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3967A - 시설원예 모니터링을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시설원예 모니터링을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3967A
KR20210003967A KR1020190079064A KR20190079064A KR20210003967A KR 20210003967 A KR20210003967 A KR 20210003967A KR 1020190079064 A KR1020190079064 A KR 1020190079064A KR 20190079064 A KR20190079064 A KR 20190079064A KR 20210003967 A KR20210003967 A KR 202100039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t
image
photographing
analysis device
normaliz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9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환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0790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3967A/ko
Publication of KR20210003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39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Min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06T7/0004Industrial image inspection
    • G06T7/001Industrial image inspection using an image reference approac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5Control of camera direction for changing a field of view, e.g. pan, tilt or based on tracking of obj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achieving an enlarged field of view, e.g. panoramic image capture
    • H04N5/23238
    • H04N5/2329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181Earth observation
    • G06T2207/30188Vegetation; Agricul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설원예 배지 모니터링을 위한 촬영장치는 데이터 전송을 위한 통신부와, 복수의 배지 각각에 심어진 복수의 식물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부와, 상기 촬영장치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를 제어하여 상기 촬영장치를 이동시키며, 상기 이동 중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복수의 식물을 촬영하여 컬러 영상, 초분광 영상 및 열화상 영상을 포함하는 식물 영상을 생성하고, 생성된 식물 영상을 상기 통신부를 통해 분석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시설원예 모니터링을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facility horticulture}
본 발명은 시설원예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설원예 모니터링을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원예작물은 생체로 이용하는 것이 대부분이며 높은 수분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저장하기가 어렵고 변질되기 쉬우며 신선도가 떨어지면 상품가치를 잃게 된다. 시설원예로 채소와 꽃 등이 연중 생산됨으로써 소비자의 기호에 맞는 상품을 공급해야 하므로 생육환경을 억제, 촉진할 수 있는 시설재배가 발달하게 되었다. 시설원예는 시설물을 세우고 모든 재배환경을 인위적으로 조절하여야 하므로 자본 집약적인 면은 있으나 작물재배에 가장 중요한 수분, 온도, 광선, 영양분 등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출하시기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시설원예는 최근 점차 널리 보급되어 새로운 원예 산업으로까지 육성, 발전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4-0114089호 2014년 09월 26일 공개 (명칭: 원예시설 감시 제어시스템 및 방법)
종래의 온실 내 각 배지에서 자라고 있는 작물의 생육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 관리자가 직접 온실 내 생육 작물을 육안으로 확인하고 있으며, 온실 내 전경을 확인 할 수 있는 카메라는 각 배지위의 개별 작물의 생육 상태를 확인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또한, 종래의 온실 제어 시스템의 경우, 작물의 생육, 생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데이터는 전문 재배사, 농민이 수작업을 통해 기록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개별 식물 각각을 모니터링하고, 그 생장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여부를 분석할 수 있는 시설원예 모니터링을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시설원예 배지 모니터링을 위한 촬영장치는 데이터 전송을 위한 통신부와, 복수의 배지 각각에 심어진 복수의 식물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부와, 상기 촬영장치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를 제어하여 상기 촬영장치를 이동시키며, 상기 이동 중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복수의 식물을 촬영하여 컬러 영상, 초분광 영상 및 열화상 영상을 포함하는 식물 영상을 생성하고, 생성된 식물 영상을 상기 통신부를 통해 분석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분석장치는 상기 카메라부의 상기 식물에 대한 지향각 및 거리를 조절하는 자세조절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중 카메라부를 통해 복수의 식물 중 하나의 식물을 식별할 수 있는 마커를 인식할 때마다, 상기 자세조절부를 제어하여 상기 마커를 기준으로 상기 카메라부가 상기 식물 개체에 대해 기 설정된 지향각 및 거리가 되도록 하고, 상기 식물을 촬영하여 컬러 영상, 초분광 영상 및 열화상 영상을 포함하는 식물 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시설원예 배지 모니터링을 위한 분석장치는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표시모듈과, 복수의 식물 영상을 수신하는 통신모듈과, 복수의 식물 영상 각각의 마커를 식별하고, 식별된 마커를 기준으로 복수의 식물 영상 각각으로부터 기 설정된 크기의 정규화된 식물 영상을 추출하고, 추출된 정규화된 식물 영상을 병합하여 파노라마 영상을 생성하고, 생성된 파노라마 영상을 상기 표시모듈을 통해 출력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분석장치는 상기 정규화된 식물 영상과 동일하게 상기 마커를 기준으로 동일한 거리, 동일한 지향각에서 촬영된 식물 영상으로부터 상기 마커를 기준으로 상기 정규화된 식물 영상과 동일한 크기로 추출되어 저장된 대조 영상을 저장하는 저장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정규화된 식물 영상과 상기 대조 영상을 비교하여 식물의 생육을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촬영장치의 시설원예 배지 모니터링을 위한 방법은 상기 촬영장치를 이동시키며, 