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7161A - 찌 스토퍼 - Google Patents

찌 스토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7161A
KR20210007161A KR1020190083125A KR20190083125A KR20210007161A KR 20210007161 A KR20210007161 A KR 20210007161A KR 1020190083125 A KR1020190083125 A KR 1020190083125A KR 20190083125 A KR20190083125 A KR 20190083125A KR 20210007161 A KR20210007161 A KR 202100071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line
main line
collar
floa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3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몽용
Original Assignee
이몽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몽용 filed Critical 이몽용
Priority to KR1020190083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7161A/ko
Publication of KR20210007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7161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3/00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급한 챔질 등으로 인해 물의 큰 저항이 받더라도 유동찌가 원줄 상에서 채비 쪽으로 밀리는 현상을 완벽하게 방지하여 조과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유동찌용 찌 스토퍼를 제공하려는 것으로서, 상부 및 하부 원추부 그리고 단수의 칼라를 가진 본체와, 상기 각 원추부에 씌워서 낚시대쪽 원줄 부분과 채비쪽 원줄 부분을 협지하는 탄성튜브로 이뤄진 찌 스토퍼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제2 칼라를 형성하되 상기 칼라들 사이에 원줄권취부를 형성한 찌 스토퍼; 상기 원줄권취부에 횡형 뀀공이 형성된 찌 스토퍼를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찌 스토퍼{FLOWABLE FLOAT STOPPER}
본 발명은 갯바위나 선상에서 혹은 저수지나 강에서 찌 낚시를 하면서 급한 챔질 등으로 인하여 물의 큰 저항이 받더라도 유동찌가 원줄 상에서 채비 쪽으로 밀리는 현상을 완벽하게 방지해 조과 향상에 기여할 수 있게 한 찌 스토퍼에 관한 것이다.
갯바위나 선상에서 찌 낚시를 할 때 사용하는 유동찌는 낚으려는 어종과 물때, 수심, 탁도 등의 변수를 고려하여 원줄 상에서의 최고점과 최저점 변경이 용이한 장점 때문에 선호도가 높다. 유동찌의 활동폭은 원줄에 흔히 쓰는 면사 매듭 외에 사출물 같이 정형화한 찌 스토퍼를 장전하여 유동찌를 안정시킨다.
통상의 찌 스토퍼는 본체와 탄성튜브로 구성되며, 본체는 굵기가 일정한 대칭형 테이퍼부의 중간에 탄성튜브의 씌움길이를 제한하는 C형 칼라가 형성되어 있다.
C형 칼라는 일점에 축선방향으로 원줄이 통과할 수 있게 틔운 줄홈이 형성된 것을 말한다. 그리고 탄성튜브는 상기 테이퍼부의 외측단쪽에서 힘주어 씌워서 줄홈을 통과하도록 본체에 길이방향으로 댄 원줄 부분을 탄력적으로 압박해 고정하게 된다. 탄성튜브는 상기 테이퍼부에 준하는 테이퍼형 튜브일 수 있다.
원줄에 상기 찌 스토퍼가 장전된 상태를 보면, 찌 스토퍼에 집힌 원줄 부분은 직선에 가깝다. 이 같이 집힌 원줄 부분이 직선에 가까우면 본체와 탄성튜브와의 협동에 의한 마찰력이 작아서 약한 챔질에도 유동찌의 무게와 그 유동찌에 작용하는 물의 저항으로 인하여 채비쪽으로 쉽게 밀리고, 한 손은 원줄을 잡은 상태에서 다른 손으로 약하게 찌 스토퍼를 잡아당겨도 쉽게 밀리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 낚시를 즐기는 동안 수시로 유동찌의 위치 변동 여부를 살펴서 본래의 위치를 일탈한 유동찌는 찌 스토퍼를 제위치로 되돌리는 수정작업을 반복하게 된다. 실제로 이 작업은 너무 번거롭기 때문에 낚시의 즐거움이 반감되고, 유동찌의 위치 조정에 허비되는 시간만큼 조과에 적잖은 영향을 받는다.
