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9944A - 리워드 모바일 광고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가상공간 경제활동 보상 체계 - Google Patents

리워드 모바일 광고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가상공간 경제활동 보상 체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9944A
KR20210009944A KR1020190087146A KR20190087146A KR20210009944A KR 20210009944 A KR20210009944 A KR 20210009944A KR 1020190087146 A KR1020190087146 A KR 1020190087146A KR 20190087146 A KR20190087146 A KR 20190087146A KR 20210009944 A KR20210009944 A KR 202100099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bers
reward
app
performance
evalu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7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홍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플레이더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플레이더월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플레이더월드
Priority to KR10201900871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9944A/ko
Publication of KR20210009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99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26Incentive systems for frequent usage, e.g. frequent flyer miles programs or point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11Determining the effectiveness of discounts or incenti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35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constrained by time limit or expiration da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리워드 모바일 광고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형성되는 가상 조직에 속한 회원들의 경제 활동에 대한 보상 시스템이 개시된다. 이 시스템은 조직 운영부와 성과 평가부와 로열티 평가부, 및 평가 보상부를 포함한다. 조직 운영부는 가상 조직을 복수의 지사들로 구성하고 지사별로 조직을 운영 및 직위 체계를 관리하되, 지사 수를 회원 수에 따라 가변하고 지사별 회원들의 수를 제한하며 직위별 회원들의 수를 제한한다. 성과 평가부는 광고 앱 설치, 및 설치된 광고 앱 실행과 리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성과 활동 기준에 기반하여 회원들의 성과 활동을 평가한다. 로열티 평가부는 출근, 광고 보기, 광고 앱 설치, 설치된 광고 앱 실행과 리뷰 중 적어도 하나, 신규 회원 추천, 커뮤니티 글쓰기, 설문 등록 및 댓글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로열티 활동 기준에 기반하여 회원들의 로열티 활동을 평가한다. 그리고 평가 보상부는 회원들의 로열티 및 성과 평가 결과에 따라 회원별 보상금을 지급한다.

Description

리워드 모바일 광고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가상공간 경제활동 보상 체계{Reward system using reward mobile advertising application}
광고 플랫폼, 특히 리워드 모바일 광고 애플리케이션을 [0001] 이용한 광고 플랫폼이 개시된다.
리워드 모바일 광고 애플리케이션, 줄여서 리워드 앱(Reward App)은 사용자가 광고를 보거나 특정한 미션을 수행하면 포인트나 현금으로 보상해주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일컫는 말이다. 스마트 단말이 보급되면서 광고주는 스마트 단말을 활용하여 제품을 효과적으로 광고할 수 있는 플랫폼에 대한 요구가 생겼으며,
이에 광고를 보는 사용자에게 광고비의 일부를 보상하는 체계에 대한 아이디어가 합쳐지면서 리워드 앱이 등장하였다. 리워드 앱의 등장은 광고 플랫폼의 한 분야를 개척함으로써 투자 및 관련 연구가 꾸준히 이뤄지고 있다.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73904호 (2014년 6월 17일 공개)
리워드 앱 회원들의 적극적인 활동을 위한 동기를 부여하여 리워드형 광고 플랫폼을 활성화하는 시스템이 개시된다.
일 양상에 따른 리워드 모바일 광고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형성되는 가상 조직에 속한 회원들의 경제 활동에 대한 보상 시스템은 조직 운영부와 성과 평가부와 로열티 평가부, 및 평가 보상부를 포함한다. 조직 운영부는 가상 조직을 복수의 지사들로 구성하고 지사별로 조직을 운영 및 직위 체계를 관리하되, 지사 수를 회원 수에 따
라 가변하고 지사별 회원들의 수를 제한하며 직위별 회원들의 수를 제한한다. 성과 평가부는 광고 앱 설치, 및 설치된 광고 앱 실행과 리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성과 활동 기준에 기반하여 회원들의 성과를 평가한다.
로열티 평가부는 출근, 광고 보기, 광고 앱 설치, 설치된 광고 앱 실행과 리뷰 중 적어도 하나, 신입 회원추천, 커뮤니티 글쓰기, 설문 등록 및 댓글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로열티 활동 기준에 기반하여 회원들의 로열티를 평가한다. 그리고 평가 보상부는 회원들의 로열티 및 성과 평가 결과에 따라 회원별 보상금을 지급한
다.
일 양상에 따르면, 광고 앱 리뷰는 캡처 이미지로 인증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르면, 로열티 평가부는 회원들의 로열티 활동에 따라 인사고과 점수를 부과하고, 인사고과 점수에 따라 직위를 결정하며, 직위별로 인사고과 점수에 따라 순위화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르면, 평가 보상부는 성과 보상부와 로열티 보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성과 보상부는 회원별 성과활동 확인시마다 해당 성과급을 지급할 수 있다. 그리고 로열티 보상부는 지사별 총 성과급에 따라 회원들에게 추가 수당을 지급하되, 직위별로 차등 지급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르면, 로열티 평가부는 인사고과 점수를 누적하되, 정해진 시간 단위로 일부 차감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르면, 로열티 보상부는 일 단위의 총 성과급에 근거하여 추가 수당을 익일 지급하되, 일 단위로 추가 수당 조건을 달성한 경우에만 익일에 추가 수당을 지급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르면, 로열티 보상부는 총 수당을 직위 등급 수로 나누고, 직위별 회원 수로 나누어 직위별로 균등 지급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르면, 조직 운영부는 임원들에 대해 회원들의 로열티 활동에 대한 감시 및 신고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단순히 광고 활동에 따른 성과 보상만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인사고과점수 관리를 통한 로열티 보상을 병행으로 제공함으로써, 회원들의 결집도와 충성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리워드 모바일 광고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가상 공간 경제 활동 보상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리워드 광고 플랫폼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3과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리워드 앱의 사원증 카테고리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월급현황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과 도 7 및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리워드 앱의 사무실 카테고리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이러한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리워드 모바일 광고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가상 공간 경제 활동 보상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리워드 모바일 광고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가상 공간 경제 활동 보상 시스템(이하, “리워드 앱 보상시스템”이라 한다)은 리워드 광고 플랫폼 서버(10)를 포함한다. 여기서 리워드 앱 보상 시스템은 리워드 광고 플랫폼 서버(10)만을 의미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는 리워드 광고 플랫폼 서버(10)와 네트워크 연결된 회원 단말(20)을 포함하는 것일 수도 있으며, 리워드 광고 플랫폼 서버(10)와 회원 단말(20)에 설치된 리워드 앱을 포함하는 것일 수도 있다. 리워드 광고 플랫폼 서버(10)는 광고주가 제공한 광고 콘텐츠들을 리워드 앱을 통해 회원들에게 제공하고, 리워드 앱을 통해 광고 콘텐츠를 이용한 회원들에게 적절한 보상을 제공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회원 단말(20)은 리워드 앱(400)이 설치 가능한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단말을 의미하며, 회원이라 함은 모바일 단말에 리워드 앱(400)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고 멤버로 가입한 자를 말한다. 그리고 리워드 앱(400)은 회원들이 광고 앱 설치, 광고 앱 리뷰, 및 광고 앱 실행 등 모바일 앱 광고를 통해서 수입을 만들어갈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 리워드 애플리케이션이다. 일 양상에 따르면, 리워드 앱 서비스는 회사 조직이 갖는 특성을 반영하여 회원들의 근무 활동에 따라 보상을 해준다. 즉, 리워드 앱(400)을 통해 가상 조직을 형성하고, 가상 조직에 속한 회원들의 근무 활동에 대해 보상을 해주는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리워드 앱(400)의 이름을 회사명과 같이 지을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모바일 주식회사”로 명명할 수 있다.
