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7388A - 도어용 컴팩트형 플로어 힌지 - Google Patents

도어용 컴팩트형 플로어 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7388A
KR20210007388A KR1020190083768A KR20190083768A KR20210007388A KR 20210007388 A KR20210007388 A KR 20210007388A KR 1020190083768 A KR1020190083768 A KR 1020190083768A KR 20190083768 A KR20190083768 A KR 20190083768A KR 20210007388 A KR20210007388 A KR 202100073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door
tempered glass
glass door
cl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3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영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월드크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월드크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월드크로스
Priority to KR10201900837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7388A/ko
Publication of KR20210007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73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10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05D11/1028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Abstract

본 발명은, 강화유리 도어나 방화문 도어 등과 같은 무거운 도어에 장착하여 도어가 양방향으로 소정의 각도에서 열려진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도어용 컴팩트형 플로어 힌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도어가 닫히는 과정에서 양방향으로 흔들리지 않고 곧바로 정확한 위치에 닫히도록 구성되고, 도어가 닫히는 과정에서 너무 빠르지 않게 서서히 닫히도록 구성된 도어용 컴팩트형 플로어 힌지로서, 도어를 양방향으로 90도, 115도 각도로 열었을 때, 그 위치가 정확하고 정지상태를 유지할 뿐만 아니라, 특히 도어를 닫았을 때, 도어가 닫힘 위치에 곧바로 정지하기 때문에 도어가 불필요하게 양방향으로 움직이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강화유리 도어가 닫히는 속도를 하트캠면 및 화살촉형 캠에 의해서 서서히 닫히도록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빠르게 닫히는 도어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어용 컴팩트형 플로어 힌지{Compact floor hinge for doors}
본 발명은 도어용 컴팩트형 플로어 힌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를 닫을 때 흔들림 없이 정확한 위치에 정지되어 닫힘 상태를 유지토록 하고, 도어를 여러 각도로 열어 둘 수 있도록 구성된 도어용 컴팩트형 플로어 힌지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회전개폐되는 도어에는 다양한 구조를 갖는 힌지가 설치되는데, 그 중에 상가 출입문이나 사무실 등에 설치된 강화유리 도어를 지지하면서 양방향으로 개폐하는 플로어 힌지가 있으며, 상기한 플로어 힌지의 대부분은 플로어 힌지 조립체가 설치된 케이싱을 바닥에 매입 시공하고, 힌지축을 강화유리 도어에 고정하여 사용되고 있다.
상기한 플로어 힌지는 힌지 조립체가 케이싱에 내장되어 있기 때문에 케이싱을 바닥에 매립하기 위하여 넓은 공간을 확보해야 하는데, 건물을 신축할 때 바닥에 설치해 두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바닥을 양생할 때에는 별다른 문제가 없다.
그러나 건물이 완공된 후에는 힌지 조립체가 구비되어 있는 케이싱을 건물 바닥에 시공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에 많은 어려움이 있어, 최근에는 도어에 힌지 조립체가 구비된 케이싱을 설치하는 컴팩트형 플로어 힌지가 개발되고 있다.
상기한 컴팩트형 플로어 힌지의 구성을 보면, 케이싱 내부에 캠과 캠축, 그리고 상기 캠과 캠축을 복귀시키는 피스톤과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된 컴팩트형 플로어 힌지를 구성하는 캠과 캠축, 그리고 피스톤의 구성은 강화유리 도어를 양방향으로 90도 각으로 열었을 때, 그 위치가 일정하지 않고, 특히 강화유리 도어를 닫았을 때, 강화유리 도어가 닫히는 위치에 곧바로 정지하지 못하고, 양방향으로 움직이다가 서서히 강화유리 도어가 닫히는 위치에 정지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어가 불필요하게 양방향으로 움직일 때 도어와 문틀 사이에 손가락이나 스카프 또는 옷자락이 끼여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원인이 되는 등 컴팩트형 플로어 힌지의 구조에 문제가 있다.
