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7896A - 다중 링크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 인프라구조를 위한 전력 절감 - Google Patents

다중 링크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 인프라구조를 위한 전력 절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7896A
KR20210007896A KR1020200084984A KR20200084984A KR20210007896A KR 20210007896 A KR20210007896 A KR 20210007896A KR 1020200084984 A KR1020200084984 A KR 1020200084984A KR 20200084984 A KR20200084984 A KR 20200084984A KR 20210007896 A KR20210007896 A KR 202100078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s
link
indication
available
access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4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3383B1 (ko
Inventor
자코 라우리 사카리 크넥트
크리스티안 에이. 하트만
구오큉 리
진징 지앙
퀴 왕
수 키옹 용
톈위 우
용 리우
Original Assignee
애플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플 인크. filed Critical 애플 인크.
Publication of KR202100078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78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3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33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2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wanted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using a pre-established activity schedule, e.g. traffic indication fr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3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power saving comm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48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dependent on the time of the day, e.g. according to expected transmission activ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내용은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을 통해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UE)와 무선 액세스 포인트(AP) 사이의 다중 링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들에 관한 것이다. UE는 WLAN을 통한 액세스 포인트와의 접속을 확립하고, 접속은 복수의 링크들을 활용한다. UE는 복수의 링크들 중 제1 링크를 통해 액세스 포인트에 표시를 송신하고, 표시는 UE가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다운링크(DL) 통신들을 수신하기 위해 이용가능한 복수의 링크들 중 하나 이상의 이용가능한 링크들을 특정한다. UE는 하나 이상의 이용가능한 링크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하나 이상의 DL 통신들을 수신한다.

Description

다중 링크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 인프라구조를 위한 전력 절감{POWER SAVINGS FOR MULTI-LINK WIRELESS LOCAL AREA NETWORK INFRASTRUCTURE}
우선권 주장
본 출원은 2019년 7월 12일자로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Power Savings for Multi-link Wireless Local Area Network Infrastructure"인 미국 가특허 출원 제62/873,696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상기 출원은 본 명세서에 충분하게 그리고 완전하게 설명된 바와 같이 이로써 전체가 참고로 통합된다.
기술분야
본 출원은 다중 링크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 아키텍처에서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의 개선된 성능을 위한 기술들 및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사용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또한, 무선 통신 기술은 음성 전용 통신(voice-only communication)들로부터, 인터넷 및 멀티미디어 콘텐츠와 같은 데이터의 송신을 또한 포함하도록 발달하여 왔다.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들 또는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UE)들은 사용자가 통상적으로 휴대하는 스마트 폰들 또는 태블릿들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또한, UE들은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을 통해 다수의 무선 링크들을 통해 동시에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수의 무선 링크들의 활성화 및 비활성화를 조정하는 것은 증가된 스루풋 및 레이턴시 감소의 이점들을 얻으면서 또한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는 난제들을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분야에서의 개선들이 요구된다.
특히, 다중 링크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환경에서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의 개선된 성능을 위한 디바이스들을 위한 시스템들, 장치들, 및 방법들의 실시예들이 본 명세서에 제시된다.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UE)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에 동작가능하게 커플링된 하나 이상의 라디오들, 및 하나 이상의 라디오들에 동작가능하게 결합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UE는 다수의 무선 링크들을 통해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을 통한 액세스 포인트와의 접속을 확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UE는 하나 이상의 라디오들의 개개의 라디오를 사용하여 다수의 무선 링크들 각각에서 동작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UE는 복수의 링크들 중 제1 링크를 통해 액세스 포인트에 표시를 송신할 수 있고, 표시는 UE가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다운링크(DL) 통신들을 수신하기 위해 이용가능한 복수의 링크들 중 하나 이상의 이용가능한 링크들을 특정한다. 이어서, UE는 하나 이상의 이용가능한 링크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하나 이상의 DL 통신들을 수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이용가능한 링크들은 제1 링크와는 상이한 적어도 하나의 링크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기법들은, 셀룰러 폰들, 태블릿 컴퓨터들, 액세서리 디바이스 및/또는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들, 휴대용 미디어 플레이어들, 셀룰러 기지국들 및 다른 셀룰러 네트워크 인프라구조 장비, 서버들, 및 다양한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들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 다수의 상이한 유형들의 디바이스들에서 구현되고 그리고/또는 이들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내용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주제 중 일부의 간략한 개요를 제공하도록 의도된 것이다. 따라서, 전술된 특징들은 단지 예시일 뿐이고 본 명세서에 설명된 주제의 범주 또는 기술적 사상을 어떤 방식으로든 한정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주제의 다른 특징들, 양태들 및 이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도면들 및 청구범위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실시예들에 대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고려될 때 본 발명의 주제에 대한 더 양호한 이해가 얻어질 수 있다.
도 1은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UE)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UE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네트워크 요소 또는 액세스 포인트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링크 이용가능성을 표시하기 위한 예시적인 프레임 구조이다.
도 5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링크 파라미터들을 표시하기 위한 예시적인 프레임 구조이다.
도 6은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동적 링크 활성화 절차를 도시하는 통신 흐름도이다.
도 7은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동적 링크 활성화 절차를 도시하는 다른 통신 흐름도이다.
도 8은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2개의 링크들을 통한 MPDU((MAC(media access control) payload data unit) 송신들의 시퀀스를 도시하는 통신 흐름도이다.
도 9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STA와 AP 사이의 다중 링크 BSS(basic services) 통신에서 U-APSD(unscheduled automatic power save delivery) SP(Service Period) 구성의 예를 도시하는 통신 흐름도이다.
도 10은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2개의 링크들을 통한 MPDU 송신들의 다른 시퀀스를 도시하는 통신 흐름도이다.
도 11은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다중 링크 통신 세션에서 PS(Power Save)-Poll 활용을 도시하는 통신 흐름도이다.
도 12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다중 링크 통신 세션에서 대안적인 PS-Poll 활용을 도시하는 통신 흐름도이다.
도 13은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TWT 절차의 예시적인 구현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4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TWT 절차의 다른 예시적인 구현을 도시한 다른 개략도이다.
도 15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다수의 링크들을 사용하여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특징들에 대해 다양한 수정들 및 대안의 형태들을 허용하지만,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들에 예시로서 도시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그러나, 도면 및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는 것이 아니고, 반대로, 그 의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바와 같은 주제의 사상 및 범주 내에 있는 모든 수정물들, 등가물들, 및 대안물들을 커버하고자 하는 것임이 이해되어야 한다.
용어
다음은 본 개시내용에서 사용된 용어들의 정의들이다:
메모리 매체 - 다양한 타입들의 비일시적 메모리 디바이스들 또는 저장 디바이스들 중 임의의 것. 용어 "메모리 매체"는, 설치 매체(installation medium), 예를 들어, CD-ROM, 플로피 디스크들, 또는 테이프 디바이스; DRAM, DDR RAM, SRAM, EDO RAM, 램버스(Rambus) RAM 등과 같은 컴퓨터 시스템 메모리 또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 플래시, 자기 매체, 예를 들어, 하드 드라이브, 또는 광학 저장소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레지스터들, 또는 다른 유사한 타입들의 메모리 요소들 등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메모리 매체는 또한 다른 타입들의 비일시적 메모리 또는 이들의 조합들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메모리 매체는 프로그램들이 실행되는 제1 컴퓨터 시스템에 위치될 수 있거나, 또는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제1 컴퓨터 시스템에 접속하는 상이한 제2 컴퓨터 시스템에 위치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제2 컴퓨터 시스템은 실행을 위해 프로그램 명령어들을 제1 컴퓨터에 제공할 수 있다. 용어 "메모리 매체"는 상이한 위치들, 예를 들어,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는 상이한 컴퓨터 시스템들에 상주할 수 있는 둘 이상의 메모리 매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매체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들(예를 들어, 컴퓨터 프로그램들로서 구현됨)을 저장할 수 있다.
반송 매체 - 전술된 바와 같은 메모리 매체뿐만 아니라, 버스, 네트워크와 같은 물리 송신 매체, 및/또는 전기, 전자기, 또는 디지털 신호들과 같은 신호들을 전달하는 다른 물리 송신 매체.
프로그래밍가능 하드웨어 요소 - 프로그래밍가능 상호연결부를 통해 연결되는 다수의 프로그래밍가능 기능 블록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하드웨어 디바이스들을 포함함. 예들은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들, PLD(Programmable Logic Device)들, FPOA(Field Programmable Object Array), 및 CPLD(Complex PLD)를 포함한다. 프로그래밍가능 기능 블록들은 그 범위가 미립형(fine grained)(조합 로직 또는 룩업 테이블들)으로부터 조립형(coarse grained)(산술 로직 유닛들 또는 프로세서 코어들)에까지 이를 수 있다. 프로그래밍가능 하드웨어 요소는 또한 "재구성가능 로직"으로 지칭될 수 있다.
컴퓨터 시스템 - 개인용 컴퓨터 시스템(PC), 메인프레임 컴퓨터 시스템(mainframe computer system),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네트워크 어플라이언스(network appliance), 인터넷 어플라이언스,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텔레비전 시스템, 그리드 컴퓨팅 시스템, 또는 다른 디바이스 또는 디바이스들의 조합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타입의 컴퓨팅 또는 프로세싱 시스템들 중 임의의 것. 일반적으로, 용어 "컴퓨터 시스템"은 메모리 매체로부터의 명령어들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갖는 임의의 디바이스(또는 디바이스들의 조합)를 포함하는 것으로 폭넓게 정의될 수 있다.
