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3953A - Ul 스케줄링 및 ul 송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Ul 스케줄링 및 ul 송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3953A
KR20210003953A KR1020207037755A KR20207037755A KR20210003953A KR 20210003953 A KR20210003953 A KR 20210003953A KR 1020207037755 A KR1020207037755 A KR 1020207037755A KR 20207037755 A KR20207037755 A KR 20207037755A KR 20210003953 A KR20210003953 A KR 202100039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heduling
subframes
transmission
subframe
present disclo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7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0725B1 (ko
Inventor
레이 지앙
홍메이 리우
깡 왕
Original Assignee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039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39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07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07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W72/127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15Wireless traffic scheduling for collaboration of different radio technolog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3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3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based on requested quality, e.g. Q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carrier sensing, e.g.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
    • H04W74/0816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carrier sensing, e.g.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 with collision avoid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14Spectrum sharing arrangements between different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UL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UL 송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DL(downlink) 서브프레임들의 수 및 UL(uplink) 서브프레임들의 수에 의거하여 UL 스케줄링을 위한 적어도 2가지 모드들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적어도 2가지 모드들은 상이한 스케줄링 시간 지연들을 표시(indication)한다.

Description

UL 스케줄링 및 UL 송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S AND APPARATUSES FOR PERFORMING UPLINK SCHEDULING AND UL TRANSMISSION}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기술에 관한 것이고, 특히, 업링크(UL)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및 UL 송신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 3GPP 무선 통신 네트워크와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네트워크 사이의 단말기 이동에 필요한 네트워크 구조 및 다양한 기술들을 연동 WLAN이라고 한다. 다중-모드 무선 통신 기술은 동시에 다수의 무선 통신 기술들을 사용하도록 진화해왔다. 동시에 다수의 무선 통신 기술들을 사용하면 단위 시간당 송신 속도가 향상되거나 단말기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무선 통신에서, 스펙트럼은 매우 희소한 자원이다. 면허 대역은, 특정 무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특정 운영자에게 독점적으로 면허가 부여된 주파수 대역을 나타낸다. 반면, 비면허 대역은, 특정 운영자에게 할당되지 않고 미리 정의된 요구 사항을 만족하는 모든 엔티티가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방된 주파수 대역을 나타낸다.
세계 일부 지역에서, 비면허 대역 기술들은 특정 규제, 예컨대 LBT(Listen-Before-Talk), 및 채널 대역폭 점유 요건을 준수할 필요가 있다. LBT는 채널 가용성의 불확실성을 초래한다. 예를 들면, 비면허 대역은 서브프레임 동안 언제든지 사용될 수 있다.
LAA(License Assisted Access)는 이미 비면허 대역을 사용하도록 제안되어 있고 이는 LTE-A(Long Term Evolvement-Advanced)의 기술들 중 하나가 되었다. LTE(Long Term Evolvement) 시스템에서, UL 송신은 eNB(evolved node B)에 의해 제어되고, 즉, UE는 eNB로부터의 UL 그랜트(grant)에 따라 신호를 송신할 것이다. 따라서, UL 데이터 송신과 UL 그랜트 송신 사이에는 시간 지연이 있다. 불확실한 상술한 다운링크(DL) 및 UL 버스트 길이들을 고려할 때, UL 송신을 위한 레거시 방식들이 사용될 경우, UL 송신을 위한 UL 그랜트들을 전송하기에 충분한 DL 서브프레임들이 없을 수도 있다.
본 개시에서,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의 적어도 일부를 완화하거나 적어도 경감시키기 위한 UL 스케줄링 및 UL 송신을 위한 새로운 솔루션이 제공된다.
본 개시의 제1 양태에 따르면, UL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DL(downlink) 서브프레임들의 수 및 UL(uplink) 서브프레임들의 수에 의거하여 UL 스케줄링을 위한 적어도 2가지 모드들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적어도 2가지 모드들은 상이한 스케줄링 시간 지연들을 표시(indication)한다.
본 개시의 제2 양태에 따르면, UL 송신을 수행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UL 스케줄링을 위한 스케줄링 모드에 의거하여 UL 송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스케줄링 모드는 미리 결정된 스케줄링 모드 또는 UL 스케줄링 모드 표시에서 표시된 스케줄링 모드이다.
본 개시의 제3 양태에 따르면, UL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장치가 또한 제공된다. 상기 장치는, DL 서브프레임들의 수 및 UL 서브프레임들의 수에 의거하여 UL 스케줄링을 위한 적어도 2가지 모드들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스케줄링 모드 결정 유닛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적어도 2가지 모드들은 상이한 스케줄링 시간 지연들을 표시한다.
본 개시의 제4 양태에서, UL 송신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장치는, UL 스케줄링을 위한 스케줄링 모드에 의거하여 UL 송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UL 송신 수행 유닛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스케줄링 모드는 미리 결정된 스케줄링 모드 또는 UL 스케줄링 모드 표시에서 표시된 스케줄링 모드이다.
본 개시의 제5 양태에 따르면,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가 구현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가 또한 제공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실행 시, 제1 양태의 임의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으로 장치가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의 제6 양태에 따르면,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가 구현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가 더 제공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실행 시, 제2 양태의 임의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으로 장치가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의 제7 양태에 따르면, 제5 양태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제공된다.