이런 단점을 보완한 것이, 본 출원인의 소유였던 등록실용신안 제20-0438915호의 찌 스토퍼이다. 이 찌 스토퍼는 상기한 기존의 찌 스토퍼를 바탕으로 하되 축의 양단에 내측단이 축 보다도 굵은 테이퍼부를 대칭되게 형성하여 축과의 외경차에 따른 단차가 주어진 본체와, 진입단의 내면에 상기 단차에 대응하는 환턱이 형성된 탄성튜브와의 조합체이다.
넓은 면이 마주보도록 한 2개의 탄성튜브에 원줄을 끼우고, C형 칼라의 줄홈에 원줄이 들어가도록 본체를 댄 다음에 각 탄성튜브를 자기쪽 테이퍼부에 맞추고 각 환턱이 단턱에 합치될 때까지 힘주어 씌우면 본체와 탄성튜브에 의해 집힌 원줄 부분 중에서 단턱과 환턱 사이에 낀 부분이 테이퍼부의 내측단에서 축 쪽으로 꺾이고, 단턱과 축의 경계부에서는 상기와는 반대방향으로 다시 꺾인다. 두 곳에 단턱이 있고 탄성튜브도 2개이므로 전체적으로 협지된 원줄 부분은 4번 꺾인 격이다.
단턱과 환턱의 협동에 의해 찝힌 원줄 부분이 꺾이면 꺾이지 아니한 경우에 비해 집힌 원줄 부분과 본체간의 마찰력이 획기적으로 증대되어 원줄 상에서 찌 스토퍼의 위치안정성이 증대된다.
문제는 이러한 찌 스토퍼도 유동찌가 강한 조류의 저항을 받거나 급격한 챔질로 인해 유동찌가 물의 큰 저항을 받으면 원줄 상에서 유동찌가 채비 쪽으로 밀려 위치가 변하는 경향이 나타나기 때문에 채비의 달라진 수심으로 예민한 어신을 감지하는 데 지장을 받고, 조과에도 좋지 못한 영향을 초래하였다.
도 1과 같이, 상하 원추부(a,a')의 낚시대쪽과 채비쪽 원줄 부분(b,b')을 둘러 감고 각 원추부(a,a')에 낚시대쪽과 채비쪽 원줄 부분(c,d)를 대고 탄성튜브(e,e')를 씌워 협지시키는 변형응용예를 상정할 수 있는데, 문제는 원줄을 각기 자기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감긴 원줄 부분이 그대로 풀리려서 유동찌의 위치변동을 막을 수 없다는 점이다.
또, 도 2에 예시한 바와 같이, 원줄을 칼라(g)의 줄홈(h)에 빗댄 다음에 하부 원추부(a')에 낚시대쪽 원줄 부분(c)을 둘러 감아 칼라(g)의 줄홈(h)을 상향 경유하도록 올려서 상부 원추부(a)에 대고 탄성튜브(e)를 씌워 협지시키며, 상부 원추부(a)에 채비쪽 원줄 부분(c')을 둘러 감아 상기 줄홈(h)을 통해 내리고 하부 원추부(a')에 탄성튜브(e')를 씌워서 협지시키는 변형응용예도 상정할 수는 있으나, 상하 원추부에 각각 한 차례씩 모두 2차례에 걸쳐 원줄을 감아야 하므로 불편하고, 원줄을 감는 시간도 길어 그에 상당하는 만큼 낚시시간이 단축돼 조과를 올리는 데 지장이 있다.
실제로는 도 1, 도 2와 같이 찌 스토퍼에 원줄을 감아 쓰는 예는 없으며, 본 발명자가 연구과정에서 상정해 본 것일 뿐이다.
