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1189A - 기포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 Google Patents

기포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1189A
KR20210011189A KR1020190088293A KR20190088293A KR20210011189A KR 20210011189 A KR20210011189 A KR 20210011189A KR 1020190088293 A KR1020190088293 A KR 1020190088293A KR 20190088293 A KR20190088293 A KR 20190088293A KR 20210011189 A KR20210011189 A KR 202100111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bbles
housing
air
water
filt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8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0450B1 (ko
Inventor
김대환
Original Assignee
김대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환 filed Critical 김대환
Priority to KR10201900882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0450B1/ko
Publication of KR202100111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11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04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04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1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eparation Of Particles Using Liqu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포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물을 수용하되, 상면에 공기배출구를 형성한 하우징을 구비하고, 하우징 내에 복수의 기포발생홀을 형성하여 하우징 내부 공간을 상, 하로 구획하는 구획판을 설치하며, 구획판 상면에 필터부를 정해진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하고, 하우징 일면에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장치 및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을 설치하여, 급수관으로 하우징 내에 정해진 량의 물을 채워넣되, 송풍장치로 하우징의 하부공간으로 공기를 강제공급함으로써, 기포발생홀로 물과 공기가 동시에 상방으로 토출되면서 오염공기를 수용한 기포가 생성되고, 이 기포를 필터부를 따라 이동시키면서 연속적으로 분해하면서, 기포내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물에 흡착되도록 하여 기포내의 공기를 정화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미세먼지를 포함한 기포를 필터부로 통과시키면서 연속적으로 분해하는 과정에서 기포내에 포함된 미세먼지가 물에 흡착되도록 하여, 기포내의 미세먼지를 제거할 수 있고, 또한, 기포가 연속 분해되면서 소직경으로 변화되어 기포내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정밀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미세먼지가 제거된 기포가 수면위로 상승하여 터지는 과정에서 기포내의 정화된 공기가 배출구를 통해 공기중으로 공급되어, 대기중이나 혹은 실내공간으로 정화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Description

기포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Air purifier using bubbles}
본 발명은 공기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먼지가 포함된 기포를 필터부로 통과시키면서 연속분해하되, 기포에 포함된 먼지가 물에 흡착되도록 하여, 기포 내의 공기를 정화하는 기포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정화장치는 공기 속의 먼지나 매연 등을 제거하는 장치로, 공기여과기나 공기세척기, 원자력 시설의 배기장치 등이 있다.
이러한, 공기정화장치는 먼지의 크기와 농도에 따라 선택되며, 보통, 여과재에 공기를 통과시켜 먼지를 제거하는 것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공기정화장치는 미세먼지보다 작은 통기구를 갖는 공기필터(예컨대, 헤파필터)에 공기를 강제적으로 통과시켜 먼지를 걸러내는 방식으로 그 효율성이 낮고, 초미세먼지를 제거하기 위하여 통기구를 극도로 미세하게 제작하여, 미세먼지 제거량을 키우기 위해서는 필터의 면적이 매우 커지게 되고, 이에따라, 에너지 소모량 향상과 동시에 필터의 막힘 주기가 상승된다.
특허문헌 1은 종래의 미세기포발생장치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를 참조하면, 중공형상으로 벽면에 복수개의 공기유입부를 형성한 몸체상부와, 이 몸체상부의 하부에 위치되되, 그 내부에 물을 수용하여 몸체상부에 체결되는 몸체하부, 몸체의 상, 하부를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몸체의 상, 하부연결 상태를 유지시키는 상하부 연결수단, 일단이 몸체 상부에 위치되되, 타단이 물에 침수되도록 몸체 하부에 위치된 미세기포발생부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미세기포발생부의 상단에는 공기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미세기포발생부로 공급되도록 강제하는 공기순환팬을 형성한다.
여기서, 미세기포발생부는 그 상단에 미세기포발생부공기유입부를 형성하고, 이 미세기포발생부공기유입부와 반대되는 하단에 미세기포발생부공기토출부를 형성한다.
즉, 공기유입부를 통해 공기를 공급하게 되면, 이 공기는 공기순환팬에 의해 미세기포발생부의 미세기포발생부공기유입부로 강제공급되고, 그 상태에서 미세기포발생부에 안내되어 미세기포발생부공기토출부를 통해 수중내로 토출된다.
