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9718A - Tire related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ire related service - Google Patents

Tire related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ire related ser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9718A
KR20210009718A KR1020190086633A KR20190086633A KR20210009718A KR 20210009718 A KR20210009718 A KR 20210009718A KR 1020190086633 A KR1020190086633 A KR 1020190086633A KR 20190086633 A KR20190086633 A KR 20190086633A KR 20210009718 A KR20210009718 A KR 202100097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user
information
vehicle
t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663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32826B1 (en
Inventor
이영대
Original Assignee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86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2826B1/en
Publication of KR20210009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971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2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282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9/00Tyre parts or construc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3/00Vehicle-manoeuvring devices separate from the vehic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 G01M17/02Ty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20Administration of product repair or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1Item configuration or customiz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tire related service providing system including: an order input control unit which recognizes and processes user′s order input; a selection service information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selection of a service required for a user by using the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order input control unit; a providing subject information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election of a service providing entity to provide the required service to the user; and a service provision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service progress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arrival information of the selected service providing ent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ire related services are efficiently provided to the users and user convenience is improved.

Description

타어어 관련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타이어 관련 서비스 제공 방법{Tire related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ire related service} Thai-related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ire related service {Tire related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ire related servic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타어어 관련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타이어 관련 서비스 제공 방법 에 관한 것이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 system for providing a service related to a foreign language and a method for providing a service related to a tire.

사용자들이 운행하는 차량은 많은 부품들로 이루어져 있고, 그 중 타이어는 실질적으로 차량의 구동에 큰 영향을 주고, 특히 사용자의 안전 확보를 위한 핵심 부품 중 하나라 할 수 있다.Vehicles operated by users are made up of many parts, and among them, tires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driving of the vehicle, and in particular, can be said to be one of the key parts for securing user safety.

특히, 산업의 발전으로 인하여 물류의 이동 증가, 개인의 업무량등의 증가로 인한 이동량 증가 및 가족 생활 증가로 인한 자동차 운행량은 갈수록 늘고 있는 추세이다.In particular, due to the development of industry, the amount of movement of automobiles due to an increase in the movement of logistics, an increase in the amount of work of an individual, etc. and an increase in family life is increasing.

예를들면 자동차의 주행 특성에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인 타이어는 주기적으로 관리하고 수리 및 교체가 필요하고, 불시의 파손시 이를 교체해야 자동차의 원활한 주행을 수행할 수 있다.For example, tires, which are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the driving characteristics of a vehicle, require periodic management, repair and replacement, and should be replaced in case of accidental damage to ensure smooth driving of the vehicle.

이러한 자동차에 대한 관리를 위해 다양한 관리 서비스가 필요할 수 있는데, 자동차의 크기, 형태 등으로 인하여 서비스 제공의 편의성을 향상하는데 한계가 있다.Various management services may be required for the management of such vehicles, but there is a limit to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providing services due to the size and shape of the vehicl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에게 타이어 관련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하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하는 타어어 관련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타이어 관련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 tire-related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a tire-related service providing method that efficiently provides tire-related services to a user and improves user convenien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의 주문 입력을 인식하고 처리하는 주문 입력 제어부, 상기 주문 입력 제어부가 인식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필요한 서비스의 선택을 제어하는 선택 서비스 정보 제어부, 상기 사용자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할 서비스 제공 주체의 선택을 제어하는 제공 주체 정보 제어부 및 적어도 상기 선택된 서비스 제공 주체의 도착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진행 정보를 제어하는 서비스 제공 제어부를 포함하는 타이어 관련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개시한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order input control unit that recognizes and processes an order input from a user, a selection service information control unit that controls selection of a service required by the user using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order input control unit, and Disclosed is a tire-related service providing system including a providing subject information control unit controlling selection of a service providing subject to provide a service, and a service providing control unit controlling service progress information including arrival information of at least the selected service providing subject.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선택 서비스 정보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에게 필요한 서비스의 대상이 되는 타이어 관련 정보를 파악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lection service information control unit may control acquiring tire-related information that is a target of a service required by the user.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공 주체 정보 제어부는, 복수의 서비스 제공 주체 중 상기 사용자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할 주체를 선택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providing subject information control unit may select a subject that will provide a service necessary to the user from among a plurality of service providing subjects.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공 주체 정보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서비스 제공 주체의 위치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providing subject information control unit may us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service providing subjects.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 주체는 상기 사용자의 차량을 이동한 후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 제어부를 통하여 상기 차량의 이동 정보를 사용자에게 고지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service provider may provide a service after moving the user's vehicle, and notify the user of movement information of the vehicle through the service providing control unit.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 주체는 상기 사용자의 차량을 이동한 후 서비스를 제공한 후에, 상기 사용자의 차량이 있던 원래 장소로 원상 복귀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 제어부를 통하여 상기 원상 복귀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고지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rvice provider, after moving the user's vehicle and providing the service, returns to the original place where the user's vehicle was, and sends the information of the return to the original state through the service providing control unit. Can be notifi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사용자의 주문 입력을 인식하고 처리하는 주문 입력 제어 단계, 상기 주문 입력 제어 단계에서 인식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필요한 서비스의 선택을 제어하는 선택 서비스 정보 제어 단계, 상기 사용자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할 서비스 제공 주체의 선택을 제어하는 제공 주체 정보 제어 단계 및 적어도 상기 선택된 서비스 제공 주체의 도착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진행 정보를 제어하는 서비스 제공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타이어 관련 서비스 제공 방법을 개시한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rder input control step of recognizing and processing a user's order input, a selection service information control step of controlling selection of a service required by the user using information recognized in the order input control step, the Tire-related service provision comprising a providing subject information control step of controlling selection of a service providing subject to provide a service necessary to a user and a service provision control step of controlling service progress information including arrival information of at least the selected service providing subject The method is disclosed.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선택 서비스 정보 제어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게 필요한 서비스의 대상이 되는 타이어 관련 정보를 파악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tep of controlling the selection service information may control acquiring tire-related information that is a target of a service required by the user.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공 주체 정보 제어 단계는, 복수의 서비스 제공 주체 중 상기 사용자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할 주체를 선택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in the controlling of the providing subject information, a subject who will provide a service required to the user may be selected from among a plurality of service providing subjects.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공 주체 정보 제어 단계는, 상기 복수의 서비스 제공 주체의 위치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in the controlling of the providing subject informati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service providing subjects may be used.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 주체는 상기 사용자의 차량을 이동한 후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 제어 단계를 통하여 상기 차량의 이동 정보를 사용자에게 고지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service providing entity may provide a service after moving the user's vehicle, and may notify the user of movement information of the vehicle through the service provision control step.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 주체는 상기 사용자의 차량을 이동한 후 서비스를 제공한 후에, 상기 사용자의 차량이 있던 원래 장소로 원상 복귀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 제어부를 통하여 상기 원상 복귀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고지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rvice provider, after moving the user's vehicle and providing the service, returns to the original place where the user's vehicle was, and sends the information of the return to the original state through the service providing control unit. Can be notified.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Other asp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ther than those described above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rawings, claims,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본 실시예에 관한 타어어 관련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타이어 관련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에게 타이어 관련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하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다.The tire-related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the tire-related servi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efficiently provide tire-related services to a user and improve user convenien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 관련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선택 서비스 정보 제어부의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제공 주체 정보 제어부의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서비스 제공 제어부의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 관련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서비스 정보 제어부의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5의 제공 주체 정보 제어부의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5의 서비스 제공 제어부의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 관련 서비스 제공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서비스 정보 제어 단계의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9의 제공 주체 정보 제어 단계의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9의 서비스 제공 제어 단계의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 관련 서비스 제공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의 서비스 정보 제어 단계의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도 13의 제공 주체 정보 제어 단계의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는 도 13의 서비스 제공 제어 단계의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 관련 서비스 제공 방법에 사용되는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 및 도 19는 도 17의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의 리프트 부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 및 도 21은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의 리프트 부재의 선택적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는 도 20 및 도 21의 리프트 부재의 일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 및 도 25는 도 23의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에서 리프트 부재가 취출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6은 도 23의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의 리프트 부재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7 내지 도 33은 도 23의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의 리프트 부재의 동작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4a 내지 도 3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도면들이다.
도 35a 내지 도 35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도면들이다.
도 36a 내지 도 36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도면들이다.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tire-related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lternative embodiment of the selection service information control unit of FIG. 1.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lternative embodiment of the providing subject information control unit of FIG. 1.
FIG. 4 is a diagram showing an alternative embodiment of the service provision control unit of FIG. 1.
5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tire-related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lternative embodiment of the service information control unit of FIG. 5.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lternative embodiment of the providing subject information control unit of FIG. 5.
FIG. 8 is a diagram showing an alternative embodiment of the service providing control unit of FIG. 5.
9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 tire-related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lternative embodiment of the service information control step of FIG. 9.
FIG.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tional embodiment of the controlling step of providing subject information of FIG. 9.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lternative embodiment of a control step for providing a service of FIG. 9.
13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 tire-related ser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diagram showing an alternative embodiment of the service information control step of FIG. 13.
FIG. 1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tional embodiment of a step of controlling providing subject information of FIG. 13.
16 is a diagram showing an alternative embodiment of the service provision control step of FIG. 13.
17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used in a method for providing a tire-related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and 19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lift member of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of FIG. 17.
20 and 21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alternative embodiment of a lift member of a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2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lift member of FIGS. 20 and 21.
23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4 and 25 are views for explaining that a lift member is taken out of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of FIG. 23.
2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lift member of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of FIG. 23.
27 to 33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lift member of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of FIG. 23 by way of example.
34A to 34C are views exemplarily illustrating a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a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5A to 35C are views exemplarily illustrating a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a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6A to 36C are views exemplarily explaining a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a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ly various transformations and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Effec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later in detail together with the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when describing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nstituent elements ar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not used in a limiting meaning, but ar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In the following examples,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means that the features or elem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re present, and do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adding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elements in advance.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In the drawings,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or reduced in siz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For example, the size and thickness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are arbitrarily show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what is shown.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he x-axis, y-axis, and z-axis are not limited to three axes on a Cartesian coordinate system, and may be interpreted in a broad sense including them. For example, the x-axis, y-axis, and z-axis may be orthogonal to each other, but may refer to different directions that are not orthogonal to each other.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When a certain embodiment can be implemented differently, a specific process order may be performed differently from the described order. For example, two processes described in succession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may be performed in an order opposite to the described ord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 관련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tire-related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타이어 관련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주문 입력 제어부(110), 선택 서비스 정보 제어부(120), 제공 주체 정보 제어부(130) 및 서비스 제공 제어부(14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tire-related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includes an order input control unit 110, a selection service information control unit 120, a provider subject information control unit 130, and a service provision control unit 140.

본 실시예의 타이어 관련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에게 하나 이상의 타이어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제어할 수 있고, 예를들면 타이어 교체, 타이어 수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타이어 점검 기타 타이어 관리 서비스를 포함하는 다양한 서비스 제공을 제어할 수 있다.The tire-related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control providing one or more tire-related services to a user, and may include, for example, tire replacement, tire repair, and the lik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provision of various services including tire inspection and other tire management services.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타이어 관련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타이어가 장착된 차량에 관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예를들면 차량의 일부 부품 교체, 차량의 경정비 등 오토 케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tire-related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may provide a service for a vehicle equipped with a tire, and for example, may provide an auto care service such as replacement of some parts of the vehicle and maintenance of the vehicle. .

주문 입력 제어부(110)는 사용자의 주문 입력을 인식하고 처리할 수 있다. 사용자가 원하는 타이어 관련 서비스, 예를들면 교체, 수리, 점검 기타 관리 관련하여 사용자의 입력이 있을 경우 이러한 입력을 인식하고 제어할 수 있다.The order input control unit 110 may recognize and process a user's order input. When there is a user's input in relation to the tire-related service desired by the user, for example, replacement, repair, inspection, and other management, such input can be recognized and controlled.

또한 주문 입력 제어부(110)는 이러한 사용자의 입력이 있을 경우에 이러한 입력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rder input control unit 110 may store such input information when there is such a user input.

이러한 저장되는 정보에는 사용자를 인식할 수 있는 개인 신상 정보, 사용자의 타이어 정보, 사용자가 입력한 원하는 서비스 내용이 포함될 수 있다.Such stored information may include personal information that can recognize the user, tire information of the user, and desired service contents input by the user.

사용자는 다양한 방식으로 제공받고자 하는 서비스를 입력할 수 있고 예를들면 단말기에 구비된 앱(application)을 통하여 입력할 수 있다.The user can input a service to be provid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through an application provided in the terminal.

또한 다른 예로서 사용자는 이메일(e-mail)을 통하여 입력할 수 있고, 다른 예로서 웹사이트를 통하여 입력할 수 있다.In addition, as another example, the user may input through an e-mail, and as another example, through a website.

또한 다른 예로서 전화를 통하여 자기가 원하는 서비스를 말하는 방식으로 입력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s another example, it is possible to input a service that he/she wants through the phone.

선택 서비스 정보 제어부(120)는 상기 주문 입력 제어부가 인식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필요한 서비스의 선택을 제어할 수 있다.The selection service information controller 120 may control selection of a service required for the user by using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order input controller.

예를들면 선택 서비스 정보 제어부(120)는 사용자에게 제공할 서비스로서 새로 장착할 타이어를 준비해야 하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타이어 교체, 타이어 구입 서비스를 사용자가 원하는 것으로 인식된 경우 새로 장착할 타이어가 필요한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이 때 새로 장착할 타이어는 새타이어일 수 있고, 다른 예로서 중고 타이어일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selection service information controller 120 may determine whether a tire to be newly mounted should be prepared as a service to be provided to a user. As a specific example, when it is recognized that a user wants a tire replacement or a tire purchase service, it can be determined that a new tire to be installed is required. At this time, the tire to be newly installed may be a new tire, or as another example, a used tire.

또한 타이어 점검, 타이어 수리 등의 경우 새로 장착할 타이어가 필요하지 않은 서비스로 파악할 수 있다. 물론, 선택적 실시예로서 점검 및 수리의 경우에도 예비적으로 새로 장착할 타이어가 필요한 것으로 파악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ire inspection and tire repair, it can be identified as a service that does not require newly installed tires. Of course, as an optional embodiment, even in the case of inspection and repair, it may be determined that a tire to be newly installed in advance is required.

선택 서비스 정보 제어부(120)는 사용자에게 필요한 서비스의 대상이 되는 타이어 관련 정보를 파악할 수 있고, 이러한 타이어 정보는 타이어 규격, 타이어 종류, 타이어 일련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다른 예로서 상기 타이어가 장착된 차량 정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The optional service information control unit 120 can grasp tire-related information that is a target of a service required by a user, and such tire information may include tire standard, tire type, and tire serial information. As another example, the tire is mounted It may further include vehicle information.

선택 서비스 정보 제어부(120)는 이러한 타이어 관련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The selection service information controller 120 may store such tire-related information.

제공 주체 정보 제어부(130)는 상기 사용자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할 서비스 제공 주체의 선택을 제어할 수 있다.The providing subject information controller 130 may control selection of a service providing subject to provide a service required to the user.

제공 주체 정보 제어부(130)는 복수의 서비스 제공 주체 중 일 서비스 제공 주체를 상기 서비스를 원하는 일 사용자에게 매칭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The providing subject information controller 130 may include matching a service providing subject among a plurality of service providing subjects with a user who desires the service.

선택적 실시예로서 상기 일 서비스 제공 주체에게 하나 이상의 사용자를 매칭할 수도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one or more users may be matched to the one service provider.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공 주체 정보 제어부(130)는 복수의 서비스 제공 주체 중 상기 서비스를 원하는 일 사용자와의 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최적의 거리 또는 최소 시간 소요 지점의 제공 주체를 매칭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와의 거리 정보는 사용자의 타이어가 장착된 차량의 위치 정보일 수 있고,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이용하여 이러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위치 정보 기반 서비스(GPS)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도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providing subject information control unit 130 may match the providing subject of the optimal distance or the minimum time required point by using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a plurality of service providing subjects and a user who desires the service. At this time, the distance information from the user may be location information of a vehicle on which the user's tire is mounted, and such information may be recognized using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In addition, as another example, a location of a user may be identified using a location information based service (GPS).

이 때 사용자의 위치와 차량의 위치는 동일할 수 있고, 다른 예로서 상이할 수 있고, 상이한 경우에는 차량의 위치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 때 추가적으로 사용자로 하여금 차량의 위치 정보에 대한 내용을 확인하고 이를 인식 및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location of the user and the location of the vehicle may be the same, and as another example, may be different, and in different cas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may be used. As an optional embodiment, at this time, it may additionally include the step of allowing the user to check, recognize and store the contents of the vehicle location information.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공 주체 정보 제어부(130)는 복수의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는 일 서비스 제공 주체를 선택할 수 있고, 복수의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 경로를 가상으로 설계하여 복수의 제공 주체 중 이러한 가상 의 이동 경로가 최소이거나 소요 시간이 최소인 경우의 일 서비스 주체를 상기 복수의 사용자에게 매칭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providing subject information controller 130 may select a service providing subject to provide services to a plurality of users, and design a moving path virtually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users to provide a plurality of providing subjects. Among these, a service subject in the case where the virtual movement path is the minimum or the required time is the minimum may be matched to the plurality of users.

선택적 실시예로서 사용자의 위치 정보, 복수의 제공 주체의 위치 외에 적재 거점 위치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들면 사용자에게 타이어 교체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는 경우에 서비스 제공 주체는 사용자의 기존 타이어에 대응하는 타이어를 소유하고 있지 않은 경우 타이어들이 보관되어 있는 적재 거점으로부터 타이어를 획득하여 사용자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러한 적재 거점은 복수의 지역에 분산되어 있을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a loading base location may be used in addition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and the location of a plurality of providers. For example, when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tire replacement service to the user, the service provider can obtain the tire from the loading base where the tires are stored and move it to the user's location if the service provider does not own the tire corresponding to the user's existing tire. . In addition, as an optional embodiment, such loading points may be distributed over a plurality of areas.

이러한 경우 제공 주체 정보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 복수의 제공 주체 및 하나 이상의 적재 장소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최적의 서비스 제공 주체 및 최적의 적재 거점을 매칭하여 사용자에게 최단 시간의 서비스 제공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providing subject information control unit 130 matches the optimum service providing subject and the optimum loading base to provide the service to the user us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a plurality of providing subjects, and one or more loading location information to the user. Service provision in the shortest time can be easily proceeded.

서비스 제공 제어부(140)는 적어도 상기 선택된 서비스 제공 주체의 도착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진행 정보를 제어할 수 있다.The service providing control unit 140 may control service progress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arrival information of the selected service providing entity.

서비스 제공 주체는 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사용자의 위치 또는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타이어가 장착된 차량 위치에 도착할 수 있고, 이러한 도착 사실, 도착 시점에 대한 정보 관련하여 서비스 제공 제어부(140)는 저장할 수 있다.The service provider may arrive at a location of a user or a vehicle on which a tire for providing the service is mounted in order to provide a service, and the service provision control unit 140 may store information on such arrival fact and arrival time. .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서비스 제공 제어부(140)는 이러한 도착 정보를 사용자에게 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service provision control unit 140 may notify the user of such arrival information.

예를들면 사용자가 사용자의 차량으로부터 떨어져 있고, 상기 서비스 제공 주체가 상기 사용자의 차량의 위치에 도착한 경우 사용자에게 이러한 도착 정보를 고지할 수 있고, 실시간으로 또는 직후에 고지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user is away from the user's vehicle and the service providing entity arrives at the location of the user's vehicle, such arrival information may be notified to the user, and may be notified in real time or immediately.

예를들면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의 차량과 떨어진 상태에서 상기 차량에 대한 서비스 제공을 받을 수 있고, 이 때 서비스 제공 주체가 도착한 사실의 정보를 전달받아 자기 자신의 차량에 대한 접근이 없이도 서비스 제공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For example, a user can receive a service for the vehicle while away from the user's vehicle, and at this time, the service provider may receive information on the arrival of the service provider and determine whether the service is provided without access to the vehicle. It can be easily identified.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서비스 제공 제어부(140)는 상기 서비스를 제공할 타이어가 장착된 차량의 이동을 진행하는 경우에 이러한 차량 이동 정보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들면 차량을 이동할 이동 장소 설정하고, 이러한 이동 장소로의 이동 및 이동이 완료된 후에, 필요한 경우 다시 원래 장소로 원상 복귀 이동 등의 제어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service providing controller 140 may control such vehicle movement information when the vehicle on which the tire to provide the service is mounted is moving. For example, a moving place to which the vehicle will be moved may be set, and after the movement and movement to the moving place are completed, if necessary, control such as a return movement to the original place may be included.

이 때 차량 이동 정보 및 서비스 완료 정보를 사용자에게 고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vehicle movement information and service completion information may be notified to the user.

선택적 실시예로서 상시 서비스 제공 주체는 사용자의 차량의 위치에 도착한 후에 상기 사용자의 차량을 운전하여 이동하거나 차량 운송 수단에 적재한 후에 서비스 제공 장소로 이동할 수 있고, 서비스 제공 장소에서 상기 차량의 타이어 관련 서비스를 제공한 후에 서비스가 완료되면 상기 타이어가 장착된 차량을 다시 원래 장소로 원상 복귀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서비스 제공 제어부(140)는 상기 차량을 서비스 제공 장소로 이동하는 경우 이동 정보, 서비스 제공 장소 도착 시 도착 장소와 서비스 제공 진행 상황 정보 및 서비스 완료 후 원상 복귀 정보를 사용자에게 선택적으로 고지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subject of constant service may drive the user's vehicle after arriving at the location of the user's vehicle or move to the service provision location after loading the vehicle into the vehicle transportation means, and the tire-related information of the vehicle at the service provision location. After the service is provided, when the service is completed, the vehicle equipped with the tire may be moved back to its original location. At this time, when the vehicle is moved to the service providing place, the service providing control unit 140 may selectively notify the user of movement information, information on the arrival place and service provision progress status upon arrival at the service providing place, and return information after service completion. have.

도 2는 도 1의 선택 서비스 정보 제어부의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lternative embodiment of the selection service information control unit of FIG. 1.

선택 서비스 정보 제어부(120')는 타이어 준비 정보 제어부(121') 또는 타이어 정보 제어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lection service information control unit 120 ′ may include a tire preparation information control unit 121 ′ or a tire information control unit 122 ′.

타이어 준비 정보 제어부(121')는 사용자에게 제공할 타이어 관련 서비스로서 상기 사용자의 현재 타이어에 대신에 다른 타이어, 예를들면 새타이어 또는 중고 타이어로 교체할 필요가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고 이러한 정보를 저장하여 다른 서비스 단계에서 진행하도록 할 수 있다.The tire preparation information control unit 121 ′ is a tire-related service to be provided to the user, and identifies information on whether it is necessary to replace the current tire of the user with another tire, for example, a new tire or a used tire, and this information Can be saved to proceed in other service steps.

사용자의 주문 입력 정보를 통하여, 예를들면 사용자가 타이어 교체 서비스를 신청한 경우에 타이어 준비 정보 제어부(121')는 교체 타이어가 필요하고 이에 대한 준비가 필요함을 파악할 수 있다.Through the user's order input information, for example, when the user applies for a tire replacement service, the tire preparation information control unit 121 ′ may recognize that a replacement tire is required and that preparation is necessary.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타이어 준비 정보 제어부(121')는 사용자가 타이어 점검을 요청하고, 상기 사용자의 타이어의 사용 연한 정보를 파악하여 상기 타이어의 교체 시기가 도래함을 인지하여 타이어 교체 준비가 필요함을 파악할 수 있다.In addition, 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tire preparation information control unit 121 ′ needs to prepare for tire replacement by recognizing the arrival of the tire replacement time by requesting the user to check the tire and grasping the usage age information of the user's tire. Can grasp.

선택적 실시예로서 타이어 준비 정보 제어부(121')는 상기 사용자가 타이어의 수리 또는 점검을 요청한 경우에 교체 타이어가 필요하지 않고 교체 타이어 준비가 필요 없음을 파악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tire preparation information controller 121 ′ may determine that a replacement tire is not required and that replacement tire preparation is not required when the user requests repair or inspection of a tire.

타이어 정보 제어부(122')는 사용자의 타이어 정보를 조사하고 이를 파악할 수 있고, 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The tire information control unit 122 ′ may investigate and identify the user's tire information, and may store the information.

이러한 저장된 정보는 추후 사용자에게 제공할 주기적인 서비스의 기본 정보로 사용될 수 있다.Such stored information can be used as basic information of periodic services to be provided to users in the future.

타이어 정보 제어부(122')는 타이어 종류, 타이어 규격, 타이어가 장착된 차량의 정보, 타이어의 모델명 또는 타이어 일련 번호를 포함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The tire information controller 122' may store information including a tire type, a tire standard, information on a vehicle equipped with a tire, a tire model name, or a tire serial number.

도 3은 도 1의 제공 주체 정보 제어부의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lternative embodiment of the providing subject information control unit of FIG. 1.

제공 주체 정보 제어부(130')는 상기 사용자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할 서비스 제공 주체의 선택을 제어할 수 있다.The providing subject information controller 130 ′ may control selection of a service providing subject to provide a service required to the user.

제공 주체 정보 제어부(130')는 사용자 관련 위치 정보 제어부(131'), 제공 주체 위치 정보 제어부(132') 또는 경로 정보 제어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oviding subject information control unit 130 ′ may include a user-related location information control unit 131 ′, a providing subject location information control unit 132 ′, or a path information control unit 133 ′.

사용자 관련 위치 정보 제어부(131')는 서비스를 제공받을 사용자 관련 위치 정보를 인식하고 이러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관련 위치 정보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다른 예로서 사용자의 차량이 있는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user-related location information controller 131 ′ may recognize user-related location information to be provided with a service and store such information. Such user-related lo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and as another exampl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s vehicle.

사용자 관련 위치 정보 제어부(131')는 사용자의 주문 입력 정보를 통하여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파악하고 이를 인식 및 저장할 수 있다. 예를들면 사용자가 사용자 자신의 위치를 입력시 이러한 정보를 인식할 수 있고, 다른 예로서 사용자가 차량과 동일한 위치에 있지 않고 멀리 있는 경우에 사용자는 서비스를 제공받을 타이어가 장착된 차량이 있는 장소를 입력하고 이러한 입력을 인식하여 사용자 위치로 파악하여 서비스 제공 장소로 선택할 수 있다.The user-related location information controller 131 ′ may recognize, recognize, and stor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hrough the user's order input information. For example, when the user enters his or her location, such information can be recognized. As another example, when the user is not in the same location as the vehicle and is far away, the user is a place where a vehicle with tires to be provided is located. By inputting and recognizing this input, it can be identified as a user location and selected as a service provision location.

선택적 실시예로서 사용자 위치 정보 제어부(131')는 위치 정보 파악 모듈, 예를들면 GPS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단말기 위치를 인식하고 이러한 위치를 사용자의 위치로 파악할 수 있다. 예를들면 사용자 위치 정보 제어부(131')는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도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user location information control unit 131 ′ may recognize the location of the user's terminal using a location information grasp module, for example, GPS, and recognize this location as the user's location. For example, the user location information controller 131 ′ may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user in real time.

제공 주체 위치 정보 제어부(132')는 상기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서비스 제공 주체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The providing subject location information control unit 132 ′ may determine the location of a service providing subject to provide a service to the user.

예를들면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제공 주체는 하나 이상일 수 있고, 예를들면 복수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공 주체는 여러 지역에 분포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re may be one or more providers who will provide the service to the user, and for example, there may be a plurality of providers. In addition, the providing entity may be distributed in several regions.

선택적 실시예로서 상기 제공 주체는 이동 중일 수 있고, 예를들면 서비스 제공 관련된 차량을 타고 이동 중일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providing entity may be moving, for example, may be moving in a vehicle related to providing a service.

구체적 예로서 서비스를 제공할 서비스 인력이 탑승한 복수의 서비스 차량이 이동 중일 수 있고, 이러한 복수의 차량의 위치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As a specific example, a plurality of service vehicles on which a service personnel to provide a service is aboard may be moving, and location information of such a plurality of vehicles may be recognized.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공 주체 위치 정보 제어부(132')는 위치 정보 파악 모듈, 예를들면 GPS를 이용하여 복수의 서비스 제공 주체의 단말기 위치를 인식하고 이러한 위치를 사용자의 위치로 파악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providing subject location information controller 132 ′ may recognize the locations of terminals of a plurality of service providing subjects using a location information grasping module, for example, GPS, and recognize these locations as the user's location.

경로 정보 제어부(133')는 제공 주체의 경로 정보를 생성하고 이러한 경로 정보를 통하여 최적의 경로 정보를 갖도록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서비스 제공 주체를 매칭할 수 있다.The route information controller 133 ′ may generate route information of the providing subject and match the service providing subject to provide a service to the user so as to have optimal route information through the route information.

