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1161A - 연속 혈당 측정 시스템에서 생체 정보를 분실없이 송수신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연속 혈당 측정 시스템에서 생체 정보를 분실없이 송수신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1161A
KR20210011161A KR1020190088227A KR20190088227A KR20210011161A KR 20210011161 A KR20210011161 A KR 20210011161A KR 1020190088227 A KR1020190088227 A KR 1020190088227A KR 20190088227 A KR20190088227 A KR 20190088227A KR 20210011161 A KR20210011161 A KR 202100111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ometric information
sensor transmitter
transmission
transmission packet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82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8614B1 (ko
Inventor
유충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센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센스
Priority to KR10201900882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8614B1/ko
Priority to JP2022502307A priority patent/JP7324359B2/ja
Priority to PCT/KR2020/003518 priority patent/WO2021015389A1/ko
Priority to EP20844655.9A priority patent/EP3984447A4/en
Priority to AU2020317807A priority patent/AU2020317807B2/en
Priority to US17/627,563 priority patent/US20220257119A1/en
Publication of KR20210011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11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86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86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for multiple sensor units attached to the patient, e.g. using a body or personal area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Monitoring the patient using a local or closed circuit, e.g. in a room or buil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748Having means for aiding positioning of the piercing device at a location where the body is to be pierc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21Determining signal validity, reliability or qual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3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involving compression of the physiological signal, e.g. to extend the signal recording period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34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ensuring sequence integrity, e.g. using sequence num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38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collecting sensor inform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05/00Evaluating, monitoring or diagnosing in the context of a particular type of medical care
    • A61B2505/07Home ca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3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glucose, e.g. by tissue impedance measurement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sychiatr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속혈당 측정 시스템에서 생체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센서 트랜스미터에서 송신 패킷을 생성시 생체 정보 또는 송신 패킷의 생성 순서에 따라 생체 정보 또는 송신 패킷을 식별하기 위한 생성 식별자를 포함하도록 송신 패킷을 생성함으로써 생성 식별자를 통해 생체 정보의 분실없이 생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패킷 생성 식별자 또는 전체 송신 패킷의 수에 기초하여 통신 단말기에서 수신하지 못한 송신 패킷 또는 생체 정보를 정확하게 판단함으로써 센서 트랜스미터와 통신 단말기 사이에서 수신하지 못한 송신 패킷 또는 생체 정보만을 구별하여 송수신할 수 있는 생체 정보의 송수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연속 혈당 측정 시스템에서 생체 정보를 분실없이 송수신하는 방법{Method for communicating biometric data without loss}
본 발명은 연속혈당 측정 시스템에서 생체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센서 트랜스미터에서 송신 패킷을 생성시 생체 정보 또는 송신 패킷의 생성 순서에 따라 생체 정보 또는 송신 패킷을 식별하기 위한 생성 식별자를 포함하도록 송신 패킷을 생성함으로써 생성 식별자를 통해 생체 정보의 분실없이 생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패킷 생성 식별자 또는 전체 송신 패킷의 수에 기초하여 통신 단말기에서 수신하지 못한 송신 패킷 또는 생체 정보를 정확하게 판단함으로써 센서 트랜스미터와 통신 단말기 사이에서 수신하지 못한 송신 패킷 또는 생체 정보만을 구별하여 송수신할 수 있는 생체 정보의 송수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당뇨병은 현대인에게 많이 발생되는 만성질환으로 국내의 경우 전체 인구의 5%에 해당하는 200만 명 이상에 이르고 있다.
당뇨병은 비만, 스트레스, 잘못된 식습관, 선천적 유전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췌장에서 만들어지는 인슐린이 절대적으로 부족하거나 상대적으로 부족하여 혈액에서 당에 대한 균형을 바로 잡아주지 못함으로써 혈액 안에 당 성분이 절대적으로 많아지게 되어 발병한다.
혈액 중에는 보통 일정 농도의 포도당이 함유되어 있으며 조직 세포는 여기에서 에너지를 얻고 있다.
그러나, 포도당이 필요 이상으로 증가하게 되면 간장이나 근육 또는 지방세포 등에 적절히 저장되지 못하고 혈액 속에 축적되며, 이로 인해 당뇨병 환자는 정상인보다 훨씬 높은 혈당이 유지되며, 과다한 혈당은 조직을 그대로 통과하여 소변으로 배출됨에 따라 신체의 각 조직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당분은 부족해져서 신체 각 조직에 이상을 불러일으키게 된다.
당뇨병은 초기에는 거의 자각 증상이 없는 것이 특징인데, 병이 진행되면 당뇨병 특유의 다음, 다식, 다뇨, 체중감소, 전신 권태, 피부 가려움증, 손과 발의 상처가 낫지 않고 오래가는 경우 등의 특유의 증상이 나타나며, 병이 한층 더 진행되면 시력장애, 고혈압, 신장병, 중풍, 치주질환, 근육 경련 및 신경통, 괴저 등으로 진전되는 합병증이 나타난다.
이러한 당뇨병을 진단하고 합병증으로 진전되지 않도록 관리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혈당 측정과 치료가 병행되어야 한다.
당뇨병은 관리를 위해 꾸준하게 혈당을 측정할 필요가 있어 혈당 측정과 관련된 장치는 그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당뇨병 환자가 혈당 조절을 엄격하게 하는 경우, 당뇨병의 합병증 발생이 현저하게 줄어드는 것은 각종 연구를 통해 확인되고 있다. 그에 따라 당뇨병 환자는 혈당 조절을 위해 규칙적으로 혈당을 측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당뇨병 환자의 혈당 관리를 위해 일반적으로 채혈식 혈당기(finger prick method)가 주로 사용되는데, 이러한 채혈식 혈당기는 당뇨병 환자의 혈당 관리에 도움을 주지만, 측정 당시의 결과만 나타나기 때문에 자주 변화하는 혈당 수치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채혈식 혈당기는 하루에도 수시로 혈당을 측정하기 위해 매번 채혈을 할 필요가 있어, 당뇨병 환자에게 채혈에 대한 부담이 큰 문제가 있다.
당뇨병 환자는, 일반적으로 고혈당 및 저혈당 상태를 오가는데, 응급상황은 저혈당 상태에서 발생한다. 저혈당 상태는 당분이 오랫동안 지속되지 않는 경우에 발생하며, 의식을 잃거나 최악의 경우 목숨을 잃을 수도 있다. 따라서 저혈당 상태를 즉각적으로 발견하는 것은 당뇨병 환자에게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간헐적으로 혈당을 측정하는 채혈식 혈당기는 분명한 한계가 있다.
이러한 채혈식 혈당기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인체 내에 삽입하여 수분 간격으로 혈당을 측정하는 연속 혈당 측정 시스템(CGMS,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System)이 개발되었으며, 이를 이용하여 당뇨병 환자의 관리와 응급 상황에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다.
