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9609A - 조명제어장치 및 조명제어장치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조명제어장치 및 조명제어장치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9609A
KR20210009609A KR1020190086356A KR20190086356A KR20210009609A KR 20210009609 A KR20210009609 A KR 20210009609A KR 1020190086356 A KR1020190086356 A KR 1020190086356A KR 20190086356 A KR20190086356 A KR 20190086356A KR 20210009609 A KR20210009609 A KR 202100096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ing
lighting control
specific content
playback scree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6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상호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86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9609A/ko
Publication of KR20210009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9609A/ko
Priority to KR1020210069299A priority patent/KR1023480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05B47/11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brightness or colour temperature of ambient ligh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05B47/19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via wireless transmis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Abstract

본 발명은 HDR 기술에서 재생 화면 별 밝기표현 특징을 실현하기 위한 핵심 데이터를 활용하여, 시청 환경을 위해 배치되는 다수 조명의 조명시스템을 제어함으로써, 조명시스템의 조명이 컨텐츠의 재생 화면 별 밝기표현과 연동되도록 세밀하게 제어하는 기술을 실현하는 조명제어장치 및 조명제어장치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명제어장치 및 조명제어장치의 동작 방법{LUMINATION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ID THEREOF}
본 발명은, 컨텐츠 재생에 따른 미디어를 시청하는 미디어 시청 환경에 관련이 있는 기술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미디어 시청에 보다 집중할 수 있는 미디어 시청 집중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지털 기반의 디지털 텔레비전 기술이 상용화되면서 각 가정에 연결되어 있는 인터넷 등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졌으며,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서비스를 그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다.
IPTV 서비스에서는, 댁내 등 지정된 공간에 설치되는 셋탑박스(Set-top Box)를 통해서 다양한 서비스를 IPTV 서비스 가입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데, 그 중 가입자가 원하는 컨텐츠를 검색 및 재생하여 컨텐츠 재생에 따른 미디어를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컨텐츠재생서비스가 가장 기본적인 서비스일 것이다.
이러한 컨텐츠재생서비스는, IPTV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서버(미도시)로부터 제공되는 실시간 컨텐츠를 재생하는 서비스 및 VoD(Video on Demand) 컨텐츠를 재생하는 서비스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장치의 화질 및 IPTV 서비스를 위한 통신 기술의 발전에 기인하여, 미디어 특히 재생 화면의 화질을 표현하는 기술은 HD(High Definition) 기술에서 UHD(Ultra High Definition) 4K,8K 기술로 진화하고 더 나아가 HDR(High Dynamic Range) 기술로 진화하고 있다.
HDR 기술이 이전 HD/UHD 4K,8K 기술 대비 진화한 점 중 하나는, 재생 화면(Scene) 내 밝은 영역은 더욱 밝게 표현하고 어두운 영역은 더욱 어둡게 표현함으로써, 시청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점(이하, 재생 화면 별 밝기표현 특징)이다.
한편, 최근에는, 컨텐츠 재생에 따른 미디어를 시청하는 미디어 시청 환경에서, 디스플레이장치 주변의 조명을 제어함으로써 미디어 시청에 보다 집중할 수 있도록 하는 노력이 등장하였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컨텐츠 재생에 따른 미디어를 시청하는 미디어 시청 환경에서 HDR 기술이 재생 화면(Scene) 내 밝은 영역은 더욱 밝게 표현하고 어두운 영역은 더욱 어둡게 표현하는 재생 화면 별 밝기표현 특징을 활용하여, 미디어 시청에 보다 집중할 수 있는 미디어 시청 집중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새로운 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HDR 기술이 갖는 재생 화면(Scene) 별 밝기표현 특징을 활용하여, 미디어 시청에 보다 집중할 수 있는 미디어 시청 집중 환경을 실현하는 기술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제어장치는, 특정 컨텐츠의 화면 밝기와 관련된 메타데이터를 확인하는 메타데이터확인부; 상기 메타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특정 컨텐츠가 재생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위해 구현되는 조명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조명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조명제어부; 및 상기 조명제어 데이터를 상기 조명시스템으로 전달하여, 상기 특정 컨텐츠 재생 시 상기 조명시스템에서 상기 조명제어 데이터에 따라 제어되는 조명이 상기 특정 컨텐츠의 화면 밝기와 연동되도록 하는 전달부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명시스템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원점으로 하여, 3차원 좌표를 가지도록 배치되는 다수의 조명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메타데이터는, 상기 특정 컨텐츠의 재생 화면(Scene) 별로 재생 화면 내 2차원 좌표영역 별 밝기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조명제어 데이터는, 상기 특정 컨텐츠의 재생 화면 별로, 상기 다수의 조명 각각에 대한 3차원 배치좌표 별 조명레벨정보를 나타내는 구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다수의 조명 각각에 대한 3차원 배치좌표 각각은, 상기 2차원 좌표영역 중 적어도 하나와 매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메타데이터는, 상기 특정 컨텐츠의 재생 화면(Scene) 별로 재생 화면 내 2차원 좌표영역 별 밝기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조명제어부는, 상기 특정 컨텐츠의 재생 화면 별로, 상기 2차원 좌표영역 별 밝기정보 및 외부 환경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조명시스템 내 각 조명에 대한 조명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외부 환경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설치된 공간에 대한 공간정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상기 특정 컨텐츠가 재생되는 시간에 대한 시간정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상기 특정 컨텐츠가 재생되는 시점의 날씨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명제어부는, 상기 특정 컨텐츠의 재생 화면 별로, 상기 2차원 좌표영역 중 가장 밝은 좌표영역 및 가장 어두운 좌표영역 간 밝기 차이 및 상기 외부 환경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조명시스템 내 각 조명에 대한 평균 조명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명제어부는, 상기 특정 컨텐츠의 재생 화면 별로, 상기 2차원 좌표영역 별 밝기정보 및 상기 외부 환경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조명시스템 내 각 조명에 대한 상기 평균 조명레벨 기준의 조명레벨값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제어장치의 동작 방법은, 