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5561A - 선스크린 조성물 - Google Patents

선스크린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5561A
KR20210005561A KR1020207027996A KR20207027996A KR20210005561A KR 20210005561 A KR20210005561 A KR 20210005561A KR 1020207027996 A KR1020207027996 A KR 1020207027996A KR 20207027996 A KR20207027996 A KR 20207027996A KR 20210005561 A KR20210005561 A KR 202100055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orcinol
weight
composition
sunscreen
sunscreen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7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라즈쿠마르 페루말
아쉬쉬 아난트 바이디아
Original Assignee
유니레버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레버 엔.브이. filed Critical 유니레버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210005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556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7Phen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5Ketones, e.g. benzophen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1Carboxylic acids having more than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1Mixtures of compound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codes A61K2800/592 - A61K2800/596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6Mixtures of surface active comp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스크린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선스크린 조성물은 향상된 자외선 A 차단 지수 (UVAPF)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상기 조성물은 UVA 유기 선스크린, 2-에틸헥실 2-시아노-3,3-디페닐아크릴레이트, 레조르시놀, 페닐에틸 레조르시놀, 4-알킬 치환된 레조르시놀 및 그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지방산 및 비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선스크린 조성물
본 발명은 선스크린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향상된 자외선 (UV) A 차단 지수 (UVAPF)를 제공하는 선스크린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사람들은 종종 건강한 라이프스타일을 즐길 목적으로 자신 및 자신의 외부 표면 예컨대 피부, 및 모발을 포함한 두피를 관리하려 한다. 사람들이 관심을 두는 구체적인 피부 관련 문제로는 건강하고 감염이 없는 피부, 우수한 피부 톤, 적정한 보습, 및 태양광에 포함되어 있는 UV 방사선으로부터의 보호가 포함된다.
태양광은 적외선 영역 (700 nm 내지 1 mm), 가시광 영역 (380 내지 780 nm) 및 UV 영역 (100 내지 400 nm)을 포함하고 있다. UV 영역은 UVC (100 내지 280 nm), UVB (280 내지 315 nm) 및 UVA (315 내지 400 nm)로 구성된다. 인간 신체가 적정한 양의 비타민 D 합성/유지에 약간의 UV 방사선을 필요로 하기는 하지만, 통상적으로는 UV의 유해 효과가 이익을 능가한다. UVB에의 과도한 노출은 DNA의 직접적인 손상을 야기하고 일광화상도 야기하는 것으로 주장되고 있으며; UVA에의 과도한 노출은 즉각적인 색소 침착 및 지연된 태닝 효과를 야기하는 것으로 주장되고 있다. 또한, UVA는 반응성 산소 종들이 연관되어 있는 산화 반응을 통하여 DNA 손상도 야기하는 것으로 주장되고 있다 (문헌 [Zhang et al., 1997, Free Radical Biology & Medicine, 23, 980-985]).
사람들이 태양광에의 노출을 가능한 한 많이 회피하고자 하는 것은 이러한 이유들 때문이다. 그러나, 많은 경우에서, 태양광에의 노출을 회피하는 것은 매우 어려우며, 때로는 불가능하다. 사람들이 태양광에 포함되어 있는 UV 방사선에의 과도한 노출에 의해 야기되는 원치않는 효과에 대하여 적어도 약간의 보호를 제공하는 다양한 국소용 조성물 예컨대 선스크린 조성물을 사용하려는 경향이 있는 것은 그와 같은 피할 수 없는 이유 때문이다. 이러한 조성물은 UV 방사선을 흡수함으로써 그것이 조성물이 적용되는 사용자의 표면, 예를 들면 피부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하는 선스크린을 포함한다.
유기 선스크린, 예컨대 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BMDM)은 UVA 방사선을 흡수한다. UVA 방사선을 흡수함으로써 보호를 제공하는 선스크린의 능력은 UVA 차단 지수(protection factor) (UVAPF)라는 용어로 표현된다. 반면, 유기 선스크린, 예컨대 2-에틸헥실 2-시아노-3,3-디페닐아크릴레이트 (OCR) 및 옥틸 메톡시신나메이트 (MCX)는 UVB 방사선을 흡수한다. UVB 방사선을 흡수함으로써 보호를 제공하는 선스크린의 능력은 일광 차단 지수 (SPF)라는 용어로 표현된다.
