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0940A - 다운링크 제어 채널 검출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측 기기 - Google Patents

다운링크 제어 채널 검출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측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0940A
KR20210010940A KR1020217000663A KR20217000663A KR20210010940A KR 20210010940 A KR20210010940 A KR 20210010940A KR 1020217000663 A KR1020217000663 A KR 1020217000663A KR 20217000663 A KR20217000663 A KR 20217000663A KR 20210010940 A KR20210010940 A KR 202100109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quence
energy saving
signal
saving signal
subs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0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4786B1 (ko
Inventor
자칭 왕
레이 왕
팡천 청
Original Assignee
다탕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이큅먼트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탕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이큅먼트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다탕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이큅먼트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10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09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4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47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3/00Code 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3/0007Code type
    • H04J13/0022PN, e.g. Kroneck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3/00Code 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3/0007Code type
    • H04J13/0055ZCZ [zero correlation zone]
    • H04J13/0059CAZAC [constant-amplitude and zero auto-corre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36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 H04L1/0039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ther detection of signalling, e.g. detection of TFCI explicit sign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1Details of reference signals
    • H04L27/2613Structure of the referenc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04L27/265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L27/2662Symbol synchronisation
    • H04L27/2663Coarse synchronisation, e.g. by corre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04L27/265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L27/2666Acquisition of further OFDM parameters, e.g. bandwidth, subcarrier spacing, or guard interval l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1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dedicated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a single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3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power saving command
    • H04W72/128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common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multiple users or termin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다운링크 제어 채널 검출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측 기기를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단말이 에너지 절감 신호 검출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적어도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검출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를 검출하였을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검출 정보에 따라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출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운링크 제어 채널 검출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측 기기
[관련 출원에 대한 참조]
본 출원은 2018년 6월 11일 중국에 제출된 중국 특허 출원 제201810596638.4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을 본 출원에 원용한다.
[기술분야]
본 개시는 통신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운링크 제어 채널 검출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측 기기에 관한 것이다.
5G 엔알(New Radie, NR)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상태는 유휴 상태(RRC_IDLE), 비활성 상태(RRC_Inactive) 및 접속 상태 (RRC_Connected)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상태하에서 단말은 모두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출할 필요가 있는 반면, 관련 기술 중의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출하는 검출 위치는 미리 배치된 것이며, 또한 미리 복수 개의 검출 위치를 배치하여, 단말은 각 검출 위치에서 모두 검출을 수행 할 필요가 있다. 예컨대, 불연속 수신 (Discontinuous Reception,DRX) 시나리오에서, 단말은 각 활성화 시간(On duration) 주기에서 모두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출할 필요가 있다. 단말은 각 검출 위치에서 모두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출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단말의 전력 소비가 비교적 높은 문제를 초래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의 전력 소비가 비교적 높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운링크 제어 채널 검출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측 기기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다운링크 제어 채널 검출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단말이 에너지 절감 신호 검출을 수행하는 단계로서,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적어도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검출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인,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를 검출하였을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검출 정보에 따라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출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또한 데이터의 도달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검출 정보는,
집합 등급 (Aggregation Level,AL) 및/또는 후보(candidate)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타깃 시퀀스, 제1 시퀀스의 입력 파라미터 및 제2 시퀀스의 순환 쉬프트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타깃 시퀀스는 제3 시퀀스의 함수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시퀀스는 의사 잡음(Pseudo - Noise, PN) 시퀀스, 직교 시퀀스 또는 상수 포락선 제로 자기 상관(Constant Amplitude Zero Auto Correlation,CAZAC) 시퀀스를 포함하고; 및/또는
상기 제2 시퀀스는 직교 시퀀스, CAZAC 시퀀스 또는 PN 시퀀스을 포함하며; 및/또는
상기 제3 시퀀스는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복조 참조 신호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DMRS) 시퀀스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검출 정보는 AL을 포함하고,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상기 AL 및 데이터의 도달을 지시하기 위한 상기 타깃 시퀀스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이 에너지 절감 신호 검출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복수 개의 AL의 DMRS에 대응하는 시퀀스을 사용하여 상기 타깃 시퀀스에 대해 관련 피크 검출을 수행하고, 상기 복수 개의 AL 중 최대 관련 피크에 대응하는 AL을 상기 타깃 시퀀스가 지시하는 AL로 하며, 여기서 상기 최대 관련 피크는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큰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검출 정보는 AL을 포함하고,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상기 AL을 지시하기 위한 상기 제2 시퀀스의 순환 시프트 값을 포함하며; 또는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제1 시퀀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시퀀스의 초기 값은 단말의 단말 식별자이며, 상기 제1 시퀀스의 입력 파라미터는 상기 검출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발견 신호, 발견 신호의 신호 서브세트 또는 필요에 따른 참조 신호(On-demand Reference Signal,On-demand RS)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적어도 제1 신호 서브세트 및 제2 신호 서브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신호 서브세트는 상기 제2 신호 서브세트 이전에 위치하여 있으며, 상기 제2 신호 서브세트는 적어도 상기 검출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를 검출하였을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검출 정보에 따라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신호 서브세트를 수신할 경우, 상기 단말은 전력 램핑(ramping)을 개시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제2 신호 서브세트를 수신할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검출 정보에 따라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출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 서브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검출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신호 서브세트는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과 주파수 분할 멀티플레싱 되며, 또는 상기 검출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신호 서브세트는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 이전에 전송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또한 다운링크 제어 채널 검출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 검출 방법은,
네트워크 측 기기가 에너지 절감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적어도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검출 정보를 지시하여, 단말이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를 검출하였을 경우, 상기 검출 정보에 따라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또한 데이터의 도달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검출 정보는,
AL 및/또는 candidate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타깃 시퀀스, 제1 시퀀스의 입력 파라미터 및 제2 시퀀스의 순환 쉬프트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타깃 시퀀스는 제3 시퀀스의 함수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시퀀스는 PN 시퀀스, 직교 시퀀스, 또는 CAZAC 시퀀스를 포함하고; 및/또는
상기 제2 시퀀스는 직교 시퀀스, CAZAC 시퀀스 또는 PN 시퀀스을 포함하며; 및/또는
상기 제3 시퀀스는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복조 참조 신호(DMRS) 시퀀스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검출 정보는 AL을 포함하고,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상기 AL 및 데이터의 도달을 지시하기 위한 상기 타깃 시퀀스를 포함하며; 또는
상기 검출 정보는 AL을 포함하고,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상기 AL을 지시하기 위한 상기 제2 시퀀스의 순환 시프트 값을 포함하며; 또는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제1 시퀀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시퀀스의 초기 값은 단말의 단말 식별자이며, 상기 제1 시퀀스의 입력 파라미터는 상기 검출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발견 신호, 발견 신호의 신호 서브세트 또는 On-demand RS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적어도 제1 신호 서브세트 및 제2 신호 서브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신호 서브세트는 상기 제2 신호 서브세트 이전에 위치하여 있으며, 상기 제2 신호 서브세트는 적어도 상기 검출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 서브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검출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신호 서브세트는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과 주파수 분할 멀티플레싱 되며, 또는 상기 검출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신호 서브세트는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 이전에 전송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또한 단말을 제공하며,
에너지 절감 신호 검출을 수행하기 위한 제1 검출 모듈,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적어도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검출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를 검출하였을 경우, 상기 검출 정보에 따라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출하기 위한 제2 검출 모듈; 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검출 정보는,
