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0851A - 세션 처리 방법, 장치 및 컴퓨터 기억 매체 - Google Patents

세션 처리 방법, 장치 및 컴퓨터 기억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0851A
KR20210010851A KR1020207030374A KR20207030374A KR20210010851A KR 20210010851 A KR20210010851 A KR 20210010851A KR 1020207030374 A KR1020207030374 A KR 1020207030374A KR 20207030374 A KR20207030374 A KR 20207030374A KR 20210010851 A KR20210010851 A KR 202100108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session
core network
sequence number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0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엔화 리우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10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08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6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 H04W36/18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for allowing seamless reselection, e.g. soft re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2Buffering or recovering information during reselection ; Modification of the traffic flow during hand-of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26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agreed or negotiated communication parameters
    • H04W36/28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agreed or negotiated communication parameters involving a plurality of connections, e.g. multi-call or multi-bearer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34Reselection control
    • H04W36/38Reselection control by fixed network equipment
    • H04W36/385Reselection control by fixed network equipment of the cor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69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in case of dual connectivity, e.g. decoupled uplink/down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2Buffering or recovering information during reselection ; Modification of the traffic flow during hand-off
    • H04W36/026Multicasting of data during hand-of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6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 H04W36/18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for allowing seamless reselection, e.g. soft reselection
    • H04W36/185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for allowing seamless reselection, e.g. soft reselection using make before brea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션 처리 방법, 장치 및 컴퓨터 기억 매체를 개시하고, 상기 방법은, PDU 세션 및 PDU 세션의 데이터 스트림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제 1 유형의 전송 과정 및 제 1 유형의 전환 과정 중 적어도 하나를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 1 유형의 전송은 네트워크 측과 단말기 측이 복수의 경로를 통해 데이터 패킷에 대해 데이터 복제형 전송을 진행하는 것, 및 데이터 패킷에 대해 제 1 우선 순위를 전송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우선 순위의 전송은 전송하는 데이터 스트림이 지정한 한 그룹의 QoS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것을 지칭하고, 여기서, 상기 제 1 유형의 전환 과정은 에어 인터페이스 데이터 무선 베어러가 제 1 기지국으로부터 제 2 기지국으로 전환하기 전에, 제 2 코어 네트워크 요소는 상기 제 1 기지국과의 제 1 경로의 확립 및 상기 제 2 기지국과의 제 2 경로의 확립을 완료하고, 상기 에어 인터페이스 데이터 무선 베어러가 상기 제 1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 2 기지국으로 전환한 후에, 상기 제 2 코어 네트워크 요소는 상기 제 1 기지국과 제 1 경로를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세션 처리 방법, 장치 및 컴퓨터 기억 매체
본 발명은 무선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세션 처리 방법, 장치 및 컴퓨터 기억 매체에 관한 것이다.
현재 동일한 코어 네트워크에서 기지국 사이의 전환에 의해 데이터 전송의 짧은 중단이 초래되고, 현재의 전환 프로세스는 도 1, 도 2(a),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고, 여기서, 도 1은 Xn 인터페이스에 기반한 전환 프로세스이며, 도 2(a)는 N2 인터페이스에 기반한 전환 준비 프로세스이며, 도 2(b)는 N2 인터페이스에 기반한 전환 수행 프로세스이다. 기지국 사이의 전환 과정에서, 데이터 전송의 짧은 중단이 초래되는 주요한 요인은, 단말기가 항상 싱글 라디오(Single Radio) 상태에 있고, 새로운 세션(타겟 기지국 측의 세션) 확립이 완료되기 전에, 이전 세션(소스 기지국 측의 세션)을 반드시 절단하여야 하며, 에어 인터페이스 측의 싱글 라디오 전환에 의한 지연 및 중단이 불가피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세션 처리 방법, 장치 및 컴퓨터 기억 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세션 처리 방법은,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U, Protocol Data Unit) 세션 및 PDU 세션의 데이터 스트림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제 1 유형의 전송 과정 및 제 1 유형의 전환 과정 중 적어도 하나를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 1 유형 전송은 네트워크 측과 단말기 측이 복수의 경로를 통해 데이터 패킷에 대해 데이터 복제형 전송을 진행하는 것, 및 데이터 패킷에 대해 제 1 우선 순위를 전송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우선 순위의 전송은 전송하는 데이터 스트림이 한 그룹의 지정한 서비스 품질(QoS, Quality of Service) 파라미터에 대응하고,
여기서, 상기 제 1 유형의 전환 과정은 에어 인터페이스 데이터 무선 베어러가 제 1 기지국으로부터 제 2 기지국으로 전환하기 전에, 제 2 코어 네트워크 요소는 상기 제 1 기지국과의 제 1 경로의 확립 및 상기 제 2 기지국과의 제 2 경로의 확립을 완료하고, 상기 에어 인터페이스 데이터 무선 베어러가 상기 제 1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 2 기지국으로 전환한 후에, 상기 제 2 코어 네트워크 요소는 상기 제 1 기지국과의 제 1 경로를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세션 처리 장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제어 유닛은 PDU 세션 및 PDU 세션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해 제 1 유형의 전송 과정 및 제 1 유형의 전환 과정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 제 1 유형의 전송은 네트워크 측과 단말기 측이 복수의 경로를 통해 데이터 패킷에 대해 데이터 복제형 전송을 진행하는 것, 및 데이터 패킷에 대해 제 1 우선 순위를 전송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우선 순위의 전송은 전송하는 데이터 스트림이 지정한 한 그룹의 QoS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것을 지칭하고,
여기서, 상기 제 1 유형의 전환 과정은 에어 인터페이스 데이터 무선 베어러가 제 1 기지국으로부터 제 2 기지국으로 전환하기 전에, 제 2 코어 네트워크 요소는 상기 제 1 기지국과의 제 1 경로의 확립 및 상기 제 2 기지국과의 제 2 경로의 확립을 완료하고, 상기 에어 인터페이스 데이터 무선 베어러가 상기 제 1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 2 기지국으로 전환한 후에, 상기 제 2 코어 네트워크 요소는 상기 제 1 기지국과의 제 1 경로를 해제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때, 상술한 세션 처리 방법을 구현하는 컴퓨터 수행 가능한 명령어를 기억하는 컴퓨터 기억 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해결책에서, PDU 세션 및/또는 PDU 세션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해 제 1 유형의 전송 과정 및 제 1 유형의 전환 과정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고, 여기서, 상기 제 1 유형 전송은 네트워크 측과 단말기 측이 복수의 경로를 통해 데이터 패킷에 대해 데이터 복제형 전송을 진행하는 것, 및 데이터 패킷에 대해 제 1 우선 순위를 전송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우선 순위의 전송은 전송하는 데이터 스트림이 지정한 한 그룹의 QoS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것을 지칭하고, 상기 제 1 유형의 전환 과정은 에어 인터페이스 데이터 무선 베어러가 제 1 기지국으로부터 제 2 기지국으로 전환하기 전에, 제 2 코어 네트워크 요소는 상기 제 1 기지국과의 제 1 경로의 확립 및 상기 제 2 기지국과의 제 2 경로의 확립을 완료하고, 상기 에어 인터페이스 데이터 무선 베어러가 상기 제 1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 2 기지국으로 전환한 후에, 상기 제 2 코어 네트워크 요소는 상기 제 1 기지국과의 제 1 경로를 해제하는 것을 포함한다. 전환 과정에 있어서, 단말기는 싱글 라디오 또는 듀얼 라디오 모드에 있고, 그 중단 시간은 에어 인터페이스 전환 과정에 한정되거나, 또는 에어 인터페이스 전환 과정에서 완전히 중단 지연이 없어, 데이터 플레인에서 코어 네트워크 측의 링크(터널이라고도 지칭함)의 확립 또는 수정으로 인한 추가 지연 및 중단을 피하고, 이를 통해 기지국 사이 전환의 고속 전환 능력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추가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제공되며, 본 발명의 일부를 구성하고,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 및 설명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며, 본 발명에 대한 적당하지 않은 한정을 구성하지 않는다. 도면에 있어서,
도 1은 Xn 인터페이스에 기반한 전환의 흐름도이다.
도 2(a)는 N2 인터페이스에 기반한 전환 준비의 흐름도이다
도 2(b)는 N2 인터페이스에 기반한 전환 수행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세션 처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기지국 사이 전환의 네트워크 아키텍처의 모식도 1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기지국 사이 전환의 네트워크 아키텍처의 모식도 2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기의 싱글 라디오 또는 듀얼 라디오 모드에서 코어 네트워크가 변경되지 않고 N2 인터페이스에 기반한 고속 전환의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기의 싱글 라디오 또는 듀얼 라디오 모드에서 코어 네트워크가 변경되지 않고 Xn 인터페이스에 기반한 고속 전환의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세션 처리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컴퓨터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데이터 패킷의 재정렬의 모식도 1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데이터 패킷의 재정렬의 모식도 2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특징 및 기술적 내용을 보다 상세하게 이해하기 위해, 다음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현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첨부 도면은 설명을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세션 처리 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세션 처리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고,
단계 301: PDU 세션 및 PDU 세션의 데이터 스트림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제 1 유형의 전송 과정 및 제 1 유형의 전환 과정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고, 여기서, 상기 제 1 유형의 전송은 네트워크 측과 단말기 측이 복수의 경로를 통해 데이터 패킷에 대해 데이터 복제형 전송을 진행하는 것, 및 데이터 패킷에 대해 제 1 우선 순위를 전송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우선 순위의 전송은 전송하는 데이터 스트림이 지정한 한 그룹의 QoS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것을 지칭하고, 여기서, 상기 제 1 유형의 전환 과정은 에어 인터페이스 데이터 무선 베어러가 제 1 기지국으로부터 제 2 기지국으로 전환하기 전에, 제 2 코어 네트워크 요소는 상기 제 1 기지국과의 제 1 경로의 확립 및 상기 제 2 기지국과의 제 2 경로의 확립을 완료하고, 상기 에어 인터페이스 데이터 무선 베어러가 상기 제 1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 2 기지국으로 전환한 후에, 상기 제 2 코어 네트워크 요소는 상기 제 1 기지국과의 제 1 경로를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 방식에 있어서, 제 1 코어 네트워크 요소는 세션 확립 또는 수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세션 확립 또는 수정 요청 메시지는 PDU(Protocol Data Unit) 세션의 식별 정보, 데이터 스트림의 식별 정보, 슬라이스 선택 보조 정보(SNSSAI) 및 DNN(Data Network Name)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세션 확립 또는 수정 요청 메시지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PDU 세션 및 상기 PDU 세션의 데이터 스트림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제 1 유형의 전송 과정 및 제 1 유형의 전환 과정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또한, 상기 제 1 코어 네트워크 요소는 상기 세션 확립 또는 수정 요청 메시지의 SNSSAI, DNN 및 제 1 폴리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PDU 세션 및 상기 PDU 세션의 데이터 스트림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제 1 유형의 전송 과정 및 제 1 유형의 전환 과정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여기서, 상기 제 1 폴리시는 적어도 한 그룹의 S-NSSAI 및 DNN 중 적어도 하나와 제 1 지시 정보 사이의 대응 관계 및 폴리시 중 적어도 하나와 과금 제어(PCC, Policy Control and Charging)의 폴리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지시 정보는 제 1 유형의 전송 과정 및 제 1 유형의 전환 과정 중 적어도 하나를 진행하는지 여부를 지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세션 확립 또는 수정 요청 메시지는 2 개의 PDU 세션의 식별 정보 및 데이터 스트림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코어 네트워크 요소는 상기 2 개의 PDU 세션의 식별 정보 및 데이터 스트림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2 개의 PDU 세션의 전부 또는 일부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해 상기 제 1 유형의 전송 과정 및 상기 제 1 유형의 전환 과정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한다고 결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2 회의 세션 확립 또는 업데이트 요청을 시작하고, 제 1 회의 세션 확립 또는 수정 요청 메시지는 제 1 세션 식별자를 포함하고, 제 2 회의 세션 확립 또는 수정 요청 메시지는 제 1 세션 식별자 및 제 2 세션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 및 제 1 회의 세션 확립 또는 수정 요청 메시지는 제 1 데이터 스트림 식별자를 포함하고, 제 2 회의 세션 확립 또는 수정 요청 메시지는 제 1 데이터 스트림 식별자 및 제 2 데이터 스트림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PDU 세션 식별자 및 데이터 스트림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는 제 1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정보는 제 1 유형의 전송 과정 및 제 1 유형의 전환 과정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도록 지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코어 네트워크 요소는 세션 관리 기능(SMF, Session Management Function)을 의미하고, 제 2 코어 네트워크 요소는 사용자 플레인 기능(UPF, User Plane Function)을 의미하고, 제 3 코어 네트워크 요소는 수신 코어 액세스 및 이동성 관리(AMF, Core 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를 의미하고, 제 1 기지국은 단말기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소스 기지국을 의미하고, 제 2 기지국은 단말기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타겟 기지국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유형의 전환 과정이 도입되고, 제 1 유형의 전환은 고속 전환이라고도 지칭된다. 고속 전환은 다음 두 가지 시나리오에 적용되고,
시나리오 1: 단말기의 싱글 라디오 또는 듀얼 라디오 모드에서, 코어 네트워크가 변경되지 않고 N2 인터페이스에 기반한 고속 전환을 구현한다.
해당 시나리오에서, 제 3 코어 네트워크 요소가 상기 제 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전환 요청을 수신한 후에, 상기 제 1 코어 네트워크 요소는 상기 제 3 코어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송신된 세션 확립 또는 수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전환 요청 메시지는 PDU 세션의 식별 정보 및 데이터 스트림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세션 확립 또는 수정 요청 메시지는 PDU 세션의 식별 정보 및 데이터 스트림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PDU 세션의 식별 정보는 상기 제 1 기지국 측의 PDU 세션의 식별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제 2 PDU 세션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PDU 세션과 상기 제 1 기지국 측의 PDU 세션은 제 1 연관 관계를 가진다.
시나리오 2: 단말기의 싱글 라디오 또는 듀얼 라디오 모드에서, 코어 네트워크가 변경되지 않고 Xn 인터페이스에 기반한 고속 전환을 구현한다.
해당 시나리오에서, 상기 제 1 기지국과 상기 제 2 기지국이 무선 인터페이스 전환을 수행하는 과정에 있어서, 상기 제 1 코어 네트워크 요소는 상기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2 기지국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송신된 세션 확립 또는 수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전환 요청 메시지는 PDU 세션의 식별 정보 및 데이터 스트림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세션 확립 또는 수정 요청 메시지는 PDU 세션의 식별 정보 및 데이터 스트림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PDU 세션의 식별 정보는 상기 제 1 기지국 측의 PDU 세션의 식별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제 2 PDU 세션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PDU 세션과 상기 제 1 기지국 측의 PDU 세션은 제 1 연관 관계를 가진다.
