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9968A - 송아지 발굽 굴곡 교정기 및 그 교정기를 이용한 송아지 발굽 교정방법 - Google Patents

송아지 발굽 굴곡 교정기 및 그 교정기를 이용한 송아지 발굽 교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9968A
KR20210009968A KR1020190087210A KR20190087210A KR20210009968A KR 20210009968 A KR20210009968 A KR 20210009968A KR 1020190087210 A KR1020190087210 A KR 1020190087210A KR 20190087210 A KR20190087210 A KR 20190087210A KR 20210009968 A KR20210009968 A KR 202100099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f
hoof
support
foot
corr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7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0108B1 (ko
Inventor
윤성우
안희영
Original Assignee
윤성우
안희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성우, 안희영 filed Critical 윤성우
Priority to KR10201900872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0108B1/ko
Priority to PCT/KR2019/009454 priority patent/WO2021010537A1/ko
Publication of KR20210009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99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01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01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DVETERINARY INSTRUMENTS, IMPLEMENTS, TOOLS, OR METHODS
    • A61D9/00Bandages, poultices, compresses specially adapted to veterinary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01K13/006Protective coverings
    • A01K13/007Leg, hoof or foot protect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송아지 발굽 굴곡 교정기 및 그 교정기를 이용한 송아지 발굽 교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송아지의 발을 제1,2보조대(100, 200)의 하부에 배치하되, 송아지 발굽을 고정부(140)에 안착시키고 송아지 발굽 사이로 제1조임부재(130)를 위치시키는 송아지발배치단계(S100); 상기 제1보조대(100)의 제1조임부재(130)를 조임하여 발굽을 완전히 고정시키고, 상기 제2보조대(200)의 고정수단(240)을 이용하여 송아지의 발목부분을 고정하는 송아지발고정단계(S200); 지지대(300)의 일측을 상기 제1보조대(100)의 삽입부(110)에 삽입시키고 상기 지지대(300)의 결합홀(320)에 제2조임부재(230)의 상부를 인입시키는 조임부구성단계(S300); 송아지 발목 굴곡 상태에 따라서 상기 제2조임부재(230)를 선택적으로 조임하여 교정하는 송아지발교정단계(S400); 로 이루어져,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제작이 간편하고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무엇보다 송아지의 발을 교정할 시, 다수의 지지대들을 교체하여 교정할 수 있게 되어 종래에서처럼 조임부재를 길게 형성하지 않아 교정기를 착용한 송아지로 하여금 활동의 불편함을 억제하는 한편, 조임부재로 상처 등에 전혀 발생하지 않는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라 하겠다.

Description

송아지 발굽 굴곡 교정기 및 그 교정기를 이용한 송아지 발굽 교정방법{Calibrating calf hooves using calf hoof corrugator and its braces}
본 발명은 송아지 발굽 굴곡 교정기 및 그 교정기를 이용한 송아지 발굽 교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송아지의 건위축증을 치료 시 송아지의 발을 고정한 후 다수의 지지대를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그 각도를 조절(결정)하면서 교정할 수 있도록 하는 송아지 발굽 굴곡 교정기 및 그 교정기를 이용한 송아지 발굽 교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송아지 건위축증 상태로 태어나는 이유로는 학술적으로 명확하게 밝혀지고 있지는 않지만 가장 유력한 가설은 큰 송아지 출산으로의 개량과정에서 어미소의 복강 용적이 송아지(태아)의 크기보다 상대적으로 작아서 복강내에서 태아의 운동의 제약적 환경 때문이라는 가설이 제일 많이 인정되고 있다.(백근병과는 별개로 임상에서 다르고 있음)
동물에서는 드물게 개에서 사람의 근 위축증과 유사한 증예상을 볼 수 있으며, 소, 말, 면양, 돼지에서는 셀레늄이나 비타민E의 결핍에 의한 영양성 근수축증(백근병)이 발생한다.
이러한 근위축증은 계통적ㆍ진행성으로 위축하는 질환이고 중추신경, 말초신경, 근의 어느 부분에 병변이 있어도 근위축이 생기는데, 그 부위에 따라서 병상이 다르다 근위축성 측삭경화증은 대뇌에서 근에 이르기까지 제1 및 제2 뉴론이(신경단위)함께 침범되고 근위축은 소수근에서 시작되어 상행해서 설근 등, 뇌신경영역에 까지 미치고 건반사는 항진하고, 구마비가 진행하면 사망한다.