상기에서 인식한 사용자 관련 위치 정보 및 서비스 제공 주체 위치 정보를 인식하여 사용자와 서비스 제공 주체들간의 경로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최적의 경로 정보에 대응하는 서비스 제공 주체를 상기 사용자에게 매칭할 수 있다. 예를들면 최단 경로, 최고 편의 운행 경로 또는 최소 소요 시간 경로를 최적의 경로 정보에 대응할 수 있다. By recognizing the location information related to the user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rvice providing subject recognized above, route information between the user and the service providing subject can be generated, and accordingly, the service providing subject corresponding to the optimal route information can be matched with the user. I can. For example, the shortest route, the most convenient driving route, or the minimum required time route may correspond to the optimal route information.

선택적 실시예로서 하나의 서비스 제공 주체에 복수의 사용자를 매칭할 수 있고, 복수의 사용자들에 대한 서비스 제공 주체의 방문 순서를 생성하여 최종적으로 복수의 사용자들에 대한 하나의 서비스 제공 주체의 동선을 포함하는 경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a plurality of users can be matched with one service provider, and the order of visits of the service provider for a plurality of users is created to finally determine the movement of one service provider to the plurality of users. Path information to be included can be generated.

이를 통하여 일 서비스 주체는 최적의 경로를 이용하여 단시간에 여러 사용자 관련 위치를 방문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Through this, a service subject can provide services by visiting several user-related locations in a short time using an optimal route.

도 4는 도 1의 서비스 제공 제어부의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 4 is a diagram showing an alternative embodiment of the service provision control unit of FIG. 1.

서비스 제공 제어부(140')는 적어도 상기 선택된 서비스 제공 주체의 도착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진행 정보를 제어할 수 있다.The service providing control unit 140 ′ may control service progress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arrival information of the selected service providing subject.

서비스 제공 제어부(140')는 도착 정보 제어부(141'), 차량 이동 정보 제어부(142'), 서비스 진행 정보 제어부(143') 또는 원상 복귀 정보 제어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rvice providing control unit 140 ′ may include an arrival information control unit 141 ′, a vehicle movement information control unit 142 ′, a service progress information control unit 143 ′, or a return information control unit 144 ′.

도면에는 서비스 제공 제어부(140')가 도착 정보 제어부(141'), 차량 이동 정보 제어부(142'), 서비스 진행 정보 제어부(143') 및 원상 복귀 정보 제어부(144')를 모두 포함하나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In the drawing, the service providing control unit 140 ′ includes all of the arrival information control unit 141 ′, the vehicle movement information control unit 142 ′, the service progress information control unit 143 ′, and the original return information control unit 144 ′. Examples are not limited thereto and may include one or more of these.

도착 정보 제어부(141')는 상기 선택된 서비스 제공 주체가 상기 사용자 관련 위치에 제대로 도착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서비스 제공 주체가 효율적으로 최단시간으로 사용자 관련 위치에 도착할 수 있고, 이를 위하여 서비스 제공 주체의 이동 시 실시간 위치 정보를 전달받고 이를 이용하여 도착 시간을 앞당길 수 있다.The arrival information control unit 141 ′ may confirm that the selected service provider properly arrives at the user-related location. Through this, the service provider can efficiently arrive at the user-related location in the shortest time, and to this end, when the service provider moves, real-time location information can be received and the arrival time can be accelerated by using this.

선택적 실시예로서 도착 정보 제어부(141')는 서비스 제공 주체가 사용자 관련 위치에 도착한 경우 도착한 사실 및 도착 시간 관련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또한 이러한 도착 사실 및 도착 시간 관련 정보를 사용자에게 고지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의 위치와 사용자의 차량 위치가 다른 경우 사용자는 사용자의 차량에 가지 않아도 서비스를 제공할 서비스 제공 주체 도착 사실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arrival information control unit 141 ′ may store arrival facts and arrival time related information when the service provider arrives at a user-related location, and may notify the user of such arrival facts and arrival time related information. . In this case, if the location of the user and the location of the user's vehicle are different, the user can easily check the arrival of the service provider who will provide the service without going to the user's vehicle.

차량 이동 정보 제어부(142')는 서비스 제공 주체가 사용자 관련 위치에 도착 후 상기 사용자의 차량을 서비스를 제공받을 장소로 이동하는 것을 포함할 경우 이러한 이동을 제어하고 이러한 이동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이동 정보를 사용자에게 고지할 수 있다.The vehicle movement information controller 142 ′ may control such movement and store such movement information when the service provider includes moving the user's vehicle to a location to be provided with a service after arriving at a user-related location. It can also notify the user of such movement information.

사용자의 차량의 이동은 서비스 제공 주체가 상기 사용자의 차량에 대한 직접 운행을 통하여 진행될 수 있고, 다른 예로서 차량 운송 수단에 적재한 후 진행될 수도 있다.The movement of the user's vehicle may be performed by the service providing entity through direct driving of the user's vehicle, and as another example, may be performed after being loaded onto the vehicle transportation means.

사용자의 차량의 이동이 필요 없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경우 이동 필요 없음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고지할 수 있다.If the service can be provided without the need for the user's vehicle to move, information about the need for movement can be stored and notified to the user.

서비스 진행 정보 제어부(143')는 타이어 관련 서비스를 진행하는 것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저장할 수 있고, 이러한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사용자에게 고지할 수 있다.The service progress information control unit 143 ′ may store information on the progress of tire-related services in real time, and may notify the user of at least part of this information.

예를들면 타이어가 장착된 차량에 대하여 서비스 센터, 서비스 거점 등에 장소로 이동한 후에 서비스를 개시한 시점, 서비스 진행 사항 또는 서비스 완료 정보를 저장하고 이에 대한 것을 사용자에게 고지할 수 있다.For example, after moving to a service center, a service base, or the like for a vehicle equipped with a tire, it is possible to store the service start point, service progress, or service completion information, and notify the user of this.

원상 복귀 정보 제어부(144')는 서비스 진행이 완료된 경우 서비스가 완료된 타이어, 예를들면 새타이어(또는 중고 타이어) 또는 기존 타이어에 대한 수리나 점검이 완료된 타이어를 차량에 장착하고 나서 원상 복귀한 사실 및 이러한 시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이에 대하여 사용자에게 고지할 수 있다.When the service is completed, the return information control unit 144' is the fact that the service is completed, for example, a new tire (or used tire), or a tire that has been repaired or inspected for an existing tire, installed on the vehicle and then returned to the original state. And, it is possible to store information on this time point and notify the user of this.

예를들면 사용자의 차량을 서비스 센터 또는 서비스 거점 등으로 이동한 후에 차량의 타이어에 대한 서비스를 진행하고 나서, 타이어가 장착된 차량을 원래의 위치로 원상 복귀할 수 있고, 이러한 사실을 사용자에게 고지할 수 있다.For example, after moving the user's vehicle to a service center or service base, service for the vehicle's tires can be performed, the vehicle with the tires installed can be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and this fact is notified to the user. can do.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사용자의 차량에 장착된 타이어에 대한 서비스 제공을 용이하게 받은 후, 이러한 사실을 용이하게 전달받을 수 있다.Through this, the user can easily receive service provision for the tire mounted on the user's vehicle and then easily receive this fact.

본 실시예의 타이어 관련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주문 입력 제어부를 통하여 사용자의 주문 입력을 인식할 수 있고, 예를들면 사용자의 타이어에 대한 점검, 수리 또는 교체 등의 요청 정보를 인식할 수 잇다.The tire-related service providing system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recognize the user's order input through the order input control unit, and, for example, may recognize request information such as inspection, repair, or replacement of the user's tire.

선택 서비스 정보 제어부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타이어 관련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고, 제공 주체 정보 제어부를 통하여 복수의 서비스 제공 주체 중 적절한 하나 이상의 서비스 제공 주체를 선택하고, 서비스 제공 제어부를 통하여 도착 정보를 포함하는 다양한 서비스 제공 정보를 제어할 수 있다.A tire-related service to be provided to the user can be selected through the selection service information control unit, and one or more service providers suitable for a plurality of service providers are selected through the service provider information control unit, and arrival information is included through the service providing control unit. You can control various service provision information.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손쉽게 자기가 원하는 타이어 관련 서비스를 주문하고, 이에 대한 주문을 인식한 후에 최적의 서비스 제공 주체를 선택하여 서비스를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user can easily order the tire-related service he or she wants, and after recognizing the order, select an optimal service provider to easily provide the service.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사용자가 직접 차량을 운전하여 서비스 센터 또는 서비스 거점에 방문하지 않고 서비스 제공 주체가 사용자 관련 위치로 방문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의 차량을 서비스 제공 위치인 서비스 센터 또는 서비스 거점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의 시간 및 운행을 통한 번거로움을 감소하여 서비스 제공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다.In addition, as an optional embodiment, a service provider may visit a user-related location and provide a service without a user directly driving a vehicle to visit a service center or a service base, and the user's vehicle is a service center or service You can move to the base.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service provision by reducing the user's time and hassle through driving.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사용자가 사용자의 차량의 위치에 있지 않더라도 선택된 서비스 제공 주체가 방문하여 차량을 이동하고, 이러한 이동 사실에 대한 정보, 이동 후 서비스 진행 정보 및 서비스 제공 후 원상 복귀 사실 등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고지하여 사용자는 안심하고 자기 차량에 대한 서비스 제공받을 수 있어 서비스 제공의 신뢰도가 향상될 수 있다.In addition, as an optional embodiment, even if the user is not at the location of the user's vehicle, the selected service provider visits and moves the vehicle, and information about such movement, service progress information after movement, and information on the fact of return to the original state after providing the service. By notifying the user, the user can receive a service for his/her vehicle with confidence, thereby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the service provision.

또한, 서비스 주체와 사용자를 매칭시에 사용자 관련 위치와 복수의 서비스 주체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경로 설정을 통하여 최적 경로에 대응하는 서비스 주체를 사용자에게 매칭하여 서비스 제공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matching a service subject and a user, a service subject corresponding to an optimal route may be matched to a user through a route setting using a user-related loc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service subjects, thereby reducing a service provision time.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일 사용자가 복수의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 시 복수의 사용자 관련 위치에 대한 방문 순서를 포함한 경로 설정을 최적으로 하여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서비스 제공을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들에 대한 서비스 만족도 향상 및 서비스 제공 주체의 서비스 제공 효율성을 향상할 수 있다.In addition, as an optional embodiment, when a user provides a service to a plurality of users, it is possible to smoothly proceed with providing a service to a plurality of users by optimally setting a route including an order of visits to a plurality of user-related locations.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improve service satisfaction for users and improve service provision efficiency of the service provider.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 관련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tire-related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타이어 관련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은 주문 입력 제어부(210), 선택 서비스 정보 제어부(220), 제공 주체 정보 제어부(230) 및 서비스 제공 제어부(24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5, the tire-related service providing system 200 includes an order input control unit 210, a selection service information control unit 220, a provider subject information control unit 230, and a service provision control unit 240.

본 실시예의 타이어 관련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은 사용자에게 하나 이상의 타이어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제어할 수 있고, 예를들면 타이어 교체, 타이어 수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타이어 점검 기타 타이어 관리 서비스를 포함하는 다양한 서비스 제공을 제어할 수 있다.The tire-related service providing system 20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control providing one or more tire-related services to a user, and may include, for example, tire replacement, tire repair, and the lik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provision of various services including tire inspection and other tire management services.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타이어 관련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타이어가 장착된 차량에 관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예를들면 차량의 일부 부품 교체, 차량의 경정비 등 오토 케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tire-related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may provide a service for a vehicle equipped with a tire, and for example, may provide an auto care service such as replacement of some parts of the vehicle and maintenance of the vehicle. .

주문 입력 제어부(210)는 사용자의 주문 입력을 인식하고 처리할 수 있다. 사용자가 원하는 타이어 관련 서비스, 예를들면 교체, 수리, 점검 기타 관리 관련하여 사용자의 입력이 있을 경우 이러한 입력을 인식하고 제어할 수 있다.The order input control unit 210 may recognize and process a user's order input. When there is a user's input in relation to the tire-related service desired by the user, for example, replacement, repair, inspection, and other management, such input can be recognized and controlled.

또한 주문 입력 제어부(210)는 이러한 사용자의 입력이 있을 경우에 이러한 입력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rder input control unit 210 may store such input information when there is such a user input.

이러한 저장되는 정보에는 사용자를 인식할 수 있는 개인 신상 정보, 사용자의 타이어 정보, 사용자가 입력한 원하는 서비스 내용이 포함될 수 있다.Such stored information may include personal information that can recognize the user, tire information of the user, and desired service contents input by the user.

사용자는 다양한 방식으로 제공받고자 하는 서비스를 입력할 수 있고 예를들면 단말기에 구비된 앱(application)을 통하여 입력할 수 있다.The user can input a service to be provid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through an application provided in the terminal.

또한 다른 예로서 사용자는 이메일(e-mail)을 통하여 입력할 수 있고, 다른 예로서 웹사이트를 통하여 입력할 수 있다.In addition, as another example, the user may input through an e-mail, and as another example, through a website.

또한 다른 예로서 전화를 통하여 자기가 원하는 서비스를 말하는 방식으로 입력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s another example, it is possible to input a service that he/she wants through the phone.

선택 서비스 정보 제어부(220)는 상기 주문 입력 제어부가 인식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필요한 서비스의 선택을 제어할 수 있다.The selection service information controller 220 may control selection of a service necessary for the user by using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order input controller.

예를들면 선택 서비스 정보 제어부(220)는 사용자에게 제공할 서비스로서 새로 장착할 타이어를 준비해야 하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타이어 교체, 타이어 구입 서비스를 사용자가 원하는 것으로 인식된 경우 새로 장착할 타이어가 필요한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이 때 새로 장착할 타이어는 새타이어일 수 있고, 다른 예로서 중고 타이어일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selection service information controller 220 may determine whether a tire to be newly mounted should be prepared as a service to be provided to a user. As a specific example, when it is recognized that a user wants a tire replacement service or a tire purchase service, it may be determined that a new tire to be installed is required. At this time, the tire to be newly installed may be a new tire, or as another example, a used tire.

또한 타이어 점검, 타이어 수리 등의 경우 새로 장착할 타이어가 필요하지 않은 서비스로 파악할 수 있다. 물론, 선택적 실시예로서 점검 및 수리의 경우에도 예비적으로 새로 장착할 타이어가 필요한 것으로 파악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ire inspection and tire repair, it can be identified as a service that does not require newly installed tires. Of course, as an optional embodiment, even in the case of inspection and repair, it may be determined that a tire to be newly installed in advance is required.

선택 서비스 정보 제어부(220)는 사용자에게 필요한 서비스의 대상이 되는 타이어 관련 정보를 파악할 수 있고, 이러한 타이어 정보는 타이어 규격, 타이어 종류, 타이어 일련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다른 예로서 상기 타이어가 장착된 차량 정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The selection service information control unit 220 can grasp tire-related information that is a target of a service required by the user, and such tire information may include tire standard, tire type, and tire serial information, and as another example, the tire is mounted. It may further include vehicle information.

선택 서비스 정보 제어부(220)는 이러한 타이어 관련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The selection service information controller 220 may store such tire-related information.

제공 주체 정보 제어부(230)는 상기 사용자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할 서비스 제공 주체의 선택을 제어할 수 있다.The providing subject information controller 230 may control selection of a service providing subject to provide a service required to the user.

제공 주체 정보 제어부(230)는 복수의 서비스 제공 주체 중 일 서비스 제공 주체를 상기 서비스를 원하는 일 사용자에게 매칭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The providing subject information controller 230 may include matching a service providing subject among a plurality of service providing subjects with a user who desires the service.

선택적 실시예로서 상기 일 서비스 제공 주체에게 하나 이상의 사용자를 매칭할 수도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one or more users may be matched to the one service provider.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공 주체 정보 제어부(230)는 복수의 서비스 제공 주체 중 상기 서비스를 원하는 일 사용자와의 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최적의 거리 또는 최소 시간 소요 지점의 제공 주체를 매칭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와의 거리 정보는 사용자의 타이어가 장착된 차량의 위치 정보일 수 있고,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이용하여 이러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위치 정보 기반 서비스(GPS)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도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providing subject information control unit 230 may match the providing subject of the optimal distance or the minimum time required point by using distance information from a user who desires the service among a plurality of service providing subjects. In this case, the distance information from the user may be location information of a vehicle on which the user's tire is mounted, and such information may be recognized using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In addition, as another example, the location of a user may be identified using a location information-based service (GPS).

이 때 사용자의 위치와 차량의 위치는 동일할 수 있고, 다른 예로서 상이할 수 있고, 상이한 경우에는 차량의 위치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 때 추가적으로 사용자로 하여금 차량의 위치 정보에 대한 내용을 확인하고 이를 인식 및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location of the user and the location of the vehicle may be the same, and as another example, may be different, and in different cas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may be used. As an optional embodiment, at this time, it may additionally include the step of allowing the user to check, recognize and store the contents of the vehicle location information.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공 주체 정보 제어부(230)는 복수의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는 일 서비스 제공 주체를 선택할 수 있고, 복수의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 경로를 가상으로 설계하여 복수의 제공 주체 중 이러한 가상 의 이동 경로가 최소이거나 소요 시간이 최소인 경우의 일 서비스 주체를 상기 복수의 사용자에게 매칭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providing subject information control unit 230 may select a service providing subject to provide services to a plurality of users, and design a moving path virtually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users to provide a plurality of providing subjects. Among these, a service subject in the case where the virtual moving path is the minimum or the required time is the minimum may be matched to the plurality of users.

선택적 실시예로서 서비스 제공 주체는 현장 방문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을 이용하고 이러한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을 타고 이동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service provider may provide a service by using a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capable of providing on-site service and moving in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제공 주체 정보 제어부(230)는 이러한 서비스 제공 주체가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을 이용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이 사용자에게 필요한 타이어가 보유되었는지 확인한 후에 보유한 서비스 제공 주체를 우선적으로 상기 사용자에게 매칭할 수 있다.When the service providing subject uses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the providing subject information control unit 230 may preferentially match the service providing subject possessed by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to the user after checking whether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has a tire necessary for the user.

선택적 실시예로서 사용자의 위치 정보, 복수의 제공 주체의 위치 외에 적재 거점 위치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들면 사용자에게 타이어 교체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는 경우에 서비스 제공 주체는 사용자의 기존 타이어에 대응하는 타이어를 소유하고 있지 않은 경우 타이어들이 보관되어 있는 적재 거점으로부터 타이어를 획득하여 사용자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러한 적재 거점은 복수의 지역에 분산되어 있을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a loading base location may be used in addition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and the location of a plurality of providers. For example, when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tire replacement service to the user, the service provider can obtain the tire from the loading base where the tires are stored and move it to the user's location if the service provider does not own the tire corresponding to the user's existing tire. . In addition, as an optional embodiment, such loading points may be distributed over a plurality of areas.

이러한 경우 제공 주체 정보 제어부(230)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 복수의 제공 주체 및 하나 이상의 적재 장소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최적의 서비스 제공 주체 및 최적의 적재 거점을 매칭하여 사용자에게 최단 시간의 서비스 제공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providing subject information control unit 230 matches the optimum service providing subject and the optimum loading base to provide the service to the user by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a plurality of providing subjects and one or more loading location information to the user. Service provision in the shortest time can be easily proceeded.

서비스 제공 제어부(240)는 적어도 상기 선택된 서비스 제공 주체의 도착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진행 정보를 제어할 수 있다.The service providing control unit 240 may control service progress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arrival information of the selected service providing subject.

서비스 제공 주체는 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사용자의 위치 또는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타이어가 장착된 차량 위치에 도착할 수 있고, 이러한 도착 사실, 도착 시점에 대한 정보 관련하여 서비스 제공 제어부(240)는 저장할 수 있다.The service provider may arrive at a location of a user or a vehicle on which a tire for providing the service is mounted in order to provide a service, and the service provision control unit 240 may store information on such arrival fact and arrival time. .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서비스 제공 제어부(240)는 이러한 도착 정보를 사용자에게 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service provision control unit 240 may notify the user of such arrival information.

예를들면 사용자가 사용자의 차량으로부터 떨어져 있고, 상기 서비스 제공 주체가 상기 사용자의 차량의 위치에 도착한 경우 사용자에게 이러한 도착 정보를 고지할 수 있고, 실시간으로 또는 직후에 고지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user is away from the user's vehicle and the service providing entity arrives at the location of the user's vehicle, such arrival information may be notified to the user, and may be notified in real time or immediately.

예를들면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의 차량과 떨어진 상태에서 상기 차량에 대한 서비스 제공을 받을 수 있고, 이 때 서비스 제공 주체가 도착한 사실의 정보를 전달받아 자기 자신의 차량에 대한 접근이 없이도 서비스 제공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For example, a user can receive a service for the vehicle while away from the user's vehicle, and at this time, the service provider may receive information on the arrival of the service provider and determine whether the service is provided without access to the vehicle. It can be easily identified.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서비스 제공 제어부(240)는 상기 서비스를 제공할 타이어가 장착된 차량의 이동을 진행하는 경우에 이러한 차량 이동 정보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들면 차량을 이동할 이동 장소 설정하고, 이러한 이동 장소로의 이동 및 이동이 완료된 후에, 필요한 경우 다시 원래 장소로 원상 복귀 이동 등의 제어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service providing control unit 240 may control the vehicle movement information when the vehicle with the tire to provide the service is moving. For example, a moving place to which the vehicle will be moved may be set, and after the movement and movement to the moving place are completed, if necessary, control such as a return movement to the original place may be included.

이 때 차량 이동 정보 및 서비스 완료 정보를 사용자에게 고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vehicle movement information and service completion information may be notified to the user.

선택적 실시예로서 서비스 제공 주체는 현장 방문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을 이용하고 이러한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을 타고 사용자의 차량이 있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service providing entity may use a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capable of providing on-site service and move to a location where the user's vehicle is in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서비스 제공 제어부(240)는 이러한 현장 방문 서비스 제공 가능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이 사용자의 차량 위치에 도착하였음을 사용자에게 고지할 수 있다.The service providing control unit 240 may notify the user that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capable of providing on-site visit service has arrived at the user's vehicle location.

선택적 실시예로서 상시 서비스 제공 주체는 사용자의 차량의 위치에 도착한 후에 상기 사용자의 차량에 대한 이동 없이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을 이용하여 타이어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다른 예로서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에 구비된 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차량을 서비스 제공 장소로 이동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constant service provider may provide tire management services using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without moving to the user's vehicle after arriving at the location of the user's vehicle, and as another example, provided in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The user's vehicle can be moved to a service providing location by using the member.

예를들면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에 수납되고 필요 시 분리 및 이동 가능한 리프트가 상기 사용자의 차량을 리프팅한 후에 인접한 곳의 서비스 제공이 용이한 인접 서비스 제공 편의 장소로 이동한 후에 리프트에 리프팅된 채로 상기 사용자의 차량의 타이어에 대한 서비스를 진행할 수 있다.For example, after a lift that is housed in a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and is detachable and movable if necessary, lifts the user's vehicle and moves to an adjacent service providing convenience location where it is easy to provide services, the user remains lifted on the lift. You can proceed with the service for the tires of your vehicle.

상기 인접 서비스 제공 편의 장소에서 상기 차량의 타이어 관련 서비스를 제공한 후에 서비스가 완료되면 상기 리프트는 상기 차량을 리프팅한채 원래 장소로 이동한 후에 하강하여 상기 사용자의 차량을 다시 원래 장소로 원상 복귀 이동할 수 있다. When the service is completed after providing the tire-related service of the vehicle at the adjacent service providing convenience location, the lift moves the vehicle to the original location and then descends to return the user's vehicle to the original location. have.

이 때 서비스 제공 제어부(240)는 상기 차량을 리프팅한 채 인접 서비스 제공 편의 장소로 이동하는 경우 리프팅 이동 정보, 인접 서비스 제공 편의 장소 도착 시 도착 장소 정보 및 도착 시간 정보를 사용자에 고지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vehicle is moved to a convenient service providing location while lifting the vehicle, the service providing control unit 240 may notify the user of lifting movement information, arrival location information and arrival time information upon arrival at the adjacent service providing convenient location.

또한 서비스 제공 제어부(240)는 리프팅한 채 차량에 대한 서비스를 진행 시 서비스 제공 진행 상황 정보 및 서비스 완료 후 원상 복귀 정보를 사용자에게 선택적으로 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rvice provision control unit 240 may selectively notify the user of service provision progress information and return to original status information after completion of the service when performing a service for the vehicle while lifting.

도 6은 도 5의 선택 서비스 정보 제어부의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lternative embodiment of the selection service information control unit of FIG. 5.

선택 서비스 정보 제어부(220')는 타이어 준비 정보 제어부(221') 또는 타이어 정보 제어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lection service information control unit 220 ′ may include a tire preparation information control unit 221 ′ or a tire information control unit 222 ′.

타이어 준비 정보 제어부(221')는 사용자에게 제공할 타이어 관련 서비스로서 상기 사용자의 현재 타이어에 대신에 다른 타이어, 예를들면 새타이어 또는 중고 타이어로 교체할 필요가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고 이러한 정보를 저장하여 다른 서비스 단계에서 진행하도록 할 수 있다.The tire preparation information control unit 221 ′ is a tire-related service to be provided to the user, and identifies information on whether it is necessary to replace the current tire of the user with another tire, for example, a new tire or a used tire, and this information Can be saved to proceed in other service steps.

사용자의 주문 입력 정보를 통하여, 예를들면 사용자가 타이어 교체 서비스를 신청한 경우에 타이어 준비 정보 제어부(221')는 교체 타이어가 필요하고 이에 대한 준비가 필요함을 파악할 수 있다.Through the user's order input information, for example, when the user applies for a tire replacement service, the tire preparation information control unit 221 ′ may recognize that a replacement tire is required and that preparation is necessary.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타이어 준비 정보 제어부(221')는 사용자가 타이어 점검을 요청하고, 상기 사용자의 타이어의 사용 연한 정보를 파악하여 상기 타이어의 교체 시기가 도래함을 인지하여 타이어 교체 준비가 필요함을 파악할 수 있다.In addition, 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tire preparation information control unit 221 ′ needs to prepare for tire replacement by recognizing the arrival of the tire replacement time by requesting the user to check the tire and grasping the usage age information of the user's tire. Can grasp.

선택적 실시예로서 타이어 준비 정보 제어부(221')는 상기 사용자가 타이어의 수리 또는 점검을 요청한 경우에 교체 타이어가 필요하지 않고 교체 타이어 준비가 필요 없음을 파악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tire preparation information controller 221' may determine that a replacement tire is not required and that replacement tire preparation is not required when the user requests repair or inspection of a tire.

타이어 정보 제어부(222')는 사용자의 타이어 정보를 조사하고 이를 파악할 수 있고, 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The tire information control unit 222 ′ may investigate and identify the user's tire information, and may store the information.

이러한 저장된 정보는 추후 사용자에게 제공할 주기적인 서비스의 기본 정보로 사용될 수 있다.Such stored information can be used as basic information of periodic services to be provided to users in the future.

타이어 정보 제어부(222')는 타이어 종류, 타이어 규격, 타이어가 장착된 차량 정보, 타이어 모델명 또는 타이어 일련 번호를 포함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The tire information controller 222' may store information including a tire type, tire standard, vehicle information on which a tire is mounted, a tire model name, or a tire serial number.

도 7은 도 4의 제공 주체 정보 제어부의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lternative embodiment of the providing subject information control unit of FIG. 4.

제공 주체 정보 제어부(230')는 상기 사용자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할 서비스 제공 주체의 선택을 제어할 수 있다.The providing subject information controller 230 ′ may control selection of a service providing subject to provide a service required to the user.

제공 주체 정보 제어부(230')는 사용자 관련 위치 정보 제어부(231'), 제공 주체 위치 정보 제어부(232') 또는 경로 정보 제어부(233')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oviding subject information control unit 230 ′ may include a user-related location information control unit 231 ′, a providing subject location information control unit 232 ′, or a path information control unit 233 ′.

사용자 관련 위치 정보 제어부(231')는 서비스를 제공받을 사용자 관련 위치 정보를 인식하고 이러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관련 위치 정보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다른 예로서 사용자의 차량이 있는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user-related location information controller 231 ′ may recognize user-related location information to be provided with a service and store such information. Such user-related lo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and as another exampl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s vehicle.

사용자 관련 위치 정보 제어부(231')는 사용자의 주문 입력 정보를 통하여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파악하고 이를 인식 및 저장할 수 있다. 예를들면 사용자가 사용자 자신의 위치를 입력시 이러한 정보를 인식할 수 있고, 다른 예로서 사용자가 차량과 동일한 위치에 있지 않고 멀리 있는 경우에 사용자는 서비스를 제공받을 타이어가 장착된 차량이 있는 장소를 입력하고 이러한 입력을 인식하여 사용자 위치로 파악하여 서비스 제공 장소로 선택할 수 있다.The user-related location information controller 231 ′ may recognize, recognize, and stor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hrough the user's order input information. For example, when the user enters his or her location, such information can be recognized. As another example, when the user is not in the same location as the vehicle and is far away, the user is a place where a vehicle with tires to be provided is located. By inputting and recognizing this input, it can be identified as a user location and selected as a service provision location.

선택적 실시예로서 사용자 위치 정보 제어부(231')는 위치 정보 파악 모듈, 예를들면 GPS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단말기 위치를 인식하고 이러한 위치를 사용자의 위치로 파악할 수 있다. 예를들면 사용자 위치 정보 제어부(231')는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도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user location information control unit 231 ′ may recognize the location of the user's terminal using a location information grasp module, for example, GPS, and recognize this location as the user's location. For example, the user location information controller 231 ′ may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user in real time.