또한, 강화유리 도어가 닫히는 속도를 적절히 제어하지 못하므로, 닫히는 속도가 너무 빠르게 되면 안전사고의 위험까지도 발생할 수가 있는 문제가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950877호(2019년02월15일.등록) 한국 공개특허 제10-2008-0061424호(2008년07월03일.공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와 같은 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강화유리 도어나 방화문 도어 등과 같은 무거운 도어에 장착하여 도어가 양방향으로 소정의 각도에서 열려진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도어용 컴팩트형 플로어 힌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도어가 닫히는 과정에서 양방향으로 흔들리지 않고 곧바로 정확한 위치에 닫히도록 구성되고, 도어가 닫히는 과정에서 너무 빠르지 않게 서서히 닫히도록 구성된 도어용 컴팩트형 플로어 힌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도어용 컴팩트형 플로어 힌지는, 강화유리 도어의 하단에 설치하기 위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부에 힌지축홀과 피스톤홀이 형성되어 있고, 여기에 제1캠과 제2캠이 구비된 힌지축이 힌지축홀을 통해서 피스톤홀에 결합되어 있는 피스톤의 캠홀을 관통해 결합되어, 제1캠과 제2캠이 캠홀에서 작용할 수 있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피스톤홀에는 오일과 함께 코일스프링이 결합되어 피스톤을 힌지축이 있는 방향으로 밀어주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제1캠은 닫힘캠면과 90도 열림캠면과 115도 열림캠면으로 구성되어 힌지축에 편심되게 형성되고, 제2캠은 하트캠면이 구비되어 제1캠의 하부에 같은 방향으로 힌지축에 편심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캠은 캠홀의 상측에 위치하여 제1캠의 닫힘캠면, 90도 열림캠면과 115도 열림캠면이 캠홀의 직면부에 선택적으로 밀착되게 설치되며, 제2캠은 캠홀의 하부에 위치하여 제2캠의 하트캠면이 캠홀의 화살촉형 캠에 밀착되어 강화유리 도어를 닫을 때 서서히 이동하도록 구성된 것이 본 발명에 특징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도어를 양방향으로 90도, 115도 각도로 열었을 때, 그 위치가 정확하고 정지상태를 유지할 뿐만 아니라, 특히 도어를 닫았을 때, 도어가 닫힘 위치에 곧바로 정지하기 때문에 도어가 불필요하게 양방향으로 움직이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어가 닫히는 속도를 하트캠면 및 화살촉형 캠에 의해서 서서히 닫히도록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빠르게 닫히는 도어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등 도어용 컴팩트형 플로어 힌지의 품질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을 분해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을 조립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이 강화유리 도어의 닫힘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이 강화유리 도어가 90도 열림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이 강화유리 도어가 115도 열림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7은 강화유리 도어가 90도, 115도 각도로 열리는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8은 강화유리 도어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도어용 컴팩트형 플로어 힌지에 대한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도어용 컴팩트형 플로어 힌지는, 강화유리 도어의 하단에 설치되는 케이싱(20)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힌지축홀(21)과 피스톤홀(22)이 형성되어 있고, 여기에 제1캠(5)과 제2캠(10)이 구비된 힌지축(1)이 힌지축홀(21)을 통해 피스톤홀(22)에 결합되어 있는 피스톤(2)의 캠홀(2-1)을 관통해서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1캠(5)과 제2캠(10)이 캠홀(2-1)에 작용할 수 있게 설치되어 있고, 피스톤홀(22)에는 피스톤(2)이 코일스프링(23)과 함께 결합되어 코일스프링(23)이 피스톤(2)을 힌지축(1)이 있는 방향으로 밀어주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캠(5)은 닫힘캠면(5-1)과 90도 열림캠면(5-2)과 115도 열림캠면(5-3)으로 구성되어 힌지축(1)에 편심되게 형성되고, 제2캠(10)은 하트캠면(10-1)이 구비되어 제1캠(5)의 하부에 제1캠(5)과 같은 방향으로 힌지축(1)에 편심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캠(5)은 캠홀(2-1)의 상측에 위치하여 제1캠(5)의 닫힘캠면(5-1), 90도 열림캠면(5-2)과 115도 열림캠면(5-3)이 도어의 회전에 따른 위치변화에 따라서 캠홀(2-1)의 직면부(3)에 선택적으로 밀착되도록 구성되어, 강화유리 도어의 회전에 따른 위치변화에 따라서 