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4221A - 알파-망고스틴, 감마-망고스틴 또는 셀라스트롤을 포함하는 항균활성을 가진 조성물 - Google Patents

알파-망고스틴, 감마-망고스틴 또는 셀라스트롤을 포함하는 항균활성을 가진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4221A
KR20210004221A KR1020190080283A KR20190080283A KR20210004221A KR 20210004221 A KR20210004221 A KR 20210004221A KR 1020190080283 A KR1020190080283 A KR 1020190080283A KR 20190080283 A KR20190080283 A KR 20190080283A KR 20210004221 A KR20210004221 A KR 202100042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gosteen
composition
gamma
alpha
antibio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0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동찬
임숙경
현방훈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농림축산식품부 농림축산검역본부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농림축산식품부 농림축산검역본부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농림축산식품부 농림축산검역본부장)
Priority to KR1020190080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4221A/ko
Publication of KR202100042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42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8Clusiaceae, Hypericaceae or Guttiferae (Hypericum or Mangosteen family), e.g. common St. Johnswor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05Aliphatic or alicycl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2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romatic groups, e.g. sulindac, 2-aryl-propionic acids, ethacryn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2Local antisep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세균에 항생효과를 나타내는 천연물 유래 화합물인 알파-망고스틴, 감마-망고스틴 또는 셀라스트롤을 이용한 항균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가축용 소독제, 항생제, 사료첨가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셀라스트롤 또는 알파 또는 감마 망고스틴 화합물은 일반적인 항생제로 억제하는 것이 어려운 가축 유래 병원성 세균 및 축산 유래 항생제 내성균에 항균 활성이 있으므로, 이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소독제, 치료제 조성물로 활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알파-망고스틴, 감마-망고스틴 또는 셀라스트롤을 포함하는 항균활성을 가진 조성물{antibiotic composition comprising alpha-mangostin, gamma mangostin or celastrol}
본 발명은 다양한 세균에 항생효과를 나타내는 천연물 유래 화합물인 알파-망고스틴, 감마-망고스틴 또는 셀라스트롤을 이용한 항균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가축용 소독제, 항생제, 사료첨가제에 관한 것이다.
망고스틴(Mangostin)은 말레이시아 원산의 열매로 원형의 열매이다. 망고스틴에는 크산톤(xanthone)계 유기화합물은 알파-망고스틴 및 감마-망고스틴이 포함되어 있으며, 항산화, 항박테리아, 항염증, 함암분야의 다양한 연구에 활용되고 있다. 유도체인 mangostin-3, 6-di-O-glucoside는 중추신경 진정 및 혈압상승을 유도한다고 알려져 있다. 셀라스트롤(Celastrol)은 노박덩굴속(Celastrus regelii) 또는 Tripterygium wilfordiii(뇌공등, 미역줄나무)의 뿌리 추출물이다. 셀라스트롤은 in vitro, in vivo실험에서 항암, 항염증, 항산화, 살충, 비만억제 등 다양한 효과가 있다고 확인되어 있다. 하지만, 알파 또는 감마 망고스틴과 셀라스트롤의 항균 작용기전은 알려져 있지 않아 어떤 항생제와 같은 기전으로 세균억제능이 있는지 보고되지 않았으며 어떤 항생제 내성유전자가 알파 또는 감마 망고스틴과 셀라스트롤의 항균작용을 억제하는지도 알려져 있지 않다. 또한, 일부 사람유래 병원성 균주 대상으로 항균능이 확인되어 가축유래 다양한 세균에서의 항균능은 확인되어 있지 않은 상황이다.
한편, 가축에서는 다양한 병원성 세균이 분리되고 있다. 축산분야에서는 항생제 사용도가 높은 편인데 이에 따라 다양한 항생제 내성균도 확인되고 있다. 특히 그람양성균에서 인의분야에서는 법정감염병으로 관리하고 있는 중요 항생제인 메티실린이나 반코마이신 내성균(VRE)이 확인되고 있다. 또한, 반코마이신 내성균에 사용되는 Quinupristin/Dalfopristin (Q/D)이나 리네졸리드(Linezolid) 내성균도 출현되고 있어 관리가 필요한 실정이다.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이하 MRSA라 함)은 시퀀스 타입에 따라서 사람과 가축 유래 타입으로 나뉜다. 가축 유래 타입의 MRSA인 ST398, 541, 692타입 MRSA는 국내 돼지 및 닭, 유방염 시료에서 주로 분리되며 사람 유래 타입(ST5, ST72, ST59)에 비해 소독제 저항성이 강하고 다양한 항생제에 대하여 내성을 보이고 있어 문제가 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ST541, ST692 MRSA는 국내 돼지, 닭에서만 보고되는 특이한 타입으로 유효한 소독제 및 특화된 항균제가 연구되어 있지 않다. 젖소 유방염 원인체 가운데 난치성 원인체로 분류되는 프로토테카 조피(Prototheca zopfii)도 치료가 어려운 가축 병원성 원인체이다. 프로토테카 조피는 미세조류(microalgae)의 한 종류로써 항생제로 치료가 불가능하고 젖소에게 감염시 체세포수를 높게 하여 유질저하에 따른 농가의 경제를 피해를 일으키는 원인체이다. 현제까지 젖소에게 프로토테카 조피 감염시 특별히 치료할 수 있는 치료제는 없으며 도태가 권장되고 있다.