제공 주체 위치 정보 제어부(232')는 상기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서비스 제공 주체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The providing subject location information controller 232 ′ may determine the location of a service providing subject to provide a service to the user.

예를들면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제공 주체는 하나 이상일 수 있고, 예를들면 복수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공 주체는 여러 지역에 분포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re may be one or more providers who will provide the service to the user, and for example, there may be a plurality of providers. In addition, the providing entity may be distributed in several regions.

선택적 실시예로서 상기 제공 주체는 이동 중일 수 있고, 예를들면 서비스 제공 관련된 차량을 타고 이동 중일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providing entity may be moving, for example, may be moving in a vehicle related to providing a service.

구체적 예로서 서비스를 제공할 서비스 인력이 탑승한 복수의 서비스 차량이 이동 중일 수 있고, 이러한 복수의 차량의 위치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As a specific example, a plurality of service vehicles on which a service personnel to provide a service is aboard may be moving, and location information of such a plurality of vehicles may be recognized.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공 주체 위치 정보 제어부(232')는 위치 정보 파악 모듈, 예를들면 GPS를 이용하여 복수의 서비스 제공 주체의 단말기 위치를 인식하고 이러한 위치를 사용자의 위치로 파악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providing subject location information control unit 232 ′ may recognize the locations of terminals of a plurality of service providing subjects using a location information grasping module, for example, GPS, and recognize these locations as the user's location.

경로 정보 제어부(233')는 제공 주체의 경로 정보를 생성하고 이러한 경로 정보를 통하여 최적의 경로 정보를 갖도록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서비스 제공 주체를 매칭할 수 있다.The route information controller 233 ′ may generate route information of the providing subject and match a service providing subject to provide a service to a user so as to have optimal route information through the route information.

상기에서 인식한 사용자 관련 위치 정보 및 서비스 제공 주체 위치 정보를 인식하여 사용자와 서비스 제공 주체들간의 경로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최적의 경로 정보에 대응하는 서비스 제공 주체를 상기 사용자에게 매칭할 수 있다. 예를들면 최단 경로, 최고 편의 운행 경로 또는 최소 소요 시간 경로를 최적의 경로 정보에 대응할 수 있다. By recognizing the location information related to the user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rvice providing subject recognized above, route information between the user and the service providing subject can be generated, and accordingly, the service providing subject corresponding to the optimal route information can be matched with the user. I can. For example, the shortest route, the most convenient driving route, or the minimum required time route may correspond to the optimal route information.

선택적 실시예로서 하나의 서비스 제공 주체에 복수의 사용자를 매칭할 수 있고, 복수의 사용자들에 대한 서비스 제공 주체의 방문 순서를 생성하여 최종적으로 복수의 사용자들에 대한 하나의 서비스 제공 주체의 동선을 포함하는 경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a plurality of users can be matched with one service provider, and the order of visits of the service provider for a plurality of users is created to finally determine the movement of one service provider to the plurality of users. Path information to be included can be generated.

이를 통하여 일 서비스 주체는 최적의 경로를 이용하여 단시간에 여러 사용자 관련 위치를 방문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Through this, a service subject can provide services by visiting several user-related locations in a short time using an optimal route.

선택적 실시예로서 상기 서비스 제공 주체는 사용자의 차량 위치로 방문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을 이용할 수 있고,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은 하나 이상의 타이어를 적재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지역에 흩어져 이동중인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의 위치 정보 및 각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에 적재된 타이어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service providing entity may use a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capable of providing services by visiting a vehicle location of a user, and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may load one or more tires.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scattered in each region and the tire information loaded in the vehicle of each service providing device.

또한, 상기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을 이용하여 서비스 제공 시 필요한 타이어 또는 부품이나 공구가 상기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에 적재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복수의 지역에 산재하는 적재 거점을 이용할 수 있다. 적재 거점에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필요한 복수의 종류의 타이어들, 부품들 및 공구들이 적재되어 있을 수 있다.In addition, when tires, parts, or tools necessary for providing a service using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are not loaded in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loading bases scattered in a plurality of areas may be used. The loading point may be loaded with a plurality of types of tires, parts and tools necessary to provide a service.

서비스 제공 주체는 상기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을 타고 상기 적재 거점에 이동하여 필요한 타이어 또는 부품을 싣고 사용자 차량 위치로 이동한 후에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 service provider may ride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to the loading base, load necessary tires or parts, and provide necessary services after moving to the user vehicle location.

이러한 상기 복수의 서비스 제공 주체의 위치, 서비스에 필요한 타이어 등의 보유 여부, 상기 서비스에 필요한 타이어가 보관되어 있는 복수의 적재 거점의 위치 및 서비스를 제공할 사용자 관련 위치를 이용하여 복수의 경로 정보를 예비적으로 생성한 후에 최적의 경로 정보를 채택할 수 있다. 이러한 최적의 경로 정보를 최소 시간 기준일 수 있고, 이러한 경로 정보에 대응하는 서비스 제공 주체를 선택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주체에게 선택된 사실을 고지하고 바로 매칭된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A plurality of route information is provided using the location of the plurality of service providers, whether tires required for the service, etc. are retained, the locations of the plurality of loading bases in which tires required for the service are stored, and user-related locations to provide the service. After preliminary generation, the optimal route information can be adopted. Such optimal route information may be a minimum time reference, and by selecting a service providing subject corresponding to the route information, the service providing subject is notified of the selection and instructed to provide a service to a matched user immediately.

도 8은 도 5의 서비스 제공 제어부의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 8 is a diagram showing an alternative embodiment of the service providing control unit of FIG. 5.

서비스 제공 제어부(240')는 적어도 상기 선택된 서비스 제공 주체의 도착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진행 정보를 제어할 수 있다.The service providing control unit 240 ′ may control service progress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arrival information of the selected service providing subject.

서비스 제공 제어부(240')는 도착 정보 제어부(241'), 차량 이동 정보 제어부(242'), 서비스 진행 정보 제어부(243') 또는 원상 복귀 정보 제어부(244')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rvice providing control unit 240 ′ may include an arrival information control unit 241 ′, a vehicle movement information control unit 242 ′, a service progress information control unit 243 ′, or a return information control unit 244 ′.

도면에는 서비스 제공 제어부(240')가 도착 정보 제어부(241'), 차량 이동 정보 제어부(242'), 서비스 진행 정보 제어부(243') 및 원상 복귀 정보 제어부(244')를 모두 포함하나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In the drawing, the service provision control unit 240' includes all of the arrival information control unit 241', the vehicle movement information control unit 242', the service progress information control unit 243', and the return information control unit 244'. Examples are not limited thereto and may include one or more of these.

도착 정보 제어부(241')는 상기 선택된 서비스 제공 주체가 상기 사용자 관련 위치에 제대로 도착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서비스 제공 주체가 효율적으로 최단시간으로 사용자 관련 위치에 도착할 수 있고, 이를 위하여 서비스 제공 주체의 이동 시 실시간 위치 정보를 전달받고 이를 이용하여 도착 시간을 앞당길 수 있다. The arrival information control unit 241 ′ may confirm that the selected service provider properly arrives at the user-related location. Through this, the service provider can efficiently arrive at the user-related location in the shortest time, and to this end, when the service provider moves, real-time location information can be received and the arrival time can be accelerated by using this.

선택적 실시예로서 상기 서비스 제공 주체는 사용자의 차량 위치로 방문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이 목적지, 예를들면 사용자의 차량 위치로 제대로 도착하였는지를 확인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상기 서비스 제공 주체에게 메시지를 발송할 수 있다. 또는 도착 시점 전에 경로를 생성하고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이 이러한 경로를 이탈하여 이동하는 경우 경고 메시지를 상기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에 탑승한 서비스 제공 주체에게 전송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service providing entity may use a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capable of providing a service by visiting a vehicle location of a user. The location of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can be determined in real time, an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has properly arrived at the destination, for example, the location of the user's vehicle, and if not, it is possible to send a message to the service providing entity. Alternatively, a route may be created before the time of arrival, and a warning message may be transmitted to a service providing entity boarding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when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deviates from this route and moves.

선택적 실시예로서 도착 정보 제어부(241')는 서비스 제공 주체가 사용자 관련 위치에 도착한 경우 도착한 사실 및 도착 시간 관련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또한 이러한 도착 사실 및 도착 시간 관련 정보를 사용자에게 고지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의 위치와 사용자의 차량 위치가 다른 경우 사용자는 사용자의 차량에 가지 않아도 서비스를 제공할 서비스 제공 주체 도착 사실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arrival information control unit 241 ′ may store arrival facts and arrival time related information when the service provider arrives at a user-related location, and may notify the user of such arrival facts and arrival time related information. . In this case, if the location of the user and the location of the user's vehicle are different, the user can easily check the arrival of the service provider who will provide the service without going to the user's vehicle.

차량 이동 정보 제어부(242')는 서비스 제공 주체가 사용자 관련 위치에 도착 후 상기 사용자의 차량을 서비스를 제공받을 장소로 이동하는 것을 포함할 경우 이러한 이동을 제어하고 이러한 이동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이동 정보를 사용자에게 고지할 수 있다.The vehicle movement information controller 242 ′ may control such movement and store such movement information when the service provider includes moving the user's vehicle to a location to be provided with a service after arriving at a user-related location. It can also notify the user of such movement information.

선택적 실시예로서 상기 서비스 제공 주체는 사용자의 차량 위치로 방문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을 이용할 수 있다. 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service providing entity may use a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capable of providing a service by visiting a vehicle location of a user.

상기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차량을 이동하지 않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상기 사용자의 차량 위치가 서비스 제공에 불편하거나 안전상 문제가 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차량을 멀지 않은 인접한 곳의 인접 서비스 제공 편의 장소, 예를들면 넓은 주차장, 운동장 또는 공터 등으로 이동할 수 있다.The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may be used to provide a service without moving the vehicle of the user. In addition, as another example, if the location of the user's vehicle is uncomfortable in providing a service or becomes a safety problem, the user's vehicle may be moved to a convenient location for providing adjacent services not far away, such as a large parking lot, playground, or vacant lot .

이러한 인접 서비스 제공 편의 장소로의 이동은 상기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의 리프트를 이용하여 진행할 수 있고, 리프트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차량을 리프팅한 후에 사용자의 차량의 손상 없이 인접 서비스 제공 편의 장소로 이동할 수 있다.The movement to such an adjacent service providing convenience place can be performed using the lift of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and after lifting the user's vehicle using the lift, it is possible to move to the adjacent service providing convenient place without damage to the user's vehicle. have.

이러한 리프트를 이용하여 인접 서비스 제공 편의 장소로의 이동 사실, 이동 장소 정보 등을 사용자에게 고지할 수 있다.Using such a lift, it is possible to notify the user of the fact of moving to an adjacent service providing convenient place, moving place information, and the like.

또한 이러한 사용자의 차량의 이동의 필요함 또는 필요 없음에 대하여 사용자에게 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notify the user of the necessity or necessity of such movement of the user's vehicle.

서비스 진행 정보 제어부(243')는 타이어 관련 서비스를 진행하는 것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저장할 수 있고, 이러한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사용자에게 고지할 수 있다.The service progress information controller 243 ′ may store information on the progress of tire-related services in real time, and may notify the user of at least part of this information.

예를들면 타이어가 장착된 차량에 대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에 구비된 리프트를 이용하여 인접 서비스 제공 편의 장소로 이동한 후에 서비스를 개시한 시점, 리프트된 채 진행한 서비스 내용 또는 서비스 완료 정보를 저장하고 이에 대한 것을 사용자에게 고지할 수 있다.For example, for a vehicle equipped with a tire, after moving to an adjacent service providing convenience location using a lift provided in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the service is started, the service content or service completion information is stored while being lifted. And notify the user of this.

원상 복귀 정보 제어부(244')는 서비스 진행이 완료된 경우 서비스가 완료된 타이어, 예를들면 새타이어(또는 중고 타이어) 또는 기존 타이어에 대한 수리나 점검이 완료된 타이어를 차량에 장착하고 나서 원상 복귀한 사실 및 이러한 시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이에 대하여 사용자에게 고지할 수 있다.When the service process is complete, the return information control unit 244 ′ is the fact that the service is completed, for example, a new tire (or used tire) or a tire that has been repaired or inspected for an existing tire installed on the vehicle and then returned to the original state. And, it is possible to store information on this time point and notify the user of this.

예를들면 타이어가 장착된 차량에 대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에 구비된 리프트를 이용하여 인접 서비스 제공 편의 장소로 이동한 후에 서비스를 개시하고, 서비스가 완료되면 리프트에 의하여 리프팅된 채 사용자의 차량은 다시 원래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원래 위치로 이동한 후에 리프트는 하강하여 상기 사용자의 차량을 원래 있던 곳에 안전하게 착지하여 원상 복귀할 수 있다.For example, for a vehicle equipped with a tire, after moving to an adjacent service providing convenient location using a lift provided in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the service is started, and when the service is completed, the user's vehicle is lifted by the lift. You can move it back to its original position. After moving to the original position, the lift may descend to safely land the user's vehicle at the original location and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리프팅된 채 원래 장소로의 이동 정보, 원래 장소로의 도착 및 원상 복귀 정보를 선택적으로 사용자에게 고지할 수 있다.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notify the user of movement information to the original place, arrival to the original place, and return information to the original place while being lifted.

본 실시예의 타이어 관련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주문 입력 제어부를 통하여 사용자의 주문 입력을 인식할 수 있고, 예를들면 사용자의 타이어에 대한 점검, 수리 또는 교체 등의 요청 정보를 인식할 수 잇다.The tire-related service providing system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recognize the user's order input through the order input control unit, and, for example, may recognize request information such as inspection, repair, or replacement of the user's tire.

선택 서비스 정보 제어부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타이어 관련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고, 제공 주체 정보 제어부를 통하여 복수의 서비스 제공 주체 중 적절한 하나 이상의 서비스 제공 주체를 선택하고, 서비스 제공 제어부를 통하여 도착 정보를 포함하는 다양한 서비스 제공 정보를 제어할 수 있다.A tire-related service to be provided to the user can be selected through the selection service information control unit, and one or more service providers suitable for a plurality of service providers are selected through the service provider information control unit, and arrival information is included through the service providing control unit. You can control various service provision information.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손쉽게 자기가 원하는 타이어 관련 서비스를 주문하고, 이에 대한 주문을 인식한 후에 최적의 서비스 제공 주체를 선택하여 서비스를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user can easily order the tire-related service he or she wants, and after recognizing the order, select an optimal service provider to easily provide the service.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사용자가 직접 차량을 운전하여 서비스 센터 또는 서비스 거점에 방문하지 않고 서비스 제공 주체가 사용자 관련 위치로 방문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예를들면 방문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을 타고 이동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s an optional embodiment, a service provider may provide a service by visiting a user-related location without a user directly driving a vehicle and visiting a service center or service base. For example, a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capable of providing an on-site service You can provide a service by moving around.

이를 통하여 사용자의 시간 및 운행을 통한 번거로움을 감소하여 서비스 제공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다.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service provision by reducing the user's time and hassle through driving.

또한,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에 구비된 리프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차량에 대한 리프팅을 진행하여 사용자의 차량 위치에서 서비스를 진행하거나, 사용자의 차량 위치보다 더 편하고 안전한 인근의 장소, 예를들면 인접 서비스 제공 편의 장소로 이동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리프트를 이용한 근접한 거리의 이동 시에도 리프트에 의하여 리프팅되어 사용자의 차량에 대한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In addition, by using a lift provided in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the user's vehicle is lifted to provide services at the user's vehicle location, or a more convenient and safer place than the user's vehicle location, such as adjacent services. You can provide services by moving to a convenient place. Even when moving a close distance using such a lift, it is lifted by the lift, thereby ensuring safety for the user's vehicle.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사용자가 사용자의 차량의 위치에 있지 않더라도 선택된 서비스 제공 주체가 방문하여 차량을 이동하고, 이러한 이동 사실에 대한 정보, 이동 후 서비스 진행 정보 및 서비스 제공 후 원상 복귀 사실 등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고지하여 사용자는 안심하고 자기 차량에 대한 서비스 제공받을 수 있어 서비스 제공의 신뢰도가 향상될 수 있다.In addition, as an optional embodiment, even if the user is not at the location of the user's vehicle, the selected service provider visits and moves the vehicle, and information about such movement, service progress information after movement, and information on the fact of return to the original state after providing the service. By notifying the user, the user can receive a service for his/her vehicle with confidence, thereby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the service provision.

또한, 서비스 주체와 사용자를 매칭시에 사용자 관련 위치와 복수의 서비스 주체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경로 설정을 통하여 최적 경로에 대응하는 서비스 주체를 사용자에게 매칭하여 서비스 제공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matching a service subject and a user, a service subject corresponding to an optimal route may be matched to a user through a route setting using a user-related loc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service subjects, thereby reducing a service provision time.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일 사용자가 복수의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 시 복수의 사용자 관련 위치에 대한 방문 순서를 포함한 경로 설정을 최적으로 하여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서비스 제공을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들에 대한 서비스 만족도 향상 및 서비스 제공 주체의 서비스 제공 효율성을 향상할 수 있다.In addition, as an optional embodiment, when a user provides a service to a plurality of users, it is possible to smoothly proceed with providing a service to a plurality of users by optimally setting a route including an order of visits to a plurality of user-related locations.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improve service satisfaction for users and improve service provision efficiency of the service provider.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이 서비스에 필요한 타이어 기타 부품 등을 보유하고 있는지 파악하고, 타이어나 부품 등이 보관되어 있는 복수의 적재 거점을 확보하고 이러한 적재 거점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최적의 서비스 제공 주체 및 최적의 경로를 용이하게 생성하여 사용자의 편의성 및 만족도를 향상하고, 서비스 제공 효율성을 증대할 수 있다.In addition, as an optional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has tires and other parts necessary for service, secure a plurality of loading points where tires or parts, etc. are stored, and us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se loading points It is possible to improve user convenience and satisfaction and increase service delivery efficiency by easily creating an optimal service provider and an optimal route to provide services to users.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 관련 서비스 제공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9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 tire-related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타이어 관련 서비스 제공 방법은 주문 입력 제어 단계(S10), 선택 서비스 정보 제어 단계(S20), 제공 주체 정보 제어 단계(S30) 및 서비스 제공 제어 단계(S4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9, the tire-related service providing method includes an order input control step (S10), a selection service information control step (S20), a provider subject information control step (S30), and a service provision control step (S40).

본 실시예의 타이어 관련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에게 하나 이상의 타이어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제어할 수 있고, 예를들면 타이어 교체, 타이어 수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타이어 점검 기타 타이어 관리 서비스를 포함하는 다양한 서비스 제공을 제어할 수 있다.The method of providing tire-related service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control providing one or more tire-related services to a user, and may include, for example, tire replacement, tire repair, and the lik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provision of various services including tire inspection and other tire management services.

주문 입력 제어 단계(S10)에서는 사용자의 주문 입력을 인식하고 처리할 수 있다. 사용자가 원하는 타이어 관련 서비스, 예를들면 교체, 수리, 점검 기타 관리 관련하여 사용자의 입력이 있을 경우 이러한 입력을 인식하고 제어할 수 있다.In the order input control step S10, the user's order input may be recognized and processed. When there is a user's input in relation to the tire-related service desired by the user, for example, replacement, repair, inspection, and other management, such input can be recognized and controlled.

또한 주문 입력 제어 단계(S10)에서는 이러한 사용자의 입력이 있을 경우에 이러한 입력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order input control step S10, such input information may be stored when there is such a user's input.

이러한 저장되는 정보에는 사용자를 인식할 수 있는 개인 신상 정보, 사용자의 타이어 정보, 사용자가 입력한 원하는 서비스 내용이 포함될 수 있다.Such stored information may include personal information that can recognize the user, tire information of the user, and desired service contents input by the user.

사용자는 다양한 방식으로 제공받고자 하는 서비스를 입력할 수 있고 예를들면 단말기에 구비된 앱(application)을 통하여 입력할 수 있다.The user can input a service to be provid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through an application provided in the terminal.

또한 다른 예로서 사용자는 이메일(e-mail)을 통하여 입력할 수 있고, 다른 예로서 웹사이트를 통하여 입력할 수 있다.In addition, as another example, the user may input through an e-mail, and as another example, through a website.

또한 다른 예로서 전화를 통하여 자기가 원하는 서비스를 말하는 방식으로 입력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s another example, it is possible to input a service that he/she wants through the phone.

선택 서비스 정보 제어 단계(S20)에서는 상기 주문 입력 제어부가 인식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필요한 서비스의 선택을 제어할 수 있다.In the selection service information control step S20, selection of a service required for the user may be controlled using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order input control unit.

예를들면 선택 서비스 정보 제어 단계(S20)에서는 사용자에게 제공할 서비스로서 새로 장착할 타이어를 준비해야 하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타이어 교체, 타이어 구입 서비스를 사용자가 원하는 것으로 인식된 경우 새로 장착할 타이어가 필요한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이 때 새로 장착할 타이어는 새타이어일 수 있고, 다른 예로서 중고 타이어일 수도 있다.For example, in the selection service information control step (S20),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a tire to be newly mounted should be prepared as a service to be provided to the user. As a specific example, when it is recognized that a user wants a tire replacement service or a tire purchase service, it may be determined that a new tire to be installed is required. At this time, the tire to be newly installed may be a new tire, or as another example, a used tire.

또한 타이어 점검, 타이어 수리 등의 경우 새로 장착할 타이어가 필요하지 않은 서비스로 파악할 수 있다. 물론, 선택적 실시예로서 점검 및 수리의 경우에도 예비적으로 새로 장착할 타이어가 필요한 것으로 파악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ire inspection and tire repair, it can be identified as a service that does not require newly installed tires. Of course, as an optional embodiment, even in the case of inspection and repair, it may be determined that a tire to be newly installed in advance is required.

선택 서비스 정보 제어 단계(S20)에서는 사용자에게 필요한 서비스의 대상이 되는 타이어 관련 정보를 파악할 수 있고, 이러한 타이어 정보는 타이어 규격, 타이어 종류, 타이어 일련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다른 예로서 상기 타이어가 장착된 차량 정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In the selection service information control step (S20), it is possible to grasp tire-related information that is a target of a service required by the user, and such tire information may include tire standard, tire type, and tire serial information. As another example, the tire is It may further include information on the installed vehicle.

선택 서비스 정보 제어 단계(S20)에서는 이러한 타이어 관련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In the selection service information control step S20, such tire-related information may be stored.

제공 주체 정보 제어 단계(S30)에서는 상기 사용자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할 서비스 제공 주체의 선택을 제어할 수 있다.In the providing subject information control step (S30), selection of a service providing subject to provide a necessary service to the user may be controlled.

제공 주체 정보 제어 단계(S30)에서는 복수의 서비스 제공 주체 중 일 서비스 제공 주체를 상기 서비스를 원하는 일 사용자에게 매칭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The providing subject information control step S30 may include matching a service providing subject among a plurality of service providing subjects with a user who desires the service.

선택적 실시예로서 상기 일 서비스 제공 주체에게 하나 이상의 사용자를 매칭할 수도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one or more users may be matched to the one service provider.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공 주체 정보 제어 단계(S30)에서는 복수의 서비스 제공 주체 중 상기 서비스를 원하는 일 사용자와의 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최적의 거리 또는 최소 시간 소요 지점의 제공 주체를 매칭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와의 거리 정보는 사용자의 타이어가 장착된 차량의 위치 정보일 수 있고,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이용하여 이러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위치 정보 기반 서비스(GPS)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도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in the providing subject information control step (S30), the providing subject of the optimal distance or the minimum time required point may be matched using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a plurality of service providing subjects and a user who desires the service. In this case, the distance information from the user may be location information of a vehicle on which the user's tire is mounted, and such information may be recognized using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In addition, as another example, the location of a user may be identified using a location information-based service (GPS).

이 때 사용자의 위치와 차량의 위치는 동일할 수 있고, 다른 예로서 상이할 수 있고, 상이한 경우에는 차량의 위치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 때 추가적으로 사용자로 하여금 차량의 위치 정보에 대한 내용을 확인하고 이를 인식 및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location of the user and the location of the vehicle may be the same, and as another example, may be different, and in different cas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may be used. As an optional embodiment, at this time, it may additionally include the step of allowing the user to check, recognize and store the contents of the vehicle location information.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공 주체 정보 제어 단계(S30)에서는 복수의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는 일 서비스 제공 주체를 선택할 수 있고, 복수의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 경로를 가상으로 설계하여 복수의 제공 주체 중 이러한 가상 의 이동 경로가 최소이거나 소요 시간이 최소인 경우의 일 서비스 주체를 상기 복수의 사용자에게 매칭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in the providing subject information control step (S30), a service providing subject that should provide services to a plurality of users may be selected, and a plurality of provisions by designing a moving path virtually us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users Among the subjects, one service subject in the case where the virtual movement path is the minimum or the required time is the minimum may be matched to the plurality of users.

선택적 실시예로서 사용자의 위치 정보, 복수의 제공 주체의 위치 외에 적재 거점 위치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들면 사용자에게 타이어 교체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는 경우에 서비스 제공 주체는 사용자의 기존 타이어에 대응하는 타이어를 소유하고 있지 않은 경우 타이어들이 보관되어 있는 적재 거점으로부터 타이어를 획득하여 사용자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러한 적재 거점은 복수의 지역에 분산되어 있을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a loading base location may be used in addition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and the location of a plurality of providers. For example, when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tire replacement service to the user, the service provider can obtain the tire from the loading base where the tires are stored and move it to the user's location if the service provider does not own the tire corresponding to the user's existing tire. . In addition, as an optional embodiment, such loading points may be distributed over a plurality of areas.

이러한 경우 제공 주체 정보 제어 단계(S30)에서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 복수의 제공 주체 및 하나 이상의 적재 장소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최적의 서비스 제공 주체 및 최적의 적재 거점을 매칭하여 사용자에게 최단 시간의 서비스 제공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In this case, in the providing subject information control step (S30), the user's location information, a plurality of providing subjects, and one or more loading location information are used to match the optimal service provider and the optimal loading base to provide services to the user. It is possible to easily provide services in the shortest time to customers.

서비스 제공 제어 단계(S40)에서는 적어도 상기 선택된 서비스 제공 주체의 도착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진행 정보를 제어할 수 있다.In the service provision control step (S40), service progress information including arrival information of at least the selected service provider may be controlled.

서비스 제공 주체는 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사용자의 위치 또는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타이어가 장착된 차량 위치에 도착할 수 있고, 이러한 도착 사실, 도착 시점에 대한 정보 관련하여 서비스 제공 제어 단계(S40)에서는 저장할 수 있다.The service provider may arrive at the location of the user or at the location of the vehicle equipped with tires for providing the service to provide the service, and may store the information on the fact of arrival and the time of arrival in the service provision control step (S40). have.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서비스 제공 제어 단계(S40)에서는 이러한 도착 정보를 사용자에게 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s an optional embodiment, in the service provision control step S40, such arrival information may be notified to the user.

예를들면 사용자가 사용자의 차량으로부터 떨어져 있고, 상기 서비스 제공 주체가 상기 사용자의 차량의 위치에 도착한 경우 사용자에게 이러한 도착 정보를 고지할 수 있고, 실시간으로 또는 직후에 고지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user is away from the user's vehicle and the service providing entity arrives at the location of the user's vehicle, such arrival information may be notified to the user, and may be notified in real time or immediately.

예를들면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의 차량과 떨어진 상태에서 상기 차량에 대한 서비스 제공을 받을 수 있고, 이 때 서비스 제공 주체가 도착한 사실의 정보를 전달받아 자기 자신의 차량에 대한 접근이 없이도 서비스 제공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For example, a user can receive a service for the vehicle while away from the user's vehicle, and at this time, the service provider may receive information on the arrival of the service provider and determine whether the service is provided without access to the vehicle. It can be easily identified.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서비스 제공 제어 단계(S40)에서는 상기 서비스를 제공할 타이어가 장착된 차량의 이동을 진행하는 경우에 이러한 차량 이동 정보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들면 차량을 이동할 이동 장소 설정하고, 이러한 이동 장소로의 이동 및 이동이 완료된 후에, 필요한 경우 다시 원래 장소로 원상 복귀 이동 등의 제어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s an optional embodiment, in the service provision control step S40, such vehicle movement information may be controlled when the vehicle on which the tire to provide the service is mounted proceeds. For example, a moving place to which the vehicle will be moved may be set, and after the movement and movement to the moving place are completed, if necessary, control such as a return movement to the original place may be included.

이 때 차량 이동 정보 및 서비스 완료 정보를 사용자에게 고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vehicle movement information and service completion information may be notified to the user.

