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5494A - 아이스 메이커 및 냉장고 - Google Patents

아이스 메이커 및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5494A
KR20210005494A KR1020190081738A KR20190081738A KR20210005494A KR 20210005494 A KR20210005494 A KR 20210005494A KR 1020190081738 A KR1020190081738 A KR 1020190081738A KR 20190081738 A KR20190081738 A KR 20190081738A KR 20210005494 A KR20210005494 A KR 202100054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tray
chamber
rib
lower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1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현
홍진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81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5494A/ko
Priority to CN202111331232.1A priority patent/CN114061234B/zh
Priority to CN201911119593.2A priority patent/CN111197888B/zh
Priority to US16/686,036 priority patent/US11421926B2/en
Priority to EP19209300.3A priority patent/EP3653961A1/en
Publication of KR20210005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5494A/ko
Priority to US17/867,314 priority patent/US20220349639A1/en
Priority to US17/892,865 priority patent/US11885550B2/en
Priority to KR1020230019414A priority patent/KR1026172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10Producing ice by using rotating or otherwise moving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25C5/04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 F25C5/08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by heating bodies in contact with the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2Walls defining a cabin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305/00Special arrangements or features for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305/022Harvesting ice including rotating or tilting or pivoting of a mould or tray
    • F25C2305/0221Harvesting ice including rotating or tilting or pivoting of a mould or tray rotating ice moul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0Refrigerat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4Water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31/00Details or arrangements of 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31/80Type of cooled receptacles
    • F25D2331/812Tr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는, 냉장실과 냉동실이 형성되는 캐비닛; 상기 냉동실에 구비되는 아이스 메이커를 포함하며, 상기 아이스 메이커는, 탄성 소재로 형성되며, 반구형의 상부 챔버가 형성되는 상부 트레이; 탄성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 트레이와 회전에 의해 밀착되어 구형의 얼음 챔버를 형성하는 하부 챔버가 형성되는 하부 트레이; 상기 하부 트레이를 회전시켜 상기 상부 트레이와 하부 트레이를 개폐하는 구동 유닛; 및 상기 상부 챔버 또는 하부 챔버의 둘레를 따라서 연장되는 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아이스 메이커 및 냉장고 {Ice maker and refrigerator}
본 발명은 아이스 메이커 및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이다.
상기 냉장고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냉장 또는 냉동 상태로 보관할 수 있다.
통상 냉장고의 내부에는 얼음을 만들기 위한 아이스 메이커가 제공된다.
상기 아이스 메이커는 급수원이나 물탱크에서 공급되는 물을 트레이에 수용시켜 얼음이 만들어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아이스 메이커는 제빙 완료된 얼음을 히팅 방식 또는 트위스팅 방식으로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서 이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자동으로 급수 및 이빙되는 아이스 메이커는 상방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성형된 얼음을 퍼올린다.
이와 같은 구조의 아이스 메이커에서 만들어지는 얼음은 초승달모양 또는 큐빅모양 등 적어도 일면이 평평한 면을 가진다.
한편, 얼음의 모양이 구형(球形)으로 형성될 경우 얼음을 사용하는데 있어서 보다 편리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색다른 사용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빙된 얼음의 저장시에도 얼음끼리 접촉되는 면적을 최소화 함으로써 얼음이 엉겨 붙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선행문헌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850918호에는 아이스 메이커가 구비된다.
선행문헌의 아이스 메이커는 반구 형태의 다수의 상부 셀이 배열되고, 양 측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링크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상부 트레이와, 반구 형태의 다수의 하부 셀이 배열되고, 상기 상부 트레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부 트레이와, 상기 하부 트레이와 상부 트레이의 후단에 연결되어, 상기 하부 트레이가 상기 상부 트레이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하는 회전축과, 일단이 상기 하부 트레이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링크 가이드부에 연결되는 한 쌍의 링크; 및 양 단부가 상기 링크 가이드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링크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링크와 함께 승하강하는 이젝팅 핀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선행문헌의 경우, 반구 형태의 상부 셀 및 반구 형태의 하부 셀에 의해서 구 형태의 얼음을 생성할 수 있으나, 물이 얼음으로 상변화 하여 팽창하는 과정에서 상기 상부 트레이와 하부 트레이의 사이가 벌어질 수 있으며, 그로 인해 구형의 얼음 둘레에 띠가 형성되거나, 구형으로 형성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상부 트레이와 하부 트레이가 떨어진 상태로 결빙될 경우 이웃하는 셀의 얼음과 연결되는 문제가 있으며, 이와 같은 상황에서는 구형의 얼음이 만들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이빙 불량 또는 아이스 메이커의 고장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실시 예는, 구형 얼음의 제빙시 상부 트레이와 하부 트레이 사이의 틈새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아이스 메이커 및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실시 예는, 제빙 중 상부 트레이와 하부 트레이가 기밀을 유지하여 구형 얼음의 둘레에 버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아이스 메이커 및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실시 예는, 상부 트레이와 하부 트레이의 기밀 성을 향상시키면서 동시에 상기 상부 트레이와 하부 트레이가 덜 닫히는 것을 방지하는 아이스 메이커 및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는, 냉장실과 냉동실이 형성되는 캐비닛; 상기 냉동실에 구비되는 아이스 메이커를 포함하며, 상기 아이스 메이커는, 탄성 소재로 형성되며, 반구형의 상부 챔버가 형성되는 상부 트레이; 탄성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 트레이와 회전에 의해 밀착되어 구형의 얼음 챔버를 형성하는 하부 챔버가 형성되는 하부 트레이; 상기 하부 트레이를 회전시켜 상기 상부 트레이와 하부 트레이를 개폐하는 구동 유닛; 및 상기 상부 챔버 또는 하부 챔버의 둘레를 따라서 연장되는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브는 상기 얼음 챔버의 내부의 물이 얼음으로 상변화 될 때 회전되는 하부 챔버에 의해 발생되는 상기 상부 챔버와 하부 챔버 사이의 거리와 대응하는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브는 상기 하부 트레이의 회전축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높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브는 상기 하부 트레이의 회전축과 인접하는 상기 얼음 챔버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얼음 챔버 직경의 1/5 지점만큼 떨어진 위치에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브는 상기 하부 트레이의 회전축과 인접한 일단으로부터 떨어진 일측에서부터 점차 높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얼음 챔버는 다수개가 일렬로 이격 배치되며, 상기 리브는 다수의 얼음 챔버의 둘레를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챔버의 둘레를 형상하는 상기 상부 트레이의 하면과, 상기 하부 챔버의 둘레를 형성하는 상기 하부 트레이의 상면은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면접촉될 수 있다.
상기 리브는 상기 상부 트레이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브는, 상기 상부 트레이의 하면에 형성되는 상부 리브와, 상기 하부 트레이의 상면에 형성되는 하부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리브와 하부 리브는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부 리브는 상기 하부 챔버의 상단에서 상기 하부 챔버의 내측면과 동일 평면을 형성하면서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하부 리브는, 상기 일정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는 내부 리브와 외부 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리브는 상기 하부 트레이가 회전되면 상기 내부 리브와 외부 리브 사이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트레이와 하부 트레이는 실리콘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 트레이는 상부 트레이보다 경도가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트레이와 하부 트레이가 서로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 트레이는 더 회전되어 상기 하부 트레이와 상부 트레이가 압축 변형되면서 기밀 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하부 트레이의 하단에는 상기 하부 챔버의 내측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볼록부가 형성되며, 상기 볼록부는 상기 얼음 챔버의 물이 얼음으로 상변화 되면서 팽창되면 외측으로 변형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아이스 메이커는, 탄성 소재로 형성되며, 다수의 상부 챔버를 가지는 상부 트레이; 탄성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 챔버와 접하여 구형의 얼음 챔버를 형성하는 다수의 하부 챔버를 가지는 상부 트레이; 상기 상부 트레이에 형성되며, 각각의 상부 챔버에 개구되는 연결 개구; 상기 상부 트레이의 상방에 구비되며, 상기 연결 개구를 통과하여 상기 상부 챔버의 얼음을 이빙 시키는 상부 이젝터; 상기 다수의 연결 개구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어 물 주입이 안내되는 급수가이드; 및 상기 하부 트레이를 회전시키는 구동 유닛;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챔버의 상단 외측에는 상기 하부 챔버의 둘레를 따라 상방으로 연장되는 둘레 벽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챔버의 하단 외측에는 상기 상부 챔버의 둘레를 따라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하부 트레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둘레 벽의 내측에 삽입되는 챔버 벽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 챔버의 상단 둘레를 따라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챔버 벽과 둘레 벽은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리브는 상기 얼음 챔버와 상기 챔버 벽 및 둘레벽 사이의 공간 사이를 구획할 수 있다.
상기 리브는 상기 하부 트레이의 회전축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점 높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브는 상기 상부 챔버 또는 하부 챔버의 전체 둘레 중 상기 하부 트레이의 회전축으로부터 가까운 단부에서 떨어진 위치에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아이스 메이커 및 냉장고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냉기 홀을 통해 아이스 메이커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냉기가 냉기 가이드에 의해서 얼음 챔버의 상측 부를 지나도록 하여 복수의 얼음 간의 생성 속도가 균일해지게 되어 얼음의 형태가 구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얼음 챔버로 열을 공급하는 하부 히터에 의해서 얼음의 생성 속도가 지연되어, 기포가 얼음이 생성되는 부분에서 물 쪽으로 이동할 수 있어 투명한 얼음의 제조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아이스 메이커가 장착되는 냉장고의 종류와 무관하게, 냉기 홀을 통과한 냉기는 냉기 가이드를 따라 유동하므로, 냉기의 유동 패턴이 거의 동일해진다. 따라서, 냉장고의 종류와 관계없이 얼음의 투명도가 균일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부 트레이의 하면에 상부 리브가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상부 트레이와 하부 트레이가 닫힐 때 변형되면서 상기 상부트레이와 하부 트레이가 기밀 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상부 리브는 물이 얼음으로 상변화 되면서 팽창될 때 벌어지는 상기 상부 트레이와 하부 트레이의 간격과 대응하도록 하여 상기 하부 트레이가 벌어지게 되더라도 상기 상부 트레이와 하부 트레이 사이의 틈새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구형의 얼음 둘레에 버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트레이의 하면에 상부 리브가 형성되고, 동시에 하부 트레이의 상면에도 하부 리브가 형성되도록 하여 제빙 과정 중 상기 하부 트레이가 얼음의 팽창에 의해 벌어지게 되더라도 보다 효과적으로 상기 상부 트레와 하부 트레이의 틈새를 막아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리브 또는 하부 리브는 회전축 방향에서 멀어질수록 높이가 높아지도록 하여 회전되는 상기 하부 트레이의 구조적 특성상 높이가 다른 상기 상부 트레이와 하부 트레이 사이를 효과적으로 차폐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회전축과 인접한 위치에서는 상기 상부 리브 및/또는 하부 리브의 높이를 낮게 하여 상기 하부 트레이가 닫힐 때 상기 상부 리브 및/또는 하부 리브가 간섭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리브 및/또는 하부 리브는 상기 상부 챔버와 하부 챔버 둘레 전체에 형성되지 않고, 상기 하부 회전축으로부터 설정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서부터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하부 트레이가 닫힐 때 상기 상부 리브 및/또는 하부 리브가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상기 상부 트레이와 하부 트레이가 닫히게 될 때의 간섭은 최소화 하면서, 상기 하부 트레이가 미세하게 열리게 될 때 상기 상부 리브와 하부 리브에 의해 틈새를 효과적으로 차폐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이스 메이커가 장착된 상태의 부분 확대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동실의 내부를 보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그릴 팬과 아이스 덕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동실 서랍 및 아이스 빈이 인입된 상태의 상기 냉동실의 측단면도이다.
도 7은 상기 냉동실 서랍 및 아이스 빈이 인출된 상기 냉동실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8은 상기 아이스 메이커를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9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의 하부를 일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0은 상기 아이스 메이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상기 아이스 메이커와 커버 플레이트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부 케이스를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3은 상기 상부 케이스를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4는 상기 상부 케이스의 측면도이다.
도 15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를 상방에서 본 부분 평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A부 확대 도면이다.
도 17은 상기 아이스 메이커 상면의 냉기 유동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도 16의 18-18' 절개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상부 트레이를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0은 상기 상부 트레이를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1은 상기 상부 트레이의 측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상부 서포터를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3은 상기 상부 서포터를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상부 어셈블리의 결합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상부 트레이를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6은 도 25의 26-26' 단면도이다.
도 27은 도 25의 27-27' 단면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상부 케이스의 차폐부 구조를 보인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하부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30은 상기 하부 어셈블리의 분해된 모습을 상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1은 상기 하부 어셈블리의 분해된 모습을 하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하부 케이스의 돌기 구속부를 보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하부 트레이의 결합 돌기를 보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 34는 상기 하부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35는 도 27의 35-35' 단면도이다.
도 36은 상기 하부 트레이의 평면도이다.
도 3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하부 트레이의 사시도이다.
도 38은 상기 하부 트레이의 회전 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9는 제빙 직전 또는 제빙 초기의 상기 상부 트레이와 하부 트레이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0은 제빙 완료시의 상기 상부 트레이와 하부 트레이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상부 어셈블리와 하부 어셈블리가 닫힌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4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연결 유닛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3은 상기 연결 유닛의 배치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44는 도 41의 44-44' 단면도이다.
도 45는 도 41의 45-45' 단면도이다.
도 46은 상기 상부 어셈블리와 하부 어셈블리가 열린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47은 도 46의 47-47' 단면도이다.
도 48은 도 41의 상태를 일 측방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49는 도 41의 상태를 다른 일 측방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50은 상기 아이스 메이커를 전방에서 본 정면도이다.
도 51은 상기 상부 이젝터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 5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구동 유닛이 분해된 사시도이다.
도 53은 상기 구동 유닛의 가고정을 위해 상기 구동 유닛이 이동되는 모습을 보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 54는 상기 구동 유닛이 가고정 완료된 상태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55는 상기 구동 유닛의 구속 및 결합을 보이기 위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5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만빙 감지 레버가 초기 위치인 가장 상방에 위치된 측면도이다.
도 57은 상기 만빙 감지 레버가 감지 위치인 가장 하방에 위치된 측면이다.
도 5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상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이젝터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9는 상기 하부 이젝터의 세부 구조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도 60은 상기 하부 어셈블리가 완전히 회전되었을 때 상기 하부 트레이의 변형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61은 상기 하부 이젝터가 상기 하부 트레이를 통과하기 직전의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62는 도 8의 62-62'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63은 도 62의 도면에서 얼음 생성이 완료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4는 급수 상태에서 도 8의 62-62'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65는 제빙 상태에서 도 8의 62-62'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66은 제빙 완료 상태에서 도 8의 62-62'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67은 이빙 초기 상태에서 도 8의 62-62'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68은 이빙 완료 상태에서 도 8의 62-62'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그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상기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이스 메이커가 장착된 상태의 부분 확대도면이다.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해 방향을 정의하고자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냉장고(1)가 설치되는 바닥면을 기준으로 상기 바닥면을 향하는 방향을 하방, 그와 반대되는 상기 캐비닛(2)의 높은 면을 향하는 방향을 상방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5)를 향하는 방향을 전방 그리고 상기 도어(5)를 기준으로 캐비닛(2) 내측을 향하는 방향을 후방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정의되지 않는 방향을 이야기 하고자 할 때에는 각 도면을 기준으로 방향을 정의하여 설명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냉장고(1)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2)과,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캐비닛(2)은 베리어에 의해 상하로 구획되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며, 상부에 냉장실(3)이 형성되고, 하부에 냉동실(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3)과 냉동실(4)의 내부에는 서랍, 선반, 바스켓 등의 수납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상기 냉장실(3)을 차폐하는 냉장실 도어(5)와, 상기 냉동실(4)을 차폐하는 냉동실 도어(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실 도어(5)는 좌우측 한쌍의 도어로 구성되며, 회동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 도어(6)는 서랍식으로 인출입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냉장실(3)과 냉동실(4)의 배치 및 상기 도어의 형태는 냉장고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종류의 냉장고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냉동실(4)과 상기 냉장실(3)이 좌우로 배치거되나, 상기 냉동실(4)이 상기 냉장실(3)의 상측에 위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양측의 상기 냉장실 도어(5) 중 일측의 냉장실 도어(5)에는 메인 아이스 메이커(81)가 수용되는 제빙실(8)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빙실(8)은 상기 캐비닛(2)에 구비되는 증발기(미도시)로부터 냉기를 공급받아 상기 메인 아이스 메이커(81)에서 제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냉장실(3)과 단열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물론, 냉장고의 구조에 따라서 제빙실은 상기 냉장실 도어(5)가 아닌 냉장실(3) 내측에 구비될 수도 있으며, 상기 제빙실의 내부에 메인 아이스 메이커(8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빙실(8)의 위치와 대응하는 상기 냉장실 도어(5)의 일측에는 디스펜서(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7)는 물 또는 얼음의 취출이 가능하며, 상기 아이스 메이커(81)에서 만들어진 얼음의 취출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빙실(8)과 연통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냉동실(4)에는 아이스 메이커(1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는 급수되는 물을 제빙하는 것으로, 구 형상의 얼음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는 통상 상기 메인 아이스 메이커(81) 보다 제빙량 또는 사용 빈도가 작으므로 보조 아이스 메이커라 부를 수도 있다.
상기 냉동실(4)에는 상기 냉동실(100)로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덕트(44)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증발기에서 생성되어 상기 냉동실(4)로 공급되는 냉기 중 일부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 측으로 유동되어 간접 냉각 방식으로 얼음을 만들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의 하방에는 제빙된 얼음이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로부터 이빙된 후 저장되는 아이스 빈(102)이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 빈(102)은 상기 냉동실(4) 내부에서 인출되는 냉동실 서랍(41)에 구비되어 상기 냉동실 서랍(41)과 함께 인출입되어 사용자가 저장된 얼음을 꺼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와 상기 아이스 빈(102)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냉동실 서랍(41)에 수용된 상태로 볼 수 있으며, 외부에서 볼 때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와 아이스 빈(102)의 대부분이 가려진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 서랍(41)의 인출입에 의해 상기 아이스 빈(102)에 저장된 얼음을 쉽게 꺼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에서 만들어진 얼음 또는 상기 아이스 빈(102)에 저장된 얼음이 이송 수단에 의해서 상기 디스펜서(7)로 이송되어 디스펜서(7)를 통해 얼음을 취출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또 다른 예들로서, 상기 냉장고(1)에는 상기 디스펜서(7)와 메인 아이스 메이커(81)가 구비되지 않고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만 단독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메인 아이스 메이커(81)를 대신하여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가 상기 제빙실(8) 내부에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의 장착 구조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동실의 내부를 보인 부분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그릴 팬과 아이스 덕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캐비닛(2) 내부의 저장 공간은 이너 케이스(21)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너 케이스(21)는 상방과 하방으로 구획된 저장 공간 즉, 상기 냉장실(3)과 냉동실(4)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냉동실(4)의 상면 일부는 개구될 수 있으며,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가 장착되는 위치와 대응하는 위체에 마운팅 커버(4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운팅 커버(43)는 상기 이너 케이스(21)와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냉동실(4)의 상면보다 더 상방으로 함몰된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의 배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마운팅 커버(43)에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의 고정 장착을 위한 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운팅 커버(43)에는 상방으로 더 함몰되어 아래에서 설명할 상부 이젝터(300)가 수용될 수 있는 커버 함몰부(431)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이젝터(300)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구조를 가지게 되므로, 상기 상부 이젝터(300)가 상기 커버 함몰부(431)에 수용되도록 함으로서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에 의해 손실되는 공간을 최소화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운팅 커버(43)에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로의 급수를 위한 급수 홀(432)이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급수 홀(432)에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 측으로의 급수를 위한 배관이 통과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마운팅 커버(43)에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와 연결되는 전선이 출입될 수도 있으며, 상기 전선에 연결된 커넥터에 의해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공급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상기 냉동실(4)의 후벽면은 그릴 팬(42,grill pan)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그릴 팬(42)은 상기 이너 케이스(21)의 공간을 전후 방향으로 구획할 수 있으며, 냉기를 생성하는 증발기(미도시) 및 상기 증발기의 냉기를 순환시키는 송풍팬(미도시)이 수용되는 공간을 상기 냉동실의 후방에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그릴 팬(42)에는 냉기 토출부(421,422)와 냉기 흡입부(423)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냉기 토출부(421,422)와 냉기 흡입부(423)를 통해 상기 냉동실(4)과 상기 증발기가 배치되는 공간 사이의 공기 순환이 가능하게 되며, 상기 냉동실(4)을 냉각할 수 있다. 상기 냉기 토출부(421,422)는 그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 토출부(421)와 하부 토출부(422)를 통해서 상기 냉동실(4) 내부에 고르게 냉기 토출이 가능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상부 토출부(421)는 상기 냉동실(4)의 상단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 토출부(421)로부터 토출되는 냉기를 이용하여 상기 냉동실(4) 상부에 배치되는 아이스 메이커(100) 및 아이스 빈(102)을 냉각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상부 토출부(421)에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로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 덕트(4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기 덕트(44)는 상기 상부 토출부(421)와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의 냉기 홀(134)을 연결할 수 있다. 즉, 상기 냉기 덕트(44)는 상기 냉동실(4)의 가로 방향 중간에 위치되는 상부 토출부(421)와 상기 냉동실(4)의 상부 일측단에 구비되는 아이스 메이커(100)의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상부 토출부(421)에서 토출되는 냉기 중 일부가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의 내측으로 직접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냉기 덕트(44)는 가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상기 상부 토출부(421)의 일측단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 토출부(421)로부터 토출되는 냉기는 상기 냉동실(4)로 토출되며, 그 중 상기 냉기 덕트(44)와 가까운 일측에서 토출되는 냉기가 상기 냉기 덕트(44)를 통해서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로 안내되도록 항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냉기 덕트(44)의 후단은 상기 상부 토출부(421)의 일측단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함몰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기 덕트(44)의 개구된 후면의 둘레는 상기 그릴 팬(42)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냉기가 누설되지 않도록 상기 그릴 팬(42)에 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기 덕트(44)의 후단에는 덕트 체결부(444)가 형성될 수 있으며, 스크류에 의해 상기 그릴 팬(42) 전면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냉기 덕트(44)는 전방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냉기 덕트(44) 전면의 덕트 토출구(446)는 상기 냉기 홀(134)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냉기를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 내측으로 집중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냉기 덕트(44)는 상기 냉기 덕트(44)의 상부 형상을 형성하는 덕트 상부(443)와 상기 냉기 덕트(44)의 하부 형상을 형성하는 덕트 하부(442)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덕트 상부(443)와 덕트 하부(442)의 결합에 의해 전체적인 냉기의 유동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덕트 상부(443)와 덕트 하부(442)는 덕트 결합부(443)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덕트 결합부(443)는 후크와 같이 걸림 구속되는 구조로 상기 덕트 상부(443)와 덕트 하부(442)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동실 서랍 및 아이스 빈이 인입된 상태의 상기 냉동실의 측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7은 상기 냉동실 서랍 및 아이스 빈이 인출된 상기 냉동실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는 상기 냉동실(4)의 상면에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의 외형을 형성하는 상부 케이스(120)가 상기 마운팅 커버(43)에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냉장고(1)는 상기 도어(6)가 열린 후 닫히게 될 때 자중에 의해 닫힐 수 있도록 상기 캐비닛(2)의 전단이 후단보다 다소 높은 상태로 기울어진 상태로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냉동실(4)의 상면 또한 상기 캐비닛(2)의 기울기와 같이 상기 냉장고(1)가 설치된 지면을 기준으로 할 때 기울어진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를 상기 냉동실(4) 상면과 수평하도록 장착하게 되면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 내부에 공급되는 물의 수면 또한 기울어지게 되며 결국 각각의 챔버에서 제빙 되는 얼음의 크기가 다르게 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특히, 구형의 얼음을 만들기 위한 본 실시 예에 의한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의 경우 수면이 기울어지게 되면 각 챔버에 수용되는 물의 양이 다르게 되어 균일한 구형의 얼음을 만들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는 상기 냉동실(4)의 상면 즉, 상기 캐비닛(2)의 상면과 하면을 기준으로 기울어지도록 장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는 장착시 상기 냉동실(4) 상면 또는 상기 마운팅 커버(43)의 상면을 기준으로 상기 상부 케이스(120)의 상면이 설정각도(α)만큼 반시계 방향(도 6에서 볼 때)으로 회전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설정 각도(α)는 상기 캐비닛(2)의 기울기와 동일할 수 있으며, 대략 0.7˚ ~ 0.8˚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케이스(120)의 전단이 후단에 비해 대략 3mm ~ 5mm 더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는 상기 냉동실(4)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설정 각도(α)만큼 기울어지게 되어 상기 냉장고(1)가 설치되는 지면과 수평 상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 내부에 급수된 물의 수위는 지면과 수평하게 되고, 다수의 챔버에 동일한 양의 물이 수용되어 균일한 크기의 얼음이 만들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가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냉기 덕트(44)에 의해 상기 상부 케이스(120) 후단의 상기 냉기 홀(134)과 상기 상부 덕트(44)가 연결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제빙을 위한 냉기가 상기 상부 케이스(120)의 내측 상부로 집중 공급되어 제빙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냉동실 서랍(41)의 내부에는 상기 아이스 빈(102)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빈(102)은 상기 냉동실 서랍(41)이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의 하방에 정확하게 위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냉동실 서랍(41)에는 상기 아이스 빈(102)의 장착 위치를 가이드 하는 빈 장착 가이드(41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빈 장착 가이드(411)는 상기 아이스 빈(102)의 하면 네 모서리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아이스 빈(102)의 하면 네 모서리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아이스 빈(102)은 상기 냉동실 서랍(41)에 장착된 상태에서 그 위치가 유지될 수 있으며, 상기 냉동실 서랍(41)이 인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의 수직 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의 하단은 상기 냉동실 서랍(41)이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아이스 빈(102)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다. 즉,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의 하단은 상기 아이스 빈(102) 및 상기 냉동실 서랍(41)의 내측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에서 이빙되는 얼음은 낙하하여 상기 아이스 빈(102)에 저장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와 상기 아이스 빈(102)의 사이 공간을 최소화함으로써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 및 아이스 빈(102) 배치로 인한 상기 냉동실(4) 내부의 용적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의 하단과 상기 아이스 빈(102)의 하면은 적절한 거리만큼 이격되어 적정량의 얼음이 보관될 수 있는 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냉동실 서랍(41)은 도 7에서와 같이 인출입될 수 있다. 그리고, 이때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아이스 빈(102)과 상기 냉동실 서랍(41)의 후면은 적어도 일부가 개구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의 위치와 대응하는 상기 냉동실 서랍(41)과 아이스 빈(102)의 후면에는 서랍 개구(412) 및 빈 개구(102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서랍 개구(412)와 빈 개구(102a)는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랍 개구(412)와 빈 개구(102a)는 상기 냉동실 서랍(41)의 상단과 상기 아이스 빈(102)의 상단에서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의 하단보다 더 낮은 위치까지 개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냉동실 서랍(41)을 인출하게 되더라도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가 상기 아이스 빈(102)과 냉동실 서랍(41)에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가 이빙 동작되어 하부 어셈블리(200)가 회전된 상태이거나, 만빙 감지 레버(700)가 만빙 감지를 위해 회전된 상태에서도 상기 냉동실 서랍(41) 또는 아이스 빈(102)과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서랍 개구(412)와 빈 개구(102a)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의 하단보다 더 하방으로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서랍 개구(412)의 둘레를 따라 후방으로 연장된 서랍 개구 가이드(412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서랍 개구 가이드(412a)는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상부 토출부(421)에서 하방으로 유동되는 냉기가 상기 냉동실 서랍(41)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안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빈 개구(102a)의 둘레를 따라 후방으로 연장된 빈 개구 가이드(102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토출부(421)에서 하방으로 유동되는 냉기는 상기 빈 개구 가이드(102b)를 통해서 상기 아이스 빈(102)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의 상부 케이스(120) 후면에는 판상의 커버 플레이트(1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 플레이트(130)는 상기 아이스 빈(102) 내부의 얼음이 상기 빈 개구(102a)와 서랍 개구(412)를 통해 하방으로 낙하되지 않도록 상기 아이스 빈 개구(102a)의 적어도 일부를 가릴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플레이트(130)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의 상부 케이스(120) 후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빈 개구(102a)의 내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냉동실 서랍(41)이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130)는 상기 빈 개구(102a)의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빈 개구(102a)의 적어도 일부를 가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냉동실 서랍(41)을 인출 또는 인입하게 되는 순간에 관성에 의해 후방으로 얼음이 이동되더라도 상기 커버 플레이트(130)에 의해 가로막혀 상기 아이스 빈(102) 외측으로 얼음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130)에는 냉기가 통과될 수 있도록 다수의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냉동실 서랍(41)이 닫힌 상태에서 냉기가 상기 커버 플레이트(130)를 통과하여 상기 아이스 빈(102) 내부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커버 플레이트(130)는 상기 서랍 개구(412) 및 빈 개구(102a)와 간섭되지 않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도 7 에서와 같이 상기 냉동실 서랍(41)의 인출시 에상기 냉동실 서랍(41) 또는 아이스 빈(102)과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커버 플레이트(130)는 별도 성형되어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의 상부 케이스(120)에 결합될 수도 있고, 상기 상부 케이스(120)의 후면이 하방으로 더 돌출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상기 아이스 메이커를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9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의 하부를 일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0은 상기 아이스 메이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는, 상부 어셈블리(110) 및 하부 어셈블리(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는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에 일측단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으며, 회전에 의해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와 상부 어셈블리(110)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이 개폐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와 접하여 서로 닫혀진 상태 상태에서는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와 함께 구 형태의 얼음을 생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와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는, 구 형태의 얼음이 생성되기 위한 얼음 챔버(111)를 형성한다. 상기 얼음 챔버(111)는 실질적으로 구 형태의 챔버이다.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와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는 구획된 복수의 얼음 챔버(111)를 형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와 하부 어셈블리(200)에 의해서 3개의 얼음 챔버(111)가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며, 얼음 챔버(111)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와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상기 얼음 챔버(111)를 형성한 상태에서는 급수부(190)를 통해 상기 얼음 챔버(111)로 물이 공급될 수 있다. 상기 급수부(190)는,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에 결합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된 물을 상기 얼음 챔버(111)로 안내한다.