AL 및/또는 candidate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타깃 시퀀스, 제1 시퀀스의 입력 파라미터 및 제2 시퀀스의 순환 쉬프트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타깃 시퀀스는 제3 시퀀스의 함수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발견 신호, 발견 신호의 신호 서브세트 또는 필요에 따른 잠조 신호 On-demand RS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또한 네트워크측 기기를 제공하며,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는:
에너지 절감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적어도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검출 정보를 지시하여, 단말이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를 검출하였을 경우, 상기 검출 정보에 따라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검출 정보는,
AL 및/또는 candidate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타깃 시퀀스, 제1 시퀀스의 입력 파라미터 및 제2 시퀀스의 순환 쉬프트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타깃 시퀀스는 제3 시퀀스의 함수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발견 신호, 발견 신호의 신호 서브세트 또는 On-demand RS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또한 송수신기, 메모리, 프로세서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단말을 제공하며,
상기 송수신기는 에너지 절감 신호 검출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적어도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검출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를 검출하였을 경우, 상기 검출 정보에 따라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출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또한 데이터의 도달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검출 정보는,
집합 등급 (Aggregation Level,AL) 및/또는 후보(candidate)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타깃 시퀀스, 제1 시퀀스의 입력 파라미터 및 제2 시퀀스의 순환 쉬프트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타깃 시퀀스는 제3 시퀀스의 함수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시퀀스는 의사 잡음(PN) 시퀀스, 직교 시퀀스, 또는 CAZAC 시퀀스를 포함하고; 및/또는
상기 제2 시퀀스는 직교 시퀀스, CAZAC 시퀀스 또는 PN 시퀀스을 포함하며; 및/또는
상기 제3 시퀀스는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복조 참조 신호 (DMRS) 시퀀스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검출 정보는 AL을 포함하고,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상기 AL 및 데이터의 도달을 지시하기 위한 상기 타깃 시퀀스를 포함하며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 검출을 수행하는 것은,
복수 개의 AL의 DMRS에 대응하는 시퀀스을 이용하여 상기 타깃 시퀀스에 대해 관련 피크 검출을 수행하고, 상기 복수 개의 AL 중 최대 관련 피크에 대응하는 AL을 상기 타깃 시퀀스가 지시하는 AL로 하며, 여기서 상기 최대 관련 피크는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큰 것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검출 정보는 AL을 포함하고,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상기 AL을 지시하기 위한 상기 제2 시퀀스의 순환 시프트 값을 포함하며; 또는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제1 시퀀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시퀀스의 초기 값은 상기 단말의 단말 식별자이며, 상기 제1 시퀀스의 입력 파라미터는 상기 검출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발견 신호, 발견 신호의 신호 서브세트 또는 필요에 따른 참조 신호(On-demand RS)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적어도 제1 신호 서브세트 및 제2 신호 서브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신호 서브세트는 상기 제2 신호 서브세트 이전에 위치하여 있으며, 상기 제2 신호 서브세트는 적어도 상기 검출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를 검출하였을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검출 정보에 따라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출하는 것은,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신호 서브세트를 수신할 경우 전력 램핑을 개시하고;
상기 단말이 상기 제2 신호 서브세트를 수신할 경우, 상기 검출 정보에 따라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출하는 것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 서브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검출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신호 서브세트는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과 주파수 분할 멀티플레싱 되며, 또는 상기 검출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신호 서브세트는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 이전에 전송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또한 송수신기, 메모리, 프로세서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포함하느 네트워크측 기기를 제공하며,
상기 송수신기는 에너지 절감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적어도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검출 정보를 지시하여, 단말이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를 검출하였을 경우, 상기 검출 정보에 따라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또한 데이터의 도달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검출 정보는,
AL 및/또는 candidate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타깃 시퀀스, 제1 시퀀스의 입력 파라미터 및 제2 시퀀스의 순환 쉬프트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타깃 시퀀스는 제3 시퀀스의 함수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시퀀스는 PN 시퀀스, 직교 시퀀스, 또는 CAZAC 시퀀스를 포함하고; 및/또는
상기 제2 시퀀스는 직교 시퀀스, CAZAC 시퀀스 또는 PN 시퀀스을 포함하며; 및/또는
상기 제3 시퀀스는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복조 참조 신호(DMRS) 시퀀스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검출 정보는 AL을 포함하고,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상기 AL 및 데이터의 도달을 지시하기 위한 상기 타깃 시퀀스를 포함하며; 또는
상기 검출 정보는 AL을 포함하고,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상기 AL을 지시하기 위한 상기 제2 시퀀스의 순환 시프트 값을 포함하며; 또는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제1 시퀀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시퀀스의 초기 값은 단말의 단말 식별자이며, 상기 제1 시퀀스의 입력 파라미터는 상기 검출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발견 신호, 발견 신호의 신호 서브세트 또는 On-demand RS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적어도 제1 신호 서브세트 및 제2 신호 서브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신호 서브세트는 상기 제2 신호 서브세트 이전에 위치하여 있으며, 상기 제2 신호 서브세트는 적어도 상기 검출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 서브세트를 포함하며, 상기 검출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신호 서브세트는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과 주파수 분할 멀티플레싱 되고, 또는 상기 검출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신호 서브세트는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 이전에 전송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하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해당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본 개시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단말측의 다운링크 제어 채널 검출 방법에서의 단계를 구현하며, 또는 해당 프로그램 은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본 개시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네트워크 기기측의 다운링크 제어 채널 검출 방법에서의 단계를 구현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단말는 에너지 절감 신호 검출을 수행하고,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적어도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검출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를 검출하였을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검출 정보에 따라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출한다. 따라서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를 통해 다운링크 제어 채널 검출을 트리거하는 것을 구현할 수 있고, 또한 직접 에너지 절감 신호가 지시한 검출 정보를 통해 검출할 수 있어 단말의 전력 소모를 줄이게 된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가 적용할 수 있는 네트워크 구조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다운링크 제어 채널 검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WUS의 개략도이다.
도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WUS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다운링크 제어 채널 검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조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측 기기의 구조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단말의 구조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네트워크측 기기의 구조도이다.
본 개시가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기술방안 및 장점을 더 명확히 하기 위하여, 이하 도면 및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가 적용할 수 있는 네트워크 구조 개략도로서, 도 1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말(11) 및 네트워크측 기기(12)를 포함하고, 여기서 단말(11)은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UE) 또는 기타 단말 기기일 수 있으며, 예컨대 태블릿 컴퓨터(Tablet Personal Computer), 랩탑형 컴퓨터(Laptop Computer), 개인 디지털 보조기(personal digital assistant,PDA), 모바일 인터넷 장치(Mobile Internet Device,MID) 또는 착용가능한 디바이스 (Wearable Device) 등의 단말측 기기이며, 설명해야 할 것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단말의 특정 타입을 한정하지 않는다. 네트워크측 기기(12) 는 예컨대 매크로 스테이션, LTE eNB, 5G NR NB 등과 같은 기지국일수 있고; 또한 저전력 노드(low power node,LPN), pico, femto 등과 같은 소국 또는 네트워크측 기기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AP)일 수 있으며; 기지국은 중앙 유닛(central unit, CU)및 이를 관리 및 제어하는 복수 개의 전송 수신 포인트(Transmission central, TRP)와 함께 구성된 네트워크 노드일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측 기기의 구체적 타입을 한정하지 않는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다운링크 제어 채널 검출 방법의 흐름도이며, 도 2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계 201, 단말이 에너지 절감 신호 검출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검출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단계 202,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를 검출하였을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검출 정보에 따라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출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PDCCH 블라인드 검출을 활성화(또는 트리거라 칭함)하기 위한 신호일 수 있고, 단말이 해당 에너지 절감 신호를 검출하였을 경우, 상기 활성화 시간 내에 PDCCH를 블라인드 검출한다. 예컨대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웨이크업 신호(Wakeup Signal,WUS)일 수 있고, 나아가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 윈도우는 WUS 윈도우일 수 있으며, 물론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으며, 예컨대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프로토콜에서 정의된 기타 신호일 수 있으며, 또는 네트워크측 기기와 단말이 미리 약속한 기타 신호일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단말 특정(UE specific) 신호일 수도 있다.
상기 검출 정보는 다운링크 제어 채널 검출에 관련된 정보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검출 정보는 AL 및/또는 후보(candidate) 위치를 포함하고, 이에 따라 AL 및/또는 후보(candidate)위치를 통하여 단말로 하여금 기타 AL의 검출이 필요 없이 해당 AL의 검출만을 필요로 하여,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블라인드 검출 복잡도를 감소시켜 단말의 전력 소모를 절감한다. 또한 단말은 기타 candidate 위치 검출이 필요 없이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가 지시한 candidate 위치 검출만을 필요로 하여,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블라인드 검출 복잡도를 감소시켜 단말의 전력 소모를 절감한다. 물론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상기 검출 정보는 AL 및/또는 후보(candidate) 위치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검출에 관련된 기타 정보 파라미터일 수도 있으며, 또한 본 개시 실시예에서 다운링크 제어 채널 검출은 다운링크 제어 채널 블라인드 검출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가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검출 정보를 지시하는 것은, 명시적 또는 암시적 방식으로 검출 정보를 지시할 수 있고, 따라서 에너지 절감 신호가 검출 정보를 지시하는 것은 또한 에너지 절감 신호가 상기 검출 정보를 캐리(또는 포함)하는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데이터의 도달 및 상기 검출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단말은 해당 에너지 절감 신호를 수신한 후에, 데이터가 곧 도달할 것을 확정하며, 나아가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출할 수 있다.