EP 2 431 021호 (유니레버(Unilever) 사)는 디벤조일메탄 또는 그의 유도체, 오일 가용성 UV-B 유기 선스크린, 포화 탄소 사슬을 포함하며 15.5를 초과하는 HLB를 갖는 클래스의 지방 알콜 에톡실레이트 또는 불포화 탄소 사슬을 포함하며 12를 초과하는 HLB를 갖는 클래스의 지방 알콜 에톡실레이트로부터 선택되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아크릴레이트/R-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클래스의 중합체; 또는 아크릴레이트/R-알킬 아크릴레이트 가교중합체, 및 화장용으로 허용되는 기제(base)를 포함하는, 8% 미만의 총 유기 선스크린을 포함하는 고SPF 선스크린 조성물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여기에서 개시되는 조성물은 원하는 피부 감각 특성을 훼손하지 않으면서 15를 초과하는 SPF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WO 03/080009호 (유니레버 사)는 화장용으로 허용되는 기제 중에 4-치환된 레조르시놀 유도체와 함께 유기 선스크린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상기 조성물은 향상된 저장 안정성 및 산화 안정성을 나타낸다. WO 03/080009호는 특히 부틸메톡시 디벤조일메탄, 옥틸 메톡시신나메이트, 스테아르산 및 4-치환된 레조르시놀의 조합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WO 11/147738호 (유니레버 사)는 SPF (15 이상) 및 높은 UVAPF (4 이상)를 제공하는 선스크린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WO 11/147738호는 화장용으로 허용되는 기제 중에 부틸메톡시 디벤조일메탄, 선택된 클래스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선택된 클래스의 중합체를 포함하는 고체 선스크린 조성물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WO 11/147738호는 또한 디벤조일메탄 또는 그의 유도체, 선택된 클래스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지방산 및 화장용으로 허용되는 기제를 포함하는 비-고체 선스크린 조성물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WO 16/142129호 (유니레버 사)는 화장용으로 허용되는 캐리어 중 C12-C20 지방산의 C12-C20 지방산 비누, 백색 색소 예컨대 이산화 티타늄과의 조합에 대해 개시하고 있는데, 여기서 지방산에 대한 비누의 몰 비는 0.23 내지 0.5이다. WO 16/142129호는 이산화 티타늄과 같은 색소가 지방산 함유 조성물에 첨가되는 경우에서의 조성물의 감각 특성을 유지하면서도 광보호를 제공하는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지금까지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향상된 UVAPF를 제공하는 조성물은 여전히 흥미로운 주제이다.
이에 따라, 향상된 UVAPF를 제공하는 선스크린 조성물을 개발할 필요성이 존재한다.
이번에, UVA 유기 선스크린, 선택된 클래스의 UVB 유기 선스크린, 지방산 및 비누와 함께 레조르시놀, 페닐에틸 레조르시놀, 4-알킬 치환된 레조르시놀 및 그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향상된 UVAPF를 제공한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발명의 개요]
제1 측면에서, 본 발명은 하기를 포함하는 선스크린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a. 0.1 내지 5 중량%의 UVA 유기 선스크린,
b. 0.1 내지 10 중량%의 2-에틸헥실 2-시아노-3,3-디페닐아크릴레이트,
c. 0.1 내지 2.5 중량%의, 레조르시놀, 페닐에틸 레조르시놀, 4-알킬 치환된 레조르시놀 및 그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d. 4 내지 25 중량%의 지방산, 및
e. 0.1 내지 10 중량%의 비누.
제2 측면에서, 본 발명은 향상된 UVAPF의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방법은 제1 측면의 선스크린 조성물을 피부 상에 적용하는 것, 및 임의로 물을 사용하여 세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3 측면에서, 본 발명은 제1 측면 조성물의 향상된 UVAPF를 제공하기 위한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일 측면의 모든 특징은 본 발명의 모든 다른 측면에서 이용될 수 있다. "포함하는"이라는 말은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고자 하는 것이지만, 필수적으로 "~로 구성되는" 또는 "~로 구성되다"를 의미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다른 말로 하면, 열거되는 단계 또는 선택사항이 완전할 필요는 없다. 작용 및 비교 실시예에서이거나 달리 명시적으로 표시되는 경우 이외에, 물질의 양 또는 반응 조건, 물질의 물리적 특성 및/또는 사용을 표시하는 본 상세한 설명의 모든 숫자는 "약"이라는 단어에 의해 수식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x 내지 y"의 체제로 표현되는 숫자 범위는 x 및 y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구체적인 특징에 대하여 "x 내지 y"의 체제로 다수의 바람직한 범위가 기술되는 경우, 여러 종료점들을 조합한 모든 범위들 역시 고려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달리 상술되지 않는 한, 본원에서 사용될 때의 양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한 중량 백분율로 표시되며, "중량%"로 축약된다.
본원에서 제공되는 임의의 모든 예 또는 예시적인 언어, 예를 들면 "예컨대"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더 잘 조명하고자 하는 것으로, 어떠한 방식으로도 따로 청구되는 본 발명의 영역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제1 측면에서, 본 발명은 하기를 포함하는 선스크린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a. 0.1 내지 5 중량%의 UVA 유기 선스크린,
b. 0.1 내지 10 중량%의 2-에틸헥실 2-시아노-3,3-디페닐아크릴레이트,
c. 0.1 내지 2.5 중량%의, 레조르시놀, 페닐에틸 레조르시놀, 4-알킬 치환된 레조르시놀 및 그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d. 4 내지 25 중량%의 지방산, 및
e. 0.1 내지 10 중량%의 비누.
UVA 유기 선스크린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상기 조성물)은 UVA 방사선을 흡수하여 그것이 사용자의 표면 예컨대 피부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하는 UVA 유기 선스크린을 포함한다.
상기 조성물에서 UVA 유기 선스크린으로 사용될 수 있는 선스크린의 예는 디벤조일메탄 화합물, 비스디술리졸 디소듐 (네오 헬리오판(Neo Heliopan)® AP로서 시중에서 구입가능), 디에틸아미노 히드록시벤조일 헥실 벤조에이트 (유비눌(Uvinul)® A 플러스(Plus)로서 시중에서 구입가능), 에캄슐(Ecamsule) (멕소릴(Mexoryl) SX로서 시중에서 구입가능) 및 메틸 안트라닐레이트이다.