특정 컨텐츠의 화면 밝기와 관련된 메타데이터를 확인하는 메타데이터확인단계; 상기 메타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특정 컨텐츠가 재생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위해 구현되는 조명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조명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생성단계; 및 상기 조명제어 데이터를 상기 조명시스템으로 전달하여, 상기 특정 컨텐츠 재생 시 상기 조명시스템에서 상기 조명제어 데이터에 따라 제어되는 조명이 상기 특정 컨텐츠의 화면 밝기와 연동되도록 하는 데이터전달단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명시스템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원점으로 하여, 3차원 좌표를 가지도록 배치되는 다수의 조명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메타데이터는, 상기 특정 컨텐츠의 재생 화면(Scene) 별로 재생 화면 내 2차원 좌표영역 별 밝기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조명제어 데이터는, 상기 특정 컨텐츠의 재생 화면 별로, 상기 다수의 조명 각각에 대한 3차원 배치좌표 별 조명레벨정보를 나타내는 구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데이터생성단계는, 상기 특정 컨텐츠의 재생 화면 별로, 상기 2차원 좌표영역 별 밝기정보 및 외부 환경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다수의 조명 각각에 대한 3차원 배치좌표 별 조명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조명제어장치 및 조명제어장치의 동작 방법에 의하면, HDR 기술이 갖는 재생 화면(Scene) 별 밝기표현 특징을 활용하여 조명시스템의 조명을 제어함으로써, 조명시스템의 조명이 재생 화면의 밝기표현과 연동되도록 세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르면, 조명시스템의 조명이 재생 화면의 밝기표현과 연동되도록 세밀하게 제어하는 방식으로, 미디어 시청에 보다 집중할 수 있는 미디어 시청 집중 환경을 제공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제어장치가 적용되는 미디어 시청 환경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시청 환경에서 조명시스템의 조명 배치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제어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조명제어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제어장치가 적용되는 미디어 시청 환경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시청 환경은, IPTV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서버(미도시)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를 출력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에서 재생되도록 하는 셋탑박스(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시청 환경은, IPTV 서비스 가입자 즉 시청자(1)가 컨텐츠 재생에 따른 미디어를 시청하는 위해 구비되는 조명시스템(3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셋탑박스(20)는, IPTV 서비스를 수신하기 위해 특정 장소(예: 가정)에 설치되는 장치를 일컫는 것으로서, 셋탑박스 자신과 연결된 무선중계장치(미도시)를 통해 서비스서버(미도시)로부터 제공(예: Broadcast)되는 다양한 컨텐츠를 수신 및 출력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에서 재생할 수 있도록 한다.
무선중계장치(예: 공유기)는, 셋탑박스(20)에 대한 인터넷 접속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를 일컫는 것으로서, 셋탑박스(20)와는 유선 접속되며, 뿐만 아니라 커버리지 내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예: 스마트폰 등)에 대해서도 무선 통신 기반의 인터넷 접속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PTV 서비스가 제공되는 미디어 시청 환경에서는, 전술한 구성을 기반으로, IPTV 서비스 가입자 즉 시청자가 원하는 컨텐츠를 검색 및 재생하여 컨텐츠 재생에 따른 미디어를 시청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장치의 화질 및 IPTV 서비스를 위한 통신 기술의 발전에 기인하여, 미디어 특히 재생 화면의 화질을 표현하는 기술은 HD(High Definition) 기술에서 UHD(Ultra High Definition) 4K,8K 기술로 진화하고 더 나아가 HDR(High Dynamic Range) 기술로 진화하고 있다.
HDR 기술이 이전 HD/UHD 4K,8K 기술 대비 진화한 점 중 하나는, 재생 화면(Scene) 내 밝은 영역은 더욱 밝게 표현하고 어두운 영역은 더욱 어둡게 표현함으로써, 시청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점(이하, 재생 화면 별 밝기표현 특징)이다.
한편, 최근에는, 컨텐츠 재생에 따른 미디어를 시청하는 미디어 시청 환경에서, 디스플레이장치 주변의 조명을 제어함으로써 미디어 시청에 보다 집중할 수 있도록 하는 노력이 등장하였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컨텐츠 재생에 따른 미디어를 시청하는 미디어 시청 환경에서 HDR 기술이 갖는 재생 화면 별 밝기표현 특징을 활용하여, 미디어 시청에 보다 집중할 수 있는 미디어 시청 집중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새로운 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HDR 기술이 갖는 재생 화면 별 밝기표현 특징을 활용하여, 미디어 시청에 보다 집중할 수 있는 미디어 시청 집중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기술을 실현하는 조명제어장치(100)를 제안한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제어장치(100)에 대한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따른 조명제어장치(100)의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제어장치(100)는, 메타데이터확인부(110), 조명제어부(120), 전달부(13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따른 조명제어장치(100)는, 외부환경정보확인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조명제어장치(100)는, 전술한 구성 이외에, 셋탑박스(20) 및 조명시스템(30)과의 통신 기능을 담당하는 통신부(150)의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조명제어장치(100)의 구성 전체 내지는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 모듈 형태 또는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 모듈과 소프트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소프트웨어 모듈이란, 예컨대 조명제어장치(100) 내에서 연산을 제어하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어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러한 명령어는 조명제어장치(100) 내 메모리에 탑재된 형태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결국,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제어장치(100)는 전술한 구성을 통해, HDR 기술이 갖는 재생 화면 별 밝기표현 특징을 활용하여, 미디어 시청에 보다 집중할 수 있는 미디어 시청 집중 환경을 제공하는 기술을 실현하며, 이하에서는 이를 실현하기 위한 조명제어장치(100) 내 각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메타데이터확인부(110)는, 특정 컨텐츠의 화면 밝기와 관련된 메타데이터를 확인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여기서, 특정 컨텐츠는, 화면 밝기와 관련된 메타데이터를 갖는 형태로 구성된 컨텐츠로서, 실시간 또는 임의의 선택 시간에 디스플레이장치(10)에서 재생되는 컨텐츠를 의미한다.
이러한 특정 컨텐츠를 예를 들면, IPTV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서버(미도시)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일 수 있고, 이 경우 실시간 방송서비스를 통해 제공되는 실시간 컨텐츠(예: 방송프로그램)일 수 있고, 또는 VoD(Video on Demand)서비스를 통해 제공되는 VoD 컨텐츠(예: 드라마, 영화 등)일 수 있다.
또는, 특정 컨텐츠는, IPTV 서비스와 무관하게 셋탑박스(20) 또는 디스플레이장치(10) 또는 별도 저장장치(미도시) 등 디바이스에 저장된 후, 셋탑박스(20) 또는 디스플레이장치(10)에 의해 호출 및 재생되는 컨텐츠(예: 드라마, 영화 등)일 수도 있다.
