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7088A - 저전압차동신호용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 Google Patents

저전압차동신호용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7088A
KR20210007088A KR1020190082927A KR20190082927A KR20210007088A KR 20210007088 A KR20210007088 A KR 20210007088A KR 1020190082927 A KR1020190082927 A KR 1020190082927A KR 20190082927 A KR20190082927 A KR 20190082927A KR 20210007088 A KR20210007088 A KR 202100070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ion
flat cable
flexible flat
cut
voltage differen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2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상보
Original Assignee
은성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은성산업(주) filed Critical 은성산업(주)
Priority to KR1020190082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7088A/ko
Publication of KR20210007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70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8Flat or ribbon cables
    • H01B7/0823Parallel wires, incorporated in a flat insulating profi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4Flexible cables, conductors, or cords, e.g. trailing cables

Landscapes

  • Insulated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전압차동신호용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절개부(11)를 포함하는 절개구간(S)과, 도선노출단부(C3)를 포함하는 접속구간(C)으로 구분되며, 절개구간(S)에서 다수개의 도선(13)이 1개의 도선그룹(SG)을 형성되고, 복수개의 도선그룹(SG)이 절개부(11)에 의해 구분되며, 접속구간(C)이 절개구간(S)의 끝에서 도선이 모아지는 플로킹 구간(C1)과, 플로킹 구간(C1)의 끝에서 도선이 일직선으로 연장되는 직선구간(C2)과, 직선구간(C2)에서 도선이 외부로 노출되는 도선노출단부(C3)로 구성됨으로써, 접속구간(C)이 절개구간(S)과 일체로 형성되는 저전압차동신호용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에 있어서, 상기 도선(13)은 절개구간(S)과 접속구간(C)에 해당하는 모든 구간이 직사각형 단면 형상의 평각선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저전압차동신호용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FLEXIBLE FLAT CABLE FOR LOW VALTAGE DIFFERENTIAL SIGNALING}
본 발명은 저전압차동신호용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선 전체가 직사각형 단면 형상의 평각선으로 형성되는 저전압차동신호용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특허 제10-1243297호(2013년 3월 7일, 등록)에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이 소개되어 있다.
상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은 절개부를 포함하는 절개구간과 도선노출단부를 포함하는 접속구간으로 구분되며, 절개구간에서 다수개의 도선이 1개의 도선그룹을 형성되고, 복수개의 도선그룹이 절개부에 의해 구분되고, 절개구간의 측단에 제 1 마진이 형성되며, 접속구간이 절개구간의 끝에서 도선이 모아지는 플로킹 구간과, 플로킹 구간의 끝에서 도선이 일직선으로 연장되는 직선구간과, 직선구간에서 도선이 외부로 노출되는 도선노출단부로 구성됨으로써, 접속구간이 절개구간과 일체로 형성되고, 접속구간이 커넥터 역할을 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은 도선의 형태에 대한 자세한 고찰이 없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6-0005589호 (2016년 1월 15일, 공개)에 "저전압차동신호용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이 소개되어 있다.
상기 저전압차동신호용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은 상부 절연필름 및 하부 절연필름과; 상기 상부 절연필름과 상기 하부 절연필름 사이에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병렬로 배치되어 끼워지는 도선들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상기 도선들은 각각 원형의 단면으로 된 중앙부분과 상기 중앙부분의 단말 부분이 압연되어 상부면과 하부면이 평면으로 되고 열처리된 압연부분을 가지며, 상기 압연부분의 끝 부분이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외부로 노출되어 단말부분을 이루고; 상기 상부 절연필름과 상기 하부 절연필름 사이에 배치된 도선들은 몇 개씩 모여 스트립을 이루며, 상기 상부 절연필름으로부터 상기 스트립 사이를 지나 상기 하부 절연필름까지 관통된 커팅라인을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 저전압차동신호용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은 제조 공정에 외부로 노출되는 단말부분의 도선을 사각형 단면 형상으로 성형하기 위한 압연 공정과 압연과정에서 발생하는 경화를 제거하기 위한 열처리 공정이 추가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선 전체가 직사각형 단면 형상의 평각선으로 형성됨으로써, 제조과정에서 압연 및 열처리 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임피던스 변화 및 노이즈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저전압차동신호용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저전압차동신호용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일례는 절개부를 포함하는 절개구간과, 도선노출단부를 포함하는 접속구간으로 구분되며, 절개구간에서 다수개의 도선이 1개의 도선그룹을 형성되고, 복수개의 도선그룹이 절개부에 의해 구분되며, 접속구간이 절개구간의 끝에서 도선이 모아지는 플로킹 구간과, 플로킹 구간의 끝에서 도선이 일직선으로 연장되는 직선구간과, 직선구간에서 도선이 외부로 노출되는 도선노출단부로 구성됨으로써, 접속구간이 절개구간과 일체로 형성되는 저전압차동신호용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에 있어서, 상기 도선은 절개구간과 접속구간에 해당하는 모든 구간이 직사각형 단면 형상의 평각선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선은 미리 열처리가 완료된 평각선 형태로 상부 필름과 하부 필름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부 필름과 하부 필름을 접합하는 공정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저전압차동신호용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은 제조과정에서 압연 및 열처리 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임피던스 변화 및 노이즈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저전압차동신호용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을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저전압차동신호용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 본 발명에 따른 저전압차동신호용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을 도시한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저전압차동신호용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도선을 도시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저전압차동신호용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은 절개부(11)를 포함하는 절개구간(S)과, 도선노출단부(C3)를 포함하는 접속구간(C)으로 구분되며, 절개구간(S)에서 다수개의 도선(13)이 1개의 도선그룹(SG)을 형성되고, 복수개의 도선그룹(SG)이 절개부(11)에 의해 구분되며, 접속구간(C)이 절개구간(S)의 끝에서 도선이 모아지는 플로킹 구간(C1)과, 플로킹 구간(C1)의 끝에서 도선이 일직선으로 연장되는 직선구간(C2)과, 직선구간(C2)에서 도선이 외부로 노출되는 도선노출단부(C3)로 구성됨으로써, 접속구간(C)이 절개구간(S)과 일체로 형성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도선(13)은 절개구간(S)과 접속구간(C)에 해당하는 모든 구간이 직사각형 단면 형상의 평각선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절개구간(S)과 접속구간(C) 전체가 구간에서 도선(13)의 단면이 모두 직사각형 형상의 평각선으로 형성하게 되면 다음과 같은 장점이 갖게 된다.
첫째,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은 제조 과정에서, 미리 열처리가 완료된 평각선-도선(13)-이 상부 필름(20)과 하부 필름(30)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부 필름(20)과 하부 필름(30)을 접합하는 공정에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6-0005589호에 언급된 압연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즉, 도선노출단부(C3)의 도선을 사각단면 형태로 평각 형태로 압연하고, 압연 과정에서 발생하는 경화를 해소하기 위해 열처리 공정을 거치는 것을 생략할 수 있다.
둘째, 원형 단면의 절개구간에서 사각 단면의 접속구간으로 단면형상이 변경될 때 발생하는 노이즈 유입 또는 임피던스 변화 등을 방지할 수 있다.
11 : 절개부 13 : 도선
C : 접속구간 S : 절개구간

