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5812A - 기체 연료 공급 시스템 및 기체 연료 공급 시스템을 작동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기체 연료 공급 시스템 및 기체 연료 공급 시스템을 작동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5812A
KR20210005812A KR1020200077132A KR20200077132A KR20210005812A KR 20210005812 A KR20210005812 A KR 20210005812A KR 1020200077132 A KR1020200077132 A KR 1020200077132A KR 20200077132 A KR20200077132 A KR 20200077132A KR 20210005812 A KR20210005812 A KR 202100058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eous fuel
stream
high pressure
gas
pressuriz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7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5522B1 (ko
Inventor
키엠트루프 닐스
Original Assignee
만 에너지 솔루션즈, 필리알 아프 만 에너지 솔루션즈 에스이, 티스크란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만 에너지 솔루션즈, 필리알 아프 만 에너지 솔루션즈 에스이, 티스크란드 filed Critical 만 에너지 솔루션즈, 필리알 아프 만 에너지 솔루션즈 에스이, 티스크란드
Publication of KR202100058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58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55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55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38Apparatu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marine vessels, for handling power plant or unit liquids, e.g. lubricants, coolants, fuel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1/00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 F02M21/02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 F02M21/0218Details on the gaseous fuel supply system, e.g. tanks, valves, pipes, pumps, rails, injectors or mixers
    • F02M21/0287Details on the gaseous fuel supply system, e.g. tanks, valves, pipes, pumps, rails, injectors or mixers characterised by the transition from liquid to gaseous phase ; Injection in liquid phase; Cooling and low temperature stor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1/00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 F02M21/02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027Tanks for fuel or the like ; Accessories therefor, e.g. tank filler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25/00Engines characterised by using fresh charge for scavenging cylinders
    • F02B25/02Engines characterised by using fresh charge for scavenging cylinders using unidirectional scavenging
    • F02B25/04Engines having ports both in cylinder head and in cylinder wall near bottom of piston stro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7/00Engines characterised by the fuel-air charge being ignited by compression ignition of an additional fuel
    • F02B7/06Engines characterised by the fuel-air charge being ignited by compression ignition of an additional fuel the fuel in the charge being gaseo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1/00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 F02M21/02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 F02M21/0203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gaseous fuel
    • F02M21/0215Mixtures of gaseous fuels; Natural gas; Biogas; Mine gas; Landfill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1/00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 F02M21/02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 F02M21/0218Details on the gaseous fuel supply system, e.g. tanks, valves, pipes, pumps, rails, injectors or mixers
    • F02M21/0221Fuel storage reservoirs, e.g. cryogenic ta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1/00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 F02M21/02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 F02M21/0218Details on the gaseous fuel supply system, e.g. tanks, valves, pipes, pumps, rails, injectors or mixers
    • F02M21/023Valves; Pressure or flow regulators in the fuel supply or return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1/00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 F02M21/02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 F02M21/0218Details on the gaseous fuel supply system, e.g. tanks, valves, pipes, pumps, rails, injectors or mixers
    • F02M21/0245High pressure fuel supply systems; Rails; Pumps; Arrangement o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1/00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 F02M21/02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 F02M21/06Apparatus for de-liquefying, e.g. by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1/00Apparatus for thermally treating combustion-air, fuel, or fuel-air mixture
    • F02M31/20Apparatus for thermally treating combustion-air, fuel, or fuel-air mixture for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6/00Methods and apparatus for filling 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9/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rom vessels not under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JLIQUEFACTION, SOLIDIFICATION OR SEPARATION OF GASES OR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BY PRESSURE AND COLD TREATMENT OR BY BRINGING THEM INTO THE SUPERCRITICAL STATE
    • F25J1/00Processes or apparatus for liquefying or solidifying gases or gaseous mixtures
    • F25J1/0002Processes or apparatus for liquefying or solidifying gases or gaseous mixtures characterised by the fluid to be liquefied
    • F25J1/0022Hydrocarbons, e.g. natural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75/00Other engines
    • F02B75/02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cycles, e.g. six-stroke
    • F02B2075/022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cycles, e.g. six-stroke having less than six strokes per cycle
    • F02B2075/025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cycles, e.g. six-stroke having less than six strokes per cycle two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3Mixtures
    • F17C2221/032Hydrocarb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7/00Transfer of fluids, i.e. method or means for transferring the fluid; 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1Propulsion of the fluid
    • F17C2227/0128Propulsion of the fluid with pumps or compressors
    • F17C2227/0135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7/00Transfer of fluids, i.e. method or means for transferring the fluid; 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1Propulsion of the fluid
    • F17C2227/0128Propulsion of the fluid with pumps or compressors
    • F17C2227/0157Compres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7/00Transfer of fluids, i.e. method or means for transferring the fluid; 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3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337Heat exchange with the fluid by cooling
    • F17C2227/0339Heat exchange with the fluid by cooling using the same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5/00Effects achieved by gas storage or gas handling
    • F17C2265/03Treating the boil-off
    • F17C2265/032Treating the boil-off by recovery
    • F17C2265/033Treating the boil-off by recovery with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5/00Effects achieved by gas storage or gas handling
    • F17C2265/05Regas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5/00Effects achieved by gas storage or gas handling
    • F17C2265/06Fluid distribu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02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or in the water
    • F17C2270/0105Sh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JLIQUEFACTION, SOLIDIFICATION OR SEPARATION OF GASES OR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BY PRESSURE AND COLD TREATMENT OR BY BRINGING THEM INTO THE SUPERCRITICAL STATE
    • F25J1/00Processes or apparatus for liquefying or solidifying gases or gaseous mixt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30Use of alternative fuels, e.g. biofu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50Measures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related to the propulsion system
    • Y02T70/5218Less carbon-intensive fuels, e.g. natural gas, biofu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Output Control And Ontrol Of Special Type Engine (AREA)

Abstract

가압된 기체 연료를 해양 선박의 주 엔진 및 상기 해양 선박의 다른 기체 연료 컨슈머에 공급하는 시스템 및 상기 기체 연료 공급 시스템을 작동시키는 방법.

Description

기체 연료 공급 시스템 및 기체 연료 공급 시스템을 작동하기 위한 방법{GASEOUS FUEL SUPPLY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GASEOUS FUEL SUPPLY SYSTEM}
본 발명은 크로스헤드를 갖는 대형 2행정 단류(uniflow) 소기식 내연기관에 가압 기체 연료의 공급을 제공하기 위한 기체 연료 공급 시스템 및 상기 기체 연료 공급 시스템을 작동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크로스헤드를 갖는 대형 2행정 터보 차징 단류 소기식 내연기관은 대형 해양 선박의 추진 시스템이나 발전소의 원동기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 2행정 디젤 엔진은 크기가 엄청나게 크기 때문에 다른 내연기관과는 다르게 구성된다.
이러한 대형 2행정 터보 차징 단류 소기식 내연기관은 예컨대, 선박용 디젤유 또는 중유 대신에 예컨대, 액화천연가스(LNG) 또는 액화석유가스(LPG)와 같은 기체 연료를 점점 더 연료로 사용하고 있다. 기체 연료로의 이러한 변화는 주로 배기가스를 줄이고 더 친환경적인 원동기를 제공하려는 요구에 의해 주도되고 있다.
기체 연료의 발전으로 기체 연료를 주 연료로 사용하는 두 가지 서로 다른 유형의 대형 2행정 터보 차징 내연기관이 개발되었다.