또한, 상기 제 1 기지국과 상기 제 2 기지국이 에어 인터페이스를 전환을 수행하는 과정은, 상기 제 1 기지국은 상기 제 2 기지국에 전환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 2 기지국은 상기 제 1 기지국에 전환 회신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기지국과 상기 제 2 기지국은 단말기 측의 에어 인터페이스 전환을 완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 2 기지국이 상기 제 1 기지국에 전환 회신 메시지를 송신한 후에, 상기 제 1 코어 네트워크 요소는 상기 제 2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세션 확립 또는 수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 및
상기 제 1 기지국과 상기 제 2 기지국이 단말기 측의 에어 인터페이스 전환을 완료한 후에, 상기 제 1 코어 네트워크 요소는 상기 제 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세션 확립 또는 수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형의 전송은 저 지연 및 고 신뢰성 전송 중 적어도 하나라고도 지칭하며, 저 지연 및 고 신뢰성 전송 중 적어도 하나는 네트워크 측과 UE 측이 특정 데이터 패킷에 대해 복수의 경로를 통해 데이터 복제형(duplicate) 전송 및 관련 데이터 패킷의 전송 큐에 대해 높은 우선 순위 전송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것이며, 여기서, 상기 높은 우선 순위 전송은 대응하는 데이터 스트림이 지정된 한 그룹의 QoS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에어 인터페이스 데이터 무선 베어러가 상기 제 1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 2 기지국으로 전환하는 과정은,
단말기의 싱글 라디오 모드: 단말기는 상기 제 1 기지국과의 에어 인터페이스 데이터 무선 베어러를 확립한 경우, 상기 에어 인터페이스 데이터 무선 베어러를 상기 제 1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 2 기지국으로 직접 전환하는 단계, 또는
단말기의 듀얼 라디오 모드: 단말기는 상기 제 1 기지국과의 에어 인터페이스 데이터 무선 베어러를 확립한 경우, 상기 제 2 기지국과의 에어 인터페이스 데이터 무선 베어러를 동시에 확립한 후에, 상기 제 1 기지국 측의 에어 인터페이스 데이터 무선 베어러를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시나리오 1에 대해, 상기 제 2 코어 네트워크 요소는 상기 제 1 기지국과의 제 1 경로를 해제하는 단계는, 단말기는 상기 제 1 기지국 측의 PDU 세션을 해제하는 요청 메시지를 상기 제 1 코어 네트워크 요소에 송신하고, 상기 제 1 코어 네트워크 요소는 상기 제 2 코어 네트워크 요소가 상기 제 1 기지국 측의 PDU 세션을 해제하도록 트리거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 1 코어 네트워크 요소는 상기 제 2 코어 네트워크 요소가 상기 제 1 기지국 측의 PDU 세션을 해제하도록 트리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시나리오 2에 대해, 상기 제 2 코어 네트워크 요소는 상기 제 1 기지국과의 제 1 경로를 해제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기지국은 제 3 코어 네트워크 요소에 경로 전환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3 코어 네트워크 요소는 상기 제 1 코어 네트워크 요소에 세션 수정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제 1 코어 네트워크 요소는 상기 제 2 코어 네트워크 요소가 상기 제 1 기지국 측의 PDU 세션을 해제하도록 트리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해결책에 있어서, 상기 PDU 세션의 식별 정보 및 데이터 스트림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는 제 1 유형의 전환을 수행하는지 여부를 지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 1 유형의 전환 과정(고속 전환 과정이라고도 지칭함)에 있어서,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소스 기지국(기지국 1)으로부터 타겟 기지국(기지국 2)로의 에어 인터페이스 데이터 무선 베어러(에어 인터페이스 DRB)의 전환을 완료하기 전에, 코어 네트워크 측(5 GC)은 데이터 플레인의 UPF와 기지국 1 및 기지국 2와의 링크 확립을 완료하고, 동시에 하향 데이터 스트림을 기지국 1 및 기지국 2에 송신하고, 도 4(a) 및 도 4(b)에서, 실선은 데이터 플레인이며, 점선 화살표는 데이터 전송의 방향(상향, 하향 또는 상하향)이다.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속 전환 과정에 있어서, 단말기는 전반에 걸쳐 싱글 라디오 모드이고, 그 중단 시간은 에어 인터페이스 전환 과정에 한정되며, 코어 네트워크 측 데이터 링크 확립/수정에 의한 추가 지연 및 중단을 피할 수 있다.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속 전환 과정에 있어서, 단말기는 듀얼 라디오 모드이고, 에어 인터페이스 전환 과정에 대해 기지국 2 측의 에어 인터페이스 데이터 무선 베어러를 먼저 확립하고, 단말기의 에어 인터페이스 데이터 무선 베어러를 기지국 1로부터 기지국 2로 전환하는 "확립 후 전환"하는 구조를 채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에어 인터페이스 전환 과정은 전체 과정에서 중단 지연이 없고, 동시에 코어 네트워크 측의 데이터 링크 확립/수정에 의한 추가 지연 및 중단도 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 1 폴리시("고속 전환" 폴리시라고도 지칭함)가 도입되고, 상기 제 1 코어 네트워크 요소는 상기 PDU 세션의 식별 정보 및 제 1 폴리시에 기초하여, 상기 PDU 세션 및 상기 PDU 세션의 데이터 스트림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제 1 유형의 전송 과정 및 제 1 유형의 전환 과정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폴리시는 적어도 한 그룹의 S-NSSAI 및 DNN 중 적어도 하나와 제 1 지시 정보 사이의 대응 관계 및 PCC 폴리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지시 정보는 제 1 유형의 전송 과정 및 제 1 유형의 전환 과정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지시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폴리시는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고,
S-NSSAI 및 DNN 중 적어도 하나의 식별 정보 제 1 지시 정보
S-NSSAI-1,DNN-1 고속 전환을 진행함 제 1 유형의 전송을 진행하지 않음
S-NSSAI-2,DNN-1 고속 전환을 진행하지 않음 제 1 유형의 전송을 진행함
S-NSSAI-2,DNN-3 고속 전환을 진행함 제 1 유형의 전송을 진행함
S-NSSAI-2,DNN-3 고속 전환을 진행함 제 1 유형의 전송을 진행하지 않음
기타 고속 전환을 진행하지 않음 제 1 유형의 전송을 진행하지 않음
이에 따라, 상기 제 1 코어 네트워크 요소는 상기 세션 확립 또는 수정 요청 메시지의 SNSSAI 및 DNN 중 적어도 하나 및 상기 제 1 폴리시에 기초하여, 상기 SNSSAI 및 DNN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제 1 지시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제 1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PDU 세션 및 상기 PDU 세션의 데이터 스트림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제 1 유형의 전송 과정 및 제 1 유형의 전환 과정 중 적어도 하나를 진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또한, 상기 제 1 코어 네트워크 요소는 상기 PDU 세션의 식별 정보 및 데이터 스트림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제 1 유형의 전송 및 제 1 유형의 전환 과정 중 적어도 하나의 진행 여부의 대응 관계를 기억하고, 이후 전환하는 구체적인 구현 과정에서, 제 1 코어 네트워크 요소(즉 SMF)는 매번 전환 요청을 수신한 후에, 로컬에 기억된 PDU 세션의 식별 정보 및 데이터 스트림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제 1 유형의 전송 과정 및 제 1 유형의 전환 과정 중 적어도 하나의 진행 여부의 대응 관계에 기초하여, PDU 세션 및 상기 PDU 세션의 데이터 스트림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제 1 유형의 전송 과정 및 제 1 유형의 전환 과정 중 적어도 하나를 진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또한, 상기 제 1 코어 네트워크 요소는 상기 PDU 세션 및 상기 PDU 세션의 데이터 스트림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제 1 유형의 전송 과정 및 제 1 유형의 전환 과정 중 적어도 하나를 진행하는 것을 기지국에 통지한다. 이와 같이, 제 1 유형의 전송 과정에 있어서, 기지국은 상기 세션 및 데이터 스트림에 대응하는 데이터 패킷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에어 인터페이스의 처리를 진행하고, 예를 들어, 최적의 재전송 메커니즘, 타이머 시간 조정 등이며, 제 1 유형의 전환 과정에 있어서, 기지국은 세션 및 데이터 스트림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데이터 전송 처리를 진행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폴리시는 계약 정보 데이터 베이스(UDM), 폴리시 제어 네트워크 요소(PCF), 상기 제 1 코어 네트워크 요소 중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요소에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폴리시는 사용자 입도에 따라 네트워크 측의 UDM 및 PCF 중 적어도 하나에 구성될 수 있고, 정적으로 SMF에 구성될 수도 있고, PDU 세션 확립/수정될 때마다 SMF는 해당 제 1 폴리시에 따라 현재 PDU 세션 및 그 중의 데이터 스트림의 일부에 대해 고속 전환을 진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또한, 상기 제 1 코어 네트워크 요소는 상기 세션 확립 또는 수정 요청 메시지의 정보, 제 1 폴리시 및, 상기 PDU 세션의 데이터 스트림의 QoS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PDU 세션 및 상기 PDU 세션의 데이터 스트림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제 1 유형의 전송 과정 및 제 1 유형의 전환 과정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SMF는 제 1 유형의 전환을 진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근거는, 제 1 폴리시 외에, 데이터 스트림의 QoS 파라미터를 고려할 수도 있고, 예를 들어, 부분적으로 특정된 5QI 값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해 우선적으로 고속 전환을 진행할 수 있다. PDU 세션 확립/수정 과정에 있어서, SMF는 해당 PDU 세션 또는 그 중 일부의 데이터 스트림이 "고속 전환"을 수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한 후에, PDU 세션 ID와 고속 전환 폴리시의 연관 관계를 로컬에 기억하고, 전환할 때마다 전환의 PDU 세션 ID에 의거하여 고속 전환을 수행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형의 전환 과정에서, 1) 상기 제 1 기지국 측의 제 1 경로와 상기 제 2 기지국 측의 제 2 경로에 동일한 IP 주소를 할당하고, 상기 제 1 기지국 측의 PDU 세션 및 상기 제 2 기지국 측의 PDU 세션은 동일한 데이터 스트림 및 QoS 폴리시에 대응한다. 또는, 2) 상기 제 1 기지국 측의 제 1 경로와 상기 제 2 기지국 측의 제 2 경로에 상이한 IP 주소를 할당하고, 상기 제 1 기지국 측의 PDU 세션 및 상기 제 2 기지국 측의 PDU 세션은 동일한 데이터 스트림 및 QoS 폴리시에 대응한다.
데이터 전송에 대해, 상기 제 1 유형의 전환 과정에서 상기 제 2 코어 네트워크 요소는 상기 제 1 기지국과의 제 1 경로의 확립 및 상기 제 2 기지국과의 제 2 경로의 확립을 완료한 후에, 하향 방향에서 상기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2 기지국에 동일한 데이터를 동시에 전송하는 것, 및 상향 방향에서 상기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2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동일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이고,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경로 및 제 2 경로는 동일한 PDU 세션에 속한다. 상기 제 2 기지국은 상기 제 2 경로를 통해 상기 제 2 코어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송신된 하향 데이터를 수신한 후에, 상기 에어 인터페이스 데이터 무선 베어러가 상기 제 1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 2 기지국으로 전환하기 전에 또는 상기 제 2 기지국 측의 에어 인터페이스 데이터 무선 베어러가 확립되기 전에, 상기 하향 데이터를 캐싱 또는 파기한다. 상기 에어 인터페이스 데이터 무선 베어러가 상기 제 1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 2 기지국으로 전환한 후 또는 상기 제 2 기지국 측의 에어 인터페이스 데이터 무선 베어러가 확립된 후, 상기 제 2 기지국은 단말기에 하향 데이터를 송신하고, 여기서, 상기 제 2 기지국에 상기 제 2 코어 네트워크 요소로부터의 하향 데이터가 캐싱된 경우, 캐싱된 상기 제 2 코어 네트워크 요소로부터의 하향 데이터를 상기 단말기에 송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제형 전송은 2 개의 상이한 경로에서 동일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지칭한다. 또한, 상기 2 개의 상이한 경로에서 동일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은, 코어 네트워크 측에서 동일한 제 2 코어 네트워크 요소는 2 개의 상이한 경로에서 동일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 또는 2 개의 상이한 제 2 코어 네트워크 요소는 2 개의 상이한 경로에서 동일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 또는 액세스 네트워크 측에서 동일한 기지국의 2 개의 상이한 데이터 베어러에 의해 동일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 또는 2 개의 상이한 기지국의 2 개의 상이한 데이터 베어러에 의해 동일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상이한 경로의 IP 주소는 상이 또는 동일하고, 상기 상이한 경로의 데이터 스트림 및 QoS 폴리시는 상이 또는 동일하다.
상기 해결책에서, 데이터 베어러는 연결 및 링크 중 적어도 하나를 가르키며, 상이한 데이터 베어러는 사용자 플레인의 상이한 연결 및 링크 중 적어도 하나를 가리킨다.
일 예에 있어서, 코어 네트워크 측에서 동일한 제 2 코어 네트워크 요소는 2 개의 상이한 경로에서 동일한 데이터를 전송하고, 액세스 네트워크 측에서 2 개의 상이한 기지국의 2 개의 상이한 데이터 베어러에 의해 동일한 데이터가 전송되는 경우, 상기 제 2 코어 네트워크 요소는 상기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2 기지국에 동일한 하향 데이터 패킷을 동시에 송신한다.
상기 해결책에서, 상이한 경로에서 전송되는 데이터의 데이터 스트림 식별자는 동일하다. 또는 상이한 경로에서 전송되는 데이터의 데이터 스트림 식별자는 상이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하향 데이터가 단말기 측에서 순서대로 수신되거나, 또는 상향 데이터가 제 2 코어 네트워크 측에서 순서대로 수신되는 것을 어떻게 확보하는지는, 다음 방식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1) 상기 제 2 코어 네트워크 요소는 상기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2 기지국에 동시에 송신하는 동일한 하향 데이터 패킷에는 제 1 시퀀스 번호가 추가되고, 여기서, 하향 데이터 전송에 대해, 상기 제 1 기지국이 하향 데이터 패킷의 코어 네트워크 프로토콜의 한층의 제 1 시퀀스 번호와 에어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한층의 제 2 시퀀스 번호의 대응 관계를 상기 제 2 기지국에 통지하고, 상기 제 2 기지국은 수신된 데이터 패킷에서 상기 코어 네트워크 프로토콜의 한층의 제 1 시퀀스 번호를 해석하여 취득하고, 상기 제 1 시퀀스 번호와 상기 제 2 시퀀스 번호의 대응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시퀀스 번호에 대응하는 상기 제 2 시퀀스 번호를 단말기에 송신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제 2 시퀀스 번호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패킷을 재정렬하고,
여기서, 상기 제 2 기지국은 하향 방향에서 수신된 데이터 패킷의 제 1 시퀀스 번호가 상기 대응 관계의 제 1 시퀀스 번호와 상이한 경우, 상기 제 2 기지국은 상기 대응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패킷의 제 1 시퀀스 번호에 대응하는 제 2 시퀀스 번호를 계산한다.