이에, 메타데이터확인부(110)는, 특정 컨텐츠의 화면 밝기와 관련된 메타데이터를 셋탑박스(20) 또는 특정 컨텐츠가 저장되어 있던 디바이스로부터 획득하여 확인할 수 있다.
일 예를 들면, 특정 컨텐츠가 IPTV 서비스를 통해 제공되는 컨텐츠(예: VoD 컨텐츠_영화)인 경우, 메타데이터확인부(110)는, 컨텐츠(예: VoD 컨텐츠_영화)를 서비스서버(미도시)로부터 수신하는 셋탑박스(20)와 연동하여 컨텐츠(예: VoD 컨텐츠_영화)의 화면 밝기와 관련된 메타데이터를 획득 및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컨텐츠와 관련하여 확인되는 메타데이터는, 특정 컨텐츠의 재생 화면(Scene) 별로 재생 화면 내 2차원 좌표영역 별 밝기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앞서 언급한 바 있듯이, 본 발명에서는, HDR 기술에서 시청 화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재생 화면(Scene) 내 밝은 영역은 더욱 밝게 표현하고 어두운 영역은 더욱 어둡게 표현하는 점 즉 재생 화면 별 밝기표현 특징을 활용하는 기술이다.
따라서, 특정 컨텐츠는, 화면 밝기와 관련된 메타데이터 즉 HDR 기술에서 재생 화면 별 밝기표현 특징을 실현하기 위한 핵심 데이터로서, HDR 기술에서 정의된 포맷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그 포맷의 일 예로서, 메타데이터는, 특정 컨텐츠의 재생 화면(Scene) 별로, 재생 화면 내 2차원 좌표영역 별 밝기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디스플레이장치(10)에 특정 컨텐츠로서 IPTV 서비스를 통해 제공되는 컨텐츠(예: VoD 컨텐츠_영화)가 재생되는 경우로 가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컨텐츠(예: VoD 컨텐츠_영화)의 메타데이터에는, 컨텐츠(예: VoD 컨텐츠_영화)의 전체 재생구간을 N개(예: 500개)의 재생 화면(Scene)으로 구분하고 재생 화면(Scene) 내 좌표영역을 M개(예: 6개/a,b,c,d,e,f)로 정의한다고 가정할 때, N개(예: 500개)의 재생 화면(Scene) 별로 2차원 좌표영역(a,b,c,d,e,f) 별 밝기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도 1게 도시된 가정 하에, 디스플레이장치(10)에서 컨텐츠(예: VoD 컨텐츠_영화)가 재생되는 경우, 컨텐츠(예: VoD 컨텐츠_영화)의 메타데이터에 근거하여 컨텐츠(예: VoD 컨텐츠_영화)의 재생 화면(Scene) 별로 재생 화면(Scene) 내 2차원 좌표영역(a,b,c,d,e,f) 각각은 해당 좌표영역의 밝기정보에 따라 밝은 영역일수록 더 밝게 표현되고 어두운 영역일수록 더 어둡게 표현될 수 있다.
물론,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재생 화면(Scene) 내 2차원 좌표영역을 구분하는 개수 및 구분 형태는 일 실시 예일 뿐이며, 재생 화면(Scene) 내 2차원 좌표영역을 구분하는 개수 및 구분 형태는 다양하게 변형 실시/구현될 수 있으며, 심지어 재생 화면(Scene) 내 2차원 좌표영역은 단일 픽셀 단위로 구분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조명제어부(120)은, 메타데이터확인부(110)에서 확인한 특정 컨텐츠의 메타데이터를 근거로, 특정 컨텐츠가 재생되는 디스플레이장치(20)를 위해 구현되는 조명시스템(30)을 제어하기 위한 조명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이때, 조명제어부(120)는, 특정 컨텐츠가 디스플레이장치(20)에서 재생되는 시점에 관련 조명제어 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고, 특정 컨텐츠가 디스플레이장치(20)에서 재생되는 시점과 무관하게 관련 조명제어 데이터를 미리 생성해 둘 수도 있다.
앞서 언급한 바 있듯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시청 환경은, 시청자(1)의 시청을 돕기 위해 구비되는 조명시스템(30)을 더 포함하게 된다.
이때, 조명시스템(30)은, 각기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다수의 조명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장치(10)를 원점으로 하여, 3차원 좌표를 가지도록 배치되는 다수의 조명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일 예로서, 도 2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조명시스템(30)의 조명 배치를 보여주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시스템(30) 내 다수의 조명(예: 조명1,2,...,6)은, 디스플레이장치(10)를 원점(x,y,z=0,0,0)으로 하여 각기 다른 위치에 원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조명시스템(30) 내 다수의 조명(예: 조명1,2,...,6)은, 디스플레이장치(10)를 원점(x,y,z=0,0,0)으로 하여, 원형 배치에 따른 3차원 배치좌표로 표현될 수 있다.