리워드 광고 플랫폼 서버(10)는 모바일 주식회사라는 가상의 조직을 관리하고, 가입 회원들에 대해 직위를 부여하며, 직위를 부여받은 회원(직원)들의 근무 활동을 평가하여 그에 합당한 보상을 제공한다. 일 양상에 따르면, 근무 활동은 크게 성과 활동과 로열티 활동으로 나뉠 수 있다. 성과 활동은 회원들의 성과급 지급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활동을 말하며, 로열티 활동은 모바일 주식회사에 대한 로열티와 관련된 활동을 말한다. 리워드 광고 플랫폼 서버(10)는 회원들의 성과 활동과 로열티 활동을 포함하는 근무 활동을 평가하며, 평과 결과에 따라 적절한 보상을 제공한다. 리워드 광고 플랫폼 서버(10)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리워드 광고 플랫폼 서버의 블록도이다. 리워드 광고 플랫폼 서버(10)는 단일의 서버일 수도 있으나 다수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분산 시스템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통신부(100)는 내부 네트워크 및/또는 외부 네트워크와의 통신 연결을 위한 하나 이상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200)는 명령어, 데이터 및 프로그램 등을 저장하는 저장 매체로서,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있으며, 리워드 앱과 연동하는 리워드 운영 소프트웨어(500)를 저장한다. 제어부(3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저장부(200)에 저장된 리워드 운영 소프트웨어(500)를 실행하여 리워드 앱 서비스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실행된 리워드 운영 소프트웨어(500)는 회원 단말(20)에 저장된 리워드 앱과 연동하여 데이터를 주고받는다.
리워드 운영 소프트웨어(500)는 조직 운영부(510)와 성과 평가부(520)와 로열티 평가부(530) 및 평가 보상부(540)를 포함한다. 조직 운영부(510)는 조직 운영 및 조직 내에서의 회원 활동을 위한 조직 운영을 담당한다.
조직 운영부(510)는 모바일 주식회사라는 가상의 조직 체계를 관리하는데, 복수의 지사들로 구성하여 관리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조직 운영부(510)는 모바일 주식회사를 근무 지역 단위로 나누어 복수의 지사들로 구성할 수 있다. 회원들은 가입시 근무 지역을 선택할 수 있는데, 선택된 근무 지역에 따라 근무할 지사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직 운영부(510)는 모바일 주식회사 조직을 전국 16개의 지사로 구성하며, 회원들이 입력한 근무 지역에 따라 해당 지사로 배정한다. 또한, 조직 운영부(510)는 지사별로 조직을 운영하며 직위 체계를 관리한다. 직위 체계는 사원, 주임, 대리, 과장, 차장, 부장, 이사, 상무, 전무, 부사장, 사장까지 11등급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최초 가입시에는 정식 직원이 아닌 인턴부터 시작하여 이후에 정식 직원인 사원으로 진급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르면, 조직 운영부(510)는 지사 수를 회원 수에 따라 가변하고, 지사별 회원들의 수를 제한하며, 직위별 회원들의 수를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직 운영부(510)는 전국을 1개의 지사로 두었다가 회원이 늘어나면 이를 10개의 지사(도 단위)로 늘리고, 회원이 더 늘어나면 도 단위 지사를 시군 또는 구 단위의 지사로 다시 늘려서 1개의 지사가 적정 수의 회원으로 구성될 수 있도록 유연하게 관리한다. 직위별 직원들의 수는 아래 표 1과 같이 제한될 수 있다.
직위 제한 인원
사장 1명
부사장 3명
전무 5명
상무 10명
이사 30명
부장 50명
차장 100명
과장 300명
대리 500명
주임 1,000명
사원 2,000명
인턴 제한 없슴
또한, 조직 운영부(510)는 모바일 주식회사에 속한 회원들의 광고 활동을 위해 광고 앱 리스트를 관리한다. 광고 앱 리스트는 광고주들로부터 광고 의뢰된 앱, 즉 광고 앱들에 대한 리스트이다. 광고 앱 리스트에는 모바일 주식회사에서 자체적으로 광고하는 자체광고와 모바일 광고 대행 업체가 제공하는 대행광고가 포함될 수 있다.
조직 운영부(510)는 광고 앱 리스트를 리워드 앱(400)으로 전달하여 회원에게 제공되도록 한다. 이에 회원은 광고 앱 리스트에 속한 광고 앱들 중에서 원하는 광고 앱을 선택하여 모바일 단말에 설치하는 등의 광고 활동을 할 수 있다.