바람직하게는, UVA 유기 선스크린으로 사용될 수 있는 선스크린은 디벤조일메탄 화합물, 디에틸아미노 히드록시벤조일 헥실 벤조에이트 및 그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UVA 유기 선스크린으로 사용될 수 있는 선스크린은 BMDM (파르솔(Parsol)® 1789 또는 아보벤존(Avobenzone)으로서 시중에서 구입가능), 2-메틸디벤조일메탄, 4-이소프로필디벤조일-메탄, 4-tert-부틸디벤조일메탄, 2,4-디메틸디벤조일메탄, 2,5-디메틸디벤조일메탄, 4,4'-디이소프로필-디벤조일메탄, 2-메틸-5-이소프로필-4'-메톡시디벤조일메탄, 2-메틸-5-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 메탄, 2,4-디메틸-4'-메톡시 디벤조일메탄, 2,6-디메틸-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및 그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UVA 유기 선스크린으로 사용될 수 있는 선스크린은 BMDM이다.
조성물은 0.1 내지 5 중량%,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4.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 중량%,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5 중량%,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 중량%,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5 중량%의 1종 이상 UVA 유기 선스크린을 포함한다.
2- 에틸헥실 2- 시아노 -3,3- 디페닐아크릴레이트 (OCR)
조성물은 UVB 방사선을 흡수하여 그것이 표면, 예컨대 피부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하는 OCR (옥토크릴렌(Octocrylene)™으로서 시중에서 구입가능)을 포함한다.
조성물은 0.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9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 중량%,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7 중량%,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2 내지 6 중량%,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5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3 내지 4 중량%의 OCR을 포함한다.
레조르시놀 , 페닐에틸 레조르시놀 (PER), 4-알킬 치환된 레조르시놀
조성물은 레조르시놀, PER, 4-알킬 치환된 레조르시놀 및 그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을 포함한다. 그와 같은 화합물들은 피부 라이트닝 효과를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바람직하게는, 선택되는 화합물은 4-알킬 치환된 레조르시놀이다. 4-알킬 치환된 레조르시놀의 알킬 기는 직쇄 알킬 또는 분지쇄 알킬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알킬 기는 4-프로필 레조르시놀의 경우에서와 같이 직쇄 알킬일 수 있거나, 또는 4-이소프로필 레조르시놀 (IPR)의 경우에서와 같이, 그것이 분지쇄 알킬일 수 있다.
4-알킬 치환된 레조르시놀의 예에는 4-메틸 레조르시놀, 4-에틸 레조르시놀 (ER), 4-프로필 레조르시놀, IPR, 4-부틸 레조르시놀 (BR), 4-펜틸 레조르시놀, 4-헥실 레조르시놀 (HR), 4-헵틸 레조르시놀, 4-옥틸 레조르시놀 및 그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바람직한 4-알킬 치환된 레조르시놀은 ER, BR, HR 및 그의 혼합물이다. 더욱 바람직한 4-알킬 치환된 레조르시놀은 ER, HR 및 그의 혼합물이다.
조성물이 레조르시놀, PER 및 4-알킬 치환된 레조르시놀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 화합물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은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면, 조성물은 레조르시놀의 존재 또는 부재하에 1종 이상의 4-알킬 치환된 레조르시놀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은 레조르시놀, PER, 4-알킬 치환된 레조르시놀로부터 선택되는 1종의 화합물을 포함한다.
조성물은 0.1 내지 2.5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2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25 내지 2 중량%,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0.25 내지 1.5 중량%,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0.25 내지 1 중량%,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0.25 내지 0.75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25 내지 0.5 중량%의 레조르시놀, PER, 4-알킬 치환된 레조르시놀 및 그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지방산
조성물은 지방산을 포함한다. 비누와 함께 조성물 중에 존재할 때의 지방산은 소위 바니싱 크림 효과(vanishing cream effect)를 제공하는데, 다시 말하자면 인간 피부 상에 적용될 경우 조성물이 피부 상에서 소멸되어 상당한 조성물 층을 남기지 않는다.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2개, 더욱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22개,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14 내지 22개,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16 내지 22개,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18 내지 22개 범위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지방산을 포함한다. 증가되는 사슬 길이를 갖는 지방산이 증가되는 UVAPF 및/또는 증가되는 SPF를 제공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조성물에서 사용될 수 있는 지방산의 예로는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이소스테아르산, 올레산, 리놀레산, 아라키드산, 베헨산, 에루크산 및 그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대안적으로,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는 지방산은 스테아르산 또는 팔미트산 또는 그의 혼합물이다. 본 발명의 지방산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일반적으로 약 90 내지 95%) 55:45 내지 45:55 사이 비의 스테아르산과 팔미트산의 혼합물인 히스트르산이다.
조성물은 4 내지 25 중량%, 바람직하게는 6 내지 22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8 내지 20 중량%,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9 중량%,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18 중량%의 지방산을 포함한다.
비누
조성물은 비누를 포함한다. 조성물 중에 지방산과의 조합으로 존재할 때의 비누는 소위 바니싱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비누는 일반적으로 조성물에 존재하는 지방산의 계내 중성화에 의해 제조된다. 이에 따라, 비누는 조성물 중 지방산의 사슬 길이에 해당하는 탄소 사슬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누는 알칼리 금속 히드록시드, 예컨대 소듐 히드록시드 또는 칼륨 히드록시드의 사용을 통하여 지방산으로부터 형성된다. 상기 두 가지 중에서는, 칼륨 히드록시드가 더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비누는 바람직하게는 칼륨 비누 (지방산의 칼륨 염)이다.