이때, 미세기포발생부공기토출부로 토출되는 공기는 수중 내에서 기포를 생성하면서, 공기중에 포함된 미세먼지가 물에 흡착되도록 하여, 공기중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특허문헌 1은 공기중에 포함되 미세먼지 중 일부가 물에 흡착되지 못한 상태로 수중 내에서 생성되는 기포내에 잔류되고, 미세먼지가 포함된 기포가 수면 상으로 상승하여 터지는 과정에서 기포내의 미세먼지가 공기중으로 방출되며, 이 기포내의 미세먼지가 방출되면서 공기가 재 오염되어 공기 정화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또한, 공기정화장치 주변 또는 대기중의 오염된 공기를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흡입하여 기관지에 이상이 발생되며, 공기정화장치의 정화기능 저하로 인해 제품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KR 10-2016-0059188 A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에 물을 수용하되, 상면에 공기배출구를 형성한 하우징을 구비하고, 하우징 내에 상면에 복수의 기포발생홀을 형성하여 하우징 내부 공간을 상, 하로 구획하는 구획판을 설치하며, 구획판 상면에 필터부를 정해진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하고, 하우징 일면에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장치 및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을 설치하여, 급수관으로 하우징 내에 정해진 량의 물을 채워넣되, 송풍장치로 하우징의 하부공간으로 공기를 강제공급함으로써, 기포발생홀로 물과 공기가 동시에 상방으로 토출되면서 오염공기를 수용한 기포가 생성되고, 이 기포를 필터부를 따라 이동시키면서 연속적으로 분해하면서, 기포내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물에 흡착되도록 하여 기포내의 공기를 정화하는 기포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포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는, 중공형상으로 내부에 물을 수용하고, 상면에 공기배출구를 형성한 하우징과; 판재형상으로 상면에 정해진 간격 이격된 복수개의 기포발생홀을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서 상방으로 정해진 거리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상, 하로 구획하는 구획판; 상기 구획판 상면에서 정해진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기포발생홀에서 생성되어 상방으로 치솟아 오르는 기포를 연속적으로 분해하여, 기포 내에 포함된 먼지를 제거하는 필터부; 상기 하우징 일면에 연결 설치되고, 상기 구획판에 의해 구획된 상기 하우징의 하부공간으로 오염공기를 공급하는 송풍장치; 상기 하우징 일면에 연결 설치되고, 외면에 급수밸브를 형성하여, 상기 구획판에 의해 구획된 상기 하우징의 하부공간으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포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내측 벽면에 상기 하우징 내에 수용된 물의 오염농도를 측정하는 오염도측정센서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포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내측벽면 상, 하단 각각에 상기 하우징 내의 물수위를 감지하여 상기 급수관의 급수밸브 개폐여부를 제어하는 수위감지센서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포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타면에 상기 하우징 내의 물을 배출하는 배출관을 형성하고, 이 배출관 외면에 상기 오염도측정센서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배출관의 개폐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밸브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포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배출관은, 상기 하우징 타면에서 상, 하로 서로 대칭되게 한 쌍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포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송풍장치 및 급수관과 상기 하우징 사이를 연결하는 연장수조를 더 형성하고, 상기 연장수조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는 상기 송풍장치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중에 포함된 이물질이 상기 하우징의 하부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이물질걸림돌기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포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획판은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그 높이가 상대적으로 높아지도록 상향경사진 형상을 이루고, 상기 필터부는 상향경사진 상기 구획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복수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포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기포를 연속 분해하면서, 기포내에 포함된 먼지가 물에 흡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포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판재형상의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 일면에서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복수개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지지판을 따라 상향경사진 방향으로 이동하는 기포를 분해하는 분배돌부;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포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의 분배돌부는, 상, 하로 서로 지그재그 구조를 이루도록 연속되게 형성되되, 그 사이가 분해된 기포를 통과시키도록 정해진 거리 이격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포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의 분배돌부는, 상광하협 구조의 역삼각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포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내부에 수용된 물에 계면활성화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미세먼지를 포함한 기포를 필터부로 통과시키면서 연속적으로 분해하는 과정에서 기포내에 포함된 미세먼지가 물에 흡착되도록 하여, 기포내의 미세먼지를 제거할 수 있고, 또한, 기포가 연속 분해되면서 소직경으로 변화되어 기포내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정밀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미세먼지가 제거된 기포가 수면위로 상승하여 터지는 과정에서 기포내의 정화된 공기가 배출구를 통해 공기중으로 공급되어, 대기중이나 혹은 실내공간으로 정화된 공기를 공급할 수 있으며, 특히, 필터부가 수중에 침수되어 있어 필터부에 먼지가 끼일 우려가 없고, 물의 오염상태를 확인한 후 물을 교체하는 단순 작업후 공기정화장치 기능을 수행하여 유지보수 비용이 절감되며, 이에따라,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포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포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의 구획판에 필터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3의 저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포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측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5를 참조하면, 하우징(100)은 중공형상으로 내부에 물을 수용하고, 상면에 공기배출구(101)를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100) 내에 채워지는 물의 수위는 상기 필터부(300)를 수중에 침수시킬 수 있는 수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100)은 상기 급수관(500)을 통해 유입되는 물을 공급받아, 내부에 정해진 량의 물을 수용한다.