사용자 장비(UE)(또는 "UE 디바이스") - 모바일 또는 휴대용이고 무선 통신들을 수행하는 다양한 유형들의 컴퓨터 시스템 디바이스들 중 임의의 것. UE 디바이스들의 예들은 모바일 전화들 또는 스마트 폰들(예를 들어, 아이폰(iPhone)™, 안드로이드(Android)™ 기반 폰들), 휴대용 게이밍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닌텐도(Nintendo) DS™, 플레이스테이션 포터블(PlayStation Portable)™, 게임보이 어드밴스(Gameboy Advance)™, 아이폰™), 랩톱들, 웨어러블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스마트 워치, 스마트 안경), PDA들, 휴대용 인터넷 디바이스들, 음악 플레이어들,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들, 또는 다른 핸드헬드 디바이스들 등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용어 "UE" 또는 "UE 디바이스"는 사용자에 의해 용이하게 수송되고 무선 통신이 가능한 임의의 전자, 컴퓨팅, 및/또는 통신 디바이스(또는 디바이스들의 조합)를 포함하도록 폭넓게 정의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 -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다양한 유형의 컴퓨터 시스템 디바이스들 중 임의의 것. 무선 디바이스는 휴대용(또는 모바일)일 수 있거나 특정 장소에 정치 또는 고정될 수 있다. UE는 무선 디바이스의 예이다.
통신 디바이스 - 유선 또는 무선일 수 있는 통신들을 수행하는 다양한 유형들의 컴퓨터 시스템들 또는 디바이스들 중 임의의 것. 통신 디바이스는 휴대용(또는 모바일)일 수 있거나 특정 장소에 정치 또는 고정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는 통신 디바이스의 예이다. UE는 통신 디바이스의 다른 예이다.
기지국 - 용어 "기지국"("eNB"로 또한 지칭됨)은 자신의 일반적 의미의 전체 범위를 가지며, 고정 위치에 설치되고 무선 셀룰러 통신 시스템의 일부로서 통신하는 데 사용되는 무선 통신국을 적어도 포함한다.
링크 버짓 제한 - 일반적인 의미의 전체 범위를 포함하며, 링크 버짓 제한되지 않은 디바이스에 비해, 또는 무선 액세스 기술(RAT) 표준이 개발된 디바이스들에 비해 제한된 통신 능력들 또는 제한된 전력을 나타내는 무선 디바이스(UE)의 특성을 적어도 포함한다. 링크 버짓 제한 UE는 디바이스 설계, 디바이스 크기, 배터리 크기, 안테나 크기 또는 설계, 송신 전력, 수신 전력, 전류 송신 매체 조건들, 및/또는 다른 인자들과 같은 하나 이상의 인자들로 인해 상대적으로 제한된 수신 및/또는 송신 능력들을 경험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러한 디바이스들을 "링크 버짓 제한"(또는 "링크 버짓 제약(constrained)") 디바이스들로 지칭할 수 있다. 디바이스는 크기, 배터리 전력 및/또는 송신/수신 전력으로 인해 내재적인 링크 버짓 제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LTE 또는 LTE-A를 통해 기지국과 통신하는 스마트 워치는 감소된 송신/수신 전력 및/또는 축소된 안테나로 인해 내재적인 링크 버짓 제한일 수 있다. 스마트 워치들과 같은 웨어러블 디바이스들은 일반적으로 링크 버짓 제한 디바이스들이다. 대안적으로, 디바이스는 내재적인 링크 버짓 제한이 아닌 것으로서, 예를 들어, LTE 또는 LTE-A를 통한 정상적인 통신들을 위한 충분한 크기, 배터리 전력 및/또는 송신/수신 전력을 가질 수 있는 반면, 예를 들어, 스마트 폰이 셀의 가장자리에 있는 등의 현재 통신 조건들로 인해 일시적으로 링크 버짓 제한이 될 수 있다. 용어 "링크 버짓 제한"은 전력 제한들을 포함하거나 포괄하므로 전력 제한 디바이스는 링크 버짓 제한 디바이스로 간주될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프로세싱 요소(또는 프로세서) - 다양한 요소들 또는 요소들의 조합들을 지칭한다. 프로세서들은, 예를 들어, ASIC(주문형 집적회로;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와 같은 회로들, 개별 프로세서 코어들의 부분들 또는 회로들, 전체 프로세서 코어들, 개별 프로세서들, FPGA와 같은 프로그램가능 하드웨어 디바이스들, 및/또는 다수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하는 시스템들의 보다 큰 부분들을 포함한다.
자동으로 - 액션 또는 동작을 직접적으로 특정하거나 수행시키는 사용자 입력 없이 컴퓨터 시스템(예를 들어,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또는 디바이스(예를 들어, 회로부, 프로그램가능 하드웨어 요소들, ASIC들 등)에 의해 수행되는 액션 또는 동작을 지칭함. 따라서, 용어 "자동으로"는 사용자가 동작을 직접적으로 수행시키는 입력을 제공하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수행되거나 특정되는 동작과 대비된다. 자동 절차는 사용자에 의해 제공된 입력에 의해 개시될 수 있지만, "자동으로" 수행되는 후속 액션들은 사용자에 의해 특정되지 않는데, 즉, 사용자가 수행할 각각의 액션을 특정하는 "수동으로" 수행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각각의 필드를 선택하고 정보를 특정하는 입력을 제공함으로써(예컨대, 정보를 타이핑하는 것, 체크 박스를 선택하는 것, 무선통신장치 선택 등에 의해) 전자 양식을 기입하는 것은, 컴퓨터 시스템이 사용자 액션들에 응답하여 그 양식을 업데이트해야 하는 경우라 해도, 그 양식을 수동으로 기입하는 것이다. 양식은 컴퓨터 시스템(예를 들어,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이 양식의 필드들을 분석하고 필드들에 대한 응답을 특정하는 어떠한 사용자 입력 없이도 그 양식에 기입하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자동으로 기입될 수 있다. 위에서 표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양식의 자동 기입을 호출할 수 있지만, 양식의 실제 기입에 참여하지는 않는다(예를 들어, 사용자가 필드들에 대한 응답들을 수동으로 특정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이것들은 자동으로 완성되고 있다). 본 명세서는 사용자가 취한 액션들에 응답하여 자동으로 수행되고 있는 동작들의 다양한 예들을 제공한다.
~하도록 구성된 - 다양한 컴포넌트들은 태스크 또는 태스크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기술될 수 있다. 그러한 맥락에서, "~하도록 구성된"은 동작 동안에 태스크 또는 태스크들을 수행"하는 구조를 갖는"을 일반적으로 의미하는 광의의 설명이다. 이와 같이, 컴포넌트는 컴포넌트가 현재 태스크를 수행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도 그 태스크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예를 들어, 전기 전도체들의 세트는 하나의 모듈이 다른 모듈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그 두 개의 모듈들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맥락에서, "~하도록 구성된"은 동작 동안에 태스크 또는 태스크들을 수행"하는 회로부를 갖는"을 일반적으로 의미하는 구조의 광의의 설명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컴포넌트는 컴포넌트가 현재 온(on) 상태가 아닌 경우에도 태스크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하도록 구성된"에 대응하는 구조를 형성하는 회로부는 하드웨어 회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컴포넌트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태스크 또는 태스크들을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그러한 설명은 "~하도록 구성된"이라는 문구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하나 이상의 태스크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컴포넌트를 언급하는 것은 그 컴포넌트에 대해 35 U.S.C. § 112, 6항의 해석을 적용하지 않고자 명백히 의도되는 것이다.
도 1 및 도 2 - 무선 통신 시스템
도 1은 무선 셀룰러 통신 시스템의 예를 도시한다. 도 1이 다수의 가능성들 중 하나의 가능성을 표현하고, 본 개시내용의 특징들이 원하는 대로 다양한 시스템들 중 임의의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 있음을 유의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은 임의의 유형의 무선 디바이스에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무선 실시예는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은 송신 매체를 통해 하나 이상의 무선 디바이스(106A, 106B) 등과 통신하는 셀룰러 기지국(102)을 포함한다. 무선 디바이스들(106A 및 106B)은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 장비"(UE), UE들 또는 UE 디바이스들로 지칭될 수 있는 사용자 디바이스들일 수 있다.
기지국(102)은 송수신기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 또는 셀 사이트(cell site)일 수 있으며, UE 디바이스들(106A, 106B)과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드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102)은 또한 네트워크(100)(예를 들어, 다양한 가능성들 중에서도, 셀룰러 서비스 제공자의 코어 네트워크,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 및/또는 인터넷)와 통신하도록 설비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102)은 UE 디바이스들(106) 사이 및/또는 UE 디바이스들(106)과 네트워크(100) 사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다른 구현예들에서, 기지국(102)은 802.11a, b, g, n, ac, ad, ay, be, 및/또는 ax와 같은 하나 이상의 WLAN 프로토콜들, 또는 LAA(unlicensed band)에서의 LTE를 지원하는 액세스 포인트와 같은 하나 이상의 다른 무선 기술들을 통한 통신들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기지국(102)의 통신 영역(또는 커버리지 영역)은 "셀"로 지칭될 수 있다. 기지국(102)과 UE들(106)은 GSM, UMTS(WCDMA, TDS-CDMA), LTE, LTE-A(LTE-Advanced), 5G NR, HSPA, 3GPP2 CDMA2000(예컨대, 1xRTT, 1xEV-DO, HRPD, eHRPD), Wi-Fi, WiMAX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액세스 기술(radio access technology, RAT) 또는 무선 통신 기술들 중 임의의 것을 이용한 송신 매체를 통해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102) 및 하나 이상의 셀룰러 통신 기술에 따라 동작하는 다른 유사한 기지국들(도시되지 않음)이 셀들의 네트워크로서 제공될 수 있으며, 이들은 하나 이상의 셀룰러 통신 기술을 통해 지리학적 영역에 걸쳐 UE 디바이스들(106A-N) 및 유사한 디바이스들에게 계속적이거나 거의 계속적인 오버래핑(overlapping)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적어도 일부 경우에, UE 디바이스(106)는 다수의 무선 통신 기술들 중 임의의 것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음을 유의한다. 예를 들어, UE 디바이스(106)는 GSM, UMTS, CDMA2000, LTE, LTE-A, 5G NR, WLAN, 블루투스, 하나 이상의 GNSS(global navigational satellite system)(예컨대, GPS 또는 GLONASS), 하나 및/또는 그 이상의 모바일 텔레비전 브로드캐스트 표준들(예컨대, ATSC-M/H) 등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2개 초과의 무선 통신 기술들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기술들의 다른 조합들이 또한 가능하다. 유사하게, 일부 경우에, UE 디바이스(106)는 단일의 무선 통신 기술만을 이용하여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은 또한 송신 매체를 통해 무선 디바이스(106B)와 통신하는 WLAN 액세스 포인트(AP)(104)를 포함한다. Wi-Fi AP일 수 있는 WLAN 액세스 포인트는 또한 네트워크(100)에 대한 통신 접속을 제공한다. 따라서,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무선 디바이스들은 기지국(102)(또는 다른 셀룰러 기지국) 및 액세스 포인트(104)(또는 다른 액세스 포인트)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에 접속되어 주어진 시간에 네트워크(100)에 액세스할 수 있다.
