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4118A - 휴대용 공기청정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공기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4118A
KR20210004118A KR1020190080018A KR20190080018A KR20210004118A KR 20210004118 A KR20210004118 A KR 20210004118A KR 1020190080018 A KR1020190080018 A KR 1020190080018A KR 20190080018 A KR20190080018 A KR 20190080018A KR 20210004118 A KR20210004118 A KR 202100041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plate
ionizer
air purifier
portabl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0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륜
박철우
백승재
현옥천
김주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800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4118A/ko
Priority to PCT/KR2020/008243 priority patent/WO2021002628A1/ko
Publication of KR20210004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41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4Arrangements for portabil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8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haracterised by air supply means, e.g. fan casings, internal dampers or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328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24F1/035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r arrangement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328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24F1/0353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by electric means, e.g. ionisers or electrostatic sepa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8Electrical aspects, e.g. circ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purification, e.g. by filtering; by sterilisation; by ozonisation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휴대용 공기청정기에는, 하우징, 이오나이저, 접지판, 집진필터, 파워팩 및 배터리가 포함된다. 상기 파워팩은 상기 이오나이저와 상기 집진필터에 서로 다른 고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배터리는 상기 파워팩에 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접지판에 그라운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휴대용 공기청정기{PORTABLE AIR CLEANER}
본 발명은 휴대용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청정기는 사용자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실내공간의 공기를 정화하여 신선한 공기로 바꾸는 기기에 해당된다. 상기 공기청정기에는, 공기의 유동을 강제하는 팬 및 공기 중 오염입자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가 구비된다.
최근 공기의 오염이 심각한 문제로 인식되며 항상 신선한 공기를 공급받고자 하는 사용자의 요구가 증가되고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가 손쉽게 손에 들거나 몸에 지니고 다닐 수 있도록 제작된 휴대용 공기청정기가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은 휴대용 공기청정기가 개시된 선행문헌이 공개된 바 있다.
1. 등록특허 : 제10-1974606호
2. 발명의 명칭 : 휴대용 공기청정기
상기 선행문헌은 다양한 장소에서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휴대용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휴대용 공기청정기에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된 복수 개의 팬모듈 및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모듈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선행문헌에 의한 휴대용 공기청정기는 복수 개의 팬모듈이 설치되며 그와 대응되는 비교적 큰 필터모듈이 사용된다. 그에 따라, 사용자가 휴대하기에는 부피가 크며 무겁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선행문헌에는 사용자가 직접 휴대용 공기청정기를 파지하여 청정공기를 흡입하는 것이 아니라, 차량 내부 등에 설치되어 작동된다. 따라서, 선행문헌의 휴대용 공기청정기는 휴대의 목적보다는 이동가능의 목적의 장치로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요구를 충분히 충족시키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선행문헌의 필터모듈은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다고만 언급되어 있어 자세한 구성을 알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더하여, 상기 선행문헌에는 휴대용 장치에서 필수적인 구성인 배터리에 관하여 단순하게만 기재하고 있어, 자세한 구동을 알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선행문헌에는, 공기의 정화를 위한 먼지센서, 산소발생모듈 및 빛감지센서 등 비교적 고가이며 복잡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이는 휴대용 공기청정기의 목적에 부합하지 못하며 실현가능성이 희박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실시 예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하나의 하우징 내에 설치되는 이오나이저, 접지판, 집진필터, 파워팩 및 배터리가 구비된 휴대용 공기청정기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자세하게는, 이오나이저, 접지판 및 집진필터를 이용하여 공기 중 오염입자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며, 파워팩 및 배터리를 통해 효율적으로 전원을 인가하는 휴대용 공기청정기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상기 접지판이 상기 배터리와 연결되어 잉여이온을 제거함에 따라, 높은 대전효율을 유지하여 청정공기를 계속하여 제공할 수 있는 휴대용 공기청정기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오나이저 등을 통한 전기집진필터를 사용함에 따라, 공기의 차압을 낮추고 팬의 소비전력을 저감하여 비교적 작은 크기의 휴대용 공기청정기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휴대용 공기청정기는, 사용자가 손쉽게 손에 들거나 몸에 지니고 다닐 수 있도록, 하나의 하우징 내에 모든 구성이 배치된다. 자세하게는, 상기 하우징에는, 이오나이저, 접지판, 집진필터, 파워팩 및 배터리가 설치된다.
상기 하우징은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이오나이저는 상기 내부공간으로 이온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접지판은 상기 이오나이저를 둘러싸도록 상기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하우징의 내면을 따라 설치된다. 또한, 상기 집진필터는 상기 이오나이저에서 발생된 이온에 의해 하전된 오염입자를 포집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외부공기가 상기 내부공간을 통과함에 따라, 공기 중 오염입자가 제거되어 청정공기가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워책은 상기 이오나이저와 상기 집진필터에 서로 다른 고전압을 인가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일 측에 설치되고, 상기 배터리는 상기 파워팩에 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접지판에 그라운드를 제공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일 측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각 구성에 전원이 효율적으로 인가되어 동작될 수 있다.