제1 유형의 엔진은 기체 연료가 상사점(TDC) 주위에서 고압으로 분사되고 압축에 의해(압축에 의한 고온에 의해) 점화되는 직접 분사식이며, 이들 엔진은 디젤 사이클에 따라 작동된다. 기체 연료는 연소실 내로 분사되는 순간에 점화되며, 낮은 공기과잉률에 따른 조기 점화 또는 높은 공기과잉률에 따른 실화와 관련된 우려가 없다. 제 1 유형의 기체 연료 작동식 대형 2행정 터보 차징 내연기관의 유효 압축비는 종래의 액체 연료 작동식 대형 2행정 터보 차징 내연 기관과 동일하거나 더 높다. 전형적으로, 이러한 유형 엔진의 유효 압축비는 대략 15 내지 17인 반면, 기하학적 압축비는 대략 30이다. 제1 유형 엔진의 장점은 높은 압축비로 인해 연료 효율이 매우 높다는 것이다. 또 다른 장점은 제2 유형의 엔진에 비해 조기 점화와 실화 위험이 훨씬 적다는 것이다.
그러나 TDC에서 또는 그 근처에서 기체 연료를 분사할 수 있으려면, 연료실 내로 기체 연료를 분사하는 연료밸브에 공급되는 기체 연료의 압력이 연소실 내 압축 압력보다 상당히 높아야 한다. 실제로, 기체 연료는 250bar 이상, 바람직하게는 300bar 이상의 압력으로 연소실 내로 분사 되어야 한다. 펌프 또는 펌핑 스테이션은 액화 기체 연료의 압력을 예컨대, 300bar로 증가시키며, 이어서 고압 액화 연료는 고압 증발 유닛에서 기화되어 기체 형태로 고압에서 주 엔진의 연료 분사 밸브로 전달된다. 이 공급 시스템은 종래의 액체 연료 공급 시스템에 비해 비싸다.
천연가스와 같은 기체 연료는 기존 연료에 비해 에너지 밀도가 매우 낮다. 편리한 에너지 공급원으로 사용하려면 밀도를 높여야 한다. 이것은 기체 연료를 극저온 온도로 냉각하여 천연가스를, 예컨대, 액화천연가스(LNG)를 생성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러한 가스 작동 엔진용 기체 연료 공급 시스템은 액화 가스가 저장되어 장기간 액체 상태를 유지하는 단열 탱크를 포함한다. 그러나 주변 환경에서 발생하는 열 유속(heat flux)은 탱크 내부의 온도를 상승시켜 액화 가스를 기화시킨다. 이 과정에서 나오는 가스를 증발가스(BOG: Boil-Off Gas)라고 한다. 탱크에서 증발이 발생하면 기체 연료의 상당한 정류(steady flow)가 유발되어 이를 탱크에서 제거하고 처리해야 한다. 18만m3 LNG선에서 처리해야 하는 BOG의 양은 시간당 수 톤, 일반적으로 약 3,000kg/시이며, 이 유형 LNG선 주 엔진의 가스 발전 수요는 약 4,000kg/시이다(주 엔진의 모든 에너지가 실질적으로 천연가스라고 가정).
압축기를 사용하여 이 증발가스의 압력을 약 300bar의 분사 압력으로 증가시키는 것은 기술적으로 매우 까다롭기 때문에 BOG를 제1 유형의 고압 가스 분사 대형 2행정 터보 차징 내연기관의 연료로 사용할 수 없다.
압축기를 사용하여 BOG의 압력을 예컨대, 10~20bar로 높일 수 있으며, 이 압력으로 기체 연료로 작동할 수 있는 응용 분야 예컨대, 일반적으로 해양 선박에 설치되는 대형 2행정 터보 차징 내연기관과 관련된 발전기 세트에 사용할 수 있다(발전기 세트는 대형 2행정 터보 차징 내연기관보다 상당히 작은 4행정 내연기관이며, 발전기 세트는 해양 선박용 전력과 열 생산을 위해 발전기/교류기를 구동하는 데 사용된다).
또는, 증발가스는 예컨대 극저온 발생기로 다시 액화될 수 있다. 그러나 재액화에는 고가의 장비가 필요하고 상당한 양의 에너지를 소비한다.
마지막 비상 방법으로, 증발가스를 그냥 태울 수 있다.
제WO2016058611A1호는 제1 유형의 대형 2행정 터보 차징 단류 소기식 내연기관을 개시한다.
제DK201670361A1호는 제1 유형의 대형 2행정 터보 차징 단류 소기식 내연기관과 함께 연소실 내로의 고압 분사를 위해 고압 기체 연료를 전달하는 가스 공급 시스템을 개시한다.
제2 유형의 엔진은 기체 연료가 소기와 혼합되는 소위 저압 가스 엔진이고, 이 제2 유형의 엔진은 연소실에서 기체 연료 및 소기의 혼합물을 압축한다. 이 제2 유형의 엔진에서, 기체 연료는 실린더 라이너의 길이를 따라 내측으로 배치된 연료밸브에 의해 유입된다. 즉, 배기밸브가 닫히기 전에 피스톤의 상향 행정 중에 유입된다. 피스톤은 연소실에서 기체 연료와 소기의 혼합물을 압축하고, 압축된 혼합물을 예컨대, 파일럿 오일 분사와 같은 타이밍 된 점화 수단으로 상사점(TDC)에서 또는 그 근처에서 점화시킨다. 이 제2 유형 엔진의 장점은 비교적 낮은 압력에서(예: 15bar) 공급되는 기체 연료로 작동할 수 있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기체 연료가 유입될 때 연소실의 압력이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2 유형의 엔진은 압축기 스테이션을 사용하여 압력이 증가된 BOG로 작동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2 유형의 엔진을 위한 가스 공급 시스템은 제1 유형의 엔진을 위해 필요한 가스 공급 시스템보다 저렴할 수 있다. 특히 제1 유형의 엔진을 위한 가스 공급 시스템은 탱크에 의해 생성된 BOG 스트림을 처리할 수 있어야 하는데 보일러와 발전기 세트는 이 BOG 스트림의 일부만 처리할 수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고가의 액화 시스템이 제1 유형 엔진의 기체 연료 공급 시스템에 설치하여 작동해야 한다.
그러나 제2 유형의 엔진은 연소실에서 혼합물을 압축하기 때문에, 제1 유형의 엔진에 비해 상당히 낮은 유효 압축비로 작동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제1 유형의 엔진은 약 15 내지 약 17의 유효 압축비로 작동하는 반면, 제2 유형의 엔진은 약 7 내지 약 9의 유효 압축비로 작동하며, 제2 유형 엔진의 기하학적 압축비는 대략 13.5이다. 기하학적으로 결정된 압축비가 크게 낮아지면 제1 유형의 엔진에 비해 제2 유형의 엔진의 에너지 효율이 상당히 낮아지고, 또한, 유사한 크기의 제1 유형의 엔진과 비교하여 제2 유형 엔진에 대해 더 낮은 최대 연속 정격 출력을 초래한다.
또한, 제2 유형의 엔진은 일반적으로 안정적인 점화를 제공하기 위해 프리챔버 및 타이밍 된 점화 시스템을 필요로 한다.
제2 유형 엔진의 다른 단점은 (국부적으로) 너무 낮은 공기과잉률 및/또는 너무 높은 벌크 온도로 인한 조기 점화를 피하고 너무 높은 공기과잉률 및/또는 너무 낮은 벌크 온도로 인한 실화를 피하기 위해 피스톤의 상향 행정 동안 연소실의 공기과잉률과 벌크 온도를 매우 정확하게 제어해야 한다. 균질한 혼합물을 생성하는 적절한 혼합은 연소실에서 조기 점화 또는 실화를 일으킬 수 있는 국부 조건을 피하기 위해 중요하다. 연소실에서 이러한 조건을 제어하는 것은 특히 과도 작동에서 어렵다.
제KR20130051539호는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엔진 및 청구항 6의 전제부에 따른 방법을 개시한다.
제DK201770703호는 제2 유형을 포함하는 대형 2행정 터보 차징 단류 소기식 내연기관을 개시한다.
결과적으로, 전술한 제1 유형과 제2 유형 엔진의 단점을 극복하거나 적어도 감소시키는 주 연료로 기체 연료로 작동할 수 있는 대형 2행정 터보 차징 단류 소기식 내연기관이 필요하다.