상기 이동 중 배열된 복수의 배지에 심어진 복수의 식물 각각을 촬영하여 컬러 영상, 초분광 영상 및 열화상 영상을 포함하는 식물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식물 영상을 상기 통신부를 통해 분석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식물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중 복수의 식물 중 하나의 식물을 식별할 수 있는 마커를 인식할 때마다, 상기 마커를 기준으로 상기 촬영장치의 카메라부가 상기 식물 개체에 대해 기 설정된 지향각 및 거리가 되도록 하고, 상기 식물을 촬영하여 컬러 영상, 초분광 영상 및 열화상 영상을 포함하는 식물 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석장치의 시설원예 배지 모니터링을 위한 방법은 복수의 식물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와, 복수의 식물 영상 각각의 마커를 식별하고, 식별된 마커를 기준으로 복수의 식물 영상 각각으로부터 기 설정된 크기로 정규화된 식물 영상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정규화된 식물 영상을 병합하여 파노라마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파노라마 영상을 상기 표시모듈을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분석장치의 시설원예 배지 모니터링을 위한 방법은 상기 정규화된 식물 영상을 추출하는 단계 후, 상기 정규화된 식물 영상과 동일하게 상기 마커를 기준으로 동일한 거리, 동일한 지향각에서 촬영된 식물 영상으로부터 상기 마커를 기준으로 상기 정규화된 식물 영상과 동일한 크기로 추출되어 저장된 대조 영상과, 상기 정규화된 식물 영상을 비교하여 식물의 생육을 분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원격으로 시설 원예의 식물의 생장을 모니터링 할 수 있기 때문에 관리자의 노동력을 감소시킬 수 있고, 식물의 정밀한 생육 분석 제공하기 때문에 생산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소비자가 농가의 재배 작물을 확인하고 직거래 할 수 있는 온라인 유통 플랫폼에 활용할 수 있다. 또한, 파노라마 영상 및 생장 정보 분석을 통해 안전한 먹거리 소비를 유도할 수 있다. 그리고 온실 환경, 제어 데이터와 작물의 생육 상관성 분석 기술 개발 연계가 가능하며, 데이터 기반의 농업기술을 연구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아울러, 지능형 온실에 필요한 온실 통합 환경 제어에 따른 작물의 생육 정보 취득 기술 개발에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설원예 모니터링을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설 원예와 촬영장치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촬영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석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촬영장치의 시설원예 모니터링을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석장치의 시설원예 모니터링을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석장치의 시설원예 모니터링을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의 특징 및 이점을 보다 명확히 하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특정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의 설명 및 도면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뿐, 상기 구성요소들을 한정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더하여,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할 경우, 이는 논리적 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되어 있을 수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으며, 간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포함 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일(a 또는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범위 내의 실시 예들은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된 데이터 구조를 가지거나 전달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범용 또는 특수 목적의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임의의 이용 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예로서,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RAM, ROM, EPROM, CD-ROM 또는 기타 광 디스크 저장장치, 자기 디스크 저장장치 또는 기타 자기 저장장치, 또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또는 데이터 구조의 형태로 된 소정의 프로그램 코드 수단을 저장하거나 전달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고, 범용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액세스 될 수 있는 임의의 기타 매체와 같은 물리적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설명 및 특허 청구 범위에서, "네트워크"는 컴퓨터 시스템들 및/또는 모듈들 간의 전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하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링크로서 정의된다. 정보가 네트워크 또는 다른(유선, 무선, 또는 유선 또는 무선의 조합인) 통신 접속을 통하여 컴퓨터 시스템에 전송되거나 제공될 때, 이 접속은 컴퓨터-판독가능매체로서 이해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는, 예를 들면, 범용 컴퓨터 시스템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 시스템이 특정 기능 또는 기능의 그룹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어 및 데이터를 포함한다.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는, 예를 들면, 어셈블리어, 또는 심지어는 소스코드와 같은 이진, 중간 포맷 명령어일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퍼스널 컴퓨터, 랩탑 컴퓨터, 핸드헬드 장치, 멀티프로세서 시스템, 마이크로프로세서-기반 또는 프로그램 가능한 가전제품(programmable consumer electronics), 네트워크PC, 미니컴퓨터, 메인프레임 컴퓨터, 모바일 전화, PDA, 페이저(pager)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유형의 컴퓨터 시스템 구성을 가지는 네트워크 컴퓨팅 환경에서, 상기 컴퓨터 시스템들을 대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네트워크를 통해 유선 데이터 링크, 무선 데이터 링크, 또는 유선 및 무선 데이터 링크의 조합으로 링크된 로컬 및 원격 컴퓨터 시스템 모두가 태스크를 수행하는 분산형 시스템 환경에서 실행될 수 있다. 분산형 시스템 환경에서, 프로그램 모듈은 로컬 및 원격 메모리 저장 장치에 위치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설원예 모니터링을 위한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설원예 모니터링을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모니터링 시스템은 촬영장치(100) 및 분석장치(200)를 포함한다.