이때, 제 1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공기청정기의 하우징에는, 제 1 플레이트 및 상기 제 1 플레이트와 결합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제 2 플레이트로 형성된 하우징 본체 및 상기 흡입구 및 상기 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 본체와 결합되는 하우징 커버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플레이트에는, 상기 이오나이저, 상기 집진필터, 상기 파워팩, 상기 배터리 및 상기 팬이 설치되고, 상기 제 2 플레이트에는, 상기 접지판이 설치된다.
즉, 제 1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공기청정기에서는, 상기 이오나이저, 상기 집진필터, 상기 파워팩, 상기 배터리 및 상기 팬은 일 측에 위치되고, 상기 접지판은 타 측에 위치된다.
한편, 제 2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공기청정기의 하우징에는, 상기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흡입구 및 상기 토출구가 형성된 제 1 하우징 및 상기 제 1 하우징에서 일 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 2 하우징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하우징에는 상기 이오나이저, 상기 접지판, 상기 집진필터 및 상기 팬이 설치되고, 상기 제 2 하우징에는 상기 파워팩 및 배터리가 설치된다.
즉, 제 2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공기청정기에서는, 상기 이오나이저, 상기 접지판, 상기 집진필터 및 상기 팬과, 상기 파워팩 및 상기 배터리는 구분된 공간에 위치된다.
제안되는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휴대용 공기청정기는 하나의 하우징 내에 모든 구성이 효과적으로 배치됨에 따라, 사용자가 손쉽게 손에 들거나 몸에 지니고 다닐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는 이오나이저, 접지판 및 집진필터를 통하여 효과적으로 공기 중 먼지입자를 제거하여, 사용자에게 청정공기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는 배터리 및 파워팩을 통하여 각 구성으로 효율적으로 전원을 인가하기 때문에, 비교적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휴대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배터리가 상기 접지판과 연결되어 잉여이온을 제거함에 따라, 대전효율이 계속하여 높은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이오나이저 등 전기집진필터를 사용함에 따라 공기의 유동 저항이 감소되고, 팬의 소비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보다 작은 크기 및 무게의 팬을 사용함에 따라 휴대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이오나이저, 상기 집진필터, 상기 파워팩, 상기 배터리 및 상기 팬은 일 측에 위치되고 상기 접지판은 타 측에 위치됨에 따라, 내부공간을 최대화할 수 있으며 대전효율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이오나이저, 상기 접지판, 상기 집진필터 및 상기 팬과, 상기 파워팩 및 상기 배터리는 구분된 공간에 위치됨에 따라, 공기의 유동이 일 방향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유동저항이 감소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공기청정기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공기청정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공기청정기의 하우징 본체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5-5'단면을 공기의 유동과 함께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2의 6-6'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공기청정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7의 9-9'단면을 공기의 유동과 함께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7의 10-10'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공기청정기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휴대용 공기청정기(1)는 사용자가 휴대가능하게 구비된다. 즉, 상기 휴대용 공기청정기(1)는 사용자가 손쉽게 손에 들거나 몸에 지니고 다닐 수 있도록 제작된다.
따라서, 상기 휴대용 공기청정기(1)는 사용자가 손쉽게 이동가능한 크기 및 무게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용 공기청정기(1)는 사용자가 쉽게 파지하기 쉬운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휴대용 공기청정기(1)는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에서는 제 1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공기청정기를 도시하였고, 도 7 내지 도 10에서는 제 2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공기청정기를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공기청정기와 제 2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공기청정기는 서로 다른 형상으로 구비된다.
우선, 도 1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휴대용 공기청정기의 기본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각 실시 예에 대한 도면을 참고하여 각 실시 예의 특징을 설명한다. 각 실시 예의 구분을 위해, 제 2 실시예의 구성에는 도면부호에 a를 붙여 설명한다.
[휴대용 공기청정기의 특징]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휴대용 공기청정기(1, 1a)에는, 내부공간(I, interior space)을 형성하는 하우징(10, 10a)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0, 10a)은 상기 휴대용 공기청정기(1, 1a)의 외관을 형성하며,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내부공간(I)은 반폐쇄 공간(semiclosed space)으로 이해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내부공간(I)은 흡입구(11, 11a) 및 토출구(12, 12a)에 의해 상기 하우징(10, 10a)의 외부와 연통되는 공간에 해당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흡입구(11, 11a) 및 상기 토출구(12, 12a)는 상기 내부공간(I)과 연통되도록 상기 하우징(10, 10a)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휴대용 공기청정기(1, 1a)에는, 상기 내부공간(I)으로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오나이저(20, 20a)가 더 포함된다. 특히, 상기 이오나이저(20, 20a)는 상기 하우징(10, 10a)의 내부, 자세하게는, 상기 내부공간(I)에 설치된다. 그에 따라, 상기 내부공간(I)은 상기 이오나이저(20, 20a)에 의해 대전되는 공간으로도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이오나이저(20, 20a)에서 방출된 이온은 상기 내부공간(I)을 유동하는 공기 중 오염입자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오염입자는 공기 중 먼지입자 등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오염입자들이 소정의 극성을 갖도록 대전된다.
