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5163A - 사용자 장비, 전자 디바이스, 무선 통신 방법 및 저장 매체 - Google Patents

사용자 장비, 전자 디바이스, 무선 통신 방법 및 저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5163A
KR20210005163A KR1020207033975A KR20207033975A KR20210005163A KR 20210005163 A KR20210005163 A KR 20210005163A KR 1020207033975 A KR1020207033975 A KR 1020207033975A KR 20207033975 A KR20207033975 A KR 20207033975A KR 20210005163 A KR20210005163 A KR 202100051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equipment
pdcch
bandwidth portion
bwp
processing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3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치메이 추이
보원 차이
타오 추이
샤오펑 타오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100051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51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2Arrangements for increasing efficiency of notification or paging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8Discontinuous transmission [DTX]; Discontinuous reception [DR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14Spectrum sharing arrangements between different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4Arrangements for maintain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using a pre-established activity schedule, e.g. traffic indication fr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04W72/128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2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wanted sign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장비, 전자 디바이스, 무선 통신 방법, 및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장비는 처리 회로를 포함하며, 이 처리 회로는 불연속 수신(DRX) 기간의 검출 시간에 비허가 주파수 대역의 제1 대역폭 부분 상에서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을 검출하고, PDCCH가 제1 대역폭 부분 상에서 검출되지 않을 때 비허가 주파수 대역의 제2 대역폭 부분 상에서 PDCCH를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의 사용자 장비, 전자 디바이스, 무선 통신 방법, 및 저장 매체를 이용함으로써, 비허가 주파수 대역 상에서 동작하는 사용자 장비의 DRX 메커니즘이 개선될 수 있다.

Description

사용자 장비, 전자 디바이스, 무선 통신 방법 및 저장 매체
본 출원은 중국 특허청에 2018년 5월 8일에 출원된 "USER EQUIPMENT, ELECTRONIC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STORAGE MEDIUM"이라는 명칭의 중국 특허 출원 제201810431313.0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 출원은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 장비, 전자 디바이스, 무선 통신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본 개시내용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로서의 전자 디바이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사용자 장비,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 통신 방법,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사용자 장비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 통신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불연속 수신(Discontinuous Reception)(DRX)은 사용자 장비의 전력 손실을 감소시키기 위한 메커니즘이다. DRX 메커니즘에 따르면, 사용자 장비는 DRX 사이클의 검출 시간에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로부터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을 검출할 수 있다.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로부터 어떠한 PDCCH도 검출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 장비는 DRX 사이클의 휴면 시간에 진입하고, 따라서 다음 DRX 사이클을 기다린다.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로부터 PDCCH가 검출되는 경우, 사용자 장비는 PDCCH를 수신 및 복조하고, 따라서 복조된 PDCCH에 따라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와의 업링크/다운링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한다. 사용자 장비는 DRX 메커니즘에 따라 PDCCH를 주기적으로 검출하고, 어떠한 PDCCH도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 사용자 장비는 휴면 상태에 진입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사용자 장비의 전력 소비를 크게 감소시키고 사용자 장비의 전기량을 절약한다.
사용자 장비 및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 비허가 주파수 대역 상에서 동작하는 경우, 그리고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 사용자 장비에 PDCCH를 전송할 필요가 있고 사용자 장비의 활성 상태에서의 대역폭 부분(BWP)이 다른 디바이스에 의해 점유되는 경우,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PDCCH를 전송할 수 없고, 사용자 장비는 PDCCH를 검출할 수 없다. 이 경우, 사용자 장비는 원래 사용자 장비에 전송되어야 하는 PDCCH를 수신하지 않아서, 후속 데이터 전송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비허가 주파수 대역 상에서 동작하는 사용자 장비의 DRX 메커니즘을 개선하는 기술적 해결책을 제안하는 것이 요구된다.
본 개시내용의 일반적인 요약이 여기에 제공되며, 이는 본 개시내용의 전체 범위 또는 모든 특징들의 완전한 개시가 아니다.
본 개시내용의 목적은 비허가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는 사용자 장비의 DRX 메커니즘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자 장비, 전자 디바이스, 무선 통신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양태에 따르면, 사용자 장비가 제공된다. 사용자 장비는 처리 회로를 포함하며, 이 처리 회로는 불연속 수신(DRX) 사이클의 검출 시간에 비허가 주파수 대역의 제1 대역폭 부분(제1 BWP) 상에서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을 검출하고; 제1 대역폭 부분 상에서 어떠한 PDCCH도 검출되지 않을 때, 비허가 주파수 대역의 제2 대역폭 부분(제2 BWP) 상에서 PDCCH를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로서의 전자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전자 디바이스는 처리 회로를 포함하며, 이 처리 회로는 비허가 주파수 대역의 제1 대역폭 부분이 점유되어 있고, 비허가 주파수 대역의 제2 대역폭 부분이 유휴상태인 경우, 제2 대역폭 부분을 이용하여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을 사용자 장비에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사용자 장비에 의해 실행되는 무선 통신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불연속 수신(DRX) 사이클의 검출 시간에 비허가 주파수 대역의 제1 대역폭 부분 상에서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을 검출하는 단계; 및 제1 대역폭 부분 상에서 어떠한 PDCCH도 검출되지 않을 때, 비허가 주파수 대역의 제2 대역폭 부분 상에서 PDCCH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되는 무선 통신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비허가 주파수 대역의 제1 대역폭 부분이 점유되어 있고, 비허가 주파수 대역의 제2 대역폭 부분이 유휴상태인 경우, 제2 대역폭 부분을 이용하여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을 사용자 장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실행가능한 컴퓨터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가 제공된다. 실행가능한 컴퓨터 명령어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때, 컴퓨터로 하여금 본 개시내용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을 수행하게 한다.
본 개시내용에 따른 사용자 장비, 전자 디바이스, 무선 통신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에 의해,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 사용자 장비의 하나의 BWP가 점유되어 있는 것을 검출하는 경우, PDCCH는 다른 BWP 상에서 전송될 수 있다. 사용자 장비가 특정 BWP 상에서 어떠한 PDCCH도 검출하지 못하는 경우, 사용자 장비는 다른 BWP 상에서 PDCCH를 검출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로부터의 PDCCH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를 피하고, 따라서 비허가 주파수 대역 상에서 동작하는 사용자 장비의 DRX 메커니즘을 개선한다.
본 명세서에 제공된 설명에 따르면, 추가의 적응적 영역이 명백해진다. 이 요약에서의 설명 및 특정 예들은 본 개시내용의 범위를 제한하기 보다는 단지 개략적인 것이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도면들은 모든 가능한 실시예들보다는 개략적인 실시예들만을 도시하며, 본 개시내용의 범위를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도면들에서,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DRX 사이클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비의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라 BWP를 스위칭함으로써 PDCCH를 검출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라 BWP를 스위칭함으로써 PDCCH를 검출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라 BWP를 스위칭함으로써 PDCCH를 검출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라 BWP를 스위칭함으로써 PDCCH를 검출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7a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라 BWP를 스위칭함으로써 PDCCH를 검출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7b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라 BWP를 스위칭함으로써 PDCCH를 검출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로서의 전자 디바이스의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라 활성 상태에서의 BWP 상에서 PDCCH를 전송하는 시그널링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라 디폴트 BWP 상에서 PDCCH를 전송하는 시그널링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라 일시적으로 어떠한 PDCCH도 전송하지 않는 시그널링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장비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 통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라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 통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4a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장비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 통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4b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장비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 통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5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라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 통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6a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장비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 통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6b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장비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 통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7은 진화된 노드 B(eNB)의 개략적인 구성의 제1 예의 블록도이다.
도 18은 eNB의 개략적인 구성의 제2 예의 블록도이다.
도 19는 스마트폰의 개략적인 구성 예의 블록도이다.
도 20은 차량 내비게이션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구성 예의 블록도이다.
본 개시내용이 다양한 수정들 및 대체들을 쉽게 겪지만, 예들로서 특정 실시예들이 도면들에 도시되고 본 명세서에 상세히 설명된다. 그러나, 특정 실시예들의 설명은 본 개시내용을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대조적으로, 본 개시내용은 본 개시내용의 사상 및 범위 내에 속하는 모든 수정들, 등가물들 및 대체들을 커버하도록 의도된다. 대응하는 참조 번호들은 여러 도면들 전체에 걸쳐 대응하는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본 개시내용의 예들이 도면들을 참조하여 완전히 개시된다. 이하의 설명은 본질적으로 단지 개략적인 것이고, 본 개시내용, 응용 또는 이용을 제한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개략적인 실시예들이 제공되며, 따라서 본 개시내용은 그 범위를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철저하고 완전하게 전달할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상세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특정 구성요소들, 디바이스들 및 방법들의 예들과 같은 많은 구체적인 상세들이 본 명세서에서 명확하게 된다.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는, 개략적인 실시예들이 특정 상세들을 이용하지 않고 많은 상이한 방식들로 구현될 수 있고, 이는 본 개시내용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 명백하다. 일부 개략적인 예들에서, 잘 알려진 프로세스들, 구조들 및 기술들은 상세히 설명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DRX 사이클의 구성들의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DRX 사이클은 사용자 장비에 대해 구성된다. 각각의 DRX 사이클은 검출 시간 및 휴면 시간을 포함한다. 검출 시간 동안, 사용자 장비는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로부터 PDCCH가 있는지를 검출한다.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로부터 어떠한 PDCCH도 검출되지 않으면, 사용자 장비는 DRX 사이클의 휴면 시간에 진입하고, 다음 DRX 사이클의 검출 시간에 PDCCH를 검출한다. 새로운 무선(NR)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장비에는 다운링크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복수의 BWP(예를 들어, 4개의 BWP)가 제공될 수 있다. 복수의 BWP 중에서, 하나의 BWP는 활성 상태에 있고, 다른 BWP들은 비활성 상태에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 장비는 활성 상태에서의 BWP 상에서만 PDCCH를 검출한다. 도 1에서, 음영 영역은 사용자 장비에 의해 현재 이용되는 대역폭 부분이 다른 디바이스에 의해 점유되는 것을 나타내고, 따라서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PDCCH를 전송할 수 없고, 사용자 장비는 PDCCH를 검출할 수 없다.
이러한 시나리오의 경우, 비허가 주파수 대역 상에서 동작하는 사용자 장비의 DRX 메커니즘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자 장비, 전자 디바이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 통신 방법,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사용자 장비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 통신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가 본 개시내용에 따라 제공된다.
본 개시내용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은 5G NR 통신 시스템일 수 있고, 사용자 장비 및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비허가 주파수 대역 상에서 동작할 수 있다. 즉, 사용자 장비에 대해 미리 구성된 복수의 BWP들 각각은 비허가 주파수 대역의 BWP일 수 있다.
본 개시내용에 따른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임의의 유형의 전송 및 수신 포트(TRP)일 수 있다. TRP는 전송 및 수신 기능들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TRP는 사용자 장비 및 기지국 디바이스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사용자 장비 및 기지국 디바이스에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에서, TRP는 사용자 장비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기지국 디바이스에 의해 제어된다. 즉, 기지국 디바이스는 TRP를 통해 사용자 장비에 서비스들을 제공한다. 또한, 본 개시내용에서 설명된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eNB와 같은 기지국 디바이스일 수 있거나, gNB(5세대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국)일 수 있다.
본 개시내용에 따른 사용자 장비는 (스마트폰, 태블릿 개인용 컴퓨터(PC), 노트북 PC, 휴대용 게임 단말기, 휴대용/동글 모바일 라우터 및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모바일 단말기 또는 (차량 내비게이션 디바이스와 같은) 차량내 단말기일 수 있다. 사용자 장비는 M2M(machine to machine)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기(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단말기라고도 함)로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장비는 단말기들 각각에 설치된 (단일 웨이퍼를 포함하는 집적 회로 모듈과 같은) 무선 통신 모듈일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비(200)의 구성들의 예의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장비(200)는 통신 유닛(210) 및 결정 유닛(22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장비(200)의 유닛들은 처리 회로에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 장비(200)는 하나 이상의 처리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처리 회로는 다양하고 상이한 기능들 및/또는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별개의 기능 유닛들을 포함할 수 있다. 기능 유닛들은 물리적 엔티티들 또는 논리적 엔티티들일 수 있고, 상이한 이름들을 갖는 유닛들은 동일한 물리적 엔티티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유닛(210)은 다양한 유형들의 정보를 전송 및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유닛(210)은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로부터 PDCCH 및 다운링크 데이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업링크 데이터 정보를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사용자 장비(200)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일 수 있다. 또한, 결정 유닛(220)은 PDCCH를 수신하기 위한 시간 주파수 리소스를 결정하고, 예를 들어, 사용자 장비(200)에 대해 미리 구성된 복수의 BWP들 중 하나 이상의 BWP 상에서 PDCCH를 수신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장비(200)는 비허가 주파수 대역 상에서 동작할 수 있고, DRX 메커니즘을 이용하도록 구성된다. 사용자 장비(200)에 대해 구성된 DRX 사이클은 검출 시간 및 휴면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PDCCH는 검출 시간에 검출되고, PDCCH는 휴면 시간에서 검출되지 않는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르면, 결정 유닛(220)은 PDCCH를 검출하기 위한 리소스가 비허가 주파수 대역의 제1 BWP라고 결정할 수 있고, 따라서 사용자 장비(200)는 통신 유닛(210)을 통해 DRX 사이클의 검출 시간에 제1 BWP 상에서 PDCCH를 검출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장비(200)가 제1 BWP 상에서 PDCCH를 검출하지 않는 경우, 결정 유닛(220)은 PDCCH를 검출하기 위한 리소스가 비허가 주파수 대역의 제2 BWP라고 결정할 수 있고, 따라서 사용자 장비(200)는 통신 유닛(210)을 통해 DRX 사이클의 검출 시간에 제2 BWP 상에서 PDCCH를 검출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비(200)는 먼저 제1 BWP 상에서 PDCCH를 검출하고, 제1 BWP 상에서 어떠한 PDCCH도 검출되지 않는 경우 제2 BWP 상에서 PDCCH를 검출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비허가 주파수 대역의 DRX 메커니즘을 개선한다.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라 BWP를 스위칭함으로써 PDCCH를 검출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장비(200)는 DRX 사이클에 따라 BWP1 상에서 PDCCH를 검출한다. 사용자 장비(200)가 DRX 사이클의 검출 시간에 BWP1 상에서 PDCCH를 검출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 장비(200)는 DRX 사이클의 검출 시간에 BWP2 상에서 PDCCH를 검출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BWP 및 제2 BWP 각각은 사용자 장비(200)에 대해 미리 구성된 다운링크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BWP들일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장비(200)에는 다운링크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복수의 BWP가 제공될 수 있다. 복수의 BWP 중에서, 하나의 BWP는 활성 상태에 있고, 다른 BWP들은 비활성 상태에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BWP는 활성 상태에 있고, 제2 BWP는 비활성 상태에 있다.