촬영장치(100) 및 분석장치(2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는 WLAN(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와이맥스(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의 무선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시스템 구현 방식에 따라 이더넷(Ethernet), xDSL(ADSL, VDSL), HFC(Hybrid Fiber Coaxial Cable), FTTC(Fiber to The Curb), FTTH(Fiber To The Home) 등의 유선 통신망을 포함할 수도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네트워크는 예컨대, 다수의 접속망(미도시) 및 이들을 연결하는 코어망(미도시)으로 이루어진 이동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접속망은 단말과 직접 접속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망으로서, 예를 들어, BS(Base Station), BTS(Base Transceiver Station), NodeB, eNodeB 등과 같은 다수의 기지국과, BSC(Base Station Controller), RNC(Radio Network Controller)와 같은 기지국 제어기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기지국에 일체로 구현되어 있던 디지털 신호 처리부와 무선 신호 처리부를 각각 디지털 유니트(Digital Unit, 이하 DU라 함)와 무선 유니트(Radio Unit, 이하 RU라 함)로 구분하여, 다수의 영역에 각각 다수의 RU(미도시)를 설치하고, 다수의 RU를 집중화된 DU와 연결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접속망과 함께 모바일 망을 구성하는 코어망(미도시)은 접속망과 외부 망, 예컨대, 인터넷망과 같은 다른 통신망을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코어망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접속망 간의 이동성 제어 및 스위칭 등의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한 주요 기능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으로서, 서킷 교환(circuit switching) 또는 패킷 교환(packet switching)을 수행하며, 모바일 망 내에서의 패킷 흐름을 관리 및 제어한다. 또한, 코어망은 주파수간 이동성을 관리하고, 접속망 및 코어망 내의 트래픽 및 다른 네트워크, 예컨대 인터넷망과의 연동을 위한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코어망은SGW(Serving GateWay), PGW(PDN GateWay), MSC(Mobile Switching Center), HLR(Home Location Register), MME(Mobile Mobility Entity)와HSS(Home Subscriber Server) 등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는 인터넷망을 포함할 수 있다. 인터넷망은TCP/IP 프로토콜에 따라서 정보가 교환되는 통상의 공개된 통신망, 즉 공용망을 의미한다. 이러한 통신망(NW)을 통해서 촬영장치(100) 및 분석장치(200)가 상호 연동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시스템을 구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시스템은 스마트 팜, 즉, 시설원예에서 온실 내, 각 배지에서 생장하는 작물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촬영장치(100)는 배지에서 생장하는 식물을 촬영한 영상을 네트워크를 통해 분석장치(200)에 제공한다. 그러면, 분석장치(200)는 획득한 영상을 파노라마 영상으로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가 배지에서 생장하는 각 식물의 상태를 원격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분석장치(200)는 이동통신단말기를 대표적인 예로서 설명하지만 분석장치(200)는 이동통신단말기에 한정된 것이 아니고, 모든 정보통신기기, 멀티미디어 단말기, 유선 단말기, 고정형 단말기 및 IP(Internet Protocol) 단말기 등의 다양한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분석장치(200)는 휴대폰, PMP(Portable MultimediaPlayer), MID(Mobile Internet Device),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 PC, 패블릿 PC, 노트북 및 퍼스널컴퓨터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설 원예와 촬영장치(100)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설 원예와 촬영장치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촬영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설 원예는 각각에 하나의 식물(p)이 심어진 복수의 배지(10: culture medium)가 배열된다. 또한, 배열된 복수의 배지(10)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의 배지(10)의 배열과 평행하게 레일(R)이 설치될 수 있다. 촬영장치(100)는 이러한 레일(R) 상에서 이동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촬영장치(100)는 통신부(110), 카메라부(120), 이송부(130), 자세조절부(140), 센서부(150), 환경제어부(160), 저장부(170) 및 제어부(180)를 포함한다.