조성물은 0.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2 내지 7 중량%,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2 내지 6 중량%,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 중량%의 비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은 추가로 9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9, 더욱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18,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13 내지 17,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17 범위의 HLB 값을 갖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HLB는 HLB = 20 × Mh / M이며 여기서 Mh는 분자의 친수성인 부분의 분자 질량이며 M은 전체 분자의 분자 질량이고 0 내지 20의 임의 척도로 결과를 산출하는 그리핀법(Griffin method)을 사용하여 계산된다. 다양한 계면활성제들의 통상적인 값을 하기에 제공한다:
<10의 A 값: 지용성 (수불용성).
>10의 A 값: 수용성.
4 내지 8의 A 값은 소포 작용제를 표시한다.
7 내지 11의 A 값은 W/O (유중수) 에멀션화제를 표시한다.
12 내지 16의 A 값은 수중유 에멀션화제를 표시한다.
11 내지 14의 A 값은 습윤제를 표시한다.
12 내지 15의 A 값은 통상적인 세제이다.
16 내지 20의 A 값은 가용화제 또는 친수화제(hydrotrope)를 표시한다.
바람직하게는, 9 내지 20 범위의 HLB 값을 갖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지방 알콜 에톡실레이트, 알킬 페놀 에톡실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알킬 에스테르 및 그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적어도 9개의 알킬렌 옥시드 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개의 에틸렌 옥시드 기를 갖는 것이다.
조성물에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사용될 수 있는 지방 알콜 에톡실레이트의 예에는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 (HLB= 16.9; 브리즈(brij)® 35로서 시중에서 구입가능), 폴리옥시에틸렌 (20) 세틸 에테르 (HLB=16; 브리즈® 58로서 시중에서 구입가능), 폴리에틸렌 글리콜 옥타데실 에테르 (HLB= 18.8; 브리즈® 700으로서 시중에서 구입가능) 및 라우레트-9 (C12EO9; HLB=14.3; 브리즈® L9로서 시중에서 구입가능)가 포함된다.
조성물에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사용될 수 있는 알킬 페놀 에톡실레이트의 예에는 옥틸페놀 에톡실레이트 (HLB=15.5; 트리톤(Triton)™ X165로서 시중에서 구입가능), 옥틸페놀 에톡실레이트 (HLB=17.6; 트리톤™ X405로서 시중에서 구입가능) 및 옥틸페놀 에톡실레이트 (HLB=18.4; 트리톤™ X705로서 시중에서 구입가능)가 포함된다.
조성물에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사용될 수 있는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알킬 에스테르의 예에는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HLB=13.3; 트윈(Tween)® 21로서 시중에서 구입가능),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HLB=16.7; 트윈® 20으로서 시중에서 구입가능),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 (HLB=15.6; 트윈® 40으로서 시중에서 구입가능)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HLB= 14.9; 트윈® 60으로서 시중에서 구입가능)가 포함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조성물 중에 존재할 수 있는 9 내지 20 범위의 HLB 값을 갖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15.5를 초과하는 HLB를 갖는 포화 탄소 사슬을 갖는 지방 알콜 에톡실레이트이다.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은 0.5 내지 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 중량%,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 중량%의, 9 내지 20 범위의 HLB를 갖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은 추가로 중합체를 포함한다. 상기 중합체는 조성물에서 증점제로 작용하며, 조성물의 감각 특성을 향상시킨다.
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하기의 클래스로부터 선택된다:
- 아크릴레이트/R-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예컨대 아크릴레이트/스테아레트-20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아큘린(Aculyn)™ 22로서 시중에서 구입가능) 및 아크릴레이트/베헤네트-25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아큘린™ 28로서 시중에서 구입가능),
- 아크릴레이트/R-메타크릴레이트 가교중합체 예컨대 아크릴레이트/스테아레트-20 메타크릴레이트 가교중합체 (아큘린™ 88로서 시중에서 구입가능),
-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아큘린™ 33으로서 시중에서 구입가능),
- 아크릴레이트/R-알킬 아크릴레이트 가교중합체 예컨대 아크릴레이트/C10-C30 알킬 아크릴레이트 가교중합체 (페물렌(Pemulen)™ TR-2로서 시중에서 구입가능),
- 암모늄 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의 비닐 피롤리돈과의 공중합체 (아리스토플렉스(Aristoflex)® AVC로서 시중에서 구입가능),
- 소듐 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의 비닐 피롤리돈과의 공중합체 (아리스토플렉스® AVS로서 시중에서 구입가능); 및
- 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의 R-알킬 아크릴레이트 및 메티아크릴레이트와의 가교중합체 예컨대 암모늄 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베헤네트-25 메타크릴레이트 가교중합체 (아리스토플렉스® HMB 및 아리스토플렉스® BLV로서 시중에서 구입가능); 및 그의 혼합물.
