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4020B1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전자 디바이스 및 무선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전자 디바이스 및 무선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4020B1
KR102434020B1 KR1020187029348A KR20187029348A KR102434020B1 KR 102434020 B1 KR102434020 B1 KR 102434020B1 KR 1020187029348 A KR1020187029348 A KR 1020187029348A KR 20187029348 A KR20187029348 A KR 20187029348A KR 102434020 B1 KR102434020 B1 KR 1024340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uplink
channel detection
wireless communication
detection pro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9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2685A (ko
Inventor
빙산 후
천 쑨
Original Assignee
소니그룹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그룹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그룹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80132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26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4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40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04W72/1268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of uplink data fl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the level of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56Selection of precoding matrices or codebooks, e.g. using matrices antenna weigh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4Indication of how sub-channels of the path are allocated
    • H04W72/1278
    • H04W72/1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terminal or device proper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e.g. scheduled or random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04W74/006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in the downlink, i.e. towards the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e.g. scheduled or random access
    • H04W74/02Hybrid access techniq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e.g. scheduled or random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or contention based access, e.g. random access, ALOHA, CSM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 H04W74/0808Non-scheduled or contention based access, e.g. random access, ALOHA, CSM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using carrier sensing, e.g. as in CS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내용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전자 디바이스 및 무선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내용에 따르면, 전자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처리 회로를 포함한다. 처리 회로는, 업링크 스케줄링 그랜트 시그널링을 운반하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사용자 장비에 의해 비인가 채널 상에서 수행되는, 업링크 스케줄링 그랜트 시그널링에 의해 스케줄링된,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PUSCH) 전송을 포함한 업링크 전송을 운반하는 업링크 서브프레임 사이의 타이밍 매핑 정보를 구성하는 동작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내용의 전자 디바이스 및 무선 통신 방법에 의해, 업링크 스케줄링 그랜트 시그널링을 운반하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과 PUSCH 전송을 포함한 업링크 전송을 운반하는 업링크 서브프레임 사이의 시간 매핑 관계가 결정될 수 있음으로써, 비인가 채널의 효과적인 이용을 실현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전자 디바이스 및 무선 통신 방법
본 출원은, 그 전체내용이 참조로 본 명세서에 포함되는 2016년 4월 1일 중국 특허청에 출원된 발명의 명칭이 "ELECTRONIC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인 중국 특허 출원 제201610202724.3호의 우선권을 주장한다.
본 개시내용은 무선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전자 디바이스 및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섹션은 본 개시내용에 관련된 배경 정보를 제공하지만, 이것은 반드시 종래 기술은 아니다.
무선 네트워크의 개발 및 진화에 따라, 점점 더 많은 서비스가 무선 네트워크에 의해 실행되므로, 많은 양의 데이터 전송을 지원하기 위해 여분의 스펙트럼 자원이 요구된다. 기존의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LTE) 네트워크에 기초하여, 셀룰러 무선 네트워크 제공업체는 5GHz ISM(Industrial Science Medical) 주파수 대역 등의, 비인가 스펙트럼 자원을 이용하는 방법을 논의하기 시작했다. 본 개시내용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인가 보조형 액세스(Licensed Assisted Access)(LAA) 통신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시분할 듀플렉싱(TDD) 및 주파수 분할 듀플렉싱(FDD) 무선 통신 방식에서, UL 그랜트 시그널링을 운반하는 서브프레임(SF)과 UL 그랜트 시그널링에 의해 스케줄링된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PUSCH) 전송을 운반하는 SF 상의 매핑 관계는 고정되어 알려졌다. 그러나, LAA 통신에서, 업링크 전송은 다운링크 전송과는 상이하므로, 다운링크 전송은 다운링크에 대해 결정된 매핑 관계에 따라 명시될 수 없다. 따라서,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UE)가 비인가 채널 상에서 PUSCH를 전송할 때, UL 그랜트와, UL 그랜트에 의해 스케줄링된 PUSCH 전송 사이의 매핑 관계가 더 논의되어야 한다.
또한, UE가 비인가 채널 상에서 업링크 전송을 수행할 때, UE는 채널 검출 프로세스를 수행하여 채널이 유휴상태(idle)인지를 결정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비인가 채널 상에서 수행되는 전송의 경우, 다음과 같은 긴급하게 해결되어야 할 문제점들이 있다: 특정한 단계에서 어떤 유형의 채널 검출 프로세스가 수행되어야 하는지, 및 상이한 업링크 전송 지속기간들에서 채널 검출 파라미터를 조정할것인지.
따라서, 상기 문제점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비인가 채널 상에서 UE에 의해 수행되는 PUSCH 전송의 문제점을 해결함으로써 비인가 채널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새로운 무선 통신 기술적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섹션은 본 개시내용의 전반적인 요약을 제공하고, 그 전체 범위 또는 모든 피처들의 포괄적인 개시가 아니다.
본 개시내용의 목적은, 비인가 채널이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전자 디바이스 및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한 양태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전자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이 전자 디바이스는: 업링크 그랜트 시그널링을 운반하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과, 업링크 그랜트 시그널링에 의해 스케줄링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사용자 장비에 의해 비인가 채널 상에서 수행되는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PUSCH) 전송을 포함한 업링크 전송을 운반하는 업링크 서브프레임 사이의 타이밍 매핑 정보를 구성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처리 회로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전자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이 전자 디바이스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국으로부터 다운링크 시그널링을 취득하고; 다운링크 시그널링으로부터, 업링크 그랜트 시그널링을 운반하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과, 업링크 그랜트 시그널링에 의해 스케줄링된 비인가 채널 상에서 수행되는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PUSCH) 전송을 포함한 업링크 전송을 운반하는 업링크 서브프레임 사이의 타이밍 매핑 정보를 추출하는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처리 회로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 무선 통신 시스템은 기지국과 사용자 장비를 포함한다. 기지국은: 제1 송수신기; 및 하나 이상의 제1 처리 회로를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제1 처리 회로는: 업링크 그랜트 시그널링을 운반하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과, 업링크 그랜트 시그널링에 의해 스케줄링된 사용자 장비에 의해 비인가 채널 상에서 수행되는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PUSCH) 전송을 포함한 업링크 전송을 운반하는 업링크 서브프레임 사이의 타이밍 매핑 정보를 구성하고; 제1 송수신기로 하여금 타이밍 매핑 정보를 사용자 장비에 통보하게 하는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사용자 장비는: 제2 송수신기; 및 하나 이상의 제2 처리 회로를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제2 처리 회로는: 제2 송수신기에 의해 기지국으로부터 다운링크 시그널링을 취득하고; 다운링크 시그널링으로부터 타이밍 매핑 정보를 추출하는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업링크 그랜트 시그널링을 운반하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과, 업링크 그랜트 시그널링에 의해 스케줄링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사용자 장비에 의해 비인가 채널 상에서 수행되는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PUSCH) 전송을 포함한 업링크 전송을 운반하는 업링크 서브프레임 사이의 타이밍 매핑 정보를 구성하는 단계; 및 타이밍 매핑 정보를 사용자 장비에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국으로부터 다운링크 시그널링을 취득하는 단계; 및 다운링크 시그널링으로부터, 업링크 그랜트 시그널링을 운반하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과, 업링크 그랜트 시그널링에 의해 스케줄링된 비인가 채널 상에서 수행되는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PUSCH) 전송을 포함한 업링크 전송을 운반하는 업링크 서브프레임 사이의 타이밍 매핑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전자 디바이스 및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에 의해, 업링크 그랜트 시그널링을 운반하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과, PUSCH 전송을 포함한 업링크 전송을 운반하는 업링크 서브프레임 사이의 타이밍 매핑 관계가 결정될 수 있음으로써, 비인가 채널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적용될 수 있는 추가 분야는 여기서 제공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이 요약의 설명 및 구체적인 예들은 단지 예시의 목적을 위한 것일 뿐이며 본 개시내용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설명되는 도면들은 모든 가능한 구현이 아니라 선택된 실시예들에 대한 예시적인 목적만을 위한 것일 뿐이며, 본 개시내용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도면들에서:
도 1은 비인가 주파수 대역 상의 PUSCH 전송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동일한 MCOT 내에서 UL 그랜트와 UL 전송 버스트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3은 상이한 MCOT들에서 UL 그랜트와 UL 전송 버스트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개시내용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전자 디바이스의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UL 그랜트 설계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UL 그랜트 설계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전자 디바이스의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개시내용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묵시적 시그널링 설계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전자 디바이스의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전자 디바이스에 포함된 생성 유닛의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1은 Type A 다중 캐리어 동작이 이용되는 때의 채널 검출 유형 구성을 도시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12는 Type A 다중 캐리어 동작이 이용되는 때의 채널 검출 유형 구성의 결과의 한 예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3은 Type B 다중 캐리어 동작이 이용되는 때의 채널 검출 유형 구성을 도시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14는 Type B 다중 캐리어 동작이 이용되는 때의 채널 검출 유형 구성의 결과의 한 예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5는 본 개시내용의 한 실시예에 따른 채널 검출 유형 표시 시그널링의 설계를 도시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16은 본 개시내용의 한 실시예에 따른 채널 검출 유형 표시 시그널링의 설계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7은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채널 검출 유형 표시 시그널링의 설계를 도시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18은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채널 검출 유형 표시 시그널링의 설계를 도시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19는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전자 디바이스의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0은 본 개시내용의 한 실시예에 따른 채널 검출 파라미터 설계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21은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전자 디바이스의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2는 본 개시내용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을 도시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23은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을 도시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24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진화된 노드 기지국(eNB)에 적응하는 개략적인 구성의 제1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5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eNB에 적응하는 개략적인 구성의 제2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6은 본 개시내용에 따른 스마트 폰에 적응하는 개략적인 구성의 한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7은 본 개시내용에 따른 자동차 내비게이션 디바이스에 적응하는 개략적인 구성의 한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본 개시내용이 다양한 수정과 대안적 형태의 여지가 있지만, 그 특정한 실시예들이 도면에서 예를 통해 도시되었고 여기서 상세히 설명된다. 그러나, 특정한 실시예에 대한 여기서의 설명은 본 개시내용을 개시된 특정한 형태로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본 개시내용의 사상 및 범위 내에 속하는 모든 수정, 균등물, 및 대안을 포괄하려는 것임을 이해해야 한다. 수개의 도면들에 걸쳐 대응하는 참조 번호들은 대응하는 부분들을 나타낸다는 점에 유의한다.
이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내용의 예들이 더욱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이하의 설명은 본질적으로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본 개시내용, 응용 또는 용도를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제공되어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개시내용의 범위가 철저하고 완전하게 전달될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특정한 컴포넌트, 디바이스 및 방법의 예 등의 많은 구체적인 상세사항이 개시된다. 특정한 상세사항들이 채용될 필요는 없고,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많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어느 것도 본 개시내용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은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널리 공지된 프로세스들, 널리 공지된 디바이스 구조들, 및 널리 공지된 기술들은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는다.
본 개시내용에서 수반되는 사용자 장비(UE)는, 모바일 단말기, 컴퓨터, 및 온보드 디바이스 등의 무선 통신 기능을 갖춘 단말기를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설명되는 기능에 따라, 본 개시내용에서 수반되는 UE는 UE 그 자체이거나 칩 등의 UE 내의 컴포넌트일 수도 있다. 또한, 유사하게, 본 개시내용에서 수반되는 기지국은 진화된 노드 기지국(eNB) 또는 칩 등의 eNB 내의 컴포넌트일 수도 있다.
본 개시내용에서, 채널은 캐리어에 대응하는 것으로, 즉, 하나의 캐리어는 하나의 채널에 대응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이하의 설명에서, 캐리어와 채널은 특별히 구분되지 않는다. 또한, 본 개시내용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채널 검출 프로세스는 채널이 유휴상태인지를 검출하는데 이용된다. 채널 검출 프로세스는 대화전 청취(listen before talk)(LBT) 프로세스일 수 있다. 이하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본 개시내용에 따른 다중 캐리어 채널 검출 프로세스는 LBT 프로세스를 예로서 취하여 도시된다. 본 개시내용에서, 채널 검출 프로세스는 LBT 프로세스로 제한되지 않으며, 다른 유형의 채널 검출 프로세스를 포함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다른 유형의 채널 검출 프로세스의 경우, 본 개시내용에 따른 디바이스 및 방법은 유사하게 달성될 수 있다.
강화된 인가 보조형 액세스(enhanced licensed assisted access)(eLAA)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의 경우, 자원 블록(resource block)(RB) 레벨에 대한 (2보다 큰) 적어도 다중-클러스터 전송이 지원되며, 그 상세한 설계가 더 논의될 것이다. 또한, PUSCH의 레거시 자원 할당에 대한 지원이 더 논의될 것이다.
eLAA의 경우, 업링크(UL) 그랜트와 UL 전송 사이의 유연한 타이밍 매핑이 지원될 수 있다.
UE로 하여금 LAA에 대한 2차 서비스 셀(Scell)의 복수의 서브프레임에서 PUSCH 전송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서브프레임들의 경우, UE에 대한 하나 이상의 UL 그랜트의 상세사항에 대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항목들이 고려되어야 한다.
항목 1): UE의 하나의 서브프레임 내의 단일 UL 그랜트의 경우, N개의(N≥1) 서브프레임들에서의 UE에 대한 N개의 PUSCH 전송이 스케줄링될 수 있다. 각각의 서브프레임은 단일 PUSCH에 이용된다. 여기서, N개의 서브프레임은 연속적이거나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항목 2): UE의 서브프레임 내의 단일 UL 그랜트의 경우, 단일 서브프레임에서의 단일 PUSCH 전송이 스케줄링될 수 있다. 그러나, UE는 상이한 서브프레임들에서의 PUSCH 전송에 대해, 하나의 서브프레임에서 복수의 UL 그랜트를 수신할 수 있다.
항목 3): UL LBT 결과에 따라, UE의 서브프레임 내의 단일 UL 그랜트에 대해, UE는 복수의 서브프레임 중 하나에서 단일 PUSCH 전송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2개의 스테이지의 그랜트가 수행될 수 있다. 공통 반영구적 그랜트는, 자원 블록(RB) 할당과 변조 및 코딩 방식(MCS) 등의, 고급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UE의 서브프레임들의 제2 그랜트에 대해, 일부 UL 서브프레임들에 대해 전술된 항목 1 및 2를 따르는 PUSCH 전송이 스케줄링될 수 있다.
eLAA의 Scell에서의 UL 전송의 경우, UL 그랜트를 운반하는 서브프레임들과,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PUSCH를 운반하는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들 사이의 유연한 타이밍 매핑이 지원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소 지연은 4 밀리초라고 가정될 수 있다.