상기 하우징(100)은 내측 벽면에 상기 하우징(100) 내에 수용된 물의 오염농도를 측정하는 오염도측정센서(100a)를 더 형성한다.
상기 오염도측정센서(100a)는 물의 오염농도가 정해진 오염농도 이상으로 측정되는 경우, 그 신호를 외부의 디스플레이(미도시) 또는 스피커(미도시)를 통해 출력한다.
상기 하우징(100)은 내측 벽면 상, 하단 각각에 상기 하우징(100) 내의 물수위를 감지하여 상기 급수관(500)의 급수밸브(500a) 개폐여부를 제어하는 수위감지센서(100b)를 더 형성한다.
상기 수위감지센서(100b)는 상기 하우징(100) 내의 물 수위가 정해진 높이 이하로 낮아진 것을 감지하여 상기 급수밸브(500a)를 개방하고, 또한, 물 수위가 정해진 높이 이상으로 높아진 것을 감지하여 상기 급수밸브(500a)를 폐쇄한다.
상기 수위감지센서(100b)중 하단에 위치된 상기 수위감지센서(100b)는 상기 급수밸브(500a) 및 상기 제어밸브(102a)와 연결되어, 상기 제어밸브(102a)를 차단함과 동시에 상기 급수밸브(500a)를 개방한다.
상기 하우징(100)은 타면에 상기 하우징(100) 내의 물을 배출하는 배출관(102)을 형성하고, 이 배출관(101) 외면에 상기 오염도측정센서(100a)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배출관(101)의 개폐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밸브(102a)를 더 형성한다.
상기 오염도측정센서(100a)는 물의 오염농도가 정해진 오염농도 이상으로 측정되는 경우, 상기 배출관(102)의 제어밸브(102a)가 개폐작동하도록 상기 제어밸브(102a)로 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배출관(102)을 통해 상기 하우징(100) 내의 물이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하우징(100)의 배출관(101)은 상기 하우징(100) 타면에서 상, 하로 서로 대칭되게 한 쌍으로 형성된다.
상기 배출관(101)중 상단에 위치된 배출관(102)은 상기 하우징(100) 내의 수면에 부양된 오염물질과 물을 동시에 배출하고, 하단에 위치된 배출관(102)은 상기 하우징(100) 내의 바닥면에 침수된 오염물질과 물을 동시에 배출한다.
상기 하우징(100)은 상기 송풍장치(400) 및 급수관(500)과 상기 하우징(100) 사이를 연결하는 연장수조(103)를 더 형성하고, 상기 연장수조(103)와 상기 하우징(100) 사이에는 상기 송풍장치(40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중에 포함된 이물질이 상기 하우징(100)의 하부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이물질걸림돌기(103a)를 더 형성한다.
상기 이물질걸림돌기(103a)는 길이방향을 따라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어, 이물질(예컨대, 머리카락, 비닐봉지등)이 상기 하우징(100)의 하부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하우징(100)은 내부에 수용된 물에 계면활성화제를 더 포함하여, 기포(B)분해시 분산되는 먼지 흡착력이 상승된다.
구획판(200)은 판재형상으로 상면에 정해진 간격 이격된 복수개의 기포발생홀(201)을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100)의 바닥면에서 상방으로 정해진 거리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을 상, 하로 구획한다.
상기 기포발생홀(201)은 상기 하우징(100) 하부에 수용된 물과 상기 송풍장치(400)를 통해 상기 하우징(100) 하부로 공급되는 공기를 동시에 통과시키면서, 기포(B)를 발생시켜 이 기포(B)가 상기 필터부(300) 방향을 향해 직상방으로 상승하도록 안내한다.
