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5734A - 랜덤 액세스 방법 및 통신 기기 - Google Patents

랜덤 액세스 방법 및 통신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5734A
KR20210005734A KR1020207035655A KR20207035655A KR20210005734A KR 20210005734 A KR20210005734 A KR 20210005734A KR 1020207035655 A KR1020207035655 A KR 1020207035655A KR 20207035655 A KR20207035655 A KR 20207035655A KR 20210005734 A KR20210005734 A KR 202100057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wnlink
message
uplink
selectable
random ac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5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0043B1 (ko
Inventor
리 첸
Original Assignee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057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57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0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00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33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73Predicting channel quality or other radio frequency [RF]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using two or more beams, i.e. beam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95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8Cell structures using beam ste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랜덤 액세스 방법 및 통신 기기를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선택가능한 빔중의 타겟 빔을 채용하여 랜덤 액세스 과정중의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그 중, 상기 랜덤 액세스 과정중의 메시지는 Msg1, Msg2, Msg3 또는 Msg4이다.

Description

랜덤 액세스 방법 및 통신 기기
관련 출원에 대한 참조
본 출원은 2018년 5월 10일 중국에 제출한 중국 특허 출원 제 201810444645.2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을 본 출원에 원용한다.
본 개시는 통신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랜덤 액세스 방법 및 통신 기기에 관한 것이다.
이동 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라, 미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예하면 제5대(5th generation,5G)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다운링크 전송 레이트는 20Gbps이고, 업링크 전송 레이트는 10Gbps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고주파수 통신 및 대규모 안테나 기술들을 도입시켰다. 고주파수 통신은 더 넓은 시스템 대역폭을 제공할 수 있고, 안테나 사이즈도 더 작을 수 있는바, 따라서 대규모 안테나가 기지국 및 사용자 기기(User Equipment,UE)중에 배치되는 것에 유리하다. 고주파수 통신은 경로 손실이 크고, 쉽게 간섭을 받으며, 링크가 취약한 결점들이 존재하지만, 대규모 안테나 기술은 비교적 큰 안테나 게인을 제공할 수 있어, 따라서, 고주파수 통신과 대규모 안테나의 결합은 미래 이동 통신 시스템(예컨대 5G)의 필연한 트랜드이다.
미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랜덤 액세스 과정에서 대규모 안테나중의 멀티 빔(즉 Beam)을 채용하여 랜덤 액세스 과정중의 각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다. 그러나, 관련기술에서, 어떻게 빔을 토대로 랜덤 액세스 과정중의 메시지를 송수신할지에 대해, 관련된 해결 방안이 없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랜덤 액세스 방법 및 통신 기기를 제공하여, 랜덤 액세스 과정중의 메시지를 송수신하기 위한 빔의 선택을 규범화하려 한다.
제1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랜덤 액세스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선택가능한 빔중의 타겟 빔을 채용하여 랜덤 액세스 과정중의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그 중, 상기 랜덤 액세스 과정중의 메시지는 Msg1, Msg2, Msg3 또는 Msg4이다.
제2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통신 기기를 제공한다. 상기 통신 기기는:
선택가능한 빔중의 타겟 빔을 채용하여 랜덤 액세스 과정중의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 모듈을 포함하며;
그 중, 상기 랜덤 액세스 과정중의 메시지는 Msg1, Msg2, Msg3 또는 Msg4이다.
제3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통신 기기를 제공하며, 상기 통신 기기는: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술한 랜덤 액세스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제4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며,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술한 랜덤 액세스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선택가능한 빔중의 타겟 빔을 채용하는 것을 통해 랜덤 액세스 과정중의 메시지를 전송하며; 그 중, 상기 랜덤 액세스 과정중의 메시지는 Msg1, Msg2, Msg3 또는 Msg4이다. 이로서, 빔을 토대로한 랜덤 액세스 과정중의 메시지를 전송하여, 랜덤 액세스 과정중의 메시지를 송수신하기 위한 빔의 선택을 규범화하는 것을 구현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방안을 더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아래에서는 본 개시의 실시예의 설명에 사용되어야 할 도면들을 간단하게 소개하기로 한다. 하기 설명에서의 도면들은 단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인 것으로,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 있어서, 창조적 노동을 하지 않는다는 전제하에 이러한 도면들에 의해 기타 도면들을 더 얻을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경쟁 랜덤 액세스 과정의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비경쟁 랜덤 액세스 과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랜덤 액세스 방법을 응용할 네트워크 구조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랜덤 액세스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기기의 구조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의 구조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기의 구조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의 도면을 결부시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방안을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일 뿐, 전부의 실시예가 아님은 자명한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토대로,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이 창조적 노동을 하지 않는다는 전제하에 얻어지는 모든 기타 실시예들은 모두 본 개시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본 출원의 설명과 청구항에서 "제1", "제2" 등은 특정 순서의 설명 또는 순차적인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고, 유사한 대상을 구별하기 위한 것이다. 이렇게 사용된 데이터는 적절한 경우 교체될 수 있고, 이는 상술한 본 출원의 실시예가 본 명세서에서 도시된 내용 또는 설명한 내용 이외의 순서를 포함할 수 있게 한다. 이외, 본 명세서에서, 용어 '포함', '내포' 또는 기타 임의의 변체는 비배타적인 포함을 포괄하며, 예컨대, 일련의 단계 또는 유닛을 포함하는 과정, 방법, 시스템, 물품 또는 기기는, 명시적으로 열거한 그런 단계 및 유닛에만 한정될 것이 아니라, 명시적으로 열거되지 않거나 또는 이러한 과정, 방법, 물품 또는 기기에 고유한 기타 단계 또는 유닛을 더 포함하도록 할 것을 의도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및/또는"은 연결 대상의 적어도 하나임을 나타내며, 예컨대 "A 및/또는 B 및/또는 C"는 개별 A, 개별 B, 개별 C, A와 B가 공존, B와 C가 공존, A와 C가 공존하고 및 A, B 및 C가 공존하는 7가지 경우를 포함한다.
이해의 편이를 위해, 아래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에 관한 일부 용어에 대해 설명하려 한다.
랜덤 액세스: 관련기술에서 장기 진화(Long term evolution,LTE) 및 뉴 라디오(New Radio,NR)등은 모두 랜덤 액세스 과정을 지원하는 것을 통해 다양한 목적을 구현하며, 그 중, 랜덤 액세스의 목적은:
1) 초기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RRC) 아이들 상태의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UE)(즉 Idle UE)이 네트워크에 접속하도록 지원;
2) RRC 재구축;
3) 스위칭;
4) 다운링크 데이터 도달하였지만 업링크는 동기화 되지 않음;
5) 업링크 데이터는 도달하였지만 업링크는 동기화 되지 않음;
6) UE는 Inactive(비활성화) 상태로부터 Active(활성화) 상태로 전환;
7) 세컨더리 셀(Secondary Cell,SCell)의 업링크 동기화 획득을 지원;
8) 요청을 토대로한 시스템 정보(즉 on-demand SI)의 요청;
9) 빔 실패 회복;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랜덤 액세스는 경쟁 랜덤 액세스와 비경쟁 랜덤 액세스로 나눌 수 있다. 상술한 경쟁 랜덤 액세스 과정은 주로 하기의 네개의 메시지를 포함하며, 구체적으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Random Access Preamble)을 전송하기 위한 메시지, 즉 Msg1;
랜덤 액세스 응답(Random Access Response)을 전송하기 위한 메시지, 즉 Msg2;
스케줄링 전송(Scheduled Transmission)을 전송하기 위한 메시지, 즉 Msg3;
경쟁 리솔루션(Contention Resolution)을 전송하기 위한 메시지, 즉 Msg4; 를 포함한다.
상술한 비경쟁 랜덤 액세스 과정은 주로 하기의 두개의 메시지를 포함하며, 구체적으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Random Access Preamble)을 전송하기 위한 메시지, 즉 Msg1;
랜덤 액세스 응답(Random Access Response)을 전송하기 위한 메시지, 즉 Msg2; 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도 1에서 도시하다 시피, 상술한 경쟁 랜덤 액세스 과정은 주로 하기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101: 단말 기기는 기지국에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메시지를 송신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단계 101은, 즉 단말 기기에서 기지국에 Msg1을 송신하는 것이다. 상술한 단말 기기는 UE이다.
단계 102: 단말 기기는 기지국에서 송신한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단계 102는, 즉 단말 기기는 기지국에서 송신한 Msg2를 수신하는 것이다. 기지국은 랜덤 액세스 요청 Msg1을 수신하고, UE에 랜덤 액세스 응답을 송신한다.
단계 103: 단말 기기는 스케줄링 전송 메시지를 송신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단계 103은, 즉 단말 기기는 기지국에 Msg3을 송신하는 것이다.
단계 104: 단말 기기는 기지국에서 송신한 경쟁 리솔루션 메시지를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단계 104는, 즉 단말 기기는 기지국에서 송신한 Msg4를 수신하는 것이다. UE는 Msg4에 따라 랜덤 액세스를 성공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경쟁 랜덤 액세스 과정에서, UE는 동일한 물리 랜덤 액세스 채널(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PRACH) 자원에서 동일한 프리앰블(즉 Preamble)을 송신하는 문제가 존재하기에, Msg2의 수신을 완료한 후, UE는 다시 Msg2중에 캐리한 업링크 그랜트(Uplink Grant,UL Grant)에 따라 Msg3을 송신한다. 이외, UE는 Msg3상에서 UE의 식별자를 캐리하고, Msg3을 송신하는 동시에 경쟁 리솔루션 타이머(즉 Timer)를 부팅한다. 경쟁 리솔루션 타이머가 시간을 초과하기 전에, 만약 UE는 기지국에서 송신한 Msg4를 수신했다면, UE는 경쟁 리솔루션을 성공한 것을 나타낸다. 이해해야 할 것은, Msg4중는 UE 식별자를 캐리하기에, 따라서 UE는 Msg4 중에 캐리한 UE 식별자에 따라 Msg4가 자신의 Msg4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2에서 도시하다 시피, 상술한 비경쟁 랜덤 액세스 과정은 주로 하기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201: 단말 기기는 기지국에서 송신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할당 메시지를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단계 201은, 즉 단말 기기는 기지국에서 송신한 Msg0을 수신하는 것이다. 기지국은 UE에 비경쟁 랜덤 액세스를 위한 전용 프리앰블(즉 Preamble) 및 랜덤 액세스에 사용될 PRACH 자원을 할당한다.
단계 202: 단말 기기는 기지국에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메시지를 송신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단계 202는, 즉 단말 기기는 기지국에 Msg1를 송신하는 것이다.
단계 203: 단말 기기는 기지국에서 송신한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단계 203은, 즉 단말 기기는 기지국에서 송신한 Msg2를 수신하는 것이다.
설명해야 할 것은, 경쟁 랜덤 액세스 및 비경쟁 랜덤 액세스의 Msg2는 모두 랜덤 액세스 응답(Random Access Response,RAR)을 송신한다. UE는 RAR 윈도우내에서 랜덤 액세스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andom Access-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ty,RA-RNTI)에 대응되는 RAR를 모니터링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고주파수를 도입할 경우, 멀티 빔(즉 Beam) 전송 정보를 도입할 수 있고, 그 중, 각 빔은 하나의 방향을 커버할 수 있다. 초기 액세스(즉 Initial Access)에서 프리앰블(즉 Preamble)을 송신할 때, 다운링크 참조 신호 품질이 양호한 어느 하나의 빔과 관련된 관계(예컨대 빔 대칭 관계)를 가지는 업링크 빔을 선택하여 송신 빔으로 할 수 있다. UE에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RAR의 빔은 프리앰블(즉 Preamble) 송신 빔과 관련된 관계를 가지는 다운링크 빔이거나 또는 수신 다운링크 참조 신호 빔과 준 코로케이션(Quasi Co-Location,QCL)관계를 가지는 다운링크 빔이다.