서브프레임 내의 UE에 대한 하나 이상의 UL 그랜트는, 크로스-캐리어 스케줄링 및 셀프-캐리어 스케줄링 양쪽 모두에 적응하는, LAA를 위한 SCell의 복수의 서브프레임에서 UE에 대한 PUSCH 전송을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셀프-캐리어 스케줄링을 한 예로서 취하여 비인가 주파수 대역 상의 PUSCH 전송 상황을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eNB를 둘러싸는 점선은 eNB의 감지 커버리지를 나타내고, eNB를 둘러싸는 실선은 셀의 커버리지를 나타낸다. 셀프-캐리어 스케줄링을 수행할 때, eNB는 채널 감지를 수행하여 비인가 주파수 대역 상에서 업링크 그랜트를 사용자 장비에 전송할 필요가 있다. 업링크 그랜트의 스케줄링에 응답하여, 셀 내의 사용자 장비 UE1 내지 UE5는 비인가 주파수 대역을 통해 PUSCH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크로스-캐리어 스케줄링의 경우에, 유사하게, 사용자 장비는 업링크 그랜트의 스케줄링에 응답하여 비인가 주파수 대역 상에서 PUSCH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비인가 주파수 대역 상의 PUSCH 전송에 대한 2가지 사례(candidate case)가 있다. 도 2는, eNB가 비인가 주파수 대역의 채널이 유휴상태임을 검출한 경우에 eNB의 동일한 최대 채널 점유 시간(Maximum Channel Occupancy Time)(MCOT) 내에서 UL 그랜트와 UL 전송 버스트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다. MCOT이란 비인가 주파수 대역 상에서 연속 전송이 허용된 최대 시간을 말한다. MCOT의 크기는 채널 이용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전송 버스트는 다음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각각의 전송 버스트는 UE/eNB로부터의 연속적인 전송이고, 동일한 컴포넌트 캐리어(CC) 상의 동일한 UE/eNB로부터의 전송 버스트의 바로 전 또는 바로 다음에는 전송이 없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eNB는 비인가 주파수 대역에 액세스하기 위해 복잡한 채널 검출 프로세스(Cat-4: 예를 들어, 랜덤 백오프 및 가변 경쟁 윈도우 크기를 포함하는 에너지 검출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채널이 유휴상태인 것으로 검출되는 경우, eNB는 서브프레임(SF) 0에서 하나 이상의 UL 그랜트를 전송한다. 여기서, 다운링크(DL) 전송 버스트에 대해 SF0 내지 SF3이 이용되고, UL 전송 버스트에 대해서는 SF4 내지 SF9가 이용된다고 가정된다. UL 전송을 수행하기 전에, UE는 채널 검출 프로세스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도 2에서, UL 그랜트를 운반하는 SF 및 PUSCH 전송을 포함하는 UL 전송은 동일한 MCOT 내에 있다. 따라서, DL 전송 버스트와 모든 UL 전송 버스트의 합이 MCOT보다 작거나 같다고 간주될 수 있다.
도 3은, eNB가 비인가 주파수 대역의 채널이 유휴상태임을 검출한 경우에 eNB의 동일한 MCOT를 넘어서는 UL 그랜트와 UL 전송 버스트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eNB는 비인가 주파수 대역에 액세스하기 위해 복잡한 채널 검출 프로세스(예를 들어, 랜덤 백오프 및 가변 경쟁 윈도우 크기를 포함하는 에너지 검출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성공적인 채널 검출의 경우, eNB는 SF0 상에서 하나 이상의 UL 그랜트를 전송한다. 여기서, DL 전송 버스트에 대해 SF0 내지 SF3이 이용되고, UL 전송 버스트에 대해서는 SF4 내지 SF15가 이용된다고 가정된다. UL 전송을 수행하기 전에, UE는 채널 검출 프로세스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도 3에서, 제1 MCOT(MCOT #1)은 DL 전송 버스트 및 UL 전송 버스트의 일부를 포함하고, 제2 MCOT(MCOT #2)는 UL 전송 버스트만을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UL 그랜트 및 PUSCH 전송을 운반하는 하나 이상의 SF는 eNB의 동일한 MCOT를 넘어선다. 즉, DL 전송 버스트와 모든 UL 전송 버스트의 합이 MCOT #1보다 크다.
유연한 타이밍 매핑은, UL 그랜트를 운반하는 SF와 하나 이상의 PUSCH 전송을 운반하는 하나 이상의 SF 사이에서 수행될 수 있다. 특히, 하나의 UL 그랜트는 복수의 PUSCH 전송을 스케줄링할 수 있다. 각각의 PUSCH 전송은 하나의 SF에 의해 운반되고, 상이한 PUSCH 전송들은 상이한 SF들에 의해 운반된다. 또한, UL 그랜트를 운반하는 SF와 복수의 PUSCH 전송을 운반하는 복수의 SF 사이의 타이밍 매핑 관계는 유연하게 구성될 수 있고, 구성된 타이밍 매핑 관계는 타이밍 매핑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하나의 UL 그랜트는 단 하나의 PUSCH 전송만을 스케줄링할 수 있다. 유사하게, UL 그랜트를 운반하는 SF와 이 PUSCH 전송을 운반하는 SF 사이의 타이밍 매핑 관계가 유연하게 구성될 수 있고, 구성된 타이밍 매핑 관계가 또한 타이밍 매핑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비인가 채널 상의 UE의 모든 PUSCH 전송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eNB의 MCOT 내에 있다면, UE는 간단한 채널 검출 프로세스(cat-2: 예를 들어, 랜덤 백오프를 제외한 에너지 검출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채널이 유휴상태인 것으로 검출되면, UE는 PUSCH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비인가 채널 상의 UE의 PUSCH 전송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eNB의 MCOT을 넘어가면, UE는 (예를 들어, SF10 이전에) 복잡한 채널 검출 프로세스(cat-4: 예를 들어, 랜덤 백오프 및 가변 경쟁 윈도우 크기를 포함하는 에너지 검출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또한, UE가 적어도 하나의 비인가 캐리어 상에서 복잡한 채널 검출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경우, UE는 경쟁 윈도우 크기(CWS) 조정을 수행하여 조정된 CWS에 기초하여 복잡한 채널 검출 프로세스 동안 이용되는 카운터를 생성함으로써, 비인가 채널 상에서 UE에 의해 수행되는 PUSCH 전송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비인가 채널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하, 셀프-캐리어 스케줄링을 예로서 취하여 더 설명하지만, 본 개시내용은 이러한 경우로 제한되지 않는다.
먼저, 본 개시내용의 한 실시예에 따라 UL 그랜트의 타이밍 매핑 설계가 설명된다. 도 4는 본 개시내용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전자 디바이스(400)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400)는 처리 회로(41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400)는 하나의 처리 회로(410) 또는 복수의 처리 회로(410)를 포함할 수도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전자 디바이스(400)는 송수신기 등의 통신 유닛(4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처리 회로(410)는 다양한 상이한 기능 및/또는 동작을 수행하는 다양한 개별 기능 유닛들을 포함할 수 있다. 기능 유닛들은 물리적 엔티티 또는 논리적 엔티티일 수 있고, 상이한 명칭을 갖는 유닛들이 동일한 물리적 엔티티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리 회로(410)는 구성 유닛(41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처리 회로(410)는 추가 유닛(4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성 유닛(411)은 업링크 그랜트 시그널링을 운반하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과, 업링크 그랜트 시그널링에 의해 스케줄링된 UE에 의해 비인가 채널 상에서 수행되는 PUSCH 전송을 포함한 업링크 전송을 운반하는 업링크 서브프레임 사이의 타이밍 매핑 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에서, 업링크 그랜트 시그널링은 전술된 UL 그랜트 시그널링일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400)에 의해, 업링크 그랜트 시그널링을 운반하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과, PUSCH 전송을 포함한 업링크 전송을 운반하는 업링크 서브프레임 사이의 타이밍 매핑 관계가 결정됨으로써, 비인가 채널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추가 유닛(412)은 물리 계층 시그널링 또는 매체 액세스 제어(media access control)(MAC) 계층 시그널링에 타이밍 매핑 정보를 추가하여 UE에 통보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타이밍 매핑 정보를 구성할 때, 구성 유닛(411)은 하나의 업링크 그랜트 시그널링을 운반하는 하나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을 업링크 그랜트 시그널링에 의해 스케줄링된 PUSCH 전송을 포함한 업링크 전송을 운반하는 복수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에 매핑할 수 있다. 그 다음, 추가 유닛(412)은 타이밍 매핑 정보를 업링크 그랜트 시그널링에 추가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L1 시그널링은, 하나의 UL 그랜트를 운반하는 SF와, 대응하는 PUSCH 전송을 운반하는 SF 사이의 명확한 타이밍 매핑 정보를 표시한다. 하나의 SF에서, 단일 UL 그랜트는 복수의 SF에 대해 유효한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명시적 시그널링은 각각의 캐리어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UL 그랜트 설계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eNB는 비인가 주파수 대역에 액세스하기 위해 복잡한 채널 검출 프로세스(랜덤 백오프 및 가변 경쟁 윈도우 크기를 포함하는 에너지 검출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성공적인 채널 검출의 경우, eNB는 비인가 주파수 대역 상에 하나의 MCOT를 갖는다. eNB는 SF0에서 하나의 UL 그랜트를 전송한다. 여기서, DL 전송 버스트에 대해 SF0 및 SF3이 이용되고, UL 전송 버스트에 대해서는 SF4 및 SF15가 이용된다고 가정된다. UL 전송을 수행하기 전에, UE는 채널 검출 프로세스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도 3과 유사하게, 도 5에서, 제1 MCOT(MCOT #1)은 DL 전송 버스트 및 UL 전송 버스트의 일부를 포함하고, 제2 MCOT(MCOT #2)는 UL 전송 버스트만을 포함한다.
도 5에서, UE는 SF0에서 정보를 포함하는 하나의 UL 그랜트를 수신한다. 이 정보는 UL 그랜트가 SF4, SF5, SF6 및 SF10에 대해 유효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LBT 프로세스 후에 PUSCH가 전송되고 UE가 PUSCH 전송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면, UE는, SF4, SF5, SF6 및 SF10에서 PUSCH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업링크 그랜트 시그널링에 타이밍 매핑 정보를 추가하기 위하여, 추가 유닛(412)은 UL 그랜트에서 10개의 필링 비트를 재사용할 수 있고, 각각의 비트는 도래하는 SF에서 소정의 UE를 스케줄링할지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Bit0, Bit1, Bit2, ..., Bit9에서, "0"은 UE가 스케줄링되었음을 나타내고, "1"은 UE가 스케줄링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나타낸다. UE가 서브프레임 N에서 하나의 UL 그랜트를 수신한다면, Bit0은 서브프레임 N+4에서 UE를 스케줄링할지를 나타내고, Bit1은 서브프레임 N+5에서 UE를 스케줄링할지를 나타내는 등등이며, Bit9는 서브프레임 N+13에서 UE를 스케줄링할지를 나타낸다.
이러한 방식으로, SF0 등의 UL 그랜트를 운반하는 하나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과, SF4, SF5, SF6 및 SF10 등의 PUSCH 전송을 운반하는 복수의 업링크 서브프레임 사이의 타이밍 매핑 관계가 결정될 수 있고, PUSCH 전송을 운반하는 복수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위치는 유연하게 조정될 수 있음으로써, 비인가 채널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은 복수의 업링크 그랜트 시그널링을 운반할 수 있다. 이 경우, 구성 유닛(411)은 복수의 업링크 그랜트 시그널링 각각을 운반하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과, 복수의 업링크 그랜트 시그널링 각각에 의해 스케줄링된 PUSCH 전송을 포함한 업링크 전송을 운반하는 하나의 업링크 서브프레임 사이의 타이밍 매핑 정보 각각을 구성할 수 있다. 그 다음, 추가 유닛(412)은 UE에 통보하기 위해 타이밍 매핑 정보를 복수의 업링크 그랜트 시그널링 각각에 추가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L1 시그널링은 복수의 UL 그랜트를 운반하는 SF와, PUSCH 전송을 포함한 대응하는 업링크 전송을 운반하는 SF 사이의 명확한 타이밍 매핑 정보를 나타낸다. 하나의 SF에서, UE는 복수의 UL 그랜트를 수신할 수 있고, 각각의 UL 그랜트는 하나의 SF에 의해 (PUSCH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이용된다. 이러한 명시적 시그널링은 각각의 캐리어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UL 그랜트 설계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eNB는 비인가 주파수 대역에 액세스하기 위해 복잡한 채널 검출 프로세스(예를 들어, 랜덤 백오프 및 가변 경쟁 윈도우 크기를 포함하는 에너지 검출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성공적인 채널 검출의 경우, eNB는 SF0 상에서 4개의 UL 그랜트를 전송한다. 여기서, DL 전송 버스트에 대해 SF0 내지 SF3이 이용되고, UL 전송 버스트에 대해서는 SF4 내지 SF15가 이용된다고 가정된다. UL 전송을 수행하기 전에, UE는 채널 검출 프로세스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도 3 및 도 5와 유사하게, 도 6에서, 제1 MCOT(MCOT #1)은 DL 전송 버스트 및 UL 전송 버스트의 일부를 포함하고, 제2 MCOT(MCOT #2)는 UL 전송 버스트만을 포함한다.
도 6에서, UE는 SF0에서 복수의 (4개의) UL 그랜트를 수신한다. 각각의 UL 그랜트에서, 명확한 매핑 정보가 추가된다. 예를 들어, UL 그랜트 1은 SF4에 대해 유효하고, UL 그랜트 2는 SF5에 대해 유효하며, UL 그랜트 3은 SF6에 대해 유효하고, UL 그랜트 4는 SF10에 대해 유효한 등등이다.
LBT 프로세스 후에 PUSCH가 전송될 수 있고 UE가 PUSCH 전송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면, UE는 SF4, SF5, SF6 및 SF10에서 PUSCH 전송을 수행할 것이다.
