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8900A - 자연석을 이용한 계단석 - Google Patents

자연석을 이용한 계단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8900A
KR20210008900A KR1020210006149A KR20210006149A KR20210008900A KR 20210008900 A KR20210008900 A KR 20210008900A KR 1020210006149 A KR1020210006149 A KR 1020210006149A KR 20210006149 A KR20210006149 A KR 20210006149A KR 20210008900 A KR20210008900 A KR 202100089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ne
natural
sanding
positioning groove
stair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6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8120B1 (ko
Inventor
이오석
Original Assignee
(주)좋은세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좋은세상 filed Critical (주)좋은세상
Priority to KR1020210006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8120B1/ko
Publication of KR20210008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89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8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81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22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cutting, e.g. inci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3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to form contours, i.e. curved surfaces, irrespective of the method of working us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E04F2011/0203Miscellaneous features of stairway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011/0205Stairway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materials for the supporting structure of the treads
    • E04F2011/021Stairway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materials for the supporting structure of the treads mainly of stone or stone like materials, e.g. concrete; mainly of g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Abstract

이 건 발명은 자연석을 이용한 계단석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이 건 발명은 자연 원석을 절단하고, 샌딩하여 구비되어지는 자연석을 이용한 계단석에 있어서, 절단기가 구동되는 가운데 대차를 이동시켜 대차에 상차된 자연 원석이 상하면부와 양사이드면부 및 후면부만이 절단되어 전면부가 비정형 자연형태를 가지며, 상하면부와 양사이드면부 및 후면부는 평판형태를 가지도록 계단석의 형태를 형성하는 원석 절단단계; 및 상기 자연 원석이 절단된 계단석을 대차로부터 샌딩기로 이동시켜 상면부와 전면부만이 샌딩으로 면처리되어 발을 디디는 상면부는 자연무늬가 노출되는 미끄럼방지부가 마련되고, 전면부는 예리하게 돌출된 자연형태의 표면이 스무스하게 마련되는 계단석 샌딩단계;를 포함하도록 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이 건 발명은 광산에서 캐내어진 자연 원석을 절단기를 이용하여 5면이 절단되어지도록 한 후 절단된 계단석의 전면부 및 발을 디디는 상면부만 샌딩기로 샌딩되어지도록 하여 자연무늬가 노출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연석을 이용한 계단석{STEP STONE USING A NATURAL STONE}
이 건 발명은 자연석을 이용한 계단석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광산에서 캐내어진 자연 원석을 절단기를 이용하여 5면이 절단되어지도록 한 후 절단된 계단석의 전면부 및 발을 디디는 상면부만 샌딩기로 샌딩되어지도록 하여 자연무늬가 노출되는 가운데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계단은 경사진 길을 오르고 내려가는 과정에서 미끄러짐 없이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콘크리트로 시공된 콘크리트 계단과 목재로 시공된 목재계단 및 돌로 시공된 돌계단 등이 있다.
콘크리트 계단은 경사진 바닥을 계단형태로 절토하고, 바닥 기초를 다진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이어 거푸집을 시공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킨 다음 거푸집을 제거하는 것으로 시공이 이루어지나, 콘크리트 계단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주변이 시공 자재들로 인해 오염되는 원인 및 주변과 조화를 이루지 못하는 원인이 있었다.
목재로 시공된 목재계단은 콘크리트 계단에 비해 주변과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한 것이나, 많은 목재가 소요되는 가운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부식으로 인해 수명이 짧아지게 되어 유지 보수에 더 많은 시간과 비용이 지출되는 원인이 있었다.