구체적으로 실시하는 경우, 제 2 기지국이 하향 수신한 GTP-U 계층의 SN 값이 제 1 기지국으로부터의 대응 관계에서의 GTP-U 계층의 SN 값과 상이한(예를 들어, 제 2 기지국이 상기 대응 관계 및 하향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동안, 제 1 기지국에서 일부 데이터 패킷이 전송되어, 제 2 기지국이 수신한 데이터 패킷의 GTP-U 계층의 SN 값이 상기 대응 관계에서의 GTP-U 계층의 SN 값과 상이함) 경우, 제 2 기지국이 데이터 패킷의 GTP-U 계층의 SN 값과 에어 인터페이스 프로토콜 계층의 SN의 대응 관계를 스스로 도출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하향 방향에 대해, 제 1 기지국에 수신된 데이터 패킷의 GTP-U SN=100이고, 해당 GTP-U SN에 대응하는 PDCP SN=125이고, 제 2 기지국에 수신된 하향 데이터 패킷의 GTP-U SN=145인 경우, 제 2 기지국은 해당 하향 데이터 패킷의 PDCP SN=125+(145-100)=160인 것을 도출할 수 있다.
상기 해결책에 있어서, 상기 대응 관계는 상기 제 1 기지국에 의해 코어 네트워크 요소를 통해 상기 제 2 기지국에 투명하게 전송되거나, 또는 상기 대응 관계는 상기 제 1 기지국에 의해 기지국 사이의 직접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 2 기지국에 전송된다.
구체적으로 실시하는 경우, 전환 시나리오에 있어서, 도 6에 나타낸 전환 준비 단계의 전환 요청(handover required) 메시지의 컨테이너에 상기 대응 관계를 추가할 수 있고, 도 5에 나타낸 전환 준비 단계의 전환 요청(handover request) 메시지에 새로운 파라미터를 추가하여 상기 대응 관계를 나타낼 수도 있다.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2 기지국에 동시에 송신한 동일한 상향 데이터 패킷은 제 2 시퀀스 번호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향 데이터 전송에 대해, 상기 제 1 기지국은 상향 데이터 패킷의 에어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한층의 제 2 시퀀스 번호와 코어 네트워크 프로토콜의 한층의 제 1 시퀀스 번호의 대응 관계를 상기 제 2 기지국에 통지하고, 상기 제 2 기지국은 수신된 데이터 패킷에서 상기 에어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한층의 제 2 시퀀스 번호를 해석하여 취득하고, 상기 제 2 시퀀스 번호와 상기 제 1 시퀀스 번호의 대응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시퀀스 번호에 대응하는 상기 제 1 시퀀스 번호를 제 2 코어 네트워크 요소에 송신하고, 상기 제 2 코어 트워크 요소는 상기 제 1 시퀀스 번호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패킷을 재정렬한다.
여기서, 상기 제 2 기지국이 상향 방향에서 수신한 데이터 패킷의 제 2 시퀀스 번호가 상기 대응 관계의 제 2 시퀀스 번호와 상이한 경우, 상기 제 2 기지국은 상기 대응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패킷의 제 2 시퀀스 번호에 대응하는 제 1 시퀀스 번호를 계산한다.
구체적으로 실시하는 경우, 제 2 기지국이 상향 수신한 에어 인터페이스 계층(예를 들어 PDCP 계층)의 SN 값이 제 1 기지국으로부터의 대응 관계의 에어 인터페이스 계층의 SN 값과 상이한 경우, 제 2 기지국은 데이터 패킷의 에어 인터페이스 계층의 SN 값과 GTP-U 계층의 SN의 대응 관계를 스스로 도출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상향 방향에 대해, 제 1 기지국에 수신된 데이터 패킷의 PDCP SN=125이고, 해당 PDCP SN에 대응하는 GTP-U SN=100이고, 제 2 기지국에 수신된 상향 데이터 패킷의 PDCP SN=160인 경우, 제 2 기지국은 해당 상향 데이터 패킷의 GTP-U SN=160+(100-125)=145를 도출할 수 있다.
상기 해결책에 있어서, 상기 대응 관계는 상기 제 1 기지국에 의해 코어 네트워크 요소를 통해 상기 제 2 기지국에 투명하게 전송되거나, 또는 상기 대응 관계는 상기 제 1 기지국에 의해 기지국 사이의 직접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 2 기지국에 전송된다.
구체적으로 실시하는 경우, 전환 시나리오에 있어서, 도 6에 나타낸 전환 준비 단계의 전환 요청(handover required) 메시지의 컨테이너에 상기 대응 관계를 추가할 수 있고, 도 5에 나타낸 전환 준비 단계의 전환 요청(handover request) 메시지에 새로운 파라미터를 추가하여 상기 대응 관계를 나타낼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에어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한층은 PDCP 계층 및 서비스 데이터 적합 프로토콜(SDAP, Service Data Adaptation Protocol) 계층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코어 네트워크 프로토콜의 한층은 GPRS 터널링 프로토콜(GTP, GPRS Tunnelling Protocol) 계층을 포함한다. 상기 PDCP 계층에 제 2 시퀀스 번호를 추가하는 경우, 코어 네트워크 사용자 플레인에 의해 중복 전송되는 데이터 스트림에 대응하는 에어 인터페이스 데이터 무선 베어러는 다른 데이터 스트림을 전송하지 않는다. 따라서, PDCP SN과 GTP-U SN 사이의 대응 관계가 혼잡해지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기지국은 Xn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 1 시퀀스 번호와 상기 제 2 시퀀스 번호의 대응 관계를 상기 제 2 기지국에 통지하거나, 또는 상기 제 1 기지국은 N2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 1 시퀀스 번호와 상기 제 2 시퀀스 번호의 대응 관계를 코어 네트워크로 송신하고, 상기 코어 네트워크는 상기 제 1 시퀀스 번호와 상기 제 2 시퀀스 번호의 대응 관계를 상기 제 2 기지국에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제 1 기지국은 무선 인터페이스 메시지를 통해 상기 제 1 시퀀스 번호와 상기 제 2 시퀀스 번호의 대응 관계를 상기 제 2 기지국에 통지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기지국은 상기 하향 데이터 패킷을 수신한 후에, 상기 데이터 패킷에서 상기 제 1 시퀀스 번호를 해석하여 취득하고, 에어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한층의 제 2 시퀀스 번호를 통해 상기 데이터 패킷을 재정렬하고, 상기 데이터 패킷의 제 1 시퀀스 번호와 상기 제 2 시퀀스 번호의 대응 관계를 결정한다.
또는,
2) 상기 제 2 코어 네트워크 요소는 상기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2 기지국에 동시에 송신하는 동일한 하향 데이터 패킷에는 제 1 시퀀스 번호가 추가되고, 여기서 하향 데이터 전송에 대해, 상기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2 기지국 중 적어도 하나는 하향 데이터 패킷을 수신한 후에, 상기 하향 데이터 패킷의 상기 제 1 시퀀스 번호를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하향 데이터 패킷에서 상기 제 1 시퀀스 번호를 해석하여 취득하고, 상기 제 1 시퀀스 번호에 기초하여 상기 하향 데이터 패킷을 재정렬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2 기지국에 송신한 동일한 상향 데이터 패킷은 제 1 시퀀스 번호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향 데이터 전송에 대해, 상기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2 기지국 중 적어도 하나는 상향 데이터 패킷을 수신한 후에, 상기 상향 데이터 패킷의 상기 제 1 시퀀스 번호가 상기 제 2 코어 네트워크 요소에 전송되고, 상기 제 2 코어 네트워크 요소는 상기 상향 데이터 패킷에서 상기 제 1 시퀀스 번호를 해석하여 취득하고, 상기 제 1 시퀀스 번호에 기초하여 상기 상향 데이터 패킷을 재정렬한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패킷의 제 1 시퀀스 번호는 PDCP 계층 또는 SDAP 계층 또는 GTP 계층 이상의 프로토콜 계층에 포함된다.
다음, 고속 전환의 두 가지 시나리오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책에 대해 추가적으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기의 싱글 라디오 또는 듀얼 라디오 모드에서, 코어 네트워크가 변경되지 않고 N2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고속 전환을 구현하는 흐름도이고,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501: 소스 기지국은 AMF/MME에 전환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다.
여기서, 전환 요청 메시지에는 PDU 세션 ID, 타겟 기지국 ID가 포함된다. 또한, 전환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PDU 세션 ID는 소스 기지국 측의 PDU 세션 ID와 동일하거나, 또는 전환 요청 메시지에 소스 기지국 측의 PDU 세션 ID와 상이한 PDU 세션 ID가 포함되지만, 소스 기지국 측의 PDU 세션 ID(즉 현재 세션 ID)과의 연관 관계를 지시할 필요가 있다.
단계 502: AMF/MME는 SMF/PGW-C에 세션 수정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다.
여기서, 세션 수정 요청 메시지에 PDU 세션 ID, 타겟 기지국 ID가 포함된다.
단계 503: UPF/PGW-U와 SMF/PGW-C 사이의 세션 업데이트를 진행하고, 타겟 기지국 측의 세션 리소스의 준비를 완료한다.
여기서, 코어 네트워크는 세션 확립/업데이트 과정에 있어서,
1) "고속 전환"의 진행이 필요한 세션에 대해, 타겟 기지국 측 및 소스 기지국 측의 링크에 동일한 IP 주소를 할당하고, 즉 2 개의 링크를 동일한 PDU 세션으로 사용하고, 소스 기지국의 세션 1 및 타겟 기지국의 세션 2는 동일한 Flow를 수행하고, 동일할 QoS 폴리시를 수행한다. 또는,
2) "고속 전환"의 진행이 필요한 세션에 대해, 타겟 기지국 측 및 소스 기지국 측의 링크에 2 개의 IP 주소를 할당하고, 소스 기지국의 세션 1 및 타겟 기지국의 세션 2는 동일한 Flow를 수행하고, 동일한 QoS 폴리시를 수행한다.
단계 504: SMF/PGW-C는 타겟 기지국에 세션 확립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다.
여기서, 세션 확립 요청에는 PDU 세션 ID 및 Flow 리스트가 포함된다.
단계 505: 타겟 기지국은 SMF/PGW-C에 세션 확립 요청 회신 메시지를 송신한다.
여기서, 세션 확립 요청 회신 메시지에 수락/거부의 PDU 세션 ID 및 Flow 리스트가 포함된다.
단계 506: SMF/PGW-C와 UPF/PGW-U 사이는 세션 업데이트를 진행하고, 타겟 기지국 측의 회신에 따라 세션 업데이트를 진행한다.
단계 507: SMF/PGW-C는 AMF/MME 세션 업데이트 요청 회신 메시지를 송신한다.
단계 508: AMF/MME는 소스 기지국에 전환 명령어를 송신한다.
단계 509: UPF/PGW-U는 소스 기지국 및 타겟 기지국에 하향 데이터를 동시에 전송한다.
여기서, UPF/PGW-U는 단계 505를 완료한 후에, 소스 기지국 및 타겟 기지국로의 데이터 전송을 직접 시작하고, 여기서, 2 개의 기지국은 동일한 데이터를 복제하여 전송할 수 있다(단계 508과 병렬로 수행된다).
단계 510: 타겟 기지국은 에어 인터페이스 데이터 무선 베어러를 확립하기 전에, 하향 데이터를 캐싱 또는 파기한다.
타겟 기지국은 하향 데이터를 수신한 후에, 현재 UE와의 DRB 연결이 확립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단계 511에서 전환이 완료되고 DRB가 확립될 때까지, 데이터 패킷을 캐싱 또는 파기할 수 있다.
단계 511: 소스 기지국은 전환 프로세스를 트리거한다.
단계 512: UE는 타겟 기지국에 전환 완료 통지 메시지를 송신한다.
단계 513: 타겟 기지국 측의 에어 인터페이스 데이터 무선 베어러 확립을 완료하고, 하향 데이터를 UE에 송신한다.
여기서, 타겟 기지국이 전환 완료 통지 메시지를 수신한 후 또는 타겟 기지국이 에어 인터페이스 데이터 무선 베어러를 확립한 후에, UE에 하향 데이터를 송신하기 시작하고, 이전에 UPF로부터의 하향 데이터가 캐싱되어 있으면 UE에 송신한다.
단계 514: 타겟 기지국은 SMF/PGW-C에 전환 완료 통지 메시지를 송신한다.
단계 515: SMF/PGW-C와 UPF/PGW-U 사이는 세션 업데이트(선택 가능함)를 진행한다.
단계 516a: UE는 SMF/PGW-C에 소스 기지국 측의 세션 해제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다.
단계 516b: SMF/PGW-C 측은 소스 기지국 측의 세션 해제를 트리거한다.
여기서, 소스 기지국 측의 세션의 해제는 단계 516a 및 단계 516b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단말기의 싱글 라디오 또는 듀얼 라디오 모드에서, 코어 네트워크가 변경되지 않고 Xn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고속 전환을 구현하는 흐름도이고,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601: 소스 기지국과 타겟 기지국 사이는 에어 인터페이스 전환 과정을 진행한다.
구체적으로, 소스 기지국은 타겟 기지국에 전환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 타겟 기지국은 소스 기지국에 전환 회신 메시지를 송신하고, 소스 기지국과 타겟 기지국 사이는 UE 에어 인터페이스 전환을 트리거한다.
단계 602: 코어 네트워크 측은 타겟 기지국 측의 세션 확립 과정을 진행한다.
해당 단계는 구체적으로,
단계 602a: 타겟 기지국은 SMF/PGW-C에 세션 확립/수정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여기서, 세션 확립/수정 요청 메시지에는 제 1 지시 정보, 확립될 PDU 세션 ID가 포함된다.
여기서, 제 1 지시 정보는 PDU 세션 ID에 대응하는 PDU 세션이 고속 전환을 진행하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단계 602b: 소스 기지국은 SMF/PGW-C에 세션 확립/수정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다(즉, 전환 요청 메시지).
여기서, 세션 확립/수정 요청 메시지에는 제 1 지시 정보, 확립될 PDU 세션 ID, 타겟 기지국 ID가 포함된다.