Claims (2)

  1. 절개부(11)를 포함하는 절개구간(S)과, 도선노출단부(C3)를 포함하는 접속구간(C)으로 구분되며, 절개구간(S)에서 다수개의 도선(13)이 1개의 도선그룹(SG)을 형성되고, 복수개의 도선그룹(SG)이 절개부(11)에 의해 구분되며, 접속구간(C)이 절개구간(S)의 끝에서 도선이 모아지는 플로킹 구간(C1)과, 플로킹 구간(C1)의 끝에서 도선이 일직선으로 연장되는 직선구간(C2)과, 직선구간(C2)에서 도선이 외부로 노출되는 도선노출단부(C3)로 구성됨으로써, 접속구간(C)이 절개구간(S)과 일체로 형성되는 저전압차동신호용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에 있어서,
    상기 도선(13)은 절개구간(S)과 접속구간(C)에 해당하는 모든 구간이 직사각형 단면 형상의 평각선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압차동신호용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선(13)은 미리 열처리가 완료된 평각선 형태로 상부 필름(20)과 하부 필름(30)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부 필름(20)과 하부 필름(30)을 접합하는 공정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압차동신호용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KR1020190082927A 2019-07-10 2019-07-10 저전압차동신호용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KR202100070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2927A KR20210007088A (ko) 2019-07-10 2019-07-10 저전압차동신호용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2927A KR20210007088A (ko) 2019-07-10 2019-07-10 저전압차동신호용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7088A true KR20210007088A (ko) 2021-01-20

Family

ID=74304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2927A KR20210007088A (ko) 2019-07-10 2019-07-10 저전압차동신호용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708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51487B2 (en) Multiconductor connector adapted to be connected to a plurality of paired cables for high-speed transmission a signal
US8076580B2 (en) Cable for enhancing biopotential measurements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US4209215A (en) Mass terminable shielded flat flexible cable and method of making such cables
US6050843A (en) Crosstalk canceling 110 index strip and wiring block
JP6170619B2 (ja) 接地クランプを備えたウエハコネクタ
CN110838387B (zh) 低介电含量双轴电缆构造
US9716328B2 (en) Flexible flat cable for 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ATE405936T1 (de) Überwachungskabel
ES2150003T3 (es) Conectador modular con retencion de conductor separable.
HU187989B (en) Connector with u-shaped "lsa-plus" contacts
US7923631B2 (en) Noise-controllable high voltage electric wire
KR20210007088A (ko) 저전압차동신호용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DE69801741T2 (de) Drahtbündel für elektrische Signale
GB2084811A (en) Electrical connecting cable
US5830016A (en) Interference-proof device for electric connector
US4288916A (en) Method of making mass terminable shielded flat flexible cable
US9313885B2 (en) Flexible flat cable for 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US9748721B2 (en) Method of fabricating connector terminals
CN111670519A (zh) 借助于导电灌封料对绞合线对电连接器中的绞合线对进行的屏蔽
JP2003217362A (ja) 通信ケーブル
JP2003016848A (ja) フラットケーブル
CN112118674B (zh) 电路板和连接器
KR101243297B1 (ko)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KR20210037847A (ko) 평각선 타입의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DE102015110059A1 (de) Steckverbinder und Tragschienenprofi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