성과 평가부(520)는 성과 활동 기준에 기반하여 회원들의 성과를 평가한다. 성과 활동 기준에 속하는 성과 활동 항목에는 광고 앱을 설치하는 것이 포함되며, 나아가 설치된 광고 앱 실행과 설치된 광고 앱 리뷰 중 적어도 하나가 더 포함된다. 리워드 앱(400)은 광고 앱 리스트를 제공하며, 회원들은 광고 앱 리스트에 속한 광고 앱들 중 원하는 광고 앱을 선택하여 다운로드 받아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다운로드는 앱 마켓으로 이동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광고 앱이 설치되면, 리워드 앱(400)은 이를 리워드 광고 플랫폼 서버(10)로 보고한다.
또한, 리워드 앱(400)은 설치된 광고 앱이 실행될 시에 이를 리워드 광고 플랫폼 서버(10)로 보고할 수 있으며, 설치된 광고 앱에 대해 회원의 리뷰가 있을 시에도 이를 리워드 광고 플랫폼 서버(10)로 보고할 수 있다. 추가로, 성과 활동 기준에는 설문 참여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설문은 회원에 의해 등록될 수 있으며, 타 회원이 등록된 설문에 참여할 경우 성과 활동으로 인정된다. 리워드 앱(400)은 등록된 설문에 대해 회원이 응할 경우에 이를 리워드 광고 플랫폼 서버(10)로 보고한다.
성과 활동 기준에 광고 앱 실행이 포함될 경우, 성과 활동으로 인정되는 광고 앱 실행은 소정 기간 동안만 그리고 1일 1~3회 정도로 제한할 수 있다. 기간과 횟수를 제한함으로써 무분별한 성과 쌓기를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설문 참여의 경우에도 1일 1~3회 정도로 제한할 수 있다. 이 역시 무분별한 성과 쌓기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성과 활동 기준에 광고 앱 리뷰가 포함될 경우, 리뷰는 이를 증명할 수 있는 캡처 이미지로 인증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광고 앱 리뷰는 광고주를 위한 것인바, 리뷰가 리워드 앱(400) 내에서 이루어지기보다 앱 마켓에서 이루어진다면 광고주에게는 광고 효과 면에서 더욱 이익이 된다. 그리고 이미 앱 마켓에는 앱에 대한 리뷰 기능이 있는바, 이를 활용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앱 마켓에 광고 앱에 대한 리뷰를 등록하고 그 화면을 캡처한 후, 캡처 이미지를 다시 리워드 앱(400)에 등록하고 댓글을 함께 달면 리뷰가 달성
된다. 물론 이때 캡처 이미지에는 리뷰 글과 함께 해당 광고 앱인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는 이미지나 텍스트가 포함되어야 한다.
리워드 광고 플랫폼 서버(10)의 성과 평가부(520)는 리워드 앱(400)으로부터 보고된 회원의 활동에 따라 성과를 평가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성과 평가부(520)는 성과 활동이 확인되는 즉시 성과를 평가한다. 성과의 정도는 성과 활동 항목별로 상이하게 정해질 수 있다. 그리고 동일한 성과 활동 항목이라도 대상에 따라 상이하게 정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광고 앱 설치, 실행, 리뷰와 같은 성과 활동 항목의 경우에는 광고 앱에 따라 상이하게 정해질 수 있는데, 광고주가 지급하는 광고비용에 따라 상이하게 정해질 수 있다. 광고 앱 A의 광고비용과 광고 앱 B의 광고비용은 상이할 수 있으므로, 성과 역시 그에 맞춰 상이하게 정해질 수 있는 것이다.
일 양상에 따르면, 성과는 금전으로 평가될 수 있다. 성과 활동 별로 성과 금액은 정해져 있을 수 있으며, 이경우 성과 평가부(520)는 회원의 성과 활동에 해당하는 성과급으로 성과를 평가할 수 있다. 한편, 광고 앱 리뷰의 경우에 성과 평가부(520)는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이용하여 캡처 이미지를 분석하고 그 분석 결과를 통해 성과의 달성 여부를 파악하여 성과를 평가할 수 있다.
로열티 평가부(530)는 로열티 활동 기준에 기반하여 회원들의 로열티 활동을 평가한다. 로열티 활동 기준이라 함은 모바일 주식회사에 대한 회원들의 로열티를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이다. 로열티 활동 기준에 속하는 로열티 활동 항목에는 출근, 광고 보기, 광고 앱 설치, 설치된 광고 앱 실행과 리뷰 중 적어도 하나, 신규 회원 추천, 커뮤니티 글쓰기, 설문 등록 및 참여 중 적어도 일부가 포함된다. 출근은 리워드 앱(400)을 실행시켜 정해진 시간 동안(예를 들어, 1분) 앱 화면을 유지하는 것을 말한다. 로열티 활동으로 인정되는 출근은 1일 1회로 제한될 수 있다. 광고 보기는 게재된 웹 광고들 중 원하는 광고를 선택하여 보는 것을 말하며, 로열티 활동으로 인정되는 광고 보기는 1일 1~3회 정도로 제한될 수 있다.
광고 앱 설치, 설치된 광고 앱 실행, 설치된 광고 앱 리뷰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다. 신규 회원 추천은 모바일 주식회사에 새로운 회원을 추천하는 것을 말한다. 회원은 리워드 앱(400)의 신규 회원 추천(친구 추천) 기능을 이용하여 SMS/MMS 메시지, SNS(social network service) 메신저 등을 통해 친구에게 모바일 주식회사를
추천할 수 있다. 이에 추천받은 친구가 리워드 앱(400)을 설치하고 추천 회원의 계정 정보(아이디)를 입력하면 추천이 인정된다.
커뮤니티는 지사별로 운영될 수 있다. 조직 운영부(510)는 지사별로 커뮤니티를 운영 및 관리하며, 회원들은 자신이 속한 지사의 커뮤니티라는 가상 공간에서 글을 작성하여 등록할 수 있으며, 등록된 메인 글에 대해서는 다른 회원들이 댓글을 작성하여 등록할 수 있다. 로열티 활동으로 인정되는 댓글은 1일 1~3회 정도로 제한될 수 있다. 그리고 설문서비스는 회원의 설문조사를 위한 것으로, 한 회원이 설문을 등록하면 다른 회원들은 등록된 설문에 참여할 수 있다. 로열티 활동으로 인정되는 설문참여 역시 1일 1~3회 정도로 제한될 수 있으며, 참여 인원 또한 제한될 수 있다.