UE들(106A, 106B)은 스마트 폰 또는 태블릿과 같은 핸드헬드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고/있거나 셀룰러 통신 능력을 갖는 다양한 타입들의 디바이스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들(106A 및 106B) 중 하나 이상은 기구, 측정 디바이스, 제어 디바이스 등과 같은 고정 또는 노마딕 전개를 위해 의도된 무선 디바이스일 수 있다.
UE(106B)는, 또한, UE(106A)와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UE(106A) 및 UE(106B)는 직접적인 디바이스-대-디바이스(D2D)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D2D 통신은 셀룰러 기지국(102)에 의해 지원될 수 있거나(예컨대, BS(102)는 다양한 가능한 형태들의 도움 중에서, 디스커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음), BS(102)에 의해 지원되지 않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UE(106)는 셀룰러 모뎀으로 지칭되는, 셀룰러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디바이스 또는 집적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셀룰러 모뎀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프로세서 요소들) 및 다양한 하드웨어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UE(106)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래밍가능 프로세서들 상의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 실시예들 중 임의의 것을 수행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은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방법 실시예들 중 임의의 실시예, 또는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방법 실시예들 중 임의의 실시예의 임의의 부분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다른 회로부와 같은 하나 이상의 프로그래밍가능 하드웨어 요소들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셀룰러 모뎀은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UE 디바이스,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무선 디바이스, 또는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통신 디바이스에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셀룰러 모뎀은 또한 기지국 또는 다른 유사한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에서 사용될 수 있다.
UE(106)는 2개 이상의 무선 통신 프로토콜들 또는 무선 액세스 기술들을 사용하여 통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UE 디바이스(106)는 단일의 공유 무선통신장치를 이용하여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공유 무선통신장치는 단일의 안테나에 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무선 통신들을 수행하기 위한 다수의 안테나들(예를 들어, MIMO용)에 결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UE 디바이스(106)는 2개 이상의 라디오들을 포함할 수 있고, 이들 각각은 개개의 무선 링크를 통해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구성들이 또한 가능하다.
도 2 - UE 디바이스의 예시적인 블록도
도 2는 UE 디바이스(106)와 같은 UE 디바이스의 하나의 가능한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UE 디바이스(106)는 다양한 목적들을 위한 부분들을 포함할 수 있는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 SOC)(30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SOC(300)는 UE 디바이스(106)에 대한 프로그램 명령어들을 실행할 수 있는 프로세서(들)(302), 및 그래픽 프로세싱을 수행하고 디스플레이 신호들을 디스플레이(360)에 제공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회로(304)를 포함할 수 있다. SOC(300)는, 또한, 예를 들어 자이로스코프, 가속도계, 및/또는 다양한 다른 모션 감지 컴포넌트들 중 임의의 것을 사용하여 UE(106)의 모션을 검출할 수 있는 모션 감지 회로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들)(302)는, 또한, 프로세서(들)(302)로부터 어드레스들을 수신하도록 그리고 그러한 어드레스들을 메모리(예를 들어, 메모리(306), 판독 전용 메모리(ROM)(350), 플래시 메모리(310)) 내의 위치들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메모리 관리 유닛(memory management unit, MMU)(340)에 결합될 수 있다. MMU(340)는 메모리 보호 및 페이지 테이블 변환 또는 셋업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MMU(340)는 프로세서(들)(302)의 일부로서 포함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SOC(300)는 UE(106)의 다양한 다른 회로들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UE(106)는 다양한 유형의 메모리(예컨대, NAND 플래시(310)를 포함함), (예컨대, 컴퓨터 시스템, 도크(dock), 충전 스테이션 등에 결합하기 위한) 커넥터 인터페이스(320), 디스플레이(360), 및 (예컨대, LTE, LTE-A, NR, CDMA2000, 블루투스, Wi-Fi, NFC, GPS 등을 위한) 무선 통신 회로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UE 디바이스(106)는 기지국들 및/또는 다른 디바이스들과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및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다수의 안테나들(335a, 335b)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 디바이스(106)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안테나들(335a, 335b)을 사용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UE 디바이스(106)는, 일부 실시예들에서, 복수의 무선 통신 표준들 또는 무선 액세스 기술(RAT)들을 사용하여 무선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선 통신 회로부(330)는 Wi-Fi 로직(332), 셀룰러 모뎀(334), 및 블루투스 로직(336)을 포함할 수 있다. Wi-Fi 로직(332)은 UE 디바이스(106)가 802.11 네트워크 상에서 Wi-Fi 또는 다른 WLAN 통신들을 수행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블루투스 로직(336)은 UE 디바이스(106)가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셀룰러 모뎀(334)은 하나 이상의 셀룰러 통신 기술들에 따라 셀룰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셀룰러 모뎀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되는 바와 같이, UE(106)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 디바이스(106)의 무선 통신 회로부(330)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예를 들어, Wi-Fi 로직(332), 셀룰러 모뎀(334), BT 로직(336))은, 예를 들어 메모리 매체(예를 들어,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메모리 매체) 상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어들을 실행하는 프로세서에 의해,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로서 구성된 프로세서에 의해, 그리고/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을 포함할 수 있는 전용 하드웨어 컴포넌트들을 사용하여,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 - 액세스의 블록도
도 3은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AP)(104)의 예시적인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3의 AP는 가능한 액세스 포인트의 다만 하나의 예시일 뿐임을 유의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AP(104)는 AP(104)에 대한 프로그램 명령어들을 실행할 수 있는 프로세서(들)(40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들)(404)는 또한 프로세서(들)(404)로부터 어드레스들을 수신하고 그러한 어드레스들을 메모리(예를 들어, 메모리(460) 및 판독 전용 메모리(ROM)(450)) 내의 위치들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메모리 관리 유닛(MMU)(440)에, 또는 다른 회로들 또는 디바이스들에 커플링될 수 있다.
AP(104)는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포트(470)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포트(470)는, 전화 네트워크에 커플링되도록 그리고 UE 디바이스들(106)과 같은 복수의 디바이스들에게 도 1에서 전술된 바와 같은 전화 네트워크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 포트(470)(또는 부가적인 네트워크 포트)는 또한 또는 대안적으로, 셀룰러 네트워크, 예를 들어, 셀룰러 서비스 제공자의 코어 네트워크에 커플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코어 네트워크는 UE 디바이스들(106)과 같은 복수의 디바이스들에게 이동성 관련 서비스들 및/또는 다른 서비스들을 제공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네트워크 포트(470)는 코어 네트워크를 통해 전화 네트워크에 커플링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코어 네트워크는 (예를 들어, 셀룰러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서비스되는 다른 UE 디바이스들 사이에) 전화 네트워크를 제공할 수 있다.
AP(104)는 하나 이상의 라디오들(430A 내지 430N)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각각은 개개의 통신 체인 및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434), 및 가능하게는 다수의 안테나들에 커플링될 수 있다. 안테나(들)(434)는 무선 트랜시버로서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무선통신장치(430)를 통해 UE 디바이스들(106/107)과 통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안테나(들)(434A 내지 434N)는 통신 체인들(432A 내지 432N)을 통해 그들 개개의 라디오들(430A 내지 430N)과 통신한다. 통신 체인들(432)은 수신 체인들, 송신 체인들, 또는 둘 모두일 수 있다. 라디오들(430A 내지 430N)은 LTE, LTE-A, NR, GSM, UMTS, CDMA2000, Wi-Fi 등을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는 다양한 무선 통신 표준들을 통해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UE(104)는 하나 이상의 라디오들(430A 내지 430N)을 사용하여 다수의 무선 링크들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각각의 라디오는 개개의 무선 링크 내에서 동작하기 위해 사용된다.
AP(104)는 다수의 무선 통신 표준들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기지국(102)은 네트워크 엔티티가 다수의 무선 통신 기술들에 따라 통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다수의 라디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가능성으로서, AP(104)는 Wi-Fi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Wi-Fi 라디오뿐 아니라 LTE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LTE 또는 5G NR 라디오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서, AP(104)는 LTE 기지국 및 Wi-Fi 액세스 포인트 둘 모두로서 동작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다른 가능성으로서, AP(104)는 다수의 무선 통신 기술들 중 임의의 것(예를 들어, NR 및 Wi-Fi, NR 및 UMTS, LTE 및 CDMA2000, UMTS 및 GSM 등)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한 다중-모드 라디오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가능성으로서, AP(104)는, 예컨대, 셀룰러 통신 능력 없이, 배타적으로 Wi-Fi 액세스 포인트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추가로 후속으로 설명된 바와 같이, AP(104)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특징들을 구현하거나 이의 구현을 지원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104)의 프로세서(404)는, 예를 들어, 다수의 개개의 라디오들을 사용하여 다수의 무선 링크들을 동작시키기 위해 메모리 매체(예를 들어,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메모리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방법들의 일부 또는 전부를 구현하거나 이의 구현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프로세서(404)는 FPGA와 같은 프로그래밍가능 하드웨어 요소로서, 또는 ASIC로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또는 추가로), AP(104)의 프로세서(404)는 다른 컴포넌트들(430, 432, 434, 440, 450, 460, 470) 중 하나 이상과 공조하여 본 명세서에 설명된 특징들의 일부 또는 전부를 구현하거나 이의 구현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들의 다가오는 구현들은 업링크 및 다운링크 통신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에서, 무선 스테이션(STA),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UE(106)와 무선 액세스 포인트(AP),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AP(104) 사이의 통신들 동안 다수의 링크들을 활용할 수 있음이 예상된다. STA는 UE(106), 스마트 폰, 태블릿, 개인용 컴퓨터, 스마트 워치, 액세서리 디바이스, 또는 WLAN을 통해 통신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유형의 무선 디바이스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 다양한 유형들의 무선 스테이션들 중 임의의 것일 수 있다.