돌로 시공된 돌계단은 계단형태의 원석을 짜맞추거나, 원석을 직육면체로 깎아 경사면에 가로와 세로 방향으로 시공되도록 한 것이나, 원석을 짜맞추는 경우, 자연형태의 질감을 가질 수 있으나, 시공과정에서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시공 후 발을 디디는 표면이 불규칙함에 따라 자칫 미끄러지거나, 발을 헛디뎌 골절상을 입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원석을 깍아서 시공되도록 할 경우, 다듬는 과정에서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가운데 가로와 세로 방향으로 견고한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아 시공 후 부분적인 이탈이 자주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231810호(2001.5.12)의 자연형 계단이 제안되었고, 제안된 자연형 계단은 시멘트 콘크리트로 계단을 형성하되, 상면을 자연석에 가깝도록함과 아울러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인접한 계단과의 사이에는 연결용 공간부를 형성하며 견고한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으나, 시공 후 시간이 경과하는 과정에서 콘크리트의 표면 부식 및 강도 저하로 인해 부분적인 박리와 크랙이 발생되는 문제점과 아울러 콘크리트로 이루어져 주변과 조화를 이루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콘크리트에 부착된 부착물이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231810호(2001.5.12)
이 건 발명은 계단석의 자연 질감이 외부로 그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여 주변과 자연 친화적으로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계단을 밟고 이동하는 과정에서 미끄럼을 방지하여 골절 등의 안전사고를 막을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시공 후 계단석의 뒤틀림 및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명이 연장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 건 발명은 자연 원석을 절단하고, 샌딩하여 구비되어지는 자연석을 이용한 계단석에 있어서, 상기 절단기가 구동되는 가운데 대차를 이동시켜 대차에 상차된 자연 원석이 상하면부와 양사이드면부 및 후면부만이 절단되어 전면부가 비정형 자연형태를 가지며, 상하면부와 양사이드면부 및 후면부는 평판형태를 가지도록 계단석의 형태를 형성하는 원석 절단단계(S300); 및 상기 자연 원석이 절단된 계단석을 대차로부터 샌딩기로 이동시켜 상면부와 전면부만이 샌딩으로 면처리되어 발을 디디는 상면부는 자연무늬가 노출되는 미끄럼방지부가 마련되고, 전면부는 예리하게 돌출된 자연형태의 표면이 스무스하게 마련되는 계단석 샌딩단계(S400);를 포함하도록 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원석 절단단계(S300) 이전에, 광산에서 캐내어진 자연 원석을 크기별로 선별 및 운반하여 원석 적재장에 적재되도록 하는 원석 적재단계(S100); 및 상기 원석 적재장에 적재된 자연 원석을 운반하여 절단기의 대차에 상차되도록 하는 원석 상차단계(S200);를 포함하도록 가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계단석 샌딩단계(S400) 이후에, 가공된 계단석의 상부측 후방에 원형 단면의 상부 위치결정홈부를 형성하는 상부 위치결정홈부 가공단계(S410); 및 상기 상부 위치결정홈부가 구비되어지도록 가공된 계단석의 하부측 전방에 원형 단면의 하부 위치결정홈부를 형성하는 하부 위치결정홈부 가공단계(S420);를 포함하도록 가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위치결정홈부 또는 하부 위치결정홈부에 원기둥형 조인부를 돌출되도록 삽입하는 조인부 삽입단계(S430);를 더 포함하도록 가공될 수 있다.
이 건 발명은 광산에서 캐내어진 자연 원석을 절단기를 이용하여 5면이 절단되어지도록 한 후 절단된 계단석의 전면부 및 발을 디디는 상면부만 샌딩기로 샌딩되어지도록 함으로써, 자연무늬가 그대로 노출되어 주변과 친환경적으로 조화를 이룰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발을 디디는 상부면이 어느 정도의 거칠기가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미끄러짐을 방지하여 골절 등의 안전사고를 막을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계단석이 자연 원석으로 이루어져 있음으로써, 시간이 경과하는 과정에서 자외전으로 인한 부식 내지는 표면의 강도저하를 방지하여 수명이 연장될 수 있도록 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계단석의 서로 얹혀지도록 맞대어지는 부분에 각각 상하부 위치결정홈부를 형성하여 조인부에 의하여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시공 후 틀어짐 내지는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이를 통해 시공된 계단석 중 어느 하나의 계단석이 분리되거나, 빠져 허물어지게 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이 건 발명에 따른 자연석을 이용한 계단석 가공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2는 이 건 발명에 따른 자연석을 이용한 계단석의 시공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이 건 발명에 따른 자연석을 이용한 계단석의 시공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이 건 발명에 따른 자연석을 이용한 계단석의 시공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이 건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이 건 발명에 따른 자연석을 이용한 계단석 가공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2는 이 건 발명에 따른 자연석을 이용한 계단석의 시공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이 건 발명에 따른 자연석을 이용한 계단석의 시공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이 건 발명에 따른 자연석을 이용한 계단석의 시공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이 건 발명에 따른 자연석을 이용한 계단석 가공방법에 의하여 가공된 계단석을 설명하기로 한다.