리워드 광고 플랫폼 서버(10)의 로열티 평가부(530)는 리워드 앱(400)으로부터 보고된 회원의 활동에 따라 로열티를 평가한다. 로열티 활동은 인사고과점수로 수치화될 수 있다. 따라서, 로열티 평가부(530)는 회원의 로열티 활동에 따라 인사고과점수를 부과하여 로열티를 평가한다. 인사고과점수는 로열티 활동 항목별로 상이하게 정해질 수 있으며, 동일한 로열티 활동 항목이라도 대상에 따라 상이하게 정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광고 앱 설치, 실행, 리뷰와 같은 로열티 활동 항목의 경우에는 광고 앱에 따라 상이하게 정해져 있을 수 있다.
평가 보상부(540)는 성과 평가부(520)의 성과 평가와 로열티 평가부(530)의 로열티 평가에 따라 보상금을 결정하여 지급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평가 보상부(540)는 성과 평가부(520)의 성과 평가를 통해 얻어지는 성과급 외에 로열티 평가부(530)의 로열티 평가에 따른 추가 수당을 합하여 보상금을 결정한다.
일 양상에 따르면, 성과 활동 기준에 속하는 성과 활동 항목들과 로열티 활동 기준에 속하는 로열티 활동 항목들 중 일부는 중첩될 수 있다. 따라서 회원이 성과 활동 기준에 속하면서 동시에 로열티 활동 기준에 속하는 활동을 한 경우에는 한 번의 활동으로 성과 활동과 로열티 활동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르면, 로열티 평가부(530)는 회원들의 로열티 활동에 따라 인사고과 점수를 부과하고, 인사고과 점수에 따라 직위를 결정하며, 직위별로 인사고과 점수에 따라 순위화한다. 직위는 인사고과점수 순위 변동에 따라 실시간으로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인사고과 점수, 직위, 직위 내 순위 정보는 리워드 앱(400)을 통해 회원에게 제공된다. 따라서 회원들은 자신이 속한 지사 내에서 현 직위, 직위 내에서의 순위, 인사고과 점수를 확인할 수 있다. 이 같은 로열티 평가부(530)의 로열티 평가에 따라 회원들에게 추가 수당이 주어지므로, 근무 활동에 대한 동기부여가 자연스럽게 이루어진다.
일 양상에 따르면, 평가 보상부(540)는 성과 보상부(541)와 로열티 보상부(542)를 포함한다. 성과 보상부(541)는 성과 평가부(520)의 성과 평가에 따라 성과급을 결정하고 지급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성과 활동 별로 성과급이 정해져 있는 경우에 총 성과급은 성과 활동마다 정해진 성과급의 합으로 결정된다. 로열티 보상부
(542)는 로열티 평가부(530)의 로열티 평가 결과에 따라 추가 수당을 결정하여 지급한다. 일 양상에 따르면, 로열티 보상부(542)는 지사별 총 성과급에 근거하여 직위별로 추가 수당을 차등 결정하여 지급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로열티 보상부(542)는 일 단위의 총 성과급에 따라 추가 수당을 결정하며 이를 익일 지급한다. 회원 본인이 속한 지사의 직원 수가 많아지거나 당일 광고 매출액이 높아져도 그 비율만큼 직책 수당을 받게 되므로, 다른 직원의 적극적인 활동을 경쟁으로만 보는 것이 아닌 나에게도 궁극적으로 도움이 되는 것을 보고 더 열심히 활동하게 하는 선순환 효과, 즉 자체적 네트워크 효과(same-side network effect)가 발생한다.
로열티 보상부(542)는 추가 수당으로 지급할 총 금액을 직위 등급 수로 나누고, 직위별 회원 수 또는 직위별 추가 수당 지급 대상이 되는 회원 수로 나누어 직위별로 균등 지급할 추가 수당(직책 수당)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추가 수당으로 지급할 총 금액은 총 성과급과 동일 금액일 수 있으며, 추가 수당 대상에서 인턴은 제외될 수 있다. 따라서, 사원부터 사장까지 총 11등급의 직원들에게 직책 수당이 지급된다. 그리고 표 1과 같이 사장은 1명으로 제한되고 하위 직위로 내려갈수록 제한 인원 수는 급격히 늘어나므로, 사장이 받게 되는 직책
수당과 사원이 받게 될 직책 수당은 매우 많은 차이가 난다. 이는 직원들이 더욱 열심히 활동하도록 자체적으로 동기 부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는 점에서 더욱 효과적이다.