예컨대, 스위칭 또는 재구축 또는 빔 실패 회복 등 랜덤 액세스 과정에서, 전용 RRC 메시지를 통해 UE에 대응되는 제어 자원 세트(Control Resource Set,CORESET)를 배치할 수 있지만, CORESET에서는, UE에 대응되는 빔을 배치할 수 있으며, 즉 전송 배치 지시(Transmission configuration Indicator,TCI)를 배치할 수 있으며, UE는 빔의 송신이나 또는 랜덤 액세스 과정중 메시지의 수신을 선택할 수 있는바, 프리앰블(즉 Preamble)을 송신하거나, 또는 RAR를 수신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랜덤 액세스 방법을 제공하며, 선택가능한 빔중의 타겟 빔을 채용하여 랜덤 액세스 과정중의 메시지를 전송하며, 빔을 토대로한 랜덤 액세스 과정중의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실현하여, 랜덤 액세스 과정중의 메시지를 송수신하기 위한 빔의 선택을 규범화하였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응용될 네트워크 구조도이다. 도 3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네트워크는, 단말 기기(11) 및 네트워크측 기기(12)를 포함하고, 여기서 단말 기기(11)는 휴대폰, 태블릿 컴퓨터(Tablet Personal Computer),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Personal Digital Assistant,PDA), 모바일 통신망 기기(Mobile Internet Device,MID) 또는 착용형 기기(Wearable Device)와 같은 단말측 기기일 수 있으며, 설명해야 할 것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단말 기기(11)의 구체적인 타입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12)는 매크로국, LTE eNB, 5G NR NB 등일 수 있고; 네트워크측 기기(12)는 또한 로파워 노드(Low Power Node,LPN) pico, femto 등의 작은 스테이션일 수도 있으며, 또는 네트워크 기기(12)는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AP)일 수 있으며; 기지국은 중앙 유닛(Central Unit,CU)과 중앙 유닛이 관리 및 제어하는 다수의 송수신 포인트(Transmission Reception Point, TRP)와 공동으로 구성한 네트워크 노드일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개시의 실시예중 네트워크 기기(12)의 구체적인 타입은 한정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랜덤 액세스 방법은 상술한 단말 기기(11)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네트워크 기기(12)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실시방식에 있어서, 단말 기기(11)는 선택가능한 빔중의 타겟 빔을 채용하여 랜덤 액세스 과정중의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으며, 그 중, 상기 랜덤 액세스 과정중의 메시지는 Msg1, Msg2, Msg3 또는 Msg4이다. 예컨대, 단말 기기(11)는 선택가능한 빔중의 타겟 빔을 채용하여 네트워크 기기(12)에 Msg1을 송신하거나, 또는 단말 기기(11)는 선택가능한 빔중의 타겟 빔을 채용하여 네트워크 기기(12)에서 송신한 Msg2를 수신하거나, 또는 단말 기기(11)는 선택가능한 빔중의 타겟 빔을 채용하여 네트워크 기기(12)에 Msg3을 송신하거나, 또는 단말 기기(11)는 선택가능한 빔중의 타겟 빔을 채용하여 네트워크 기기(12)에서 송신한 Msg4를 수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방식에 있어서, 네트워크 기기(12)는 선택가능한 빔중의 타겟 빔을 채용하여 랜덤 액세스 과정중의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으며, 그 중, 상기 랜덤 액세스 과정중의 메시지는 Msg1, Msg2, Msg3 또는 Msg4이다. 예컨대, 네트워크 기기(12)는 선택가능한 빔중의 타겟 빔을 채용하여 단말 기기(11)에서 송신한 Msg1을 수신하거나, 또는 네트워크 기기(12)는 선택가능한 빔중의 타겟 빔을 채용하여 단말 기기(11)에 Msg2를 송신하거나, 또는 네트워크 기기(12)는 선택가능한 빔중의 타겟 빔을 채용하여 단말 기기(11)에서 송신한 Msg3을 수신하거나, 또는 네트워크 기기(12)는 선택가능한 빔중의 타겟 빔을 채용하여 단말 기기(11)에 Msg4를 송신할 수 있다.
이해해야 할 것은, 랜덤 액세스 과정은 경쟁 랜덤 액세스 과정일 때, 상술한 메시지는 Msg1, Msg2, Msg3 또는 Msg4일 수 있으며, 랜덤 액세스 과정은 비경쟁 랜덤 액세스 과정일 때, 상술한 메시지는 Msg1, Msg2일 수 있다. 상술한 선택가능한 빔은 구체적으로 전송한 메시지에 대응되며, 예컨대, 메시지는 Msg1일 때, 상술한 선택가능한 빔은 수신된 다운링크 참조 신호 품질이 제1 임계치보다 더 양호한 다운링크 빔과 관련된 관계를 가지는 업링크 빔 및 전용 무선 자원 제어(RRC) 메시지중에 배치된 다운링크 빔과 관련된 관계를 가지는 업링크 빔 등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하며, 메시지는 Msg2일 때, 상술한 선택가능한 빔은 Msg1을 송신하는 업링크 빔과 관련된 관계를 가지는 다운링크 빔, 수신된 다운링크 참조 신호 품질이 제1 임계치보다 더 양호한 다운링크 빔과 QCL 관계를 가지는 다운링크 빔, 수신된 다운링크 참조 신호 품질이 제1 임계치보다 더 양호한 다운링크 빔과 동일한 다운링크 빔 및 전용 무선 자원 제어(RRC) 메시지중에 배치된 다운링크 빔 등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술한 타겟 빔은 선택가능한 빔중의 임의의 한 항의 빔일 수 있고, 선택가능한 빔중에서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우선 순위 등급이 가장 높은 빔일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단말 기기(11) 또는 네트워크 기기(12)는 선택가능한 빔중의 타겟 빔을 채용하여 랜덤 액세스 과정중의 메시지를 전송하며, 빔을 토대로한 랜덤 액세스 과정중의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실현하여, 랜덤 액세스 과정중의 메시지를 송수신하기 위한 빔의 선택을 규범화하였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랜덤 액세스 방법의 흐름도이며, 도 4에서 도시하다 시피, 상기 방법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401: 선택가능한 빔중의 타겟 빔을 채용하여 랜덤 액세스 과정중의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그 중, 상기 랜덤 액세스 과정중의 메시지는 Msg1, Msg2, Msg3 또는 Msg4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단말 기기를 통해 상술한 단계 401을 수행할 때, 상술한 단계 401은 선택가능한 빔중의 타겟 빔을 채용하여 네트워크 기기에 Msg1를 송신하거나, 또는 선택가능한 빔중의 타겟 빔을 채용하여 네트워크 기기에서 송신한 Msg2를 수신하거나, 또는 선택가능한 빔중의 타겟 빔을 채용하여 네트워크 기기에 Msg3을 송신하거나, 또는 선택가능한 빔중의 타겟 빔을 채용하여 네트워크 기기에서 송신한 Msg4를 수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기기를 통해 상술한 단계 401을 수행할 때, 상술한 단계 401은 선택가능한 빔중의 타겟 빔을 채용하여 단말 기기에서 송신한 Msg1를 수신하거나, 또는 선택가능한 빔중의 타겟 빔을 채용하여 단말 기기에 Msg2를 송신하거나, 또는 선택가능한 빔중의 타겟 빔을 채용하여 단말 기기에서 송신한 Msg3을 수신하거나, 또는 선택가능한 빔중의 타겟 빔을 채용하여 단말 기기에 Msg4를 송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술한 선택가능한 빔은 구체적으로 전송한 메시지에 대응될 수 있는바, 예컨대, 메시지는 Msg1일 때, 상술한 선택가능한 빔은 수신된 다운링크 참조 신호 품질이 제1 임계치보다 더 양호한 다운링크 빔과 관련된 관계를 가지는 업링크 빔 및 전용 무선 자원 제어(RRC) 메시지중에 배치된 다운링크 빔과 관련된 관계를 가지는 업링크 빔 등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할 수 있으며, 메시지는 Msg2일 때, 상술한 선택가능한 빔은 Msg1을 송신하는 업링크 빔과 관련된 관계를 가지는 다운링크 빔, 수신된 다운링크 참조 신호 품질이 제1 임계치보다 더 양호한 다운링크 빔과 QCL 관계를 가지는 다운링크 빔, 수신된 다운링크 참조 신호 품질이 제1 임계치보다 더 양호한 다운링크 빔과 동일한 다운링크 빔 및 전용 무선 자원 제어(RRC) 메시지중에 배치된 다운링크 빔 등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술한 타겟 빔은 선택가능한 빔중 임의의 하나의 빔일 수 있으며, 선택가능한 빔중의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우선 순위 등급이 가장 높은 빔일 수도 있다. 예컨대, 선택가능한 빔은 제1 빔 및 제2 빔을 포함하고, 타겟 빔은 제1 빔일 수 있고, 제2 빔일 수도 있으며; 제1 빔의 우선 순위 등급은 제2 빔보다 높을 때, 제1 빔을 사용할 수 있으면, 타겟 빔은 제1 빔이고, 제1 빔을 사용할 수 없으면, 타겟 빔은 제2 빔이다. 설명해야 할 것은, 선택가능한 빔은 단지 제1 빔만 포함할 때, 타겟 빔은 제1 빔일 수 있으며, 선택가능한 빔은 단지 제2 빔만 포함할 때, 타겟 빔은 제2 빔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랜덤 액세스 방법에서는, 선택가능한 빔중의 타겟 빔을 채용하여 랜덤 액세스 과정중의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통해, 빔을 토대로한 랜덤 액세스 과정중의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실현하고, 랜덤 액세스 과정중의 메시지를 송수신하기 위한 빔의 선택을 규범화하였다.
선택적으로, 상기 메시지는 Msg1일 때, 상기 선택가능한 빔은 제1 빔 및/또는 제2 빔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빔은 수신된 다운링크 참조 신호 품질이 제1 임계치보다 더 양호한 다운링크 빔과 관련된 관계를 가지는 업링크 빔이며;
상기 제2 빔은 전용 무선 자원 제어(RRC) 메시지중에 배치된 다운링크 빔과 관련된 관계를 가지는 업링크 빔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랜덤 액세스 과정에서의 메시지는 Msg1인 경우, 상술한 선택가능한 빔은 제1 빔 및/또는 제2 빔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제1 임계치는 실제 상황에 따라 합리적으로 설정을 진행할 수 있다. 상술한 관련된 관계는 빔 대칭관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전용 RRC 메시지는 구체적인 랜덤 액세스 목적에 대한 RRC 메시지일 수 있으며, 예컨대, 상술한 랜덤 액세스 목적은 스위칭일 때, 상술한 전용 RRC 메시지는 스위칭에 대한 RRC 메시지이고, 상술한 랜덤 액세스 목적은 빔 실패 회복일 때, 상술한 전용 RRC 메시지는 빔 실패 회복에 대한 RRC 메시지이다. 선택적으로, 네트워크 기기는 RRC 메시지중에 다운링크 빔을 배치할 수 있다.
상술한 제1 빔 및/또는 제2 빔은 하나의 빔을 포함할 수 있고, 적어도 두 개의 빔을 포함할 수도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선택가능한 빔은 제1 빔 및 제2 빔을 포함할 경우, 상술한 타겟 빔은 제1 빔일 수 있고, 제2 빔일 수도 있다. 만약 제1 빔 및 제2 빔에 우선 순위 등급이 존재한다면, 상술한 타겟 빔은 제1 빔 및 제2 빔 중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우선 순위 등급이 비교적 높은 빔일 수 있다. 예컨대, 제1 빔의 우선 순위 등급은 제2 빔보다 높을 때, 만약 제1 빔을 사용할 수 있다면, 상술한 타겟 빔은 제1 빔이고, 만약 제1 빔을 사용할 수 없다면, 상술한 빔은 제2 빔이다. 동일하게. 제2 빔의 우선 순위 등급은 제1 빔보다 높을 때, 만약 제2 빔을 사용할 수 있다면, 상술한 타겟 빔은 제2 빔이고, 만약 제2 빔을 사용할 수 없다면, 상술한 빔은 제1 빔이다. 그 중, 상술한 빔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은 해당 빔이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선택적으로, 선택가능한 빔은 단지 제1 빔만 포함할 때, 상술한 타겟 빔은 제1 빔이고, 선택가능한 빔은 단지 제2 빔만 포함할 때, 상술한 타겟 빔은 제2 빔이다.