복수의 UL 그랜트의 포맷 설계는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종래 UL 그랜트의 경우, UL 그랜트 1, UL 그랜트 2, ..., UL 그랜트 N을 획득하기 위해 N회 동안 디코딩이 수행될 수 있다. 캐스케이딩된 UL 그랜트의 경우, 디코딩이 한번 수행되어 UL 그랜트 1 + UL 그랜트 2 +, ..., + UL 그랜트 N을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UL 그랜트 1, UL 그랜트 2, UL 그랜트 3 및 UL 그랜트 4 등의 복수의 UL 그랜트를 운반하는 SF0과 같은 하나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과, SF4, SF5, SF6 및 SF10과 같은 PUSCH 전송을 운반하는 복수의 업링크 서브프레임 사이의 타이밍 매핑 관계가 결정될 수 있음으로써, 비인가 채널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전자 디바이스(700)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700)는 처리 회로(71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700)는 하나의 처리 회로(710) 또는 복수의 처리 회로(710)를 포함할 수도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전자 디바이스(700)는 송수신기 등의 통신 유닛(72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처리 회로(710)는 상이한 기능들 및/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다양한 개별 기능 유닛들을 포함할 수 있다. 기능 유닛들은 물리적 엔티티 또는 논리적 엔티티일 수 있고, 상이한 명칭을 갖는 유닛들이 동일한 물리적 엔티티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리 회로(710)는, 설정 유닛(711), 구성 유닛(712) 및 추가 유닛(713)을 포함할 수 있다.
설정 유닛(711)은, 하나의 업링크 그랜트 시그널링을, 다음 업링크 그랜트 시그널링을 운반하는 다음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전에 모든 업링크 서브프레임에 의해 운반되는 PUSCH 전송을 스케줄링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구성 유닛(712)은, 하나의 업링크 그랜트 시그널링을 운반하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과, 하나의 업링크 그랜트 시그널링에 의해 스케줄링된 PUSCH 전송을 포함한 업링크 전송을 실제로 운반하는 업링크 서브프레임 사이의 실제 타이밍 매핑 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
추가 유닛(713)은, 실제 타이밍 매핑 정보를 물리 계층 시그널링 또는 MAC 계층 시그널링에 추가하여 UE에게 통보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기술적 솔루션에서, 하나의 SF에서, UE는 단일의 UL 그랜트를 수신할 수 있다. UL 그랜트는, UE가 새로운 UL 그랜트를 수신할 때까지, 모든 도래하는 업링크 SF에 대해 유효하다. 이러한 묵시적 시그널링은 각각의 캐리어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추가로, UE는 또한, (L1 또는 MAC 시그널링을 통해) 도래하는 복수의 업링크 SF에서스케줄링을 수행할지를 나타내는 명시적 매핑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단계에서, 하나의 UL 그랜트는, UE가 또 다른 UL 그랜트를 수신할 때까지, 모든 도래하는 업링크 SF에 대해 유효하다고 가정된다. 도 8은 본 개시내용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묵시적 시그널링 설계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eNB는 비인가 주파수 대역에 액세스하기 위해 복잡한 채널 검출 프로세스(예를 들어, 랜덤 백오프 및 가변 경쟁 윈도우 크기를 포함하는 에너지 검출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성공적인 채널 검출의 경우, UE는 SF0에서 UL 그랜트 1을 수신한다. 여기서, DL 전송 버스트에 대해 SF0 내지 SF3이 이용되고, UL 전송 버스트에 대해서는 SF4 내지 SF11이 이용된다고 가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UL 그랜트 1은 SF4 내지 SF11에 대해 유효하다.
후속해서, SF12에서, UE는 UL 그랜트 2를 수신한다. 이 경우, UL 그랜트 1은 무효하게 된다. 여기서, DL 전송 버스트에 대해 SF12 내지 SF15가 이용되고, UL 전송 버스트에 대해서는 SF16 내지 SF18이 이용된다고 가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UL 그랜트 2는, UE가 다음 UL 그랜트를 수신할 때까지, SF16 내지 SF18에 대해 유효하다.
제2 단계에서, UE는 도래하는 SF에서 스케줄링을 수행할지를 나타내는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스케줄링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UL 그랜트에서 필링 비트들(대안적으로, 다른 물리 계층 시그널링 또는 MAC 계층 시그널링의 비트들)이 재사용될 수 있다. 각각의 비트는 도래하는 SF에서 소정의 UE를 스케줄링할지를 나타낸다. 표 1은 비트들과, SF들에서 UE를 스케줄링할지의 여부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다.
Figure 112018100082835-pct00001
표 1에서, Bit0, Bit1, Bit2, ..., Bit9 중, "0"은 UE가 스케줄링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나타내고, "1"은 UE가 스케줄링되었음을 나타낸다. UE가 서브프레임 N에서 하나의 UL 그랜트를 수신한다면, Bit0은 서브프레임 N+4에서 UE를 스케줄링할지를 나타내고, Bit1은 서브프레임 N+5에서 UE를 스케줄링할지를 나타내는 등등이며, Bit9는 서브프레임 N+13에서 UE를 스케줄링할지를 나타낸다.
표 1은, UE가 SF4, SF5, SF6 및 SF10에서 스케줄링될 것임을 보여준다.
이러한 방식으로, UL 그랜트를 운반하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과, PUSCH 전송을 운반하는 복수의 업링크 서브프레임 사이의 타이밍 매핑 관계가 역시 결정될 수 있음으로써, 비인가 채널을 효과적으로 이용한다.
이상,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UL 그랜트의 타이밍 매핑 설계가 전술되었다. 후속해서, 본 개시내용의 한 실시예에 따른 채널 검출 유형 표시 시그널링의 설계가 설명된다. 도 9는 본 개시내용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전자 디바이스(900)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900)는 처리 회로(91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900)는 하나의 처리 회로(910) 또는 복수의 처리 회로(910)를 포함할 수도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전자 디바이스(900)는 송수신기 등의 통신 유닛(920)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처리 회로(910)는 상이한 기능들 및/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다양한 개별 기능 유닛들을 포함할 수 있다. 기능 유닛들은 물리적 엔티티 또는 논리적 엔티티일 수 있고, 상이한 명칭을 갖는 유닛들이 동일한 물리적 엔티티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리 회로(910)는 생성 유닛(911) 및 추가 유닛(912)을 포함할 수 있다.
생성 유닛(911)은 비인가 채널 상의 PUSCH 전송을 포함한 업링크 전송을 수행하기 전에 UE에 의해 수행되는 채널 검출 프로세스의 채널 검출 유형에 관한 구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추가 유닛(912)은 생성 유닛(911)에 의해 생성된 구성 정보를 물리 계층 시그널링에 추가하여 UE에게 통보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900)에 의해, 비인가 채널 상의 PUSCH 전송을 포함한 업링크 전송을 수행하기 전에, UE에 의해 수행되는 채널 검출 프로세스의 채널 검출 유형이 결정할 수 있음으로써, 비인가 채널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도 10은 도 9의 전자 디바이스(900)에 포함된 생성 유닛(911)의 구조의 한 예를 도시한다. 생성 유닛(911)은, 설정 유닛(9111) 및 구성 유닛(9112 및 9113)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설정 유닛(9111)은 비인가 채널 상의 복수의 비인가 캐리어를 서로 독립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복수의 비인가 캐리어 각각에 대해, 구성 유닛(9112)은, PUSCH 전송을 운반하는 업링크 서브프레임이 MCOT 내에 있는 경우, 채널 검출 유형을 제1 채널 검출 프로세스(Cat-2)로 설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복수의 비인가 캐리어 각각에 대해, 구성 유닛(9113)은, PUSCH 전송을 운반하는 업링크 서브프레임이 MCOT를 벗어나는 경우, 채널 검출 유형을 제2 채널 검출 프로세스(Cat-4)로 설정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채널 검출은 피처 검출 및 에너지 검출을 포함할 수 있다. 피처 검출의 경우, 채널 검출은, 프리앰블 검출 및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 + 1차 동기화 신호(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PSS)/2차 동기화 신호(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SSS) 검출을 포함한다. 에너지 검출의 경우, 채널 검출 프로세스는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a) 랜덤 백오프를 제외한 에너지 검출; (b) 랜덤 백오프 및 고정된 CWS를 포함하는 에너지 검출; 및 (c) 랜덤 백오프 및 가변 경쟁 윈도우 크기를 포함하는 에너지 검출. 유형 (a)에서, 에너지 검출이 유휴상태를 나타낼 때 데이터 전송이 직접 수행된다. 유형 (b) 및 (c)에서, 채널 검출 프로세스는 2개의 단계(phase)를 포함한다. 제1 단계는 초기 검출 지속기간 및 랜덤 백오프 지속기간을 포함한다. 제2 단계는 자체-지연 지속기간(임의로)을 포함한다. 초기 검출 지속기간이 끝난 후 랜덤 백오프 지속기간에 진입한다. 에너지 검출은 랜덤 백오프 지속기간에서 여전히 수행되고, (카운터라고도 하는) 랜덤 백오프 카운터는 백오프를 수행하도록 설정된다. 에너지 검출이 채널이 점유되었음을 나타내는 경우에, 랜덤 백오프 카운터의 카운팅은 중단되고, 랜덤 백오프 카운터는 CWS에 기초하여 설정된다. 지연 단계에서 채널이 유휴상태인지가 더 감지된다; 채널이 유휴상태이면, 랜덤 백오프 카운터는 카운팅이 끝날 때까지 카운트 다운을 계속한다. 채널이 유휴상태인 것으로 검출되고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시간 슬롯이 오지 않는 경우, 자체지연 단계에 진입하여 데이터 전송을 위한 시간 슬롯의 도착을 기다린다. 에너지 검출은 자체-지연 단계에서 여전히 수행되고, 채널은, 채널이 점유된 것으로 검출되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데 이용될 수 없다. 즉, 유형 (b) 및 (c)에서, 채널 검출 프로세스의 2개 단계, 즉, 초기 검출 지속기간, 랜덤 백오프 지속기간 및 자체-지연 지속기간에서 에너지 검출이 수행된다. 유형 (b)는, 유형 (b)에서는 CWS가 고정되어 있는 반면 유형 (c)에서 CWS가 가변적이라는 점에서, 유형(c)와는 크게 상이하다. 에너지 검출은 검출 기간을 포함한다. 유형 (b) 및 (c)를 예로서 취하면, 검출 기간은, 초기 검출 지속기간, 랜덤 백오프 지속기간 및 자체-지연 지속기간을 포함한다. 검출 기간이 만료되면, 에너지 검출 또는 채널 검출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낸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서, 유형 (a)의 채널 검출 프로세스는 랜덤 백오프를 배제하고, 소정 기간 동안 에너지 검출 프로세스만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에너지 검출 프로세스 동안, 비인가 캐리어가 유휴상태인 것으로 검출되면 비인가 캐리어 상에서 데이터 전송이 수행될 수 있다. 검출 프로세스의 지속기간은 필요에 따라, 예를 들어, 25μs보다 크게, 선택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임의의 기존의 또는 공지된 방법에 따라 비인가 캐리어가 유휴상태인지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너지 검출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수행된다. 비인가 캐리어 상에서 검출된 에너지가 에너지 검출 프로세스 동안 에너지 검출 임계값보다 작다면, 비인가 캐리어가 유휴상태임을 나타낸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르면, eNB는 실제 요구조건 및 전송될 콘텐츠에 따라 상기 복수의 채널 검출 프로세스들로부터 상이한 채널 검출 프로세스를 선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eNB는 제1 채널 검출 프로세스 및 제2 채널 검출 프로세스를 선택할 수 있고, 제1 채널 검출 프로세스는 제2 채널 검출 프로세스보다 간단하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채널 검출 프로세스에서, 랜덤 백오프를 제외한 에너지 검출이 수행될 수 있다. 즉, 제1 채널 검출 프로세스는 소정 기간에 대한 에너지 검출 프로세스이다. 에너지 검출 프로세스 동안, 비인가 캐리어가 유휴상태인 것으로 검출되면 비인가 캐리어 상에서 데이터 전송이 수행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채널 검출 프로세스에서, 랜덤 백오프 및 가변 CWS를 포함하는 에너지 검출이 수행될 수 있다. 즉, 제2 채널 검출 프로세스는, 초기 검출 지속기간, 랜덤 백오프 지속기간 및 자체-지연 지속기간을 포함할 수 있고, CWS는 가변적이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채널 검출 프로세스에서, 에너지 검출 프로세스는 한 번 수행될 수 있다. 제2 채널 검출 프로세스에서, 에너지 검출 프로세스는 복수 회 수행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제2 채널 검출 프로세스는 2개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에너지 검출 프로세스는 2개의 단계 모두에서 수행된다. 즉, 제2 채널 검출 프로세스에서, 에너지 검출 프로세스가 복수 회 수행될 수 있다. 제1 채널 검출 프로세스는 소정 기간에 대한 에너지 검출 프로세스이다. 에너지 검출 프로세스 동안, 비인가 캐리어가 유휴상태인 것으로 검출되면 비인가 캐리어 상에서 데이터 전송이 수행된다. 즉, 제1 채널 검출 프로세스에서, 에너지 검출 프로세스는 한 번 수행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채널 검출 프로세스는 제2 채널 검출 프로세스보다 간단하므로, 제1 채널 검출 프로세스의 전력 소비가 더 낮다. 전자 디바이스가 비인가 캐리어에 관한 제1 채널 검출 프로세스만을 수행한다면, 전자 디바이스의 전력 소비가 크게 감소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르면, eNB는 비인가 주파수 대역의 복수의 캐리어 상에서 업링크 전송이 수행되기 전에 UE에 의해 수행되는 (LBT 프로세스 등의) 채널 검출 프로세스의 채널 검출 유형을 결정하고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eNB는, 이후에 상세히 설명되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 포맷 1C를 재사용함으로써 채널 검출 유형을 표시할 수 있다.
eNB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복수의 캐리어 상에서의 UE의 채널 검출 유형을 결정한다. 먼저, eNB는 다중 캐리어 감지 프로세스의 유형을 선택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Type A 다중 캐리어 동작은 감지 프로세스가 각각의 구성된 캐리어 상에서 독립적으로 수행됨을 나타내고(즉, 비인가 채널 상의 복수의 비인가 캐리어가 서로 독립적으로 설정됨) 일반적으로 전술된 제2 채널 검출 프로세스가 수행된다. 또한, Type B 다중 캐리어 동작은, 비인가 채널의 복수의 비인가 캐리어 중 하나가 1차 채널로 설정되고 다른 비인가 캐리어들은 2차 채널로서 설정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1차 채널은 일반적으로 전술된 제2 채널 검출 프로세스를 수행하고, 2차 채널은 일반적으로 전술된 제1 채널 검출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eNB가 Type A 다중 캐리어 동작을 선택하고 UE의 PUSCH 전송이 eNB의 MCOT를 벗어나는 경우, UE는 채널 검출 프로세스의 유효성을 보장하기 위해 제2 채널 검출 프로세스를 수행해야 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UE의 PUSCH 전송이 eNB의 MCOT 내에 있다면, UE는 전자 디바이스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해 제1 채널 검출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전술된 규칙에 기초하여, eNB는 구성된 각각의 캐리어에 관해 UE에 의해 수행되는 채널 검출 프로세스의 유형을 구성할 수 있다.