802.11ax 표준은 STA 및 AP가, 예를 들어, 5 ㎓ 링크 또는 2.4 ㎓ 링크에 따라 통신하는 것을 허용하지만, 802.11.be는, 스루풋을 개선하고 통신 레이턴시를 감소시키기 위해, STA 및 AP가 2.4 ㎓ 및 5 ㎓ 링크들 뿐만 아니라 다른 링크(예컨대, 6 ㎓)를 포함하는 다수의 링크들을 통해 동시에 통신하게 할 수 있는 것이 예상된다. 예를 들어, STA와 AP 사이의 단일 접속은 다수의 무선 링크들을 활용할 수 있고, 무선 링크들 각각은 동일하거나 상이한 주파수 대역 내에서 동작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비동기 링크들일 수 있는 다수의 링크들에서 동작하는 STA에 대한 인프라구조 전력 절감 메커니즘들 및 다른 향상들을 제안한다.
다수의 링크들에서 동작하는 것은 송신 지연들을 단축시킬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연관된 AP 및 STA가 다수의 링크들 상에서 동시에 통신하고, 송신들은 (예컨대, 일시적으로 혼잡하거나 달리 이용가능하지 않을 수 있는 특정 링크가 이용가능하게 되는 것을 대기해야 하기 보다는) 제1 이용가능한 링크를 통해 수행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단일 혼잡 링크가 송신 지연들을 심각하게 증가시키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송신 지연들의 지속기간은 단축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다수의 링크 동작은 전력 소비 고려사항들을 도입하는데, 그 이유는 STA 전력 소비가 공간 스트림들의 개수 및 동작 대역폭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STA 구성에 따라, 다수의 링크들에 대한 동작은 단일 링크를 통한 동작보다 더 많은 전력을 소비할 수 있다.
과도한 전력 소비를 완화시키면서 다수의 링크 동작의 레이턴시 이점들을 얻기 위해, 송신 지연들을 단축시키고, UL 및 DL 스루풋을 증가시키고, 단일 링크 병목을 피하기 위해 STA가 자신의 링크들 중 다수 및/또는 전부를 빠르게 활성화시킬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된 링크들은, STA 상에서 현재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서비스 품질(QoS) 요구들에 따라 스루풋 용량을 개선하기 위해 신속하게 활성화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들에서, 일부 또는 모든 이용가능한 링크들이 신속하게 비활성화되어, 다수의 링크들의 활용이 더 이상 필요하지 않을 때 "도즈" 또는 저전력 상태에 진입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일부 실시예들에서, STA가 단일의 불량한 수행 링크를 통해 송신들을 수신하는 것을 대기하고 있기 때문에, STA가 도즈 상태로 되돌아갈 수 없는 상황들을 피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들 및 다른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디바이스들 및 메커니즘들을 제시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STA는, 그것이 활성 모드에 있는지 또는 전력 절감 모드에 있는지 여부를 표시하기 위해 MAC(media access control) 헤더들 내의 전력 관리 필드를 사용한다. 활성 모드에서, STA는 어웨이크 상태에서 동작할 수 있는 반면, PS(power save) 모드에서, STA는 대안적으로 어웨이크 상태 또는 도즈 상태 중 어느 하나에서 동작할 수 있다. PS 모드에 있는 동안, STA는, AP로부터 버퍼링된 다운링크(DL) 프레임들을 수신하기 위해 PS-Poll 및/또는 U-APSD(unscheduled automatic power save delivery) 메커니즘들과 같은 다양한 메커니즘들을 사용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PS 모드에서 DL 프레임들을 수신하기 위해, STA는 주기적으로 반복하는 TWT 서비스 기간들 상에서 이용가능하도록 개별적인 TWT(target wakeup time)들을 셋업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STA는, MAC 헤더에서의 전력 관리 필드에서 단일 비트를 사용하여 자신이 전력 절감 모드에서 동작하고 있는지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TA는 PM(power mode) 표시자를 PM=0으로 설정하여 자신이 활성 모드에 있음을 표시하고 PM=1로 설정하여 자신이 전력 절감 모드에 있음을 표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STA는, STA가 동작할 수 있는 각각의 링크에 대한 자신의 이용가능성을 동적으로 시그널링할 수 있고, 링크마다 하나의 비트가 지정된다. 예를 들어, STA가 동작하기 위해 이용가능한 복수의 링크들 각각에 대해, STA는, STA가 개개의 링크에서 DL 송신들을 수신하기 위해 현재 이용가능하지 않음을 표시하기 위해 0의 값을 시그널링할 수 있고, STA가 개개의 링크에서 DL 송신들을 수신하기 위해 현재 이용가능함을 표시하기 위해 1의 값을 시그널링할 수 있다. 도 4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이러한 표시를 구현하기 위한 예시적인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8-비트 프레임의 비트들(0-3)은 4개의 상이한 링크들의 이용가능성을 표시하기 위해 활용되는 반면, 나머지 4개의 비트들(4-7)은 예비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러한 시그널링은 링크 이용가능성 제어로 불리는 새로운 A-제어 서브필드에서 행해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임의의 주어진 시간에, 비-AP STA는 이용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링크를 가질 수 있다. AP는 STA가 이용가능한 링크들 상에서만 STA에 DL 프레임들을 송신할 수 있는 반면, STA는, STA가 링크에 이용가능한지 여부와 무관하게, 모든 링크들에서 UL 프레임들을 AP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STA가 활성 모드에 있는 동안, STA는, STA가 이용가능한 모든 링크들에서 어웨이크 상태에 있을 수 있다. STA가 전력 절감 모드에 있는 동안, STA는, STA가 이용가능한 모든 링크들에서 어웨이크 상태 또는 도즈 상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STA가 전력 절감 모드에서 동작하는 경우, STA는 PS-Poll, U-APSD 또는 TWT를 활용하여 AP로부터 DL 프레임들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P가 STA로부터 PS-Poll 프레임을 수신하는 경우, AP는, STA가 이용가능한 링크들 중 임의의 링크에서 단일의 DL PPDU(physical payload data unit)를 송신할 수 있다. AP가 STA로부터 APSD(automatic power save delivery) 트리거 프레임을 수신하는 경우, AP는 STA가 이용가능한 링크들 중 임의의 링크에서 버퍼링된 DL 프레임들을 송신할 수 있다. 마지막 송신된 DL PPDU는, 그것이 마지막 DL PPDU임을 표시하기 위해, 1로 설정된 EOSP(end of service period)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STA는, 동작 모드 표시 필드 A-제어 필드를 사용함으로써 STA가 동작하는 각각의 링크에 대한 자신의 이용가능성을 시그널링할 수 있다. 동작 모드 표시는 링크 번호를 포함할 수 있고, 동작 대역폭 필드는 0 ㎒ 채널 폭에 대한 옵션을 가질 수 있다. 이들 실시예들에서, 링크는 링크가 이용가능하지 않음을 표시하기 위해 0 ㎒ 동작 채널 폭으로 설정될 수 있다.
주어진 링크의 NSS(spatial stream)들의 수, BW 및 다른 파라미터들은 링크가 이용가능한 것으로 표시될 때 동시에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제어 필드는 상이한 채널 폭 값들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례로서, 0이 20 ㎒ 채널 폭에 대응하고, 1이 40 ㎒를 표시하고, 2가 80 ㎒를 표시하고, 3이 160 ㎒를 표시하고, 4가 240 ㎒를 표시하고, 5가 320 ㎒를 표시하고, 6이 예비되고, 7이 링크가 사용되지 않음을 표시하는 맵핑이 활용될 수 있다. 원하는 대로, 다른 맵핑들이 또한 가능하다. 이들 실시예들에 대응하는 비트 프레임 구조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서 특정 링크에 대해, 수신기(RX) NSS 표시를 위해 4개의 비트들이 할당되고, 링크의 채널 폭을 표시하기 위해 3개의 비트들이 활용되고, 송신(TX) NSTS(number of spacetime streams)을 표시하기 위해 4개의 비트들이 활용되고, 트리거 프레임에 응답하는 모든 UL MU(multi-user) 데이터 송신들 및 트리거 프레임에 응답하는 모든 UL MU 데이터 송신들 각각이 디스에이블되는지 여부를 표시하기 위해 단일 비트가 활용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AP는 링크-특정 PM 비트 값을 가질 수 있다. 이들 실시예들에서, STA는, 개개의 링크에서 STA가 활성 모드에서 동작하는지 또는 전력 절감 모드에서 동작하는지 여부를 표시하기 위해 각각의 링크 내의 전력 관리 필드를 사용함으로써 PM 비트 값을 구성할 수 있다. 링크가 활성 모드에 있는 경우, STA는 개개의 링크에 대한 어웨이크 상태에서 동작할 수 있는 반면, 링크가 전력 절감 모드에 있는 경우, STA는 링크 내의 U-APSD 또는 PS-Poll을 활용하여 DL 프레임들을 수신할 수 있다. 각각의 링크는 링크 내에서 송신되는 PM 모드, U-APSD 트리거들 및 PS-Poll 프레임들을 따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각각의 링크에서의 전력 절감 메커니즘들은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들에서, STA는 링크-특정 개별 TWT 동의들을 셋업하고 각각의 링크에 대한 TWT SP(service period)들을 별개로 스케줄링할 수 있다.
도 6은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동적 링크 활성화 절차를 도시하는 통신 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602에서, STA는 웨이크하고, 모든 이용가능한 링크들 상에서 통신하기 시작한다(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STA는 링크들(1, 2, 및 3) 상에서 통신한다). 604에서, STA는 링크(2)에서 PM=0을 갖는 데이터를 송신한다. 606에서, AP는 링크(2)에서 PM=0을 갖는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STA가 활성 모드에 있음을 검출한다. 따라서, AP는 임의의 이용가능한 링크에서 프레임들을 STA로 전송할 수 있다. 608에서, STA는 PM=1을 갖는 링크(3)를 통해 PPDU를 송신한다. AP가 PPDU를 확인응답했을 때, STA는 도즈 상태로 복귀할 수 있고, AP는 링크들(1 내지 3)을 통해 DL 프레임들을 STA로 송신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7은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동적 링크 활성화 절차를 도시하는 다른 통신 흐름도이다.