또한, 전술한 가스 공급 시스템의 단점을 극복하거나 적어도 감소시키는 대형 2행정 터보 차징 단류 소기식 내연기관의 연소에 사용될 수 있는 압력에서 기체 연료를 제공하는 대형 2행정 터보 차징 단류 소기식 내연 기관에 기체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가스 공급 시스템이 필요하다.
특허문헌 1: WO제2016058611A1호 특허문헌 2: DK제201670361A1호 특허문헌 3: DK제201770703호 특허문헌 4: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51539호
전술한 문제점을 극복하거나 적어도 줄이는 엔진과 기체 연료 공급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전술한 목적과 다른 목적은 독립항의 특징에 의해 달성된다. 추가 구현 형태는 종속항과 상세한 설명과 도면을 보면 명백하다.
제1 양태에 따르면, 가압된 기체 연료를 해양 선박의 주 엔진과 해양 선박에서 기체 연료를 소비하는 다른 컨슈머(consumer)에 공급하기 위한 시스템이 제공되며, 상기 시스템은 다음을 포함한다.
극저온 조건에서 액화 기체 연료를 저장하는 저장 탱크;와, 액화 기체 연료를 고압 펌프에 공급하기 위해 입구가 저장 탱크에 연결된 고압 극저온 펌프 유닛;과, 고압 극저온 펌프 유닛의 출구에 연결된 제1 공급 도관;과, 고압 기화기;와, 저장 탱크의 증발 가스 출구를 압축기 유닛의 입구에 연결하여 증발 가스 스트림을 압축기 유닛으로 운반하는 증발 가스 도관;과, 제1 열교환기;와, 가압된 기체 연료의 스트림을 생성하기 위해 증발 가스 스트림의 압력을 증가시키는 압축기 유닛;과, 가압된 기체 연료 스트림의 제1 부분을 하나 이상의 가압된 기체 연료 컨슈머에 운반하기 위해 압축기 유닛의 출구에 연결된 제2 공급 도관;과, 가압된 기체 연료 스트림의 제2 부분을 제1 열교환기를 통해 유동하는 증발 가스와 열을 교환하는 제1 열교환기를 통해 통과시키기 위해 압축기 유닛의 출구에 연결되고, 이어서 가압된 기체 연료 스트림의 제2 부분을 고압 기화기를 통해 통과시켜 고압 기화기를 통해 유동하는 고압 액화 또는 기화된 기체 연료의 스트림과 열을 교환하는 재액화 도관;을 포함하며, 제1 공급 도관은 고압 극저온 펌프 유닛의 출구로부터 연장되어 고압 액화 기체 연료 스트림을 운반하기 위해 고압 기화기를 통과하여 기화기를 통해 고압 액화 기체 연료의 스트림을 주 엔진을 위한 고압 가스 연료 스트림 내로 돌리고; 증발 가스 도관은 제1 열교환기에서 증발 가스의 스트림을 열교환 시키기 위해 제1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압축기로부터 나오는 가압된 기체 연료 스트림의 일부를 열교환기의 증발 가스 스트림과 고압 기화기의 고압 기체 연료의 증기를 이용하여 증발 가스의 일부를 냉각시킴으로써, 증발 가스의 일부는 복잡하고 값 비싼 전용 재액화 장비와 열 에너지를 사용하지 않고 재액화될 수 있으며, 그렇지 않으면 폐기될 열 에너지가 재액화 공정에 사용될 수 있다.
제1 양태의 가능한 구현 형태에서, 시스템은 가압된 기체 스트림의 제2 부분의 스트림을 제출하기 위해 고압 기화기 하류의 재액화 도관 내에 스로틀링 장치 예컨대, 팽창 밸브를 포함한다. 강압된 기체 연료의 스트림을 스로틀링을 통해 통과시킴으로써 기체 연료의 온도와 압력이 크게 나뉘어 재액화 부분이 증가한다.
제1 양태의 가능한 구현 형태에서, 시스템은 고압 기화기 및/또는 스로틀링 과정의 냉각 효과에 의해 생성된 액화 기체 연료를 수집하고 과잉 기체 연료를 재액화 기체 연료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고압 기화기의 하류 또는 스로틀링 장치의 하류에서 재액화 도관에 연결된 분리 용기를 포함한다.
제1 양태의 가능한 구현 형태에서, 시스템은 재액화 기체 연료를 저장 탱크로 운반하고 분리 용기의 가스 출구를 증발 가스 도관에 연결하는 기체 재순환 도관을 포함하기 위해 분리 용기의 액체 출구를 저장 탱크의 입구에 연결하는 재액화 가스 도관을 포함한다.
제1 양태의 가능한 구현 형태에서, 시스템은 고압 기체 연료의 스트림을 주 엔진에 공급하기 전에 고압 가스 연료의 스트림을 가열하기 위해 고압 기화기 하류의 제1 공급 도관 내에 히터를 포함한다.
제1 양태의 가능한 구현 형태에서, 주 엔진은 가압된 기체 연료의 컨슈머 중 하나이다.
제2 양태에 따르면, 해양 선박의 주 엔진에 고압 기체 연료를 공급하고 상기 해양 선박의 가압된 기체 연료를 소비하는 가압된 기체 연료 컨슈머 스트림에 공급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극저온 조건에서 액화 기체 연료를 저장하는 단계;와, 저장된 액화 기체 연료로부터 획득된 액화 기체 연료 스트림을 고압 펌프로 펌핑하여 고압 액화 기체 연료의 스트림을 생성하는 단계;와, 고압 액화 기체 연료 스트림을 가스 연료의 스트림으로 기화시키는 단계;와, 고압 가스 연료의 스트림을 주 엔진에 공급하는 단계;와, 가압된 기체 연료의 스트림을 생성하기 위해 압축기를 통해 저장된 액화 기체 연료로부터 증발 가스 스트림을 안내하는 단계;와, 압축기로부터 가압된 기체 연료 스트림의 제1 부분을 가압된 기체 연료 컨슈머에 공급하는 단계;와, 압축기로부터 가압된 기체 연료 스트림의 제2 부분을 재액화 도관으로 안내하는 단계;와, 제2 부분을 증발 가스 스트림과 열교환 시키는 단계 및 이어서, 고압 액화 기체 연료의 스트림과 제2 부분을 열교환 시키는 단계.
제2 양태에 따른 방법의 장점은 제1 양태에 따른 시스템의 장점과 동일하다.
제2 양태의 가능한 구현 형태에서, 방법은 제2 부분의 적어도 제3 부분을 재 액화시키는 단계와 제3 부분을 저장된 액화 기체 연료에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 양태의 가능한 구현 형태에서, 방법은 제2 부분의 잔류 가스 부분을 증발 가스 스트림에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 양태의 가능한 구현 형태에서, 방법은 제2 부분을 스로틀링 장치를 통해 통과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전술한 문제점을 극복하거나 적어도 줄이는 엔진과 기체 연료 공급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대형 2행정 엔진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 대형 2행정 엔진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대형 2행정 엔진의 제1 개략도이다.
도 4는 실린더 커버와 실린더 커버에 장착된 배기밸브 및 TDC와 BDC 모두에 도시된 피스톤이 포함된 도 1 엔진의 실린더 프레임과 실린더 라이너의 단면도이다.
도 5는 가스 교환 및 연료 분사 사이클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기체 연료 공급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체 연료 공급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린더 프레임과 실린더 라이너의 단면도이다.