일 양상에 따르면, 로열티 보상부(542)는 회원들에게 추가 수당을 무조건 지급하는 것이 아니라, 근무 조건(추가 수당 조건)을 만족한 회원에게만 추가 수당을 지급한다. 여기서 근무 조건이라 함은 미리 정해진 성과 활동 및/또는 로열티 활동을 수행하는 것을 뜻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근무 조건은 광고 앱 설치, 광고 앱 리뷰, 신규 회원 추천 중 적어도 하나를 달성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로열티 보상부(542)는 회원별 근무 조건 달성 여부를 파악한 후에 직위별 지급할 추가 수당을 결정하고 지급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르면, 로열티 평가부(530)는 회원별 인사고과 점수를 누적하되, 정해진 시간 단위로 일부 차감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로열티 평가부(530)는 1일 단위로 인사고과 점수를 일부 차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사고과 점수의 10%를 매일 차감할 수 있다. 이 같이 회원들의 로열티 활동에 따라 인사고과 점수를 부과하고 누적하되, 1일 단위로 인사고과 점수를 일부 차감하면 근무 활동하지 않는 회원들의 인사고과 점수는 낮아져 직위 강등은 불가피하며, 직책 수당 역시 줄어들게 된다. 이 같은 인사고과 관리 방식은 회원들의 적극적이고 지속적인 근무 활동에 대한 동기를 부여하는데 효과적이다.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평가 보상부(540)는 근속 보상부(5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근속 보상부(543)는 일정 기간 이상 근속한 회원들에 대해 추가 보상금을 지급한다. 예를 들어, 100일 이상 근속한 회원들에 대해서는 퇴직금 명목으로 추가 보상금액을 결정하여 지급하며, 단지 일회성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지급할 수 있다. 즉, 근속이 유지되는 조건하에서 100일 이후부터 일 단위로 추가 보상금액을 결정하여 퇴직금 명목으로 지급한다. 추가 보상금은 회원의 일일 성과 활동을 통해 얻어진 성과급의 10%로 결정될 수 있으며, 익일에 지급될 수 있다.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평가 보상부(540)는 급여 이체부(5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급여 이체부(544)는 성과 보상부(541)와 로열티 보상부(542) 및 근속 보상부(543)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지급된 보상금에 대해 회원의 신청이 있을시 회원의 실제 금융계좌로 이체 처리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회원들은 보상금이 소정 금액 이상이 되었을 시에 급여 이체 요청을 할 수 있으며, 이체 금액을 정할 수 있다. 그리고 1일부터 말일까지 이체 요청된 보상금은 익일 소정 일자, 예를 들어 10일에 이체될 수 있다. 급여 이체부(544)는 리워드 앱(400)을 통해 입력된 회원의 이체 요청 금액과 계좌 정보 및 계좌 소유주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으며, 급여 명목으로 해당 금액을 이체한다.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조직 운영부(510)는 임원들에 대해 회원들의 근무 활동에 대한 감시 및 신고 권한을 부여한다. 여기서 임원은 이사 이상의 직위를 가진 직원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조직 운영부(510)는 커뮤니티 운영규칙을 지키지 않는 회원들에 대해 임원들로 하여금 감시하고 신고할 수 있게 권한을 부여하는 것이다. 임원들의 리워드 앱(400)에는 신고하기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임원들은 커뮤니티에 부적절한 글을 올리거나 부적절한 설문조사를 올리는 등의 활동을 한 회원들에 대해서는 신고하기 기능을 통해 리워드 광고 플랫폼 서버(10)로 보고할 수 있다. 이에 관리자는 보고된 내용을 확인하여 해당 회원에 대한 제재, 예를 들어 계정 삭제나 사용 중지 등을 조치할 수 있다. 혹은 조직 운영부(510)가 보고된 내용을 자동으로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통해 분석할 수도 있다. 그리고 만일, 허위로 신고된 경우에는 해당 임원에 대해 제재를 가할 수 있다.
한편, 조직 운영부(510)는 광고 앱 리스트에 속하는 광고 앱별로 다운로드를 위해 앱 마켓으로의 링크 연결을 위한 링크(uniform resource locator, URL) 정보를 관리하며, 리워드 앱(400)에서 광고 앱을 설치하고자 할 경우에 혹은 미리 리워드 앱(400)에 제공한다. 따라서 리워드 앱(400)은 리워드 광고 플랫폼 서버(10)로부터 URL을 전달받아 앱 마켓의 해당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광고 앱별로 관리되는 링크 정보는 제 1 링크정보이거나 혹은 제 2 링크 정보일 수 있다. 제 1 URL은 광고 앱에 대한 다운로드 기능을 제공하는 페이지로의 연결을 위한 것이고, 제 2 URL은 앱 마켓에서 광고 앱을 검색하기 위한 키워드로 검색하였을 때의 결과 페이지로의 연결을 위한 것이다. 이때 키워드는 광고주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조직 운영부(510)는 키워드로 앱 마켓에서 검색을 수행하고, 검색된 페이지로의 연결을 위한 URL, 즉 제 2 URL을 생성하여 관리한다. 조직 운영부(510)는 광고 앱별로 키워드가 없을 경우에는 제 1 URL을 관리하고, 키워드가 있을 경우에는 제 2 URL을 관리한다. 그리고 리워드 앱(400)에 URL을 전달하되, 제 2 URL이 없을 경우에는 제 1 URL을 전달하고 있을 경우에는 제 2 URL을 전달한다.
나아가, 조직 운영부(510)는 제 2 URL을 갖는 광고 앱에 대해서는 부가 정보를 관리한다. 부가 정보라 함은 제 2 URL을 이용하여 앱 마켓의 해당 페이지로 이동하였을 때, 해당 광고 앱의 순위에 대한 정보를 말한다. 즉, 미리 정해진 키워드로 검색하였을 경우의 순위 정보를 말한다. 이때 검색 순위 정보는 20 ~ 30위와 같이 대략적인 것일 수 있다. 조직 운영부(510)는 이러한 순위 정보 또한 리워드 앱(400)에 전달할 수 있는데, 제 2 URL과 함께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리워드 앱(400)은 전달받은 순위 정보를 표시하여 회원에게 알려줄 수 있다.
도 3과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리워드 앱의 사원증 카테고리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화면 상단부에는 “HOME”, “사원증”, “사무실” 카테고리가 표시된다. “사무실” 카테고리에 대해 살펴본다. 도 3에 도시된 도면부호 620에서와 같이 전체 직위가 표시되고, 그 중 회원이 어떤 직위를 갖는지가 하이라이트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직위, 닉네임, 입사일, 및 지사 명이 표시된다. 직위는 인사고과점수에 따라 실시간 변경될 수 있으며, 닉네임은 커뮤니티에 글/댓글을 등록할 시에 공개된다. 입사일은 가입일을 의미하며, 지사 명은 회원가입시 설정한 근무지역을 나타낸다.
그리고 그 아래에는 도 4에 도시된 도면부호 630에서와 같이, 모바일 주식회사의 전국 직원수, 전국 지사수, 내지사 직원수, 내지사 매출액, 인사고과현황, 누적월급, 현재월급, 및 친구추천하고 승진하기가 표시되어 있다.
전국 직원수는 모바일 주식회사에 회원가입 후 활동하는 전체 회원 수를 나타낸다. 내지사 직원수는 회원 본인이 소속된 근무지역에서 활동하는 회원수를 보여주며, 내지사 매출액은 회원 본인이 소속된 근무지역에서 활동하는 모든 회원들이 성과 활동을 통해서 적립한 성과급을 합산한 금액을 나타낸다. 인사고과현황은 인사고과점수 및 직위 내 순위를 보여준다. 누적월급은 리워드 앱(400)을 통해 적립한 보상금(월급)의 총합을 나타내며, 현재월급은 누적월급에서 계좌 이체 신청 또는 계좌 이체된 월급을 차감하고 남은 월급을 나타낸다. 친구추천하고 승진하기는 SNS 메신저 등을 통해 친구추천을 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추천받은 친구가 회원
가입하면 추천인에게는 소정의 인사고과점수가 부과된다.