상기 구획판(200)은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그 높이가 상대적으로 높아지도록 상향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구획판(200)은 그 상면에 정해진 간격으로 복수개의 필터부(300)가 일렬 배치되도록 고정하여, 복수개의 상기 필터부(300) 방향으로 동시에 기포(B)를 발생시킬 수 있다.
필터부(300)는 상기 구획판(200) 상면에서 정해진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기포발생홀(201)에서 생성되어 상방으로 치솟아 오르는 기포(B)를 연속적으로 분해하여, 기포(B) 내에 포함된 먼지를 제거한다.
상기 필터부(300)는 상기 하우징(100) 내에 수용된 물의 수위보다 상대적으로 더 낮게 위치되어, 상기 하우징(100) 내의 물에 침수된다.
상기 필터부(300)는 상기 기포발생홀(201)을 통해 직 상방으로 치솟아 오르는 기포(B)가 경사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한다.
상기 필터부(300)는 기포(B)를 연속 분해하면서, 기포(B)내에 포함된 먼지가 물에 흡착되도록 한다.
상기 필터부(300)는 판재형상의 지지판(301)과, 상기 지지판(301) 일면에서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복수개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지지판(301)을 따라 상향경사진 방향으로 이동하는 기포(B)를 분해하는 분배돌부(302)를 더 형성한다.
상기 필터부(300)의 분배돌부(302)는 상, 하로 서로 지그재그 구조를 이루도록 연속되게 형성되되, 그 사이가 분해된 기포(B)를 통과시키도록 정해진 거리 이격 형성된다.
상기 필터부(300)의 분배돌부(302)는 상광하협 구조의 역삼각 형상으로 형성된다.
송풍장치(400)는 상기 하우징(100) 일면에 연결 설치되고, 상기 구획판(200)에 의해 구획된 상기 하우징(100)의 하부공간으로 오염공기를 공급한다.
상기 송풍장치(400)는 상기 연장수조(103)와 연결되어, 상기 연장수조(103) 내의 물을 상기 하우징(100)의 하부공간 방향으로 밀어넣음과 동시에 공기를 상기 하우징(100)의 하부공간으로 공급한다.
상기 송풍장치(400)는 실내의 오염공기 또는 대기중의 오염공기를 상기 하우징(100)으로 공급한다.
급수관(500)은 상기 하우징(100) 일면에 연결 설치되고, 외면에 급수밸브(500a)를 형성하여, 상기 구획판(200)에 의해 구획된 상기 하우징(100)의 하부공간으로 물을 공급한다.
상기 급수관(500)은 상기 하우징(100) 내의 물이 정해진 수위에 도달하도록 물을 연속 공급하여, 상기 하우징(100) 내에 설치된 필터부(300)를 수중에 침수시킨다.
상기 급수밸브(500a)는 하우징(100)의 수위감지센서(100b)와 연결되고, 상, 하단에 위치된 상기 수위감지센서(100b)에 감지되는 물의 수위에 대응하여 개폐작동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기포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먼저, 하우징(100)과 연결된 급수관(500)의 급수밸브(500a)를 개방하고, 이 급수관(500)을 통해 하우징(100) 내로 물이 연속 공급되도록 하여, 상기 하우징(100) 내의 물이 정해진 수위에 도달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하우징(100) 내로 공급되는 물의 수위가 점차적으로 상승하여, 상기 하우징(100) 내측 벽면 상단에 설치된 상기 수위감지센서(100b)에 감지되면, 이 수위감지센서(100b)가 상기 급수관(500)의 급수밸브(500a)로 신호를 전달하고, 이 신호를 전달받은 상기 급수밸브(500a)가 폐쇄되어 상기 급수관(500)이 차단된다.
여기서, 상기 급수관(500)은 상기 하우징(100)과 상기 급수관(500) 사이를 연결하는 연장수조(103)에 연결되어 있고, 이 연장수조(103) 내로 물을 공급함으로써, 상기 연장수조(103) 내의 물이 상기 급수관(500)을 통해 유입되는 물의 압력에 밀려 상기 하우징(100)으로 연속 공급되는 것이다.
즉, 상기 연장수조(103)를 통해 상기 하우징(100) 내로 공급되는 물이, 상기 하우징(100) 내에서 정해진 수위에 도달함과 동시에 상기 연장수조(103) 내의 정해진 량의 물이 공급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다.