즉, 현재 축산에 사용되는 많은 항생제에 의해, 가축 유래 병원성 미생물의 항생제 내성률은 심각한 수준에 있으며 일부의 항생제의 경우 100% 근접해 있다. 현재 축산에서 항생제는 주로 사료 첨가제의 형태로, 육계의 경우 7일에서 10일 사이에 정기적으로 클리닝(Cleaning) 목적으로 사용된다. 보고에 의하면 전국 도축장에 온 소, 돼지, 닭에게서 분리한 살모넬라, 장내구균 따위의 식중독균의 항생제 내성률을 조사한 결과 닭 분변에서 나온 대장균은 퀴놀론계 항생제에 대해 57%를 웃도는 내성률을 보였다. 이와 같이 현재 축산에 사용되고 항생제는 대부분 세균들이 이에 대한 내성을 지니고 있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최근에는 유통 및 저장 중 오염 및 품질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가열 처리나 레토르 등의 물리적 방법과 식품보존제 등의 화학합성물질을 첨가하는 방법 등이 널리 이용되고 있으나, 영양성분 파괴, 품질저하 및 독소잔류 등의 건강에 대한 안전성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가축 유래 병원성 미생물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천연물 유래의 새로운 항생제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Identification of livestock-associated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solates in Korea and molecular comparison between isolates from animal carcasses and slaughterhouse workers.(Dong Chan moon, et al., 2015)
이에 본 발명자들은 가축 유래 미생물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며, 안전한 천연물 유래의 물질을 연구한 결과, 알파-망고스틴, 감마-망고스틴, 셀라스트롤이 효과적으로 가축 유래 미생물에 대해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알파-망고스틴, 감마-망고스틴 및 셀라스트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알파-망고스틴, 감마-망고스틴 및 셀라스트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황색포도알균 감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장구균 감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프로토테카 조피(P. zopfii) 감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소독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사료 첨가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라 셀라스트롤, 알파 망고스틴 또는 감마 망고스틴 화합물은 일반적인 항생제로 억제하는 것이 어려운 가축 유래 병원성 세균 및 축산 유래 항생제 내성균에 항균 활성이 있으므로, 이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소독제, 치료제 조성물로 활용이 가능하다.
도 1은 셀라스트롤, 알파-망고스틴 및 감마-망고스틴의 화학식을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액체배지 희석법을 위해 셀라스트롤, 알파-망고스틴 또는 감마-망고스틴이 분주된 96 웰 플레이트를 도식화한 것을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측정한 흡광도를 이용하여 세균의 성장능을 도출하기 위한 계산 공식을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알파-망고스틴 농도에 따른 MRSA의 세균 성장능의 변화를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감마-망고스틴 농도에 따른 MRSA의 세균 성장능의 변화를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셀라스트롤 농도에 따른 MRSA의 세균 성장능의 변화를 나타낸 도이다.
도 7은 알파-망고스틴 농도에 따른 리네졸리드 항생제 내성 장구균의 세균 성장능의 변화를 나타낸 도이다.
도 8은 감마-망고스틴 농도에 따른 리네졸리드 항생제 내성 장구균의 세균 성장능의 변화를 나타낸 도이다.
도 9는 셀라스트롤 농도에 따른 리네졸리드 항생제 내성 장구균의 세균 성장능의 변화를 나타낸 도이다.
도 10은 알파-망고스틴 농도에 따른 반코마이신 및 Q/D 항생제 내성 장구균의 세균 성장능의 변화를 나타낸 도이다.
도 11은 감마-망고스틴 농도에 따른 반코마이신 및 Q/D 항생제 내성 장구균의 세균 성장능의 변화를 나타낸 도이다.
도 12는 셀라스트롤 농도에 따른 반코마이신 및 Q/D 항생제 내성 장구균의 세균 성장능의 변화를 나타낸 도이다.
도 13은 알파-망고스틴, 감마-망고스틴 또는 셀라스트롤의 각 미생물에 대한 항균 효과를 정리한 것을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은 알파-망고스틴, 감마-망고스틴 및 셀라스트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항균 조성물은 다양한 항생제에 내성을 갖는 미생물에 대해 항균활성을 갖는 조성물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알파-망고스틴은 열대과일 망고스틴에서 추출되는 크잔톤의 일종이며, 도 1에 기재된 알파-망고스틴의 화학식을 갖는 화합물이다. 본 발명의 알파-망고스틴은 도 1에 기재된 알파-망고스틴의 화학식을 갖는 화합물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유도체 및 염을 모두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감마-망고스틴은 열대과일 망고스틴에서 추출되는 크잔톤의 일종이며, 도 1에 기재된 감마-망고스틴의 화학식을 갖는 화합물이다. 본 발명의 감마-망고스틴은 도 1에 기재된 감마-망고스틴의 화학식을 갖는 화합물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유도체 및 염을 모두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셀라스트롤은 Celastrus scandens L.의 뿌리에서 추출되며, 적색의 입방 모양의 결정을 갖는 화합물이며, 도 1에 기재된 셀라스트롤의 화학식을 갖는 화합물이다. 본 발명의 셀라스트롤은 도 1에 기재된 셀라스트롤의 화학식을 갖는 화합물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유도체 및 염을 모두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알파-망고스틴, 감마-망고스틴 및 셀라스트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화합물은 미생물에 대한 억제능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용어, “내성”은 세균이 화학물질에 대하여 가지는 저항 현상으로서, 세균이 각종 약제에 대하여 저항성이 강한 균주로 변했을 때 상기 세균은 내성을 가졌다고 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소독제에 대한 내성”은 세균이 소독제에 대하여 저항성이 강한 균주로 변한 것을 의미하며, 메티실린-내성 황색포도알균 균주가 소독제에 의해 세균이 사멸하거나 성장이 저해되지 않는 상태를 갖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의 알파-망고스틴, 감마-망고스틴 및 셀라스트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화합물은 황색포도알균에 억제능을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에 대해 억제능을 가지며, 더 바람직하게는 가축 유래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에 대해 억제능을 가지고,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ST398, ST541 또는 ST692 균주에 대해 억제능을 갖는다.