즉,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장비(200)는 활성 상태에서의 BWP 상에서 PDCCH를 검출할 수 있다. 활성 상태에서의 BWP 상에서 어떠한 PDCCH도 검출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 장비(200)는 비활성 상태에서의 BWP들 중 하나 상에서 PDCCH를 검출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장비(200)는 사용자 장비(200)에 대해 구성된 다운링크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복수의 BWP들을 관리하고 저장하도록 구성된 BWP 관리 유닛(25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BWP 관리 유닛(250)은 각각의 BWP의 활성 상태에 관한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장비(200)는 통신 유닛(210)을 통해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로부터 복수의 미리 구성된 BWP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장비(200)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로부터 복수의 BWP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장비(200)는 BWP 관리 유닛(250)에 복수의 BWP에 관한 수신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장비(200)는 통신 유닛(210)을 통해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로부터 활성 상태에서의 BWP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활성 상태에서의 BWP에 관한 정보는 활성 상태에서의 BWP에 관한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장비(200)는 RRC 시그널링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예를 들어, RRC 시그널링에서의 firstActiveDownlinkBwp-Id의 필드를 통해)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로부터 활성 상태에서의 BWP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장비(200)는 BWP 관리 유닛(250)에 활성 상태에서의 BWP에 관한 수신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장비(200)에 대해 미리 구성된 활성 상태에서의 BWP가 변하는 경우, 사용자 장비(200)는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로부터 활성 상태에서의 업데이트된 BWP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활성 상태에서의 업데이트된 BWP에 관한 정보는 활성 상태에서의 업데이트된 BWP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장비(200)는 RRC 시그널링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 및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하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로부터 활성 상태에서의 업데이트된 BWP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장비(200)는 활성 상태에서의 업데이트된 BWP에 관한 정보에 따라 BWP 저장 유닛(250) 내의 저장 기록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2 BWP는 사용자 장비(200)에 대해 구성된 디폴트 BWP일 수 있다. 즉, 제2 BWP는 사용자 장비(200)에 대해 구성된 비활성 상태에서의 BWP들 중의 디폴트 BWP일 수 있다. 디폴트 BWP의 우선순위는 활성 상태에서의 BWP보다 낮고 비활성 상태에서의 다른 BWP들보다 높다. 즉,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큰 확률로 디폴트 BWP 상에서 다운링크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장비(200)는 통신 유닛(210)을 통해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로부터 디폴트 BWP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디폴트 BWP에 관한 정보는 디폴트 BWP에 관한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장비(200)는 RRC 시그널링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예를 들어, RRC 시그널링에서의 defaultDownlikBwp-Id의 필드를 통해)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로부터 디폴트 BWP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장비(200)는 디폴트 BWP에 관한 수신된 정보를 BWP 관리 유닛(250)에 추가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장비(200)에 대해 미리 구성된 디폴트 BWP가 변하는 경우, 사용자 장비(200)는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로부터 업데이트된 디폴트 BWP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업데이트된 디폴트 BWP에 관한 정보는 업데이트된 디폴트 BWP에 관한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장비(200)는 RRC 시그널링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 및 DCI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하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로부터 업데이트된 디폴트 BWP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장비(200)는 업데이트된 디폴트 BWP에 관한 정보에 따라 BWP 저장 유닛(250) 내의 저장 기록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따라서, 활성 상태에서의 BWP 및 디폴트 BWP를 포함하는, 다운링크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복수의 BWP가 사용자 장비(200)에 대해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운링크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4개의 BWP가 사용자 장비(200)에 대해 구성되고, BWP1은 활성 상태에 있고, BWP2는 디폴트 BWP이다. 사용자 장비(200)는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로부터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BWP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그 정보를 BWP 관리 유닛(250)에 저장할 수 있다.
<표 1>
Figure pct00001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장비(200)는 어떠한 PDCCH도 검출되지 않으면 BWP를 스위칭함으로써 PDCCH를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에 의해 PDCCH가 수신되지 않을 확률을 최대로 낮춘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장비(200)는 카운터를 설정하도록 구성된 카운팅 유닛(2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카운터는 사용자 장비가 활성 상태에서의 BWP 상에서 어떠한 PDCCH도 연속적으로 검출하지 못하는 횟수, 즉, 활성 상태에서의 BWP 상에서 어떠한 PDCCH도 연속적으로 검출하지 못하는 DRX 사이클들의 수를 나타낸다. 또한, 카운터의 초기 값은 0이고, 카운터는 활성 상태에서의 BWP 상에서 사용자 장비에 의해 PDCCH가 검출될 때마다 리셋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BWP가 사용자 장비의 활성 상태에서의 BWP인 경우, 카운팅 유닛(240)에 의해 설정된 카운터는 사용자 장비(200)가 제1 BWP 상에서 어떠한 PDCCH도 연속적으로 검출하지 못하는 횟수를 나타낸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장비(200)는 카운터의 값이 미리 결정된 임계치보다 큰 경우에만 제2 BWP 상에서 PDCCH를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장비(200)가 제1 BWP 상에서 PDCCH를 검출하는 경우, 사용자 장비(200)는 검출된 PDCCH를 복조하고 복조된 PDCCH에 따라 업링크/다운링크 정보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 카운팅 유닛(240)은 카운터를 리셋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장비(200)가 제1 BWP 상에서 PDCCH를 검출하는 경우, 사용자 장비(200)는 통신 유닛(210)을 통해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피드백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피드백 정보는 사용자 장비(200)가 제1 BWP 상에서 PDCCH를 검출하는 것을 나타낸다. 여기서, 피드백 정보는 업링크 제어 정보(UCI)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UCI는 제1 BWP 상에서 검출된 PDCCH에 관한 또는 후속 다운링크 데이터에 관한 피드백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즉, 피드백 정보는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PDCCH가 사용자 장비(200)에 의해 검출되었다는 것을 암시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르면, PDCCH가 제1 BWP 상에서 사용자 장비(200)에 의해 검출되지 않고, 카운터의 값이 미리 결정된 임계치보다 크지 않은 경우, 사용자 장비(200)는 DRX 사이클의 휴면 시간에 진입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장비(200)가 제1 BWP 상에서 어떠한 PDCCH도 검출하지 않고, 카운터의 값이 미리 결정된 임계치보다 큰 경우, 사용자 장비(200)는 제2 BWP 상에서 PDCCH를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 카운팅 유닛(240)은 카운터의 값에 1을 추가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라 BWP를 스위칭함으로써 PDCCH를 검출하는 프로세스의 개략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DRX 사이클의 검출 시간에, 사용자 장비(200)는 BWP1 상에서 PDCCH를 검출한다. 사용자 장비(200)가 어떠한 PDCCH도 검출하지 않는 경우, 카운팅 유닛(240)은 카운터의 값에 1을 추가하고, 1을 추가한 후의 카운터의 값이 미리 결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지를 결정한다. 카운터의 값이 미리 결정된 임계치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 장비(200)는 제1 DRX 사이클의 휴면 시간에 진입한다. 후속하여, 제2 DRX 사이클의 검출 시간에, 사용자 장비(200)는 BWP1 상에서 PDCCH를 검출한다. 사용자 장비(200)가 어떠한 PDCCH도 검출하지 않으면, 카운팅 유닛(240)은 카운터의 값에 1을 추가하고, 1을 추가한 후의 카운터의 값이 미리 결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지를 결정한다. 카운터의 값이 미리 결정된 임계치를 초과하지 않으면, 사용자 장비(200)는 제2 DRX 사이클의 휴면 시간에 진입한다. 후속하여, 제3 DRX 사이클의 검출 시간에, 사용자 장비(200)는 BWP1 상에서 PDCCH를 검출한다. 사용자 장비(200)가 어떠한 PDCCH도 검출하지 않으면, 카운팅 유닛(240)은 카운터의 값에 1을 추가하고, 1을 추가한 후의 카운터의 값이 미리 결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지를 결정한다. 카운터의 값이 미리 결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면, 사용자 장비(200)는 BWP2 상에서 PDCCH를 검출한다.
따라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르면, 어떠한 PDCCH도 검출되지 않을 때마다 사용자 장비(200)가 BWP를 스위칭할 필요가 없고, 카운터가 설정된다. PDCCH는 제1 BWP 상에서 어떠한 PDCCH도 연속적으로 검출하지 못하는 횟수, 즉, DRX 사이클들의 수가 미리 결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에만 제2 BWP 상에서 검출되고, 이에 의해 사용자 장비(200)에 의한 상이한 BWP들 사이의 빈번한 스위칭을 피하고, 따라서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감소시킨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장비(200)는 채널 검출 프로세스를 실행하도록 구성된 채널 검출 유닛(2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채널 검출 프로세스는 LBT(listen before talk) 프로세스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르면, 채널 검출 유닛(230)은 제1 BWP에 대해 채널 검출 프로세스를 실행하여, 제1 BWP가 점유되어 있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널 검출 유닛(230)은 제1 BWP 상에서 유형 2의 LBT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LBT 프로세스는 25㎲의 채널 검출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채널 검출 유닛(230)은 채널 검출 프로세스를 통해 제1 BWP의 채널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채널 상태는 점유 상태 및 유휴 상태를 포함한다. 점유 상태는, 제1 BWP가 다른 디바이스에 의해 점유되어 있고 정보를 전송 및 수신하는데 이용될 수 없다는 것을 나타내고, 유휴 상태는 제1 BWP가 다른 디바이스에 의해 점유되어 있지 않고 정보를 전송 및 수신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장비(200)가 제1 BWP 상에서 어떠한 PDCCH도 검출하지 않고, 채널 검출 유닛(230)이 제1 BWP가 점유된 것을 검출하는 경우, 사용자 장비(200)는 통신 유닛(210)을 통해 제2 BWP 상에서 PDCCH를 검출할 수 있다. 즉, 사용자 장비(200)는 제1 BWP 상에서 어떠한 PDCCH도 검출되지 않을 때마다 제2 BWP 상에서 PDCCH를 검출하는 것이 불필요하고, 사용자 장비(200)는 제1 BWP가 점유된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에만 제2 BWP 상에서 PDCCH를 검출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르면, 채널 검출 유닛(230)은 DRX 사이클의 검출 시간 후에 채널 검출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
즉, DRX 사이클의 검출 시간에, 통신 유닛(210)은 제1 BWP 상에서 어떠한 PDCCH도 수신하지 않고, 채널 검출 유닛(230)은 검출 시간 후에 채널 검출 프로세스를 실행하여 제1 BWP의 채널 상태를 결정한다. 제1 BWP의 채널 상태가 제1 BWP가 점유되어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PDCCH는 제2 BWP 상에서 검출된다.