도 11은, 셀프-캐리어 스케줄링의 경우, Type A 다중 캐리어 동작이 이용될 때 채널 검출 유형 구성의 플로차트를 도시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S110에서, eNB는 UL에 대해 Type A 다중 캐리어 감지를 선택한다.
후속해서, 단계 S120에서, eNB는 UE의 PUSCH 전송이 eNB의 MCOT 내에 있는지를 결정한다.
eNB가 UE의 PUSCH 전송이 eNB의 MCOT 내에 있다고 결정하면, UE는 단계 S140에서 제1 채널 검출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eNB가 UE의 PUSCH 전송이 eNB의 MCOT를 벗어난다고 결정하면, UE는 단계 S130에서 제2 채널 검출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마지막으로, 단계 S150에서, eNB는 UE에게 채널 검출 유형 구성의 결과를 통보하여 UE를 구성한다.
도 12는 Type A의 다중-캐리어 동작이 이용되는 경우의 채널 검출 유형 구성의 결과의 한 예를 도시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 C1은 1차 서비스 셀(Pcell)이고, 캐리어 C2 내지 C5는 2차 서비스 셀(Scell)이다. 캐리어 C2 상에서, 먼저, eNB가 LBT2를 수행한다(제2 채널 검출 프로세스). 성공적인 채널 검출의 경우, UE는 UL 전송을 수행하기 전에 채널 검출 프로세스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 C2 상에서, UE는 eNB의 MCOT 내에서 LBT1(제1 채널 검출 프로세스)을 수행할 수 있다. UE는 eNB의 MCOT를 넘어서면 LBT2(제2 채널 검출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다른 캐리어들 C3, C4 및 C5 상에서, UE는 독립적으로 LBT2(제2 채널 검출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설정 유닛(9111)은 비인가 채널 상의 복수의 비인가 캐리어 중 하나를 1차 채널로서 설정하고, 다른 비인가 캐리어들을 2차 채널로서 설정할 수 있다. 전술된 설명으로부터, eNB는 실시예에서 Type B 다중 캐리어 동작을 선택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경우, 구성 유닛(9112)은 제2 채널에 대한 채널 검출 유형을 제1 채널 검출 프로세스가 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1차 채널에 대해, PUSCH 전송을 운반하는 업링크 서브프레임이 MCOT 내에 있는 경우, 구성 유닛(9112)은 채널 검출 유형을 제1 채널 검출 프로세스가 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1차 채널에 대해, PUSCH 전송을 운반하는 업링크 서브프레임이 MCOT을 벗어나는 경우, 구성 유닛(9113)은 채널 검출 유형을 제2 채널 검출 프로세스가 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르면, eNB가 Type B 다중 캐리어 동작을 선택하고 UE의 PUSCH가 1차 채널 상에서 전송되는 경우, UE는, UE의 PUSCH 전송이 eNB의 MCOT 내에 있다면 전자 디바이스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해 제1 채널 검출 프로세스를 수행해야 한다. UE는, UE의 PUSCH 전송이 eNB의 MCOT를 벗어나는 경우 채널 검출 프로세스의 유효성을 보장하기 위해 제2 채널 검출 프로세스를 수행해야 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UE의 PUSCH가 2차 채널 상에서 전송된다면, UE는 제1 채널 검출 프로세스만을 수행한다.
전술된 규칙에 기초하여, eNB는 각각의 구성된 캐리어 상에서 UE에 의해 수행되는 채널 검출 프로세스의 유형을 구성할 수 있다.
도 13은 Type B 다중 캐리어가 이용될 때 채널 검출 유형 구성의 플로차트를 도시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S210에서, eNB는 UL에 대한 Type B 다중 캐리어 감지를 선택한다.
후속해서, 단계 S220에서, eNB는 UE의 PUSCH가 1차 채널 상에서 전송되는지를 결정한다.
eNB가 UE의 PUSCH가 1차 채널 상에서 전송되지 않는다고 결정하면, UE는 단계 S230에서 제1 채널 검출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eNB가 UE의 PUSCH가 1차 채널 상에서 전송된다고 결정하면, 단계 S240에서 eNB는 UE의 PUSCH 전송이 eNB의 MCOT 내에 속하는지를 결정한다.
eNB가 UE의 PUSCH 전송이 eNB의 MCOT 내에 있다고 결정하면, UE는 단계 S260에서 제1 채널 검출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eNB가 UE의 PUSCH 전송이 eNB의 MCOT를 벗어난다고 결정하면, UE는 단계 S250에서 제2 채널 검출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마지막으로, 단계 S270에서, eNB는 UE에게 채널 검출 유형 구성의 결과를 통보하여 UE를 구성한다.
도 14는 Type B의 다중-캐리어 동작이 이용되는 때의 채널 검출 유형 구성의 결과의 한 예를 도시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 C1은 Pcell이고 캐리어 C2 내지 C5는 Scell이다. 또한, 캐리어 C2는 1차 채널이고, 캐리어 C3 내지 C5는 2차 채널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 C2 상에서, UE는 eNB의 MCOT 내에서 LBT 1(제1 채널 검출 프로세스)을 수행할 수 있다. UE는 eNB의 MCOT를 넘어서 LBT 2(제2 채널 검출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다른 캐리어들 C3, C4 및 C5 상에서, UE는 LBT 1(제1 채널 검출 프로세스)만을 수행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eNB는 DCI 포맷 1C를 재사용함으로써 채널 검출 유형을 나타낼 수 있다. 즉, 도 9에 도시된 추가 유닛(912)은 생성된 구성 정보를 물리 계층 시그널링에 추가하기 위해 DCI 포맷 1C를 재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DCI 포맷 1C에서, 비트 b0b1b2는 Pcell에 이용되고, 비트 b3b4b5는 Scell1에 이용되며, 비트 b6b7b8은 Scell2에 이용되고, 비트 b9b10b11은 Scell3에 이용되며, 비트 b12b13b14는 Scell4에 이용된다. 또한, 필링 비트들이 더 포함된다.
Scell 1 내지 Scell 4에 대한 비트들은 재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Scell 1 내지 Scell 4 중 하나에 대한 3개 비트가 "000"이면, 제2 채널 검출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표시된다. 또 다른 양태에서, Scell 1 내지 Scell 4 중 하나에 대한 3개 비트가 "111"이면, 제1 채널 검출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표시된다. 또한, 표시가 미리결정된 기간(예를 들어, 6ms) 동안 유효하다는 것이 명시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Scell1 내지 Scell4 중 하나에 대한 3개 비트 각각에 대해, "0"은 제2 채널 검출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것을 나타내며, "1"은 제1 채널 검출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표시가 미리결정된 기간(예를 들어, 2ms) 동안 유효하다는 것이 더 명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Scell 1 내지 Scell 4 중 하나에 대한 3개 비트가 "000"이면, 제2 채널 검출 프로세스가 3개의 2ms 내에서 수행됨을 나타낸다. Scell 1 내지 Scell 4 중 하나에 대한 3개 비트가 "110"이면, 첫 번째 및 두 번째 2ms에서 제1 채널 검출 프로세스가 행해지고, 제2 채널 검출 프로세스는 세 번째 2ms에서 수행되는 것을 나타낸다.
도 15는, 전술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채널 검출 유형 표시 시그널링의 설계 플로차트를 도시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eNB는 각각의 구성된 캐리어에 대한 UL 그랜트를 UE에 전송한다.
후속해서, eNB는, UL 그랜트에 대응하는 각각의 구성된 캐리어 상의 PUSCH 전송의 채널 검출 유형 표시를 UE에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채널 검출 유형에 관한 구성 정보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라 생성될 수 있고, 생성된 구성 정보가 물리 계층 시그널링에 추가되어 UE에게 통보할 수 있다.
후속해서, UE는, eNB에 의해 전송된 채널 검출 유형 표시에 기초하여, 복수의 캐리어에 관한 채널 검출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마지막으로, 성공적인 채널 검출의 경우, UE는 각각의 구성된 캐리어 상에서 PUSCH를 eNB에 전송한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9에 도시된 생성 유닛(911)은 구성 정보로서 서브프레임 경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서브프레임 경계 정보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측의 채널 검출이 성공한 후 MCOT 내에 있는 마지막 서브프레임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6은 본 개시내용의 한 실시예에 따른 채널 검출 유형 표시 시그널링의 설계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UE는 UL 그랜트를 수신하고, UL 그랜트가 SF4, SF6, SF9 및 SF10에 대해 유효하다는 것을 안다.
추가로, UE는 또한 SF 경계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SF 경계는 SF9이다.
따라서, UE는, SF4, SF6 및 SF9가 MCOT 내에 있음을 알고, 그에 따라, UE는 이들 서브프레임에 관해 제1 채널 검출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UE는 SF10이 MCOT을 넘어선다는 것을 알고, 그에 따라, UE는 SF10에 관해 제2 채널 검출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복수의 캐리어에 대해, eNB는 유사하게 다중 캐리어 채널 감지 프로세스의 유형(즉, 전술된 Type A 또는 Type B)을 UE에 통보할 수 있다.
eNB가 Type A를 선택하면, eNB는 각각의 구성된 캐리어에 관한 SF 경계 정보를 통보한다.
UE가 SF 경계 정보를 수신한 후, UE가 도래하는 SF의 식별자가 SF 경계보다 작거나 같다고 결정하면, 제1 채널 검출 프로세스를 수행하여 비인가 캐리어에 액세스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UE가 도래하는 SF의 식별자가 SF 경계보다 크다고 결정하면, UE는 제2 채널 검출 프로세스를 수행하여 비인가 캐리어에 액세스한다. 또한, UE가 SF 경계 정보를 수신하지 않으면, UE는 제2 채널 검출 프로세스를 수행하여 비인가 캐리어에 액세스할 수 있다. 도 17은 실시예에 따른 채널 검출 유형 표시 시그널링의 설계 플로차트를 도시한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eNB는 Type A를 이용하는 다중 캐리어 감지에 관한 정보를 UE에 전송한다.
후속해서, eNB는 각각의 구성된 캐리어에 대한 UL 그랜트를 UE에 전송한다.
그 다음, eNB는 각각의 구성된 캐리어에 관한 SF 경계 정보를 UE에 전송할 수 있다.
후속해서, 수신된 SF 경계 정보에 기초하여, UE는 각각의 구성된 캐리어에 관한 채널 검출 유형을 결정할 수 있다.
후속해서, 결정된 채널 검출 유형에 기초하여, UE는 복수의 캐리어에 관한 채널 검출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마지막으로, 성공적인 채널 검출의 경우, UE는 각각의 구성된 캐리어 상에서 PUSCH를 eNB에 전송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eNB가 Type B를 선택하면, eNB는 1차 채널에 의한 이용을 위해 SF 경계 정보를 UE에 통보할 수 있다.
UE가 SF 경계 정보를 수신한 후, UE가 도래하는 SF의 식별자가 SF 경계보다 작거나 같다고 결정하면, 제1 채널 검출 프로세스를 수행하여 1차 채널에 액세스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UE가 도래하는 SF의 식별자가 SF 경계보다 크다고 결정하면 제2 채널 검출 프로세스를 수행하여 1차 채널에 액세스한다. 또한, UE가 SF 경계 정보를 수신하지 않으면, UE는 제2 채널 검출 프로세스를 수행하여 1차 채널에 액세스할 수 있다. 도 18은 실시예에 따른 채널 검출 유형 표시 시그널링의 설계 플로차트를 도시한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eNB는 Type B를 이용하는 다중 캐리어 감지에 관한 정보를 UE에 전송한다.
후속해서, eNB는 1차 채널 및 2차 채널의 표시에 대한 정보를 UE에 전송한다.
그 다음, eNB는 1차 채널에 관한 SF 경계 정보를 UE에 전송할 수 있다.
후속해서, eNB는 각각의 구성된 캐리어에 대한 UL 그랜트를 UE에 전송한다.
후속해서, 1차 채널 및 2차 채널의 표시에 관한 정보 및 1차 채널에 관한 SF 경계 정보에 기초하여, UE는 각각의 구성된 캐리어에 관한 채널 검출 유형을 결정할 수 있다.
후속해서, 결정된 채널 검출 유형에 기초하여, UE는 복수의 캐리어에 관한 채널 검출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마지막으로, 성공적인 채널 검출의 경우, UE는 각각의 구성된 캐리어 상에서 PUSCH를 eNB에 전송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채널 검출 유형 표시 시그널링의 설계가 전술되었다. 후속해서, 본 개시내용의 한 실시예에 따른 채널 검출 파라미터 설계가 설명된다. 도 19는 본 개시내용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전자 디바이스(800)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800)는 처리 회로(81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800)는 하나의 처리 회로(810) 또는 복수의 처리 회로(810)를 포함할 수도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전자 디바이스(800)는 송수신기 등의 통신 유닛(8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처리 회로(810)는 상이한 기능들 및/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다양한 개별 기능 유닛들을 포함할 수 있다. 기능 유닛들은 물리적 엔티티 또는 논리적 엔티티일 수 있고, 상이한 명칭을 갖는 유닛들이 동일한 물리적 엔티티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리 회로(810)는 구성 유닛(811) 및 추가 유닛(812)을 포함할 수 있다.
구성 유닛(811)은 비인가 채널 상의 비인가 캐리어에 대한 채널 검출 파라미터를 구성할 수 있다.