설명해야 할 것은, 제1 빔을 채용하여 Msg1을 전송할 때, 즉 수신된 다운링크 참조 신호 품질이 제1 임계치보다 더 양호한 다운링크 빔과 관련된 관계를 가지는 업링크 빔을 채용할 때, 신호 품질이 비교적 양호하기에, Msg1의 전송 효율 및 전송 명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2 빔을 채용하여 Msg1을 전송할 때, 즉 전용 무선 자원 제어(RRC) 메시지중에 배치된 다운링크 빔과 관련된 관계를 가지는 업링크 빔을 채용할 때, 네트워크 기기는 모든 업링크 빔을 스캔할 필요가 없기에, 전용 무선 자원 제어(RRC) 메시지중에 배치된 다운링크 빔과 관련된 관계를 가지는 업링크 빔을 직접적으로 스캔하여 Msg1을 수신하며, Msg1의 수신 효율을 향상시킨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상기 메시지는 Msg1일 때, 상기 선택가능한 빔은 제1 빔 및/또는 제2 빔을 포함하며, 선택가능한 빔중의 타겟 빔을 채용하여 Msg1을 전송하고, 랜덤 액세스 과정중의 Msg1을 전송하기 위한 빔의 선택을 규범화하였다.
선택적으로, 상기 메시지는 Msg2일 때, 상기 선택가능한 빔은 제3 빔, 제4 빔, 제5 빔 및 제6 빔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하며;
상기 제3 빔은 Msg1을 송신하는 업링크 빔과 관련된 관계를 가지는 다운링크 빔이며;
상기 제4 빔은 수신된 다운링크 참조 신호 품질이 제1 임계치보다 더 양호한 다운링크 빔과 준 코로케이션(QCL) 관계를 가지는 다운링크 빔이며;
상기 제5 빔은 수신된 다운링크 참조 신호 품질이 제1 임계치보다 더 양호한 다운링크 빔과 동일한 다운링크 빔이며;
상기 제6 빔은 전용 무선 자원 제어(RRC) 메시지중에 배치된 다운링크 빔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랜덤 액세스 과정중의 메시지는 Msg2인 경우, 상술한 선택가능한 빔은 제3 빔, 제4 빔, 제5 빔 및 제6 빔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한다.
동일하게, 상술한 선택가능한 빔중의 각각의 빔(즉 제3 빔, 제4 빔, 제5 빔 또는 제6 빔)은 모두 하나 또는 적어도 두 개의 빔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선택가능한 빔은 제3 빔, 제4 빔, 제5 빔 및 제6 빔 중 적어도 두 개의 항을 포함할 경우, 상술한 타겟 빔은 선택가능한 빔 중 임의의 한 항의 빔일 수 있다. 만약 선택가능한 빔 중의 빔은 우선 순위 등급이 존재한다면, 상술한 타겟 빔은 선택가능한 빔 중의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우선 순위 등급이 가장 높은 빔일 수 있다.
예컨대, 선택가능한 빔은 제3 빔, 제4 빔, 제5 빔 및 제6 빔을 포함하고, 제4 빔의 우선 순위 등급이 가장 높고, 제3 빔, 제5 빔 및 제6 빔의 우선 순위 등급은 순차적으로 낮아질 경우, 만약 제4 빔을 사용할 수 있다면, 상술한 타겟 빔은 제4 빔이고, 제4 빔을 사용할 수 없을 경우, 만약 제3 빔을 사용할 수 있다면, 상술한 타겟 빔은 제3 빔이고, 제3 빔을 사용할 수 없을 경우, 계속하여 제5 빔을 검출하여, 이토록 유추한다. 제4 빔의 우선 순위 등급이 가장 높고, 제3 빔, 제5 빔 및 제6 빔의 우선 순위 등급은 동일할 때, 제4 빔을 사용할 수 있는 경우, 상술한 타겟 빔은 제4 빔이고, 제4 빔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 상술한 타겟 빔은 제3 빔이거나, 또는 제5 빔이거나, 또는 제6 빔일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상술한 빔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은 해당 빔이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선택적으로, 선택가능한 빔은 단지 제3 빔, 제4 빔, 제5 빔 및 제6 빔 중 한 항만 포함할 경우, 상술한 타겟 빔은 선택가능한 빔중에 오로지 포함되는 빔이다. 예컨대, 선택가능한 빔은 단지 제3 빔만 포함할 때, 상술한 타겟 빔은 제3 빔이며, 선택가능한 빔은 단지 제4 빔만 포함할 때, 상술한 타겟 빔은 제4 빔이며, 선택가능한 빔은 단지 제5 빔만 포함할 때, 상술한 타겟 빔은 제5 빔이며, 선택가능한 빔은 단지 제6 빔만 포함할 때, 상술한 타겟 빔은 제6 빔이다.
설명해야 할 것은, 제4 빔 또는 제5 빔을 채용하여 Msg2를 전송할 때, 신호 품질이 비교적 양호하기에, Msg2의 전송 효율 및 전송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상기 메시지는 Msg2일 때, 상기 선택가능한 빔은 제3 빔, 제4 빔, 제5 빔 및 제6 빔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하고, 선택가능한 빔중의 타겟 빔을 채용하여 Msg2를 전송하며, 랜덤 액세스 과정중의 Msg2을 전송하기 위한 빔의 선택을 규범화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6 빔은 사용할 수 있고, 또한 Msg1을 송신하는 업링크 빔과 관련된 관계를 가지거나, 또는 상기 제6 빔은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수신된 다운링크 참조 신호 품질이 제1 임계치보다 더 양호한 다운링크 빔과 QCL 관계를 가지거나, 또는 상기 제6 빔은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수신된 다운링크 참조 신호 품질이 제1 임계치보다 더 양호한 다운링크 빔과 동일할 때, 상기 타겟 빔은 상기 제6 빔이며, 그렇지 않으면, 상기 타겟 빔은 제3 빔, 제4 빔 또는 제5 빔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상술한 제6 빔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은 전용 RRC 메시지중에 업링크 빔이 배치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제6 빔을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제6 빔과 Msg1을 송신하는 업링크 빔은 관련된 관계를 가지는 경우, 상기 타겟 빔은 상기 제6 빔이거나, 또는 제6 빔은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수신된 다운링크 참조 신호 품질이 제1 임계치보다 더 양호한 다운링크 빔과 QCL 관계를 가지면, 상기 타겟 빔은 상기 제6 빔이거나, 또는 제6 빔은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수신된 다운링크 참조 신호 품질이 제1 임계치보다 더 양호한 다운링크 빔과 동일할 때, 상기 타겟 빔은 상기 제6 빔이며; 그렇지 않으면, 상기 타겟 빔은 제3 빔, 제4 빔 또는 제5 빔이다.
예컨대, 제6 빔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 상기 타겟 빔은 제3 빔, 제4 빔 또는 제5 빔이거나, 또는 제6 빔을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제6 빔과 Msg1을 송신하는 업링크 빔은 관련된 관계를 구비하지 않는 경우, 상기 타겟 빔은 제3 빔, 제4 빔 또는 제5 빔이거나, 또는 제6 빔을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제6 빔과 수신된 다운링크 참조 신호 품질이 제1 임계치보다 더 양호한 다운링크 빔은 QCL 관계를 구비하지 않는 경우, 상기 타겟 빔은 제3 빔, 제4 빔 또는 제5 빔이거나, 또는 제6 빔을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제6 빔과 수신된 다운링크 참조 신호 품질이 제1 임계치보다 더 양호한 다운링크 빔은 상이할 경우, 상기 타겟 빔은 제3 빔, 제4 빔 또는 제5 빔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메시지는 Msg3일 때, 상기 선택가능한 빔은 제7 빔, 제8 빔, 제9 빔, 제10 빔, 제11 빔 및 제12 빔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하며;
상기 제7 빔은 Msg1을 송신하는 업링크 빔과 동일한 업링크 빔이며;
상기 제8 빔은 Msg1을 송신하는 업링크 빔과 준 코로케이션(QCL) 관계를 가지는 업링크 빔이며;
상기 제9 빔은 Msg2 중에서 지시한 업링크 빔이며;
상기 제10 빔은 전용 무선 자원 제어(RRC) 메시지중에 배치된 다운링크 빔과 관련된 관계를 가지는 업링크 빔이며;
상기 제11 빔은 전용 무선 자원 제어(RRC) 메시지중에 배치된 업링크 빔이며;
상기 제12 빔은 Msg2를 수신하는 다운링크 빔과 관련된 관계를 가지는 업링크 빔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기기는 Msg2를 통해 단말 기기에 업링크 빔을 지시하고, 네트워크 기기는 RRC 메시지를 통해 단말 기기에 빔을 배치할 수도 있으며, 예컨대, 네트워크 기기는 RRC 메시지를 통해 단말 기기에 업링크 빔 및/또는 다운링크 빔을 배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랜덤 액세스 과정중의 메시지는 Msg3인 경우, 상기 선택가능한 빔은 제7 빔, 제8 빔, 제9 빔, 제10 빔, 제11 빔 및 제12 빔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할 수 있다.
동일하게, 상술한 선택가능한 빔중의 각각의 빔(즉 제7 빔, 제8 빔, 제9 빔, 제10 빔, 제11 빔 또는 제12 빔)은 모두 하나 또는 적어도 두 개의 빔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선택가능한 빔은 제7 빔, 제8 빔, 제9 빔, 제10 빔, 제11 빔 및 제12 빔 중 적어도 두 개의 항을 포함하는 경우, 상술한 타겟 빔은 선택가능한 빔중 임의의 한 항의 빔이다. 만약 선택가능한 빔중의 빔은 우선 순위 등급이 존재한다면, 상술한 타겟 빔은 선택가능한 빔중의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우선 순위 등급이 가장 높은 빔일 수 있다.
예컨대, 선택가능한 빔은 제7 빔, 제8 빔, 제9 빔, 제10 빔, 제11 빔 및 제12 빔을 포함하고, 제7 빔, 제8 빔, 제9 빔, 제10 빔, 제11 빔 및 제12 빔의 우선 순위 등급은 순차적으로 증가되며, 제12 빔을 사용할 수 있는 경우, 상술한 타겟 빔은 제12 빔이고, 제12 빔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 만약 제11 빔을 사용할 수 있다면, 상술한 타겟 빔은 제11 빔이며, 그렇지 않으면, 계속 제10 빔을 검출하여, 이토록 유추한다.
선택가능한 빔중의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우선 순위 등급이 가장 높은 빔이 적어도 두 개일 때, 상술한 타겟 빔은 적어도 두 개의 빔중에서 임의의 한 항의 빔일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선택가능한 빔은 단지 제7 빔, 제8 빔, 제9 빔, 제10 빔, 제11 빔 및 제12 빔 중 한 항만 포함하는 경우, 상술한 타겟 빔은 오로지 선택가능한 빔에 포함된 빔이다. 예컨대, 선택가능한 빔은 단지 제7 빔만 포함할 때, 상술한 타겟 빔은 제7 빔이고, 선택가능한 빔은 단지 제8 빔만 포함할 때, 상술한 타겟 빔은 제8 빔이다.