물론, 조명시스템(30) 내 다수의 조명(예: 조명1,2,...,6)은, 디스플레이장치(10)를 원점으로 하여, 원형 배치에 따른 각도좌표로 표현될 수도 있으며, 예를 들면 조명2의 경우 각도좌표 θ2로 표현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는 조명시스템(30) 내 다수 조명의 배치 개수 및 배치 형태는 일 실시 예일 뿐이며, 그 배치 개수 및 배치 형태는 다양하게 변형 실시/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조명제어부(120)은, 메타데이터확인부(110)에서 확인한 특정 컨텐츠의 메타데이터를 근거로, 조명시스템(30) 내 다수의 조명(예: 조명1,2,...,6) 각각을 제어하기 위한 조명제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조명제어부(120)에서 생성하는 조명제어 데이터는, 특정 컨텐츠의 재생 화면 별로, 조명시스템(30) 내 다수의 조명(예: 조명1,2,...,6) 각각에 대한 3차원 배치좌표 별 조명레벨정보를 나타내는 구조(포맷)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조명시스템(30) 내 다수의 조명(예: 조명1,2,...,6) 각각에 대한 3차원 배치좌표 각각은, 특정 컨텐츠의 재생 화면 내 2차원 좌표영역 중 적어도 하나와 매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조명제어부(120)은, 특정 컨텐츠의 메타데이터 즉 HDR 기술에서 재생 화면 별 밝기표현 특징을 실현하기 위한 핵심 데이터를 활용하여, 특정 컨텐츠의 재생 화면(Scene) 별로, 다수의 조명(예: 조명1,2,...,6) 각각에 대한 조명레벨을 해당 조명의 3차원 배치좌표와 매핑되는 재생 화면 내 2차원 좌표정보의 밝기정보를 근거로 결정함으로써, 특정 컨텐츠의 재생 화면 별로 조명시스템(30) 내 다수의 조명(예: 조명1,2,...,6) 각각에 대한 3차원 배치좌표 별 조명레벨정보를 나타내는 조명제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특정 컨텐츠의 메타데이터 즉 HDR 기술에서 재생 화면 별 밝기표현 특징을 실현하기 위한 핵심 데이터를 활용하여, 조명시스템(30) 내 다수의 조명(예: 조명1,2,...,6) 각각에 대한 조명레벨을 결정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조명제어부(120)은, 특정 컨텐츠 예컨대 컨텐츠(예: VoD 컨텐츠_영화)의 재생 화면 별로, 컨텐츠(예: VoD 컨텐츠_영화)의 재생 화면 내 2차원 좌표영역 별 밝기정보 및 외부 환경정보에 근거하여 조명시스템(30) 내 각 조명(예: 조명1,2,...,6)에 대한 조명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환경정보확인부(140)는, 조명제어부(120)에서 특정 컨텐츠 예컨대 컨텐츠(예: VoD 컨텐츠_영화)에 대한 조명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시점에, 필요한 외부 환경정보를 획득 및 확인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이때의 외부 환경정보는, 디스플레이장치(10)가 설치된 공간에 대한 공간정보, 디스플레이장치(10)에서 특정 컨텐츠가 재생되는 시간에 대한 시간정보, 디스플레이장치(10)에서 특정 컨텐츠가 재생되는 시점의 날씨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외부환경정보확인부(140)는, 조명제어부(120)에서 특정 컨텐츠 예컨대 컨텐츠(예: VoD 컨텐츠_영화)에 대한 조명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동작에 트리거(Trigger) 되어, 디스플레이장치(10)가 설치된 공간이 실내인지 또는 실외인지에 대한 공간정보, 디스플레이장치(10)에서 특정 컨텐츠(예: VoD 컨텐츠_영화)가 재생되는 시간이 오전인지 또는 오후인지 또는 밤인지 또는 새벽인지에 대한 시간정보, 디스플레이장치(10)에서 특정 컨텐츠(예: VoD 컨텐츠_영화)가 재생되는 시점의 날씨가 맑은지 또는 흐린지 또는 비/눈이 오는지에 날씨정보 등을, 기 탑재된 센서 또는 기 등록된 DB 또는 관련기관(예: 기상청)의 서버와 연동하여 획득 및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조명제어부(120)에서 특정 컨텐츠 예컨대 컨텐츠(예: VoD 컨텐츠_영화)와 관련된 조명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시점은, 컨텐츠(예: VoD 컨텐츠_영화)가 디스플레이장치(10)에서 재생되는 시점인 것을 전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조명제어부(120)는, 특정 컨텐츠 예컨대 컨텐츠(예: VoD 컨텐츠_영화)의 재생 화면 별로, 컨텐츠(예: VoD 컨텐츠_영화)의 재생 화면 내 2차원 좌표영역 별 밝기정보 및 외부 환경정보(예: 공간정보_실내, 시간정보_오후, 날씨정보_화창 등)에 근거하여, 조명시스템(30) 내 각 조명(예: 조명1,2,...,6)에 대한 조명레벨을 기 설정된 정책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즉, 조명제어부(120)는, 컨텐츠(예: VoD 컨텐츠_영화)의 재생 화면 별로, 다수의 조명(예: 조명1,2,...,6) 각각에 대한 조명레벨(값)을 해당 조명의 3차원 배치좌표와 매핑되는 해당 재생 화면 내 2차원 좌표영역 별 밝기정보 및 외부 환경정보(예: 공간정보_실내, 시간정보_오후, 날씨정보_화창 등)에 근거하여 결정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조명제어부(120)은, 특정 컨텐츠 예컨대 컨텐츠(예: VoD 컨텐츠_영화)의 재생 화면 별로, 재생 화면 내 2차원 좌표영역 중 가장 밝은 좌표영역 및 가장 어두운 좌표영역 간 밝기 차이 및 외부 환경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조명시스템(30) 내 각 조명(예: 조명1,2,...,6)에 대한 평균 조명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조명제어부(120)은, 컨텐츠(예: VoD 컨텐츠_영화)의 재생 화면 별로, 재생 화면 내 2차원 좌표영역 중 가장 밝은 좌표영역 및 가장 어두운 좌표영역 간 밝기를 비교하여, 그 차이가 임계값 이상으로 큰 차이가 나는지 또는 임계값 미만으로 작은 차이가 나는지 또는 단계적으로 구분되는 각 임계값을 근거로 어느 정도 차이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조명제어부(120)은, 컨텐츠(예: VoD 컨텐츠_영화)의 재생 화면 별로, 해당 재생 화면 내 2차원 좌표영역 중 가장 밝은 좌표영역 및 가장 어두운 좌표영역 간 밝기 차이에 기초하여 조명시스템(30) 내 각 조명(예: 조명1,2,...,6)에 대한 평균 조명레벨을 기 설정된 정책에 따라 1차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조명제어부(120)은, 컨텐츠(예: VoD 컨텐츠_영화)의 재생 화면 별로, 외부 환경정보(예: 공간정보_실내, 시간정보_오후, 날씨정보_화창 등)에 기초하여 조명시스템(30) 내 각 조명(예: 조명1,2,...,6)에 대한 평균 조명레벨을 기 설정된 정책에 따라 1차로 결정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컨텐츠(예: VoD 컨텐츠_영화)의 재생 화면 별로, 조명시스템(30) 내 각 조명(예: 조명1,2,...,6)에 평균적으로 적용할 기준 조명레벨(평균 조명레벨)을 해당 재생 화면 내 밝기 차이 또는 외부 환경에 따라서 1차로 결정하는 것이다.