Identification of livestock-associated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solates in Korea and molecular comparison between isolates from animal carcasses and slaughterhouse workers.(Dong Chan moon, et al., 2015)에 의하면, 본 발명의 상기 가축 유래 MRSA는 인간 유래 MRSA보다 다양한 항생제 내성을 갖는 다제 내성(multidrug-resistant)이며, 바이오필름 형성능도 높아 일반 항생제 또는 소독제로는 억제가 어려운 것일 수 있다.
특히 상기 가축 유래 MRSA인 ST541 또는 ST692 균주는 국내 돼지, 닭에서만 보고되는 특이한 타입으로 유효한 소독제 및 특화된 항균제가 연구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의 상기 ST398, ST541 또는 ST692 균주는 황색포도알균을 Multilocus sequence typing(MLST)으로 분류한 것이다. 상기 MLST는 황색포도알균의 7 가지 하우스 키핑 유전자 (loci) (arcC, aroE, glpF, gmk, pta, tpiyqiL)에서 다형성(polymorphism)을 기반으로하는 서열 기반 유전자형 결정 방법이며, 황색포도알균 계통의 진화와 개체 동력학을 연구하는데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분류방법이다.
본 발명의 상기 ST398 균주는 다제 내성 균주일 수 있다. ST398 균주는 겐타마이신, 카나마이신, 티아뮬린, 클로람페니콜, 테트라사이클린, Q/D(Quinupristin/Dalfopristin), 클린다마이신 및 리네졸리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항생제에 내성을 가진 균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ST541 균주는 다제 내성 균주일 수 있다. ST541 균주는 겐타마이신, 카나마이신, 시프로플록사신, 에리스로마이신, 티아뮬린, 리네졸리드, 클로람페니콜, Q/D, 테트라사이클린 및 클린다마이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항생제에 내성을 가진 균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ST692 균주는 다제 내성 균주이며, 수탁번호 KCTC 12633BP로 기탁된 균주이다. ST692 균주는 아미노글리코사이드 (aminoglycoside), 베타-락탐 (β-lactam), 플루오로퀴놀론 (fluoroquinolone), 마크로라이드(macrolide) 및 테트라사이클린(tetracycline)에 대한 내성 유전자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ST692 균주는 겐타마이신, 카나마이신, 티아뮬린, 클로람페니콜, 테트라사이클린, Q/D, 클린다마이신 및 리네졸리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항생제에 내성을 가진 균주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시프로플록사신, 에리스로마이신, 테트라사이클린 및 클린다마이신에 내성을 가진 균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알파-망고스틴, 감마-망고스틴 및 셀라스트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화합물은 리네졸리드 항생제 내성 장구균(Enterococcus)에 억제능을 갖는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가축 유래 리네졸리드 항생제 내성 장구균에 억제능을 갖는 것일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돼지 또는 닭 유래 리네졸리드 항생제 내성 장구균에 억제능을 갖는 것 일수 있다.
본 발명의 알파-망고스틴, 감마-망고스틴 및 셀라스트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화합물은 반코마이신 항생제 내성 장구균(Enterococcus)에 억제능을 갖는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가축 유래 반코마이신 항생제 내성 장구균에 억제능을 갖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반코마이신 항생제 내성 장구균은 Q/D 내성을 더 포함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알파-망고스틴, 감마-망고스틴 및 셀라스트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화합물은 프로토테카 조피에 억제능을 갖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프로토테카 조피'는 미세조류(microalgae)의 한 종류로써 항생제로 치료가 불가능하고 젖소에게 감염시 체세포수를 높게 하여 유질저하에 따른 피해를 일으키는 원인체이다. 현재 본 발명의 상기 화합물을 제외하고 젖소의 프로토테카 조피 감염증을 치료할 수 있는 치료제는 없는 실정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항균조성물은 항미생물제를 총칭하는 의미인 항생제와 같은 의미일 수 있고, 항진균제, 살균제, 방부제, 보존제 또는 제균제와 같은 의미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병원성 미생물의 발육과 생활 기능을 저지 또는 억제할 수 있는 물질일 수 있으며, 더 바람직하게는 MRSA, 리네졸리드 내성 장구균, 반코마이신 내성 장구균, Q/D 내성 장구균 또는 프로토테카 조피의 발육과 생활 기능을 저지 또는 억제할 수 있는 물질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황색포도알균 감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장구균 감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프로토테카 조피(P. zopfii) 감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예방'이란, 본 발명에 따른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여 질병의 발병을 억제하거나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치료'란, 본 발명에 따른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질병의 발병 의심 개체에 투여하여 질병의 증세가 호전되도록 하거나 이롭게 되도록 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황색포도알균 감염증”은 황색포도알균의 독소에 의한 급성위장관염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알파-망고스틴, 감마-망고스틴 및 셀라스트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화합물에 의해 예방 또는 치료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장구균 감염증”은 장구균에 의해 감염되는 비뇨기관, 복막 또는 심장 조직에 나타나는 감염증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알파-망고스틴, 감마-망고스틴 및 셀라스트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화합물에 의해 예방 또는 치료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프로토테카 조피 감염증”은 프로토테카 조피에 의해 감염되는 감염증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프로토테카 조피에 의한 젖소 유방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알파-망고스틴, 감마-망고스틴 및 셀라스트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화합물에 의해 예방 또는 치료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상기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인간을 포함한 동물에 직접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동물은 식물에 대응하는 생물군으로 주로 유기물을 영양분으로 섭취하며, 소화나 배설 및 호흡기관이 분화되어 있는 것을 말하고, 바람직하게는 척추동물, 더욱 바람직하게는 포유류일 수 있다. 상기 포유류는 바람직하게는 가축 또는 인간일 수 있다.