설명해야 할 것은, 제9 빔 또는 제10 빔 또는 제11 빔을 채용하여 Msg3을 전송할 때, 네트워크 기기는 모든 업링크 빔을 스캔할 필요가 없기에, Msg2중에서 지시한 업링크 빔을 직접적으로 스캔하거나, 또는 전용 무선 자원 제어(RRC) 메시지중에 배치된 다운링크 빔과 관련된 관계를 가지는 업링크 빔을 직접적으로 스캔하거나, 또는 전용 무선 자원 제어(RRC) 메시지중에 배치된 업링크 빔을 직접적으로 스캔하여, Msg3을 수신함으로서, Msg3의 수신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상기 메시지는 Msg3일 때, 상기 선택가능한 빔은 제7 빔, 제8 빔, 제9 빔, 제10 빔, 제11 빔 및 제12 빔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할 수 있으며, 선택가능한 빔중의 타겟 빔을 채용하여 Msg3을 전송하며, 랜덤 액세스 과정중의 Msg3을 전송하기 위한 빔의 선택을 규범화하였다.
선택적으로, 상기 메시지는 Msg4일 때, 상기 선택가능한 빔은 제3 빔, 제4 빔, 제5 빔, 제6 빔, 제13 빔, 제14 빔, 제15 빔, 제16 빔 및 제 17 빔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하며;
상기 제3 빔은 Msg1을 송신하는 업링크 빔과 관련된 관계를 가지는 다운링크 빔이며;
상기 제4 빔은 수신된 다운링크 참조 신호 품질이 제1 임계치보다 더 양호한 다운링크 빔과 준 코로케이션(QCL) 관계를 가지는 다운링크 빔이며;
상기 제5 빔은 수신된 다운링크 참조 신호 품질이 제1 임계치보다 더 양호한 다운링크 빔과 동일한 다운링크 빔이며;
상기 제6 빔은 전용 무선 자원 제어(RRC) 메시지중에 배치된 다운링크 빔이며;
상기 제13 빔은 Msg2중에서 지시한 다운링크 빔이며;
상기 제14 빔은 Msg2를 수신하는 다운링크 빔이며;
상기 제15 빔은 Msg2를 수신하는 다운링크 빔과 준 코로게이션(QCL) 관계를 가지는 다운링크 빔이며;
상기 제16 빔은 Msg3을 송신하는 업링크 빔과 관련된 관계를 가지는 다운링크 빔이며;
상기 제17 빔은 전용 무선 자원 제어(RRC) 메시지중에 배치된 업링크 빔과 관련된 관계를 가지는 다운링크 빔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기기는 Msg2를 통해 단말 기기에 다운링크 빔을 지시하며, 그 중, Msg2는 명시적으로 또는 암시적으로 업링크 빔 및/또는 다운링크 빔을 지시할 수 있다. 네트워크 기기는 RRC 메시지를 통해 단말 기기에 빔을 배치하며, 예컨대, 네트워크 기기는 RRC 메시지를 통해 단말 기기에 업링크 빔 및/또는 다운링크 빔을 배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랜덤 액세스 과정중의 메시지는 Msg4인 경우, 상기 선택가능한 빔은 제3 빔, 제4 빔, 제5 빔, 제6 빔, 제13 빔, 제14 빔, 제15 빔, 제16 빔 및 제17 빔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한다.
동일하게, 상술한 선택가능한 빔중의 각각의 빔(즉 제3 빔, 제4 빔, 제5 빔, 제6 빔, 제13 빔, 제14 빔, 제15 빔, 제16 빔 또는 제17 빔)은 모두 하나 또는 적어도 두 개의 빔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선택가능한 빔은 제3 빔, 제4 빔, 제5 빔, 제6 빔, 제13 빔, 제14 빔, 제15 빔, 제16 빔 및 제17 빔 중 적어도 두 개의 항을 포함하는 경우, 상술한 타겟 빔은 선택가능한 빔중 임의의 한 항의 빔이다. 만약 선택가능한 빔중의 빔은 우선 순위 등급이 존재한다면, 상술한 타겟 빔은 선택가능한 빔중의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우선 순위 등급이 가장 높은 빔일 수 있다.
예컨대, 선택가능한 빔은 제3 빔, 제4 빔, 제5 빔, 제6 빔, 제13 빔, 제14 빔, 제15 빔, 제16 빔 및 제17 빔을 포함하고, 그리고, 제3 빔, 제4 빔, 제5 빔, 제6 빔, 제13 빔, 제14 빔, 제15 빔, 제16 빔 및 제17 빔의 우선 순위 등급은 순차적으로 감소되며, 제3 빔을 사용할 수 있는 경우, 상술한 타겟 빔은 제3 빔이고, 제3 빔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 만약 제4 빔을 사용할 수 있다면, 상술한 타겟 빔은 제4 빔이며, 그렇지 않으면, 계속 제5 빔을 검출하며, 이토록 유추한다.
선택가능한 빔중의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우선 순위 등급이 가장 높은 빔이 적어도 두 개일 때, 상술한 타겟 빔은 적어도 두 개의 빔중에서 임의의 한 항의 빔일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선택가능한 빔은 단지 제3 빔, 제4 빔, 제5 빔, 제6 빔, 제13 빔, 제14 빔, 제15 빔, 제16 빔 및 제17 빔 중 한 항만 포함하는 경우, 상술한 타겟 빔은 선택가능한 빔중에 포함된 빔이다. 예컨대, 선택가능한 빔은 단지 제3 빔만 포함할 때, 상술한 타겟 빔은 제3 빔이고, 선택가능한 빔은 단지 제4 빔만 포함할 때, 상술한 타겟 빔은 제4 빔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상기 메시지는 Msg4일 때, 상기 선택가능한 빔은 제3 빔, 제4 빔, 제5 빔, 제6 빔, 제13 빔, 제14 빔, 제15 빔, 제16 빔 및 제17 빔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할 수 있으며, 선택가능한 빔중의 타겟 빔을 채용하여 Msg4를 전송하며, 랜덤 액세스 과정중의 Msg4를 전송하기 위한 빔의 선택을 규범화하였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6 빔은 사용할 수 있고, 또한 Msg1을 송신하는 업링크 빔과 관련된 관계를 가지거나, 또는 상기 제6 빔은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수신된 다운링크 참조 신호 품질이 제1 임계치보다 더 양호한 다운링크 빔과 QCL 관계를 가지거나, 또는 상기 제6 빔은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수신된 다운링크 참조 신호 품질이 제1 임계치보다 더 양호한 다운링크 빔과 동일할 때, 상기 타겟 빔은 상기 제6 빔이며, 그렇지 않으면, 상기 타겟 빔은 상기 제3 빔, 상기 제4 빔, 상기 제5 빔, 상기 제13 빔, 상기 제14 빔, 상기 제15 빔, 상기 제16 빔 또는 상기 제17 빔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상술한 제6 빔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은 전용 RRC 메시지중에 업링크 빔이 배치되었음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제6 빔을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제6 빔과 Msg1을 송신하는 업링크 빔은 관련된 관계를 가지는 경우, 상기 타겟 빔은 상기 제6 빔이거나, 또는 제6 빔은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수신된 다운링크 참조 신호 품질이 제1 임계치보다 더 양호한 다운링크 빔과 QCL 관계를 가지면, 상기 타겟 빔은 상기 제6 빔이거나, 또는 제6 빔을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제6 빔은 수신된 다운링크 참조 신호 품질이 제1 임계치보다 더 양호한 다운링크 빔과 동일할 때, 상기 타겟 빔은 상기 제6 빔이며; 그렇지 않으면, 상기 타겟 빔은 상기 제3 빔, 상기 제4 빔, 상기 제5 빔, 상기 제13 빔, 상기 제14 빔, 상기 제15 빔, 상기 제16 빔 또는 상기 제17 빔이다.
예컨대, 제6 빔을 사용할 수 없거나, 또는 제6 빔을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제6 빔과 Msg1을 송신하는 업링크 빔은 관련된 관계를 구비하지 않거나, 또는 제6 빔을 사용할 수 있고, 제6 빔과 수신된 다운링크 참조 신호 품질이 제1 임계치보다 더 양호한 다운링크 빔은 QCL 관계를 구비하지 않거나, 또는 제6 빔을 사용할 수 있고, 제6 빔과 수신된 다운링크 참조 신호 품질이 제1 임계치보다 더 양호한 다운링크 빔은 상이할 경우, 상기 타겟 빔은 상기 제3 빔, 상기 제4 빔, 상기 제5 빔, 상기 제13 빔, 상기 제14 빔, 상기 제15 빔, 상기 제16 빔 또는 상기 제17 빔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타겟 빔은 상기 선택가능한 빔중의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우선 순위 등급이 가장 높은 빔이다.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아래에서는 실시예들을 결부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a: 선택가능한 빔은 단지 제1 빔만 포함할 경우, 만약 제1 빔을 사용할 수 있다면, 상술한 타겟 빔은 제1 빔이며, 만약 제1 빔을 사용할 수 없다면, 종료할 수 있다.
실시예 b: 선택가능한 빔은 제1 빔 및 제2 빔을 포함할 경우, 제1 빔의 우선 순위 등급은 제2 빔보다 높을 때, 만약 제1 빔을 사용할 수 있다면, 상술한 타겟 빔은 제1 빔이며, 만약 제1 빔을 사용할 수 없다면, 상술한 타겟 빔은 제2 빔이다. 동일하게, 제2 빔의 우선 순위 등급은 제1 빔보다 높을 때, 만약 제2 빔을 사용할 수 있다면, 상술한 타겟 빔은 제2 빔이며, 만약 제2 빔을 사용할 수 없다면, 상술한 타겟 빔은 제1 빔이다.
실시예 c: 선택가능한 빔은 제3 빔, 제4 빔, 제5 빔 및 제6 빔을 포함할 경우, 제3 빔, 제4 빔, 제5 빔 및 제6 빔의 우선 순위 등급은 순차적으로 증가할 때, 만약 제3 빔을 사용할 수 있다면, 상술한 타겟 빔은 제3 빔이며, 만약 제3 빔을 사용할 수 없다면, 상술한 타겟 빔은 제4 빔이며, 그렇지 않으면, 계속 제5 빔을 검출하여, 이토록 유추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타겟 빔은 선택가능한 빔중의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우선 순위 등급이 가장 높은 빔이며, 랜덤 액세스 과정중의 메시지를 전송하는 성공율을 향상시킨다.
선택적으로, 상기 선택가능한 빔은 네트워크 기기에서 Msg2를 통해 단말 기기에 지시한 빔에 의해 확정된 빔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상술한 네트워크 기기에서 Msg2를 통해 단말 기기에 지시한 빔은 업링크 빔 및/또는 다운링크 빔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기기는 Msg2를 통해 단말 기기에 업링크 빔 및/또는 다운링크 빔을 지시할 수 있으며, 따라서 단말 기기는 Msg2가 지시한 업링크 빔 및/또는 다운링크 빔을 토대로 메시지를 전송한다.
선택적으로, Msg2는 명시적으로 또는 암시적으로 업링크 빔 및/또는 다운링크 빔을 지시할 수 있다.
단말 기기는 Msg2중에서 지시한 업링크 빔을 채용하여 메시지를 전송할 때, 네트워크 기기는 Msg2에서 지시한 업링크 빔을 직접적으로 스캔할 수 있으며, 모든 업링크 빔을 스캔할 필요가 없이 단말 기기에서 전송한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는바, 따라서, 메시지의 전송 효율을 향상시킨다.