하기 상세한 설명에서, 예시적인 실시예의 대형 2행정 저속 터보 차징 내연 크로스 헤드 엔진을 참조하여 내연기관을 설명할 것이다. 도 1, 2 및 3은 크랭크샤프트(8)와 크로스헤드(9)를 갖춘 대형 저속 터보 차징 2행정 내연기관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 및 도 2는 각각 정면도와 측면도이다. 도 3은 흡배기 시스템을 갖춘 대형 저속 터보 차징 2행정 디젤 엔진의 개략도이다. 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엔진은 열을 지은 네 개의 실린더를 구비한다. 대형 저속 터보 차징 2행정 내연기관은 통상적으로 엔진 프레임(11)에 의해 지지가 되는, 열을 지은 4개 내지 14개의 실린더를 갖는다. 이 엔진은 예컨대, 해양 선박의 주 엔진이나 발전소의 발전기를 작동하는 고정식 엔진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 엔진의 총 출력은 예컨대, 1,000 내지 110,000kW 범위일 수 있다. 이 엔진은 작동 모드에서 디젤 사이클 및 오토(Otto) 사이클의 주 연료로 기체 연료와 결합한다. 압축 점화되기는 하지만 피스톤(10)의 압축 행정 동안 유입되는 제1 양의 가압된 기체 연료를 형성하는 공기-연료 혼합물을 압축하기 때문이다. 압축된 공기-연료 혼합물은 제2 양의 고압 가스 하우스 연료가 TDC에서 또는 그 근처에서 분사될 때 점화된다.
엔진의 다른 작동 모드는 압축 행정 동안 연료가 유입되지 않고 TDC에서 또는 그 근처에서 모든 연료가 분사되는 디젤 사이클에 따라 작동할 수 있으며, 이 모드는 또한 주 연료로 기체 연료를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작동 모드에서, 엔진은 모든 기체 연료가 소기와 혼합되고 압축 행정 동안 공기-연료 혼합물이 압축되고 TDC에서 또는 그 근처에서 시간적 점화가 제공되는 오토 사이클에 따라 작동될 수 있다.
상기 엔진은, 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실린더 라이너(1) 하부 영역에 소기 포트(18)가, 실린더 라이너(1) 상단에 중앙 배기밸브(4)가 구비된 2행정 단류 소기 유형의 엔진이다. 따라서, 연소실은 실린더 라이너(1), 하사점(BDC)과 상사점(TDC) 사이에서 실린더 라이너에서 왕복 운동하도록 배치된 피스톤(10) 및 실린더 커버 (22)로 구분된다.
상기 소기는 피스톤이 소기 포트(18) 아래에 있을 때 소기 수용부(2)로부터 개별 실린더(1) 하단의 소기 포트(18)를 통과한다. 피스톤이 상향 이동 중이면서 연료밸브(30)를 통과하기 전일 때 전자 컨트롤러(60)의 제어에 따라 기체 연료 유입 밸브(30)로부터 기체 연료가 유입된다. 연료밸브(30)는 바람직하게는, 실린더 라이너의 원주 둘레에 균일하게 분포하고 실린더 라이너(1) 길이의 중앙 영역 어딘가에 배치된다. 따라서, 기체 연료의 유입은 압축 압력이 비교적 낮을 때, 즉 피스톤이 TDC에 도달하여 압축 압력보다 훨씬 낮을 때 발생한다.
상기 실린더 라이너(1) 내의 피스톤(10)은 충전 기체 연료와 소기를 압축하고, TDC에서 또는 그 근처에서 고압 기체 연료가 연료 분사 밸브(50)를 통해 분사된다. 연소실 또는 TDC 근처의 고압에 의해 야기된 고온에 의한 디젤 원리에 따라 점화가 촉발되며, 연료 분사 밸브(50)에 의해 기체 연료와 함께 분사되거나 바람직하게는 실린더 커버(22)에 배치된 전용 파일럿 오일 연료밸브(51)(미도시)에 의해 전달되는 제3 소량의 파일럿 오일(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점화액)의 지원을 받을 수 있다.
“TDC에서 또는 그 근처에서”는 피스톤이 빨라도 TDC 전 약 15도에 시작하고 늦어도 TDC 후 약 40도에 끝나는 기체 연료의 분사를 포함하는 범위를 의미한다.
이어서 연소가 진행되고 배기가스가 생성된다. 파일럿 오일 연료밸브(50) 대신에 또는 파일럿 연료밸브(50)에 추가하는 대안 형태의 점화 시스템, 예컨대 프리챔버(미도시), 레이저 점화(미도시) 또는 글로(glow) 플러그(미도시)를 사용하여 점화를 시작할 수도 있다.
상기 배기밸브(4)가 열리면 배기가스는 실린더(1)와 결합된 배기 덕트를 통해 배기가스 수용부(3)로 유동하고, 계속해서 제1 배기 도관(19)을 통해 터보차저(5)의 터빈(6)으로 유동한 후, 이 배기가스는 제2 배기 도관을 통해 이코노마이저(20)를 경유하여 출구(21)와 대기 중으로 배출된다. 터빈(6)은 샤프트를 통해 공기 유입구(12)를 경유하여 신선한 공기가 공급되는 압축기(7)를 구동한다. 이 압축기(7)는 소기 수용부(2)에 이르는 소기 도관(13)에 가압된 소기를 전달한다. 이 도관(13) 내 소기는 소기의 냉각을 위해 인터쿨러(14)를 통과한다.
터보차저(5)의 압축기(7)가 소기 수용부(2)에 충분한 압력을 전달하지 않으면, 즉 엔진의 낮은 부하 조건 또는 부분 부하 조건에서는, 냉각된 소기는 소기 유동을 가압하는 전기 모터(17)에 의해 구동되는 보조 송풍기(16)를 경유하여 통과한다. 더 높은 엔진 부하에서, 터보차저 압축기(7)가 충분히 압축된 소기를 전달한 다음, 보조 송풍기(16)가 역류방지밸브(15)를 경유하여 바이패스 된다.
도 3은 신호 라인 또는 다른 통신 채널을 통해 컨트롤러에 엔진의 작동 조건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센서 및 컨트롤러(60)에 의해 제어되는 엔진 부품들에 연결된 예컨대, 전자제어장치와 같은 컨트롤러(60)를 도시한다. 센서들 중 하나가 크랭크 각도 센서의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며, 이는 크랭크샤프트(8)의 회전 각도를 컨트롤러(60)에 통지한다. 컨트롤러(60)는 연료 유입 밸브(30), 연료 분사 밸브(50) 및 배기밸브(4)의 작동을 제어한다.
컨트롤러(60)는 연료 유입 밸브(30)와 연료 분사 밸브(50)에 연결되어 제어하며, 컨트롤러(60)는 BDC로부터 TDC로 가는 피스톤 행정 중에 제2 가압 기체 연료 공급원(35)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연소실 내로 제1 양의 기체 연료가 유입되도록 연료 유입 밸브를 작동시키고, 피스톤(10)이 TDC에 또는 그 근처에 있을 때 가압된 제1 고압 기체 연료 공급원(35)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연소실 내로 제2 양의 기체 연료를 분사하도록 연료 분사 밸브(50)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된다.
도 4는 일반적으로 대형 2행정 크로스헤드 엔진용으로 지정된 실린더 라이너(1)를 도시한다. 엔진 크기에 따라, 실린더 라이너(1)는 전형적으로 250mm 내지 1000mm 범위의 실린더 보어 및 1000mm 내지 4500mm 범위의 대응하는 전형적인 길이의 상이한 크기로 제조될 수 있다. 도 4에서, 실린더 라이너(1)는 실린더 커버(22)가 기밀 인터페이스를 사이에 두고 실린더 라이너(1)의 상부에 배치된 실린더 프레임(23)에 장착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4에서, 피스톤(10)은 하사점(BDC)과 상사점(TDC) 모두에서 점선으로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물론 이 두 위치가 동시에 발생하지 않고 크랭크샤프트(8)의 180도 회전으로 분리된다는 것은 분명하다. 실린더 라이너(1)에는 피스톤(10)이 윤활 라인(24)을 통과할 때 실린더 윤활 오일의 공급을 제공하는 실린더 윤활 구멍(25)과 실린더 윤활 라인(24)이 제공되며, 다음 피스톤 링(미도시)은 실린더 라이너의 작동 표면에 실린더 윤활 오일을 분배한다.