선택적 실시예로서 상시 서비스 제공 주체는 사용자의 차량의 위치에 도착한 후에 상기 사용자의 차량을 운전하여 이동하거나 차량 운송 수단에 적재한 후에 서비스 제공 장소로 이동할 수 있고, 서비스 제공 장소에서 상기 차량의 타이어 관련 서비스를 제공한 후에 서비스가 완료되면 상기 타이어가 장착된 차량을 다시 원래 장소로 원상 복귀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서비스 제공 제어 단계(S40)에서는 상기 차량을 서비스 제공 장소로 이동하는 경우 이동 정보, 서비스 제공 장소 도착 시 도착 장소와 서비스 제공 진행 상황 정보 및 서비스 완료 후 원상 복귀 정보를 사용자에게 선택적으로 고지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subject of constant service may drive the user's vehicle after arriving at the location of the user's vehicle or move to the service provision location after loading the vehicle into the vehicle transportation means, and the tire-related information of the vehicle at the service provision location. After the service is provided, when the service is completed, the vehicle equipped with the tire may be moved back to its original location. At this time, in the service provision control step (S40), when the vehicle is moved to the service provision location, the user is selectively notified of movement information, the arrival location and service provision progress information upon arrival at the service provision location, and return information after service completion to the user. I can.

도 10은 도 9의 서비스 정보 제어 단계의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lternative embodiment of the service information control step of FIG. 9.

선택 서비스 정보 제어 단계(S20')는 타이어 준비 정보 제어 단계(S21') 또는 타이어 정보 제어 단계(S22')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lection service information control step S20' may include a tire preparation information control step S21' or a tire information control step S22'.

타이어 준비 정보 제어 단계(S21')에서는 사용자에게 제공할 타이어 관련 서비스로서 상기 사용자의 현재 타이어에 대신에 다른 타이어, 예를들면 새타이어 또는 중고 타이어로 교체할 필요가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고 이러한 정보를 저장하여 다른 서비스 단계에서 진행하도록 할 수 있다.In the tire preparation information control step (S21'), as a tire-related service to be provided to the user, information on whether it is necessary to replace the current tire of the user with another tire, for example, a new tire or a used tire, is identified and this You can save the information so that it can be processed at another service stage.

사용자의 주문 입력 정보를 통하여, 예를들면 사용자가 타이어 교체 서비스를 신청한 경우에 타이어 준비 정보 제어 단계(S21')에서는 교체 타이어가 필요하고 이에 대한 준비가 필요함을 파악할 수 있다.Through the user's order input information, for example, when the user applies for a tire replacement service, it can be understood that a replacement tire is required and preparation is necessary in the tire preparation information control step S21'.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타이어 준비 정보 제어 단계(S21') 에서는 사용자가 타이어 점검을 요청하고, 상기 사용자의 타이어의 사용 연한 정보를 파악하여 상기 타이어의 교체 시기가 도래함을 인지하여 타이어 교체 준비가 필요함을 파악할 수 있다.In addition, as an optional embodiment, in the tire preparation information control step (S21'), the user requests a tire inspection, and by grasping the usage age information of the user's tire, the tire replacement preparation is made by recognizing the arrival of the tire replacement time. You can see what you need.

선택적 실시예로서 타이어 준비 정보 제어 단계(S21') 에서는 상기 사용자가 타이어의 수리 또는 점검을 요청한 경우에 교체 타이어가 필요하지 않고 교체 타이어 준비가 필요 없음을 파악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in the tire preparation information control step (S21'), when the user requests repair or inspection of the tire, it may be understood that a replacement tire is not required and that there is no need to prepare a replacement tire.

타이어 정보 제어 단계(S22') 에서는 사용자의 타이어 정보를 조사하고 이를 파악할 수 있고, 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In the tire information control step S22', the user's tire information may be examined and identified, and the information may be stored.

이러한 저장된 정보는 추후 사용자에게 제공할 주기적인 서비스의 기본 정보로 사용될 수 있다.Such stored information can be used as basic information of periodic services to be provided to users in the future.

타이어 정보 제어 단계(S22') 에서는 타이어 종류, 타이어 규격, 타이어가 장착된 차량 정보, 타이어 모델명 또는 타이어 일련 번호를 포함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In the tire information control step S22', information including a tire type, tire standard, vehicle information on which a tire is mounted, a tire model name, or a tire serial number may be stored.

도 11은 도 9의 제공 주체 정보 제어 단계의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tional embodiment of the controlling step of providing subject information of FIG. 9.

제공 주체 정보 제어 단계(S30')에서는 상기 사용자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할 서비스 제공 주체의 선택을 제어할 수 있다.In the providing subject information control step S30', it is possible to control selection of a service providing subject to provide a service required to the user.

제공 주체 정보 제어 단계(S30')는 사용자 관련 위치 정보 제어 단계(S31'), 제공 주체 위치 정보 제어 단계(S32') 또는 경로 정보 제어 단계(S33')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oviding subject information control step S30 ′ may include a user-related location information control step S31 ′, a providing subject location information control step S32 ′, or a path information control step S33 ′.

사용자 관련 위치 정보 제어 단계(S31') 에서는 서비스를 제공받을 사용자 관련 위치 정보를 인식하고 이러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관련 위치 정보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다른 예로서 사용자의 차량이 있는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user-related location information control step S31', location information related to a user to be provided with a service may be recognized and such information may be stored. Such user-related lo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and as another exampl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s vehicle.

사용자 관련 위치 정보 제어 단계(S31') 에서는 사용자의 주문 입력 정보를 통하여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파악하고 이를 인식 및 저장할 수 있다. 예를들면 사용자가 사용자 자신의 위치를 입력시 이러한 정보를 인식할 수 있고, 다른 예로서 사용자가 차량과 동일한 위치에 있지 않고 멀리 있는 경우에 사용자는 서비스를 제공받을 타이어가 장착된 차량이 있는 장소를 입력하고 이러한 입력을 인식하여 사용자 위치로 파악하여 서비스 제공 장소로 선택할 수 있다.In the user-related location information control step S31', the user's location information may be recognized, recognized and stored through the user's order input information. For example, when the user enters his or her location, such information can be recognized. As another example, when the user is not in the same location as the vehicle and is far away, the user is a place where a vehicle with tires to be provided is located. By inputting and recognizing this input, it can be identified as a user location and selected as a service provision location.

선택적 실시예로서 사용자 위치 정보 제어 단계(S31') 에서는 위치 정보 파악 모듈, 예를들면 GPS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단말기 위치를 인식하고 이러한 위치를 사용자의 위치로 파악할 수 있다. 예를들면 사용자 위치 정보 제어 단계(S31') 에서는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도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in the user location information control step (S31'), a location information grasp module, for example, GPS, may be used to recognize the location of the user's terminal, and the location may be recognized as the location of the user. For example, in the user location information control step S31', the location of the user may be recognized in real time.

제공 주체 위치 정보 제어 단계(S32') 에서는 상기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서비스 제공 주체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In the providing subject location information control step (S32'), the location of the service providing subject to provide the service to the user may be identified.

예를들면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제공 주체는 하나 이상일 수 있고, 예를들면 복수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공 주체는 여러 지역에 분포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re may be one or more providers who will provide the service to the user, and for example, there may be a plurality of providers. In addition, the providing entity may be distributed in several regions.

선택적 실시예로서 상기 제공 주체는 이동 중일 수 있고, 예를들면 서비스 제공 관련된 차량을 타고 이동 중일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providing entity may be moving, for example, may be moving in a vehicle related to providing a service.

구체적 예로서 서비스를 제공할 서비스 인력이 탑승한 복수의 서비스 차량이 이동 중일 수 있고, 이러한 복수의 차량의 위치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As a specific example, a plurality of service vehicles on which a service personnel to provide a service is aboard may be moving, and location information of such a plurality of vehicles may be recognized.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공 주체 위치 정보 제어 단계(S32') 에서는 위치 정보 파악 모듈, 예를들면 GPS를 이용하여 복수의 서비스 제공 주체의 단말기 위치를 인식하고 이러한 위치를 사용자의 위치로 파악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in the providing subject location information control step (S32'), a location information grasp module, for example, GPS, may be used to recognize the locations of terminals of a plurality of service providing subjects and recognize these locations as the user's location.

경로 정보 제어 단계(S33') 에서는 제공 주체의 경로 정보를 생성하고 이러한 경로 정보를 통하여 최적의 경로 정보를 갖도록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서비스 제공 주체를 매칭할 수 있다.In the path information control step (S33'), path information of the providing entity may be generated, and a service providing entity to provide a service to a user may be matched to have optimal path information through the path information.

상기에서 인식한 사용자 관련 위치 정보 및 서비스 제공 주체 위치 정보를 인식하여 사용자와 서비스 제공 주체들간의 경로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최적의 경로 정보에 대응하는 서비스 제공 주체를 상기 사용자에게 매칭할 수 있다. 예를들면 최단 경로, 최고 편의 운행 경로 또는 최소 소요 시간 경로를 최적의 경로 정보에 대응할 수 있다. By recognizing the location information related to the user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rvice providing subject recognized above, route information between the user and the service providing subject can be generated, and accordingly, the service providing subject corresponding to the optimal route information can be matched with the user. I can. For example, the shortest route, the most convenient driving route, or the minimum required time route may correspond to the optimal route information.

선택적 실시예로서 하나의 서비스 제공 주체에 복수의 사용자를 매칭할 수 있고, 복수의 사용자들에 대한 서비스 제공 주체의 방문 순서를 생성하여 최종적으로 복수의 사용자들에 대한 하나의 서비스 제공 주체의 동선을 포함하는 경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a plurality of users can be matched with one service provider, and the order of visits of the service provider for a plurality of users is created to finally determine the movement of one service provider to the plurality of users. Path information to be included can be generated.

이를 통하여 일 서비스 주체는 최적의 경로를 이용하여 단시간에 여러 사용자 관련 위치를 방문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Through this, a service subject can provide services by visiting several user-related locations in a short time using an optimal route.

도 12는 도 9의 서비스 제공 제어 단계의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lternative embodiment of a control step for providing a service of FIG. 9.

서비스 제공 제어 단계(S40')에서는 적어도 상기 선택된 서비스 제공 주체의 도착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진행 정보를 제어할 수 있다.In the service provision control step S40', service progress information including arrival information of at least the selected service provider may be controlled.

서비스 제공 제어 단계(S40')는 도착 정보 제어 단계(S41'), 차량 이동 정보 제어 단계(S42'), 서비스 진행 정보 제어 단계(S43') 또는 원상 복귀 정보 제어 단계(S44')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rvice provision control step (S40') may include an arrival information control step (S41'), a vehicle movement information control step (S42'), a service progress information control step (S43') or a return information control step (S44'). I can.

도면에는 서비스 제공 제어 단계(S40')는 도착 정보 제어 단계(S41'), 차량 이동 정보 제어 단계(S42'), 서비스 진행 정보 제어 단계(S43') 및 원상 복귀 정보 제어 단계(S44')를 모두 포함하나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In the drawing, the service provision control step (S40') includes an arrival information control step (S41'), a vehicle movement information control step (S42'), a service progress information control step (S43'), and a return information control step (S44'). All are included, but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and one or more of them may be included.

도착 정보 제어 단계(S41')에서는 상기 선택된 서비스 제공 주체가 상기 사용자 관련 위치에 제대로 도착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서비스 제공 주체가 효율적으로 최단시간으로 사용자 관련 위치에 도착할 수 있고, 이를 위하여 서비스 제공 주체의 이동 시 실시간 위치 정보를 전달받고 이를 이용하여 도착 시간을 앞당길 수 있다.In the arrival information control step S41',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selected service providing entity properly arrives at the user-related location. Through this, the service provider can efficiently arrive at the user-related location in the shortest time, and to this end, when the service provider moves, real-time location information can be received and the arrival time can be accelerated by using this.

선택적 실시예로서 도착 정보 제어 단계(S41') 에서는 서비스 제공 주체가 사용자 관련 위치에 도착한 경우 도착한 사실 및 도착 시간 관련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또한 이러한 도착 사실 및 도착 시간 관련 정보를 사용자에게 고지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의 위치와 사용자의 차량 위치가 다른 경우 사용자는 사용자의 차량에 가지 않아도 서비스를 제공할 서비스 제공 주체 도착 사실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in the arrival information control step (S41'), when a service provider arrives at a user-related location, the arrival fact and arrival time-related information may be stored, and the arrival fact and arrival time-related information may be notified to the user. have. In this case, if the location of the user and the location of the user's vehicle are different, the user can easily check the arrival of the service provider who will provide the service without going to the user's vehicle.

차량 이동 정보 제어 단계(S42') 에서는 서비스 제공 주체가 사용자 관련 위치에 도착 후 상기 사용자의 차량을 서비스를 제공받을 장소로 이동하는 것을 포함할 경우 이러한 이동을 제어하고 이러한 이동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이동 정보를 사용자에게 고지할 수 있다.In the vehicle movement information control step S42', if the service provider includes moving the user's vehicle to a location to be provided with a service after arriving at a user-related location, such movement may be controlled and such movement information may be stored. It can also notify the user of such movement information.

사용자의 차량의 이동은 서비스 제공 주체가 상기 사용자의 차량에 대한 직접 운행을 통하여 진행될 수 있고, 다른 예로서 차량 운송 수단에 적재한 후 진행될 수도 있다.The movement of the user's vehicle may be performed by the service providing entity through direct driving of the user's vehicle, and as another example, may be performed after being loaded onto the vehicle transportation means.

사용자의 차량의 이동이 필요 없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경우 이동 필요 없음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고지할 수 있다.If the service can be provided without the need for the user's vehicle to move, information about the need for movement can be stored and notified to the user.

서비스 진행 정보 제어 단계(S43') 에서는 타이어 관련 서비스를 진행하는 것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저장할 수 있고, 이러한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사용자에게 고지할 수 있다.In the service progress information control step S43', information on the progress of the tire-related service may be stored in real time, and at least part of this information may be notified to the user.

예를들면 타이어가 장착된 차량에 대하여 서비스 센터, 서비스 거점 등에 장소로 이동한 후에 서비스를 개시한 시점, 서비스 진행 사항 또는 서비스 완료 정보를 저장하고 이에 대한 것을 사용자에게 고지할 수 있다.For example, after moving to a service center, a service base, or the like for a vehicle equipped with a tire, it is possible to store the service start point, service progress, or service completion information, and notify the user of this.

원상 복귀 정보 제어 단계(S44') 에서는 서비스 진행이 완료된 경우 서비스가 완료된 타이어, 예를들면 새타이어(또는 중고 타이어) 또는 기존 타이어에 대한 수리나 점검이 완료된 타이어를 차량에 장착하고 나서 원상 복귀한 사실 및 이러한 시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이에 대하여 사용자에게 고지할 수 있다.In the return information control step (S44'), when the service is completed, a tire that has been serviced, for example, a new tire (or used tire), or a tire that has been repaired or inspected for an existing tire is mounted on the vehicle and then returned to the original state. The facts and information about these times can be stored and notified to the user.

예를들면 사용자의 차량을 서비스 센터 또는 서비스 거점 등으로 이동한 후에 차량의 타이어에 대한 서비스를 진행하고 나서, 타이어가 장착된 차량을 원래의 위치로 원상 복귀할 수 있고, 이러한 사실을 사용자에게 고지할 수 있다.For example, after moving the user's vehicle to a service center or service base, service for the vehicle's tires can be performed, the vehicle with the tires installed can be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and this fact is notified to the user. can do.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사용자의 차량에 장착된 타이어에 대한 서비스 제공을 용이하게 받은 후, 이러한 사실을 용이하게 전달받을 수 있다.Through this, the user can easily receive service provision for the tire mounted on the user's vehicle and then easily receive this fact.

본 실시예의 타이어 관련 서비스 제공 방법은 주문 입력 제어 단계를 통하여 사용자의 주문 입력을 인식할 수 있고, 예를들면 사용자의 타이어에 대한 점검, 수리 또는 교체 등의 요청 정보를 인식할 수 잇다.In the tire-related service providing method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user's order input may be recognized through the order input control step, and for example, request information such as inspection, repair, or replacement of the user's tire may be recognized.

선택 서비스 정보 제어 단계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타이어 관련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고, 제공 주체 정보 제어부를 통하여 복수의 서비스 제공 주체 중 적절한 하나 이상의 서비스 제공 주체를 선택하고, 서비스 제공 제어 단계를 통하여 도착 정보를 포함하는 다양한 서비스 제공 정보를 제어할 수 있다.Through the optional service information control step, it is possible to select tire-related services to be provided to the user, select an appropriate one or more service providers from among a plurality of service providers through the providing subject information control unit, and receive arrival information through the service provision control step. It is possible to control various service provision information including.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손쉽게 자기가 원하는 타이어 관련 서비스를 주문하고, 이에 대한 주문을 인식한 후에 최적의 서비스 제공 주체를 선택하여 서비스를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user can easily order the tire-related service he or she wants, and after recognizing the order, select an optimal service provider to easily provide the service.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사용자가 직접 차량을 운전하여 서비스 센터 또는 서비스 거점에 방문하지 않고 서비스 제공 주체가 사용자 관련 위치로 방문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의 차량을 서비스 제공 위치인 서비스 센터 또는 서비스 거점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의 시간 및 운행을 통한 번거로움을 감소하여 서비스 제공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다.In addition, as an optional embodiment, a service provider may visit a user-related location and provide a service without a user directly driving a vehicle to visit a service center or a service base, and the user's vehicle is a service center or service You can move to the base.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service provision by reducing the user's time and hassle through driving.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사용자가 사용자의 차량의 위치에 있지 않더라도 선택된 서비스 제공 주체가 방문하여 차량을 이동하고, 이러한 이동 사실에 대한 정보, 이동 후 서비스 진행 정보 및 서비스 제공 후 원상 복귀 사실 등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고지하여 사용자는 안심하고 자기 차량에 대한 서비스 제공받을 수 있어 서비스 제공의 신뢰도가 향상될 수 있다.In addition, as an optional embodiment, even if the user is not at the location of the user's vehicle, the selected service provider visits and moves the vehicle, and information about such movement, service progress information after movement, and information on the fact of return to the original state after providing the service. By notifying the user, the user can receive a service for his/her vehicle with confidence, thereby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the service provision.

또한, 서비스 주체와 사용자를 매칭시에 사용자 관련 위치와 복수의 서비스 주체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경로 설정을 통하여 최적 경로에 대응하는 서비스 주체를 사용자에게 매칭하여 서비스 제공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matching a service subject and a user, a service subject corresponding to an optimal route may be matched to a user through a route setting using a user-related loc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service subjects, thereby reducing a service provision time.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일 사용자가 복수의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 시 복수의 사용자 관련 위치에 대한 방문 순서를 포함한 경로 설정을 최적으로 하여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서비스 제공을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들에 대한 서비스 만족도 향상 및 서비스 제공 주체의 서비스 제공 효율성을 향상할 수 있다.In addition, as an optional embodiment, when a user provides a service to a plurality of users, it is possible to smoothly proceed with providing a service to a plurality of users by optimally setting a route including an order of visits to a plurality of user-related locations.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improve service satisfaction for users and improve service provision efficiency of the service provider.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 관련 서비스 제공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13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 tire-related ser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을 참조하면 타이어 관련 서비스 제공 방법은 주문 입력 제어 단계(T10), 선택 서비스 정보 제어 단계(T20), 제공 주체 정보 제어 단계(T30) 및 서비스 제공 제어 단계(T4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3, the tire-related service providing method includes an order input control step T10, a selection service information control step T20, a provider subject information control step T30, and a service provision control step T40.

본 실시예의 타이어 관련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에게 하나 이상의 타이어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제어할 수 있고, 예를들면 타이어 교체, 타이어 수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타이어 점검 기타 타이어 관리 서비스를 포함하는 다양한 서비스 제공을 제어할 수 있다.The method of providing tire-related service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control providing one or more tire-related services to a user, and may include, for example, tire replacement, tire repair, and the lik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provision of various services including tire inspection and other tire management services.

주문 입력 제어 단계(T10)에서는 사용자의 주문 입력을 인식하고 처리할 수 있다. 사용자가 원하는 타이어 관련 서비스, 예를들면 교체, 수리, 점검 기타 관리 관련하여 사용자의 입력이 있을 경우 이러한 입력을 인식하고 제어할 수 있다.In the order input control step T10, the user's order input may be recognized and processed. When there is a user's input in relation to the tire-related service desired by the user, for example, replacement, repair, inspection, and other management, such input can be recognized and controlled.

또한 주문 입력 제어 단계(T10) 에서는 이러한 사용자의 입력이 있을 경우에 이러한 입력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order input control step T10, such input information may be stored when there is such a user's input.

이러한 저장되는 정보에는 사용자를 인식할 수 있는 개인 신상 정보, 사용자의 타이어 정보, 사용자가 입력한 원하는 서비스 내용이 포함될 수 있다.Such stored information may include personal information that can recognize the user, tire information of the user, and desired service contents input by the user.

사용자는 다양한 방식으로 제공받고자 하는 서비스를 입력할 수 있고 예를들면 단말기에 구비된 앱(application)을 통하여 입력할 수 있다.The user can input a service to be provid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through an application provided in the terminal.

또한 다른 예로서 사용자는 이메일(e-mail)을 통하여 입력할 수 있고, 다른 예로서 웹사이트를 통하여 입력할 수 있다.In addition, as another example, the user may input through an e-mail, and as another example, through a website.

또한 다른 예로서 전화를 통하여 자기가 원하는 서비스를 말하는 방식으로 입력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s another example, it is possible to input a service that he/she wants through the phone.

선택 서비스 정보 제어 단계(T20) 에서는 상기 주문 입력 제어부가 인식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필요한 서비스의 선택을 제어할 수 있다.In the selection service information control step T20, selection of a service required for the user may be controlled by using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order input control unit.

예를들면 선택 서비스 정보 제어 단계(T20) 에서는 사용자에게 제공할 서비스로서 새로 장착할 타이어를 준비해야 하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타이어 교체, 타이어 구입 서비스를 사용자가 원하는 것으로 인식된 경우 새로 장착할 타이어가 필요한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이 때 새로 장착할 타이어는 새타이어일 수 있고, 다른 예로서 중고 타이어일 수도 있다.For example, in the selection service information control step T20,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a tire to be newly mounted should be prepared as a service to be provided to the user. As a specific example, when it is recognized that a user wants a tire replacement service or a tire purchase service, it may be determined that a new tire to be installed is required. At this time, the tire to be newly installed may be a new tire, or as another example, a used tire.

또한 타이어 점검, 타이어 수리 등의 경우 새로 장착할 타이어가 필요하지 않은 서비스로 파악할 수 있다. 물론, 선택적 실시예로서 점검 및 수리의 경우에도 예비적으로 새로 장착할 타이어가 필요한 것으로 파악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ire inspection and tire repair, it can be identified as a service that does not require newly installed tires. Of course, as an optional embodiment, even in the case of inspection and repair, it may be determined that a tire to be newly installed in advance is required.

선택 서비스 정보 제어 단계(T20) 에서는 사용자에게 필요한 서비스의 대상이 되는 타이어 관련 정보를 파악할 수 있고, 이러한 타이어 정보는 타이어 규격, 타이어 종류, 타이어 일련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다른 예로서 상기 타이어가 장착된 차량 정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In the selection service information control step (T20), tire-related information that is a target of a service necessary for a user may be identified. Such tire information may include tire standard, tire type, and tire serial information. As another example, the tire It may further include information on the installed vehicle.

선택 서비스 정보 제어 단계(T20) 에서는 이러한 타이어 관련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In the selection service information control step T20, such tire-related information may be stored.

제공 주체 정보 제어 단계(T30) 에서는 상기 사용자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할 서비스 제공 주체의 선택을 제어할 수 있다.In the providing subject information control step T30, selection of a service providing subject to provide a necessary service to the user may be controlled.

제공 주체 정보 제어 단계(T30) 에서는 복수의 서비스 제공 주체 중 일 서비스 제공 주체를 상기 서비스를 원하는 일 사용자에게 매칭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The providing subject information control step T30 may include matching a service providing subject among a plurality of service providing subjects with a user who desires the service.

선택적 실시예로서 상기 일 서비스 제공 주체에게 하나 이상의 사용자를 매칭할 수도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one or more users may be matched to the one service provider.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공 주체 정보 제어 단계(T30) 에서는 복수의 서비스 제공 주체 중 상기 서비스를 원하는 일 사용자와의 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최적의 거리 또는 최소 시간 소요 지점의 제공 주체를 매칭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와의 거리 정보는 사용자의 타이어가 장착된 차량의 위치 정보일 수 있고,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이용하여 이러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위치 정보 기반 서비스(GPS)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도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in the providing subject information control step (T30), the providing subject of the optimum distance or the minimum time required point may be matched using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a plurality of service providing subjects and a user who desires the service. In this case, the distance information from the user may be location information of a vehicle on which the user's tire is mounted, and such information may be recognized using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In addition, as another example, the location of a user may be identified using a location information-based service (GPS).

이 때 사용자의 위치와 차량의 위치는 동일할 수 있고, 다른 예로서 상이할 수 있고, 상이한 경우에는 차량의 위치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 때 추가적으로 사용자로 하여금 차량의 위치 정보에 대한 내용을 확인하고 이를 인식 및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location of the user and the location of the vehicle may be the same, and as another example, may be different, and in different cas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may be used. As an optional embodiment, at this time, it may additionally include the step of allowing the user to check, recognize and store the contents of the vehicle location information.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공 주체 정보 제어 단계(T30) 에서는 복수의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는 일 서비스 제공 주체를 선택할 수 있고, 복수의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 경로를 가상으로 설계하여 복수의 제공 주체 중 이러한 가상 의 이동 경로가 최소이거나 소요 시간이 최소인 경우의 일 서비스 주체를 상기 복수의 사용자에게 매칭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in the providing subject information control step (T30), a service providing subject that should provide a service to a plurality of users can be selected, and a moving path is virtually designed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users to provide a plurality of Among the subjects, one service subject in the case where the virtual movement path is the minimum or the required time is the minimum may be matched to the plurality of users.

선택적 실시예로서 서비스 제공 주체는 현장 방문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을 이용하고 이러한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을 타고 이동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service provider may provide a service by using a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capable of providing on-site service and moving in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제공 주체 정보 제어 단계(T30) 에서는 이러한 서비스 제공 주체가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을 이용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이 사용자에게 필요한 타이어가 보유되었는지 확인한 후에 보유한 서비스 제공 주체를 우선적으로 상기 사용자에게 매칭할 수 있다.In the providing subject information control step (T30), when the service providing subject uses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the service providing subject may preferentially match the service providing subject to the user after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checks whether the user has the necessary tires.

선택적 실시예로서 사용자의 위치 정보, 복수의 제공 주체의 위치 외에 적재 거점 위치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들면 사용자에게 타이어 교체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는 경우에 서비스 제공 주체는 사용자의 기존 타이어에 대응하는 타이어를 소유하고 있지 않은 경우 타이어들이 보관되어 있는 적재 거점으로부터 타이어를 획득하여 사용자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러한 적재 거점은 복수의 지역에 분산되어 있을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a loading base location may be used in addition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and the location of a plurality of providers. For example, when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tire replacement service to the user, the service provider can obtain the tire from the loading base where the tires are stored and move it to the user's location if the service provider does not own the tire corresponding to the user's existing tire. . In addition, as an optional embodiment, such loading points may be distributed over a plurality of areas.

이러한 경우 제공 주체 정보 제어 단계(T30) 에서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 복수의 제공 주체 및 하나 이상의 적재 장소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최적의 서비스 제공 주체 및 최적의 적재 거점을 매칭하여 사용자에게 최단 시간의 서비스 제공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In this case, in the providing subject information control step (T30), the user's location information, a plurality of providing subjects, and one or more loading location information are used to match the optimal service provider and the optimal loading base to provide services to the user. The shortest time service can be easily provided.

서비스 제공 제어 단계(T40) 에서는 적어도 상기 선택된 서비스 제공 주체의 도착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진행 정보를 제어할 수 있다.In the service provision control step T40, service progress information including arrival information of at least the selected service provider may be controlled.

서비스 제공 주체는 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사용자의 위치 또는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타이어가 장착된 차량 위치에 도착할 수 있고, 이러한 도착 사실, 도착 시점에 대한 정보 관련하여 서비스 제공 제어 단계(T40) 에서 저장할 수 있다.The service provider may arrive at the location of the user or at the location of the vehicle equipped with tires for providing the service for service provision, and store the information on the fact of arrival and the time of arrival in the service provision control step (T40). have.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서비스 제공 제어 단계(T40) 에서는 이러한 도착 정보를 사용자에게 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s an optional embodiment, in the service provision control step T40, such arrival information may be notified to the user.

예를들면 사용자가 사용자의 차량으로부터 떨어져 있고, 상기 서비스 제공 주체가 상기 사용자의 차량의 위치에 도착한 경우 사용자에게 이러한 도착 정보를 고지할 수 있고, 실시간으로 또는 직후에 고지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user is away from the user's vehicle and the service providing entity arrives at the location of the user's vehicle, such arrival information may be notified to the user, and may be notified in real time or immediately.

