회전조절이 가능한 독서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1250A true KR20210011250A (ko) 2021-02-01

Family

ID=74571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8458A KR20210011250A (ko) 2019-07-22 2019-07-22 회전조절이 가능한 독서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1125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4658A (ko) 2021-06-05 2022-12-13 이인수 독서대가 달린 책상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393B1 (ko) 2007-04-11 2007-11-23 이영창 이중 조절 가능한 독서대
KR20100008215U (ko) 2009-02-10 2010-08-19 권민 자유로운 각도조절이 가능한 독서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393B1 (ko) 2007-04-11 2007-11-23 이영창 이중 조절 가능한 독서대
KR20100008215U (ko) 2009-02-10 2010-08-19 권민 자유로운 각도조절이 가능한 독서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4658A (ko) 2021-06-05 2022-12-13 이인수 독서대가 달린 책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2670B1 (ko) 힌지 구조 및 상기 힌지 구조를 사용한 스탠드
KR102557117B1 (ko) 독서대
KR20210011465A (ko) 회전조절이 가능한 독서대
KR102191887B1 (ko) 회전조절부
KR20210011250A (ko) 회전조절이 가능한 독서대
US7798657B2 (en) Projection apparatus
JP2008178016A (ja) インターホン機器の取付台
KR101014760B1 (ko) 독서대
KR20220105175A (ko) 접이식독서대
KR102326319B1 (ko) 높이 조절부 및 그를 이용한 독서대
KR20210012992A (ko) 넓이조절이 가능한 독서대
CN212307181U (zh) 一种翻转茶几
KR20230007126A (ko) 독서대
KR102007873B1 (ko) 경사조절이 가능한 독서대
KR20220068463A (ko) 독서대
KR102205756B1 (ko) 넓이조절이 가능한 독서대
KR20210011287A (ko) 독서대 상부경사판
KR20230115015A (ko) 독서대
KR102519655B1 (ko) 접이식독서대
KR20220068468A (ko) 경사조절독서대
CN220529532U (zh) 一种护眼学习支架
CN209879390U (zh) 一种方便调整的计算机显示器
CN209213384U (zh) 支撑装置的支架更换结构
KR200238489Y1 (ko) 책꽂이 결합용 조명장치
JP2006330525A (ja) 投射型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01002251;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10830

Effective date: 20220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