척수성 진행성 근위축증은 척수전각의 변성이 있고 소수근에 시작되는 근위축과 건반사 강약이 있으며 말초신경성 진행성 근위축증은 하지의 소족근(小足筋)에서 시작되어 상행하고 이것은 다른 형과 달리 지각장애도 합병하는 경우가 많으며 진행성 근이영양증은 근원성의 위축증이고 체간에 가까운 근에 위축을 일으키는 것이 특징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소의 경우에는 송아지가 태어나게 되면 근위축층이 있기 마련인데 이러한 근위축증을 치료하기 위하여 송아지의 발에 석고붕대 또는 부목을 이용하여 근을 늘여 고정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근위축증이 심할 경우에는 송아지의 근육을 조금씩 펴서 석고붕대 또는 부목을 이용하여 고정하였으며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방법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송아지의 근위축증을 치료하기 위하여, 등록번호 제10-1770517호(특)는 본 발명과 동일한 출원인이 출원한 발명으로써, 하부가 개방된 형태로 일측에 밴드부가 구성되는 제 1보조대; 일측이 상기 제 1보조대의 일측과 힌지 결합되며 하부가 개방된 형태로 일측에 밴드부가 구성되는 제 2보조대; 일측이 제 1보조대와 연결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제 2보조대와 연결되어 상기 제 1보조대와 연결되지 않은 고정부재의 일측과 체결되는 체결수단으로 구성되는 조임부; 로 구성되는 송아지 힘줄 보정기에 관한 기술이다.
상기한 종래 기술은 제1,2보조대에 송아지의 발을 고정시킨 후, 상기 조임부를 선택적으로 조임하게 되면 상기 제1보조대가 상부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여 송아지의 발목을 치료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중심적으로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보조대의 구조를 보면, 조임부의 구성중 하나인 체결수단의 길이가 길게 형성되어, 송아지발에 착용한 상태에서 송아지들이 활동함에 있어서 많은 불편함이 따랐고, 상기 조임부의 체결수단이 길게 형성되어 자칫 송아지와의 마찰로 인해 근위축증 치료가 아닌 기타 다른 치료를 해야 하는 문제점들이 발생하였으며, 취급 및 보관이 용이치 못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해낸 것으로, 상호 힌지 결합되는 제1,2보조대의 하부에 송이지 발을 고정시킨 후, 조임부재와 고정부를 이용하여 송아지 발을 고정하되, 조임부재의 길이를 길게 하지 않고, 송아지 발이 교정되는 상황에 따라 다수의 고정부들을 이용하여 번갈아 교체하면서 송아지 발의 근육을 차츰 차츰 지속적으로 늘릴 수 있도록 하여 보관 및 취급이 용이하도록 하는 송아지 발굽 굴곡 교정기 및 그 교정기를 이용한 송아지 발굽 교정방법을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창안해낸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송아지의 굴곡된 발을 고정하기 위하여 일측이 상호 힌지 결합되어 회동하는 제1, 2보조대(100, 200); 일측과 타측이 상기 제1, 2보호대(100, 200)의 일측과 각각 연결되는 지지대(300); 로 구성되는 송아지 발굽 교정기에 있어서, 상기 제1보조대(100)는, 상부에 상기 지지대(300)의 일측에 삽입되는 삽입부(110)와, 상기 삽입부(110)가 형성된 타측에 형성되는 제1홀(120)과, 상기 제1홀(120)에 끼움되는 제1조임부재(130)와, 상기 제1조임부재(130)의 끝단와 연결되어 송아지의 발을 고정하는 고정부(140)로 구성되고, 상기 제2보조대(200)는, 상기 제1보조대(100)와 근접하는 양측에 하부 방향으로 꺾임되어 송아지 발목을 고정하기 위한 가이드부재(210)와, 상기 가이드부재(210)가 형성된 타측에 구성되는 제2조임부재(230)와, 중앙부 일측에 송아지의 발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240)으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대(300)는 일측에 결합홀(320)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홀(320)이 제2조임부재(230)의 상부에 끼워져 조임되고, 타측이 상기 삽입부(110)에 삽입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보조대(100)의 고정부(140)에는, 양측이 상부로 꺾임되어 송아지 발의 양측을 고정하기 위한 꺾임판(141)이 형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보조대(100)의 고정부(140)에는, 상기 송아지 발이 인입되는 방향의 끝단에는 송아지 발의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도록 미끄럼방지턱(143)이 형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2보조대(100, 200)의 하부에는, 송아지의 발을 고정하기 위해, 제1,2조임부재(130, 230)로 조임 시 송아지 발을 보호할 수 있도록 각각의 마찰방지부재(150, 250)가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대(300)에는 상기 결합홀(320)이 형성된 타측에 일측방향으로 꺾임되는 꺾임부(310)가 형성되되, 서로 다른 각으로 꺾임된 꺾임부(310)를 갖는 다수의 지지대(300)로 구성되며, 상기 꺾임부(310)의 꺾임각도는 5°35°로 이루어져, 송아지의 발목 굴곡 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지지대(300)를 