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7912A - 웨어러블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웨어러블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7912A
KR20210007912A KR1020200085605A KR20200085605A KR20210007912A KR 20210007912 A KR20210007912 A KR 20210007912A KR 1020200085605 A KR1020200085605 A KR 1020200085605A KR 20200085605 A KR20200085605 A KR 20200085605A KR 20210007912 A KR20210007912 A KR 202100079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rable device
ultrasonic
conductive sheet
substrate
vib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5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나영
임귀삼
양용주
김동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US17/626,094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30248610A1/en
Priority to PCT/KR2020/010557 priority patent/WO2022010025A1/ko
Publication of KR20210007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79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3/0245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with ultrasonic transducers, e.g. piezoelectr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5Wearable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83Surface of interface
    • A61H2201/169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surface, e.g. material, relief, texture or indic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2Head
    • A61H2205/022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61N2007/0004Applications of ultrasound therapy
    • A61N2007/0034Skin trea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이너 바디와, 이너 바디에 부착된 초음파 발생기와, 초음파 발생기에 부착된 아우터 바디를 포함하고, 초음파 발생기는 적어도 하나의 초음파 진동기와, 적어도 하나의 초음파 진동기와 접속된 양극 기판과, 적어도 하나의 초음파 진동기와 접속된 음극 기판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초음파 진동기는 양극 기판과 음극 기판 사이에 배치된다.

Description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본 발명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하거나 착용하여 사용하는 전자장치이다.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예는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 될 수 있고, 초음파 진동 소자를 포함하여, 초음파를 발생하여 사용자의 피부에 전달하는 미용기기 또는 의료기기(또는 치료기기)가 있다.
초음파 진동 소자의 예는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32096호 Y1(2003년11월10일 공개)에 개시되고, 초음파 진동을 하는 초음파 진동 세라믹과, 초음파 진동 전달이 가능한 면을 갖으며 이온 도입 기능시 일측 전극이 되는 전도성의 초음파진동 및 이온 전달 헤드와, 상기 진동 세라믹과 상기 이온 전달 헤드간의 진동을 전달하는 동판 및 상기 동판을 절연하는 절연층으로 구성되는 플렉서블 PCB를 포함한다.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32096호 Y1(2003년11월10일 공개)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고 견고하게 접착된 웨어러블 디바이스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이너 바디와, 이너 바디에 부착된 초음파 발생기와, 초음파 발생기에 부착된 아우터 바디를 포함하고, 초음파 발생기는 적어도 하나의 초음파 진동기와, 적어도 하나의 초음파 진동기와 접속된 양극 기판과, 적어도 하나의 초음파 진동기와 접속된 기판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초음파 진동기는 양극 기판과 음극 기판 음극 사이에 배치된다.
양극 기판과 음극 기판 중 적어도 하나는 절연 필름과, 절연 필름에 부착된 전도 시트를 포함하고, 전도 시트와 초음파 진동기 사이에 배치된 전도성 접착제를 포함한다.
초음파 진동기는 상기 양극 기판과 음극 기판 사이에 복수개 배치될 수 있고, 복수개 초음파 진동기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복수개 초음파 진동기는 5mm 이상의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전도 시트는 전도성 접착제와 절연 필름 사이에 배치된 전도 시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도 시트부는 복수개 제공될 수 있다. 전도 시트는 복수개 전도 시트부 중 한 쌍의 전도 시트부를 잇는 브릿지를 포함할 수 있다.
브릿지는 복수개 제공될 수 있다. 복수개 브릿지 각각은 지그재그 형상일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복수개 브릿지에 부착된 절연 바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절연 바디는 양극 기판과 음극 기판 각각의 브릿지에 마주 보는 타 기판의 브릿지를 향하는 면 각각에 배치될 수 있다.
절연 필름은 PI 재질일 수 있고, 전도 시트는 구리 재질일 수 있으며, 전도성 접착제는 전도성 양면 테이프일 수 있다.