상기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알파-망고스틴, 감마-망고스틴 및 셀라스트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화합물인 유효성분을 단독으로 포함할 수 있고, 이외 제형, 사용방법 및 사용목적에 따라 추가성분 즉, 약제학적으로 허용되거나 영양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희석제 또는 부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외에 추가로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중진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는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이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키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미정질 셀루로오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덱스트린, 칼슘카보네이드, 프로필렌글리콜, 리퀴드 파라핀, 생리식염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의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 모두 사용가능하다. 상기 성분들은 상기 유효성분인 약학적 조성물에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추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약제화하는 경우, 통상의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또는 방부제 등을 더욱 포함할 수 있으며, 일 예로 경구 또는 비경구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투여방법, 복용자의 연령, 성별 및 체중, 및 질환의 중증도 등을 고려하여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일예로, 본 발명의 상기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을 기준으로 할 때, 0.0001 mg/kg 내지 1000 mg/kg으로, 보다 효과적이기 위해서는 0.01mg/kg 내지 100 mg/kg으로 투여할 수 있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 이외에 공지의 미생물 억제활성을 갖는 화합물 또는 식물 추출물을 더욱 포함할 수 있으며,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각각 5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이용하여, 황색포도알균 감염증, 장구균 감염증 및 프로토테카 조피 감염증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소독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소독제는 병원감염을 막기 위한 병원 및 보건용의 소독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고 일반 생활 소독제, 식품 및 조리 장소 및 설비의 소독제, 양계장, 축사 등의 건물, 축체, 음수, 깔짚, 난좌, 운반차량, 식기 등의 각종 생육 용품의 소독 등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사료 첨가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황색포도알균, 장구균 및 프로토테카 조피를 효과적으로 억제, 사멸 또는 불활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사료 첨가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사료 첨가용 조성물에는 품질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첨가하는 결착제, 유화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고, 효용 증대를 위하여 사료에 첨가하는 아미노산제, 비타민제, 효소제, 생균제, 향미제, 비단백태질소화합물, 규산염제, 완충제, 착색제, 추출제, 올리고당 등이 있으며, 그 외에도 사료 혼합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사료 첨가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황색포도알균 감염증, 장구균 감염증 및 프로토테카 조피 감염증을 예방 또는 개선시킬 수 있다.
중복되는 내용은 본 명세서의 복잡성을 고려하여 생락하며, 본 명세서에서 달리 정의되지 않은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의미를 갖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항균제로 사용할 물질로써 셀라스트롤, 알파-망고스틴, 감마-망고스틴의 선별
한국화합물은행과 2015년 3월 약효시험계약을 체결하고, 한국 화합물은행에서 보유하고 있는 천연화합물 1,280종 및 임상화합물 총2,354종의 화합물 라이브러리를 대상으로 표피 포도알균(Staphylococcus epidermidis)에 대한 바이오필름 억제 스크리닝 시험을 하였으며, 그 결과 바이오필름 억제능이 우수한 셀라스트롤 및 알파-망고스틴, 감마-망고스틴을 최종 선발하였다.
추가적인 항균능 실험을 위해 셀라스트롤 (Celastrol, Sigma, C0869, MW=450.62), 알파-망고스틴(alpha-mangostin, Sigma, M3824, MW=410.46) 및 감마-망고스틴(gamma-mangostin, Sigma, M6824, MW=396.43)을 준비하여 사용하였다. 셀라스트롤, 알파-망고스틴 및 감마-망고스틴의 화학식을 도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항균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가축 유래 균주 준비
셀라스트롤, 알파-망고스틴 및 감마-망고스틴의 항균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대상 균주를 준비하였다. 대상 균주는 농림축산검역본부 세균질병과에서 구매 혹은 분리한 균주로써, CLSI 가이드라인에 따른 항생제 감수성검사 및 균주의 특성 분석이 완료된 균주를 준비하였으며, 대상 균주의 항생제 내성, 분리시기, 분리 지역 및 분리원을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Figure pat00001
실시예 3. 셀라스트롤, 알파-망고스틴, 감마-망고스틴의 MRSA(methicillin resistant S taphylococcus Aureus )에 대한 항균능 검증
셀라스트롤, 알파-망고스틴, 감마-망고스틴의 MRSA에 대한 항균능 검증을 위한 액체배지 희석법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아래와 같은 실험을 진행하였다.
3.1 셀라스트롤, 알파-망고스틴, 감마-망고스틴 화합물의 준비
셀라스트롤 10mg을 221.9ul의 DMSO에 녹여 100mM을 제조하였다. 알파-망고스틴 10mg을 243.6ul의 DMSO에 녹여 100mM을 제조하였다. 감마-망고스틴 10mg을 252.3ul의 DMSO에 녹여 100mM을 제조하였다. 각각 제조한 셀라스트롤, 알파-망고스틴 및 감마-망고스틴 100mM 화합물에 뮬러 힌트 배지 (muller-hinton broth)를 넣어 40μM이 되도록 희석하였다. 96 웰 플레이트의 11열에 40μM로 희석한 셀라스트롤, 알파-망고스틴 또는 감마-망고스틴 희석액을 100μl씩 분주하였다. 96 웰 플레이트의 2 내지 10열에는 뮬러 힌트 배지를 50μl씩 분주하였다. 11열에서 50μl를 덜어 10열과 섞고, 다시 10열에서 50μl를 덜어 9열과 섞는 것을 8 내지 3열까지 반복하였으며, 3열에서 덜어낸 50μl의 배지는 버렸다. 2열은 양성 대조군으로 화합물의 농도가 0μM로 하였으며, 1열은 음성 대조군으로 뮬러 힌트 배지 50μl를 분주하였다. 상기 과정을 거쳐 셀라스트롤, 알파-망고스틴 또는 감마-망고스틴의 농도가 3열부터 11열까지 0.16μM부터 40μM까지로 희석된 96 웰 플레이트를 준비하였다. 준비한 셀라스트롤, 알파-망고스틴 또는 감마-망고스틴이 분주된 96 웰 플레이트를 도식화하여 도 2에 나타내었다.