연속 혈당 측정 시스템은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부착되어 체액을 추출하여 혈당을 측정하는 센서 트랜스미터와, 전송받은 혈당 수치를 출력하는 통신 단말기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센서 트랜스미터는 인체에 센서가 삽입된 상태로 일정기간, 예컨대, 대략 15일 정도 동안 사용자의 혈당을 측정하여 혈당 정보를 생성한다. 센서 트랜스미터 주기적으로 혈당 정보를 생성하며, 통신 단말기는 혈당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여 수신한 혈당 정보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게 출력한다.
위에서 설명한 연속 혈당 측정 시스템에서 센서 트랜스미터와 통신 단말기는 유선 통신 방식 또는 무선 통신 방식으로 혈당 정보를 송수신하는데, 통신 단말기는 센서 트랜스미터로부터 송신 패킷을 분실없이 연속하여 수신하여야 한다.
그러나 센서 트랜스미터와 통신 단말기 사이의 일시적 통신 단절로 인하여 통신 단말기는 혈당 정보를 연속하여 센서 트랜스미터로부터 송신하지 못하며 이로 인하여 사용자는 통신 단말기를 통해 자신의 혈당 정보를 연속하여 모니터링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위에서 언급한 종래 센서 트랜스미터와 통신 단말기 사이에서 생체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은 센서 트랜스미터에서 송신 패킷을 생성시 생체 정보 또는 송신 패킷의 생성 순서에 따라 생체 정보 또는 송신 패킷을 식별하기 위한 생성 식별자를 포함하도록 송신 패킷을 생성하며 생성 식별자를 통해 생체 정보의 분실없이 생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패킷 생성 식별자 또는 전체 송신 패킷의 수에 기초하여 통신 단말기에서 수신하지 못한 송신 패킷 또는 생체 정보를 정확하게 판단하며, 센서 트랜스미터와 통신 단말기 사이에서 수신하지 못한 송신 패킷 또는 생체 정보만을 구별하여 송수신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목적은 송신 패킷의 송신 완료 후 센서 트랜스미터에서 송신 완료 메시지를 송신하지 않거나 송신 패킷의 수신 완료 후 통신 단말기에서 수신 완료 메시지를 송신하지 않더라도 생체 정보의 분실없이 생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생체 정보의 송수신 방법은 사용자의 신체 부위 일부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측정하는 센서 트랜스미터는 측정 센서를 통해 측정한 생체 정보를 구비하는, 통신 단말기로 송신되는 송신 패킷을 생성하며, 송신 패킷에는 생체 정보 또는 송신 패킷의 생성 순서에 따라 생체 정보 또는 송신 패킷을 식별하기 위한 생성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송신 패킷은 설정된 측정 간격으로 측정된 다수의 생체 정보를 구비하며, 센서 트랜스미터는 다수의 생체 정보를 구비하는 1개의 송신 패킷마다 고유의 패킷 생성 식별자를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센서 트랜스미터는 송신 패킷에 구비되어 있는 다수의 생체 정보마다 고유의 생체 정보 생성 식별자를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생체 정보의 송수신 방법에서 센서 트랜스미터는 설정된 측정 간격으로 생체 정보를 생성할 때마다 생체 정보 카운트를 증가하여 센서 트랜스미터에서 생성된 전체 생체 정보 수를 저장하거나, 센서 트랜스미터는 순차적으로 생성된 다수의 생체 정보로 이루어진 송신 패킷을 생성할 때마다 송신 패킷 카운트를 증가하여 센서 트랜스미터에서 생성된 전체 송신 패킷 수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생체 정보의 송수신 방법은 통신 단말기에서 센서 트랜스미터로 송신 데이터 정보를 요청하는 정보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와, 정보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센서 트랜스미터에서 통신 단말기로 송신 데이터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와, 송신 데이터 정보에 기초하여 통신 단말기가 수신하지 못한 패킷 생성 식별자 또는 생체 정보 생성 식별자에 해당하는 송신 패킷 또는 생체 정보를 센서 트랜스미터로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송신 데이터 정보에는 센서 트랜스미터가 마지막으로 생성한 송신 패킷의 패킷 생성 식별자 또는 센서 트랜스미터가 마지막으로 생성한 생체 정보의 생체 정보 생성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송신 데이터 정보에는 센서 트랜스미터에서 카운트한 전체 송신 패킷의 수 또는 전체 생체 정보의 수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송신 패킷 또는 생체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는 센서 트랜스미터로부터 수신한 전체 송신 패킷의 수를 통신 단말기에 등록된 전체 송신 패킷의 수와 비교하는 단계와, 센서 트랜스미터로부터 수신한 전체 송신 패킷의 수가 통신 단말기에 등록된 전체 송신 패킷의 수가 상이한 경우 센서 트랜스미터가 마지막으로 생성한 송신 패킷의 패킷 생성 식별자와 통신 단말기가 마지막으로 수신한 송신 패킷의 패킷 생성 식별자를 비교하는 단계와, 센서 트랜스미터가 마지막으로 생성한 송신 패킷의 패킷 생성 식별자와 통신 단말기가 마지막으로 수신한 송신 패킷의 패킷 생성 식별자가 서로 상이한 경우 통신 단말기가 마지막으로 수신한 송신 패킷의 패킷 생성 식별자 이후로부터 센서 트랜스미터가 마지막으로 생성한 송신 패킷의 패킷 생성 식별자까지 순차적으로 생성된 송신 패킷을 요청하는 단계와, 센서 트랜스미터에서 통신 단말기로 요청한 송신 패킷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송신 패킷 또는 생체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는 센서 트랜스미터로부터 수신한 전체 생체 정보의 수와 통신 단말기에 등록된 전체 생체 정보의 수를 비교하는 단계와, 센서 트랜스미터로부터 수신한 전체 생체 정보의 수와 통신 단말기에 등록된 전체 생체 정보의 수가 상이한 경우 센서 트랜스미터가 마지막으로 생성한 생체 정보의 생체 정보 생성 식별자와 통신 단말기가 마지막으로 수신한 생체 정보의 생체 정보 생성 식별자를 비교하는 단계와, 센서 트랜스미터가 마지막으로 생성한 생체 정보의 생체 정보 생성 식별자와 통신 단말기가 마지막으로 수신한 생체 정보의 생체 정보 생성 식별자가 서로 상이한 경우 통신 단말기가 마지막으로 수신한 생체 정보의 생체 정보 생성 식별자 이후로부터 센서 트랜스미터가 마지막으로 생성한 생체 정보의 생체 정보 식별자까지 순차적으로 생성된 생체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와, 센서 트랜스미터에서 통신 단말기로 요청한 생체 정보를 구비하는 송신 패킷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신 패킷 또는 생체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에서 통신 단말기가 마지막으로 수신한 생체 정보의 생체 정보 생성 식별자 이후로부터 센서 트랜스미터가 마지막으로 생성한 생체 정보의 생체 정보 식별자까지 순차적으로 생성된 생체 정보를 구비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송신 패킷을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센서 트랜스미터에서 통신 단말기로 판단한 송신 패킷을 순차적으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생체 정보의 송수신 방법은 송신 패킷의 송신 후 센서 트랜스미터에서 통신 단말기로 패킷 송신 완료 메시지를 송신하지 않으며, 송신 패킷의 수신 후 통신 단말기에서 센서 트랜스미터로 수신 완료 메시지를 송신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생체 