여기서, 제 1 지시 정보는 PDU 세션 ID에 대응하는 PDU 세션이 고속 전환을 진행하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단계 602c: SMF/PGW-C와 UPF/PGW-U 사이는 세션 확립/업데이트를 진행하고, UPF/PGW-U는 타겟 기지국 측과 링크를 확립한다.
단계 602d: SMF/PGW-C는 타겟 기지국에 세션 확립/수정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다.
여기서, 단계 602b가 수행되는 경우, 단계 602d를 수행할 필요가 있고, UPF/PGW-U와 타겟 기지국 측의 링크의 확립을 완료한다.
여기서, 코어 네트워크 측의 세션 확립 과정과 액세스 네트워크 측의 에어 인터페이스 전환 과정은 동시에 수행되고, 에어 인터페이스 전환 과정(일 단계 이후, 예를 들어, 전환 회신 메시지 이후)에서 타겟 기지국 또는 소스 기지국은 세션 확립/업데이트 요청을 코어 네트워크에 송신한다.
여기서, 코어 네트워크는 세션 확립/업데이트 과정에 있어서,
1) "고속 전환"을 진행할 필요가 있는 세션에 대해, 타겟 기지국 측과 소스 기지국 측의 링크에 동일한 IP 주소를 할당하고, 즉 2 개의 링크를 동일한 PDU 세션으로 사용하고, 소스 기지국의 세션 1 과 타겟 기지국의 세션 2는 동일한 Flow를 수행하고, 동일한 QoS 폴리시를 수행한다. 또는,
2) "고속 전환"을 진행할 필요가 있는 세션에 대해, 타겟 기지국 측과 소스 기지국 측의 링크에 2 개의 IP 주소를 할당하고, 소스 기지국의 세션 1과 타겟 기지국의 세션 2는 동일한 Flow 를 수행하고, 동일한 QoS 폴리시를 수행한다.
단계 603: 타겟 기지국이 무선 인터페이스 전환을 완료하기 전에 또는 타겟 기지국이 에어 인터페이스 데이터 무선 베어러를 확립하기 전에, 수신한 하향 데이터를 캐싱 또는 파기하고, 에어 인터페이스 전환이 완료된 후 또는 타겟 기지국 측의 에어 인터페이스 데이터 무선 베어러를 확립한 후에, 하향 데이터를 UE에 송신한다.
타겟 기지국이 하향 데이터를 수신한 후에, 현재 UE의 DRB와의 연결이 확립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단계 604에서 전환이 완료되어 DRB가 확립될 때까지 데이터 패킷을 캐싱 또는 파기하고, UE에 하향 데이터를 송신하기 시작하고, UPF로부터의 하향 데이터가 이전에 캐싱되어 있으면 UE에 송신한다.
단계 604: UE는 타겟 기지국에 전환 완료 메시지를 송신한다.
단계 605: 타겟 기지국은 AMF/MME에 경로 전환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다.
단계 606: AMF/MME는 SMF/PGW-C에 세션 수정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다.
단계 607: SMF/PGW-C는 UPF/PGW-U가 세션 업데이트되고, 소스 기지국 측의 PDU 세션을 삭제하도록 트리거한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프로세스에 있어서, 모두 UPF가 소스 기지국 및 타겟 기지국에 중복(duplicate)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를 포함하며, 중복 데이터가 UE 측에서 정확하게 정렬되는 것을 확보하기 위해, 데이터 패킷에 시퀀스 번호(SN, Sequence Number)를 추가하고, 에어 인터페이스는 싱글 라디오 또는 듀얼 라디오의 전환에 모두 적용된다. 구체적으로는 다음의 두 가지 방법이있다.
1) 추가된 SN은 RAN 기지국 측에서 해석되고, PDCP 계층의 SN에 의해 duplicate 데이터 패킷에 대한 재정렬을 구현한다. 구체적으로, UPF에서 기지국 간의 데이터 패킷은 기존 프로토콜 계층에서 SN을 추가하고, GTP-U 데이터 패킷일 수 있고, 소스 기지국(RAN node-1)은 첫 번째 duplicate 데이터 패킷을 수신한 후에, 소스 기지국은 타겟 기지국(RAN node-2)에 첫 번째 duplicate 데이터 패킷의 PDCP 계층의 SN(PDCP SN로 약칭함)과 GTP-U의 SN(GTP SN로 약칭함)의 대응 관계를 송신하고, 타겟 기지국은 이에 따라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첫 번째 duplicate 데이터 패킷의 PDCP의 SN과 소스 기지국이 현재 사용하고 있는 PDCP의 SN 값을 일치시키고, 후속하여 송신하는 SN 값의 동기화를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duplicate 데이터 패킷의 PDCP SN과 GTP SN의 대응 관계에 대해 RAN node-1이 RAN node-2에 통지하는 방식에는 다음의 세 가지가 있다
Node-1은 Xn 인터페이스를 통해 Node-2에 통지하고,
Node-1은 N2 인터페이스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에 송신하고, 코어 네트워크에 의해 Node-2에 송신하고,
Node-1은 에어 인터페이스 메시지(예를 들어, RRC Connection Reconfig)를 통해 Node-2에 통지한다.
2) 추가한 SN은 RAN 기지국 측에서 UE에 투명하게 전송되고, 추가한 SN은 GTP-U 프로토콜 계층에 포함될 수 있다. 하향 데이터에 대해, UPF에서 duplicate 데이터 패킷을 송신할 때, SN을 직접 UE에 투명하게 전송하고, UE에 의해 해당 계층 데이터 패킷의 SN을 해석하고, 데이터 패킷의 재정렬을 완료하고, 상향 데이터에 대해, 마찬가지로,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UE는 duplicate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고, UPF에 의해 해석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세션 처리 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세션 처리 장치는 제어 유닛(700)을 포함하고,
제어 유닛(700)은 PDU 세션 및 PDU 세션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해 제 1 유형의 전송 과정 및 제 1 유형의 전환 과정 중 적어도 하나를 진행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 제 1 유형의 전송은, 네트워크 측과 단말기 측이 복수의 경로를 통해 데이터 패킷에 대해 데이터 복제형 전송을 진행하는 것, 및 데이터 패킷에 대해 제 1 우선 순위의 전송을 진행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우선 순위의 전송은 전송하는 데이터 스트림이 지정한 한 그룹의 QoS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것을 지칭하고,
여기서, 상기 제 1 유형의 전환 과정은, 에어 인터페이스 데이터 무선 베어러가 제 1 기지국으로부터 제 2 기지국으로 전환하기 전에, 제 2 코어 네트워크 요소는 상기 제 1 기지국과의 제 1 경로의 확립 및 상기 제 2 기지국과의 제 2 경로의 확립을 완료하고, 상기 에어 인터페이스 데이터 무선 베어러가 상기 제 1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 2 기지국으로 전환한 후에, 상기 제 2 코어 네트워크 요소는 상기 제 1 기지국과의 제 1 경로를 해제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에어 인터페이스 데이터 무선 베어러가 상기 제 1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 2 기지국으로 전환하는 과정은,
단말기는 상기 제 1 기지국과의 에어 인터페이스 데이터 무선 베어러를 확립한 경우, 상기 에어 인터페이스 데이터 무선 베어러를 상기 제 1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 2 기지국으로 직접 전환하는 것, 또는
단말기는 상기 제 1 기지국과의 에어 인터페이스 데이터 무선 베어러를 확립한 경우, 상기 제 2 기지국과의 에어 인터페이스 데이터 무선 베어러를 동시에 확립한 후에, 상기 제 1 기지국 측의 에어 인터페이스 데이터 무선 베어러를 해제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수신 유닛(701)을 더 포함하고, 제 3 코어 네트워크 요소는 상기 제 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전환 요청을 수신한 후에, 상기 수신 유닛(701)은 상기 제 3 코어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송신된 세션 확립 또는 수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전환 요청 메시지는 PDU 세션의 식별 정보 및 데이터 스트림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세션 확립 또는 수정 요청 메시지는 PDU 세션의 식별 정보 및 데이터 스트림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PDU 세션의 식별 정보는 상기 제 1 기지국 측의 PDU 세션의 식별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제 2 PDU 세션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PDU 세션과 상기 제 1 기지국 측의 PDU 세션은 제 1 연관 관계를 가진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2 코어 네트워크 요소는 상기 제 1 기지국과의 제 1 경로를 해제하는 것은,
단말기는 상기 제 1 기지국 측의 PDU 세션을 해제하는 요청 메시지를 상기 제 1 코어 네트워크 요소에 송신하고, 상기 제 1 코어 네트워크 요소는 상기 제 2 코어 네트워크 요소가 상기 제 1 기지국 측의 PDU 세션을 해제하도록 트리거하는 것, 또는,
상기 제 1 코어 네트워크 요소는 상기 제 2 코어 네트워크 요소가 상기 제 1 기지국 측의 PDU 세션을 해제하도록 트리거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수신 유닛(701)을 더 포함하고, 수신 유닛(701)은 상기 제 1 기지국과 상기 제 2 기지국이 무선 인터페이스 전환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상기 수신 유닛(701)은 상기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2 기지국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송신된 세션 확립 또는 수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전환 요청 메시지는 PDU 세션의 식별 정보 및 데이터 스트림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세션 확립 또는 수정 요청 메시지는 PDU 세션의 식별 정보 및 데이터 스트림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PDU 세션의 식별 정보는 상기 제 1 기지국 측의 PDU 세션의 식별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제 2 PDU 세션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PDU 세션과 상기 제 1 기지국 측의 PDU 세션은 제 1 연관 관계를 가진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지국과 상기 제 2 기지국이 에어 인터페이스를 전환하는 과정은, 상기 제 1 기지국은 상기 제 2 기지국에 전환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제 2 기지국은 상기 제 1 기지국에 전환 회신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2 기지국은 단말기 측의 에어 인터페이스 전환을 완료하는 것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 2 기지국은 상기 제 1 기지국에 전환 회신 메시지를 송신한 후에, 상기 수신 유닛(701)은 상기 제 2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세션 확립 또는 수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 및
상기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2 기지국은 단말기 측의 에어 인터페이스 전환을 완료한 후에, 상기 수신 유닛(701)은 상기 제 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세션 확립 또는 수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2 코어 네트워크 요소는 상기 제 1 기지국과의 제 1 경로를 해제하는 것은,
상기 제 2 기지국은 제 3 코어 네트워크 요소에 경로 전환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제 3 코어 네트워크 요소는 상기 제 1 코어 네트워크 요소에 세션 수정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 이에 따라 상기 제 1 코어 네트워크 요소는 상기 제 2 코어 네트워크 요소가 상기 제 1 기지국 측의 PDU 세션을 해제하도록 트리거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PDU 세션의 식별 정보 및 데이터 스트림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는 제 1 유형의 전환을 수행하는지 여부를 지시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수신 유닛(701), 결정 유닛(702)을 더 포함하고,
수신 유닛(701)은 세션 확립 또는 수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세션 확립 또는 수정 요청 메시지는 PDU 세션의 식별 정보, 데이터 스트림의 식별 정보, 슬라이스 선택의 보조 정보(SNSSAI) 및 DNN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고,
결정 유닛(702)은 상기 세션 확립 또는 수정 요청 메시지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PDU 세션 및 상기 PDU 세션의 데이터 스트림 중의 적어도 하나에 대해 제 1 유형의 전송 과정 및 제 1 유형의 전환 과정 중 적어도 하나를 진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결정 유닛(702)은 상기 세션 확립 또는 수정 요청 메시지의 SNSSAI, DNN 및 제 1 폴리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PDU 세션 및 상기 PDU 세션의 데이터 스트림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제 1 유형의 전송 과정 및 제 1 유형의 전환 과정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 제 1 폴리시는 적어도 한 그룹의 S-NSSAI 및 DNN 중 적어도 하나와 제 1 지시 정보 사이의 대응 관계 및 PCC 폴리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지시 정보는 제 1 유형의 전송 과정 및 제 1 유형의 전환 과정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지시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세션 확립 또는 수정 요청 메시지는 2 개의 PDU 세션의 식별 정보 및 데이터 스트림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코어 네트워크 요소는 상기 2 개의 PDU 세션의 식별 정보 및 데이터 스트림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2 개의 PDU 세션의 전부 또는 일부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해 상기 제 1 유형의 전송 과정 및 상기 제 1 유형의 전환 과정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한다고 결정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2 회의 세션 확립 또는 업데이트 요청을 시작하고, 제 1 회의 세션 확립 또는 수정 요청 메시지는 제 1 세션 식별자를 포함하고, 제 2 회의 세션 확립 또는 수정 요청 메시지는 제 1 세션 식별자 및 제 2 세션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 및 제 1 회의 세션 확립 또는 수정 요청 메시지는 제 1 데이터 스트림 식별자를 포함하고, 제 2 회의 세션 확립 또는 수정 요청 메시지는 제 1 데이터 스트림 식별자 및 제 2 데이터 스트림 식별자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PDU 세션 식별자 및 데이터 스트림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는 제 1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정보는 제 1 유형의 전송 과정 및 제 1 유형의 전환 과정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도록 지시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기억 유닛(703)을 더 포함하고,
기억 유닛(703)은 상기 PDU 세션의 식별 정보 및 데이터 스트림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제 1 유형의 전송 과정 및 제 1 유형의 전환 과정 중 적어도 하나의 진행 여부의 대응 관계를 기억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결정 유닛(702)은 또한 상기 수신 유닛이 전환 요청을 수신한 후에, 로컬에 기억된 PDU 세션의 식별 정보 및 데이터 스트림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제 1 유형의 전송 과정 및 제 1 유형의 전환 과정 중 적어도 하나의 진행 여부의 대응 관계에 기초하여, PDU 세션 및 상기 PDU 세션의 데이터 스트림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제 1 유형의 전송 과정 및 제 1 유형의 전환 과정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코어 네트워크 요소는 상기 PDU 세션 및 상기 PDU 세션의 데이터 스트림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제 1 유형의 전송 과정 및 제 1 유형의 전환 과정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것을 기지국에 통지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폴리시는 계약 정보 데이터 베이스(UDM), 폴리시 제어 네트워크 요소(PCF), 상기 제 1 코어 네트워크 요소 중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요소에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결정 유닛(702)은 상기 세션 확립 또는 수정 요청 메시지의 정보, 제 1 폴리시 및 상기 PDU 세션의 데이터 스트림의 QoS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PDU 세션 및 상기 PDU 세션의 데이터 스트림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제 1 유형의 전송 과정 및 제 1 유형의 전환 과정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형의 전환 과정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지국 측의 제 1 경로 및 상기 제 2 기지국 측의 제 2 경로에 동일한 IP 주소를 할당하고, 상기 제 1 기지국 측의 PDU 세션과 상기 제 2 기지국 측의 PDU 세션은 동일한 데이터 스트림 및 QoS 폴리시에 대응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형의 전환 과정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지국 측의 제 1 경로 및 상기 제 2 기지국 측의 제 2 경로에 상이한 IP 주소를 할당하고, 상기 제 1 기지국 측의 PDU 세션과 상기 제 2 기지국 측의 PDU 세션은 동일한 데이터 스트림 및 QoS 폴리시에 대응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형의 전환 과정에서,
상기 제 2 코어 네트워크 요소는 상기 제 1 기지국과의 제 1 경로의 확립 및 상기 제 2 기지국과의 제 2 경로의 확립을 완료한 후에, 하향 방향에서 상기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2 기지국에 동일한 데이터를 동시에 송신하는 것, 및 상향 방향에서 상기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2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동일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제 2 기지국은 상기 제 2 경로를 통해 상기 제 2 코어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송신된 하향 데이터를 수신한 후에, 상기 에어 인터페이스 데이터 무선 베어러가 상기 제 1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 2 기지국으로 전환하기 전에 또는 상기 제 2 기지국 측의 에어 인터페이스 데이터 무선 베어러가 확립되기 전에, 상기 하향 데이터를 캐싱 또는 파기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경로 및 제 2 경로는 동일한 PDU 세션에 속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제형 전송은 2 개의 상이한 경로에서 동일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2 개의 상이한 경로에서 동일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은,
코어 네트워크 측에서 동일한 제 2 코어 네트워크 요소는 2 개의 상이한 경로에서 동일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또는 2 개의 상이한 제 2 코어 네트워크 요소는 2 개의 상이한 경로에서 동일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 및
액세스 네트워크 측에서 동일한 기지국의 2 개의 상이한 데이터 베어러에 의해 동일한 데이터가 전송되거나, 또는 2 개의 상이한 기지국의 2 개의 상이한 데이터 베어러에 의해 동일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이한 경로의 IP 주소는 상이 또는 동일하고, 상기 상이한 경로의 데이터 스트림 및 QoS 폴리시는 상이 또는 동일하다.