연료 분사 밸브(50)(일반적으로 2개 또는 3개의 연료 분사 밸브(50)가 실린더마다 배기밸브(4) 주위에 원주형으로 분포함)가 실린더 커버(22)에 장착되어 제1 공급 도관(36)을 경유하여 제1 고압 기체 연료 공급원(35)에 연결되고 파일럿 라인(28)을 경유하여 파일럿 오일(27)의 공급원에 연결된다.
제3 점화액의 양은 주어진 엔진 사이클 동안 연소실로 전달되는 모든 연료 발열량의 5% 미만, 바람직하게는 3% 미만을 형성한다.
연료분사밸브(50)는 제DK178519B1호에 개시된 유형일 수 있으며, 이는 소량의 파일럿 오일과 함께 상당한 양의 고압 기체 연료를 연소실에 분사할 수 있다.
연료분사밸브(50)에 의한 고압 기체 연료와 파일럿 오일 분사의 타이밍은 컨트롤러(60)에 의해 제어되며, 컨트롤러(60)는 도 3에 점선으로 개략적으로 표시된 신호 라인을 통해 연료분사밸브(50)에 연결된다.
연료유입밸브(30)는 노즐/유입 개구가 실린더 라이너(1)의 내면 및 실린더 라이너(1)의 외벽으로부터 돌출된 연료밸브(30)의 후단과 실질적으로 같은 높이인 실린더 라이너 내에 설치된다. 전형적으로, 실린더 라이너(1) 주위에 원주 방향으로 분포된 각각의 실린더 라이너(1)에는 하나 또는 두 개, 또는 아마도 세 개 또는 네 개까지 연료유입밸브(30)가 제공된다. 연료유입밸브(30)는 일 실시예에서 실린더 라이너(1)의 길이를 따라 실질적으로 중간에 배열된다.
연료유입밸브(30)에 의한 중압(medium pressure) 기체 연료의 유입은 컨트롤러(60)에 의해 제어되며, 컨트롤러(60)는 일 실시예에서 도 3에 개략적으로 표시된 신호 라인을 통해 연료유입밸브(30)에 연결된다.
엔진은 제1 양의 가압된 기체 연료를 유입하고 단일 엔진 사이클 내에서, 즉 제2 양의 고압 기체 연료를 분사하도록 구성된다.
즉, 제2 양의 고압 기체 연료는 제1 양의 가압된 기체 연료를 유입한 후 피스톤이 TDC에 도달하는 제1 경우에 분사된다.
또한, 도 4는 제1 공급 도관(36)을 통해 실린더 커버(22) 내 각각의 연료분사밸브(50)에 연결된 제1 고압 기체 연료 공급원(35)과 연료 공급 도관(41)을 통해 각각의 기체 연료밸브(30)의 입구에 연결된 제2 중압 기체 연료 공급원(40)을 갖는 엔진의 기체 공급 시스템을 개략적이고 단순화 된 방식으로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고압 기체 연료 공급원(35)의 고압(P1)은 대략 15 내지 45 MPa(150 내지 450bar)일 수 있어, 기체 연료가 피크 압축 압력을 극복하고 TDC에서 또는 그 근처에서 분사될 수 있게 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2 고압 기체 연료 공급원(35)의 중압(P2)은 대략 1 내지 3 MPa(10 내지 30bar)일 수 있어, 기체 연료가 압축 행정 중에 유입될 수 있게 한다.
도 5는 소기 포트(18), 배기밸브(4), 연료유입밸브(30)(GA 연료밸브) 및 연료분사밸브(50)(GI 연료밸브)의 개폐 기간을 크랭크 각도(크랭크샤프트의 각도(8))의 함수로 도시한 그래프이다. 상기 그래프는 기체 연료를 유입하기 위한 창이 비교적 짧으며, 기체 연료가 연소실에서 소기와 혼합되는 데 매우 짧은 시간을 허용함을 보여준다. 매우 짧은 이 창에는 기체 연료가 허용된다. 고압 기체 연료는 TDC 주변의 창에 분사된다. 엔진 사이클당 전달된(유입 및 분사된) 기체 연료의 총량은 엔진 부하에 의해 결정된다. 전달되는 총 기체 연료량은 압력 P2에서 실린더로 유입되는 제1 양의 기체 연료와 압력 P1에서 실린더로 분사되는 제2 양의 고압 기체 연료를 합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실린더로 전달되는 기체 연료 발열량의 대략 70 또는 80%까지는 압력 P2에서 제2 가압 기체 연료 공급원(40)으로부터 유입된 기체 연료이다. 일 실시예에서, 실린더로 전달되는 기체 연료 발열량의 대략 70 또는 80%까지는 압력 P2에서 고압 기체 연료의 제2 공급원(35)으로부터 분사된 기체 연료이다.
따라서, 제1 기체 연료량과 제2 기체 연료량 사이의 비율은 각각의 기체 연료 공급원의 가용 연료량과 일치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즉, 비교적 적은 고압 연료를 제1 공급원에서 이용 가능한 경우, 엔진은 압축 행정 중에 제2 가압 기체 연료 공급원(40)으로부터 실린더에 유입되는 비교적 많은 양의 중압 기체 연료 및 TDC에서 또는 그 근처에 분사되는 비교적 적은 양의 고압 기체 연료로 작동할 수 있다. 한편, 제2 가압 기체 연료 공급원(40)으로부터 비교적 적은 중간 가압된 기체 연료가 이용 가능한 경우, 엔진은 TDC에서 또는 그 근처에서 실린더 내로 분사된 제1 고압 기체 연료 공급원으로부터 비교적 많은 양의 고압 기체 연료와 압축 행정 중에 실린더에 유입된 제2 가압 기체 연료 공급원의 비교적 적은 양의 연료로 작동할 수 있다.
도 6은 대형 2행정 터보 차징 내연기관, 예컨대 도 1 내지 4에 도시된 엔진에 기체 연료를 공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기체 공급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가스 공급 시스템은 일 실시예에서 액화 가스 탱커, 즉 액화천연가스(LNG) 또는 액화석유가스(LPG)와 같은 다량의 액화 기체 연료를 운반하는 해양 선박에 설치된다.
가스 공급 시스템은 가압된 기체 연료를 해양 선박의 주 엔진 및 해양 선박 가스 연료의 다른 컨슈머, 예컨대 해양 선박의 열과 전력을 생산하기 위한 발전기 세트(발전기 세트는 일반적으로 주 엔진보다 상당히 작고 발전기/교류기를 구동하는 4행정 내연기관이다), 특히 주 엔진이 정지된 경우(예: 해양 선박이 화물 운반을 위해 항구에 있을 때) 또는 기체 연료로 작동하는 보일러에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가스 공급 시스템은 또한 TDC에서 또는 그 근처에서 기체 연료를 분사하기 위해 고압 기체 연료를 주 엔진에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가스 공급 시스템은 압력 P2(예: 10 내지 30bar)에서 기체 연료를 제공하기 위해 부호 40(도 6에 점선의 직사각형으로 표시됨)으로 표시되는 제2 가압 기체 연료 공급원을 포함한다. 따라서, 가스 공급 시스템은 압력 P1(예: 150 내지 30bar)에서 기체 연료를 제공하기 위해 부호 35(도 6에 점선의 직사각형으로 표시됨)로 표시되는 제1 고압 기체 연료 공급원을 포함한다.
기체 연료 공급 시스템은 극저온 조건에서 액화 기체 연료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단열) 저장 탱크(26) 및 고압 극저온 펌프 유닛(37)을 포함한다. 고압 극저온 펌프 유닛(37)의 입구는 액화 기체 연료를 고압 극저온 펌프 유닛(37)에 공급하기 위해 저장 탱크에 연결된다. 고압 극저온 펌프로의 극저온 액화 기체 연료의 스트림은 일반적으로 0보다 약간 높은 bar와 10bar 사이 압력, 예컨대 약 5bar 압력 및 예컨대 약 110K의 온도를 갖는다.