이후, 조명제어부(120)은, 특정 컨텐츠 예컨대 컨텐츠(예: VoD 컨텐츠_영화)의 재생 화면 별로, 재생 화면 내 2차원 좌표영역 별 밝기정보 및 외부 환경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조명시스템(30) 내 각 조명(예: 조명1,2,...,6)에 대한 상기 평균 조명레벨 기준의 조명레벨값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조명제어부(120)은, 컨텐츠(예: VoD 컨텐츠_영화)의 재생 화면 별로, 해당 재생 화면 내 2차원 좌표영역 별 밝기정보 및 외부 환경정보(예: 공간정보_실내, 시간정보_오후, 날씨정보_화창 등)에 기초하여 조명시스템(30) 내 각 조명(예: 조명1,2,...,6)에 대하여 상기 평균 조명레벨 기준으로 조정할 오프셋을 기 설정된 정책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이에, 조명제어부(120)은, 컨텐츠(예: VoD 컨텐츠_영화)의 재생 화면 별로, 조명시스템(30) 내 각 조명(예: 조명1,2,...,6)에 대하여 결정한 평균 조명레벨+오프셋을 평균 조명레벨 기준의 조명레벨값으로서 2차(최종) 결정할 수 있다.
즉, 조명제어부(120)는, 컨텐츠(예: VoD 컨텐츠_영화)의 재생 화면 별로, 다수의 조명(예: 조명1,2,...,6) 각각에 대한 조명레벨값(평균 조명레벨+오프셋)을, 해당 조명의 3차원 배치좌표와 매핑되는 해당 재생 화면 내 2차원 좌표영역 별 밝기정보 및 외부 환경정보(예: 공간정보_실내, 시간정보_오후, 날씨정보_화창 등)에 근거하여 최종 결정할 수 있다.
이에, 조명제어부(120)은, 전술의 제1 또는 제2 실시예에 따라, 특정 컨텐츠의 재생 화면(Scene) 별로, 다수의 조명(예: 조명1,2,...,6) 각각에 대한 조명레벨(값)을 해당 조명의 3차원 배치좌표와 매핑되는 재생 화면 내 2차원 좌표정보의 밝기정보를 근거로 결정하면, 결정 결과를 이용하여 특정 컨텐츠의 재생 화면 별로 조명시스템(30) 내 다수의 조명(예: 조명1,2,...,6) 각각에 대한 3차원 배치좌표 별 조명레벨정보를 나타내는 조명제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전달부(130)는, 조명제어부(120)에서 생성한 조명제어 데이터를 조명시스템(30)으로 전달한다.
본 발명의 조명제어장치(100)로부터 조명제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조명시스템(30)은, 조명제어 데이터에 따라 다수의 조명(예: 조명1,2,...,6) 각각을 제어할 것이다.
만약, 조명제어장치(100)에서 특정 컨텐츠가 디스플레이장치(20)에서 재생되는 시점에 조명제어 데이터를 생성 및 전달한 경우라면, 조명시스템(30)은 조명제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즉시 조명제어 데이터에 따른 조명 제어를 수행하여, 디스플레이장치(20)에서의 재생과 동기화된 조명 제어가 가능할 것이다.
한편, 조명제어장치(100)에서 특정 컨텐츠가 디스플레이장치(20)에서 재생되는 시점과 무관하게 관련 조명제어 데이터를 미리 생성한 경우라면, 조명제어장치(100)는 특정 컨텐츠가 디스플레이장치(20)에서 재생되는 시점에 조명제어 데이터 생성 시점의 외부 환경정보 및 재생 시점의 외부 환경정보를 비교하여 동일하다면 조명제어 데이터를 그대로 전달하고, 조명시스템(30)은 조명제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즉시 조명제어 데이터에 따른 조명 제어를 수행하여, 디스플레이장치(20)에서의 재생과 동기화된 조명 제어가 가능할 것이다.
만약, 조명제어장치(100)에서 특정 컨텐츠가 디스플레이장치(20)에서 재생되는 시점과 무관하게 관련 조명제어 데이터를 미리 생성한 경우, 조명제어장치(100)는 특정 컨텐츠가 디스플레이장치(20)에서 재생되는 시점에 조명제어 데이터 생성 시점의 외부 환경정보 및 재생 시점의 외부 환경정보를 비교하여 동일하지 않다면 재생 시점의 외부 환경정보를 근거로 조명제어 데이터를 수정한 후 전달하고, 조명시스템(30)은 조명제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즉시 조명제어 데이터에 따른 조명 제어를 수행하여, 디스플레이장치(20)에서의 재생과 동기화된 조명 제어가 가능할 것이다.
한편, 전술에서 설명한 메타데이터확인부(110), 조명제어부(120), 전달부(130), 외부환경정보확인부(140) 전체 또는 이들 중 일부 구성의 기능은, 조명제어장치(100)에 결합되는 컴퓨터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될 수 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제어장치(100)는, 컨텐츠의 재생 화면(Scene) 별 재생 화면 내 영역별 밝기정보 즉 HDR 기술에서 재생 화면 별 밝기표현 특징을 실현하기 위한 핵심 데이터를 활용하여, 시청 환경을 위해 배치되는 다수 조명의 조명시스템을 제어함으로써, 조명시스템의 조명이 컨텐츠의 재생 화면 별 밝기표현과 연동되도록 세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르면, 조명시스템의 조명이 컨텐츠의 재생 화면 별 밝기표현과 연동되도록 세밀하게 제어하는 방식으로, 미디어 시청에 보다 집중할 수 있는 미디어 시청 집중 환경을 제공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제어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겠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에 도시된 미디어 시청 환경을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제어장치의 동작 방법에 따르면, 조명제어장치(100)는, 특정 컨텐츠의 화면 밝기와 관련된 메타데이터를 확인한다(S10).
예를 들면, 조명제어장치(100)는, 특정 컨텐츠의 화면 밝기와 관련된 메타데이터를 셋탑박스(20) 또는 특정 컨텐츠가 저장되어 있던 디바이스로부터 획득하여 확인할 수 있다(S10).
여기서, 특정 컨텐츠는, 화면 밝기와 관련된 메타데이터를 갖는 형태로 구성된 컨텐츠로서, 실시간 또는 임의의 선택 시간에 디스플레이장치(10)에서 재생되는 컨텐츠를 의미한다.
그리고 특정 컨텐츠와 관련하여 확인되는 메타데이터는, 특정 컨텐츠의 재생 화면(Scene) 별로 재생 화면 내 2차원 좌표영역 별 밝기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앞서 언급한 바 있듯이, 본 발명에서는, HDR 기술에서 시청 화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재생 화면(Scene) 내 밝은 영역은 더욱 밝게 표현하고 어두운 영역은 더욱 어둡게 표현하는 점 즉 재생 화면 별 밝기표현 특징을 활용하는 기술이다.