상기 기술적 해결책에서, 데이터 베어러는 경로 및 링크 중 적어도 하나를 지칭하며, 상이한 데이터 베어러는 사용자 플레인의 상이한 경로 및 링크 중 적어도 하나를 가리킨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코어 네트워크 측에서 동일한 제 2 코어 네트워크 요소는 2 개의 상이한 경로에서 동일한 데이터를 전송하고, 액세스 네트워크 측에서 2 개의 상이한 기지국의 2 개의 상이한 데이터 베어러에 의해 동일한 데이터가 전송되는 경우,
상기 제 2 코어 네트워크 요소는 상기 제 1 기지국과 상기 제 2 기지국에 동일한 하향 데이터 패킷을 동시에 전송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이한 경로에서 전송되는 데이터의 데이터 스트림 식별자는 동일하다. 또는, 상이한 경로에서 전송되는 데이터의 데이터 스트림 식별자는 상이하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2 코어 네트워크 요소는 상기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2 기지국에 동시에 송신한 동일한 하향 데이터 패킷에는 제 1 시퀀스 번호가 추가되고, 여기서,
하향 데이터 전송에 대해, 상기 제 1 기지국은 하향 데이터 패킷의 코어 네트워크 프로토콜의 한층의 제 1 시퀀스 번호와 에어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한층의 제 2 시퀀스 번호의 대응 관계를 상기 제 2 기지국에 통지하고, 상기 제 2 기지국은 수신된 데이터 패킷에서 상기 코어 네트워크 프로토콜의 한층의 제 1 시퀀스 번호를 해석하여 취득하고, 상기 제 1 시퀀스 번호와 상기 제 2 시퀀스 번호의 대응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시퀀스 번호에 대응하는 상기 제 2 시퀀스 번호를 단말기에 송신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제 2 시퀀스 번호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패킷을 재정렬하고,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지국은 하향 방향에서 수신된 데이터 패킷의 제 1 시퀀스 번호가 상기 대응 관계의 제 1 시퀀스 번호와 상이한 경우, 상기 제 2 기지국은 상기 대응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패킷의 제 1 시퀀스 번호에 대응하는 제 2 시퀀스 번호를 계산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대응 관계는 상기 제 1 기지국에 의해 코어 네트워크 요소를 통해 상기 제 2 기지국에 투명하게 전송되거나, 또는 상기 대응 관계는 상기 제 1 기지국에 의해 기지국 사이의 직접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 2 기지국에 전송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제 1 기지국과 상기 제 2 기지국에 동시에 송신한 동일한 상향 데이터 패킷에는 제 2 시퀀스 번호가 포함되고, 여기서,
상향 데이터 전송에 대해, 상기 제 1 기지국은 상향 데이터 패킷의 에어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한층의 제 2 시퀀스 번호와 코어 네트워크 프로토콜의 한층의 제 1 시퀀스 번호의 대응 관계를 상기 제 2 기지국에 통지하고, 상기 제 2 기지국은 수신된 데이터 패킷에서 상기 에어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한층의 제 2 시퀀스 번호를 해석하여 취득하고, 상기 제 2 시퀀스 번호와 상기 제 1 시퀀스 번호의 대응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시퀀스 번호에 대응하는 상기 제 1 시퀀스 번호를 제 2 코어 네트워크 요소에 송신하고, 상기 제 2 코어 네트워크 요소는 상기 제 1 시퀀스 번호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패킷을 재정렬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지국이 상향 방향에서 수신한 데이터 패킷의 제 2 시퀀스 번호가 상기 대응 관계의 제 2 시퀀스 번호와 상이한 경우, 상기 제 2 기지국은 상기 대응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패킷의 제 2 시퀀스 번호에 대응하는 제 1 시퀀스 번호를 계산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대응 관계는 상기 제 1 기지국에 의해 코어 네트워크 요소를 통해 상기 제 2 기지국에 투명하게 전송되거나, 또는 상기 대응 관계는 상기 제 1 기지국에 의해 기지국 사이의 직접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 2 기지국에 전송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에어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한층은 PDCP 계층 및 SDAP 계층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 네트워크 프로토콜의 한층은 GTP 계층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지국은 Xn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 1 시퀀스 번호와 상기 제 2 시퀀스 번호의 대응 관계를 상기 제 2 기지국에 통지하거나, 또는
상기 제 1 기지국은 N2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 1 시퀀스 번호와 상기 제 2 시퀀스 번호의 대응 관계를 코어 네트워크에 송신하고, 상기 코어 네트워크는 상기 제 1 시퀀스 번호와 상기 제 2 시퀀스 번호의 대응 관계를 상기 제 2 기지국에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제 1 기지국은 무선 인터페이스 메시지를 통해 상기 제 1 시퀀스 번호와 상기 제 2 시퀀스 번호의 대응 관계를 상기 제 2 기지국에 통지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지국은 상기 하향 데이터 패킷을 수신한 후에, 상기 데이터 패킷에서 상기 제 1 시퀀스 번호를 해석하여 취득하고, 에어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한층의 제 2 시퀀스 번호를 통해 상기 데이터 패킷을 재정렬하고, 상기 데이터 패킷의 제 1 시퀀스 번호와 상기 제 2 시퀀스 번호의 대응 관계를 결정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2 코어 네트워크 요소는 상기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2 기지국에 동시에 송신한 동일한 하향 데이터 패킷에는 제 1 시퀀스 번호가 포함되고, 여기서,
하향 데이터 전송에 대해, 상기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2 기지국 중 적어도 하나는 하향 데이터 패킷을 수신한 후에, 상기 하향 데이터 패킷의 상기 제 1 시퀀스 번호를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하향 데이터 패킷에서 상기 제 1 시퀀스 번호를 해석하여 취득하고, 상기 제 1 시퀀스 번호에 기초하여 상기 하향 데이터 패킷을 재정렬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2 기지국에 동시에 전송한 동일한 상향 데이터 패킷에는 제 1 시퀀스 번호가 포함되고, 여기서
상향 데이터 전송에 대해, 상기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2 기지국 중 적어도 하나는 상향 데이터 패킷을 수신한 후에, 상기 상향 데이터 패킷의 상기 제 1 시퀀스 번호가 상기 제 2 코어 네트워크 요소에 전송되며, 상기 제 2 코어 네트워크 요소는 상기 상향 데이터 패킷에서 상기 제 1 시퀀스 번호를 해석하여 취득하고, 상기 제 1 시퀀스 번호에 기초하여 상기 상향 데이터 패킷을 재정렬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패킷의 제 1 시퀀스 번호는 PDCP 계층 또는 SDAP 계층 또는 GTP 계층 이상의 프로토콜 계층에 포함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PDCP 계층에 제 2 시퀀스 번호를 추가하는 경우, 코어 네트워크 사용자 플레인에 의해 중복 전송되는 데이터 스트림에 대응하는 에어 인터페이스 데이터 무선 베어러는 다른 데이터 스트림을 전송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에어 인터페이스 데이터 무선 베어러가 상기 제 1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 2 기지국으로 전환한 후 또는 상기 제 2 기지국 측의 에어 인터페이스 데이터 무선 베어러가 확립된 후, 상기 제 2 기지국은 단말기에 하향 데이터를 송신하고, 여기서, 상기 제 2 기지국에 상기 제 2 코어 네트워크 요소로부터의 하향 데이터가 캐싱된 경우, 캐싱된 상기 제 2 코어 네트워크 요소로부터의 하향 데이터를 상기 단말기에 송신한다.
당업자는 도 7에 나타낸 세션 처리 장치의 각 유닛의 구현 기능은 상술한 세션 처리 방법의 관련된 설명을 참조하여 이해할 수 있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 7에 나타낸 세션 처리 장치의 각 유닛의 기능은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프로그램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구체적인 논리 회로에 의해 실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세션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 기능 모듈의 형태로 실현되고 독립된 제품으로 판매 또는 사용되는 경우, 하나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에 기억될 수 있다.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책의 본질 또는 종래 기술에 기여하는 부분은 하나의 기억 매체에 기억된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해당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일부 명령어를 포함하고, 하나의 컴퓨터 장치(개인용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장치일 수 있음)에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의 전부 또는 일부를 수행시킨다. 또한, 상기 기억 매체로서, USB 디스크, 이동식 하드디스크, 읽기 전용 메모리(ROM, Read Only Memory),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등의 프로그램 코드를 기억할 수 있는 다양한 매체를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특정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때 본 발명의 실시예의 상기 세션 처리 방법을 구현하는 컴퓨터 수행 가능한 명령어를 기억하는 컴퓨터 기억 매체도 제공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장치의 구성도이며, 해당 컴퓨터 장치는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 있고, 코어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도 있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컴퓨터 장치(100)는 하나 이상의(도면에는 하나만 되시됨) 프로세서(1002)(프로세서(1002)는 마이크로 프로세서(MCU, Micro Controller Unit) 또는 프로그래머블 로직 디바이스(FPG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처리 디바이스를 포함 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음),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메모리(1004) 및 통신 기능을 위한 전송 장치(1006)를 포함할 수 있다. 당업자는 도 8에 나타낸 구성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상술한 전자 장치의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장치(100)는 도 8에 나타낸 구성보다 많거나 적은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또는 도 8에 나타낸 구성과 상이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메모리(1004)는 애플리케이션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모듈,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방법에 대응하는 프로그램 명령어/모듈을 기억하는데 사용되될 수 있고, 프로세서(1002)는 메모리(1004)에 기억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모듈을 수행함으로써, 다양한 기능 응용 및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고, 즉, 상술한 방법을 구현한다. 메모리(1004)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자기 기억 장치, 플래시 메모리 또는 다른 비 휘발성 솔리드 스테이트 메모리 등의 비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메모리(1004)는 프로세서(1002)에 대해 원격적으로 설치된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원격적인 메모리는 네트워크를 통해 컴퓨터 장치(10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의 실시예로는 인터넷, 인트라넷, 로컬 영역 네트워크, 이동 통신 네트워크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송 장치(1006)는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 네트워크의 구체적인 실시예는 컴퓨터 장치(100)의 통신 사업자가 제공하는 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송 장치(1006)는 인터넷과 통신 가능한 기지국을 통해 다른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연결할 수 있는 네트워크 어댑터(NIC, Network Interface Controller)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전송 장치(1006)는 무선 방식으로 인터넷과 통신하는 무선 주파수(RF, Radio Frequency) 모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재한 기술적 해결책 사이는 충돌하지 않는 한 임의로 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일부 실시예에서 개시되는 방법 및 스마트 디바이스는 다른 방식으로 실현될 수 있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상의 디바이스의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예를 들어, 유닛의 분할은 단지 논리적 기능에 의한 분할이며, 실제 구현시 다른 분할 방식이 있을 수 있고, 예를 들어, 복수의 유닛 및 구성 요소를 조합하거나, 또는 다른 시스템에 통합하거나, 또는 일부 구성 요소를 생략하거나,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도시 또는 논의된 각각의 구성 요소는 전기적, 기계적, 또는 다른 형태에 의해 복수의 인터페이스, 디바이스 또는 유닛을 통해 서로 간 결합, 또는 직접 결합 또는 통신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분리 부품으로 설명된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또는 분리되지 않을 수 있고, 유닛으로 도시되는 부품은 물리적 유닛이거나, 또는 물리적 유닛이 아닐 수도 있고, 즉 한 곳에 위치될 수 있고, 복수의 네트워크 유닛에 분산되어 있을 수도 있고, 본 실시예의 해결책의 목적을 달성하는 유닛의 일부 또는 전부를 실제 필요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서 각각의 기능 유닛은 모두가 하나의 제 2 처리 유닛에 집적될 수 있고, 각각의 유닛은 각각 단독적으로 하나의 유닛으로 구성될 수 있고, 2 개 이상의 유닛은 하나의 유닛에 통합될 수도 있고, 상기 통합된 유닛은 하드웨어의 형태로 실현될 수 있고,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태로 실현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발명에 개시된 기술적 범위 내에서 쉽게 변경 또는 대체하는 것은,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Claims (83)

  1.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U, Protocol Data Unit) 세션 및 PDU 세션의 데이터 스트림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제 1 유형의 전송 과정 및 제 1 유형의 전환 과정 중 적어도 하나를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유형의 전송은 네트워크 측과 단말기 측이 복수의 경로를 통해 데이터 패킷에 대해 데이터 복제형 전송을 진행하는 것, 및 데이터 패킷에 대해 제 1 우선 순위의 전송을 진행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우선 순위의 전송은 전송하는 데이터 스트림이 지정한 한 그룹의 서비스 품질(QoS, Quality of Service)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것을 지칭하고,
    상기 제 1 유형의 전환 과정은 에어 인터페이스 데이터 무선 베어러가 제 1 기지국으로부터 제 2 기지국으로 전환하기 전에, 제 2 코어 네트워크 요소는 상기 제 1 기지국과의 제 1 경로의 확립 및 상기 제 2 기지국과의 제 2 경로의 확립을 완료하는 단계, 및 상기 에어 인터페이스 데이터 무선 베어러가 상기 제 1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 2 기지국으로 전환한 후에, 상기 제 2 코어 네트워크 요소는 상기 제 1 기지국과의 제 1 경로를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처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인터페이스 데이터 무선 베어러가 상기 제 1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 2 기지국으로 전환하는 과정은,
    단말기는 상기 제 1 기지국과의 에어 인터페이스 데이터 무선 베어러를 확립한 경우, 상기 에어 인터페이스 데이터 무선 베어러를 상기 제 1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 2 기지국으로 직접 전환하는 단계, 또는
    단말기는 상기 제 1 기지국과의 에어 인터페이스 데이터 무선 베어러를 확립한 경우, 상기 제 2 기지국과의 에어 인터페이스 데이터 무선 베어러를 동시에 확립한 후에, 상기 제 1 기지국 측의 에어 인터페이스 데이터 무선 베어러를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처리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제 3 코어 네트워크 요소는 상기 제 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전환 요청을 수신한 후에, 제 1 코어 네트워크 요소는 상기 제 3 코어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송신된 세션 확립 또는 수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전환 요청 메시지는 PDU 세션의 식별 정보 및 데이터 스트림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세션 확립 또는 수정 요청 메시지는 PDU 세션의 식별 정보 및 데이터 스트림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PDU 세션의 식별 정보는 상기 제 1 기지국 측의 PDU 세션의 식별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제 2 PDU 세션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PDU 세션과 상기 제 1 기지국 측의 PDU 세션은 제 1 연관 관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처리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코어 네트워크 요소는 상기 제 1 기지국과의 제 1 경로를 해제하는 단계는,
    단말기는 상기 제 1 기지국 측의 PDU 세션을 해제하는 요청 메시지를 상기 제 1 코어 네트워크 요소에 송신하고, 상기 제 1 코어 네트워크 요소는 상기 제 2 코어 네트워크 요소가 상기 제 1 기지국 측의 PDU 세션을 해제하도록 트리거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 1 코어 네트워크 요소는 상기 제 2 코어 네트워크 요소가 상기 제 1 기지국 측의 PDU 세션을 해제하도록 트리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처리 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2 기지국이 에어 인터페이스를 전환하는 과정에서, 제 1 코어 네트워크 요소는 상기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2 기지국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송신된 세션 확립 또는 수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전환 요청 메시지는 PDU 세션의 식별 정보 및 데이터 스트림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세션 확립 또는 수정 요청 메시지는 PDU 세션의 식별 정보 및 데이터 스트림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PDU 세션의 식별 정보는 상기 제 1 기지국 측의 PDU 세션의 식별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제 2 PDU 세션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PDU 세션과 상기 제 1 기지국 측의 PDU 세션은 제 1 연관 관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처리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지국과 상기 제 2 기지국이 에어 인터페이스를 전환하는 과정은, 상기 제 1 기지국은 상기 제 2 기지국에 전환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제 2 기지국은 상기 제 1 기지국에 전환 회신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2 기지국은 단말기 측의 에어 인터페이스 전환을 완료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기지국은 상기 제 1 기지국에 전환 회신 메시지를 송신한 후에, 상기 제 1 코어 네트워크 요소는 상기 제 2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세션 확립 또는 수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 및
    상기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2 기지국은 단말기 측의 에어 인터페이스 전환을 완료한 후에, 상기 제 1 코어 네트워크 요소는 상기 제 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세션 확립 또는 수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처리 방법.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코어 네트워크 요소는 상기 제 1 기지국과의 제 1 경로를 해제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기지국은 제 3 코어 네트워크 요소에 경로 전환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3 코어 네트워크 요소는 상기 제 1 코어 네트워크 요소에 세션 수정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제 1 코어 네트워크 요소는 상기 제 2 코어 네트워크 요소가 상기 제 1 기지국 측의 PDU 세션을 해제하도록 트리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처리 방법.