본 개시의 제8 양태에 따르면, 제6 양태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UL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방법(100)의 플로차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DL 버스트 길이가 UL 버스트 길이와 동일할 경우의 예시적 스케줄링 방식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DL 버스트 길이가 UL 버스트 길이보다 긴 경우의 예시적 스케줄링 방식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DL 버스트 길이가 UL 버스트 길이보다 짧은 경우의 예시적 스케줄링 방식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DL 버스트 길이가 UL 버스트 길이보다 짧은 경우의 예시적 스케줄링 방식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DL 버스트 길이가 UL 버스트 길이보다 짧은 경우의 예시적 스케줄링 방식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DL 버스트 길이가 UL 버스트 길이보다 짧은 경우의 예시적 스케줄링 방식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다중-서브프레임 스케줄링이 가능할 경우의 예시적 스케줄링 방식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다중-서브프레임 스케줄링이 가능할 경우의 예시적 스케줄링 방식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다중-서브프레임 스케줄링이 가능할 경우의 예시적 스케줄링 방식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다중-서브프레임 스케줄링이 가능할 경우의 예시적 스케줄링 방식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DL 송신과 UL 송신 사이의 갭을 고려할 경우의 예시적 스케줄링 방식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DL 송신과 UL 송신 사이의 갭을 고려할 경우의 예시적 스케줄링 방식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DL 송신과 UL 송신 사이의 갭을 고려할 경우의 예시적 스케줄링 방식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DL 송신과 UL 송신 사이의 갭을 고려할 경우의 예시적 스케줄링 방식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16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DL 송신과 UL 송신 사이의 갭을 고려할 경우의 예시적 스케줄링 방식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17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DL 송신과 UL 송신 사이의 갭을 고려할 경우의 예시적 스케줄링 방식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18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DL 송신과 UL 송신 사이의 갭을 고려할 경우의 예시적 스케줄링 방식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19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추정된 갭 이전에 채널이 이용 가능할 경우의 예시적 스케줄링 방식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0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추정된 갭 이후에 채널이 이용 가능할 경우의 예시적 스케줄링 방식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UL 송신을 수행하는 방법(2100)의 플로차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UL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장치(2200)의 블록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UL 송신을 수행하는 장치(2300)의 블록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4는 본원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기지국으로서 구현되거나 기지국 내에 포함될 수 있는 UE 및 장치(2320)로서 구현되거나 UE 및 장치(2320)에 포함될 수 있는 장치(2410)의 단순화된 블록도를 더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다른 특징들 및 장점들은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원리를 예로 들어 설명하는 첨부된 도면들과 함께 이해할 경우, 특정 실시예들에 대한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예의 맥락에서 제공되며, 그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실시예들을 통해, 본 개시에서 제공되는 솔루션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실시예들은 통상의 기술자가 본 개시를 더 잘 이해하고 실시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제시된 것일 뿐이며, 본 개시의 범위를 어떤 방식으로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는 블록도, 플로차트 및 다른 도면으로 도시된다. 플로차트에서의 각 블록 또는 블록들은 특정 논리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모듈, 프로그램,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으며, 본 개시에서, 중요치 않은 블록은 점선으로 도시된다. 더욱이, 이 블록들은 방법의 단계들을 수행하기 위한 특정 시퀀스들로 도시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도시된 순서에 따라 반드시 엄격하게 수행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역순으로 또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으며, 이는 각각의 동작의 특성에 따른다. 또한, 플로차트의 블록도들 및/또는 각 블록 및 그 조합은, 특정 기능들/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하드웨어-기반 시스템에 의해 또는 전용 하드웨어와 컴퓨터 명령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원에서 달리 명시적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적인 의미에 따라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 표현(a/an)이나 그/상기 [요소, 디바이스, 구성 요소, 수단, 유닛, 단계 등]"은, 달리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다면, 복수의 그러한 디바이스, 구성 요소, 수단, 유닛, 단계 등을 배제하지 않고, 해당 요소, 디바이스, 구성 요소, 수단, 유닛, 단계의 적어도 하나의 인스턴스를 의미하는 것으로 개방적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원에서 사용되는 부정관사의 "단수표현(a/an)"은 복수의 그러한 단계, 유닛, 모듈, 디바이스, 및 대상 등을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개시의 문맥에서, UE(user equipment)는 단말기, MT(Mobile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PSS(Portable Subscriber Station), MS(Mobile Station), 또는 AT(Access Terminal)를 의미할 수 있으며, UE, 단말기, MT, SS, PSS, MS, 또는 AT의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문맥에서, 용어 "BS"는, 예를 들면, 노드 B(NodeB 또는 NB), evolved NodeB(eNodeB 또는 eNB), RH(radio header), RRH(remote radio head), 릴레이, 또는 펨토(femto), 피코(pico)와 같은 저전력 노드 등을 나타낼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UL 스케줄링 및 UL 송신을 위한 새로운 솔루션에 관한 것이다. 이 솔루션은, 유연한 UL 스케줄링 시간을 지원하도록, eNB와 같은 서빙 노드와 UE와 같은 단말기 디바이스 사이에서 행해질 수 있다. 특히, 서빙 노드는 DL 서브프레임들의 수 및 UL 서브프레임들의 수에 의거하여 UL 스케줄링을 위한 적어도 2가지 모드들을 결정할 수 있고, 여기서 적어도 2가지 모드들은 상이한 스케줄링 시간 지연들을 표시하고, eNB는 선택적으로 UL 스케줄링을 위한 적어도 2가지 모두를 표시하는 UL 스케줄링 모드 표시를 송신할 수 있거나, 또는 대안으로 최소 2가지 모드들이 미리 결정된 모드들로서 설정될 수 있다. 단말기 디바이스는 UL 스케줄링을 위한 스케줄링 모드에 의거하여 UL 송신을 수행할 수 있다. 스케줄링 모드는 UL 스케줄링 모드 표시에서 표시될 수 있다. 또는 대안으로, 스케줄링 모드는 미리 결정된 것일 수 있고, 단말기 디바이스는 미리 결정된 것 및 프레임 구조에 의거하여 스케줄링된 UL 서브프레임들을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상이한 DL 버스트 길이 및 UL 버스트 길이에 대해, 스케줄링 시간 지연은 상이할 수 있다. 