추가 유닛(812)은 구성된 채널 검출 파라미터를 물리 계층 시그널링에 추가하여 UE에게 통보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800)에 의해, 비인가 채널 상의 비인가 캐리어에 대해 구성된 채널 검출 파라미터가 결정될 수 있음으로써, 비인가 채널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르면, 채널 검출 파라미터는 랜덤 백오프와 가변 경쟁 윈도우 크기를 포함하는 에너지 검출 프로세스 동안에 이용되는 경쟁 윈도우의 크기일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일한 업링크 그랜트 시그널링에 의해 스케줄링된 선행 PUSCH 전송의 결과에 기초하여, 구성 유닛(811)은, 비인가 캐리어에 대해, 동일한 업링크 그랜트 시그널링에 의해 스케줄링된 PUSCH 전송을 포함한 업링크 전송을 수행하기 전에 UE가 채널 검출 프로세스를 수행할 때 이용되는 채널 검출 파라미터를 구성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일한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에 의해 운반된 업링크 그랜트 시그널링에 의해 스케줄링된 선행 PUSCH 전송의 결과에 기초하여, 구성 유닛(811)은, 비인가 캐리어에 대해, 동일한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에 의해 운반된 업링크 그랜트 시그널링에 의해 스케줄링된 PUSCH 전송을 포함한 업링크 전송을 수행하기 전에 UE가 채널 검출 프로세스를 수행할 때 이용되는 채널 검출 파라미터를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eNB는 소정의 PUSCH 전송에 기초하여 CWS 조정(즉, 채널 검출 파라미터 구성)을 수행할 수 있고, PUSCH 전송은 동일한 UL 그랜트를 공유하거나 동일한 SF에서 전송된 상이한 UL 그랜트를 이용한다. 전술된 PUSCH 전송이 없다면, eNB는 모든 선행 PUSCH 전송에 기초하여 CWS 조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0은 실시예에 따른 채널 검출 파라미터 설계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르면, SF12 이전의 CWS는 SF8 및 SF11의 PUSCH 전송에 기초하여 조정될 수 있고, SF15 이전의 CWS는 SF8, SF11 및 SF12의 PUSCH 전송에 기초하여 조정될 수 있으며, 및 SF16 이전의 CWS는 SF8, SF11, SF12 및 SF15의 PUSCH 전송에 기초하여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CWS는 PUSCH 전송의 성공률에 기초하여 조정될 수 있다. PUSCH 전송에 대한 응답으로서 NACK의 수의 증가는 PUSCH 전송의 더 낮은 성공률을 나타내므로, CWS가 증가될 필요가 있다. 반대로, NACK의 수의 감소는 PUSCH 전송의 더 높은 성공률을 나타내므로, CWS는 감소될 필요가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은 LAA 시스템일 수 있고, 전자 디바이스들(400, 700, 800, 900)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국일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후속해서,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전자 디바이스(600)가 도 21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21은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전자 디바이스(600)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600)는 처리 회로(61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600)는 하나의 처리 회로(610) 또는 복수의 처리 회로(610)를 포함할 수도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전자 디바이스(600)는 송수신기 등의 통신 유닛(6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유사하게, 처리 회로(610)는 다양한 상이한 기능들 및/또는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개별 기능 유닛들을 포함할 수 있다. 기능 유닛들은 물리적 엔티티 또는 논리적 엔티티일 수 있고, 상이한 명칭들을 갖는 유닛들이 동일한 물리적 엔티티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리 회로(610)는 취득 유닛(611) 및 추출 유닛(612)을 포함할 수 있다.
취득 유닛(611)은, (예를 들어 통신 유닛(620)을 통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국으로부터 다운링크 시그널링(예를 들어, 물리 계층 시그널링 또는 MAC 계층 시그널링)을 취득할 수 있다.
추출 유닛(612)은, 취득 유닛(611)에 의해 취득된 다운링크 시그널링으로부터, 업링크 그랜트 시그널링을 운반하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과, 업링크 그랜트 시그널링에 의해 스케줄링된 비인가 채널 상에서 수행되는 PUSCH 전송을 포함한 업링크 전송을 운반하는 업링크 서브프레임 사이의 타이밍 매핑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처리 회로(610)(예를 들어, 취득 유닛(611))는 하나의 업링크 그랜트 시그널링을 취득할 수 있다. 또한, 처리 회로(610)(예를 들어, 추출 유닛(612))는, 업링크 그랜트 시그널링으로부터, 업링크 그랜트 시그널링을 운반하는 하나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과, 업링크 그랜트 시그널링에 의해 스케줄링된 PUSCH 전송을 포함한 업링크 전송을 운반하는 복수의 업링크 서브프레임 사이의 타이밍 매핑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처리 회로(610)(예를 들어, 취득 유닛(611))는 동일한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에 의해 운반되는 복수의 업링크 그랜트 시그널링을 취득할 수 있다. 또한, 처리 회로(610)(예를 들어, 추출 유닛(612))는, 복수의 업링크 그랜트 시그널링 각각으로부터, 동일한 다운링크 서브프레임과 복수의 업링크 그랜트 시그널링 각각에 의해 스케줄링된 PUSCH 전송을 포함한 업링크 전송을 운반하는 하나의 업링크 서브프레임 사이의 타이밍 매핑 정보 각각을 추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처리 회로(610)(예를 들어, 도시되지 않은 결정 유닛)는, 다음 업링크 그랜트 시그널링을 운반하는 다음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이전에 모든 업링크 서브프레임에 의해 운반되는 PUSCH 전송을 스케줄링할 수 있는 하나의 업링크 그랜트 시그널링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처리 회로(610)(예를 들어, 추출 유닛(612))는, 물리 계층 시그널링 또는 MAC 계층 시그널링으로부터, 업링크 그랜트 시그널링을 운반하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과, 업링크 그랜트 시그널링에 의해 스케줄링된 PUSCH 전송을 포함한 업링크 전송을 실제로 운반하는 업링크 서브프레임 사이의 실제 타이밍 매핑 정보를 타이밍 매핑 정보로서 추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타이밍 매핑 정보에 기초하여, 처리 회로(610)(예를 들어, 도시되지 않은 생성 유닛)는 또한, 비인가 채널 상의 PUSCH 전송을 포함한 업링크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를 생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처리 회로(610)(예를 들어, 추출 유닛(612))는, 물리 계층 시그널링으로부터, 비인가 채널 상에서 수행된 PUSCH 전송을 포함한 업링크 전송 전에 수행된 채널 검출 프로세스의 채널 검출 유형에 관한 구성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처리 회로(610)(예를 들어, 추출 유닛(612))는 재사용된 DCI 포맷 1C로부터 구성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처리 회로(610)(예를 들어, 취득 유닛(611))는 구성 정보로서 서브프레임 경계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서브프레임 경계 정보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측의 채널 검출이 성공한 후 MCOT 내에 있는 마지막 서브프레임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처리 회로(610)(예를 들어, 도시하지 않은 생성 유닛)는, 비인가 채널 상에서 수행되는 PUSCH 전송을 포함한 업링크 전송 전에 제1 채널 검출 프로세스 또는 제2 채널 검출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를 생성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제1 채널 검출 프로세스는 랜덤 백오프를 제외한 에너지 검출 프로세스일 수 있고, 제2 채널 검출 프로세스는 랜덤 백오프 및 가변 경쟁 윈도우 크기를 포함하는 에너지 검출 프로세스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처리 회로(610)(예를 들어, 추출 유닛(612))는 물리 계층 시그널링으로부터 채널 검출 파라미터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추출된 채널 검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처리 회로(610)(예를 들어, 도시되지 않은 구성 유닛)는 비인가 채널 상의 비인가 캐리어에 대한 채널 검출 파라미터를 구성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채널 검출 파라미터는 랜덤 백오프 및 가변 경쟁 윈도우 크기를 포함하는 에너지 검출 프로세스 동안 이용되는 경쟁 윈도우 크기일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된 무선 통신 시스템은 LAA 시스템일 수 있고, 전자 디바이스(600)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UE일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요약하면,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지국 및 사용자 장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이 제공된다. 기지국은: 제1 송수신기; 및 하나 이상의 제1 처리 회로를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제1 처리 회로는: 업링크 그랜트 시그널링을 운반하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과, 업링크 그랜트 시그널링에 의해 스케줄링된 사용자 장비에 의해 비인가 채널 상에서 수행되는 PUSCH 전송을 운반하는 업링크 서브프레임 사이의 타이밍 매핑 정보를 구성하고; 제1 송수신기로 하여금 타이밍 매핑 정보를 사용자 장비에 통보하게 하는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사용자 장비는: 제2 송수신기; 및 하나 이상의 제2 처리 회로를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제2 처리 회로는: 제2 송수신기에 의해 기지국으로부터 다운링크 시그널링을 취득하고; 다운링크 시그널링으로부터 타이밍 매핑 정보를 추출하는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후속해서, 본 개시내용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이 도 22와 연계하여 설명된다. 도 22은 본 개시내용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의 플로차트를 도시한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S310 단계에서, 업링크 그랜트 시그널링을 운반하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과, 업링크 그랜트 시그널링에 의해 스케줄링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사용자 장비에 의해 비인가 채널 상에서 수행되는 PUSCH 전송을 포함한 업링크 전송을 운반하는 업링크 서브프레임 사이의 타이밍 매핑 정보.
그 다음, 단계 S320에서, 타이밍 매핑 정보가 사용자 장비에 통보된다.
바람직하게, 타이밍 매핑 정보를 구성할 때, 하나의 업링크 그랜트 시그널링을 운반하는 하나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은 업링크 그랜트 시그널링에 의해 스케줄링된 PUSCH 전송을 포함한 업링크 전송을 운반하는 복수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에 매핑될 수 있고, 타이밍 매핑 정보는 업링크 그랜트 시그널링에 추가된다.
바람직하게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은 복수의 업링크 그랜트 시그널링을 운반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업링크 그랜트 시그널링 각각을 운반하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과, 복수의 업링크 그랜트 시그널링 각각에 의해 스케줄링된 PUSCH 전송을 포함한 업링크 전송을 운반하는 하나의 업링크 서브프레임 사이의 타이밍 매핑 정보 각각. 또한, 타이밍 매핑 정보 각각은 복수의 업링크 그랜트 시그널링 각각에 추가되어, 사용자 장비에 통보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하나의 업링크 그랜트 시그널링은, 다음 업링크 그랜트 시그널링을 운반하는 다음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전에 모든 업링크 서브프레임에 의해 운반되는 PUSCH 전송을 포함한 업링크 전송을 스케줄링할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업링크 그랜트 시그널링을 운반하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과 업링크 그랜트 시그널링에 의해 스케줄링된 PUSCH 전송을 포함한 업링크 전송을 실제로 운반하는 업링크 서브프레임 사이의 실제 타이밍 매핑 정보. 실제 타이밍 매핑 정보는 물리 계층 시그널링 또는 MAC 계층 시그널링에 추가되어 사용자 장비에 통보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의 방법에 따르면, 비인가 채널 상의 PUSCH 전송을 포함한 업링크 전송을 수행하기 전에 사용자 장비에 의해 수행하는 채널 검출 프로세스의 채널 검출 유형에 관한 구성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생성된 구성 정보는 물리 계층 시그널링에 추가되어 사용자 장비에 통보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구성 정보를 생성할 때, 비인가 채널 상의 복수의 비인가 캐리가 서로 독립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복수의 비인가 캐리어 각각에 대해, 채널 검출 유형은 PUSCH 전송을 포함한 업링크 전송을 운반하는 업링크 서브프레임이 MCOT 내에 있을 때 제1 채널 검출 프로세스가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채널 검출 유형은, PUSCH 전송을 포함한 업링크 전송을 운반하는 업링크 서브프레임이 MCOT를 벗어날 때 제2 채널 검출 프로세스가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구성 정보를 생성할 때, 비인가 채널 상의 복수의 비인가 캐리어 중 하나가 1차 채널로서 설정될 수 있고, 다른 비인가 캐리어들은 2차 채널로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2차 채널에 대한 채널 검출 유형은 제1 채널 검출 프로세스가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1차 채널의 경우, PUSCH 전송을 포함한 업링크 전송을 운반하는 업링크 서브프레임이 MCOT 내에 있을 때, 채널 검출 유형은 제1 채널 검출 프로세스가 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 반면, PUSCH 전송을 포함한 업링크 전송을 운반하는 업링크 서브프레임이 MCOT를 넘어설 때, 채널 검출 유형은 제2 채널 검출 프로세스가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제1 채널 검출 프로세스는 랜덤 백오프를 제외한 에너지 검출 프로세스이고, 제2 채널 검출 프로세스는 랜덤 백오프 및 가변 경쟁 윈도우 크기를 포함하는 에너지 검출 프로세스이다.
바람직하게는, DCI 포맷 1C이 재사용되어 생성된 구성 정보를 물리 계층 시그널링에 추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서브프레임 경계 정보는 구성 정보로서 생성될 수 있다. 서브프레임 경계 정보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측의 채널 검출이 성공한 후 MCOT 내에 있는 마지막 서브프레임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서의 방법에 따라, 채널 검출 파라미터는 비인가 채널 상의 비인가 캐리어에 대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구성된 채널 검출 파라미터는 물리 계층 시그널링에 추가되어 사용자 장비에 통보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업링크 그랜트 시그널링에 의해 스케줄링된 PUSCH 전송을 포함한 선행 업링크 전송의 결과에 기초하여, 동일한 업링크에 의해 스케줄링된 PUSCH 전송을 포함한 업링크 전송을 수행하기 전에 사용자 장비가 채널 검출 프로세스를 수행할 때 이용되는 채널 검출 파라미터는 비인가 캐리어에 대해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에 의해 운반되는 업링크 그랜트 시그널링에 의해 스케줄링된 PUSCH 전송을 포함한 선행 업링크 전송 결과에 기초하여, 동일한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에 의해 운반되는 업링크 그랜트 시그널링에 의해 스케줄링된 PUSCH 전송을 포함한 업링크 전송을 수행하기 전에 사용자 장비가 채널 검출 프로세스를 수행할 때 이용되는 채널 검출 파라미터는 비인가 캐리어에 대해 구성될 수 있다.
후속해서,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이 도 23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23은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의 플로차트를 도시한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단계 S410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으로부터의 다운링크 시그널링(예를 들어, 물리 계층 시그널링 또는 MAC 계층 시그널링)이 취득된다.