상기 이오나이저(20, 20a)는 복수 개로 구비되어, 서로 이격되어 상기 내부공간(I)에 설치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이오나이저(20, 20a)는 후술할 팬(70, 70a)에 의해 발생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이오나이저(20, 20a)는 상기 흡입구(11, 11a)에서 상기 토출구(12, 12a)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오나이저(20, 20a)에는, 방전침이나 카본 파이버(carbon fiber)가 포함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카본 파이버의 직경은 6.7마이크로미터 내지 7.8마이크로미터 범위 내일 수 있다. 특히, 상기 이오나이저(20, 20a)에는, 말단에서 이온이 발생되는 카본 파이버 다발로 형성된 전극(21)이 포함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상기 이오나이저(20, 20a)는 카본 파이버 다발로 형성된 전극(21)으로 도시하였다. 이때, 각 이오나이저(20, 20a)는 상기 전극(21)의 말단이 상기 공기의 유동방향과 수직하게 설치된다. 즉, 복수의 이오나이저(20, 20a)가 이격된 방향과 수직하게 설치된다. 이는 상기 내부공간(I)으로 보다 효과적으로 이온을 방출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휴대용 공기청정기(1, 1a)에는, 상기 이오나이저(20, 20a)를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접지판(30, 30a)이 포함된다. 상기 접지판(30, 30a)은 상기 이오나이저(20, 20a)에 의해 발생된 잉여이온을 제거하는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잉여이온은 공기 중 오염입자와 결합되지 못한 이온을 의미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내부공간(I)은 반폐쇄 공간에 해당된다. 그에 따라, 잉여이온은 상기 내부공간(I)에 쌓이게 되고, 특히, 상기 내부공간(I)을 형성하는 내벽에 붙여 대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이 발생되는 경우, 전위차가 줄어들게 되며, 상기 이오나이저(20, 20a)에서의 이온 방출이 거의 발생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개방공간인 경우에는 상기 잉여이온이 대기 중으로 흩어지기 때문에 문제가 없다. 그러나, 상기 내부공간(I)과 같은 공간은 상기 잉여이온을 제거할 필요성이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접지판(30, 30a)은 그라운드 전극과 연결되어 상기 잉여이온을 제거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접지판(30, 30a)은 상기 내부공간(I)을 형성하는 상기 하우징(10, 10a)의 내면을 따라 배치된다. 특히, 상기 접지판(30, 30a)은 상기 이오나이저(20, 20a)를 중심으로 적어도 일부가 반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이오나이저(20, 20a)를 동일한 거리(반원 형상에서 반경에 해당되는 거리)로 둘러쌈에 따라 잉여이온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휴대용 공기청정기(1, 1a)에는, 상기 이오나이저(20, 20a)에서 발생된 이온에 의해 하전된 오염입자를 포집하는 집진필터(40, 40a)이 포함된다. 상기 집진필터(40, 40a)에는, 유전체 필터(41, 41a, dielectric filter)가 포함된다.
상기 유전체 필터(41, 41a)는 전도성 부재의 외면에 유전 물질(dielectric material)이 코팅되어 얇은 필름(thin film) 형태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전체 필터(41, 41a)는 복수 개로 구비되며,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집진필터(40, 40a)는 상기 하우징(10, 10a)의 내부에 설치된다. 특히, 상기 집진필터(40, 40a)는 상기 토출구(12, 12a)와 인접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는 공기가 상기 이오나이저(20, 20a)에 의해 대전된 후 상기 집진필터(40, 40a)로 유동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휴대용 공기청정기(1, 1a)에는, 상기 이오나이저(20, 20a) 및 상기 집진필터(40, 40a)에 전압을 인가하는 파워팩(50, 50a) 및 배터리(60, 60a)가 포함된다. 자세하게는, 상기 배터리(60, 60a)가 상기 파워팩(50, 50a)에 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파워팩(50, 50a)이 상기 이오나이저(20, 20a) 및 상기 집진필터(40, 40a)에 전압을 인가한다.
상기 배터리(60, 60a)는 휴대용 기기에 필수적인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60, 60a)는 소정의 전원을 저장하는 장치로 충전가능하게 마련된다. 예를 들어, 상기 배터리(60, 60a)는 착탈가능하게 마련되거나, 외부전원과 연결가능하게 마련된다.
상기 배터리(60, 60a)는 상기 파워팩(50, 50a) 등 전원의 공급을 필요로 하는 구성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60, 60a)는 상기 접지판(30, 30a)과 연결된다. 즉, 상기 배터리(60, 60a)는 그라운드 전극을 제공하도록 상기 접지판(30, 30a)과 연결된다.
상기 파워팩(50, 50a)은 전원의 공급에 따라 서로 다른 고전압을 생성하여 인가하는 장치에 해당된다. 그에 따라, 상기 파워팩(50, 50a)은 상기 이오나이저(20, 20a) 및 상기 집진필터(40, 40a)에 서로 다른 고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이오나이저(20, 20a) 및 상기 집진필터(40, 40a)에는 서로 다른 극성의 고전압이 인가된다.
상기 파워팩(50, 50a) 및 상기 배터리(60, 60a)는 상기 하우징(10, 10a)의 일 측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파워팩(50, 50a) 및 상기 배터리(60, 60a)는 상기 내부공간(I)의 외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내부공간(I)이 대전되는 경우 발생될 수 있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휴대용 공기청정기(1, 1a)에는, 공기의 유동이 발생시키는 팬(70, 70a)이 포함된다. 상기 팬(70, 70a)의 구동에 의해 상기 흡입구(11, 11a)에서 상기 토출구(12, 12a)로 상기 내부공간(I)에서 공기의 유동이 발생된다.