이너 바디와 아우터 바디 중 적어도 하나는 실리콘일 수 있다.
초음파 진동기는 진동자와, 진동자와 양극 기판의 사이에 배치된 주파수 보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주파수 보정부재는 알루미늄 재질일 수 있다.
진동자와 주파수 보정부재 사이에 배치된 이너 접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너 접착부재는 전도성 에폭시와 AL의 혼합물일 수 있다.
양극 기판은 이너 바디에 부착될 수 있다.
양극 기판의 전부 또는 일부는 초음파 진동기와 이너 바디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너 바디는 외면에 복수개 돌기가 돌출될 수 있다.
복수개 돌기는 이너 바디에서 돌출된 기둥부와, 기둥부의 단부에 돌출된 헤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 돌기 각각의 길이는 50 내지 1000㎛일 수 있고, 헤드부의 직경은 50 내지 300㎛일 수 있다.
복수개 돌기는 헤드부 사이의 간격이 50 내지 100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양극 기판과 음극 기판 중 적어도 하나가 전도 시트와 초음파 진동기 사이에 배치된 전도성 접착제를 더 포함하여, 양극 기판 또는 음극 기판이 초음파 진동기에 신뢰성 높게 고정된다.
또한, 전도 시트가 복수개 전도 시트부와, 복수개 전도 시트부 중 한 쌍의 전도 시트부를 잇는 브릿지를 포함하여 이너 바디 또는 아우터 바디가 브리지와 함께 구부려질 수 있고, 이너 바디가 사용자의 신체에 밀착된 상태에서 초음파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이너 바디는 외면에 복수개 돌기가 돌출되어, 이너 바디가 별도의 접착제 없이 사용자의 신체에 무해하게 탈부착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복수개 브릿지에 부착된 절연 바디를 포함하여 구부러지거나 휜 브릿지가 단선되지 않고,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일 예가 도시된 도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내부가 도시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 일 예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너 돌기의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다른 예가 도시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얼굴에 부착되는 패치인 예가 도시된 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손목에 부착되는 밴드인 예가 도시된 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마스크인 예가 도시된 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성능을 도시한 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일 예가 도시된 도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내부가 도시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 일 예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엔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인체에 착용되는 바디 밴드나 복대나 마스크일 수 있고, 필름형 플렉서블 초음파 발생기를 포함하여 피부 케어 및 바디 케어에 효율적일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이너 바디(2)와, 아우터 바디(10)을 포함하고, 이너 바디(2)와 아우터 바디(10)의 사이에 배치된 초음파 발생기(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너 바디(2)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하였을 때, 사용자의 신체를 향하는 바디로 정의될 수 있다. 이너 바디(2)의 내면(3)은 사용자의 신체를 향할 수 있고, 이너 바디(2)의 외면(4)은 아우터 바디(10)의 내면(14)을 향할 수 있다.
아우터 바디(10)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하였을 때, 외측을 향하는 바디로 정의될 수 있다. 아우터 바디(10)의 내면(13)은 이너 바디(2)의 외면(4)을 향할 수 있고, 아우터 바디(10)의 외면(14)은 외측을 향할 수 있다.
아우터 바디(10)는 초음파 발생기(20)에 부착될 수 있다
이너 바디(2)와 아우터 바디(20)는 플랙서블(flexible) 또는 스트레처블(stretchable)할 재질일 수 있다. 이너 바디(2)와 아우터 바디(20) 중 적어도 하나는 실리콘일 수 있다. 이너 바디(2)는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되는 부분으로서 사용자의 신체의 곡면을 따라 밀착될 수 있다.
특히, 이너 바디(2)는 안정된 화학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부식성이 없고 산화되지 않는 화합물로서 내열, 내한, 전기절연, 화학적 안전성, 내마모성, 광택성, 풍부한 탄성등 여러가지 특성을 갖추고 있는 실리콘 탄성체(silicone elastomer)일 수 있다.