이후, 송풍장치(400)를 구동시켜 대기중의 오염공기 또는 실내공간의 오염공기를 상기 연장수조(103) 내로 강제 공급하게 되면, 이 공기의 압력에 의해 상기 연장수조(103) 내의 물이 밀려나면서 상기 구획판(200)에 의해 구획된 상기 하우징(100)의 하부공간으로 유입된다.
그러면, 상기 하우징(100)의 하부공간에 수용되어 있던 물이 공기압력에 의해 상기 구획판(200)의 기포발생홀(201) 방향으로 이동되고, 이때, 상기 기포발생홀(200)로 공기와 물이 동시에 통과되면서 상기 기포발생홀(201)에서 기포(B)가 생성된다.
그리고, 상기 기포발생홀(201)에서 생성된 기포(B)는 상기 필터부(300) 방향을 향해 직상방으로 치솟아 오른후 정해진 각도로 기울어진 상기 필터부(300)의 지지판(301)에 충돌되어 상기 지지판(301)을 따라 상향경사진 방향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판(301)을 따라 이동하는 기포(B)는 역삼각 형상의 분배돌부(302)에 충돌되어 상기 분배돌부(302)를 기준으로 서로 이웃하게 한 쌍으로 분해되고, 이때, 기포(B)내에 포함되어 있던 먼지가 물에 흡착되면서 기포(B)내의 먼지를 제거하는 것이다.
이후, 서로 분해된 기포(B)는 상기 분배돌부(302) 사이를 통과하고, 이어서, 상기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다른 상기 분배돌부(302)에 충돌되면서 상기 분배돌부(302)를 기준으로 서로 이웃하게 한 쌍으로 분해된다.
즉, 상기 지지판(301)을 따라 이동하는 기포(B)는 상기 지지판(301)에 형성된 복수개의 분배돌부(302)에 연속적으로 충돌되면서 분해되어, 그 직경이 점차적으로 작아짐과 동시에 분해되는 과정에서 기포(B)내에 포함되어 있던 먼지가 물에 흡착되어 기포(B)내의 공기가 정화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필터부(300)를 통과하여 하우징(100) 내의 물 수면위로 기포(B)가 상승되면, 기포(B)가 터지면서 정화된 공기가 상기 하우징(100) 상방으로 분산되고, 이 하우징(100) 상부로 분산된 공기는 상기 공기배출구(101)를 통해 대기중 또는 실내공간으로 공급되어 오염공기가 정화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상기 필터부(300)에서 공기를 정화하게 되면, 오염물질이 상기 하우징(100) 내의 물의 수면으로 부양되거나 혹은 물에 침수되어 하우징(100)의 바닥면으로 가라앉게 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100) 내에 설치된 오염도측정센서(100a)는 상기 하우징(100) 내의 물 오염도를 연속하여 측정하고, 만약, 상기 하우징(100) 내의 물 오염도가 정해진 오염농도 이상으로 상승되면, 상기 오염도측정센서(100a)가 상기 제어밸브(102a)로 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제어밸브(102a)를 개방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밸브(102a)에 의해 개방된 배출관(102)을 통해 상기 하우징(100) 내의 물이 외부로 배출되고, 이때, 상기 배출관(102) 중 상단에 위치된 배출관(102)을 통해 수면에 부양된 오염물질이 배출됨과 동시에 상기 하우징(100)의 바닥면에 가라앉은 오염물질이 하단에 위치된 상기 배출관(102)을 통해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0) 내의 물이 배출되면서 물의 수위가 점차적으로 낮아지고, 이때, 물의 수위가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 벽면 하단에 설치된 수위감지센서(100b)에 감지되면, 상기 수위감지센서(100b)가 상기 제어밸브(102a)로 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배출관(102)을 폐쇄함과 동시에 상기 급수밸브(500a)로 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급수관(500)을 개방한다.
이후, 개방된 상기 급수관(500)을 통해 상기 연장수조(103)로 물이 공급되고, 상기 연장수조(103)의 물은 상기 급수관(500)을 통해 유입되는 물의 압력에 밀려 상기 하우징(100) 내로 공급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00) 내로 물이 연속 공급되어 물의 수위가 점차적으로 높아지고, 이때, 상기와 같이 상기 하우징(100) 내측 벽면 상단에 설치된 수위감지센서(100b)가 물의 수위를 감지하여, 상기 급수밸브(500a)를 차단하는 것이다.