단계들(702 내지 706)은 도 6을 참조하여 전술된 단계들(602 내지 606)과 유사하다. 708에서, STA는 "101"과 동일한 LAC(Link Availability Control) 서브필드 세트를 활용하여 링크들(1 및 3)에서는 이용가능하지만 링크(2)에서는 이용가능하지 않음을 시그널링한다. 710에서, STA가 링크(2)에서 이용가능하지 않음을 AP가 검출할 때, STA는 링크(2)를 통해 DL 프레임들을 STA로 송신하기 위해 새로운 TXOP들(transmission opportunities)을 개시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712에서, STA는 "001"로 설정된 LAC 서브필드를 갖는 다른 데이터 메시지를 전송하여, 링크(3)가 이용가능하게 유지되는 동안 링크들(1 및 2)은 이용가능하지 않음을 표시할 수 있다. 714에서, LAC 서브필드를 수신할 시에, AP는 링크들(1 또는 2)을 통해 DL 프레임들을 STA로 송신하기 위해 새로운 TXOP들을 개시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다수의 링크들 상에서 STA와 AP 사이의 통신들은 각각, 잠재적으로 서로 상이할 수 있는 PM 필드에 대한 값을 특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STA로부터 수신된 몇몇 (잠재적으로 충돌하는) PM 값들 중 어느 것이 STA의 PM 모드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어야 하는지를 결정할 시에 AP를 돕기 위한 메커니즘들이 이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STA에 의해 송신되고 가장 최근에 시작된 송신을 갖는 AP에 의해 수신된 메시지의 PM 필드(예컨대, PPDU(physical payload data unit))가 활용되어, STA가 활성 모드에 있는지 또는 전력 절감 모드에 있는지 여부를 AP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1)에서의 MAC(media access control) MPDU(payload data unit)들의 PM 값이 AP에 의해 사용되어 STA의 PM 모드를 결정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링크(1)을 통한 MPDU 송신들이 링크(2)를 통한 MPDU 송신들보다 더 최근에 개시되었기 때문이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AP가 수신한 마지막 PM 필드 값이 사용되어, STA가 활성 모드에 있는지 또는 전력 절감 모드에 있는지 여부를 AP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들 실시예들에서, 도 8에 도시된 통신 도면은, AP로 하여금 링크(2)의 MPDU(6)의 PM 값에 의존하게 하여 STA의 PM 모드를 결정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링크(2)를 통해 전송된 마지막 MPDU(즉, MPDU(6))가 링크(1)를 통해 전송된 마지막 MPDU(즉, MPDU(8)) 이후에 수신되기 때문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AP가 STA로부터 1의 PM 값을 수신할 때, AP가 하나 이상의 비동기 링크들에서 STA에 프레임들을 송신하고 있는 경우, AP는 하나 이상의 링크들 내의 TXOP(transmission opportunity)를 완료할 수 있고, 현재 TXOP가 완료된 후에 STA가 전력 절감 모드에 있는 것으로 고려할 수 있다. 이들 실시예들에서, AP는 PM=1 표시를 수신한 후에 임의의 링크에서 새로운 TXOP를 개시하지 않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STA는 상이한 링크들 내의 PPDU들의 송신 순서를 제어하지 못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링크들이 혼잡하게 되고/되거나 라디오 조건들이 변화하는 경우, 링크들에서의 송신들은 동적으로 변화하는 간격들로 발생할 수 있고, 링크들을 통한 송신 순서는 시간 경과에 따라 예측불가능하게 변화할 수 있다. 이들 및 다른 문제들을 다루기 위해, 일부 실시예들은 PM 필드의 값을 변경하는 프레임들을 전송할 때 다음의 메커니즘들 중 하나 이상을 활용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링크와 연관된 PM 필드 값이 1로부터 0으로 변경될 때, 모든 활성 링크들을 통한 모든 송신된 MPDU들은 예상된 링크 활성화를 제공하기 위해 0으로 설정된 자신들의 PM 값을 가질 수 있다. 한편, STA가 0으로부터 1로 PM 필드 값을 변경하는 프레임을 송신하는 경우, STA가 송신 버퍼 내의 MPDU들이 마지막 송신된 PPDU들인 것, 또는 STA가 곧 도즈 상태가 되도록 의도한다는 것을 알고 있는 경우, STA는 송신 버퍼에서 모든 나머지 프레임들에 대해 PM=1을 적용할 수 있다. 한편, STA가 0으로부터 1로 PM 필드 값을 변경하는 프레임을 송신하고, 송신된 프레임 후에 송신되는 더 많은 데이터가 있을 경우(즉, STA 상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 아마도 또는 종종 더 많은 트래픽을 생성하거나 또는 QoS 요건들이 어떠한 추가적인 지연들도 허용하지 않는 경우), STA는 비-송신 타임아웃 값을 적용할 수 있다. 이어서, 타임아웃 기간 동안 송신을 위해 어떠한 UL 패킷들도 수신되지 않는 경우, STA는 링크 내의 QoS-Null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고, 전력 절감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AP는 단일 링크 상에서만 PM 비트들을 수신할 수 있는데, 즉 AP는 하나의 특정 링크를 제외한 모든 다른 링크들에서 PM 비트 값들을 무시하여, 어느 PM 값이 우선순위를 취해야 하는지에 대한 혼동을 피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링크들은 PM 값 선택을 위한 우선순위 순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링크들(1 및 3)이 동시에 진행 중인 송신들을 갖는 경우, 링크(1)에서의 PM 비트 값은, STA가 활성 모드에 있는지 또는 전력 절감 모드에 있는지 여부를 정의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9 - U-APSD 서비스 기간 구성
도 9는 STA와 AP 사이의 다중 링크 BSS(basic services) 통신에서 U-APSD SP(Service Period) 구성의 예를 도시하는 통신 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STA는 902에서 웨이크업할 수 있고, 904에서 U-APSD SP를 개시하기 위해 PM=0을 갖는 U-APSD 트리거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AP가 트리거 프레임을 수신할 때, STA는 3개의 링크들(1 내지 3) 모두에서 활성인 STA를 고려할 수 있고, 예시된 기간 동안 이들 링크들을 통해 STA로의 송신들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908에서, STA는 EOSP(end-of-service period)=1 표시자를 갖는 데이터를 송신하여, SP의 종료를 표시한다.
AP는 STA가 이용가능한 임의의 링크에서 EOSP=1을 갖는 프레임을 송신할 수 있다. AP가 EOSP=1을 갖는 프레임을 STA로 송신한 후, AP는 진행 중인 TXOP들을 완료할 수 있고, AP는 STA와의 새로운 TXOP들을 개시하지 않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AP가 EOSP=1을 갖는 프레임으로부터 확인응답 또는 블록 Ack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 AP는, STA가 이용가능한 임의의 링크에서 프레임을 오직 한 번 재송신할 수 있지만, AP는 한 번 초과로 재송신하지 않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AP는, EOSP=1 표시를 포함하는 프레임에 대응하는 ACK/BA가 수신된 후에 개시된 TXOP에서 프레임이 송신되는 경우에만 프레임을 U-APSD 트리거 프레임으로 고려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음영 블록들이 UL 송신들(즉, MPDU 블록들 또는 ACK 메시지들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는 STA로부터의 AP로의 송신들)을 표시하는 반면, 비음영 블록들은 DL 송신들(즉, 마찬가지로 MPDU 블록들 또는 ACK 메시지들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는 AP로부터 STA로의 송신들)을 표시하는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DL ACK 이후에 송신되는 UL MPDU 송신은 AP에 의해 새로운 SP 트리거 프레임으로서 취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에서, ACK(4) 이후에 수신되는 UL MPDU 송신은 AP에 의해 새로운 SP 트리거 프레임으로서 취급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다른 실시예들에서, EOSP=1을 반송하는 PPDU의 송신 후에 프레임을 반송하는 PPDU가 송신되는 경우에만 AP는 프레임을 U-APSD 트리거 프레임으로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을 참조하면, 링크(1)를 통해 DL MPDU들(23 및 24)을 반송하는 PPDU는 AP에 의해 U-APSD SP 트리거 프레임인 것으로 고려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이것이 EOSP=1 표시가 링크(2)를 통해 (예컨대, MPDU들(1 내지 8)에서) 송신된 후에 송신되어, 새로운 U-APSD SP를 시작하기 때문이다.
다수의 링크들을 갖는 BSS 내의 PS-Poll 전력 절감 메커니즘들은 지연 성능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를 들어, PS-Poll은 AP가 단일 DL PPDU만을 전송하게 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각각의 DL 프레임을 송신하기 전에, STA가 별개의 PS-Poll 프레임을 전송할 필요가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추가적으로, UL PS-Poll 송신 지연들은 DL 송신 지연들을 지배할 수 있고, 비동기 링크들은 DL 송신 지연들을 현저하게 개선시키지 않을 수 있다. 이들 및 다른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AP가 PS-Poll을 수신한 후에 DL 데이터를 STA에 전송할 수 있는 링크들을 제어하기 위해 다양한 향상들이 활용될 수 있다.
먼저, 일부 실시예들에서, PS-Poll을 수신하는 AP는, STA가 이용가능한 임의의 링크에서 DL PPDU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는 다중 링크 BSS에서의 U-APSD 동작과 유사하다. 이러한 실시예는, STA가 1102에서 웨이크업하고 1104에서 링크(2)에서 PS-Poll을 전송하는 도 11에 도시되어 있다. AP는 1106에서 PS-Poll을 수신하고, 임의의 이용가능한 링크(예컨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링크 1, 그러나 임의의 이용가능한 링크가 사용될 수 있음)를 통해 DL 데이터를 전송한다.