단계(202)에서 단말이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를 검출하였을 경우 상기 검출 정보에 따라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출하는 것은, 단말이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를 검출하였을 경우 다운링크 제어 채널 검출을 활성화(또는 트리거라 칭함) 하고, 상기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검출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이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의 검출 후에 비로소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출하는 것을 구현할 수 있으며, 즉, 단말은 에너지 절감 신호를 통해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도달 타이밍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단계를 통하여, 에너지 절감 신호의 검출 후에 비로소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출하고, 또한 상기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검출을 수행하는 것을 구현할 수 있으며, 따라서 단말이 다운링크 제어 채널 검출에 필요한 시간을 줄이고, 또한 복수 개의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검출을 수행할 필요가 없으므로,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블라인드 검출 복잡도를 낮추고, 또한 단말의 전력 소모를 절감할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다운링크 제어 채널은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hysical Control Channel, PDCCH)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실시 예에서 다운링크 제어 채널은 현존하는 및 미래에 있을 수 있는 다양한 정의 가능한 제어 채널일 수 있으며, 예컨대 강화된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ePDCCH) 또는 머신 타입 통신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MTC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MPDCCH) 등이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상태는 접속 상태 (RRC_Connected), 또는 예컨대 유휴 상태(RRC_IDLE) 혹은 비활성 상태(RRC_Inactive)등과 같은 비접속 상태일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는 허가 주파수 대역도 지원할 수 있고, 무거하 주파두 대역을 지원할 수도 있으며, NR 기술 및 예컨대 LTE와 같은 기타 통신 시스템에도 적용 가능하다.
일 선택적인 실시예로서,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타깃 시퀀스, 제1 시퀀스의 입력 파라미터 및 제2 시퀀스의 순환 쉬프트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타깃 시퀀스는 제3 시퀀스의 함수이다.
일 대안적인 실시예로서,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타깃 시퀀스, 제1 시퀀스의 입력 파라미터 및 제2 시퀀스의 순환 쉬프트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상기 검출 정보를 지시하며, 상기 타깃 시퀀스는 제3 시퀀스의 함수이다.
여기서, 상기 타깃 시퀀스는 상기 제3 시퀀스에 대해 상기 함수 연산을 수행하는 것을 통하여 상기 타깃 시퀀스를 얻을 수 있으며, 예컨대 상기 함수는 순환 반복, 또는 절단, 또는 직교 주파수 확산 등의 함수 처리를 할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시퀀스, 제2 시퀀스 및 제3 시퀀스는 프로토콜에서 정의된 시퀀스이거나, 또는 네트워크측 기기와 단말이 미리 약속한 시퀀스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시퀀스는 PN 시퀀스, 직교 시퀀스 또는 CAZAC 시퀀스를 포함하며; 및/또는
상기 제2 시퀀스는 PN 시퀀스, 직교 시퀀스 또는 CAZAC 시퀀스를 포함하며; 및/또는
상기 제3 시퀀스는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DMRS 시퀀스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PN 시퀀스는 의사-랜덤 시퀀스의 통칭을 가리키는 것일 수 있고, 예컨대 M 시퀀스 또는 gold 시퀀스 등은 모두 PN 시퀀스에 속할 수 있으며, 직교 시퀀스는 예컨대 상용의 하다마(Hadamard) 시퀀스 또는 월시(Walsh) 시퀀스 등과 같은 복수 개의 시퀀스를 포함할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상기 타깃 시퀀스는 DMRS 시퀀스의 함수일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실시형태는 DMRS 시퀀스를 통하여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를 구성하는 것을 구현할 수 있으며, 해당 에너지 절감 신호는 상기 타깃 시퀀스일 수 있기 때문에, DMRS 시퀀스를 통하여 구성한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데이터 도달을 지시할수 있을 뿐만 아니라 또한 상기 검출 정보를 지시할 수도 있다. 따라서, DMRS 시퀀스와 검출 정보에는, 예컨대 DMRS와 AL이 대응관계가 존재하는 것과 같은 대응관계가 존재하기 때문에, 에너지 절감 신호와 검출 정보의 대응관계를 더 추가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단말은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의 검출 후에, 그가 지시한 검출 신호를 확정할 수 있고, 나아가 복잡도를 낮추고, 단말의 전력 소모를 절감할 수 있다.
물론, 본개시의 실시예에서, 제1 시퀀스, 제2 시퀀스 및 제3 시퀀스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고, 예컨대 제1 시퀀스, 제2 시퀀스 및 제3 시퀀스 는 또한 ZC 시퀀스 또는 등가 기능의 동기화 시퀀스 등일 수도 있다.
해당 실시예에 있어서, 타깃 시퀀스, 제1 시퀀스의 입력 파라미터 및 제2 시퀀스의 순환 쉬프트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검출 정보를 지시하기 때문에, 검출 정보를 지시할 때 새로운 시퀀스를 정의할 필요가 없고, 나아가 다운링크 제어 채널 검출의 복잡도를 낮추고, 단말의 전력 소모를 절감할 수 있다. 물론, 타깃 시퀀스, 제1 시퀀스의 입력 파라미터 및 제2 시퀀스의 순환 쉬프트 값은 또한 데이터의 도달을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검출 정보는 AL을 포함하고,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상기 AL 및 데이터의 도달을 지시하기 위한 상기 타깃 시퀀스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이 에너지 절감 신호 검출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복수 개의 AL의 DMRS에 대응하는 시퀀스을 사용하여 상기 타깃 시퀀스에 대해 관련 피크 검출을 수행하고, 상기 복수 개의 AL 중 최대 관련 피크에 대응하는 AL을 상기 타깃 시퀀스가 지시하는 AL로 하며, 여기서 상기 최대 관련 피크는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큰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DMRS에 대응하는 시퀀스는 AL의 DMRS 시퀀스일 수 있고 또는 AL의 DMRS와 특정된 대응관계가 존재하는 시퀀스일 수도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해당 실시예에서, 타깃 시퀀스가 DMRS 시퀀스의 함수인 경우, 단말은 AL의 DMRS에 대응하는 시퀀스을 이용하여 타깃 시퀀스에 대해 관련 피크 검출을 수행하는 것을 구현할 수 있으며, 상기 최대 관련 피크를 검출하였을 경우, 단말이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를 검출하는 것을 확정하고, 또한 해당 에너지 절감 신호가 지시한 AL을 확정할 수 있으므로, 기타 AL의 블라인드 검출을 필요로 하지 않고, 나아가 다운링크 제어 채널 검출의 복잡도를 낮추고, 단말의 전력 소모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설명해야 할 것은, 해당 실시예에서, 타깃 시퀀스는 DMRS 시퀀스의 함수이므로,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검출 시에 기타 시퀀스를 정의 또는 참조할 필요가 없어 복잡도를 낮출 수 있다.
예컨대, 기지국은 단말에 PDCCH/물리 다운링크 공유 채널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PDSCH)을 송신하기 전에, 확정된 자원에에 하나의 에너지 절감 신호를 송신하고, 해당 에너지 절감 신호는 단말 특정(UE specific) 신호일 수 있으며, 해당 신호는 해당 단말 PDCCH에 대응하는DMRS의 함수이다. 예컨대, 해당 신호가 하나의 길이가 N인 시퀀스(M개의 OFDM심볼을 점유할 수 있음, M>=1)라고 미리 가정하면, 해당 신호는 PDCCH에 대응하는 DMRS의 함수이다. 상기 함수 관계를 한가지 간단한 함수로 표시하면: 단말이 PDCCH의 AL 하에서 대응하는 DMRS 시퀀스 길이가 N 미만인 것으로 가정할 때, 간단한 반복 방안을 사용하고, 예컨대 원 DMRS 시퀀스에 대해 순환 반복하여 길이가 N인 타깃 시퀀스을 얻고, N=5, DMRS=[ x1 x2 x3]이라고 가정하면 타깃 시퀀스는 [x1 x2 x3 x1 x2]이며; 단말이 PDCCH의 대응하는 DMRS 시퀀스 길이가 N보다 크면, 직접 절단 방법을 이용하여 해당 시퀀스를 얻는다. 단말은 대응하는 자원상에서 해당 시퀀스를 블라인드 검출하고, 간편한 방법으로 PDCCH의 가능한 부동한 집합 등급의 DMRS에 대응하는 시퀀스 및 수신된 길이가 N인 시퀀스를 이용하여 관련 피크 검출을 수행하며, 관련 피크가 최대이고 또한 어느 한 도어 값보다 큰 경우, 해당 단말의 데이터가 곧 도달할 것으로 여기고, 최대 관련 피크에 대응하는 집합 등급은 PDCCH에 대응하는 집합 등급이다. 단말은 집합 등급을 직접 이용하여 PDCCH를 검출하며, 기타 집합 등급을 블라인드 검출하지 않는다. 상기 함수 관계는 하나의 간단한 예이고, 예컨대 DMRS 시퀀스에 대한 직교 주파수 확산을 통해서도 길이가 N인 시퀀스를 얻을 수 있고, 모든 DMRS 함수 관계는 모두 본 개시의 실제 보호 범위내에 속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검출 정보는 AL을 포함하고,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상기 AL을 지시하기 위한 상기 제2 시퀀스의 순환 시프트값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순환 시프트값은 순환 시프트 파라미터로 칭할 수도 있다.