상기 팬(70, 70a)은 상기 하우징(10, 10a)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팬(70, 70a)은 공기의 유동이 보다 효과적으로 발생되도록 상기 내부공간(I)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팬(70, 70a)은 상기 흡입구(11, 11a)와 인접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이오나이저(20, 20a)에 의해 발생된 이온의 영향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상기 휴대용 공기청정기(1)는 다양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휴대용 공기청정기(1)는 상기에서 설명된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구성이 추가되거나 생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휴대용 공기청정기(1)에는 토출공기의 온도 또는 습도 등을 조절할 수 있는 구성이 추가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팬(70, 70a)에서 공기 중으로 열을 방출하는 열선이 결합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팬(70, 70a)을 통과하는 공기의 온도가 높아질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열선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공기청정기(1)의 구동에 따른 각 구성의 전원 인가를 자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휴대용 공기청정기(1)가 작동되면, 상기 배터리(60, 60a)에서 상기 파워팩(50, 50a) 및 상기 팬(70, 70a)으로 전원이 인가된다. 예를 들어, 상기 파워팩(50, 50a) 및 상기 팬(70, 70a)에는 5V의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파워팩(50, 50a)에서 상기 이오나이저(20, 20a) 및 상기 집진필터(40, 40a)로 고전압이 인가된다. 이때, 상기 이오나이저(20, 20a) 및 상기 집진필터(40, 40a)에는 서로 다른 극성의 전압이 인가된다. 또한, 서로 다른 크기의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오나이저(20, 20a)에는 -3kV의 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집진필터(40, 40a)에는 7kV의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즉, 상기 집진필터(40, 40a)에는 상기 이오나이저(20, 20a)보다 큰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60, 60a)는 상기 접지판(30, 30a)과 연결된다. 자세하게는, 상기 배터리(60, 60a)의 (-)극이 상기 접지판(30, 30a)과 연결된다. 그에 따라, 상기 이오나이저(20, 20a)에서 발생된 전자가 상기 접지판(30, 30a)을 통해 제거될 수 있다.
이하, 이와 같은 구성을 참고하여 각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공기청정기의 특징]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공기청정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공기청정기의 하우징 본체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5는 도 2의 5-5'단면을 공기의 유동과 함께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2의 6-6'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공기청정기(1)는 전체적으로 반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사용자가 파지하기 쉽도록 상기 휴대용 공기청정기(1)는 비교적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휴대용 공기청정기(1)에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0)이 포함된다. 상기 하우징(10)은 하우징 본체(100)와 하우징 커버(110)로 구분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 본체(100)와 상기 하우징 커버(110)는 서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본체(100)는 내부공간(I)을 형성하는 구성에 해당된다. 자세하게는, 상기 하우징 본체(100)에는, 제 1 플레이트(102) 및 상기 제 1 플레이트(102)와 결합되어 상기 내부공간(I)을 형성하는 제 2 플레이트(104)가 포함된다.
이때, 상기 제 1 플레이트(102)는 평판(plane)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 2 플레이트(104)는 곡면판(curved plate)으로 구비된다. 특히, 상기 제 2 플레이트(104)는 반원 형상으로 구부러진 곡면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 본체(100)에는 상기 제 1 플레이트(102) 및 상기 제 2 플레이트(104)의 상하단에 각각 결합되는 제 3, 4 플레이트(106, 108)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 3, 4 플레이트(106, 108)는 반원형상의 평판으로 구비된다. 그에 따라, 상기 하우징 본체(100) 및 상기 내부공간(I)은 반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내지 4 플레이트(104, 106, 108)는 설명의 편의상 구분된 것으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플레이트(102)도 상기 제 2 플레이트(104) 또는 제 3, 4 플레이트(106, 108)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설계상의 문제로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하우징 커버(110)에는 흡입구(11) 및 토출구(12)가 형성된다. 특히, 상기 흡입구(11)와 상기 토출구(12)는 서로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원활하게 상기 토출구(12)에서 제공되는 청정공기를 흡입할 수 있기 위함이다.
상기 하우징 커버(110)에는 사용자가 조작가능하게 마련된 버튼(112)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버튼(112)을 통하여 사용자는 상기 휴대용 공기청정기(1)를 동작 및 동작정지시킬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커버(110)는 상기 제 1 플레이트(102)가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하우징 본체(100)와 결합될 수 있다. 정리하면, 상기 하우징(10)은 소정의 공간을 가지고, 상기 제 1 플레이트(102)에 의해 상기 소정의 공간이 상기 내부공간(I)과 설치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 커버(110)가 상기 하우징 본체(100)와 분리되는 경우, 상기 설치공간에 설치된 구성이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설치공간에는, 상기 파워팩(50) 및 상기 배터리(60)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 커버(110)를 분리하고, 상기 배터리(60)를 분리시킬 수 있다.