따라서, 특정 컨텐츠는, 화면 밝기와 관련된 메타데이터 즉 HDR 기술에서 재생 화면 별 밝기표현 특징을 실현하기 위한 핵심 데이터로서, HDR 기술에서 정의된 포맷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그 포맷의 일 예로서, 메타데이터는, 특정 컨텐츠의 재생 화면(Scene) 별로, 재생 화면 내 2차원 좌표영역 별 밝기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제어장치의 동작 방법에 따르면, 조명제어장치(100)는, S10단계에서 확인한 특정 컨텐츠의 메타데이터를 근거로, 특정 컨텐츠가 재생되는 디스플레이장치(20)를 위해 구현되는 조명시스템(30)을 제어하기 위한 조명제어 데이터를 생성한다(S20~S50).
이때, 조명제어장치(100)는, 특정 컨텐츠가 디스플레이장치(20)에서 재생되는 시점에 관련 조명제어 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고, 특정 컨텐츠가 디스플레이장치(20)에서 재생되는 시점과 무관하게 관련 조명제어 데이터를 미리 생성해 둘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조명시스템(30)은, 각기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다수의 조명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장치(10)를 원점으로 하여, 3차원 좌표를 가지도록 배치되는 다수의 조명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일 예로서, 도 2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조명시스템(30)의 조명 배치를 보여주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시스템(30) 내 다수의 조명(예: 조명1,2,...,6)은, 디스플레이장치(10)를 원점(x,y,z=0,0,0)으로 하여 각기 다른 위치에 원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조명시스템(30) 내 다수의 조명(예: 조명1,2,...,6)은, 디스플레이장치(10)를 원점(x,y,z=0,0,0)으로 하여, 원형 배치에 따른 3차원 배치좌표로 표현될 수 있다.
물론, 조명시스템(30) 내 다수의 조명(예: 조명1,2,...,6)은, 디스플레이장치(10)를 원점으로 하여, 원형 배치에 따른 각도좌표로 표현될 수도 있다.
한편,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는 조명시스템(30) 내 다수 조명의 배치 개수 및 배치 형태는 일 실시 예일 뿐이며, 그 배치 개수 및 배치 형태는 다양하게 변형 실시/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일 예에 따르면, 조명제어장치(100)는, 특정 컨텐츠 예컨대 컨텐츠(예: VoD 컨텐츠_영화)가 재생되는 시점에, 필요한 외부 환경정보 예컨대 디스플레이장치(10)가 설치된 공간이 실내인지 또는 실외인지에 대한 공간정보, 디스플레이장치(10)에서 특정 컨텐츠(예: VoD 컨텐츠_영화)가 재생되는 시간이 오전인지 또는 오후인지 또는 밤인지 또는 새벽인지에 대한 시간정보, 디스플레이장치(10)에서 특정 컨텐츠(예: VoD 컨텐츠_영화)가 재생되는 시점의 날씨가 맑은지 또는 흐린지 또는 비/눈이 오는지에 날씨정보 등을, 기 탑재된 센서 또는 기 등록된 DB 또는 관련기관(예: 기상청)의 서버와 연동하여 획득 및 확인할 수 있다(S20).
그리고, 조명제어장치(100)는, 특정 컨텐츠 예컨대 컨텐츠(예: VoD 컨텐츠_영화)의 재생 화면 별로, 재생 화면 내 2차원 좌표영역 중 가장 밝은 좌표영역 및 가장 어두운 좌표영역 간 밝기 차이 및 외부 환경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조명시스템(30) 내 각 조명(예: 조명1,2,...,6)에 대한 평균 조명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S30).
예를 들면, 조명제어장치(100)는, 컨텐츠(예: VoD 컨텐츠_영화)의 재생 화면 별로, 재생 화면 내 2차원 좌표영역 중 가장 밝은 좌표영역 및 가장 어두운 좌표영역 간 밝기를 비교하여, 그 차이가 임계값 이상으로 큰 차이가 나는지 또는 임계값 미만으로 작은 차이가 나는지 또는 단계적으로 구분되는 각 임계값을 근거로 어느 정도 차이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조명제어장치(100)는, 컨텐츠(예: VoD 컨텐츠_영화)의 재생 화면 별로, 해당 재생 화면 내 2차원 좌표영역 중 가장 밝은 좌표영역 및 가장 어두운 좌표영역 간 밝기 차이에 기초하여 조명시스템(30) 내 각 조명(예: 조명1,2,...,6)에 대한 평균 조명레벨을 기 설정된 정책에 따라 1차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조명제어장치(100)는, 컨텐츠(예: VoD 컨텐츠_영화)의 재생 화면 별로, 외부 환경정보(예: 공간정보_실내, 시간정보_오후, 날씨정보_화창 등)에 기초하여 조명시스템(30) 내 각 조명(예: 조명1,2,...,6)에 대한 평균 조명레벨을 기 설정된 정책에 따라 1차로 결정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컨텐츠(예: VoD 컨텐츠_영화)의 재생 화면 별로, 조명시스템(30) 내 각 조명(예: 조명1,2,...,6)에 평균적으로 적용할 기준 조명레벨(평균 조명레벨)을 해당 재생 화면 내 밝기 차이 또는 외부 환경에 따라서 1차로 결정하는 것이다.
그리고, 조명제어장치(100)는, 특정 컨텐츠 예컨대 컨텐츠(예: VoD 컨텐츠_영화)의 재생 화면 별로, 재생 화면 내 2차원 좌표영역 별 밝기정보 및 외부 환경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조명시스템(30) 내 각 조명(예: 조명1,2,...,6)에 대한 상기 평균 조명레벨 기준의 조명레벨값을 결정할 수 있다(S40).