선택적으로, 상기 선택가능한 빔은 네트워크 기기에서 전용 무선 자원 제어(RRC) 메시지를 통해 단말 기기에 배치한 빔에 의해 확정된 빔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상술한 네트워크 기기에서 RRC 메시지를 통해 단말 기기에 배치한 빔에 의해 확정된 빔은, 네트워크 기기에서 RRC 메시지를 통해 단말 기기에 배치한 빔, 네트워크 기기에서 RRC 메시지를 통해 단말 기기에 배치한 빔과 관련된 관계를 가지는 빔중의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기기는 RRC 메시지를 통해 단말 기기에 빔을 배치하고, 예컨대, RRC 메시지를 통해 단말 기기에 빔을 배치하고(예컨대, 업링크 빔 및/또는 다운링크 빔), 따라서 단말 기기는 RRC 메시지중에 배치된 빔을 토대로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또는 RRC 메시지중에 배치된 빔과 관련된 관계를 가지는 빔을 토대로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 기기에서 RRC 메시지를 통해 단말 기기에 배치한 빔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빔을 채용하여 메시지를 전송할 때, 네트워크 기기는 RRC 메시지중에 배치된 빔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빔을 직접적으로 스캔할 수 있으며, 모든 업링크 빔을 스캔할 필요가 없이 단말 기기에서 전송한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는바, 메시지의 수신 효율을 향상시킨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통신 기기의 구조도이다. 도 5에서 도시하다 시피, 통신 기기(500)는 전송 모듈(501)을 포함하며, 그중:
전송 모듈(501)은 선택가능한 빔중의 타겟 빔을 채용하여 랜덤 액세스 과정중의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것이며;
그 중, 상기 랜덤 액세스 과정중의 메시지는 Msg1, Msg2, Msg3 또는 Msg4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상술한 통신 기기(500)는 단말 기기일 수 있고, 네트워크 기기일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메시지는 Msg1일 때, 상기 선택가능한 빔은 제1 빔 및/또는 제2 빔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빔은 수신된 다운링크 참조 신호 품질이 제1 임계치보다 더 양호한 다운링크 빔과 관련된 관계를 가지는 업링크 빔이며;
상기 제2 빔은 전용 무선 자원 제어(RRC) 메시지중에 배치된 다운링크 빔과 관련된 관계를 가지는 업링크 빔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메시지는 Msg2일 때, 상기 선택가능한 빔은 제3 빔, 제4 빔, 제5 빔 및 제6 빔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하며;
상기 제3 빔은 Msg1을 송신하는 업링크 빔과 관련된 관계를 가지는 다운링크 빔이며;
상기 제4 빔은 수신된 다운링크 참조 신호 품질이 제1 임계치보다 더 양호한 다운링크 빔과 준 코로케이션(QCL) 관계를 가지는 다운링크 빔이며;
상기 제5 빔은 수신된 다운링크 참조 신호 품질이 제1 임계치보다 더 양호한 다운링크 빔과 동일한 다운링크 빔이며;
상기 제6 빔은 전용 무선 자원 제어(RRC) 메시지중에 배치된 다운링크 빔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6 빔은 사용할 수 있고, 또한 Msg1을 송신하는 업링크 빔과 관련된 관계를 가지거나, 또는 상기 제6 빔은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수신된 다운링크 참조 신호 품질이 제1 임계치보다 더 양호한 다운링크 빔과 QCL 관계를 가지거나, 또는 상기 제6 빔은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수신된 다운링크 참조 신호 품질이 제1 임계치보다 더 양호한 다운링크 빔과 동일할 때, 상기 타겟 빔은 상기 제6 빔이며, 그렇지 않으면, 상기 타겟 빔은 제3 빔, 제4 빔 또는 제5 빔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메시지는 Msg3일 때, 상기 선택가능한 빔은 제7 빔, 제8 빔, 제9 빔, 제10 빔, 제11 빔 및 제12 빔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하며;
상기 제7 빔은 Msg1을 송신하는 업링크 빔과 동일한 업링크 빔이며;
상기 제8 빔은 Msg1을 송신하는 업링크 빔과 준 코로케이션(QCL) 관계를 가지는 업링크 빔이며;
상기 제9 빔은 Msg2 중에서 지시한 업링크 빔이며;
상기 제10 빔은 전용 무선 자원 제어(RRC) 메시지중에 배치된 다운링크 빔과 관련된 관계를 가지는 업링크 빔이며;
상기 제11 빔은 전용 무선 자원 제어(RRC) 메시지중에 배치된 업링크 빔이며;
상기 제12 빔은 Msg2를 수신하는 다운링크 빔과 관련된 관계를 가지는 업링크 빔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메시지는 Msg4일 때, 상기 선택가능한 빔은 제3 빔, 제4 빔, 제5 빔, 제6 빔, 제13 빔, 제14 빔, 제15 빔, 제16 빔 및 제 17 빔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하며;
상기 제3 빔은 Msg1을 송신하는 업링크 빔과 관련된 관계를 가지는 다운링크 빔이며;
상기 제4 빔은 수신된 다운링크 참조 신호 품질이 제1 임계치보다 더 양호한 다운링크 빔과 준 코로케이션(QCL) 관계를 가지는 다운링크 빔이며;
상기 제5 빔은 수신된 다운링크 참조 신호 품질이 제1 임계치보다 더 양호한 다운링크 빔과 동일한 다운링크 빔이며;
상기 제6 빔은 전용 무선 자원 제어(RRC) 메시지중에 배치된 다운링크 빔이며;
상기 제13 빔은 Msg2중에서 지시한 다운링크 빔이며;
상기 제14 빔은 Msg2를 수신하는 다운링크 빔이며;
상기 제15 빔은 Msg2를 수신하는 다운링크 빔과 준 코로케이션(QCL) 관계를 가지는 다운링크 빔이며;
상기 제16 빔은 Msg3을 송신하는 업링크 빔과 관련된 관계를 가지는 다운링크 빔이며;
상기 제17 빔은 전용 무선 자원 제어(RRC) 메시지중에 배치된 업링크 빔과 관련된 관계를 가지는 다운링크 빔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6 빔은 사용할 수 있고, 또한 Msg1을 송신하는 업링크 빔과 관련된 관계를 가지거나, 또는 상기 제6 빔은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수신된 다운링크 참조 신호 품질이 제1 임계치보다 더 양호한 다운링크 빔과 QCL 관계를 가지거나, 또는 상기 제6 빔은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수신된 다운링크 참조 신호 품질이 제1 임계치보다 더 양호한 다운링크 빔과 동일할 때, 상기 타겟 빔은 상기 제6 빔이며, 그렇지 않으면, 상기 타겟 빔은 제3 빔, 제4 빔, 제5 빔, 제13 빔, 제14 빔, 제15 빔, 제16 빔 또는 제17 빔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타겟 빔은 상기 선택가능한 빔중의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우선 순위 등급이 가장 높은 빔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선택가능한 빔은 네트워크 기기가 Msg2를 통해 단말 기기에 지시한 빔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선택가능한 빔은 네트워크 기기에서 전용 무선 자원 제어(RRC) 메시지를 통해 단말 기기에 배치한 빔에 의해 확정된 빔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통신 기기(500)는 도 4의 방법 실시예중 통신 기기가 구현하는 각각의 과정을 구현할 수 있는바, 중복되는 설명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 더 이상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의 통신 기기(500)는, 전송 모듈(501)을 포함하고, 상기 전송 모듈(501)은, 선택가능한 빔중의 타겟 빔을 채용하여 랜덤 액세스 과정중의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것이며; 그 중, 상기 랜덤 액세스 과정중의 메시지는 Msg1, Msg2, Msg3 또는 Msg4이고, 빔을 토대로한 랜덤 액세스 과정중의 메시지의 전송을 구현하며, 랜덤 액세스 과정중의 메시지를 송수신하기 위한 빔의 선택을 규범화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단말 기기의 구조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단말 기기(600)는: 무선 주파수 유닛(601), 네트워크 모듈(602), 오디오 출력 유닛(603), 입력 유닛(604), 센서(605), 표시 유닛(606), 사용자 입력 유닛(607), 인터페이스 유닛(608), 메모리(609), 프로세서(610), 및 전원(611) 등 컴포넌트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도 6에 나타내는 단말 기기의 구조는 단말 기기에 대한 한정을 구성하지 않으며, 단말 기기는 도시된 것보다 더 많거나 더 적은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또는 일부 컴포넌트들을 조합하거나, 또는 상이한 컴포넌트를 배치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단말 기기는 휴대폰, 태블릿 PC, 노트북 컴퓨터, 팜톱 컴퓨터, 차량 탑재 단말, 웨어러블 기기, 및 보수계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 중, 무선 주파수 유닛(601)은, 선택가능한 빔중의 타겟 빔을 채용하여 랜덤 액세스 과정중의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것이며; 그 중, 상기 랜덤 액세스 과정중의 메시지는 Msg1, Msg2, Msg3 또는 Msg4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선택가능한 빔중의 타겟 빔을 채용하여 랜덤 액세스 과정중의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통해, 빔을 토대로한 랜덤 액세스 과정중의 메시지의 전송을 구현하며, 랜덤 액세스 과정중의 메시지를 송수신하기 위한 빔의 선택을 규범화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메시지는 Msg1일 때, 상기 선택가능한 빔은 제1 빔 및/또는 제2 빔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빔은 수신된 다운링크 참조 신호 품질이 제1 임계치보다 더 양호한 다운링크 빔과 관련된 관계를 가지는 업링크 빔이며;
상기 제2 빔은 전용 무선 자원 제어(RRC) 메시지중에 배치된 다운링크 빔과 관련된 관계를 가지는 업링크 빔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메시지는 Msg2일 때, 상기 선택가능한 빔은 제3 빔, 제4 빔, 제5 빔 및 제6 빔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하며;
상기 제3 빔은 Msg1을 송신하는 업링크 빔과 관련된 관계를 가지는 다운링크 빔이며;
상기 제4 빔은 수신된 다운링크 참조 신호 품질이 제1 임계치보다 더 양호한 다운링크 빔과 QCL 관계를 가지는 다운링크 빔이며;
상기 제5 빔은 수신된 다운링크 참조 신호 품질이 제1 임계치보다 더 양호한 다운링크 빔과 동일한 다운링크 빔이며;
상기 제6 빔은 전용 무선 자원 제어(RRC) 메시지중에 배치된 다운링크 빔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6 빔은 사용할 수 있고, 또한 Msg1을 송신하는 업링크 빔과 관련된 관계를 가지거나, 또는 상기 제6 빔은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수신된 다운링크 참조 신호 품질이 제1 임계치보다 더 양호한 다운링크 빔과 QCL 관계를 가지거나, 또는 상기 제6 빔은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수신된 다운링크 참조 신호 품질이 제1 임계치보다 더 양호한 다운링크 빔과 동일할 때, 상기 타겟 빔은 상기 제6 빔이며, 그렇지 않으면, 상기 타겟 빔은 제3 빔, 제4 빔 또는 제5 빔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메시지는 Msg3일 때, 상기 선택가능한 빔은 제7 빔, 제8 빔, 제9 빔, 제10 빔, 제11 빔 및 제12 빔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하며;
상기 제7 빔은 Msg1을 송신하는 업링크 빔과 동일한 업링크 빔이며;
상기 제8 빔은 Msg1을 송신하는 업링크 빔과 QCL 관계를 가지는 업링크 빔이며;
상기 제9 빔은 Msg2 중에서 지시한 업링크 빔이며;
상기 제10 빔은 전용 무선 자원 제어(RRC) 메시지중에 배치된 다운링크 빔과 관련된 관계를 가지는 업링크 빔이며;
상기 제11 빔은 전용 무선 자원 제어(RRC) 메시지중에 배치된 업링크 빔이며;
상기 제12 빔은 Msg2를 수신하는 다운링크 빔과 관련된 관계를 가지는 업링크 빔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메시지는 Msg4일 때, 상기 선택가능한 빔은 제3 빔, 제4 빔, 제5 빔, 제6 빔, 제13 빔, 제14 빔, 제15 빔, 제16 빔 및 제 17 빔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하며;
상기 제3 빔은 Msg1을 송신하는 업링크 빔과 관련된 관계를 가지는 다운링크 빔이며;
상기 제4 빔은 수신된 다운링크 참조 신호 품질이 제1 임계치보다 더 양호한 다운링크 빔과 QCL 관계를 가지는 다운링크 빔이며;
상기 제5 빔은 수신된 다운링크 참조 신호 품질이 제1 임계치보다 더 양호한 다운링크 빔과 동일한 다운링크 빔이며;
상기 제6 빔은 전용 무선 자원 제어(RRC) 메시지중에 배치된 다운링크 빔이며;
상기 제13 빔은 Msg2중에서 지시한 다운링크 빔이며;
상기 제14 빔은 Msg2를 수신하는 다운링크 빔이며;
상기 제15 빔은 Msg2를 수신하는 다운링크 빔과 QCL 관계를 가지는 다운링크 빔이며;
상기 제16 빔은 Msg3을 송신하는 업링크 빔과 관련된 관계를 가지는 다운링크 빔이며;
상기 제17 빔은 전용 무선 자원 제어(RRC) 메시지중에 배치된 업링크 빔과 관련된 관계를 가지는 다운링크 빔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6 빔은 사용할 수 있고, 또한 Msg1을 송신하는 업링크 빔과 관련된 관계를 가지거나, 또는 상기 제6 빔은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수신된 다운링크 참조 신호 품질이 제1 임계치보다 더 양호한 다운링크 빔과 QCL 관계를 가지거나, 또는 상기 제6 빔은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수신된 다운링크 참조 신호 품질이 제1 임계치보다 더 양호한 다운링크 빔과 동일할 때, 상기 타겟 빔은 상기 제6 빔이며, 그렇지 않으면, 상기 타겟 빔은 상기 제3 빔, 상기 제4 빔, 상기 제5 빔, 상기 제13 빔, 상기 제14 빔, 상기 제15 빔, 상기 제16 빔 또는 상기 제17 빔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타겟 빔은 상기 선택가능한 빔중의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우선 순위 등급이 가장 높은 빔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선택가능한 빔은 네트워크 기기가 Msg2를 통해 단말 기기에 지시한 빔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선택가능한 빔은 네트워크 기기에서 전용 무선 자원 제어(RRC) 메시지를 통해 단말 기기에 배치한 빔에 의해 확정된 빔을 포함한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무선 주파수 유닛(601)은 정보 송수신 또는 통화 과정에서, 신호를 수신 및 송신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지국으로부터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한 후, 프로세서(610)에 의해 처리되도록 하고; 그리고, 업링크 데이터를 기지국으로 송신한다. 통상적으로, 무선 주파수 유닛(601)은 안테나, 적어도 하나의 증폭기, 송수신기, 커플러, 저잡음 증폭기, 듀플렉서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무선 주파수 유닛(601)은 또한, 무선 통신 시스템을 통해 네트워크 및 기타 기기와 통신할 수 있다.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 모듈(602)을 통해 사용자에게 무선 광대역 인터넷 액세스를 제공하는바, 예컨대, 사용자를 도와 이메일 송수신, 웹 페이지 브라우징, 스트리밍 미디어 액세스 등을 수행한다.