더욱 바람직하게는, 중합체는 아크릴레이트/R-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그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은 0.1 내지 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4.5 중량%,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 중량%,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5 중량%,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 중량%의 중합체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은 물을 포함한 화장용으로 허용되는 비히클을 포함하는 바, 5 내지 99.9 중량%,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9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90 중량%,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 중량%,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75 중량%,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70 중량%의 양으로 조성물 중에 존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은 추가로 1종 이상의 피부 라이트닝제를 포함한다. 이러한 1종 이상의 피부 라이트닝제는 니아신아미드, 비타민 B6, 비타민 C, 비타민 A, 글루타치온 전구체, 갈라르딘, 아다팔렌, 알로에 추출물, 암모늄 락테이트, 아르부틴, 아젤라산, 부틸 히드록시 아니솔, 부틸 히드록시 톨루엔, 시트레이트 에스테르, 데옥시아르부틴, 1,3-디페닐 프로판 유도체, 2,5-디히드록시벤조산 및 그의 유도체, 2-(4-아세톡시페닐)-1,3-디티안, 2-(4-히드록시페닐)-1,3-디티안, 엘라그산, 글루코 피라노실-1-아스코르베이트, 글루콘산, 글리콜산, 녹차 추출물, 4-히드록시-5-메틸-3[2H]-퓨란온, 4-히드록시아니솔 및 그의 유도체, 4-히드록시벤조산 유도체, 히드록시카프릴산, 이노시톨 아스코르베이트, 락트산, 레몬 추출물, 리놀레산, 마그네슘 아스코르빌 포스페이트, 5-옥타노일 살리실산, 살리실산, 3,4,5-트리히드록시벤질 유도체, 아세틸글루코스아민, 피테라(pitera) 추출물, 심화이트(symwhite), 칼슘 판토테네이트 (멜라노-블록(Melano-block)), 세피화이트(seppiwhite), 대두 추출물 (보우만 버크(bowman birk) 억제제),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및 그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조성물에서 사용될 때,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은 피부 라이트닝제로서 사용되며, 지방산으로는 사용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에서 사용될 수 있는 피부 라이트닝제는 니아신아미드, 비타민 B6,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글루타치온 전구체, 갈라르딘 및 그의 혼합물이다.
조성물 중에 혼입될 경우, 피부 라이트닝제는 0.001 내지 15 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 중량%,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3 중량%의 양으로 조성물에 첨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은 추가로 완화제(emollient)를 포함한다. 조성물에서 사용될 수 있는 완화제의 예에는 스테아릴 알콜, 글리세릴 모노리시놀레에이트, 밍크 오일, 세틸 알콜, 이소프로필 이소스테아레이트, 이소부틸 팔미테이트, 이소세틸 스테아레이트, 올레일 알콜, 이소프로필 라우레이트, 헥실 라우레이트, 데실 올레에이트, 옥타데칸-2-올, 이소세틸 알콜, 에이코사닐 알콜, 베헤닐 알콜, 세틸 팔미테이트, 실리콘 오일 예컨대 디메틸폴리실록산, 디n-부틸 세바케이트,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이소프로필 스테아레이트, 부틸 스테아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라놀린, 코코아 버터, 옥수수 오일, 면실 오일, 올리브 오일, 팜인 오일, 평지씨 오일, 홍화씨 오일, 달맞이꽃 오일, 대두 오일, 해바라기씨 오일, 아보카도 오일, 참깨씨 오일, 코코넛 오일, 아라키스 오일, 피마자 오일, 아세틸화 라놀린 알콜, 석유 젤리, 무기 오일, 부틸 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 리놀레에이트, 라우릴 락테이트, 미리스틸 락테이트, 데실 올레에이트, 미리스틸 미리스테이트 및 그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은 추가로 용매를 포함한다. 조성물에서 사용될 수 있는 용매의 예에는 에틸 알콜, 이소프로판올, 아세톤, 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및 그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은 추가로 분말을 포함한다. 조성물에서 사용될 수 있는 분말의 예에는 백악, 활석, 풀러토, 카올린, 전분, 검, 콜로이드성 실리카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 테트라 알킬 및/또는 트리알킬 아릴 암모늄 스멕타이트, 화학적으로 개질된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유기 개질 몬모릴로나이트 점토, 수화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퓸드 실리카, 카르복시비닐 중합체, 소듐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스, 에틸렌 글리콜 모노스테아레이트 및 그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은 잠재적으로 유해한 미생물의 성장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보존제를 추가로 포함한다. 조성물에서 보존제로서 사용될 수 있는 성분의 예에는 파라-히드록시벤조산의 알킬 에스테르, 히단토인 유도체, 프로피오네이트 염, 및 다양한 사차 암모늄 화합물들이 포함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에서 보존제로서 사용될 수 있는 성분은 소듐 벤조에이트, 아이오도프로피닐 부틸 카르바메이트, 메틸이소티아졸린온, 아이오도프로피닐부틸카르바메이트, 페녹시에탄올, 메틸 파라벤, 프로필 파라벤, 이미다졸리디닐 우레아, 소듐 데히드로아세테이트, 에틸헥실글리세린, 벤질 알콜, 알칸 디올 및 그의 혼합물이다. 보존제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알칸 디올은 히드록시 기로 근접 치환된 C6-C12 알칸이다. 실례로는 1,2-옥탄 디올 (카프릴릴 글리콜), 2,3-옥탄 디올, 1,2-노난 디올, 1,2-데칸 디올, 1,2-헥산 디올, 3,4-옥탄 디올, 그의 혼합물 등이 포함되며, 카프릴릴 글리콜이 통상적으로 가장 바람직하다.
조성물 중에 존재할 경우, 보존제는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3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02 내지 2 중량%의 양으로 첨가된다.
조성물은 추가로 항산화제, 바인더, 생물학적 첨가제, 완충제, 착색제, 수렴제, 방향제, 불투명화제, 컨디셔너, 박피제, pH 조정제, 피부 진정제 및 피부 치유제를 포함한 소정 범위의 다른 임의적인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분말, 플레이크, 로션, 크림, 젤 또는 무스의 형태로 제제화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은 크림 또는 로션의 형태로, 가장 바람직하게는 크림의 형태로 제제화된다. 조성물은 리브-온(leave-on) 또는 세척-제거 유형의 조성물일 수 있다.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리브-온 유형의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위한 포장은 패치, 병, 튜브, 롤-볼(roll-ball) 적용기, 추진제 구동 에어로졸 장치, 짜내기 용기 또는 뚜껑이 달린 자(jar)일 수 있다.