통신부(110)는 분석장치(200)와 통신을 위한 것으로, 광대역이동통신, 무선근거리통신 및 피어투피어(Peer-to-Peer) 연결 방식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110)는 광대역이동통신, 무선근거리통신 및 피어투피어(Peer-to-Peer) 연결 방식의 통신 기능이 모두 구현되어 있는 하나의 모듈로 구현되어, 전술한 3가지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될 것이다. 하지만, 통신부(110)는 광대역이동통신, 무선근거리통신 및 피어투피어(Peer-to-Peer) 연결 방식 각각의 통신 기능을 별도로 수행하는 복수의 모듈로 구현될 수도 있다. 여기서, 광대역이동통신은 대표적으로, LTE, LTE-A 등의 표준에 따른 통신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무선근거리통신은 Wi-Fi(wireless fidelity)를 이용하는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통신을 예시할 수 있다. 그리고 피어투피어(Peer-to-Peer) 연결 방식은 블루투스(Bluetooth) 표준에 따른 통신을 예시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 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무선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18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제어부(180)로부터 전달 받은 데이터를 무선 신호로 변환하여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카메라부(120)는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부(120)는 컬러 영상, 초분광 영상 및 열화상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개별 모듈을 포함한다. 카메라부(12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영상을 촬영하여 촬영된 영상을 제어부(180)로 제공한다.
특히, 카메라부(120)는 3D 센서를 포함한다. 3D 센서는 비접촉 방식으로 영상의 각 픽셀의 3차원 좌표를 획득하기 위한 센서이다. 카메라부(120)가 영상을 촬영하면, 3D 센서는 촬영된 영상과 함께, 카메라부(120)의 소정의 기준점(예컨대, 초점)으로부터 촬영한 객체(배지 및 배지에 심어진 식물)까지의 실제 거리를 측정하여 촬영한 영상의 각 픽셀의 3차원 좌표를 검출하고, 검출된 3차원 좌표를 제어부(180)로 전달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80)는 3D 센서를 통해 배지 및 식물의 일부로 이루어진 마커(m)까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3D 센서는 레이저, 적외선, 가시광 등을 이용하는 다양한 방식의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3D 센서는 TOP(Time of Flight), 위상변위(Phase-shift) 및 Online Waveform Analysis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는 레이저 방식 3차원 스캐너, 광 삼각법을 이용하는 레이저 방식 3차원 스캐너, 백색광 혹은 변조광을 이용하는 광학방식 3차원 스캐너, Handheld Real Time 방식의 PHOTO, 광학방식 3차원 스캐너, Pattern Projection 혹은 Line Scanning을 이용하는 광학방식, 레이저 방식 전신 스캐너, 사진 측량(Photogrammetry)을 이용하는 사진방식 스캐너, 키네틱(Kinect Fusion)을 이용하는 실시간(Real Time) 스캐너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송부(130)는 촬영장치(100)가 복수의 배지(10)의 배열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이동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이송부(130)는 예컨대, 촬영장치(100)를 이동하도록 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계통, 이동하는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조향계통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조절부(140)는 카메라부(120)의 식물(p)에 대한 지향각 및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자세조절부(140)는 적어도 하나의 관절(j1, j2)로 이루어진 로봇팔(A)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로봇팔의 끝단에는 카메라부(12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마커(m)는 식물(p)이 배지(10)에 심어진 상태에서, 배지(10)로부터 돌출된 식물(p)의 줄기(20)의 일부인 수직선과, 배지(10)의 상면의 수평선이 결합한 형상 ‘ㅗ’을 이용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마커(m)를 통해 복수의 식물(p)에서 개별 개체를 구분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한다. 제어부(180)는 자세조절부(140)를 제어하여 마커(m)를 기준으로 카메라부(120)가 식물(p)에 대해 기 설정된 지향각 및 거리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나의 식물(p)을 다른 식물과 구분하여 촬영할 수 있다.
센서부(150)는 식물의 생육 환경을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센서부(150)는 식물 주변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계와, 식물 주변의 습도를 측정하기 위한 습도계와, 식물이 받는 광량을 측정하는 조도계를 포함한다. 센서부(150)는 측정된 생육 환경, 즉, 온도, 습도 및 조도를 제어부(180)로 전달한다.