사용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보조대(200)에는, 상기 고정수단(240)으로 고정 시 송아지 발목의 하부의 마찰을 방지하기 위한 보조마찰방지부재(260)가 더 포함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송아지의 발을 제1,2보조대(100, 200)의 하부에 배치하되, 송아지 발굽을 고정부(140)에 안착시키고 송아지 발굽 사이로 제1조임부재(130)를 위치시키는 송아지발배치단계(S100); 상기 제1보조대(100)의 제1조임부재(130)를 조임하여 발굽을 완전히 고정시키고, 상기 제2보조대(200)의 고정수단(240)을 이용하여 송아지의 발목부분을 고정하는 송아지발고정단계(S200); 지지대(300)의 일측을 상기 제1보조대(100)의 삽입부(110)에 삽입시키고, 상기 지지대(300)의 결합홀(320)에 제2조임부재(230)의 상부를 인입시키는 조임부구성단계(S300); 송아지 발목 굴곡 상태에 따라서 상기 제2조임부재(230)를 선택적으로 조임하여 교정하는 송아지발교정단계(S400); 로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송아지발고정단계(S200)에서 상기 제1,2보호부재(130, 230)의 하단부에 송아지 발등과 발목 상부부분과의 마찰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각각의 마찰방지부재(150, 250)를 구성하고, 상기 고정수단(240)으로 송아지 발목을 고정할 시, 발목 하부부분과의 마찰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보조마찰방지부재(260)를 구성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송아지발교정단계(S400)에서, 1차적으로 송아지 발목이 교정된 후, 꺾임부(310)의 다른 각도를 갖는 지지대(300)들로 교체하여, 송아지 발목이 순차적으로 교정되게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송아지 발굽 굴곡 교정기 및 그 교정기를 이용한 송아지 발굽 교정방법에 의하면,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제작이 간편하고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무엇보다 송아지의 발을 교정할 시, 다수의 지지대들을 교체하여 교정할 수 있게 되어 종래에서처럼 조임부재를 길게 형성하지 않아 교정기를 착용한 송아지로 하여금 활동의 불편함을 억제하는 한편, 조임부재로 상처 등에 전혀 발생하지 않는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라 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송아지발배치단계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송아지발배치단계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송아지발고정단계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조임부구성단계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송아지발교정단계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불편한 문제점을 완전히 해소 할 수 있도록 송아지의 근위축증을 치료 시 송아지의 발을 고정한 후 지지대를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그 각도를 조절하면서 교정할 수 있도록 하는 송아지 발굽 굴곡 교정기 및 그 교정기를 이용한 송아지 발굽 교정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12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그 구성을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살펴보면, 송아지의 굴곡된 발을 고정하기 위하여 일측이 상호 힌지 결합되어 회동하는 제1, 2보조대(100, 200); 일측과 타측이 상기 제1, 2보호대(100, 200)의 일측과 각각 연결되는 지지대(300); 로 구성되는 송아지 발굽 교정기에 있어서, 상기 제1보조대(100)는, 상부에 상기 지지대(300)의 일측에 삽입되는 삽입부(110)와, 상기 삽입부(110)가 형성된 타측에 형성되는 제1홀(120)과, 상기 제1홀(120)에 끼움되는 제1조임부재(130)와, 상기 제1조임부재(130)의 끝단와 연결되어 송아지의 발을 고정하는 고정부(140)로 구성되고, 상기 제2보조대(200)는, 상기 제1보조대(100)와 근접하는 양측에 하부 방향으로 꺾임되어 송아지 발목을 고정하기 위한 가이드부재(210)와, 상기 가이드부재(210)가 구성되는 제2조임부재(230)와, 중앙부 일측에 송아지의 발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240)으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대(300)는 일측에 결합홀(320)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홀(320)이 제2조임부재(230)의 상부에 끼워져 조임되고, 타측이 상기 삽입부(110)에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송아지 발굽 굴곡 교정기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1보조대(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일측에 상기 지지대(300)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삽입부(110)가 