해당 실시예에서, 검출 정보 중 AL을 포함하는 것을 구현할 수 있는 정황하에서, 에너지 절감 신호는 제2 시퀀스의 순환 시프트 값을 통하여 상기 AL을 지시하고, 즉, 해당 실시예에서 부동한 순환 시프트 값은 부동한 AL에 대응한다. 따라서 제2 시퀀스의 순환 시프트 값을 통하여 상기 AL을 지시하면, 다운링크 제어 채널 검출 시에 다른 시퀀스를 새로 정의하거나 참조할 필요가 없어 복잡도을 낮출 수 있다.
또한, 해당 실시예에서,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복수 개의 신호 서브세트를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하나의 신호 세브세트는 상기 AL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예컨대, 해당 에너지 절감 신호는 발견 신호이고, 여기서 하나의 신호 세브세트는 상기 AL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또는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어느 한 신호의 하나의 서브세트일 수 있고, 예컨대 발견 신호의 하나의 신호 서브세트일 수 있다.
상기 단말은 제1 신호 서브세트를 수신한 후에 전력 램핑을 개시하고, 단말이 제2 신호 서브세트(상기 AL을 지시)를 수신할 경우, 해당 AL에 기초하여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출함으로써 단말의 전력 소모를 낮춘다.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UE specific 신호일 수 있고, 직접 접속 상태(RRC-connected mode) 하에서의 발견 신호로 될 수 있으며, 도 3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지국은 먼저 DRX on 사이클 전에 WUS의 서브세트 1을 송신하고, 그 후 PDCCH 이전에 WUS의 또 다른 서브세트를 전송하며, 예컨대 세트 2, 해당 WUS set는 CAZAC 시퀀스의 순환 시프트일 수 있고, 부동한 순환 시프트 값은 PDCCH 탐색 공간의 부동한 집합 등급에 대응할 수 있다. 단말은 우선 WUS의 서브세트 1을 검출하고, 전력 램핑을 개시하지만, PDCCH를 검출하지 않고, WUS의 서브세트 2를 검출하며, WUS의 서브세트 2를 성공적으로 검출한 후, 데이터 도달을 확정할 수 있음과 동시에, PDCCH에 대응하는 집합 등급을 확정하고, 단말은 상기 집합 등급을 직접 이용하여 PDCCH를 검출하며, 집합 등급 블라인드 검출을 더 이상 수행하지 않는다.
물론, 상기 실시예의 일부 시나리오에 있어서, 제2 시퀀스의 순환 시프트 값을 통해 상기 candidate 위치를 지시할 수 있고, 즉, 해당 실시예에 있어서, 부동한 순환 시프트 값은 부동한 candidate 위치에 대응된다. 또는 제2 시퀀스의 순환 시프트 값을 통해 AL 및/또는 candidate 위치를 지시할 수 있고, 예컨대 미리 구성된 제2 시퀀스의 순환 시프트 값과 검출 정보(예컨대 AL 및/또는 candidate 위치)의 대응관계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제1 시퀀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시퀀스의 초기 값은 상기 단말의 단말 식별자이며, 상기 제1 시퀀스의 입력 파라미터는 상기 검출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입력 파라미터는 제1 시퀀스의 외부 입력 파라미터인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해당 실시형태에서, 상기 검출 정보(예컨대 AL 및/또는 candidate 위치)를 제1 시퀀스의 입력 피라미터로 하는 것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상기 제1 시퀀스를 수신한 후에, 상기 초기 값 및 제1 시퀀스를 통하여 상기 입력 피라미터를 얻을 수 있으며, 즉 상기 검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최초 입력 및 상기 우선 순위의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검출 시에 다른 시퀀스들을 새로운 정의 또는 참조할 필요가 없어, 복잡도를 낮출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예컨대 UESpenfic 신호)는 또한 PN 시퀀스로 구현될 수도 있고, PN 시퀀스는 복수 개의 입력 파라미터를 가지며, 단말 식별자(UE ID) 정보는 PN 시퀀스의 초기 값으로 되고, PDCCH에 대응하는 집합 등급, PDCCH candidate 위치는 외부 입력 파라미터로 된다. 해당 시퀀스는 일반적으로 PDCCH 전에 송신될 수 있고, 단말은 해당 시퀀스를 검출한 후, PDCCH의 집합 등급을 확정하는 동시에 PDCCH candidate 위치 정보를 확정할 수 있어 PDCCH의 검출 복잡도를 크게 낮출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상기 PDCCH 검출 정보를 캐리하는 에너지 절감 신호의 생성 방법은 구체적인 예시일 뿐이며, 기타 실시형태를 배제하지 않는다.
일 대안적인 실시예로서,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발견 신호, 발견 신호의 신호 서브세트, 또는 필요에 따른 참조 신호(On-demand Reference Signal,On-demand RS)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발견 신호는 접속 상태의 발견 신호일 수 있고, 물론 일부 시나리오에서 비접속 상태의 발견 신호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가 On-demand RS를 포함할 때, On-demand RS는 에너지 절감 신호의 하나의 서브세트로 될 수 있으나, 에너지 절감 신호는 해당 서브세트 이외에 기타 서브세트도 포함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가 On-demand RS일 때, 해당 On-demand RS는 어느 한 신호의 하나의 서브세트로 될 수 있고, 또는 On-demand RS는 하나의 독립적인 신호로 될 수 있으며, 즉 어느 한 신호의 신호 서브세트가 아닐 수 있다.
예컨대, 에너지 절감 신호(예컨대 UE Spenfic 신호)는 On-demand RS로 될 수 있고, 도 4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말은 심볼 n-L+1에서부터 시작하여 WUS 신호를 검출하고, L개 심볼의 WUS를 검출한 후, 단말은 심볼 n에서 WUS에 의해 웨이크업되고,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RF) 회로는 파워 온을 시작하며; UE Spenfic의 On-demand RS는 심볼 n+x(x>=0) 내지 심볼 n+M에서 전송하며, 단말은 성공적으로 On-demand RS를 검출한 후, 심볼 n+M+1에서부터 시작하여 PDCCH/PDSCH를 전송한다. UE Spenfic의 On-demand RS는 전술한 방법을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으며, 단말은 On-demand RS를 이용하여 데이터의 도달을 검출할 수 있고, 동시에 PDCCH 검출 보조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이 외에 해당 On-demand RS는 또한 채널 추적, 무선 자원 관리(Radio Resource Management, RRM) 측정 등의 동작을 위한 것일 수 있다.
일 대안적인 실시예로서,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적어도 제1 신호 서브세트 및 제2 신호 서브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신호 서브세트는 상기 제2 신호 서브세트 이전에 위치하여 있으며, 상기 제2 신호 서브세트는 적어도 상기 검출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를 검출하였을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검출 정보에 따라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신호 서브세트를 수신할 경우, 상기 단말은 전력 램핑을 개시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제2 신호 서브세트를 수신할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검출 정보에 따라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해당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 서브세트가 단말의 수신기를 웨이크업하여 전력 램핑을 수행한 후에 제2 신호 서브세트를 검출하는 것을 구현하고, 제2 신호 서브세트를 검출한 후에 상기 검출 정보에 따라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출한다. 따라서 단말의 전력 소모를 진일보 절감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상기 제 1 신호 서브세트의 검출시에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출하지 않고 전력 램핑만을 수행하며, 또는 상기 제 2 신호 서브세트의 검출시에 비로소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출하기 때문이다. 선택적으로, 제2 신호 서브세트와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위치의 간격은 0이거나 또는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해당 실시예에서 에너지 절감 신호가 복수 개의 신호의 서브세트를 포함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고,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어느 한 신호의 서브세트로 이해될 수도 있고, 해당 에너지 절감 신호의 실시형태에서 있어서 전술한 제2 신호의 서브세트를 참조할 수 있다. 즉,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또 다른 신호로 이해될 수 있으나, 상기 제2 신호 서브세트는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로 이해된다.
일 대안적인 실시예로서,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 서브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검출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신호 서브세트는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과 주파수 분할 멀티플레싱 되며, 또는 상기 검출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신호 서브세트는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 이전에 전송된다.
해당 실시예에서, 상기 검출 정보의 신호 서브세트와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 즉 동시에 전송하는 것을 구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단말의 동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시간 분할 멀티플렉싱, 즉 부동한 시간에 전송하는 것을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동일한 주파수 영역 자원을 이용하여 전송할 수 있어 주파수 영역 자원을 절감할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에너지 절감 신호가 오직 하나의 신호 서브세트만을 포함할 때, 해당 에너지 절감 신호는 해당 다운링크 제어 채널 주파수 멀티플렉싱되거나, 또는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 이전에 전송된다.