3.2 MRSA 희석액의 준비
4ml의 트립틱 소이 배지(Tryptic Soy Broth, TSB)에 표 1의 MRSA 균주 6종을 각각 접종하고 37℃ 배양기에 하루동안 교반하여 배양하였다. 배양 후 2ml 배양액을 15ml 코니칼 튜브에 넣고 4,000rpm에서 20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원심분리 후, 상층액을 모두 버리고 0.2um에 거른 PBS에 재부유하여 흡광도 OD600에서 1.0이 되도록 희석하였다. 상기 희석한 배양액을 1/500로 다시 희석하여 MRSA 희석액을 준비하였다.
3.3 액체배지 희석법의 실시
실시예 3.1에서 준비한 셀라스트롤, 알파-망고스틴 또는 감마-망고스틴이 분주된 96 웰 플레이트의 2열부터 11열에 실시예 3.2에서 준비한 항균 대상 세균 희석액 50μl/웰을 분주하여 섞어주었으며, 37℃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기를 이용하여 OD60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고, 측정한 흡광도를 이용하여 상대적인 세균 성장능을 계산하였다. 상대적인 세균 성장능 계산 공식을 도 3에 나타내었다. 알파-망고스틴 농도에 따른 MRSA의 세균 성장능의 변화를 도 4 및 표 2에 나타내었으며, 감마-망고스틴 농도에 따른 MRSA의 세균 성장능의 변화를 도 5 및 표 3에 나타내었고, 셀라스트롤 농도에 따른 MRSA의 세균 성장능의 변화를 도 6 및 표 4에 나타내었다.
[표 2]
Figure pat00002
[표 3]
Figure pat00003
[표 4]
Figure pat00004
도 4 및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6가지 MRSA 대상 실험결과 알파-망고스틴은 사람 유래 타입 MRSAS인 ST5, ST72, ST59에 대해 5uM 농도에서부터 상당히 유의성 있는 항균 효과가 나타나고, 가축 유래 타입 MRSA인 ST398, ST541 및 ST692에 대해서는 각각 5uM, 10uM, 5uM에서부터 유의성있는 항균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도 5 및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6가지 MRSA 대상 실험결과 감마-망고스틴은 사람 유래 타입 MRSAS인 ST5, ST72, ST59 및 가축 유래 타입 MRSA인 ST398, ST541 및 ST692에 대해서 모두 20uM에서부터 유의성있는 항균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도 6 및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6가지 MRSA 대상 실험결과 셀라스트롤은 사람 유래 타입 MRSAS인 ST5, ST72, ST59에 대해 2.5uM 농도에서부터 상당히 유의성 있는 항균 효과가 나타나고, 가축 유래 타입 MRSA인 ST398, ST541 및 ST692에 대해서는 각각 5uM, 1.25uM, 2.5uM에서부터 유의성있는 항균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알파-망고스틴, 감마-망고스틴 및 셀라스트롤은 모두 비-가축유래 MRSA 뿐만 아니라 가축유래 MRSA에도 항균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셀라스트롤, 알파-망고스틴, 감마-망고스틴의 리네졸리드 항생제 내성 장구균에 대한 항균능 검증
셀라스트롤, 알파-망고스틴, 감마-망고스틴의 리네졸리드 항생제 내성 장구균에 대한 항균능 검증을 위한 액체배지 희석법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아래와 같은 실험을 진행하였다.
4.1 셀라스트롤, 알파-망고스틴, 감마-망고스틴 화합물의 준비
실시예 3.1과 동일한 과정을 거쳐 셀라스트롤, 알파-망고스틴 또는 감마-망고스틴의 농도가 3열부터 11열까지 0.32μM부터 80μM까지로 희석된 96 웰 플레이트를 준비하였다.
4.2 리네졸리드 내성 장구균 희석액의 준비
4ml의 트립틱 소이 배지(Tryptic Soy Broth, TSB)에 표 1의 리네졸리드 내성 장구균 균주 4종(FC-10, FC-16, FM-15, FM-21)을 각각 접종하고 37℃ 배양기에 하루동안 교반하여 배양하였다. 배양 후 2ml 배양액을 15ml 코니칼 튜브에 넣고 4,000rpm에서 20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원심분리 후, 상층액을 모두 버리고 0.2um에 거른 PBS에 재부유하여 흡광도 OD600에서 1.0이 되도록 희석하였다. 상기 희석한 배양액을 1/500로 다시 희석하여 리네졸리드 내성 장구균 희석액을 준비하였다.
4.3 액체배지 희석법의 실시
실시예 4.1에서 준비한 셀라스트롤, 알파-망고스틴 또는 감마-망고스틴이 분주된 96 웰 플레이트의 2열부터 11열에 실시예 4.2에서 준비한 항균 대상 세균 희석액 50μl/웰을 분주하여 섞어주었으며, 실시예 3.3과 동일한 방법으로 배양 하고, 상대적인 세균 성장능을 측정하였다. 알파-망고스틴 농도에 따른 리네졸리드 항생제 내성 장구균의 세균 성장능의 변화를 도 7 및 표 5에 나타내었으며, 감마-망고스틴 농도에 따른 리네졸리드 항생제 내성 장구균의 세균 성장능의 변화를 도 8 및 표 6에 나타내었고, 셀라스트롤 농도에 따른 리네졸리드 항생제 내성 장구균의 세균 성장능의 변화를 도 9 및 표 7에 나타내었다.