초음파 발생기(20)는 이너 바디(2)에 부착될 수 있다. 초음파 발생기(20)는 아우터 바디(10)에 부착될 수 있다. 초음파 발생기(20)는 이너 바디(2)의 외면(4)과 아우터 바디(10)의 내면(13)의 사이에 수용될 수 있다.
초음파 발생기(20)는 플렉서블 초음파 발생기일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초음파 진동기(30)와, 적어도 하나의 초음파 진동기(30)와 접속된 양극 기판(40)과, 적어도 하나의 초음파 진동기와 접속된 음극 기판(50)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초음파 진동기(30)는 양극 기판(40)과 음극 기판(5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양극 기판(40)과 음극 기판(50)은 휘거나 구부려질 수 있는 연성 기판일 수 있다. 즉, 초음파 발생기(20)는 필름형 초음파 발생기일 수 있다.
양극 기판(40)의 전부 또는 일부는 초음파 진동기(30)와 이너 바디(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양극 기판(40)은 이너 바디(2)에 부착될 수 있다.
음극 기판(50)의 전부 또는 일부는 초음파 진동기(30)와 아우터 바디(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음극 기판(50)은 아우터 바디(10)에 부착될 수 있다.
양극 기판(40)과 음극 기판(50) 중 적어도 하나는 절연 필름(62)과, 절연 필름(62)에 부착된 전도 시트(64)를 포함하고, 전도 시트(64)와 초음파 진동기(30) 사이에 배치된 전도성 접착제(66)를 포함할 수 있다.
절연 필름(62)은 PI(폴리이미드) 재질일 수 있고, PI 필름일 수 잇다.
전도 시트(64)는 구리 재질일 수 있고, 구리 시트(Cu sheet)일 수 잇다.
전도성 접착제(66)는 전도성 양면 테이프(Conductive tape)일 수 있다.
절연 필름(62)은 전도 시트(64)을 덮을 수 있고, 절연 필름(62)과 전도성 접착제(66) 중 절연 필름(62)은 전도 시트(64)를 기준으로 전도성 접착제(66)의 반대편에 위치일 수 있다.
전도 시트(64)는 절연 필름(62)과 전도선 접착재(66)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전도성 접착제(66)은 전도 시트(64)를 초음파 진동기(30)를 전기적으로 연결 할 수 있다. 절연 필름(62)과 전도성 접착제(66) 중 전도성 접작재(66)은 초음파 진동기(3O)를 향할 수 있다,
전도성 접착제(66)는 전도성 필러를 포함한 접착제일 수 있다. 전도성 접착제(66)의 전도성 필러는 은(Ag), 구리(Cu), 알루미늄(AL), 철(Fe) 등을 전기 전도성 금속일 수 있다.
전도성 접착제(66)는 흑연 graphite가 충진된 전도성 실리콘 접착재나, 은이 충진된 수지 및 경화재로 구성된 2액형 에폭시 접착제나, 은이 충진된 열경화 방식의 접착제인 1액형 에폭시 접착제나, 은(Ag)이 충진된 충전 폴리우레탄 접착제 등이 적용 가능하다.
양극 기판(40)과 음극 기판(50) 각각은 절연 필름(62)와 전도 시트(64)와 전도성 접착제(66)를 포함할 수 있다.
양극 기판(40)의 절연 필름(62)은 이너 바디(2)의 외면(4)에 접촉될 수 있고, 음극 기판(50)의 절연 필름(62)은 아우터 바디(10)의 내면(13)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신체와 가까워질수록 아우터 바디(10)와, 절연 필름(62)과, 전도 시트(64)와, 전도성 접착제(66)와, 초음파 진동기(30)와, 전도성 접착제(66)와, 전도 시트(64)와, 절연 필름(62)과, 이너 바디(2)의 순서로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 초음파 진동기(30)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복수개 초음파 진동기(30)는 5mm 이상의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초음파 진동기(30)는 양극 기판(40)과 음극 기판(50) 사이에 배치된 진동자(32)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자(32)의 일 예는 초음파 진동할 수 있는 초음파 진동 세라믹일 수 있다. 진동자(32)는 일면이 양극판일 수 있고, 타면이 음극판이 있다.