그리고 도면부호 610에서와 같이, 월급, 점수, 추천, BEST 댓글 항목들 중에서 선택된 항목에 대해 순위가 일간 또는 월간으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순위는 회원 전체를 기준으로 제공될 수도 있고, 회원이 속한 지사를 기준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도면부호 610에서는 월급 항목에 대한 순위를 예시하고 있으며, 점수, 추천, BEST댓글에 대해서도 동일한 방식으로 순위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순위는 상위 3위까지만 표시되어 있지만 우측 상단의 “+”를 클릭하면, 순위 리스트가 더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위 30위까지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참고로, 점수는 인사고과점수를 의미하고, 추천은 친구추천을 의미하며, BEST 댓글은 커뮤니티에서 메인글에 대한 댓글들 중 베스트로 선정된 댓글을 의미한다. 한편, 도 3의 (a)와 (b)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일 단위로 최초 접속 후 소정 시간 경과 후에는 ‘출근확인’ 버튼이 활성화되며, ‘출근확인’ 을 누르면 출근이 인정됨과 동시에 소정의 인사고과점수가 부과된다. 그리고 도면부호 610과 620 및 630에 표시된 정보들 중 적어도 일부는 리워드 운영 소프트웨어(500)에 의해 실시간 갱신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월급현황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4에서 인사고과 현황, 누적월급, 및 현재월급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도 5와 같은 화면이 표시된다. 도 5에는 인사고과현황, 성과급, 직책수당, 지급(예정)된 월급, 퇴직금 항목에 대해 표시되며, 선택된 항목에 대해서는 상세 내용이 추가로 표시된다. 그리고 월급 신청하기를 선택하면, 이체 요청 금액과 은행, 계좌번호, 및 예금주에 대한 정보 입력이 요구되며, 요구된 정보를 입력하면 익 월에 해당 계좌로 월급이 이체된다.
도 6과 도 7 및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리워드 앱의 사무실 카테고리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사무실 카테고리는 회원들의 성과 활동을 위한 메인 공간이다. 사무실 카테고리가 선택되면, 광고 앱 리스트가 제공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앱 설치, 앱 리뷰, 앱 실행, 미션과 같은 메뉴가 제공되며,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그에 속하는 광고 앱 리스트가 제공된다. 도 6은 앱 설치가 가능한 광고 앱 리스트를 나타낸
다. 상술한 바와 같이, 조직 운영부(510)는 자체광고 앱 리스트와 대행광고 앱 리스트를 관리할 수 있으며, 이를 리워드 앱(400)에 전달한다. 따라서 리워드 앱(400)을 통해 제공되는 광고 앱 리스트에는 자체광고 앱과 대행광고 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6에서 “만남”이라는 광고 앱은 자체광고 앱이며, 그 아래에는 대행광고 앱 리스트를 나타낸다. 대행광고 앱 리스트는 광고 대행업체별로 나뉘어 제공될 수 있는데, 도 6에는 대행광고 앱 리스트가 IGA(iga works) 광고, TNK 광고, NAS(Network Advertising System) 광고로 예시되어 있다. 참고로, IGA 광고는 (주)아이지에이웍스(IGA WORKS)의 대행광고를 의미하고, TNK는 (주)티앤케이팩토리(TNK FACTORY)의 대행광고를 의미하며, NAS는 (주)넥스트앱스의 대행광고를 의미한다.
한편, 도 6에서 광고 앱인 “만남”앱의 설치하기 버튼을 누르면, 리워드 앱([0048] 400)은 리워드 광고 플랫폼 서버(10)로부터 제공되는 URL을 통해 앱 마켓으로 이동한다. 제 1 URL일 경우, “만남”앱 다운로드 페이지로 곧바로 이동한다. 제 2 URL일 경우에는 앱 마켓에서 “만남”앱을 검색할 수 있는 키워드로 검색된 페이지로 이동한다. 이 경우, 회원은 키워드 검색 결과 페이지에서 직접 “만남”앱을 찾아서 선택하여 “만남”앱 다운로드 페이지로 이동한 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할 수 있다.
이 같이 키워드 검색 결과 페이지로의 링크 연결을 위한 제 2 URL을 제공하는 이유는 광고주의 이익을 위해서이다. 앱 마켓은 유사 앱들에 대해 순위를 관리하는데, 검색 키워드별로도 상이하게 순위를 관리한다. 이해를 돕기 위해 예를 들어 설명하면, 만남을 주선하는 “만남” 앱의 경우, 앱 마켓에서 ‘소개팅’이라는 키워드로
검색하면 검색 순위가 1위이지만 ‘미팅’이라는 키워드로 검색하면 검색 순위가 50위일 수 있다. 따라서, “만남”앱의 광고주 입장에서는 ‘미팅’이라는 키워드에 대해서도 자신의 앱이 상위에 랭킹되기를 원한다.
조직 운영부(510)는 “만남”앱에 대해 ‘미팅’이라는 키워드를 연계시켜 관리하며, 앱 마켓에서 ‘미팅’으로 검색하여 나온 검색 결과 페이지에 대한 제 2 URL을 관리한다. 그리고 이 제 2 URL을 리워드 앱(400)에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조직 운영부(510)는 리워드 앱(400)으로부터 “만남” 앱에 대한 회원의 설치 요청이 있으면, 그때 제 2 URL을 리워드 앱(400)에 제공함으로써 ‘미팅’키워드로 검색하여 얻어지는 검색 결과 페이지로 이동하도록 한다.
한편, 검색 결과 페이지에서 “만남”앱의 순위가 너무 낮으면 회원이 곧바로 찾기가 어렵다. 따라서 회원이 “만남”앱을 바로 찾을 수 있도록, 리워드 앱(400)에서는 “만남”앱의 순위 정보를 팝업 등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리워드 앱(400)은 순위 정보를 리워드 광고 플랫폼 서버(10)로부터 전달받는다. “만남”앱의 순위 정보는 검색 결과 페이지로의 이동 전에 회원에게 제공될 수도 있고, 이동 후에 제공될 수도 있다. 따라서 회원은 “만남”앱의 순위 정보를 통해 “만남”앱을 빠르게 찾을 수 있다.