제1 측면에 따른 조성물 중에 존재할 경우, 레조르시놀, 페닐에틸 레조르시놀, 4-알킬 치환된 레조르시놀 및 그의 혼합물이 UVAPF를 향상시킨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UVA 유기 선스크린의 존재하에 OCR이 사용된 경우에만 그와 같은 향상된 UVAPF가 수득된다는 것도 발견되었다. OCR 대신 다른 UVB 유기 선스크린, 예컨대 MCX가 사용된 경우, 향상된 UVAPF는 수득되지 않았다. OCR은 디벤조일메탄 화합물 예컨대 BMDM을 안정화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레조르시놀, 페닐에틸 레조르시놀, 4-알킬 치환된 레조르시놀 및 그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의 존재하에서 수득되는 UVAPF의 향상은 동일 조성물에서 MCX 대신 OCR이 사용되는 경우에 수득되는 UVAPF에 부가된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이에 따라, 놀랍게도, UVAPF를 부여하는 것이 UVA 선스크린의 함수인 경우에서, 1종의 UVB 선스크린, 즉 MCX를 또 다른 UVB 선스크린, 즉 OCR로 대체하는 것이 향상된 UVAPF라는 놀라운 결과를 초래하였다.
바람직하게는, 선스크린 조성물은 하기를 포함하는 조성물이다:
a. 0.1 내지 5 중량%의 디벤조일메탄 화합물,
b. 0.1 내지 10 중량%의 2-에틸헥실 2-시아노-3,3-디페닐아크릴레이트,
c. 0.1 내지 2.5 중량%의 BR, ER, HR 및 그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d. 4 내지 25 중량%의 지방산, 및
e. 0.1 내지 10 중량%의 비누.
더욱 바람직하게는, 선스크린 조성물은 하기를 포함하는 조성물이다:
a. 0.1 내지 5 중량%의 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b. 0.1 내지 10 중량%의 2-에틸헥실 2-시아노-3,3-디페닐아크릴레이트,
c. 0.1 내지 2.5 중량%의 ER, HR 및 그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d. 4 내지 25 중량%의 지방산, 및
e. 0.1 내지 10 중량%의 비누.
제2 측면에서, 본 발명은 또한 향상된 UVAPF의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방법은 하기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a. 제1 측면의 선스크린 조성물을 피부 상에 적용하는 단계, 및
b. 임의로 물을 사용하여 세정하는 단계.
본 발명은 또한 리브-온 조성물의 경우에서, 표면 예컨대 피부 상에 제1 측면의 조성물을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향상된 UVAPF의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방법은 임의로 그것이 세척-제거 조성물의 형태인 경우 표면으로부터 조성물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거하는 추가적인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비-치료 또는 화장용이다. 조성물이 피부 상에 적용되는 경우, 향상된 UVAPF가 수득된다.
제3 측면에서, 본 발명은 제1 측면 조성물의, 향상된 UVAPF를 위한 용도에 관한 것이다.
지금부터는, 하기의 비-제한적인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입증될 것이다.
[ 실시예 ]
프로토콜
조성물의 제조
간단하게 말하자면, 하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자석 교반기 겸 가열기 상에 탑재된 비커 (주 비커)에 탈무기질화수 및 칼륨 히드록시드를 충전하였다. 수상을 75 ℃로 가열하고, 동일 온도로 유지하였다. 개별 포트에서, 하기 실시예에서 언급되는 지방산을 75 ℃로 가열하여 용융시킨 후, 75 ℃로 유지되는 주 비커에 첨가하였다. 75 ℃에서 5분 동안 시스템을 교반하였다. 실시예에서 언급되는 바와 같은 선스크린들, 기타 오일 가용성 성분들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별도의 비커에 넣고, 65 내지 70 ℃로 가열하여 용융시켰다. 그것을 잘 혼합하여 주 비커에 첨가하였다. 75 ℃에서 또 다시 5분 동안 교반을 계속하였다. 교반기 겸 가열기를 작동중단하고, 주변 온도 (25 ℃)에 도달할 때까지 수동으로 혼합을 수행하였다.
시험관내 SPF/ UVA - PF의 측정
SPF-290S SPF 측정기 (옵토메트릭스 코포레이션(Optometrics Corporation) 사)를 사용하여 박막 투과도 측정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쇤버그(Schoenberg) GmbH & Co 사의 조도 6 ㎛인 70 × 70 mm PMMA 플레이트를 사용하였다. 하기와 같이 여러 조성물들의 % 투과도를 측정하였다. 2 mg/cm2의 시험 샘플을 PMMA 플레이트 상에 적용하고, 주사기를 사용하여 균일하게 분배한 후, 균일하게 확산시켰다. PMMA 플레이트의 건조 시간은 30분이었다. 건조 시간 후, 샘플 플레이트를 UV 광에 노출시키면서 투과도 스캔을 기록하였다. 이와 같은 스캔은 주어진 샘플에 대한 파장 (290 내지 400 nm)의 함수로서의 투과도를 제공한다. 단일 플레이트에 대하여 6 내지 8개의 상이한 점들을 스캔하였다. 3개의 플레이트에 대하여 동일하게 반복하였다. 따라서, 기록된 데이터는 18회가 넘는 해독치의 평균이었다. 참조 투과도 스캔은 PMMA 플레이트 상에 샘플이 없고 글리세린이 그 위에 확산되어 있는 블랭크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수득하였다. 투과도 값을 사용하여 SPF 값에 도달하는 데에는, 기기와 함께 제공된 윈(Win) SPF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였다. 투과도 값을 사용하여 각 조성물의 UVAPF 값을 계산하였다.