상기 하우징 본체(100)에는, 이오나이저(20), 접지판(30), 집진필터(40), 파워팩(50), 배터리(60) 및 팬(70)이 설치된다. 특히, 상기 이오나이저(20), 상기 집진필터(40), 상기 파워팩(50), 상기 배터리(60) 및 상기 팬(70)은 상기 제 1 플레이트(102)에 설치된다. 한편, 상기 접지판(30)은 상기 제 2 플레이트(104)에 설치된다. 이때, '설치'는 배치를 뜻하는 것이며, 고정됨을 의미하지 않는다.
상기 제 1 플레이트(102)에는, 상기 팬(70)이 설치되는 팬 설치부(101) 및 상기 집진필터(40)가 설치되는 필터 설치부(103)가 형성된다. 상기 팬 설치부(101) 및 상기 필터 설치부(103)는 상기 제 1 플레이트(102)를 관통하는 개구로 이해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팬 설치부(101)는 상기 흡입구(11)와 인접하게 형성되고, 상기 필터 설치부(103)는 상기 토출구(12)와 인접하게 형성된다. 즉, 상기 팬 설치부(101) 및 상기 필터 설치부(103)는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구(11)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팬(70)을 통과하고, 상기 집진필터(40)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토출구(12)로 토출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이오나이저(20), 상기 파워팩(50) 및 상기 배터리(60)는 상기 팬 설치부(101)와 상기 필터 설치부(103)의 사이에 위치된다. 이때, 상기 이오나이저(20)와 상기 파워팩(50) 및 상기 배터리(60)는 대향되는 면에 각각 설치된다. 자세하게는, 상기 이오나이저(20)는 상기 내부공간(I)을 형성하는 상기 제 1 플레이트(102)의 내면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파워팩(50) 및 상기 배터리(60)는 상기 제 1 플레이트(102)의 외면에 설치된다. 즉, 상기 파워팩(50) 및 상기 배터리(60)는 상기 하우징 커버(110)와 형성된 설치공간에 설치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집진필터(40) 및 상기 배터리(60)는 상기 제 1 플레이트(102)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는, 상기 집진필터(40)에는 오염입자들이 포집되기 때문에, 세척하거나 교체하기 위하여 분리될 필요성이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60)는 충전 또는 교체를 위하여 분리될 필요성이 있다.
또한, 상기 집진필터(40)에는, 사각틀 형상의 필터케이스(42) 및 상기 필터케이스(42)에 설치되는 유전체 필터(41)가 포함된다. 상기 유전체 필터(41)는 복수 개로 구비되어, 상기 필터케이스(42)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접지판(30)은 상기 내부공간(I)을 형성하는 상기 제 2 플레이트(104)의 내면을 커버하도록 설치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지판(30)은 상기 제 2 플레이트(104)의 내면과 대응되는 반원 플레이트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접지판(30)은 상기 제 2 플레이트(104)에 밀착되어 설치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여 정리하면, 상기 휴대용 공기청정기(1)에서, 상기 이오나이저(20), 상기 집진필터(40), 상기 파워팩(50), 상기 배터리(60) 및 상기 팬(70)은 일 측에 위치되고, 상기 접지판(30)은 타 측에 위치된다. 이와 같은 배치를 통해 상기 내부공간(I)를 최대화할 수 있으며 대전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공기의 유동을 살펴보면, 상기 팬(70)의 구동에 의해 상기 흡입구(11)로 외부공기가 유입된다. 그리고, 외부공기는 상기 팬(70) 및 상기 팬 설치부(101)을 통과하여 상기 내부공간(I)으로 유동된다. 상기 내부공간(I)을 따라 유동되는 공기 중 오염입자는 상기 이오나이저(20)에서 방출된 이온과 결합되어 대전된다.
이때, 상기 이오나이저(20)는 공기의 유동방향으로 이격된 복수 개로 구비된다. 도 5상에서 공기의 유동방향을 하부에서 상부에 해당되고, 상기 이오나이저(20)는 상하단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또한, 상기 이오나이저(20)는 공기의 유동방향과 수직하게 배치된 말단을 갖는 전극(21)으로 구비된다.
상기 전극(21)의 말단에서 이온이 방출되어, 보다 효과적으로 상기 내부공간(I)으로 이온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방출된 이온 중 상기 오염입자와 결합되지 못한 잉여이온은 상기 접지판(30)과 접하여 제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부공간(I)으로 유동된 공기는 상기 집진필터(40)를 통과하여 상기 토출구(12)를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 이때, 대전된 오염집자는 상기 집진필터(40)에 포집되어, 상기 토출구(12)로는 오염입자가 제거된 청정공기가 토출될 수 있다.
[제 2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공기청정기의 특징]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공기청정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9는 도 7의 9-9'단면을 공기의 유동과 함께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도 7의 10-10'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공기청정기(1a)는 전체적으로 망치 형상으로 형성된다. 자세하게는, 상기 휴대용 공기청정기(1a)에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부분이 구비된다.