이 건 발명의 계단석(A)은 자연 무늬가 그대로 노출되어 주변과 친환경적으로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상부를 발로 디뎠을 경우, 미끄러짐을 방지하여 골절 등의 안전사고를 막을 수 있도록 하고, 시공 후 틀어짐 내지는 뒤틀림을 막아 허물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된 자연 원석의 일부 표면만을 샌딩처리하여 구비되어진다.
이러한 상기 계단석(A)은 전면부(10)가 비정형의 자연형태를 가지며, 상하면부(101,102)와 양사이드면부(103) 및 후면부(104)가 각각 절단되어 평판형태를 갖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때, 절단되어지는 계단석(A)의 크기는 가로 500~1,000mm, 세로 500mm 및 두께 150mm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사용자가 계단석(A)의 상면부(101)를 발로 디딘 상태에서 무리하지 않은 상태로 올라가고 내려가는 최적의 넓이와 높이에 해당된다.
상기 계단석(A)에 발을 디디는 상부인 상면부(101)는 샌딩공정을 통해 자연무늬가 노출되는 가운데 어느 정도의 요철을 갖는 미끄럼방지부(101-1)가 구비되어 신발 바닥과 접지력을 높여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계단석(A)의 전면부(10)는 예리하게 돌출된 자연형태의 표면의 그대로 노출되도록 사용할 수 있고, 샌딩공정을 통하여 돌출된 예리한 부분이 스무스하게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돌출된 부분이 예리할 경우, 자연미 보다는 인공미, 가공미의 느낌을 가질 수 있으나, 스무스한 돌출된 부분을 통해 인공미, 가공미 보다 자연미를 더 느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계단석(A)은 상부측 후방에 상부 위치결정홈부(101-2)가 구비되어지고, 상기 상부 위치결정홈부(101-2)에 돌출되도록 끼워지는 조인부(J)가 상부로 얹혀지는 다른 계단석(10)의 하부측 전방에 구비되어 있다. 이때, 상기 조인부(J)의 돌출부는 다른 계단석(A)의 하부측 전방에 구비된 하부 위치결정홈부(101-3)에 끼워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시공되어진 계단석(A)의 자체 무게에 의하여 측방향으로 작용하는 측압에 저항하여 틀어짐 내지는 뒤틀림을 막을 수 있게 되나, 더 큰 측압에 충분하게 저항하여 틀러짐 내지는 뒤틀림을 방지하는 가운데 계단석(A)이 완전히 빠져 붕괴되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된다.
상기 계단석(A)의 상부 위치결정홈부(101-2)과 다른 계단석(A)의 하부 위치결정홈(101-3) 및 조인부(J)는 각각 상호 결합이 용이 하도록 하고, 충분한 지지력을 갖도록 하기 위한 방안으로 원기둥의 형태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건 발명에서는 상기 계단석(A)의 상부 위치결정홈부(101-2)과 다른 계단석(A)의 하부 위치결정홈(101-3) 및 조인부(J)가 각각 원기둥의 형태를 갖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형태 이외에 사각기둥을 포함하는 다각형태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계단석(A)의 가공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원석 적재단계(S100)로 광산에서 캐내어진 자연 원석(RS)을 크기별로 선별한 후 운반하여 원석 적재장에 적재되도록 한 후 원석 적재장에 적재된 자연 원석(RS)을 운반하여 절단기(CT)의 대차(TK)에 상차되도록 한다(원석 상차단계(S200)).