생체내 SPF/ UVAPF
적절한 대조를 사용하여 수행된 무작위화 인간 지원자 연구에서, 표 1에 나타낸 실시예들에 개괄되어 있는 조성물들을 시험하였다. 간단하게 말하자면, 샘플 (표 1의 조성물들) 적용 전에, 각 지원자에 대하여 최소 홍반 선량(minimum erythemal dose) (MED) 및 최소 지속 색소 침착 선량(minimal persistent pigment darkening dose) (MPPDD)을 추산하였다. SPF/UVAPF가 알려져 있는 표준 샘플을 사용하여 시험 샘플을 맹검하였다. 필요량의 샘플 (2 mg/cm2)을 지원자의 등 피부 상에 적용하였다. 주사기를 사용하여 샘플을 균일하게 분배하고, 조성물의 적용 용이성에 따라 달라지는 20 내지 50초의 기간 동안 손가락 코트(finger cot)를 사용하여 균일하게 적용하였다. 매 샘플마다 새로운 손가락 코트를 사용하였다. 샘플 적용 후, 대상체를 UV에 노출시켰는데, 그 선량은 MED 및 MPPDD (각 지원자마다 고유함), 그리고 기대 또는 목표 SPF/UVAPF를 기준으로 계산하였다. 노출 후, 홍반 및 MPPDD에 대하여 지원자를 평가하였다. SPF의 평가는 ISO 표준 24444:2010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UVAPF의 평가는 ISO 24442:2011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여기에서 기록된 데이터는 5명 지원자의 평균이다.
<표 1>
Figure pct00001
표 1의 데이터는 HR을 함유하지 않는 비교 실시예 (실시예 A 및 B; 본 발명에 따르지 않음)과 비교하였을 때, BMDM, OCR, 지방산 및 비누와 함께 HR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실시예 1 및 2)을 사용하면 향상된 UVAPF가 수득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데이터는 이들 조성물 모두가 동일한 양, 즉 0.5 중량%의 HR을 포함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MCX (실시예 C) 대신 선택된 UVB 선스크린, 즉 OCR (실시예 1)을 사용한 경우에만 향상된 UVAPF가 수득된다는 것도 보여준다. 이에 따라, UVA 유기 선스크린, 2-에틸헥실 2-시아노-3,3-디페닐아크릴레이트, 지방산 및 비누와 조합으로 사용된 경우, HR은 향상된 UVAPF를 제공하였다. OCR 대신 MCX가 존재한 경우에는 이와 같이 향상된 UVAPF가 수득되지 않았다.
표 1의 데이터는 실시예 B 및 C 조성물에서의 HR의 부재 또는 존재는 UVAPF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것도 보여준다.
놀랍게도, UVAPF의 향상이 사용된 HR의 투여량에 따라 달라지지는 않는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실시예 2 (0.25 중량% HR)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17에 상당하는 UVAPF가 수득된 반면, 실시예 1 (0.5 중량% HR)은 14에 상당하는 UVAPF를 나타내었다. 그와 같은 효과는 농도 (2 mM)까지의 HR의 농도 증가에 따라 증가하는 것으로 밝혀진 수퍼옥시드 급랭 효과로 인한 것으로 여겨진다. 이후, 수퍼옥시드 급랭 효과는 균일한 광 노출 조건하에서의 HR 농도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감소하였다.
UVAPF 및 SPF에 대한 조성물 중 비누의 양의 효과
표 2에 개괄되어 있는 조성물들은 대조 (비누 없음)와 비교하였을 때의 조성물 중 비누 존재의 효과를 입증하고 있다.
<표 2>
Figure pct00002
표 2의 데이터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중에 존재할 경우, 비누가 SPF는 물론, UVAPF도 제고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추가로, 전기한 바와 같이 하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추가적인 조성물들을 제조하여, 전기한 바와 같이 UVAPF 및 SPF를 측정하였다. 발견된 결과는 하기 표 3에 제공한 바와 같았다.
<표 3>
Figure pct00003
표 3의 데이터는 실시예 6에 나타낸 바와 같은 팔미트산; 또는 실시예 7에 나타낸 바와 같은 스테아르산이 조성물에 사용된 경우, 강화된 UVAPF가 수득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표 3의 데이터는 또한 실시예 8에 나타낸 바와 같은 BR; 또는 실시예 9에 나타낸 바와 같은 ER이 조성물에 사용된 경우, 강화된 UVAPF가 수득된다는 것도 보여준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선스크린 조성물은 향상된 UVAPF를 제공한다.