동시에, 적어도 2가지 모드들이 하나의 단일 단말기 디바이스 또는 상이한 단말기 디바이스들에 의해 함께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하나의 DL 서브프레임이 다수의 UL 서브프레임들에 대한 하나 이상의 UL 그랜트들을 전송하는데 사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이한 버스트 길이들에 대해, UL 서브프레임은 유연한 UL 스케줄링 방식으로 스케줄링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UL 스케줄링은 업링크 셀룰러 스케줄링일 수 있고, UL 송신은 업링크 셀룰러 송신일 수 있다. 업링크 셀룰러 송신에서, 단말기 디바이스는, 단말기, MT, SS, PSS, MS, 또는 AT 등의 UE를 포함할 수 있고, 한편 서빙 노드는 노드 B(NodeB 또는 NB) 또는 evolved NodeB(eNodeB 또는 eNB) 등의 BS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 또는 LTE-A(Long Term Evolution Advanced) 시스템을 포함하는(단, 이에 한정되지는 않음) 다양한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통신의 급속한 발전을 고려할 때,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는 미래형 무선 통신 기술들 및 시스템들도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를 상술한 시스템에만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24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그러나, 이 예시적 실시예들은 단지 예시의 목적으로 제시되며, 본 개시는 예시적 실시예들을 참조해서 설명된 특정 세부 사항에 제한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우선,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MCOT(Maximum Channel Occupancy Time)는, DL 및 UL 버스트 모두에 적용될 수 있는 채널 점유 시간에 대한 제한임에 유의한다. 즉, DL 버스트 및 UL 버스트의 전체 길이는 MCOT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또는 대안으로, MCOT는 DL 버스트 및 UL 버스트에 개별적으로 적용될 수도 있고, 즉, MCOT는 DL 버스트 및 UL 버스트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제한일 수 있고, DL 버스트 및 UL 버스트 중 어느 것도 MCOT 값을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Rel. 13에 있어서, MCOT의 최대값은 10ms이며, 이하에서는 일례로서 취할 것이지만, 본 개시에서는 지속 기간이 이에 한정되지 않고 길거나 짧을 수 있고, 또한 MCOT는, 허용 송신 기간, 예상 송신 기간, 가능한 송신 기간 등과 같은 다른 상이한 표현으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이하의 문맥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DL 버스트에는 N개의 DL 서브프레임들이 있고 UL 버스트에는 M개의 UL 서브프레임들이 있다고 상정하며, 이는, N은 DL 버스트에서의 DL 서브프레임들의 총 수이고 M은 UL 버스트에서의 UL 서브프레임들의 총 수임을 의미한다. 또한, 본 개시에서, ni는 UL 그랜트들을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DL 서브프레임들의 세트에서 DL 서브프레임의 인덱스를 표시하는데 사용되고, ni=0, 1, ..., N'-1이고, 여기서 N'은 DL 서브프레임들의 세트에서의 서브프레임들의 수를 의미하고, 1≤N'≤N이고; mi는 UL 버스트에서의 UL 서브프레임의 인덱스이고, mi=0, 1, ...M-1이고; m'=mod(M,N')이며, 이는 M을 N'로 나눈 나머지를 의미한다. 이들 모든 표지(sign)들은 본 개시 전반에 걸쳐 사용될 것이며,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위에 기술된 의미를 갖는다.
다음으로, 우선,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UL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방법(100)의 플로차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1을 참조할 것이다. 방법(100)은, eNB 등의 서빙 노드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디바이스에서 또는 그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방법(100)은 단계 110에서 개시되어, UL 스케줄링을 위한 적어도 2가지 모드들이 DL 서브프레임들의 수 및 UL 서브프레임들의 수에 의거하여 결정되고, 여기서 적어도 2가지 모드들은 상이한 스케줄링 시간 지연들을 표시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DL 버스트 길이가 UL 버스트 길이 이상인 경우, 레거시 스케줄링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제안되고(스케줄링 시간은 n+k이고, 여기서 n은 시스템 서브프레임 번호이고, k는 UL 그랜트와 UL 송신 사이의 요구되는 시간 지연임), 즉 레거시 스케줄링 방식을 적용할 수 있으며; 한편, DL 버스트 길이가 UL 버스트 길이보다 짧은 경우, 하나의 DL 서브프레임을 사용하여 다수의 UL 서브프레임들에 대한 하나 이상의 UL 그랜트들을 전송하는 것이 제안되고, 즉 하나의 DL 서브프레임이 다수의 서브프레임을 스케줄링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DL 버스트 길이가 UL 버스트 길이 이상일 경우, UL 서브프레임들보다 많은 DL 서브프레임들을 갖는 서브프레임 구성이 사용될 것이고, 이에 따라 UL 서브프레임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UL 그랜트들을 전송하는데 충분한 DL 서브프레임들이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경우, LTE 시스템에서 기존의 스케줄링 방식들을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즉, DL 버스트 길이가 UL 버스트 길이 이상이면, 스케줄링 시간 n+k를 갖는 레거시 스케줄링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설명을 목적으로, DL 버스트 길이가 UL 버스트 길이 이상인 경우의 예시적 스케줄링 방식들을 설명하기 위해 도 2 및 도 3을 참조한다. 도 2 및 도 3에서, MCOT는 DL 및 UL 모두에 적용되며, 이는 DL 버스트 및 UL 버스트의 전체 길이가 MCOT를 초과하지 않아야 함을 의미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DL 버스트 길이가 UL 버스트 길이와 동일한 경우의 예시적 스케줄링 방식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5개의 DL 서브프레임들 및 5개의 UL 서브프레임들이 있으므로(즉, DL 버스트 길이는 UL 버스트 길이와 동일함), 각 DL 서브프레임을 사용해서,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한 하나의 UL 서브프레임을 DL 서브프레임에서 반송되는 UL 그랜트에 의해 스케줄링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UL 그랜트와 UL 송신 사이에 요구되는 시간 지연 k는 5일 수 있고, 스케줄링 모드는 "n+k"여서, UL 서브프레임 각각을 스케줄링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DL 버스트 길이가 UL 버스트 길이보다 긴 경우의 다른 예시적 스케줄링 모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6개의 DL 서브프레임들 및 3개의 UL 서브프레임들이 있으므로(즉, DL 버스트 길이가 UL 버스트 길이보다 김), UL 서브프레임들을 스케줄링하는데 요구되는 것보다 많은 DL 서브프레임들이 있다. 이러한 경우, 요구되는 시간 지연 k는 4로서 설정될 수 있고 스케줄링 모드는 여전히 "n+k"여서, 가능한 한 많이 스케줄링 시간 지연을 줄이도록 UL 서브프레임들을 그에 가장 가까운 DL 서브프레임들에 의해 스케줄링할 수 있다. 도 3에서, 마지막 3개의 DL 서브프레임들이 UL 서브프레임들을 스케줄링하는데 사용된다.
DL 송신과 UL 송신 사이의 갭(또는 DL 버스트와 UL 버스트 사이의 갭)은 가변적이며, 이는 사용되는 LBT 방식에 의존함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면, 도 2에서, 갭은 하나의 서브프레임보다 훨씬 작은 짧은 갭으로 나타나 있지만, 도 3에서는 DL 송신과 UL 송신 사이의 갭이 하나의 서브프레임보다 길게 나타나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경우에서는, 갭이,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난 갭과 같이 작으면, k는, 보다 작은 것, 예를 들면 3으로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을 참조해서 설명된 스케줄링 방식들은, 상이한 MCOT 및/또는 상이한 k값들을 갖는 다른 경우들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하고, 통상의 기술자는 본원에서 제공되는 교시로부터 스케줄링 방식들에 대한 변경을 달성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또한, 요구되는 시간 지연 k는 고정값 대신에 가변값일 수도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기존의 LTE 시스템에서의 4의 고정값과는 달리, k의 값은 4이거나, 4보다 작거나 클 수 있다. 즉, 요구되는 시간 지연 k, 이에 따라 스케줄링 지연 시간은 상이한 DL/UL 구성 패턴들에 대해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요구되는 시간 지연 k는, 사용되는 서브프레임 구조, 특히 다운링크 DL 서브프레임들의 수 및 UL 서브프레임들의 수에 의거하여 결정되는 가변값일 수 있다.