환경제어부(160)는 식물의 생육 환경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온도, 습도 및 조도를 조절한다. 이를 위하여 환경제어부(160)는 시설 원예에 설치된 난방장치, 공조장치, 가습장치, 조명장치 등에 제어명령을 전송하여 온도, 습도 및 조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저장부(170)는 촬영장치(100)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로그램 영역은 촬영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 및 촬영장치(100)을 부팅시키는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어플리케이션을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영역은 촬영장치(100)의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사용자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이다. 또한, 저장부(170)는 촬영장치(100) 사용에 따라 발생되는 각 종 데이터, 예컨대, 저장부(170)는 촬영장치(100)가 촬영한 식물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식물 영상은 컬러(R, G, B) 영상, 초분광 영상 및 열화상 영상을 포함한다. 저장부(170)에 저장되는 각 종 데이터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삭제, 변경, 추가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촬영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촬영장치(100)의 내부 블록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80)는 예컨대,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 CPU),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AP), 마이크로컨트롤러(micro-controller)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저장부(170)에 저장된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를 로드하여 부팅을 수행하고, 어플리케이션을 로드시켜 실행시키며, 필요한 경우, 임시 저장 공간으로 버퍼를 할당할 수 있다. 제어부(180)의 구체적인 동작은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석장치(20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석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석장치(200)는 통신모듈(210), 입력모듈(220), 표시모듈(230), 저장모듈(240) 및 제어모듈(250)을 포함한다.
통신모듈(210)은 촬영장치(100)와 통신을 위한 것으로, 광대역이동통신, 무선근거리통신 및 피어투피어(Peer-to-Peer) 연결 방식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모듈(210)은 광대역이동통신, 무선근거리통신 및 피어투피어(Peer-to-Peer) 연결 방식의 통신 기능이 모두 구현되어 있는 하나의 모듈로 구현되어, 전술한 3가지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될 것이다. 하지만, 통신모듈(210)은 광대역이동통신, 무선근거리통신 및 피어투피어(Peer-to-Peer) 연결 방식 각각의 통신 기능을 별도로 수행하는 복수의 모듈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광대역이동통신은 LTE, LTE-A 표준에 따른 통신, 무선근거리통신은 Wi-Fi(wireless fidelity)를 이용하는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통신, 그리고 피어투피어(Peer-to-Peer) 연결 방식은 블루투스(Bluetooth) 표준에 따른 통신을 예시할 수 있다. 통신모듈(210)은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 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통신모듈(210)은 무선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모듈(25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모듈(250)로부터 전달 받은 데이터를 무선 신호로 변환하여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입력모듈(220)은 분석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키 조작을 입력받고 입력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모듈(250)에 전달한다. 입력모듈(220)은 전원 on/off를 위한 전원 키, 숫자 키, 방향키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분석장치(200)의 일면에 소정의 기능키로 형성될 수 있다. 표시모듈(230)이 터치스크린으로 이루어진 경우, 입력모듈(220)의 각 종 키들의 기능이 표시모듈(230)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터치스크린만으로 모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경우, 입력모듈(220)은 생략될 수도 있다.
표시모듈(230)은 분석장치(200)의 메뉴, 입력된 데이터, 기능 설정 정보 및 기타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한다. 표시모듈(230)은 분석장치(200)의 부팅 화면, 대기 화면, 메뉴 화면 등의 각종 화면을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표시부(110)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능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AMOLED,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표시모듈(230)은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표시모듈(230)은 터치센서를 포함하며, 제어모듈(250)은 터치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터치센서는 정전용량 방식(capacitive overlay), 압력식, 저항막 방식(resistive overlay), 적외선 감지 방식(infrared beam) 등의 터치 감지 센서로 구성되거나, 압력 감지 센서(pressure sensor)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센서들 이외에도 물체의 접촉 또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센서 기기가 본 발명의 터치센서로 이용될 수 있다. 터치센서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감지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모듈(250)로 전송한다. 이러한 감지 신호에는 사용자가 터치를 입력한 좌표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가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을 입력한 경우에 터치센서는 터치 위치 이동 경로의 좌표 데이터를 포함한 감지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모듈(250)로 전송할 수 있다. 특히, 표시모듈(230)이 터치스크린으로 이루어진 경우, 입력모듈(220)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는 표시모듈(230)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저장모듈(240)은 분석장치(200)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로그램 영역은 분석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 및 분석장치(200)을 부팅시키는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영역은 분석장치(200)의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사용자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이다. 저장모듈(240)은 정상적인 생육을 보이는 식물 영상과 비정상적인 생육을 보이는 식물 영상인 대조 영상을 저장한다. 이러한 대조 영상은 컬러 영상, 초분광 영상 및 열화상 영상을 포함한다. 저장모듈(240)은 저장된 식물 영상을 통해 제어모듈(250)이 해당 식물이 정상적인 생육을 보이는지 여부를 비교하여 분석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저장모듈(240)에 저장되는 각 종 데이터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삭제, 변경, 추가될 수 있다.