  8. 제 3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PDU 세션의 식별 정보 및 데이터 스트림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는 제 1 유형의 전환을 수행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처리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코어 네트워크 요소는 세션 확립 또는 수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세션 확립 또는 수정 요청 메시지는 PDU 세션의 식별 정보, 데이터 스트림 식별 정보, 슬라이스 선택 보조 정보(SNSSAI) 및 DNN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세션 확립 또는 수정 요청 메시지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PDU 세션 및 상기 PDU 세션의 데이터 스트림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제 1 유형의 전송 과정 및 제 1 유형의 전환 과정 중 적어도 하나를 진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처리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코어 네트워크 요소는 상기 세션 확립 또는 수정 요청 메시지의 SNSSAI, DNN, 제 1 폴리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PDU 세션 및 상기 PDU 세션의 데이터 스트림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제 1 유형의 전송 과정 및 제 1 유형의 전환 과정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제 1 폴리시는 적어도 한 그룹의 S-NSSAI 및 DNN 중 적어도 하나와 제 1 지시 정보 사이의 대응 관계 및 폴리시 중 적어도 하나와 과금 제어(PCC,Policy Control and Charging) 폴리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지시 정보는 제 1 유형의 전송 과정 및 제 1 유형의 전환 과정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처리 방법.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세션 확립 또는 수정 요청 메시지는 2 개의 PDU 세션의 식별 정보 및 데이터 스트림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코어 네트워크 요소는 상기 2 개의 PDU 세션의 식별 정보 및 데이터 스트림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2 개의 PDU 세션의 전부 또는 일부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해 상기 제 1 유형의 전송 과정 및 상기 제 1 유형의 전환 과정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한다고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처리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2 회의 세션 수립 또는 수정 요청을 시작하고, 제 1 회의 세션 확립 또는 수정 요청 메시지는 제 1 세션 식별자를 포함하고, 제 2 회의 세션 확립 또는 수정 요청 메시지는 제 1 세션 식별자 및 제 2 세션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 및 제 1 회의 세션 확립 또는 수정 요청 메시지는 제 1 데이터 스트림 식별자를 포함하고, 제 2 회의 세션 확립 또는 수정 요청 메시지는 제 1 데이터 스트림 식별자 및 제 2 데이터 스트림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처리 방법.
  13. 제 9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PDU 세션 식별자 및 데이터 스트림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는 제 1 유형의 전송 과정 및 제 1 유형의 전환 과정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제 1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처리 방법.
  14.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코어 네트워크 요소는 상기 PDU 세션의 식별 정보 및 데이터 스트림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제 1 유형의 전송 과정 및 제 1 유형의 전환 과정 중 적어도 하나의 진행 여부의 대응 관계를 기억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코어 네트워크 요소는 전환 요청을 매회 수신한 후에, 로컬에 기억된 PDU 세션의 식별 정보 및 데이터 스트림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제 1 유형의 전송 과정 및 제 1 유형 전환 과정 중 적어도 하나의 진행 여부의 대응 관계에 기초하여, PDU 세션 및 상기 PDU 세션의 데이터 스트림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제 1 유형의 전송 과정 및 제 1 유형의 전환 과정 중 적어도 하나를 진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처리 방법.
  15.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코어 네트워크 요소는 상기 PDU 세션 및 상기 PDU 세션의 데이터 스트림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제 1 유형의 전송 과정 및 제 1 유형의 전환 과정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것을 기지국에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처리 방법.
  16. 제 10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폴리시는 계약 정보 데이터 베이스(UDM), 폴리시 제어 네트워크 요소(PCF), 상기 제 1 코어 네트워크 요소 중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요소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처리 방법.
  17. 제 10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코어 네트워크 요소는 상기 세션 확립 또는 수정 요청 메시지의 정보, 제 1 폴리시 및, 상기 PDU 세션의 데이터 스트림의 QoS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PDU 세션 및 상기 PDU 세션의 데이터 스트림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제 1 유형의 전송 과정 및 제 1 유형의 전환 과정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처리 방법.
  18.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형의 전환 과정에서, 상기 제 1 기지국 측의 제 1 경로 및 상기 제 2 기지국 측의 제 2 경로에 동일한 IP 주소를 할당하고, 상기 제 1 기지국 측의 PDU 세션과 상기 제 2 기지국 측의 PDU 세션은 동일한 데이터 스트림 및 QoS 폴리시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처리 방법.
  19.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형의 전환 과정에서, 상기 제 1 기지국 측의 제 1 경로 및 상기 제 2 기지국 측의 제 2 경로에 상이한 IP 주소를 할당하고, 상기 제 1 기지국 측의 PDU 세션과 상기 제 2 기지국 측의 PDU 세션은 동일한 데이터 스트림 및 QoS 폴리시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처리 방법.
  20. 제 1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형의 전환 과정에서,
    상기 제 2 코어 네트워크 요소는 상기 제 1 기지국과의 제 1 경로의 확립 및 상기 제 2 기지국과의 제 2 경로의 확립을 완료한 후에, 하향 방향에서 상기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2 기지국에 동일한 데이터를 동시에 송신하는 것, 및 상향 방향에서 상기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2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동일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제 2 기지국은 상기 제 2 경로를 통해 상기 제 2 코어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송신된 하향 데이터를 수신한 후에, 상기 에어 인터페이스 데이터 무선 베어러가 상기 제 1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 2 기지국으로 전환하기 전에 또는 상기 제 2 기지국 측의 에어 인터페이스 데이터 무선 베어러가 확립되기 전에, 상기 하향 데이터를 캐싱 또는 파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처리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경로 및 제 2 경로는 동일한 PDU 세션에 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처리 방법.
  22. 제 1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제형 전송은 2 개의 상이한 경로에서 동일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처리 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2 개의 상이한 경로에서 동일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은,
    코어 네트워크 측에서 동일한 제 2 코어 네트워크 요소는 2 개의 상이한 경로에서 동일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또는 2 개의 상이한 제 2 코어 네트워크 요소는 2 개의 상이한 경로에서 동일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 및
    액세스 네트워크 측에서 동일한 기지국의 2 개의 상이한 데이터 베어러에 의해 동일한 데이터가 전송되거나, 또는 2 개의 상이한 기지국의 2 개의 상이한 데이터 베어러에 의해 동일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처리 방법.
  24. 제 22 항 또는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상이한 경로의 IP 주소는 상이 또는 동일하고, 상기 상이한 경로의 데이터 스트림 및 QoS 폴리시는 상이 또는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처리 방법.
  25. 제 23 항에 있어서,
    코어 네트워크 측에서 동일한 제 2 코어 네트워크 요소는 2 개의 상이한 경로에서 동일한 데이터를 전송하고, 액세스 네트워크 측에서 2 개의 상이한 기지국의 2 개의 상이한 데이터 베어러에 의해 동일한 데이터가 전송되는 경우,
    상기 제 2 코어 네트워크 요소는 상기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2 기지국에 동일한 하향 데이터 패킷을 동시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처리 방법.
  26. 제 20 항 내지 제 2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이한 경로에서 전송되는 데이터의 데이터 스트림 식별자는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처리 방법.
  27. 제 20 항 내지 제 2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이한 경로에서 전송되는 데이터의 데이터 스트림 식별자는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처리 방법.
  28. 제 20 항 또는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코어 네트워크 요소는 상기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2 기지국에 동시에 송신하는 동일한 하향 데이터 패킷에는 제 1 시퀀스 번호가 추가되고,
    하향 데이터 전송에 대해, 상기 제 1 기지국은 하향 데이터 패킷의 코어 네트워크 프로토콜의 한층의 제 1 시퀀스 번호와 에어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한층의 제 2 시퀀스 번호의 대응 관계를 상기 제 2 기지국에 통지하고, 상기 제 2 기지국은 수신된 데이터 패킷에서 상기 코어 네트워크 프로토콜의 한층의 제 1 시퀀스 번호를 해석하여 취득하고, 상기 제 1 시퀀스 번호와 상기 제 2 시퀀스 번호의 대응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시퀀스 번호에 대응하는 상기 제 2 시퀀스 번호를 단말기에 송신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제 2 시퀀스 번호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패킷을 재정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처리 방법.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지국은 하향 방향에서 수신된 데이터 패킷의 제 1 시퀀스 번호가 상기 대응 관계의 제 1 시퀀스 번호와 상이한 경우, 상기 제 2 기지국은 상기 대응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패킷의 제 1 시퀀스 번호에 대응하는 제 2 시퀀스 번호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처리 방법.
  30. 제 28 항 또는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 관계는 상기 제 1 기지국에 의해 코어 네트워크 요소를 통해 상기 제 2 기지국에 투명하게 전송되거나, 또는 상기 대응 관계는 상기 제 1 기지국에 의해 기지국 사이의 직접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 2 기지국에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처리 방법.
  31. 제 20 항 또는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2 기지국에 동시에 송신하는 동일한 상향 데이터 패킷에는 제 2 시퀀스 번호가 추가되고,
    상향 데이터 전송에 대해, 상기 제 1 기지국은 상향 데이터 패킷의 에어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한층의 제 2 시퀀스 번호와 코어 네트워크 프로토콜의 한층의 제 1 시퀀스 번호의 대응 관계를 상기 제 2 기지국에 통지하고, 상기 제 2 기지국은 수신된 데이터 패킷에서 상기 에어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한층의 제 2 시퀀스 번호를 해석하여 취득하고, 상기 제 2 시퀀스 번호와 상기 제 1 시퀀스 번호의 대응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시퀀스 번호에 대응하는 상기 제 1 시퀀스 번호를 제 2 코어 네트워크 요소에 송신하고, 상기 제 2 코어 네트워크 요소는 상기 제 1 시퀀스 번호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패킷을 재정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처리 방법.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지국이 상향 방향에서 수신한 데이터 패킷의 제 2 시퀀스 번호가 상기 대응 관계의 제 2 시퀀스 번호와 상이한 경우, 상기 제 2 기지국은 상기 대응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패킷의 제 2 시퀀스 번호에 대응하는 제 1 시퀀스 번호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처리 방법.
  33. 제 31 항 또는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 관계는 상기 제 1 기지국에 의해 코어 네트워크 요소를 통해 상기 제 2 기지국에 투명하게 전송되거나, 또는 상기 대응 관계는 상기 제 1 기지국에 의해 기지국 사이의 직접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 2 기지국에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처리 방법.
  34. 제 28 항 내지 제 3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한층은 PDCP 계층 및 SDAP 계층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 네트워크 프로토콜의 한층은 GTP 계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처리 방법.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PDCP 계층에 제 2 시퀀스 번호를 추가하는 경우, 코어 네트워크 사용자 플레인에 의해 중복 전송되는 데이터 스트림에 대응하는 에어 인터페이스 데이터 무선 베어러는 다른 데이터 스트림을 전송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처리 방법.