등록실용신안 제20-0438915호
본 발명은 급한 챔질 등으로 인해 물의 큰 저항이 받더라도 유동찌가 원줄 상에서 채비 쪽으로 밀리는 현상을 완전 방지하여 낚시 중에 수시로 유동찌의 위치를 확인하는 번거로움을 덜어 즐거운 낚시로 조과를 올릴 수 있는 찌 스토퍼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본체의 길이 중간에 원줄을 두 세번 정도 넉넉히 둘러 감을 수 있는 길이의 원줄권취부를 사이에 두고 그 상하에 줄홈을 가진 칼라를 나란히 형성하여 상부 칼라의 줄홈으로 통과시킨 낚시대쪽 원줄 부분을 원줄권취부에 두 세 번 정도 둘러 감은 다음에 하부 칼라의 줄홈을 통과하도록 채비 쪽으로 원줄을 내리고, 상하부 칼라의 외측에 축선 방향으로 형성된 원추부에 탄성튜브를 씌워서 낚시대쪽 및 채비쪽 원줄 부분을 탄력적으로 압박하게 함으로써 어느 방향으로 힘껏 원줄을 잡아당기더라도 원줄권취부에 감긴 원줄 부분이 풀리지 않게 한 찌 스토퍼로 달성할 수 있다.
상기 원줄권취부에 횡형 뀀공을 천공하여 그리로 상부 칼라의 줄홈을 통과한 낚시대쪽 원줄 부분을 꿴 다음에 원줄권취부에 두 세 번 정도 둘러 감아 하부 칼라의 줄홈을 통과하도록 채비쪽으로 내리고, 상하부 칼라의 외측에 축선 방향으로 형성된 원추부에 낚시대쪽 및 채비쪽 원줄 부분을 대고 각각 탄성튜브를 씌워 탄력적으로 협지하게 어느 방향으로 든 힘껏 원줄을 잡아당기더라도 원줄권취부에 감긴 원줄 부분이 풀리지 않게 한 찌 스토퍼로도 달성할 수 있다.
뀀공을 관통하든 그렇지 않든 간에 원줄권취부에 감긴 원줄 부분이 풀리지 않는 한 찌 스토퍼는 특히 채비쪽으로 밀릴 가능성이 전혀 없으므로 낚시 도중에 수시로 유동찌의 위치를 점검해야 하는 수고가 덜어지고, 그래서 보다 즐겁게 낚시할 수 있으며, 낚시를 일시 중지하지 않아도 되므로 낚시시간이 늘어나는 반사적 효과로 조과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칼라의 양측에 형성된 원추부에 원줄을 감고 탄성튜브를 씌워 협지시킨 찌 스토퍼의 상상도.
도 2는 줄홈을 가진 칼라가 주어진 찌 스토퍼의 양측 원추부에 낚시대측 원줄 부분과 채비측 원줄 부분을 감아 각각 탄성튜브로 협지시킨 경우의 상상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찌 스토퍼의 본체 투시도.
도 4는 본체의 평면도.
도 5는 원줄권취부에 원줄을 둘러 감아 고정한 찌스토퍼의 부분 절개 정면도.
도 6은 뀀공을 관통시킨 후의 원줄 부분을 원줄권취부에 둘러 감아 고정한 찌 스토퍼의 부분 절개 측면도.
도 3에서, 찌 스토퍼용 본체(1)는 그 길이의 대략 중간에 원줄을 두세번 정도 넉넉히 둘러 감을 수 있는 원줄권취부(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원줄권취부(2)의 상하에는 상부 칼라(3)와 하부 칼라(4)가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상부 칼라(3)와 하부 칼라(4)는 일부를 틔워서 줄홈(5,6)으로 하며, 이들 중의 어느 하나는 기존의 찌 스토퍼에서 단수이던 것을 1개 증설하고 이들 칼라(3,4) 사이에 자연스레 원줄권취부(2)가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도 4와 함께 부연하면, 상부 줄홈(5)은 낚시대측 원줄 부분을 그리고 줄홈(6)은 채비측 원줄 부분을 각각 통과시키는 데 이용한다.