LTE TDD 시스템을 예로 들면, 업링크/다운링크 UL/DL 구성들의 7가지 상이한 서브프레임 구조들 또는 패턴들, 즉 구성 0 내지 6이 있다. 각각의 구성 패턴마다, UL 서브프레임들에 대한 DL 서브프레임들의 비율이 상이하고, 어느 것의 구성 패턴이 데이터 송신에서 사용될 것인지를 DL/UL 트래픽 조건에 의거하여 결정해야 한다. 특정 구성 패턴이 선택될 경우에, 요구되는 시간 지연 k는 그에 의거하여 설정될 수 있고, 이에 따라 k값은 고정되지 않고, 사용되는 서브프레임 구성 패턴에 의거하여, 또는 추가적으로, 갭을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경우 DL 그랜트와 UL 송신 사이의 갭에 의거하여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도 1의 단계 12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요구되는 시간 지연을 표시하도록 요구되는 시간 지연 표시가 단말기 디바이스에 송신될 수 있다. 요구되는 시간 지연 표시는 주기적으로 송신되거나 k값이 변경된 경우에만 송신될 수 있다. 요구되는 시간 지연은, 예를 들면 RRC 신호 또는 DCI 포맷의 비트를 사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송신될 수 있다.
변수 k가 본원에서 도 2 및 3을 참조해서 기술되었지만, 다른 스케줄링 방식들에는 적용할 수 없음을 의미하지 않고, 그 대신에, 이는 본 개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임의의 스케줄링 방식들, 예를 들면 도 4 내지 도 20을 참조해서 설명된 스케줄링 방식들과 함께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한편, DL 버스트 길이가 UL 버스트 길이보다 짧으면, 하나의 DL 서브프레임이, 다수의 UL 서브프레임들에 대해 하나 이상의 UL 그랜트를 전송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즉, 다수의 UL 서브프레임들이 상이한 단말기 디바이스들에 대해 스케줄링되거나 하나의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스케줄링될 수 있다. 즉, 결정된 스케줄링 모드들은 상이한 단말기 디바이스들에 의해 또는 하나의 단일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다수의 UL 서브프레임들을 스케줄링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DL 서브프레임들이 충분하지 않더라도, DL 서브프레임들을 통해 모든 UL 서브프레임들을 여전히 스케줄링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UL 스케줄링을 위한 적어도 2가지 모드들은 상이한 스케줄링 시간 지연들을 표시하고, DL 서브프레임들의 수 및 UL 서브프레임들의 수에 의거하여 결정될 수 있다. 특히, 상이한 스케줄링 시간 지연들은, 적어도 UL 그랜트와 UL 송신 사이의 요구되는 시간 지연 k에 의거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UL 송신에서 서브프레임들이 가능한 한 많이 스케줄링되도록, 다수의 스케줄링 모드들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이한 스케줄링 지연 시간들은, UL 그랜트와 UL 송신 사이의 요구되는 시간 지연; 요구되는 시간 지연의 배수; 요구되는 시간 지연 및 미리 결정된 확장값; 요구되는 시간 지연의 다른 배수; 요구되는 시간 지연의 배수 및 미리 결정된 확장 시간값; 및 요구되는 시간 지연 및 2개 이상의 가변 확장값들을 포함하는 시간 지연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단계 130에서, 선택적으로, UL 스케줄링을 위한 적어도 2가지 모드들을 표시하도록, UL 스케줄링 모드 표시가 단말기 디바이스에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스케줄링 모드가 미리 결정된 것들로서 결정되면, 단말기 디바이스는 프레임 구조 및 미리 결정된 모드들에 의거하여 스케줄링되는 UL 서브프레임들을 추정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모드 표시가 필요하지 않다.
UL 스케줄링 모드 표시는 임의의 적합한 방식으로 송신될 수 있다.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 포맷의 UL 인덱스, 예를 들면, DCI 포맷0/4의 UL 인덱스를 재사용함으로써 송신될 수 있다. 예를 들면, DCI 포맷의 "MSB=1" 및 "LSB=0"이 스케줄링 모드 "n+k"를 표시하는데 사용되었고, 이제 2비트들이 재사용될 수 있다. 또한, DCI 포맷의 추가 비트들을 사용하여 송신할 수도 있다.
예시를 목적으로, 도 4 내지 도 11을 참조해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예시적 스케줄링 방식들을 설명하고, 여기서 MCOT는 DL 및 UL 모두에 적용되며, 이는, DL 버스트 및 UL 버스트의 전체 길이가 MCOT를 초과하지 않아야 함을 의미한다. 이들 도면에서, 도 4 내지 도 7은 상이한 단말기 디바이스들에 의해 상이한 스케줄링 모드들이 사용될 수 있는 예시적 스케줄링 방식을 설명하고, 도 8 내지 도 11은 다중-서브프레임 스케줄링을 지원하는 예시적 스케줄링 방식들을 설명하고, 즉 하나의 단일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상이한 스케줄링 모드들이 사용될 수 있다. 이들 도면에서, DL 송신과 UL 송신 사이의 짧은 갭은 도시를 단순화하도록 나타나 있지만,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우선,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해서, 상이한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상이한 스케줄링 모드들이 사용되는 스케줄링 방식들을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DL 버스트 길이가 UL 버스트 길이보다 짧은 경우의 예시적 스케줄링 방식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DL 버스트에는 4개의 DL 서브프레임들이 존재하고, UL 버스트에는 6개의 UL 서브프레임들이 존재하며, 여기서 MCOT=10 및 k=4이다. 이러한 경우에, 모든 DL 서브프레임들은, 모든 UL 서브프레임들이 스케줄링될 수 있도록 UL 그랜트들을 송신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즉 N'=N=4이다. 스케줄링 방식에는, 2가지 스케줄링 모드들, 즉 "n+k" 및 "n+2k"가 있으며, 여기서 제1 스케줄링 지연 시간은 요구되는 시간 지연 k이고 다른 스케줄링 지연 시간은 요구되는 시간 지연 k의 배수이다. 예를 들면, 스케줄링 모드 "n+k"는 제1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고 "MSB=1, LSB=0"으로 표시될 수 있고, 스케줄링 모드 "n+2k"는 제2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고 "MSB=0, LSB=1"로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이 스케줄링 방식에서, 제1 N' UL 서브프레임들에 대해서는, 스케줄링 타이밍은 n+k이고, 즉 서브프레임 0, 1, 2, 3은 서브프레임 4, 5, 6 및 7에 대한 UL 그랜트를 전송하는데 사용되고, 나머지 M-N' 또는 m'(Mod(M,N')) UL 서브프레임들에 대해서는, 스케줄링 타이밍은 n+2k이고, 즉 서브프레임 0 및 1은 서브프레임 8 및 9 각각에 대한 UL 그랜트를 전송하는데 사용된다.