정보의 송수신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다양한 효과들을 가진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생체 정보의 송수신 방법은 센서 트랜스미터에서 송신 패킷을 생성시 생체 정보 또는 송신 패킷의 생성 순서에 따라 생체 정보 또는 송신 패킷을 식별하기 위한 생성 식별자를 포함하도록 송신 패킷을 생성함으로써, 생성 식별자를 통해 생체 정보의 분실없이 생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생체 정보의 송수신 방법은 패킷 생성 식별자 또는 전체 송신 패킷의 수에 기초하여 통신 단말기에서 수신하지 못한 송신 패킷 또는 생체 정보를 정확하게 판단함으로써, 센서 트랜스미터와 통신 단말기 사이에서 수신하지 못한 송신 패킷 또는 생체 정보만을 구별하여 송수신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생체 정보의 송수신 방법은 송신 패킷의 송신 완료 후 센서 트랜스미터에서 송신 완료 메시지를 송신하지 않거나 송신 패킷의 수신 완료 후 통신 단말기에서 수신 완료 메시지를 송신하지 않더라도, 즉 송신 패킷의 송신 완료 또는 수신 완료를 확인하기 위한 별도의 추가적인 절차없이도 생체 정보를 분실없이 송수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 혈당 측정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센서 트랜스미터를 신체에 부착하기 위한 어플리케이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센서 트랜스미터를 어플리케이터를 이용하여 인체에 부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센서 트랜스미터와 통신 단말기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메시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트랜스미터를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7은 센서 트랜스미터에서 송신 패킷을 생성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센서 트랜스미터로부터 미수신한 송신 패킷을 수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미수신한 송신 패킷이 존재하는 경우 통신 단말기에 활성화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1은 통신 단말기에서 미수신 송신 패킷을 수신하는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는 미수신 송신 패킷의 생체 정보가 속하는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미수신 송신 패킷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4는 미수신 송신 패킷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방법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됨을 유의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생체 정보의 송수신 방법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 혈당 측정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 혈당 측정 시스템(1)은 센서 트랜스미터(10) 및 통신 단말기(30)를 포함한다.
센서 트랜스미터(10)는 신체에 부착되는데 센서 트랜스미터(10)가 신체에 부착시 센서 트랜스미터(10)의 센서 일단은 피부에 삽입되어 인체의 체액을 주기적으로 추출하여 혈당을 측정한다.
통신 단말기(30)는 센서 트랜스미터(10)로부터 혈당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혈당 정보를 사용자에 표시할 수 있는 단말기로, 스마트폰, 태블릿 PC, 또는 노트북 등과 같이 센서 트랜스미터(10)와 통신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가 이용될 수 있다. 물론, 통신 단말기(13)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신 기능을 포함하고 프로그램이나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는 단말기이면 어떤 종류의 단말기일 수 있다.
센서 트랜스미터(10)는 통신 단말기(30)의 요청에 의해 또는 설정된 시각마다 주기적으로 측정된 혈당 정보를 통신 단말기(30)로 전송하는데, 센서 트랜스미터(10)와 통신 단말기(30) 사이에서 데이터 통신을 위해 센서 트랜스미터(11)와 통신 단말기(13)는 서로 USB 케이블 등에 의해 유선으로 통신 연결되거나 또는 적외선 통신, NFC 통신, 블루투스 등의 무선 통신 방식으로 통신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센서 트랜스미터(10)는 어플리케이터를 통해 신체 일부에 부착되는데, 도 2는 본 발명의 센서 트랜스미터를 신체에 부착하기 위한 어플리케이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 및 도 4는 센서 트랜스미터를 어플리케이터를 이용하여 인체에 부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2를 참고로 어플리케이터(50)에 대해 살펴보면, 어플리케이터(50)는, 센서 트랜스미터(10)를 내부에 구비하며 사용자의 조작으로 센서 트랜스미터(10)를 외부로 토출하여 사용자의 특정 신체 부위에 부착시키도록 작동한다. 어플리케이터(50)는 일면이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센서 트랜스미터(10)는 어플리케이터(50)의 개방된 일면을 통해 어플리케이터(50)에 설치된다.
어플리케이터(50)를 이용하여 센서 트랜스미터(10)를 신체 일부에 부착시, 센서 트랜스미터(10)에 구비된 센서의 일단을 피부에 삽입하기 위해 어플리케이터(50)는 센서의 일단을 내부에 감싸도록 형성된 니들(미도시), 니들과 센서 일단을 함께 피부로 밀어내는 제1 탄성 부재(미도시), 니들만을 인출하기 위한 제2 탄성 부재(미도시)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터(50)의 구성을 통해 어플리케이터(50) 내부에 압축된 상태로 배치된 제1 탄성 부재(미도시)의 압축 해지로 니들과 센서 일단을 동시에 피부에 삽입하며, 센서 일단이 피부에 삽입시 압축된 제2 탄성부재(미도시)의 압축 해지에 의해 니들만을 인출한다. 사용자는 어플리케이터(50)를 통해 안전하고 용이하게 센서 트랜스미터(10)를 피부에 부착시킬 수 있다.
센서 트랜스미터(10)를 신체에 부착시키는 과정을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보호캡(51)을 분리한 상태에서 어플리케이터(50)의 개방된 일면을 신체의 특정 부위 피부(20)에 밀착시킨다. 이렇게 어플리케이터(50)를 신체의 피부(20)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어플리케이터(50)를 작동시키면, 센서 트랜스미터(10)는 어플리케이터(50)에서 토출되면서 피부(20)에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센서 트랜스미터(10)의 하부에는 센서(12)의 일단이 센서 트랜스미터(10)에서 노출되어 배치되어 있으며, 센서(12)의 일단은 어플리케이터(50)에 구비된 니들을 통해 일부가 피부(20)에 삽입된다. 따라서 센서(12)의 일단이 피부(20)에 삽입된 상태로 센서 트랜스미터(10)는 피부(20)에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센서 트랜스미터(10)의 신체 접촉면에는 센서 트랜스미터(10)가 신체의 피부(20)에 고정 부착될 수 있게 접착테이프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어플리케이터(50)를 신체의 피부(20)에서 이격시키면 접착테이프에 의해 센서 트랜스미터(10)는 신체의 피부(20)에 고정 부착된 상태가 된다.