  36.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지국은 Xn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 1 시퀀스 번호와 상기 제 2 시퀀스 번호의 대응 관계를 상기 제 2 기지국에 통지하거나, 또는
    상기 제 1 기지국은 N2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 1 시퀀스 번호와 상기 제 2 시퀀스 번호의 대응 관계를 코어 네트워크에 송신하고, 상기 코어 네트워크는 상기 제 1 시퀀스 번호와 상기 제 2 시퀀스 번호의 대응 관계를 상기 제 2 기지국에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제 1 기지국은 무선 인터페이스 메시지를 통해 상기 제 1 시퀀스 번호와 상기 제 2 시퀀스 번호의 대응 관계를 상기 제 2 기지국에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처리 방법.
  37.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지국은 하향 데이터 패킷을 수신한 후에, 상기 데이터 패킷에서 상기 제 1 시퀀스 번호를 해석하여 취득하고, 에어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한층의 제 2 시퀀스 번호를 통해 상기 데이터 패킷을 재정렬하고, 상기 데이터 패킷의 제 1 시퀀스 번호와 상기 제 2 시퀀스 번호의 대응 관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처리 방법.
  38. 제 20 항 또는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코어 네트워크 요소는 상기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2 기지국에 동시에 송신하는 동일한 하향 데이터 패킷에는 제 1 시퀀스 번호가 추가되고,
    하향 데이터 전송에 대해, 상기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2 기지국 중 적어도 하나는 하향 데이터 패킷을 수신한 후에, 상기 하향 데이터 패킷의 상기 제 1 시퀀스 번호를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하향 데이터 패킷에서 상기 제 1 시퀀스 번호를 해석하여 취득하고, 상기 제 1 시퀀스 번호에 기초하여 상기 하향 데이터 패킷을 재정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처리 방법.
  39. 제 20 항 또는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2 기지국에 동시에 송신하는 동일한 상향 데이터 패킷에는 제 1 시퀀스 번호가 추가되고,
    상향 데이터 전송에 대해, 상기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2 기지국 중 적어도 하나는 상향 데이터 패킷을 수신한 후에, 상기 상향 데이터 패킷의 상기 제 1 시퀀스 번호가 상기 제 2 코어 네트워크 요소에 전송되며, 상기 제 2 코어 네트워크 요소는 상기 상향 데이터 패킷에서 상기 제 1 시퀀스 번호를 해석하여 취득하고, 상기 제 1 시퀀스 번호에 기초하여 상기 상향 데이터 패킷을 재정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처리 방법.
  40. 제 38 항 또는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패킷의 제 1 시퀀스 번호는 PDCP 계층 또는 SDAP 계층 또는 GTP 계층 이상의 프로토콜 계층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처리 방법.
  41. 제 20 항 내지 제 4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인터페이스 데이터 무선 베어러가 상기 제 1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 2 기지국으로 전환한 후에 또는 상기 제 2 기지국 측의 에어 인터페이스 데이터 무선 베어러가 확립된 후에, 상기 제 2 기지국은 단말기에 하향 데이터를 송신하고,
    상기 제 2 기지국에 상기 제 2 코어 네트워크 요소로부터의 하향 데이터가 캐싱된 경우, 캐싱된 상기 제 2 코어 네트워크 요소로부터의 하향 데이터를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처리 방법.
  42. PDU 세션 및 PDU 세션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해 제 1 유형의 전송 과정 및 제 1 유형의 전환 과정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유형의 전송은 네트워크 측과 단말기 측이 복수의 경로를 통해 데이터 패킷에 대해 데이터 복제형 전송을 진행하는 것, 및 데이터 패킷에 대해 제 1 우선 순위의 전송을 진행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우선 순위의 전송은 전송하는 데이터 스트림이 지정한 한 그룹의 QoS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것을 지칭하고,
    상기 제 1 유형의 전환 과정은 에어 인터페이스 데이터 무선 베어러가 제 1 기지국으로부터 제 2 기지국으로 전환하기 전에, 제 2 코어 네트워크 요소는 상기 제 1 기지국과의 제 1 경로의 확립 및 상기 제 2 기지국과의 제 2 경로의 확립을 완료하고, 상기 에어 인터페이스 데이터 무선 베어러가 상기 제 1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 2 기지국으로 전환한 후에, 상기 제 2 코어 네트워크 요소는 상기 제 1 기지국과의 제 1 경로를 해제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처리 장치.
  43.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인터페이스 데이터 무선 베어러가 상기 제 1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 2 기지국으로 전환하는 과정은,
    단말기는 상기 제 1 기지국과의 에어 인터페이스 데이터 무선 베어러를 확립한 경우, 상기 에어 인터페이스 데이터 무선 베어러를 상기 제 1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 2 기지국으로 직접 전환하거나, 또는
    단말기는 상기 제 1 기지국과의 에어 인터페이스 데이터 무선 베어러를 확립한 경우, 상기 제 2 기지국과의 에어 인터페이스 데이터 무선 베어러를 동시에 확립한 후에, 상기 제 1 기지국 측의 에어 인터페이스 데이터 무선 베어러를 해제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처리 장치.
  44. 제 42 항 또는 제 43 항에 있어서,
    수신 유닛을 더 포함하고, 제 3 코어 네트워크 요소는 상기 제 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전환 요청을 수신한 후에, 상기 수신 유닛은 상기 제 3 코어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송신된 세션 확립 또는 수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전환 요청 메시지는 PDU 세션의 식별 정보 및 데이터 스트림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세션 확립 또는 수정 요청 메시지는 PDU 세션의 식별 정보 및 데이터 스트림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PDU 세션의 식별 정보는 상기 제 1 기지국 측의 PDU 세션의 식별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제 2 PDU 세션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PDU 세션과 상기 제 1 기지국 측의 PDU 세션은 제 1 연관 관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처리 장치.
  45.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코어 네트워크 요소는 상기 제 1 기지국과의 제 1 경로를 해제하는 것은,
    단말기는 상기 제 1 기지국 측의 PDU 세션을 해제하는 요청 메시지를 상기 제 1 코어 네트워크 요소에 송신하고, 상기 제 1 코어 네트워크 요소는 상기 제 2 코어 네트워크 요소가 상기 제 1 기지국 측의 PDU 세션을 해제하도록 트리거하거나, 또는,
    상기 제 1 코어 네트워크 요소는 상기 제 2 코어 네트워크 요소가 상기 제 1 기지국 측의 PDU 세션을 해제하도록 트리거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처리 장치.
  46. 제 42 항 또는 제 43 항에 있어서,
    수신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기지국과 상기 제 2 기지국이 무선 인터페이스 전환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상기 수신 유닛은 상기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2 기지국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송신된 세션 확립 또는 수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전환 요청 메시지는 PDU 세션의 식별 정보 및 데이터 스트림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세션 확립 또는 수정 요청 메시지는 PDU 세션의 식별 정보 및 데이터 스트림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PDU 세션의 식별 정보는 상기 제 1 기지국 측의 PDU 세션의 식별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제 2 PDU 세션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PDU 세션과 상기 제 1 기지국 측의 PDU 세션은 제 1 연관 관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처리 장치.
  47.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지국과 상기 제 2 기지국이 에어 인터페이스를 전환하는 과정은, 상기 제 1 기지국은 상기 제 2 기지국에 전환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제 2 기지국은 상기 제 1 기지국에 전환 회신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2 기지국은 단말기 측의 에어 인터페이스 전환을 완료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기지국은 상기 제 1 기지국에 전환 회신 메시지를 송신한 후에, 상기 수신 유닛은 상기 제 2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세션 확립 또는 수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 및
    상기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2 기지국은 단말기 측의 에어 인터페이스 전환을 완료한 후에, 상기 수신 유닛은 상기 제 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세션 확립 또는 수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처리 장치.
  48. 제 46 항 또는 제 4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코어 네트워크 요소는 상기 제 1 기지국과의 제 1 경로를 해제하는 것은,
    상기 제 2 기지국은 제 3 코어 네트워크 요소에 경로 전환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제 3 코어 네트워크 요소는 상기 제 1 코어 네트워크 요소에 세션 수정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제 1 코어 네트워크 요소는 상기 제 2 코어 네트워크 요소가 상기 제 1 기지국 측의 PDU 세션을 해제하도록 트리거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처리 장치.
  49. 제 44 항 내지 제 4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PDU 세션의 식별 정보 및 데이터 스트림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는 제 1 유형의 전환을 수행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처리 장치.
  50. 제 42 항 내지 제 4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세션 확립 또는 수정 요청 메시지는 PDU 세션의 식별 정보, 데이터 스트림 식별 정보, 슬라이스 선택 보조 정보(SNSSAI) 및 DNN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세션 확립 또는 수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 유닛과,
    상기 세션 확립 또는 수정 요청 메시지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PDU 세션 및 상기 PDU 세션의 데이터 스트림 중의 적어도 하나에 대해 제 1 유형의 전송 및 제 1 유형의 전환 과정을 진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결정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처리 장치.
  51. 제 50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유닛은 상기 세션 확립 또는 수정 요청 메시지의 SNSSAI, DNN 및 제 1 폴리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PDU 세션 및 상기 PDU 세션의 데이터 스트림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제 1 유형 전송 과정 및 제 1 유형의 전환 과정 중 적어도 하나를 진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폴리시는 적어도 한 그룹의 S-NSSAI 및 DNN 중 적어도 하나와 제 1 지시 정보 사이의 대응 관계 및 PCC 폴리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지시 정보는 제 1 유형의 전송 과정 및 제 1 유형의 전환 과정 중 적어도 하나를 진행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처리 장치.
  52. 제 50 항 또는 제 5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션 확립 또는 수정 요청 메시지는 2 개의 PDU 세션의 식별 정보 및 데이터 스트림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코어 네트워크 요소는 상기 2 개의 PDU 세션의 식별 정보 및 데이터 스트림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2 개의 PDU 세션의 전부 또는 일부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해 상기 제 1 유형의 전송 과정 및 상기 제 1 유형의 전환 과정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한다고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처리 장치.
  53. 제 5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2 회의 세션 확립 또는 업데이트 요청을 시작하고, 제 1 회의 세션 확립 또는 수정 요청 메시지는 제 1 세션 식별자를 포함하고, 제 2 회의 세션 확립 또는 수정 요청 메시지는 제 1 세션 식별자 및 제 2 세션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 및 제 1 회의 세션 확립 또는 수정 요청 메시지는 제 1 데이터 스트림 식별자를 포함하고, 제 2 회의 세션 확립 또는 수정 요청 메시지는 제 1 데이터 스트림 식별자 및 제 2 데이터 스트림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처리 장치.
  54. 제 50 항 내지 제 5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PDU 세션 식별자 및 데이터 스트림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는 제 1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정보는 제 1 유형의 전송 과정 및 제 1 유형의 전환 과정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처리 장치.
  55. 제 50 항 또는 제 51 항에 있어서,
    상기 PDU 세션의 식별 정보 및 데이터 스트림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제 1 유형의 전송 과정 및 제 1 유형의 전환 과정 중 적어도 하나의 진행 여부의 대응 관계를 기억하도록 구성되는 기억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결정 유닛은 또한 상기 수신 유닛이 전환 요청을 수신한 후에, 로컬에 기억된 PDU 세션의 식별 정보 및 데이터 스트림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제 1 유형의 전송 과정 및 제 1 유형 전환 과정 중 적어도 하나의 진행 여부의 대응 관계에 기초하여, PDU 세션 및 상기 PDU 세션의 데이터 스트림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제 1 유형의 전송 과정 및 제 1 유형의 전환 과정 중 적어도 하나를 진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처리 장치.
  56. 제 50 항 또는 제 5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코어 네트워크 요소는 상기 PDU 세션 및 상기 PDU 세션의 데이터 스트림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제 1 유형의 전송 과정 및 제 1 유형의 전환 과정 중 적어도 하나를 진행하는 것을 기지국에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처리 장치.
  57. 제 51 항 내지 제 5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폴리시는 계약 정보 데이터 베이스(UDM), 폴리시 제어 네트워크 요소(PCF), 상기 제 1 코어 네트워크 요소 중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요소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처리 장치.
  58. 제 51 항 내지 제 5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유닛은 상기 세션 확립 또는 수정 요청 메시지의 정보, 제 1 폴리시 및 상기 PDU 세션의 데이터 스트림의 QoS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PDU 세션 및 상기 PDU 세션의 데이터 스트림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제 1 유형의 전송 과정 및 제 1 유형의 전환 과정 중 적어도 하나를 진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처리 장치.
  59. 제 42 항 내지 제 5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형의 전환 과정에서, 상기 제 1 기지국 측의 제 1 경로 및 상기 제 2 기지국 측의 제 2 경로에 동일한 IP 주소를 할당하고, 상기 제 1 기지국 측의 PDU 세션과 상기 제 2 기지국 측의 PDU 세션은 동일한 데이터 스트림 및 QoS 폴리시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처리 장치.
  60. 제 42 항 내지 제 5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형의 전환 과정에서, 상기 제 1 기지국 측의 제 1 경로 및 상기 제 2 기지국 측의 제 2 경로에 상이한 IP 주소를 할당하고, 상기 제 1 기지국 측의 PDU 세션과 상기 제 2 기지국 측의 PDU 세션은 동일한 데이터 스트림 및 QoS 폴리시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처리 장치.
  61. 제 42 항 내지 제 6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형의 전환 과정에서
    상기 제 2 코어 네트워크 요소는 상기 제 1 기지국과의 제 1 경로의 확립 및 상기 제 2 기지국과의 제 2 경로의 확립을 완료한 후에, 하향 방향에서 상기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2 기지국에 동일한 데이터를 동시에 송신하는 것, 및 상향 방향에서 상기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2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동일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제 2 기지국은 상기 제 2 경로를 통해 상기 제 2 코어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송신된 하향 데이터를 수신한 후에, 상기 에어 인터페이스 데이터 무선 베어러가 상기 제 1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 2 기지국으로 전환하기 전에 또는 상기 제 2 기지국 측의 에어 인터페이스 데이터 무선 베어러가 확립되기 전에, 상기 하향 데이터를 캐싱 또는 파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처리 장치.
  62. 제 6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경로 및 제 2 경로는 동일한 PDU 세션에 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처리 장치.
  63. 제 42 항 내지 제 6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제형 전송은 2 개의 상이한 경로에서 동일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처리 장치.