얼음이 생성된 후에는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정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와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 사이에 형성된 구 형태의 얼음이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 및 하부 어셈블리(200)에서 분리될 수 있으며, 상기 아이스 빈(102)으로 낙하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는 구동 유닛(1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유닛(180)은 구동 모터와, 상기 구동 모터의 동력을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 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 전달부는 하나 이상의 기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다수의 기어들의 조합에 의해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회전을 위한 적절한 토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 유닛(180)에는 상기 만빙 감지 레버(700)가 연결될 수도 있으며, 상기 동력 전달부에 의해 상기 만빙 감지 레버(700)가 회전될 수 있다.
상기 구동 모터는 양방향 회전 가능한 모터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 및 만빙 감지 레버(700)의 양방향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에서 얼음이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는 상부 이젝터(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이젝터(300)는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에 밀착되어 있는 얼음이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에서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이젝터(300)는, 이젝터 바디(310)와, 상기 이젝터 바디(310)에서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이젝팅 핀(3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젝팅 핀(320)은 상기 얼음 챔버(111)와 동일한 개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의 얼음 챔버(111)에 생성된 얼음을 이빙시킬 수 있다.
상기 이젝팅 핀(320)이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를 관통하여 상기 얼음 챔버(111) 내로 인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얼음 챔버(111) 내의 얼음을 가압할 수 있다. 상기 이젝팅 핀(320)에 의해서 가압된 얼음은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에서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에 밀착된 얼음이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는 하부 이젝터(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이젝터(400)는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를 가압하여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에 밀착된 얼음이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에서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이젝터(400)의 단부는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회전 범위 내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회전 과정에서 상기 얼음 챔버(111)의 외측을 눌러 얼음을 이빙시킬 수 있다. 상기 하부 이젝터(400)는 상기 상부 케이스(120)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이빙을 위한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회전 과정에서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회전력이 상기 상부 이젝터(300)로 전달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는,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와 상기 상부 이젝터(300)를 연결하는 연결 유닛(3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유닛(350)은 하나 이상의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연결 유닛(350)은, 로테이팅 암(351,352)과 링크(35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테이팅 암(351,352)은 상기 하부 서포터(270)와 함께 상기 구동 유닛(180)에 연결되어 함께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테이팅 암(351,352)의 단부는 상기 하부 서포터(270)와 탄성 부재(360)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와 보다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링크(356)는 상기 하부 서포터(270)와 상기 상부 이젝터(300)를 연결하여, 상기 하부 서포터(270)의 회전 시 상기 하부 서포터(270)의 회전력을 상기 상부 이젝터(300)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상부 이젝터(300)는 상기 링크(356)에 의해 상기 하부 서포터(270)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하 이동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정 방향 회전 시 상기 연결 유닛(350)에 의해서 상기 상부 이젝터(300)가 하강하여 상기 이젝팅 핀(320)이 얼음을 가압할 수 있다. 반면,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역 방향 회전 시 상기 연결 유닛(350)에 의해서 상기 상부 이젝터(300)가 상승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부 어셈블리(110) 및 하부 어셈블리(200)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는, 얼음 형성을 위한 얼음 챔버(111)의 상부를 형성하는 상부 트레이(15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는,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상부 케이스(120) 및 상부 서포터(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케이스(120)의 하측에 상기 상부 트레이(150)가 위치되고,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하측에 상부 서포터(170)가 위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부 케이스(120), 상부 트레이(150) 및 상부 서포터(170)는 상하 방향으로 차례로 배치되며, 체결 부재에 의해서 체결되어 하나의 어셈블리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체결 부재의 체결을 통해, 상기 상부 케이스(120)와 상부 서포터(170)의 사이에 상기 상부 트레이(150)가 고정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 트레이(150)는 장착 위치를 유지할 수 있으며, 변형되거나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 케이스(120)의 상부에는 급수부(19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급수부(190)는 상기 얼음 챔버(111)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상부 케이스(120)의 상방에서 상기 얼음 챔버(111)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는, 상기 얼음 챔버(111)의 물 또는 얼음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 센서(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도 센서(500)는 상부 트레이(150)의 온도를 감지하기 함으로써, 상기 얼음 챔버(111)의 물 또는 얼음의 온도를 간접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온도 센서(500)는 상기 상부 케이스(120)에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온도 센서(50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상부 케이스(120)의 개구된 일측을 통해 노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는, 얼음 형성을 위한 상기 얼음 챔버(111)의 하부를 형성하는 하부 트레이(25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는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하측을 지지하는 하부 서포터(270)와,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상측을 커버하는 하부 케이스(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케이스(210), 하부 트레이(250) 및 상기 하부 서포터(270)는 상하 차례로 배열될 수 있으며, 체결 부재가 체결되어 하나의 어셈블리를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의 온/오프를 위한 스위치(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600)는 상기 상부 케이스(120)의 전면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스위치(600)를 온 상태로 조작하면,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를 통해 얼음 생성이 가능하다. 즉, 상기 스위치(600)를 온시키면,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를 포함하여 제빙을 위한 구성들의 동작이 개시될 수 있다. 즉, 상기 스위치(600)가 온 되면,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로 물이 공급되고, 냉기에 의해서 얼음이 생성되는 제빙 과정과,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회전되어 얼음이 이빙되는 이빙 과정이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반면, 상기 스위치(600)를 오프 상태로 조작하면,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를 비롯한 제빙을 위한 구성들은 동작되지 않는 정지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따라서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를 통해 얼음 생성이 불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는 만빙 감지 레버(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만빙 감지 레버(700)는 상기 구동 유닛(180)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상기 아이스 빈(102)의 만빙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만빙 감지 레버(700)의 일측은 상기 구동 유닛(180)에 연결되며, 상기 만빙 감지 레버(700)의 타측은 상기 상부 케이스(1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구동 유닛(180)의 동작에 따라 상기 만빙 감지 레버(700)가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만빙 감지 레버(700)는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회전시에도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회전 축보다 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만빙 감지 레버(700)는 양단이 다수회 절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만빙 감지 레버(700)는 상기 구동 유닛(180)에 의해 회전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 하방의 공간 즉, 상기 아이스 빈(102) 내부의 공간의 만빙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동 유닛(180)의 내부 구조는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만빙 감지 레버(700)의 동작을 위해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구동 유닛(180)은, 상기 모터의 회전 동력을 받아 회전되는 캠과, 상기 캠면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 레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레버에 상기 자석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 유닛(180)은 상기 이동 레버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자석을 감지할 수 있는 홀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유닛(180)의 복수의 기어 중 상기 만빙 감지 레버(720)가 결합되는 제 1 기어는 상기 제 1 기어와 맞물리는 제 2 기어와 선택적으로 결합되거나 해제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 1 기어는 탄성 부재에 의해서 탄성 지지되어 있어,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에서는 제 2 기어와 맞물릴 수 있다.
반면, 상기 제 1 기어로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 보다 큰 저항이 작용하면 상기 제 1 기어는 상기 제 2 기어와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 1 기어로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 보다 큰 저항이 작용하는 경우 일 예로 상기 만빙 감지 레버(700)가 이빙 과정에서 얼음에 걸린 경우이다(만빙인 경우). 이 경우 상기 제 1 기어가 상기 제 2 기어와 이격될 수 있어, 기어 들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기어 및 캠에 의해서 상기 만빙 감지 레버(700)는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회전 시 연동하여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캠은 상기 제 2 기어와 연결되거나 상기 제 2 기어와 연동할 수 있다.
상기 홀 센서의 자석 감지 여부에 따라서, 상기 홀 센서는 서로 다른 출력인 제1신호와 제2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1신호와 제2신호 중 어느 하나는 High 신호이고, 다른 하나는 low 신호일 수 있다.
상기 만빙 감지 레버(700)는 만빙 감지를 위하여, 대기 위치에서 만빙 감지 위치로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아이스 빈(102)의 내측 일부 영역을 지나면서 상기 아이스 빈(102)에 얼음이 설정량 이상 채워졌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0을 참조하여 상기 만빙 감지 레버(700)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만빙 감지 레버(700)는, 와이어 형태의 레버일 수 있다. 즉, 상기 만빙 감지 레버(700)는 소정 직경을 가지는 와이어를 복수회 절곡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만빙 감지 레버(700)는, 감지 바디(7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 바디(710)는 상기 만빙 감지 레버(700)의 회전 동작 과정에서 상기 아이스 빈(102) 내부의 설정 높이를 지날 수 있으며, 실질적으로 상기 만빙 감지 레버(700)의 최하측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만빙 감지 레버(700)는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회전 과정에서 상기 하부 어셈블리(220)와 상기 감지 바디(710)의 간섭이 방지되도록 상기 감지 바디(710)의 전부가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감지 바디(710)는 상기 아이스 빈(102)의 만빙 상태에서는 상기 아이스 빈(102) 내의 얼음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만빙 감지 레버(700)는, 감지 바디(7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 바디(710)는, 상기 연결 샤프트(370)의 연장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감지 바디(710)는, 위치와 무관하게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최저점 보다 낮게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만빙 감지 레버(700)는, 상기 감지 바디(710)의 양단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연장부(720, 7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연장부(720, 730)는 실질적으로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연장부(720, 730) 간의 간격 즉, 상기 감지 바디(710)의 길이는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수평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만빙 감지 레버(700)의 회전 과정 및 하부 어셈블리(200)의 회전 과정에서, 상기 한 쌍의 연장부(720, 730) 및 상기 감지 바디(710)가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간섭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한쌍의 연장부(720, 730)는 각각 상기 구동 유닛(180)의 레버 결합부(187)까지 연장되는 제 1 연장부(720)와, 상기 상부 케이스(120)의 레버 홀(120a)까지 연장되는 제 2 연장부(7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쌍의 연장부(720, 730)는 상기 만빙 감지 레버(700)가 얼음과의 반복적인 접촉에도 변형되지 않도록 하고, 보다 신뢰성 있는 감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적어도 1회 이상 절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연장부(720, 730)는 상기 감지 바디(710)의 양단에서 연장되는 제 1 절곡부(721)와, 상기 제 1 절곡부(721)의 단부에서 상기 구동 유닛(180)까지 연장되는 제 2 절곡부(72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절곡부(721)와 제 2 절곡부(722)는 소정의 각도로 절곡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절곡부(721)와 제 2 절곡부(722)는 대략 140˚ ~ 150˚각도로 서로 교차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절곡부(721)의 길이는 제 2 절곡부(722)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해서 상기 만빙 감지 레버(700)는 회전 반경을 줄일 수 있으며, 다른 구성과의 간섭을 최소화 하면서 상기 아이스 빈(102) 내부의 얼음을 감지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한쌍의 연장부(720, 730)의 상단에는 각각 외측으로 절곡되는 한쌍의 결합부(740, 75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한쌍의 결합부(740, 750)는 상기 제 1 연장부(720)의 단부에서 절곡되어 상기 레버 결합부(187)에 삽입되는 제 1 결합부(740)와, 상기 제 2 연장부(710)의 단부에서 절곡되어 상기 레버 홀(120a)에 삽입되는 제 2 결합부(7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결합부(740)와 제 2 결합부(750)는 상기 레버 결합부(187) 및 레버 홀(120a)에 각각 결합되고, 회전 가능한 상태로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결합부(740)는 상기 구동 유닛(180)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 유닛(180)에 의회 회전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결합부(750)가 상기 레버 홀(120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 유닛(180)의 동작에 따라 상기 만빙 감지 레버(700)가 회전되고, 상기 아이스 빈(102)의 만빙 상태 여부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에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130)가 장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130)의 구조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1은 상기 아이스 메이커와 커버 플레이트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 7 및 11을 참조하면, 상기 상부 케이스(120)의 일면에는 상기 레버 홀(120a)이 형성되고, 상기 레버 홀(120a)의 좌우 양측에는 한쌍의 보스(120b)가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한쌍의 보스(120b) 상방에는 단차진 플레이트 안착부(120c)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레버 홀(120a)과 상기 플레이트 안착부(120c)가 형성되는 상기 상부 케이스(120)의 일면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냉동실(4)의 후면 즉, 상기 그릴 팬(42)과 인접하는 면이며 상기 커버 플레이트(13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버 플레이트(130)는, 사각형의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 케이스(120)의 폭과 대응하는 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130)는 상기 상부 케이스(120)의 하단보다 더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냉동실 서랍(41)이 닫히게 될 때 상기 빈 개구(102a)의 대부분을 가릴 수 있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플레이트(130)는 상단에 플레이트 절곡부(130d)가 형성되며, 상기 플레이트 절곡부(130d)는 상기 플레이트 안착부(120c)에 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130)에는 상기 레버 홀(120a)과 상기 제 2 결합부(750)가 노출되는 노출 개구(130c)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노출 개구(130c)에 의해 상기 만빙 감지 레버(700)의 회전시에도 상기 제 2 결합부(750)가 간섭되지 않으며, 상기 만빙 감지 레버(700)의 동작을 보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노출 개구(130c)의 좌우 양측에는 플레이트 결합부(130b)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130b)는 상기 상부 케이스(120)에서 돌출된 한쌍의 상기 보스(120b)가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130b)에 체결되는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서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130b)와 상기 보스(120b)가 서로 결합되며, 상기 커버 플레이트(130)가 고정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버 플레이트(130)의 하부에는 다수의 통기구(130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기구(130a)는 다수개가 연속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 플레이트(130)의 하부는 그릴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기구(130a)는 상하로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 케이스(120)의 하단에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130)의 하단까지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통기구(130a)에 의해 상기 아이스 빈(102)의 내부로 냉기의 유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130)에는 플레이트 리브(130e)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리브(130e)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130)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커버 플레이트(13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 리브(130e)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130)를 가로지르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통기구(130a)의 사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커버 플레이트(130)는 상기 플레이트 리브(130e)에 의해 충분한 강도가 보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냉동실 서랍(41)이 개폐를 위해 인출입될 때 상기 아이스 빈(102) 내부의 얼음이 구르면서 상기 빈 개구(102a)를 통과하지 못하도록 막을 수 있으며, 이때 얼음과 부딪히는 충격으로부터 변형되거나 파손되지 않을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만들어지는 얼음은 실질적으로 구형 또는 구형에 가까운 형상으로 상기 아이스 빈(102)의 내부에서 필연적으로 구르거나 이동될 수 밖에 없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커버 플레이트(130)의 구조에 의해서 구형의 얼음이 상기 아이스 빈(102)의 외부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130)는 상기 아이스 빈(102)의 내부로 공급되는 냉기의 유동을 차단하지 않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커버 플레이트(130)는 상기 별도로 성형되어 상기 상부 케이스(120)에 장착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 상기 상부 케이스(120)의 일측면이 연장되어 상기 커버 플레이트(130)와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를 구성하는 상부 케이스(120)의 구조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부 케이스를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3은 상기 상부 케이스를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4는 상기 상부 케이스의 측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상부 케이스(120)는, 상기 상부 트레이(150)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냉동실(4)의 상면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케이스(120)는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고정을 위한 상부 플레이트(1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121)의 하면에 상기 상부 트레이(150)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 트레이(150)가 상기 상부 플레이트(121)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121)에는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일부가 관통하기 위한 트레이 개구(123)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상면 일부가 상기 트레이 개구(123)를 통과하여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상면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 개구(123)는 다수의 상기 얼음 챔버(111)의 배열을 따라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121)는 하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함몰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함몰부(122)의 바닥(122a)에 상기 트레이 개구(12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트레이(150)가 상기 상부 플레이트(121)에 장착되면,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상면 일부는 상기 함몰부(122)가 형성되는 공간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트레이 개구(123)를 통과하여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케이스(120)에는 이빙을 위하여 상기 상부 트레이(150)를 가열하기 위한 상부 히터(148)가 장착되는 히터 결합부(12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히터 결합부는 상기 함몰부(122)의 하단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케이스(120)는 상기 온도 센서(500)가 설치되기 위한 한 쌍의 설치 리브(128, 12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설치 리브(128, 129)는 서로 이격 배치되며, 상기 한 쌍의 설치 리브(128, 129) 사이에 상기 온도 센서(500)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설치 리브(128, 129)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121)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121)에는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의 결합을 위한 복수의 슬롯(131, 13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슬롯(131, 132)에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슬롯(131, 132)은, 제 1 상부 슬롯(131)과, 상기 트레이 개구(123)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상부 슬롯(131)의 반대편에 위치되는 제 2 상부 슬롯(13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상부 슬롯(131)과 상기 제 2 상부 슬롯(132)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 1 상부 슬롯(131)과 상기 제 2 상부 슬롯(132) 사이에 상기 트레이 개구(123)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상부 슬롯(131)과 상기 제 2 상부 슬롯(132)은 상기 트레이 개구(123)를 사이에 두고 이격 될 수 있다. 그리고, 다수의 상기 제 1 상부 슬롯(131)들과 제 2 상부 슬롯(132)들은 각각 상기 얼음 챔버(111)의 연속 배치 방향을 따라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상부 슬롯(131)과 제 2 상부 슬롯(133)은 곡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상부 슬롯(131)과 제 2 상부 슬롯(132)은 상기 얼음 챔버(111)의 둘레 영역을 따라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해서 상기 상부 트레이(150)가 상기 상부 케이스(120)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상부 트레이(150) 중 얼음 챔버(111)의 둘레 부분을 고정함으로서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변형이나 탈락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1 상부 슬롯(131)에서 상기 트레이 개구(123) 까지의 거리와 상기 제 2 상부 슬롯(132)에서 상기 트레이 개구(123) 까지의 거리는 다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 1 상부 슬롯(131)에서 상기 트레이 개구(123) 까지의 거리 보다 상기 제 2 상부 슬롯(132)에서 상기 트레이 개구(123) 까지의 거리는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121)는 후술할 상기 상부 서포터(170)의 체결 보스(175)가 삽입되기 위한 슬리브(1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리브(133)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 플레이트(121)에서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예로 복수의 슬리브(133)가 상기 상부 플레이트(121)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슬리브(133)는 상기 트레이 개구의 연장 방향으로 연속 배치될 수 있으며, 일정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복수의 슬리브(133) 중 일부 슬리브는 인접하는 두 개의 제 1 상부 슬롯(131)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복수의 슬리브(133) 중 다른 슬리브는 인접하는 두 개의 제 2 상부 슬롯(132) 사이에 배치되거나 또는 두 개의 제 2 상부 슬롯(132) 사이 영역을 바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해서 상기 제 1 상부 슬롯(131) 및 제 2 상부 슬롯(132)과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돌기 사이의 결합이 매우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케이스(120)는,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복수의 힌지 서포터(135, 1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 힌지 서포터(135, 136)에는 제 1 힌지 홀(137)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힌지 서포터(135, 136)는 서로 이격되어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케이스(120)는, 상기 연결 유닛(350)의 일부가 통과하기 위한 관통 개구(139b, 139c)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하부 어셈블리(200)의 양측에 각각 위치되는 링크(356)가 상기 관통 개구(139b, 139c)를 통과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 케이스(120)는 수평 연장부(142)와 수직 연장부(14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 연장부(142)는 상기 상부 케이스(120)의 상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냉동실(4)의 상면 즉, 상기 이너 케이스(21)와 접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수평 연장부(142)는 이너 케이스(21)가 아니라 상기 마운팅 커버(43)와 접할 수도 있다.