제1 공급 도관(36)은 고압 극저온 펌프 유닛(37)의 출구에 연결되어 고압 기화기(38)를 통해 고압 극저온 펌프 유닛(37)으로부터 고압 액화 기체 연료 스트림을 운반하고, 상기 고압 기화기(38)에서, 고압(기화된) 기체 연료의 스트림은 히터(39)를 통과한 후 주 엔진의 고압 연료 분사 시스템으로 운반된다. 히터(39)에서 고압 기체 연료의 스트림을 가열하는 단계는 선택적이고, 주 엔진의 분사 시스템으로 전달되는 기체 연료가 분사 시스템에 의해 처리되기에 충분히 따뜻해지도록 보장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상기 분사 시스템이 극저온 온도를 처리하기에 적합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되는 재료와 분사 시스템의 구성에 따라 스트림 고압 기체 연료의 온도 상승이 종종 필요하다).
고압 극저온 펌프 유닛(37)을 떠나는 고압 기체 연료의 스트림은 일반적으로 150 내지 450bar 사이, 예컨대 350bar 및 예컨대 약 119K의 온도를 갖는다.
고압 기화기(38)를 떠나는 고압 (기화) 기체 연료의 스트림은 일반적으로 150 내지 450bar 사이, 예컨대 350bar 및 예컨대 약 154K의 온도를 갖는다. 히터(39)를 통과한 후, 고압 기체 연료 스트림의 온도는 실질적으로 변화되지 않은 압력 및 예컨대 약 318K의 온도를 갖는다.
따라서, 고압 액화 기체 연료의 스트림은 실시예에서 150bar를 넘는 압력을 가지며, 주 엔진에서 분사를 위해 고압 액화 기체 연료 스트림을 고압 기체 연료의 스트림으로 변환하기 위해 고압 기화기(38)를 통과한다.
증발 가스 도관(42)은 저장 탱크의 증발 가스 출구를 압축기 유닛(48)의 입구에 연결하여 증발 가스 스트림을 압축기 유닛으로 운반한다. 증발 가스 도관(42)에는 압축기 유닛(48)으로 가는 증발 가스 스트림의 온도를 높이기 위해 제1 열교환기(43)가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증발 가스 도관(42)의 증발 가스의 압력은 대략 1bar이고, 예컨대 약 140K의 온도를 갖는다. 열교환기(43)를 통과한 후 온도는 예컨대 약 230K로 상승한다.
압축기 유닛(48)은 예컨대, 약 15bar의 압력 및 약 318K의 온도로 출구에서 가압된 기체 연료의 스트림을 생성하기 위해 증발 가스 스트림의 압력을 높인다. 압축기 유닛(48) 일 실시예에서, 일단 압축기 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다단 압축기 유닛일 수 있고 각 단 후에 냉각기(45)를 포함한다.
제2 공급 도관(41)은 예컨대, 가압된 기체 연료의 하나 이상의 컨슈머(예: 압축 행정 중에 가압된 기체 연료의 유입을 위한 주 엔진, 또는 발전기 공급 도관(47)을 통해 발전기 세트 또는 보일러)에 가압된 기체 연료 스트림의 제1 부분을 운반하기 위해 압축기 유닛(48)의 출구에 연결된다.
재액화 도관(46) 또한 압축기 유닛(48)의 출구에 연결되고 열교환기(43)를 통해 유동하는 증발 가스와 열을 교환하기 위해 열교환기(43)를 통해 가압된 가스 연료 스트림의 제2 부분을 운반하며, 이어서 고압 기화기(38)를 통해 유동하는 고압 액화 또는 기화된 기체 연료의 스트림과 열을 교환하기 위해 고압 기화기(38)를 통해 가압된 기체 연료의 스트림을 통과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가압된 기체 연료의 스트림이 열교환기(43)를 통과한 후에는, 예컨대 온도는 159K이고 실질적으로 변하지 않는 압력은 약 15bar이다. 고압 기화기(38)를 통해 가압된 기체 연료의 스트림을 가압한 후, 기화되는 고압 기체 연료의 스트림에 의해 냉각되고, 예컨대, 온도는 122K이고 실질적으로 변하지 않는 약 15bar의 압력을 갖으며, 재액화 도관(46) 내 대부분의 가압된 기체 연료의 스트림은 재액화 된다.
고압 기화기(38)의 하류에서 재액화 도관(46)은 고압 기화기(38)의 냉각 효과에 의해 생성된 액화 기체 연료를 수집하기 위해 분리 용기(32)에 연결된다. 분리 용기(32)는 재액화 기체 연료 형태의 증류(still) 가스 연료를 분리한다. 재액화 가스 도관(33)은 재액화 기체 연료를 저장 탱크(26)로 운반하기 위해 분리 용기(32)의 액체 출구를 저장 탱크(26)의 입구에 연결한다. 기체 재순환 도관(34)은 분리 용기(32)의 가스 배출구를 증발 가스 도관(42)에 연결하여 잔류 기체 연료가 다른 액화 사이클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한다. 도 7은 도 6의 실시예에 따른 가스 공급 시스템과 본질적으로 동일한 기체 연료 공급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7의 실시예에서, 본 명세서에서 앞서 설명하거나 도시한, 대응하는 구조 및 특징과 같거나 유사한 구조 및 특징은 단순화를 위해 종전에 사용한 것과 같은 부호로 표시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재액화 도관(46)에는 스로틀링 장치(29), 예컨대 팽창 밸브(29)가 기화기(38)와 분리 용기(32) 사이에 추가되어 가압된 가스 스트림의 제2 부분을 스로틀링 과정에 제출한다.
스로틀링 장치(29)는 일 실시예에서 팽창 밸브(29)이다. 스로틀링 장치(29)는 추가적인 냉각 효과인 줄-톰슨 효과(줄-켈빈 효과, 켈빈-줄 효과라고도 함)를 제공한다. 줄-톰슨 효과는 실제 가스 또는 액체의 온도 변화를 (이상적인 가스와 구별하여) 밸브 또는 다공성 플러그를 통해 강제로 단열시켜 열이 환경과 교환되지 않도록 한다. 이 절차를 스로틀링 과정 또는 줄-톰슨 프로세스라고 한다. 천연가스 또는 석유 가스와 같은 기체 연료는 오리피스를 통해 스로틀링 될 때 줄-톰슨 과정에 의한 팽창으로 냉각된다. 가스 냉각 스로틀링 과정은 일반적으로 에어컨, 열 펌프 및 액화 장치와 같은 냉각 공정에서 이용된다.
기체 연료 공급 시스템에서 증발 가스의 액화는 일반적으로 기체의 액화에 사용되는 Hampson-Linde 주기와 유사하다. Hampson-Linde 주기는 줄-톰슨 효과에 의존하며 다음 단계를 수행한다.
1) 압축기 유닛(48)에서 가압된 기체 연료를 압축으로 가열하여 외부 에너지를 부가함으로써 주기를 통과하는 데 필요한 것을 제공하는 단계,
2) 열교환기(43)에서 다음 단계(및 마지막 단계)로부터 가스를 복귀시켜 냉각시키는 단계,
3) 기체를 더 차가운 환경에 침지시키고 고압 기화기(38)에서 그 열(및 에너지)의 일부를 잃는 단계,
4) 줄-톰슨 오리피스를 통해 기체를 통과시켜 열을 제거하지만 운동 에너지가 아닌 위치(potential) 에너지인 에너지를 보존함으로써 추가로 냉각되는 단계.
대부분의 기체 연료가 재액화되고 현재 주기에서 가장 냉각된 나머지 기체 연료가 재순환되어 압축기 유닛(48)으로 다시 보내지고, 열교환기(43)에서 쿨런트로 참여할 때 가열되어, 1단계로 다시 보내져 다음 주기를 시작하고 압축기 유닛(48)에서 압축에 의해 재가열된다.
가스 공급 시스템은 저장 탱크에 의해 생성된 모든 증발 가스를 처리할 수 있는 약 10 내지 20bar의 압력을 제공하는 압축기와 최대 엔진 부하에서 엔진에 필요한 연료 총량의 30~50%를 제공하는 고압 기화 시스템으로 비교적 단순화할 수 있다.