예를들면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의 차량과 떨어진 상태에서 상기 차량에 대한 서비스 제공을 받을 수 있고, 이 때 서비스 제공 주체가 도착한 사실의 정보를 전달받아 자기 자신의 차량에 대한 접근이 없이도 서비스 제공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For example, a user can receive a service for the vehicle while away from the user's vehicle, and at this time, the service provider may receive information on the arrival of the service provider and determine whether the service is provided without access to the vehicle. It can be easily identified.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서비스 제공 제어 단계(T40)에서는 상기 서비스를 제공할 타이어가 장착된 차량의 이동을 진행하는 경우에 이러한 차량 이동 정보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들면 차량을 이동할 이동 장소 설정하고, 이러한 이동 장소로의 이동 및 이동이 완료된 후에, 필요한 경우 다시 원래 장소로 원상 복귀 이동 등의 제어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s an optional embodiment, in the service provision control step T40, such vehicle movement information may be controlled when the vehicle with the tire to provide the service is moving. For example, a moving place to which the vehicle will be moved may be set, and after the movement and movement to the moving place are completed, if necessary, control such as a return movement to the original place may be included.

이 때 차량 이동 정보 및 서비스 완료 정보를 사용자에게 고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vehicle movement information and service completion information may be notified to the user.

선택적 실시예로서 서비스 제공 주체는 현장 방문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을 이용하고 이러한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을 타고 사용자의 차량이 있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service providing entity may use a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capable of providing on-site service and move to a location where the user's vehicle is in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서비스 제공 제어 단계(T40) 에서는 이러한 현장 방문 서비스 제공 가능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이 사용자의 차량 위치에 도착하였음을 사용자에게 고지할 수 있다.In the service provision control step T40, it is possible to notify the user that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capable of providing on-site visit service has arrived at the user's vehicle location.

선택적 실시예로서 상시 서비스 제공 주체는 사용자의 차량의 위치에 도착한 후에 상기 사용자의 차량에 대한 이동 없이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을 이용하여 타이어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다른 예로서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에 구비된 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차량을 서비스 제공 장소로 이동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constant service provider may provide tire management services using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without moving to the user's vehicle after arriving at the location of the user's vehicle, and as another example, provided in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The user's vehicle can be moved to a service providing location by using the member.

예를들면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에 수납되고 필요 시 분리 및 이동 가능한 리프트가 상기 사용자의 차량을 리프팅한 후에 인접한 곳의 서비스 제공이 용이한 인접 서비스 제공 편의 장소로 이동한 후에 리프트에 리프팅된 채로 상기 사용자의 차량의 타이어에 대한 서비스를 진행할 수 있다.For example, after a lift that is housed in a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and is detachable and movable if necessary, lifts the user's vehicle and moves to an adjacent service providing convenience location where it is easy to provide services, the user remains lifted on the lift. You can proceed with the service for the tires of your vehicle.

상기 인접 서비스 제공 편의 장소에서 상기 차량의 타이어 관련 서비스를 제공한 후에 서비스가 완료되면 상기 리프트는 상기 차량을 리프팅한채 원래 장소로 이동한 후에 하강하여 상기 사용자의 차량을 다시 원래 장소로 원상 복귀 이동할 수 있다. When the service is completed after providing the tire-related service of the vehicle at the adjacent service providing convenience location, the lift moves the vehicle to the original location and then descends to return the user's vehicle to the original location. have.

이 때 서비스 제공 제어 단계(T40)에서는 상기 차량을 리프팅한 채 인접 서비스 제공 편의 장소로 이동하는 경우 리프팅 이동 정보, 인접 서비스 제공 편의 장소 도착 시 도착 장소 정보 및 도착 시간 정보를 사용자에 고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in the service provision control step (T40), when the vehicle is moved to an adjacent service providing convenience place while lifting the vehicle, lifting movement information, arrival location information and arrival time information upon arrival at the adjacent service providing convenience place may be notified to the user. .

또한 서비스 제공 제어 단계(T40) 에서는 리프팅한 채 차량에 대한 서비스를 진행 시 서비스 제공 진행 상황 정보 및 서비스 완료 후 원상 복귀 정보를 사용자에게 선택적으로 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ervice provision control step T40, when the service is performed on the vehicle while lifting, the service provision progress information and information on return to the original state after completion of the service may be selectively notified to the user.

도 14는 도 13의 서비스 정보 제어 단계의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14 is a diagram showing an alternative embodiment of the service information control step of FIG. 13.

선택 서비스 정보 제어 단계(T20')는 타이어 준비 정보 제어 단계(T21') 또는 타이어 정보 제어 단계(T22')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lection service information control step T20' may include a tire preparation information control step T21' or a tire information control step T22'.

타이어 준비 정보 제어 단계(T21')에서는 사용자에게 제공할 타이어 관련 서비스로서 상기 사용자의 현재 타이어에 대신에 다른 타이어, 예를들면 새타이어 또는 중고 타이어로 교체할 필요가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고 이러한 정보를 저장하여 다른 서비스 단계에서 진행하도록 할 수 있다.In the tire preparation information control step (T21'), as a tire-related service to be provided to the user, information on whether it is necessary to replace the user's current tire with another tire, for example, a new tire or a used tire, is identified and this You can save the information so that it can be processed at another service level.

사용자의 주문 입력 정보를 통하여, 예를들면 사용자가 타이어 교체 서비스를 신청한 경우에 타이어 준비 정보 제어 단계(T21')에서는 교체 타이어가 필요하고 이에 대한 준비가 필요함을 파악할 수 있다.Through the user's order input information, for example, when a user applies for a tire replacement service, it can be understood that a replacement tire is required and preparation is necessary in the tire preparation information control step T21'.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타이어 준비 정보 제어 단계(T21')에서는 사용자가 타이어 점검을 요청하고, 상기 사용자의 타이어의 사용 연한 정보를 파악하여 상기 타이어의 교체 시기가 도래함을 인지하여 타이어 교체 준비가 필요함을 파악할 수 있다.In addition, as an optional embodiment, in the tire preparation information control step (T21'), the user requests a tire inspection, and by grasping the usage age information of the user's tire, the tire replacement preparation is made by recognizing the arrival of the tire replacement time. You can see what you need.

선택적 실시예로서 타이어 준비 정보 제어 단계(T21')에서는 상기 사용자가 타이어의 수리 또는 점검을 요청한 경우에 교체 타이어가 필요하지 않고 교체 타이어 준비가 필요 없음을 파악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in the tire preparation information control step (T21'), when the user requests repair or inspection of the tire, it may be understood that a replacement tire is not required and that there is no need to prepare a replacement tire.

타이어 정보 제어 단계(T22')에서는 사용자의 타이어 정보를 조사하고 이를 파악할 수 있고, 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In the tire information control step T22', the user's tire information may be investigated and identified, and the information may be stored.

이러한 저장된 정보는 추후 사용자에게 제공할 주기적인 서비스의 기본 정보로 사용될 수 있다.Such stored information can be used as basic information of periodic services to be provided to users in the future.

타이어 정보 제어 단계(T22') 에서는 타이어 종류, 타이어 규격, 타이어가 장착된 차량 정보, 타이어 모델명 또는 타이어 일련 번호를 포함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In the tire information control step T22', information including a tire type, tire standard, vehicle information on which a tire is mounted, a tire model name or a tire serial number may be stored.

도 15는 도 13의 제공 주체 정보 제어 단계의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 1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tional embodiment of a step of controlling providing subject information of FIG. 13.

제공 주체 정보 제어 단계(T30')에서는 상기 사용자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할 서비스 제공 주체의 선택을 제어할 수 있다.In the providing subject information control step T30', it is possible to control selection of a service providing subject to provide a service necessary to the user.

제공 주체 정보 제어 단계(T30')는 사용자 관련 위치 정보 제어 단계(T31'), 제공 주체 위치 정보 제어 단계(T32') 또는 경로 정보 제어 단계(T33')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oviding subject information control step T30 ′ may include a user-related location information control step T31 ′, a providing subject location information control step T32 ′, or a path information control step T33 ′.

사용자 관련 위치 정보 제어 단계(T31') 에서는 서비스를 제공받을 사용자 관련 위치 정보를 인식하고 이러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관련 위치 정보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다른 예로서 사용자의 차량이 있는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user-related location information control step T31', location information related to a user to be provided with a service may be recognized and such information may be stored. Such user-related lo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and as another exampl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s vehicle.

사용자 관련 위치 정보 제어 단계(T31') 에서는 사용자의 주문 입력 정보를 통하여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파악하고 이를 인식 및 저장할 수 있다. 예를들면 사용자가 사용자 자신의 위치를 입력시 이러한 정보를 인식할 수 있고, 다른 예로서 사용자가 차량과 동일한 위치에 있지 않고 멀리 있는 경우에 사용자는 서비스를 제공받을 타이어가 장착된 차량이 있는 장소를 입력하고 이러한 입력을 인식하여 사용자 위치로 파악하여 서비스 제공 장소로 선택할 수 있다.In the user-related location information control step T31', the user's location information may be recognized, recognized, and stored through the user's order input information. For example, when the user enters his or her location, such information can be recognized. As another example, when the user is not in the same location as the vehicle and is far away, the user is a place where a vehicle with tires to be provided is located. By inputting and recognizing this input, it can be identified as a user location and selected as a service provision location.

선택적 실시예로서 사용자 위치 정보 제어 단계(T31') 에서는 위치 정보 파악 모듈, 예를들면 GPS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단말기 위치를 인식하고 이러한 위치를 사용자의 위치로 파악할 수 있다. 예를들면 사용자 위치 정보 제어 단계(T31') 에서는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도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in the user location information control step (T31'), a location information grasp module, for example, GPS, may be used to recognize the location of the user's terminal, and recognize this location as the user's location. For example, in the user location information control step T31', the location of the user may be recognized in real time.

제공 주체 위치 정보 제어 단계(T32') 에서는 상기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서비스 제공 주체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In the providing subject location information control step T32', the location of the service providing subject to provide the service to the user may be identified.

예를들면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제공 주체는 하나 이상일 수 있고, 예를들면 복수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공 주체는 여러 지역에 분포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re may be one or more providers who will provide the service to the user, and for example, there may be a plurality of providers. In addition, the providing entity may be distributed in several regions.

선택적 실시예로서 상기 제공 주체는 이동 중일 수 있고, 예를들면 서비스 제공 관련된 차량을 타고 이동 중일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providing entity may be moving, for example, may be moving in a vehicle related to providing a service.

구체적 예로서 서비스를 제공할 서비스 인력이 탑승한 복수의 서비스 차량이 이동 중일 수 있고, 이러한 복수의 차량의 위치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As a specific example, a plurality of service vehicles on which a service personnel to provide a service is aboard may be moving, and location information of such a plurality of vehicles may be recognized.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공 주체 위치 정보 제어 단계(T32') 에서는 위치 정보 파악 모듈, 예를들면 GPS를 이용하여 복수의 서비스 제공 주체의 단말기 위치를 인식하고 이러한 위치를 사용자의 위치로 파악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in the providing subject location information control step (T32'), a location information identification module, for example, GPS, may be used to recognize the locations of terminals of a plurality of service providing subjects, and recognize these locations as the user's location.

경로 정보 제어 단계(T33') 에서는 제공 주체의 경로 정보를 생성하고 이러한 경로 정보를 통하여 최적의 경로 정보를 갖도록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서비스 제공 주체를 매칭할 수 있다.In the path information control step T33', path information of the providing entity may be generated, and a service providing entity to provide a service to a user may be matched so as to have optimal path information through the path information.

상기에서 인식한 사용자 관련 위치 정보 및 서비스 제공 주체 위치 정보를 인식하여 사용자와 서비스 제공 주체들간의 경로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최적의 경로 정보에 대응하는 서비스 제공 주체를 상기 사용자에게 매칭할 수 있다. 예를들면 최단 경로, 최고 편의 운행 경로 또는 최소 소요 시간 경로를 최적의 경로 정보에 대응할 수 있다. By recognizing the location information related to the user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rvice providing subject recognized above, route information between the user and the service providing subject can be generated, and accordingly, the service providing subject corresponding to the optimal route information can be matched with the user. I can. For example, the shortest route, the most convenient driving route, or the minimum required time route may correspond to the optimal route information.

선택적 실시예로서 하나의 서비스 제공 주체에 복수의 사용자를 매칭할 수 있고, 복수의 사용자들에 대한 서비스 제공 주체의 방문 순서를 생성하여 최종적으로 복수의 사용자들에 대한 하나의 서비스 제공 주체의 동선을 포함하는 경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a plurality of users can be matched with one service provider, and the order of visits of the service provider for a plurality of users is created to finally determine the movement of one service provider to the plurality of users. Path information to be included can be generated.

이를 통하여 일 서비스 주체는 최적의 경로를 이용하여 단시간에 여러 사용자 관련 위치를 방문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Through this, a service subject can provide services by visiting several user-related locations in a short time using an optimal route.

선택적 실시예로서 상기 서비스 제공 주체는 사용자의 차량 위치로 방문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을 이용할 수 있고,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은 하나 이상의 타이어를 적재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지역에 흩어져 이동중인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의 위치 정보 및 각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에 적재된 타이어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service providing entity may use a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capable of providing services by visiting a vehicle location of a user, and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may load one or more tires.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scattered in each region and the tire information loaded in the vehicle of each service providing device.

또한, 상기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을 이용하여 서비스 제공 시 필요한 타이어 또는 부품이나 공구가 상기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에 적재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복수의 지역에 산재하는 적재 거점을 이용할 수 있다. 적재 거점에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필요한 복수의 종류의 타이어들, 부품들 및 공구들이 적재되어 있을 수 있다.In addition, when tires, parts, or tools necessary for providing a service using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are not loaded in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loading bases scattered in a plurality of areas may be used. The loading point may be loaded with a plurality of types of tires, parts and tools necessary to provide a service.

서비스 제공 주체는 상기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을 타고 상기 적재 거점에 이동하여 필요한 타이어 또는 부품을 싣고 사용자 차량 위치로 이동한 후에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 service provider may ride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to the loading base, load necessary tires or parts, and provide necessary services after moving to the user vehicle location.

이러한 상기 복수의 서비스 제공 주체의 위치, 서비스에 필요한 타이어 등의 보유 여부, 상기 서비스에 필요한 타이어가 보관되어 있는 복수의 적재 거점의 위치 및 서비스를 제공할 사용자 관련 위치를 이용하여 복수의 경로 정보를 예비적으로 생성한 후에 최적의 경로 정보를 채택할 수 있다. 이러한 최적의 경로 정보를 최소 시간 기준일 수 있고, 이러한 경로 정보에 대응하는 서비스 제공 주체를 선택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주체에게 선택된 사실을 고지하고 바로 매칭된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A plurality of route information is provided using the location of the plurality of service providers, whether tires required for the service, etc. are retained, the locations of the plurality of loading bases in which tires required for the service are stored, and user-related locations to provide the service. After preliminary generation, the optimal route information can be adopted. Such optimal route information may be a minimum time reference, and by selecting a service providing subject corresponding to the route information, the service providing subject is notified of the selection and instructed to provide a service to a matched user immediately.

도 16는 도 13의 서비스 제공 제어 단계의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 1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lternative embodiment of a service provision control step of FIG. 13.

서비스 제공 제어 단계(T40')에서는 적어도 상기 선택된 서비스 제공 주체의 도착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진행 정보를 제어할 수 있다.In the service provision control step T40', service progress information including arrival information of at least the selected service provider may be controlled.

서비스 제공 제어 단계(T40')는 도착 정보 제어 단계(T41'), 차량 이동 정보 제어 단계(T42'), 서비스 진행 정보 제어 단계(T43') 또는 원상 복귀 정보 제어 단계(T44')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rvice provision control step (T40') may include an arrival information control step (T41'), a vehicle movement information control step (T42'), a service progress information control step (T43'), or a return information control step (T44'). I can.

도면에는 서비스 제공 제어 단계(T40')가 도착 정보 제어 단계(T41'), 차량 이동 정보 제어 단계(T42'), 서비스 진행 정보 제어 단계(T43') 및 원상 복귀 정보 제어 단계(T44')를 모두 포함하나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In the drawing, the service provision control step (T40') includes an arrival information control step (T41'), a vehicle movement information control step (T42'), a service progress information control step (T43'), and a return information control step (T44'). All are included, but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and one or more of them may be included.

도착 정보 제어 단계(T41') 에서는 상기 선택된 서비스 제공 주체가 상기 사용자 관련 위치에 제대로 도착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서비스 제공 주체가 효율적으로 최단시간으로 사용자 관련 위치에 도착할 수 있고, 이를 위하여 서비스 제공 주체의 이동 시 실시간 위치 정보를 전달받고 이를 이용하여 도착 시간을 앞당길 수 있다. In the arrival information control step T41',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selected service provider properly arrives at the user-related location. Through this, the service provider can efficiently arrive at the user-related location in the shortest time, and to this end, when the service provider moves, real-time location information can be received and the arrival time can be accelerated by using this.

선택적 실시예로서 상기 서비스 제공 주체는 사용자의 차량 위치로 방문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이 목적지, 예를들면 사용자의 차량 위치로 제대로 도착하였는지를 확인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상기 서비스 제공 주체에게 메시지를 발송할 수 있다. 또는 도착 시점 전에 경로를 생성하고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이 이러한 경로를 이탈하여 이동하는 경우 경고 메시지를 상기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에 탑승한 서비스 제공 주체에게 전송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service providing entity may use a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capable of providing a service by visiting a vehicle location of a user. The location of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can be determined in real time, an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has properly arrived at the destination, for example, the location of the user's vehicle, and if not, it is possible to send a message to the service providing entity. Alternatively, a route may be created before the time of arrival, and a warning message may be transmitted to a service providing entity boarding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when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deviates from this route and moves.

선택적 실시예로서 도착 정보 제어 단계(T41') 에서는 서비스 제공 주체가 사용자 관련 위치에 도착한 경우 도착한 사실 및 도착 시간 관련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또한 이러한 도착 사실 및 도착 시간 관련 정보를 사용자에게 고지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의 위치와 사용자의 차량 위치가 다른 경우 사용자는 사용자의 차량에 가지 않아도 서비스를 제공할 서비스 제공 주체 도착 사실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in the arrival information control step (T41'), when a service provider arrives at a user-related location, the arrival fact and arrival time-related information may be stored, and the arrival fact and arrival time-related information may be notified to the user. have. In this case, if the location of the user and the location of the user's vehicle are different, the user can easily check the arrival of the service provider who will provide the service without going to the user's vehicle.

차량 이동 정보 제어 단계(T42') 에서는 서비스 제공 주체가 사용자 관련 위치에 도착 후 상기 사용자의 차량을 서비스를 제공받을 장소로 이동하는 것을 포함할 경우 이러한 이동을 제어하고 이러한 이동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이동 정보를 사용자에게 고지할 수 있다.In the vehicle movement information control step T42', when the service provider includes moving the user's vehicle to a location to be provided with a service after arriving at a user-related location, such movement may be controlled and such movement information may be stored. It can also notify the user of such movement information.

선택적 실시예로서 상기 서비스 제공 주체는 사용자의 차량 위치로 방문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을 이용할 수 있다. 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service providing entity may use a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capable of providing a service by visiting a vehicle location of a user.

상기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차량을 이동하지 않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상기 사용자의 차량 위치가 서비스 제공에 불편하거나 안전상 문제가 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차량을 멀지 않은 인접한 곳의 인접 서비스 제공 편의 장소, 예를들면 넓은 주차장, 운동장 또는 공터 등으로 이동할 수 있다.The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may be used to provide a service without moving the vehicle of the user. In addition, as another example, if the location of the user's vehicle is uncomfortable in providing a service or becomes a safety problem, the user's vehicle may be moved to a convenient location for providing adjacent services not far away, such as a large parking lot, playground, or vacant lot .

이러한 인접 서비스 제공 편의 장소로의 이동은 상기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의 리프트를 이용하여 진행할 수 있고, 리프트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차량을 리프팅한 후에 사용자의 차량의 손상 없이 인접 서비스 제공 편의 장소로 이동할 수 있다.The movement to such an adjacent service providing convenience place can be performed using the lift of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and after lifting the user's vehicle using the lift, it is possible to move to the adjacent service providing convenient place without damage to the user's vehicle. have.

이러한 리프트를 이용하여 인접 서비스 제공 편의 장소로의 이동 사실, 이동 장소 정보 등을 사용자에게 고지할 수 있다.Using such a lift, it is possible to notify the user of the fact of moving to an adjacent service providing convenient place, moving place information, and the like.

또한 이러한 사용자의 차량의 이동의 필요함 또는 필요 없음에 대하여 사용자에게 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notify the user of the necessity or necessity of such movement of the user's vehicle.

서비스 진행 정보 제어 단계(T43') 에서는 타이어 관련 서비스를 진행하는 것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저장할 수 있고, 이러한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사용자에게 고지할 수 있다.In the service progress information control step T43', information on the progress of the tire-related service may be stored in real time, and at least part of this information may be notified to the user.

예를들면 타이어가 장착된 차량에 대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에 구비된 리프트를 이용하여 인접 서비스 제공 편의 장소로 이동한 후에 서비스를 개시한 시점, 리프트된 채 진행한 서비스 내용 또는 서비스 완료 정보를 저장하고 이에 대한 것을 사용자에게 고지할 수 있다.For example, for a vehicle equipped with a tire, after moving to an adjacent service providing convenience location using a lift provided in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the service is started, the service content or service completion information is stored while being lifted. And notify the user of this.

원상 복귀 정보 제어 단계(T44') 에서는 서비스 진행이 완료된 경우 서비스가 완료된 타이어, 예를들면 새타이어(또는 중고 타이어) 또는 기존 타이어에 대한 수리나 점검이 완료된 타이어를 차량에 장착하고 나서 원상 복귀한 사실 및 이러한 시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이에 대하여 사용자에게 고지할 수 있다.In the return information control step (T44'), when the service is completed, a tire that has been serviced, for example, a new tire (or used tire) or a tire that has been repaired or inspected for an existing tire, is mounted on the vehicle and then returned to the original state. The facts and information about these times can be stored and notified to the user.

예를들면 타이어가 장착된 차량에 대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에 구비된 리프트를 이용하여 인접 서비스 제공 편의 장소로 이동한 후에 서비스를 개시하고, 서비스가 완료되면 리프트에 의하여 리프팅된 채 사용자의 차량은 다시 원래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원래 위치로 이동한 후에 리프트는 하강하여 상기 사용자의 차량을 원래 있던 곳에 안전하게 착지하여 원상 복귀할 수 있다.For example, for a vehicle equipped with a tire, after moving to an adjacent service providing convenient location using a lift provided in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the service is started, and when the service is completed, the user's vehicle is lifted by the lift. You can move it back to its original position. After moving to the original position, the lift may descend to safely land the user's vehicle at the original location and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리프팅된 채 원래 장소로의 이동 정보, 원래 장소로의 도착 및 원상 복귀 정보를 선택적으로 사용자에게 고지할 수 있다.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notify the user of movement information to the original place, arrival to the original place, and return information to the original place while being lifted.

본 실시예의 타이어 관련 서비스 제공 방법은 주문 입력 제어 단계를 통하여 사용자의 주문 입력을 인식할 수 있고, 예를들면 사용자의 타이어에 대한 점검, 수리 또는 교체 등의 요청 정보를 인식할 수 잇다.In the tire-related service providing method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user's order input may be recognized through the order input control step, and for example, request information such as inspection, repair, or replacement of the user's tire may be recognized.

선택 서비스 정보 제어 단계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타이어 관련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고, 제공 주체 정보 제어 단계를 통하여 복수의 서비스 제공 주체 중 적절한 하나 이상의 서비스 제공 주체를 선택하고, 서비스 제공 제어 단계를 통하여 도착 정보를 포함하는 다양한 서비스 제공 정보를 제어할 수 있다.Through the optional service information control step, tire-related services to be provided to the user can be selected, and through the providing subject information control step, appropriate one or more service providers are selected from among a plurality of service providers, and arrival information through the service provision control step It is possible to control various service provision information including.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손쉽게 자기가 원하는 타이어 관련 서비스를 주문하고, 이에 대한 주문을 인식한 후에 최적의 서비스 제공 주체를 선택하여 서비스를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user can easily order the tire-related service he or she wants, and after recognizing the order, select an optimal service provider to easily provide the service.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사용자가 직접 차량을 운전하여 서비스 센터 또는 서비스 거점에 방문하지 않고 서비스 제공 주체가 사용자 관련 위치로 방문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예를들면 방문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을 타고 이동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s an optional embodiment, a service provider may provide a service by visiting a user-related location without a user directly driving a vehicle and visiting a service center or service base. For example, a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capable of providing an on-site service You can provide a service by moving around.

이를 통하여 사용자의 시간 및 운행을 통한 번거로움을 감소하여 서비스 제공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다.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service provision by reducing the user's time and hassle through driving.

또한,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에 구비된 리프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차량에 대한 리프팅을 진행하여 사용자의 차량 위치에서 서비스를 진행하거나, 사용자의 차량 위치보다 더 편하고 안전한 인근의 장소, 예를들면 인접 서비스 제공 편의 장소로 이동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리프트를 이용한 근접한 거리의 이동 시에도 리프트에 의하여 리프팅되어 사용자의 차량에 대한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In addition, by using a lift provided in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the user's vehicle is lifted to provide services at the user's vehicle location, or a more convenient and safer place than the user's vehicle location, such as adjacent services. You can provide services by moving to a convenient place. Even when moving a close distance using such a lift, it is lifted by the lift, thereby ensuring safety for the user's vehicle.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사용자가 사용자의 차량의 위치에 있지 않더라도 선택된 서비스 제공 주체가 방문하여 차량을 이동하고, 이러한 이동 사실에 대한 정보, 이동 후 서비스 진행 정보 및 서비스 제공 후 원상 복귀 사실 등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고지하여 사용자는 안심하고 자기 차량에 대한 서비스 제공받을 수 있어 서비스 제공의 신뢰도가 향상될 수 있다.In addition, as an optional embodiment, even if the user is not at the location of the user's vehicle, the selected service provider visits and moves the vehicle, and information about such movement, service progress information after movement, and information on the fact of return to the original state after providing the service. By notifying the user, the user can receive a service for his/her vehicle with confidence, thereby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the service provision.

또한, 서비스 주체와 사용자를 매칭시에 사용자 관련 위치와 복수의 서비스 주체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경로 설정을 통하여 최적 경로에 대응하는 서비스 주체를 사용자에게 매칭하여 서비스 제공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matching a service subject and a user, a service subject corresponding to an optimal route may be matched to a user through a route setting using a user-related loc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service subjects, thereby reducing a service provision time.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일 사용자가 복수의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 시 복수의 사용자 관련 위치에 대한 방문 순서를 포함한 경로 설정을 최적으로 하여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서비스 제공을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들에 대한 서비스 만족도 향상 및 서비스 제공 주체의 서비스 제공 효율성을 향상할 수 있다.In addition, as an optional embodiment, when a user provides a service to a plurality of users, it is possible to smoothly proceed with providing a service to a plurality of users by optimally setting a route including an order of visits to a plurality of user-related locations.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improve service satisfaction for users and improve service provision efficiency of the service provider.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이 서비스에 필요한 타이어 기타 부품 등을 보유하고 있는지 파악하고, 타이어나 부품 등이 보관되어 있는 복수의 적재 거점을 확보하고 이러한 적재 거점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최적의 서비스 제공 주체 및 최적의 경로를 용이하게 생성하여 사용자의 편의성 및 만족도를 향상하고, 서비스 제공 효율성을 증대할 수 있다.In addition, as an optional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has tires and other parts necessary for service, secure a plurality of loading points where tires or parts, etc. are stored, and us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se loading points It is possible to improve user convenience and satisfaction and increase service delivery efficiency by easily creating an optimal service provider and an optimal route to provide services to users.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 관련 서비스 제공 방법에 사용되는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8 및 도 19는 도 17의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의 리프트 부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17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used in a method for providing a tire-related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18 and 19 are views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lift member of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of FIG. It is a drawing shown for explanation.

도 17 내지 도 19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300)는 제어 공간부(HS), 운동부(MU), 수용 영역(DSU) 및 리프트 부재(33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7 to 19,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control space unit HS, an exercise unit MU, an accommodation area DSU, and a lift member 330.

본 실시예의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300)은 주차 또는 정차중인 자동차에 대한 하나 이상의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어 공간부(HS)는 목적지에 대한 운행을 제어할 수 있고, 예를들면 서비스를 제공받을 자동차가 주차 또는 정차하고 있는 곳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부재들이 배치될 수 있다.The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formed to provide one or more services for a vehicle being parked or stopped. The control space unit HS may control the operation to the destination, and for example, control members may be disposed to control the vehicle to be provided to move to a parking or stopping place.

예를들면 제어 공간부(HS)는 운전자를 위한 운전석, 조향 부재, 제동 부재 등이 배치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작업자 좌석등이 더 배치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control space HS, a driver's seat for a driver, a steering member, a braking member, and the like may be disposed, and as an optional embodiment, an operator's seat capable of performing work may be further disposed.

선택적 실시예로서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300)은 무인 주행 또는 자율 주행을 통한 주행 제어가 가능할 수 있고, 그 경우 제어 공간부(HS)에는 무인 주행 또는 자율 주행을 위한 제어 모듈이 포함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300 may control driving through unmanned driving or autonomous driving, and in this case, the control space unit HS may include a control module for unmanned driving or autonomous driving.

운동부(MU)는 노면상에서 운동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300)을 이동하게 할 수 있다.The exercise unit MU may exercise on the road surface, and may allow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300 to move through this.