상기 수평 연장부(142)에는 상기 상부 케이스(120)를 상기 이너 케이스(21) 또는 상기 마운팅 커버(43)에 고정 장착하기 위한 걸림부(138)와 스크류 체결부(142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138)는 상기 수평 연장부(142)의 후단부 양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이너 케이스(21) 또는 마운팅 커버(43)에 걸림 구속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걸림부(138)는 상기 수평 연장부(142)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수직 걸림부(138b)와, 상기 수직 걸림부(138b)의 단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수평 걸림부(138a)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걸림부(138)는 전체적으로 고리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수직 걸림부(138b)와 상기 수평 걸림부(138a)가 형성하는 사이 공간으로 상기 이너 케이스(21) 또는 마운팅 커버(43)의 일측이가 삽입되어 서로 걸림 구속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걸림부(138)는 상기 수직 연장부(140)의 외측면에서 돌출될 수 있다. 즉, 상기 걸림부(138)의 측단은 상기 수직 연장부(140)와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걸림부(138)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를 지지하는데 필요한 강도를 충분히 만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의 탈부착 과정 중에 상기 걸림부(138)가 파손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평 걸림부(138a)의 연장된 단부에는 상방으로 경사진 경사부(138d)가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의 장착시 상기 걸림부(138)가 보다 용이하게 구속 위치로 안내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 걸림부(138a)의 상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138c)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138c)는 상기 이너 케이스(21) 또는 상기 마운팅 커버(43)와 접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의 상하방 유격을 방지하고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가 보다 견고하게 장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평 연장부(142)의 전단부 양측에는 스크류 체결부(142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크류 체결부(142a)는 하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상부 케이스(120)의 고정을 위한 스크류가 체결되어 상기 이너 케이스(21) 또는 상기 마운팅 커버(43)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의 장착을 위해서는 모듈 상태의 아이스 메이커(100)를 상기 냉동실(4) 내측에 배치 시킨 후, 먼저 상기 걸림부(138)가 상기 이너 케이스(21) 또는 상기 마운팅 커버(43)에 걸림 구속되도록 한 후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를 상방으로 밀착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수직 연장부(140) 상의 결합 후크(140a)가 상기 마운팅 커버(43)과 결합되어 추가적인 가고정 상태가 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스크류를 상기 스크류 체결부(142a)에 체결하여 상기 상부 케이스(120)의 전단이 상기 이너 케이스(21) 또는 마운팅 커버(43)에 결합시켜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의 장착을 완료 할 수 있다.
즉,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의 장착을 위해 복잡한 구조나 구성이 없이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의 후단을 걸림 구속시킨 후 전단을 스크류로 고정하여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의 장착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는 역순으로 용이하게 탈거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수평 연장부(142)의 둘레에는 테두리 리브(121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테두리 리브(121a)는 상기 수평 연장부(142)에서 수직하게 상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수평 연장부(142)의 후단을 제외한 나머지 단부를 따라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테두리 리브(121a)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의 장착시 상기 이너 케이스(21) 또는 마운팅 커버(43)의 외측면과 밀착될 수 있으며,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가 상기 냉장고(1)가 설치되는 지면과 수평하게 장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테두리 리브(121a)는 전단에 후단으로 갈수록 낮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수평 연장부(142)의 전단을 따라 형성되는 상기 테두리 리브(121a)는 가장 높은 높이를 가지며 동일한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평 연장부(142)의 양측면을 따라서 형성되는 테두리 리브(121a)는 전단이 가장 높은 높이를 가지며,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점차 낮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테두리 리브(121a)의 가장 높은 전단의 높이는 대략 3mm ~ 5mm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의 상면을 형성하는 상기 수평 연장부(142)는 상기 이너 케이스(21) 또는 상기 마운팅 커버(43)의 외측면을 기준으로 하방으로 대략 7˚ ~ 8˚가량 경사를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배치에 의해서 상기 캐비닛(2)이 기울어지게 배치되더라도,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의 내부에 급수되는 물의 수면은 수평 상태가 될 수 있으며, 다수의 얼음 챔버(111)에 동일한 양의 물이 수용되어 동일 크기를 가지는 구형을 얼음을 만드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수직 연장부(140)는 상기 수평 연장부(142)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 플레이트(121)의 둘레를 따라서 수직하게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수직 연장부(140)는 하나 이상의 결합 후크(140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 후크(140a)에 의해서 상기 상부 케이스(120)가 상기 마운팅 커버(43)에 후크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직 연장부(140)에 상기 급수부(19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케이스(120)는, 측면 둘레부(1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면 둘레부(143)는 상기 수평 연장부(142)에서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측면 둘레부는(143)는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둘레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측면 둘레부(143)는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측면 둘레부(143)는, 냉기 홀(134)이 형성되는 제 1 측면벽(143a)과, 상기 제 1 측면벽(143a)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 2 측면벽(143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가 상기 냉동실(4)에 장착되면, 상기 제 1 측면벽(143a)은 상기 냉동실(4)의 후측벽 또는 양측벽 중 일측벽과 마주볼 수 있다.
상기 제 1 측면벽(143a)과 상기 제 2 측면벽(143b) 사이에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만빙 감지 레버(700)가 회전 동작하므로, 상기 만빙 감지 레버(700)의 회전 동작에서 간섭이 방지되도록, 상기 측면 둘레부(143)에는 간섭 방지홈(148)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관통 개구(139b, 139c)는 상기 제 1 측면벽(143a)과 인접하게 위치되는 제 1 관통 개구(139b)와, 상기 제 2 측면벽(143b)과 인접하게 위치되는 제 2 관통 개구(139c)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관통 개구(139b, 139c) 사이에 상기 트레이 개구(123)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측면벽(143a)에서 상기 냉기 홀(134)은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기 홀(134)은 상기 냉기 덕트(44)의 전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냉기 덕트(44)를 통해 공급되는 냉기는 모두 상기 냉기 홀(134)을 통해 상기 상부 케이스(120)의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냉기 홀(134)의 양측단 사이에는 냉기 가이드(145)가 형성되며, 상기 냉기 가이드(145)에 의해 상기 냉기 홀(134)로 유입되는 냉기는 상기 트레이 개구(123)를 향하도록 안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 개구(123)를 통해 노출되는 상부 트레이(150)의 일부가 유동되는 냉기에 노출되어 직접 냉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만빙 감지 레버(700)에서 상기 제 1 결합부(740)는 상기 구동 유닛(180)에 연결되고, 상기 제 2 결합부(750)는 상기 제 1 측면벽(143a)에 결합된다.
상기 구동 유닛(180)은 상기 제 2 측면벽(143a)에 결합된다. 이빙 과정에서 상기 구동 유닛(180)에 의해서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회전되고, 하부 트레이(250)가 하부 이젝터(400)에 의해서 가압된다. 이때, 상기 하부 트레이(250)가 하부 이젝터(400)에 의해서 가압되는 과정에서 상기 구동 유닛(180)과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 간의 상대 이동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이젝터(400)가 상기 하부 트레이(250)를 가압하는 가압력은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 전체로 전달될 수 있고, 상기 구동 유닛(180)으로도 전달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구동 유닛(180)으로 비틀림력이 작용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구동 유닛(180)으로 작용하는 힘은 상기 제 2 측면벽(134b)으로도 작용하게 된다. 만약, 상기 제 2 측면벽(134b)으로 작용하는 힘에 의해서 상기 제 2 측면벽(134b)이 변형되면 상기 제 2 측면벽(134b)에 설치된 구동 유닛(180)과 상기 연결 유닛(350) 간의 상대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이 경우 자칫, 상기 구동 유닛(180)의 축과 상기 연결 유닛(350)이 분리되는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측면벽(134b)의 변형을 최소하기 위한 구조가 상기 상부 케이스(120)에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상부 케이스(120)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121)와 수직 연장부(140)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제 1 리브(148a)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제 1 리브(148a, 148b)들은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 1 리브(148a, 148b) 중 인접하는 두 개의 제 1 리브(148a, 148b) 사이에는 상부 히터(148) 또는 하부 히터(296)와 연결된 전선을 가이드하는 전선 가이드부(148c)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121)는, 단차진 형태의 적어도 두 개의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상부 플레이트(121)는, 제 1 플레이트부(121a)와, 상기 제 1 플레이트부(121a)와 높게 위치되는 제 2 플레이트부(121b)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1 플레이트부(121a)에 상기 트레이 개구(12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플레이트부(121a)와 제 2 플레이트부(121b)는 연결벽(121c)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121)는 상기 제 1 플레이트부(121a)와 상기 제 2 플레이트부(121b) 및 상기 연결벽(121a)을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제 2 리브(148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121)는 상기 상부 히터(148) 또는 하부 히터(296)와 연결되는 전선을 가이드하는 전선 가이드 후크(14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전선 가이드 후크(147)는 상기 제 1 플레이트부(121a)에 탄성 변형 가능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상부 케이스(120)의 냉기 안내 구조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5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를 상방에서 본 부분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16은 도 15의 A부 확대 도면이다. 그리고, 도 1은 상기 아이스 메이커 상면의 냉기 유동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18은 도 16의 18-18' 절개 사시도이다.
도 15 및 내지 도 1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냉기 홀(134)은 상기 얼음 챔버(111) 및 상기 트레이 개구(123)와 동일 연장선상에 위치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냉기 가이드(145)는 상기 냉기 홀(134)로부터 유입되는 냉기를 상기 얼음 챔버(111) 및 상기 트레이 개구(123)를 향하여 안내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케이스(120)에 냉기 가이드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냉기 홀(134)에서 유입되는 냉기는 상기 얼음 챔버(111) 및 상기 트레이 개구(123)를 지나지 않거나 극히 일부만 경유하게 되어 냉각 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
하지만,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냉기 가이드(145)에 의해서 상기 냉기 홀(134)로 유입되는 냉기는 상기 얼음 챔버(111)의 상방 및 상기 트레이 개구(123)를 차례로 지나도록 유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얼음 챔버(111)에서 효과적인 제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복수의 얼음 챔버(111)에서의 제빙 속도가 동일하거나 유사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냉기 가이드(145)는, 상기 냉기 홀(134)을 통과한 냉기를 안내하는 수평 가이드(145a)와, 복수의 수직 가이드(145b, 145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평 가이드(145a)는 상기 냉기 홀(134)의 최저점과 동일하거나 낮은 위치에서 냉기를 트레이 개구(123)가 형성된 상부 플레이트(121)의 상방으로 안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평 가이드(145a)는 상기 제 1 측면벽(143a)과 상기 상부 플레이트(121)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수평 가이드(145a)는 실질적으로 상기 상부 플레이트(121)의 바닥면 일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복수의 수직 가이드(145b, 145c)는 상기 수평 가이드(145a)와 교차되거나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수직 가이드(145b, 145c)는 제 1 수직 가이드(145b)와, 상기 제 1 수직 가이드(145b)와 이격되는 제 2 수직 가이드(145c)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수직 가이드(145b)와 제 2 수직 가이드(145c)의 단부는 복수의 얼음 챔버(111) 중 상기 냉기 홀(134)과 가장 가까운 일측의 얼음 챔버(111)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얼음 챔버(111)는 상기 냉기 홀(134)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 1 얼음 챔버(111a), 제 2 얼음 챔버(111b) 및 제 3 얼음 챔버(111c)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 1 얼음 챔버(111a)가 상기 냉기 홀(134)에 가장 가깝게 위치되고, 제 3 얼음 챔버(111c)가 상기 냉기 홀(134)과 가장 멀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얼음 챔버(111)의 개수는 3개 이상 형성될 수 있으며, 3개 이상 형성되는 경우 그 개수에 제한되지 않음을 밝혀 둔다.
상기 제 1 수직 가이드(145b)는 상기 냉기 홀(134)의 일측단에서 상기 제 1 얼음 챔버(111a)와 제 2 얼음 챔버(111b)의 단부 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수직 가이드(145b)는 소정의 곡률을 가지거나 절곡된 형상을 가지도록 하여 상기 냉기 홀(134)로부터 유동되는 냉기가 상기 제 1 얼음 챔버(111a)를 향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수직 가이드(145b)의 연장된 단부는 상기 제 2 얼음 챔버(111b)를 향하도록 절곡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수직 가이드(145b)에 의해 토출되는 냉기의 일부가 상기 제 1 얼음 챔버(111a)의 단부를 지나 상기 제 2 얼음 챔버(111b)를 향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수직 가이드(145b)는 제 2 얼음 챔버(111b)까지 연장되지 않으며, 절곡 또는 라운드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 플레이트(121)상에 제공되는 전선들 과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 2 수직 가이드(145c)는 상기 제 1 수직 가이드(145b)가 연장되는 단부와 마주보는 상기 냉기 홀(134)의 다른 일측단에서 상기 제 1 얼음 챔버(111a)를 향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2 수직 가이드(145c)는 제 1 수직 가이드(145b)의 연장된 단부와 이격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수직 가이드(145b)와 제 2 수직 가이드(145c)의 단부 사이에 상기 제 1 얼음 챔버(111a)가 위치되어 상기 냉기 가이드(145)에 의해 토출되는 냉기가 상기 제 1 얼음 챔버(111a)를 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2 수직 가이드(145c)는 상기 제 1 관통 개구(139b)의 둘레 일부를 형성하게 되며, 따라서 상기 냉기 가이드(145)를 따라 유동되는 냉기가 상기 제 1 관통 개구(139b)로 직접 유입되는 것을 방지 하게 된다.
상기 냉기 가이드(145)에 의해 안내되는 냉기는 상기 제 1 얼음 챔버(111a)를 향하게 되며, 토출되는 냉기가 상기 복수의 얼음 챔버(111)들을 순차적으로 지나게 될 수 있으며, 최종적으로는 상기 제 3 얼음 챔버(111c)의 측방에 위치된 제 2 관통 개구(139c)를 통과하게 된다.
따라서, 도 1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냉기 가이드(145)에 의해서 상기 냉기 홀(134)을 통과한 냉기가 상기 상부 플레이트(121)의 상방에 집중될 수 있고, 상부 플레이트(121)를 유동한 냉기가 상기 제 1 및 제 2 관통 개구(139b, 139c)를 통과한다.
그리고, 상기 냉기 가이드(145)에 의해 공급되는 냉기는 상기 복수의 얼음 챔버(111)의 배치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지나도록 공급될 수 있으며, 전체 얼음 챔버(111)에 냉기가 고르게 공급되어 제빙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얼음 챔버(111)들 간의 제빙 속도가 균일하게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냉기 가이드(145)에 의해 공급되는 냉기는 도 1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얼음 챔버(111)의 배치 구조상 제 1 얼음 챔버(111a)에 집중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제빙 초기 단계에서 냉기의 집중 공급이 이루어지는 제 1 얼음 챔버(111a)의 결빙 속도가 빠를 것임은 자명할 것이다.
상세히, 상기 얼음 챔버(111) 내부의 얼음은 간접 냉각 방식에 의해 만들어질 수 있다. 특히, 냉기의 공급은 상부 트레이(150) 측에 집중되고, 상기 하부 트레이(250)는 고내 냉기에 의해 자연스럽게 냉각이 이루어지게 된다. 특히, 본 실시 예에서는, 투명한 구형의 얼음을 만들기 위해서 상기 하부 트레이(250)에 구비되는 하부 히터(296)에 의해 상기 하부 트레이(250)를 주기적으로 가열하여, 상기 얼음 챔버(111)의 상부게서부터 결빙이 시작되어 점차 하방으로 결빙이 진행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얼음 챔버(111)의 내부에서 결빙 중 발생되는 기포가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하방에 집중되도록 할 수 있으며, 기포가 집중된 얼음의 하단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투명한 얼음이 만들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냉각 방식의 특성상 상기 상부 트레이(150)에서 결빙이 먼저 일어나게 되는데, 냉기가 상기 제 1 얼음 챔버(111a)에 집중되어 상기 제 1 얼음 챔버(111a)가 빠르게 결빙될 수 있다. 그리고, 냉기의 순차적인 유동 특성상 상기 제 2 얼음 챔버(111b)와 제 3 얼음 챔버(111c)의 상부가 순차적으로 결빙 시작하게 된다.
물은 얼음으로 상변화되는 과정에서 팽창되는데, 복수의 상기 제 1 얼음 챔버(111a)에서의 얼음의 생성 속도가 빠르면 물의 팽창력이 상기 제 2 얼음 챔버(111b)와 제 3 얼음 챔버(111c)측으로 가해진다. 그러면, 상부 트레이(150)와 하부 트레이(250) 사이로 제 1 얼음 챔버(111a)의 물이 제 2 얼음 챔버(111b) 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연쇄적으로 상기 제 2 얼음 챔버(111b)의 물이 제 3 얼음 챔버(111c)로 이동된다. 결국, 제 3 얼음 챔버(111c)의 내부에는 설정된 양의 물보다 더 많은 물이 공급되고 상기 제 3 얼음 챔버(111c)에서 생성되는 얼음은 상대적으로 완전한 구형의 형태를 가지지 못할 뿐만 아니라 그 크기가 다른 얼음 챔버(111a, 111b)에서 만들어진 얼음과 다르게 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 1 얼음 챔버(111a)에서의 결빙이 상대적으로 더 빠르게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야 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얼음 챔버(111)들 간에 결빙 속도가 균일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얼음 챔버(111a) 보다는 제 2 얼음 챔버(111b)가 먼저 결빙되도록 하여 한쪽의 얼음 챔버(111)로 물이 몰리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 1 얼음 챔버(111a)와 대응하는 상기 트레이 개구(123)에는 차폐부(125)가 형성되어 상기 제 1 얼음 챔버(111a)와 대응하는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노출을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차폐부(125)는 상기 제 1 얼음 챔버(111a)와 대응하는 함몰부(122)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트레이 개구(123)를 형성하는 상기 함몰부(122)의 바닥이 중앙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트레이 개구(123) 중 상기 제 1 얼음 챔버(111a)와 대응하는 부분은 개구된 크기가 현저히 작은 크기를 가지며, 나머지 제 2 얼음 챔버(111b) 및 제 3 얼음 챔버(111c)와 대응하는 부분은 더 큰 크기의 개구된 영역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 트레이(150)가 상기 상부 케이스(120)에 결합된 도 15의 상태와 같이, 상기 제 1 얼음 챔버(111a)가 형성된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상면은 상기 차폐부(125)에 의해 더 차폐될 수 있다.
상기 차폐부(125)는 상부 트레이(150) 중 상기 제 1 얼음 챔버(111a)와 대응하는 부분의 외측면 상부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거나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차폐부(125)는 상기 함몰부(122)의 바닥에서 중앙을 항하여 연장되며, 라운드 또는 경사지게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폐부(125)의 연장된 단부는 차폐부 개구(125a)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차폐부 개구(125a)는 상기 제 1 얼음 챔버(111a)와 연통되는 유입 개구(154)와 대응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 케이스(120)와 상부 트레이(15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트레이 개구(123) 중 상기 제 1 얼음 챔버(111a)와 대응하는 부분은 상기 유입 개구(154)만이 노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해서, 상기 냉기 가이드(145)에 의해 상기 상부 플레이트(121)를 지나도록 공급되는 냉기가 상기 제 1 얼음 챔버(111a)로 집중적으로 공급되더라도, 상기 차폐부(125)에 의해 상기 제 1 얼음 챔버(111a) 내부로 냉기의 전달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차폐부(125)에 의한 단열 효과로 상기 제 1 얼음 챔버(111a)로 전달되는 냉기를 줄일 수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 1 얼음 챔버(111a)에서 얼음의 결빙을 지연시킬 수 있으며, 다른 얼음 챔버(111b, 111c)보다 먼저 결빙이 진행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차폐부 개구(125a)에는 방사상으로 함몰된 리브 홈(125c)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브 홈(125c)은 상기 유입 개구(154)에 방사상으로 배치된 제 1 연결 리브(155a)의 일부가 수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리브 홈(125c)은 상기 제 1 연결 리브(155a)와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차폐부 개구(125a)의 둘레에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연결 리브(155a)의 상단 일부가 상기 리브 홈(125c)에 수용됨으로써 라운드진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상면을 효과적으로 감쌀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 1 연결 리브(155a)의 상단 일부가 상기 리브 홈(125c)에 수용됨으로써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상부는 상기 차폐부(125)를 벗어나지 않고 정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변형을 방지하고 상기 상부 트레이(150)가 고정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제 1 얼음 챔버(111a) 내에서 생성되는 얼음이 항상 구형을 유지하도록 보장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차폐부(125) 중 일측에는 차폐부 절개부(125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차폐부 절개부(125b)는 아래에서 설명할 제 2 연결 리브(162)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연결 리브(162)가 수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차폐부(125)는 상기 제 2 얼음 챔버(111b)를 향하는 방향으로 절개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연결 리브(162)가 형성되는 부분과 상기 제 1 얼음 챔버(111a)와 연통되는 유입 개구(154)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차폐하게 된다.
상기 차폐부(125)는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상면과 완전히 밀착되지는 않으며,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해서 상기 차폐부(125)와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사이에는 공기층이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제 1 얼음 챔버(111a)와 대응하는 부분과의 단열을 한층 더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트레이 개구(123)의 양측에는 상기 제 1 관통 개구(139b)와 제 2 관통 개구(139c)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관통 개구(139b)와 제 2 관통 개구(139c)를 통해서 아래에서 설명할 유닛 가이드(181, 182)와 상기 유닛 가이드(181, 182)를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 1 링크(356)가 관통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 1 관통 개구(139b)와 제 2 관통 개구(139c)에는 상기 유닛 가이드(181, 182)와 접하는 유동 방지부가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유닛 가이드(181, 182)의 좌우측 방향 유동을 구속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1 관통 개구(139b)에는 제 1 유동 방지부(139ba)와 제 2 유동 방지부(189bb)가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 1 유동 방지부(139ba)와 제 2 유동 방지부(189bb)는 서로 이격되며, 상기 제 1 유닛 가이드(181)를 양측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 2 유동 방지부(189bb)는 상기 제 2 수직 가이드(145c)의 단부가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관통 개구(139c)에는 제 3 유동 방지부(189ca)와 제 4 유동 방지부(189cb)가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 3 유동 방지부(189ca)와 제 4 유동 방지부(189cb)는 서로 이격되며, 상기 제 2 유닛 가이드(182)를 양측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해서 상기 유닛 가이드(181, 182)는 좌우 유동이 원천적으로 방지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유닛 가이드(181, 182)를 따라서 이동되는 상부 이젝터(300) 또한 유동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상부 이젝터(300)는 상하 이동시 유동이 발생될 경우 상기 상부 트레이(150)를 눌러 상기 상부 트레이(150)를 변형시키거나 탈거시킬 수 있는 문제가 있으므로, 반드시 고정된 위치에서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따라서, 상기 상부 이젝터(300)는 상기 유동 방지부에 의해서 상하 이동 과정 중에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간섭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유동 방지부 중 상기 제 4 유동 방지부(189cb)의 경우 다른 유동 방지부들(139ba, 139bb, 139ca)보다 다소 낮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이는 상기 상부 트레이(150)를 따라 유동되는 냉기가 상기 제 4 유동 방지부(189cb)를 지나 상기 제 2 관통 개구(139c)을 통해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할 수 있기 위함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상부 트레이(150)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상부 트레이를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0은 상기 상부 트레이를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1은 상기 상부 트레이의 측면도이다.