다시 도 1에서, 상부 칼라(3)의 상면과 하부 칼라(4)의 저면에는 탄성튜브를 꽂는 원추부(7)(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원줄권취부(2)에는 횡형 뀀공(9)을 추가하여 원줄을 꿰어 뺀 다음에 원줄권취부(2)에 권취하는 데 활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도 5에서, 원줄(10)에 상부 탄성튜브(11)와 하부 탄성튜브(12)를 넓은 부분이 마주보도록 끼워 벌리고, 상부 및 하부 탄성튜브(11,12) 사이에 본체(1)를 위치시킨다.
상기 탄성튜브(11)를 하향 관통한 원줄 부분(10a)을 상부 칼라(3)의 줄홈(5)으로 통과시킨 다음에 원줄권취부(2)에 두 세 번 가량 둘러 감는다(10c).
이어서, 원줄의 하부(10b)를 하부 칼라(4)의 줄홈(6)으로 하향 통과시키고, 상부 원추부(7)와 하부 원추부(8)에 상부 탄성튜브(11)와 하부 탄성튜브(12)를 씌워서 낚시대쪽 원줄 부분(10a)과 채비쪽 원줄 부분(10b)을 탄력적으로 협지하게 한다.
이 과정에서, 낚시대쪽 원줄 부분(10a)은 상부 C형 칼라(3)의 줄홈(5)측 하단 모서리(13)에 걸려 옆으로 꺾이고, 채비쪽 원줄 부분(10b)은 하부 칼라(4)의 줄홈(6)측 하단 모서리(14)에 걸려서 아래로 꺾여 감긴 원줄 부분(10a)이 풀리지 않도록 하는 데 일조한다.
이런 식으로 원줄(10)에 찌 스토퍼를 설치하면 어느 방향으로 힘껏 원줄을 잡아당기더라도 원줄권취부(2)에 감긴 원줄 부분(10c)이 풀리지 않는다. 그래서 낚시 도중에 급격한 챔질 등으로 인하여 유동찌가 제위치를 벗어나지 않게 된다.
도 6에서, 원줄(10)에 상부 탄성튜브(11)와 하부 탄성튜브(12)를 넓은 부분이 마주보도록 끼우고, 상부 및 하부 탄성튜브(11,12) 사이에 본체(1)를 위치시킨다.
그리고 상기 탄성튜브(11)를 하향 관통한 원줄 부분(10a)을 상부 C형 칼라(3)의 줄홈(5)으로 통과시킨 다음에 뀀공(9)으로 꿰어 빼고 원줄권취부(2)에 두 세 번 가량 둘러 감는다.
다음으로, 채비쪽 원줄 부분(10b)을 하부 칼라(4)의 줄홈(6)으로 하향 통과시키고, 상부 원추부(7)와 하부 원추부(8)에 상부 탄성튜브(11)와 하부 탄성튜브(12)를 씌워서 낚시대쪽 원줄 부분(10a)과 채비쪽 원줄 부분(10b)을 탄력적으로 협지시킨다.
이 과정에서, 낚시대쪽 원줄 부분(10a)은 뀀공(9)의 상사점부에 걸려 옆으로 꺾이고, 채비쪽 원줄 부분(10b)은 뀀공(9)의 하사점부에 걸려 아래로 꺾여서 원줄권취부(2)에 감긴 원줄 부분(10a)이 풀리지 않게 한다.
뀀공(9)을 활용하여 원줄에 찌 스토퍼를 설치해도 상기한 바와 마찬가지로 어느 방향으로 힘껏 원줄을 잡아당기더라도 원줄권취부(2)에 감긴 원줄 부분(10c)이 풀리지 않아 낚시 도중에 급격한 챔질 등에도 유동찌가 제위치를 벗어나지 않게 된다.