이후 센서 트랜스미터(10)에 전원이 인가되면 센서 트랜스미터(10)는 통신 단말기(50)와 통신을 연결하며, 센서 트랜스미터(10)는 측정한 혈당 정보를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게 된다.
센서 트랜스미터(10)는 혈당 정보뿐만 아니라 다양한 생체 정보를 측정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생체 정보의 일 예로 혈당 정보를 측정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도 5는 센서 트랜스미터와 통신 단말기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메시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고로 살펴보면, 센서 트랜스미터와 통신 단말기 사이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하여 통신을 연결한다(S1). 센서 트랜스미터와 통신 단말기는 USB 케이블 등의 유선 또는 적외선, NFC, 블루투스 드의 무선 통신 방식으로 통신 연결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센서 트랜스미터와 통신 단말기 사이에서 통신이 연결되는 경우, 센서 트랜스미터는 설정한 제1 주기마다 또는 통신 단말기로부터 요청이 있을 때마다 생성한 송신 패킷을 통신 단말기로 송신한다(S3).
통신 단말기와 센서 트랜스미터는 일정 시간 간격에만 연결되거나 또는 계속해서 연결되더라도 통신 단절 등으로 인하여 일시적으로 송신 패킷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통신 단말기는 센서 트랜스미터로부터 송신 패킷을 순차적으로 수신하기 위하여 또는 센서 트랜스미터에서 생성된 송신 패킷 중 미수신한 송신 패킷을 수신하기 위하여 정보 요청 메시지를 센서 트랜스미터로 송신한다(S5).
본 발명이 적용되는 분야에 따라 정보 요청 메시지는 생체 정보를 수신 요청할 때마다 송신되거나, 설정된 시각 간격마다 주기적으로 송신될 수 있다. 정보 요청 메시지는 1시간마다, 12시간마다, 1일마다 주기적으로 송신되어 통신 단말기가 미수신한 송신 패킷이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 정보 요청 메시지는 센서 트랜스미터가 생체 정보를 저장하는 시간에 동기화되어 생체 정보가 저장되는 시간마다 주기적으로 송신된다.
예를 들어, 센서 트랜스미터가 송신 패킷을 12시간 동안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면, 정보 요청 메시지는 송신 패킷의 저장 시간인 12시간마다 송신되어 센서 트랜스미터에서 송신 패킷이 삭제되기 전에 미수신한 송신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정보 요청 메시지의 송신 주기는 센서 트랜스미터의 저장 시간인 12시간보다 짧게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정보 요청 메시지의 송신 주기를 설정함으로써, 미수신한 송신 패킷을 확인하여 수신하는데 소비되는 전원과 프로세스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도 5를 참고로 살펴보면, 정보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센서 트랜스미터는 센서 트랜스미터에서 생성된 전체 송신 패킷의 수 또는 전체 생체 정보의 수에 대한 정보 그리고 센서 트랜스미터에서 최근 마지막으로 생성된 송신 패킷의 패킷 생성 식별자 또는 최근 마지막으로 생성된 생체 정보의 생체 정보 생성 식별자를 구비하는 송신 데이터 정보를 통신 단말기로 송신한다(S7).
통신 단말기는 송신 데이터 정보에 기초하여 통신 단말기가 미수신한 송신 패킷 또는 생체 정보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며, 미수신한 송신 패킷 또는 생체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통신 단말기가 마지막으로 수신한 송신 패킷 또는 생체 정보의 생성 식별자 이후 센서 트랜스미터에서 생성된 송신 패킷을 송신 요청하는 송신 패킷 요청 메시지를 센서 트랜스미터로 송신한다(S8).
센서 트랜스미터는 송신 패킷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통신 단말기가 미수신한 생체 정보를 구비하는 송신 패킷을 연속하여 통신 단말기로 송신한다(S9).
도 5를 참고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생체 정보의 송수신 방법은 송신 패킷의 패킷 생성 식별자 또는 생체 정보의 생체 정보 생성 식별자로부터 미수신한 송신 패킷 또는 생체 정보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며 이에 기초하여 미수신한 생체 정보를 송수신함으로써, 생체 정보가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송신 패킷의 패킷 생성 식별자 또는 생체 정보의 생체 정보 생성 식별자로부터 미수신한 송신 패킷 또는 생체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송신 패킷의 송신 후 센서 트랜스미터에서 통신 단말기로 패킷 송신 완료 메시지를 송신할 필요가 없거나 송신 패킷의 수신 후 통신 단말기에서 센서 트랜스미터로 수신 완료 메시지를 송신할 필요가 없으며 이로 인하여 생체 정보의 송수신에 따라 송수신되는 메시지의 수를 줄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트랜스미터를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6을 참고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센서 모듈(110)은 센서를 구비하는데 센서는 신체에 일부 삽입되어 혈당 정보를 측정한다.
센서 제어부(130)는 센서 모듈(110)로부터 측정된 혈당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혈당 정보를 저장부(150)에 저장한다. 여기서 센서 제어부(130)가 센서 모듈(110)로부터 수신하는 혈당 정보는 아날로그 신호인데, 센서 제어부(130)는 아날로그 신호에서 노이즈를 제거하고 다시 디지털 신호로 변경하여 혈당 정보를 생성한다.
센서 제어부(130)는 혈당 정보가 생성될 때마다 카운트를 증가하여 전체 혈당 정보 수를 저장부(150)에 저장하도록 한다. 한편, 센서 제어부(130)는 카운트한 혈당 정보의 생성 수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수의 혈당 정보가 생성되는 경우 다수의 혈당 정보로부터 송신 패킷을 생성하도록 송신 패킷 생성부(170)를 제어한다.
센서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송신 패킷 생성부(170)는 저장부(150)에 순차적으로 저장되어 있는 혈당 정보를 조합하여 일정 시간 동안의 시계열적인 혈당 정보로 이루어진 송신 패킷을 생성한다. 여기서 송신 패킷 생성부(170)는 송신 패킷을 생성할 때마다 각 송신 패킷을 식별하기 위한 생성 식별자를 포함하여 송신 패킷을 생성한다. 바람직하게 송신 패킷 생성부(170)는 송신 패킷에 구비된 각 혈당 정보를 식별하기 위한 생성 식별자를 포함하여 송신 패킷을 생성할 수 있다.
센서 제어부(130)는 송신 패킷 생성부(170)에서 송신 패킷이 생성될 때마다 카운트를 증가시켜 전체 송신 패킷 수를 저장부(150)에 저장하도록 한다. 센서 제어부(130)는 일정한 송신 주기에 따라 또는 통신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송신 패킷을 센서 통신부(190)를 통해 통신 단말기로 송신한다.