예를 들면, 조명제어장치(100)는, 컨텐츠(예: VoD 컨텐츠_영화)의 재생 화면 별로, 해당 재생 화면 내 2차원 좌표영역 별 밝기정보 및 외부 환경정보(예: 공간정보_실내, 시간정보_오후, 날씨정보_화창 등)에 기초하여 조명시스템(30) 내 각 조명(예: 조명1,2,...,6)에 대하여 상기 평균 조명레벨 기준으로 조정할 오프셋을 기 설정된 정책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이에, 조명제어장치(100)는, 컨텐츠(예: VoD 컨텐츠_영화)의 재생 화면 별로, 조명시스템(30) 내 각 조명(예: 조명1,2,...,6)에 대하여 결정한 평균 조명레벨+오프셋을 평균 조명레벨 기준의 조명레벨값으로서 2차(최종) 결정할 수 있다.
즉, 조명제어장치(100)는, 컨텐츠(예: VoD 컨텐츠_영화)의 재생 화면 별로, 다수의 조명(예: 조명1,2,...,6) 각각에 대한 조명레벨값(평균 조명레벨+오프셋)을, 해당 조명의 3차원 배치좌표와 매핑되는 해당 재생 화면 내 2차원 좌표영역 별 밝기정보 및 외부 환경정보(예: 공간정보_실내, 시간정보_오후, 날씨정보_화창 등)에 근거하여 최종 결정할 수 있다.
이에, 조명제어장치(100)는, 전술의 S30,S40단계를 수행하여 특정 컨텐츠의 재생 화면(Scene) 별로, 다수의 조명(예: 조명1,2,...,6) 각각에 대한 조명레벨(값)을 해당 조명의 3차원 배치좌표와 매핑되는 재생 화면 내 2차원 좌표정보의 밝기정보를 근거로 결정하면, 결정 결과를 이용하여 특정 컨텐츠의 재생 화면 별로 조명시스템(30) 내 다수의 조명(예: 조명1,2,...,6) 각각에 대한 3차원 배치좌표 별 조명레벨정보를 나타내는 조명제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S50).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제어장치의 동작 방법에 따르면, 조명제어장치(100)는, S50단계에서 생성한 조명제어 데이터를 조명시스템(30)으로 전달한다(S60).
본 발명의 조명제어장치(100)로부터 조명제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조명시스템(30)은, 조명제어 데이터에 따라 다수의 조명(예: 조명1,2,...,6) 각각을 제어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컨텐츠의 재생 화면(Scene) 별 재생 화면 내 영역별 밝기정보 즉 HDR 기술에서 재생 화면 별 밝기표현 특징을 실현하기 위한 핵심 데이터를 활용하여, 시청 환경을 위해 배치되는 다수 조명의 조명시스템을 제어함으로써, 조명시스템의 조명이 컨텐츠의 재생 화면 별 밝기표현과 연동되도록 세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르면, 조명시스템의 조명이 컨텐츠의 재생 화면 별 밝기표현과 연동되도록 세밀하게 제어하는 방식으로, 미디어 시청에 보다 집중할 수 있는 미디어 시청 집중 환경을 제공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기능적인 동작과 주제의 구현물들은 디지털 전자 회로로 구현되거나,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조 및 그 구조적인 등가물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혹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이들 중 하나 이상의 결합으로 구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주제의 구현물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제어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혹은 이것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저장매체 상에 인코딩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관한 하나 이상의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전파형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조성물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시스템"이나 "장치"라 함은 예컨대 프로그래머블 프로세서, 컴퓨터 혹은 다중 프로세서나 컴퓨터를 포함하여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모든 기구, 장치 및 기계를 포괄한다. 제어 시스템은, 하드웨어에 부가하여, 예컨대 프로세서 펌웨어를 구성하는 코드, 프로토콜 스택,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운영 체제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 등 요청 시 컴퓨터 프로그램에 대한 실행 환경을 형성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스크립트 혹은 코드로도 알려져 있음)은 컴파일되거나 해석된 언어나 선험적 혹은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혹은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시스템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은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혹은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예컨대, 하나 이상의 모듈, 하위 프로그램 혹은 코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 내에, 혹은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예컨대, 마크업 언어 문서 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나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한편,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예컨대 EPROM, EEPROM 및 플래시메모리 장치와 같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 예컨대 내부 하드디스크나 외장형 디스크와 같은 자기 디스크, 자기광학 디스크 및 CD-ROM과 DVD-ROM 디스크를 포함하여 모든 형태의 비휘발성 메모리, 매체 및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와 메모리는 특수 목적의 논리 회로에 의해 보충되거나, 그것에 통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구현물은 예컨대 데이터 서버와 같은 백엔드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같은 미들웨어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예컨대 사용자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구현물과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웹 브라우저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갖는 클라이언트 컴퓨터와 같은 프론트엔드 컴포넌트 혹은 그러한 백엔드, 미들웨어 혹은 프론트엔드 컴포넌트의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연산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시스템의 컴포넌트는 예컨대 통신 네트워크와 같은 디지털 데이터 통신의 어떠한 형태나 매체에 의해서도 상호 접속 가능하다.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본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제어장치 및 조명제어장치의 동작 방법에 따르면, HDR 기술에서 재생 화면 별 밝기표현 특징을 실현하기 위한 핵심 데이터를 활용하여, 시청 환경을 위해 배치되는 다수 조명의 조명시스템을 컨텐츠의 재생 화면 별 밝기표현과 연동되도록 세밀하게 제어하는 기술을 제시하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 조명제어장치
110 : 메타데이터확인부 120 : 조명제어부
130 : 전달부 140 : 외부환경정보확인부

Claims (12)

  1. 특정 컨텐츠의 화면 밝기와 관련된 메타데이터를 확인하는 메타데이터확인부;
    상기 메타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특정 컨텐츠가 재생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위해 구현되는 조명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조명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조명제어부; 및
    상기 조명제어 데이터를 상기 조명시스템으로 전달하여, 상기 특정 컨텐츠 재생 시 상기 조명시스템에서 상기 조명제어 데이터에 따라 제어되는 조명이 상기 특정 컨텐츠의 화면 밝기와 연동되도록 하는 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시스템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원점으로 하여, 3차원 좌표를 가지도록 배치되는 다수의 조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제어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데이터는, 상기 특정 컨텐츠의 재생 화면(Scene) 별로 재생 화면 내 2차원 좌표영역 별 밝기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조명제어 데이터는,
    상기 특정 컨텐츠의 재생 화면 별로, 상기 다수의 조명 각각에 대한 3차원 배치좌표 별 조명레벨정보를 나타내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제어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조명 각각에 대한 3차원 배치좌표 각각은, 상기 2차원 좌표영역 중 적어도 하나와 매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제어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데이터는, 상기 특정 컨텐츠의 재생 화면(Scene) 별로 재생 화면 내 2차원 좌표영역 별 밝기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조명제어부는,
    상기 특정 컨텐츠의 재생 화면 별로, 상기 2차원 좌표영역 별 밝기정보 및 외부 환경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조명시스템 내 각 조명에 대한 조명레벨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제어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환경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설치된 공간에 대한 공간정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상기 특정 컨텐츠가 재생되는 시간에 대한 시간정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상기 특정 컨텐츠가 재생되는 시점의 날씨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제어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제어부는,
    상기 특정 컨텐츠의 재생 화면 별로, 상기 2차원 좌표영역 중 가장 밝은 좌표영역 및 가장 어두운 좌표영역 간 밝기 차이 및 상기 외부 환경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조명시스템 내 각 조명에 대한 평균 조명레벨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제어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제어부는,
    상기 특정 컨텐츠의 재생 화면 별로, 상기 2차원 좌표영역 별 밝기정보 및 상기 외부 환경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조명시스템 내 각 조명에 대한 상기 평균 조명레벨 기준의 조명레벨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제어장치.