제1캠의 닫힘캠면(5-1), 90도 열림캠면(5-2)과 115도 열림캠면(5-3)이 캠홀(2-1)의 직면부(3)에 선택적으로 밀착되어 강화유리 도어가 출입구를 닫은 상태와, 90도,115도 각도로 열었다가 닫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2캠(10)은 캠홀(2-1)의 하부에 위치하며, 하트캠면(10-1)이 캠홀(2-1)의 화살촉형 캠(4)에 밀착되어 강화유리 도어가 닫힘 상태로 회전할 때 서서히 이동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도면의 미설명부호 40은 고정너트, 41은 베어링, 42는 강화유리 도어, 43은 힌지고정판을 의미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도어용 컴팩트형 플로어 힌지에 대한 작용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도어용 컴팩트형 플로어 힌지를 구성하는 케이싱(20)을 강화유리 도어(42)의 하단에 장착하고, 케이싱(20)의 하부로 노출된 힌지축(1)의 하단을 힌지고정판(43)에 결착하게 되면, 제1캠과 제2캠이 구비된 힌지축(1)은 회전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강화유리 도어(42)의 하단에 장착된 케이싱(20)이 사용자에 의해서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강화유리 도어(42)와 케이싱(20)이 함께 회전하면서 출입구를 개폐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도어용 컴팩트형 플로어 힌지가 설치된 강화유리 도어(42)의 닫힘 상태는 도 2, 도 3, 도 6,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캠(5)의 닫힘캠면(5-1)이 캠홀(2-1)의 직면부(3)에 밀착되어 있고, 제2캠(10)의 하트캠면(10-1)의 센터는 캠홀(2-1)의 화살촉형 캠(4)의 센터와 마주보는 형태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강화유리 도어(42)의 닫힘 상태에서 사용자가 밀거나 당겨서 강화유리 도어(42)를 90도, 또는 115도 각도로 이동시켜 출입구를 90도, 또는 115도 각도로 열어주면, 도 4, 도 5,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캠홀(2-1)의 직면부(3)가 제1캠(5)에 형성된 90도 열림캠면(5-2), 또는 115도 열림캠면(5-3)에 밀착되어 강화유리 도어(42)가 90도, 또는 115도 각도로 열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강화유리 도어(42)의 위치변화에 따라 캠홀의 직면부(3)에 닿는 제1캠(5)의 위치, 즉 90도 열림캠면(5-2)과 115도 열림캠면(5-3)으로 달라지는 결과로 캠홀(2-1)이 구비된 피스톤(2)이 이동하여 피스톤홀(22)에 안내되면서 코일스프링(23)이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강화유리 도어(42)가 90도 또는 115도 각도로 열린 상태에서 사용자가 밀거나 당겨서 강화유리 도어(42)가 출입구를 닫게 되면, 압축된 상태로 있던 코일스프링(23)이 피스톤(2)을 밀어주면서 피스톤에 형성된 캠홀(2-1)의 직면부(3)가 제1캠의 닫힘캠면(5-1)에 밀착되기 때문에 강화유리 도어(42)가 곧바로 정지하게 되는데, 이때 제2캠(10)의 하트캠면(10-1)이 캠홀(2-1)의 화살촉형 캠(4)에 밀착되어 이동하게 됨으로써, 강화유리 도어(42)가 서서히 출입구를 닫게 되는 것이다.
1: 힌지축
2: 피스톤
2-1: 캠홀
3: 직면부
4: 화살촉형 캠
5: 제1캠
5-1: 닫힘캠면
5-2: 90도 열림캠면
5-3: 115도 열림캠면
10: 제2캠
10-1: 하트캠면
20: 케이싱

Claims (3)

  1. 강화유리 도어의 하단에 설치하기 위한 케이싱(20)의 내부에 형성된 피스톤홀(22)에는 직면부(3)를 갖는 캠홀(2-1)이 형성된 피스톤(2)이 코일스프링(23)과 함께 결합되어 코일스프링이 피스톤(2)을 힌지축(1)이 있는 방향으로 밀어주도록 구성되며,
    상기 케이싱(20)의 내부에 형성된 힌지축홀(21)에는 제1캠(5)의 닫힘캠면(5-1)이 형성된 힌지축(1)이 직면부(3)를 갖는 캠홀(2-1)을 관통하여 결합되어, 제1캠(5)의 닫힘캠면(5-1)이 피스톤(2)의 캠홀(2-1)에 형성된 직면부(3)에 밀착되어 강화유리 도어가 닫힘상태로 있도록 구성되며,
    강화유리 도어를 열었다가 닫힘 상태로 회전시켜 강화유리 도어를 닫았을 때 케이싱(20)이 강화유리 도어와 함께 힌지축(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피스톤(2)의 캠홀(2-1)에 형성된 직면부(3)가 힌지축(1)에 편심되게 형성된 제1캠(5)의 닫힘캠면(5-1)에 밀착되어 강화유리 도어가 곧바로 정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컴팩트형 플로어 힌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20)의 내부에 형성된 힌지축홀(21)에는 제1캠(5)의 닫힘캠면(5-1), 90도 열림캠면(5-2)과 115도 열림캠면(5-3)이 형성된 힌지축(1)이 직면부(3)를 갖는 캠홀(2-1)을 관통하여 결합되어, 강화유리 도어를 90도, 115도로 열었을 때,
    케이싱(20)이 강화유리 도어와 함께 힌지축(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힌지축(1)에 편심되게 형성된 제1캠(5)의 90도 열림캠면(5-2)과 115도 열림캠면(5-3)이 피스톤(2)의 캠홀(2-1)에 형성된 직면부(3)에 선택적으로 밀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컴팩트형 플로어 힌지.