한편, 센서 제어부(130)는 생성한 전체 송신 패킷 수 또는 전체 생체 정보 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생성한 마지막 송신 패킷의 생성 식별자 또는 생성한 마지막 생체 정보의 생성 식별자에 대한 정보를 통신 단말기로 제공하는데, 통신 단말기로부터 통신 단말기가 미수신한 송신 패킷 또는 생체 정보의 요청이 있는 경우, 미수신한 송신 패킷의 생성 식별자 또는 미수신한 생체 정보의 생성 식별자에 기초하여 저장부(150)에서 미수신한 송신 패킷 또는 생체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한 송신 패킷 또는 패킷 정보를 통신 단말기로 송신 제어할 수 있다.
도 7은 센서 트랜스미터에서 송신 패킷을 생성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설정된 시간 동안(T)에 순차적으로 생성된 5개의 혈당 정보(v)로부터 송신 패킷(P)이 생성되는데, 설정된 시간 동안(T) 일정 간격으로 혈당 정보가 생성될 때마다 혈당 정보의 생성 수를 카운트하여 설정된 수의 혈당 정보, 예를 들어 5개의 혈당 정보가 생성되는 경우 5개의 혈당 정보로부터 송신 패킷을 생성한다. 송신 패킷 생성부(170)는 혈당 정보가 생성될 때마다 각 혈당 정보를 식별하기 위한 생성 식별자를 혈당 정보에 할당하거나 송신 패킷이 생성될 때마다 각 송신 패킷을 식별하기 위한 생성 식별자를 송신 패킷에 할당한다. 여기서 생성 식별자는 고유한 것으로, 바람직하게 송신 패킷 생성부(170)는 혈당 정보의 생성 순서 또는 송신 패킷의 생성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증가하는 시퀀스를 생성 식별자로 할당하거나 혈당 정보의 생성 시각 또는 송신 패킷의 생성 시각을 생성 식별자로 할당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8을 참고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단말기 제어부(210)는 설정한 제1 주기마다 또는 생체 정보를 요청하고자 하는 경우 단말기 통신부(230)를 통해 센서 트랜스미터와 통신을 수행한다.
단말기 제어부(210)는 센서 트랜스미터로부터 다수의 생체 정보를 구비하는 송신 패킷을 수신하며, 수신한 송신 패킷을 저장부(250)에 저장한다. 단말기 제어부(210)는 수신한 송신 패킷의 생체 정보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270)에 출력한다. 한편, 단말기 제어부(210)는 송신 패킷을 수신할 때마다 카운트를 증가시켜 통신 단말기가 센서 트랜스미터로부터 수신한 전체 송신 패킷의 수를 저장부(250)에 등록 저장하거나 송신 패킷을 수신할 때마다 송신 패킷에 구비된 생체 정보의 수에 따라 카운트를 증가시켜 통신 단말기가 센서 트랜스미터로부터 수신한 전체 생체 정보의 수를 저장부(250)에 등록 저장한다.
단말기 제어부(210)는 센서 트랜스미터로부터 송신 패킷을 연속하여 수신하기 위하여 또는 통신 단말기가 미수신한 송신 패킷이 존재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센서 트랜스미터로 송신 데이터 정보를 수신하며, 수신한 송신 데이터 정보에 기초하여 송신 패킷을 연속하여 송신 요청하거나 미수신한 송신 패킷을 송신 요청한다. 여기서 송신 데이터 정보에는 센서 트랜스미터가 마지막으로 생성한 송신 패킷의 패킷 생성 식별자 또는 센서 트랜스미터가 마지막으로 생성한 생체 정보의 생체 정보 생성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거나, 센서 트랜스미터에서 카운트한 전체 송신 패킷의 수 또는 전체 생체 정보의 수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단말기 제어부(210)는 센서 트랜스미터로부터 송신 패킷을 연속하여 수신하기 위하여 또는 센서 트랜스미터로부터 미수신한 송신 패킷을 수신하기 위하여 센서 트랜스미터로부터 수신한 전체 송신 패킷의 수와 통신 단말기에 등록된 전체 송신 패킷의 수와 비교하거나 센서 트랜스미터로부터 수신한 전체 생체 정보의 수를 통신 단말기에 등록된 전체 생체 패킷의 수와 비교하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통신 단말기가 마지막으로 수신한 송신 패킷의 패킷 생성 식별자 또는 생체 정보의 생체 정보 생성 식별자 이후 센서 트랜스미터에서 생성된 송신 패킷 또는 생체 정보를 송신 요청한다.
바람직하게, 단말기 제어부(210)는 센서 트랜스미터로부터 미수신한 송신 패킷 또는 생체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미수신한 송신 패킷 또는 생체 정보가 존재함을 디스플레이부(270)에 출력하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90)를 통해 미수신한 송신 패킷 또는 생체 정보의 수신 요청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미수신한 송신 패킷 또는 생체 정보를 센서 트랜스미터로부터 요청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 제어부(210)는 미수신한 송신 패킷의 생체 정보가 속한 영역이 위험 영역인지 비위험 영역인지에 기초하여 미수신한 송신 패킷을 선택적으로 수신 제어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센서 트랜스미터로부터 미수신한 송신 패킷을 수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를 참고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통신 단말기는 센서 트랜스미터로 송신 데이터 정보를 요청하는 정보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다(S110).
정보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통신 단말기는 센서 트랜스미터에서 생성된 전체 송신 패킷의 수 또는 전체 생체 정보의 수에 대한 정보 그리고 센서 트랜스미터에서 최근 마지막으로 생성된 송신 패킷의 패킷 생성 식별자 또는 최근 마지막으로 생성된 생체 정보의 생체 정보 생성 식별자를 구비하는 송신 데이터 정보를 센서 트랜스미터로부터 수신한다(S130).
통신 단말기는 통신 단말기에 등록 저장된 전체 송신 패킷의 수 또는 전체 생체 정보의 수를 송신 데이터 정보에 구비된 전체 송신 패킷의 수 또는 전체 생체 정보의 수와 비교하거나 통신 단말기에 등록 저장된 마지막으로 수신한 송신 패킷의 패킷 생성 식별자 또는 마지막 수신한 생체 정보의 생체 정보 생성 식별자를 송신 데이터 정보에 구비된 마지막으로 생성된 송신 패킷의 패킷 생성 식별자 또는 마지막 생성된 생체 정보의 생체 정보 생성 식별자와 비교하여 통신 단말기에서 미수신한 송신 패킷이 존재하는지 판단한다(S150).
미수신한 송신 패킷이 존재하는 경우, 통신 단말기가 마지막으로 수신한 송신 패킷의 패킷 생성 식별자 또는 마지막으로 수신한 생체 정보의 생체 정보 생성 식별자 이후부터 미수신한 송신 패킷을 센서 트랜스미터에 요청하여 수신한다(S190).