오디오 출력 유닛(603)은 무선 주파수 유닛(601) 또는 네트워크 모듈(602)이 수신한 또는 메모리(609)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시켜 소리로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오디오 출력 유닛(603)은 또한, 단말 기기(600)가 수행하는 특정 기능과 관련된 오디오 출력(예컨대, 콜 신호 수신 소리, 메시지 수신 소리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 유닛(603)은 스피커, 버저 및 수화기 등을 포함한다.
입력 유닛(604)은 오디오 또는 비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입력 유닛(604)은 그래픽 프로세서(Graphics Processing Unit, GPU, 6041) 및 마이크(604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래픽 프로세서(6041)는 비디오 캡쳐 모드 또는 이미지 캡쳐 모드에서 이미지 캡쳐 장치(예컨대,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스틸 사진 또는 비디오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한다. 처리된 이미지 프레임은 표시 유닛(606) 상에 표시될 수 있다. 그래픽 프로세서(6041)에 의한 처리를 거친 후의 이미지 프레임은 메모리(609)(또는 기타 저장 매체)에 저장되거나 또는 무선 주파수 유닛(601) 또는 네트워크 모듈(602)을 경유하여 송신된다. 마이크(6042)는 소리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러한 소리를 오디오 데이터로 처리할 수 있다. 처리된 오디오 데이터는 전화 통화 모드의 경우에 있어서 무선 주파수 유닛(601)을 경유하여 이동 통신 기지국으로 송신가능한 포맷으로 전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단말 기기(600)는, 예컨대 광 센서, 운동 센서 및 기타 센서와 같은 적어도 한 가지 센서(605)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광 센서는 환경광 센서 및 근접 센서를 포함한다. 환경광 센서는 환경 광선의 명도에 따라 표시 패널(6061)의 휘도를 조절할 수 있고, 근접 센서는 단말 기기(600)가 귓가로 이동했을 때, 표시 패널(6061) 및/또는 백라이트를 턴 오프할 수 있다. 운동 센서의 일종으로서, 가속도계 센서는 각각의 방향에서의(통상적으로, 3 축) 가속도의 크기를 검출할 수 있고, 정지 시, 중력의 크기 및 방향을 검출할 수 있으며, 단말 기기의 자태(예컨대, 가로 및 세로 스크린 스위칭, 관련 게임, 자기력계 자세 교정), 진동 식별 관련 기능(예컨대, 보수계, 태핑) 등을 식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센서(605)는 지문 센서, 압력 센서, 홍채 센서, 분자 센서, 자이로스코프,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적외선 센서 등을 더 포함하는바, 여기서 더이상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표시 유닛(606)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표시 유닛(606)은 표시 패널(606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등의 형태로 표시 패널(6061)을 구성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유닛(607)은 입력된 숫자 또는 문자 부호 정보를 수신하고, 단말 기기의 사용자 설정 및 기능 제어와 관련된 키 신호 입력을 산생시키기 위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입력 유닛(607)은 터치 패널(6071) 및 기타 입력 기기(6072)를 포함한다. 터치 패널(6071)은, 터치 스크린으로 칭하기도 하며, 사용자가 터치 패널 상 또는 부근에서의 터치 조작(예컨대, 사용자가 손가락, 스타일러스 등 임의의 적합한 물체 또는 액세서리로 터치 패널(6071) 상 또는 터치 패널(6071) 부근에서의 조작)을 수집할 수 있다. 터치 패널(6071)은 터치 검출 장치 및 터치 제어기 두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검출 장치는 사용자의 터치 방위를 검출하고, 터치 조작에 따른 신호를 검출하고, 신호를 터치 제어기로 송신하며; 터치 제어기는 터치 검출 장치로부터 터치 정보를 수신하여, 접점 좌표로 전환시킨 후에 프로세서(610)로 보내고, 프로세서(610)가 보낸 명령을 수신하여 실행한다. 또한, 저항식, 정전용량식, 적외선 및 표면탄성파 등 다양한 유형으로 터치 패널(6071)을 구현할 수 있다. 터치 패널(6071) 외에, 사용자 입력 유닛(607)은 기타 입력 기기(607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타 입력 기기(6072)는 물리 키보드, 기능키(예컨대, 음량 제어 키버튼, 전원 스위치 버튼 등), 트랙볼, 마우스 및 조이스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바, 여기서 더이상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진일보하여, 터치 패널(6071)은 표시 패널(6061)을 커버할 수 있으며, 터치 패널(6071)은 터치 패널(6071) 상 또는 부근의 터치 조작을 검출한 후, 프로세서(610)에 전송하여 터치 이벤트의 유형을 확정하도록 하고, 그 후, 프로세서(610)는 터치 이벤트의 유형에 따라 표시 패널(6061) 상에 상응하는 시각적 출력을 제공한다. 도 6에서 터치 패널(6071)과 표시 패널(6061)이 독립된 두 컴포넌트로서 단말 기기의 입력 및 출력 기능을 구현하고 있으나, 몇몇 실시예들에서, 터치 패널(6071)과 표시 패널(6061)을 집적하여 단말 기기의 입력 및 출력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바, 여기서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기로 한다.
인터페이스 유닛(608)은 외부 장치가 단말 기기(600)에 연결되는 인터페이스이다. 예컨대, 외부 장치는 유선 또는 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전원(또는 배터리 충전기) 포트, 유선 또는 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 포트, 식별 모듈을 갖는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포트, 오디오 입력/출력(I/O) 포트, 비디오 I/O 포트, 헤드폰 포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유닛(608)은 외부 장치로부터의 입력(예컨대, 데이터 정보, 전력 등)을 수신하고, 수신된 입력을 단말 기기(600)내의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소자에 전송하기 위한 것 또는 단말 기기(600)과 외부 장치 사이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메모리(609)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메모리(609)는 주로 프로그램 저장 영역 및 데이터 저장 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프로그램 저장 영역은 작업 시스템,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예컨대, 소리 재생 기능, 이미지 재생 기능 등) 등을 저장할 수 있으며; 데이터 저장 영역은 휴대폰의 사용에 따라 작성된 데이터(예컨대, 오디오 데이터, 전화 번호부 등)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609)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도 있고, 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자기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기타 휘발성 솔리드 스테이트 저장 디바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610)는 단말 기기의 제어 중심이고, 각종 인터페이스 및 회선을 이용하여 전체 단말 기기의 각 부분을 연결시킨다. 메모리(609)내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또는 모듈을 실행 또는 수행하고, 그리고 메모리(609)내에 저장된 데이터를 호출하여, 단말 기기의 각종 기능을 실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함으로써, 단말 기기에 대해 전반적인 모니터링을 진행한다. 프로세서(610)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처리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프로세서(610)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모뎀 프로세서를 집적할 수 있으며,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주로 작업 시스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애플리케이션 등을 처리하고, 모뎀 프로세서는 주로 무선 통신을 처리한다. 상술한 모뎀 프로세서는 프로세서(610)에 집적되지 않을 수도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단말 기기(600)는 각각의 컴포넌트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611)(예컨대, 배터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전원(611)은 전원 관리 시스템을 통해 프로세서(610)와 로직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관리 시스템을 통해 충전, 방전 관리 및 전력 소비 관리 등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 기기(600)는 도시되지 않은 일부 기능 모듈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바, 여기서 더이상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바람직하게,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 기기를 더 제공한다. 상기 단말 기기는 프로세서(610), 메모리(609), 및 메모리(609)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610)에서 실행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당해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610)에 의해 실행될 때, 상술한 랜덤 액세스 방법 실시예의 각각의 과정을 구현하며,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바, 중복되는 설명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 더 이상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당해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술한 랜덤 액세스 방법 실시예의 각각의 과정을 구현하며,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바, 중복되는 설명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 더이상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예컨대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 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네트워크 기기의 구조도이고, 도 7에서 도시하다 시피, 네트워크 기기(700)는: 프로세서(701), 메모리(702), 버스 인터페이스(703) 및 송수신기(704)를 포함하며, 그 중, 프로세서(701), 메모리(702) 및 송수신기(704)는 모두 버스 인터페이스(703)에 연결된다.