또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BWP 상에서 어떠한 PDCCH도 검출되지 않고, 채널 검출 유닛(230)의 채널 검출 결과가 제1 BWP가 점유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에, 사용자 장비(200)는 DRX 사이클의 휴면 시간에 진입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라 BWP를 스위칭함으로써 PDCCH를 검출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5의 흑색 영역은 LBT 프로세스가 실행되는 기간을 나타낸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DRX 사이클의 검출 시간에, 사용자 장비(200)는 BWP1 상에서 PDCCH를 검출한다. 사용자 장비(200)가 어떠한 PDCCH도 검출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 장비(200)는 LBT 프로세스를 실행한다. LBT 프로세스의 결과가 BWP1이 점유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내면, 사용자 장비(200)는 제1 DRX 사이클의 휴면 시간에 진입한다. 후속하여, 제2 DRX 사이클의 검출 시간에, 사용자 장비(200)는 BWP1 상에서 PDCCH를 검출한다. 사용자 장비(200)가 어떠한 PDCCH도 검출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 장비(200)는 LBT 프로세스를 실행한다. LBT 프로세스의 결과가 BWP1이 점유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내면, 사용자 장비(200)는 제2 DRX 사이클의 휴면 시간에 진입한다. 후속하여, 제3 DRX 사이클의 검출 시간에, 사용자 장비(200)는 BWP1 상에서 PDCCH를 검출한다. 사용자 장비(200)가 어떠한 PDCCH도 검출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 장비(200)는 LBT 프로세스를 실행한다. LBT 프로세스의 결과가 BWP1이 점유되어 있다는 것을 나타내면, 사용자 장비(200)는 BWP2 상에서 PDCCH를 검출한다. 도 5는 채널 검출 프로세스가 LBT 프로세스인 예를 도시하고, 채널 검출 프로세스는 채널 상태가 확실히 검출될 수 있는 다른 프로세스일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르면, 어떠한 PDCCH도 검출되지 않을 때마다 사용자 장비(200)는 BWP를 스위칭할 필요가 없고, 채널 검출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어떠한 PDCCH도 제1 BWP 상에서 검출되지 않고, 제1 BWP가 점유되는 경우에만 PDCCH가 제2 BWP 상에서 검출되고, 이에 의해 사용자 장비(200)에 의한 상이한 BWP들 사이의 빈번한 스위칭을 피하고, 따라서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감소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카운팅 유닛(240) 및 채널 검출 유닛(230) 중 하나는 사용자 장비에 의한 상이한 BWP들 사이의 빈번한 스위칭을 피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장비(200)는 카운팅 유닛(240) 및 채널 검출 유닛(230) 둘 다를 포함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사용자 장비에 의한 상이한 BWP들 사이의 빈번한 스위칭을 최대로 피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르면, 채널 검출 유닛(230)은 카운터의 값이 미리 결정된 임계치보다 큰 경우에만 채널 검출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장비(200)가 제1 BWP 상에서 어떠한 PDCCH도 검출하지 않고, 카운터의 값이 미리 결정된 임계치보다 크지 않은 경우, 사용자 장비(200)는 DRX 사이클의 휴면 시간에 진입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장비(200)가 제1 BWP 상에서 어떠한 PDCCH도 검출하지 않고, 카운터의 값이 미리 결정된 임계치보다 크고, 제1 BWP가 유휴상태인 경우, 사용자 장비(200)는 DRX 사이클의 휴면 시간에 진입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장비(200)가 제1 BWP 상에서 어떠한 PDCCH도 검출하지 않고, 카운터의 값이 미리 결정된 임계치보다 크고, 제1 BWP가 점유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 장비(200)는 제2 BWP 상에서 PDCCH를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 카운팅 유닛(240)은 카운터의 값에 1을 추가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라 BWP를 스위칭함으로써 PDCCH를 검출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6의 흑색 영역은 LBT 프로세스가 실행되는 기간을 나타낸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DRX 사이클의 검출 시간에, 사용자 장비(200)는 BWP1 상에서 PDCCH를 검출한다. 사용자 장비(200)가 어떠한 PDCCH도 검출하지 않으면, 카운팅 유닛(240)은 카운터의 값에 1을 추가하고, 1을 추가한 후의 카운터의 값이 미리 결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지를 결정한다. 카운터의 값이 미리 결정된 임계치를 초과하지 않으면, 사용자 장비(200)는 제1 DRX 사이클의 휴면 시간에 진입한다. 후속하여, 제2 DRX 사이클의 검출 시간에, 사용자 장비(200)는 BWP1 상에서 PDCCH를 검출한다. 사용자 장비(200)가 어떠한 PDCCH도 검출하지 않는 경우, 카운팅 유닛(240)은 카운터의 값에 1을 추가하고, 1을 추가한 후의 카운터의 값이 미리 결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지를 결정한다. 카운터의 값이 미리 결정된 임계치를 초과하지 않으면, 사용자 장비(200)는 제2 DRX 사이클의 휴면 시간에 진입한다. 후속하여, 제3 DRX 사이클의 검출 시간에, 사용자 장비(200)는 BWP1 상에서 PDCCH를 검출한다. 사용자 장비(200)가 어떠한 PDCCH도 검출하지 않는 경우, 카운팅 유닛(240)은 카운터의 값에 1을 추가하고, 1을 추가한 후의 카운터의 값이 미리 결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지를 결정한다. 카운터의 값이 미리 결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면, 사용자 장비(200)는 LBT 프로세스를 실행한다. LBT 프로세스의 결과가 BWP1이 점유되어 있다는 것을 나타내면, 사용자 장비(200)는 BWP2 상에서 PDCCH를 검출한다. 도 6은 채널 검출 프로세스가 LBT 프로세스인 예를 도시하고, 채널 검출 프로세스는 채널 상태가 확실히 검출될 수 있는 다른 프로세스일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장비(200)는 다음의 경우들 중 임의의 것에서 제2 BWP 상에서 PDCCH를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BWP 상에서 어떠한 PDCCH도 검출되지 않는 경우; 제1 BWP 상에서 어떠한 PDCCH도 검출되지 않고, 카운터의 값이 미리 결정된 임계치보다 큰 경우; 제1 BWP 상에서 어떠한 PDCCH도 검출되지 않고, 제1 BWP가 점유되어 있는 경우; 및 제1 BWP 상에서 어떠한 PDCCH도 검출되지 않고, 카운터의 값이 미리 결정된 임계치보다 크고, 제1 BWP가 점유되어 있는 경우이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장비(200)에 의해 제2 BWP 상에서 PDCCH를 검출하는 프로세스는 다음의 두 가지 경우를 포함한다. 하나의 경우에, 사용자 장비(200)는 제2 BWP 상에서 PDCCH를 검출하고; 다른 경우에, 사용자 장비(200)는 제2 BWP 상에서 PDCCH를 검출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두 가지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장비(200)가 제2 BWP 상에서 PDCCH를 검출하는 경우, 사용자 장비(200)는 검출된 PDCCH를 복조하고, 복조된 PDCCH에 따라 업링크/다운링크 정보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장비(200)가 제2 BWP 상에서 PDCCH를 검출하는 경우, 사용자 장비(200)는 통신 유닛(210)을 통해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피드백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피드백 정보는 사용자 장비(200)가 제2 BWP 상에서 PDCCH를 검출하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피드백 정보는 UCI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UCI는 제2 BWP 상에서 검출된 PDCCH에 관한 또는 후속 다운링크 데이터에 관한 피드백 정보일 수 있다. 즉, 피드백 정보는 사용자 장비(200)가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PDCCH를 검출했다는 것을 암시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장비(200)가 제2 BWP 상에서 PDCCH를 검출하는 경우, BWP 관리 유닛(250)은 제2 BWP를 활성 상태인 것으로 설정하고, 제1 BWP를 비활성 상태인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BWP 관리 유닛(250)은 그 안에 저장된 BWP들의 상태들의 기록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장비(200)가 제2 BWP 상에서 PDCCH를 검출하는 경우, 사용자 장비(200)는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로부터, 제2 BWP가 활성 상태인 것으로 설정되고, 제1 BWP가 비활성 상태인 것으로 설정되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장비(200)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 또는 하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로부터 이러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이러한 정보에 따라 사용자 장비에 저장된 BWP들의 상태들의 기록을 업데이트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장비(200)는 RRC 시그널링을 통해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이러한 정보를 수신하거나, 제2 BWP 상에서 검출된 PDCCH에 의해 운반되는 DCI를 통해 이러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로부터 사용자 장비(200)에 의해 수신된 정보는, 예를 들어, 활성 상태에서의 새로운 BWP의 식별 정보, 또는 디폴트 BWP를 활성 상태에서의 BWP로 스위칭하는 것을 표시하는 1 비트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장비(200)가 제2 BWP 상에서 PDCCH를 검출하는 경우, 사용자 장비(200)는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로부터 업데이트된 디폴트 BWP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에 따라 BWP 관리 유닛(250)에 저장된 디폴트 BWP에 관한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장비(200)는 RRC 시그널링을 통해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로부터 이러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거나, 제2 BWP 상에서 검출된 PDCCH에 의해 운반되는 DCI를 통해 이러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로부터 사용자 장비(200)에 의해 수신된 정보는 새로운 디폴트 BWP에 관한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르면, 새로운 디폴트 BWP는 제2 BWP 이외의 임의의 BWP일 수 있고, 물론 제1 BWP일 수 있다. 즉, 사용자 장비(200)에 의해 수신된 새로운 디폴트 BWP는 원래의 활성 상태에서의 BWP일 수 있거나, 원래의 비활성 상태에서의 다른 BWP일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장비(200)가 제2 BWP 상에서 PDCCH를 검출하는 경우, 사용자 장비(200)는 다음 DRX 사이클의 검출 시간에 제2 BWP 상에서 PDCCH를 검출할 수 있다. 이것은 제2 BWP가 활성 상태에서의 BWP로 변경되고, 사용자 장비(200)가 디폴트로 먼저 활성 상태에서의 BWP 상에서 PDCCH를 검출하기 때문이다.
도 7a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라 BWP를 스위칭함으로써 PDCCH를 검출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장비가 BWP1 상에서 PDCCH를 검출하지 않는다면, 사용자 장비(200)는 BWP2 상에서 PDCCH를 검출한다. 사용자 장비(200)가 BWP2의 제1 DRX 사이클에서 PDCCH를 검출하는 경우, 사용자 장비(200)는 BWP2의 제2 DRX 사이클에서 BWP2 상에서 PDCCH를 여전히 검출한다. 여기서, 도 7a는 제1 BWP 상에서 어떠한 PDCCH도 검출하지 못하는 것에 응답하여 사용자 장비가 제2 BWP 상에서 PDCCH를 검출하는 경우를 도시한다. 실제로, 사용자 장비는 전술한 임의의 다른 조건에 응답하여 제2 BWP 상에서 PDCCH를 검출하도록 트리거링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장비(200)가 제2 BWP 상에서 PDCCH를 검출하지 않는 경우, 활성 상태에서의 BWP는 여전히 제1 BWP일 수 있고, 디폴트 BWP는 여전히 제2 BWP일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장비(200)는 디폴트로 먼저 활성 상태에서의 BWP 상에서 PDCCH를 검출하고, 따라서 사용자 장비는 DRX 사이클의 다음 DRX 사이클의 검출 시간에 제1 BWP 상에서 PDCCH를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7b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라 BWP를 스위칭함으로써 PDCCH를 검출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장비가 BWP1 상에서 PDCCH를 검출하지 않는다면, 사용자 장비(200)는 BWP2 상에서 PDCCH를 검출한다. 사용자 장비(200)가 BWP2의 제1 DRX 사이클에서 어떠한 PDCCH도 검출하지 않으면, 사용자 장비(200)는 다음 DRX 사이클에서 BWP1 상에서 PDCCH를 여전히 검출한다. 여기서, 도 7b는 제1 BWP 상에서 어떠한 PDCCH도 검출하지 못하는 것에 응답하여 사용자 장비가 제2 BWP 상에서 PDCCH를 검출하는 경우를 도시한다. 실제로, 사용자 장비는 전술한 임의의 다른 조건에 응답하여 제2 BWP 상에서 PDCCH를 검출하도록 트리거링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장비(200)가 제2 BWP 상에서 PDCCH를 검출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 장비(200)는 DRX 사이클의 휴면 시간에 진입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장비(200)는 활성 상태에서 PDCCH를 검출할 수 있다. 사용자 장비(200)는 활성 상태에서의 BWP 상에서 어떠한 PDCCH도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 디폴트 BWP 상에서 PDCCH를 검출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사용자 장비(200)가 PDCCH를 검출할 수 없는 경우를 피한다. 또한, 사용자 장비(200)는 카운터 및/또는 채널 검출 프로세스를 설정함으로써 BWP들 사이의 빈번한 스위칭을 피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장비(200)는 PDCCH가 디폴트 BWP 상에서 검출되는지 여부의 결과에 따라 활성 상태에서의 BWP를 스위칭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요약하면,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르면, 비허가 주파수 대역 상에서 동작하는 사용자 장비의 DRX 메커니즘이 개선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로서의 전자 디바이스(800)의 구조의 블록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800)는 통신 유닛(810) 및 처리 유닛(82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디바이스(800)의 유닛들은 처리 회로에 포함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800)는 하나 이상의 처리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처리 회로는 상이한 기능들 및/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다양한 별개의 기능 유닛들을 포함할 수 있다. 기능 유닛들은 물리적 엔티티들 또는 논리적 엔티티들일 수 있고, 상이한 이름들을 갖는 유닛들은 동일한 물리적 엔티티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유닛(810)은 정보를 전송 및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유닛(810)은 다양한 유형들의 PDCCH 및 다운링크 데이터 정보를 사용자 장비에 전송할 수 있고, 사용자 장비로부터 업링크 데이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장비는 전자 디바이스(800)의 커버리지 내의 사용자 장비일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르면, 처리 유닛(820)은 PDCCH를 전송하기 위한 시간 주파수 리소스를 결정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사용자 장비에 대해 미리 구성된 복수의 BWP들 중 하나 이상의 BWP 상에서 PDCCH를 전송하기를 결정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르면, 비허가 주파수 대역의 제1 BWP가 점유되어 있고, 비허가 주파수 대역의 제2 BWP가 유휴상태인 경우, 처리 유닛(820)은 PDCCH를 전송하기 위한 리소스가 제2 BWP라고 결정할 수 있고, 따라서 전자 디바이스(800)의 통신 유닛(810)은 PDCCH를 제2 BWP를 통해 사용자 장비에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800)는 제1 BWP가 점유되어 있는 경우에 제2 BWP를 이용하여 PDCCH를 사용자 장비에 전송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제1 BWP가 점유되어 있기 때문에 PDCCH가 전송될 수 없는 경우를 피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800)는 사용자 장비에 대한 다운링크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BWP를 구성하도록 구성된 BWP 구성 유닛(84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디바이스(800)의 BWP 구성 유닛(840)은 사용자 장비에 대한 다운링크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복수의 BWP를 미리 구성할 수 있다. 복수의 BWP 중에서, 하나의 BWP는 활성 상태에 있고, 다른 BWP들은 비활성 상태에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BWP 및 제2 BWP 모두는 사용자 장비에 대해 미리 구성된 다운링크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BWP들일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디바이스(800)는 미리 구성된 복수의 BWP에 관한 정보를 통신 유닛(210)을 통해 사용자 장비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800)는 RRC 시그널링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복수의 BWP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 장비에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BWP는 활성 상태에 있고, 제2 BWP는 비활성 상태에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디바이스(800)는 활성 상태에서의 BWP에 관한 정보를 통신 유닛(810)을 통해 사용자 장비에 전송할 수 있다. 활성 상태에서의 BWP에 관한 정보는 활성 상태에서의 BWP에 관한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800)는 RRC 시그널링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예를 들어, RRC 시그널링에서의 firstActiveDownlinkBwp-Id의 필드를 통해) 활성 상태에서의 BWP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 장비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전자 디바이스(800)가 사용자 장비의 활성 상태에서의 BWP가 변경된다고 결정하는 경우, 전자 디바이스(800)는 활성 상태에서의 업데이트된 BWP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 장비에 전송할 수 있다. 활성 상태에서의 업데이트된 BWP에 관한 정보는 활성 상태에서의 업데이트된 BWP에 관한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800)는 RRC 시그널링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 및 DCI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하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활성 상태에서의 업데이트된 BWP에 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2 BWP는 사용자 장비에 대해 구성된 디폴트 BWP일 수 있다. 즉, 제2 BWP는 사용자 장비에 대해 구성된 비활성 상태에서의 BWP들 중의 디폴트 BWP일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디바이스(800)는 디폴트 BWP에 관한 정보를 통신 유닛(810)을 통해 사용자 장비에 전송할 수 있다. 디폴트 BWP에 관한 정보는 디폴트 BWP에 관한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800)는 RRC 시그널링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예를 들어, RRC 시그널링에서의 defaultDownlinkBwp-Id의 필드를 통해) 디폴트 BWP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 장비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전자 디바이스(800)가 사용자 장비에 대해 미리 구성된 디폴트 BWP가 변경된다고 결정하는 경우, 전자 디바이스(800)는 업데이트된 디폴트 BWP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 장비에 전송할 수 있다. 업데이트된 디폴트 BWP에 관한 정보는 업데이트된 디폴트 BWP에 관한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800)는 RRC 시그널링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 및 DCI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하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업데이트된 디폴트 BWP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 장비에 전송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디바이스(800)는 먼저 활성 상태에서의 BWP 상에서 PDCCH를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장비의 활성 상태에서의 BWP가 점유되어 있는 경우, 전자 디바이스(800)는 디폴트 BWP 상에서 PDCCH를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800)는 채널 검출 프로세스를 실행하도록 구성된 채널 검출 유닛(83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채널 검출 프로세스는 LBT 프로세스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디바이스(800)는 제1 BWP에 대해 채널 검출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고, 따라서 제1 BWP가 점유되어 있다고 결정하거나, 또는 제2 BWP에 대해 채널 검출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고, 따라서 채널 검출 프로세스를 통해 제2 BWP가 유휴상태인 것으로 결정한다. 예를 들어, 채널 검출 유닛(830)은 제1 BWP 및 제2 BWP 상에서 유형 2의 LBT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LBT 프로세스는 25㎲의 채널 검출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채널 검출 유닛(830)은 채널 검출 프로세스에 의해 제1 BWP 및 제2 BWP의 채널 상태들을 결정할 수 있다. 채널 상태는 점유 상태 및 유휴 상태를 포함한다. 점유 상태는 BWP가 다른 디바이스에 의해 점유되어 있고 정보를 전송 및 수신하는데 이용될 수 없다는 것을 나타내고, 유휴 상태는 BWP가 다른 디바이스에 의해 점유되어 있지 않고 정보를 전송 및 수신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르면, 채널 검출 유닛(830)은 PDCCH를 전송하기 전에 제1 BWP에 대해 채널 검출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 채널 검출 유닛(830)이 제1 BWP가 유휴상태인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 PDCCH는 제1 BWP를 이용하여 전송된다. 채널 검출 유닛(830)이 제1 BWP가 점유되어 있는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 채널 검출 프로세스는 제2 BWP에 대해 실행된다. 또한, 채널 검출 유닛(830)이 제2 BWP가 유휴상태인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 PDCCH는 제2 BWP를 이용하여 전송된다.