상기 휴대용 공기청정기(1a)에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0a)이 포함된다. 상기 하우징(10a)은 제 1 하우징(1000)과 제 2 하우징(상기 제 2 하우징(1100))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제 1 하우징(1000)과 상기 제 2 하우징(상기 제 2 하우징(1100))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제 1 하우징(1000)과 상기 제 2 하우징(1100)은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1 하우징(1000)과 상기 제 2 하우징(1100)은 원통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 1 하우징(1000)과 상기 제 2 하우징(1100)은 서로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7상에서, 상기 제 1 하우징(1000)은 가로방향으로 연장된 원통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 2 하우징(1100)은 세로방향으로 연장된 원통형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제 1 하우징(1000)은 흡입구(11a), 토출구(12a) 및 내부공간(I)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흡입구(11a) 및 상기 토출구(12a)는 상기 제 1 하우징의 양 단에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기 내부공간(I)은 상기 제 1 하우징(1000)에 대응하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자세하게는, 상기 제 1 하우징(1000)에는, 하우징 본체(1002), 상기 하우징 본체(1002)의 양 단에 결합되는 제 1 하우징 커버(1004) 및 제 2 하우징 커버(1006)가 포함된다. 상기 하우징 본체(1002)는 양 단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하우징 커버(1004) 및 상기 제 2 하우징 커버(1006)는 원형평판으로 구비된다.
상기 제 1 하우징 커버(1004)에는 상기 흡입구(11a)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하우징 커버(1006)에는 상기 토출구(12a)가 형성된다. 도 8과 같이, 상기 제 2 하우징 커버(1006)는 상기 하우징 본체(1002)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 1 하우징 커버(1004)는 상기 하우징 본체(1002)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1 하우징(1000)에는 이오나이저(20a), 접지판(30a), 집진필터(40a) 및 팬(70a)이 설치된다. 자세하게는, 상기 내부공간(I)에 상기 이오나이저(20a), 상기 접지판(30a), 상기 집진필터(40a) 및 상기 팬(70a)이 설치된다.
상기 팬(70a)에 구동에 따라, 상기 흡입구(11a)에서 상기 토출구(12a)로 공기의 유동이 발생된다. 이때, 공기의 유동방향으로, 상기 접지판(30a), 상기 팬(70a) 및 상기 집진필터(40a)가 차례로 배치된다. 또는, 상기 팬(70a), 상기 접지판(30a) 및 상기 집진필터(40a)의 순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접지판(30a), 상기 팬(70a) 및 상기 집진필터(40a)은 상기 제 1 하우징(1000)의 형상에 대응하여 원형 외관으로 형성된다.
상기 집진필터(40a)에는, 원통형상의 필터케이스(42a) 및 상기 필터케이스(42a)에 설치되는 유전체 필터(41a)가 포함된다. 상기 유전체 필터(41a)는 복수 개로 구비되어, 중심축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중심축은 상기 제 1 하우징(1000)이 형성하는 원통의 축방향으로 연장된 중심축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중심축은 상기 흡입구(11a)에서 상기 토출구(12a)로 연장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심축은 상기 내부공간(I)의 중심축이기도 하다.
상기 집진필터(40a)는 상기 제 1 하우징(100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8과 같이, 상기 제 2 하우징 커버(1006)를 상기 하우징 본체(1002)에서 분리하고, 상기 집진필터(40a)를 분리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집진필터(40a)를 세척하거나 교체할 수 있다.
상기 접지판(30a)은 상기 제 1 하우징(1000)의 내측면을 따라 양 단이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접지판(30a)은 상기 하우징 본체(1002)의 내측면과 밀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이오나이저(20a)는 상기 내부공간(I)의 중심축에 배치된다. 자세하게는, 상기 휴대용 공기청정기(1a)에는, 상기 제 1 하우징(1000)의 중심축을 따라 연장된 이오나이저 지지부재(200)가 포함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오나이저 지지부재(200)는 상기 제 1 하우징 커버(1004)에서 상기 팬(70a)까지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오나이저 지지부재(200)는 상기 접지판(30a)의 중심축을 따라 배치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이오나이저(20a)는 복수 개로 구비되어, 상기 중심축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된다. 즉, 복수의 이오나이저(20a)는 공기의 유동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또한, 상기 이오나이저(20a)는 상기 접지판(30a)을 향하여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복수의 이오나이저(20a)는 인접한 이오나이저(90a)와 90도 각도로 회전되어 각각 설치된다.