진동자(32)의 두께는 5mm 이하일 수 있다.
진동자(32)는 양극 기판(40)의 전도성 접착제(66)와 음극 기판(50)의 전도성 접착제(66)의 사이에 배치되고, 양극 기판(40)의 전도성 접착제(66)의 일면과 음극 기판(50)의 전도성 접착제(66)의 일면의 각각에 면접촉될 수 있다.
진동자(32)는 복수개 제공될 수 있고, 복수개 진동자는 양극 기판(40)의 전도성 접착제(66)와 음극 기판(50)의 전도성 접착제(66)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 초음파 진동기(30)가 이격되게 배치될 경우, 전도 시트(64)는 전도 시트부(67)와, 브릿지(68)를 포함할 수 있다.
전도 시트부(67)는 전도성 접착제(66)와 절연 필름(6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전도 시트부(67)는 복수개 제공될 수 있다. 전도 시트부(67)는 원 형상일 수 있다. 복수개 전도 시트부(67)는 이격될 수 있다.
양극 기판(40)과 음극 기판(50) 각각의 전도 시트부(67)는 초음파 진동기(30)의 동일 개수 제공될 수 있다.
양극 기판(40)과 음극 기판(50)에는 초음파 진동기(30)와 동일 개수의 절연 필름(62)과, 전도성 접착제(66)가 제공될 수 있다.
브릿지(68)는 복수개 전도 시트부 중 한 쌍의 전도 시트부(67)를 이을 수 있다.
브릿지(68)는 복수개 제공될 수 있다. 브릿지(68)는 잘 구부려질 수 있는 형상일 수 있고, 복수개 브릿지(68) 각각은 지그재그 형상일 수 있다. 복수개 브릿지(68)은 인접한 초음파 진동기가 소정각도 기울어지게 꺽일 수 있다.
브릿지(68)는 소정 폭(Y)를 갖는 띠가 지그 재그 형상일 수 잇다. 브릿지(68)는 전도 시트부(67)의 직경(X) 보다 작은 폭(Y)을 갖을 수 있다.
브릿지(68)은 전도 시트부(67)의 사이에 위치되고 전도 시트부(67)의 이격 방향으로 이격되는 복수개의 단위 브릿지(68a)와, 복수개의 단위 브릿지(68a) 중 인접한 한 쌍의 단위 브릿지(68a)을 잇는 리턴 브릿지(68b)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단위 브릿지(68a) 사이의 간격(Z)은 전도 시트부(67)의 직경(X) 보다 작을 수 있다. 한 쌍의 단위 브릿지(68a) 사이의 간격(Z)은 브릿지(68)의 폭(Y)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양극 기판(40)과 음극 기판(50) 각각을 복수개 브릿지(68)에 부착된 절연 바디(69, Insulation layer)를 포함할 수 있다. 절연 바디(69)는 접착증(adhesive)을 포함할 수 있다. 절연 바디(69)는 PI층을 포함할 수 잇다.
양극 기판(40)과 음극 기판(50) 각각의 브릿지(68)에는 마주 보는 타 기판의 브릿지를 향하는 면 각각에 절연 바디(69)가 배치될 수 있다.
양극 기판(40)의 절연 바디(69)와 음극 기판(50)은 절연 바디(69)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두께 방향으로 이격된다.
양극 기판(40)과 음극 기판(50)은 전도 시트(64)의 브릿지(68)가 절연 바디(69)에 의해 절연될 수 있고, 양극 기판(40)과 음극 기판(50)은 접족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너 돌기의 확대도이다.