가스 공급 시스템은 고유한 중복성이 있어 별도의 중복 시스템을 피함으로써 비용을 절감한다.
도 8은 도 1 내지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가스 공급 시스템과 본질적으로 동일한 대형 2행정 터보 차징 내연기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8의 실시예에서, 본 명세서에서 앞서 설명하거나 도시한, 대응하는 구조 및 특징과 같거나 유사한 구조 및 특징은 단순화를 위해 종전에 사용한 것과 같은 부호로 표시한다. 도 1 내지 도 4의 실시예에 대한 본 실시예의 주요 차이점은 기체 연료 유입 밸브(30)가 실린더 커버(22)에 배치된다는 것이다. 이 실시예는 모든 연료밸브(30, 50)가 실린더 커버(22) 내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다양한 양태와 실시예가 본원의 다양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다. 그러나 개시된 실시예에 대한 다른 변형은 도면, 개시 및 첨부한 청구 범위의 연구로 청구된 주제를 실시할 때 당업자가 이해하고 수행할 수 있다. 청구 범위에서,“포함하는”이라는 단어는 다른 요소 또는 단계를 배제하지 않으며, 부정 관사 “하나” 또는 “한”은 복수를 배제하지 않는다. 단일 프로세서, 컨트롤러 또는 다른 유닛은 청구 범위에 인용된 여러 항목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특정 조치가 단순히 서로 다른 종속항에 인용되어 있다는 사실로 측정된 이들 조합이 유리하게 사용될 수 없다는 것을 나타내지 않는다. 청구 범위에 사용된 참조 부호는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하지 않아야 한다.
1: 실린더 라이너
4: 배기밸브
10: 피스톤
18: 소기포트
26: 저장 탱크
36: 제1 공급 도관
37: 고압 극저온 펌프 유닛
38: 고압 기화기
41: 제2 공급 도관
42: 증발 가스 도관
43: 제1 열교환기
46: 재액화 도관
48: 압축기 유닛

Claims (9)

  1. 가압된 기체 연료를 해양 선박의 주 엔진 및 상기 해양 선박의 기체 연료를 소비하는 다른 컨슈머(consumer)에 공급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극저온 조건에서 액화 기체 연료를 저장하는 저장 탱크(26);
    액화 기체 연료를 고압 극저온 펌프 유닛(37)에 공급하기 위해 상기 저장 탱크에 입구가 연결되는 상기 고압 극저온 펌프 유닛(37);
    상기 고압 극저온 펌프 유닛(37)의 출구에 연결되는 제1 공급 도관(36);
    고압 기화기(38);
    상기 저장 탱크(26)의 증발 가스 출구를 압축기 유닛(48)의 입구에 연결하여 증발 가스의 스트림을 상기 압축기 유닛(48)으로 운반하는 증발 가스 도관(42);
    제1 열교환기(43);
    상기 가압된 기체 연료 스트림의 제1 부분을 상기 하나 이상의 가압된 기체 연료 컨슈머로 운반하기 위해 상기 압축기 유닛(48)의 출구에 연결되는 제2 공급 도관(41); 및
    상기 가압된 기체 연료 스트림의 제2 부분을 상기 제1 열교환기(43)를 통해 유동하는 상기 증발 가스와 열을 교환하는 상기 제1 열교환기(43)를 통해 통과시키기 위해 상기 압축기 유닛(48)의 상기 출구에 연결되고, 이어서 상기 가압된 기체 연료의 스트림의 제2 부분을 통과하여 상기 고압 기화기(38)를 통해 유동하는 상기 고압 액화 또는 기화 기체 연료의 스트림과 열을 교환하기 위한 재액화 도관(46);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공급 도관(36)은 상기 고압 극저온 펌프 유닛(37)의 출구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고압 기화기(38)를 통해 고압 액화 기체 연료의 스트림을 운반하기 위해 상기 고압 기화기(38)를 통과하여 상기 고압 액화 기체 연료의 스트림을 상기 주 엔진에 대한 고압 가스 연료 스트림 내로 돌리고;
    상기 증발 가스 도관(42)은 상기 제1 열교환기(43)에서 상기 증발 가스의 스트림을 열교환시키기 위해 상기 제1 열교환기(43)를 통과하고; 및
    상기 압축기 유닛(48)은 가압된 기체 연료의 스트림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증발 가스 스트림의 압력을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된 기체 연료를 해양 선박의 주 엔진 및 상기 해양 선박의 기체 연료를 소비하는 다른 컨슈머에 공급하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된 기체 연료의 스트림을 스로틀링 과정에 제출하기 위해 상기 고압 기화기(38) 하류의 상기 재액화 도관(46) 내에 스로틀링 장치(29), 예컨대, 팽창 밸브(29)를 포함하는, 가압된 기체 연료를 해양 선박의 주 엔진 및 상기 해양 선박의 기체 연료를 소비하는 다른 컨슈머에 공급하는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 기화기(38) 및/또는 상기 스로틀링 과정의 냉각 효과에 의해 생성된 액화 기체 연료를 수집하고 과잉 기체 연료를 재액화 기체 연료와 분리하기 위한 상기 고압 기화기(38)의 하류에서 또는 상기 스로틀링 장치(29)의 하류에서 상기 재액화 도관(46)에 연결된 분리 용기(32)를 포함하는, 가압된 기체 연료를 해양 선박의 주 엔진 및 상기 해양 선박의 기체 연료를 소비하는 다른 컨슈머에 공급하는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재액화 기체 연료를 상기 저장 탱크(26)로 운반하고 상기 분리 용기(32)의 기체 출구를 상기 증발 가스 도관(42)에 연결하는 기체 재순환 도관(34)을 포함하기 위해 상기 분리 용기(32)의 액체 출구를 상기 저장 탱크(26)의 입구에 연결하는 재액화 가스 도관(33)을 포함하는, 가압된 기체 연료를 해양 선박의 주 엔진 및 상기 해양 선박의 기체 연료를 소비하는 다른 컨슈머에 공급하는 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 기체 연료의 스트림을 상기 주 엔진에 공급하기 전에 상기 고압 기체 연료의 스트림을 가열하기 위해 상기 고압 기화기(38) 하류에서 상기 제1 공급 도관(36) 내에 히터(39)를 포함하는, 가압된 기체 연료를 해양 선박의 주 엔진 및 상기 해양 선박의 기체 연료를 소비하는 다른 컨슈머에 공급하는 시스템.
  6. 해양 선박의 주 엔진에 고압 기체 연료를 공급하고 상기 해양 선박의 가압된 기체 연료를 소비하는 가압된 기체 연료 컨슈머의 스트림을 공급하는 방법에 있어서,
    극저온 조건에서 액화 기체 연료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액화 기체 연료로부터 획득된 액화 기체 연료의 스트림을 고압 극저온 펌프 유닛(37)으로 펌핑하여 고압 액화 기체 연료의 스트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고압 액화 기체 연료의 스트림을 기체 연료의 스트림으로 기화시키는 단계;
    상기 고압 기체 연료의 스트림을 상기 주 엔진에 공급하는 단계;
    가압된 기체 연료의 스트림을 생성하기 위해 압축기(48)를 통해 상기 저장된 액화 기체 연료로부터 증발 가스의 스트림을 안내하는 단계; 및
    상기 압축기(48)로부터 상기 가압된 기체 연료 스트림의 제1 부분을 상기 가압된 기체 연료의 컨슈머에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압축기(48)로부터 상기 가압된 기체 연료 스트림의 제2 부분을 재액화 도관(46)으로 안내하는 단계;
    상기 제2 부분을 상기 증발 가스의 스트림과 열교환 시키는 단계: 및
    상기 고압 액화 기체 연료의 스트림과 상기 제2 부분을 열교환 시키는 단계;를 특징으로 하는, 해양 선박의 주 엔진에 고압 기체 연료를 공급하고 상기 해양 선박의 가압된 기체 연료를 소비하는 가압된 기체 연료 컨슈머의 스트림을 공급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의 적어도 제3 부분을 재액화시키고,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3 부분을 상기 저장된 액화 기체 연료에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해양 선박의 주 엔진에 고압 기체 연료를 공급하고 상기 해양 선박의 가압된 기체 연료를 소비하는 가압된 기체 연료 컨슈머의 스트림을 공급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 가스의 스트림에 상기 제2 부분의 잔류 기체 부분을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해양 선박의 주 엔진에 고압 기체 연료를 공급하고 상기 해양 선박의 가압된 기체 연료를 소비하는 가압된 기체 연료 컨슈머의 스트림을 공급하는 방법.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을 스로틀링 장치(29)를 통해 통과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해양 선박의 주 엔진에 고압 기체 연료를 공급하고 상기 해양 선박의 가압된 기체 연료를 소비하는 가압된 기체 연료 컨슈머의 스트림을 공급하는 방법.