바람직하게, 통신 단말기에서 미수신한 송신 패킷이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에 문의없이 바로 미수신한 송신 패킷을 수신할 수 있으나, 미수신한 송신 패킷이 존재함을 사용자에 알려주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미수신한 송신 패킷의 수신을 요청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지 판단하여 사용자 선택에 따라 미수신한 송신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S170). 이는 과거 불필요한 생체 정보를 수신하는데 소비되는 전원이나 프로세스 과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판단에 따라 선택적으로 미수신한 송신 패킷을 수신하기 위함이다.
도 10은 미수신한 송신 패킷이 존재하는 경우 통신 단말기에 활성화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가 시간축(t) 상에 그래프로 출력되는데, 미수신한 송신 패킷이 존재하는 경우 미수신한 송신 패킷이 존재함을 사용자에 알리기 위한 아이콘(X)이 활성화된다. 사용자는 생체 정보 그래프를 통해 미수신한 생체 정보의 시각을 확인할 수 있으며 미수신한 생체 정보의 시각을 고려하여 미수신한 송신 패킷을 확인하기 위하여 아이콘을 선택할 수 있다.
도 10(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아이콘을 선택하는 경우, 미수신한 송신 패킷 등록 저장된 전체 송신 패킷의 수와 송신 데이터 정보에 구비된 전체 송신 패킷의 수를 비교하여 미수신한 송신 패킷의 수를 판단하여 미수신한 송신 패킷이 5개 존재함을 사용자에 알려준다. 사용자는 수신 아이콘을 통해 미수신한 송신 패킷을 수신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도 10(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미수신한 송신 패킷 5개를 수신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통신 단말기는 미수신한 송신 패킷을 센서 트랜스미터로부터 수신하며, 수신한 송신 패킷의 생체 정보를 확인하도록 하는 아이콘을 활성화한다.
도 11은 통신 단말기에서 미수신 송신 패킷을 수신하는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고로 살펴보면, 센서 트랜스미터로부터 미수신한 송신 패킷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11).
미수신한 송신 패킷이 존재하는 경우, 단말기 제어부는 미수신한 송신 패킷에 구비되어 있는 생체 정보가 위험 영역인지 비위험 영역인지 미수신한 송신 패킷에 구비되어 있는 생체 정보가 속하는 영역을 판단한다(S213). 미수신한 송신 패킷에 구비되어 있는 생체 정보가 위험 영역에 속하는 경우, 사용자의 수신 요청이 없더라도 미수신한 송신 패킷을 센서 트랜스미터로부터 송신 요청한다(S217).
그러나 미수신한 송신 패킷에 구비되어 있는 생체 정보가 비위험 영역에 속하는 경우, 사용자로부터 수신 요청이 입력되는지 판단한다(S219). 사용자의 수신 요청이 있는 경우에 한해 미수신한 송신 패킷을 센서 트랜스미터로부터 송신 요청한다.
도 12는 미수신 송신 패킷의 생체 정보가 속하는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12(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센서 트랜스미터에서 생성되는 생체 정보는 시간 변화에 따른 사용자의 연속적인 혈당 정보이며, 이러한 생체 정보는 시간에 따라 변화하게 된다.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혈당값이 제1 임계값(TH1) 이하인 경우 저혈당 위험 영역이며 사용자의 혈당값이 제2 임계값(TH2) 이상인 경우 고혈당 위험 영역에 속하게 된다.
도 12(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센서 트랜스미터로부터 미수신한 송신 패킷이 존재하며 해당 미수신한 송신 패킷의 시각 간격(t1)에 기초하여 미수신한 송신 패킷의 생체 정보와 인접 생체 정보로부터 미수신한 송신 패킷의 생체 정보가 제2 임계값(TH2) 이상의 고혈당 위험 영역에 존재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도 12(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센서 트랜스미터로부터 미수신한 송신 패킷이 존재하며 해당 미수신한 송신 패킷의 시각 간격(t2)에 기초하여 미수신한 송신 패킷의 생체 정보와 인접 생체 정보로부터 미수신한 송신 패킷의 생체 정보가 제1 임계값(TH1)과 제2 임계값(TH2) 사이에 존재하는 경우 비위험 영역에 존재할 것으로 예상된다.
바람직하게, 미수신한 송신 패킷과 인접 시각의 생체 정보가 속하는 영역에 기초하여 미수신한 송신 패킷의 생체 정보가 속하는 영역을 판단하거나, 미수신한 송신 패킷과 인접 시각의 생체 정보의 혈당값, 기울기, 변화 속도 등을 고려하여 미수신한 송신 패킷의 생체 정보가 속하는 영역을 판단할 수 있다.
도 13은 미수신 송신 패킷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3을 참고로 살펴보면, 센서 트랜스미터로부터 수신한 송신 데이터 정보에 구비된 전체 송신 패킷의 수와 통신 단말기에 등록된 전체 송신 패킷의 수를 비교하여 서로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31).
송신 데이터 정보에 구비된 전체 송신 패킷의 수가 통신 단말기에 등록된 전체 송신 패킷의 수와 상이한 경우, 센서 트랜스미터가 마지막으로 생성한 송신 패킷의 패킷 생성 식별자와 통신 단말기가 마지막으로 수신한 송신 패킷의 패킷 생성 식별자를 비교한다(S233).
센서 트랜스미터가 마지막으로 생성한 송신 패킷의 패킷 생성 식별자와 통신 단말기가 마지막으로 수신한 송신 패킷의 패킷 생성 식별자가 서로 상이한 경우, 통신 단말기가 마지막으로 수신한 송신 패킷의 패킷 생성 식별자 이후로부터 센서 트랜스미터가 마지막으로 생성한 송신 패킷의 패킷 생성 식별자까지 통신 단말기가 미수신한 송신 패킷을 판단한다(S235).
미수신한 송신 패킷의 패킷 생성 식별자를 센서 트랜스미터로 송신하여 센서 트랜스미터로부터 미수신한 송신 패킷을 순차적으로 수신한다(S237).
도 14는 미수신 송신 패킷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방법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센서 트랜스미터로부터 수신한 송신 데이터 정보에 구비되어 있는 전체 생체 정보의 수와 통신 단말기에 등록된 전체 생체 정보의 수를 비교한다(S251). 송신 데이터 정보에 구비되어 있는 전체 생체 정보의 수와 통신 단말기에 등록된 전체 생체 정보의 수가 상이한 경우, 센서 트랜스미터가 마지막으로 생성한 생체 정보의 생체 정보 생성 식별자와 통신 단말기가 마지막으로 수신한 생체 정보의 생체 정보 생성 식별자를 비교한다(S253).
센서 트랜스미터가 마지막으로 생성한 생체 정보의 생체 정보 생성 식별자와 통신 단말기가 마지막으로 수신한 생체 정보의 생체 정보 생성 식별자가 서로 상이한 경우, 통신 단말기가 마지막으로 수신한 생체 정보의 생체 정보 생성 식별자 이후로부터 센서 트랜스미터가 마지막으로 생성한 생체 정보의 생체 정보 식별자까지 통신 단말기가 미수신한 생체 정보를 판단한다(S255).