제어모듈(250)은 분석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분석장치(200)의 내부 블록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모듈(250)은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 CPU),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그래픽 프로세서(GPU: graphic processing unit) 등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모듈(250)의 동작은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또한 도시되진 않았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석장치(200)는 메모리 카드와 같은 외부 저장 매체를 삽입하여 데이터 저장을 가능토록 하는 저장매체 삽입부, 외부 디지털 기기와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연결 단자, 전원 공급 혹은 충전을 위한 단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분석장치(200)는 마이크 및 스피커를 통해 오디오 신호, 음성 신호 등을 입력 혹은 출력하는 오디오 처리 모듈 등의 부가 기능을 갖는 유닛들을 선택적으로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휴대 기기의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상기 언급된 유닛들과 동등한 수준의 유닛이 본 발명에 따른 분석장치(200)에 추가로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은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촬영장치(100)의 시설원예 모니터링을 위한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촬영장치의 시설원예 모니터링을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160)는 S110 단계에서 이송부(130)를 제어하여 하나의 배지(10: culture medium)에 하나의 식물(p)이 심어진 복수의 배지(10)를 따라 촬영장치(100)를 이동시킨다. 이러한 이동 중 제어부(160)는 S120 단계에서 카메라부(120)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을 통해 마커(m)가 인식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마커(m)는 식물(p)이 배지(10)에 심어진 상태에서, 배지(10)로부터 돌출된 식물(p)의 줄기(20)의 일부인 수직선과, 배지(10)의 상면의 수평선이 결합한 형상 ‘ㅗ’을 이용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마커(m)를 통해 복수의 식물에서 개별 객체를 구분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S120 단계의 확인 결과, 마커(m)가 인식되지 않으면, 제어부(160)는 S110 단계로 진행하여 이동을 계속한다. 반면, S120 단계의 확인 결과, 마커(m)가 인식되면, 제어부(160)는 S130 단계로 진행하여 이동을 정지한다.
다음으로, 제어부(160)는 S140 단계에서 자세조절부(140)를 제어하여 마커(m)를 기준으로 카메라부(120)가 해당 식물 개체에 대해 기 설정된 지향각 및 거리가 되도록 한다. 이는 후속 절차에서 카메라부(120)가 복수의 식물(p)을 촬영할 때, 복수의 식물(p) 모두가 동일한 지향각 및 거리에서 촬영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라, 후속 절차에서 복수의 식물(p)의 생장을 비교할 때, 동일한 기준으로 비교할 수 있어, 식물(p)의 생장 분석의 신뢰도가 향상된다.
이어서, 제어부(160)는 S150 단계에서 카메라부(120)를 통해 해당 식물(p)을 촬영하여 식물 영상을 생성한다. 여기서, 식물 영상은 컬러 영상, 초분광 영상 및 열화상 영상을 포함한다. 그런 다음, 제어부(160)는 S160 단계에서 통신부(110)를 통해 컬러 영상, 초분광 영상 및 열화상 영상을 포함하는 식물 영상을 분석장치(200)로 전송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석장치(200)의 시설원예 모니터링을 위한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석장치의 시설원예 모니터링을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석장치의 시설원예 모니터링을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분석장치(200)의 제어모듈(250)은 S210 단계에서 통신모듈(210)을 통해 복수의 식물 영상을 수신한다. 여기서, 식물 영상은 컬러 영상, 초분광 영상 및 열화상 영상을 포함한다.
이어서, 제어모듈(250)은 S220 단계에서 복수의 식물 영상 각각에서 마커(m)를 식별하고, S230 단계에서 식별된 마커(m)를 기준으로 복수의 식물 영상 각각으로부터 기 설정된 크기의 정규화된 식물 영상을 추출한다. 예컨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모듈(250)은 식물 영상(E)에서 마커(m)를 기준으로 소정의 크기를 가지는 정규화된 식물 영상(N)을 추출할 수 있다. 앞서, S140 및 S150 단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식물 영상(E)은 마커(m)를 기준으로 촬영장치(100)의 카메라부(120)가 해당 식물(p)에 대해 기 설정된 지향각 및 거리가 되도록 한 상태에서 촬영되었다. 이에 따라, 식물 영상(E)을 마커(m)를 기준으로 동일한 크기의 정규화된 식물 영상(N)을 생성하는 경우, 모두 동일한 기준에 따라 식물 영상(N)을 분석할 수 있어, 식물(p)의 생장 분석의 신뢰도가 향상된다.