  9. 특정 컨텐츠의 화면 밝기와 관련된 메타데이터를 확인하는 메타데이터확인단계;
    상기 메타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특정 컨텐츠가 재생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위해 구현되는 조명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조명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생성단계; 및
    상기 조명제어 데이터를 상기 조명시스템으로 전달하여, 상기 특정 컨텐츠 재생 시 상기 조명시스템에서 상기 조명제어 데이터에 따라 제어되는 조명이 상기 특정 컨텐츠의 화면 밝기와 연동되도록 하는 데이터전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제어장치의 동작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시스템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원점으로 하여, 3차원 좌표를 가지도록 배치되는 다수의 조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제어장치의 동작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데이터는, 상기 특정 컨텐츠의 재생 화면(Scene) 별로 재생 화면 내 2차원 좌표영역 별 밝기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조명제어 데이터는,
    상기 특정 컨텐츠의 재생 화면 별로, 상기 다수의 조명 각각에 대한 3차원 배치좌표 별 조명레벨정보를 나타내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제어장치의 동작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생성단계는,
    상기 특정 컨텐츠의 재생 화면 별로, 상기 2차원 좌표영역 별 밝기정보 및 외부 환경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다수의 조명 각각에 대한 3차원 배치좌표 별 조명레벨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제어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190086356A 2019-07-17 2019-07-17 조명제어장치 및 조명제어장치의 동작 방법 KR2021000960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6356A KR20210009609A (ko) 2019-07-17 2019-07-17 조명제어장치 및 조명제어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210069299A KR102348089B1 (ko) 2019-07-17 2021-05-28 조명제어장치 및 조명제어장치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6356A KR20210009609A (ko) 2019-07-17 2019-07-17 조명제어장치 및 조명제어장치의 동작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9299A Division KR102348089B1 (ko) 2019-07-17 2021-05-28 조명제어장치 및 조명제어장치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9609A true KR20210009609A (ko) 2021-01-27

Family

ID=7423832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6356A KR20210009609A (ko) 2019-07-17 2019-07-17 조명제어장치 및 조명제어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210069299A KR102348089B1 (ko) 2019-07-17 2021-05-28 조명제어장치 및 조명제어장치의 동작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9299A KR102348089B1 (ko) 2019-07-17 2021-05-28 조명제어장치 및 조명제어장치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1000960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68471A1 (ko) * 2021-10-20 2023-04-2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23096343A1 (ko) * 2021-11-23 2023-06-0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24085358A1 (ko) * 2022-10-19 2024-04-25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명 장치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3757A (ko) * 2003-04-30 2004-11-0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휘도신호에 따른 실내조명 조절이 가능한 홈시어터 시스템및 방법
KR101100489B1 (ko) * 2005-02-21 2011-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주변조명밝기 조절장치
KR101388133B1 (ko) * 2007-02-16 2014-04-23 삼성전자주식회사 2차원 실사 영상으로부터 3차원 모델을 생성하는 방법 및장치
JP2009129754A (ja) * 2007-11-26 2009-06-11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照明装置及び照明システ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68471A1 (ko) * 2021-10-20 2023-04-2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23096343A1 (ko) * 2021-11-23 2023-06-0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24085358A1 (ko) * 2022-10-19 2024-04-25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명 장치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7995A (ko) 2021-06-08
KR102348089B1 (ko) 2022-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8089B1 (ko) 조명제어장치 및 조명제어장치의 동작 방법
US11917240B2 (en) Dynamic content serving using automated content recognition (ACR) and digital media watermarks
CN106060578B (zh) 生成视频数据的方法和系统
US10956766B2 (en) Bit depth remapping based on viewing parameters
CN103347220B (zh) 一种回看直播文件的方法及装置
CN101917568B (zh) 一种基于流媒体技术的网络视频播放器及播放系统
US20150271546A1 (en) Synchronized provision of social media content with time-delayed video program events
US20090094646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ent mapping
CN101909160A (zh) 一种网络视频直播中的播控切换方法及装置
US11323768B2 (en) Reducing latency during service change and improving robustness in 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 (ATSC) 3.0 system
CN111683260A (zh) 基于虚拟主播的节目视频生成方法、系统和存储介质
US20230269446A1 (en) Dynamic content serving using a media device
CN109348285A (zh) 频道切换方法及装置
CN105491405A (zh) 一种电视互动系统互动电视节目推荐的方法及装置
CN111491178A (zh) 一种用于电视节目情景交互的方法、系统及电子设备
CN110832475A (zh) 使用数据库中的分发区域对媒体内容进行地理围栏
US1196281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optimizing a set-top box to retrieve missed content
US10607396B2 (en) Dynamic rendering of low frequency objects in a virtual reality system
CN107509093A (zh) 视频资源处理方法、跨屏同步播放视频资源的方法及装置
US20180324480A1 (en) Client and Method for Playing a Sequence of Video Streams, and Corresponding Server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CN108495053B (zh) 高动态范围信号的元数据处理方法和装置
CN114666565B (zh) 多视角视频播放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2203101B (zh) 一种远程视频直播方法、装置及电子设备
US20230034304A1 (en) Atsc over-the-air (ota) broadcast of public volumetric augmented reality (ar)
US20210250645A1 (en) Memory management of replacement content in digital tv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