예를들면 제어 공간부(HS)에서의 운전자 또는 자율 주행 제어 모듈에 의하여 목적지에 의한 주행이 제어되는 경우, 운동부(MU)는 이러한 제어 동작에 따라 노면상에서 운동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driving by a destination is controlled by a driver or an autonomous driving control module in the control space unit HS, the exercise unit MU may exercise on the road surface according to this control operation.

결과적으로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300)은 원하는 목적지 예를들면 서비스를 제공받을 자동차가 있는 곳으로 이동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300 may move to a desired destination, for example, a vehicle to be provided with a service.

수용 영역(DSU)은 제어 공간부(HS)와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accommodation area DSU may be disposed to be adjacent to the control space portion HS.

수용 영역(DSU)에는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300)을 통하여 주차 또는 정차중인 자동차에게 하나 이상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다양한 디바이스가 수용 영역(DSU)에 배치될 수 있다. The receiving area DSU may be formed to accommodate one or more devices. Various devices may be disposed in the accommodation area DSU so that one or more services may be provided to a vehicle parked or stopped through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300.

예를들면 수용 영역(DSU)에는 하나 이상의 타이어(TU)가 보관될 수 있고, 예를들면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300)의 운행 중에도 고정되도록 고정 부재에 고정되어 보관될 수 있다.For example, one or more tires TU may be stored in the receiving area DSU. For example,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300 may be fixed to and stored in a fixing member so as to be fixed even while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300 is running.

또한 예를들면 수용 영역(DSU)에는 전원 제어부를 포함하는 기능 영역(313)이 배치될 수 있고, 이러한 전원 제어부는 다양한 공구를 위한 전원을 공급하거나 제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for example, a functional area 313 including a power control unit may be disposed in the receiving area DSU, and the power control unit may be formed to supply or control power for various tools.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러한 전원 제어부는 후술할 리프트 부재(330)에 대한 전원 공급을 제어할 수 있고, 예를들면 충전을 하거나 신호를 인가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such a power control unit may control power supply to the lift member 330 to be described later, and may be formed to, for example, charge or apply a signal.

또한 일 예로서 수용 영역(DSU)에는 유압 유닛(315)이 수용될 수 있다.In addition, as an example, the hydraulic unit 315 may be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area DSU.

또한, 일 예로서 수용 영역(DSU)에는 하나 이상의 기능 영역(311, 312, 313)이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기능 영역(311, 312, 313)에 밸런서, 발전기, 인버터, 컴프레셔, 배터리 등의 기타 다양한 부재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수용되거나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s an example, one or more functional areas 311, 312, and 313 may be formed in the receiving area DSU, and such functional areas 311, 312, 313 may include balancers, generators, inverters, compressors, batteries, etc. One or more of various other members may be selectively received or dispos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기능 영역(311, 312, 313)은 탈착기 밸런스기, 콤프레셔, 발전기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unctional areas 311, 312, and 31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etacher balancer, a compressor, and a generator.

예를들면 기능 영역(311, 312, 313)은 운전석에 인접하도록 배치된 탈착기(311), 콤프레셔(313)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unctional areas 311, 312, and 313 may include a detacher 311 and a compressor 313 disposed adjacent to a driver's seat.

또한 구체적 예로서 탈착기(311)는 밸런스기를 함께 포함할 수 있고, 밸런스기와 일체화된 형태 또는 밸런스기와 연결된 형태일 수 있고, 다른 예로서 밸런스기와 분리된 형태일 수도 있다.In addition, as a specific example, the detacher 311 may include a balancer together, may be an integrated form with a balancer or a form connected with a balancer, and may be a form separated from the balancer as another example.

수용 영역(DSU)내부에 탈착기(311)를 포함하여 다양한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Various processes may be performed by including the detacher 311 in the receiving area DSU.

이 때 선택적 실시예로서 탈착기(311)를 지지하고 공정의 편의성을 제공하도록 탈착기(311)는 지지 베이스(312)상에 배치할 수 있다.In this case, 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detacher 311 may be disposed on the support base 312 to support the detacher 311 and provide convenience of the process.

또한 콤프레셔(313)는 일 예로서 발전기를 함께 포함할 수 있고, 발전기와 일체화된 형태 또는 발전기와 연결된 형태일 수 있고, 다른 예로서 발전기와 분리된 형태일 수도 있다. 이 때 발전기는 배터리팩의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In addition, as an example, the compressor 313 may include a generator together, may be integrated with the generator or connected to the generator, and may be separated from the generator as another example. In this case, the generator may have the form of a battery pack.

도시하지 않았으나 콤프레셔(313) 또는 발전기는 케이블(미도시)을 통하여 탈착기(311) 또는 밸런스기와 연결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compressor 313 or the generator may be connected to the detacher 311 or the balancer through a cable (not shown).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수용 영역(DSU)내부에서 타이어 관련 검사, 수리, 보수 기타 서비스를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Through this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provide tire-related inspection, repair, maintenance and other services within the receiving area (DSU).

이러한 구성은 후술할 실시예에도 선택적으로 그대로 또는 편의에 따라 유사하게 변형하여 적용될 수 있다.Such a configuration may be selectively applied as it is to an embodiment to be described later or similarly modified according to convenience.

리프트 부재(330)는 수용 영역(DSU)에 배치될 수 있다.The lift member 330 may be disposed in the receiving area DSU.

선택적 실시예로서 리프트 부재(330)는 수용 영역(DSU)의 리프트 부재 보관부(320)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리프트 부재 보관부(320)는 하우징 형태를 갖고 리프트 부재(330)를 감싸도록 배치하여 리프트 부재(330)를 수용 영역(DSU)에서 보호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lift member 330 may be disposed in the lift member storage unit 320 of the receiving area DSU. For example, the lift member storage unit 320 may have a housing shape and may be arranged to surround the lift member 330 to protect the lift member 330 in the receiving area DSU.

리프트 부재 보관부(320)는 수용 영역(DSU)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리프트 부재(330)가 수용 영역(DSU)의 바닥면에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The lift member storage unit 320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receiving area DSU, through which the lift member 330 may be stably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area DSU.

구체적 예로서 리프트 부재 보관부(320)는 하우징 형태를 갖고 수용 영역(DSU)의 다른 영역, 예를들면 기능 영역(311, 312, 313)의 적어도 하나 이상과 분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As a specific example, the lift member storage unit 320 may have a housing shape and may be formed to be separated from at least one or more of the other areas of the receiving area DSU, for example, the functional areas 311, 312, 313.

선택적 실시예로서 리프트 부재 보관부(320)는 리프트 부재(330)를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300)의 운동 또는 이동 중에 리프트 부재(330)가 리프트 부재 보관부(320)에 고정되어 리프트 부재(330)의 손상이나 변형을 감소 또는 방지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lift member storage unit 320 may be formed to fix the lift member 330, through which the lift member 330 stores the lift member during movement or movement of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300 It is fixed to the part 320 to reduce or prevent damage or deformation of the lift member 330.

리프트 부재(330)는 수용 영역(DSU)으로부터 취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리프트 부재(330)는 수용 영역(DSU)의 리프트 부재 보관부(320)로부터 취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lift member 330 may be formed to be taken out from the receiving area DSU. For example, the lift member 330 may be formed to be taken out from the lift member storage unit 320 of the receiving area DSU.

리프트 부재(330)는 수용 영역(DSU)으로부터 취출되어 주차 또는 정차 중인 자동차에 대한 리프팅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The lift member 330 may be taken out from the accommodation area DSU to perform a lifting process for a vehicle being parked or stopped.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리프트 부재(330)가 수용 영역(DSU)으로부터 취출되어 주차 또는 정차 중인 자동차(UC)에 대한 리프트 공정을 진행하는 것을 도시한다.Referring to FIGS. 18 and 19, it is illustrated that the lift member 330 is taken out from the receiving area DSU to perform a lift process for the vehicle UC being parked or stopped.

도 18을 참조하면 리프트 부재(330)는 자동차(UC)의 하부에 배치된다. 리프트 부재(330)는 수용 영역(DSU)으로부터 취출된 후 자동차(UC)의 하부로 이동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8, the lift member 330 is disposed under the vehicle UC. The lift member 330 may be removed from the receiving area DSU and then mov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vehicle UC.

선택적 실시예로서 리프트 부재(330)는 운동 부재를 포함하고, 운동 부재를 통하여 원하는 자동차(UC)의 정면, 후면, 좌측면 또는 우측면 중 하나로 이동하여 자동차(UC)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lift member 330 may include an exercise member, and may be disposed under the vehicle UC by moving to one of the front, rear, left or right surfaces of the desired vehicle UC through the exercise member.

도 19를 참조하면 리프트 부재(330)는 베이스(331), 지지부(333) 및 리프팅부(335)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9, the lift member 330 may include a base 331, a support part 333, and a lifting part 335.

베이스(331)는 리프트 부재(330)의 주된 영역일 수 있고, 예를들면 바닥면을 포함할 수 있다.The base 331 may be a main area of the lift member 330 and may include, for example, a bottom surface.

지지부(333)는 베이스(331)에 연결될 수 있고, 리프팅 방향(H1)을 따라서 베이스(331)로부터 멀어지거나 그 반대 방향으로 베이스(331)와 가까워질 수 있다.The support 333 may be connected to the base 331 and may be moved away from the base 331 along the lifting direction H1 or closer to the base 331 in the opposite direction.

지지부(333)는 자동차(UC)를 지지할 수 있고, 자동차(UC)를 지지한 채로 리프팅부(335)에 의하여 베이스(331)로부터 멀어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333)가 리프팅 방향(H1)으로 이동할 경우 자동차(UC)는 지면으로부터 멀어지고 자동차(UC)에 대한 서비스, 예를들면 타이어 관련 서비스를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The support 333 may support the vehicle UC, and may be disposed to be away from the base 331 by the lifting part 335 while supporting the vehicle UC. When the support part 333 moves in the lifting direction H1, the vehicle UC moves away from the ground, and a service for the vehicle UC, for example, a tire-related service, can be easily performed.

선택적 실시예로서 리프트 부재(330)는 운동하거나 이동할 수 있고, 예를들면 일 방향으로 전진하거나 그 반대 방향으로 후진 운동할 수 있다.As an alternative embodiment, the lift member 330 may move or move, for example, may move forward in one direction or move backward in the opposite direction.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리프트 부재(330)는 일 방향으로 전진하거나 그 반대 방향으로 후진 운동할 수 있고, 이와 교차하는 방향(예를들면 좌측 방향)으로 측면 이동하거나 이와 반대 방향(예를들면 우측 방향)으로 측면 이동할 수 있다.In addition, 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lift member 330 may advance in one direction or move backward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may move laterally in a direction intersecting with it (for example, in the left direction) or in the opposite direction (for example, in the right direction). Direction).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리프트 부재(330)는 일 방향 또는 이와 반대 방향으로 각 운동 또는 회전 운동할 수 있다.In addition, 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lift member 330 may perform angular motion or rotational motion in one direction or in the opposite direction.

선택적 실시예로서 리프트 부재(330)는 자동차(UC)를 지지한 채 운동 또는 이동할 수 있고, 예를들면 자동차(UC)가 지지부(333)가 지지된 후 베이스(331)로부터 멀어지도록 배치된 후에 운동하거나 이동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lift member 330 may move or move while supporting the vehicle UC, for example, after the vehicle UC is disposed to be away from the base 331 after the support part 333 is supported. You can exercise or move.

본 실시예의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은 제어 공간부를 통하여 운행에 대한 제어를 유인 또는 무인에 의하여 할 수 있고, 운동부의 운동을 통하여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은 수용 영역 내에 다양한 종류의 디바이스가 수용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다양한 종류의 기능 영역이 수용 영역 내에 마운트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를 통하여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은 주차 또는 정차되어 있는 자동차에 대한 다양한 종류의 서비스를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다.The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control the operation through the control space unit by manned or unmanned operation, and can move through the movement of the exercise unit. In addition,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may accommodate various types of devices in the accommodation area, and as an optional embodiment, various types of functional areas may be mounted in the accommodation area. Through this,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can smoothly perform various types of services for a parked or stopped vehicle.

또한,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의 리프트 부재는 수용 영역 내에 배치될 수 있고, 수용 영역으로부터 용이하게 취출될 수 있다. 취출된 리프트 부재는 주차 또는 정차되어 있는 자동차에 대한 리프팅 공정을 진행할 수 있고, 리프팅 공정을 진행한 후에 자동차의 타이어, 하부 등에 대한 다양한 서비스를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ift member of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may be disposed within the receiving area and can be easily taken out from the receiving area. The taken-out lift member may perform a lifting process for a parked or stopped vehicle, and after performing the lifting process, various services for tires and lower parts of the vehicle may be easily performed.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리프트 부재는 자동차를 지지한 채 이동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원하는 곳에서 자동차에 대한 서비스 공정을 진행할 수 있고, 서비스가 끝난 후 원위치에 자동차를 이동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lift member can move while supporting the vehicle, and through this, a service process for the vehicle can be performed at a desired location, and the vehicle can be moved to its original position after the service is finished.

결과적으로 자동차의 운전자 또는 소유자 등 자동차 사용자가 직접 자동차를 이동하거나 조작할 필요 없이 자동차에 대한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ovide necessary services for a vehicle without the need for a vehicle user, such as a driver or owner of a vehicle, to directly move or operate the vehicle, and provide user convenience.

도 20 및 도 21은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의 리프트 부재의 선택적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20 and 21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alternative embodiment of a lift member of a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도 20 및 도 21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400)는 제어 공간부(HS), 운동부(MU), 수용 영역(DSU) 및 리프트 부재(43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20 and 21,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control space unit HS, an exercise unit MU, a receiving area DSU, and a lift member 430.

본 실시예의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400)은 주차 또는 정차중인 자동차에 대한 하나 이상의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어 공간부(HS)는 목적지에 대한 운행을 제어할 수 있고, 예를들면 서비스를 제공받을 자동차가 주차 또는 정차하고 있는 곳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부재들이 배치될 수 있다.The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40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formed to provide one or more services for a vehicle being parked or stopped. The control space unit HS may control the operation to the destination, and for example, control members may be disposed to control the vehicle to be provided to move to a parking or stopping place.

예를들면 제어 공간부(HS)는 운전자를 위한 운전석, 조향 부재, 제동 부재 등이 배치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작업자 좌석등이 더 배치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control space HS, a driver's seat for a driver, a steering member, a braking member, and the like may be disposed, and as an optional embodiment, an operator's seat capable of performing work may be further disposed.

선택적 실시예로서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400)은 무인 주행 또는 자율 주행을 통한 주행 제어가 가능할 수 있고, 그 경우 제어 공간부(HS)에는 무인 주행 또는 자율 주행을 위한 제어 모듈이 포함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400 may control driving through unmanned driving or autonomous driving, and in this case, the control space unit HS may include a control module for unmanned driving or autonomous driving.

운동부(MU)는 노면상에서 운동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400)을 이동하게 할 수 있다.The exercise unit MU may exercise on the road surface, and may move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400 through this.

예를들면 제어 공간부(HS)에서의 운전자 또는 자율 주행 제어 모듈에 의하여 목적지에 의한 주행이 제어되는 경우, 운동부(MU)는 이러한 제어 동작에 따라 노면상에서 운동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driving by a destination is controlled by a driver or an autonomous driving control module in the control space unit HS, the exercise unit MU may exercise on the road surface according to this control operation.

결과적으로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400)은 원하는 목적지 예를들면 서비스를 제공받을 자동차가 있는 곳으로 이동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400 may move to a desired destination, for example, a vehicle to be provided with a service.

수용 영역(DSU)은 제어 공간부(HS)와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accommodation area DSU may be disposed to be adjacent to the control space portion HS.

수용 영역(DSU)에는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400)을 통하여 주차 또는 정차중인 자동차에게 하나 이상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다양한 디바이스가 수용 영역(DSU)에 배치될 수 있다. The receiving area DSU may be formed to accommodate one or more devices. Various devices may be disposed in the receiving area DSU to provide one or more services to a vehicle parked or stopped through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400.

예를들면 수용 영역(DSU)에는 하나 이상의 타이어(TU)가 보관될 수 있고, 예를들면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400)의 운행 중에도 고정되도록 고정 부재에 고정되어 보관될 수 있다.For example, one or more tires TU may be stored in the receiving area DSU. For example,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400 may be fixed to and stored in a fixing member so as to be fixed even while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400 is running.

또한 예를들면 수용 영역(DSU)에는 전원 제어부(413)가 배치될 수 있고, 이러한 전원 제어부(413)는 다양한 공구를 위한 전원을 공급하거나 제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for example, a power control unit 413 may be disposed in the receiving area DSU, and the power control unit 413 may be formed to supply or control power for various tools.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러한 전원 제어부(413)는 후술할 리프트 부재(430)에 대한 전원 공급을 제어할 수 있고, 예를들면 충전을 하거나 신호를 인가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power control unit 413 may control power supply to the lift member 430 to be described later, and may be formed to, for example, charge or apply a signal.

또한 일 예로서 수용 영역(DSU)에는 유압 유닛(415)이 수용될 수 있다.In addition, as an example, the hydraulic unit 415 may be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area DSU.

또한, 일 예로서 수용 영역(DSU)에는 하나 이상의 기능 영역(411, 412, 413)이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기능 영역(411, 412, 413)에 밸런서, 발전기, 인버터, 컴프레셔, 배터리 등의 기타 다양한 부재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수용되거나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s an example, one or more functional areas 411, 412, 413 may be formed in the receiving area DSU, and balancers, generators, inverters, compressors, batteries, etc. may be formed in the functional areas 411, 412, 413. One or more of various other members may be selectively received or disposed.

리프트 부재(430)는 수용 영역(DSU)에 배치될 수 있다.The lift member 430 may be disposed in the receiving area DSU.

선택적 실시예로서 리프트 부재(430)는 수용 영역(DSU)의 리프트 부재 보관부(420)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리프트 부재 보관부(420)는 하우징 형태를 갖고 리프트 부재(430)를 감싸도록 배치하여 리프트 부재(430)를 수용 영역(DSU)에서 보호할 수 있다.As an alternative embodiment, the lift member 430 may be disposed in the lift member storage unit 420 of the receiving area DSU. For example, the lift member storage unit 420 may have a housing shape and may be arranged to surround the lift member 430 to protect the lift member 430 in the receiving area DSU.

구체적 예로서 리프트 부재 보관부(420)는 하우징 형태를 갖고 수용 영역(DSU)의 다른 영역, 예를들면 전원 제어부(413), 유압 유닛(415), 하나 이상의 기능 영역(411, 412, 413)과 분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As a specific example, the lift member storage unit 420 has a housing shape and other areas of the receiving area DSU, for example, the power control unit 413, the hydraulic unit 415, one or more functional areas 411, 412, 413 It can be formed to be separated from.

선택적 실시예로서 리프트 부재 보관부(420)는 리프트 부재(430)를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400)의 운동 또는 이동 중에 리프트 부재(430)가 리프트 부재 보관부(420)에 고정되어 리프트 부재(430)의 손상이나 변형을 감소 또는 방지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lift member storage unit 420 may be formed to fix the lift member 430, through which the lift member 430 stores the lift member during movement or movement of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400 It is fixed to the part 420 to reduce or prevent damage or deformation of the lift member 430.

리프트 부재(430)는 수용 영역(DSU)으로부터 취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리프트 부재(430)는 수용 영역(DSU)의 리프트 부재 보관부(420)로부터 취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lift member 430 may be formed to be taken out from the receiving area DSU. For example, the lift member 430 may be formed to be taken out from the lift member storage unit 420 of the receiving area DSU.

리프트 부재(430)는 수용 영역(DSU)으로부터 취출되어 주차 또는 정차 중인 자동차에 대한 리프팅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The lift member 430 may be taken out from the accommodation area DSU to perform a lifting process for a vehicle being parked or stopped.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면 리프트 부재(430)가 수용 영역(DSU)으로부터 취출된 것을 도시하고 있고, 예를들면 주차 또는 정차 중인 자동차(미도시)에 대한 리프트 공정을 진행할 준비가 된 것을 도시한다.20 and 21 shows that the lift member 430 is taken out from the receiving area (DSU), for example, shows that the vehicle is ready to proceed with a lift process for a vehicle (not shown) that is parked or stopped. do.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면 리프트 부재(430)는 베이스(431), 지지부(433) 및 리프팅부(435)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20 and 21, the lift member 430 may include a base 431, a support part 433, and a lifting part 435.

베이스(431)는 리프트 부재(430)의 주된 영역일 수 있고, 예를들면 바닥면을 포함할 수 있다.The base 431 may be a main area of the lift member 430 and may include, for example, a bottom surface.

지지부(433)는 베이스(431)에 연결될 수 있고, 리프팅 방향(H1)을 따라서 베이스(431)로부터 멀어지거나 그 반대 방향으로 베이스(431)와 가까워질 수 있다.The support 433 may be connected to the base 431 and may be moved away from the base 431 along the lifting direction H1 or closer to the base 431 in the opposite direction.

지지부(433)는 자동차를 지지할 수 있고, 자동차를 지지한 채로 리프팅부(435)에 의하여 베이스(431)로부터 멀어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433)가 리프팅 방향(H1)으로 이동할 경우 자동차는 지면으로부터 멀어지고 자동차에 대한 서비스, 예를들면 타이어 관련 서비스를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The support portion 433 may support the vehicle, and may be disposed to be away from the base 431 by the lifting portion 435 while supporting the vehicle. When the support part 433 moves in the lifting direction H1, the vehicle moves away from the ground, and services for the vehicle, for example, tire-related services, can be easily performed.

선택적 실시예로서 리프트 부재(430)는 하나 이상의 운동 부재(4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운동 부재(432)를 통하여 리프트 부재(430)는 운동하거나 이동할 수 있고, 예를들면 일 방향으로 전진하거나 그 반대 방향으로 후진 운동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lift member 430 may include one or more moving members 432. The lift member 430 may move or move through the movement member 432, for example, it may move forward in one direction or move backward in the opposite direction.

운동 부재(432)는 회전 운동하는 형태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들면 바퀴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운동 부재(432)는 조향이 가능하도록 조향 부재와 연결될 수 있다.The movement member 432 may include a form that rotates, and may be, for example, a wheel form. In addition, the movement member 432 may be connected to the steering member to enable steering.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리프트 부재(430)는 일 방향으로 전진하거나 그 반대 방향으로 후진 운동할 수 있고, 이와 교차하는 방향(예를들면 좌측 방향)으로 측면 이동하거나 이와 반대 방향(예를들면 우측 방향)으로 측면 이동할 수 있다.In addition, 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lift member 430 may advance in one direction or move backward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may move laterally in a direction crossing it (for example, in the left direction) or in the opposite direction (for example, in the right direction). Direction).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리프트 부재(430)는 일 방향 또는 이와 반대 방향으로 각 운동 또는 회전 운동할 수 있다.In addition, 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lift member 430 may perform angular motion or rotation motion in one direction or in the opposite direction.

선택적 실시예로서 리프트 부재(430)는 운동 부재(432)의 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리프트 부재(430)는 운동 또는 이동을 제한해야 할 경우에 이러한 제한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lift member 430 may limit the movement of the moving member 432. Through this, the lift member 430 can easily proceed with such restriction when it is necessary to restrict movement or movement.

일 예로서 리프트 부재(430)의 운동 부재(432)가 노면과의 거리를 조절하여 운동을 제한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movement member 432 of the lift member 430 may limit movement by adjusting a distance from the road surface.

구체적 예로서 도 20을 참조하면 리프트 부재(430)의 베이스(431)의 바닥과 노면간에는 간격(Hg)을 갖고 이격될 수 있다. 이 경우 운동 부재(432)는 노면 상에서 운동할 수 있다.As a specific example, referring to FIG. 20, between the floor of the base 431 of the lift member 430 and the road surface may be spaced apart with a gap Hg. In this case, the exercise member 432 may exercise on the road surface.

도 21을 참조하면 리프트 부재(430)의 베이스(431)의 바닥은 노면과 접한다. 이 경우 운동 부재(432)의 노면 상에서 운동은 제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1, the bottom of the base 431 of the lift member 430 is in contact with the road surface. In this case, the movement of the movement member 432 on the road surface may be limited.

이를 통하여 리프트 부재(430)의 지지부(433)가 자동차를 지지하는 동안 또는 지지한 채 도 21과 같이 상승하고 있거나 상승 상태를 유지하는 동안에는 운동 부재(432)의 노면 상에서 운동은 제한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리프트 부재(430)가 자동차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자동차에 대한 서비스 제공 과정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Through this, while the support portion 433 of the lift member 430 is supporting the vehicle or while it is ascending as shown in FIG. 21 or maintaining the elevated state, the motion on the road surface of the moving member 432 may be restricted. As a result, the lift member 430 can stably support the vehicle, and a service provision process for the vehicle can be easily performed.

선택적 실시예로서 리프트 부재(430)의 베이스(431)과 운동 부재(432)의 사이에는 연결부(432a)가 배치될 수 있다. 연결부(432a)에 운동 부재(432)가 고정될 수 있다. 베이스(431)는 연결부(432a)에 대하여 운동할 수 있고, 예를들면 베이스(431)는 연결부(432a)에 연결된 채 지면에 대하여 거리가 가까워지거나 멀어질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은 다양한 방법으로 진행할 수 있고, 예를들면 연결부(432a)를 베이스(431)에 연결한 채 상하 운동 또는 각운동을 하도록 할 수 있다. As an alternative embodiment, a connection portion 432a may be disposed between the base 431 of the lift member 430 and the movement member 432. The movement member 432 may be fixed to the connection part 432a. The base 431 may move with respect to the connection part 432a, for example, the base 431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rt 432a and may become closer or further away from the ground. Such an operation may be performed in various ways, and for example, the connection part 432a may be connected to the base 431 and vertical or angular movement may be performed.

또는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연결부(432a)가 베이스(431)로부터 일시적으로 분리되도록 할수도 있다.Alternatively, as another alternative embodiment, the connection part 432a may be temporarily separated from the base 431.

선택적 실시예로서 리프트 부재(430)는 자동차를 지지한 채 운동 또는 이동할 수 있고, 예를들면 자동차가 지지부(433)가 지지된 후 베이스(431)로부터 멀어지도록 배치된 후에 운동하거나 이동할 수 있다.As an alternative embodiment, the lift member 430 may be moved or moved while supporting the vehicle, for example, the vehicle may be moved or moved after the support portion 433 is supported and placed away from the base 431.

이러한 경우에, 즉 리프트 부재(430)의 지지부(433)가 자동차를 지지한 채 운동 또는 이동하는 경우에 운동 부재(432)의 노면 상에서 운동의 제한 상태를 해제하여 용이한 이동을 유도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at is, when the support part 433 of the lift member 430 moves or moves while supporting the vehicle, it is possible to induce easy movement by releasing the restricted state of movement on the road surface of the moving member 432 .

도 22는 도 20 및 도 21의 리프트 부재의 일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2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lift member of FIGS. 20 and 21.

예를들면 도 22은 도 20의 K 방향에서 본 예시적인 평면도일 수 있다.For example, FIG. 22 may be an exemplary plan view viewed from the direction K of FIG. 20.

도 22를 참조하면 리프트 부재(430')는 베이스(431'), 지지부(433') 및 리프팅부(435')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2, the lift member 430 ′ may include a base 431 ′, a support part 433 ′, and a lifting part 435 ′.

베이스(431')는 리프트 부재(430')의 주된 영역일 수 있고, 예를들면 바닥면을 포함할 수 있다.The base 431 ′ may be a main area of the lift member 430 ′, and may include, for example, a bottom surface.

지지부(433')는 베이스(431')에 연결될 수 있고, 리프팅 방향을 따라서 베이스(431')로부터 멀어지거나 그 반대 방향으로 베이스(431')와 가까워질 수 있다.The support part 433 ′ may be connected to the base 431 ′, and may be moved away from the base 431 ′ along the lifting direction or closer to the base 431 ′ in the opposite direction.

지지부(433')는 자동차를 지지할 수 있고, 자동차를 지지한 채로 리프팅부(435')에 의하여 베이스(431')로부터 멀어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The support part 433 ′ may support the vehicle, and may be disposed so as to be away from the base 431 ′ by the lifting part 435 ′ while supporting the vehicle.

선택적 실시예로서 리프트 부재(430')는 하나 이상의 운동 부재(4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운동 부재(432')를 통하여 리프트 부재(430')는 운동하거나 이동할 수 있고, 예를들면 일 방향으로 전진하거나 그 반대 방향으로 후진 운동할 수 있다.As an alternative embodiment, the lift member 430 ′ may include one or more moving members 432 ′. The lift member 430' can move or move through the movement member 432', for example, it can move forward in one direction or move backward in the opposite direction.

운동 부재(432')는 회전 운동하는 형태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들면 바퀴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운동 부재(432')는 조향이 가능하도록 조향 부재와 연결될 수 있다.The moving member 432 ′ may include a form that rotates, and may be, for example, a wheel form. In addition, the movement member 432 ′ may be connected to the steering member to enable steering.

또한 리프트 부재(430')는 구동부(438')를 포함할 수 있다. 리프트 부재(430')의 구동부(438')를 통하여 운동 부재(432')가 운동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ift member 430 ′ may include a driving unit 438 ′. The movement member 432 ′ may be moved through the driving part 438 ′ of the lift member 430 ′.