미수신한 생체 정보를 구비하는 송신 패킷을 센서 트랜스미터로부터 요청하여 수신한다(S259).
바람직하게, 통신 단말기 또는 센서 트랜스미터는 통신 단말기가 마지막으로 수신한 생체 정보의 생체 정보 생성 식별자 이후로부터 센서 트랜스미터가 마지막으로 생성한 생체 정보의 생체 정보 식별자에 기초하여 통신 단말기가 마지막으로 수신한 생체 정보의 생체 정보 생성 식별자 이후로부터 센서 트랜스미터가 마지막으로 생성한 생체 정보의 생체 정보 식별자까지 순차적으로 생성되는 생체 정보를 구비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송신 패킷을 판단한다(S257). 통신 단말기는 센서 트랜스미터로부터 판단한 송신 패킷을 순차적으로 수신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마그네틱 저장 매체(예를 들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센서 모듈 130: 센서 제어부
150: 저장부 170: 송신 패킷 생성부
190: 센서 통신부
210: 단말기 제어부 230: 단말기 통신부
250: 저장부 270: 디스플레이부
29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Claims (11)

  1. 사용자의 신체 부위 일부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측정하는 센서 트랜스미터와 상기 센서 트랜스미터로부터 생체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단말기 사이에서 생체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센서 트랜스미터는 측정 센서를 통해 측정한 생체 정보를 구비하는, 상기 통신 단말기로 송신되는 송신 패킷을 생성하며,
    상기 송신 패킷에는 생체 정보 또는 송신 패킷의 생성 순서에 따라 상기 생체 정보 또는 송신 패킷을 식별하기 위한 생성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정보의 송수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패킷은 설정된 측정 간격으로 측정된 다수의 생체 정보를 구비하며,
    상기 다수의 생체 정보를 구비하는 1개의 송신 패킷마다 고유의 패킷 생성 식별자가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정보의 송수신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시 송신 패킷에 구비되어 있는 다수의 생체 정보마다 고유의 생체 정보 생성 식별자가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정보의 송수신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정보의 송수신 방법에서
    상기 센서 트랜스미터는 설정된 측정 간격으로 생체 정보를 생성할 때마다 생체 정보 카운트를 증가하여 상기 센서 트랜스미터에서 생성된 전체 생체 정보 수를 저장하거나,
    상기 센서 트랜스미터는 순차적으로 생성된 다수의 생체 정보로 이루어진 송신 패킷을 생성할 때마다 송신 패킷 카운트를 증가하여 상기 센서 트랜스미터에서 생성된 전체 송신 패킷 수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정보의 송수신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정보의 송수신 방법은
    상기 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센서 트랜스미터로 송신 데이터 정보를 요청하는 정보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정보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센서 트랜스미터에서 상기 통신 단말기로 송신 데이터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송신 데이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단말기가 수신하지 못한 패킷 생성 식별자 또는 생체 정보 생성 식별자에 해당하는 송신 패킷 또는 생체 정보를 상기 센서 트랜스미터로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정보의 송수신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데이터 정보에는
    상기 센서 트랜스미터가 마지막으로 생성한 송신 패킷의 패킷 생성 식별자 또는 상기 센서 트랜스미터가 마지막으로 생성한 생체 정보의 생체 정보 생성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정보의 송수신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데이터 정보에는
    상기 센서 트랜스미터에서 카운트한 전체 송신 패킷의 수 또는 전체 생체 정보의 수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정보의 송수신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패킷 또는 생체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센서 트랜스미터로부터 수신한 전체 송신 패킷의 수를 상기 통신 단말기에 등록된 전체 송신 패킷의 수와 비교하는 단계;
    상기 센서 트랜스미터로부터 수신한 전체 송신 패킷의 수가 상기 통신 단말기에 등록된 전체 송신 패킷의 수가 상이한 경우, 상기 센서 트랜스미터가 마지막으로 생성한 송신 패킷의 패킷 생성 식별자와 상기 통신 단말기가 마지막으로 수신한 송신 패킷의 패킷 생성 식별자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센서 트랜스미터가 마지막으로 생성한 송신 패킷의 패킷 생성 식별자와 상기 통신 단말기가 마지막으로 수신한 송신 패킷의 패킷 생성 식별자가 서로 상이한 경우, 상기 통신 단말기가 마지막으로 수신한 송신 패킷의 패킷 생성 식별자 이후로부터 상기 센서 트랜스미터가 마지막으로 생성한 송신 패킷의 패킷 생성 식별자까지 순차적으로 생성되는 송신 패킷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센서 트랜스미터로부터 상기 요청한 송신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정보의 송수신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패킷 또는 생체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센서 트랜스미터로부터 수신한 전체 생체 정보의 수와 상기 통신 단말기에 등록된 전체 생체 정보의 수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센서 트랜스미터로부터 수신한 전체 생체 정보의 수와 상기 통신 단말기에 등록된 전체 생체 정보의 수가 상이한 경우, 상기 센서 트랜스미터가 마지막으로 생성한 생체 정보의 생체 정보 생성 식별자와 상기 통신 단말기가 마지막으로 수신한 생체 정보의 생체 정보 생성 식별자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센서 트랜스미터가 마지막으로 생성한 생체 정보의 생체 정보 생성 식별자와 상기 통신 단말기가 마지막으로 수신한 생체 정보의 생체 정보 생성 식별자가 서로 상이한 경우, 상기 통신 단말기가 마지막으로 수신한 생체 정보의 생체 정보 생성 식별자 이후로부터 상기 센서 트랜스미터가 마지막으로 생성한 생체 정보의 생체 정보 식별자까지 순차적으로 생성되는 생체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센서 트랜스미터로부터 상기 요청한 생체 정보를 구비하는 송신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정보의 송수신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패킷 또는 생체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에서
    상기 통신 단말기가 마지막으로 수신한 생체 정보의 생체 정보 생성 식별자 이후로부터 상기 센서 트랜스미터가 마지막으로 생성한 생체 정보의 생체 정보 식별자까지 순차적으로 생성되는 생체 정보를 구비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송신 패킷을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센서 트랜스미터로부터 상기 판단한 송신 패킷을 순차적으로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정보의 송수신 방법.
  11. 제 8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정보의 송수신 방법은
    상기 송신 패킷의 송신 후, 상기 센서 트랜스미터에서 상기 통신 단말기로 패킷 송신 완료 메시지를 송신하지 않으며,
    상기 송신 패킷의 수신 후, 상기 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센서 트랜스미터로 수신 완료 메시지를 송신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정보의 송수신 방법.