그러면, 상기 하우징(100) 내로 청결한 상태의 물이 공급되고, 이후,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송풍장치(400)로 공기를 강제 공급하면, 상기 기포발생홀(201)을 통해 기포(B)를 생성하되, 이 기포(B)를 연속적으로 분해하면서 기포(B)내에 포함된 먼지를 제거하여, 공기를 정화한다.
상기와 같이 구획판(200)의 기포발생홀(201)에서 먼지가 포함된 기포(B)를 생성하되, 이 기포(B)를 필터부(300)에서 연속 분해하면서 기포(B)에 포함된 먼지를 제거하여 공기를 정화하는 구조는, 미세먼지를 포함한 기포(B)를 필터부(300)로 통과시키면서 연속적으로 분해하는 과정에서 기포(B)내에 포함된 미세먼지가 물에 흡착되도록 하여, 기포(B)내의 미세먼지를 제거할 수 있고, 또한, 기포(B)가 연속 분해되면서 소직경으로 변화되어 기포(B)내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정밀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미세먼지가 제거된 기포(B)가 수면위로 상승하여 터지는 과정에서 기포(B)내의 정화된 공기가 공기배출구(101)를 통해 공기중으로 공급되어, 대기중이나 혹은 실내공간으로 정화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기포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범위까지 그 기술적 정신이 있다.
100 : 하우징 100a : 오염도측정센서
100 : 수위감지센서 101 : 공기배출구
102 : 배출관 102a : 제어밸브
103 : 연장수조 103a : 이물질걸림돌기
201 : 기포발생홀 200 : 구획판
300 : 필터부 301 : 지지판
302 : 분배돌부 400 : 송풍장치
500 : 급수관 500a : 급수밸브
B : 기포

Claims (12)

  1. 중공형상으로 내부에 물을 수용하고, 상면에 공기배출구(101)를 형성한 하우징(100)과;
    판재형상으로 상면에 정해진 간격 이격된 복수개의 기포발생홀(201)을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100)의 바닥면에서 상방으로 정해진 거리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을 상, 하로 구획하는 구획판(200);
    상기 구획판(200) 상면에서 정해진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기포발생홀(201)에서 생성되어 상방으로 치솟아 오르는 기포(B)를 연속적으로 분해하여, 기포(B) 내에 포함된 먼지를 제거하는 필터부(300);
    상기 하우징(100) 일면에 연결 설치되고, 상기 구획판(200)에 의해 구획된 상기 하우징(100)의 하부공간으로 오염공기를 공급하는 송풍장치(400);
    상기 하우징(100) 일면에 연결 설치되고, 외면에 급수밸브(500a)를 형성하여, 상기 구획판(200)에 의해 구획된 상기 하우징(100)의 하부공간으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500);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은,
    내측 벽면에 상기 하우징(100) 내에 수용된 물의 오염농도를 측정하는 오염도측정센서(100a)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은,
    내측벽면 상, 하단 각각에 상기 하우징(100) 내의 물수위를 감지하여 상기 급수관(500)의 급수밸브(500a) 개폐여부를 제어하는 수위감지센서(100b)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은,
    타면에 상기 하우징(100) 내의 물을 배출하는 배출관(102)을 형성하고,
    이 배출관(101) 외면에 상기 오염도측정센서(100a)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배출관(101)의 개폐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밸브(102a)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의 배출관(101)은,
    상기 하우징(100) 타면에서 상, 하로 서로 대칭되게 한 쌍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은,
    상기 송풍장치(400) 및 급수관(500)과 상기 하우징(100) 사이를 연결하는 연장수조(103)를 더 형성하고, 상기 연장수조(103)와 상기 하우징(100) 사이에는 상기 송풍장치(40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중에 포함된 이물질이 상기 하우징(100)의 하부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이물질걸림돌기(103a)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판(200)은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그 높이가 상대적으로 높아지도록 상향경사진 형상을 이루고,
    상기 필터부(300)는 상향경사진 상기 구획판(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복수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8. 제 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300)는,
    기포(B)를 연속 분해하면서, 기포(B)내에 포함된 먼지가 물에 흡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9. 제 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300)는,
    판재형상의 지지판(301)과;
    상기 지지판(301) 일면에서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복수개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지지판(301)을 따라 상향경사진 방향으로 이동하는 기포(B)를 분해하는 분배돌부(302);
    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300)의 분배돌부(302)는,
    상, 하로 서로 지그재그 구조를 이루도록 연속되게 형성되되, 그 사이가 분해된 기포(B)를 통과시키도록 정해진 거리 이격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300)의 분배돌부(302)는,