도 9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라 활성 상태에서의 BWP 상에서 PDCCH를 전송하는 시그널링 흐름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S901에서, 사용자 장비(UE)는 RRC 구성 요청을 기지국에 전송한다. 이어서, S902에서, 기지국은 RRC 구성을 UE에 전송한다. 후속하여, S903에서, UE는 RRC 구성 완료 메시지를 기지국에 전송한다. 후속하여, S904에서, 기지국은 BWP1이 유휴상태라는 것을 결정하기 위해 BWP1에 대해 채널 검출 프로세스를 실행한다. 이어서, S906에서, 기지국은 BWP1 상에서 PDCCH를 전송한다. 또한, S905에서, UE는 DRX 사이클에 따라 PDCCH를 검출하고 BWP1 상에서 PDCCH를 검출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르면, PDCCH가 제2 BWP를 이용하여 사용자 장비에 전송되는 경우, BWP 구성 유닛(840)은 제2 BWP를 활성 상태인 것으로 설정하고, 제1 BWP를 비활성 상태인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르면, PDCCH가 제2 BWP를 이용하여 사용자 장비에 전송되고, 전자 디바이스(800)가 사용자 장비로부터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에, BWP 구성 유닛(840)은 제2 BWP를 활성 상태인 것으로 설정하고, 제1 BWP를 비활성 상태인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피드백 정보는 사용자 장비가 제2 BWP 상에서 PDCCH를 검출하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피드백 정보는 UCI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UCI는 전자 디바이스(800)에 의해 전송된 PDCCH에 관한 피드백 정보 또는 후속하여 전송된 다운링크 데이터에 관한 피드백 정보일 수 있다. 즉, 피드백 정보는 사용자 장비가 전자 디바이스(800)에 의해 전송된 PDCCH를 검출했음을 암시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르면, BWP 구성 유닛(840)은 PDCCH가 제2 BWP를 이용하여 사용자 장비에 전송되는 경우에 제2 BWP를 활성 상태인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전자 디바이스(800)는 제2 BWP를 이용하여 PDCCH를 전송하고, 사용자 장비는 PDCCH를 검출하지 않는다(예를 들어, 제2 BWP 상의 사용자 장비의 DRX 사이클의 검출 시간 후에, 전자 디바이스(800)는 제2 BWP를 이용하여 PDCCH를 전송한다). 따라서, BWP 구성 유닛(840)은 BWP 구성 유닛(840)이 제2 BWP를 이용하여 PDCCH를 사용자 장비에 전송하고 사용자 장비로부터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에 제2 BWP를 활성 상태인 것으로 설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디바이스(800)는 제2 BWP가 활성 상태인 것으로 설정되고, 제1 BWP가 비활성 상태인 것으로 설정된다는 정보를 사용자 장비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전자 디바이스(800)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 또는 하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이러한 정보를 사용자 장비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800)는 이러한 정보를 RRC 시그널링을 통해 사용자 장비에 전송할 수 있거나, 또는 제2 BWP 상에서 전송된 PDCCH에 의해 운반되는 DCI에 의해 이러한 정보를 운반할 수 있다. 또한, 전자 디바이스(800)에 의해 전송된 정보는, 예를 들어, 활성 상태에서의 새로운 BWP의 식별 정보, 또는 디폴트 BWP를 활성 상태에서의 BWP로 스위칭하는 것을 나타내는 1 비트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르면, PDCCH가 제2 BWP를 이용하여 사용자 장비에 전송되는 경우, 전자 디바이스(800)는 업데이트된 디폴트 BWP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 장비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800)는 이러한 정보를 RRC 시그널링을 통해 사용자 장비에 전송할 수 있거나, 또는 제2 BWP 상에서 전송된 PDCCH에 의해 운반되는 DCI에 의해 이러한 정보를 운반할 수 있다. 또한, 전자 디바이스(800)에 의해 전송된 정보는 새로운 디폴트 BWP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르면, 새로운 디폴트 BWP는 제2 BWP 이외의 임의의 BWP일 수 있고, 물론 제1 BWP일 수 있다. 즉, 새로운 디폴트 BWP는 원래의 활성 상태에서의 BWP일 수 있거나, 원래의 비활성 상태에서의 다른 BWP일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2 BWP가 활성 상태인 것으로 설정되고, 제1 BWP가 비활성 상태인 것으로 설정되는 실시예와 유사하게, PDCCH가 제2 BWP를 이용하여 사용자 장비에 전송되고, 전자 디바이스(800)가 사용자 장비로부터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전자 디바이스(800)는 업데이트된 디폴트 BWP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 장비에 전송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라 디폴트 BWP 상에서 PDCCH를 전송하는 시그널링 흐름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S1001에서, UE는 RRC 구성 요청을 기지국에 전송한다. 이어서, S1002에서, 기지국은 RRC 구성을 UE에 전송한다. 후속하여, S1003에서, UE는 RRC 구성 완료 메시지를 기지국에 전송한다. 후속하여, S1004에서, 기지국은 BWP1이 점유되어 있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BWP1에 대해 채널 검출 프로세스를 실행한다. 후속하여, S1005에서, 기지국은 BWP2가 유휴상태인지를 결정하기 위해 BWP2에 대해 채널 검출 프로세스를 실행한다. 이어서, S1007에서, 기지국은 PDCCH를 BWP2에 전송한다. 또한, S1006에서, UE는 DRX 사이클에 따라 PDCCH를 검출하고, BWP1 상에서 어떠한 PDCCH도 검출되지 않고, BWP1이 점유되어 있는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BWP2 상에서 PDCCH를 검출한다. 후속하여, S1008에서, UE는 활성 상태에서의 새로운 BWP 및 BWP2 상에서 검출된 PDCCH에 의해 운반되는 DCI에 따른 새로운 디폴트 BWP를 결정한다. 여기서, 도 10은 활성 상태에서의 새로운 BWP 및 새로운 디폴트 BWP가 PDCCH에 의해 운반되는 예를 도시한다. 실제로, 전자 디바이스(800)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의 정보의 하나 이상의 유형을 운반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르면, PDCCH가 제2 BWP를 이용하여 사용자 장비에 전송되는 경우, BWP 구성 유닛(840)은 사용자 장비에 대해 구성된 다운링크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복수의 BWP로부터 새로운 디폴트 BWP를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BWP 구성 유닛(840)은 활성 상태에서의 새로운 BWP 이외의 사용자 장비에 대해 구성된 다운링크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복수의 BWP 중의 다른 BWP들로부터 새로운 디폴트 BWP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DCCH가 제2 BWP를 이용하여 사용자 장비로 전송되는 경우, 제2 BWP는 활성 상태에서의 새로운 BWP로서 설정되고, BWP 구성 유닛(840)은 제2 BWP 이외의 사용자 장비에 대해 구성된 모든 BWP들로부터 새로운 디폴트 BWP를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르면, BWP 구성 유닛(840)은 전자 디바이스(800)에 의해 검출된 복수의 BWP들 각각의 채널 유휴 확률에 따라 디폴트 BWP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널 검출 유닛(830)은 복수의 BWP들 각각에 대해 채널 검출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고, 따라서 각각의 BWP의 채널 유휴 확률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BWP 구성 유닛(840)은 복수의 BWP들로부터 가장 높은 채널 유휴 확률을 갖는 BWP를 디폴트 BWP로서 선택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800)는 제2 BWP가 유휴상태인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에 제2 BWP를 이용하여 PDCCH를 전송할 수 있고, 따라서 활성 상태에서의 BWP 및 사용자 장비의 디폴트 BWP를 변경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BWP가 점유되어 있고, 제2 BWP가 점유되어 있는 경우, 전자 디바이스(800)는 어떠한 PDCCH도 사용자 장비에 일시적으로 전송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르면, 채널 검출 유닛(830)이 제1 BWP 및 제2 BWP 모두가 점유되어 있는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 전자 디바이스(800)는 미리 결정된 기간 내에 어떠한 PDCCH도 사용자 장비에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800)는 제2 BWP가 점유되어 있는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에 타이머를 설정할 수 있고, 타이머가 만료할 때 제1 BWP의 채널 상태를 다시 검출한다. 또한, 제1 BWP가 유휴상태인 경우, 전자 디바이스(800)는 제1 BWP를 이용하여 PDCCH를 사용자 장비에 전송할 수 있다. 제1 BWP가 점유되어 있는 경우, 전자 디바이스(800)는 제2 BWP에 대해 다시 채널 검출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 제2 BWP가 유휴상태인 경우, 전자 디바이스(800)는 제2 BWP를 이용하여 PDCCH를 사용자 장비에 전송할 수 있다. 실제로, 상기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내용을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으며, 전자 디바이스(800)는 다른 방식들을 채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800)는 사용자 장비를 다시 스케줄링하거나, 제1 BWP 및 제2 BWP 이외의 BWP를 이용하여 PDCCH를 전송하고, PDCCH를 운반하는 BWP를 사용자 장비에 통지한다.
도 11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라 일시적으로 어떠한 PDCCH도 전송하지 않는 시그널링 흐름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S1101에서, UE는 RRC 구성 요청을 기지국에 전송한다. 이어서, S1102에서, 기지국은 RRC 구성을 UE에 전송한다. 후속하여, S1103에서, UE는 RRC 구성 완료 메시지를 기지국에 전송한다. 후속하여, S1104에서, 기지국은 BWP1이 점유되어 있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BWP1에 대해 채널 검출 프로세스를 실행한다. 후속하여, S1105에서, 기지국은 BWP2가 또한 점유되어 있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BWP2에 대해 채널 검출 프로세스를 실행한다. 따라서, 기지국은 일시적으로 어떠한 PDCCH도 전송하지 않는다. 또한, S1106에서, UE는 DRX 사이클에 따라 PDCCH를 검출하고, BWP1 및 BWP2 모두 상에서 어떠한 PDCCH도 검출하지 않고, 따라서 휴면 시간에 진입한다. 후속하여, S1107에서, 미리 결정된 시간 후에, 기지국은 BWP1이 유휴상태인 것을 결정하기 위해 BWP1에 대해 채널 검출 프로세스를 실행한다. 후속하여, 단계 S1108에서, 기지국은 BWP1 상에서 PDCCH를 전송한다. 도 11은 미리 결정된 시간 후에 BWP1이 유휴상태인 경우를 도시한다. 실제로, 대안적으로, BWP1이 점유되어 있고, BWP2가 미리 결정된 시간 후에 유휴상태이면, 기지국은 이 경우 BWP2를 이용하여 PDCCH를 UE에 전송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디바이스(800)는 먼저 활성 상태에서의 BWP 상에서 PDCCH를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장비의 활성 상태에서의 BWP가 점유되어 있는 경우, 전자 디바이스(800)는 디폴트 BWP 상에서 PDCCH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전자 디바이스(800)는 채널 유휴 확률에 따라 디폴트 BWP를 선택할 수 있어서, 디폴트 BWP의 유휴 확률이 더 높아지게 되어, PDCCH의 성공적인 전송의 확률을 향상시킨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200)는 사용자 장비로서 기능할 수 있고, 전자 디바이스(800)는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로서 기능할 수 있으며, 즉 전자 디바이스(800)는 사용자 장비(200)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된 사용자 장비(200)의 모든 실시예들은 이에 적응된다.
후속하여,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사용자 장비(200)에 의해 실행되는 무선 통신 방법 및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로서 전자 디바이스(800)에 의해 실행되는 무선 통신 방법이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2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사용자 장비(200)에 의해 실행되는 무선 통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S1210에서,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은 불연속 수신(DRX) 사이클의 검출 시간에 비허가 주파수 대역의 제1 대역폭 부분 상에서 검출된다.
이어서, 단계 S1220에서, 제1 대역폭 부분 상에서 어떠한 PDCCH도 검출되지 않는 경우, 비허가 주파수 대역의 제2 대역폭 부분 상에서 PDCCH가 검출된다.
바람직하게는, 이 방법은 카운터를 설정하는 단계 - 카운터는 사용자 장비가 제1 대역폭 부분 상에서 어떠한 PDCCH도 연속적으로 검출하지 못하는 횟수를 나타냄 -; 및 카운터의 값이 미리 결정된 임계치보다 큰 경우에 제2 대역폭 상에서 PDCCH를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대역폭 부분 및 제2 대역폭 부분은 사용자 장비에 대해 구성된 다운링크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대역폭 부분들이다. 제1 대역폭 부분은 활성 상태에 있고, 제2 대역폭 부분은 비활성 상태에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 방법은, PDCCH가 제2 대역폭 부분 상에서 검출되는 경우, 제2 대역폭 부분을 활성 상태인 것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제1 대역폭 부분을 비활성 상태인 것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이 방법은 제2 대역폭 부분 상에서 PDCCH가 검출되는 경우에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이 방법은 제2 대역폭 부분 상에서 PDCCH가 검출되는 경우에 DRX 사이클의 다음 DRX 사이클에서 제2 대역폭 부분 상에서 PDCCH를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이 방법은 제2 대역폭 부분 상에서 어떠한 PDCCH도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 DRX 사이클의 다음 DRX 사이클에서 제1 대역폭 부분 상에서 PDCCH를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이 방법은 제2 대역폭 부분 상에서 어떠한 PDCCH도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 DRX 사이클의 휴면 시간에 진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제2 대역폭 부분은 사용자 장비에 대해 구성된 디폴트 대역폭 부분이고, 이 방법은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로부터 디폴트 대역폭 부분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이 방법은 제2 대역폭 부분 상에서 PDCCH가 검출되는 경우에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로부터 업데이트된 디폴트 대역폭 부분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이 방법은 제1 대역폭 부분 상에서 어떠한 PDCCH도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 채널 검출 프로세스를 통해 제1 대역폭 부분이 점유되어 있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제1 대역폭 부분이 점유되어 있는 경우에 제2 대역폭 부분 상에서 PDCCH를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이 방법은 DRX 사이클의 검출 시간 후에 채널 검출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이 방법은 제1 대역폭 부분 상에서 어떠한 PDCCH도 검출되지 않고, 제1 대역폭 부분이 점유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 DRX 사이클의 휴면 시간에 진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의 방법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장비(2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된 사용자 장비(200)의 모든 실시예들은 이에 적응된다.