물론,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사기 검출 정보를 지시하는 신호 서브세트가 상기 다운링크 채널 후에 전송되는 기술방안도 배제하지 않는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상기 여러가지 대안적인 실시형태는 각자 독립적으로 구현될 수 있고, 상호 결합되여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제시된 기술방안에 의해,
에너지 절감 신호는 데이터의 도달을 지시하고, 또한 다운링크 제어 채널과 관련된 정보를 캐리하며, 집합 등급과 candidates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또한, 해당 신호는 발견 신호일 수 있고, on-demand RS일 수도 있으며, 다운링크 제어 채널 이전에 WUS의 일부로서 전송될 수 있으며, 또한 connected mode의 하나의 WUS의 구조 방법으로 될 수 있으며, 예컨대 에너지 절감 신호는 WUS로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통해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도달 타이밍을 판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또한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블라인드 검출 복잡도를 대폭 낮출 수 있는 것을 구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단말은 전력 절감 신호 검출을 수행하고,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적어도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검출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를 검출하였을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검출 정보에 따라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출한다. 따라서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를 통해 다운링크 제어 채널 검출을 트리거하는 것을 구현할 수 있고, 또한 에너지 절감 신호가 지시한 검출 정보를 통해 직접 검출할 수 있어 단말의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다운링크 제어 채널 검출 방법의 흐름도이며, 도 5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계 501, 네트워크측 기기가 에너지 절감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적어도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검출 정보를 지시하여, 단말이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를 검출하였을 경우 상기 검출 정보에 따라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또한 데이터의 도달 및 상기 검출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검출 정보는,
AL 및/또는 candidate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타깃 시퀀스, 제1 시퀀스의 입력 파라미터 및 제2 시퀀스의 순환 쉬프트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상기 검출 정보를 지시하고, 상기 타깃 시퀀스는 제3 시퀀스의 함수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시퀀스는 PN 시퀀스, 직교 시퀀스, 또는 CAZAC 시퀀스를 포함하고; 및/또는
상기 제2 시퀀스는 직교 시퀀스, CAZAC 시퀀스 또는 PN 시퀀스을 포함하고; 및/또는
상기 제3 시퀀스는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복조 참조 신호 (DMRS) 시퀀스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검출 정보는 AL을 포함하고,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상기 AL 및 데이터의 도달을 지시하기 위한 상기 타깃 시퀀스를 포함하며; 또는
상기 검출 정보는 AL을 포함하고,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상기 AL을 지시하기 위한 상기 제2 시퀀스의 순환 시프트 값을 포함하며; 또는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제1 시퀀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시퀀스의 초기 값은 단말의 단말 식별자이며, 상기 제1 시퀀스의 입력 파라미터는 상기 검출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발견 신호, 발견 신호의 신호 서브세트 또는 On-demand RS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적어도 제1 신호 서브세트 및 제2 신호 서브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신호 서브세트는 상기 제2 신호 서브세트 이전에 위치하여 있으며, 상기 제2 신호 서브세트는 적어도 상기 검출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 서브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검출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신호 서브세트는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과 주파수 분할 멀티플레싱 되며, 또는 상기 검출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신호 서브세트는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 이전에 전송된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실시예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 중 대응하는 네트워크측 기기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이고, 이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는 도 2에 되시된 실시예의 관련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며, 중복을 피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 더 이상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고, 또한 동일한 유익한 효과에 도달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조도이며, 도 6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말(600)은,
에너지 절감 신호 검출을 수행하기 위한 제1 검출 모듈(601)로서,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적어도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검출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인, 제1 검출 모듈(601); 및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를 검출하였을 경우, 상기 검출 정보에 따라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출하기 위한 제2 검출 모듈(602)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데이터의 도달 및 상기 검출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검출 정보는,
AL 및/또는 candidate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타깃 시퀀스, 제1 시퀀스의 입력 파라미터 및 제2 시퀀스의 순환 쉬프트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상기 검출 정보를 지시하고, 상기 타깃 시퀀스는 제3 시퀀스의 함수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시퀀스는 PN 시퀀스, 직교 시퀀스, 또는 CAZAC 시퀀스를 포함하고; 및/또는
상기 제2 시퀀스는 직교 시퀀스, CAZAC 시퀀스 또는 PN 시퀀스을 포함하고; 및/또는
상기 제3 시퀀스는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복조 참조 신호 (DMRS) 시퀀스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검출 정보는 AL을 포함하고,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상기 AL 및 데이터의 도달을 지시하기 위한 상기 타깃 시퀀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검출 모듈(601)은 복수 개의 AL의 DMRS에 대응하는 시퀀스을 사용하여 상기 타깃 시퀀스에 대해 관련 피크 검출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복수 개의 AL 중 최대 관련 피크에 대응하는 AL을 상기 타깃 시퀀스가 지시하는 AL로 하며, 여기서 상기 최대 관련 피크는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크다.
선택적으로, 상기 검출 정보는 AL을 포함하고,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상기 AL을 지시하기 위한 상기 제2 시퀀스의 순환 시프트 값을 포함하며; 또는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제1 시퀀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시퀀스의 초기 값은 상기 단말의 단말 식별자이며, 상기 제1 시퀀스의 입력 파라미터는 상기 검출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발견 신호, 발견 신호의 신호 서브세트 또는 필요에 따른 참조 신호(On-demand RS)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적어도 제1 신호 서브세트 및 제2 신호 서브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신호 서브세트는 상기 제2 신호 서브세트 이전에 위치하여 있으며, 상기 제2 신호 서브세트는 적어도 상기 검출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제2 검출 모듈(602)은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신호 서브세트를 수신할 경우, 전력 램핑을 개시하기 위한 것이고; 또한 상기 단말이 상기 제2 신호 서브세트를 수신할 경우, 상기 검출 정보에 따라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 서브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검출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신호 서브세트는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과 주파수 분할 멀티플레싱 되며, 또는 상기 검출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신호 서브세트는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 이전에 전송된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600)은 본 개시의 실시예 중의 방법 실시예 중 임의의 실시형태의 단말일 수 있고, 본 개시의 실시예 중의 방법 실시예 중 단말의 임의의 실시형태는 모두 상기 단말(600)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동일한 유익한 효과에 도달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측 기기이며, 도 7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네트워크측 기기(700)는,
에너지 절감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모듈(700)을 포함하며,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적어도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검출 정보를 지시하여, 단말이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를 검출하였을 경우, 상기 검출 정보에 따라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데이터의 도달 및 상기 검출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검출 정보는,
AL 및/또는 candidate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타깃 시퀀스, 제1 시퀀스의 입력 파라미터 및 제2 시퀀스의 순환 쉬프트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상기 검출 정보를 지시하고, 상기 타깃 시퀀스는 제3 시퀀스의 함수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시퀀스는 PN 시퀀스, 직교 시퀀스, 또는 CAZAC 시퀀스를 포함하고; 및/또는
상기 제2 시퀀스는 직교 시퀀스, CAZAC 시퀀스 또는 PN 시퀀스을 포함하고; 및/또는
상기 제3 시퀀스는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복조 참조 신호 (DMRS) 시퀀스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검출 정보는 AL을 포함하고,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상기 AL 및 데이터의 도달을 지시하기 위한 상기 타깃 시퀀스를 포함하며; 또는
상기 검출 정보는 AL을 포함하고,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상기 AL을 지시하기 위한 상기 제2 시퀀스의 순환 시프트 값을 포함하며; 또는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제1 시퀀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시퀀스의 초기 값은 단말의 단말 식별자이며, 상기 제1 시퀀스의 입력 파라미터는 상기 검출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발견 신호, 발견 신호의 신호 서브세트 또는 On-demand RS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적어도 제1 신호 서브세트 및 제2 신호 서브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신호 서브세트는 상기 제2 신호 서브세트 이전에 위치하여 있으며, 상기 제2 신호 서브세트는 적어도 상기 검출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 서브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검출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신호 서브세트는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과 주파수 분할 멀티플레싱 되며, 또는 상기 검출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신호 서브세트는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 이전에 전송된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실시예에서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700)는 본 개시의 실시예 중의 방법 실시예 중 임의의 실시형태의 네트워크측 기기일수 있고, 본 개시의 실시예 중의 방법 실시예 중 네트워크측 기기의 임의의 실시형태는 모두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700)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동일한 유익한 효과에 도달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도 8을 참조하면,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단말의 구조도이며, 도 8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해당 단말은 송수신기(810), 메모리(820), 프로세서(800) 및 상기 메모리(820)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1200)에서 실행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여기서;
송수신기(810)는 에너지 절감 신호 검출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적어도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검출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를 검출하였을 경우, 상기 검출 정보에 따라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출한다.