본 개시 전반에 걸쳐, 스케줄링 모드들은 각각이 특정 표시자를 가지는 한 임의의 상이한 표시자들로 표시되어, 상이한 단말기 디바이스들은 동일한 스케줄링 모드들 또는 타이밍들을 사용하지 않을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은 스케줄링 방식에 대해, 제2 스케줄링 모드는 제1 스케줄링 모드에 대해 사용되는 것과 다른 한, "MSB=1, LSB=1", "MSB=0, LSB=0" 등의 임의의 표시자에 의해 표시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DL 버스트 길이가 UL 버스트 길이보다 짧은 경우의 예시적 스케줄링 방식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5를 참조한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DL 버스트에는 4개의 DL 서브프레임들이 있고, UL 버스트에는 6개의 UL 서브프레임들이 있으며, 여기서 MCOT=10 및 k=4이고, 이는 도 4와 마찬가지이다. 도 5에 도시된 스케줄링 방식에서는, 또한 2가지 스케줄링 모드, 즉 "n+k" 및 "n+k+m'"가 있고, 여기서 스케줄링 지연 시간은 요구되는 시간 지연 k이고 다른 스케줄링 지연 시간은 요구되는 시간 지연 k 및 미리 결정된 확장값 m'이다. 따라서, 도 5의 스케줄링 방식은, 제2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나머지 M-N' 또는 m' UL 서브프레임들을 스케줄링하는데, n+2k 대신, 제2 스케줄링 모드 n+k+m'가 사용될 것이라는 점에서 도 4의 스케줄링 방식과 구별된다. 이와 같이, 이 스케줄링 방식에서, 서브프레임 0 및 1이 아닌 서브프레임 2 및 3이 서브프레임 8 및 9(나머지 2개의 UL 서브프레임들)에 대한 UL 그랜트들을 전송하는데 사용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이 스케줄링 방식에서,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처음 2개의 DL 서브프레임들을 사용하는 대신, UL 서브프레임에 가장 가까운 2개의 DL 서브프레임이, 나머지 2개의 서브프레임들에 대한 UL 그랜트들을 전송하는데 사용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스케줄링 모드 n+2k가 사용될 때, 이는 또한, 스케줄링 모드 n+k+m'로 대체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DL 버스트 길이가 UL 버스트 길이보다 짧은 경우의 예시적 스케줄링 방식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DL 버스트에는 3개의 DL 서브프레임들이 존재하고, UL 버스트에는 7개의 UL 서브프레임들이 존재하며, MCOT=10, k=3이다. 이러한 경우에, 모든 DL 서브프레임들은 모든 UL 서브프레임들이 스케줄링될 수 있도록 UL 그랜트들을 전송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즉 N'=N=3이다. 이 스케줄링 방식에는, 3가지 스케줄링 모드들, 즉 "n+k", "n+2k" 및 "n+3k"가 있으며, 제1 스케줄링 지연 시간은 요구되는 시간 지연 k이고, 제2 스케줄링 지연 시간은 요구되는 시간 지연의 배수(2k)이고, 제3 스케줄링 지연 시간은 요구되는 시간 지연의 또 다른 배수(3k)이다. 따라서, 도 4에서 사용된 2가지 스케줄링 모드들로 스케줄링된 서브프레임들에 더해서, 나머지 m'(mod(M,N')) 서브프레임들은 제3 스케줄링 모드 n+3k로 더 스케줄링될 수 있다. 스케줄링 모드 "n+3k"는 제3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될 수 있고 예를 들면 "MSB=1, LSB=1"로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이 스케줄링 방식에서, 제1 N' UL 서브프레임들에 대해, 스케줄링은 n+k이고, 즉, 서브프레임 0, 1, 2는 서브프레임 3, 4, 5에 대한 UL 그랜트들을 전송하는데 사용되며; 제2 N' UL 서브프레임들에 대해, 스케줄링 타이밍은 n+2k이고; 즉 서브프레임 0, 1, 2는 서브프레임 6, 7, 8에 대한 UL 그랜트들을 전송하는데 사용되고; 마지막 m' UL 서브프레임들에 대해, 스케줄링 타이밍은 n+3k이고, 즉 서브프레임 0은 서브프레임 9에 대한 UL 그랜트를 전송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도 7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DL 버스트 길이가 UL 버스트 길이보다 짧은 경우의 예시적 스케줄링 방식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DL 버스트에는 3개의 DL 서브프레임들이 있고, UL 버스트에는 7개의 UL 서브프레임들이 있으며, MCOT=10 및 k=3이고, 이는 도 6과 마찬가지이다. 도 7에 도시된 스케줄링 방식에서, 또한 3가지 스케줄링 모드들, 즉 "n+k", "n+2k" 및 "n+2k+m'"가 있으며, 여기서 제1 스케줄링 지연 시간은 요구되는 시간 지연 k이고, 제2 스케줄링 지연 시간은 요구되는 시간 지연의 배수이고, 제3 스케줄링 지연 시간은 요구되는 시간 지연의 배수 및 미리 결정된 확장 시간값 m'이다. 따라서, 도 7의 스케줄링 방식은, 나머지 m' UL 서브프레임들을 스케줄링하는데 제3 스케줄링 모드 n+2k+m'가 사용될 것이라는 점에서 도 6의 스케줄링 방식과 구별된다. 이렇게, 이 스케줄링 방식에서, 서브프레임 2는 서브프레임 9(나머지 하나의 UL 서브프레임)에 대한 UL 그랜트를 전송하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이 스케줄링 방식에서, 도 6에 나타난 제1 DL 서브프레임을 사용하는 대신, UL 서브프레임들에 가장 가까운 DL 서브프레임이 나머지 m' 서브프레임에 대한 UL 그랜트를 전송하는데 사용될 것이다. 따라서, 도 5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스케줄링 모드 n+3k가 사용될 경우, 스케줄링 모드 n+2k+m'으로 대체될 수도 있고, 마찬가지로 스케줄링 모드 n+4k가 n+3k+m'로 대체 등 될 수 있다.