선택적 실시예로서 구동부(438')는 조향 부재를 포함하여 구동부(438')를 통하여 리프트 부재(430')를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As an alternative embodiment, the driving unit 438 ′ may include a steering member to move the lift member 430 ′ in a desired direction through the driving unit 438 ′.

선택적 실시예로서 구동부(438')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제어부는 외부와 무선 통신으로 조절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하여 원하는 방향으로 구동부(438')에 대한 조절을 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driving unit 438 ′ may include a control unit, and this control unit may be controlled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driving unit 438' in a desired direction.

선택적 실시예로서 구동부(438')는 위치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위치 감지부를 통하여 자율 주행하여 원하는 위치, 예를들면 자동차의 하부로 이동하고, 서비스 공정을 진행한 후에는 자동차가 원래 있던 곳으로 다시 이동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driving unit 438 ′ may include a position detection unit, and autonomously travels through such a position detection unit to move to a desired position, for example, to the lower part of the vehicle, and after the service process is performed, You can move back to place.

선택적 실시예로서 리프트 부재(430')는 일 방향으로 전진하거나 그 반대 방향으로 후진 운동할 수 있고, 이와 교차하는 방향(예를들면 좌측 방향')으로 측면 이동하거나 이와 반대 방향(예를들면 우측 방향')으로 측면 이동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lift member 430' may advance in one direction or move backward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may move laterally in a direction intersecting with it (for example, a left direction) or in the opposite direction (for example, a right side). Direction').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리프트 부재(430')는 일 방향 또는 이와 반대 방향으로 각 운동 또는 회전 운동할 수 있다.In addition, 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lift member 430 ′ may perform angular motion or rotation motion in one direction or in the opposite direction.

선택적 실시예로서 리프트 부재(430')는 운동 부재(432')의 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리프트 부재(430')는 운동 또는 이동을 제한해야 할 경우에 이러한 제한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lift member 430 ′ may limit movement of the moving member 432 ′. Through this, the lift member 430 ′ can easily proceed with such restriction when it is necessary to restrict movement or movement.

일 예로서 리프트 부재(430')의 운동 부재(432')가 노면과의 거리를 조절하여 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이러한 운동의 제한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As an example, the movement member 432 ′ of the lift member 430 ′ may limit movement by adjusting a distance from the road surface. Since the description of the limitation of the exercise is the same as the above,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선택적 실시예로서 리프트 부재(430')의 베이스(431')과 운동 부재(432')의 사이에는 연결부(432a')가 배치될 수 있다. As an alternative embodiment, a connection portion 432a' may be disposed between the base 431' of the lift member 430' and the movement member 432'.

선택적 실시예로서 리프트 부재(430')는 하나 이상의 연장 지지 부재(437a', 437b', 437c', 437d')를 포함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lift member 430 ′ may include one or more extended support members 437a ′, 437b ′, 437c ′, and 437d ′.

연장 지지 부재(437a', 437b', 437c', 437d')는 지지부(433')와 연결될 수 있고, 자동차를 지지하는 면적을 증가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리프트 부재(430')는 다양한 크기의 자동차에 대한 리프팅 공정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The extended support members 437a', 437b', 437c', and 437d' may be connected to the support portion 433', and an area supporting the vehicle may be increased. Through this, the lift member 430 ′ can easily perform a lifting process for vehicles of various sizes.

연장 지지 부재(437a', 437b', 437c', 437d')는 지지부(433')에 연결된 채 운동하여 필요한 경우에만 지지부(433')로부터 확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예를들면 지지부(433')에 연결된 채 각 운동을 할 수 있다. The extended support members 437a', 437b', 437c', 437d' may move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support part 433' and have a form that is extended from the support part 433' only when necessary. For example, the support part 433 '), you can do each exercise.

다른 예로서 연장 지지 부재(437a', 437b', 437c', 437d')는 지지부(433')에 연결된 채 지지부(433')의 일측으로부터의 직선 운동, 구체적 예로서 신장 또는 수축 운동을 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extension support members 437a', 437b', 437c', 437d' can perform linear motion from one side of the support portion 433'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support portion 433', as a specific example, an extension or contraction motion. have.

도 22에 4개의 연장 지지 부재(437a', 437b', 437c', 437d')가 도시되어 있으나 다양한 개수로 변경할 수 있다.Although four extension support members 437a', 437b', 437c', and 437d' are shown in FIG. 22, various numbers can be changed.

본 실시예의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은 제어 공간부를 통하여 운행에 대한 제어를 유인 또는 무인에 의하여 할 수 있고, 운동부의 운동을 통하여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은 수용 영역 내에 다양한 종류의 디바이스가 수용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다양한 종류의 기능 영역이 수용 영역 내에 마운트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를 통하여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은 주차 또는 정차되어 있는 자동차에 대한 다양한 종류의 서비스를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다.The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control the operation through the control space unit by manned or unmanned operation, and can move through the movement of the exercise unit. In addition,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may accommodate various types of devices in the accommodation area, and as an optional embodiment, various types of functional areas may be mounted in the accommodation area. Through this,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can smoothly perform various types of services for a parked or stopped vehicle.

또한,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의 리프트 부재는 수용 영역 내에 배치될 수 있고, 수용 영역으로부터 용이하게 취출될 수 있다. 취출된 리프트 부재는 주차 또는 정차되어 있는 자동차에 대한 리프팅 공정을 진행할 수 있고, 리프팅 공정을 진행한 후에 자동차의 타이어, 하부 등에 대한 다양한 서비스를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ift member of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may be disposed within the receiving area and can be easily taken out from the receiving area. The taken-out lift member may perform a lifting process for a parked or stopped vehicle, and after performing the lifting process, various services for tires and lower parts of the vehicle may be easily performed.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리프트 부재는 자동차를 지지한 채 이동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원하는 곳에서 자동차에 대한 서비스 공정을 진행할 수 있고, 서비스가 끝난 후 원위치에 자동차를 이동할 수 있다. 예를들면 인접한 자동차들의 방해 또는 통행자에 대한 위험성을 감소한 위치에서 정밀한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lift member can move while supporting the vehicle, and through this, a service process for the vehicle can be performed at a desired location, and the vehicle can be moved to its original position after the service is finished.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stably provide a precise service at a location that reduces the risk of obstruction of adjacent cars or to pedestrians.

또한, 리프트 부재가 이동하지 않고 정지한 상태에서 자동차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동안에는 리프트 부재의 운동 부재의 운동을 제한하도록 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동안에 자동차의 불필요한 운동을 감소하고 서비스의 품질 특성을 향상할 수 있고, 주변의 차량 또는 통행자 등에 대한 안전성을 향상할 수 있다.In addition, while the lift member does not move and is stationary while providing service to the vehicle, the movement of the lifting member of the lift member is limited, thereby reducing unnecessary movement of the vehicle while providing the service and improving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service. And,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safety of surrounding vehicles or pedestrians.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연장 지지 부재를 이용하여 다양한 크기의 자동차에 대한 리프팅 공정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In addition, as an optional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easily perform a lifting process for vehicles of various sizes by using the extension support member.

결과적으로 자동차의 운전자 또는 소유자 등 자동차 사용자가 직접 자동차를 이동하거나 조작할 필요 없이 자동차에 대한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ovide necessary services for a vehicle without the need for a vehicle user, such as a driver or owner of a vehicle, to directly move or operate the vehicle, and provide user convenience.

도 2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23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4 및 도 25는 도 23의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에서 리프트 부재가 취출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4 and 25 are views for explaining that a lift member is taken out of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of FIG. 23.

구체적으로 도 25는 도 24의 상부에서 본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의 일부분의 평면도이다.Specifically, FIG. 25 is a plan view of a portion of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viewed from the top of FIG. 24.

도 26은 도 23의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의 리프트 부재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2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lift member of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of FIG. 23.

도 23 내지 도 26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500)는 제어 공간부(HS), 운동부(MU), 수용 영역(DSU) 및 리프트 부재(530)를 포함할 수 있다.23 to 26,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50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control space unit HS, an exercise unit MU, an accommodation area DSU, and a lift member 530.

본 실시예의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500)은 주차 또는 정차중인 자동차에 대한 하나 이상의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어 공간부(HS)는 목적지에 대한 운행을 제어할 수 있고, 예를들면 서비스를 제공받을 자동차가 주차 또는 정차하고 있는 곳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부재들이 배치될 수 있다.The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50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formed to provide one or more services for a vehicle being parked or stopped. The control space unit HS may control the operation to the destination, and for example, control members may be disposed to control the vehicle to be provided to move to a parking or stopping place.

예를들면 제어 공간부(HS)는 운전자를 위한 운전석, 조향 부재, 제동 부재 등이 배치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작업자 좌석등이 더 배치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control space HS, a driver's seat for a driver, a steering member, a braking member, and the like may be disposed, and as an optional embodiment, an operator's seat capable of performing work may be further disposed.

선택적 실시예로서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500)은 무인 주행 또는 자율 주행을 통한 주행 제어가 가능할 수 있고, 그 경우 제어 공간부(HS)에는 무인 주행 또는 자율 주행을 위한 제어 모듈이 포함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500 may perform driving control through unmanned driving or autonomous driving, and in that case, the control space unit HS may include a control module for unmanned driving or autonomous driving.

운동부(MU)는 노면상에서 운동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500)을 이동하게 할 수 있다.The exercise unit MU may exercise on the road surface, and may allow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500 to move through this.

예를들면 제어 공간부(HS)에서의 운전자 또는 자율 주행 제어 모듈에 의하여 목적지에 의한 주행이 제어되는 경우, 운동부(MU)는 이러한 제어 동작에 따라 노면상에서 운동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driving by a destination is controlled by a driver or an autonomous driving control module in the control space unit HS, the exercise unit MU may exercise on the road surface according to this control operation.

결과적으로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500)은 원하는 목적지 예를들면 서비스를 제공받을 자동차가 있는 곳으로 이동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500 may move to a desired destination, for example, a vehicle to be provided with a service.

수용 영역(DSU)은 제어 공간부(HS)와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accommodation area DSU may be disposed to be adjacent to the control space portion HS.

수용 영역(DSU)에는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500)을 통하여 주차 또는 정차중인 자동차에게 하나 이상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다양한 디바이스가 수용 영역(DSU)에 배치될 수 있다. The receiving area DSU may be formed to accommodate one or more devices. Various devices may be disposed in the accommodation area DSU so as to provide one or more services to a vehicle parked or stopped through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500.

예를들면 수용 영역(DSU)에는 하나 이상의 타이어(TU)가 보관될 수 있고, 예를들면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500)의 운행 중에도 고정되도록 고정 부재에 고정되어 보관될 수 있다.For example, one or more tires TU may be stored in the receiving area DSU. For example,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500 may be fixed to and stored in the fixing member so as to be fixed even while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500 is running.

또한 예를들면 수용 영역(DSU)에는 전원 제어부(513)가 배치될 수 있고, 이러한 전원 제어부(513)는 다양한 공구를 위한 전원을 공급하거나 제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for example, a power control unit 513 may be disposed in the receiving area DSU, and the power control unit 513 may be formed to supply or control power for various tools.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러한 전원 제어부(513)는 후술할 리프트 부재(530)에 대한 전원 공급을 제어할 수 있고, 예를들면 충전을 하거나 신호를 인가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As an alternative embodiment, the power control unit 513 may control power supply to the lift member 530 to be described later, and may be formed to charge or apply a signal, for example.

또한 일 예로서 수용 영역(DSU)에는 유압 유닛(515)이 수용될 수 있다.In addition, as an example, the hydraulic unit 515 may be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area DSU.

또한, 일 예로서 수용 영역(DSU)에는 하나 이상의 기능 영역(511, 512, 513)이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기능 영역(511, 512, 513)에 밸런서, 발전기, 인버터, 컴프레셔, 배터리 등의 기타 다양한 부재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수용되거나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s an example, one or more functional areas 511, 512, 513 may be formed in the receiving area DSU, and the balancer, generator, inverter, compressor, battery, etc. may be formed in the functional areas 511, 512, 513. One or more of various other members may be selectively received or disposed.

리프트 부재(530)는 수용 영역(DSU)에 배치될 수 있다.The lift member 530 may be disposed in the receiving area DSU.

선택적 실시예로서 리프트 부재(530)는 수용 영역(DSU)의 리프트 부재 보관부(520)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리프트 부재 보관부(520)는 하우징 형태를 갖고 리프트 부재(530)를 감싸도록 배치하여 리프트 부재(530)를 수용 영역(DSU)에서 보호할 수 있다.As an alternative embodiment, the lift member 530 may be disposed in the lift member storage unit 520 of the receiving area DSU. For example, the lift member storage unit 520 may have a housing shape and may be disposed so as to surround the lift member 530 to protect the lift member 530 in the receiving area DSU.

구체적 예로서 리프트 부재 보관부(520)는 하우징 형태를 갖고 수용 영역(DSU)의 다른 영역, 예를들면 전원 제어부(513), 유압 유닛(515), 하나 이상의 기능 영역(511, 512, 513)과 분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As a specific example, the lift member storage unit 520 has a housing shape and other areas of the receiving area DSU, for example, the power control unit 513, the hydraulic unit 515, and one or more functional areas 511, 512, 513 It can be formed to be separated from.

선택적 실시예로서 리프트 부재 보관부(520)는 리프트 부재(530)를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500)의 운동 또는 이동 중에 리프트 부재(530)가 리프트 부재 보관부(520)에 고정되어 리프트 부재(530)의 손상이나 변형을 감소 또는 방지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lift member storage unit 520 may be formed to fix the lift member 530, through which the lift member 530 stores the lift member during movement or movement of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500 It is fixed to the part 520 to reduce or prevent damage or deformation of the lift member 530.

리프트 부재(530)는 수용 영역(DSU)으로부터 취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리프트 부재(530)는 수용 영역(DSU)의 리프트 부재 보관부(520)로부터 취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lift member 530 may be formed to be taken out from the receiving area DSU. For example, the lift member 530 may be formed to be taken out from the lift member storage unit 520 of the receiving area DSU.

리프트 부재(530)는 수용 영역(DSU)으로부터 취출되어 주차 또는 정차 중인 자동차에 대한 리프팅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The lift member 530 may be taken out from the accommodation area DSU to perform a lifting process for a vehicle being parked or stopped.

선택적 실시예로서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500)은 리프트 부재 취출부(521)를 포함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500 may include a lift member take-out part 521.

리프트 부재 취출부(521)는 수용 영역(DSU)에 배치되고, 예를들면 리프트 부재 보관부(520)에 배치될 수 있다.The lift member take-out part 521 may be disposed in the receiving area DSU, for example, may be disposed in the lift member storage part 520.

리프트 부재 취출부(521)는 수용 영역(DSU)으로 적어도 일부 영역이 외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리프트 부재 취출부(521)는 수용 영역(DSU)에서 노면과 평행한 방향(도 24의 P1 방향)으로 슬라이드 운동하여 수용 영역(DSU)의 외부로 이동할 수 있다.The lift member take-out part 521 may be formed to move at least a portion of the receiving area DSU to the outside. For example, the lift member take-out part 521 may slide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road surface (direction P1 in FIG. 24) in the accommodation area DSU to move to the outside of the accommodation area DSU.

리프트 부재 취출부(521)는 수용 영역(DSU)에 연결된 채 이동할 수 있고, 예를들면 리프트 부재 보관부(520)에 수용될 수 있고, 필요 시 리프트 부재 보관부(520)에 연결된 채 리프트 부재 보관부(520)의 외부로 적어도 일 영역이 이동할 수 있다.The lift member take-out portion 521 can be moved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receiving area DSU, for example, can be accommodated in the lift member storage unit 520, and if necessary, the lift member while connected to the lift member storage unit 520 At least one area may be moved to the outside of the storage unit 520.

리프트 부재 취출부(521)는 리프트 부재(530)과 함께 슬라이드 운동할 수 있다. 리프트 부재 취출부(521)가 수용 영역(DSU)으로부터 외부로 이동 시 리프트 부재(530)는 리프트 부재 취출부(521)와 함께 동시에 이동하여 수용 영역(DSU)의 외부로 취출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리프트 부재 취출부(521)는 리프트 부재(530)를 지지 또는 고정하는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lift member take-out part 521 may slide together with the lift member 530. When the lift member take-out part 521 moves outward from the receiving area DSU, the lift member 530 moves simultaneously with the lift member take-out part 521 to be taken out of the receiving area DSU. To this end, the lift member take-out part 521 may include a member that supports or fixes the lift member 530.

선택적 실시예로서 리프트 부재(530)는 수용 영역(DSU)의 외부로 취출된 후에 상하 운동 제어부(525)에 의하여 노면에 안정적으로 안착할 수 있다. 상하 운동 제어부(525)를 통하여 리프트 부재(530)는 리프트 부재 취출부(521)로부터 하강 운동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고, 예를들면 중력에 의하여 낙하하는 속도보다 현저한 속도로 안정적으로 운동하여 노면과의 충격을 감소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lift member 530 may be stably seated on the road surface by the vertical motion control unit 525 after being taken out of the receiving area DSU. Through the up and down motion control unit 525, the lift member 530 can stably move down from the lift member takeout unit 521, and for example, the lift member 530 can stably move at a speed that is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e falling speed due to gravity. Can reduce the impact of

상하 운동 제어부(525)는 리프트 부재(530)가 노면에 용이하게 안착하도록 하강 운동의 속도를 제어할 수 있고, 크레인 부재 또는 호이스트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vertical motion control unit 525 may control the speed of the downward motion so that the lift member 530 is easily seated on the road surface, and may include a crane member or a hoist member.

상하 운동 제어부(525)는 리프트 부재 취출부(521)와 연결될 수 있고, 리프트 부재(530)와의 결합을 유지 또는 해제하는 결합 제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vertical motion control unit 525 may be connected to the lift member take-out part 521 and may include a coupling control module that maintains or releases the coupling with the lift member 530.

도 26을 참조하면 리프트 부재(530)는 베이스(531), 지지부(533) 및 리프팅부(535)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6, the lift member 530 may include a base 531, a support part 533, and a lifting part 535.

베이스(531)는 리프트 부재(530)의 주된 영역일 수 있고, 예를들면 바닥면을 포함할 수 있다.The base 531 may be a main area of the lift member 530 and may include, for example, a bottom surface.

지지부(533)는 베이스(531)에 연결될 수 있고, 리프팅 방향(노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서 베이스(531)로부터 멀어지거나 그 반대 방향으로 베이스(531)와 가까워질 수 있다.The support part 533 may be connected to the base 531, and may be moved away from the base 531 along a lifting direction (a direction away from the road surface) or closer to the base 531 in the opposite direction.

지지부(533)는 자동차를 지지할 수 있고, 자동차를 지지한 채로 리프팅부(535)에 의하여 베이스(531)로부터 멀어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533)가 리프팅 방향(노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자동차는 지면으로부터 멀어지고 자동차에 대한 서비스, 예를들면 타이어 관련 서비스를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The support 533 may support the vehicle, and may be disposed to be away from the base 531 by the lifting part 535 while supporting the vehicle. When the support part 533 moves in the lifting direction (a direction away from the road surface), the vehicle is moved away from the ground, and services for the vehicle, for example, tire-related services, can be easily performed.

선택적 실시예로서 리프트 부재(530)는 하나 이상의 운동 부재(5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운동 부재(532)를 통하여 리프트 부재(530)는 운동하거나 이동할 수 있고, 예를들면 일 방향(도 26의 FD 방향)으로 전진하거나 그 반대 방향(도 26의 BD 방향)으로 후진 운동할 수 있다.As an alternative embodiment, the lift member 530 may include one or more moving members 532. Through this movement member 532, the lift member 530 can move or move, for example, it can move forward in one direction (FD direction in Fig. 26) or backward movement in the opposite direction (BD direction in Fig. 26). have.

운동 부재(532)는 회전 운동하는 형태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들면 바퀴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운동 부재(532)는 조향이 가능하도록 조향 부재와 연결될 수 있다.The movement member 532 may have a form that rotates, and may be, for example, a wheel form. In addition, the movement member 532 may be connected to the steering member to enable steering.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리프트 부재(530)는 일 방향(도 26의 FD 방향)으로 전진하거나 그 반대 방향(도 26의 BD 방향)으로 후진 운동할 수 있고, 이와 교차하는 방향(예를들면 좌측 방향, 도 26의 LD 방향)으로 측면 이동하거나 이와 반대 방향(예를들면 우측 방향, 도 26의 RD 방향)으로 측면 이동할 수 있다.In addition, 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lift member 530 may advance in one direction (the direction FD in FIG. 26) or move backward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 direction BD in FIG. 26), and the lift member 530 may move in a direction crossing it (for example, the left side The lateral movement may be performed in the direction, in the LD direction in FIG. 26) or in the opposite direction (eg, in the right direction, in the RD direction in FIG. 26).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리프트 부재(530)는 일 방향 또는 이와 반대 방향으로 각 운동 또는 회전 운동할 수 있다.In addition, 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lift member 530 may perform angular motion or rotation motion in one direction or in the opposite direction.

선택적 실시예로서 리프트 부재(530)는 운동 부재(532)의 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리프트 부재(530)는 운동 또는 이동을 제한해야 할 경우에 이러한 제한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As an alternative embodiment, the lift member 530 may limit the movement of the moving member 532. Through this, the lift member 530 can easily proceed with such restriction when it is necessary to restrict movement or movement.

일 예로서 리프트 부재(530)의 운동 부재(532)가 노면과의 거리를 조절하여 운동을 제한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movement member 532 of the lift member 530 may limit movement by adjusting a distance from the road surface.

이러한 운동 부재(532)의 운동의 제한에 대한 내용은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거나 이를 필요에 따라 유사한 범위 내에서 변형 가능한 바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The information on the limitation of movement of the movement member 532 is the same as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r can be modified within a similar range as necessary,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선택적 실시예로서 리프트 부재(530)의 베이스(531)과 운동 부재(532)의 사이에는 연결부(532a)가 배치될 수 있다. As an alternative embodiment, a connection portion 532a may be disposed between the base 531 of the lift member 530 and the movement member 532.

선택적 실시예로서 리프트 부재(530)는 자동차를 지지한 채 운동 또는 이동할 수 있고, 예를들면 자동차가 지지부(533)가 지지된 후 베이스(531)로부터 멀어지도록 배치된 후에 운동하거나 이동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lift member 530 may be moved or moved while supporting the vehicle, for example, the vehicle may be moved or moved after the support portion 533 is supported and then disposed so as to move away from the base 531.

이러한 경우에, 즉 리프트 부재(530)의 지지부(533)가 자동차를 지지한 채 운동 또는 이동하는 경우에 운동 부재(532)의 노면 상에서 운동의 제한 상태를 해제하여 용이한 이동을 유도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at is, when the support part 533 of the lift member 530 moves or moves while supporting the vehicle, it is possible to induce easy movement by releasing the restricted state of movement on the road surface of the moving member 532. .

선택적 실시예로서 리프트 부재(530)는 구동부(538)를 포함할 수 있다. 리프트 부재(530)의 구동부(538)를 통하여 운동 부재(532)가 운동하도록 할 수 있다. As an alternative embodiment, the lift member 530 may include a driving unit 538. The movement member 532 may move through the driving part 538 of the lift member 530.

선택적 실시예로서 구동부(538)는 조향 부재를 포함하여 구동부(538)를 통하여 리프트 부재(530)를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As an alternative embodiment, the driving unit 538 may include a steering member and move the lift member 530 in a desired direction through the driving unit 538.

선택적 실시예로서 구동부(538)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제어부는 외부와 무선 통신으로 조절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하여 원하는 방향으로 구동부(538)에 대한 조절을 할 수 있다.As an alternative embodiment, the driving unit 538 may include a control unit, and this control unit may be controlled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Through this, the driving unit 538 can be adjusted in a desired direction.

선택적 실시예로서 구동부(538)는 위치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위치 감지부를 통하여 자율 주행하여 원하는 위치, 예를들면 자동차의 하부로 이동하고, 서비스 공정을 진행한 후에는 자동차가 원래 있던 곳으로 다시 이동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driving unit 538 may include a position detection unit, and autonomously travels through such a position detection unit to move to a desired position, for example, the lower part of the vehicle, and after the service process is performed, the position where the vehicle was originally located. You can move back to.

선택적 실시예로서 리프트 부재(530)는 하나 이상의 연장 지지 부재(537a, 537b, 537c, 537d)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optional embodiment, the lift member 530 may include one or more elongated support members 537a, 537b, 537c, and 537d.

연장 지지 부재(537a, 537b, 537c, 537d)는 지지부(533)와 연결될 수 있고, 자동차를 지지하는 면적을 증가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리프트 부재(530)는 다양한 크기의 자동차에 대한 리프팅 공정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The extended support members 537a, 537b, 537c, and 537d may be connected to the support part 533, and an area for supporting the vehicle may be increased. Through this, the lift member 530 can easily perform a lifting process for vehicles of various sizes.

연장 지지 부재(537a, 537b, 537c, 537d)는 지지부(533)에 연결된 채 운동하여 필요한 경우에만 지지부(533)로부터 확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예를들면 지지부(533)에 연결된 채 각 운동을 할 수 있다. The extension support members 537a, 537b, 537c, and 537d can move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support part 533 and have a form that is extended from the support part 533 only when necessary. For example, each movement while connected to the support part 533 can do.

다른 예로서 연장 지지 부재(537a, 537b, 537c, 537d)는 지지부(533)에 연결된 채 지지부(533)의 일측으로부터의 직선 운동, 구체적 예로서 신장 또는 수축 운동을 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extension support members 537a, 537b, 537c, and 537d may perform a linear motion from one side of the support part 533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support part 533, for example, an extension or contraction motion.

도 26에 4개의 연장 지지 부재(537a, 537b, 537c, 537d)가 도시되어 있으나 다양한 개수로 변경할 수 있다.Although four extension support members 537a, 537b, 537c, and 537d are shown in FIG. 26, various numbers may be changed.

도 27 내지 도 33은 도 23의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의 리프트 부재의 동작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27 to 33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lift member of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of FIG. 23 by way of example.

도 27을 참조하면 리프트 부재(530)가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500)의 수용 영역(DSU)에서 취출되어 자동차(UC)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준비를 한 것을 도시한다. 예를들면 리프트 부재(530)는 리프트 부재 취출부(521)와 함께 슬라이드 운동한 후에 상하 운동 제어부(525)에 의하여 노면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안착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7, it is shown that the lift member 530 is taken out from the receiving area DSU of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500 and prepared for providing a service to the vehicle UC. For example, the lift member 530 may be stably seated on the road surface by the vertical motion controller 525 after the lift member 530 slides together with the lift member takeout portion 521.

리프트 부재(530)는 서비스를 제공받을 자동차(UC)를 향하여 이동할 수 있고 예를들면 전진 방향(도 27의 FD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리프트 부재(530)의 구동부(538)에 의하여 운동 부재(532)의 운동을 통하여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The lift member 530 may move toward the vehicle UC to be provided with a service, for example, may move in the forward direction (FD direction of FIG. 27 ). The driving part 538 of the lift member 530 may move in a desired direction through the movement of the moving member 532.

그리고 나서 도 28을 참조하면 리프트 부재(530)가 자동차(UC)의 하부에 배치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예를들면 도 27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전진 방향(도 27의 FD 방향)으로 이동하여 자동차(UC)의 후방에서 자동차(UC)의 바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n, referring to FIG. 28, it is shown that the lift member 530 is disposed under the vehicle UC.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7, it may be arranged to move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FD direction of FIG. 27) to face the floor of the vehicle UC from the rear of the vehicle UC.

그리고 나서 도 29를 참조하면 리프트 부재(530)는 자동차(UC)에 대한 리프팅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예를들면 자동차(UC)를 지지하는 지지부(533)가 베이스(531)로부터 리프팅 방향(도 29의 H1 방향)으로 상승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자동차(UC)는 노면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을 진행하는 동안 또는 이러한 동작을 진행한 후에 운동 부재(532)가 노면에 대한 운동이 제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9에 도시한 것과 같이 베이스(531)의 적어도 일 영역이 노면과 접할 수 있고, 도시하지 않았으나 베이스(531)의 하면에 배치된 별도의 제한 부재(미도시)가 노면과 접하도록 할 수도 있다.Then, referring to FIG. 29, the lift member 530 may perform a lifting process for the vehicle UC. For example, the support part 533 supporting the vehicle UC may rise from the base 531 in the lifting direction (H1 direction in FIG. 29), and through this, the vehicle UC is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road surface. You can keep the state. During or after performing such an operation, movement of the moving member 532 with respect to the road surface may be restricted. As shown in FIG. 29, at least one area of the base 531 may contact the road surface, and although not shown, a separate limiting member (not shown)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531 may contact the road surface. .