형성되는데, 상기 삽입부(110)의 경우 상기 제1보조대(100)에서 연장되게 형성되어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제1보조대(100)의 일측에 상기 삽입부(110)의 일측이 억지끼움 또는 조립구조를 통해 결합할 수 있는 홀을 형성하고, 상기 삽입부(110)의 일측을 끼움 또는 조립하여 구성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삽입부(110)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한편, 상기 지지대(100)에는 상기 삽입부(110)가 형성되느 타측에는 수직방향으로 천공된 제1홀(120)이 형성되고, 상기 제1홀(120)에는 선택적으로 제1조임부재(130)가 삽입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홀(1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조임부재(130)의 지름보다 조금 크게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제1조임부재(130)의 원활한 삽입과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고, 상기 제1조임부재(130)는 외주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하기될 너트(145)들이 결합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1홀(120)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또는 다수개로 형성될 수 도 있고, 장방형으로 길게 형성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다수개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여기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조임부재(130)와 연결되는 고정부(140)가 구성되는데, 상기 고정부(140)의 상측 중앙부 끝단에서 내측방향으로 이격되는 위치에 상기 제1조임부재(130)의 하단부가 연결 구성되고, 이때, 상기 제1조임부재(130)와 고정부(140)의 연결은 결합 및 분리 또는 일체로 형성될 수가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한편, 상기 고정부(140)의 양측에는 상부로 꺾임되어 송아지 발의 양측을 고정하기 위한 꺾임판(141)이 형성되어, 송아지 발의 안정적인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1보조대(100)의 고정부(140)에는, 상기 송아지 발이 인입되는 방향의 끝단에는 송아지 발의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도록 미끄럼방지턱(143)이 형성되어, 송아지발을 고정함에 있어서 더욱 안정적인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며, 송아지 발의 뒷꿈치 부분이 안착되게 되어 완전한 고정을 이룰 수가 있다.
즉, 상기 고정부(140)는 제1조임부재(130)와 연결되어서, 상기 제1조임부재(130)가 제1홀(12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조임부재(130)의 상부에 너트(145)를 체결하게 되면 제1보조대(100)와 연결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제1보조대(100)를 중심으로 제1조임부재(130)의 상부에는 나비형상의 너트(145)가 체결되어 조임되고, 하부에는 일반적인 너트(145)가 체결되어서 상기 제1조임부재(130)가 제1보조대(100) 상에 흔들림 없이 견고하게 고정할 수가 있게 되며, 상기 너트(145)들의 체결은 일반적인 너트(145)를 체결한 후, 상기 제1홀(120)의 하부에 제1조임부재(130)를 끼운 후 그 상부에 나비형상의 너트(145)를 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보조대(20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상기 제1보조대(100)의 일측과 힌지 결합되어 상기 제1,2보조대(100, 200) 중 어느 하나가 회동할 수 있게 구성되는데, 양측으로 연장되되 하부 방향으로 꺾임되는 가이드부재(210)가 형성되어 인입되어 배치되는 송아지의 발 양측의 이탈을 방지하며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보조대(200)의 상기 가이드부재(210)가 형성된 타측에는 제2조임부재(230)가 형성되는데 상기 제2조임부재(230)의 외주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제2조임부재(230) 상에 나비형상의 너트(231)가 체결 구성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조임부재(230)의 경우 상기 제2보조대(200)와 일체 또는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가능한 구조로 구성할 수가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일체로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보조대(200)의 상부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고정수단(240)이 구성되는데 상기 고정수단(240)은 실질적으로 상기 제2보조대(200)의 하부에 위치되는 송아지의 발 또는 발목 또는 종아리부분을 감싸며 고정시킬 수가 있도록 하기 위하여 밴드형태로 형성되며, 선택적으로 탈, 부착가능한 밸크로 구조를 가지게 된다.