다음, 원석 절단단계(S300)로 절단기(CT)가 구동되는 가운데 대차(TK)를 이동시켜 대차(TK)에 상차된 자연 원석(RS)이 절단되어지도록 한다. 이때, 절단되어지는 자연 원석(RS)은 상하면부(101,102)와 양사이드면부(103) 및 후면부(104)만이 절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대차(TK)에 상차된 자연 원석(RS)의 방향을 바꾸어 5면이 절단되어지도록 함으로써, 5면만이 절단된 평판형태의 계단석(A)을 얻게 된다.
다음, 계단석 샌딩단계(S400)로 자연 원석(RS)이 절단된 계단석(A)을 대차(TK)로부터 샌딩기로 이동시켜 표면이 샌딩되도록 하는 것으로 얻을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계단석 샌딩단계(S400) 중 자연 원석(RS)이 절단된 계단석(A)이 샌딩되어지는 샌딩면은 상면부(101)와 전면부(10)만이 샌딩으로 면처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모든 면을 샌딩으로 면처리할 경우,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가운데 매립되는 부분까지 면처리를 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다.
이후, 상부 위치결정홈부 가공단계(S410)로 계단석 샌딩 단계(S400)를 통해 가공된 계단석(A)의 상부측 후방에 상부 위치결정홈부(101-2)가 구비되어지도록 한 후 상부 위치결정홈부(101-2)가 구비되어지도록 가공된 계단석(A)의 하부측 전방에 하부 위치결정홈부(101-3)가 구비되어지도록 한다(하부 위치결정홈부 가공단계(S420).
다음, 조인부 삽입단계(S430)로 상부 위치결정홈부(101-2) 또는 하부 위치결정홈부(101-3)에 조인부(J)가 돌출되게 삽입되도록 하는 것으로 자연석을 이용한 계단석을 얻을 수 있게 된다.
S100:원석 적재단계 S200:원석 상차단계
S300:원석 절단단계 S400:계단석 샌딩단계
10:전면부 101:상면부
101-1:미끄럼방지부 101-2:상부 위치결정홈부
101-3:하부 위치결정홈부 102:하면부
103:양사이드면부 104:후면부

Claims (4)

  1. 자연 원석을 절단하고, 샌딩하여 구비되어지는 자연석을 이용한 계단석에 있어서,
    절단기가 구동되는 가운데 대차를 이동시켜 대차에 상차된 자연 원석이 상하면부와 양사이드면부 및 후면부만이 절단되어 전면부가 비정형 자연형태를 가지며, 상하면부와 양사이드면부 및 후면부는 평판형태를 가지도록 계단석의 형태를 형성하는 원석 절단단계(S300); 및
    상기 자연 원석이 절단된 계단석을 대차로부터 샌딩기로 이동시켜 상면부와 전면부만이 샌딩으로 면처리되어 발을 디디는 상면부는 자연무늬가 노출되는 미끄럼방지부가 마련되고, 전면부는 예리하게 돌출된 자연형태의 표면이 스무스하게 마련되는 계단석 샌딩단계(S400);
    를 포함하도록 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석을 이용한 계단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석 절단단계(S300) 이전에,
    광산에서 캐내어진 자연 원석을 크기별로 선별 및 운반하여 원석 적재장에 적재되도록 하는 원석 적재단계(S100); 및
    상기 원석 적재장에 적재된 자연 원석을 운반하여 절단기의 대차에 상차되도록 하는 원석 상차단계(S200);
    를 포함하도록 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석을 이용한 계단석.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계단석 샌딩단계(S400) 이후에,
    가공된 계단석의 상부측 후방에 원형 단면의 상부 위치결정홈부를 형성하는 상부 위치결정홈부 가공단계(S410); 및
    상기 상부 위치결정홈부가 구비되어지도록 가공된 계단석의 하부측 전방에 원형 단면의 하부 위치결정홈부를 형성하는 하부 위치결정홈부 가공단계(S420);
    를 포함하도록 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석을 이용한 계단석.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위치결정홈부 또는 하부 위치결정홈부에 원기둥형 조인부를 돌출되도록 삽입하는 조인부 삽입단계(S430);
    를 더 포함하도록 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석을 이용한 계단석.