이너 바디(2)는 외면에 복수개 돌기(6)가 돌출될 수 있다.
복수개 돌기(6)는 이너 바디에서 돌출된 기둥부(7)와, 기둥부(7)의 단부에 돌출된 헤드부(8)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 돌기(6) 각각의 길이(L)는 50 내지 1000㎛일 수 있다.
헤드부(8)의 직경(D)은 50 내지 300㎛일 수 있다.
복수개 돌기(6)는 헤드부(8) 사이의 간격(G)이 50 내지 1000㎛일 수 있다.
복수개 돌기(6)는 게코 도마뱀(Gekko japonicus)의 발바닥 형상과 유사한 미세 섬모구조의 부착구조 (gecko-inspired adhesive)일 수 있고, 별도의 접착성분 없이도 사용자의 신체에 무해하게 탈부착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된 상태에서 작동되므로, 사용자의 두 손이 자유롭고 사용자의 활동 제약없이 언제 어디서나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복수개의 돌기(6)는 원형, 육각형, 삼각형 등 다양한 구조 모양으로 돌출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다른 예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초음파 진동기(30)는 진동자(32)와, 진동자(32)와 양극 기판(40)의 사이에 배치된 주파수 보정부재(34)를 포함한다.
주파수 보정부재(34)는 알루미늄 재질일 수 있다. 진동자(32)에 알루미늄 재질의 주파수 보정부재(34)가 부착될 경우, 공진주파수 대역이 보정될 수 있다.
초음파 진동기(30)는 진동자(32)와 주파수 보정부재(34) 사이에 배치된 이너 접착부재(3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너 접착부재(36)는 전도성 에폭시와 AL의 혼합물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얼굴에 부착되는 패치인 예가 도시된 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손목에 부착되는 밴드인 예가 도시된 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마스크인 예가 도시된 도이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얼굴을 부착되는 패치(P)일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을 감기는 밴드(B)일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얼굴을 덮을 수 있는 안면 마스크(M)일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되는 밴드(B) 또는 안면 마스크일 경우, 5mm 이하일 수 있고, 0,1mm 이상일 수 있다.
웨어버블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초음파 발생기(20)는 복수개의 진동자를 포함하고, 신체의 곡면을 따라 브릿지(68)가 휘거나 구부려질 수 있는 필름형 초음파 발생기(또는 플렉서블 초음파 발생기)일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복수의 진동자로 구성된 필름형 초음파 발생기가 20kHz 지 10MHz의 에너지를 사용자의 신체(바디 또는 안면)에 공급하여 화장품의 유효성분이 최적으로 흡수되게 도울 수 있다.
한편, 필름형 초음파 발생기는 다양한 에너지원(예를 들면, LED, OLED, 미세전류, 진동, 온열 등)과 함께 초음파를 인가할 수 있고, 이 경우 피부 케어 또는 바디 케어의 효능을 보다 향상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성능을 도시한 도이다.
필름형 초음파 발생기(20)는 20kHz 내지 10MHz 주파수 범위로 조절될 수 있으며, 출력 강도(Intensity)는 30 mW/㎠ 내지 55O mW/㎠의 출력 세기 범위로 제어 가능하며, 온 시간은 2분 내기 30분 범위로 조절될 수 있다.
필름형 초음파 발생기(20)는 변조 클락(modulation clock)을 기준으로, 변조 클락의 Duty ratio(%)를 조절하여 초음파 에너지 공급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변조 클락은 5Hz ~ 100Hz 범위에 따라 Duty ratio (%) 설정하여, 초음파 에너지 공급시간을 펄스 길이(pulse length)로 에너지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공진 주파수 320 kHz, 변조 클락 10Hz, Duty ratio 60% 내지 90% 일 수 있다.