즉, 상기 제1보조대(100)에서는 고정부(140)를 통해 송아지의 발을 고정하게 되고 상기 제2보조대(200)에서는 상기 고정수단(240)을 통해 송아지의 발을 고정하게 된다.
여기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2보조대(100, 200)의 하부에는, 송아지의 발을 고정하기 위해, 제1,2조임부재(130, 230)로 조임 시 송아지 발을 보호할 수 있도록 각각의 마찰방지부재(150, 250)가 구성되어, 송아지의 발을 인입시킨 상태에서 제1조임부재(130)와 고정부(140) 또는 고정수단(240)으로 송아지의 발을 강하게 고정시킬 시, 제1,2보조대(100, 200)의 하부분과의 마찰을 완화시켜서, 송아지의 발에 상처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이때, 상기 제1마찰방지부재(150)는 상기 제1보조대(100)의 하부에 구성되되, 제1홀(120)로 제1조임부재(130)가 인입되어, 각각의 너트(145)들에 의해 제1보조대(100)에 고정되는데, 상기 제1조임부재(130)의 견고한 고정을 위하여 너트(145)가 제1보조대(100)와 맞닿을 수 있으며 외부로 노출이 되지 않도록 상기 너트(145)를 수용할 수 있는 장방형의 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면부호 없음)
또한, 상기 제2보조대(200)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수단(240)으로 조임 시 송아지 발목의 하부의 마찰을 방지하기 위한 보조마찰방지부재(260)가 더 포함되도록 하여, 송아지발의 상부는 마찰방지부재(250)로 보호하고, 송아지발의 하부는 보조마찰방지부재(260)로 보호할 수가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마찰방지부재(150, 250) 및 보조마찰방지부재(260)의 재질은 스펀지와 같은 부드러운 재질과 수축 및 복원력을 갖는 통상의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본 발명에서는 스펀지로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한편, 상기 지지대(300)는 다수개로 형성되며 일측이 상기 제1보조대(100)의 삽입부(110)에 삽입구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제2조임부재(230)에 삽입될 수 있는 결합홀(320)이 형성되어 삽입구성되며 최종적으로 상기 제2조임부재(230)에 체결되는 나비형상의 너트(231)를 통해 지지대(300)가 고정되는 구조이다.
이때, 상기 지지대(300)에는 상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홀(320)이 형성된 타측에 일측방향으로 꺾임되는 꺾임부(310)가 형성되되, 서로 다른 각으로 꺾임된 꺾임부(310)를 갖는 다수의 지지대(300)로 구성되며, 상기 꺾임부(310)의 꺾임각도는 5°35°로 이루어져, 송아지의 발목 굴곡 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지지대(300)를 사용할 수가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송아지 발굽 굴곡 교정기를 이용한 송아지 발굽 교정방법을 보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아지발배치단계(S100), 송아지발고정단계(S200), 조임부구성단계(S300), 송아지발교정단계(S400)로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송아지발배치단계(S100)는 도 8 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아지의 발을 제1,2보조대(100, 200)의 하부에 배치하되, 송아지 발굽을 고정부(140)에 안착시키고 송아지 발굽 사이로 제1조임부재(130)를 위치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 송아지발을 고정부(140)에 배치시키기 전 제1조임부재(130)에 일반적인 너트(145)를 먼저 체결한 후, 상기 송아지발을 고정부(140)에 안착시키되 상기 너트(145)의 위치는 측면에서 봤을 때 너트(145)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위치로 배치한다.