  64. 제 63 항에 있어서,
    상기 2 개의 상이한 경로에서 동일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은,
    코어 네트워크 측에서 동일한 제 2 코어 네트워크 요소는 2 개의 상이한 경로에서 동일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또는 2 개의 상이한 제 2 코어 네트워크 요소는 2 개의 상이한 경로에서 동일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 및
    액세스 네트워크 측에서 동일한 기지국의 2 개의 상이한 데이터 베어러에 의해 동일한 데이터가 전송되거나, 또는 2 개의 상이한 기지국의 2 개의 상이한 데이터 베어러에 의해 동일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처리 장치.
  65. 제 63 항 또는 제 64 항에 있어서,
    상기 상이한 경로의 IP 주소는 상이 또는 동일하고,
    상기 상이한 경로의 데이터 스트림과 QoS 폴리시는 상이 또는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처리 장치.
  66. 제 64 항에 있어서,
    코어 네트워크 측에서 동일한 제 2 코어 네트워크 요소는 2 개의 상이한 경로에서 동일한 데이터를 전송하고, 액세스 네트워크 측에서 2 개의 상이한 기지국의 2 개의 상이한 데이터 베어러에 의해 동일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상기 제 2 코어 네트워크 요소는 상기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2 기지국에 하향 데이터 패킷을 동시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처리 장치.
  67. 제 61 항 내지 제 6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이한 경로에서 전송되는 데이터의 데이터 스트림 식별자는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처리 장치.
  68. 제 61 항 내지 제 6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이한 경로에서 전송되는 데이터의 데이터 스트림 식별자는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처리 장치.
  69. 제 61 항 또는 제 6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코어 네트워크 요소는 상기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2 기지국에 동시에 송신하는 동일한 하향 데이터 패킷에는 제 1 시퀀스 번호가 추가되고,
    하향 데이터 전송에 대해, 상기 제 1 기지국은 하향 데이터 패킷의 코어 네트워크 프로토콜의 한층의 제 1 시퀀스 번호와 에어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한층의 제 2 시퀀스 번호의 대응 관계를 상기 제 2 기지국에 통지하고, 상기 제 2 기지국은 수신된 데이터 패킷에서 상기 코어 네트워크 프로토콜의 한층의 제 1 시퀀스 번호를 해석하여 취득하고, 상기 제 1 시퀀스 번호와 상기 제 2 시퀀스 번호의 대응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시퀀스 번호에 대응하는 상기 제 2 시퀀스 번호를 단말기에 송신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제 2 시퀀스 번호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패킷을 재정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처리 장치.
  70. 제 6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지국이 하향 방향에서 수신된 데이터 패킷의 제 1 시퀀스 번호가 상기 대응 관계의 제 1 시퀀스 번호와 상이한 경우, 상기 제 2 기지국은 상기 대응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패킷의 제 1 시퀀스 번호에 대응하는 제 2 시퀀스 번호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처리 장치.
  71. 제 69 항 또는 제 70 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 관계는 상기 제 1 기지국에 의해 코어 네트워크 요소를 통해 상기 제 2 기지국에 투명하게 전송되거나, 또는 상기 대응 관계는 상기 제 1 기지국에 의해 기지국 사이의 직접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 2 기지국에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처리 장치.
  72. 제 61 항 또는 제 66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2 기지국에 동시에 송신하는 동일한 상향 데이터 패킷에는 제 2 시퀀스 번호가 추가되고,
    상향 데이터 전송에 대해, 상기 제 1 기지국은 상향 데이터 패킷의 에어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한층의 제 2 시퀀스 번호와 코어 네트워크 프로토콜의 한층의 제 1 시퀀스 번호의 대응 관계를 상기 제 2 기지국에 통지하고, 상기 제 2 기지국은 수신된 데이터 패킷에서 상기 에어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한층의 제 2 시퀀스 번호를 해석하여 취득하고, 상기 제 2 시퀀스 번호와 상기 제 1 시퀀스 번호의 대응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시퀀스 번호에 대응하는 상기 제 1 시퀀스 번호를 제 2 코어 네트워크 요소에 송신하고, 상기 제 2 코어 네트워크 요소는 상기 제 1 시퀀스 번호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패킷을 재정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처리 장치.
  73. 제 7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지국이 상향 방향에서 수신한 데이터 패킷의 제 2 시퀀스 번호가 상기 대응 관계의 제 2 시퀀스 번호와 상이한 경우, 상기 제 2 기지국은 상기 대응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패킷의 제 2 시퀀스 번호에 대응하는 제 1 시퀀스 번호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처리 장치.
  74. 제 72 항 또는 제 73 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 관계는 상기 제 1 기지국에 의해 코어 네트워크 요소를 통해 상기 제 2 기지국에 투명하게 전송되거나, 또는 상기 대응 관계는 상기 제 1 기지국에 의해 기지국 사이의 직접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 2 기지국에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처리 장치.
  75. 제 69 항 내지 제 7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한층은 PDCP 계층 및 SDAP 계층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 네트워크 프로토콜의 한층은 GTP 계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처리 장치.
  76. 제 75 항에 있어서,
    상기 PDCP 계층에 제 2 시퀀스 번호를 추가하는 경우, 코어 네트워크 사용자 플레인에 의해 중복 전송되는 데이터 스트림에 대응하는 에어 인터페이스 데이터 무선 베어러는 다른 데이터 스트림을 전송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처리 장치.
  77. 제 6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지국은 Xn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 1 시퀀스 번호와 상기 제 2 시퀀스 번호의 대응 관계를 상기 제 2 기지국에 통지하거나, 또는
    상기 제 1 기지국은 N2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 1 시퀀스 번호와 상기 제 2 시퀀스 번호의 대응 관계를 코어 네트워크에 송신하고, 상기 코어 네트워크는 상기 제 1 시퀀스 번호와 상기 제 2 시퀀스 번호의 대응 관계를 상기 제 2 기지국에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제 1 기지국은 무선 인터페이스 메시지를 통해 상기 제 1 시퀀스 번호와 상기 제 2 시퀀스 번호의 대응 관계를 상기 제 2 기지국에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처리 장치.
  78. 제 6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지국이 상기 하향 데이터 패킷을 수신한 후에, 상기 데이터 패킷에서 상기 제 1 시퀀스 번호를 해석하여 취득하고, 에어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한층의 제 2 시퀀스 번호를 통해 상기 데이터 패킷을 재정렬하고, 상기 데이터 패킷의 제 1 시퀀스 번호와 상기 제 2 시퀀스 번호의 대응 관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처리 장치.
  79. 제 61 항 또는 제 6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코어 네트워크 요소는 상기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2 기지국에 동시에 송신하는 동일한 하향 데이터 패킷에는 제 1 시퀀스 번호가 추가되고,
    하향 데이터 전송에 대해, 상기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2 기지국 중 적어도 하나가 하향 데이터 패킷을 수신한 후에, 상기 하향 데이터 패킷의 상기 제 1 시퀀스 번호가 상기 단말기에 전송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하향 데이터 패킷에서 상기 제 1 시퀀스 번호를 해석하여 취득하고, 상기 제 1 시퀀스 번호에 기초하여 상기 하향 데이터 패킷을 재정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처리 장치.
  80. 제 61 항 또는 제 66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2 기지국에 동시에 송신하는 동일한 상향 데이터 패킷에는 제 1 시퀀스 번호가 포함되고,
    상향 데이터 전송에 대해, 상기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2 기지국 중 적어도 하나가 상향 데이터 패킷을 수신한 후에, 상기 상향 데이터 패킷의 상기 제 1 시퀀스 번호가 상기 제 2 코어 네트워크 요소에 전송되고, 상기 제 2 코어 네트워크 요소는 상기 상향 데이터 패킷에서 상기 제 1 시퀀스 번호를 해석하여 취득하고, 상기 제 1 시퀀스 번호에 기초하여 상기 상향 데이터 패킷을 재정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처리 장치.
  81. 제 79 항 또는 제 80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패킷의 제 1 시퀀스 번호는 PDCP 계층 또는 SDAP 계층 또는 GTP 계층 이상의 프로토콜 계층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처리 장치.
  82. 제 61 항 내지 제 8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인터페이스 데이터 무선 베어러가 상기 제 1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 2 기지국으로 전환한 후 또는 상기 제 2 기지국 측의 에어 인터페이스 데이터 무선 베어러가 확립된 후, 상기 제 2 기지국은 단말기에 하향 데이터를 송신하고, 상기 제 2 기지국에 상기 제 2 코어 네트워크 요소로부터의 하향 데이터가 캐싱된 경우, 캐싱된 상기 제 2 코어 네트워크 요소로부터의 하향 데이터를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처리 장치.
  83.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때 제 1 항 내지 제 41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는 컴퓨터 수행 가능한 명령어를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기억 매체.

KR1020207030374A 2018-05-21 2018-11-20 세션 처리 방법, 장치 및 컴퓨터 기억 매체 KR2021001085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0491348.3 2018-05-21
CN201810491348 2018-05-21
CN201810621962.7 2018-06-15
CN201810621962 2018-06-15
CN201810664945.1 2018-06-25
CN201810664945 2018-06-25
CN201810924672.X 2018-08-14
CN201810924672 2018-08-14
PCT/CN2018/116549 WO2019223267A1 (zh) 2018-05-21 2018-11-20 一种会话处理方法及装置、计算机存储介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0851A true KR20210010851A (ko) 2021-01-28

Family

ID=68615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0374A KR20210010851A (ko) 2018-05-21 2018-11-20 세션 처리 방법, 장치 및 컴퓨터 기억 매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627508B2 (ko)
EP (1) EP3761703B1 (ko)
JP (1) JP2021525015A (ko)
KR (1) KR20210010851A (ko)
CN (2) CN111757405B (ko)
AU (1) AU2018424780A1 (ko)
TW (1) TW202005435A (ko)
WO (1) WO20192232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61703B1 (en) 2018-05-21 2023-06-28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Session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computer storage medium
CN113507718B (zh) 2018-06-25 2023-11-10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和通信装置
WO2020127522A2 (en) * 2018-12-20 2020-06-25 Sony Corporation Telecommunications apparatus and methods
CN111586769B (zh) * 2019-02-15 2021-10-15 华为技术有限公司 无线通信系统中的切换方法、装置及系统
CN113825181B (zh) * 2020-06-18 2023-08-15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研究院 切片管理方法、装置、接入网设备及核心网设备
CN111953618B (zh) * 2020-08-21 2022-07-19 锐捷网络股份有限公司 一种多级并行交换架构下的解乱序方法、装置及系统
CN116325900A (zh) * 2020-10-22 2023-06-2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及装置
TWI822066B (zh) * 2022-01-11 2023-11-11 啟碁科技股份有限公司 通訊設備及其自適應服務品質設置方法
WO2023141909A1 (zh) * 2022-01-27 2023-08-0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无线通信方法、远端ue以及网元
CN114599066A (zh) * 2022-01-29 2022-06-07 北京全路通信信号研究设计院集团有限公司 一种基于无线网络的无线闭塞中心切换方法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95114A1 (en) * 2006-10-21 2008-04-24 Toshiba America Research, Inc. Key Caching, QoS and Multicast Extensions to Media-Independent Pre-Authentication
CN102387557B (zh) * 2010-08-30 2014-09-17 华为技术有限公司 反向单一无线语音呼叫连续性的处理方法、设备及系统
EP2835925B1 (en) * 2013-08-09 2018-08-08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Efficient Status Reporting for UEs in dual connectivity during mobility
CN104822169B (zh) * 2014-01-30 2019-01-25 上海诺基亚贝尔股份有限公司 用于为用户设备的切换提供服务的方法、基站和双连接系统
CN104935414B (zh) * 2014-03-21 2019-05-24 上海诺基亚贝尔股份有限公司 一种在双连接系统中传输信息的方法和装置
CN105450367A (zh) * 2014-09-01 2016-03-30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进行数据传输的方法和设备
US10772021B2 (en) * 2014-12-05 2020-09-08 Qualcomm Incorporated Low latency and/or enhanced component carrier discovery for services and handover
US10244444B2 (en) * 2015-03-04 2019-03-26 Qualcomm Incorporated Dual link handover
KR20180038716A (ko) * 2016-10-07 2018-04-17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의 시그널링 메시지를 Network Function 간 전달하는 방안
GB2555445B (en) * 2016-10-28 2020-07-15 Canon Kk Multi-copy data transmission with rate adaptation
EP3761703B1 (en) 2018-05-21 2023-06-28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Session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computer storage medi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223267A1 (zh) 2019-11-28
TW202005435A (zh) 2020-01-16
CN111757405B (zh) 2021-11-16
JP2021525015A (ja) 2021-09-16
EP3761703A1 (en) 2021-01-06
EP3761703A4 (en) 2021-05-05
US11627508B2 (en) 2023-04-11
CN111757405A (zh) 2020-10-09
CN111247833A (zh) 2020-06-05
US20210014756A1 (en) 2021-01-14
EP3761703B1 (en) 2023-06-28
AU2018424780A1 (en) 2020-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10851A (ko) 세션 처리 방법, 장치 및 컴퓨터 기억 매체
US1180556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itiating user plane path re-establishment and communications system
CN108738086B (zh) 一种用户面重选的方法及装置
CN108811011B (zh) 一种会话管理方法、网络设备和通信系统
CN109600802B (zh) 数据传输方法、相关设备及系统
CN109246747B (zh) 前向接口的建立方法、ue接入方法、ue切换方法及装置
CN112740824A (zh) 恢复请求随后释放和重定向
WO2015184889A1 (zh) 一种用户设备切换基站的方法及基站、用户设备
US20090279507A1 (en) Communication device and handover method
US10624145B2 (en) Service transmission method, apparatus, and device
CN111510977B (zh) 一种移动性管理方法及装置
TWI500336B (zh) 針對使用者裝置在異質無線網路中維持服務連續性傳輸之系統結構及其傳輸方法
CN111629406A (zh) 一种切换处理的方法、相关设备、程序产品以及存储介质
WO2021228066A1 (zh) 一种通信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2789839B (zh) 一种数据包处理方法、设备及存储介质
CN111903154B (zh) 无线通信的方法和设备
CN111836402A (zh) 一种数据传输方法及装置
CN111918354B (zh) 数据切换无损失处理方法、系统及介质
WO2022056863A1 (zh) 一种切换方法及装置
JP2021516468A (ja) ハンドオーバ処理方法、ネットワーク装置、端末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記憶媒体
WO2024000110A1 (zh) 一种小区切换方法及装置、终端设备、网络设备
US20230362740A1 (en) 5g multicast broadcast service handover
WO2023245346A1 (en) Methods and apparatus to set mrb configuration for ue to receive mbs multicast in rrc inactive state
WO2022205252A1 (zh) 发送和接收信号的方法、装置和通信系统
CN116170864A (zh) 一种用于建立连接的方法和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