도 19 내지 도 21을 참조하면, 상기 상부 트레이(150)는, 외력에 의해서 변형된 후 원래의 형태로 복귀될 수 있는 플렉서블 또는 연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상부 트레이(150)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와 같이 상기 상부 트레이(150)가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면, 이빙 과정에서 외력이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형태가 변형되더라도 상기 상부 트레이(150)는 다시 원래의 형태로 복귀하게 되므로, 반복적인 얼음 생성에도 불구하도 구 형태의 얼음 생성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상부 트레이(150)가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면, 후술할 상부 히터(148)에서 제공되는 열에 의해서 상기 상부 트레이(150)가 녹거나 열 변형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트레이(150)는, 상기 얼음 챔버(111)의 일부인 상부 챔버(152)를 형성하는 상부 트레이 바디(15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에는 복수의 상부 챔버(152)가 연속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상부 챔버(152)는, 제 1 상부 챔버(152a), 제 2 상부 챔버(152b) 및 제 3 상부 챔버(152c)로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에 일렬로 연속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는 독립적인 3개의 상부 챔버(152a, 152b, 152c)를 형성하는 3개의 챔버 벽(153)을 포함할 수 있으며, 3개의 챔버 벽(153)이 한몸으로 형성되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챔버(152)는 반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구 형태의 얼음 중 상부는 상기 상부 챔버(152)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의 상측에는 상기 상부 이젝터(300)가 이빙을 위해 출입될 수 있는 유입 개구(15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입 개구(154)는 각각의 상부 챔버(152)의 상단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상부 이젝터(300)에 의해 상기 얼음 챔버(111)들에 구비된 얼음들을 독립적으로 밀어서 이빙시킬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상기 유입 개구(154)는 상기 상부 이젝터(300)의 출입이 가능할 정도의 직경을 가지는 만큼 상기 상부 플레이트(121)를 따라 이동되는 냉기가 출입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상부 이젝터(300)가 상기 유입 개구(154)를 통해 인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상부 트레이(150)에서 상기 유입 개구(154) 측의 변형이 최소화되도록 상기 상부 트레이(150)에는 입구 벽(15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입구 벽(155)은 상기 유입 개구(154)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며,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에서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입구 벽(155)은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 이젝터(300)는 상기 입구 벽(155)의 내측 공간을 지나 상기 유입 개구(154)를 관통할 수 있다.
상기 입구 벽은 상기 상부 이젝터(300)가 이동될 수 있는 가이드의 역할을 하는 동시에, 상기 얼음 챔버(111)에 수용된 물이 넘치지 않도록 하는 여분의 공간을 형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입구 벽(155)의 내측 공간 즉, 상기 유입 개구(154)가 형성되는 공간을 버퍼(buffer)라 부를 수도 있다.
상기 버퍼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얼음 챔버(111)에 설정량 이상의 물이 유입되더라도 넘치지 않게 된다. 만약 상기 얼음 챔버(111) 내측의 물이 넘치게 되는 경우 이웃하는 얼음 챔버(111)간의 얼음이 서로 연결되어 얼음이 상기 상부 트레이(150)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고 결착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얼음 챔버 내부의 물이 상부 트레이(150)를 넘처 흐르게 되는 경우 아이스 빈(102) 내부의 얼음 간의 결착을 유발하는 등 심각한 문제가 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입구 벽(155)에 의해 상기 버퍼를 형성하여, 상기 얼음 챔버(111) 내부의 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버퍼의 형성을 위해 상기 입구 벽(155)이 과도하게 높아질 경우 상기 상부 플레이트(121)를 지나는 냉기의 유동에 간섭되어 원활한 냉기 유동을 저해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입구 벽(155)이 과도하게 낮아 질 경우 상기 버퍼의 역할을 기대할 수 없게 될 뿐만 아니라 상기 상부 이젝터(300)의 이동을 안내하기 어려울 수도 있다.
일 예로, 상기 버퍼의 바람직한 높이는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수평 연장부(142)와 대응하는 높이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퍼의 용량은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의 둘레에 부착될 수 있는 얼음 부스러기의 유입량을 기준으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그리고, 상기 버퍼의 내부 체적은 상기 얼음 챔버(111)의 체적을 기준으로 2~4% 용량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버퍼의 내경이 과도하게 클 경우 완성된 얼음의 상단이 과도하게 넓은 평면 모양을 가질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구형의 얼음의 이미지를 제공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상기 버퍼는 적정한 내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상기 버퍼의 내경은 상기 상부 이젝터(300)의 출입이 원활하도록 상기 상부 이젝터(300)의 직경보다는 더 크게 형성되고, 상기 버퍼의 물 수용 용량과 높이를 만족하는 선에서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입구 벽(155)의 둘레에는 상기 입구 벽(155)의 측면과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의 상면을 연결하는 제 1 연결 리브(155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연결 리브(155a)는 다수개가 상기 입구 벽(155)의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연결 리브(155a)에 의해 상기 입구 벽(155)은 쉽게 변형되지 않도록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이젝터(300)가 상기 유입 개구(154)로 인입되는 과정에서 접촉되더라도 상기 입구 벽(155)은 변형되지 않고 형상과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1 연결 리브(155a)는 상기 제 1 상부 챔버(152a)와 제 2 상부 챔버(152b) 및 제 3 상부 챔버(152c)에 모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2 상부 챔버(152b)와 제 3 상부 챔버(152c)에 대응되는 두 개의 입구 벽(155)은 제 2 연결 리브(162)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2 연결 리브(162)는 상기 제 2 상부 챔버(152b)와 제 3 상부 챔버(152c)의 사이를 연결하여 한층 더 상기 입구 벽(155)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며, 동시에 상기 제 2 상부 챔버(152b)와 제 3 상부 챔버(152c)의 상면 형상까지도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 2 연결 리브(152)는 상기 제 1 상부 챔버(152a)와 제 2 상부 챔버(152b)의 사이에도 구비되어 상기 제 1 상부 챔버(152a)와 제 2 상부 챔버(152b)를 연결할 수도 있으나, 상기 제 1 상부 챔버(152a)와 제 2 상부 챔버(152b)의 사이에는 온도 센서(500)가 배치되는 제 2 수용부(161)가 형성되므로 생략될 수 있다.
3개의 상부 챔버(152a, 152b, 152c)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입구 벽(155)에는 급수 가이드(156)가 구비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급수 가이드(156)는 상기 제 2 상부 챔버(152b)에 대응되는 입구 벽(155)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급수 가이드(156)는 상기 입구 벽(155)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 2 상부 챔버(152b)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상기 상부 챔버(152)에는 하나의 급수 가이드만 형성되더라도, 급수 중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하부 트레이(250)가 닫히지 않도록 하여 모든 얼음 챔버(111)에 물을 균일하게 채울 수 있다.
상기 상부 트레이(150)는, 제 1 수용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수용부(160)에는 상기 상부 케이스(120)의 함몰부(122)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122)에 히터 결합부(124)가 구비되고, 히터 결합부(124)에 상부 히터(148)가 구비되므로, 상기 제 1 수용부(160)에 상기 상부 히터(148)가 수용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제 1 수용부(160)는 상기 상부 챔버 들(152a, 152b, 152c)을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수용부(160)는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의 상면이 하방으로 함몰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온도 센서(500)는 상기 제 2 수용부(161)에 수용될 수 있으며, 상기 온도 센서(500)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온도 센서(500)는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의 외면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의 챔버 벽(153)은 수직벽(153a)과 곡선벽(153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곡선벽(153b)은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상부 챔버(152)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라운드질 수 있다. 이대, 상기 곡선벽(153b)의 곡률은 아래에서 설명할 하부 트레이(250)의 곡선벽(260b)의 곡률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회전시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하부 트레이(250)는 서로 간섭되지 않게 된다.
상기 상부 트레이(150)는,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의 둘레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 연장부(16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평 연장부(164)는 일 예로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의 상단 테두리의 둘레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수평 연장부(164)는 상기 상부 케이스(120) 및 상기 상부 서포터(170)와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수평 연장부(164)의 하면(164b)은 상기 상부 서포터(170)와 접하고, 상기 수평 연장부(164)의 상면(164a)은 상기 상부 케이스(120)와 접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평 연장부(164)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상부 케이스(120)와 상기 상부 서포터(170) 사이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수평 연장부(164)는 상기 복수의 상부 슬롯(131, 132) 각각에 삽입되기 위한 복수의 상부 돌기(165, 16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상부 돌기(165, 166)는, 제 1 상부 돌기(165)와, 상기 유입 개구(154)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상부 돌기(165)의 반대편에 위치되는 제 2 상부 돌기(16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상부 돌기(165)는 상기 제 1 상부 슬롯(131)에 삽입되고, 상기 제 2 상부 돌기(166)는 상기 제 2 상부 슬롯(132)에 삽입될 수 있도록 서로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수평 연장부(164)의 상면(164a)에서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 1 상부 돌기(165)는 일 예로 곡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상부 돌기(166)는 일 예로 곡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상부 돌기(165)와 제 2 상부 돌기(166)는 상기 얼음 챔버(111)를 사이에 두고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특히 상기 얼음 챔버(111)의 둘레가 견고한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수평 연장부(164)는 복수의 하부 돌기(167, 16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하부 돌기(167, 168)는 후술할 상기 상부 서포터(170)의 하부 슬롯(176,177)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하부 돌기(167, 168)는 제 1 하부 돌기(167)와, 상기 상부 챔버(152)를 기준으로 제 1 하부 돌기(167)의 반대편에 위치되는 제 2 하부 돌기(16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하부 돌기(167) 및 제 2 하부 돌기(168)는 상기 수평 연장부(164)의 하면(164b)에서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 1 하부 돌기(167) 및 제 2 하부 돌기(168)는 상기 제 1 상부 돌기(165) 및 제 2 상부 돌기(166)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반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각 상부 돌기(165, 166)와 하부 돌기(167, 168)에 의해 상기 상부 트레이(150)는 상기 상부 케이스(120)와 상부 서포터의 사이에 결합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제빙 과정이나 이빙 과정에서 상기 얼음 챔버(111) 또는 얼음 챔버(111)와 인접한 수평 연장부(264)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수평 연장부(164)에는 후술할 상기 상부 서포터(170)의 체결 보스가 관통하기 위한 관통홀(169)이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관통홀(169) 중 일부 관통홀은 인접하는 두 개의 제 1 상부 돌기(165) 또는 인접하는 두 개의 제 1 하부 돌기(167)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복수의 관통홀(169) 중 다른 관통홀은 인접하는 두 개의 제 2 하부 돌기(168) 사이에 배치되거나 또는 두 개의 제 2 하부 돌기(168) 사이 영역을 바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의 하면(153c)에는 상부 리브(153d)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리브(153d)는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하부 트레이(250)의 사이를 기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각각의 얼음 챔버(111)들 둘레를 따라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하부 트레이(250)의 결합에 의해 얼음 챔버(111)를 형성하는 구조에서는 물이 얼음으로 상변화 되면서 발생되는 부피 팽창 현상으로 인해 최초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하부 트레이(250)가 서로 밀착 상태를 유지하고 있더라도 얼음으로 변하는 과정에서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하부 트레이(250)의 사이가 벌어지게 된다.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하부 트레이(250)가 벌어진 상태에서 결빙이 이루어지게 되면, 완성된 구형의 얼음의 둘레를 따라 얼음 띠와 같은 형상으로 돌출되는 버(burr)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버 발생으로 구형 얼음 자체의 모양이 좋지 못한 문제가 발생된다. 특히,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하부 트레이(250) 사이의 둘레 공간에 형성되는 얼음 부스러기와 연결될 경우 구형 얼음의 모양이 더욱 좋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하단에 상부 리브(153d)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리브(153d)는 물의 상변화에 의한 부피 팽창시에도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하부 트레이(250)의 사이가 차폐되도록 하여 완성된 구형의 얼음 둘레를 따라 버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상부 리브(153d)는 상기 상부 챔버(152) 각각의 둘레를 따라서 형성될 수 있으며, 두께가 얇은 리브 형상으로 하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하부 트레이(250)가 완전히 닫히게 되는 상황에서는 상기 상부 리브(153d)의 변형으로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하부 트레이(250)의 기밀을 방해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 리브(153d)는 과도하게 길게 형성될 수 없으며,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하부 트레이(250)가 벌어질 때의 틈을 가릴 수 있을 정도의 높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일 예로,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하부 트레이(250)는 얼음이 형성되면 대략 0.5mm ~ 1mm 정도로 사이가 벌어질 수 있으며, 상기 상부 리브(153d) 또한 이에 대응하여 대략 0.8mm정도의 높이(h1)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 트레이(250)는 회전축이 상기 곡선벽(153b)보다 외측(도 21에서 볼때 우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상기 하부 트레이(250)가 회전에 의해 닫히게 될 때 상기 회전축과 가까운 부분이 먼저 접촉되기 시작하고,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하부 트레이(250)가 압축되면서 상기 회전축과 먼 부분이 차례로 접촉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 리브(153d)가 상기 상부 챔버(152)의 하단 둘레를 따라 전체적으로 형성될 경우 회전 축과 인접되는 위치에서 상기 상부 리브(153d)의 간섭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하부 트레이(250)가 완전히 닫히지 않게 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회전축과 먼 위치에서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하부 트레이(250)가 닫히지 않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상부 리브(153d)는 상기 상부 챔버(152)의 둘레를 따라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리브(153d)는 상기 수직벽(153a)과 가까워질수록 높이가 높아지고 상기 곡선벽(153b)을 향할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벽(153b)과 가까운 상기 상부 리브(153d)의 일단은 최대 높이(h1)가 될 수 있으며, 상기 곡선벽(153b)과 가까운 상부 리브(153d)의 타단은 최소 높이가 될 수 있으며, 상기 최소 높이는 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리브(153d)는 상기 상부 챔버(152)의 전체에 형성되지 않고 상기 곡선벽(153b)과 인접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2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상부 리브(153d)는 상기 상부 트레이(150) 하단의 전체 폭의 길이(L)를 기준으로 상기 곡선벽(153b)의 형성된 단부로부터 1/5길이(L1) 만큼 떨어진 지점에서 돌출되기 시작하여, 상기 수직벽(153b)이 형성된 단부까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 리브(153d)의 폭은 상기 상부 트레이(150) 하단의 전체 폭의 길이(L)을 기준으로 4/5길이(L2)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상부 트레이(150) 하단의 폭이 50mm라고 할 때, 상기 상부 리브(153d)는 상기 곡선벽(153b)의 단부를 기준으로 10mm 떨어진 위치에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수직벽(153a)과 인접한 단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 리브(153d)의 폭은 40mm가 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상부 리브(153d)가 돌출되기 시작하는 지점은 일부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상기 하부 트레이(250)가 닫힐 때의 간섭을 최소화하면서, 동시에 얼음이 만들어지면서 벌어지는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하부 트레이(250)의 틈을 가릴 수 있도록 상기 곡선벽(153b)으로부터 떨어진 일측에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리브(153d)는 상기 곡선벽(153b)측에서 수직벽(153a)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부 트레이(250)가 결빙에 의해 벌어지게 될 때, 벌어진 높이가 다른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하부 트레이(250)의 사이를 효과적으로 커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상부 서포터(170)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상부 서포터를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3은 상기 상부 서포터를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상부 어셈블리의 결합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22 내지 도 24를 참조하면, 상기 상부 서포터(170)는 상기 상부 트레이(150)를 하방에서 지지하는 판상의 서포터 플레이트(171)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포터 플레이트(171)의 상면은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수평 연장부(164)의 하면(164b)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서포터 플레이트(171)에는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가 관통하기 위한 플레이트 개구(17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서포터 플레이트(171)의 테두리에는 상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둘레 벽(17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둘레 벽(174)은 상기 수평 연장부(164)의 측면 둘레와 접하여 상기 상부 트레이(150)를 구속할 수 있다.
상기 서포터 플레이트(171)는, 복수의 하부 슬롯(176, 17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하부 슬롯(176, 177)은, 상기 제 1 하부 돌기(167)가 삽입되는 제 1 하부 슬롯(176)과 상기 제 2 하부 돌기(168)가 삽입되는 제 2 하부 슬롯(177)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 1 하부 슬롯(176)과 제 2 하부 슬롯(177)은 각각 상기 제 1 하부 돌기(167) 및 제 2 하부 돌기(168)와 대응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서포터 플레이트(171)는 복수의 체결 보스(17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체결 보스(175)는 상기 서포터 플레이트(171)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각 체결 보스(175)는 상기 수평 연장부(164)의 관통홀(169)을 관통하여 상기 상부 케이스(120)의 슬리브(133)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상기 체결 보스(175)가 상기 슬리브(133) 내부로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 보스(175)의 상면은 상기 슬리브(133)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거나 낮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체결 보스(175)에 체결되는 볼트와 같은 체결 부재가 체결되어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의 조립은 완료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 케이스(120)와 상부 트레이(150) 및 상부 서포터(170)는 서로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서포터(170)는, 상기 상부 이젝터(300)와 연결된 연결 유닛(350)을 가이드하기 위한 복수의 유닛 가이드(181, 18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유닛 가이드(181, 182)는 양측단에 이격 배치될 수 있으며,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닛 가이드(181, 182)는 상기 서포터 플레이트(171)의 양측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 유닛 가이드(181, 182)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슬롯(18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이젝터(300)의 이젝터 바디(310)의 양단이 상기 가이드 슬롯(183)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연결 유닛(350)이 상기 이젝터 바디(310)와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회전 과정에서 회전력이 상기 연결 유닛(350)에 의해서 상기 이젝터 바디(310)로 전달되면, 상기 이젝터 바디(310)는 상기 가이드 슬롯(183)을 따라 상하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포터 플레이트(171)의 일측에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플레이트 전선 가이드(17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전선 가이드(178)는 상기 하부 히터(296)와 연결된 전선을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하방으로 연장된 고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전선 가이드(178)는 상기 서포터 플레이트(171)의 모서리에 제공되어 다른 구성들과 전선의 간섭을 최소화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 전선 가이드(178)와 대응하는 상기 서포터 플레이트(171)에는 전선 개구(178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선 개구(178a)는 상기 플레이트 전선 가이드(178)에 의해 안내되는 전선이 상기 서포터 플레이트(171)를 통과하여 상기 상부 케이스(120)로 향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한편, 도 13 및 도 2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상부 케이스(120)에는 히터 결합부(12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히터 결합부(124)는 상기 트레이 개구(123)를 따라 형성된 상기 함몰부(122)의 하단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 히터(148)를 수용하기 위한 히터 수용홈(124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히터(148)는 와이어 타입의 히터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 히터(148)는 상기 히터 수용홈(124a)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으며, 곡선 형상의 상기 트레이 개구(123)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상부 히터(148)는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의 조립에 의해 상기 상부 트레이(150)에 접촉되어 상기 상부 트레이(150)로의 열 전달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히터(148)는 DC 전원을 공급받는 DC 히터일 수 있다. 상기 상부 히터(148)가 상기 얼음의 이빙을 위해 동작되면 상기 상부 히터(148)의 열이 상기 상부 트레이(150)로 전달되어 얼음이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표면(내면임)과 분리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상부 트레이(150)가 금속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 히터(148)의 열이 강할수록, 상기 상부 히터(148)가 오프된 이후에, 얼음 중에서 상기 상부 히터(148)에 의해서 가열된 부분이 다시 상부 트레이(150)의 표면에 달라 붙게 되어 불투명해지는 현상이 발생된다.
즉, 얼음의 둘레에 상부 히터와 대응되는 형태의 불투명한 띠가 형성된다.
그러나, 본 실시 예의 경우, 출력 자체가 낮은 DC 히터를 사용하고, 상부 트레이(150)가 실리콘 재질로 형성됨에 따라서, 상기 상부 트레이(150)로 전달되는 열의 양이 줄어들고, 상기 상부 트레이(150) 자체의 열전도율도 낮아진다.
따라서, 얼음의 국부적인 부분에 열이 집중되지 않고 적은 양의 열이 얼음으로 서서히 가해지므로, 얼음이 상기 상부 트레이(150)에서 효과적으로 분리되면서도 얼음의 둘레에 불투명해진 띠가 형성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히터(148)의 열이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복수의 상부 챔버(152) 각각으로 골고루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히터(148)는 복수의 상부 챔버(152)의 둘레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2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상부 케이스(120)의 히터 결합부(124)에 상부 히터(148)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상부 케이스(120)와 상기 상부 트레이(150), 상부 서포터(170)를 서로 결합시켜 상기 상부 어셈블리를 조립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제 1 상부 돌기(165)가 상부 케이스(120)의 제 1 상부 슬롯(131)에 삽입되고,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제 2 상부 돌기(166)가 상기 상부 케이스(120)의 제 2 상부 슬롯(132)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제 1 하부 돌기(167)가 상기 상부 서포터(170)의 제 1 하부 슬롯(176)에 삽입되고, 상기 상부 트레이의 제 2 하부 돌기(168)가 상기 상부 서포터(170)의 제 2 하부 슬롯(177)에 삽입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상부 서포터(170)의 체결 보스(175)는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관통홀(169)을 통과하여 상기 상부 케이스(120)의 슬리브(133) 내에 수용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를 상기 체결 보스(175)의 상방에서 상기 체결 보스(175)에 체결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가 조립되면, 상기 상부 히터(148)가 결합된 상기 히터 결합부(124)는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제 1 수용부(160)에 수용된다. 상기 제 1 수용부(160)에 상기 히터 결합부(124)가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히터(148)는 상기 제 1 수용부(160)의 바닥면(160a)에 접촉한다.
본 실시 예와 같이 상기 상부 히터(148)가 함몰된 형태의 히터 결합부(124)에 수용되어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와 접촉하는 경우, 상기 상부 히터(148)의 열이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 외의 다른 부분으로 전달되는 것이 최소화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다른 아이스 메이커의 다른 예도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는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구조와 상부 케이스(120)의 차폐부(125) 구조에만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은 동일할 것이다.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 및 도시를 생략하며,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상부 트레이 및 차폐부 구조를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2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상부 트레이를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6은 도 25의 26-26'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27은 도 25의 27-27'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2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상부케이스의 차폐부 구조를 보인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25 내지 도 28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상부 트레이(150')는 상기 입구 벽(155) 및 입구 벽(155)과 연결되는 상부 챔버(152)의 상면 구조에만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은 모두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하다.
상기 상부 트레이(150')는 수평 연장부(142)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 연장부(142)에는 제 1 상부 돌기(165)와 제 2 상부 돌기(166), 제 1 하부 돌기(167)와 제 2 하부 돌기(168)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관통홀(169)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평 연장부(142)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상부 트레이 바디(151)에 상부 챔버(15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챔버(152)는 상기 냉기 가이드(145)와 가까운 측으로부터 제 1 상부 챔버(152a)와 제 2 상부 챔버(152b) 및 제 3 상부 챔버(152c)가 연속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챔버(152)들에는 각각 상기 유입 개구(154)가 형성되는 입구 벽(155)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상부 챔버(152b)의 입구 벽(155)에는 급수 가이드(156)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 챔버(152)의 입구 벽(155)에는 상기 입구 벽(155)의 외측면과 상기 상부 챔버(152)의 상면을 연결하는 다수의 리브들이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1 상부 챔버(152a)와 제 2 상부 챔버(152b)에는 방사상으로 배치된 다수의 제 1 연결 리브(155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연결 리브(155a)에 의해 상기 입구 벽(155)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데 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상부 챔버(152a)와 제 2 상부 챔버(152b)는 제 2 연결 리브(162)에 의해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상부 챔버(152a)와 제 2 상부 챔버(152b) 및 상기 입구 벽(155)의 변형을 한층 더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반면, 제 3 상부 챔버(152c)는 온도 센서(500)의 장착을 위해 떨어져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3 상부 챔버(152c) 상방의 입구 벽(155)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서 제 3 연결 리브(155c)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3 연결 리브(155c)는 상기 제 1 연결 리브(155a)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상부 챔버(152a) 또는 제 2 상부 챔버(152b) 보다 더 좁은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3 상부 챔버(152c)는 다른 챔버들(152a, 152b)보다 더 많은 수의 리브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 3 상부 챔버(152c)가 따로 떨어진 상태로 배치되더라도 형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쉽게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 1 상부 챔버(152a)의 상면에는 단열부(152e)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열부(152e)는 상기 상부 트레이(150') 및 상부 케이스(120)를 지나는 냉기를 보다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 1 상부 챔버(152a)의 둘레를 따라서 더 돌출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단열부(152e)는 상기 제 1 상부 챔버(152a)의 상면부 즉,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상방으로 노출되는 면으로 상기 입구 벽(155)의 하단 둘레에 형성된다.