또한, 상기 이오나이저(20a)는 공기의 유동방향과 수직하게 배치된 말단을 갖는 전극(21a)으로 구비된다. 상기 전극(21a)의 말단에서 이온이 방출되어, 보다 효과적으로 상기 내부공간(I)으로 이온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하우징(1100)은 상기 제 1 하우징(1004)에서 일 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특히, 상기 제 2 하우징(1100)은 상기 제 1 하우징(1004)의 외측면에서 일 측으로 연장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제 2 하우징(1100)은 상기 하우징 본체(1002)에서 일 측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 2 하우징(1100)은 사용자가 파지하는 부분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제 2 하우징(1100)은 사용자가 파지하기 편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하우징(1100)은 사용자의 손 형상과 대응되는 함몰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하우징(1100)에는 사용자가 조작가능하게 마련된 버튼(112a)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버튼(112a)을 통하여 사용자는 상기 휴대용 공기청정기(1a)를 동작 및 동작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하우징(1100)에는, 파워팩(50a) 및 배터리(60a)가 설치된다. 자세하게는, 상기 파워팩(50a) 및 상기 배터리(60a)는 상기 제 2 하우징(11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 2 하우징(1100)은 충전기(1200)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충전기(1200)는 외부전원과 연결되는 구성이거나 또 다른 배터리에 해당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60a)는 상기 제 2 하우징(1100)이 상기 충전기(1200)에 결합됨에 따라 충전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제 1 실시 예에서는 배터리(60)가 착탈가능하게 마련된 것으로 기재하고, 제 2 실시 예에서는 배터리(60a)가 충전가능하게 마련된 것으로 기재하였다.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각 실시 예의 배터리(60, 60a)는 착탈 또는 충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정리하면, 상기 휴대용 공기청정기(1a)에서, 상기 이오나이저(20a), 상기 접지판(30a), 상기 집진필터(40a) 및 상기 팬(70a)과, 상기 파워팩(50a) 및 상기 배터리(60a)는 구분된 공간에 위치된다. 이와 같은 배치를 통해 상기 팬(70a)을 통한 공기의 유동이 일 방향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유동저항이 감소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흡입구(11a)와 상기 토출구(12a)가 대향되어 배치됨에 따라, 사용자가 보다 안정적으로 청정공기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손쉽게 파지할 수 있는 구성을 통해 사용자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공기의 유동을 살펴보면, 상기 팬(70a)의 구동에 의해 상기 흡입구(11a)로 외부공기가 유입된다. 그리고, 외부공기는 상기 내부공간(I)으로 유동되어, 공기 중 오염입자는 상기 이오나이저(20a)에서 방출된 이온과 결합되어 대전된다. 또한, 방출된 이온 중 상기 오염입자와 결합되지 못한 잉여이온은 상기 접지판(30a)과 접하여 제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부공간(I)을 유동하는 공기는 상기 집진필터(40a)를 통과하여 상기 토출구(12a)를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 이때, 대전된 오염집자는 상기 집진필터(40a)에 포집되어, 상기 토출구(12a)로는 오염입자가 제거된 청정공기가 토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휴대용 공기청정기(1, 1a)는 사용자가 휴대하기 좋은 형상으로 구비된다. 또한, 휴대성을 보다 증대시키기 위하여 간단하고 가벼운 구성으로 구비되며, 대전 및 집진을 통해 효과적으로 청정공기를 제공할 수 있다.
1, 1a : 휴대용 공기청정기 11, 11a : 흡입구
12, 12a : 토출구 10, 10a : 하우징
20, 20a : 이오나이저 30, 30a : 접지판
40, 40a : 집진필터 50, 50a : 파워팩
60, 60a : 배터리 70, 70a : 팬
I : 내부공간

Claims (20)

  1.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내부공간으로 이온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이오나이저;
    상기 이오나이저를 둘러싸도록 상기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하우징의 내면을 따라 설치되는 접지판;
    상기 이오나이저에서 발생된 이온에 의해 하전된 오염입자를 포집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집진필터;
    상기 이오나이저와 상기 집진필터에 서로 다른 고전압을 인가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일 측에 설치되는 파워팩; 및
    상기 파워팩에 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접지판에 그라운드를 제공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일 측에 설치되는 배터리;
    를 포함하는 휴대용 공기청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공간과 연통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는 흡입구 및 토출구; 및
    상기 흡입구에서 상기 토출구로 공기의 유동이 발생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팬을 더 포함하는 휴대용 공기청정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오나이저는 복수 개로 구비되어, 상기 팬에 의해 발생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공기청정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오나이저에는, 말단에서 이온이 발생되는 카본 파이버 다발로 형성된 전극이 포함되고,
    각 이오나이저는 상기 전극의 말단이 상기 공기의 유동방향과 수직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공기청정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판은 상기 이오나이저를 중심으로 적어도 일부가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공기청정기.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제 1 플레이트 및 상기 제 1 플레이트와 결합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제 2 플레이트로 형성된 하우징 본체; 및
    상기 흡입구 및 상기 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 본체와 결합되는 하우징 커버가 포함되고,
    상기 제 1 플레이트에는, 상기 이오나이저, 상기 집진필터, 상기 파워팩, 상기 배터리 및 상기 팬이 설치되고
    상기 제 2 플레이트에는, 상기 접지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공기청정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레이트에는, 상기 팬이 설치되고 상기 흡입구와 인접하게 형성되는 팬 설치부 및 상기 집진필터가 설치되고 상기 토출구와 인접하게 형성되는 필터 설치부가 형성되고,
    상기 이오나이저와 상기 파워팩 및 상기 배터리는 상기 팬 설치부와 상기 필터 설치부의 사이에 위치되고, 대향되는 면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공기청정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커버는 상기 하우징 본체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집진필터 및 상기 배터리는 상기 제 1 플레이트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공기청정기.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공간은 상기 제 1 플레이트가 평판 및 상기 제 2 플레이트가 곡면판으로 형성된 반원기둥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접지판은 상기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제 2 플레이트의 내면을 커버하도록 반원 플레이트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공기청정기.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레이트와 상기 하우징 커버의 사이에는 상기 파워팩 및 상기 배터리가 설치되는 설치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공간과 상기 내부공간을 상기 제 1 플레이트에 의해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공기청정기.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흡입구 및 상기 토출구가 형성된 제 1 하우징; 및
    상기 제 1 하우징에서 일 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 2 하우징이 포함되고,
    상기 제 1 하우징에는 상기 이오나이저, 상기 접지판, 상기 집진필터 및 상기 팬이 설치되고,
    상기 제 2 하우징에는 상기 파워팩 및 배터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공기청정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우징은 양 단에 상기 흡입구 및 상기 토출구가 각각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이오나이저는 상기 내부공간의 중심축에 배치되고,
    상기 접지판은 상기 제 1 하우징의 내측면을 따라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공기청정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이오나이저는 복수 개로 구비되어, 상기 흡입구에서 상기 토출구로 연장되는 상기 내부공간의 중심축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공기청정기.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이오나이저는 복수 개로 구비되어, 상기 접지판을 향하여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공기청정기.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하우징은 상기 제 1 하우징의 외측면에서 일 측으로 연장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공기청정기.