이 같이 하면, 앱 마켓에서는 ‘미팅’키워드에 대한 “만남”앱의 순위가 상승 조정될 수 있다. 검색 결과 페이지로의 링크 연결 방식은 자체 광고에 대해서만 국한될 수도 있고, 대행 광고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이 같은 키워드 검색 서비스는 앱을 설치하는 과정이 포함되는 경우에는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앱 리뷰의 경우에는 먼저 앱을 설치하는 과정이 선행하므로, 이때에도 검색 결과 페이지로의 링크 연결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도 7는 앱 리뷰에 대한 광고 항목 리스트를 나타내고 있다. 앱 마켓에서 앱 설치 후 리뷰를 작성하면, 성과급 및 인사고과점수가 적립된다. 앱 리뷰 방식에 대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리뷰 쓰기”버튼을 누르고 앱 마켓에서 앱을 설치하며, 설치완료 후 별점 및 리뷰를 작성한 후에 리뷰 내용이 보이도록 화면을 캡처한다.
그리고 사무실의 앱 리뷰 메뉴에서 캡처 화면을 등록하면, 서버 측에서 확인이 완료되는 대로 24시간 내에 성과급 및 인사고과점수가 적립된다. 성과급은 광고금액이 월급으로 적립되며, 광고금액의 30배가 인사고과점수로 적립될 수 있다. 서버 측에서의 앱 리뷰 확인은 관리자에 의해 수동으로 이루어지거나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통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서버 측에서는 앱 리뷰에 대해 악의적인 글이 쓰이지는 않았는지 평가한 후에 성과급과 인사고과점수를 적립할 수 있다. 즉, 앱 리뷰에 대해 무조건 성과급과 인사고과점수를 적립해주는 것이 아니다.
도 8은 앱 실행에 대한 광고 항목 리스트를 나타내고 있다. 앱 마켓에서 앱 설치 후 설치한 앱을 실행할 때마다 성과급 및 인사고과점수가 적립된다. 성과급 및 인사고과점수의 적립은 소정 기간 동안 1일 1회로 제한될 수 있다. 앱 실행에 대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치하기”버튼을 누르고 앱 마켓에서 앱을 설치하며, 설치완료 후 사무실의 앱 실행 메뉴에서 “실행하기”버튼을 누르면, 성과급 및 인사고과점수가 적립된다. 이 같이 앱 실행에 따른 보상을 일회성으로 하지 않고 여러 번 하는 이유는 회원들에게 실행시마다 금전적 성과급을 보상하는 것 외에 인사고과점수를 추가로 부여함으로써, 금전적 성과급이 다소 충분하지 않더라도 인사고과점수를 통해서 승진할 경우 그에 따른 직책수당을 받아서 보상을 받을 수 있게 하고자 함이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미션 메뉴는 회원들에게 소정의 미션을 제공하고, 미션을 달성할 경우 성과급과 인사고과점수로 보상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미션의 경우에도 성과급 외에 인사고과점수를 통해서 보상받을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리워드 앱의 홈(HOME) 카테고리는 광고, 쇼핑, 설문, 커뮤니티 영역으로 구성될 수 있다. 광고 영역은 소셜커머스, 오픈마켓, 쇼핑몰 등 모바일 웹 광고를 제공한다. 모바일 웹 광고를 클릭하면 인사고과점수가 지급되는데, 1일 3회만 지급될 수 있다. 이는 단순 광고 보기로 인사고과 점수가 무한정 지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쇼핑 영역은 G마켓, 11번가, 티몬, 쿠팡 등 종합쇼핑몰 및 남성/여성/유아 등 전문쇼핑몰 광고를 제공하며, 구매금액에 대해 일정 비율로 적립을 해준다. 쇼핑을 회원이 무한정일 때, 회사에도 그 비율만큼 수수료가 발생하므로, 금액에 제한을 두지 않을 수 있다.
설문 영역은 설문 등록 및 참여를 위한 공간이다. 회원들은 설문조사를 위한 설문을 등록할 수 있으며, 타 회원들은 등록된 설문에 대해 참여할 수 있다. 설문 참여에 대해서는 성과급 및/또는 인사고과점수로 보상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설문 등록의 경우에는 인사고과점수로 보상이 되며, 대신 보상금이 차감될 수 있다.
그리고 이는 성과 평가부(520)와 로열티 평가부(530)에 의해 처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문 등록에 대해 성과 평가부(520)는 성과를 차감하는 평가를 하며, 로열티 평가부(530)는 인사고과점수를 높이는 평가를 할 수 있다. 커뮤니티 영역은 직원들간의 커뮤니티 활동을 위한 공간이다. 일반 커뮤니티와 다른 점은 커뮤니티 활동,
예를 들어 메인 글 작성과 그에 대한 댓글 작성에 대해 인사고과점수를 지급하는 것이다. 또한 하나의 메인 글에 대한 복수의 댓글들 중에는 베스트 댓글이 선정될 수 있는데, 자동 랜덤 선정 또는 메인 글 작성자에 의한 선정이 가능하다. 베스트 댓글로 선정될 경우, 인사고과점수가 추가 지급된다. 다만, 메인 글 작성자에 의해베스트 댓글 선정의 경우에는 남발 방지를 위해 1일 1회만 할 수 있도록 제한될 수 있다. 한편, 회원들의 설문 활동과 커뮤니티 활동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서는 임원에게 감시 및 신고기능이 주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서버 측에서 모니터링하지 않더라도 회원들 스스로의 활동에 의해 설문 및/또는 커뮤니티가 건전하게 유지될 수있다.