유효성분(기능성 화장품)을 사용자의 안면에 도포한 후, 웨어러브 디바이스를 착용하는 예도 가능하고, 유효성분(기능성 화장품)을 사용자의 안면에 도포하기 전, 웨어러브 디바이스를 착용하고, 유효성분(기능성 화장품)을 도포하는 예도 가능하다.
도 9는 돼지 피부에 Niacinamide(나이아신아마이드)를 도포한 후 320kHz 초음파를 인가할 때의 피부 투과성을 비교예와 비교한 결과이다.
비교예는 돼지 피부에 Niacinamide(나이아신아마이드)을 도포하고 초음파를 인가하지 않은 경우이다.
실시예 1은 돼지 피부에 Niacinamide 도포하고, 듀티 60%, 인가시간 4분으로 초음파를 인가한 경우이다.
실시예 2은 돼지 피부에 Niacinamide 도포하고, 듀티 90%, 인가시간 4분 으로 초음파를 인가한 경우이다.
실시예 3은 돼지 피부에 Niacinamide 도포파고, 듀티 60%, 인가시간 4으로 초음파를 인가한 경우이다.
실시예 4은 돼지 피부에 Niacinamide 도포아고, 듀티 90%, 인가시간 4분 으로 초음파를 인가한 경우이다.
비교예의 피부 투과성을 100%로 본 실시예의 상대적인 피부 투과성(%)은 대략 287% 내지 346%일 수 있고, 비교예의 경우 보다 피부 투과성이 월등이 높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 이너 바디 10: 아우터 바디
20: 초음파 발생기 30: 초음파 진동기
32: 진동자 40: 양극 기판
50: 음극 기판 62: 절연 필름
64: 전도 시트 66: 전도성 접착제

Claims (19)

  1. 이너 바디와,
    상기 이너 바디에 부착된 초음파 발생기와,
    상기 초음파 발생기에 부착된 아우터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초음파 발생기는
    적어도 하나의 초음파 진동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초음파 진동기와 접속된 양극 기판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초음파 진동기와 접속된 음극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초음파 진동기는 상기 양극 기판과 음극 기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양극 기판과 음극 기판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절연 필름과,
    상기 절연 필름에 부착된 전도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전도 시트와 초음파 진동기 사이에 배치된 전도성 접착제를 더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진동기는 상기 양극 기판과 음극 기판 사이에 복수개 배치되고, 복수개 초음파 진동기는 서로 이격된 웨어러블 디바이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 초음파 진동기는 5mm 이상의 간격으로 이격된 웨어러블 디바이스.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 시트는
    상기 전도성 접착제와 절연 필름 사이에 배치된 전도 시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도 시트부는 복수개 제공되며,
    상기 복수개 전도 시트부 중 한 쌍의 전도 시트부를 잇는 브릿지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는 복수개 제공되고, 복수개 브릿지 각각은 지그재그 형상인 웨어러블 디바이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 브릿지에 부착된 절연 바디를 더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 기판과 음극 기판 각각의 브릿지에는 마주 보는 타 기판의 브릿지를 향하는 면 각각에 절연 바디가 배치된 웨어러블 디바이스.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필름은 PI 재질이고,
    상기 전도 시트는 구리 재질이며,
    상기 전도성 접착제는 전도성 양면 테이프인 웨어러블 디바이스.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바디와 아우터 바디 중 적어도 하나는 실리콘인 웨어러블 디바이스.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진동기는
    진동자와,
    상기 진동자와 양극 기판의 사이에 배치된 주파수 보정부재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보정부재는 알루미늄 재질인 웨어러블 디바이스.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자와 주파수 보정부재 사이에 배치된 이너 접착부재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접착부재는 전도성 에폭시와 AL의 혼합물인 웨어러블 디바이스.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 기판은 상기 이너 바디에 부착된 웨어러블 디바이스.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 기판의 전부 또는 일부는 상기 초음파 진동기와 이너 바디 사이에 배치된 웨어러블 디바이스.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바디는 외면에 복수개 돌기가 돌출된 웨어러블 디바이스.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 돌기는
    상기 이너 바디에서 돌출된 기둥부와,
    상기 기둥부의 단부에 돌출된 헤드부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 돌기 각각의 길이는 50㎛ 내지 1000㎛이고,
    상기 헤드부의 직경은 50㎛ 내지 300㎛인 웨어러블 디바이스.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 돌기는 상기 헤드부 사이의 간격이 50㎛ 내지 1000㎛인 웨어러블 디바이스.