    상광하협 구조의 역삼각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은,
    내부에 수용된 물에 계면활성화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KR1020190088293A 2019-07-22 2019-07-22 기포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KR1025604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8293A KR102560450B1 (ko) 2019-07-22 2019-07-22 기포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8293A KR102560450B1 (ko) 2019-07-22 2019-07-22 기포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1189A true KR20210011189A (ko) 2021-02-01
KR102560450B1 KR102560450B1 (ko) 2023-07-27

Family

ID=74571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8293A KR102560450B1 (ko) 2019-07-22 2019-07-22 기포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04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31336A (zh) * 2022-06-08 2022-09-09 以马内利(深圳)健康水科技有限公司 一种根据瀑布原理产生负氧离子空气的方法及其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76545A (ja) * 2000-03-29 2001-10-09 Matsuo Sato 自動車用排ガス濾過装置
KR200413034Y1 (ko) * 2006-01-12 2006-04-05 원인호 수중공기 정화장치
KR101540392B1 (ko) * 2014-09-23 2015-07-3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유효미생물을 이용한 수용성 악취 저감장치
KR20160059188A (ko) 2014-11-18 2016-05-26 주식회사 바이오메카 미세기포발생장치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KR20180066884A (ko) * 2018-04-05 2018-06-19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오존 방출없는 플라즈마 공기청정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76545A (ja) * 2000-03-29 2001-10-09 Matsuo Sato 自動車用排ガス濾過装置
KR200413034Y1 (ko) * 2006-01-12 2006-04-05 원인호 수중공기 정화장치
KR101540392B1 (ko) * 2014-09-23 2015-07-3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유효미생물을 이용한 수용성 악취 저감장치
KR20160059188A (ko) 2014-11-18 2016-05-26 주식회사 바이오메카 미세기포발생장치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KR20180066884A (ko) * 2018-04-05 2018-06-19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오존 방출없는 플라즈마 공기청정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31336A (zh) * 2022-06-08 2022-09-09 以马内利(深圳)健康水科技有限公司 一种根据瀑布原理产生负氧离子空气的方法及其装置
CN115031336B (zh) * 2022-06-08 2023-06-20 以马内利(深圳)健康水科技有限公司 一种根据瀑布原理产生负氧离子空气的方法及其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0450B1 (ko) 2023-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28348A (ko) 펄스형 가스 슬러그와 전면적 폭기에 의한 막 세정
US20050127000A1 (en) Inverted air box aerator and aeration method for immersed membranes
KR102036274B1 (ko) 유해가스 집진 및 공기 정화 시스템
MX236005B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leaning membrane filtration modules
KR19980703756A (ko) 액체, 가스 및 미립물을 함유하는 유체용 침전 기구, 이에 부설되는 폐수 정화 장치 및 정화 방법
BR122018076328B1 (pt) sistema para filtrar água residual
CN104519984A (zh) 通气装置、过滤系统以及使过滤器通气的方法
KR102277299B1 (ko) 물 필터를 이용한 공기청정기
KR102157572B1 (ko) 집진 탈취기용 스컴 및 침전물 제거장치
KR20150059788A (ko) 침지된 막을 위한 가스 스코어링 장치
KR20210011189A (ko) 기포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KR102348752B1 (ko) 다수의 영역으로 분할된 여과공간을 갖는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KR102229357B1 (ko) 페인트부스 공기정화장치
KR20140111751A (ko) 광촉매를 이용한 공기정화 장치
KR101417868B1 (ko) 버블 정화부를 갖는 분수장치
KR102052851B1 (ko) 낙수를 이용하는 공기정화장치
KR102091861B1 (ko) 하향식 관로형 대기오염방지 및 탈취장치
KR20170115421A (ko) 마이크로 버블링 회절 스크러버
KR20200045940A (ko) 공기청정기
KR20170129580A (ko) 물세척식 공기정화기
CN107690351A (zh) 泡沫阻截系统
JP2006175336A (ja) 湿式ガス浄化装置
CN219111173U (zh) 水浴过滤组件
KR101626529B1 (ko) 플라즈마처리기가 설치된 절삭유 재생장치
CN113587331A (zh) 一种液洗空气净化消毒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