그 다음, 단계 S420에서, 업링크 그랜트 시그널링을 운반하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과, 업링크 그랜트 시그널링에 의해 스케줄링된 비인가 채널 상에서 수행된 PUSCH 전송을 포함한 업링크 전송을 운반하는 업링크 서브프레임 사이의 타이밍 매핑 정보는 물리 계층 시그널링 또는 MAC 계층 시그널링으로부터 추출된다.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업링크 그랜트 시그널링이 취득될 수 있다. 또한, 업링크 그랜트 시그널링을 운반하는 하나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과, 업링크 그랜트 시그널링에 의해 스케줄링된 PUSCH 전송을 포함한 업링크 전송을 운반하는 복수의 업링크 서브프레임 사이의 타이밍 매핑 정보는 하나의 업링크 그랜트 시그널링으로부터 추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동일한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에 의해 운반되는 복수의 업링크 그랜트 시그널링이 취득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업링크 그랜트 시그널링 각각으로부터, 동일한 다운링크 서브프레임과 복수의 업링크 그랜트 시그널링 각각에 의해 스케줄링된 PUSCH 전송을 포함한 업링크 전송을 운반하는 하나의 업링크 서브프레임 사이의 타이밍 매핑 정보 각각이 추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업링크 그랜트 시그널링은, 다음 업링크 그랜트 시그널링을 운반하는 다음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전에 모든 업링크 서브프레임에 의해 운반되는 PUSCH 전송을 포함한 업링크 전송을 스케줄링할 수 있다고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업링크 그랜트 시그널링을 운반하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과, 업링크 그랜트 시그널링에 의해 스케줄링된 PUSCH 전송을 포함한 업링크 전송을 실제로 운반하는 업링크 서브프레임 사이의 실제 타이밍 매핑 정보는, 물리 계층 시그널링 또는 MAC 계층 시그널링으로부터, 타이밍 매핑 정보로서 추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타이밍 매핑 정보에 기초하여, 비인가 채널 상에서 PUSCH 전송을 포함한 업링크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가 생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의 방법에 따라, 비인가 채널 상에서 수행되는 PUSCH 전송을 포함한 업링크 전송 이전에 수행된 채널 검출 프로세스의 채널 검출 유형에 관한 구성 정보는 물리 계층 시그널링으로부터 추출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구성 정보는 재사용된 DCI 포맷 1C로부터 추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서브프레임 경계 정보는 구성 정보로서 취득될 수 있다. 서브프레임 경계 정보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측의 채널 검출이 성공한 후 MCOT 내에 있는 마지막 서브프레임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비인가 채널 상에서 수행된 PUSCH 전송을 포함한 업링크 전송 전에 제1 채널 검출 프로세스 또는 제2 채널 검출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가 생성될 수 있다. 제1 채널 검출 프로세스는 랜덤 백오프를 제외한 에너지 검출 프로세스이고, 제2 채널 검출 프로세스는 랜덤 백오프 및 가변 경쟁 윈도우 크기를 포함하는 에너지 검출 프로세스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에 따르면, 채널 검출 파라미터는 물리 계층 시그널링으로부터 추출될 수 있다. 또한, 추출된 채널 검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채널 검출 파라미터는 비인가 채널 상의 비인가 캐리어들에 대해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의 단계들의 특정한 구현이 위에서 상세히 설명되었고, 여기서는 반복되지 않는다.
본 개시내용에 따른 기술은 다양한 유형의 제품들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내용에서 언급된 기지국은, 매크로 eNB 및 스몰 eNB 등의, 임의의 유형의 진화된 노드 B(eNB)로서 구현될 수 있다. 스몰 eNB는, 피코-eNB, 마이크로-eNB 및 가정용(펨토) eNB 등의, 매크로 셀의 커버리지보다 작은 커버리지를 갖는 셀의 eNB일 수 있다. 대안으로서, 기지국은, NodeB 및 베이스 트랜시버 스테이션(BTS) 등의, 임의의 다른 유형의 기지국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기지국은: 무선 통신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본체(기지국 디바이스라고도 함); 및 본체와는 상이한 위치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원격 무선 헤드-엔드(remote radio head-end)(RRH)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유형의 단말기들은 기지국의 기능을 일시적 또는 반영구적 방식으로 수행함으로써 동작하는 기지국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내용에서 언급된 UE는, (스마트 폰, 태블릿 PC, 노트북 PC, 휴대형 게임 단말기 및 휴대형/동글 모바일 라우터 및 디지털 카메라 등의) 모바일 단말기 또는 (자동차 내비게이션 디바이스 등의) 차량-탑재형 단말기로서 구현될 수 있다. UE는 또한, (MTC 단말기라고도 하는) 머신-대-머신(Machine to Machine)(M2M)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기로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UE는, (단일 웨이퍼를 포함하는 집적 회로 모듈 등의) 상기 단말기들 각각에 설치되는 무선 통신 모듈일 수 있다.
도 24는 본 개시내용의 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 eNB의 개략적인 구성의 제1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eNB(1000)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1010) 및 기지국 디바이스(1020)를 포함한다. 기지국 디바이스(1020)와 각각의 안테나(1010)는 RF 케이블을 통해 서로 접속될 수 있다.
안테나(1010)들 각각은, 단일의 또는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안테나에 포함된 복수의 안테나 요소 등의) 복수의 안테나 요소를 포함하고, 기지국 디바이스(1020)가 무선 신호를 전송 및 수신하는데 이용된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eNB(1000)는 복수의 안테나(101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안테나(1010)는 eNB(1000)에 의해 이용되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과 호환될 수 있다. 도 24는 eNB(1000)가 복수의 안테나(1010)를 포함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지만, eNB(1000)는, 단일의 안테나(1010)를 포함할 수도 있다.
기지국 디바이스(1020)는, 제어기(1021), 메모리(102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23), 및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025)를 포함한다.
제어기(1021)는 예를 들어 CPU 또는 DSP일 수 있고, 기지국 디바이스(1020)의 상위 계층들의 다양한 유형의 기능들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기(1021)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025)에 의해 처리된 신호 내의 데이터에 따라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고, 생성된 패킷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23)를 통해 전송한다. 제어기(1021)는, 복수의 기저대역 프로세서로부터의 데이터를 번들링하여 번들링된 패킷을 생성하고, 생성된 번들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 제어기(1021)는 다음과 같은 제어를 수행하는 논리 기능들을 가질 수 있다: 무선 자원 제어, 무선 베어러 제어, 이동성 관리, 승인 제어 및 스케줄 등. 제어는 근처의 eNB 또는 코어 네트워크 노드와 연계하여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022)는 RAM 및 ROM을 포함하고, 제어기(1021)에 의해 수행되는 프로그램 및 (단말기 목록, 전송 전력 데이터 및 스케줄 데이터 등의) 다양한 유형의 제어 데이터를 저장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23)는, 기지국 디바이스(1020)를 코어 네트워크(1024)에 접속하는 통신 인터페이스이다. 제어기(1021)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23)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 노드 또는 다른 eNB와 통신할 수 있다. 이 경우, eNB(1000)는 (S1 인터페이스 및 X2 인터페이스 등의) 논리 인터페이스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 노드 또는 다른 eNB에 접속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23)는 또한,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 또는 무선 백홀 라인을 위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일 수도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23)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라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23)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025)에 의해 이용되는 주파수 대역에 비해 무선 통신을 위해 더 높은 주파수 대역을 이용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025)는, (롱 텀 에볼루션(LTE) 및 LTE-advanced 등의) 임의의 셀룰러 통신 방식을 지원하고, 안테나(1010)를 통해 eNB(1000)의 셀 내의 단말기로의 무선 접속을 제공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025)는 일반적으로 기저대역(baseband)(BB) 프로세서(1026) 및 RF 회로(1027)를 포함할 수 있다. BB 프로세서(1026)는, 예를 들어, 인코딩/디코딩, 변조/복조, 및 멀티플렉싱과 디멀티플렉싱을 수행할 수 있고, (L1, 매체 액세스 제어(MAC), 무선 링크 제어(RLC) 및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PDCP) 등의) 계층들의 다양한 유형의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기(1021) 대신에, BB 프로세서(1026)는 전술된 논리 기능들의 일부 또는 전부를 가질 수 있다. BB 프로세서(1026)는 통신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한 메모리이거나, 프로그램 및 관련된 회로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모듈일 수 있다. 프로그램을 업데이트하는 것은 BB 프로세서(1026)의 기능을 변경할 수 있다. 모듈은 기지국 디바이스(1020)의 슬롯에 삽입된 카드 또는 블레이드(blade)일 수 있다. 대안으로서, 모듈은 또한, 카드 또는 블레이드 상에 설치된 칩일 수도 있다. 한편, RF 회로(1027)는, 예를 들어, 믹서, 필터 및 증폭기를 포함할 수 있고, 안테나(1010)를 통해 무선 신호를 전송 및 수신한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025)는 복수의 BB 프로세서(1026)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BB 프로세서(1026)는, eNB(1000)에 의해 이용되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과 호환될 수 있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025)는 복수의 RF 회로(1027)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RF 회로(1027)는 복수의 안테나 요소와 호환될 수 있다. 도 24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025)가 복수의 BB 프로세서(1026) 및 복수의 RF 회로(1027)를 포함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지만,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025)는, 단일의 BB 프로세서(1026) 또는 단일의 RF 회로(1027)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25는 본 개시내용의 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 eNB의 개략적인 구성의 제2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eNB(1130)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1140), 기지국 디바이스(1150), 및 RRH(1160)를 포함한다. RRH(1160)와 각각의 안테나(1140)는 RF 케이블을 통해 서로 접속될 수 있다. 기지국 디바이스(1150)와 RRH(1160)는 광섬유 케이블 등의 고속 라인을 통해 서로 접속될 수 있다.
안테나(1140)들 각각은, 단일의 또는 (MIMO 안테나에 포함된 복수의 안테나 요소들 등의) 복수의 안테나 요소를 포함하고, RRH(1160)가 무선 신호를 전송 및 수신하는데 이용된다.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eNB(1130)는 복수의 안테나(114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안테나(1140)는 eNB(1130)에 의해 이용되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과 호환될 수 있다. 도 25는 eNB(1130)가 복수의 안테나(1140)를 포함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지만, eNB(1130)는, 단일의 안테나(1140)를 포함할 수도 있다.
기지국 디바이스(1150)는, 제어기(1151), 메모리(115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53),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155), 및 접속 인터페이스(1157)를 포함한다. 제어기(1151), 메모리(115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53)는 도 24를 참조하여 설명된 제어기(1021), 메모리(102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23)와 동일하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155)는, (LTE 및 LTE-Advanced 등의) 임의의 셀룰러 통신 방식을 지원하고, RRH(1160) 및 안테나(1140)를 통해 RRH(1160)에 대응하는 섹터 내의 단말기와의 무선 통신을 제공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155)는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BB 프로세서(1156)를 포함할 수 있다. BB 프로세서(1156)는 접속 인터페이스(1157)를 통해 RRH(1160)의 RF 회로(1164)에 접속되는 것 외에도, BB 프로세서(1156)는 도 24를 참조하여 설명된 BB 프로세서(1026)와 동일하다.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155)는 복수의 BB 프로세서(1156)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BB 프로세서(1156)는, eNB(1130)에 의해 이용되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과 호환될 수 있다. 도 25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155)가 복수의 BB 프로세서(1156)를 포함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지만,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155)는 단일의 BB 프로세서(1156)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접속 인터페이스(1157)는 기지국 디바이스(1150)(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155))를 RRH(1160)에 접속하도록 구성된 인터페이스이다. 접속 인터페이스(1157)는, 기지국 디바이스(1150)(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155))를 RRH(1160)에 접속하는 전술된 고속 라인에서의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일 수도 있다.
RRH(1160)는 접속 인터페이스(1161) 및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163)를 포함한다.
접속 인터페이스(1161)는 RRH(1160)(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163))를 기지국 디바이스(1150)에 접속하도록 구성된 인터페이스이다. 접속 인터페이스(1161)는 전술된 고속 라인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모듈일 수 있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163)는 안테나(1140)를 통해 무선 신호를 전송 및 수신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163)는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RF 회로(1164)를 포함할 수 있다. RF 회로(1164)는, 예를 들어, 믹서, 필터, 및 증폭기를 포함할 수 있고, 안테나(1140)를 통해 무선 신호를 전송 및 수신한다.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163)는 복수의 RF 회로(1164)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RF 회로(1164)는 복수의 안테나 요소를 지원할 수 있다. 도 25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163)가 복수의 RF 회로(1164)를 포함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지만,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163)는 단일의 RF 회로(1164)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24 및 도 25에 도시된 eNB(1000) 및 eNB(1130)에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된 처리 회로(410)와 처리 회로(410) 내의 구성 유닛(411) 및 추가 유닛(412), 도 7을 참조하여 설명된 처리 회로(710)와, 처리 회로(710) 내의 설정 유닛(711), 구성 유닛(712) 및 추가 유닛(713),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처리 회로(910)와, 처리 회로(910) 내의 생성 유닛(911) 및 추가 유닛(912), 및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된 처리 회로(810)와 처리 회로(810) 내의 구성 유닛(811) 및 추가 유닛(812)은, 제어기(1021) 및/또는 제어기(1151)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된 통신 유닛(420), 도 7을 참조하여 설명된 통신 유닛(720), 도 9를 참조하여 설명된 통신 유닛(920) 및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된 통신 유닛(820)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025) 및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155) 및/또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163)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기능들 중 적어도 일부는 제어기(1021) 및 제어기(1151)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기(1021) 및/또는 제어기(1151)는 대응하는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구성 기능 및 추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6은 본 개시내용의 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 스마트 폰(1200)의 개략적인 구성의 한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스마트폰(1200)은: 프로세서(1201), 메모리(1202), 저장 장치(1203), 외부 접속 인터페이스(1204), 카메라(1206), 센서(1207), 마이크로폰(1208), 입력 장치(1209), 디스플레이 장치(1210), 확성기(1211),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212), 하나 이상의 안테나 스위치(1215), 하나 이상의 안테나(1216), 버스(1217), 배터리(1218), 및 보조 제어기(1219)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201)는 예를 들어 CPU 또는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SoC)일 수 있으며, 스마트 폰(1200)의 애플리케이션 계층 및 다른 계층들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메모리(1202)는 RAM 및 ROM을 포함하고, 프로세서(1201)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한다. 저장 장치(1203)는, 반도체 메모리 및 하드 디스크 등의,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접속 인터페이스(1204)는, (메모리 카드 및 USB(Universal Serial Bus) 디바이스 등의) 외부 장치를 스마트 폰(1200)에 접속하도록 구성된 인터페이스이다.