여기서, 송수신기(810)는 프로세서(800)의 제어 하에서 데이터를 수신 및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도 8에 있어서, 버스 아키텍처는 임의의 수의 상호 연결된 버스와 브리지를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프로세서(800)로 표시된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및 메모리(820)로 표시된 메모리를 포함하는 다양한 회로 체인을 함께 연결한다. 버스 아키텍처는 또한 주변 기기, 레귤레이터 및 전력 관리 회로 등과 같은 기타 다양한 회로들을 함께 연결할 수 있다는 것은 해당 기술분야에 잘 알려져 있기에, 따라서 이에 대해 진일보 설명하지 않는다. 버스 인터페이스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송수신기(810)는 송신기 및 수신기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요소일 수도 있으며, 전송 매체 상에서 다양한 기타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800)는 버스 아키텍처 및 일반적인 처리를 책임지고 관리하며, 메모리(820)는 프로세서(800)가 동작을 수행할 때 사용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메모리(820)는 단말에서만 한정되지 않으며, 메모리(820)와 프로세서(800)를 부동한 지리적 위치에 분리되여 위치하게 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에너지 절감 정보는 데이터의 도달 및 상기 검출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검출 정보는,
집합 등급 (AL) 및/또는 후보 candidate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타깃 시퀀스, 제1 시퀀스의 입력 파라미터 및 제2 시퀀스의 순환 쉬프트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상기 검출 정보를 지시하고, 상기 타깃 시퀀스는 제3 시퀀스의 함수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시퀀스는 PN 시퀀스, 직교 시퀀스, 또는 CAZAC 시퀀스를 포함하고; 및/또는
상기 제2 시퀀스는 직교 시퀀스, CAZAC 시퀀스 또는 PN 시퀀스을 포함하고; 및/또는
상기 제3 시퀀스는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복조 참조 신호 (DMRS) 시퀀스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검출 정보는 AL을 포함하고,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상기 AL 및 데이터의 도달을 지시하기 위한 상기 타깃 시퀀스를 포함하며;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 검출을 수행하는 것은,
복수 개의 AL의 DMRS에 대응하는 시퀀스을 사용하여 상기 타깃 시퀀스에 대해 관련 피크 검출을 수행하고, 상기 복수 개의 AL 중 최대 관련 피크에 대응하는 AL을 상기 타깃 시퀀스가 지시하는 AL로 하며, 여기서 상기 최대 관련 피크는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큰 것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검출 정보는 AL을 포함하고,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상기 AL을 지시하기 위한 상기 제2 시퀀스의 순환 시프트 값을 포함하며; 또는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제1 시퀀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시퀀스의 초기 값은 단말의 단말 식별자이며, 상기 제1 시퀀스의 입력 파라미터는 상기 검출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발견 신호, 발견 신호의 신호 서브세트 또는 필요에 따른 참조 신호(On-demand RS)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적어도 제1 신호 서브세트 및 제2 신호 서브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신호 서브세트는 상기 제2 신호 서브세트 이전에 위치하여 있으며, 상기 제2 신호 서브세트는 적어도 상기 검출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를 검출하였을 경우, 상기 검출 정보에 따라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출하는 것은,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신호 서브세트를 수신할 경우, 상기 단말은 전력 램핑을 개시하고;
상기 단말이 상기 제2 신호 서브세트를 수신할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검출 정보에 따라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출하는 것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 서브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검출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신호 서브세트는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과 주파수 분할 멀티플레싱 되고, 또는 상기 검출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신호 서브세트는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 이전에 전송된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실시예 중의 상기 단말은 본 개시의 실시예 중의 방법 실시예 중 임의의 실시형태의 단말일 수 있고, 본 개시의 실시예 중의 방법 실시예 중의 단말의 임이의 실시형태는 모두 본 실시예 중의 상기 단말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동일한 유익한 효과에 도달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도 9를 참조하면, 도 9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네트워크측 기기의 구조도이며, 도 9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해당 네트워크측 기기는 송수신기(910), 메모리(920), 프로세서(900) 및 상기 메모리(920)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여기서;
송수신기(910)는 에너지 절감 신호 검출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적어도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검출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단말이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를 검출하였을 경우, 상기 검출 정보에 따라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출한다.
여기서, 송수신기(910)는 프로세서(900)의 제어 하에서 데이터를 수신 및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도 9에 있어서, 버스 아키텍처는 임의의 수의 상호 연결된 버스와 브리지를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프로세서(900)로 표시된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및 메모리(920)로 표시된 메모리를 포함하는 다양한 회로 체인을 함께 연결한다. 버스 아키텍처는 또한 주변 기기, 레귤레이터 및 전력 관리 회로 등과 같은 기타 다양한 회로들을 함께 연결할 수 있다는 것은 해당 기술분야에 잘 알려져 있기에, 따라서 이에 대해 진일보 설명하지 않는다. 버스 인터페이스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송수신기(910)는 송신기 및 수신기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요소일 수 있으며, 전송 매체 상에서 다양한 기타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900)는 버스 아키텍처 및 일반적인 처리를 책임지고 관리하며, 메모리(920)는 프로세서(900)가 동작을 수행할 때 사용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메모리(920)는 네트워크측 기기에서만 한정되지 않으며, 메모리(920)와 프로세서(900)를 부동한 지리적 위치에 분리되여 위치하게 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데이터의 도달 및 상기 검출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검출 정보는,
AL 및/또는 candidate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타깃 시퀀스, 제1 시퀀스의 입력 파라미터 및 제2 시퀀스의 순환 쉬프트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상기 검출 정보를 지시하고, 상기 타깃 시퀀스는 제3 시퀀스의 함수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시퀀스는 PN 시퀀스, 직교 시퀀스, 또는 CAZAC 시퀀스를 포함하고; 및/또는
상기 제2 시퀀스는 직교 시퀀스, CAZAC 시퀀스 또는 PN 시퀀스을 포함하고; 및/또는
상기 제3 시퀀스는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복조 참조 신호 (DMRS) 시퀀스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검출 정보는 AL을 포함하고,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상기 AL 및 데이터의 도달을 지시하기 위한 상기 타깃 시퀀스를 포함하며; 또는
상기 검출 정보는 AL을 포함하고,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상기 AL을 지시하기 위한 상기 제2 시퀀스의 순환 시프트 값을 포함하며; 또는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제1 시퀀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시퀀스의 초기 값은 단말의 단말 식별자이며, 상기 제1 시퀀스의 입력 파라미터는 상기 검출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발견 신호, 발견 신호의 신호 서브세트 또는 On-demand RS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적어도 제1 신호 서브세트 및 제2 신호 서브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신호 서브세트는 상기 제2 신호 서브세트 이전에 위치하여 있으며, 상기 제2 신호 서브세트는 적어도 상기 검출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 서브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검출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신호 서브세트는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과 주파수 분할 멀티플레싱 되며, 또는 상기 검출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신호 서브세트는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 이전에 전송된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실시예에서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는 본 개시의 실시예 중의 방법 실시예 중 임의의 실시형태의 네트워크측 기기일수 있고, 본 개시의 실시예 중의 방법 실시예 중 네트워크측 기기의 임의의 실시형태는 모두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동일한 유익한 효과에 도달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하며,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해당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측의 다운링크 제어 채널 검출 방법 중의 단계를 구현하며, 또는 해당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측 기기의 다운링크 제어 채널 검출 방법 중의 단계를 구현한다.
본 출원이 제공한 여러가지 실시예에서, 개시된 방법 및 장치는 다른 방식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상기 기술한 장치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고, 예컨대, 상기 유닛의 분할은 단지 하나의 논리 기능 분할일 뿐이며, 실제로 구현될 때 다른 분할 방식이 있을 수 있으며, 예컨대 복수 개의 유닛 또는 조립체는 결부되거나 다른 시스템에 통합될 수 있고, 또는 일부 특징들은 무시되거나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추가로, 디스플레이되거나 논의된 서로 사이에서 커플링된 또는 직접 커플링된 또는 통신 접속은 전자적, 기계학적 또는 다른 형태일 수 있는 일부 인터페이스, 장치 또는 유닛에 의한 간접 커플링 또는 통신 접속일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 중 각각의 기능 유닛은 하나의 처리 유닛에 통합될 수도 있고, 각각의 유닛은 단독적으로 물리적으로 포괄될 수도 있으며, 두개 혹은 두개 이상의 유닛들이 하나의 유닛으로 통합될 수도 있다. 상기 통합된 유닛들은 하드웨어 및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태로 구현된 통합된 유닛은,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은 하나의 저장 매체에 저장되고, 몇몇 명령들을 포함하여 하나의 컴퓨터 장치(개인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기기 등일 수 있음)가 본 개시의 각각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정보 데이터 블록의 처리 방법의 부분 단계를 수행하도록 한다. 전술한 메모리 매체는 U 디스크, 가동 하드 디스크, 판독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의 각종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매체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는 본 개시의 대안의 실시형태이고,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개시의 원리를 벗어나지 않는 전제하에서 여러가지 개선과 윤색을 진행할수 있으며, 이러한 개선 또는 윤색은 모두 본 개시의 보호 범위에 포함되어야 한다.