대안적으로, 다른 실시예들에서, PS-Poll 프레임을 수신한 AP는 PS-Poll 프레임을 수신한 동일한 링크 상에서 DL PPDU를 송신할 수 있다. STA는 활성화된 링크들의 수를 제어할 수 있지만, PS-Poll 송신 방식의 지연 및 스루풋 성능은 활성 모드/PS-모드 전환들에서보다 훨씬 더 낮을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STA가 1202에서 웨이크업하고, 1204에서 링크(2)에서 PS-Poll을 전송하고, AP가 1206에서 PS-Poll을 수신하고, 동일한 링크인 링크(2)를 통해 DL 데이터를 전송하는 도 12에 도시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AP는 PS-Poll을 수신한 링크에서만 PS-Poll에 대한 응답으로서 PPDU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TA는 링크들(1 내지 3) 중 임의의 링크에서 TXOP 상에서 통신할 수 있다. 그러나, 링크(2)를 통해 PS_Poll을 송신한 후에, STA는 링크(2)를 통해서만 동작할 수 있다.
현재 구현예들에서, 개별적인 TWT(target wakeup time), 브로드캐스트 TWT, 및 스케줄링된 APSD가 WLAN 표준들에서 정의되어, STA-AP 통신들을 위한 전력 절감 메커니즘들을 제공한다. 이들 메커니즘들 중, 개별적인 TWT는 비-AP STA 및 AP에 대한 대부분의 유연성이 특정 시간들에 특정 링크들에 대한 전력 절감을 가능하게 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STA가 AP로부터 송신들을 수신하기 위해 이용가능할 때, 개별적인 TWT 계약은 주기적으로 반복하는 TWT SP(Service Period)들을 정의한다. 주기적으로 반복하는 TWT SP들은 최상의 지연 성능을 제공하지 못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스케줄링된 동작 시간들이 주기적으로 반복하고 AP는 TWT SP들의 외부에서 STA로 송신하지 못할 수 있기 때문이다. 개별적인 TWT 구현들에서, 송신 효율을 유지하기 위해 큰 송신된 PPDU 크기들이 사용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STA가 PPDU들을 수신하기 위해 이용가능하지 않은 시간 동안 도달한 모든 패킷들을 AP가 집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개별적인 TWT는, 원하는 애플리케이션 QoS에 대해 최단 송신 지연이 필요하지 않은 스트리밍 애플리케이션들에 매우 적합하다. 단일 비지 채널이 송신 지연을 추가하지 않을 수 있거나 TWT SP에서의 프레임 송신을 방지하지 않을 수 있어서, 개별 TWT 구현들에서 다수의 링크들의 사용은 더 결정적인 지연 성능을 제공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잠재적인 지연들을 회피하기 위해 다른 채널들이 활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TWT 셋업 시그널링은 STA에 이용가능한 다수의 링크들 중 임의의 링크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TWT 식별자(ID) 값은 특정 TWT 동의를 식별할 수 있다. 개별 TWT SP에 대해, TWT 셋업 시그널링 내의 필드는 TWT SP 동안 데이터가 송신되는 링크들을 특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구성으로서, 개별적인 TWT 셋업 시그널링은, STA 및 AP가 TWT SP 동안 송신할 수 있는 링크들을 특정할 수 있고, TWT 셋업 시그널링은 모든 링크들에서 또는 링크들의 서브세트 상에서만 이용가능하도록 STA를 구성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STA는 적어도 링크의 1차 채널 상에서 이용가능할 수 있지만, 개별적인 TWT는 STA가 하나 이상의 링크들의 2차 채널들을 수신 및 송신하도록 구성되게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제2 구성으로서, 개별적인 TWT 동의는 TWT SP들이 발생하는 시간들만을 특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WT SP들은, TWT SP 동안 STA가 이용가능한 링크들 상에서 발생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STA는 링크 이용가능성 서브필드를 사용하여, AP가 DL 프레임들을 송신할 수 있는 링크들을 구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TWT SP는 공지되거나 공지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지되지 않은 TWT SP에 대해, AP는 TWT SP가 개시될 때 즉시 STA에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다른 실시예들은 공지된 TWT SP를 활용할 수 있으며, AP는 AP가 데이터를 STA로 전송할 수 있기 전에 STA로부터 공지 프레임을 먼저 수신할 수 있다. TWT SP가 공지되면, AP 및 STA는 AP가 트리거를 STA에 전송할 수 있는 링크를 구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트리거는 임의의 이용가능한 링크가 아니라 구성된 링크에서 송신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STA가 오직 하나의 링크에서만 초기에 이용가능하기 때문에, STA는, 자신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해 이러한 옵션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단일 링크 상에서 트리거 프레임의 송신은 송신 지연들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3은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TWT 절차의 예시적인 구현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STA는 특정된 TWT 주기성 및 TWT SP 지속기간과 함께 TWT 동의에 사용될 링크들(1, 2, 및 3)을 구성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링크들(1 내지 3) 각각은 TWT 주기성에 의해 분리된 간격들로 TWT SP 지속기간 동안 활성화될 수 있다. STA가 링크들(1 내지 3)을 넘어서 추가적인 링크들을 갖는 경우, 이러한 링크들은 TWT SP들 동안 활성화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한다.
도 14는 TWT 절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다른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1)가 개시 링크로서 구성되는 경우, AP는 이러한 링크 상에서 트리거 프레임을 전송하여, STA가 이용가능한지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STA가 트리거 프레임에 대한 응답을 송신하는 경우, 또는 STA가 임의의 링크에서 프레임을 송신하는 경우, AP는 TWT SP 지속기간에 대한 TWT 동의에 포함된 모든 링크들을 통해 (예컨대, 도 14에 도시된 TWT SP 종료 시간까지) 송신하도록 진행할 수 있다. TWT 동의의 모든 링크들에서 동일한 TWT SP 지속기간이 사용될 수 있고, 모든 링크들에서의 동작은 동시에 종료될 수 있다. 개시 링크 없이 공지되지 않은 및 공지된 TWT 둘 모두에서, 모든 링크들이 TWT SP 지속기간에 대해 이용가능할 수 있다.
도 15 - 흐름도
도 15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다수의 무선 링크들을 사용하는 WLAN을 통해 UE(106)와 같은 무선 스테이션(STA)과 AP(104)와 같은 무선 액세스 포인트(AP) 사이의 통신을 위한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도시된 방법들의 요소들 중 일부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거나, 도시된 것과 상이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거나, 다른 방법 요소들에 의해 대체될 수 있거나,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추가 방법 요소들이 또한 원하는 대로 수행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방법은 다음과 같이 동작할 수 있다.
1502에서, STA는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을 통해 AP와의 접속을 확립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UE는 블루투스, Wi-Fi,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및/또는 임의의 다양한 다른 가능한 단거리 통신 프로토콜들 중 임의의 것 또는 모두를 사용하여 액세스 포인트와의 접속을 확립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UE는 3G, LTE, 및/또는 5G NR 라디오 액세스 기술들에 따라 셀룰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접속은 하나 이상의 별개의 주파수 대역들에서 복수의 링크들(예컨대, 2.4 ㎓ 링크, 5 ㎓ 링크, 및/또는 다른 무선 링크들)을 활용할 수 있다.
1504에서, UE는 복수의 링크들 중 제1 링크를 통해 액세스 포인트에 표시를 송신할 수 있고, 표시는 UE가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다운링크(DL) 통신들을 수신하기 위해 이용가능한 복수의 링크들 중 하나 이상의 이용가능한 링크들을 특정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이용가능한 링크들은 제1 링크와는 상이한 적어도 하나의 링크를 포함한다.
표시는, UE가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다운링크 통신들을 수신하기 위해 이용가능하지 않은 복수의 링크들의 하나 이상의 이용가능하지 않은 링크들을 추가로 특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UE는 이용가능하지 않은 링크들 중 하나 이상을 통해 액세스 포인트로 업링크 통신들을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된 이용가능하지 않은 링크들이 AP가 DL 통신들을 송신하기 위해 이용가능하지 않더라도, UE는 스루풋 유연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UL 통신들에 대해 이러한 링크들을 여전히 활용할 수 있다. 에너지 소비를 감소시키는 것이 AP에 덜 중요할 수 있도록 AP는 종종 전원에 플러그 인되고, AP는, 복수의 링크들이 DL 통신들에 이용가능하든 이용가능하지 않든, 복수의 링크들 각각 상의 UL 메시지들을 계속해서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1506에서, UE는 하나 이상의 이용가능한 링크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하나 이상의 DL 통신들을 수신할 수 있다. 위에서 더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DL 통신들은 (예컨대, UE가 전력 절감 모드에 있는 경우) PS-Poll(power save polling), U-APSD(unscheduled automatic power save delivery) 또는 TWT(target wakeup time)들에 따라 송신될 수 있거나, 또는 DL 통신들은 (예컨대, UE가 활성 모드에 있는 경우) AP에 의한 필요에 따라 자발적으로 송신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표시는 비트 필드를 포함하고, 비트 필드의 각각의 비트는 UE가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다운링크 통신들을 수신하기 위해 복수의 링크들의 개개의 링크가 이용가능한지 여부를 표시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표시는 복수의 링크들 중 하나 이상의 개개의 링크들에 대한 동작 대역폭을 추가로 특정하고, 특정 링크의 이용불가능함을 표시하기 위해 널 특정 대역폭이 활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표시는 UE가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DL 통신들을 수신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이용가능한 링크들이 이용가능한 지속 시간을 추가로 특정한다. 예를 들어, 표시는 하나 이상의 이용가능한 링크들이 이용가능한 TXOP(transmission opportunity)의 지속기간을 특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UE는 이용가능한 링크들 중 하나 이상이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다운링크 통신들을 수신하기 위해 더 이상 이용가능하지 않다는 제2 표시를 액세스 포인트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의 현재 스루풋 요건들에 기초하여(예컨대, UE 상에서 실행되는 현재 애플리케이션들 또는 애플리케이션 유형들, 서비스 요건들의 품질, 버퍼 상태, 및/또는 다른 기준들에 기초하여), UE는, 전력을 보존하기 위해, DL 통신들에 대해 이용가능한 것으로 이전에 표시된 하나 이상의 링크들의 이용불가능성을 표시하기 위해 제2 표시를 송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UE는, UE가 활성 모드에 있는지 또는 전력 절감 모드에 있는지 여부를, 복수의 링크들 중 하나를 통해 AP에 추가로 표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PM(power mode) 표시로 지칭되는 이러한 표시는 제1 링크에 대한 제1 표시의 일부로서 포함될 수 있거나, 또는 그것은 복수의 링크들 중 제1 또는 상이한 링크 상에서 제2 표시로서 송신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UE가 활성 모드에 있는지 또는 전력 절감 모드에 있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것은, 복수의 링크들의 각각의 개개의 링크에 대해, UE가 개개의 링크에 대해 활성 모드에 있는지 또는 전력 절감 모드에 있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시 말하면, 전력 절감 모드는 링크 단위로 구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AP는 UE가 활성 모드에 있는지 또는 전력 절감 모드에 있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다수의 표시들을 UE로부터 수신할 수 있고, 표시들은 서로 충돌할 수 있고, AP는 UE 전력 상태 모드를 표시하는 것으로서 어떤 표시에 의존할지를 결정하기 위해 다음의 방법들 중 하나를 구현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AP는 UE의 전력 상태 모드를 결정하기 위해 단순히 가장 최근에 수신된 PM 표시에 의존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AP는 UE의 전력 상태 모드를 결정하기 위해 가장 최근에 개시된 송신 기회 동안 수신되는 PM 표시에 의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PM 표시와 연관된 제2 송신 기회 후에 개시되었던 제1 송신 기회 동안 제1 PM 표시가 수신되는 경우, AP는 UE의 전력 상태 모드를 결정하기 위해 제1 PM 표시를 사용할 수 있다.