정규화된 복수의 식물 영상(N)이 생성되면, 제어모듈(250)은 S240 단계에서 정규화된 복수의 식물 영상(N)을 기초로 복수의 식물(p)에 대한 분석을 수행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저장모듈(240)은 정상적인 생육을 보이는 식물 영상과 비정상적인 생육을 보이는 식물 영상인 대조 영상을 저장하며, 이러한 대조 영상은 컬러 영상, 초분광 영상 및 열화상 영상을 포함한다. 특히, 이러한 대조 영상 또한 정규화된 식물 영상(N)과 마찬가지로 마커(m)를 기준으로 동일한 거리, 동일한 지향각에서 촬영된 식물 영상으로부터 마커(m)를 기준으로 정규화된 식물 영상(N)과 동일한 크기로 추출된 것이다. 따라서 제어모듈(250)은 기 저장된 컬러 영상, 초분광 영상 및 열화상 영상을 포함하는 대조 영상을 기초로 식물 영상(N)을 비교하여 식물이 정상적인 생육을 보이는지 여부를 분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모듈(250)은 인공신경망(AI: Artificial Intelligence)을 포함하며, 이러한 인공신경망(AI)은 대조 영상을 학습 데이터로 하여 정상 생육을 보이는 식물(p)과 비정상 생육을 보이는 식물(p)을 구분하도록 학습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모듈(250)은 인공신경망(AI)을 이용하여 식물 영상을 통해 해당 식물이 정상 생육을 보이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복수의 식물에 대한 분석이 완료되면, 제어모듈(250)은 정규화된 복수의 식물 영상을 실제 배지의 배치에 따라 병합하여 파노라마 영상(Pa)을 생성할 수 있다. 이어서, 제어모듈(250)은 입력모듈(220)을 통한 사용자의 입력이 있는 경우, 해당 입력에 따라, 파노라마 영상과, 그 파노라마 영상의 복수의 식물 영상 각각에 대응하는 분석 결과를 표시모듈(230)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화면 예를 도 9에 도시하였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모듈(250)은 배지(20)의 배열에 따라 복수의 파라노라마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하나의 배열을 선택하는 경우, 제어모듈(250)은 해당 배열에 대응하는 파노라마 영상(91)과 분석 결과(93)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수단을 통하여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예컨대 기록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와이어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 본 발명을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제시된 권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균등론에 따라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100: 촬영장치 110: 통신부
120: 카메라부 130: 이송부
140: 자세조절부 150: 센서부
160: 환경제어부 170: 저장부
180: 제어부 200: 분석장치
210: 통신모듈 220: 입력모듈
230: 표시모듈 240: 저장모듈
250: 제어모듈

Claims (8)

  1. 시설원예 배지 모니터링을 위한 촬영장치에 있어서,
    데이터 전송을 위한 통신부;
    복수의 배지 각각에 심어진 복수의 식물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부;
    상기 촬영장치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이송부; 및
    상기 이송부를 제어하여 상기 촬영장치를 이동시키며, 상기 이동 중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복수의 식물을 촬영하여 컬러 영상, 초분광 영상 및 열화상 영상을 포함하는 식물 영상을 생성하고, 생성된 식물 영상을 상기 통신부를 통해 분석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시설원예 배지 모니터링을 위한 분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장치는
    상기 카메라부의 상기 식물에 대한 지향각 및 거리를 조절하는 자세조절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중 카메라부를 통해 복수의 식물 중 하나의 식물을 식별할 수 있는 마커를 인식할 때마다,
    상기 자세조절부를 제어하여 상기 마커를 기준으로 상기 카메라부가 상기 식물 개체에 대해 기 설정된 지향각 및 거리가 되도록 하고,
    상기 식물을 촬영하여 컬러 영상, 초분광 영상 및 열화상 영상을 포함하는 식물 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원예 배지 모니터링을 위한 분석장치.
  3. 시설원예 배지 모니터링을 위한 분석장치에 있어서,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표시모듈;
    복수의 식물 영상을 수신하는 통신모듈; 및
    복수의 식물 영상 각각의 마커를 식별하고, 식별된 마커를 기준으로 복수의 식물 영상 각각으로부터 기 설정된 크기의 정규화된 식물 영상을 추출하고, 추출된 정규화된 식물 영상을 병합하여 파노라마 영상을 생성하고, 생성된 파노라마 영상을 상기 표시모듈을 통해 출력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시설원예 배지 모니터링을 위한 분석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장치는
    상기 정규화된 식물 영상과 동일하게 상기 마커를 기준으로 동일한 거리, 동일한 지향각에서 촬영된 식물 영상으로부터 상기 마커를 기준으로 상기 정규화된 식물 영상과 동일한 크기로 추출되어 저장된 대조 영상을 저장하는 저장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정규화된 식물 영상과 상기 대조 영상을 비교하여 식물의 생육을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원예 배지 모니터링을 위한 분석장치.