KR1020210006149A 2021-01-15 2021-01-15 자연석을 이용한 계단석 KR1022381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6149A KR102238120B1 (ko) 2021-01-15 2021-01-15 자연석을 이용한 계단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6149A KR102238120B1 (ko) 2021-01-15 2021-01-15 자연석을 이용한 계단석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2966A Division KR102206276B1 (ko) 2019-06-19 2019-06-19 자연석을 이용한 계단석 가공방법 및 계단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8900A true KR20210008900A (ko) 2021-01-25
KR102238120B1 KR102238120B1 (ko) 2021-04-09

Family

ID=74238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6149A KR102238120B1 (ko) 2021-01-15 2021-01-15 자연석을 이용한 계단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812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1810Y1 (ko) 2001-01-19 2001-07-03 해태제과주식회사 막대형 과자
KR200261607Y1 (ko) * 2001-10-25 2002-01-23 미파코리아 주식회사 옹벽 구축용 블록
KR101099632B1 (ko) * 2011-05-23 2011-12-29 통명석재 주식회사 줄다듬 자연석 제조방법 및 줄다듬 자연석
KR20140028500A (ko) * 2012-08-29 2014-03-10 주식회사 영월이엔에스 자연석을 이용한 돌마루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1810Y1 (ko) 2001-01-19 2001-07-03 해태제과주식회사 막대형 과자
KR200261607Y1 (ko) * 2001-10-25 2002-01-23 미파코리아 주식회사 옹벽 구축용 블록
KR101099632B1 (ko) * 2011-05-23 2011-12-29 통명석재 주식회사 줄다듬 자연석 제조방법 및 줄다듬 자연석
KR20140028500A (ko) * 2012-08-29 2014-03-10 주식회사 영월이엔에스 자연석을 이용한 돌마루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8120B1 (ko) 2021-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71090B2 (en) Stair tread overlay and method
KR102238120B1 (ko) 자연석을 이용한 계단석
KR102206276B1 (ko) 자연석을 이용한 계단석 가공방법 및 계단석
US20130055666A1 (en) Step re-tread system and apparatus
KR102203313B1 (ko) 건축용 계단 논슬립
US1067693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emporarily allowing use of and protecting a stairway framework during construction of buildings
KR102206277B1 (ko) 자연석을 이용한 징검다리석 가공방법 및 징검다리석
KR102238121B1 (ko) 자연석을 이용한 징검다리석
GB1559379A (en) Device for application to a wooden stair or step
KR100945187B1 (ko) 조립식 계단
US10260239B2 (en) Wedge tread stair box system
KR100943672B1 (ko) 크랙이 형성된 인공암석의 제조방법
AU4113501A (en) Inner stairs for building and method of constructing it
US9816275B2 (en) Modular precast concrete steps
US2024032A (en) Stairway construction
JP2004285667A (ja) 階段のリフォ−ム部材。
KR200251179Y1 (ko) 계단용 성형발판과 그 성형틀
KR20020085965A (ko) 원가절감형 논스립이 일체로 형성된 수직블럭과논스립홈이 형성된 수평블럭을 이용한 계단의 마감시공구조
RU2531614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тротуарной деревянной плитки
ITMI950321A1 (it) Scala adattabile a differenti pendenze
KR200244418Y1 (ko) 원가절감형 논스립이 일체로 형성된 수직블럭과논스립홈이 형성된 수평블럭을 이용한 계단의 마감시공구조
IE20040830A1 (en) A staircase
US353605A (en) Heinrich stollweeck
KR200388750Y1 (ko) 미끄럼 방지용 건축용 판재
IE84057B1 (en) A stairc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