이러한 이유는 상기 너트(145)를 체결할 시 그 높이가 너무 높게 체결되면 상기 송아지의 발굽부분이 발판에서 빠질 수가 있고, 너무 낮게(발굽사이로 근접)하게 체결할 시 송아지 발굽과 과밀착되어 송아지의 발에 통증이 유발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송아지의 발굽 뒷부분은 미끄럼방지턱(143)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송아지발고정단계(S200)는 도 9 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보조대(100)의 제1조임부재(130)의 상부에 가체결된 나비형상의 너트(145)를 조임시켜 고정부(140)와 제1조임부재(130)를 제1보조대(100)와 견고하게 고정시켜 송아지 발굽을 완전히 고정시키고, 상기 제2보조대(200)의 고정수단(240)을 이용하여 송아지의 발목부분을 둘러 고정하고, 상기 고정부(140)를 일측 또는 타측방향으로 유동시켜서 정확히 고정되었는지 확인한다.
이때, 상기 나비형상의 너트(145)의 체결은 송아지의 발 상태에서 따라서 상, 중, 하로 조절토록 하는데 그 이유는 강하게 조임할 경우 송아지 발굽안쪽과 발등에 상처가 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송아지발고정단계(S200)에서, 상기 제1,2보호부재(130, 230)의 하단부에 송아지 발등과 발목 상부부분과의 마찰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각각의 마찰방지부재(150, 250)를 구성하고, 상기 고정수단(240)으로 송아지 발목을 고정할 시, 발목 하부부분과의 마찰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보조마찰방지부재(260)를 구성하도록 한다.
상기 지지대구성단계(S30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300)의 일측을 상기 제1보조대(100)의 삽입부(110)에 삽입시키고 상기 지지대(300)의 결합홀(320)에 제2조임부재(230)의 상부를 인입시켜 지지대(300)를 끼운 후, 나비너트(231)을 상기 제2조임부재(230)로 체결하여 구성한다.
이때, 상기 지지대(300)과 제2조임부재(230)와의 결합 시 송아지의 발굽 굴곡 상태에서 따라서 지지대(300)를 선택하여야 하고, 상기 제2조임부재(230)와 결합 시 지지대(300)를 갑작스럽게 눌러 가압하지 않고 천천히 지긋이 눌러서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송아지발교정단계(S40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아지 발목 굴곡 상태에 따라서 상기 제2조임부재(230)를 선택적으로 조임하여 교정하도록 하게 되되, 1차적으로 송아지 발목이 교정된 후, 꺾임부(310)의 다른 각도를 갖는 지지대(300)들로 교체하여, 송아지 발목이 순차적으로 교정되게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되며, 도 12에서는 왼쪽순으로 첫 번째는 굴곡이 심한 경우의 지지대(300)를 착용한 송아지발, 두 번째는 굴곡이 중간정도의 경우 지지대(300)를 착용한 송아지발, 세 번째는 굴곡이 약한 경우의 지지대(300)를 착용한 송아지발을 도시하였다.
즉, 상기 꺾임부(310)를 삽입부(110)에 끼움 할 시, 송아지 발굽의 굴곡 상태에서 따라서 꺾임부(310)를 삽입하는 방향이 결정되게 되고, 그 결정되는 지지대(300)에 따라 송아지 발굽 굴곡교정을 원활하게 순차적으로 수행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송아지 발굽 굴곡 교정기 및 그 교정기를 이용한 송아지 발굽 교정방법에 의하면,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제작이 간편하고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무엇보다 송아지의 발을 교정할 시, 다수의 지지대들을 교체하여 교정할 수 있게 되어 종래에서처럼 조임부재를 길게 형성하지 않아 교정기를 착용한 송아지로 하여금 활동의 불편함을 억제하는 한편, 조임부재로 상처 등에 전혀 발생하지 않는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라 하겠다.