상세히, 도 26과 도 2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단열부(152e)에 의해서 상기 제 1 상부 챔버(152a)의 상부면 두께(D1)는 상기 제 2 상부 챔버(152b) 및 제 3 상부 챔버(152c)의 상부면 두께(D2)보다 더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열부(152e)에 의해 상기 제 1 상부 챔버(152a)의 두께가 더 두껍게 되면, 상기 냉기 가이드(145)에 의해 공급되는 냉기가 상기 제 1 상부 챔버(152a)측에 집중되는 상태에서도 상기 제 1 상부 챔버(152a)로 전달되는 냉기의 양을 줄일 수 있게 된다. 결국, 상기 단열부(152e)에 의해 상기 제 1 상부 챔버(152a)에서의 결빙 속도를 지연시킬 수 있게 되며, 상기 제 2 상부 챔버(152b)의 결빙이 먼저 일어나거나, 상기 상부 챔버(152)들에서 균일한 속도로 결빙이 일어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 1 상부 챔버(152a)의 상방에는 상기 상부 케이스(120)의 함몰부(122)에서 연장되는 차폐부(12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차폐부(126)는 상기 제 1 상부 챔버(152a)의 상부면을 감사도록 상방으로 돌출되며, 라운드 또는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차폐부(126)의 상단에는 차폐부 개구(126a)가 형성되며, 상기 차폐부 개구(126a)는 상기 유입 개구(154)의 상단과 접하게 된다. 따라서, 상방에서 상기 상부 트레이(150')를 바라볼 때 상기 제 1 상부 챔버(152a)의 유입 개구(154)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상기 차폐부(126)에 의해 가려지게 된다. 즉, 상기 단열부(152e)의 영역이 상기 차폐부(126)에 의해 가려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차폐부 개구(126a)의 둘레에는 상기 제 1 연결 리브(155a)의 상단에 삽입되는 리브 홈(126c)이 형성되어 상기 제 1 상부 챔버(152a)의 상단 및 상기 입구 벽(155)의 위치가 정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서 상기 제 1 상부 챔버(152a)는 한층 더 단열 될 수 있으며, 상기 냉기 가이드(145)에 의해 집중 공급되는 냉기에도 상기 제 1 상부 챔버(152a)에서의 결빙 속도를 지연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2 연결 리브(162)와 대응하는 상기 차폐부(126)에는 절개부(126e)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개부(126e)는 상기 차폐부(125)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 2 연결 리브(162)가 완전히 통과될 수 있도록 개구될 수 있다.
상기 절개부(126e)가 너무 좁게 형성되는 경우 상부 이젝터(300)에 의한 이빙 과정 중 상기 상부 트레이(150')가 변형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 2 연결 리브(162)가 상기 절개부(126e)를 벗어나 걸릴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2 연결 리브(162)는 이빙 후 최초 위치로의 복귀가 불가능하게 되어 제빙시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반대로, 상기 절개부(126e)가 너무 넓게 형성될 경우 냉기의 유입으로 인해 단열 효과가 현저히 떨어질 수 있다.
이에,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절개부(126e)가 하단에서 상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절개부(126e)의 양단(126b)이 경사 또는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절개부(126e)의 하단이 가장 넓고 상기 절개부(126e)의 상단이 가장 좁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절개부(126e)의 상단 사이는 상기 제 2 연결 리브(162)의 두께와 대응하거나 다소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 이젝터(300)에 의한 이빙 중 상기 상부 트레이(150')가 변형된 후 복원될 때 상기 제 2 연결 리브(162)가 상기 절개부(126e)의 내측으로 용이하게 진입될 수 있으며, 상기 절개부(126e)의 양단을 따라 이동되어 정확한 위치에서 복원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절개부(126e)의 하단의 개구가 커지게 될 경우 상기 절개부(126e)의 하단을 통해 냉기가 유입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제 1 상부 챔버(152a)의 둘레에는 제 4 연결 리브(155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4 연결 리브(155b)는 상기 제 1 연결 리브(155a)와 같이 상기 입구 벽(155)의 외측면과 상기 제 1 상부 챔버(152a)의 상부면을 연결하도록 형성되며, 외측단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4 연결 리브(155b)는 상기 제 1 연결 리브(155a) 보다는 낮게 형성되어 상기 차폐부(126)의 상단과 간섭되지 않고, 상기 차폐부의 하면과 접할 수 있다.
상기 제 4 연결 리브(155b)는 상기 제 2 연결 리브(162)를 기준으로 좌우 양측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4 연결 리브(155b)는 상기 절개부(126e)의 양단과 대응하는 위치 또는 상기 절개부(126e)의 양단보다 다소 외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4 연결 리브(155b)는 상기 차폐부(126)의 내측면과 밀착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절개부(126e)를 통해 냉기가 유입되지 못하도록 상기 차폐부(126)와 상기 제 1 상부 챔버(152a)의 상부면 사이 공간을 차폐하게 된다.
상기 차폐부(126)와 상기 제 1 상부 챔버(152a)의 상부면 사이에는 다소 이격될 수 있으며, 공기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층은 상기 제 4 연결 리브(155b)에 의해 냉기의 유입이 차단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제 1 상부 챔버(152a)의 상부면을 한층 더 단열하여 상기 제 1 상부 챔버(152a) 내부의 얼음이 결빙되는 속도를 보다 지연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하부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0은 상기 하부 어셈블리의 분해된 모습을 상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1은 상기 하부 어셈블리의 분해된 모습을 하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9 내지 도 3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는, 하부 트레이(250)와 하부 서포터(270) 및 하부 케이스(2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케이스(210)는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둘레의 일부를 감쌀 수 있고, 상기 하부 서포터(270)는 상기 하부 트레이(250)를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서포터(270)의 양측에 상기 연결 유닛(350)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케이스(210)는,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고정을 위한 하부 플레이트(2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플레이트(211)의 하면에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일부가 접촉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플레이트(211)에는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일부가 관통하기 위한 개구(212)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하부 트레이(250)가 상기 하부 플레이트(211)의 하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 트레이(250)가 상기 하부 플레이트(211)에 고정되면,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일부는 상기 개구(212)를 통해 상기 하부 플레이트(211)의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케이스(210)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211)를 관통한 상기 하부 트레이(250)를 둘러싸는 둘레 벽(2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둘레 벽(214)은 수직부(214a)와 곡선부(2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직부(214a)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211)에서 상방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벽이다. 상기 곡선부(215)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211)에서 상방으로 갈수록 상기 개구(212)에서 멀어지도록 라운드지는 벽이다.
상기 수직부(214a)는 상기 하부 트레이(250)와 결합되기 위한 제 1 결합 슬릿(214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결합 슬릿(214b)은 상기 수직부(214a)의 상단이 하방으로 함몰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곡선부(215)는 상기 하부 트레이(250)와 결합되기 위한 제 2 결합 슬릿(215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결합 슬릿(215a)은 상기 곡선부(215)의 상단이 하방으로 함몰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결합 슬릿(215a)은 상기 하부 트레이(250)에 돌출된 제 2 결합 돌기(261)의 하부를 구속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곡선부(215)의 배면에는 상방으로 돌출되는 돌기 구속부(21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 구속부(213)는 상기 제 2 결합 슬릿(215a)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제 2 결합 슬릿(215a)이 형성되는 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 2 결합 돌기(261)의 상부를 구속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결합 슬릿(215a)과 상기 돌기 구속부(213)에 의해서 상기 제 2 결합 돌기(261)의 상단과 하단이 모두 구속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 트레이(250)는 상기 하부 케이스(210)에 한 층 더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 2 결합 돌기(261)와 상기 제 2 결합 슬릿(215a) 및 돌기 구속부(213)의 구조는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한편, 상기 하부 케이스(210)는, 제 1 체결 보스(216)와 제 2 체결 보스(217)를 더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체결 보스(216)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211)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일 예로 복수의 제 1 체결 보스(216)가 상기 하부 플레이트(211)에서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 2 체결 보스(217)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211)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일 예로 복수의 제 2 체결 보스(217)가 상기 하부 플레이트(211)에서 돌출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 1 체결 보스(216)의 길이와 제 2 체결 보스(217)의 길이는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 1 체결 보스(216)의 길이 보다 상기 제 2 체결 보스(217)의 길이가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 1 체결 부재는 상기 제 1 체결 보스(216)의 상측에서 상기 제 1 체결 보스(216)에 체결될 수 있다. 반면, 제 2 체결 부재는 상기 제 2 체결 보스(217)의 하측에서 상기 제 2 체결 보스(217)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 체결 부재가 상기 제 1 체결 보스(216)에 체결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 1 체결 부재가 상기 곡선부(215)과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곡선부(215)에는 체결 부재의 이동을 위한 홈(215b)이 구비된다.
상기 하부 케이스(210)는, 상기 하부 트레이(250)와의 결합을 위한 슬롯(21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롯(218)에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슬롯(218)은 상기 수직부(214a)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케이스(210)는,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일부가 삽입되기 위한 수용홈(218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홈(218a)은 상기 하부 플레이트(211)의 일부가 상기 곡선부(215)을 향하여 함몰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케이스(210)는 상기 하부 트레이(250)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 플레이트(212)의 측면 둘레 일부와 접촉하는 연장벽(21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 트레이(250)는, 외력에 의해서 변형된 후 원래의 형태로 복귀될 수 있는 플렉서블 재질 또는 연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하부 트레이(250)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와 같이 상기 하부 트레이(250)가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면, 이빙 과정에서 외력이 상기 하부 트레이(250)에 가해져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형태가 변형되더라도 상기 하부 트레이(250)는 다시 원래의 형태로 복귀할 수 있다. 따라서, 반복적인 얼음 생성에도 불구하도 구 형태의 얼음 생성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하부 트레이(250)가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면, 후술할 하부 히터에서 제공되는 열에 의해서 상기 하부 트레이(250)가 녹거나 열 변형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 트레이(250)는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동일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 트레이(150)보다는 다소 무른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빙을 위해 상기 하부 트레이(250)와 상부 트레이(150)가 서로 맞닿게 될 경우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경도가 더 낮아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상단이 변형되면서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하부 트레이(250)는 가압 밀착되어 서로 기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트레이(250)는 상기 하부 이젝터(400)와의 직접적인 접촉에 의해서 반복적으로 변형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변형이 용이하도록 경도가 낮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경도가 너무 낮을 경우 하부 챔버(252) 외 다른 부분까지 변형될 수도 있으므로, 상기 하부 트레이(250)는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적정한 경도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하부 트레이(250)는, 상기 얼음 챔버(111)의 일부인 하부 챔버(252)를 형성하는 하부 트레이 바디(25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251)는, 복수의 하부 챔버(252)를 정의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복수의 하부 챔버(252)는, 제 1 하부 챔버(252a), 제 2 하부 챔버(252b) 및 제 3 하부 챔버(252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251)는 독립적인 3개의 하부 챔버(252a, 252b, 252c)를 형성하는 3개의 챔버 벽(252d)을 포함할 수 있으며, 3개의 챔버 벽(252d)이 한몸으로 형성되어 하부 트레이 바디(251)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하부 챔버(252a), 제 2 하부 챔버(252b) 및 제 3 하부 챔버(152c)는 일렬로 연속 배열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챔버(252)는 반구 형태 또는 반구와 유사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구 형태의 얼음 중 하부는 상기 하부 챔버(252)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반구와 유사한 형태는, 완전한 반구는 아니나 반구에 거의 가까운 형태를 의미한다.
상기 하부 트레이(250)는,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251)의 상단 테두리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부 트레이 안착면(25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트레이 안착면(253)은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251)의 상단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의 결합시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상면(153c)와 밀착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트레이(250)는 상기 하부 트레이 안착면(253)의 외측 단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둘레 벽(2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둘레 벽(260)은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하부 트레이(250)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251)의 상면에 안착된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를 둘러쌀 수 있다.
상기 둘레 벽(260)은,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의 수직벽(153a)을 둘러싸는 제 1 벽(260a)과,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의 곡선벽(153b)을 둘러싸는 제 2 벽(260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벽(260a)은 상기 하부 트레이 안착면(253)의 상면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는 수직벽이다. 상기 제 2 벽(260b)은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곡선벽이다. 즉, 상기 제 2 벽(260b)은 상기 하부 트레이 안착면(253)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하부 챔버(252)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라운드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벽(206b)은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의 곡선벽(153b)과 대응하는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와 설정된 간격을 유지하고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트레이(250)는 상기 둘레 벽(260)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트레이 수평 연장부(25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 수평 연장부(254)는 상기 하부 트레이 안착면(253)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부 트레이 안착면(253)와 상기 트레이 수평 연장부(254)는 단차를 형성한다.
상기 트레이 수평 연장부(254)는, 상기 하부 케이스(210)의 슬롯(218)에 삽입되기 위한 제 1 상부 돌기(25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상부 돌기(255)는 상기 둘레 벽(260)과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 1 상부 돌기(255)는 상기 제 1 벽(260a)과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트레이 수평 연장부(254)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복수의 제 1 상부 돌기(255)는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상부 돌기(255)는 일 예로 곡선 형태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 수평 연장부(254)는, 후술할 하부 서포터(270)의 돌기 홈에 삽입되기 위한 제 1 하부 돌기(25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하부 돌기(257)는 상기 트레이 수평 연장부(254)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복수의 제 1 하부 돌기(257)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상부 돌기(255)와 상기 제 1 하부 돌기(257)는 상기 트레이 수평 연장부(254)의 상하를 기준으로 반대편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상부 돌기(255)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2 하부 돌기(257)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트레이 수평 연장부(254)에는 복수의 관통홀(256)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관통홀(256)은, 상기 하부 케이스(210)의 제 1 체결 보스(216)가 관통하는 제 1 관통홀(256a)과, 상기 하부 케이스(210)의 제 2 체결 보스(217)가 관통하기 위한 제 2 관통홀(256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 1 관통홀(256a)과 상기 복수의 제 2 관통홀(256b)은 상기 하부 챔버(252)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편에 위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 2 관통홀(256b) 중 일부는 인접하는 두 개의 제 1 상부 돌기(255)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 2 관통홀(256b) 중 일부는 두 개의 제 1 하부 돌기(257)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 수평 연장부(254)는 제 2 상부 돌기(25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상부 돌기(258)는 상기 하부 챔버(252)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상부 돌기(255)의 반대편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상부 돌기(258)는 상기 둘레 벽(260)과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 2 상부 돌기(258)는 상기 제 2 벽(260b)과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트레이 수평 연장부(254)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 2 상부 돌기(258)는 상기 하부 케이스(210)의 수용홈(218a)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 2 상부 돌기(258)가 상기 수용홈(218a)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상부 돌기(258)는 상기 하부 케이스(210)의 곡선부(215)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둘레 벽(260)은 상기 하부 케이스(210)와의 결합을 위한 제 1 결합 돌기(2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결합 돌기(262)는, 상기 둘레 벽(260)의 제 1 벽(260a)에서 수평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 1 결합 돌기(262)는 상기 제 1 벽(260a)의 측면 상측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결합 돌기(262)는, 직경이 다른 부분에 비하여 줄어드는 목부(262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부(262a)가 상기 하부 케이스(210)의 둘레 벽(214)에 형성되는 제 1 결합 슬릿(214b)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둘레 벽(260)은 제 2 결합 돌기(26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결합 돌기(261)는 상기 하부 케이스(210)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2 결합 돌기(261)는, 상기 둘레 벽(260)의 제 2 벽(260b)에서 돌출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결합 돌기(262)와 마주보는 방향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결합 돌기(262)와 제 2 결합 돌기(261)는 각각의 상기 하부 챔버(252)의 중앙을 기준으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부 트레이(250)는 상기 하부 케이스(21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하부 챔버(252)의 이탈과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 수평 연장부(254)는 제 2 하부 돌기(26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하부 돌기(266)는 상기 하부 챔버(252)를 기준으로 상기 제 2 하부 돌기(257)의 반대편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하부 돌기(266)는 상기 트레이 수평 연장부(254)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 2 하부 돌기(266)는 일 예로 직선 형태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 1 관통홀(256a) 중 일부는 상기 제 2 하부 돌기(266)와 하부 챔버(252)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하부 돌기(266)는 후술할 하부 서포터(270)에 형성되는 가이드 홈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 수평 연장부(254)는 측면 제한부(26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면 제한부(264)는, 상기 하부 트레이(250)가 상기 하부 케이스(210)와 하부 서포터(270)와 결합된 상태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한다.
상기 측면 제한부(264)는 상기 트레이 수평 연장부(254)에서 측면으로 돌출되며, 상기 측면 제한부(264)의 상하 길이는 상기 트레이 수평 연장부(254)의 두께 보다 크게 형성된다. 일 예로 상기 측면 제한부(264)의 일부는 상기 트레이 수평 연장부(254)의 상면 보다 높게 위치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트레이 수평 연장부(254)의 하면 보다 낮게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측면 제한부(264)의 일부는 상기 하부 케이스(210)의 측면에 접촉하고, 다른 일부는 상기 하부 서포터(270)의 측면에 접촉할 수 있다.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251)는 하측 일부가 상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볼록부(251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볼록부(251b)는 상기 얼음 챔버(111)의 내측을 향하여 볼록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 서포터(270)는 상기 하부 트레이(250)를 지지하는 서포터 바디(27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포터 바디(271)는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3개의 챔버 벽(252d)을 수용하기 위한 3개의 챔버 수용부(27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챔버 수용부(272)는 반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서포터 바디(271)는 이빙 과정에서 상기 하부 이젝터(400)가 관통하기 위한 하부 개구(274)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서포터 바디(271)에 3개의 챔버 수용부(272)에 대응하도록 3개의 하부 개구(27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부 개구(274)의 둘레를 따라서 강보 보강을 위한 보강 리브(27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서포터 바디(271)의 상단에는 상기 하부 트레이 안착면(253)을 지지하는 하부 서포터 단차부(271a)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서포터 단차부(271a)는 상기 하부 서포터 상면(286)에서 하방으로 단차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서포터 단차부(271a)는 상기 하부 트레이 안착면(253)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챔버 수용부(272)의 상단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서포터 바디(271)의 하부 서포터 단차부(271a)에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하부 트레이 안착면(253)이 안착될 수 있고, 상기 하부 서포터 상면(286)은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하부 트레이 안착면(253)의 측면을 둘러쌀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부 서포터 상면(286)과 상기 하부 서포터 단차부(271a) 사이의 연결면은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하부 트레이 안착면(253)의 측면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서포터(270)는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제 1 하부 돌기(257)가 수용되기 위한 돌기 홈(28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기 홈(287)은 곡선 형태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돌기 홈(287)은, 일 예로 상기 하부 서포터 상면(286)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서포터(270)는 상기 상부 케이스(210)의 제 1 체결 보스(216)를 관통한 제 1 체결 부재(B1)가 체결되는 제 1 체결홈(286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체결홈(286a)은 일 예로 상기 하부 서포터 상면(286)에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제 1 체결홈(286a) 중 일부는 상기 제 1 체결홈(286a)은 인접하는 두 개의 돌기 홈(287)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서포터(270)는,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251)의 외측과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251)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외벽(2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벽(280)은 일 예로 상기 하부 서포터 상면(286)의 테두리를 따라서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서포터(270)는 상기 상부 케이스(210)의 각 힌지 서포터(135, 136)와 연결되기 위한 복수의 힌지 바디(281, 28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힌지 바디(281, 282)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힌지 바디(281, 282)는 장착 위치에만 차이가 있을 뿐 그 구조와 형상이 동일하므로 일측의 힌지 바디(282)만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각 힌지 바디(281, 282)는 제 2 힌지 홀(282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힌지 홀(282a)에는 상기 로테이팅 암(351,352)의 샤프트 연결부(352b)가 관통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 연결부(352b)에 상기 연결 샤프트(370)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힌지 바디(281, 282)에는 상기 힌지 바디(281, 282)의 둘레를 따라 돌출된 한쌍의 힌지 리브(282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힌지 리브(282b)에 의해 상기 힌지 바디(281, 282)의 강도가 보강될 수 있으며, 상기 힌지 바디(281, 282)의 파손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하부 서포터(270)는 상기 링크(356)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결합 샤프트(28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 샤프트(383)는 상기 외벽(280)의 양면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서포터(270)는 상기 탄성 부재(360)가 결합되기 위한 탄성 부재 결합부(28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 결합부(284)는 상기 탄성 부재(360)의 일부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284a)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360)가 상기 탄성 부재 결합부(284)에 수용됨에 따라서 상기 탄성 부재(360)가 주변 구조물과 간섭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 부재 결합부(284)는 상기 탄성 부재(370)의 하단이 걸리기 위한 걸림부(284a)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 부재 결합부(284)는 상기 탄성 부재(360)를 커버하여 상기 이물의 침투나 상기 탄성 부재(360)의 탈락을 방지하는 탄성 부재 차폐부(284c)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탄성 부재 결합부(284)와 상기 힌지 바디(281, 282)의 사이에는 상기 링크(356)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링크 축(288)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링크 축(288)은 상기 힌지 바디(281, 282)의 회전 중심보다 전방 및 하방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배치를 통해 상기 상부 이젝터(300)의 상하 스트로크를 확보하고, 다른 구성과 상기 링크(356)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하부 트레이(250)와 상기 하부 케이스(210)의 결합 구조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3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하부 케이스의 돌기 구속부를 보인 부분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하부 트레이의 결합 돌기를 보인 부분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4는 상기 하부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35는 도 27의 35-35' 단면도이다.
도 32 내지 도 3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돌기 구속부(213)는 상기 상부 케이스(120)의 곡선벽(215)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돌기 구속부(213)는 상기 제 2 결합 슬릿(215a) 및 상기 제 2 결합 돌기(261)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돌기 구속부(213)는 한쌍의 사이드부(213b)와 상기 사이드부(213b)의 상단을 연결하는 연결부(213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쌍의 사이드부(213b)는 상기 제 2 결합 슬릿(215a)을 기준으로 양측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결합 슬릿(215a)은 상기 한쌍의 사이드부(213b)와 상기 연결부(213c)에 의해 형성되는 삽입 공간(213a)의 내측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결합 돌기(261)는 상기 삽입 공간(213a)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결합 돌기(261)의 하부는 상기 제 2 결합 슬릿(215a)에 압입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한쌍의 사이드부(213b)는 상기 제 2 결합 돌기(261)의 상단과 대응하는 높이까지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213c)의 내측에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구속 리브(213d)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속 리브(213d)는 상기 제 2 결합 돌기(261) 상단에 형성되는 돌기 홈(261d)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결합 돌기(261)가 빠지기 않도록 구속하게 된다. 이처럼 상기 제 2 결합 돌기(261)는 상부와 하부가 모두 고정된 상태가 되며, 상기 하부 트레이(250)는 상기 하부 케이스(210)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상기 제 2 결합 돌기(261)는 상기 제 2 벽(260b)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방으로 갈수록 더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결합 돌기(261)의 자중에 의해서 상기 제 2 벽(260b)은 내측으로 말려 들어거나 변형되지 않고 상기 제 2 벽(260b)의 상단이 외측을 향하도록 당겨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결합 돌기(261)는 상기 하부 트레이(250)가 역 방향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제 2 벽(260b)의 단부가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접촉하여 변형되는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만약,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제 2 벽(260b)의 단부가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접촉하여 변형되면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상부 챔버(152) 내로 인입된 상태로 상기 하부 트레이(250)가 급수 위치로 이동하게 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급수가 수행된 이후에 제빙이 완료되면 얼음이 구 형태로 생성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결합 돌기(261)가 상기 제 2 벽(260a)에서 돌출되면 상기 제 2 벽(260a)의 변형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결합 돌기(261)를 변형 방지 돌기라 부를 수도 있다.