이하, 도 8 내지 도 11을 더 참조해서, 다중-서브프레임 스케줄링을 지원하는 예시적 스케줄링 방식들을 설명한다. 여기서, 다중-서브프레임 스케줄링은, 하나의 UL 그랜트가 다수의 UL 서브프레임들을 스케줄링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스케줄링 방식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러한 의미에서,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해서 설명하는 스케줄링 방식은 다중-서브프레임 스케줄링에 속하지 않으며, 이는, 이들 스케줄링 방식들에서, 상이한 스케줄링 모드들이 상이한 단말기 디바이스들에 의해 상이한 UL 그랜트들을 이용하여 사용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해서 설명되는 이들 스케줄링 방식들은, 다중-서브프레임 스케줄링이 보다 일반적으로 정의될 경우, 다중-서브프레임 스케줄링으로서 간주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이는, 하나의 DL 서브프레임이 하나 이상의 UL 그랜트들을 이용하여 다수의 UL 서브프레임들을 스케줄링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스케줄링 방식으로서 정의될 수 있고, 이러한 경우에,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해서 설명되는 이들 스케줄링 방식들은 다중-서브프레임 스케줄링에 속할 것이다. 따라서,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해서 설명된 스케줄링 방식들은 일부 실시예들에서 다중-서브프레임 스케줄링에 속하지 않는 것으로 설명되지만,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이는 다중-서브프레임 스케줄링의 의미가 확장되면 바뀔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다중-서브프레임이 가능한 경우의 예시적 스케줄링 방식의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DL 버스트에는 4개의 DL 서브프레임들이 있고, UL 버스트에는 6개의 UL 서브프레임들이 있으며, MCOT=10 및 k=4이다. 이러한 경우에, 모든 DL 서브프레임들은 모든 UL 서브프레임들이 스케줄링될 수 있도록, UL 그랜트들을 전송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즉 N'=N=4이다. 스케줄링 방식에는, 2가지 스케줄링 모드들, 즉 "n+k" 및 "n+2k"가 있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달리, 예를 들면, 2가지 스케줄링 모드들 "n+k" 및 "n+2k"가 하나의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고 "MSB=1, LSB=0"으로 표시될 수 있는 한편, 스케줄링 모드 "n+k"가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고 "MSB=0, LSB=1"로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표시자 10(MSB=1, LSB=0)의 수신에 응답해서, 단말기 디바이스는 양쪽 서브프레임 n+k 및 n+2k에서 대응하는 PUSCH 송신을 조정할 것이고, 즉 서브프레임 0은 양쪽 서브프레임 4 및 8에 대한 UL 그랜트를 전송하는데 사용되고 서브프레임 1은 양쪽 서브프레임 5 및 9에 대한 UL 그랜트를 전송하는데 사용되고; 표시자 01(MSB=0, LSB=1)의 수신에 응답해서, 단말기 디바이스는 서브프레임 n+k에서 대응하는 PUSCH 송신을 조정하고, 즉, 서브프레임 2는 서브프레임 6에 대한 UL 그랜트를 전송하는데 사용되고, 서브프레임 3은 서브프레임 7에 대한 UL 그랜트를 전송하는데 사용된다.
도 9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다중-서브프레임 스케줄링이 가능한 경우의 예시적 스케줄링 방식의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DL 버스트에는 3개의 DL 서브프레임들이 있고, UL 버스트에는 7개의 UL 서브프레임들이 존재하며, MCOT=10 및 k=3이다. 이러한 경우에, 모든 DL 서브프레임들은, 모든 UL 서브프레임들이 스케줄링될 수 있도록 UL 그랜트들을 송신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즉 N'=N=3이다. 스케줄링 방식에는, 3가지 스케줄링 모드들, 즉 "n+k" 및 "n+2k" 및 "n+3k"가 있다.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된 것과 달리, 3가지 스케줄링 모드들 "n+k", "n+2k" 및 "n+3k"는 하나의 단일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고 "MSB=1, LSB=1"로 표시될 수 있고, 스케줄링 모드 "n+k" 및 "n+2k"는 하나의 단일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고 "MSB=1, LSB=0"으로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표시자 11(MSB=1, LSB=1)의 수신에 응답해서, 단말기 디바이스는 서브프레임 n+k, n+2k 및 n+3k 모두에서 대응하는 PUSCH 송신을 조정할 것이고, 즉 서브프레임 0은 서브프레임 3, 6, 9 모두에 대한 UL 그랜트를 전송하는데 사용되고; 표시자 10(MSB=1, LSB=0)의 수신에 응답해서, 단말기 디바이스는 양쪽 서브프레임들 n+k 및 n+2k에서 대응하는 PUSCH 송신을 조정할 것이고, 즉 서브프레임 1은 서브프레임 4 및 7에 대한 UL 그랜트를 전송하는데 사용되고, 서브프레임 2는 서브프레임 5 및 8에 대한 UL 그랜트를 전송하는데 사용된다.
도 10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다중-서브프레임 스케줄링이 가능한 경우의 예시적 스케줄링 방식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DL 버스트에는 3개의 DL 서브프레임들이 존재하고, UL 버스트에는 7개의 UL 서브프레임들이 존재하며, MCOT=10 및 k=3이다. 이러한 경우에, 모든 DL 서브프레임들은, 모든 UL 서브프레임들이 스케줄링될 수 있도록, UL 그랜트들을 전송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즉 N'=N=3이다. 스케줄링 방식에서, 요구되는 시간 지연 및 2개 이상의 가변 확장값들을 포함하는 시간 지연들의 조합이 있고, 환언하면, 스케줄링 모드들의 조합이 있다.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스케줄링 모드들은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n+k+2ni+k'
여기서, k'=0, 1,..., floor(M/N')이다. floor(M/N')는 M을 N'로 나눈 결과값을 잘라버리는(rounding down) 연산, 즉 결과값의 소수 부분을 무시해서 정수를 얻는 연산을 의미한다.