Claims (47)

  1. 다운링크 제어 채널 검출 방법에 있어서,
    단말이 에너지 절감 신호 검출을 수행하는 단계 -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적어도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검출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 -; 및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를 검출하였을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검출 정보에 따라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링크 제어 채널 검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또한 데이터의 도달을 지시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링크 제어 채널 검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정보는,
    집합 등급(AL) 및/또는 후보(candidate)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링크 제어 채널 검출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타깃 시퀀스, 제1 시퀀스의 입력 파라미터 및 제2 시퀀스의 순환 쉬프트 값 - 상기 타깃 시퀀스는 제3 시퀀스의 함수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링크 제어 채널 검출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퀀스는 의사 잡음(PN) 시퀀스, 직교 시퀀스, 또는 상수 포락선 제로 자기 상관(CAZAC) 시퀀스를 포함하고; 및/또는
    상기 제2 시퀀스는 직교 시퀀스, CAZAC 시퀀스 또는 PN 시퀀스을 포함하며; 및/또는
    상기 제3 시퀀스는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복조 참조 신호 (DMRS) 시퀀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링크 제어 채널 검출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정보는 AL을 포함하고,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상기 AL 및 데이터의 도달을 지시하기 위한 상기 타깃 시퀀스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이 에너지 절감 신호 검출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은 복수 개의 AL의 DMRS에 대응하는 시퀀스를 사용하여 상기 타깃 시퀀스에 대해 관련 피크 검출을 수행하고, 상기 복수 개의 AL 중 최대 관련 피크에 대응하는 AL을 상기 타깃 시퀀스가 지시하는 AL로 하며, 여기서 상기 최대 관련 피크는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링크 제어 채널 검출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정보는 AL을 포함하고,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상기 AL을 지시하기 위한 상기 제2 시퀀스의 순환 시프트 값을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제1 시퀀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시퀀스의 초기 값은 상기 단말의 단말 식별자이며, 상기 제1 시퀀스의 입력 파라미터는 상기 검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링크 제어 채널 검출 방법.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임의의 한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발견 신호, 발견 신호의 신호 서브세트 또는 필요에 따른 참조 신호(On-demand RS)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링크 제어 채널 검출 방법.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적어도 제1 신호 서브세트 및 제2 신호 서브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신호 서브세트는 상기 제2 신호 서브세트 이전에 위치하여 있으며, 상기 제2 신호 서브세트는 적어도 상기 검출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를 검출하였을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검출 정보에 따라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신호 서브세트를 수신할 경우, 상기 단말은 전력 램핑을 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이 상기 제2 신호 서브세트를 수신할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검출 정보에 따라,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링크 제어 채널 검출 방법.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 서브세트를 포함하며, 상기 검출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신호 서브세트는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과 주파수 분할 멀티플레싱 되고, 또는 상기 검출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신호 서브세트는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 이전에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링크 제어 채널 검출 방법.
  11. 다운링크 제어 채널 검출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 측 기기가 에너지 절감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그중,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적어도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검출 정보를 지시하여, 단말이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를 검출하였을 경우, 상기 검출 정보에 따라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출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링크 제어 채널 검출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또한 데이터의 도달을 지시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링크 제어 채널 검출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정보는,
    AL 및/또는 candidate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링크 제어 채널 검출 방법.
  14.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타깃 시퀀스, 제1 시퀀스의 입력 파라미터 및 제2 시퀀스의 순환 쉬프트 값 - 상기 타깃 시퀀스는 제3 시퀀스의 함수임 -;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링크 제어 채널 검출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퀀스는 PN 시퀀스, 직교 시퀀스, 또는 CAZAC 시퀀스를 포함하고; 및/또는
    상기 제2 시퀀스는 직교 시퀀스, CAZAC 시퀀스 또는 PN 시퀀스을 포함하며; 및/또는
    상기 제3 시퀀스는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복조 참조 신호(DMRS) 시퀀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링크 제어 채널 검출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정보는 AL을 포함하고,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상기 AL 및 데이터의 도달을 지시하기 위한 상기 타깃 시퀀스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검출 정보는 AL을 포함하고,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상기 AL을 지시하기 위한 상기 제2 시퀀스의 순환 시프트 값을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상기 제1 시퀀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시퀀스의 초기 값은 상기 단말의 단말 식별자이며, 상기 제1 시퀀스의 입력 파라미터는 상기 검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링크 제어 채널 검출 방법.
  17.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발견 신호, 발견 신호의 신호 서브세트 또는 On-demand RS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링크 제어 채널 검출 방법.
  18.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적어도 제1 신호 서브세트 및 제2 신호 서브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신호 서브세트는 상기 제2 신호 서브세트 이전에 위치하여 있으며, 상기 제2 신호 서브세트는 적어도 상기 검출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링크 제어 채널 검출 방법.
  19.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 서브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검출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신호 서브세트는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과 주파수 분할 멀티플레싱 되며, 또는 상기 검출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신호 서브세트는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 이전에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링크 제어 채널 검출 방법.
  20. 단말에 있어서,
    에너지 절감 신호 검출을 수행하기 위한 제1 검출 모듈 -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적어도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검출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 -; 및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를 검출하였을 경우, 상기 검출 정보에 따라,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출하기 위한 제2 검출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정보는,
    집합 등급(AL) 및/또는 후보(candidate)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2.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타깃 시퀀스, 제1 시퀀스의 입력 파라미터 및 제2 시퀀스의 순환 쉬프트 값 - 상기 타깃 시퀀스는 제3 시퀀스의 함수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3.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발견 신호, 발견 신호의 신호 서브세트 또는 필요에 따른 참조 신호(On-demand RS)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4. 네트워크측 기기에 있어서,
    에너지 절감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모듈을 포함하며,
    그 중,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적어도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검출 정보를 지시하여, 단말이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를 검출하였을 경우, 상기 검출 정보에 따라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출하도록 하기 위한 것인 네트워크측 기기.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정보는,
    AL 및/또는 candidate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측 기기.
  26. 제24항 또는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타깃 시퀀스, 제1 시퀀스의 입력 파라미터 및 제2 시퀀스의 순환 쉬프트 값 - 상기 타깃 시퀀스는 제3 시퀀스의 함수임 -;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측 기기.
  27. 제24항 또는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발견 신호, 발견 신호의 신호 서브세트 또는 On-demand RS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측 기기.
  28. 단말에 있어서,
    송수신기, 메모리, 프로세서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가능한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상기 송수신기는 에너지 절감 신호 검출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적어도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검출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를 검출하였을 경우, 상기 검출 정보에 따라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또한 데이터의 도달을 지시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30.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정보는,
    집합 등급(AL) 및/또는 후보(candidate)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31. 제28항 내지 제30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타깃 시퀀스, 제1 시퀀스의 입력 파라미터 및 제2 시퀀스의 순환 쉬프트 값 - 상기 타깃 시퀀스는 제3 시퀀스의 함수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퀀스는 의사 잡음(PN) 시퀀스, 직교 시퀀스, 또는 CAZAC 시퀀스를 포함하고; 및/또는
    상기 제2 시퀀스는 직교 시퀀스, CAZAC 시퀀스 또는 PN 시퀀스을 포함하며; 및/또는
    상기 제3 시퀀스는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복조 참조 신호 (DMRS) 시퀀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33.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정보는 AL을 포함하고,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상기 AL 및 데이터의 도달을 지시하기 위한 상기 타깃 시퀀스를 포함하며;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 검출을 수행하는 것은,
    복수 개의 AL의 DMRS에 대응하는 시퀀스을 이용하여 상기 타깃 시퀀스에 대해 관련 피크 검출을 수행하고, 상기 복수 개의 AL 중 최대 관련 피크에 대응하는 AL을 상기 타깃 시퀀스가 지시하는 AL로 하며, 여기서 상기 최대 관련 피크는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큰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34.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정보는 AL을 포함하고,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상기 AL을 지시하기 위한 상기 제2 시퀀스의 순환 시프트 값을 포함하며; 또는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제1 시퀀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시퀀스의 초기 값은 상기 단말의 단말 식별자이며, 상기 제1 시퀀스의 입력 파라미터는 상기 검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35. 제28항 내지 제30항 중 임의의 한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발견 신호, 발견 신호의 신호 서브세트 또는 필요에 따른 참조 신호(On-demand RS)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36. 제28항 내지 제30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적어도 제1 신호 서브세트 및 제2 신호 서브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신호 서브세트는 상기 제2 신호 서브세트 이전에 위치하여 있으며, 상기 제2 신호 서브세트는 적어도 상기 검출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를 검출하였을 경우, 상기 검출 정보에 따라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출하는 것은,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신호 서브세트를 수신할 경우 전력 램핑을 개시하며; 및
    상기 단말이 상기 제2 신호 서브세트를 수신할 경우, 상기 검출 정보에 따라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37. 제28항 내지 제30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 서브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검출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신호 서브세트는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과 주파수 분할 멀티플레싱 되며, 또는 상기 검출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신호 서브세트는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 이전에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38. 네트워크측 기기에 있어서,
    송수신기, 메모리, 프로세서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가능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송수신기는 에너지 절감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며, 그중,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검출 정보를 지시하여, 단말이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를 검출하였을 경우, 상기 검출 정보에 따라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출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을 하는 네트워크측 기기.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또한 데이터의 도달을 지시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측 기기.