상기 제 2 결합 돌기(261)는 상기 제 2 벽(260a)에서 수평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 2 결합 돌기는 상기 제 2 벽(260b)의 외측면 하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결합 돌기(261)의 상단부는 상기 제 2 벽(260a)의 상단부와 동일한 높이까지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결합 돌기(261)는 하부의 형상을 형성하는 돌기 하부(261a)와 상기 상부의 형상을 형성하는 돌기 상부(261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기 하부(261a)는 상기 제 2 결합 슬릿(215a)에 삽입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 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결합 돌기(261)가 상기 돌기 구속부(213)의 삽입 공간에 삽입되면 상기 돌기 하부(261a)는 상기 제 2 결합 슬릿(215a)에 압입될 수 있다.
상기 돌기 상부(261b)는 상기 돌기 하부(261a)의 상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돌기 상부(261b)는 상기 제 2 결합 슬릿(215a)의 상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연결부(213c)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돌기 상부(261b)는 돌기 하부(261a)보다 더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그 폭 또한 더 넓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돌기 상부(261b)의 자중에 의해서 상기 제 2 벽(260b)은 더 외측으로 향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돌기 상부(261b)가 상기 제 2 벽(260b)의 상단을 외측으로 당겨 상기 제 2 벽(260b)의 외측면과 상기 곡선벽(153b)이 서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돌기 상부(261b)의 상면 즉, 상기 제 2 결합 돌기(261)의 상면에는 돌기 홈(261d)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 홈(261d)은 상기 연결부(213c)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구속 리브(213d)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결합 돌기(261)는 상기 삽입 공간(213a)의 내측에 수용된 상태에서 하단이 상기 제 2 결합 슬릿(215a)에 압입되고, 상단은 상기 연결부(213c) 및 상기 구속 리브(213d)에 의해 구속될 수 있으므로,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회전 과정 중에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하부 케이스(210)에 완전히 밀착 고정된 상태로 고정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회전 과정에서 상기 제 2 결합 돌기(261)가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간섭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제 2 결합 돌기(261)의 상단에는 라운드면(260e)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결합 돌기(261)의 하측 부분(260d)이 상기 제 2 결합 슬릿(215a)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 2 결합 돌기(261)의 하측 부분(260d)은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트레이 수평 연장부(254)와 이격될 수 있다.
한편, 도 3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하부 서포터(270)는, 상기 상부 케이스(210)의 제 2 체결 보스(217)가 관통하기 위한 보스 관통홀(286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스 관통홀(286b)은 일 예로 상기 하부 서포터 상면(286)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서포터 상면(286)에는 상기 보스 관통홀(286b)을 관통한 제 2 체결 보스(217)를 둘러싸는 슬리브(286c)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슬리브(286c)는 하부가 개구된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체결 부재(B1)는 상기 하부 케이스(210)의 상방에서 상기 제 1 체결 보스(216)를 관통한 후에 상기 제 1 체결홈(286a)에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체결 부재(B2)는 상기 하부 서포터(270)의 하방에서 상기 제 2 체결 보스(217)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슬리브(286c)의 하단은 상기 제 2 체결 보스(217)의 하단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거나 상기 제 2 체결 보스(217)의 하단 보다 낮게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체결 부재(B2)의 체결 과정에서 상기 제 2 체결 부재(B2)의 헤드부는 상기 제 2 체결 보스(217) 및 상기 슬리브(286c)의 하면과 접촉하거나 상기 슬리브(286c)의 하면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 2 체결 부재(B2)와 제 3 체결 부재(B2)의 체결에 의해서 상기 하부 케이스(210)와 하부 서포터(270)는 서로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트레이(250)는 상기 하부 케이스(210)와 상기 하부 서포터(270)의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 트레이(250)는 회전에 의해 상부 트레이(150)와 접하게 되며,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하부 트레이의 사이는 제빙시 항상 기밀 상태가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회전에 따른 기밀 구조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6은 상기 하부 트레이의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3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하부 트레이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8은 상기 하부 트레이의 회전 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39는 제빙 직전 또는 제빙 초기의 상기 상부 트레이와 하부 트레이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40은 제빙 완료시의 상기 상부 트레이와 하부 트레이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6 내지 도 40을 참조하면, 상기 하부 트레이(250)에는 상방으로 개구된 상기 하부 챔버(25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챔버(252)는 일렬로 연속 배치되는 상기 제 1 하부 챔버(252a)와 제 2 하부 챔버(252b) 및 제 3 하부 챔버(252c)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챔버(252)의 둘레를 따라서 둘레 벽(260)이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 챔버(252)의 상단 둘레에는 하부 트레이 안착부(25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트레이 안착부(253)는 상기 하부 트레이(250)가 회전되어 닫히게 될 때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하면(153c)과 접하는 면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하부 트레이 안착부(253)는 평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 챔버(252)들의 상단을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둘레 벽(260)은 상기 하부 트레이 안착부(253)의 외측단을 따라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트레이 안착부(253)에는 하부 리브(253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리브(253a)는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하부 트레이(250)의 사이를 기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하부 챔버(252)의 둘레를 따라서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하부 리브(253a)는 상기 하부 챔버(252)들의 각각의 둘레를 따라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리브(253a)는 상기 상부 리브(153d)와 상하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리브(253a)는 상기 상부 리브(153d)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하부 리브(253a)는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회전축과 가까운 상기 하부 챔버(252)의 일측단에서 소정의 간격만큼 떨어진 위치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회전축과 멀어질수록 그 높이가 높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리브(253a)는 상기 하부 트레이(250)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내측면과 접하여 밀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하부 리브(253a)는 상기 하부 챔버(252)의 상단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하부 챔버(252)의 내측면과 동일면을 형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하부 트레이(250)가 닫힌 상태에서는 도 39에서와 같이 상기 하부 리브(253a)의 외측면은 상기 상부 리브(153d)의 내측면과 서로 접하게 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하부 트레이(250) 사이를 완전히 기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 유닛(180)의 구동으로 상기 제 1 로테이팅 암(351)과 제 2 로테이팅 암(352)은 더 회전될 수 있으며, 상기 탄성부재(360)가 인장되면서 상기 하부 트레이(250)를 상기 상부 트레이측(150)으로 가압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탄성 부재(360)의 가압에 의해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하부 트레이(250)가 더 닫히게 되면, 상기 상부 리브(153d)와 하부 리브(253a)는 내측 방향으로 벤딩되면서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하부 트레이(250)가 한층 더 기밀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빙 전 상기 하부 트레이(250)에 물이 채워지고, 도 39와 같이 상기 하부 트레이(250)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상부 리브(153d)와 하부 리브(253a)가 겹쳐지게 되어 기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부 리브(253a)의 상단은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상부 챔버(152) 하단의 내측면과 접하게 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얼음 챔버(111)의 내측은 결합부위의 단차를 최소화하여 얼음을 만들 수 있다.
다수의 상기 얼음 챔버(111)에 물이 모두 채워지기 위해서는 상기 하부 트레이(250)가 다소 열려진 상태에서 급수가 이루어지게 되며, 급수가 완료되면 도 39에서와 같이 상기 하부 트레이(250)가 회전하여 닫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얼음 챔버(111)의 수위 만큼 상기 둘레 벽(260)과 챔버 벽(153)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G1, G2)에 물이 유입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둘레 벽(260)과 챔버 벽(153) 사이 공간(G1, G2)의 물은 제빙 운전중에 결빙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상부 리브(153d)와 하부 리브(253a)에 의해 상기 얼음 챔버(111)와 상기 공간(G1, G2)은 완전히 분리될 수 있으며, 얼음이 제빙 완료된 상태에서도 상기 상부 리브(153d)와 하부 리브(253a)에 의해 상기 분리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얼음 챔버(111)에서 만들어진 얼음은 얼음 띠가 형성되지 않고 상기 공간(G1, G2) 내부의 얼음 부스러기들과 완전히 분리된 상태로 이빙될 수 있다.
상기 얼음 챔버(111) 내부에서 얼음의 제빙이 완료된 상태를 도 40을 통해 살펴보면, 물의 상변화에 의한 팽창으로 상기 하부 트레이(250)는 일정한 각도만큼 개방될 수 밖에 없다. 하지만, 상기 상부 리브(153d)와 하부 리브(253a)는 서로 접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상기 얼음 챔버(111) 내부의 얼음은 상기 공간 내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즉, 제빙 과정 중에 서서히 상기 하부 트레이(250)가 열리게 되더라도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하부 트레이(250)의 사이는 상기 상부 리브(153d)와 하부 리브(253a)에 의해 차폐된 상태를 유지하여 구형의 얼음을 만들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0과 같이 제빙이 완료되어 상기 하부 트레이(250)가 최대 각도로 벌어지게 되면,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하부 트레이(250)의 사이 거리는 대략 0.5mm ~ 1mm 정도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부 리브(253a)의 길이는 대략 0.3mm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물론, 상기 하부 리브(253a)의 높이는 하나의 예일 뿐 상기 상부 리브(153d)와 하부 리브(253a)의 길이는 상기 하부 트레이(250)와 하부 트레이(250) 사이의 거리에 따라서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트레이 안착부(253)의 면적이 충분히 넓은 경우 상기 하부 트레이 안착부(253)에는 한쌍의 하부 리브(253a, 253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한쌍의 하부 리브(253a, 253b)는 상기 하부 리브(253a)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지만, 상기 하부 챔버(252)와 가까이 배치되는 내부 리브(253b)와 상기 내부 리브(253b) 외측의 외부 리브(253a)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내부 리브(253b)와 외부 리브(253a)는 서로 이격되어 사이에 홈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 트레이(250)가 회전되어 닫히게 되면, 상기 내부 리브(253b)와 외부 리브(253a)의 사이의 홈에 상기 상부 리브(153d)가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은 2중의 리브 구조로 인해 상기 상부 리브(153d)와 하부 리브(253a, 253b)는 한층 더 기밀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만, 상기 하부 트레이 안착부(253)에 내부 리브(253b)와 외부 리브(253a)가 형성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제공되는 경우에 이와 같은 구조를 적용 가능할 것이다.
한편, 상기 하부 트레이(250)는 상기 회전 바디(281, 282)를 축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 챔버(252)에 얼음이 배치되는 경우에도 얼음의 이빙이 가능하도록 대략 140˚각도 만큼 회전될 수 있다. 도 3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하부 트레이(250)는 회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회전 시에도 상기 둘레 벽(260)과 챔버 벽(153)은 서로 간섭되지 않아야 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복수의 상기 하부 챔버(252)들에 급수를 위해서 상기 하부 트레이(250)가 다소 개방된 상태로 급수가 이루어질 수 밖에 없으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급수하더라도 물이 새지 않도록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둘레 벽(260)은 상기 얼음 챔버(111) 내의 급수 수위보다 더 높게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트레이(250)는 회전에 의해 상기 얼음 챔버(111)를 개폐하게 되므로 상기 둘레 벽(260)과 챔버 벽(153)의 사이에는 공간(G1, G2)이 생길 수 밖에 없다. 상기 둘레 벽(260)과 상기 챔버 벽(153) 사이의 공간(G1, G2)이 너무 좁게 되면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회전 과정 중에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간섭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상기 둘레 벽(260)과 상기 챔버 벽(153) 사이의 공간(G1, G2)이 너무 넓게 되면, 상기 하부 챔버(252)에 급수시 상기 공간(G1, G2)으로 유입되어 손실되는 물이 과도하게 발생되며, 이로 인해 얼음 부스러기가 과도하게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 둘레 벽(260)과 상기 챔버 벽(153)의 사이 공간(G1, G2)의 간격은 대략 0.5mm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둘레 벽(260)과 챔버 벽(153) 중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곡선벽(153b)과 하부 트레이(250)의 곡선벽(260b)은 동일한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38에서와 같이 상기 하부 트레이(250)가 회전되는 전 영역에서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곡선벽(153b)과 하부 트레이(250)의 곡션벽(260b)은 서로 간섭되지 않게 된다.
이때,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곡선벽(153b)의 반경(R2)은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곡선벽(260b)의 반경(R1)보다 미세하게 크게 되며, 따라서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하부 트레이(250)는 회전시에 서로 간섭되지 않으면서 급수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회전 축이 되는 상기 회전 바디(281, 282)의 회전 중심(C)은 상기 상부 하부 서포터(270)의 상면(286) 또는 상기 하부 트레이 안착부(253)보다 다소 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하면(153c)과 하부 트레이 안착부(253)는 상기 하부 트레이(250)가 회전되어 닫히게 되면 서로 접촉된다.
상기 하부 트레이(250)는 닫히게 되는 과정에서 상기 상부 트레이(150)에 가압 밀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부 트레이(250)가 회전하면서 닫히게 될 때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회전축과 가까운 위치에서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하부 트레이(250)의 일부가 서로 맞물릴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는 상기 하부 트레이(250)가 완전히 닫히도록 회전하게 되더라도 먼저 맞물린 부분의 간섭으로 인해서 회전축으로터 먼 지점의 상부 트레이(150)와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단부 사이가 벌어질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회전축이 되는 상기 힌지 바디(281, 282)의 회전 중심(C1)을 하방으로 다소 하방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일례로 상기 힌지 바디(281,282)의 회전 중심(C1)은 상기 하부 서포터(270)의 상면보다 0.3mm 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부 트레이(250)가 닫히게 될 때, 회전축과 가까운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하부 트레이(250)의 단부가 먼저 맞물리지 않고 상기 하부 트레이 안착부(253)와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하면(153c) 전체가 밀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하부 트레이(250)는 탄성을 가지는 소재이므로 조립시 공차가 발생되거나, 사용중 결합 상태가 느슨해지거나 미세 변형이 발생될 수 있으나,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하여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하부 트레이(250)의 단부가 먼저 맞물리게 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회전축은 실질적으로 상기 하부 서포터(270)의 회전축과 동일하며, 상기 힌지 바디(281, 282) 또한 상기 하부 서포터(270)에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상부 이젝터(300) 및 상기 상부 이젝터(300)와 연결된 연결 유닛(350)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4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상부 어셈블리와 하부 어셈블리가 닫힌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연결 유닛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3는 상기 연결 유닛의 배치를 보인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44는 도 41의 44-44' 단면도이다.
도 41 내지 도 4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와 상부 어셈블리(110)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상부 이젝터(300)는 최상방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 유닛(350)은 정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연결 유닛(350)은 상기 구동 유닛(180)에 의해 회전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 유닛(350)은 상기 상부 서포터(170)에 장착된 상부 이젝터(300) 및 상기 하부 서포터(270)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열리는 회전 동작시 상기 연결 유닛(350)에 의해 상기 상부 이젝터(300)는 하방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 챔버(152) 내부의 얼음을 이빙할 수 있다.
상기 연결 유닛(350)은 상기 구동 유닛(180)의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하부 서포터(270)를 회전시키기 위한 로테이팅 암(352)과, 상기 하부 서포터(270)와 연결되어 상기 하부 서포터(270)의 회전 시 상기 하부 서포터(270)의 회전력을 상기 상부 이젝터(300)로 전달하는 링크(356)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하부 서포터(270)의 양측에는 한쌍의 로테이팅 암(351,35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한쌍의 로테이팅 암(351,352) 중 제 2 로테이팅 암(352)은 상기 구동 유닛(180)과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로테이팅 암(352)과 반대편에는 제 1 로테이팅 암(351)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로테이팅 암(351)과 제 2 로테이팅 암(352)은 각각 양측의 상기 힌지 바디(281, 282)를 관통하는 연결 샤프트(370)의 양단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 유닛(180)의 동작시 상기 제 1 로테이팅 암(351)과 제 2 로테이팅 암(352)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 1 로테이팅 암(351)과 제 2 로테이팅 암(352)의 내측에는 샤프트 연결부(352b)가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 연결부(352b)는 양측의 상기 힌지 바디(282)의 제 2 힌지 홀(282a)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2 힌지 홀(282a)과 상기 샤프트 연결부(352b)은 동력의 전달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 2 힌지 홀(282a)과 상기 샤프트 연결부(352b)는 서로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되, 상기 회전 방향으로 소정의 유격(도 44)을 가질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닫히는 회전동작시 상기 하부 트레이(250)가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 유닛(180)이 설정각도만큼 더 회전되어 상기 로테이팅 암(351, 352)을 더 회전시킬 수 있으며, 이때 발생되는 상기 탄성부재(360)의 탄성력으로 상기 하부 트레이(250)를 상기 상부 트레이(150) 쪽으로 더 가압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2 로테이팅 암(352)의 외측면에는 상기 구동 유닛(180)의 회전축과 결합되는 동력 연결부(352ac)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동력 연결부(352a)는 다각형 형상의 홀로 형성될 수 있으며,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구동 유닛(180)의 회전축이 삽입되어 동력 전달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 1 로테이팅 암(351)과 제 2 로테이팅 암(352)은 탄성 부재 결합부(284)의 상방까지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로테이팅 암(351)과 제 2 로테이팅 암(352)의 연장된 단부에는 탄성 부재 연결부(351c, 352c)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 연결부(351c, 352c)에는 상기 탄성 부재(360)의 일단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360)는 일 예로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360)는 상기 탄성 부재 결합부(284)의 내측에 위치되며, 상기 탄성 부재(360)의 타단은 상기 하부 서포터(270)의 걸림부(284a)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360)는,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상기 하부 트레이(250)와 가압 상태로 접촉 유지되도록 상기 하부 서포터(270)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탄성 부재(360)는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와 보다 밀착될 수 있는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닫히기 위해 회전하게 되면, 상기 제 1 로테이팅 암(351)과 제 2 로테이팅 암(352) 또한 함께 회전되어 도 41에서와 같이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닫힐 때까지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설정 각도까지 회전되어 서로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 유닛(18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 1 로테이팅 암(351)과 제 2 로테이팅 암(352)은 더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 1 로테이팅 암(351)과 제 2 로테이팅 암(352)의 회전으로 상기 탄성부재(360)는 인장될 수 있으며, 상기 탄성부재(360)가 제공하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는 닫히는 방향으로 더 회전될 수 있게 된다.
만약, 상기 탄성 부재(360)가 구비되지 않고 상기 구동 유닛(180)에 의해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를 더 회전시켜 상기 하부 어셈블리를 상부 어셈블리(110)에 가압 밀착시키게 된다면, 상기 구동 유닛(180)에 과도한 부하가 집중될 수 있으며, 물이 상변화 되면서 팽창되어 상기 하부 트레이(250)가 열리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에느 상기 구동 유닛(180)의 기어에 역방향의 힘이 가해지게 되어 상기 구동 유닛(180)이 손상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구동 유닛(180)의 전원이 오프되는 경우 상기 기어들의 유격에 의해 상기 하부 트레이(250)가 처지게 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상기 탄성 부재(360)에서 제공되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를 당겨서 밀착시키는 경우 이러한 문제는 모두 해결될 수 있다.
즉,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는 상기 구동 유닛(180)에 의한 별도의 동력 제공이 없이도 인장된 상태의 상기 탄성 부재(360)를 통해 탄성력을 제공받을 수 있으며,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 측으로 더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하부 트레이(250)가 상부 트레이(150)에 완전히 가압 밀착되기 전에 상기 구동 유닛(180)에 의해 정지되더라도, 상기 탄성 부재(36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하부 트레이(250)는 더 회전되어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완전히 밀착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양측에 배치되는 탄성 부재(360)에 의해 상기 하부 트레이(250)는 틈새가 생기지 않고 전체적으로 상기 상부 트레이(150)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360)는 지속적으로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에 탄성력을 제공하게 되며, 따라서 상기 얼음 챔버(111)에서 얼음이 만들어지게 되면서 상기 얼음이 팽창하게 될 때에도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과도하게 열리지 않도록 탄성력을 가하게 된다.
한편, 상기 링크(356)는 상기 하부 트레이(250)와 상기 상부 이젝터(300)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링크(356)는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회전 과정 중에 상기 링크(356)가 상기 힌지 바디(281, 282)와 간섭되지 않게 된다.
상기 링크(356)의 하단에는 트레이 연결부(356a)가 형성되며, 상기 트레이 연결부(356a)에는 상기 링크 축(288)이 관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링크(356)의 하단은 상기 하부 서포터(27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 서포터(270)의 회전시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링크 축(288)은 상기 힌지 바디(281, 282)와 상기 탄성 부재 결합부(284)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링크 축(288)은 상기 힌지 바디(281, 282)의 회전 중심보다는 더 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 이젝터(300)의 상하 이동되는 경로와 가까이 위치되어 상기 상부 이젝터(300)를 보다 효과적으로 상하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상부 이젝터(300)가 요구되는 위치까지 하강될 수 있도록 하면서, 동시에 상기 상부 이젝터(300)의 상방 이동시 과도하게 높게 이동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의 상방으로 돌출되는 상기 상부 이젝터(300) 및 유닛 가이드(181, 182)의 높이를 보다 낮게 하여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가 상기 냉동실(4)에 설치될 때 손실되는 상방의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링크 축(288)은 상기 하부 서포터(270)의 외측면에서 수직하게 외측으로 돌출된다. 이때, 상기 링크 축(288)은 상기 트레이 연결부(356a)를 관통하도록 연장되지만, 상기 로테이팅 암(351,352)에 의해 가려질 수 있다. 상기 로테이팅 암(351,352)은 상기 링크 및 상기 링크 축(288)과 매우 인접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로테이팅 암(351,352)에 의해 상기 링크(356)가 상기 링크 축(288)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로테이팅 암(351,352)은 회전되는 경로 어느 위치에서나 상기 링크 축(288)을 차폐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로테이팅 암(351,352)은 상기 링크 축(288)을 가릴 수 있는 크기의 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링크(356)의 상단에는 상기 이젝터 바디(310)의 단부 즉, 상기 분리 방지 돌기(312)가 관통되는 이젝터 연결부(356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젝터 연결부(356b) 또한 상기 이젝터 바디(310)의 단부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부 서포터(270)의 회전시 상기 상부 이젝터(300)는 상하 방향으로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동작에 따른 상기 상부 이젝터(300)와 상기 연결 유닛(350)의 상태를 도면을 참고 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45는 도 41의 45-45'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46은 상기 상부 어셈블리와 하부 어셈블리가 열린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7은 도 46의 47-47' 단면도이다.
도 41 및 4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의 제빙시에는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닫힌 상태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상부 이젝터(300)는 가장 상방에 위치되고, 상기 이젝팅 핀(320)은 상기 얼음 챔버(111)의 바깥 쪽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하부 트레이(250)는 상기 로테이팅 암(351,352) 및 상기 탄성 부재(360)에 의해서 서로 완전히 밀착될 수 있으며, 서로 기밀된 상태가 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얼음 챔버(111) 내부에서는 결빙이 진행될 수 있다. 제빙 운전시 상기 상부 히터(148)와 하부 히터(296)가 주기적으로 동작되면서 상기 얼음 챔버(111)의 상방에서부터 결빙이 진행되도록 하여 투명한 구형의 얼음이 만들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얼음 챔버(111)의 내부에서 결빙이 완료되면 상기 구동 유닛(180)이 동작되어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를 회전시키게 된다.