위에서 더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UE가 전력 절감 모드에 있는 동안 다양한 전력 절감 방법들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에서 더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UE가 전력 절감 모드에 있는 동안, UE는 PS-Poll(power save polling), U-APSD(unscheduled automatic power save delivery), 또는 공지되거나 공지되지 않은 TWT들 및/또는 브로드캐스트 또는 개별적인 TWT들일 수 있는 TWT(target wakeup time)들 중 하나 이상을 활용함으로써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DL 통신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AP가 활성 모드로부터 전력 절감 모드로 스위칭하는 PM 표시를 수신할 때, AP는 현재 송신 기회와 연관된 송신들을 종료할 수 있고 새로운 송신 기회를 개시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UE는 복수의 링크들 중 제1 링크가 활성 모드에 있는 것으로 표시되는 것으로부터 전력 절감 모드에 있는 것으로 표시되는 것으로 스위칭된 것 또는 그 반대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결정에 응답하여, UE는 모든 링크들에 대한 표시를 각각 전력 절감 모드 또는 활성 모드에 있는 것으로 스위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이한 링크들의 성공적인 송신의 순서는 버퍼 상태 및/또는 송신 실패들에 따라 동적으로 변할 수 있기 때문에, 특정 링크의 전력 모드 상태에서의 (예컨대, 활성 모드로부터 전력 절감 모드로 또는 전력 절감 모드로부터 활성 모드로의) 스위칭은 UE가 모든 링크들에 대한 표시를 특정 링크의 새로운 전력 모드 상태로 스위칭하게 하여, 전력 모드 상태 변화가 AP로 신속히 통신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개인적으로 식별가능한 정보의 사용은 사용자들의 프라이버시를 유지하기 위한 산업 또는 정부 요건들을 충족하거나 초과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인식되는 프라이버시 정책들 및 관례들을 따라야 하는 것이 잘 이해된다. 특히, 개인적으로 식별가능한 정보 데이터는 의도하지 않은 또는 허가되지 않은 액세스 또는 사용의 위험성들을 최소화하도록 관리되고 처리되어야 하며, 허가된 사용의 성질은 사용자들에게 명확히 표시되어야 한다.
위에서 설명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부가하여, 본 개시내용의 추가적인 실시예들이 다양한 형태들 중 임의의 형태로 실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들은 컴퓨터 구현 방법, 컴퓨터 판독가능 메모리 매체, 또는 컴퓨터 시스템으로서 실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은 ASIC들과 같은 하나 이상의 주문 설계형 하드웨어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실현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들은 FPGA들과 같은 하나 이상의 프로그래밍가능 하드웨어 요소를 사용하여 실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메모리 매체는 그것이 프로그램 명령어들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프로그램 명령어들은,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실행되면, 컴퓨터 시스템으로 하여금, 방법, 예컨대,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방법 실시예들 중 임의의 것, 또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방법 실시예들의 임의의 조합, 또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방법 실시예들 중 임의의 것의 임의의 서브세트, 또는 그러한 서브세트들의 임의의 조합을 수행하게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디바이스(예컨대, UE(106 또는 107))는 프로세서(또는 프로세서들의 세트) 및 메모리 매체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메모리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들을 저장하고, 프로세서는 메모리 매체로부터의 프로그램 명령어들을 판독 및 실행하도록 구성되고, 프로그램 명령어들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양한 방법 실시예들 중 임의의 것(또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 실시예들의 임의의 조합, 또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 실시예들 중 임의의 것의 임의의 서브세트, 또는 그러한 서브세트들의 임의의 조합)을 구현하도록 실행가능하다. 디바이스는 다양한 형태들 중 임의의 것으로 실현될 수 있다.
위의 실시예들이 상당히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일단 상기 개시내용이 충분히 인식되면, 많은 변형들 및 수정들이 당업자들에게 자명할 것이다. 다음의 청구범위는 모든 그러한 변형들 및 수정들을 망라하는 것으로 해석되도록 의도된다.

Claims (25)

  1.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UE)로서,
    개개의 안테나들에 동작가능하게 커플링된 하나 이상의 라디오들;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라디오들에 동작가능하게 커플링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UE는,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을 통한 액세스 포인트와의 접속을 확립하고 - 상기 접속은 복수의 링크들을 활용함 -;
    상기 복수의 링크들 중 제1 링크를 통해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표시를 송신하고 - 상기 표시는 상기 복수의 링크들 중 하나 이상의 이용가능한 링크들을 특정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이용가능한 링크들은 상기 UE가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다운링크(DL) 통신들을 수신하기 위해 이용가능함 -;
    상기 하나 이상의 이용가능한 링크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하나 이상의 DL 통신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UE.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이용가능한 링크들은 상기 제1 링크와는 상이한 적어도 하나의 링크를 포함하는, UE.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E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다운링크 통신들을 수신하기 위해 더 이상 이용가능하지 않은 상기 하나 이상의 이용가능한 링크들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제2 표시를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UE.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는 상기 복수의 링크들의 하나 이상의 이용가능하지 않은 링크들을 추가로 특정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이용가능하지 않은 링크들은 상기 UE가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다운링크 통신들을 수신하기 위해 이용가능하지 않고,
    상기 UE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이용가능하지 않은 링크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업링크 통신들을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UE.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E는,
    상기 UE가 활성 모드에 있는지 또는 전력 절감 모드에 있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제2 표시를 상기 복수의 링크들 중 하나를 통해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UE가 전력 절감 모드에 있을 때, 상기 UE는,
    PS-Poll(power save polling);
    U-APSD(unscheduled automatic power save delivery); 또는
    TWT(target wakeup time)들 중 하나 이상을 활용함으로써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DL 통신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UE.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UE가 상기 활성 모드에 있는지 또는 상기 전력 절감 모드에 있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것은, 상기 복수의 링크들의 개개의 링크에 대해, 상기 UE가 상기 개개의 링크에 대해 상기 활성 모드에 있는지 또는 상기 전력 절감 모드에 있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것을 포함하는, UE.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UE는,
    상기 복수의 링크들 중 상기 제1 링크가 상기 활성 모드로부터 상기 전력 절감 모드로 스위칭되었다고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UE가 상기 활성 모드에 있는지 또는 상기 개개의 링크에 대한 상기 전력 절감 모드에 있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것은, 상기 복수의 링크들 중 상기 제1 링크가 상기 활성 모드로부터 상기 전력 절감 모드로 스위칭되었다고 결정하는 것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링크들의 각각의 링크가 상기 전력 절감 모드에 있음을 표시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UE.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UE는,
    상기 복수의 링크들 중 상기 제1 링크가 상기 전력 절감 모드로부터 상기 활성 모드로 스위칭되었다고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UE가 상기 활성 모드에 있는지 또는 상기 개개의 링크에 대한 상기 전력 절감 모드에 있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것은, 상기 복수의 링크들 중 상기 제1 링크가 상기 전력 절감 모드로부터 상기 활성 모드로 스위칭되었다고 결정하는 것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개개의 링크가 상기 활성 모드에 있음을 표시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UE.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는 비트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비트 필드의 비트는 상기 UE가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다운링크 통신들을 수신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링크들의 개개의 링크가 이용가능한지 여부를 표시하는, UE.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는 상기 복수의 링크들의 하나 이상의 개개의 링크들에 대한 동작 대역폭을 특정하고,
    널(null) 특정된 대역폭은 상기 개개의 링크의 이용불가능성을 표시하는, UE.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는 상기 UE가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DL 통신들을 수신하기 위해 상기 하나 이상의 이용가능한 링크들이 이용가능한 지속 시간을 추가로 특정하는, UE.