  40.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정보는,
    집합 등급(AL) 및/또는 후보(candidate)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측 기기.
  41. 제38항 내지 제40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타깃 시퀀스, 제1 시퀀스의 입력 파라미터 및 제2 시퀀스의 순환 쉬프트 값 - 상기 타깃 시퀀스는 제3 시퀀스의 함수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측 기기.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퀀스는 PN 시퀀스, 직교 시퀀스, 또는 CAZAC 시퀀스를 포함하고; 및/또는
    상기 제2 시퀀스는 직교 시퀀스, CAZAC 시퀀스 또는 PN 시퀀스을 포함하며; 및/또는
    상기 제3 시퀀스는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복조 참조 신호 (DMRS) 시퀀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측 기기.
  43.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정보는 AL을 포함하고,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상기 AL 및 데이터의 도달을 지시하기 위한 상기 타겟 시퀀스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검출 정보는 AL을 포함하고,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상기 AL을 지시하기 위한 상기 제2 시퀀스의 순환 시프트 값을 포함하며; 또는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상기 제1 시퀀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시퀀스의 초기 값은 상기 단말의 단말 식별자이며, 상기 제1 시퀀스의 입력 파라미터는 상기 검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측 기기.
  44. 제38항 내지 제40항 중 임의의 한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발견 신호, 발견 신호의 신호 서브세트 또는 On-demand RS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측 기기.
  45. 제38항 내지 제40항 중 임의의 한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적어도 제1 신호 서브세트 및 제2 신호 서브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신호 서브세트는 상기 제2 신호 서브세트 이전에 위치하여 있으며, 상기 제2 신호 서브세트는 적어도 상기 검출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측 기기.
  46. 제38항 내지 제40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 서브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검출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신호 서브세트는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과 주파수 분할 멀티플레싱 되며, 또는 상기 검출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신호 서브세트는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 이전에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측 기기.
  47.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는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해당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청구항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임의의 한 항에 따른 다운링크 제어 채널 검출 방법에서의 단계를 구현하며, 또는 해당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청구항 제11항 내지 제19항 중 임의의 한 항에 따른 다운링크 제어 채널 검출 방법에서의 단계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KR1020217000663A 2018-06-11 2019-04-22 다운링크 제어 채널 검출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측 기기 KR1025147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0596638 2018-06-11
CN201810596638.4 2018-06-11
PCT/CN2019/083622 WO2019237831A1 (zh) 2018-06-11 2019-04-22 下行控制信道检测方法、终端和网络侧设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0940A true KR20210010940A (ko) 2021-01-28
KR102514786B1 KR102514786B1 (ko) 2023-03-29

Family

ID=68810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0663A KR102514786B1 (ko) 2018-06-11 2019-04-22 다운링크 제어 채널 검출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측 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10258925A1 (ko)
EP (1) EP3813288A4 (ko)
JP (1) JP7267310B2 (ko)
KR (1) KR102514786B1 (ko)
CN (1) CN110581755B (ko)
WO (1) WO20192378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71217B2 (en) * 2020-10-09 2023-06-0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eference signaling for wireless communication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478808B (zh) * 2009-01-21 2014-03-1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下行控制信息的发送及检测方法
CN102036346B (zh) * 2009-09-30 2015-06-0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调度信息传输的方法及系统
WO2012149319A1 (en) * 2011-04-29 2012-11-01 Research In Motion Limited Receiving messages in connection with lte wakeup
EP2621242A1 (en) 2012-01-26 2013-07-31 Panasonic Corporation Improved discontinuous reception operation with additional wake up opportunities
CN105634678B (zh) * 2012-10-25 2019-04-0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漏检控制信道的修复方法和装置
US9801232B2 (en) * 2013-04-15 2017-10-24 Idac Holdings, Inc. Discontinuous reception (DRX) schemes for millimeter wavelength (MMW) dual connectivity
CN104869578A (zh) * 2014-02-26 2015-08-26 中国电信股份有限公司 物理下行控制信道盲检测方法、装置和用户设备
CN103889039B (zh) * 2014-04-18 2017-05-10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基于非连续接收功能的省电方法及设备
US9883480B2 (en) * 2014-07-11 2018-01-30 Apple Inc. Enhanced paging schemes and connected-state DRX
US10412651B2 (en) * 2014-08-28 2019-09-10 Apple Inc. User equipment triggered handover with long connected-discontinuous-reception cycle in connected mode
US10039148B2 (en) * 2014-12-12 2018-07-31 Apple Inc. Application-aware multiple wireless radio-access technology coexistence solution and time sharing between multiple radio-access technologies for in-device coexistence
JP2018506246A (ja) * 2015-01-12 2018-03-01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端末の端末能力情報送信方法及び装置
CN106358309B (zh) * 2015-07-15 2020-01-14 苹果公司 基于VoLTE流量的预先调度的上行链路授权方法及装置
JP6975774B2 (ja) * 2016-08-11 2021-12-01 ダータン モバイル 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エクイップメント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オンデマンドモバイルデバイススアクセス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10219312B2 (en) * 2016-11-04 2019-02-26 Qualcomm Incorporated Wakeup techniques for improved connected mode discontinuous reception
US11564170B2 (en) * 2017-05-04 2023-01-24 Ipla Holdings Inc. Wake up signals operation
US10588171B2 (en) * 2017-05-12 2020-03-10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multi-state DRX in new radio
US10904845B2 (en) * 2017-05-15 2021-01-26 Qualcomm Incorporated Synchronization channel for a wake-up receiver (WUR) in a communication device
US10841876B2 (en) * 2017-05-15 2020-11-17 Qualcomm Incorporated Wake-up signal (WUS) and wake-up receiver (WUR) in a communication device
CN109286968B (zh) * 2017-07-20 2020-07-2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盲检测参数获取方法、相关设备及系统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712393* *
3GPP R1-1713014* *
3GPP R1-1717274*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13288A1 (en) 2021-04-28
CN110581755B (zh) 2022-07-26
KR102514786B1 (ko) 2023-03-29
JP7267310B2 (ja) 2023-05-01
EP3813288A4 (en) 2021-07-28
CN110581755A (zh) 2019-12-17
WO2019237831A1 (zh) 2019-12-19
JP2021526761A (ja) 2021-10-07
US20210258925A1 (en) 2021-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30634B2 (en) Method for sending random access preamble, method for receiving random access preamble, and apparatus
JP5809660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制御方法
WO2020038331A1 (zh) 确定上行资源的方法与装置
WO2020029849A1 (zh) 随机接入方法、通信装置、芯片及存储介质
CN108810934B (zh) 发送、接收公共控制信息的方法、基站、终端及存储介质
US10819546B2 (en) Configuration method for physical channel, base station and user equipment
KR102375226B1 (ko) Pdcch 블라인드 검출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측 기기
WO2022017142A1 (zh) 数据传输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JP2022520942A (ja) 電力効率の高いページング拡大のための無線通信デバイス、無線アクセスネットワークノード、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09041198B (zh) 一种通信方法及装置
KR102514786B1 (ko) 다운링크 제어 채널 검출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측 기기
KR20220068261A (ko) 채널 전송 방법 및 통신 기기
US20230152412A1 (en) Positioning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and device
CN116074885A (zh) 感知方法、装置及通信设备
CN112822788A (zh) 随机接入、接入控制方法、终端、接入点及存储介质
CN107615829B (zh) 寻呼方法、同步方法与用户设备
WO2023186157A1 (zh) 随机接入资源配置方法、装置、终端及网络侧设备
WO2023133890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prach repetition
WO2024093913A1 (zh) Wus传输方法、装置、用户设备及存储介质
WO2023138510A1 (zh) 配置确定方法、装置、终端及网络侧设备
WO2023083304A1 (zh) 随机接入的方法、终端及网络侧设备
WO2023201720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prach repetition
WO2023197120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sidelink beam management
WO2022171078A1 (zh) 盲检测、信息发送方法、装置、通信设备及可读存储介质
WO2024060311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resource allocation in unlicensed spectr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