카메라(1206)는, (전하 결합 소자(CCD) 및 상보형 금속 산화물 반도체(CMOS) 등의)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고, 포착된 이미지를 생성한다. 센서(1207)는, 측정 센서, 자이로스코프 센서, 지자기 센서, 및 가속도 센서 등의, 한 세트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1208)은 스마트 폰(1200)에 입력된 사운드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한다. 입력 장치(1209)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210)의 스크린 상의 터치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터치 센서, 키패드, 키보드, 버턴 또는 스위치를 포함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동작 또는 정보를 수신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210)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및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등의) 스크린을 포함하고, 스마트 폰(1200)의 출력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 확성기(1211)는 스마트 폰(1200)으로부터 출력된 오디오 신호를 사운드로 변환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212)는 (LTE 및 LTE-advanced 등의) 임의의 셀룰러 통신 방식을 지원하고,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212)는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BB 프로세서(1213) 및 RF 회로(1214)를 포함할 수 있다. BB 프로세서(1213)는, 예를 들어, 인코딩/디코딩, 변조/복조, 및 멀티플렉싱/디멀티플렉싱을 수행할 수 있고, 무선 통신을 위한 다양한 유형의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RF 회로(1214)는, 예를 들어, 믹서, 필터 및 증폭기를 포함할 수 있고, 안테나(1216)를 통해 무선 신호를 전송 및 수신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212)는 BB 프로세서(1213) 및 RF 회로(1214)가 통합된 칩 모듈일 수 있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212)는 복수의 BB 프로세서(1213) 및 복수의 RF 회로(121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6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212)가 복수의 BB 프로세서(1213) 및 복수의 RF 회로(1214)를 포함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지만,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212)는, 단일의 BB 프로세서(1213) 또는 단일의 RF 회로(1214)를 포함할 수도 있다.
셀룰러 통신 방식 외에도,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212)는, 단거리 무선 통신 방식, 근접장 통신 방식, 및 무선 근거리 통신망(LAN) 방식 등의 다른 유형의 무선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 있다. 이 경우,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212)는 각각의 유형의 무선 통신 방식에 대한 BB 프로세서(1213) 및 RF 회로(1214)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스위치(1215)들 각각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212)에 포함된 (상이한 무선 통신 방식들에 대한 회로들 등의) 복수의 회로 사이에서 안테나(1216)의 접속 목적지를 스위칭한다.
안테나(1216)들 각각은, 단일의 또는 (MIMO 안테나에 포함된 복수의 안테나 요소 등의) 복수의 안테나 요소를 포함하고,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212)가 무선 신호를 전송 및 수신하는데 이용된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폰(1200)은 복수의 안테나(121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6은 스마트 폰(1200)이 복수의 안테나(1216)를 포함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지만, 스마트 폰(1200)은 단일의 안테나(1216)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스마트 폰(1200)은 각각의 유형의 무선 통신 방식에 대한 안테나(1216)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안테나 스위치(1215)는 스마트 폰(1200)의 구성으로부터 생략될 수 있다.
버스(1217)는, 프로세서(1201), 메모리(1202), 저장 장치(1203), 외부 접속 인터페이스(1204), 카메라(1206), 센서(1207), 마이크로폰(1208), 입력 장치(1209), 디스플레이 장치(1210), 확성기(1211),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212), 및 보조 제어기(1219)를 서로 접속한다. 배터리(1218)는, 도면에서 파선으로 부분적으로 표시된 피더(feeder)를 통해 도 26에 도시된 스마트 폰(1200) 내의 블록들에 전력을 공급한다. 보조 제어기(1219)는, 예를 들어, 휴면 모드에서 스마트 폰(1200)의 최소한의 필요한 기능을 제어한다.
도 26에 도시된 스마트 폰(1200)에서, 도 21을 참조하여 설명된 처리 회로(610)와 처리 회로(610) 내의 취득 유닛(611) 및 추출 유닛(612)은 프로세서(1201) 또는 보조 제어기(1219)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21을 참조하여 설명된 통신 유닛(630)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212)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기능들 중 적어도 일부는 프로세서(1201) 또는 보조 제어기(1219)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1) 또는 보조 제어기(1219)는, 메모리(1202) 또는 저장 장치(1203)에 저장된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정보 취득 기능 및 정보 추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7은 본 개시내용의 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 자동차 내비게이션 디바이스(1320)의 개략적인 구성의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자동차 내비게이션 디바이스(1320)는, 프로세서(1321), 메모리(1322), GPS 모듈(1324), 센서(1325), 데이터 인터페이스(1326), 콘텐츠 재생기(1327), 저장 매체 인터페이스(1328), 입력 장치(1329), 디스플레이 장치(1330), 확성기(1331),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333), 하나 이상의 안테나 스위치(1336), 하나 이상의 안테나(1337), 및 배터리(1338)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321)는 CPU 또는 SoC일 수 있고, 자동차 내비게이션 디바이스(1320)의 내비게이션 기능 및 다른 기능들을 제어한다. 메모리(1322)는 RAM 및 ROM을 포함하고, 프로세서(1321)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한다.
GPS 모듈(1324)은,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된 GPS 신호를 이용하여 자동차의 내비게이션 디바이스(1320)의 (위도, 경도, 고도 등의) 위치를 측정한다. 센서(1325)는, 자이로스코프 센서, 지자기 센서, 및 공기압 센서 등의, 한 세트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인터페이스(1326)는, 예를 들어 도시되지 않은 단자를 통해, 차량 네트워크(1341)에 접속되고, (차량 속도 데이터 등의) 차량에 의해 생성되는 데이터를 취득한다.
콘텐츠 재생기(1327)는 (CD 및 DVD 등의) 저장 매체에 저장된 콘텐츠를 재생하고, 저장 매체는 저장 매체 인터페이스(1328) 내에 삽입된다. 입력 장치(1329)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330)의 스크린 상의 터치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터치 센서, 버턴 또는 스위치를 포함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동작 또는 정보를 수신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330)는 예를 들어 LCD 또는 OLED 디스플레이의 스크린을 포함하고, 내비게이션 기능에서의 이미지 또는 재생된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한다. 확성기(1331)는 내비게이션 기능에서의 사운드 또는 재생된 콘텐츠를 출력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333)는 (LTE 및 LTE-advanced 등의) 임의의 셀룰러 통신 방식을 지원하고,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333)는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BB 프로세서(1334) 및 RF 회로(1335)를 포함할 수 있다. BB 프로세서(1334)는, 인코딩/디코딩, 변조/복조, 및 멀티플렉싱/디멀티플렉싱을 수행하고, 무선 통신을 위한 다양한 유형의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RF 회로(1335)는, 예를 들어, 믹서, 필터 및 증폭기를 포함할 수 있고, 안테나(1337)를 통해 무선 신호를 전송 및 수신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333)는 또한, BB 프로세서(1334) 및 RF 회로(1335)가 통합된 칩 모듈일 수 있다.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333)는 복수의 BB 프로세서(1334) 및 복수의 RF 회로(133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7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333)가 복수의 BB 프로세서(1334) 및 복수의 RF 회로(1335)를 포함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지만,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333)는, 단일의 BB 프로세서(1334) 또는 단일의 RF 회로(1335)를 포함할 수도 있다.
셀룰러 통신 방식 외에도,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333)는, 단거리 무선 통신 방식, 근접장 통신 방식, 및 무선 LAN 방식 등의 다른 유형의 무선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유형의 무선 통신 방식에 대해,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333)는 BB 프로세서(1334) 및 RF 회로(1335)를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 스위치(1336)들 각각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333)에 포함되는 (상이한 무선 통신 방식들에 대한 회로들 등의) 복수의 회로 사이에서 안테나(1337)의 접속 목적지를 스위칭한다.
안테나(1337)들 각각은, 단일의 또는 (MIMO 안테나에 포함된 복수의 안테나 요소 등의) 복수의 안테나 요소를 포함하고,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333)가 무선 신호를 전송 및 수신하는데 이용된다.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 내비게이션 디바이스(1320)는 복수의 안테나(1337)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7은 자동차 내비게이션 디바이스(1320)가 복수의 안테나(1337)를 포함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지만, 자동차 내비게이션 디바이스(1320)는 단일의 안테나(1337)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자동차 내비게이션 디바이스(1320)는 각각의 유형의 무선 통신 방식에 대한 안테나(1337)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안테나 스위치(1336)는 자동차 내비게이션 디바이스(1320)의 구성으로부터 생략될 수 있다.
배터리(1338)는, 도면에서 파선으로 부분적으로 표시된 피더를 통해 도 27에 도시된 자동차 내비게이션 디바이스(1320) 내의 블록들에 전력을 공급한다. 배터리(1338)는 차량에 의해 제공된 전력을 축적한다.
도 27에 도시된 자동차 내비게이션 디바이스(1320)에서, 도 21을 참조하여 설명한 처리 회로(610)와 처리 회로(610) 내의 취득 유닛(611) 및 추출 유닛(612)은 프로세서(1321)에 의해 구현되고, 도 21을 참조하여 설명된 통신 유닛(630)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333)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기능들 중 적어도 일부는 프로세서(1321)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21)는 메모리(1322)에 저장된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측정 보고 기능 및 중계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기술은 또한, 자동차 내비게이션 디바이스(1320), 차량 네트워크(1341) 및 차량 모듈(1342)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차량-탑재형 시스템(또는 차량)(1340)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차량 모듈(1342)은, (차량 속도, 엔진 속도 및 고장 정보 등의) 차량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데이터를 차량 네트워크(1341)에 출력한다.
본 개시내용에 따른 시스템 및 방법에서, 명백히, 컴포넌트들 또는 단계들은 분해 및/또는 재결합될 수도 있다. 분해 및/또는 재결합은 본 개시내용의 균등한 솔루션으로서 간주되어야 한다. 또한, 전술된 일련의 처리에서의 단계들은, 당연히 설명된 순서로 및 시간 순서로 수행될 수도 있고, 반드시 시간 순서로 수행될 필요는 없다. 일부 단계들은 병렬로 또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이 상기 도면들과 연계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전술된 실시예들은 본 개시내용을 예시하기 위해 이용된 것일 뿐이고, 본 개시내용을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대해, 본 개시내용의 본질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유형의 변경 및 수정이 실시예들에 대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내용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 및 그 균등한 의미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Claims (32)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전자 디바이스로서,
    하나 이상의 처리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처리 회로는:
    업링크 그랜트 시그널링(uplink grant signaling)을 운반하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과, 상기 업링크 그랜트 시그널링에 의해 스케줄링된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사용자 장비에 의해 비인가 채널(unlicensed channel) 상에서 수행되는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PUSCH) 전송을 포함한 업링크 전송을 운반하는 업링크 서브프레임 사이의 타이밍 매핑 정보를 구성하고,
    상기 비인가 채널 상의 PUSCH 전송을 포함한 업링크 전송 전에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수행되는 채널 액세스를 위한 채널 검출 프로세스의 채널 검출 유형에 관한 구성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비인가 채널 상의 복수의 비인가 캐리어 중 하나를 1차 채널이 되도록 설정하고, 다른 비인가 캐리어들을 2차 채널들이 되도록 설정하며;
    상기 2차 채널들에 대한 상기 채널 검출 유형을 제1 채널 검출 프로세스가 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1차 채널에 대해,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국 측의 채널 검출이 성공적인 후 상기 PUSCH 전송을 포함한 업링크 전송을 운반하는 상기 업링크 서브프레임이 최대 채널 점유 시간(MCOT) 내에 있을 때 상기 채널 검출 유형을 제1 채널 검출 프로세스가 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PUSCH 전송을 운반하는 상기 업링크 서브프레임이 상기 MCOT를 벗어날 때, 상기 채널 검출 유형을 제2 채널 검출 프로세스가 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제2 채널 검출 프로세스에 연관된 경쟁 윈도우 크기(Contention Window Size)(CWS)는 하나 이상의 이전 서브프레임 내에서 하나 이상의 PUSCH 전송의 성공률에 기초하여 조정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들은 추가로, 상기 사용자 장비에 통보하기 위해 상기 타이밍 매핑 정보를 물리 계층 시그널링 또는 매체 액세스 제어(Media Access Control)(MAC) 계층 시그널링에 추가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매핑 정보를 구성할 때, 상기 처리 회로들은 하나의 업링크 그랜트 시그널링을 운반하는 하나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을 상기 하나의 업링크 그랜트 시그널링에 의해 스케줄링된 PUSCH 전송을 포함한 업링크 전송을 운반하는 복수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에 매핑하는, 전자 디바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은 복수의 업링크 그랜트 시그널링을 운반하고, 상기 처리 회로들은 추가로:
    상기 복수의 업링크 그랜트 시그널링 각각을 운반하는 상기 다운링크 서브프레임과, 상기 복수의 업링크 그랜트 시그널링 각각에 의해 스케줄링된 PUSCH 전송을 포함한 업링크 전송을 운반하는 하나의 업링크 서브프레임 사이의 타이밍 매핑 정보 각각을 구성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들은 추가로:
    하나의 업링크 그랜트 시그널링을, 다음 업링크 그랜트 시그널링을 운반하는 다음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전에 모든 업링크 서브프레임들에 의해 운반되는 PUSCH 전송을 포함한 업링크 전송을 스케줄링할 수 있도록 설정하고;
    상기 하나의 업링크 그랜트 시그널링을 운반하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과, 상기 하나의 업링크 그랜트 시그널링에 의해 스케줄링된 PUSCH 전송을 포함한 업링크 전송을 실제로 운반하는 업링크 서브프레임 사이의 실제 타이밍 매핑 정보를 구성하는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들은 상기 구성 정보로서 서브프레임 경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서브프레임 경계 정보는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국 측의 채널 검출이 성공적인 후 최대 채널 점유 시간(MCOT) 내에 있는 마지막 서브프레임을 나타내는, 전자 디바이스.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채널 검출 프로세스는 랜덤 백오프를 제외한 에너지 검출 프로세스이고,
    상기 제2 채널 검출 프로세스는 랜덤 백오프 및 가변 경쟁 윈도우 크기를 포함하는 에너지 검출 프로세스인, 전자 디바이스.