따라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케줄링 방식에서, 스케줄링 모드들은 n+k+2ni, n+k+2ni+1,... n+k+2ni+floor(M/N')를 포함하며, 이는, 각각의 DL 서브프레임이 ceil(M/N') 연속 UL 서브프레임들에 대한 UL 그랜트를 전송하는데 사용될 것임을 의미한다. ceil(M/N')은 M을 N'로 나눈 결과값을 잘라올리는(rounding up) 연산, 즉 결과값의 소수(0을 포함하지 않음)를 1로 취해서 정수를 얻는 연산을 의미한다. 결과값의 소수가 0이 아닌 경우, ceil(M/N')는 floor(M/N')+1이 될 것임을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0에 도시된 스케줄링 방식에서, ceil(M/N')이 3이기 때문에 3가지 다른 스케줄링 모드들이 있다. 특히, 스케줄링 방식에서, 서브프레임 0은 서브프레임 3, 4, 5에 대한 UL 그랜트를 전송하는데 사용되고; 서브프레임 1은 서브프레임 6, 7, 8에 대한 UL 그랜트를 전송하는데 사용되고; 서브프레임 2는 서브프레임 9에 대한 UL 그랜트를 전송하는데 사용된다.
여기서, "floor(M/N')" 및 "ceil(M/N')"에서 N'를 사용하지만, k는 일반적으로 N'와 동일하므로 N'는 k로도 대체될 수 있고, 이것은 또한 이하 본원에서 설명되는 임의의 N'에도 적용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
도 11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다중-서브프레임 스케줄링이 가능할 경우의 예시적 스케줄링 방식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0에 도시된 스케줄링 방식과는 달리, 도 11에서, 스케줄링 모드들 및 다른 스케줄링 모드의 조합을 사용하며, 여기서 스케줄링 모드들의 조합은 floor(M/N') 스케줄링 모드들을 포함하며,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n+k+ni+k"
여기서, k"=0, 1,..., floor(M/N')-1이다. 나머지 하나는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n+N'*floor(M/N')+m'
따라서, 이 스케줄링 방식에서, 스케줄링 모드들은 n+k+ni, n+k+ni+1,... n+k+ni+floor(M/N')-1, 및 n+k*floor(M/N')+m'를 포함한다. 이는, 각각의 DL 서브프레임이 floor(M/N') 연속 UL 서브프레임들에 대한 UL 그랜트를 전송하는데 사용될 것이며, 나머지 모드 m' (mod(M/N')) UL 서브프레임들은 마지막 m' mod(M/N')) DL 서브프레임들에 의해 스케줄링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스케줄링 방식에서, 서브프레임 0은 서브프레임 3 및 4에 대한 UL 그랜트를 전송하는데 사용되고; 서브프레임 1은 서브프레임 5, 6에 대한 UL 그랜트를 전송하는데 사용되고; 서브프레임 2는 서브프레임 7 및 8 및 나머지 서브프레임 9에 대한 UL 그랜트를 전송하는데 사용된다. 제1 m' (mod(M/N')) DL 서브프레임들을 사용하여 나머지 모드 m' (mod(M/N')) UL 서브프레임들에 대한 UL 그랜트들을 전송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해서 설명된 상이한 스케줄링 모드들이 하나의 단일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될 수 있고, 다수의 단말기 디바이스들에 의해 사용될 수도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환언하면, 상이한 스케줄링 모드들이 상이한 단말기 디바이스들에 의해 사용되는 도 4 내지 도 7에 설명된 스케줄링 방식들과는 달리, 도 8 내지 11에 나타난 스케줄링 모드들은 그에 제한된다. 즉, 스케줄링 방식은, UL 서브프레임들이 가능한 한 많이 스케줄링될 수 있는 한, 하나의 단일 단말기 디바이스 및/또는 다수의 단말기 디바이스들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스케줄링 방식들로부터, 일반적으로 상이한 스케줄링 타이밍을 표시하도록 스케줄링 모드 표시를 위해 2비트들이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DCI 포맷 0/4의 UL 인덱스를 재사용하거나 2개의 추가 비트들을 도입해서 구현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해서 설명된 스케줄링 방식들에 있어서, MSB=1이고, LSB=0은, 현재의 통신에서 지원되는 'n+k'를 표시하는데 이미 사용되어 있으므로 최소로 변화할 것이지만, DCI 포맷의 다른 비트들이 재사용될 수도 있거나, 새롭게 도입된 비트들이 스케줄링 모드들을 위한 표시자로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해서 설명된 스케줄링 방식들에서, 2개의 비트들의 다른 조합들, 예를 들면, n+k에 대한 표시자 00, n+2k에 대한 표시자 01, n+3k에 대한 표시자 10, n+4k에 대한 표시자 11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마지막 mod(M,N') UL 서브프레임들이 마지막 mod(M,N') DL 서브 프레임들에 의해 스케줄링되면, 그것을 표시하도록 조합에서 사용 가능한 표시자들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다른 조합들도 가능하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해서 설명된 스케줄링 방식들에 있어서, 표시자 01(또는 00)이 스케줄링 타이밍 n+k를 표시하고; 표시자 10(또는 01)이 n+k 및 n+2k를 표시하고, 표시자 11(또는 10)이 n+k, n+2k 및 n+3k를 표시하도록 2비트들이 재정의될 수 있다. 임의의 다른 조합들도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해서 설명되는 스케줄링 방식들에 대해, n+k+2ni+k'에 대해 특정 표시가 필요하지 않지만, n+N'*floor(M/N')+m'를 사용하려면, n+k+ni+k"와 n+N'*floor(M/N')+m'를 구별하는 표시자가 필요하다. 예를 들면, 표시자 10은 n+k+ni+k'를 표시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표시자 01은 n+N'*floor(M/N')+m'를 표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스케줄링 방식은 프레임 구조(서브프레임 구성 패턴)에 특정될 수 있다. 따라서, 프레임 구조가 고정되면, 스케줄링 방식 또한 고정된다. 이러한 경우에, 단말기 디바이스는 스스로 스케줄링된 UL 서브프레임들을 추정할 수 있으며, 어떠한 표시도 필요하지 않다.