[표 5]
Figure pat00005
[표 6]
Figure pat00006
[표 7]
Figure pat00007
도 7 및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4가지 리네졸리드 항생제 내성 장구균 대상 실험결과, 알파-망고스틴은 리네졸리드 항생제 내성 균주 E. faecium FM-15, FM-21에 대해 2.5uM 농도에서부터 상당히 유의성 있는 항균 효과가 나타나고, 리네졸리드 항생제 내성 균주 E. faecalis FC-10, FC-16에 대해서는 5uM에서부터 유의성있는 항균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도 8 및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4가지 리네졸리드 항생제 내성 장구균 대상 실험결과, 감마-망고스틴은 리네졸리드 내성 균주 E. faecium FM-15, FM-21 및 리네졸리드 항생제 내성 균주 E. faecalis FC-10, FC-16에 대해서 5uM에서부터 유의성있는 항균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도 9 및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4가지 리네졸리드 항생제 내성 장구균 대상 실험결과, 셀라스트롤은 리네졸리드 내성 균주 E.faecium FM-15, FM-21 및 리네졸리드 항생제 내성 균주 E. faecalis FC-10, FC-16에 대해서 2.5uM에서부터 유의성있는 항균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알파-망고스틴, 감마-망고스틴 및 셀라스트롤은 모두 리네졸리드 항생제 내성 장구균에 항균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5. 셀라스트롤, 알파-망고스틴, 감마-망고스틴의 반코마이신 및 Q/D 항생제 내성 장구균에 대한 항균능 검증
셀라스트롤, 알파-망고스틴, 감마-망고스틴의 반코마이신 및 Q/D 항생제 내성 장구균에 대한 항균능 검증을 위한 액체배지 희석법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아래와 같은 실험을 진행하였다.
5.1 셀라스트롤, 알파-망고스틴, 감마-망고스틴 화합물의 준비
실시예 3.1과 동일한 과정을 거쳐 셀라스트롤, 알파-망고스틴 또는 감마-망고스틴의 농도가 3열부터 11열까지 0.32μM부터 80μM까지로 희석된 96 웰 플레이트를 준비하였다.
5.2 반코마이신 및 Q/D 항생제 내성 장구균 희석액의 준비
4ml의 트립틱 소이 배지(Tryptic Soy Broth, TSB)에 표 1의 반코마이신 및 Q/D 항생제 내성 장구균 균주 6종 (VRE1, VRE4, VRE6, VRE8, VRE9, VRE10)을 각각 접종하고 37℃ 배양기에 하루동안 교반하여 배양하였다. 배양 후 2ml 배양액을 15ml 코니칼 튜브에 넣고 4,000rpm에서 20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원심분리 후, 상층액을 모두 버리고 0.2um에 거른 PBS에 재부유하여 흡광도 OD600에서 1.0이 되도록 희석하였다. 상기 희석한 배양액을 1/500로 다시 희석하여 반코마이신 및 Q/D 항생제 내성 장구균 희석액을 준비하였다.
5.3 액체배지 희석법의 실시
실시예 5.1에서 준비한 셀라스트롤, 알파-망고스틴 또는 감마-망고스틴이 분주된 96 웰 플레이트의 2열부터 11열에 실시예 5.2에서 준비한 항균 대상 세균 희석액 50μl/웰을 분주하여 섞어주었으며, 실시예 3.3과 동일한 방법으로 배양 하고, 상대적인 세균 성장능을 측정하였다. 알파-망고스틴 농도에 따른 반코마이신 및 Q/D 항생제 내성 장구균의 세균 성장능의 변화를 도 10 및 표 8에 나타내었으며, 감마-망고스틴 농도에 따른 반코마이신 및 Q/D 항생제 내성 장구균의 세균 성장능의 변화를 도 11 및 표 9에 나타내었고, 셀라스트롤 농도에 따른 반코마이신 및 Q/D 항생제 내성 장구균의 세균 성장능의 변화를 도 12 및 표 10에 나타내었다.
[표 8]
Figure pat00008
[표 9]
Figure pat00009
[표 10]
Figure pat00010
도 10 및 표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코마이신 및 Q/D 항생제 내성 장구균 대상 실험결과, 알파-망고스틴은 반코마이신 항생제 내성 균주 VRE1, VRE4, VRE6 뿐만 아니라, 반코마이신 및 Q/D 항생제 내성 장구균 VRE8, VRE9, VRE10에 대해서도 5uM 농도에서부터 상당히 유의성있는 항균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도 11 및 표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코마이신 및 Q/D 항생제 내성 장구균 대상 실험결과, 감마-망고스틴은 반코마이신 항생제 내성 균주 VRE1, VRE4, VRE6 뿐만 아니라, 반코마이신 및 Q/D 항생제 내성 장구균 VRE8, VRE9, VRE10에 대해서도 10uM 농도에서부터 상당히 유의성있는 항균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도 12 및 표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코마이신 및 Q/D 항생제 내성 장구균 대상 실험결과, 셀라스트롤은 반코마이신 항생제 내성 균주 VRE1, VRE4, VRE6 뿐만 아니라, 반코마이신 및 Q/D 항생제 내성 장구균 VRE8, VRE9, VRE10에 대해서도 5uM 농도에서부터 상당히 유의성있는 항균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알파-망고스틴, 감마-망고스틴 및 셀라스트롤은 모두 반코마이신 내성 장구균 뿐만 아니라 반코마이신 및 Q/D항생제 모두에 내성을 갖는 장구균에도 항균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6. 셀라스트롤, 알파-망고스틴, 감마-망고스틴의 프로토테카 조피( P.zopfii )에 대한 항균능 검증
셀라스트롤, 알파-망고스틴, 감마-망고스틴의 프로토테카 조피(P. zopfii)에 대한 항균능 검증을 위한 액체배지 희석법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아래와 같은 실험을 진행하였다.