이어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로서 전자 디바이스(800)에 의해 실행되는 무선 통신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3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로서 전자 디바이스(800)에 의해 실행되는 무선 통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S1310에서, 비허가 주파수 대역의 제1 대역폭 부분이 점유되어 있고, 비허가 주파수 대역의 제2 대역폭 부분이 유휴상태인 경우, PDCCH는 제2 대역폭 부분을 이용하여 사용자 장비에 전송된다.
바람직하게는, 이 방법은 채널 검출 프로세스를 통해 제1 대역폭 부분이 점유되어 있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채널 검출 프로세스를 통해 제2 대역폭 부분이 유휴상태인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대역폭 부분 및 제2 대역폭 부분은 사용자 장비에 대해 구성된 다운링크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대역폭 부분들이다. 제1 대역폭 부분은 활성 상태에 있고, 제2 대역폭 부분은 비활성 상태에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 방법은, PDCCH가 제2 대역폭 부분을 이용하여 사용자 장비에 전송되는 경우, 제2 대역폭 부분을 활성 상태인 것으로 설정하고, 제1 대역폭 부분을 비활성 상태인 것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이 방법은 PDCCH가 제2 대역폭 부분을 이용하여 사용자 장비에 전송되고, 피드백 정보가 사용자 장비로부터 수신되는 경우에, 제2 대역폭 부분을 활성 상태인 것으로 설정하고, 제1 대역폭 부분을 비활성 상태인 것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제2 대역폭 부분은 사용자 장비에 대해 구성된 디폴트 대역폭 부분이고, 이 방법은 디폴트 대역폭 부분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 장비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이 방법은 PDCCH가 제2 대역폭 부분을 이용하여 사용자 장비에 전송되는 경우에, 업데이트된 디폴트 대역폭 부분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 장비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이 방법은 PDCCH가 제2 대역폭 부분을 이용하여 사용자 장비에 전송되고, 피드백 정보가 사용자 장비로부터 수신되는 경우에, 업데이트된 디폴트 대역폭 부분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 장비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이 방법은 사용자 장비에 대해 구성된 다운링크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복수의 대역폭 부분들로부터 디폴트 대역폭 부분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이 방법은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검출된 복수의 대역폭 부분들 각각의 채널 유휴 확률에 따라 디폴트 대역폭 부분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이 방법은 제1 대역폭 부분이 점유되어 있고, 제2 대역폭 부분이 점유되어 있는 경우, 미리 결정된 시간 후에 제1 대역폭 부분 및 제2 대역폭 부분에 대해 채널 검출 프로세스를 재실행하는 단계; 제1 대역폭 부분이 유휴상태인 경우 제1 대역폭 부분을 이용하여 PDCCH를 사용자 장비에 전송하는 단계; 및 제1 대역폭 부분이 점유되어 있고, 제2 대역폭 부분이 유휴상태인 경우 제2 대역폭 부분을 이용하여 PDCCH를 사용자 장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의 방법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8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된 전자 디바이스(800)의 모든 실시예들은 이에 적응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의 흐름이 도 14a 내지 도 16b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된다.
도 14a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사용자 장비(200)에 의해 실행되는 무선 통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S1401에서, 임의의 DRX 사이클이 시작된다.
후속하여, 단계 S1402에서, DRX 사이클의 검출 시간에, 사용자 장비(200)는 활성 상태에서의 BWP(예를 들어, 전술한 제1 BWP, BWP1) 상에서 PDCCH를 검출한다.
후속하여, 단계 S1403에서, 사용자 장비(200)는 DRX 사이클의 검출 시간에 활성 상태에서의 BWP 상에서 PDCCH가 검출되는지를 결정한다.
후속하여, 단계 S1403에서 긍정적인 결정이 이루어진다면, 즉, 사용자 장비(200)가 DRX 사이클의 검출 시간에 활성 상태에서의 BWP 상에서 PDCCH를 검출하였다면, 이 방법은 단계 S1404로 진행한다. 단계 S1404에서, 사용자 장비(200)는 PDCCH를 디코딩한다.
후속하여, 단계 S1405에서, 사용자 장비(200)는 PDCCH의 디코딩 결과에 따라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와의 업링크/다운링크 전송을 수행한다. 업링크/다운링크 전송 후에, 이 방법은 단계 S1401로 복귀한다. 즉, 사용자 장비(200)는 DRX 사이클에서 활성 상태에서의 BWP 상에서 PDCCH를 연속적으로 검출한다.
단계 S1403에서 부정적인 결정이 이루어지는 경우, 즉 DRX 사이클의 검출 시간에 활성 상태에서의 BWP 상에서 사용자 장비(200)에 의해 어떠한 PDCCH도 검출되지 않는 경우, 이 방법은 단계 S1406으로 진행한다.
단계 S1406에서, 사용자 장비(200)는 DRX 사이클의 검출 시간에 사용자 장비(200)의 디폴트 BWP(예를 들어, 전술한 제2 BWP, BWP2) 상에서 PDCCH를 검출한다.
이어서, 단계 S1407에서, 사용자 장비(200)는 PDCCH가 디폴트 BWP 상에서 검출되는지를 결정한다.
단계 S1407에서 부정적인 결정이 이루어지는 경우, 즉 사용자 장비(200)가 디폴트 BWP 상에서 어떠한 PDCCH도 검출하지 않는 경우, 이 방법은 단계 S1410으로 진행하고, 즉 DRX 사이클의 휴면 시간에 진입한다. 그 후, 이 방법은 단계 S1401로 복귀하고, 즉, 사용자 장비(200)는 DRX 사이클에서 활성 상태에서의 BWP(예를 들어, 전술한 제1 BWP, BWP1) 상에서 PDCCH를 연속적으로 검출한다.
단계 S1407에서 긍정적인 결정이 이루어지는 경우, 즉 사용자 장비(200)가 디폴트 BWP 상에서 PDCCH를 검출한 경우, 이 방법은 단계 S1408로 진행한다. 단계 S1408에서, 사용자 장비(200)는 디폴트 BWP 상에서 검출된 PDCCH를 디코딩한다.
후속하여, 단계 S1409에서, 사용자 장비(200)는 활성 상태에서의 새로운 BWP 및 새로운 디폴트 BWP를 설정할 수 있다. 그 다음, 이 방법은 단계 S1405로 진행하고, 즉, 사용자 장비(200)는 디폴트 BWP 상에서 검출된 PDCCH의 디코딩 결과에 따라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와의 업링크/다운링크 전송을 수행한다.
도 14b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사용자 장비(200)에 의해 실행되는 무선 통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4a와 비교하여, 활성 상태에서의 BWP가 점유되어 있는지를 결정하는 단계가 도 14b에 추가된다.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S1401에서, 임의의 DRX 사이클이 시작된다.
후속하여, 단계 S1402에서, 사용자 장비(200)는 DRX 사이클의 검출 시간에 활성 상태에서의 BWP(예를 들어, 전술한 제1 BWP, BWP1) 상에서 PDCCH를 검출한다.
후속하여, 단계 S1403에서, 사용자 장비(200)는 DRX 사이클의 검출 시간에 활성 상태에서의 BWP 상에서 PDCCH가 검출되는지를 결정한다.
후속하여, 단계 S1403에서 긍정적인 결정이 이루어지는 경우, 즉, DRX 사이클의 검출 시간에 사용자 장비(200)가 활성 상태에서의 BWP 상에서 PDCCH를 검출한 경우, 이 방법은 단계 S1404로 진행한다. 단계 S1404에서, 사용자 장비(200)는 PDCCH를 디코딩한다.
후속하여, 단계 S1405에서, 사용자 장비(200)는 PDCCH의 디코딩 결과에 따라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와의 업링크/다운링크 전송을 수행한다. 업링크/다운링크 전송 후에, 이 방법은 단계 S1401로 복귀하고, 즉, 사용자 장비(200)는 DRX 사이클에서 활성 상태에서의 BWP 상에서 PDCCH를 연속적으로 검출한다.
단계 S1403에서 부정적인 결정이 이루어지는 경우, 즉 사용자 장비(200)가 DRX 사이클의 검출 시간에 활성 상태에서의 BWP 상에서 어떠한 PDCCH도 검출하지 않는 경우, 이 방법은 단계 S1406으로 진행한다.
단계 S1406에서, 사용자 장비(200)는 활성 상태에서의 BWP가 점유되어 있는지를 결정한다.
후속하여, 단계 S1406에서 부정적인 결정이 이루어지는 경우, 즉 활성 상태에서의 BWP가 점유되어 있지 않은 경우, 이 방법은 단계 S1411로 진행한다.
단계 S1411에서, 사용자 장비(200)는 DRX 사이클의 휴면 시간에 진입하고, 이 방법은 단계 S1401로 복귀한다. 즉, 사용자 장비(200)는 DRX 사이클에서 활성 상태에서의 BWP(예를 들어, 전술한 제1 BWP, BWP1) 상에서 PDCCH를 연속적으로 검출한다.
단계 S1406에서 긍정적인 결정이 이루어지는 경우, 즉 활성 상태에서의 BWP가 점유되어 있는 경우, 이 방법은 단계 S1407로 진행한다. 단계 S1407에서, 사용자 장비(200)는 DRX 사이클의 검출 시간에 디폴트 BWP(예를 들어, 전술한 제2 BWP, BWP2) 상에서 PDCCH를 검출한다.
후속하여, 단계 S1408에서, 사용자 장비(200)는 PDCCH가 디폴트 BWP 상에서 검출되는지를 결정한다.
단계 S1408에서 부정적인 결정이 이루어지는 경우, 즉 사용자 장비(200)가 디폴트 BWP 상에서 어떠한 PDCCH도 검출하지 않는 경우, 이 방법은 단계 S1411로 진행하고, 즉 DRX 사이클의 휴면 시간에 진입한다. 그 후, 이 방법은 단계 S1401로 복귀하고, 즉, 사용자 장비(200)는 DRX 사이클에서 활성 상태에서의 BWP(예를 들어, 전술한 제1 BWP, BWP1) 상에서 PDCCH를 연속적으로 검출한다.
단계 S1408에서 긍정적인 결정이 이루어지는 경우, 즉 사용자 장비(200)가 디폴트 BWP 상에서 PDCCH를 검출한 경우, 이 방법은 단계 S1409로 진행한다. 단계 S1409에서, 사용자 장비(200)는 디폴트 BWP 상에서 검출된 PDCCH를 디코딩한다.
후속하여, 단계 S1410에서, 사용자 장비(200)는 활성 상태에서의 새로운 BWP 및 새로운 디폴트 BWP를 설정할 수 있다. 그 다음, 이 방법은 단계 S1405로 진행하고, 즉, 사용자 장비(200)는 디폴트 BWP 상에서 검출된 PDCCH의 디코딩 결과에 따라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와의 업링크/다운링크 전송을 수행한다.
도 14a 및 도 14b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장비(200)에 의해 실행되는 방법의 흐름도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개시내용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 도 14a 및 도 14b를 변경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의 방법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비(2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사용자 장비(200)의 모든 실시예들은 이에 적응된다.
도 15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되는 무선 통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S1501에서,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로서의 전자 디바이스(800)는 특정 사용자 장비에 대해 PDCCH를 전송하는 것이 요구되는지를 결정한다. 전자 디바이스(800)는 단계 S1501에서 PDCCH가 전송되도록 요구되는 것으로 결정될 때까지 PDCCH를 전송하는 것이 요구되는지를 연속적으로 결정하고, 이어서 이 방법은 단계 S1502로 진행한다.
단계 S1502에서, 전자 디바이스(800)는 사용자 장비의 활성 상태에서의 BWP(예를 들어, 전술한 제1 BWP, BWP1)의 채널 유휴 상태를 검출한다.
단계 S1503에서, 전자 디바이스(800)는 사용자 장비의 활성 상태에서의 BWP가 유휴상태인지를 결정한다.
단계 S1503에서 긍정적인 결정이 이루어지는 경우, 즉 사용자 장비의 활성 상태에서의 BWP가 유휴상태인 경우, 이 방법은 단계 S1504로 진행한다.
단계 S1504에서, 전자 디바이스(800)는 사용자 장비의 활성 상태에서의 BWP 상에서 PDCCH를 전송한다.
후속하여, 단계 S1505에서, 전자 디바이스(800)는 전송된 PDCCH에 따라 사용자 장비와의 업링크/다운링크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이어서, 이 방법은 단계 S1501로 복귀하고, 즉, 전자 디바이스(800)는 PDCCH를 사용자 장비에 전송하는 것이 요구되는지를 연속적으로 결정한다.
단계 S1503에서 부정적인 결정이 이루어지는 경우, 즉 사용자 장비의 활성 상태에서의 BWP가 점유되어 있는 경우, 이 방법은 단계 S1506으로 진행한다.
단계 S1506에서, 전자 디바이스(800)는 사용자 장비의 디폴트 BWP의 채널 유휴 상태를 검출한다.
후속하여, 단계 S1507에서, 전자 디바이스(800)는 사용자 장비의 디폴트 BWP(예를 들어, 전술한 제2 BWP, BWP2)의 채널이 유휴상태인지를 결정한다.
단계 S1507에서 긍정적인 결정이 이루어지는 경우, 즉 사용자 장비의 디폴트 BWP의 채널이 유휴상태인 경우, 이 방법은 단계 S1508로 진행한다. 즉, 전자 디바이스(800)는 사용자 장비의 디폴트 BWP 상에서 PDCCH를 전송한다. 여기서, 전자 디바이스(800)는 활성 상태에서의 새로운 BWP 및/또는 새로운 디폴트 BWP를 사용자 장비에 전송할 수 있다. 이어서, 이 방법은 단계 S1505로 복귀하고, 즉, 전자 디바이스(800)는 전송된 PDCCH에 따라 사용자 장비와의 업링크/다운링크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그 후, 이 방법은 단계 S1501로 복귀한다.