  16. 제 1 플레이트 및 상기 제 1 플레이트와 결합되어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제 2 플레이트가 구비된 하우징;
    상기 내부공간으로 이온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제 1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이오나이저;
    상기 이오나이저를 둘러싸도록 상기 제 2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접지판;
    상기 이오나이저에서 발생된 이온에 의해 하전된 오염입자를 포집하도록 상기 제 1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집진필터;
    상기 이오나이저 및 상기 집진필터에 전압을 인가하도록 상기 제 1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파워팩 및 배터리; 및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는 흡입구에서 토출구로 공기의 유동이 발생되도록 상기 제 1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팬;
    을 포함하는 휴대용 공기청정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레이트에 상기 집진필터와 상기 팬이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이오나이저, 상기 파워팩 및 상기 배터리는 상기 집진필터와 상기 팬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공기청정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이오나이저는 상기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내면에 설치되고,
    상기 파워팩 및 상기 배터리는 상기 이오나이저와 대향되도록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외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공기청정기.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흡입구 및 상기 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플레이트와 결합되어 상기 파워팩 및 상기 배터리가 배치되는 설치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커버가 포함되고,
    상기 흡입구와 인접하게 상기 팬이 위치되고 상기 토출구와 인접하게 상기 집진필터가 위치되도록, 상기 흡입구와 상기 토출구는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공기청정기.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판은 상기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제 2 플레이트의 내면을 커버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공기청정기.
KR1020190080018A 2019-07-03 2019-07-03 휴대용 공기청정기 KR2021000411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0018A KR20210004118A (ko) 2019-07-03 2019-07-03 휴대용 공기청정기
PCT/KR2020/008243 WO2021002628A1 (ko) 2019-07-03 2020-06-25 휴대용 공기청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0018A KR20210004118A (ko) 2019-07-03 2019-07-03 휴대용 공기청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4118A true KR20210004118A (ko) 2021-01-13

Family

ID=74100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0018A KR20210004118A (ko) 2019-07-03 2019-07-03 휴대용 공기청정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10004118A (ko)
WO (1) WO20210026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6327B1 (ko) * 2022-06-23 2022-12-09 최석봉 청정영역을 제공하는 에어커튼 방식의 웨어러블 공기청정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64189B2 (en) * 2004-02-25 2005-11-15 Westinghouse Savannah River Company, Llc Portable aerosol contaminant extractor
KR101996055B1 (ko) * 2012-07-05 2019-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온발생장치
CN204219639U (zh) * 2014-06-19 2015-03-25 东莞精博电子科技有限公司 便携式空气净化机的输送管道
KR20170138289A (ko) * 2016-06-07 2017-12-15 주식회사 에어텍 휴대용 공기청정기
KR20190086116A (ko) * 2018-01-12 2019-07-22 클레어 주식회사 블루투스 스피커 겸용 휴대용 공기청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02628A1 (ko) 2021-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1296B1 (ko) 유해 가스 및 입자를 동시에 저감할 수 있는 차량용 공기정화장치
KR100656170B1 (ko) 공기정화기
US20040118285A1 (en) Air purifier
KR20160099310A (ko) 전기집진장치
KR20210004118A (ko) 휴대용 공기청정기
KR20160101407A (ko) 전기집진장치
KR20160090459A (ko) 공기체류시간을 연장한 공기청정기
CN206474294U (zh) 静电除尘装置
KR101981011B1 (ko) 공기청정기
RU61595U1 (ru) Электростатический фильтр (варианты)
KR20180086899A (ko) 집진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정화장치
KR100527358B1 (ko) 사이클론을 구비한 공기청정기
KR101942623B1 (ko) 정전기를 이용한 공기청정기
KR102012185B1 (ko) 휴대용 공기 정화 장치
CN215389993U (zh) 电场装置和气体净化装置
WO2022198935A1 (zh) 集尘机构、车载空气净化器和风扇
KR101697042B1 (ko) 차량용 공기정화장치
KR20190094754A (ko) 차량용 공기청정기
CN211667939U (zh) 手持便携式净化器
CN208261009U (zh) 涡卷式静电集尘装置
KR101750174B1 (ko) 차량용 공기정화장치
CN206661441U (zh) 一种电晕放电去除气溶胶装置
KR101888577B1 (ko) 접촉식 전극을 이용한 공기청정기
KR102080973B1 (ko) 전기집진식 공기정화장치 세트
CN113237183A (zh) 手持便携式净化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