KR1020200085605A 2019-07-11 2020-07-10 웨어러블 디바이스 KR2021000791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626,094 US20230248610A1 (en) 2019-07-11 2020-08-10 Wearable device
PCT/KR2020/010557 WO2022010025A1 (ko) 2019-07-11 2020-08-10 웨어러블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962873186P 2019-07-11 2019-07-11
US62/873,186 2019-07-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7912A true KR20210007912A (ko) 2021-01-20

Family

ID=74305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5605A KR20210007912A (ko) 2019-07-11 2020-07-10 웨어러블 디바이스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248610A1 (ko)
KR (1) KR20210007912A (ko)
WO (1) WO2022010025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2096Y1 (ko) 2003-06-17 2003-11-10 (주)바이오피아 이온도입기능을 하는 초음파 진동자 및 이를 채용하는피부미용기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852Y1 (ko) * 2007-10-09 2009-09-03 서미애 피부 각질 제거 장치
CA2828096C (en) * 2011-02-23 2020-08-25 Perfuzia Medical, Inc. Actuator for delivery of vibratory stimulation to an area of the body and method of application
KR101365035B1 (ko) * 2012-02-24 2014-02-21 조성찬 초음파 패치
KR20160037597A (ko) * 2014-09-29 2016-04-06 주식회사 코러스트 압전필름 패치형 치료용 초음파 생성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2096Y1 (ko) 2003-06-17 2003-11-10 (주)바이오피아 이온도입기능을 하는 초음파 진동자 및 이를 채용하는피부미용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248610A1 (en) 2023-08-10
WO2022010025A1 (ko) 2022-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28166B2 (ja) 電極パッド
JP2007268293A5 (ko)
JP4437780B2 (ja) 微弱電流施療具
US10722705B2 (en) Nerve electrical stimulation device
JP2006192302A (ja) 導子テープ、ならびに導子シート、ならびに導子接続端子
JP2014200384A (ja) 頸部電気刺激装置
KR20210086392A (ko) 전기 자극 패드
KR101671216B1 (ko) 저주파 전기 자극기
KR20210007912A (ko) 웨어러블 디바이스
KR101582352B1 (ko) 패치 전극을 이용한 다관절 고주파 치료 장치
WO2019146714A1 (ja) 微弱電流シート
CN111035851B (zh) 应用于电刺激按摩仪的电极组件和颈椎电刺激按摩仪
KR20060128766A (ko) 초음파 및 전기자극용 도자
KR200353598Y1 (ko) 전기 자극용 도전성 패드가 부착된 시트
CN213554871U (zh) 电极组件、颈部按摩仪及可穿戴按摩设备
CN201253417Y (zh) 带驻留理疗贴的皮肤电极
CN211705627U (zh) 应用于电刺激按摩仪的导电组件和颈椎电刺激按摩仪
CN113332595A (zh) 美容带
JP2000126312A (ja) 電子治療器
JPH08182767A (ja) 皮膚貼り付け治療具
CN111939463A (zh) 电极组件、颈部按摩仪及可穿戴按摩设备
KR200471362Y1 (ko) 자가 치료 생체 밴드
JPH11178937A (ja) 低周波治療器
CN213491535U (zh) 一种理疗电极片
US20120172773A1 (en) Durable electrode construction for an orthotic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