  12. 삭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들은 추가로:
    상기 비인가 채널 상의 비인가 캐리어들에 대한 채널 검출 파라미터를 구성하고;
    상기 사용자 장비에 통보하기 위해 상기 구성된 채널 검출 파라미터를 물리 계층 시그널링 또는 매체 액세스 제어(MAC) 계층 시그널링에 추가하는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전자 디바이스로서,
    하나 이상의 처리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처리 회로는: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국으로부터 다운링크 시그널링을 취득하고;
    상기 다운링크 시그널링으로부터, 업링크 그랜트 시그널링을 운반하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과, 상기 업링크 그랜트 시그널링에 의해 스케줄링된 비인가 채널 상에서 수행되는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PUSCH) 전송을 포함한 업링크 전송을 운반하는 업링크 서브프레임 사이의 타이밍 매핑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다운링크 시그널링으로부터, 상기 비인가 채널 상의 PUSCH 전송을 포함한 업링크 전송 전에 수행되는 채널 액세스를 위한 채널 검출 프로세스의 채널 검출 유형에 관한 구성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다운링크 시그널링으로부터, 상기 비인가 채널 상의 복수의 비인가 캐리어 중 하나가 1차 채널이고, 다른 비인가 캐리어들이 2차 채널들인 것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2차 채널들에 대한 상기 채널 검출 유형을 제1 채널 검출 프로세스가 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1차 채널에 대해,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국 측의 채널 검출이 성공적인 후 상기 PUSCH 전송을 포함한 업링크 전송을 운반하는 상기 업링크 서브프레임이 최대 채널 점유 시간(MCOT) 내에 있을 때 상기 채널 검출 유형을 제1 채널 검출 프로세스가 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PUSCH 전송을 운반하는 상기 업링크 서브프레임이 상기 MCOT를 벗어날 때, 상기 채널 검출 유형을 제2 채널 검출 프로세스가 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제2 채널 검출 프로세스에 연관된 경쟁 윈도우 크기(Contention Window Size)(CWS)는 하나 이상의 이전 서브프레임 내에서 하나 이상의 PUSCH 전송의 성공률에 기초하여 조정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들을 수행할 때, 상기 처리 회로들은:
    하나의 업링크 그랜트 시그널링을 취득하고;
    상기 하나의 업링크 그랜트 시그널링으로부터, 상기 하나의 업링크 그랜트 시그널링을 운반하는 하나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과, 상기 하나의 업링크 그랜트 시그널링에 의해 스케줄링된 PUSCH 전송을 포함한 업링크 전송을 운반하는 복수의 업링크 서브프레임 사이의 타이밍 매핑 정보를 추출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들을 수행할 때, 상기 처리 회로들은:
    동일한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에 의해 운반되는 복수의 업링크 그랜트 시그널링을 취득하고;
    상기 복수의 업링크 그랜트 시그널링 각각으로부터, 상기 동일한 다운링크 서브프레임과, 상기 복수의 업링크 그랜트 시그널링 각각에 의해 스케줄링된 PUSCH 전송을 포함한 업링크 전송을 운반하는 하나의 업링크 서브프레임 사이의 타이밍 매핑 정보 각각을 추출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들은, 다음 업링크 그랜트 시그널링을 운반하는 다음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전에 모든 업링크 서브프레임들에 의해 운반되는 PUSCH 전송을 스케줄링할 수 있는 하나의 업링크 그랜트 시그널링을 결정하고, 다운링크 시그널링으로부터, 상기 하나의 업링크 그랜트 시그널링을 운반하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과, 상기 하나의 업링크 그랜트 시그널링에 의해 스케줄링된 PUSCH 전송을 포함한 업링크 전송을 실제로 운반하는 업링크 서브프레임 사이의 실제 타이밍 매핑 정보를 상기 타이밍 매핑 정보로서 추출하는, 전자 디바이스.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들은 추가로:
    상기 타이밍 매핑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비인가 채널 상의 PUSCH를 포함한 업링크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를 생성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23. 삭제
  24. 삭제
  25.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들은 상기 구성 정보로서 서브프레임 경계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서브프레임 경계 정보는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국 측의 채널 검출이 성공적인 후 최대 채널 점유 시간(MCOT) 내에 있는 마지막 서브프레임을 나타내는, 전자 디바이스.
  26.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들은 추가로:
    상기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비인가 채널 상의 PUSCH 전송을 포함한 업링크 전송을 수행하기 전에 제1 채널 검출 프로세스 또는 제2 채널 검출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를 생성하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채널 검출 프로세스는 랜덤 백오프를 제외한 에너지 검출 프로세스이고, 상기 제2 채널 검출 프로세스는 랜덤 백오프 및 가변 경쟁 윈도우 크기를 포함하는 에너지 검출 프로세스인, 전자 디바이스.
  27.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들은 추가로:
    상기 다운링크 시그널링으로부터 채널 검출 파라미터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채널 검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비인가 채널 상의 비인가 캐리어들에 대해 채널 검출 파라미터를 구성하는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업링크 그랜트 시그널링을 운반하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과, 상기 업링크 그랜트 시그널링에 의해 스케줄링된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사용자 장비에 의해 비인가 채널 상에서 수행되는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PUSCH) 전송을 포함한 업링크 전송을 운반하는 업링크 서브프레임 사이의 타이밍 매핑 정보를 구성하는 단계;
    상기 타이밍 매핑 정보를 상기 사용자 장비에 통보하는 단계;
    상기 비인가 채널 상의 PUSCH 전송을 포함한 업링크 전송 전에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수행되는 채널 액세스를 위한 채널 검출 프로세스의 채널 검출 유형에 관한 구성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비인가 채널 상의 복수의 비인가 캐리어 중 하나를 1차 채널이 되도록 설정하고, 다른 비인가 캐리어들을 2차 채널들이 되도록 설정하는 단계;
    상기 2차 채널들에 대한 상기 채널 검출 유형을 제1 채널 검출 프로세스가 되도록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1차 채널에 대해,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국 측의 채널 검출이 성공적인 후 상기 PUSCH 전송을 포함한 업링크 전송을 운반하는 상기 업링크 서브프레임이 최대 채널 점유 시간(MCOT) 내에 있을 때 상기 채널 검출 유형을 제1 채널 검출 프로세스가 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PUSCH 전송을 운반하는 상기 업링크 서브프레임이 상기 MCOT를 벗어날 때, 상기 채널 검출 유형을 제2 채널 검출 프로세스가 되도록 구성하는 단계 - 상기 제2 채널 검출 프로세스에 연관된 경쟁 윈도우 크기(Contention Window Size)(CWS)는 하나 이상의 이전 서브프레임 내에서 하나 이상의 PUSCH 전송의 성공률에 기초하여 조정됨 -
    를 포함하는 방법.
  3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국으로부터 다운링크 시그널링을 취득하는 단계;
    상기 다운링크 시그널링으로부터, 업링크 그랜트 시그널링을 운반하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과, 상기 업링크 그랜트 시그널링에 의해 스케줄링된 비인가 채널 상에서 수행되는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PUSCH) 전송을 포함한 업링크 전송을 운반하는 업링크 서브프레임 사이의 타이밍 매핑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다운링크 시그널링으로부터, 상기 비인가 채널 상의 PUSCH 전송을 포함한 업링크 전송 전에 수행되는 채널 액세스를 위한 채널 검출 프로세스의 채널 검출 유형에 관한 구성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다운링크 시그널링으로부터, 상기 비인가 채널 상의 복수의 비인가 캐리어 중 하나가 1차 채널이고, 다른 비인가 캐리어들이 2차 채널들인 것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2차 채널들에 대한 상기 채널 검출 유형을 제1 채널 검출 프로세스가 되도록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1차 채널에 대해,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국 측의 채널 검출이 성공적인 후 상기 PUSCH 전송을 포함한 업링크 전송을 운반하는 상기 업링크 서브프레임이 최대 채널 점유 시간(MCOT) 내에 있을 때 상기 채널 검출 유형을 제1 채널 검출 프로세스가 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PUSCH 전송을 운반하는 상기 업링크 서브프레임이 상기 MCOT를 벗어날 때, 상기 채널 검출 유형을 제2 채널 검출 프로세스가 되도록 구성하는 단계 - 상기 제2 채널 검출 프로세스에 연관된 경쟁 윈도우 크기(Contention Window Size)(CWS)는 하나 이상의 이전 서브프레임 내에서 하나 이상의 PUSCH 전송의 성공률에 기초하여 조정됨 -
    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187029348A 2016-04-01 2017-03-16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전자 디바이스 및 무선 통신 방법 KR1024340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610202724.3A CN107294577A (zh) 2016-04-01 2016-04-01 无线通信系统中的电子设备和无线通信方法
CN201610202724.3 2016-04-01
PCT/CN2017/076930 WO2017167024A1 (zh) 2016-04-01 2017-03-16 无线通信系统中的电子设备和无线通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2685A KR20180132685A (ko) 2018-12-12
KR102434020B1 true KR102434020B1 (ko) 2022-08-22

Family

ID=59963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9348A KR102434020B1 (ko) 2016-04-01 2017-03-16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전자 디바이스 및 무선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10708911B2 (ko)
EP (3) EP3439192B1 (ko)
JP (1) JP7138048B2 (ko)
KR (1) KR102434020B1 (ko)
CN (3) CN107294577A (ko)
AU (1) AU2017242739B2 (ko)
CA (1) CA3018259C (ko)
WO (1) WO20171670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95695A (zh) * 2016-04-01 2017-10-24 索尼公司 电子装置、信息处理设备和信息处理方法
US11304222B2 (en) * 2017-11-17 2022-04-1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uplink scheduling
CN110034871B (zh) * 2018-01-11 2020-07-31 上海朗帛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被用于无线通信的用户设备、基站中的方法和装置
KR20190129605A (ko) * 2018-05-11 2019-11-2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스케줄링을 위한 장치 및 방법
EP3908054A4 (en) 2019-01-03 2022-01-19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CHANNEL DETECTION METHOD AND APPARATUS
US20220132573A1 (en) * 2019-02-13 2022-04-28 Mediatek Singapore Pte. Ltd. Channel access priority class for signaling radio bearers in new radio unlicensed
EP3734887A1 (en) * 2019-05-02 2020-11-04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performing transmission and reception operations
CN112203295A (zh) * 2019-07-08 2021-01-08 索尼公司 电子装置、无线通信方法和计算机可读介质
US11395334B2 (en) * 2019-07-12 2022-07-19 Qualcomm Incorporated Multiple grant scheduling for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and random access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43771B (zh) * 2011-06-20 2015-04-22 华为技术有限公司 时分双工系统中传输信息的方法、用户设备和基站
CN104812086B (zh) 2014-01-24 2018-10-26 索尼公司 用于进行设备到设备通信的用户设备、基站和方法
US9917676B2 (en) 2014-06-11 2018-03-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Harq procedure and frame structure for LTE cells on unlicensed spectrum
US9392614B2 (en) * 2014-06-30 2016-07-12 Intel IP Corporation Listen before talk for cellular in unlicensed band
CN105451358B (zh) 2014-08-27 2019-03-05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一种上行传输方法、基站及终端
WO2016048228A1 (en) * 2014-09-26 2016-03-3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ross-carrier indication signal in lbt systems
CN104507108B (zh) * 2014-12-19 2019-03-08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信道空闲状态的指示或资源预留方法、系统、终端和基站
US9781712B2 (en) * 2015-03-17 2017-10-03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user equipment uplink transmissions on an unlicensed carrier
US9930654B2 (en) * 2015-03-17 2018-03-27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user equipment uplink transmissions on an unlicensed carrier
KR102068555B1 (ko) * 2015-03-17 2020-01-21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허가된 어시스트 액세스에서의 스케줄링
KR20220007743A (ko) * 2015-06-29 2022-01-18 주식회사 윌러스표준기술연구소 데이터 전송을 위한 채널 접근 방법, 이를 이용한 무선 통신 방법 및 무선 통신 단말
CN104994591B (zh) * 2015-07-08 2019-06-11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信道占用概率的调整方法、调整系统和基站
US10742562B2 (en) * 2015-07-16 2020-08-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daptive control of contention window in LAA
EP4084567A1 (en) * 2015-08-14 2022-11-02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Operating method of communication node in network supporting licensed and unlicensed bands
EP3399822B1 (en) * 2015-12-31 2021-03-17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uplink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unlicensed ban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same
KR20180040630A (ko) * 2016-02-02 2018-04-20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Ul 스케줄링 및 ul 송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MX2018009681A (es) * 2016-02-18 2018-09-11 Ericsson Telefon Ab L M Un metodo para determinar parametros para transmitir en un canal de control de enlace ascendente.
WO2017160343A1 (en) * 2016-03-15 2017-09-21 Intel IP Corporation Scheduling uplink transmission outside of a transmission opportunity
JP6612435B2 (ja) * 2016-03-31 2019-11-27 京セラ株式会社 通信制御方法、無線端末、及び基地局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60489*
3GPP R1-160630*
3GPP R1-160773*
3GPP R1-16094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39192A4 (en) 2019-03-20
EP4236572A3 (en) 2023-09-13
EP3439192B1 (en) 2021-04-28
CA3018259A1 (en) 2017-10-05
AU2017242739B2 (en) 2022-03-10
CN113490280A (zh) 2021-10-08
AU2017242739A1 (en) 2018-09-20
EP3846351A1 (en) 2021-07-07
US10708911B2 (en) 2020-07-07
US20200267725A1 (en) 2020-08-20
EP3439192A1 (en) 2019-02-06
JP2019511859A (ja) 2019-04-25
US20190090235A1 (en) 2019-03-21
JP7138048B2 (ja) 2022-09-15
CN108432152B (zh) 2021-09-07
EP3846351B1 (en) 2023-06-28
US11382097B2 (en) 2022-07-05
KR20180132685A (ko) 2018-12-12
CN108432152A (zh) 2018-08-21
CA3018259C (en) 2024-04-16
WO2017167024A1 (zh) 2017-10-05
CN107294577A (zh) 2017-10-24
EP4236572A2 (en) 2023-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4020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전자 디바이스 및 무선 통신 방법
CN111684849B (zh) 电子装置、无线通信方法和计算机可读介质
CN106452705B (zh) 无线通信系统中的电子设备和无线通信方法
US10536916B2 (en)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program,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KR20180109856A (ko) 무선 통신 시스템을 위한 디바이스 및 방법과, 스펙트럼 관리 디바이스
US10887914B2 (en) Electronic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WO2019154387A1 (zh) 电子设备、无线通信方法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180109852A (ko) 채널 검출 장치 및 방법, 사용자 장비, 및 기지국
RU2759800C2 (ru) Устройство связи, способ связи и программа
EP3352493A1 (en) De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11690093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CN111164931A (zh) 电子设备、无线通信方法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WO2019019964A1 (zh) 电子装置、信息处理设备和信息处理方法
EP3975606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KR20220047971A (ko) 무선 통신을 위한 전자 디바이스 및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