뀀공을 관통하든 그렇지 않든 불문하고 원줄권취부에 감긴 원줄 부분이 풀리지 않는 한 찌 스토퍼가 채비쪽으로 밀릴 가능성은 전혀 없으며, 이에 따라 낚시 도중에 수시로 유동찌의 위치를 점검하는 수고가 덜어져 보다 즐겁게 낚시할 수 있고, 낚시를 일시 중지하던 일도 사라지므로 조과향상에 도움이 된다.
도면 부호 (15)(16)은 탄성튜브(11)(12)의 무단빠짐방지용 환턱을 표시한다.
이렇듯, 본 발명의 찌 스토퍼는 원줄권취부에 단 한 차례 원줄을 둘러 감고 각 방향의 원줄 부분을 탄성튜브로 각 원추부 사이에 찝어물려서 고정하면 찌 스토퍼의 원줄권취부에 감긴 원줄 부분이 풀리지 않아 급한 챔질 등으로 인해 물의 큰 저항이 받더라도 유동찌가 원줄 상에서 채비 쪽으로 전혀 밀리지 않으로 낚시 중에 수시로 유동찌의 위치를 확인하는 번거로움이 덜어지고, 유동찌의 위치확인에 소요되던 시간이 실낚시시간에 포함되므로 조과도 더 올릴 수 있다.
1: 본체 2: 원줄권취부
3: 상부 칼라 4: 하부 칼라
5,6: 줄홈 7,8: 원추부
9: 뀀공 10: 원줄
10a: 감긴 원줄 부분

Claims (2)

  1. 상부 및 하부 원추부 그리고 줄홈이 형성된 단수의 칼라를 가진 본체와, 상기 각 원추부에 씌워서 낚시대쪽 원줄 부분과 채비쪽 원줄 부분을 협지하는 탄성튜브로 이뤄진 찌 스토퍼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상기 칼라와 동형의 제2 칼라를 형성하되 상기 칼라들 사이에 원줄권취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찌 스토퍼.
  2. 제1항에 있어서, 원줄권취부 상에 원줄관통용 횡형 뀀공이 천공된 찌 스토퍼.
KR1020190083125A 2019-07-10 2019-07-10 찌 스토퍼 Ceased KR202100071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3125A KR20210007161A (ko) 2019-07-10 2019-07-10 찌 스토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3125A KR20210007161A (ko) 2019-07-10 2019-07-10 찌 스토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7161A true KR20210007161A (ko) 2021-01-20

Family

ID=74305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3125A Ceased KR20210007161A (ko) 2019-07-10 2019-07-10 찌 스토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716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8915Y1 (ko) 2007-01-24 2008-03-11 이몽룡 유동찌용 찌 스토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8915Y1 (ko) 2007-01-24 2008-03-11 이몽룡 유동찌용 찌 스토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105318A (en) Float with renewable selectively usable spreader
US4117574A (en) Knotless fish line connector
KR102436202B1 (ko) 줄 꼬임 방지용 낚시채비
US3193964A (en) Outrigger fishing line guide
US2908989A (en) Fishing aid
US2592441A (en) Bobber for use in casting for fish
US2841916A (en) Sinkers
KR20210007161A (ko) 찌 스토퍼
US3667149A (en) All-purpose fishing float
CN106508837B (zh) 一种钓鱼器
US2327469A (en) Fishing rod and reel
US20050172535A1 (en) Line guide for fishing rods
US4060927A (en) Fish weight blind binding
US2251721A (en) Fish net float
US4023302A (en) Leader and dropper for fishing lines
KR200438915Y1 (ko) 유동찌용 찌 스토퍼
KR20110116881A (ko) 가짓줄 연결용 낚시채비
JP3226060U (ja) 釣り用具
KR20210007162A (ko) 도래 장착형 찌 스토퍼
CN210746805U (zh) 一种防断渔具
JPH0221913Y2 (ko)
JP4158184B1 (ja) ズレ防止機能つきアタリウキ
KR20190002921U (ko) 찌 쿠션
KR100800535B1 (ko) 구멍찌
US2838254A (en) Yarn bobb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7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11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1030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011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