단계 S1507에서 부정적인 결정이 이루어지는 경우, 즉 사용자 장비의 디폴트 BWP가 점유되어 있는 경우, 이 방법은 단계 S1509로 진행한다. 단계 S1509에서, 전자 디바이스(800)는 타이머를 시작하고, 타이머가 만료되는지를 결정한다. 타이머가 만료될 때, 이 방법은 단계 S1502로 진행한다. 즉, 전자 디바이스(800)는 활성 상태에서의 BWP 상의 채널 유휴 상태를 연속적으로 검출한다.
도 15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라 전자 디바이스(800)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의 흐름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개시내용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 도 15를 변경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800)가 디폴트 BWP가 점유되어 있다는 것을 검출하는 경우, PDCCH는 활성 상태에서의 BWP 및 디폴트 BWP 이외의 BWP들을 이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의 방법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8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된 전자 디바이스(800)의 모든 실시예들은 이에 적응된다.
도 16a는 본 개시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사용자 장비(200)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 통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4a와 비교하여, 사용자 장비(200)가 활성 상태에서의 BWP 상에서 어떠한 PDCCH도 연속적으로 검출하지 못하는 횟수를 카운트하도록 카운터를 설정하는 프로세스가 추가된다. 카운터의 초기 값은 0이다. 사용자 장비(100)가 활성 상태에서의 BWP 상에서 PDCCH를 검출할 때마다 카운터가 리셋된다.
도 1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S1601에서, 임의의 DRX 사이클이 시작된다.
후속하여, 단계 S1602에서, 사용자 장비(200)는 DRX 사이클의 검출 시간에 활성 상태에서의 BWP(예를 들어, 전술한 제1 BWP, BWP1) 상에서 PDCCH를 검출한다.
후속하여, 단계 S1603에서, 사용자 장비(200)는 DRX 사이클의 검출 시간에 활성 상태에서의 BWP 상에서 PDCCH가 검출되는지를 결정한다.
이어서, 단계 S1603에서 긍정적인 결정이 이루어지는 경우, 즉, DRX 사이클의 검출 시간에 활성 상태에서의 BWP 상에서 사용자 장비(200)가 PDCCH를 검출한 경우, 이 방법은 단계 S1604로 진행한다. 단계 S1604에서, 사용자 장비(200)는 카운터를 리셋한다.
후속하여, 단계 S1605에서, 사용자 장비(200)는 PDCCH를 디코딩한다.
후속하여, 단계 S1606에서, 사용자 장비(200)는 PDCCH의 디코딩 결과에 따라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와의 업링크/다운링크 전송을 수행한다. 업링크/다운링크 전송 후에, 이 방법은 단계 S1601로 복귀하고, 즉, 사용자 장비(200)는 DRX 사이클에서 활성 상태에서의 BWP 상에서 PDCCH를 연속적으로 검출한다.
단계 S1603에서 부정적인 결정이 이루어지는 경우, 즉 사용자 장비(200)가 DRX 사이클의 검출 시간에 활성 상태에서의 BWP 상에서 어떠한 PDCCH도 검출하지 않는 경우, 이 방법은 단계 S1607로 진행한다.
단계 S1607에서, 사용자 장비(200)는 카운터의 값에 1을 추가한다.
후속하여, 단계 S1608에서, 사용자 장비(200)는 카운터의 값이 미리 결정된 임계치보다 큰지를 결정한다.
단계 S1608에서 부정적인 결정이 이루어지는 경우, 즉 카운터의 값이 미리 결정된 임계치보다 크지 않은 경우, 이 방법은 단계 S1613으로 진행한다. 단계 S1613에서, 사용자 장비(200)는 DRX 사이클의 휴면 시간에 진입한다. 그 후, 이 방법은 단계 S1601로 복귀하고, 즉, PDCCH는 DRX 사이클에서 활성 상태에서의 BWP 상에서 검출된다.
단계 S1608에서 긍정적인 결정이 이루어지는 경우, 즉 카운터의 값이 미리 결정된 임계치보다 큰 경우, 이 방법은 단계 S1609로 진행한다. 단계 S1609에서, 사용자 장비(200)는 DRX 사이클의 검출 시간에 디폴트 BWP(예를 들어, 전술한 제2 BWP, BWP2) 상에서 PDCCH를 검출한다.
후속하여, 단계 S1610에서, 사용자 장비(200)는 PDCCH가 디폴트 BWP 상에서 검출되는지를 결정한다.
단계 S1610에서 부정적인 결정이 이루어지는 경우, 즉 사용자 장비(200)가 디폴트 BWP 상에서 어떠한 PDCCH도 검출하지 않는 경우, 이 방법은 단계 S1613으로 진행하고, 즉 DRX 사이클의 휴면 시간에 진입한다. 그 후, 이 방법은 단계 S1601로 복귀하고, 즉, 사용자 장비(200)는 DRX 사이클에서 활성 상태에서의 BWP(예를 들어, 전술한 제1 BWP, BWP1) 상에서 PDCCH를 연속적으로 검출한다.
단계 S1610에서 긍정적인 결정이 이루어지는 경우, 즉 사용자 장비(200)가 디폴트 BWP 상에서 PDCCH를 검출한 경우, 이 방법은 단계 S1611로 진행한다. 단계 S1611에서, 사용자 장비(200)는 디폴트 BWP 상에서 검출된 PDCCH를 디코딩한다.
후속하여, 단계 S1612에서, 사용자 장비(200)는 활성 상태에서의 새로운 BWP 및 새로운 디폴트 BWP를 설정할 수 있다. 그 다음, 이 방법은 단계 S1606으로 진행하고, 즉, 사용자 장비(200)는 디폴트 BWP 상에서 검출된 PDCCH의 디코딩 결과에 따라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와의 업링크/다운링크 전송을 수행한다.
도 16b는 본 개시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사용자 장비(200)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 통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4a와 비교하여, 사용자 장비(200)가 활성 상태에서의 BWP 상에서 어떠한 PDCCH도 연속적으로 검출하지 못하는 횟수를 카운트하도록 카운터를 설정하는 단계 및 활성 상태에서의 BWP가 점유되어 있는지를 결정하는 단계가 도 16b에 추가된다. 카운터의 초기 값은 0이다. 카운터는 사용자 장비(100)가 활성 상태에서의 BWP 상에서 PDCCH를 검출할 때마다 리셋된다.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S1601에서, 임의의 DRX 사이클이 시작된다.
후속하여, 단계 S1602에서, 사용자 장비(200)는 DRX 사이클의 검출 시간에 활성 상태에서의 BWP(예를 들어, 전술한 제1 BWP, BWP1) 상에서 PDCCH를 검출한다.
후속하여, 단계 S1603에서, 사용자 장비(200)는 DRX 사이클의 검출 시간에 활성 상태에서의 BWP 상에서 PDCCH가 검출되는지를 결정한다.
이어서, 단계 S1603에서 긍정적인 결정이 이루어지는 경우, 즉, 사용자 장비(200)가 DRX 사이클의 검출 시간에 활성 상태에서의 BWP 상에서 PDCCH를 검출한 경우, 이 방법은 단계 S1604로 진행한다. 단계 S1604에서, 사용자 장비(200)는 카운터를 리셋한다.
이어서, 단계 S1605에서, 사용자 장비(200)는 PDCCH를 디코딩한다.
후속하여, 단계 S1606에서, 사용자 장비(200)는 PDCCH의 디코딩 결과에 따라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와의 업링크/다운링크 전송을 수행한다. 업링크/다운링크 전송 후에, 이 방법은 단계 S1601로 복귀하고, 즉, 사용자 장비(200)는 DRX 사이클에서 활성 상태에서의 BWP 상에서 PDCCH를 연속적으로 검출한다.
단계 S1603에서 부정적인 결정이 이루어지는 경우, 즉 사용자 장비(200)가 DRX 사이클의 검출 시간에 활성 상태에서의 BWP 상에서 어떠한 PDCCH도 검출하지 않는 경우, 이 방법은 단계 S1607로 진행한다.
단계 S1607에서, 사용자 장비(200)는 카운터의 값에 1을 추가한다.
후속하여, 단계 S1608에서, 사용자 장비(200)는 카운터의 값이 미리 결정된 임계치보다 큰지를 결정한다.
단계 S1608에서 부정적인 결정이 이루어지는 경우, 즉 카운터의 값이 미리 결정된 임계치보다 크지 않은 경우, 이 방법은 단계 S1614로 진행한다. 단계 S1614에서, 사용자 장비(200)는 DRX 사이클의 휴면 시간에 진입하고, 그 후 이 방법은 단계 S1601로 복귀한다. 즉, PDCCH는 DRX 사이클에서 활성 상태에서의 BWP 상에서 연속적으로 검출된다.
단계 S1608에서 긍정적인 결정이 이루어지는 경우, 즉 카운터의 값이 미리 결정된 임계치보다 큰 경우, 이 방법은 단계 S1609로 진행한다. 단계 S1609에서, 사용자 장비(200)는 활성 상태에서의 BWP가 점유되어 있는지를 결정한다.
이어서, 단계 S1609에서 부정적인 결정이 이루어지는 경우, 즉 활성 상태에서의 BWP가 점유되어 있지 않은 경우, 이 방법은 단계 S1614로 진행한다. 즉, 사용자 장비(200)는 DRX 사이클의 휴면 시간에 진입하고, 이 방법은 단계 S1601로 복귀한다.
단계 S1609에서 긍정적인 결정이 이루어지는 경우, 즉 활성 상태에서의 BWP가 점유되어 있는 경우, 이 방법은 단계 S1610으로 진행한다. 단계 S1610에서, 사용자 장비(200)는 DRX 사이클의 검출 시간에 디폴트 BWP(예를 들어, 전술한 제2 BWP, BWP2) 상에서 PDCCH를 검출한다.
후속하여, 단계 S1611에서, 사용자 장비(200)는 PDCCH가 디폴트 BWP 상에서 검출되는지를 결정한다.
단계 S1611에서 부정적인 결정이 이루어지는 경우, 즉 사용자 장비(200)가 디폴트 BWP 상에서 어떠한 PDCCH도 검출하지 않는 경우, 이 방법은 단계 S1614로 진행하고, 즉 DRX 사이클의 휴면 시간에 진입한다. 그 후, 이 방법은 단계 S1601로 복귀하고, 즉, 사용자 장비(200)는 DRX 사이클에서 활성 상태에서의 BWP(예를 들어, 전술한 제1 BWP, BWP1) 상에서 PDCCH를 연속적으로 검출한다.
단계 S1611에서 긍정적인 결정이 이루어지는 경우, 즉 사용자 장비(200)가 디폴트 BWP 상에서 PDCCH를 검출한 경우, 이 방법은 단계 S1612로 진행한다. 단계 S1612에서, 사용자 장비(200)는 디폴트 BWP 상에서 검출된 PDCCH를 디코딩한다.
후속하여, 단계 S1613에서, 사용자 장비(200)는 활성 상태에서의 새로운 BWP 및 새로운 디폴트 BWP를 설정할 수 있다. 그 다음, 이 방법은 단계 S1606으로 진행하고, 즉, 사용자 장비(200)는 디폴트 BWP 상에서 검출된 PDCCH의 디코딩 결과에 따라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와의 업링크/다운링크 전송을 수행한다.
도 16a 및 도 16b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비(200)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의 흐름도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개시내용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 도 16a 및 도 16b를 변경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의 방법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비(2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전술한 사용자 장비(200)의 모든 실시예들은 이에 적응된다.
본 개시내용의 기술은 다양한 제품들에 적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임의의 유형의 TRP로서 구현될 수 있다. TRP는 전송 및 수신 기능들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TRP는 사용자 장비 및 기지국 디바이스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사용자 장비 및 기지국 디바이스에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전형적인 예에서, TRP는 사용자 장비에 서비스들을 제공할 수 있고, 기지국 디바이스에 의해 제어된다. 또한, TRP는 후술하는 기지국 디바이스와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거나, 기지국 디바이스에서의 정보 전송 및 수신과 관련된 구조만을 가질 수 있다.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매크로 eNB 및 소형 eNB와 같은 임의의 유형의 기지국 디바이스로서 구현될 수 있고, 또한 임의의 유형의 gNB(5G 시스템에서의 기지국)로서 구현될 수 있다. 소형 eNB는, 피코 eNB, 마이크로 eNB 및 홈(펨토) eNB와 같이, 매크로 셀보다 작은 셀을 커버하는 eNB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기지국은 NodeB 및 기지국 트랜시버 스테이션(BTS)과 같은 임의의 다른 유형의 기지국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기지국은 (기지국 디바이스라고도 하는) 무선 통신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본체, 및 본체와는 상이한 장소에 위치된 하나 이상의 원격 무선 헤드 엔드(RRH)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장비는 모바일 단말기(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 개인용 컴퓨터(PC), 노트북 PC, 휴대용 게임 단말기, 휴대용/동글 모바일 라우터 및 디지털 카메라) 또는 차량 단말기(예컨대, 차량 내비게이션 디바이스)일 수 있다. 사용자 장비는 M2M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기(MTC 단말기라고도 함)로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장비는 사용자 장비들 각각에 설치된 무선 통신 모듈(예를 들어, 단일 칩을 포함하는 집적 회로 모듈)일 수 있다.
<기지국의 응용 예들>
(제1 응용예)
도 17은 본 개시내용의 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 eNB의 개략적인 구성의 제1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eNB(1700)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1710) 및 기지국 디바이스(1720)를 포함한다. 기지국 디바이스(1720) 및 각각의 안테나(1710)는 RF 케이블을 통해 서로 접속될 수 있다.
각각의 안테나(1710)는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안테나에 포함된 복수의 안테나 요소들과 같은) 하나 이상의 안테나 요소를 포함하고, 기지국 디바이스(1720)에 의해 무선 신호를 전송 및 수신하는데 이용된다. eNB(1700)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안테나들(171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안테나들(1710)은 eNB(1700)에 의해 이용되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들과 호환될 수 있다. 도 17이 eNB(1700)가 복수의 안테나들(1710)을 포함하는 예를 도시하지만, eNB(1700)는 또한 단일 안테나(1710)를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 디바이스(1720)는 제어기(1721), 메모리(172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723) 및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725)를 포함한다.