그 중,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기기(700)는: 메모리(702)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701)에서 실행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더 포함하며, 당해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701)에 의해 실행될 때:
선택가능한 빔중의 타겟 빔을 채용하여 랜덤 액세스 과정중의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구현하며;
그 중, 상기 랜덤 액세스 과정중의 메시지는 Msg1, Msg2, Msg3 또는 Msg4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메시지는 Msg1일 때, 상기 선택가능한 빔은 제1 빔 및/또는 제2 빔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빔은 수신된 다운링크 참조 신호 품질이 제1 임계치보다 더 양호한 다운링크 빔과 관련된 관계를 가지는 업링크 빔이며;
상기 제2 빔은 전용 무선 자원 제어(RRC) 메시지중에 배치된 다운링크 빔과 관련된 관계를 가지는 업링크 빔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메시지는 Msg2일 때, 상기 선택가능한 빔은 제3 빔, 제4 빔, 제5 빔 및 제6 빔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하며;
상기 제3 빔은 Msg1을 송신하는 업링크 빔과 관련된 관계를 가지는 다운링크 빔이며;
상기 제4 빔은 수신된 다운링크 참조 신호 품질이 제1 임계치보다 더 양호한 다운링크 빔과 QCL 관계를 가지는 다운링크 빔이며;
상기 제5 빔은 수신된 다운링크 참조 신호 품질이 제1 임계치보다 더 양호한 다운링크 빔과 동일한 다운링크 빔이며;
상기 제6 빔은 전용 무선 자원 제어(RRC) 메시지중에 배치된 다운링크 빔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6 빔은 사용할 수 있고, 또한 Msg1을 송신하는 업링크 빔과 관련된 관계를 가지거나, 또는 상기 제6 빔은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수신된 다운링크 참조 신호 품질이 제1 임계치보다 더 양호한 다운링크 빔과 QCL 관계를 가지거나, 또는 상기 제6 빔은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수신된 다운링크 참조 신호 품질이 제1 임계치보다 더 양호한 다운링크 빔과 동일할 때, 상기 타겟 빔은 상기 제6 빔이며, 그렇지 않으면, 상기 타겟 빔은 제3 빔, 제4 빔 또는 제5 빔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메시지는 Msg3일 때, 상기 선택가능한 빔은 제7 빔, 제8 빔, 제9 빔, 제10 빔, 제11 빔 및 제12 빔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하며;
상기 제7 빔은 Msg1을 송신하는 업링크 빔과 동일한 업링크 빔이며;
상기 제8 빔은 Msg1을 송신하는 업링크 빔과 QCL 관계를 가지는 업링크 빔이며;
상기 제9 빔은 Msg2 중에서 지시한 업링크 빔이며;
상기 제10 빔은 전용 무선 자원 제어(RRC) 메시지중에 배치된 다운링크 빔과 관련된 관계를 가지는 업링크 빔이며;
상기 제11 빔은 전용 무선 자원 제어(RRC) 메시지중에 배치된 업링크 빔이며;
상기 제12 빔은 Msg2를 수신하는 다운링크 빔과 관련된 관계를 가지는 업링크 빔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메시지는 Msg4일 때, 상기 선택가능한 빔은 제3 빔, 제4 빔, 제5 빔, 제6 빔, 제13 빔, 제14 빔, 제15 빔, 제16 빔 및 제 17 빔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하며;
상기 제3 빔은 Msg1을 송신하는 업링크 빔과 관련된 관계를 가지는 다운링크 빔이며;
상기 제4 빔은 수신된 다운링크 참조 신호 품질이 제1 임계치보다 더 양호한 다운링크 빔과 QCL 관계를 가지는 다운링크 빔이며;
상기 제5 빔은 수신된 다운링크 참조 신호 품질이 제1 임계치보다 더 양호한 다운링크 빔과 동일한 다운링크 빔이며;
상기 제6 빔은 전용 무선 자원 제어(RRC) 메시지중에 배치된 다운링크 빔이며;
상기 제13 빔은 Msg2중에서 지시한 다운링크 빔이며;
상기 제14 빔은 Msg2를 수신하는 다운링크 빔이며;
상기 제15 빔은 Msg2를 수신하는 다운링크 빔과 QCL 관계를 가지는 다운링크 빔이며;
상기 제16 빔은 Msg3을 송신하는 업링크 빔과 관련된 관계를 가지는 다운링크 빔이며;
상기 제17 빔은 전용 무선 자원 제어(RRC) 메시지중에 배치된 업링크 빔과 관련된 관계를 가지는 다운링크 빔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6 빔은 사용할 수 있고, 또한 Msg1을 송신하는 업링크 빔과 관련된 관계를 가지거나, 또는 상기 제6 빔은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수신된 다운링크 참조 신호 품질이 제1 임계치보다 더 양호한 다운링크 빔과 QCL 관계를 가지거나, 또는 상기 제6 빔은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수신된 다운링크 참조 신호 품질이 제1 임계치보다 더 양호한 다운링크 빔과 동일할 때, 상기 타겟 빔은 상기 제6 빔이며, 그렇지 않으면, 상기 타겟 빔은 상기 제3 빔, 상기 제4 빔, 상기 제5 빔, 상기 제13 빔, 상기 제14 빔, 상기 제15 빔, 상기 제16 빔 또는 상기 제17 빔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타겟 빔은 상기 선택가능한 빔중의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우선 순위 등급이 가장 높은 빔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선택가능한 빔은 네트워크 기기가 Msg2를 통해 단말 기기에 지시한 빔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선택가능한 빔은 네트워크 기기에서 전용 무선 자원 제어(RRC) 메시지를 통해 단말 기기에 배치한 빔에 의해 확정된 빔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기기를 제공하며,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프로세서(701), 메모리(702) 및 상기 메모리(702)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701)에서 실행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프로세서(701)에 의해 실행될 때, 상술한 랜덤 액세스 방법 실시예의 각각의 과정을 구현하며,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바, 중복되는 설명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 더이상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당해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술한 랜덤 액세스 방법 실시예의 각각의 과정을 구현하며,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바, 중복되는 설명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 더이상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예컨대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 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포함’, '내포’ 또는 기타 임의의 변체는 비배타적인 포함을 포괄하며, 예컨대, 일련의 단계 또는 유닛을 포함하는 과정, 방법, 물품 또는 기기는, 명시적으로 열거한 그런 요소에만 한정될 것이 아니라, 명시적으로 열거되지 않거나 또는 이러한 과정, 방법, 물품 또는 기기에 고유한 기타 요소를 더 포함하도록 할 것을 의도한다. 더 이상 제한 없이, 용어 "하나의 ……을 포함"은, 이 요소를 포함하는 과정, 방법, 물품 또는 기기에 또 다른 요소가 더 존재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상술한 실시방식의 설명으로부터, 상기 기능은 소프트웨어에 필수적인 범용 하드웨어 플랫폼의 방식을 결합하여 실현가능함을 명확히 이해하여야 하며, 하드웨어를 통하여서도 실현 가능하지만, 많은 상황에서, 전자가 더욱 양호한 실시 방식임은 자명한 것이다. 이러한 이해를 토대로, 본 개시에 따른 기술방안의 본질적 또는 관련 기술에 기여하는 부분은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당해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저장 매체(예컨대, ROM/RAM,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에 저장되고, 복수 개의 인스트럭션을 포함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단말(핸드폰, 컴퓨터, 서버, 에어컨 또는 네트워크 기기 등)더러 본 개시의 각 실시예의 상기 방법을 실행하도록 한다.
위에서 도면을 결부시켜 본 개시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는 상술한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상술한 구체적인 실시형태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이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본 개시의 계시하에 본 개시의 취지와 특허청구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다양한 형태를 더 실시할 수 있으며, 그러한 형태들은 모두 본 개시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22)

  1. 랜덤 액세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선택가능한 빔중의 타겟 빔을 채용하여 랜덤 액세스 과정중의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그 중, 상기 랜덤 액세스 과정중의 메시지는 Msg1, Msg2, Msg3 또는 Msg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액세스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Msg1일 때, 상기 선택가능한 빔은 제1 빔 및/또는 제2 빔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빔은 수신된 다운링크 참조 신호 품질이 제1 임계치보다 더 양호한 다운링크 빔과 관련된 관계를 가지는 업링크 빔이며;
    상기 제2 빔은 전용 무선 자원 제어(RRC) 메시지중에 배치된 다운링크 빔과 관련된 관계를 가지는 업링크 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액세스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Msg2일 때, 상기 선택가능한 빔은 제3 빔, 제4 빔, 제5 빔 및 제6 빔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하며;
    상기 제3 빔은 Msg1을 송신하는 업링크 빔과 관련된 관계를 가지는 다운링크 빔이며;
    상기 제4 빔은 수신된 다운링크 참조 신호 품질이 제1 임계치보다 더 양호한 다운링크 빔과 준 코로케이션(QCL) 관계를 가지는 다운링크 빔이며;
    상기 제5 빔은 수신된 다운링크 참조 신호 품질이 제1 임계치보다 더 양호한 다운링크 빔과 동일한 다운링크 빔이며;
    상기 제6 빔은 전용 무선 자원 제어(RRC) 메시지중에 배치된 다운링크 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액세스 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6 빔은 사용할 수 있고, 또한 Msg1을 송신하는 업링크 빔과 관련된 관계를 가지거나, 또는 상기 제6 빔은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수신된 다운링크 참조 신호 품질이 제1 임계치보다 더 양호한 다운링크 빔과 QCL 관계를 가지거나, 또는 상기 제6 빔은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수신된 다운링크 참조 신호 품질이 제1 임계치보다 더 양호한 다운링크 빔과 동일할 때, 상기 타겟 빔은 상기 제6 빔이며, 그렇지 않으면, 상기 타겟 빔은 제3 빔, 제4 빔 또는 제5 빔인 랜덤 액세스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Msg3일 때, 상기 선택가능한 빔은 제7 빔, 제8 빔, 제9 빔, 제10 빔, 제11 빔 및 제12 빔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하며;
    상기 제7 빔은 Msg1을 송신하는 업링크 빔과 동일한 업링크 빔이며;
    상기 제8 빔은 Msg1을 송신하는 업링크 빔과 준 코로케이션(QCL) 관계를 가지는 업링크 빔이며;
    상기 제9 빔은 Msg2 중에서 지시한 업링크 빔이며;
    상기 제10 빔은 전용 무선 자원 제어(RRC) 메시지중에 배치된 다운링크 빔과 관련된 관계를 가지는 업링크 빔이며;
    상기 제11 빔은 전용 무선 자원 제어(RRC) 메시지중에 배치된 업링크 빔이며;
    상기 제12 빔은 Msg2를 수신하는 다운링크 빔과 관련된 관계를 가지는 업링크 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액세스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Msg4일 때, 상기 선택가능한 빔은 제3 빔, 제4 빔, 제5 빔, 제6 빔, 제13 빔, 제14 빔, 제15 빔, 제16 빔 및 제 17 빔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하며;
    상기 제3 빔은 Msg1을 송신하는 업링크 빔과 관련된 관계를 가지는 다운링크 빔이며;
    상기 제4 빔은 수신된 다운링크 참조 신호 품질이 제1 임계치보다 더 양호한 다운링크 빔과 준 코로케이션(QCL) 관계를 가지는 다운링크 빔이며;
    상기 제5 빔은 수신된 다운링크 참조 신호 품질이 제1 임계치보다 더 양호한 다운링크 빔과 동일한 다운링크 빔이며;
    상기 제6 빔은 전용 무선 자원 제어(RRC) 메시지중에 배치된 다운링크 빔이며;
    상기 제13 빔은 Msg2중에서 지시한 다운링크 빔이며;
    상기 제14 빔은 Msg2를 수신하는 다운링크 빔이며;
    상기 제15 빔은 Msg2를 수신하는 다운링크 빔과 준 코로게이션(QCL) 관계를 가지는 다운링크 빔이며;
    상기 제16 빔은 Msg3을 송신하는 업링크 빔과 관련된 관계를 가지는 다운링크 빔이며;
    상기 제17 빔은 전용 무선 자원 제어(RRC) 메시지중에 배치된 업링크 빔과 관련된 관계를 가지는 다운링크 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액세스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6 빔은 사용할 수 있고, 또한 Msg1을 송신하는 업링크 빔과 관련된 관계를 가지거나, 또는 상기 제6 빔은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수신된 다운링크 참조 신호 품질이 제1 임계치보다 더 양호한 다운링크 빔과 QCL 관계를 가지거나, 또는 상기 제6 빔은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수신된 다운링크 참조 신호 품질이 제1 임계치보다 더 양호한 다운링크 빔과 동일할 때, 상기 타겟 빔은 상기 제6 빔이며, 그렇지 않으면, 상기 타겟 빔은 상기 제3 빔, 상기 제4 빔, 상기 제5 빔, 상기 제13 빔, 상기 제14 빔, 상기 제15 빔, 상기 제16 빔 또는 상기 제17 빔인 랜덤 액세스 방법.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빔은 상기 선택가능한 빔중의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우선 순위 등급이 가장 높은 빔인 랜덤 액세스 방법.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가능한 빔은 네트워크 기기가 Msg2를 통해 단말 기기에 지시한 빔을 포함하는 랜덤 액세스 방법.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가능한 빔은 네트워크 기기에서 전용 무선 자원 제어(RRC) 메시지를 통해 단말 기기에 배치한 빔에 의해 확정된 빔을 포함하는 랜덤 액세스 방법.