KR1020200077132A 2019-07-05 2020-06-24 기체 연료 공급 시스템 및 기체 연료 공급 시스템을 작동하기 위한 방법 KR1023155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KPA201970440A DK180290B1 (en) 2019-07-05 2019-07-05 A gaseous fuel supply system and a method for operating the gaseous fuel supply system
DKPA201970440 2019-07-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5812A true KR20210005812A (ko) 2021-01-15
KR102315522B1 KR102315522B1 (ko) 2021-10-22

Family

ID=72717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7132A KR102315522B1 (ko) 2019-07-05 2020-06-24 기체 연료 공급 시스템 및 기체 연료 공급 시스템을 작동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2) JP7390257B2 (ko)
KR (1) KR102315522B1 (ko)
CN (1) CN112177806B (ko)
DK (1) DK1802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181214B1 (en) 2021-10-26 2023-05-09 Man Energy Solutions Filial Af Man Energy Solutions Se Tyskland A large two-stroke uniflow scavenged gaseous fueled eng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upply of liquid fuel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1539A (ko) 2011-11-10 2013-05-2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엔진의 연료 공급장치 및 방법
KR20140052897A (ko) * 2012-10-24 2014-05-0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WO2016058611A1 (en) 2014-10-17 2016-04-21 Man Diesel & Turbo, Filial Af Man Diesel & Turbo Se, Tyskland A fuel valve for injecting gaseous fuel into a combustion chamber of a self-igni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method
DK201670361A1 (en) 2016-05-26 2016-07-04 Man Diesel & Turbo Filial Af Man Diesel & Turbo Se Tyskland Fuel or lubrication pump for a large two-stroke compression-ignited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20160099211A (ko) * 2015-02-12 2016-08-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KR20190022200A (ko) * 2017-08-25 2019-03-06 주식회사 동화엔텍 천연가스 연료 공급 시스템
DK201770703A1 (en) 2017-09-19 2019-04-03 MAN Energy Solutions A LARGE TWO-STROKE UNIFLOW SCAVENGED GASEOUS FUELED ENGIN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072885A1 (en) * 2007-12-21 2009-06-24 Cryostar SAS Natural gas supply method and apparatus.
CA2812233A1 (en) * 2010-09-30 2012-04-05 General Electric Company Fuel storage system
CA2716283C (en) * 2010-10-01 2013-07-30 Westport Power Inc. Two engine system with a gaseous fuel stored in liquefied form
EP2715259A4 (en) * 2011-05-30 2015-10-21 Wärtsilä Oil & Gas Systems As USE OF LIQUEFIED NATURAL GAS USED FOR FUEL FOR LIQUEFIING LIQUEFIED PETROLEUM GAS BOILING
KR101441242B1 (ko) * 2013-04-24 2014-09-1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Lng 연료 공급 시스템
JP5746301B2 (ja) * 2013-10-11 2015-07-08 三井造船株式会社 液化ガス運搬船用燃料ガス供給システム
CN104265512B (zh) * 2014-09-17 2017-05-24 刘国满 一种船舶动力装置的高压/低压燃气供应系统
KR101644386B1 (ko) * 2015-06-10 2016-08-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JP6592354B2 (ja) * 2015-11-06 2019-10-16 川崎重工業株式会社 船舶
GB201600904D0 (en) * 2016-01-18 2016-03-02 Linde Ag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ressing evaporated gas
JP6757191B2 (ja) * 2016-07-05 2020-09-16 川崎重工業株式会社 船舶
JP6815213B2 (ja) * 2017-01-30 2021-01-20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ボイルオフガス回収システム
KR101908570B1 (ko) * 2017-08-01 2018-10-1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용 증발가스 재액화 시스템 및 방법
JP2022098544A (ja) * 2020-12-22 2022-07-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1539A (ko) 2011-11-10 2013-05-2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엔진의 연료 공급장치 및 방법
KR20140052897A (ko) * 2012-10-24 2014-05-0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WO2016058611A1 (en) 2014-10-17 2016-04-21 Man Diesel & Turbo, Filial Af Man Diesel & Turbo Se, Tyskland A fuel valve for injecting gaseous fuel into a combustion chamber of a self-igni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method
KR20160099211A (ko) * 2015-02-12 2016-08-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DK201670361A1 (en) 2016-05-26 2016-07-04 Man Diesel & Turbo Filial Af Man Diesel & Turbo Se Tyskland Fuel or lubrication pump for a large two-stroke compression-ignited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20190022200A (ko) * 2017-08-25 2019-03-06 주식회사 동화엔텍 천연가스 연료 공급 시스템
DK201770703A1 (en) 2017-09-19 2019-04-03 MAN Energy Solutions A LARGE TWO-STROKE UNIFLOW SCAVENGED GASEOUS FUELED ENG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126753A (ja) 2022-08-30
DK201970440A1 (en) 2020-10-08
CN112177806A (zh) 2021-01-05
KR102315522B1 (ko) 2021-10-22
CN112177806B (zh) 2022-04-01
JP7390257B2 (ja) 2023-12-01
JP2021011869A (ja) 2021-02-04
DK180290B1 (en) 2020-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5808B1 (ko) 대형 2행정 단류 소기식 기체 연료 엔진
AU657189B2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with cooling of intake air using refrigeration of liquefied fuel gas
KR102330222B1 (ko) 기체 연료 모드를 갖춘 대형 2행정 단류 소기식 엔진
JP2020507703A (ja) 液化天然ガスを燃料として用いる船舶の燃料供給システム及び燃料供給方法
JP6482596B2 (ja) 大型2ストローク圧縮点火高圧ガス噴射内燃エンジンのための燃料供給システム
KR102315522B1 (ko) 기체 연료 공급 시스템 및 기체 연료 공급 시스템을 작동하기 위한 방법
KR101186290B1 (ko) 브라운 가스를 이용하는 엔진 시스템 및 엔진의 구동방법
DK180711B1 (en) A gaseous fuel supply system for a main internal combustion engine of a marine vessel, a power system for a marine vessel, a marine vessel and a method of sub-cooling liquefied gaseous fuel stored in a gaseous fuel storage tank
DK180891B1 (en) A large two-stroke uniflow scavenged engine with a gaseous fuel mode
DK202070189A1 (en) A GASEOUS FUEL SUPPLY SYSTEM FOR A MAIN INTERNAL COMBUSTION ENGINE OF A MARINE VESSEL, A POWER SYSTEM FOR A MARINE VESSEL AND A METHOD FOR SUPPLYING GASEOUS FUEL
DK181455B1 (en) Method and large two-stroke uniflow scavenged internal combustion engine for carbon dioxide capture
KR102589456B1 (ko) 선박의 연료 공급 시스템 및 방법
JP2023010579A (ja) 2ストロークユニフロー掃気クロスヘッド式内燃機関及びこれを動作させる方法
KR20240045427A (ko) 선박용 연료공급시스템 및 방법
KR102175551B1 (ko) 가스 처리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2200363B1 (ko) 가스 처리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20190130731A (ko) 가스 처리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