Claims (15)

  1. a. 0.1 내지 5 중량%의 UVA 유기 선스크린,
    b. 0.1 내지 10 중량%의 2-에틸헥실 2-시아노-3,3-디페닐아크릴레이트,
    c. 0.1 내지 2.5 중량%의, 레조르시놀, 페닐에틸 레조르시놀, 4-알킬 치환된 레조르시놀 및 그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d. 4 내지 25 중량%의 지방산, 및
    e. 0.1 내지 10 중량%의 비누
    를 포함하는 선스크린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9 내지 20 범위의 HLB 값을 갖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선스크린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15.5 내지 20 범위의 HLB를 갖는 포화 탄소 사슬을 갖는 지방 알콜 에톡실레이트인 선스크린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0.1 내지 5 중량%의 중합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선스크린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0.1 내지 3 중량%의 비누를 포함하는 선스크린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8 내지 20 중량%의 지방산을 포함하는 선스크린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4-알킬-치환된 레조르시놀이 4-메틸 레조르시놀, 4-에틸 레조르시놀, 4-프로필 레조르시놀, 4-이소프로필 레조르시놀, 4-부틸 레조르시놀, 4-펜틸 레조르시놀, 4-헥실 레조르시놀, 4-헵틸 레조르시놀, 4-옥틸 레조르시놀 및 그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선스크린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4-알킬-치환된 레조르시놀이 4-에틸 레조르시놀, 4-헥실 레조르시놀 및 그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선스크린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0.001 내지 15 중량%의 피부 라이트닝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선스크린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UVA 선스크린이 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2-메틸디벤조일메탄, 4-이소프로필디벤조일-메탄, 4-tert-부틸디벤조일메탄, 2,4-디메틸디벤조일메탄, 2,5-디메틸디벤조일메탄, 4,4'-디이소프로필-디벤조일메탄, 2-메틸-5-이소프로필-4'-메톡시디벤조일메탄, 2-메틸-5-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 메탄, 2,4-디메틸-4'-메톡시 디벤조일메탄 또는 2,6-디메틸-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선스크린 조성물.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UVA 선스크린이 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인 선스크린 조성물.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리브-온(leave-on) 조성물인 선스크린 조성물.
  13.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세척-제거 조성물인 선스크린 조성물.
  14. a.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선스크린 조성물을 피부 상에 적용하는 단계, 및
    b. 임의로 물을 사용하여 세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향상된 UVAPF를 제공하는 방법.
  15. 향상된 자외선 A 차단 지수를 위한,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의 용도.
KR1020207027996A 2018-04-23 2019-04-15 선스크린 조성물 KR2021000556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8168640 2018-04-23
EP18168640.3 2018-04-23
PCT/EP2019/059662 WO2019206714A1 (en) 2018-04-23 2019-04-15 A sunscreen composi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5561A true KR20210005561A (ko) 2021-01-14

Family

ID=62046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7996A KR20210005561A (ko) 2018-04-23 2019-04-15 선스크린 조성물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EP (1) EP3784355A1 (ko)
JP (1) JP7362641B2 (ko)
KR (1) KR20210005561A (ko)
CN (1) CN112004579A (ko)
CA (1) CA3095273A1 (ko)
EA (1) EA202092522A1 (ko)
MX (1) MX2020011125A (ko)
PH (1) PH12020551441A1 (ko)
WO (1) WO2019206714A1 (ko)
ZA (1) ZA202005699B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69598B2 (en) * 2002-03-22 2005-03-22 Unilever Home & Personal Care Usa Division Of Conopco, Inc. Stabilization of sunscreens in cosmetic compositions
JP4691464B2 (ja) * 2006-03-28 2011-06-01 株式会社資生堂 皮膚用又は毛髪用組成物
WO2011147738A2 (en) 2010-05-25 2011-12-01 Unilever Nv Sunscreen composition
EP2431021A1 (en) 2010-09-16 2012-03-21 Unilever N.V. Sunscreen composition
MX2013004090A (es) * 2010-10-12 2014-03-21 Unilever Nv Una composicion de pantalla solar.
EP2789369B1 (en) * 2013-04-14 2018-06-06 Symrise AG A composition for lightening skin and hair
CN107405273B (zh) * 2015-03-10 2021-05-11 荷兰联合利华有限公司 个人护理组合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519277A (ja) 2021-08-10
CA3095273A1 (en) 2019-10-31
PH12020551441A1 (en) 2021-08-23
EP3784355A1 (en) 2021-03-03
JP7362641B2 (ja) 2023-10-17
WO2019206714A1 (en) 2019-10-31
CN112004579A (zh) 2020-11-27
MX2020011125A (es) 2020-11-11
ZA202005699B (en) 2022-09-28
EA202092522A1 (ru) 2021-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06509A1 (en) A sunscreen composition
JP5796931B2 (ja) 光安定性化粧用組成物
BR112021007957B1 (pt) Mistura líquida e transparente de filtros uv, composição cosmética, dermatológica ou farmacêutica e uso da mistura ou composição
EP2771072B1 (en) An aqueous photo-protective personal care composition
ES2400948T3 (es) Procedimiento de fotoestabilización de un derivado de dibenzoilmetano por un derivado arilalquilbenzoato y composiciones cosméticas fotoprotectoras
KR20030015836A (ko) N-아실 아미노산 에스테르 및 셀프-탠닝제를 함유하는셀프-탠닝 조성물
JP5957069B2 (ja) サンスクリーン組成物
EP3833448A1 (en) A topical composition
BR112015017297B1 (pt) Composição cosmética ou dermatológica e processos cosméticos não terapêuticos
KR20210005561A (ko) 선스크린 조성물
EA046155B1 (ru) Солнцезащитная композиция
EP2724709A1 (en) A sunscreen composition containing ester salts of L-DOPA
WO2021249760A1 (en) A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6-methyl-picolinamide
WO2021234005A1 (en) A personal care composition
KR20210138666A (ko) 디에틸아미노 히드록시벤조일 헥실 벤조에이트 및 부틸 메톡시디벤조일메탄을 갖는 효율적인 선스크린 조성물
CN111743811A (zh) 用于减少皮肤上日光引起的皮肤影响的方法和护肤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