도 46 및 도 4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의 이빙시에는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열린 상태가 될 수 있다. 상기 구동 유닛(180)의 동작으로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는 완전히 개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열리는 방향으로 개방되면, 상기 링크(356)의 하단은 상기 하부 트레이(250)와 함께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링크(356)의 상단은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링크(356)의 상단은 상기 이젝터 바디(310)와 연결되어 상기 상부 이젝터(300)를 하방으로 이동시키세 되며, 이때 상기 유닛 가이드(181, 182)의 안내에 의해 유동되지 않고 하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완전히 회전되면, 상기 상부 이젝터(300)의 이젝팅 핀(320)은 상기 유입 개구(154)를 통과하여 상기 상부 챔버(152)의 하단 또는 그와 인접한 위치까지 하방으로 이동되어 얼음을 상기 상부 챔버(152)로부터 이빙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링크(356) 또한 최대 각도로 회전된 상태이나 상기 링크(356)는 절곡된 형상을 가지며, 동시에 상기 링크 축(288)이 상기 힌지 바디(281, 282)보다 전방 및 하방에 위치되어 상기 링크(356)와 다른 구성들과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는 부분적으로 처짐이 발생될 수 있다. 상세히, 본 실시 예에서 상기 구동 유닛(180)은 양측의 로테이팅 암(351,352) 중 제 2 로테이팅 암(352)과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 2 로테이팅 암(352)은 상기 연결 샤프트(370)에 의해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 샤프트(370)를 통해 상기 제 1 로테이팅 암(351)까지 회전력이 전달되어 상기 제 1 로테이팅 암(351)과 제 2 로테이팅 암(352)은 동시에 회전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제 1 로테이팅 암(351)은 연결 샤프트(370)와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며, 연결 작업을 위해서는 연결 부위에서 필연적으로 공차가 발생될 수 밖에 없다. 이와 같은 공차로 인하여 상기 연결 샤프트(370)의 회전시 슬립이 발생될 수 있다.
더불어 동력의 전달 방향으로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연장되는 구조를 가지게 되므로 상대적으로 먼쪽에 위치된 상기 제 1 로테이팅 암(351)의 부위는 처짐이 발생될 수도 있으며, 토크의 전달이 100% 이루어지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상기 제 1 로테이팅 암(351)이 상기 제 2 로테이팅 암(352) 보다 덜 회전하게 되면,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하부 트레이(250)는 완전히 밀착되어 기밀되지 못하고, 상기 제 1 로테이팅 암(351)과 가까운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하부 트레이(250)의 사이가 부분적으로 개방되는 영역이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 트레이(250)가 처지거나 기울어지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얼음 챔버(111) 내부의 수면이 기울어지게 되면 균일한 크기와 모양의 구형 얼음이 생성될 수 없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개방된 부분을 통해 누수가 일어나는 경우 보다 심각한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제 1 로테이팅 암(351)과 제 2 로테이팅 암(352)은 연장된 상단의 높이를 다르게 할 수 있다.
도 48 및 도 29 도 50을 참조하면,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바닥면에서 상기 제 1 로테이팅 암(351)의 탄성 부재 연결부(351c) 까지의 높이(h2)는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바닥면에서 상기 제 2 로테이팅 암(352)의 탄성 부재 연결부(352c) 까지의 높이(h3)보다 더 높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닫히기 위해 회전하게 되면, 상기 제 1 로테이팅 암(351)과 제 2 로테이팅 암(352)이 함께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로테이팅 암의 높이가 높으므로, 상기 하부 트레이(250)와 상부 트레이(150)가 접촉이 시작될 때 상기 제 1 로테이팅 암(351)에 연결된 상기 탄성 부재(360)가 더 인장된다.
즉, 상기 하부 트레이(250)가 상기 상부 트레이(150)에 완전히 밀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 1 로테이팅 암(351)의 탄성 부재(360)의 탄성력이 더 크게 되며, 따라서 상기 제 1 로테이팅 암(351)에서의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처짐을 보상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상면 전체가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하면과 밀착되어 기밀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구동 유닛(180)이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로테이팅 암(352)에만 직접 연결되도록 하는 구조에서는 상기 연결 샤프트(370)의 조립에 의한 공차 등으로 상기 제 1 로테이팅 암(351)이 덜 회전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와 같이 상기 제 1 로테이팅 암(351)에서 상기 제 2 로테이팅 암(352)보다 더 큰 힘으로 상기 하부 트레이(250)를 회전시켜 상기 하부 트레이(250)가 처지거나 덜 회전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다른 예로, 상기 제 1 로테이팅 암(351)과 제 2 로테이팅 암(352)이 상기 연결 샤프트(370)의 양단에 상기 연결 샤프트(370)를 축으로 서로 설정 각도만큼 엇갈리게 회전 결합되어, 상기 제 1 로테이팅 암(351)의 상단이 제 2 로테이팅 암(352)의 상단보다 더 높은 위치에 위치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또 다른 예로, 상기 제 1 로테이팅 암(351)은 제 2 로테이팅 암(352)보다 더 길게 연장되어 상기 탄성 부재(360)와 연결되는 지점이 더 높게 형성되도록 상기 제 1 로테이팅 암(351)과 제 2 로테이팅 암(352)의 형상을 다르게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또 다른 예로, 상기 제 1 로테이팅 암(351)에 연결된 탄성 부재(360)의 탄성계수가 상기 제 2 로테이팅 암(352)에 연결된 탄성계수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닫힘 완료된 상태에서는 도 5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하부 케이스(210)의 상단과 상기 상부 서포터(170)의 하단은 소정의 거리(h4) 만큼 서로 이격된 상태가 될 수 있으며, 이격된 사이로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부 케이스(210)와 상부 서포터(170)의 사이는 이격된 공간이 형성되지만,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하부 트레이(250)는 서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하부 트레이(250)가 완전히 밀착되어 기밀된 상태라 하더라도 상기 하부 케이스(210)의 상단과 상기 상부 서포터(170)의 하단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사출물 구조인 상기 하부 케이스(210)의 상단과 상기 상부 서포터(170)의 하단이 서로 맞닿게 되는 경우 충격에 의해 상기 구동 유닛(180)에 무리가 갈 수 있으며, 이로 인한 파손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케이스(210)의 상단과 상기 상부 서포터(170)의 하단이 서로 이격되어 있는 경우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하부 트레이(250)가 서로 압축 변형될 수 있는 여유 공간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조립 공차나 사용상의 변형 등 다양한 상황에서도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하부 트레이(250)의 밀착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상기 하부 케이스(210)의 상단과 상기 상부 서포터(170)의 하단이 서로 이격 되어야만 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둘레 벽(260)은 상기 상부 케이스(120)의 상단보다 더 높게 연장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상부 이젝터(300)의 구조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0은 상기 아이스 메이커를 전방에서 본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51은 상기 상부 이젝터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 50 및 도 5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이젝터 바디(310)는 양단에 바디 관통부(311)가 형성되며, 상기 바디 관통부(311)는 상기 가이드 슬롯(183)과 상기 이젝터 연결부(356b)를 관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젝터 바디(310)의 단부 즉, 상기 바디 관통부(311)의 단부에는 한쌍의 분리 방지 돌기(312)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젝터 바디(310)의 양단은 상기 이젝터 연결부(356b)로부터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분리 방지 돌기(312)는 상기 링크(356)의 외측면과 접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링크(356)와의 유격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젝터 바디(310)에는 바디 돌기(313)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디 돌기(313)는 상기 분리 방지 돌기(312)와 이격된 위치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링크(356)의 내측면과 접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바디 돌기(313)는 상기 가이드 슬롯(183)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링크(356)의 내측면과 접할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로 돌출된다.
이때, 상기 분리 방지 돌기(312)와 상기 바디 돌기(313)는 상기 링크(356)의 양측면에 접하게 되며,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링크는 상기 분리 방지 돌기(312)와 상기 바디 돌기(313)에 의해서 양측면이 지지될 수 있으며, 상기 링크(356)의 유동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이젝터 바디(310)가 좌우로 유동하게 되는 경우 상기 이젝팅 핀(320)의 위치가 좌우로 유동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이젝팅 핀(320)이 상기 유입 개구(154)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상부 트레이(150)를 눌러 상기 상부 트레이(150)를 변형시키거나 탈락시키는 문제가 발샐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젝팅 핀(320)이 상기 상부 트레이(150)에 걸려서 이동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이젝팅 핀(320)이 유동되지 않고 정확하게 상기 유입 개구(154)의 중앙을 통과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분리 방지 돌기(312)와 상기 바디 돌기(313) 구조로 상기 링크(356)가 유동되지 않도록 하여 설정된 위치에서 상기 이젝팅 핀(320)이 상하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더불어, 도 15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한쌍의 상기 유닛 가이드(181, 182)가 통과되는 상기 상부 케이스(120)의 제 1 관통 개구(139b)에는 제 1 유동 방지부(139ba)와 제 2 유동 방지부(189bb)가 구비되고, 상기 제 2 관통 개구(139c)에는 제 3 유동 방지부(189ca)와 제 4 유동 방지부(189cb)가 구비되어 상기 이젝터 바디(310)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 하는 유닛 가이드(181, 182)의 유동 또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 예는 상기 이젝터 바디(310)는 물론 상기 유닛 가이드(181, 182)의 유동까지 방지하는 구조를 가지게 되며, 상하로 비교적 긴 거리를 이동하게 되는 상기 이젝팅 핀(320)이 유동되지 않고 설정된 경로를 따라 상기 유입 개구(154)를 출입하여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의 접촉 또는 간섭을 완전히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구동 유닛(180)의 장착 구조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구동 유닛이 분해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3은 상기 구동 유닛의 가고정을 위해 상기 구동 유닛이 이동되는 모습을 보인 부분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4는 상기 구동 유닛이 가고정 완료된 상태의 부분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5는 상기 구동 유닛의 구속 및 결합을 보이기 위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52 내지 도 5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구동 유닛(180)은 상기 상부 케이스(120)의 내부 일측면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구동 유닛(180)은 상기 냉기 홀(134)과 먼 쪽의 상기 측면 둘레부(143) 즉, 상기 제 2 측벽면(143a)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동 유닛(180)은 상면에 한쌍의 구동 유닛 고정 돌기(185a)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 유닛 고정 돌기(185a)는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 유닛 고정 돌기(185a)는 상기 구동 유닛 케이스(185)의 상면에서 상기 냉기 홀(134)의 배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 유닛 고정 돌기(185a)가 돌출되는 방향으로 상기 구동 유닛(180)의 회전축(186)이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186)과 떨어진 일측에 상기 만빙 감지 레버(700)가 장착되는 레버 연결부(18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 유닛 케이스(185)의 상면에는 상기 구동 유닛(180)의 고정을 위한 스크류(B3)가 관통되는 케이스 체결부(185b)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 유닛(180)이 장착되는 상기 상부 케이스(120)의 상기 상부 플레이트(121) 하면에는 체결부 개구(149c)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 개구(149c)는 상기 케이스 체결부(185b)가 통과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 개구(149c)의 일측방에는 스크류 홈(149d)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121)의 하면에는 상기 구동 유닛(180)이 안착되는 구동 유닛 안착부(149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 유닛 안착부(149a)는 상기 체결부 개구(149c)보다 더 상기 냉기 홀(134) 측으로 위치되며, 상기 구동 유닛 안착부(149a)에는 상기 구동 유닛(180)과 연결된 전선이 출입되는 전선 출입구(149e)가 더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121)의 하면에는 구동 유닛 고정 돌기(185a)가 삽입되는 고정 돌기 구속부(149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돌기 구속부(149b)는 상기 구동 유닛 안착부(149a)보다 더 상기 냉기 홀(134) 측으로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 돌기 구속부(149b)에는 상기 구동 유닛 고정 돌기(185a)가 삽입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 형상으로 개구되는 삽입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상기 구동 유닛(180)의 장착 과정을 설명한다.
상기 도 5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작업자는 상기 구동 유닛(180)의 상면이 상기 상부 케이스(120)의 내측을 향하도록 하고, 상기 구동 유닛(180)이 장착되기 위한 위치로 삽입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도 5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구동 유닛 고정 돌기(185a)를 상기 구동 유닛 안착부(149a)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구동 유닛(180)을 상기 냉기 홀(134) 측으로 수평 이동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이동 작업으로 상기 구동 유닛 고정 돌기(185a)는 상기 고정 돌기 구속부(149b)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상기 구동 유닛 고정 돌기(185a)가 완전히 삽입되면, 도 5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구동 유닛 고정 돌기(185a)는 상기 고정 돌기 구속부(149b)의 내측에서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 유닛 케이스(185)의 상면은 상기 구동 유닛 안착부(149a)에 안착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도 5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체결부 개구(149c)를 통해 상기 케이스 체결부(185b)가 상방으로 돌출되어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크류 홈(149d)을 통해서 상기 케이스 체결부(185b)에 상기 스크류(B3)를 삽입하여 체결하게 된다. 상기 스크류(B3)의 체결로 상기 구동 유닛(180)은 상기 상부 케이스(120)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케이스 체결부(185b)와 대응하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121)의 단부에 상기 스크류 홈(149d)이 형성되어 상기 스크류(83)를 상기 케이스 체결부(185b)에 체결 및 분리하는 것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만빙 감지 레버(700)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만빙 감지 레버가 초기 위치인 가장 상방에 위치된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57은 상기 만빙 감지 레버가 감지 위치인 가장 하방에 위치된 측면이다.
도 56 및 도 5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만빙 감지 레버(700)는 상기 구동 유닛(180)에 연결되며, 상기 구동 유닛(180)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만빙 감지 레버(700)는 이빙을 위해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회전될 때 함께 회전되어 상기 아이스 빈(102) 내부의 만빙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만빙 감지 레버(700)는 필요한 경우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와 독립적으로 동작될 수도 있다.
상기 만빙 감지 레버(700)는 제 1 절곡부(721)와 제 2 절곡부(722)에 의해서 일측(도 56에서 좌측)으로 절곡된 형상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만빙 감지 레버(700)가 만빙의 감지를 위해 도 57과 같이 회전되는 경우에도 상기 만빙 감지 레버(700)는 다른 구성과 간섭되지 않고 상기 아이스 빈(102)에 저장된 얼음이 설정 높이에 도달하였는지를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와 상기 만빙 감지 레버(700)는 도 57에서 보다 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효과적인 이빙을 위해 바람직하게는 대략 140˚가량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만빙 감지 레버(700)의 길이(L1)에 관하여 살펴보면, 상기 만빙 감지 레버(700)의 길이(L1)는 상기 만빙 감지 레버(700)의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감지 바디(710)까지의 수직 거리로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만빙 감지 레버(700)는 적어도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하단부 가지의 거리(L2)보다는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만빙 감지 레버(700)의 길이(L1)가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단부 가지의 거리(L2)보다 더 짧게 되면, 상기 만빙 감지 레버(700)와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서로 간섭이 일어날 수 있다.
한편, 상기 만빙 감지 레버(700)의 길이가 너무 길에 되어 상기 아이스 빈(102)의 바닥에 배치된 얼음(I)의 위치까지 연장되는 경우에는 오감지 가능성이 높게 된다. 본 실시 예에서 만들어지는 얼음은 구형의 얼음으로 상기 아이스 빈의 내부에서 굴러서 이동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아이스 빈(102)의 바닥에 위치된 얼음을 감지할 정도로 상기 만빙 감지 레버(700)의 길이가 길게 되면 굴러서 이동된 얼음의 감지로 인해 실제 만빙 상태가 아님도 불구하고 만빙 상태로 오감지할 가능성이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만빙 감지 레버(700)는 얼음의 직경 만큼 더 높은 위치까지 연장되어 적어도 상기 아이스 빈(102)의 바닥에 1층으로 깔려진 얼음은 감지하지 않는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일 예로 상기 만빙 감지 레버(700)는 만빙 감지시 상기 아이스 빈(102)의 바닥에서 상기 얼음(I)의 직경 만큼의 높이(L5) 보다는 높은 위치에 도달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아이스 빈(102)의 바닥면에는 상기 얼음이 저장될 수 있으며, 1층의 얼음(I)이 완전히 채워지기 전에는 상기 만빙 감지 레버(700)는 회전하게 되더라도 만빙을 감지하지 않게 된다. 제빙 및 이빙 운전을 지속하게 되면, 상기 아이스 빈으로 이빙되는 구형의 얼음의 특성상 상기 아이스 빈(102)의 바닥면에서 쌓이지 않고 넓게 퍼지게 되어 상기 아이스 빈(102)의 바닥을 차례로 채우게 된다. 그리고, 하부 어셈블리(200)의 회전 과정 또는 상기 냉동실 서랍(41)의 이동 과정에서 상기 아이스 빈(102) 내부의 1층 얼음(I)들은 굴러서 빈자리를 채우게 된다.
상기 아이스 빈(102)의 바닥이 모두 채워지게 되면, 이빙되는 얼음은 상기 1층의 얼음(I) 상부에 적층될 수 있다. 이때, 2층의 얼음의 높이는 상기 얼음의 직경의 2배가 아니라 하나의 얼음 직경에 얼음의 직경에 대략 1/2~3/4 만큼의 높이를 더한 정도가 2층의 얼음 높이가 될 수 있다. 이는, 2층의 얼음이 1층의 얼음들 사이에 형성된 골에 얼음이 안착되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만빙 감지 레버(700)가 1층의 얼음(I)의 높이(L5) 바로 윗 부분을 감지하도록 하는 경우에는, 얼음 부스러기 등으로 인해서 1층의 얼음 높이가 높아진 경우에 오감지 할 수도 있으므로, 더 높은 위치를 감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만빙 감지 레버(700)는 상기 얼음의 직경 만큼의 높이(L5)보다 높고 상기 얼음의 직경의 1/2~4/3를 더한 높이(L6) 보다 낮은 임의의 지점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만빙 감지 레버(700)는 상기 하부 트레이(250)에 간섭되지 않는 한 짧게 형성되는 것이 제빙량을 확보하는 데 용이하며, 잔여 부스러기 얼음들에 의한 높이 차이로 인한 오감지를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만빙 감지 레버(700)는 L6의 상단 까지 연장된 길이 즉, 얼음의 1개의 높이와, 상기 얼음의 1/2~3/4 직경을 더한 높이인 L6 상단까지 연장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얼음이 2층의 얼음을 감지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아이스 빈(102)의 깊고 다량의 구형 얼음을 저장하는 냉장고인 경우 3층의 얼음을 감지하거나 그 이상의 층의 얼음을 감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얼음 n개의 높이에 상기 얼음의 1/2~3/4 직경을 더한 높이까지 상기 만빙 감지 레버(700)가 연장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하부 이젝터(400)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상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이젝터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9는 상기 하부 이젝터의 세부 구조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60은 상기 하부 어셈블리가 완전히 회전되었을 때 상기 하부 트레이의 변형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그리고, 도 61은 상기 하부 이젝터가 상기 하부 트레이를 통과하기 직전의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58 내지 도 6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하부 이젝터(400)는 상기 측면 둘레부(143)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측면 둘레부(143)의 하단에는 이젝터 장착부(44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젝터 장착부(441)는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회전시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 이젝터(400)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함몰될 수 있다.
상기 이젝터 장착부(441)의 상면에는 한쌍의 바디 고정부(443)가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바디 고정부(443)에는 스크류가 체결되는 홀(443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젝터 장착부(441)의 양측면에는 측면 결합부(44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면 결합부(442)는 상기 하부 이젝터(400)가 슬라이딩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하부 이젝터(400)의 양단을 수용하는 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하부 이젝터(400)는 상기 이젝터 장착부(441)에 고정되는 하부 이젝터 바디(410)와, 상기 하부 이젝터 바디(410)에서 돌출되는 하부 이젝팅 핀(4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이젝터 바디(410)는 상기 이젝터 장착부(441)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 이젝팅 핀(420)이 형성되는 면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하부 이젝팅 핀(420)이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회전시 상기 하부 개구(274)를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이젝터 바디(410)의 상면에는 상기 바디 고정부(443)가 수용되는 바디 홈(413)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바디 홈(413)에는 스크류가 체결되는 홀(412)이 더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홀(412)과 대응하는 상기 하부 이젝터 바디(410)의 경사면에는 경사 홈(411)이 함몰되어 상기 스크류의 체결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이젝터 바디(410)의 양측면에는 가이드 리브(414)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리브(414)는 상기 하부 이젝터(400)의 장착시 상기 이젝터 장착부(441)의 상기 측면 결합부(442)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젝터 바디(310)의 경사면에는 상기 하부 이젝팅 핀(42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이젝팅 핀(420)은 상기 하부 챔버(252)의 수와 동일하며, 각각의 하부 챔버(252)를 각각 밀어서 얼음을 이빙시킬 수 있다.
상기 하부 이젝팅 핀(420)은 로드부(421)와 헤드부(4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드부(421)는 상기 헤드부(422)를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드부(421)는 상기 소정의 길이와 경사 또는 라운드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하부 이젝팅 핀(420)이 상기 하부 개구(274)까지 연장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헤드부(422)는 상기 로드부(421)의 연장된 단부에 형성되며, 곡면 형상의 상기 하부 챔버(252)의 외측면을 밀어서 얼음을 이빙 시키게 된다.
상세히, 상기 로드부(421)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일 예로 상기 로드부(421)는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이빙을 위해 완전히 회전되었을 때 상기 헤드부(422)의 단부가 상기 하부 챔버(252)의 상단의 연장선(L4)에 위치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하부 챔버(252) 내부의 얼음을 이빙하기 위해 상기 헤드부(422)가 상기 하부 트레이(250)를 밀어줄 때, 상기 얼음이 적어도 상기 반구의 영역을 넘어설 때까지 밀어주게 되어 상기 하부 챔버(252)로부터 얼음이 확실히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로드부(421)는 충분한 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만약 상기 로드부(421)의 길이가 더 길다면,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회전시 상기 하부 개구(274)와 상기 로브부(421) 사이에 간섭이 발생될 수 있으며, 너무 짧게 되면 상기 하부 트레이(250)로부터 얼음의 이빙이 원활하게 이루어 지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로드부(421)는 상기 하부 이젝터 바디(410)의 경사면에서 돌출되되 소정의 경사 또는 라운드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회전시 자연스럽게 상기 하부 개구(274)를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로드부(421)는 상기 하부 개구(274)의 회전 경로를 따라서 연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헤드부(422)는 상기 로드부(421)의 단부에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헤드부(422)는 내부에 중공(425)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얼음 표면과의 접촉 면적을 늘릴 수 있으며, 상기 얼음을 효과적으로 밀어줄 수 있다.
상기 헤드부(422)는 상기 헤드부(422)의 둘레를 따라서 형성되는 헤드 상부(423)와 헤드 하부(4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헤드 상부(423)는 상기 헤드 하부(424)보다 더 돌출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얼음이 수용된 상기 하부 챔버(252)의 곡면 즉, 상기 볼록부(251b)를 효과적으로 밀어줄 수 있다. 상기 헤드부(422)가 상기 볼록부(251b)를 밀어줄 때 상기 헤드 상부(423)와 헤드 하부(424)가 모두 접촉되어 보다 안정적으로 얼음을 밀어 이빙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구형의 얼음이 상기 하부 트레이(250)로부터 보다 효과적으로 이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헤드부(422)의 헤드 상부(423)가 헤드 하부(424)보다 더 돌출되는 경우,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회전 과정에서 상기 하부 개구(274)와 상기 헤드 상부(423)의 단부가 간섭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형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헤드 상부(423)의 돌출 길이는 유지하되 상기 헤드 상부(423)의 상면을 경사지게 컷 오프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헤드 상부(423)는 상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헤드 상부(423)의 연장된 단부로 갈수록 낮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헤드 상부(423)의 컷오프 부분을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헤드 상부(423)의 상면부를 상기 하부 개구와 간섭이 일어나는 영역 즉, 대략 C만큼 제거된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도 6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헤드 상부(423)는 곡면과 효과적으로 접촉할 수 있도록 충분한 길이로 연장되되 상기 컷 오프 부분에 의해 상기 하부 개구(274)의 둘레와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로드부(421)는 충분한 길이를 가지도록 하고, 상기 헤드부(422)는 상기 곡면과의 접촉성을 개선하면서 동시에 상기 하부 개구(274)와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상기 하부 챔버(252)의 얼음 이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의 동작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2는 도 8의 62-62'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63은 도 62의 도면에서 얼음 생성이 완료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2 및 63을 참조하면, 상기 하부 서포터(270)에는 하부 히터(296)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히터(296)는 제빙 과정에서 열을 상기 얼음 챔버(111)로 제공하여, 상기 얼음 챔버(111) 내에서 얼음이 상측부에서부터 얼기 시작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하부 히터(296)가 제빙 과정에서 주기적으로 온오프 되면서 발열함에 따라서, 제빙 과정에서 상기 얼음 챔버(111) 내의 기포가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제빙 완료 시, 구 형태의 얼음 중 최하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투명해질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실질적으로 투명한 구 형태의 얼음을 생성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실질적으로 투명한 구 형태는 완전히 투명한 것이 아니라 통상적으로 투명 얼음이라 부를 수 있는 정도의 투명도를 가지고, 완전한 구형은 아니지만 전체적으로 구와 같은 형상을 가지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하부 히터(296)는, 일 예로 와이어 타입의 히터일 수 있다. 상기 상부 히터(148)는 상기 상부 히터(148)와 마찬가지로 DC히터 일 수 있으며, 상기 상부 히터(148)보다 낮은 출력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상부 히터(148)는 9.5W의 열량을 가지고, 상기 하부 히터(296)는 6.0W의 열량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 히터(148)와 하부 히터(296)는 낮은 열량으로 주기적으로 상부 트레이(150)와 하부 트레이(250)를 가열함으로써 투명한 얼음을 만들 수 있는 조건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히터(296)는 상기 하부 트레이(250)에 접촉되어 상기 하부 챔버(252)로 열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하부 히터(296)는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251)에 접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상기 하부 트레이(250)가 상하 방향으로 접촉함에 따라서, 상기 얼음 챔버(111)가 완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251)의 상면(251e)에는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의 하면(151a)이 접촉된다.