그리고 나서 도 30을 참조하면 리프트 부재(530)는 자동차(UC)에 대한 리프팅 상태를 유지한 채 이동할 수 있다. 예를들면 리프트 부재(530)는 서비스를 제공받을 자동차(UC)를 지지한 채 후진 방향(도 30의 BD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리프트 부재(530)의 구동부(538)에 의하여 운동 부재(532)의 운동을 통하여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예를들면 자동차(UC)가 정차 또는 주차되어 있던 원위치로부터 서비스 제공 과정을 진행할 서비스 제공 장소로 이동할 수 있다.Then, referring to FIG. 30, the lift member 530 may move while maintaining the lifting state for the vehicle UC. For example, the lift member 530 may move in the reverse direction (the direction BD in FIG. 30) while supporting the vehicle UC to be provided with a service. The driving unit 538 of the lift member 530 can move in a desired direction through the movement of the exercise member 532, for example, providing a service to proceed with the service provision process from the original position where the car UC was stopped or parked. You can move to the place.

구체적 예로서 자동차(UC)가 정차 또는 주차되어 있던 원위치가 협소하거나 인접한 다른 자동차들로 인하여 서비스의 용이한 제공이 곤란할 수 있고, 리프트 부재(530)는 자동차(UC)를 지지한 채 서비스 제공이 원활환 곳으로 이동할 수 있다.As a specific example, it may be difficult to provide a service easily due to the narrow original position of the vehicle (UC) or other vehicles adjacent to it, and the lift member 530 supports the vehicle (UC) while providing the service. You can move smoothly.

이 경우에는 도 30에 도시한 것과 같이 베이스(531)는 노면과 간격(HG)을 갖고 이격될 수 있고, 운동 부재(532)의 노면에 대한 운동이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30, the base 531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road surface at a distance HG, and motion of the moving member 532 on the road surface may not be limited.

그리고 나서 도 31을 참조하면 리프트 부재(530)는 자동차(UC)에 대한 리프팅 상태를 유지한 채 서비스 제공을 진행할 수 있다. 예를들면 자동차(UC)에 대한 타이어 관련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기존 타이어(OTU)의 수리 또는 교환을 위한 제거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이러한 작업은 안전한 환경 유지가 필요할 수 있으므로 운동 부재(532)의 노면에 대한 운동을 제한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Then, referring to FIG. 31, the lift member 530 may proceed to provide a service while maintaining a lifting state for the vehicle UC. For example, a tire-related service for a vehicle (UC) may be provided, and in detail, a removal operation for repair or replacement of an existing tire (OTU) may be performed. Since this operation may require maintaining a safe environment, the movement of the moving member 532 on the road surface may be restricted.

리프트 부재(530)가 자동차(UC)를 지지한 채 서비스 제공이 용이한 장소로 이동하여 기존 타이어(OTU)의 수리 또는 교환을 위한 제거 작업을 편안하고 안정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The lift member 530 may move to a place where service is easily provided while supporting the vehicle UC, and the removal operation for repair or replacement of the existing tire OTU may be performed comfortably and stably.

그리고 나서 도 32를 참조하면 리프트 부재(530)는 자동차(UC)에 대한 리프팅 상태를 유지한 채 서비스 제공을 진행할 수 있다. 예를들면 자동차(UC)에 대한 타이어 관련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기존 타이어(OTU) 대신에 변경 타이어(NTU), 예를들면 수리한 타이어 또는 새 타이어를 장착할 수 있다.Then, referring to FIG. 32, the lift member 530 may provide a service while maintaining a lifting state for the vehicle UC.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provide tire-related services for an automobile (UC), and specifically, a modified tire (NTU), for example, a repaired tire or a new tire may be installed instead of the old tire (OTU).

이러한 작업은 안전한 환경 유지가 필요할 수 있으므로 운동 부재(532)의 노면에 대한 운동을 제한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Since this operation may require maintaining a safe environment, the movement of the moving member 532 on the road surface may be restricted.

그리고 나서 리프트 부재(530)는 자동차(UC)를 지지한 채에 자동차(UC)가 정차 또는 주차되어 있던 원위치로 이동할 수 있고, 이러한 이동 후 리프팅을 해제하여 자동차(UC)를 노면에 접하도록 지지부(533)가 하강 운동할 수 있다.Then, the lift member 530 may move to the original position where the vehicle UC was stopped or parked while supporting the vehicle UC, and after such movement, the lifting member 530 may be released to bring the vehicle UC into contact with the road surface. 533 can move down.

그리고 나서 도 33에 도시한 것과 같이 리프트 부재(530)는 자동차(UC)의 바닥을 향하는 영역으로부터 나와서 이동할 수 있고 예를들면 후진 방향(도 33의 BD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Then, as shown in FIG. 33, the lift member 530 may move out of the area facing the floor of the vehicle UC and move in the reverse direction (the direction BD in FIG. 33 ).

또한 도시하지 않았으나 리프트 부재(530)는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500)으로 향하여 이동할 수 있고, 수용 영역(DSU)에 다시 수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하 운동 제어부(525)에 의하여 리프트 부재 취출부(521)를 향하여 운동할 수 있다. 이러한 운동을 한 후에 리프트 부재(530)는 리프트 부재 취출부(521)과 슬라이드 운동하여 수용 영역(DSU)의 리프트 부재 보관부(520)에 수용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the lift member 530 may move toward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500 and may be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area DSU again. In this case, the vertical motion control unit 525 may move toward the lift member take-out part 521. After performing this movement, the lift member 530 may slide with the lift member take-out part 521 to be accommodated in the lift member storage unit 520 of the receiving area DSU.

본 실시예의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은 제어 공간부를 통하여 운행에 대한 제어를 유인 또는 무인에 의하여 할 수 있고, 운동부의 운동을 통하여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은 수용 영역 내에 다양한 종류의 디바이스가 수용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다양한 종류의 기능 영역이 수용 영역 내에 마운트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를 통하여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은 주차 또는 정차되어 있는 자동차에 대한 다양한 종류의 서비스를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다.The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control the operation through the control space unit by manned or unmanned operation, and can move through the movement of the exercise unit. In addition,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may accommodate various types of devices in the accommodation area, and as an optional embodiment, various types of functional areas may be mounted in the accommodation area. Through this,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can smoothly perform various types of services for a parked or stopped vehicle.

또한,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의 리프트 부재는 수용 영역 내에 배치될 수 있고, 수용 영역으로부터 용이하게 취출될 수 있다. 취출된 리프트 부재는 주차 또는 정차되어 있는 자동차에 대한 리프팅 공정을 진행할 수 있고, 리프팅 공정을 진행한 후에 자동차의 타이어, 하부 등에 대한 다양한 서비스를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ift member of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may be disposed within the receiving area and can be easily taken out from the receiving area. The taken-out lift member may perform a lifting process for a parked or stopped vehicle, and after performing the lifting process, various services for tires and lower parts of the vehicle may be easily performed.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리프트 부재는 자동차를 지지한 채 이동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원하는 곳에서 자동차에 대한 서비스 공정을 진행할 수 있고, 서비스가 끝난 후 원위치에 자동차를 이동할 수 있다. 예를들면 인접한 자동차들의 방해 또는 통행자에 대한 위험성을 감소한 위치에서 정밀한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lift member can move while supporting the vehicle, and through this, a service process for the vehicle can be performed at a desired location, and the vehicle can be moved to its original position after the service is finished.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stably provide a precise service at a location that reduces the risk of obstruction of adjacent cars or to pedestrians.

또한, 리프트 부재가 이동하지 않고 정지한 상태에서 자동차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동안에는 리프트 부재의 운동 부재의 운동을 제한하도록 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동안에 자동차의 불필요한 운동을 감소하고 서비스의 품질 특성을 향상할 수 있고, 주변의 차량 또는 통행자 등에 대한 안전성을 향상할 수 있다.In addition, while the lift member does not move and is stationary while providing service to the vehicle, the movement of the lifting member of the lift member is limited, thereby reducing unnecessary movement of the vehicle while providing the service and improving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service. And,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safety of surrounding vehicles or pedestrians.

또한 리프트 부재는 리프트 부재 취출부에 의하여 용이하게 수용 영역으로부터 취출되어 리프트 부재에 대한 이용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리프트 부재가 리프트 부재 취출부의 슬라이드 운동과 함께 수용 영역의 외부로 나온후에 상하 운동 제어부에 의하여 노면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안착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노면으로부터 리프트 부재가 충격을 받아 손상 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ift member can be easily taken out from the receiving area by the lift member take-out unit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use of the lift member, and 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lift member comes out of the receiving area together with the slide movement of the lift member take-out unit. Later, it can be stably seated on the road surface by the vertical motion control unit.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reduce or prevent the lift member from being damaged or damaged by impact from the road surface.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연장 지지 부재를 이용하여 다양한 크기의 자동차에 대한 리프팅 공정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In addition, as an optional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easily perform a lifting process for vehicles of various sizes by using the extension support member.

결과적으로 자동차의 운전자 또는 소유자 등 자동차 사용자가 직접 자동차를 이동하거나 조작할 필요 없이 자동차에 대한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ovide necessary services for a vehicle without the need for a vehicle user, such as a driver or owner of a vehicle, to directly move or operate the vehicle, and provide user convenience.

도 34a 내지 도 3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도면들이다.34A to 34C are views exemplarily illustrating a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a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4a를 참조하면 복수의 자동차가 일렬로 주차되어 있고, 예를들면 평행 주차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34A, a plurality of cars are parked in a row, for example, parallel parked.

전술한 실시예들 중 일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이 일 자동차(UC)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예를들면 전술한 실시예의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500)이 준비될 수 있고,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500)의 리프트 부재(530)만을 도시하였다.Among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ne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may provide a service to one vehicle UC, for example,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500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may be prepar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Only the lift member 530 of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500 is illustrated.

리프트 부재(530)는 자동차(UC)의 하부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고, 예를들면 도 34a와 같이 자동차(UC)의 우측면을 향하도록 측면 이동(도면에서 LD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The lift member 530 may be moved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ower portion of the vehicle UC, and may be laterally moved (moved in the LD direction in the drawing) toward the right side of the vehicle UC as shown in FIG. 34A. .

그리고 나서 도 34b를 참조하면 리프트 부재(530)가 자동차(UC)의 하부에 배치되어 자동차(UC)를 지지한 채 자동차(UC)를 기준으로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원래의 주차 위치에서 벗어난 것을 도시한다. 이 때 선택적 실시예로서 리프트 부재(530)는 자동차(UC)에 대한 리프팅 공정을 진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Then, referring to FIG. 34B, it is shown that the lift member 530 is disposed under the vehicle UC and moves to the right with respect to the vehicle UC while supporting the vehicle UC and is out of the original parking position. do. In this case, 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lift member 530 may maintain a state in which a lifting process for the vehicle UC has been performed.

그리고 나서 리프트 부재(530)는 자동차(UC)를 지지한 채 원하는 장소로 이동하여 안전하고 편안하게 안정적 서비스를 자동차(UC)에 대하여 진행할 수 있고, 예를들면 타이어 교체 또는 수리 등의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Then, the lift member 530 can move to a desired place while supporting the vehicle UC, and provide a stable service for the vehicle UC safely and comfortably, for example, to perform tasks such as tire replacement or repair. I can.

그리고 나서 이러한 서비스가 완료되면 리프트 부재(530)는 자동차(UC)를 지지한 채 이동하여 자동차(UC)를 다시 원래 주차되어 있던 곳에 이동한 후에 도 19c에 도시한 것과 같이 자동차(UC)를 노면에 안착한 후에 자동차(UC)의 바닥에 대응한 영역으로부터 외부로 나올 수 있다.Then, when this service is completed, the lift member 530 moves while supporting the car UC, moves the car UC to the place where it was originally parked, and then moves the car UC to the road surface as shown in FIG. 19C. After being settled in, it can come out from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floor of the vehicle UC.

도 35a 내지 도 35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도면들이다.35A to 35C are views exemplarily illustrating a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a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5a를 참조하면 복수의 자동차가 일렬로 주차되어 있고, 예를들면 사선 방향 주차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35A, a plurality of cars are parked in a row, for example, they are parked in a diagonal direction.

전술한 실시예들 중 일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이 일 자동차(UC)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예를들면 전술한 실시예의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500)이 준비될 수 있고,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500)의 리프트 부재(530)만을 도시하였다.Among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ne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may provide a service to one vehicle UC, for example,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500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may be prepar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Only the lift member 530 of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500 is illustrated.

리프트 부재(530)는 자동차(UC)의 하부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고, 예를들면 도 35a와 같이 자동차(UC)의 후방을 향하도록 전진 이동(도면에서 FD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The lift member 530 may be moved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ower portion of the vehicle UC, for example, it may move forward (moved in the FD direction in the drawing) toward the rear of the vehicle UC as shown in FIG. 35A. .

그리고 나서 도 35b를 참조하면 리프트 부재(530)가 자동차(UC)의 하부에 배치되어 자동차(UC)를 지지한 채 자동차(UC)를 기준으로 후진 방향으로 이동하여 원래의 주차 위치에서 벗어난 것을 도시한다. 이 때 선택적 실시예로서 리프트 부재(530)는 자동차(UC)에 대한 리프팅 공정을 진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Then, referring to FIG. 35B, it is shown that the lift member 530 is disposed under the vehicle UC and moves in the reverse direction based on the vehicle UC while supporting the vehicle UC and is out of the original parking position. do. In this case, 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lift member 530 may maintain a state in which a lifting process for the vehicle UC has been performed.

그리고 나서 리프트 부재(530)는 자동차(UC)를 지지한 채 원하는 장소로 이동하여 안전하고 편안하게 안정적 서비스를 자동차(UC)에 대하여 진행할 수 있고, 예를들면 타이어 교체 또는 수리 등의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Then, the lift member 530 can move to a desired place while supporting the vehicle UC, and provide a stable service for the vehicle UC safely and comfortably, for example, to perform tasks such as tire replacement or repair. I can.

그리고 나서 이러한 서비스가 완료되면 리프트 부재(530)는 자동차(UC)를 지지한 채 이동하여 자동차(UC)를 다시 원래 주차되어 있던 곳에 이동한 후에 도 35c에 도시한 것과 같이 자동차(UC)를 노면에 안착한 후에 자동차(UC)의 바닥에 대응한 영역으로부터 외부로 나올 수 있다.Then, when this service is completed, the lift member 530 moves while supporting the car UC, moves the car UC to the place where it was originally parked, and then moves the car UC to the road surface as shown in FIG. 35C. After being settled in, it can come out from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floor of the vehicle UC.

도 36a 내지 도 36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도면들이다.36A to 36C are views exemplarily explaining a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a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6a를 참조하면 복수의 자동차가 일렬로 주차되어 있고, 예를들면 자동차들이 서로 측면을 마주하는 방향으로 나란하게 주차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36A, a plurality of cars are parked in a row, and for example, cars are parked side by side in a direction facing each other.

전술한 실시예들 중 일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이 일 자동차(UC)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예를들면 전술한 실시예의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500)이 준비될 수 있고,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500)의 리프트 부재(530)만을 도시하였다.Among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ne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may provide a service to one vehicle UC, for example,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500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may be prepar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Only the lift member 530 of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500 is illustrated.

리프트 부재(530)는 자동차(UC)의 하부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고, 예를들면 도 36a와 같이 자동차(UC)의 후방을 향하도록 전진 이동(도면에서 FD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The lift member 530 may be moved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ower portion of the vehicle UC, and for example, may move forward (moved in the FD direction in the drawing) toward the rear of the vehicle UC as shown in FIG. 36A. .

그리고 나서 도 36b를 참조하면 리프트 부재(530)가 자동차(UC)의 하부에 배치되어 자동차(UC)를 지지한 채 자동차(UC)를 기준으로 후진 방향으로 이동하여 원래의 주차 위치에서 벗어난 것을 도시한다. 이 때 선택적 실시예로서 리프트 부재(530)는 자동차(UC)에 대한 리프팅 공정을 진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Then, referring to FIG. 36B, it is shown that the lift member 530 is disposed under the vehicle UC and moves in the reverse direction based on the vehicle UC while supporting the vehicle UC and is out of the original parking position. do. In this case, 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lift member 530 may maintain a state in which a lifting process for the vehicle UC has been performed.

그리고 나서 리프트 부재(530)는 자동차(UC)를 지지한 채 원하는 장소로 이동하여 안전하고 편안하게 안정적 서비스를 자동차(UC)에 대하여 진행할 수 있고, 예를들면 타이어 교체 또는 수리 등의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Then, the lift member 530 can move to a desired place while supporting the vehicle UC, and provide a stable service for the vehicle UC safely and comfortably, for example, to perform tasks such as tire replacement or repair. I can.

그리고 나서 이러한 서비스가 완료되면 리프트 부재(530)는 자동차(UC)를 지지한 채 이동하여 자동차(UC)를 다시 원래 주차되어 있던 곳에 이동한 후에 도 36c에 도시한 것과 같이 자동차(UC)를 노면에 안착한 후에 자동차(UC)의 바닥에 대응한 영역으로부터 외부로 나올 수 있다.Then, when this service is completed, the lift member 530 moves while supporting the car UC, moves the car UC to the place where it was originally parked, and then moves the car UC to the road surface as shown in FIG. 36C. After being settled in, it can come out from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floor of the vehicle UC.

본 실시예에 의한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 제어 방법을 이용하여 자동차가 주차 또는 정차되어 있는 위치와 배열에 크게 제한을 받지 않고 자동차에 리프트 부재가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고, 리프트 부재가 자동차를 지지한 채 자동차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들면 리프트 부재가 자동차에 대한 리프팅 공정을 진행한 후에 원하는 작업 장소로 이동하여 안전한 분위기에서 정밀하고 안정적 서비스를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By using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lift member can easily access the vehicle without being greatly limited by the position and arrangement at which the vehicle is parked or stopped, and the lift member supports the vehicle. You can provide service to your car. For example, after the lift member performs a lifting process for a vehicle, it moves to a desired work place, and a precise and stable service can be easily provided in a safe atmosphere.

또한,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한 후에는 리프트 부재가 자동차를 지지한 채 이동하여 자동차를 원래 주차 또는 정차되어 있던 원위치로 이동할 수 있고, 그리고 나서 리프트 부재는 다시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차량으로 되돌아올 수 있다.Further, after providing such a service, the lift member may move while supporting the car to move the car to its original position where it was originally parked or stopped, and then the lift member may return to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vehicle again.

이를 통하여 자동차를 운행하는 운전자, 사용자의 조작이나 주행이 없이 또는 제한된 상태에서도 자동차에 대한 다양한 서비스를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의 자동차 관리 편의성을 증대할 수 있다.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easily provide various services for a vehicle without a driver or a user's operation or driving, or even in a limited state, and increase the user's vehicle management convenienc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but these are merely exemplary,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실시예는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은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또는/및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제어 또는 다른 제어 장치들에 의해서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는, 메모리, 프로세싱, 로직(logic), 룩 업 테이블(look-up table) 등과 같은 직접 회로 구성들을 채용할 수 있다.An embodiment may be represented by functional block configurations and various processing steps. These functional blocks may be implemented with various numbers of hardware or/and software configurations that perform specific functions. For example, the embodiment is an integrated circuit configuration such as memory, processing, logic, a look-up table, etc., capable of executing various functions by controlling one or more microprocessors or other control devices Can be hired.

본 발명에의 구성 요소들이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는 것과 유사하게, 실시 예는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는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매커니즘", "요소", "수단", "구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는 프로세서 등과 연계하여 소프트웨어의 일련의 처리들(routines)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Similar to how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with software programming or software elements, embodiments include various algorithms implemented with a combination of data structures, processes, routines or other programming components, including C, C++. , Java, assembler, etc. may be implemented in a programming or scripting language. Functional aspects can be implemented with an algorithm running on one or more processors. In addition, the embodiment may employ a conventional technique for electronic environment setting, signal processing, and/or data processing. Terms such as "mechanism", "element", "means", and "configuration" may be widely used, and are not limited to mechanical and physical configurations. The term may include a meaning of a series of routines of software in connection with a processor or the like.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제공 방법들, 소프트웨어, 상기 제공 방법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The specific implementation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are examples and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embodiments in any way. For brevity of the specification, descriptions of conventional electronic configurations, control providing methods, software, and other functional aspects of the providing methods may be omitted. In addition, the connection or connection members of the lines between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exemplarily represent functional connections and/or physical or circuit connections, and in an actual device, various functional connections that can be replaced or added Connections, or circuit connections. In addition, if there is no specific mention such as "essential", "important", etc., it may not be an essential component for the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실시예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실시 예들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실시 예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In the specification of the embodiment (especially in the claims), the use of the term "above" and the similar reference term may correspond to both the singular and the plural. In addition, when a range is described in an embodiment, the invention to which individual values falling within the range are applied (unless otherwise stated), it is the same as describing each individual value constituting the rang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 Finally, if there is no clearly stated or contrary to the order of steps constituting th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steps may be performed in an appropriate order. The embodiments are not necessarily limited according to the order of description of the steps. The use of all examples or illustrative terms (for example, etc.) in the embodiments is merely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s in detail, and the scope of the embodiments is limited by the above examples or illustrative terms unless limited by the claims. It is not. In addi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recognize that various modifications, combinations, and changes may be configured according to design conditions and factor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or their equivalents.

100, 200: 타이어 관련 서비스 제공 시스템
110, 210: 주문 입력 제어부
120, 220: 선택 서비스 정보 제어부
130, 230: 제공 주체 정보 제어부
140, 240: 서비스 제공 제어부
100, 200: Tire-related service provision system
110, 210: order entry control unit
120, 220: optional service information control unit
130, 230: providing subject information control unit
140, 240: service provision control unit

Claims (12)

사용자의 주문 입력을 인식하고 처리하는 주문 입력 제어부;
상기 주문 입력 제어부가 인식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필요한 서비스의 선택을 제어하는 선택 서비스 정보 제어부;
상기 사용자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할 서비스 제공 주체의 선택을 제어하는 제공 주체 정보 제어부; 및
적어도 상기 선택된 서비스 제공 주체의 도착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진행 정보를 제어하는 서비스 제공 제어부를 포함하는 타이어 관련 서비스 제공 시스템.
An order input control unit that recognizes and processes a user's order input;
A selection service information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selection of a service required for the user by using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order input control unit;
A providing subject information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selection of a service providing subject to provide the service required to the user; And
Tire-related service providing system comprising a service providing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service progress information including arrival information of at least the selected service providing entity.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서비스 정보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에게 필요한 서비스의 대상이 되는 타이어 관련 정보를 파악하는 것을 제어하는 타이어 관련 서비스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selection service information control unit,
A tire-related service providing system that controls grasping of tire-related information that is a target of a service necessary for the us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 주체 정보 제어부는,
복수의 서비스 제공 주체 중 상기 사용자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할 주체를 선택하는 타이어 관련 서비스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providing subject information control unit,
A tire-related service providing system for selecting a subject to provide services necessary for the user from among a plurality of service providing subjects.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 주체 정보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서비스 제공 주체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는 타이어 관련 서비스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The providing subject information control unit,
A tire-related service providing system us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service providing entitie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 주체는 상기 사용자의 차량을 이동한 후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 제어부를 통하여 상기 차량의 이동 정보를 사용자에게 고지하는 타이어 관련 서비스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service provider provides a service after moving the user's vehicle,
A tire-related service providing system for notifying a user of movement information of the vehicle through the service providing control uni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 주체는 상기 사용자의 차량을 이동한 후 서비스를 제공한 후에, 상기 사용자의 차량이 있던 원래 장소로 원상 복귀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 제어부를 통하여 상기 원상 복귀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고지하는 타이어 관련 서비스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service providing entity returns to the original place where the user's vehicle was after providing the service after moving the user's vehicle,
Tire-related service providing system for notifying the user of the information of the return to the original state through the service providing control unit.
사용자의 주문 입력을 인식하고 처리하는 주문 입력 제어 단계;
상기 주문 입력 제어 단계에서 인식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필요한 서비스의 선택을 제어하는 선택 서비스 정보 제어 단계;
상기 사용자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할 서비스 제공 주체의 선택을 제어하는 제공 주체 정보 제어 단계; 및
적어도 상기 선택된 서비스 제공 주체의 도착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진행 정보를 제어하는 서비스 제공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타이어 관련 서비스 제공 방법.
An order input control step of recognizing and processing a user's order input;
A selection service information control step of controlling selection of a service necessary for the user by using the information recognized in the order input control step;
A providing subject information control step of controlling selection of a service providing subject to provide the service required to the user; And
A tire-related service providing method comprising a service provision control step of controlling service progress information including arrival information of at least the selected service providing entity.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서비스 정보 제어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게 필요한 서비스의 대상이 되는 타이어 관련 정보를 파악하는 것을 제어하는 타이어 관련 서비스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7,
The step of controlling the selected service information,
A tire-related service providing method for controlling the identification of tire-related information that is a target of a service necessary for the user.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 주체 정보 제어 단계는,
복수의 서비스 제공 주체 중 상기 사용자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할 주체를 선택하는 타이어 관련 서비스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7,
The providing subject information control step,
A tire-related service providing method for selecting a subject to provide services necessary for the user from among a plurality of service providing subjects.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 주체 정보 제어 단계는,
상기 복수의 서비스 제공 주체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는 타이어 관련 서비스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9,
The providing subject information control step,
A tire-related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service providing entities.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 주체는 상기 사용자의 차량을 이동한 후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 제어 단계를 통하여 상기 차량의 이동 정보를 사용자에게 고지하는 타이어 관련 서비스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7,
The service provider provides a service after moving the user's vehicle,
A tire-related service providing method for notifying a user of movement information of the vehicle through the service provision control step.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 주체는 상기 사용자의 차량을 이동한 후 서비스를 제공한 후에, 상기 사용자의 차량이 있던 원래 장소로 원상 복귀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 제어부를 통하여 상기 원상 복귀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고지하는 타이어 관련 서비스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7,
The service providing entity returns to the original place where the user's vehicle was after providing the service after moving the user's vehicle,
Tire-related service providing method of notifying the user of the information of the return to the original state through the service providing control unit.
KR1020190086633A 2019-07-17 2019-07-17 Tire related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ire related service KR10223282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6633A KR102232826B1 (en) 2019-07-17 2019-07-17 Tire related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ire related ser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6633A KR102232826B1 (en) 2019-07-17 2019-07-17 Tire related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ire related ser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9718A true KR20210009718A (en) 2021-01-27
KR102232826B1 KR102232826B1 (en) 2021-03-26

Family

ID=74238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6633A KR102232826B1 (en) 2019-07-17 2019-07-17 Tire related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ire related ser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2826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4657A (en) * 2002-06-07 2003-12-18 김유승 Method for discretion the equipment service of a car
JP2004302506A (en) * 2003-03-28 2004-10-28 Honda Motor Co Ltd Repair request acceptance system and repair request acceptance program
KR101701406B1 (en) * 2015-09-18 2017-02-01 임진욱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based automobile maintenance service
KR20170036607A (en) * 2016-09-05 2017-04-03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Tire rental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ire rental service
KR101747367B1 (en) * 2016-07-15 2017-06-15 박종관 Repair service provide server and repair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the same
KR20180100821A (en) * 2017-03-02 2018-09-12 이호진 Vehicle repair and maintenance intermediation service system and method thereof
KR20190067139A (en) * 2016-09-05 2019-06-14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Tire rental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ire rental service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4657A (en) * 2002-06-07 2003-12-18 김유승 Method for discretion the equipment service of a car
JP2004302506A (en) * 2003-03-28 2004-10-28 Honda Motor Co Ltd Repair request acceptance system and repair request acceptance program
KR101701406B1 (en) * 2015-09-18 2017-02-01 임진욱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based automobile maintenance service
KR101747367B1 (en) * 2016-07-15 2017-06-15 박종관 Repair service provide server and repair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the same
KR20170036607A (en) * 2016-09-05 2017-04-03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Tire rental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ire rental service
KR20190067139A (en) * 2016-09-05 2019-06-14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Tire rental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ire rental service
KR20180100821A (en) * 2017-03-02 2018-09-12 이호진 Vehicle repair and maintenance intermediation service system and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2826B1 (en) 2021-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008642B (en) The system and the method for selection leader's vehicle that vehicle fitting and control in a row travel
CN107835776B (en) Distribution system
CN104129508A (en) Machining equipment for structural components of aircraft
CN107533332B (en) Transport vehicle and transport system
JP6673037B2 (en) On-demand consolidation system and on-board equipment
JP6493538B2 (en) Transport vehicle system
JP2019117461A (en) Server apparatus and vehicle allocation method
CN113327425B (en) Automatic passenger-assistant parking system and service providing method
CN106941089A (en) For the overhead traveling crane for conveying chip, the system for running overhead traveling crane and the method for running overhead traveling crane
KR102232826B1 (en) Tire related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ire related service
JP721870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JP2022517915A (en) Transfer equipment, processing equipment, methods for transferring and / or processing objects
EP3939917B1 (en) Communication system for unmanned conveyance vehicle
JP6640315B2 (en) Delivery vehicle
WO2020116572A1 (en) Operation management system for electric vehicle
US20210300437A1 (en) Management device, management method, and program
JP7302583B2 (en) Vehicle and vehicle control method
JP2024004044A (en) Vehicle management system
KR20210003626A (en) Service supply system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a service supply system
US11958689B2 (en) Vehicle system
WO2021039406A1 (en) Parking assist system
JP7393130B2 (en) Delivery vehicle management system
JP2014184503A (en) Work support unit-mounted unmanned carrier, and work system using the same
JP2003040443A (en) Competition avoiding method for work transfer device and work transfer system
JP6640314B2 (en) Transport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