  11. 통신 기기에 있어서,
    상기 통신 기기는:
    선택가능한 빔중의 타겟 빔을 채용하여 랜덤 액세스 과정중의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 모듈을 포함하며;
    그 중, 상기 랜덤 액세스 과정중의 메시지는 Msg1, Msg2, Msg3 또는 Msg4인 통신 기기.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Msg1일 때, 상기 선택가능한 빔은 제1 빔 및/또는 제2 빔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빔은 수신된 다운링크 참조 신호 품질이 제1 임계치보다 더 양호한 다운링크 빔과 관련된 관계를 가지는 업링크 빔이며;
    상기 제2 빔은 전용 무선 자원 제어(RRC) 메시지중에 배치된 다운링크 빔과 관련된 관계를 가지는 업링크 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기기.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Msg2일 때, 상기 선택가능한 빔은 제3 빔, 제4 빔, 제5 빔 및 제6 빔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하며;
    상기 제3 빔은 Msg1을 송신하는 업링크 빔과 관련된 관계를 가지는 다운링크 빔이며;
    상기 제4 빔은 수신된 다운링크 참조 신호 품질이 제1 임계치보다 더 양호한 다운링크 빔과 준 코로케이션(QCL) 관계를 가지는 다운링크 빔이며;
    상기 제5 빔은 수신된 다운링크 참조 신호 품질이 제1 임계치보다 더 양호한 다운링크 빔과 동일한 다운링크 빔이며;
    상기 제6 빔은 전용 무선 자원 제어(RRC) 메시지중에 배치된 다운링크 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기기.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6 빔은 사용할 수 있고, 또한 Msg1을 송신하는 업링크 빔과 관련된 관계를 가지거나, 또는 상기 제6 빔은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수신된 다운링크 참조 신호 품질이 제1 임계치보다 더 양호한 다운링크 빔과 QCL 관계를 가지거나, 또는 상기 제6 빔은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수신된 다운링크 참조 신호 품질이 제1 임계치보다 더 양호한 다운링크 빔과 동일할 때, 상기 타겟 빔은 상기 제6 빔이며, 그렇지 않으면, 상기 타겟 빔은 제3 빔, 제4 빔 또는 제5 빔인 것인 통신 기기.
  15.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Msg3일 때, 상기 선택가능한 빔은 제7 빔, 제8 빔, 제9 빔, 제10 빔, 제11 빔 및 제12 빔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하며;
    상기 제7 빔은 Msg1을 송신하는 업링크 빔과 동일한 업링크 빔이며;
    상기 제8 빔은 Msg1을 송신하는 업링크 빔과 준 코로케이션(QCL) 관계를 가지는 업링크 빔이며;
    상기 제9 빔은 Msg2 중에서 지시한 업링크 빔이며;
    상기 제10 빔은 전용 무선 자원 제어(RRC) 메시지중에 배치된 다운링크 빔과 관련된 관계를 가지는 업링크 빔이며;
    상기 제11 빔은 전용 무선 자원 제어(RRC) 메시지중에 배치된 업링크 빔이며;
    상기 제12 빔은 Msg2를 수신하는 다운링크 빔과 관련된 관계를 가지는 업링크 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기기.
  16.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Msg4일 때, 상기 선택가능한 빔은 제3 빔, 제4 빔, 제5 빔, 제6 빔, 제13 빔, 제14 빔, 제15 빔, 제16 빔 및 제 17 빔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하며;
    상기 제3 빔은 Msg1을 송신하는 업링크 빔과 관련된 관계를 가지는 다운링크 빔이며;
    상기 제4 빔은 수신된 다운링크 참조 신호 품질이 제1 임계치보다 더 양호한 다운링크 빔과 준 코로케이션(QCL) 관계를 가지는 다운링크 빔이며;
    상기 제5 빔은 수신된 다운링크 참조 신호 품질이 제1 임계치보다 더 양호한 다운링크 빔과 동일한 다운링크 빔이며;
    상기 제6 빔은 전용 무선 자원 제어(RRC) 메시지중에 배치된 다운링크 빔이며;
    상기 제13 빔은 Msg2중에서 지시한 다운링크 빔이며;
    상기 제14 빔은 Msg2를 수신하는 다운링크 빔이며;
    상기 제15 빔은 Msg2를 수신하는 다운링크 빔과 준 코로케이션(QCL) 관계를 가지는 다운링크 빔이며;
    상기 제16 빔은 Msg3을 송신하는 업링크 빔과 관련된 관계를 가지는 다운링크 빔이며;
    상기 제17 빔은 전용 무선 자원 제어(RRC) 메시지중에 배치된 업링크 빔과 관련된 관계를 가지는 다운링크 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기기.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6 빔은 사용할 수 있고, 또한 Msg1을 송신하는 업링크 빔과 관련된 관계를 가지거나, 또는 상기 제6 빔은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수신된 다운링크 참조 신호 품질이 제1 임계치보다 더 양호한 다운링크 빔과 QCL 관계를 가지거나, 또는 상기 제6 빔은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수신된 다운링크 참조 신호 품질이 제1 임계치보다 더 양호한 다운링크 빔과 동일할 때, 상기 타겟 빔은 상기 제6 빔이며, 그렇지 않으면, 상기 타겟 빔은 상기 제3 빔, 상기 제4 빔, 상기 제5 빔, 상기 제13 빔, 상기 제14 빔, 상기 제15 빔, 상기 제16 빔 또는 상기 제17 빔인 통신 기기.
  18.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빔은 상기 선택가능한 빔중의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우선 순위 등급이 가장 높은 빔인 것인 통신 기기.
  19.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가능한 빔은 네트워크 기기가 Msg2를 통해 단말 기기에 지시한 빔을 포함하는 통신 기기.
  20.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가능한 빔은 네트워크 기기에서 전용 무선 자원 제어(RRC) 메시지를 통해 단말 기기에 배치한 빔에 의해 확정된 빔을 포함하는 통신 기기.
  21. 통신 기기에 있어서,
    상기 통신 기기는: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청구항 제1 항 내지 제10 항 중 임의의 한 항에 따른 랜덤 액세스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는 통신 기기.
  22.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청구항 제1 항 내지 제10 항 중 임의의 한 항에 따른 랜덤 액세스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KR1020207035655A 2018-05-10 2019-04-30 랜덤 액세스 방법 및 통신 기기 KR1025000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0444645.2A CN110475376A (zh) 2018-05-10 2018-05-10 一种随机接入方法及通信设备
CN201810444645.2 2018-05-10
PCT/CN2019/085105 WO2019214499A1 (zh) 2018-05-10 2019-04-30 随机接入方法及通信设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5734A true KR20210005734A (ko) 2021-01-14
KR102500043B1 KR102500043B1 (ko) 2023-02-14

Family

ID=68467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5655A KR102500043B1 (ko) 2018-05-10 2019-04-30 랜덤 액세스 방법 및 통신 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601822B2 (ko)
EP (1) EP3813469A4 (ko)
JP (1) JP7342034B2 (ko)
KR (1) KR102500043B1 (ko)
CN (1) CN110475376A (ko)
WO (1) WO20192144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10833B2 (en) * 2019-08-29 2022-04-19 Qualcomm, Incorporated RACH procedure with timing alignment
US11743742B2 (en) * 2020-03-31 2023-08-29 Qualcomm Incorporated Beam sweep based random access msg 3 and msg 4
EP4158987A4 (en) * 2020-09-21 2023-12-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SPATIAL SETTING DURING RANDOM ACCESS PROCEDURE
WO2023216023A1 (en) * 2022-05-07 2023-11-16 Qualcomm Incorporated Network controlled user equipment feedback of model inference error of network node beam prediction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1755A (ko) * 2014-12-30 2016-07-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초기 접속 방법 및 장치
KR20180034612A (ko) * 2015-07-31 2018-04-04 인텔 코포레이션 5g 시스템들을 위한 수신 빔 표시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25903A (ko) 2012-05-10 2013-11-20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시스템에서 빔포밍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118693B1 (ko) * 2013-06-24 2020-06-0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랜덤 액세스를 위한 적응적 송신 빔 패턴 결정 장치 및 방법
WO2015042866A1 (en) * 2013-09-27 2015-04-02 Alcatel Lucent Methods and devices for random access
CN106358216A (zh) * 2015-07-17 2017-01-25 北京信威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多波束随机接入方法
CN106922033B (zh) * 2015-12-28 2020-09-25 上海诺基亚贝尔股份有限公司 一种在基站中进行上行随机接入的方法和装置
CN106900075A (zh) * 2016-05-13 2017-06-27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研究院 一种随机接入方法、装置、相关设备和系统
US10440682B2 (en) * 2017-12-13 2019-10-0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es for dynamic beam pair determination
US10863570B2 (en) * 2018-01-09 2020-12-08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Beam selection in beam failure recovery request retransmiss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1755A (ko) * 2014-12-30 2016-07-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초기 접속 방법 및 장치
KR20180034612A (ko) * 2015-07-31 2018-04-04 인텔 코포레이션 5g 시스템들을 위한 수신 빔 표시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720454* *
3GPP R1-1802620*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214499A1 (zh) 2019-11-14
EP3813469A4 (en) 2021-07-14
EP3813469A1 (en) 2021-04-28
KR102500043B1 (ko) 2023-02-14
JP7342034B2 (ja) 2023-09-11
US20210058799A1 (en) 2021-02-25
JP2021520758A (ja) 2021-08-19
US11601822B2 (en) 2023-03-07
CN110475376A (zh) 2019-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700281B1 (en) Random access method and device, and terminal
EP3799508B1 (en) Random access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side device
KR20210036968A (ko) 랜덤 액세스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기기
KR102500043B1 (ko) 랜덤 액세스 방법 및 통신 기기
US11234275B2 (en) Method for receiving and sending information, user equipment and network device
AU2019343226B2 (en) Transmission method and related device
CN112566273B (zh) 一种数据接收、发送方法、终端及网络侧设备
CN111278153B (zh) 随机接入方法及装置、通信设备
US11711855B2 (en) Random access method, terminal, and network device
CN111132224A (zh) sidelink的连接控制方法、终端及网络侧设备
JP7102603B2 (ja) ランダムアクセス方法及び関連機器
CA3114258A1 (en) Method for processing terminal device capability information, terminal device, and network-side device
CN110636614A (zh) 一种随机接入方法、终端及网络设备
CN113133126B (zh) 变换工作频点的方法、终端及网络设备
CN112584536B (zh) 上行传输方法、资源配置方法、终端和网络侧设备
WO2021012991A1 (zh) 随机接入、信息发送、资源配置方法、网络侧设备及终端
RU2777610C1 (ru)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и связанные с ним устройства
KR20220035193A (ko) 랜덤 액세스 요청 자원의 선택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기기
KR20210039461A (ko) 랜덤 액세스 방법 및 단말 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