제어기(1721)는 CPU 또는 DSP일 수 있고, 기지국 디바이스(1720)의 상위 계층들의 다양한 기능들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기(1721)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725)에 의해 처리된 신호 내의 데이터에 기반하여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고, 생성된 패킷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723)를 통해 전송한다. 제어기(1721)는 복수의 기저대역 프로세서들로부터의 데이터를 번들링하여 번들링된 패킷을 생성하고, 생성된 번들링된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 제어기(1721)는 무선 리소스 제어, 무선 베어러 제어, 이동성 관리, 승인 제어, 및 스케줄링과 같은 제어를 수행하는 논리적 기능들을 가질 수 있다. 제어는 인접한 eNB 또는 코어 네트워크 노드와 함께 수행될 수 있다. 메모리(1722)는 RAM 및 ROM을 포함하고, 제어기(1721)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및 (단말기 리스트, 전송 전력 데이터, 및 스케줄링 데이터와 같은) 다양한 유형들의 제어 데이터를 저장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723)는 기지국 디바이스(1720)를 코어 네트워크(1724)에 접속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이다. 제어기(1721)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723)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 노드 또는 다른 eNB와 통신할 수 있다. 그 경우, eNB(1700) 및 코어 네트워크 노드 또는 다른 eNB는 (S1 인터페이스 및 X2 인터페이스와 같은) 논리적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로 접속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723)는 또한 무선 백홀을 위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 또는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723)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인 경우,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725)에 의해 이용되는 주파수 대역보다 더 높은 무선 통신 주파수 대역을 이용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725)는 (롱 텀 에볼루션(LTE) 및 LTE-어드밴스드와 같은) 임의의 셀룰러 통신 방식을 지원하고, 안테나(1710)를 통해 eNB(1700)의 셀에 위치된 단말기로의 무선 접속을 제공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725)는 통상적으로, 예를 들어, 기저대역(BB) 프로세서(1726) 및 RF 회로(1727)를 포함할 수 있다. BB 프로세서(1726)는 예를 들어 코딩/디코딩, 변조/복조 및 다중화/역다중화를 수행하고, 계층들의 다양한 유형들의 신호 프로세스들(예를 들어, L1, MAC(media access control), RLC(radio link control) 및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기(1721) 대신에, BB 프로세서(1726)는 전술한 논리적 기능들의 일부 또는 전부를 가질 수 있다. BB 프로세서(1726)는 통신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 또는 프로세서 및 프로그램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관련 회로를 포함하는 모듈일 수 있다. BB 프로세서(1726)의 기능은 프로그램들이 업데이트될 때 변경될 수 있다. 모듈은 기지국 디바이스(1720)의 슬롯에 삽입되는 카드 또는 블레이드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모듈은 카드 또는 블레이드 상에 장착되는 칩일 수 있다. 한편, RF 회로(1727)는, 예를 들어, 주파수 믹서, 필터 및 증폭기를 포함할 수 있고, 안테나(1710)를 통해 무선 신호를 전송 및 수신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725)는 복수의 BB 프로세서(1726)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BB 프로세서(1726)는 eNB(1700)에 의해 이용되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들과 호환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725)는 복수의 RF 회로(1727)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RF 회로(1727)는 복수의 안테나 요소와 호환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725)가 복수의 BB 프로세서(1726) 및 복수의 RF 회로(1727)를 포함하는 예가 도 17에 도시되어 있지만,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725)는 또한 단일 BB 프로세서(1726) 또는 단일 RF 회로(1727)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응용예)
도 18은 본 개시내용에 따른 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 eNB의 개략적인 구성의 제2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eNB(1830)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1840), 기지국 디바이스(1850) 및 RRH(1860)를 포함한다. 각각의 안테나(1840) 및 RRH(1860)는 RF 케이블을 통해 서로 접속될 수 있다. 기지국 디바이스(1850) 및 RRH(1860)는 섬유 케이블과 같은 고속 라인을 통해 서로 접속될 수 있다.
각각의 안테나(1840)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 요소(예컨대, MIMO 안테나에 포함된 복수의 안테나 요소)를 포함하고, RRH(1860)에 의해 무선 신호를 전송 및 수신하는데 이용된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eNB(1830)는 복수의 안테나(184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안테나(1840)는 eNB(1830)에 의해 이용되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들과 호환될 수 있다. eNB(180)가 복수의 안테나(1840)를 포함하는 예가 도 18에 도시되지만, eNB(1830)는 또한 단일 안테나(1840)를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 디바이스(1850)는 제어기(1851), 메모리(185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853),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855), 및 접속 인터페이스(1857)를 포함한다. 제어기(1851), 메모리(185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853)는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된 제어기(1721), 메모리(172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723)와 동일하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855)는 (LTE 및 LTE-어드밴스드와 같은) 임의의 셀룰러 통신 솔루션을 지원하고, RRH(1860) 및 안테나(1840)를 통해 RRH(1860)에 대응하는 섹터에 위치된 단말기와의 무선 통신을 제공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855)는 통상적으로 예를 들어, BB 프로세서(1856)를 포함할 수 있다. 접속 인터페이스(1857)를 통해 RRH(1860)의 RF 회로(1864)에 접속하는 것 외에, BB 프로세서(1856)는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된 BB 프로세서(1726)와 동일하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855)는 복수의 BB 프로세서(1856)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BB 프로세서(1856)는 eNB(1830)에 의해 이용되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과 호환될 수 있다. 도 18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855)가 복수의 BB 프로세서(1856)를 포함하는 예를 도시하지만,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855)는 또한 단일 BB 프로세서(1856)를 포함할 수 있다.
접속 인터페이스(1857)는 기지국 디바이스(1850)(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855))를 RRH(1860)에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접속 인터페이스(1857)는 또한 기지국 디바이스(1850)(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855))를 RRH(1860)에 접속하는 전술한 고속 라인에서의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일 수 있다.
RRH(1860)는 접속 인터페이스(1861) 및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863)를 포함한다.
접속 인터페이스(1861)는 RRH(1860)(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863))를 기지국 디바이스(1850)에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접속 인터페이스(1861)는 또한 상기의 고속 라인에서의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일 수 있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863)는 안테나(1840)를 통해 무선 신호를 전송 및 수신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863)는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RF 회로(1864)를 포함할 수 있다. RF 회로(1864)는, 예를 들어, 주파수 믹서, 필터 및 증폭기를 포함할 수 있고, 안테나(1840)를 통해 무선 신호를 전송 및 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863)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RF 회로(1864)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RF 회로(1864)는 복수의 안테나 요소를 지원할 수 있다. 도 18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863)가 복수의 RF 회로(1864)를 포함하는 예를 도시하지만,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863)는 또한 단일 RF 회로(186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eNB(1700) 및 도 18에 도시된 eNB(1830)에서, 도 8에 설명된 처리 유닛(820), 채널 검출 유닛(830) 및 BWP 구성 유닛(840)은 제어기(1721) 및/또는 제어기(1851)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기능들 중 적어도 일부는 제어기(1721) 및 제어기(1851)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기(1721) 및/또는 제어기(1851)는 대응하는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PDCCH를 전송하기 위한 리소스들을 결정하고, 채널을 검출하고, BWP를 구성할 수 있다.
<단말기 디바이스의 응용예>
(제1 응용예)
도 19는 본 개시내용의 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 스마트폰(1900)의 예시적인 구성의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스마트폰(1900)은 프로세서(1901), 메모리(1902), 저장 디바이스(1903), 외부 접속 인터페이스(1904), 카메라(1906), 센서(1907), 마이크로폰(1908), 입력 디바이스(1909),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910), 스피커(1911),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912), 하나 이상의 안테나 스위치(1915), 하나 이상의 안테나(1916), 버스(1917), 배터리(1918) 및 보조 제어기(1919)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901)는, 예를 들어, CPU 또는 SoC(system on chip)일 수 있고, 스마트폰(1900)의 응용 계층 및 다른 계층들의 기능들을 제어할 수 있다. 메모리(1902)는 RAM 및 ROM을 포함하고, 프로세서(1901)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한다. 저장 디바이스(1903)는 반도체 메모리 및 하드 디스크와 같은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접속 인터페이스(1904)는 외부 디바이스(예컨대, 메모리 카드 및 범용 직렬 버스(USB) 디바이스)를 스마트폰(1900)에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카메라(1906)는 CCD(charge coupled device) 및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와 같은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고, 캡처된 이미지를 생성한다. 센서(1907)는 측정 센서, 자이로 센서, 지자기 센서, 및 가속도 센서와 같은 센서들의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1908)은 스마트폰(1900)에 입력되는 사운드들을 오디오 신호들로 변환한다. 입력 디바이스(1909)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910)의 스크린 상의 터치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터치 센서, 키패드, 키보드, 버튼 또는 스위치를 포함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조작 또는 정보를 수신한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910)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및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와 같은 스크린을 포함하고, 스마트폰(1900)의 출력 이미지를 표시한다. 스피커(1911)는 스마트폰(1900)으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들을 사운드들로 변환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912)는 (LTE 및 LTE-어드밴스드와 같은) 임의의 셀룰러 통신 방식을 지원하고,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912)는 통상적으로, 예를 들어, 기저대역(BB) 프로세서(1913) 및 RF 회로(1914)를 포함할 수 있다. BB 프로세서(1913)는, 예를 들어, 인코딩/디코딩, 변조/복조 및 다중화/역다중화를 수행하고, 무선 통신을 위한 다양한 유형들의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RF 회로(1914)는 예를 들어 주파수 믹서, 필터 및 증폭기를 포함할 수 있고, 안테나(2016)를 통해 무선 신호를 전송 및 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912)는 BB 프로세서(1913) 및 RF 회로(1914)가 그 위에 통합된 칩 모듈일 수 있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912)는 복수의 BB 프로세서(1913) 및 복수의 RF 회로(191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9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912)가 복수의 BB 프로세서들(1913) 및 복수의 RF 회로들(1914)을 포함하는 예를 도시하지만,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912)는 또한 단일 BB 프로세서(1913) 또는 단일 RF 회로(191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셀룰러 통신 방식 외에도,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912)는 또한 단거리 무선 통신 방식, 근접장 통신 방식, 및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LAN) 방식과 같은 다른 유형의 무선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 있다. 이 경우,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912)는 각각의 무선 통신 방식을 위한 BB 프로세서(1913) 및 RF 회로(1914)를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 스위치들(1915) 각각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912)에 포함된 복수의 회로들(예컨대, 상이한 무선 통신 방식들을 위한 회로들) 사이에서 안테나들(1916)의 접속 목적지들을 스위칭한다.
안테나들(1916) 각각은 하나 이상의 안테나 요소(예컨대, MIMO 안테나에 포함된 복수의 안테나 요소)를 포함하고,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912)가 무선 신호들을 전송 및 수신하는데 이용된다. 스마트폰(1900)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안테나(191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9는 스마트폰(1900)이 복수의 안테나(1916)를 포함하는 예를 도시하지만, 스마트폰(1900)은 또한 단일 안테나(191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1900)은 각각의 무선 통신 방식을 위한 안테나(1916)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안테나 스위치들(1915)은 스마트폰(1900)의 구성으로부터 생략될 수 있다.
버스(1917)는 프로세서(1901), 메모리(1902), 저장 디바이스(1903), 외부 접속 인터페이스(1904), 카메라(1906), 센서(1907), 마이크로폰(1908), 입력 디바이스(1909),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910), 스피커(1911),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912) 및 보조 제어기(1919)를 서로에게 접속한다. 배터리(1918)는 도면에서 파선들로 부분적으로 도시된 피더들을 통해 도 19에 도시된 스마트폰(1900)의 각각의 블록에 전력을 공급한다. 보조 제어기(1919)는, 예를 들어, 휴면 모드에서 스마트폰(1900)의 최소 필수 기능을 동작시킨다.
도 19에 도시된 스마트폰(1900)에서, 도 2에 설명된 결정 유닛(220), 채널 검출 유닛(230), 카운팅(240) 및 BWP 관리 유닛(250)은 프로세서(1901) 또는 보조 제어기(1919)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기능 중 적어도 일부는 프로세서(1901) 또는 보조 제어기(1919)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901) 또는 보조 제어기(1919)는 메모리(1902) 또는 저장 디바이스(1903)에 저장된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PDCCH를 검출하기 위한 리소스들을 결정하고, 채널을 검출하고, 어떠한 PDCCH도 연속적으로 검출하지 못하는 횟수를 카운트하고, BWP를 관리할 수 있다.
(제2 응용예)
도 20은 본 개시내용에 따른 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 차량 내비게이션 디바이스(2020)의 개략적인 구성의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차량 내비게이션 디바이스(2020)는 프로세서(2021), 메모리(2022),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2024), 센서(2025), 데이터 인터페이스(2026), 콘텐츠 플레이어(2027), 저장 매체 인터페이스(2028), 입력 디바이스(2029),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30), 스피커(2031),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2033), 하나 이상의 안테나 스위치(2036), 하나 이상의 안테나(2037), 및 배터리(2038)를 포함한다.
프로세서(2021)는 예를 들어 CPU 또는 SoC일 수 있고, 차량 내비게이션 디바이스(2020)의 내비게이션 기능 및 다른 기능들을 제어할 수 있다. 메모리(2022)는 RAM 및 ROM을 포함하고, 프로세서(2021)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한다.
GPS 모듈(2024)은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된 GPS 신호들을 이용함으로써 차량 내비게이션 디바이스(2020)의 (위도, 경도 및 고도와 같은) 위치를 결정한다. 센서(2025)는 자이로스코프 센서, 지자기 센서 및 공기압 센서와 같은 센서들의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인터페이스(2026)는 예를 들어, 도시되지 않은 단말기를 통해 차량내 네트워크(2041)에 접속되고, 차량 속도 데이터와 같은, 차량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를 취득한다.
콘텐츠 플레이어(2027)는 저장 매체 인터페이스(2028)에 삽입된 저장 매체(예컨대, CD 및 DVD)에 저장된 콘텐츠를 재생한다. 입력 디바이스(2029)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30)의 스크린 상의 터치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터치 센서, 버튼 또는 스위치를 포함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조작 또는 정보를 수신한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30)는 LCD 또는 OLED 디스플레이와 같은 스크린을 포함하고, 내비게이션 기능 또는 재생되는 콘텐츠의 이미지를 표시한다. 스피커(2031)는 내비게이션 기능 또는 재생되는 콘텐츠의 사운드들을 출력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2033)는 (LTE 및 LTE-어드밴스드와 같은) 임의의 셀룰러 통신 방식을 지원하고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2033)는 통상적으로 예를 들어, BB 프로세서(2034) 및 RF 회로(2035)를 포함할 수 있다. BB 프로세서(2034)는 예를 들어, 인코딩/디코딩, 변조/복조 및 다중화/역다중화를 수행하고, 무선 통신을 위한 다양한 유형들의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RF 회로(2035)는 예를 들어 믹서, 필터 및 증폭기를 포함할 수 있고, 안테나(2037)를 통해 무선 신호를 전송 및 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2033)는 또한 BB 프로세서(2034) 및 RF 회로(2035)가 그 위에 통합된 하나의 칩 모듈일 수 있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2033)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BB 프로세서(2034) 및 복수의 RF 회로(203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0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2033)가 복수의 BB 프로세서(2034) 및 복수의 RF 회로(2035)를 포함하는 예를 도시하지만,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2033)는 또한 단일 BB 프로세서(2034) 또는 단일 RF 회로(2035)를 포함할 수 있다.