이때,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251)의 상면과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의 하면이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 부재(360)의 탄성력이 상기 하부 서포터(270)로 가해진다. 상기 탄성 부재(360)의 탄성력은 상기 하부 서포터(270)에 의해서 상기 하부 트레이(250)로 가해져,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251)의 상면(251e)이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의 하면(151a)을 가압하게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251)의 상면이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의 하면과 접촉된 상태에서 각 면이 상호 가압되어 밀착력이 향상된다.
이와 같이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251)의 상면과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의 하면 사이에 밀착력이 증가되면, 두 면 사이의 틈새가 없어서 제빙의 완료 후에 구 형태의 얼음의 둘레를 따라 얇은 띠 형상의 버가 형성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도, 39 및 40에서와 같이 상부 리브(153d)와 하부 리브(253a)에 의해 제빙 완료시까지 틈새가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251)는 하측 일부가 상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볼록부(251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볼록부(251b)는 상기 얼음 챔버(111)의 내측을 향하여 볼록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볼록부(251b)의 두께가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251)의 다른 부분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도록 상기 볼록부(251b)의 하측에는 함몰부(251c)가 형성된다.
본 명세서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하다는 것은 완전하게 동일한 것 및 동일하지 않으나 차이가 거의 없을 정도로 유사한 것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상기 볼록부(251b)는 상기 하부 서포터(270)의 하부 개구(274)와 상하 방향으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개구(274)가 상기 하부 챔버(252)의 연직 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하부 개구(274)가 상기 볼록부(251b)의 연직 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도 6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볼록부(251b)의 직경(D3)은 상기 하부 개구(274)의 직경(D4)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얼음 챔버(111)에 물이 공급된 상태에서 냉기가 상기 얼음 챔버(111)로 공급되면, 액체 상태의 물이 고체 상태의 얼음으로 상변화된다. 이때, 물이 얼음으로 상변화되는 과정에서 물이 팽창되고, 물의 팽창력이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 및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251) 각각으로 전달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251)의 다른 부분은 상기 서포터 바디(271)에 의해서 둘러싸이나, 상기 서포트 바디(271)의 하부 개구(274)와 대응되는 부분(이하 "대응 부분"이라 함)은 둘러싸이지 않는다.
만약,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251)가 완전한 반구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물의 팽창력이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251) 중 상기 하부 개구(274)와 대응되는 대응 부분에 가해지는 경우,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251)의 대응 부분이 상기 하부 개구(274) 측으로 변형된다.
이 경우, 얼음이 생성되기 전에는 상기 얼음 챔버(111)로 공급된 물은 구 형태로 존재하게 되나, 얼음의 생성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251)의 대응 부분의 변형에 의해서 구형의 얼음에서 상기 대응 부분의 변형에 의해서 생성된 공간 만큼 돌기 형태의 추가적인 얼음 생성된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는, 제빙 완료된 얼음의 완전한 구형에 최대한 가까워지도록,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251)의 변형을 고려하여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251)에 볼록부(251b)를 형성하였다.
이러한 본 실시 예의 경우, 얼음이 생성되기 전에는 상기 얼음 챔버(111)로 공급된 물은 구 형태가 되지 않으나, 얼음의 생성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251)의 볼록부(251b)가 상기 하부 개구(274) 측을 향하여 변형되므로, 구 형태의 얼음이 생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볼록부(251b)의 직경(D1)은 상기 하부 개구(274)의 직경(D2) 보다 작게 형성되므로, 상기 볼록부(251b)가 변형되어 상기 하부 개구(274)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아이스 메이커에 의한 얼음 제조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4는 급수 상태에서 도 8의 62-62'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65는 제빙 상태에서 도 8의 62-62'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66은 제빙 완료 상태에서 도 8의 62-62'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67은 이빙 초기 상태에서 도 8의 62-62'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68은 이빙 완료 상태에서 도 8의 62-62'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64 내지 도 68을 참조하면, 먼저, 하부 어셈블리(200)가 급수 위치로 이동된다.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급수 위치에서,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상면(251e)은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하면(151e)의 적어도 일부와 이격된다. 본 실시 예에서, 이빙을 위하여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회전되는 방향(도면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을 정 방향이라고, 그 반대 방향(시계 방향)을 역 방향이라 한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급수 위치에서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상면(251e)과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하면(151e)이 이루는 각도는 대략 8˚ 내외일 수 있다.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급수 위치에서, 상기 감지 바디(710)는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하방에 위치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공급된 물이 상기 급수부(190)에 의해서 안내되어 상기 얼음 챔버(111)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복수의 유입 개구(154) 중 일 유입 개구를 통해 물이 상기 얼음 챔버(111)로 공급된다.
급수가 완료된 상태에서, 급수된 물의 일부는 상기 하부 챔버(252)에 가득채워지고, 급수된 다른 일부는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상기 하부 트레이(250) 사이 공간에 채워질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상부 챔버(151)의 체적과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상기 하부 트레이(250) 사이 공간의 체적이 동일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상기 하부 트레이(250) 사이의 물이 상기 상부 트레이(150)에 완전히 채워질 수 있다. 또는, 상기 상부 챔버(151)의 체적 보다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상기 하부 트레이(250) 사이 공간의 체적이 작을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물이 상기 상부 챔버(151) 내에도 위치하게 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하부 트레이(250)에는 3개의 하부 챔버(252) 간의 상호 연통을 위한 채널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상기 하부 트레이(250)에 물의 이동을 위한 채널이 존재하지 않더라도 도 64에서와 같이 급수 단계에서 상기 하부 트레이(250)와 상부 트레이(150)의 사이는 이격되어 있으므로, 급수 과정에서 특정 하부 챔버(252)에 물이 가득차게 되면, 물이 이웃하는 상기 하부 챔버(252)로 유동하여 모든 하부 챔버(252)를 채울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복수의 하부 챔버(252) 각각에 물이 가득찰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하부 트레이(250)에 하부 챔버(252) 들의 연통을 위한 채널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얼음 생성 완료 후 얼음의 둘레에 돌기 형태의 추가 얼음이 존재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급수 완료된 상태에서, 도 30과 같이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는 역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역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상면(251e)이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하면(151e)과 가까워지게 된다.
그러면,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상면(251e)과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하면(151e) 사이의 물은 상기 복수의 상부 챔버(152) 각각의 내부로 나뉘어 분배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상면(251e)과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하면(151e)이 완전하게 밀착되면, 상기 상부 챔버(152)에 물이 채워지게 된다.
한편, 상기 하부 어셈블리가 닫혀서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하부 트레이(250)가 서로 밀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의 챔버 벽(153)은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둘레 벽(26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수직벽(153a)은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수직벽(260a)과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곡선벽(153b)은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곡선벽(260b)과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의 챔버 벽(153)의 외면은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둘레 벽(260)의 내면과 이격된다. 즉,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의 챔버 벽(153)의 외면과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둘레 벽(260)의 내면 사이에 공간(도 39에서 ,G2)이 형성된다.
상기 급수부(180)를 통해 공급되는 물은 전체 상기 얼음 챔버(111)들에 채워지기 위해서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설정 각도만큼 회전되어 개방된 상태로 공급 될 수 있다. 따라서, 급수되는 물은 하부 챔버(252)는 물론, 상기 둘레 벽(260)의 내측 공간에 전체적으로 채워지게 되어 이웃하는 하부 챔버(252)들 까지 채울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설정 수위만큼 급수가 완료되면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는 닫히게 되어 상기 얼음 챔버(111) 내의 수위가 설정 수위가 되도록 한다. 이때, 필연적으로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둘레 벽(260)의 내면 사이에 공간(G1,G2)에 물이 채워지게 된다.
한편, 급수 과정 또는 제빙 과정에서 설정된 양 이상의 물이 상기 얼음 챔버(111)에 공급되는 경우에는 상기 얼음 챔버(111)의 물이 상기 유입 개구(154) 즉, 버퍼의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황에 따라 상기 얼음 챔버(111)에 설정량 이상의 물이 존재하게 되더라도 물이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에서 넘쳐 흐르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251)의 상면이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의 하면에 접촉되어 상기 하부 어셈블리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둘레 벽(260)의 상단이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유입 개구(154)의 하단 또는 상기 상부 챔버(152)의 상단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상면(251e)과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하면(151e)이 접촉된 상태에서의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위치를 제빙 위치라 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제빙 위치에서, 상기 감지 바디(710)는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하방에 위치된다.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제빙 위치로 이동된 상태에서 제빙이 시작된다.
제빙 중에는 물의 가압력이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볼록부(251b)를 변형시키기 위한 힘 보다 작으므로, 상기 볼록부(251b)는 변형되지 않고 원래의 형태를 유지하게 된다.
제빙이 시작되면, 상기 하부 히터(296)가 온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히터(296)가 온되면, 상기 하부 히터(296)의 열이 상기 하부 트레이(250)로 전달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 히터(296)가 온된 상태에서 제빙이 수행되면, 상기 얼음 챔버(111) 내에서 얼음이 최상측에서부터 생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얼음 챔버(111)의 형태에 따라서 상기 얼음 챔버(111)에서 물의 단위 높이 당 질량(또는 부피)은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얼음 챔버(111)가 직육면체인 경우에는 상기 얼음 챔버(111) 내에서 물의 단위 높이 당 질량(또는 부피)은 동일하다.
반면, 상기 얼음 챔버(111)이 구형이나 역삼각형, 초승달 모양 등과 같은 형태를 가지는 경우에는 물의 단위 높이 당 질량(또는 부피)는 다르다.
만약, 상기 냉동실(4)로 공급되는 냉기의 온도 및 냉기량이 일정하다고 가정할 때, 상기 하부 히터(296)의 출력이 동일하면, 상기 얼음 챔버(111)에서 물의 단위 높이 당 질량이 다르므로, 단위 높이 당 얼음이 생성되는 속도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물의 단위 높이 당 질량이 작은 경우에는 얼음의 생성 속도가 빠른 반면, 물의 단위 높이 당 질량이 큰 경우에는 얼음의 생성 속도가 느리다.
결국, 물의 단위 높이 당 얼음이 생성되는 속도가 일정하지 못하게 되어 단위 높이 별로 얼음의 투명도가 달라질 수 있다. 특히, 얼음의 생성 속도가 빠른 경우, 기포가 얼음에서 물 측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되어 얼음이 기포를 포함하게 되어 투명도가 낮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얼음 챔버(111)의 물의 단위 높이 당 질량에 따라서 상기 하부 히터(296)의 출력이 가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와 같이 상기 얼음 챔버(111)가 일 예로 구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얼음 챔버(111)에서의 물의 단위 높이 당 질량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증가하다가 최대가 되고, 다시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 히터(430)의 출력은 상기 하부 히터(296)가 온된 후에, 출력이 단계적으로 감소되다가, 물의 단위 높이 당 질량이 가장 큰 부분에서 출력이 최소가 된다. 그 다음, 상기 하부 히터(296)의 출력은 물의 단의 높이 당 질량의 감소에 따라서 단계적으로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얼음이 상기 얼음 챔버(111) 내에서 상측에서부터 생성되므로, 상기 얼음 챔버(111) 내의 기포는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얼음 챔버(111)에서 얼음이 상측에서 하측으로 생성되는 과정에서 얼음이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블록부(251b)의 상면에 접촉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얼음이 지속적으로 생성되면 도 31과 같이 상기 블록부(251b)가 가압되어 변형되고, 제빙 완료 시 구 형태의 얼음이 생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는 상기 온도 센서(500)에서 감지되는 온도에 기초하여 제빙 완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빙 완료 시 또는 제빙 완료 전에 상기 하부 히터(296)는 오프될 수 있다.
제빙이 완료되면, 상기 얼음의 이빙을 위하여, 먼저 상기 상부 히터(148)가 온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히터(148)가 온되면 상기 상부 히터(148)의 열이 상기 상부 트레이(150)로 전달되어 얼음이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표면(내면)에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히터(148)가 설정 시간 작동되면, 상기 상부 히터(148)가 오프되고, 상기 구동 유닛(180)이 작동하여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66과 같이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정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하부 트레이(250)가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멀어져 이격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이동력이 상기 연결 유닛(350)에 의해서 상기 상부 이젝터(300)로 전달된다. 그러면, 상기 상부 이젝터(300)가 상기 유닛 가이드(181, 182)에 의해서 하강하게 되어, 상기 이젝팅 핀(320)이 상기 유입 개구(154)를 통해 상기 상부 챔버(152) 내로 인입된다.
이빙 과정에서, 상기 이젝팅 핀(320)이 얼음을 가압하기 전에 얼음이 상기 상부 트레이(250)에서 분리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 히터(148)의 열에 의해서 얼음이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표면에서 분리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얼음이 상기 하부 트레이(250)에 의해서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와 함께 이동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상부 히터(148)의 열이 상기 상부 트레이(150)로 가해지더라도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표면에서 얼음이 분리되지 않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정 방향 이동 시, 얼음이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 트레이(250)와 분리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이동 과정에서, 상기 유입 개구(154)를 통과한 상기 이젝팅 핀(320)이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밀착된 얼음을 가압함으로써, 얼음이 상기 상부 트레이(150)에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트레이(150)에서 분리된 얼음은 다시 상기 하부 트레이(250)에 의해서 지지될 수 있다.
얼음이 상기 하부 트레이(250)에 의해서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와 함께 이동되는 경우에는, 상기 하부 트레이(250)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더라도 얼음이 자중에 의해서 상기 하부 트레이(250)에서 분리될 수 있다.
도 67과 같이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정방향 이동 과정에서 상기 만빙 감지 레버(700)는 만빙 감지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아이스 빈(102)의 만빙이 아닌 경우, 상기 만빙 감지 레버(700)는 만빙 감지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만빙 감지 레버(700)가 상기 만빙 감지 위치로 이동된 상태에서 감지 바디(700)는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하방에 위치된다.
만약,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이동 과정에서, 상기 하부 트레이(250)에서 얼음이 자중에 의해서 분리되지 않더라도 도 68와 같이 상기 하부 이젝터(400)에 의해서 상기 하부 트레이(250)가 가압되면 얼음이 하부 트레이(250)에서 분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하부 트레이(250)가 상기 하부 이젝팅 핀(420)과 접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정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이동되면, 상기 하부 이젝팅 핀(420)이 상기 하부 트레이(250)를 가압하게 되어 상기 하부 트레이(250)가 변형되고, 상기 하부 이젝팅 핀(420)의 가압력이 얼음으로 전달되어 얼음이 하부 트레이(250)의 표면과 분리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표면과 분리된 얼음은 하방으로 낙하되어 상기 아이스 빈(102)에 보관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트레이(250)에서 얼음이 분리된 이후에는 다시 상기 구동 유닛(180)에 의해서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역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역 방향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하부 이젝팅 핀(420)이 상기 하부 트레이(250)와 이격되면, 변형된 하부 트레이는 원래의 형태로 복원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역 방향 이동 과정에서 이동력이 상기 연결 유닛(350)에 의해서 상부 이젝터(300)로 전달되어, 상기 상부 이젝터(300)가 상승하고, 상기 이젝팅 핀(320)은 상기 상부 챔버(152)에서 빠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급수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구동 유닛(180)이 정지되고, 다시 급수가 시작된다.
100: 아이스 메이커 110: 상부 어셈블리
120: 상부 케이스 125: 차폐부
150: 상부 트레이 152e : 단열부
170: 상부 서포터 200: 하부 어셈블리
210: 하부 케이스 250: 하부 트레이
270: 하부 서포터

Claims (20)

  1. 냉장실과 냉동실이 형성되는 캐비닛;
    상기 냉동실에 구비되는 아이스 메이커를 포함하며,
    상기 아이스 메이커는,
    탄성 소재로 형성되며, 반구형의 상부 챔버가 형성되는 상부 트레이;
    탄성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 트레이와 회전에 의해 밀착되어 구형의 얼음 챔버를 형성하는 하부 챔버가 형성되는 하부 트레이;
    상기 하부 트레이를 회전시켜 상기 상부 트레이와 하부 트레이를 개폐하는 구동 유닛; 및
    상기 상부 챔버 또는 하부 챔버의 둘레를 따라서 연장되는 리브를 포함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상기 얼음 챔버의 내부의 물이 얼음으로 상변화 될 때 회전되는 하부 챔버에 의해 발생되는 상기 상부 챔버와 하부 챔버 사이의 거리와 대응하는 높이로 형성되는 냉장고.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상기 하부 트레이의 회전축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높아지도록 형성되는 냉장고.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상기 하부 트레이의 회전축과 인접하는 상기 얼음 챔버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얼음 챔버 직경의 1/5 지점만큼 떨어진 위치에서 형성되는 냉장고.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상기 하부 트레이의 회전축과 인접한 일단으로부터 떨어진 일측에서부터 점차 높아지도록 형성되는 냉장고.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 챔버는 다수개가 일렬로 이격 배치되며, 상기 리브는 다수의 얼음 챔버의 둘레를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냉장고.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챔버의 둘레를 형상하는 상기 상부 트레이의 하면과,
    상기 하부 챔버의 둘레를 형성하는 상기 하부 트레이의 상면은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면접촉되는 냉장고.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상기 상부 트레이의 하면에 형성되는 냉장고.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상기 상부 트레이의 하면에 형성되는 상부 리브와,
    상기 하부 트레이의 상면에 형성되는 하부 리브를 포함하는 냉장고.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리브와 하부 리브는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되는 냉장고.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리브는 상기 하부 챔버의 상단에서 상기 하부 챔버의 내측면과 동일 평면을 형성하면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냉장고.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리브는,
    상기 일정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는 내부 리브와 외부 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리브는 상기 하부 트레이가 회전되면 상기 내부 리브와 외부 리브 사이로 삽입되는 냉장고.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트레이와 하부 트레이는 실리콘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 트레이는 상부 트레이보다 경도가 낮게 형성되는 냉장고.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트레이와 하부 트레이가 서로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 트레이는 더 회전되어 상기 하부 트레이와 상부 트레이가 압축 변형되면서 기밀 되도록 하는 냉장고.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트레이의 하단에는 상기 하부 챔버의 내측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볼록부가 형성되며,
    상기 볼록부는 상기 얼음 챔버의 물이 얼음으로 상변화 되면서 팽창되면 외측으로 변형되는 냉장고.
  16. 탄성 소재로 형성되며, 다수의 상부 챔버를 가지는 상부 트레이;
    탄성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 챔버와 접하여 구형의 얼음 챔버를 형성하는 다수의 하부 챔버를 가지는 상부 트레이;
    상기 상부 트레이에 형성되며, 각각의 상부 챔버에 개구되는 연결 개구;
    상기 상부 트레이의 상방에 구비되며, 상기 연결 개구를 통과하여 상기 상부 챔버의 얼음을 이빙 시키는 상부 이젝터;
    상기 다수의 연결 개구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어 물 주입이 안내되는 급수가이드; 및
    상기 하부 트레이를 회전시키는 구동 유닛;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챔버의 상단 외측에는 상기 하부 챔버의 둘레를 따라 상방으로 연장되는 둘레 벽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챔버의 하단 외측에는 상기 상부 챔버의 둘레를 따라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하부 트레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둘레 벽의 내측에 삽입되는 챔버 벽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 챔버의 상단 둘레를 따라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리브를 포함하는 아이스 메이커.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 벽과 둘레 벽은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서로 이격되는 아이스 메이커.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상기 얼음 챔버와 상기 챔버 벽 및 둘레벽 사이의 공간 사이를 구획하는 아이스 메이커.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상기 하부 트레이의 회전축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점 높아지도록 형성되는 아이스 메이커.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상기 상부 챔버 또는 하부 챔버의 전체 둘레 중 상기 하부 트레이의 회전축으로부터 가까운 단부에서 떨어진 위치에서부터 형성되는 아이스 메이커.
KR1020190081738A 2018-11-16 2019-07-06 아이스 메이커 및 냉장고 KR20210005494A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1738A KR20210005494A (ko) 2019-07-06 2019-07-06 아이스 메이커 및 냉장고
CN202111331232.1A CN114061234B (zh) 2018-11-16 2019-11-15 冰箱
CN201911119593.2A CN111197888B (zh) 2018-11-16 2019-11-15 制冰器及冰箱
US16/686,036 US11421926B2 (en) 2018-11-16 2019-11-15 Ice maker and refrigerator
EP19209300.3A EP3653961A1 (en) 2018-11-16 2019-11-15 Ice maker and refrigerator
US17/867,314 US20220349639A1 (en) 2018-11-16 2022-07-18 Ice maker and refrigerator
US17/892,865 US11885550B2 (en) 2018-11-16 2022-08-22 Ice maker and refrigerator
KR1020230019414A KR102617227B1 (ko) 2019-07-06 2023-02-14 아이스 메이커 및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1738A KR20210005494A (ko) 2019-07-06 2019-07-06 아이스 메이커 및 냉장고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9414A Division KR102617227B1 (ko) 2019-07-06 2023-02-14 아이스 메이커 및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5494A true KR20210005494A (ko) 2021-01-14

Family

ID=7414208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1738A KR20210005494A (ko) 2018-11-16 2019-07-06 아이스 메이커 및 냉장고
KR1020230019414A KR102617227B1 (ko) 2019-07-06 2023-02-14 아이스 메이커 및 냉장고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9414A KR102617227B1 (ko) 2019-07-06 2023-02-14 아이스 메이커 및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10005494A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07189B2 (ja) * 2002-11-29 2009-01-14 株式会社吉野工業所 透明な球形氷製造容器
KR101968563B1 (ko) * 2011-07-15 2019-08-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아이스 메이커
KR101890939B1 (ko) * 2011-07-15 2018-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아이스 메이커
KR101850918B1 (ko) * 2011-10-04 2018-05-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아이스 메이커 및 이를 이용한 얼음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7227B1 (ko) 2023-12-21
KR20230026373A (ko) 2023-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4838546B (zh) 制冰器及冰箱
AU2023216901A1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KR20230018503A (ko) 아이스 메이커 및 냉장고
CN111197888B (zh) 制冰器及冰箱
KR20210005494A (ko) 아이스 메이커 및 냉장고
KR20210005492A (ko) 아이스 메이커
KR20210005493A (ko) 아이스 메이커 및 냉장고
KR20210005490A (ko) 아이스 메이커
KR20210005483A (ko) 아이스 메이커
KR20210005488A (ko) 냉장고
KR20210005495A (ko) 아이스 메이커 및 냉장고
KR20210005491A (ko) 아이스 메이커 및 냉장고
KR20210005485A (ko) 아이스 메이커 및 냉장고
KR20210005489A (ko) 냉장고
EP3653958A1 (en) Refrigerator
CN114909853B (zh) 冰箱
CN114508890B (zh) 冰箱
CN114026374B (zh) 冰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