6.1 셀라스트롤, 알파-망고스틴, 감마-망고스틴 화합물의 준비
셀라스트롤 10mg을 221.9ul의 DMSO에 녹여 100mM을 제조하였다. 알파-망고스틴 10mg을 243.6ul의 DMSO에 녹여 100mM을 제조하였다. 감마-망고스틴 10mg을 252.3ul의 DMSO에 녹여 100mM을 제조하였다. 각각 제조한 셀라스트롤, 알파-망고스틴 및 감마-망고스틴 100mM 화합물에 RPMI(Roswell Park Memorial institute) 배지를 넣어 320μM이 되도록 희석하였다. 96 웰 플레이트의 11열에 320μM로 희석한 셀라스트롤, 알파-망고스틴 또는 감마-망고스틴 희석액을 100μl씩 분주하였다. 96 웰 플레이트의 2 내지 10열에는 RPMI 배지를 50μl씩 분주하였다. 11열에서 50μl를 덜어 10열과 섞고, 다시 10열에서 50μl를 덜어 9열과 섞는 것을 8 내지 3열까지 반복하였으며, 3열에서 덜어낸 50μl의 배지는 버렸다. 2열은 양성 대조군으로 화합물의 농도가 0μM로 하였으며, 1열은 음성 대조군으로 RPMI 배지 50μl를 분주하였다. 상기 과정을 거쳐 셀라스트롤, 알파-망고스틴 또는 감마-망고스틴의 농도가 3열부터 11열까지 1.25μM부터 320μM까지로 희석된 96 웰 플레이트를 준비하였다.
6.2 프로토테카 조피 희석액의 준비
4ml의 트립틱 소이 배지(Tryptic Soy Broth, TSB)에 표 1의 프로토테카 조피 2종을 각각 접종하고 37℃ 배양기에 하루동안 교반하여 배양하였다. 배양 후 2ml 배양액을 15ml 코니칼 튜브에 넣고 4,000rpm에서 20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원심분리 후, 상층액을 모두 버리고 0.2um에 거른 PBS에 재부유하여 흡광도 OD600에서 1.0이 되도록 희석하였다. 상기 희석한 배양액을 1/500로 다시 희석하여 2종의 프로토테카 조피 희석액을 준비하였다.
6.3 액체배지 희석법의 실시
실시예 6.1에서 준비한 셀라스트롤, 알파-망고스틴 또는 감마-망고스틴이 분주된 96 웰 플레이트의 2열부터 11열에 실시예 5.2에서 준비한 프로토테카 조피 희석액을 50μl/웰 분주하여 섞어주었으며, 실시예 3.3과 동일한 방법으로 배양 하고, 상대적인 세균 성장능을 측정하였다. 알파-망고스틴 농도에 따른 프로토테카 조피의 성장능의 변화를 표 11에 나타내었으며, 감마-망고스틴 농도에 따른 프로토테카 조피의 성장능의 변화를 표 12에 나타내었고, 셀라스트롤 농도에 따른 프로토테카 조피의 성장능의 변화를 표 13에 나타내었다.
[표 11]
Figure pat00011
[표 12]
Figure pat00012
[표 13]
Figure pat00013
표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로토테카 조피 대상 실험결과, 알파-망고스틴은 160μM 이상의 농도에서 야외 분리주 P. zopfii 8에 항균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표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로토테카 조피 대상 실험결과, 감마-망고스틴은 80μM 이상의 농도에서 야외 분리주 P. zopfii 8에 항균효과가 나타나고, 160μM 이상의 농도에서 표준 균주 P. zopfii SAG2021에 항균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표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로토테카 조피 대상 실험결과, 셀라스트롤은 80μM 이상의 농도에서 야외 분리주 P. zopfii 8 및 표준 균주 P. zopfii SAG2021에 항균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알파-망고스틴, 감마-망고스틴 및 셀라스트롤은 모두 프로토테카 조피에 항균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상기 알파-망고스틴, 감마-망고스틴 및 셀라스트롤의 각 미생물에 대한 항균 효과를 정리한 것을 도 13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목적에 따라 여러 형태로 제제화가 가능하다. 하기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활성성분으로 함유시킨 몇몇 제제화 방법을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산제의 제조
본 발명의 알파-망고스틴, 감마-망고스틴 또는 셀라스트롤 2 g
유당 1 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2. 정제의 제조
본 발명의 알파-망고스틴, 감마-망고스틴 또는 셀라스트롤 100 ㎎
옥수수전분 100 ㎎
유 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3. 캡슐제의 제조
본 발명의 알파-망고스틴, 감마-망고스틴 또는 셀라스트롤 100 ㎎
옥수수전분 100 ㎎
유 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4. 환의 제조
본 발명의 알파-망고스틴, 감마-망고스틴 또는 셀라스트롤 1 g
유당 1.5 g
글리세린 1 g
자일리톨 0.5 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방법에 따라 1환 당 4 g이 되도록 제조하였다.
제조예 5. 건강 음료
꿀 5중량%, 과당 3중량%, 염산리보플라빈나트륨 0.0001중량%, 염산피리독신 0.0001중량%, 물 86.9998중량% 및 본 발명의 알파-망고스틴, 감마-망고스틴 또는 셀라스트롤 5중량%를 배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건강 음료를 제조한다.
제조예 6. 정제형 건강기능식품
옥타코사놀분말 15중량%, 유당가수분해물분말 15중량%, 분리대두단백분말 15중량%, 키토올리고당 15중량% 효모추출물분말 10중량%, 비타민미네랄혼합제재 10중량%,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4.6중량%, 이산화티타늄 0.2 중량%, 및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0.2중량%와 본 발명의 알파-망고스틴, 감마-망고스틴 또는 셀라스트롤 20 중량%를 배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정제형 건강기능식품을 제조한다.