셀룰러 통신 방식 외에도,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2033)는 또한 단거리 무선 통신 방식, 근접장 통신 방식, 및 무선 LAN 방식과 같은 다른 유형의 무선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 있다. 이 경우,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2033)는 각각의 무선 통신 방식을 위한 BB 프로세서(2034) 및 RF 회로(2035)를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 스위치들(2036) 각각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2033)에 포함된 복수의 회로들(예컨대, 상이한 무선 통신 방식들을 위한 회로들) 사이에서 안테나(2037)의 접속 목적지들을 스위칭한다.
안테나들(2037) 각각은 하나 이상의 안테나 요소(예컨대, MIMO 안테나에 포함된 복수의 안테나 요소)를 포함하고,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203)가 무선 신호를 전송 및 수신하는데 이용된다. 차량 내비게이션 디바이스(2020)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안테나들(2037)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0은 차량 내비게이션 디바이스(2020)가 복수의 안테나들(2037)을 포함하는 예를 도시하지만, 차량 내비게이션 디바이스(2020)는 또한 단일 안테나(2037)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 내비게이션 디바이스(2020)는 각각의 무선 통신 방식을 위한 안테나(2037)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안테나 스위치들(2036)은 차량 내비게이션 디바이스(2020)의 구성으로부터 생략될 수 있다.
배터리(2038)는 도면에서 파선들로 부분적으로 도시된 피더들을 통해 도 20에 도시된 차량 내비게이션 디바이스(2020)의 각각의 블록에 전력을 공급한다. 배터리(2038)는 차량으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축적한다.
도 20에 도시된 차량 내비게이션 디바이스(2020)에서, 도 2에 설명된 결정 유닛(220), 채널 검출 유닛(230), 카운팅(240) 및 BWP 관리 유닛(250)은 프로세서(2021)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기능 중 적어도 일부는 프로세서(2021)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021)는 메모리(2022)에 저장된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PDCCH를 검출하기 위한 리소스들을 결정하고, 채널을 검출하고, 어떠한 PDCCH도 연속적으로 검출하지 못하는 횟수를 카운트하고, BWP를 관리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기술은 또한 차량 내비게이션 디바이스(2020)의 블록들 중 하나 이상, 차량내 네트워크(2041) 및 차량 모듈(2042)을 포함하는 차량내 시스템(또는 차량)(2040)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차량 모듈(2042)은 차량 속도, 엔진 속도, 및 고장 정보와 같은 차량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데이터를 차량내 네트워크(2041)에 출력한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면들을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내용은 물론 위의 예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들 및 수정들을 행할 수 있고, 이러한 변경들 및 수정들은 당연히 본 개시내용의 기술적 범위 내에 속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들에 도시된 기능 블록도에서 점선 블록으로 도시된 유닛들은 기능 유닛들이 대응하는 디바이스에서 임의적이라는 것을 나타내고, 임의적 기능 유닛들은 요구되는 기능을 달성하기 위해 적절히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의 실시예에서의 하나의 유닛의 복수의 기능은 별개의 디바이스들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의 실시예들에서 복수의 유닛들에 의해 구현되는 복수의 기능들은 별개의 디바이스들에 의해 각각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기능들 중 하나는 복수의 유닛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말할 필요도 없이, 이러한 구성들은 본 개시내용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 흐름도에서 설명된 단계들은 시간순으로 수행되는 처리뿐만 아니라, 시간순보다는 병렬로 또는 개별적으로 수행되는 처리를 포함한다. 또한, 시간순으로 처리된 단계들에서도, 당연히 그 순서는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이 위에서 도면들과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되었다. 그러나,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본 개시내용을 제한하기 보다는, 본 개시내용을 예시하도록 의도된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개시내용의 본질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실시예들에 대해 다양한 변경들 및 수정들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내용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 및 그 등가물들에 의해 정의된다.

Claims (27)

  1. 사용자 장비로서,
    처리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처리 회로는,
    불연속 수신(DRX) 사이클의 검출 시간에 비허가 주파수 대역의 제1 대역폭 부분 상에서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을 검출하고;
    상기 제1 대역폭 부분 상에서 어떠한 PDCCH도 검출되지 않을 때, 상기 비허가 주파수 대역의 제2 대역폭 부분 상에서 PDCCH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 장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는 추가로,
    상기 사용자 장비가 상기 제1 대역폭 부분 상에서 어떠한 PDCCH도 연속적으로 검출하지 못하는 횟수를 나타내는 카운터를 설정하고;
    상기 카운터가 미리 결정된 임계치보다 클 때, 상기 제2 대역폭 부분 상에서 PDCCH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 장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대역폭 부분 및 상기 제2 대역폭 부분은 상기 사용자 장비에 대해 구성된 다운링크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대역폭 부분들이고, 상기 제1 대역폭 부분은 상기 제2 대역폭 부분이 비활성 상태에 있는 동안 활성 상태에 있는, 사용자 장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는 추가로,
    PDCCH가 상기 제2 대역폭 부분 상에서 검출될 때, 상기 제2 대역폭 부분을 활성 상태인 것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1 대역폭 부분을 비활성 상태인 것으로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 장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는 추가로,
    PDCCH가 상기 제2 대역폭 부분 상에서 검출될 때,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 장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는 추가로,
    PDCCH가 상기 제2 대역폭 부분 상에서 검출될 때, 상기 DRX 사이클의 다음 DRX 사이클에서 상기 제2 대역폭 부분 상에서 PDCCH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 장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는 추가로,
    상기 제2 대역폭 부분 상에서 어떠한 PDCCH도 검출되지 않을 때, 상기 DRX 사이클의 다음 DRX 사이클에서 상기 제1 대역폭 부분 상에서 PDCCH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 장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는 추가로,
    상기 제2 대역폭 부분 상에서 어떠한 PDCCH도 검출되지 않을 때, 상기 DRX 사이클의 휴면 시간에 진입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 장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대역폭 부분은 상기 사용자 장비에 대해 구성된 디폴트 대역폭 부분이고,
    상기 처리 회로는 추가로,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디폴트 대역폭 부분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 장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는 추가로,
    PDCCH가 상기 제2 대역폭 부분 상에서 검출될 때, 상기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로부터 업데이트된 디폴트 대역폭 부분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 장비.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는 추가로,
    상기 제1 대역폭 부분 상에서 어떠한 PDCCH도 검출되지 않을 때, 채널 검출 프로세스를 통해 상기 제1 대역폭 부분이 점유되어 있다고 결정하고,
    상기 제1 대역폭 부분이 점유되어 있을 때, 상기 제2 대역폭 부분 상에서 PDCCH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 장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는 추가로,
    상기 DRX 사이클의 검출 시간 후에 상기 채널 검출 프로세스를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 장비.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는 추가로,
    상기 제1 대역폭 부분 상에서 어떠한 PDCCH도 검출되지 않고, 상기 제1 대역폭 부분이 점유되어 있지 않을 때, 상기 DRX 사이클의 휴면 시간에 진입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 장비.
  14.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로서의 전자 디바이스로서,
    처리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처리 회로는,
    비허가 주파수 대역의 제1 대역폭 부분이 점유되어 있고, 상기 비허가 주파수 대역의 제2 대역폭 부분이 유휴상태인 경우, 상기 제2 대역폭 부분을 이용하여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을 사용자 장비에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는 추가로,
    채널 검출 프로세스를 통해, 상기 제1 대역폭 부분이 점유되어 있다고 결정하고,
    채널 검출 프로세스를 통해, 상기 제2 대역폭 부분이 유휴상태인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대역폭 부분 및 상기 제2 대역폭 부분은 상기 사용자 장비에 대해 구성된 다운링크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대역폭 부분들이고, 상기 제1 대역폭 부분은 상기 제2 대역폭 부분이 비활성 상태에 있는 동안 활성 상태에 있는, 전자 디바이스.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는 추가로,
    상기 제2 대역폭 부분을 이용하여 상기 PDCCH를 상기 사용자 장비에 전송하는 경우, 상기 제2 대역폭 부분을 활성 상태인 것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1 대역폭 부분을 비활성 상태인 것으로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는 추가로,
    상기 제2 대역폭 부분을 이용하여 상기 PDCCH를 상기 사용자 장비에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장비로부터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2 대역폭 부분을 활성 상태인 것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1 대역폭 부분을 비활성 상태인 것으로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대역폭 부분은 상기 사용자 장비에 대해 구성된 디폴트 대역폭 부분이고,
    상기 처리 회로는 추가로, 상기 디폴트 대역폭 부분에 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장비에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는 추가로,
    상기 제2 대역폭 부분을 이용하여 상기 PDCCH를 상기 사용자 장비에 전송하는 경우, 업데이트된 디폴트 대역폭 부분에 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장비에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는 추가로,
    상기 제2 대역폭 부분을 이용하여 상기 PDCCH를 상기 사용자 장비에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장비로부터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업데이트된 디폴트 대역폭 부분에 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장비에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는 추가로,
    상기 사용자 장비에 대해 구성된 다운링크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복수의 대역폭 부분 중에서 상기 디폴트 대역폭 부분을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는 추가로,
    상기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검출된 상기 복수의 대역폭 부분 각각의 채널 유휴 확률에 따라 상기 디폴트 대역폭 부분을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24.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는 추가로,
    상기 제1 대역폭 부분이 점유되어 있고, 상기 제2 대역폭 부분이 점유되어 있는 경우, 미리 결정된 시간 후에 상기 제1 대역폭 부분에 대해 채널 검출 프로세스를 재실행하고;
    상기 제1 대역폭 부분이 유휴상태인 경우, 상기 제1 대역폭 부분을 이용하여 PDCCH를 상기 사용자 장비에 전송하고;
    상기 제1 대역폭 부분이 점유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2 대역폭 부분에 대해 채널 검출 프로세스를 재실행하고;
    상기 제2 대역폭 부분이 유휴상태인 경우, 상기 제2 대역폭 부분을 이용하여 PDCCH를 상기 사용자 장비에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25. 사용자 장비에 의해 실행되는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불연속 수신(DRX) 사이클의 검출 시간에 비허가 주파수 대역의 제1 대역폭 부분 상에서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대역폭 부분 상에서 어떠한 PDCCH도 검출되지 않을 때, 상기 비허가 주파수 대역의 제2 대역폭 부분 상에서 PDCCH를 검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26.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되는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비허가 주파수 대역의 제1 대역폭 부분이 점유되어 있고, 상기 비허가 주파수 대역의 제2 대역폭 부분이 유휴상태인 경우, 상기 제2 대역폭 부분을 이용하여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을 사용자 장비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27.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제25항 또는 제26항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을 실행하게 하는 실행가능한 컴퓨터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
KR1020207033975A 2018-05-08 2019-04-30 사용자 장비, 전자 디바이스, 무선 통신 방법 및 저장 매체 KR2021000516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0431313.0A CN110461008A (zh) 2018-05-08 2018-05-08 用户设备、电子设备、无线通信方法和存储介质
CN201810431313.0 2018-05-08
PCT/CN2019/085078 WO2019214493A1 (zh) 2018-05-08 2019-04-30 用户设备、电子设备、无线通信方法和存储介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5163A true KR20210005163A (ko) 2021-01-13

Family

ID=68467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3975A KR20210005163A (ko) 2018-05-08 2019-04-30 사용자 장비, 전자 디바이스, 무선 통신 방법 및 저장 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388772B2 (ko)
EP (1) EP3755033A4 (ko)
KR (1) KR20210005163A (ko)
CN (2) CN110461008A (ko)
WO (1) WO2019214493A1 (ko)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33316B2 (en) * 2006-11-03 2013-04-30 Qualcomm Incorporated Efficient search for wireless networks in connected mode
CN101483891B (zh) * 2008-01-08 2012-12-05 株式会社Ntt都科摩 对用户设备设置激活期起始点的方法及装置
WO2012149319A1 (en) * 2011-04-29 2012-11-01 Research In Motion Limited Receiving messages in connection with lte wakeup
CN105009623B (zh) 2014-01-28 2018-11-3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非连续接收的控制方法及装置
US10356839B2 (en) * 2014-11-04 2019-07-16 Qualcomm Incorporated Low power discontinuous reception with a second receiver
CN104469914B (zh) * 2014-12-10 2018-05-15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信道检测方法及系统、基站和终端
CN104812032B (zh) * 2015-04-10 2018-09-07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在非授权频段应用drx的方法及装置
US10455506B2 (en) * 2015-05-11 2019-10-2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discontinuous reception
WO2017171922A1 (en) 2016-04-01 2017-10-05 Intel IP Corporation Definition of downlink subframes for license assisted access secondary cell for discontinuous reception operation
US10448423B2 (en) * 2017-03-22 2019-10-15 Ofinno, Llc Data multiplexing in a wireless device and wireless network
EP3442304B1 (en) * 2017-08-07 2020-09-23 HTC Corporation Method of handling radio link failure and related communication device
CN109586881B (zh) * 2017-09-29 2021-11-12 株式会社Kt 用于在新无线电中切换带宽部分的方法和装置
US10980007B2 (en) * 2017-09-29 2021-04-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Uplink resource configuration method and apparatu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0351023B (zh) * 2018-04-04 2020-12-2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控制定时器的方法和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461008A (zh) 2019-11-15
WO2019214493A1 (zh) 2019-11-14
US20210153288A1 (en) 2021-05-20
EP3755033A1 (en) 2020-12-23
EP3755033A4 (en) 2021-03-24
US11388772B2 (en) 2022-07-12
CN111448822A (zh) 2020-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24878B2 (en) User equipment, network side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for channel occupancy time sharing
US11909688B2 (en) Apparatus and metho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20200267688A1 (en) Terminal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20180255535A1 (en) Device and associated methodology for management of resource pools of resources used in device-to-device communications
US11871456B2 (en) Electronic de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JP6458385B2 (ja) 装置及び方法
KR102434020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전자 디바이스 및 무선 통신 방법
EP3787365A1 (en) Electronic equipment, user equipment,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US11690093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JP2022543908A (ja) 電子機器、無線通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KR102586481B1 (ko) 무선 통신 방법 및 무선 통신 디바이스
US10674515B2 (en)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and wireless communications method
EP4175343A1 (en) Electronic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EP3975606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KR20210005163A (ko) 사용자 장비, 전자 디바이스, 무선 통신 방법 및 저장 매체
KR20220047971A (ko) 무선 통신을 위한 전자 디바이스 및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US10028256B2 (en) Apparatus
EP4135471A1 (en) Electronic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