  12. 무선 액세스 포인트(AP)로서,
    하나 이상의 라디오들;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라디오들에 커플링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AP는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을 통한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UE)와의 접속을 확립하고 - 상기 접속은 복수의 링크들을 활용함 -;
    상기 복수의 링크들 중 제1 링크를 통해 상기 UE로부터 표시를 수신하고 - 상기 표시는 상기 복수의 링크들 중 하나 이상의 이용가능한 링크들을 특정하고, 상기 이용가능한 링크들은 상기 AP가 상기 UE에 다운링크(DL) 통신들을 송신하기 위해 이용가능함 -;
    상기 하나 이상의 이용가능한 링크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UE에 하나 이상의 DL 통신들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AP.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이용가능한 링크들은 상기 제1 링크와는 상이한 적어도 하나의 링크를 포함하는, AP.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AP는,
    상기 UE가 활성 모드에 있는지 또는 전력 절감 모드에 있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제2 표시를 상기 제1 링크를 통해 상기 UE로부터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AP.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AP는,
    상기 제2 표시 이후에 그리고 상기 복수의 링크들 중 제2 링크를 통해, 상기 UE가 상기 활성 모드에 있는지 또는 상기 전력 절감 모드에 있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제3 표시를 상기 UE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3 표시에 기초하여 상기 UE가 상기 활성 모드에 있는지 또는 상기 전력 절감 모드에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AP.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AP는,
    상기 UE가 상기 활성 모드에 있음을 표시하는 제3 표시를 상기 UE로부터 상기 복수의 링크들 중 제2 링크를 통해 수신하고 - 상기 제3 표시는 상기 제2 표시의 수신 이후의 제1 송신 기회 동안 수신됨 -;
    상기 제3 표시에 기초하여 그리고 상기 제2 표시의 수신 이후의 상기 제1 송신 기회 동안 상기 제3 표시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UE가 상기 활성 모드에 있다고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AP.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표시는 상기 UE가 상기 활성 모드로부터 상기 전력 절감 모드로 스위칭하고 있음을 표시하며, 상기 AP는,
    상기 제2 표시를 수신한 것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현재 송신 기회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송신을 완료하고;
    새로운 송신 기회를 개시하는 것을 억제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AP.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UE가 전력 절감 모드에 있을 때, 상기 AP는,
    PS-Poll(power save polling);
    U-APSD(unscheduled automatic power save delivery); 또는
    TWT(target wakeup time)들 중 하나 이상을 활용함으로써 DL 통신들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AP.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는 비트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비트 필드의 비트는 상기 AP가 상기 UE에 다운링크 통신들을 송신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링크들의 개개의 링크가 이용가능한지 여부를 표시하는, AP.
  20. 복수의 링크들을 통해 통신하도록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UE)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을 통한 액세스 포인트와의 접속을 확립하는 단계 - 상기 접속은 상기 복수의 링크들을 활용함 -;
    상기 복수의 링크들 중 제1 링크를 통해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표시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표시는 상기 복수의 링크들 중 하나 이상의 이용가능한 링크들을 특정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이용가능한 링크들은 상기 UE가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다운링크(DL) 통신들을 수신하기 위해 이용가능함 -;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이용가능한 링크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하나 이상의 DL 통신들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이용가능한 링크들은 상기 제1 링크와는 상이한 적어도 하나의 링크를 포함하는, 방법.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하나 이상의 이용가능한 링크들 중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다운링크 통신들을 수신하기 위해 더 이상 이용가능하지 않은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제2 표시를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송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는 상기 복수의 링크들의 하나 이상의 이용가능하지 않은 링크들을 추가로 특정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이용가능하지 않은 링크들은 상기 UE가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다운링크 통신들을 수신하기 위해 이용가능하지 않고,
    상기 방법은,
    상기 하나 이상의 이용가능하지 않은 링크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업링크 통신들을 송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24.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UE가 활성 모드에 있는지 또는 전력 절감 모드에 있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제2 표시를 상기 복수의 링크들 중 하나를 통해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 송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UE가 전력 절감 모드에 있을 때, 상기 방법은,
    PS-Poll(power save polling);
    U-APSD(unscheduled automatic power save delivery); 또는
    TWT(target wakeup time)들 중 하나 이상을 활용함으로써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DL 통신들을 수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UE가 상기 활성 모드에 있는지 또는 상기 전력 절감 모드에 있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링크들의 개개의 링크에 대해, 상기 UE가 상기 개개의 링크에 대해 상기 활성 모드에 있는지 또는 상기 전력 절감 모드에 있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200084984A 2019-07-12 2020-07-09 다중 링크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 인프라구조를 위한 전력 절감 KR1023233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962873696P 2019-07-12 2019-07-12
US62/873,696 2019-07-12
US16/850,110 2020-04-16
US16/850,110 US11304133B2 (en) 2019-07-12 2020-04-16 Power savings for multi-link wireless local area network infrastruc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7896A true KR20210007896A (ko) 2021-01-20
KR102323383B1 KR102323383B1 (ko) 2021-11-08

Family

ID=71465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4984A KR102323383B1 (ko) 2019-07-12 2020-07-09 다중 링크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 인프라구조를 위한 전력 절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11304133B2 (ko)
EP (1) EP3764702A1 (ko)
KR (1) KR102323383B1 (ko)
CN (1) CN11221835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64290A1 (ko) * 2021-01-29 2022-08-04 주식회사 윌러스표준기술연구소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무선 통신 단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23306B1 (en) * 2019-05-30 2022-12-06 Marvell Asia Pte Ltd Traffic characteristics for target wake time (TWT) negotiation
US11596024B2 (en) * 2019-10-03 2023-02-28 Mediatek Inc. Physical protocol data unit transmission method employed by wireless fidelity multi-link device
WO2022151486A1 (zh) * 2021-01-18 2022-07-21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通信方法和通信设备
CN115250542A (zh) * 2021-04-25 2022-10-28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及装置
CN115606260A (zh) * 2021-04-28 2023-01-13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Cn) 多连接下的通信方法和通信装置
CN117441382A (zh) * 2021-08-27 2024-01-2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多链路的通信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6419328A (zh) * 2021-12-30 2023-07-1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及装置、存储介质及电子装置
JP2023167312A (ja) * 2022-05-11 2023-11-24 ソニーグループ株式会社 無線通信制御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43773A1 (en) * 2001-08-31 2003-03-06 Hyokang Chang Multilink wireless access scheme for multiband operation in wireless mobile networks
KR20140056181A (ko) * 2012-09-03 2014-05-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 시스템에서 전력절약-폴링 프레임 및 응답 프레임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180034543A (ko) * 2015-07-24 2018-04-04 인텔 아이피 코포레이션 Wlan 노드를 통해 셀룰러 관리자와 사용자 장비(ue) 사이에서 통신하는 장치,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6155B1 (ko) * 2005-08-19 2013-04-19 지티이 코포레이션 시분할-동기식 코드 분할 다중 접속 시스템의 다중 캐리어고속 하향 패킷 접속 구현 방법
US8134985B2 (en) * 2007-05-17 2012-03-13 Symbol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WLAN multi-channel redundancy for VoIP optimization
JP5094896B2 (ja) * 2010-02-26 2012-12-12 シャープ株式会社 移動局装置、基地局装置、通信制御方法及び集積回路
US8929346B2 (en) * 2010-05-14 2015-01-06 Blackberry Limited Advertisement and distribution of notifications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US9961137B2 (en) 2012-04-26 2018-05-01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Long term evolution radio network application-level load balancing
EP2867999B1 (en) * 2012-07-02 2017-08-30 MediaTek Inc. Methods for managing radio resources between multiple radio modules and communications apparatus utilizing the same
KR102230309B1 (ko) * 2014-06-20 2021-03-19 주식회사 윌러스표준기술연구소 상향 다중 사용자 전송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무선 통신 단말
US10609647B2 (en) 2016-09-29 2020-03-31 Intel IP Corporation Multi-band link-aggregation pre-negotiated power save modes
US10420027B2 (en) 2016-12-02 2019-09-17 Intel Corporation Multiband power save control for wireless networking
US20180270679A1 (en) 2017-03-20 2018-09-20 Nokia Technologies Oy Reliability-based multi-link communications
MX2020002116A (es) 2017-08-31 2020-07-20 Arris Entpr Llc Orientacion de estacion con base en impacto de canal calculado.
CN109756279B (zh) * 2017-11-03 2021-08-31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波束检测方法及装置
US10911349B2 (en) 2017-11-17 2021-02-02 Qualcomm Incorporated Link aggregation with floating primary link
US11234282B2 (en) 2018-01-10 2022-01-25 Qualcomm Incorporated Mechanisms to support secondary channel operation
US10873967B2 (en) * 2018-02-02 2020-12-22 Qualcomm Incorporated Multi-carrier preemption indicator
US11963100B2 (en) 2018-10-12 2024-04-16 Mediatek Singapore Pte.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band power management in a wireless network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43773A1 (en) * 2001-08-31 2003-03-06 Hyokang Chang Multilink wireless access scheme for multiband operation in wireless mobile networks
KR20140056181A (ko) * 2012-09-03 2014-05-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 시스템에서 전력절약-폴링 프레임 및 응답 프레임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180034543A (ko) * 2015-07-24 2018-04-04 인텔 아이피 코포레이션 Wlan 노드를 통해 셀룰러 관리자와 사용자 장비(ue) 사이에서 통신하는 장치,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64290A1 (ko) * 2021-01-29 2022-08-04 주식회사 윌러스표준기술연구소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무선 통신 단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64702A1 (en) 2021-01-13
US20220191786A1 (en) 2022-06-16
CN112218355A (zh) 2021-01-12
US11304133B2 (en) 2022-04-12
KR102323383B1 (ko) 2021-11-08
US20210014784A1 (en) 2021-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3383B1 (ko) 다중 링크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 인프라구조를 위한 전력 절감
US11039368B2 (en) Dynamic coverage mode switching and communication bandwidth adjustment
CN110839303B (zh) 自适应c-drx管理
JP6482364B2 (ja) 決定論的rrc接続
JP6054462B2 (ja) ネットワーク負荷に基づくアプリケーションデータの延期
US9445365B2 (en)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voice over LTE terminals using semi persistent scheduling in connected discontinuous reception mode
US11765707B2 (en) Selective multi-link operation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JP6145126B2 (ja) アプリケーション及びベースバンドレイヤの動作の協調
US11943759B2 (en) Dynamic bandwidth adaptation with network scheduling
JP6854354B2 (ja) New Radio免許不要周波数帯でのデバイス能力に基づくスタンドアローンページング
JP2020506615A (ja) 無線リソース制御接続中の制御チャネル間の高速切り替え
US20180176848A1 (en)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an Anchor Carrier and Flexible Data Carriers
WO2020258157A1 (zh) 资源集合监听方法、设备及存储介质
WO2017198032A1 (zh) 电子装置、信息处理设备和信息处理方法
US20210219363A1 (en) Link Availability and Status Indication for Multi-Link Operation in WLAN
US20220030565A1 (en) Method and device for adjusting pdcch monitoring period
US11490429B2 (en) Companion assistance and efficient link selection for wearable devices
WO2022042319A1 (zh) 一种非地面网络的通信方法及通信装置
US9826559B2 (en) Intra-RRC high-bandwidth grant request techniques
US20180035376A1 (en) NAN Frame Buffering Indications
US20240155573A1 (en) Time Domain Resource Sel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