100 : 제1보조대 110 : 삽입부 120 : 제1홀
130 : 제1조임부재 140 : 고정부 141 : 꺾임판
143 : 미끄럼방지턱 145 : 너트 150 : 마찰방지부재
200 : 제2보조대 210 : 가이드부재 230 : 제2조임부재
231 : 너트 240 : 고정수단 250 : 마찰방지부재
260 : 보조마찰방지부재
300 : 지지대 310 : 꺾임부 320 : 결합홀
S100 : 송아지발배치단계 S200 : 송아지발고정단계
S300 : 조임부구성단계 S400 : 송아지발교정단계

Claims (9)

  1. 송아지의 굴곡된 발을 고정하기 위하여 일측이 상호 힌지 결합되어 회동하는 제1, 2보조대(100, 200); 일측과 타측이 상기 제1, 2보호대(100, 200)의 일측과 각각 연결되는 지지대(300); 로 구성되는 송아지 발굽 교정기에 있어서,
    상기 제1보조대(100)는, 상부에 상기 지지대(300)의 일측에 삽입되는 삽입부(110)와, 상기 삽입부(110)가 형성된 타측에 형성되는 제1홀(120)과, 상기 제1홀(120)에 끼움되는 제1조임부재(130)와, 상기 제1조임부재(130)의 끝단와 연결되어 송아지의 발을 고정하는 고정부(140)로 구성되고,
    상기 제2보조대(200)는, 상기 제1보조대(100)와 근접하는 양측에 하부 방향으로 꺾임되어 송아지 발목을 고정하기 위한 가이드부재(210)와, 상기 가이드부재(210)가 구성되는 제2조임부재(230)와, 중앙부 일측에 송아지의 발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240)으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대(300)는 일측에 결합홀(320)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홀(320)이 제2조임부재(230)의 상부에 끼워져 조임되고, 타측이 상기 삽입부(110)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아지 발굽 굴곡 교정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조대(100)의 고정부(140)에는,
    양측이 상부로 꺾임되어 송아지 발의 양측을 고정하기 위한 꺾임판(14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아지 발굽 굴곡 교정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조대(100)의 고정부(140)에는,
    상기 송아지 발이 인입되는 방향의 끝단에는 송아지 발의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도록 미끄럼방지턱(14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아지 발굽 굴곡 교정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보조대(100, 200)의 하부에는,
    송아지의 발을 고정하기 위해, 제1,2조임부재(130, 230)로 조임 시 송아지 발을 보호할 수 있도록 각각의 마찰방지부재(150, 250)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아지 발굽 굴곡 교정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300)에는 상기 결합홀(320)이 형성된 타측에 일측방향으로 꺾임되는 꺾임부(310)가 형성되되,
    서로 다른 각으로 꺾임된 꺾임부(310)를 갖는 다수의 지지대(300)로 구성되며, 상기 꺾임부(310)의 꺾임각도는 5°35°로 이루어져,
    송아지의 발목 굴곡 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지지대(300)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아지 발굽 굴곡 교정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보조대(200)에는,
    상기 고정수단(240)으로 조임 시 송아지 발목의 하부의 마찰을 방지하기 위한 보조마찰방지부재(26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아지 발굽 굴곡 교정기.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을 이용하되,
    송아지의 발을 제1,2보조대(100, 200)의 하부에 배치하되, 송아지 발굽을 고정부(140)에 안착시키고 송아지 발굽 사이로 제1조임부재(130)를 위치시키는 송아지발배치단계(S100);
    상기 제1보조대(100)의 제1조임부재(130)를 조임하여 발굽을 완전히 고정시키고, 상기 제2보조대(200)의 고정수단(240)을 이용하여 송아지의 발목부분을 고정하는 송아지발고정단계(S200);
    지지대(300)의 일측을 상기 제1보조대(100)의 삽입부(110)에 삽입시키고 상기 지지대(300)의 결합홀(320)에 제2조임부재(230)의 상부를 인입시키는 조임부구성단계(S300);
    송아지 발목 굴곡 상태에 따라서 상기 제2조임부재(230)를 선택적으로 조임하여 교정하는 송아지발교정단계(S40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아지 발굽 굴곡 교정기를 이용한 송아지 발굽 교정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송아지발고정단계(S200)에서,
    상기 제1,2보호부재(130, 230)의 하단부에 송아지 발등과 발목 상부부분과의 마찰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각각의 마찰방지부재(150, 250)를 구성하고,
    상기 고정수단(240)으로 송아지 발목을 고정할 시, 발목 하부부분과의 마찰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보조마찰방지부재(260)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아지 발굽 굴곡 교정기를 이용한 송아지 발굽 교정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송아지발교정단계(S400)에서,
    1차적으로 송아지 발목이 교정된 후, 꺾임부(310)의 다른 각도를 갖는 지지대(300)들로 교체하여, 송아지 발목이 순차적으로 교정되게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아지 발굽 굴곡 교정기를 이용한 송아지 발굽 교정방법.