  5. 촬영장치의 시설원예 배지 모니터링을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촬영장치를 이동시키며, 상기 이동 중 배열된 복수의 배지에 심어진 복수의 식물 각각을 촬영하여 컬러 영상, 초분광 영상 및 열화상 영상을 포함하는 식물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식물 영상을 상기 통신부를 통해 분석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의 시설원예 배지 모니터링을 위한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중 복수의 식물 중 하나의 식물을 식별할 수 있는 마커를 인식할 때마다, 상기 마커를 기준으로 상기 촬영장치의 카메라부가 상기 식물 개체에 대해 기 설정된 지향각 및 거리가 되도록 하고, 상기 식물을 촬영하여 컬러 영상, 초분광 영상 및 열화상 영상을 포함하는 식물 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의 시설원예 배지 모니터링을 위한 방법.
  7. 분석장치의 시설원예 배지 모니터링을 위한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식물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복수의 식물 영상 각각의 마커를 식별하고, 식별된 마커를 기준으로 복수의 식물 영상 각각으로부터 기 설정된 크기로 정규화된 식물 영상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정규화된 식물 영상을 병합하여 파노라마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파노라마 영상을 상기 표시모듈을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석장치의 시설원예 배지 모니터링을 위한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정규화된 식물 영상을 추출하는 단계 후,
    상기 정규화된 식물 영상과 동일하게 상기 마커를 기준으로 동일한 거리, 동일한 지향각에서 촬영된 식물 영상으로부터 상기 마커를 기준으로 상기 정규화된 식물 영상과 동일한 크기로 추출되어 저장된 대조 영상과,
    상기 정규화된 식물 영상을 비교하여 식물의 생육을 분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석장치의 시설원예 배지 모니터링을 위한 방법.
KR1020190079064A 2019-07-02 2019-07-02 시설원예 모니터링을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KR202100039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9064A KR20210003967A (ko) 2019-07-02 2019-07-02 시설원예 모니터링을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9064A KR20210003967A (ko) 2019-07-02 2019-07-02 시설원예 모니터링을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3967A true KR20210003967A (ko) 2021-01-13

Family

ID=74142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9064A KR20210003967A (ko) 2019-07-02 2019-07-02 시설원예 모니터링을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396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15811A1 (ko) * 2021-04-06 2022-10-13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농작물 병충해 자동 감지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4089A (ko) 2013-03-18 2014-09-26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원예시설 감시 제어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4089A (ko) 2013-03-18 2014-09-26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원예시설 감시 제어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15811A1 (ko) * 2021-04-06 2022-10-13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농작물 병충해 자동 감지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04375A1 (en) Generation of digital twins of physical environments
Zhou et al. CropQuant: an automated and scalable field phenotyping platform for crop monitoring and trait measurements to facilitate breeding and digital agriculture
US20130169801A1 (en) Visual Command Processing
JP7300796B2 (ja) 生育状況または病害虫発生状況の予測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252980B2 (en) Cloud services for wearable and snappable devices
JP6960525B2 (ja) 植物健康状態の監視方法及び装置
CN109427056A (zh) 对供数据传输的图像数据进行优化的方法和系统
JP6326009B2 (ja) 無線航空機、位置情報出力方法及び無線航空機用プログラム。
CN109116298B (zh) 一种定位方法、存储介质及定位系统
US10552983B1 (en) Camera calibration
US20170034281A1 (en) Network apparatus, server, and control methods thereof
KR20190063200A (ko) 스마트 팜 운용 시스템
KR20210003967A (ko) 시설원예 모니터링을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WO202102642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localizing devices using network signatures and coverage maps measured by robots
CN111818146A (zh) Soa云雾计算智慧农业数据处理方法及系统
CN105004327A (zh) 一种基于智能终端的植被叶面积指数信息自动测量系统
KR101938046B1 (ko) 식물 생육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180086776A (ko) 태깅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식물 식별 정보를 태깅 및 분석하는 방법, 이를 실행하는 휴대용 스마트 기기 및 이를 포함하는 식물 생육정보 분석 시스템
CN107610260B (zh) 一种基于机器视觉的智能考勤系统及考勤方法
Jagyasi et al. Event based experiential computing in agro-advisory system for rural farmers
KR102532651B1 (ko) 온실 작물 관리 시스템
KR102582588B1 (ko) Ai를 활용한 작물의 엽 생육지수 측정시스템
WO2021062681A1 (zh) 一种自动送餐的方法、装置及机器人
KR102010413B1 (ko) 반려식물 케어에 기반한 커뮤니티 서비스 시스템
KR102281983B1 (ko) 단말기를 이용한 식물과톡 서비스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