  3. 제1항에 있어서, 제1캠(5)의 하부에 형성된 제2캠(10)의 하트캠면(10-1)이 캠홀에 구비된 화살촉형 캠(4)에 밀착되어 강화유리 도어를 닫을 때 서서히 닫힘 상태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컴팩트형 플로어 힌지.
KR1020190083768A 2019-07-11 2019-07-11 도어용 컴팩트형 플로어 힌지 KR202100073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3768A KR20210007388A (ko) 2019-07-11 2019-07-11 도어용 컴팩트형 플로어 힌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3768A KR20210007388A (ko) 2019-07-11 2019-07-11 도어용 컴팩트형 플로어 힌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7388A true KR20210007388A (ko) 2021-01-20

Family

ID=74304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3768A KR20210007388A (ko) 2019-07-11 2019-07-11 도어용 컴팩트형 플로어 힌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738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349215A1 (en) * 2019-11-22 2023-11-02 Portapivot Bv Closure device and self-closing pivot hing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1424A (ko) 2006-12-28 2008-07-03 박형태 콤팩트형 플로어힌지의 힌지본체 위치조정장치
KR101950877B1 (ko) 2018-05-15 2019-02-21 이장우 핀롤러가 구비된 도어용 플로어 힌지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1424A (ko) 2006-12-28 2008-07-03 박형태 콤팩트형 플로어힌지의 힌지본체 위치조정장치
KR101950877B1 (ko) 2018-05-15 2019-02-21 이장우 핀롤러가 구비된 도어용 플로어 힌지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349215A1 (en) * 2019-11-22 2023-11-02 Portapivot Bv Closure device and self-closing pivot hing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010376A1 (en) Hinge
KR101553824B1 (ko) 컴팩트 플로어 힌지
KR101950877B1 (ko) 핀롤러가 구비된 도어용 플로어 힌지 장치
US20200300016A1 (en) Hinge
US7219391B1 (en) Door assembly with concealed door closer
KR20210007388A (ko) 도어용 컴팩트형 플로어 힌지
KR101550499B1 (ko) 자석힌지
KR20180129172A (ko) 유압식 힌지가 상부에 설치되는 문 구조
KR101820631B1 (ko) 플로어 힌지장치
KR102177949B1 (ko) 구조가 개선된 도어 클로저 장치
JPH0243187Y2 (ko)
KR101602660B1 (ko) 미닫이와 여닫이 겸용 문 구조물
CN109415921B (zh) 铰接机构和铰接组件
KR20110002241U (ko) 비상 자동문 잠금장치
KR200223101Y1 (ko) 출입문용 피벗힌지
KR102112164B1 (ko) 보조문 자동 개폐장치
KR102116350B1 (ko) 여닫이 도어의 내장형 양방향 힌지구조
KR100561088B1 (ko) 자성체를 이용한 회전식 방음판의 한계강도 잠금장치
KR20240053142A (ko) 도어용 콤팩트형 플로어 힌지
KR200391475Y1 (ko) 도어의 열림각을 조정 및 제어할 수 있는 경첩
KR20150085615A (ko) 방화문 자동폐쇄장치
KR100381662B1 (ko) 도어 체크
KR102344845B1 (ko) 반자동 스윙도어 힌지장치
KR20180130762A (ko) 자성체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문 구조
JP2001098826A (ja) 扉の開き角度調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