KR1020190087210A 2019-07-18 2019-07-18 송아지 발굽 굴곡 교정기 및 그 교정기를 이용한 송아지 발굽 교정방법 KR1023001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7210A KR102300108B1 (ko) 2019-07-18 2019-07-18 송아지 발굽 굴곡 교정기 및 그 교정기를 이용한 송아지 발굽 교정방법
PCT/KR2019/009454 WO2021010537A1 (ko) 2019-07-18 2019-07-30 송아지 발굽 굴곡 교정기 및 그 교정기를 이용한 송아지 발굽 교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7210A KR102300108B1 (ko) 2019-07-18 2019-07-18 송아지 발굽 굴곡 교정기 및 그 교정기를 이용한 송아지 발굽 교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9968A true KR20210009968A (ko) 2021-01-27
KR102300108B1 KR102300108B1 (ko) 2021-09-09

Family

ID=74210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7210A KR102300108B1 (ko) 2019-07-18 2019-07-18 송아지 발굽 굴곡 교정기 및 그 교정기를 이용한 송아지 발굽 교정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00108B1 (ko)
WO (1) WO2021010537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5993Y1 (ko) * 2005-10-27 2006-01-11 (주)아나렉스피 발가락 교정기
KR20150102293A (ko) * 2014-02-28 2015-09-07 이서원 자세 교정용 프레임 장치
KR101770517B1 (ko) * 2016-07-04 2017-08-22 윤성우 송아지 힘줄 보정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72717B2 (ja) * 2012-07-05 2017-08-02 株式会社佐喜眞義肢 膝関節用装具
JP6370600B2 (ja) * 2014-05-06 2018-08-08 旭緒 島田 動物用脚部サポーター装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5993Y1 (ko) * 2005-10-27 2006-01-11 (주)아나렉스피 발가락 교정기
KR20150102293A (ko) * 2014-02-28 2015-09-07 이서원 자세 교정용 프레임 장치
KR101770517B1 (ko) * 2016-07-04 2017-08-22 윤성우 송아지 힘줄 보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10537A1 (ko) 2021-01-21
KR102300108B1 (ko) 2021-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01109C2 (ru) Голеностопное ортопед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шина для способствования иммобилизации части тела, содержащая голеностопное ортопед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KR100711104B1 (ko) 척추교정 운동기구
US7182743B2 (en) Orthopedic night foot splint
US7572241B2 (en) Orthopedic night foot splint
US20050131323A1 (en) Knee-ankle-foot positioning kit
US9522077B1 (en) Adjustable dual function spinal exoskeleton active spinal orthosis
Adams et al. Management of congenital and acquired flexural limb deformities
JPH07501963A (ja) 姿勢及び運動活性に障害を受けた患者の処置のための装置
US10959870B2 (en) Method and foot support device for treating plantar fasciitis in the foot of a patient while the patient is mobile
CZ200379A3 (cs) Zařízení pro uživatele mající trvalé následky vzniklé poškozením centrálního nervového systému a/nebo lokomočního aparátu těla
US20080255490A1 (en) Therapeutic foot appliance and method of use
US20120150082A1 (en) Device for the Therapeutic Treatment of Foot and/or Heel Pain
KR20130100960A (ko) 요실금을 치료하는 방법
US20130090587A1 (en) Foot abduction apparatus
US8267839B1 (en) Device and method for resistance stretching of the muscles of the lower leg
US20050087149A1 (en) Training and therapy device for dogs and hoofed animals
US6142967A (en) Heel pain relief method and brace
US20100004576A1 (en) Finger Splint Device for Preventing Contractures and the Like and Method of Using Same
US20220117715A1 (en) Pet hip brace system
US20110105970A1 (en) Anatomical support braces and methods
KR20210009968A (ko) 송아지 발굽 굴곡 교정기 및 그 교정기를 이용한 송아지 발굽 교정방법
US20060124162A1 (en) Orthopedic device
US7621883B2 (en) Slide lock
US20200078252A1 (en) Apparatus for treating lower limb contractures
RU21511U1 (ru) Костюм для лечения детского церебрального паралич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