KR1020190088227A 2019-07-22 2019-07-22 연속 혈당 측정 시스템에서 생체 정보를 분실없이 송수신하는 방법 KR1022486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8227A KR102248614B1 (ko) 2019-07-22 2019-07-22 연속 혈당 측정 시스템에서 생체 정보를 분실없이 송수신하는 방법
JP2022502307A JP7324359B2 (ja) 2019-07-22 2020-03-13 連続血糖測定システムで生体情報を紛失なしに送受信する方法
PCT/KR2020/003518 WO2021015389A1 (ko) 2019-07-22 2020-03-13 연속 혈당 측정 시스템에서 생체 정보를 분실없이 송수신하는 방법
EP20844655.9A EP3984447A4 (en) 2019-07-22 2020-03-13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LOSSLESS BIOMETRIC INFORMATION IN A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SYSTEM
AU2020317807A AU2020317807B2 (en) 2019-07-22 2020-03-13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biometric information without loss in continuous blood glucose monitoring system
US17/627,563 US20220257119A1 (en) 2019-07-22 2020-03-13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biometric information without loss in continuous blood glucose monitor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8227A KR102248614B1 (ko) 2019-07-22 2019-07-22 연속 혈당 측정 시스템에서 생체 정보를 분실없이 송수신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1161A true KR20210011161A (ko) 2021-02-01
KR102248614B1 KR102248614B1 (ko) 2021-05-06

Family

ID=74193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8227A KR102248614B1 (ko) 2019-07-22 2019-07-22 연속 혈당 측정 시스템에서 생체 정보를 분실없이 송수신하는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257119A1 (ko)
EP (1) EP3984447A4 (ko)
JP (1) JP7324359B2 (ko)
KR (1) KR102248614B1 (ko)
AU (1) AU2020317807B2 (ko)
WO (1) WO202101538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0940B1 (ko) * 2022-02-10 2022-07-14 네메시스 주식회사 연속혈당측정 정보 수신 장치, 그 제어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0512B1 (ko) * 2020-02-19 2021-11-25 주식회사 아이센스 미수신 생체 정보가 속한 영역에 기초하여 미수신 생체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KR102331551B1 (ko) * 2020-02-28 2021-11-29 주식회사 아이센스 연속혈당측정시스템에서 생체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EP4365593A2 (en) 2020-07-29 2024-05-08 Biolinq, Inc. Continuous analyte monitoring system with microneedle array
EP4153276A4 (en) 2021-05-08 2023-11-08 Biolinq, Inc. FAULT DETECTION FOR A MICRONADE ARRAY BASED CONTINUOUS ANALYTE MONITORING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1175A (ko) * 2005-05-06 2008-04-08 캘리포니아 인스티튜트 오브 테크놀로지 손실된 패킷 검출 방법 및 패킷에 대한 재전송 메카니즘을결정하는 방법
KR20110121445A (ko) * 2010-04-30 2011-11-07 주식회사 엠디웨어 생체 측정 데이터의 처리 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457245A (zh) * 2001-02-07 2003-11-19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生物信息处理系统、终端单元、生物信息处理设备、生物信息处理方法和程序
US8771183B2 (en) * 2004-02-17 2014-07-08 Abbott Diabetes Care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data communication in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and management system
US7949404B2 (en) * 2006-06-26 2011-05-24 Medtronic, Inc. Communications network for distributed sensing and therapy in biomedical applications
WO2010121084A1 (en) 2009-04-15 2010-10-21 Abbott Diabetes Care Inc. Analyte monitoring system having an alert
US9226702B2 (en) * 2012-10-12 2016-01-05 Roche Diabetes Care, Inc. Communication protocol improvement to recover data from a continuous glucose monitor
KR101456591B1 (ko) * 2013-03-26 2014-10-3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생체 정보 측정 시계 및 생체 정보 측정 방법
JP6375621B2 (ja) * 2013-12-25 2018-08-2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生体情報測定装置、情報処理装置及び生体情報測定システム
EP3389491B1 (en) 2015-12-18 2024-05-22 Dexcom, Inc. Data backfilling for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JP2019510388A (ja) * 2015-12-22 2019-04-11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Koninklijke Philips N.V. メディカル・ボディ・エリア・ネットワーク、mbanを利用する方法及び記憶媒体
KR102498120B1 (ko) * 2017-10-17 2023-02-09 삼성전자주식회사 생체정보 센서의 오차 보정 장치 및 방법과, 생체정보 추정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1175A (ko) * 2005-05-06 2008-04-08 캘리포니아 인스티튜트 오브 테크놀로지 손실된 패킷 검출 방법 및 패킷에 대한 재전송 메카니즘을결정하는 방법
KR20110121445A (ko) * 2010-04-30 2011-11-07 주식회사 엠디웨어 생체 측정 데이터의 처리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0940B1 (ko) * 2022-02-10 2022-07-14 네메시스 주식회사 연속혈당측정 정보 수신 장치, 그 제어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WO2023153619A1 (ko) * 2022-02-10 2023-08-17 에스디바이오센서 주식회사 연속혈당측정 정보 수신 장치, 그 제어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541028A (ja) 2022-09-21
KR102248614B1 (ko) 2021-05-06
JP7324359B2 (ja) 2023-08-09
EP3984447A1 (en) 2022-04-20
EP3984447A4 (en) 2023-06-07
WO2021015389A1 (ko) 2021-01-28
US20220257119A1 (en) 2022-08-18
AU2020317807A1 (en) 2022-02-03
AU2020317807B2 (en) 2024-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8614B1 (ko) 연속 혈당 측정 시스템에서 생체 정보를 분실없이 송수신하는 방법
EP2518653B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user terminal
KR102535394B1 (ko) 연속혈당측정시스템에서 혈당값을 교정하는 방법
KR102475913B1 (ko) 연속 혈당 측정 시스템에서 교정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US20200069258A1 (en) A computer-implemented method and a portable device for analyzing glucose monitoring data indicative of a glucose level in a bodily fluid, and a computer program product
CN113168913A (zh) 处理和呈现心律失常信息以识别神经系统疾病的系统和方法
KR102346791B1 (ko) 체내 삽입용 센서의 교정 민감도를 계산하는 방법
JP2023531865A (ja) 検体監視システム及び方法
KR102200139B1 (ko) 연속혈당측정기의 동작 제어 장치
US20220257151A1 (en) Method for stabilizing continuous blood glucose monitoring system
KR102330791B1 (ko) 연속 혈당 측정 시스템에서 송신 패킷 식별자에 기초하여 분실없이 생체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KR102331551B1 (ko) 연속혈당측정시스템에서 생체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KR102470263B1 (ko) Ict기반의 양방향 통신과 사용자 관리가 가능한 혈당측정관리시스템
KR102330512B1 (ko) 미수신 생체 정보가 속한 영역에 기초하여 미수신 생체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KR20210017659A (ko) 연속 혈당 측정 시스템의 통신 연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