제조예 7. 소독제 조성물
본 발명의 알파-망고스틴, 감마-망고스틴 또는 셀라스트롤 20 중량%
에탄올 적량
멸균 증류수 적량
pH 조절제 적량
통상의 소독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여 제조한다.
이상, 본 발명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해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5)

  1. 알파-망고스틴, 감마-망고스틴 및 셀라스트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 조성물은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억제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MRSA는 가축 유래 MRS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축 유래 MRSA는 ST398 (sequence type 398), ST541 (sequence type 541) 또는 ST692 (sequence type 69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 조성물은 리네졸리드 항생제 내성 장구균(Enterococcus) 억제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리네졸리드 항생제 내성 장구균은 가축 유래 리네졸리드 항생제 내성 장구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 조성물은 반코마이신 내성 장구균 억제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반코마이신 내성 장구균은 가축 유래 반코마이신 내성 장구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조성물.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반코마이신 내성 장구균은 Q/D(Quinupristin/Dalfopristin) 항생제에 대한 내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 조성물은 프로토테카 조피(P. zopfii) 억제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조성물.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황색포도알균 감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2.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장구균 감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3.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프로토테카 조피(P. zopfii) 감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4.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소독제.
  15.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사료 첨가용 조성물.
KR1020190080283A 2019-07-03 2019-07-03 알파-망고스틴, 감마-망고스틴 또는 셀라스트롤을 포함하는 항균활성을 가진 조성물 KR202100042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0283A KR20210004221A (ko) 2019-07-03 2019-07-03 알파-망고스틴, 감마-망고스틴 또는 셀라스트롤을 포함하는 항균활성을 가진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0283A KR20210004221A (ko) 2019-07-03 2019-07-03 알파-망고스틴, 감마-망고스틴 또는 셀라스트롤을 포함하는 항균활성을 가진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4221A true KR20210004221A (ko) 2021-01-13

Family

ID=74142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0283A KR20210004221A (ko) 2019-07-03 2019-07-03 알파-망고스틴, 감마-망고스틴 또는 셀라스트롤을 포함하는 항균활성을 가진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422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10645A (zh) * 2021-12-20 2022-02-08 东北农业大学 雷公藤红素在制备抑制金黄色葡萄球菌药物中的用途
CN115886004A (zh) * 2022-12-19 2023-04-04 贵州大学 一种植物源天然产物γ-倒捻子素在拮抗黄单胞菌中的应用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Identification of livestock-associated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solates in Korea and molecular comparison between isolates from animal carcasses and slaughterhouse workers.(Dong Chan moon, et al., 2015)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10645A (zh) * 2021-12-20 2022-02-08 东北农业大学 雷公藤红素在制备抑制金黄色葡萄球菌药物中的用途
CN115886004A (zh) * 2022-12-19 2023-04-04 贵州大学 一种植物源天然产物γ-倒捻子素在拮抗黄单胞菌中的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22154B2 (en) Sandalwood oil and its uses related to clostridium infections
US20090275667A1 (en) Use of allicin as preservative, as disinfectant, as antimicrobial or as biocidal agent
WO2016138125A1 (en) Methods of treating diarrhea and promoting intestinal health in non-human animals
KR20210004221A (ko) 알파-망고스틴, 감마-망고스틴 또는 셀라스트롤을 포함하는 항균활성을 가진 조성물
US20170290854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and preventing bacterial infections
Arbab et al.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infection-causing bacteria in dairy animals and determination of their antibiogram
RU2264453C2 (ru) Биопрепарат "ирилис" ветеринарного назначения
CN115350197A (zh) 泽泻醇A-24-醋酸酯在提高MRSA对β-内酰胺类抗生素敏感性方面的应用
US11285122B2 (en) Volatile organic compound formulations having antimicrobial activity
CN114129547A (zh) 香芹酚在提高耐甲氧西林金黄色葡萄球菌对β-内酰胺类抗生素敏感性方面的应用
KR100438209B1 (ko) 카바크롤, 티몰 및 시트랄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복합항균제 조성물
CN109718227B (zh) 补骨脂查尔酮和异补骨脂查尔酮的用途
Chukiatsiri et al. Effects of pomegranate rind (Punica granatum Linn.) and guava leaf extract (Psidium guajava Linn.) for inhibition of multidrug resistant Escherichia coli recovered from diarrhoeal piglets.
KR102208837B1 (ko) 메틸 갈레이트 및 플로로퀴놀론 계열 항균제를 포함하는 박테리아의 장 부착, 침입 억제, 또는 항생제 내성 억제용 조성물
EP3856165A1 (en) Volatile organic compound formulations having antimicrobial activity
AC et al. EVALUATION OF THE ANTIMICROBIAL POTENTIAL OF ANNONA MURICATA SEED EXTRACTS ON RESISTANT BACTERIAL AND FUNGAL PATHOGENS OF PUBLIC HEALTH IMPORTANCE.
US20220218637A1 (en) Volatile Organic Compound Formulations Having Antimicrobial Activity
KR102430080B1 (ko) 메틸 갈레이트 및 틸로신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Oyagbemi et al. Antimicrobial activity of Parquetina nigrescens on some multidrug resistant pathogens isolated from poultry and cases of otitis media in dogs from Nigeria
RU2611351C1 (ru) Способ лечения болезней бактериальной этиологии у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ых животных и птиц
KR20230125654A (ko) 신규한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돼지 설사증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Peredera et al. Diagnosis and actions for liquidation of dogs streptococcosis in private nursery
RU2258523C1 (ru) Способ профилактики бронхопневмании у поросят
UA130730U (uk) Спосіб лікування псевдомонозу птиці
KR20200091157A (ko) 그람양성의 통성혐기성균에 대한 사멸능을 갖는 특이적 m13 박테리오파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