한편, 성과 평가부(520)는 회원 계정과 연동한 별도의 연동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이루어지는 성과 활동을 그 연동 회원의 성과로 평가할 수 있으며, 로열티 평가부(530)는 연동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이루어지는 로열티 활동을 그 연동 회원의 로열티로 평가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연동 애플리케이션은 친구나 부모, 지인 등 가까운 사람의 모바일 단말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설치된 연동 애플리케이션에 회원의 계정을 입력하면, 그 연동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성과 활동 및/또는 로열티 활동은 모두 계정 연동된 회원의 성과/로열티로 평가되는 것이다. 연동 애플리케이션은 “모바일 주식회사 프랜드”앱으로 명명될 수 있으며, 리워드 앱(400)의 일부 기능만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주식회사 프랜드 앱은 광고 활동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기능만을 제공할 수 있으며, 그 예로 앱 설치, 앱 리뷰, 앱 실행 기능만을 제공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리워드 광고 플랫폼 서버 100 : 통신부
200 : 저장부 300 : 제어부
500 : 리워드 운영 소프트웨어 510 : 조직 운영부
520 : 성과 평가부 530 : 로열티 평가부
540 : 평가 보상부 541 : 성과 보상부
542 : 로열티 보상부 543 : 근속 보상부
544 : 급여 이체부

Claims (5)

  1. 리워드 모바일 광고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형성되는 가상 조직에 속한 회원들의 경제 활동에 대한 보상 시스템에 있어서,
    가상 조직을 복수의 지사들로 구성하고 지사별로 조직을 운영 및 직위 체계를 관리하되, 지사 수를 회원 수에 따라 가변하고 지사별 회원들의 수를 제한하며 직위별 회원들의 수를 제한하는 조직 운영부;
    광고 앱 설치, 및 설치된 광고 앱 실행과 리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성과 활동 기준에 기반하여 회원들의 성과를 평가하는 성과 평가부;
    출근, 광고 보기, 광고 앱 설치, 설치된 광고 앱 실행과 리뷰 중 적어도 하나, 신규 회원 추천, 커뮤니티 글쓰기, 설문 등록 및 댓글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로열티 활동 기준에 기반하여 회원들의 로열티를 평가하는 로열티 평가부; 및
    회원들의 로열티 및 성과 평가 결과에 따라 회원별 보상금을 지급하는 평가 보상부;
    를 포함하는 리워드 모바일 광고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가상 공간 경제 활동 보상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광고 앱 리뷰는 캡처 이미지로 인증되는 리워드 모바일 광고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가상 공간 경제 활동 보상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로열티 평가부는 회원들의 로열티 활동에 따라 인사고과 점수를 부과하고, 인사고과 점수에 따라 직위를 결정하며, 직위별로 인사고과 점수에 따라 순위화하는 리워드 모바일 광고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가상 공간 경제 활동 보상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평가 보상부는 :
    회원별 성과 활동 확인시마다 해당 성과급을 지급하는 성과 보상부; 및
    지사별 총 성과급에 따라 회원들에게 추가 수당을 지급하되, 직위별로 차등 지급하는 로열티 보상부;
    를 포함하는 리워드 모바일 광고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가상 공간 경제 활동 보상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로열티 평가부는 인사고과 점수를 누적하되, 정해진 시간 단위로 일부 차감하는 리워드 모바일 광고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가상 공간 경제 활동 보상 시스템.
KR1020190087146A 2019-07-18 2019-07-18 리워드 모바일 광고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가상공간 경제활동 보상 체계 KR202100099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7146A KR20210009944A (ko) 2019-07-18 2019-07-18 리워드 모바일 광고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가상공간 경제활동 보상 체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7146A KR20210009944A (ko) 2019-07-18 2019-07-18 리워드 모바일 광고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가상공간 경제활동 보상 체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9944A true KR20210009944A (ko) 2021-01-27

Family

ID=74238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7146A KR20210009944A (ko) 2019-07-18 2019-07-18 리워드 모바일 광고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가상공간 경제활동 보상 체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994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8095B1 (ko) 2022-05-13 2023-05-26 이주철 정보열람 활동 보상을 제공하는 e2e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3904A (ko) 2012-12-07 2014-06-17 주식회사 엔비티파트너스 리워드형 광고 제공 방법 및 서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3904A (ko) 2012-12-07 2014-06-17 주식회사 엔비티파트너스 리워드형 광고 제공 방법 및 서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8095B1 (ko) 2022-05-13 2023-05-26 이주철 정보열람 활동 보상을 제공하는 e2e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81636A (ko) 리워드 모바일 광고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가상 공간 경제 활동 보상 시스템
Knez et al. Firm-wide incentives and mutual monitoring at Continental Airlines
Keeling et al. Staff word-of-mouth (SWOM) and retail employee recruitment
US8560385B2 (en) Advertising and incentives over a social network
US2011030730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location based branding
US2011030739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pplying social influence
US2011030734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haring user or member experience on brands
CN102890695A (zh) 用于个人化推荐的用户界面
CN101802787A (zh) 在社交网络中确定广告目标
CN101849229A (zh) 在社交网络网站中传送与来自其他域的活动有关的信息
WO2015044706A1 (en) Integrated and dynamic advertisement, marketing, and e-commerce platform
US20150058103A1 (en) Social media incentive point management
US11830016B2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ed targeted polling via an e-commerce promotions platform
AU2019101649A4 (en) An improved system and method for coordinating influencers on social media networks
EP2661730A2 (en) Collaboration meeting management in a web-based interactive meeting facility
Wirtz Managing customer relationships and building loyalty
KR20110133644A (ko) 기업의 효과적인 광고 마케팅 방법과 기업 브랜드 인지효과가 뛰어난 온라인 마케팅 비즈니스 모델
KR20210009944A (ko) 리워드 모바일 광고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가상공간 경제활동 보상 체계
US2016012544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nhanced customer lead generation, capture, and management
An 77 Building Blocks of Digital Transformation
US20160189190A1 (en) Computer implemented system and method for creation of a digital collaborative communication network for generating inquiries and receiving responses over mobile systems to provide customer response data to vendors and distribute selective data over social and other networks
KR20110081914A (ko) 스폰서십 제도와 소비자 학습효과를 활용하여 고객 관계 관리 구현이 가능한 온라인 마케팅 비즈니스 모델
US20120253887A1 (en) Methods and System for Obtaining and Using Opinions
Sakib Strategic emphasis on organic marketing in Daraz
KR102030408B1 (ko) 온라인 단말기를 이용한 로컬점포에 대한 온라인 마케팅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탑재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