이상에서는, DL 버스트와 UL 버스트의 총 수에 대해 MCOT를 적용하고 DL 송신과 UL 송신 사이의 갭이 짧은 조건 하에서 스케줄링 방식들을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DL 버스트 및 UL 버스트는 개별적으로 송신될 수 있고 각각의 버스트는 그 자신의 MCOT를 가질 수 있다. 이는, MCOT가 DL 버스트 및 UL 버스트에 개별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는 것, 즉 MCOT가 DL 버스트 및 UL 버스트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제한일 수 있고, 또한 DL 버스트 및 UL 버스트는 모두 MCOT 값을 초과하지 말아야 함을 의미한다. 또한, DL 송신과 UL 송신 사이의 갭은 가변적이고, 사용되는 LBT 방식에 의존함을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갭은 하나의 서브프레임보다 짧을 수 있고, 채널이 다른 MCOT 시간 동안 채널을 사용할 수 있는 노드들 또는 다른 RAT(Radio Access Technologies)에 의해 점유될 경우, 몇몇 서브프레임들 동안 지속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서빙 노드는 DL 송신과 UL 송신 사이의 갭을 추정할 수 있고, UL 스케줄링을 위한 적어도 2가지 모드들이 추정된 갭에 더 의거할 수 있다. 갭은 다양한 방식으로, 예를 들면 채널 점유 상태에 의거하여 추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력 CCA 또는 eCCA의 기간을 참조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갭은 스케줄링 모드를 결정하는데 고려될 수 있고, 예를 들면, UL 스케줄링을 위한 적어도 2가지 모드들은, 요구되는 시간 지연에 갭 내의 서브프레임들의 수를 더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갭 내의 서브프레임들의 수가 요구되는 시간 지연보다 작은 경우, 모든 UL 서브프레임들을 스케줄링하는데 최신 Q의 DL 서브프레임들을 사용함으로써 UL 스케줄링을 위한 적어도 2가지 모드들이 결정될 수 있으며, 여기서 Q는 갭 내의 서브프레임들의 수와 요구되는 시간 지연 사이의 차이이다. 본 개시의 일부 다른 실시예들에서, UL 스케줄링을 위한 적어도 2가지 모드들이, 모든 UL 서브프레임들을 스케줄링하는데 마지막 DL 서브프레임을 사용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이하, 도 12 내지 도 18을 참조해서 UL 스케줄링을 위한 모드들이 추정된 갭에 더 의거하는 스케줄링 방식을 설명한다. DL과 UL 버스트 사이의 갭은 적어도 T개의 서브프레임들이라 상정하고, DL 버스트는 슬롯 경계에서 끝날 수 있고, UL 버스트는 미리 결정된 심볼에서 개시할 수 있고, 부분적 서브프레임 송신이 허용되면, 총 갭은 T개의 서브프레임들+부분적 서브프레임이 될 수 있지만, 설명의 목적으로 스케줄링 타이밍을 여전히 T개로 카운팅할 수 있고, 다만 스케줄링 타이밍을 T개의 서브프레임들+부분적 서브프레임으로 카운팅하는 것이 가능함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 도 12 내지 도 18에서, 송신은 서브프레임 경계에서 개시하고 끝나는 것으로 도시될 것이다. 또한, DL과 UL 버스트 사이에 더 긴 갭이 존재할 경우, 도 4 내지 도 11에 대해 설명되는 경우에 대해서도 스케줄링 방식들이 가능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적어도 T개의 서브프레임들은 이용 가능하지 않은 서브프레임들로서 추정되고, 도 2 내지 도 11에서 설명된 모든 방식들은 스케줄링 시간 지연에 T개의 서브프레임들을 더함으로써 적용될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난 바와 같이, n+k는 n+k+T로 변경될 수 있고, n+2k는 n+k+T로 변경될 수 있고, n+k+m'은 n+k+T+m'로 변경되는 등 할 수 있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DL 송신과 UL 송신 사이의 갭을 고려하여 상이한 스케줄링 모드들이 상이한 단말기 디바이스들에 의해 사용될 경우의 예시적 스케줄링 방식을 나타낸다. 도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처음 4개의 UL 서브프레임들은, n+k에 T를 더함으로써 얻어진 n+k+T 모드로 스케줄링될 수 있고, 마지막 2개의 UL 서브프레임들은 n+2k에 T를 더함으로써 얻어진 n+2k+T 모드로 스케줄링될 수 있다. 또한, n+2k+T 모드는 또한, n+k+m'에 T를 더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는 n+k+T+m' 모드로 대체될 수 있음은 명백하다.
도 13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DL 송신과 UL 송신 사이의 갭을 고려해서 다중-서브프레임 스케줄링을 지원할 경우의 스케줄링 방식을 나타낸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마찬가지로, 도 13에서, n+k 및 T+2k에 각각 T를 더함으로써 얻어진 n+k+T 모드 및 n+2k+T 모드로 DL 서브프레임 0은 UL 서브프레임 0 및 4를 스케줄링하기 위한 UL 그랜트를 전송하는데 사용되고, DL 서브프레임 1은 UL 서브프레임 1 및 5를 스케줄링하기 위한 UL 그랜트를 전송하는데 사용되고; DL 서브프레임 2 및 3은, n+k에 T를 더함으로써 얻어진 n+T+k 모드로 각각 서브프레임 2 및 3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UL 그랜트를 전송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n+2k+T 모드가, n+k+m'에 T를 더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는 n+k+T+m' 모드로 대체될 수도 있음은 명백하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T가 K보다 짧을 경우에, T를 요구되는 시간 지연 k에서 고려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UL 서브프레임들은 도 14 내지 도 17에 나타난 바와 같이, DL 버스트의 마지막 k-T 서브프레임에 의해 스케줄링될 수 있다.
도 14에 나타난 바와 같이, UL 서브프레임들은, n+k 모드, n+k+(k-T) 모드, 및 n+k+2(k-T) 모드로 마지막 2개의 DL 서브프레임들에 의해 스케줄링될 수 있고, 3가지 모드들은 3개의 단말기 디바이스들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DL 서브프레임 2는 UL 서브프레임들 0, 2, 4에 대한 UL 그랜트들을 전송하는데 사용되며, DL 서브프레임 3은 UL 서브프레임들 1, 3, 5에 대한 UL 그랜트들을 전송하는데 사용되며, 이에 따라 UL 서브프레임 0 및 1은 n+k 모드로 스케줄링되고, UL 서브프레임 2 및 3은 n+k+(k-T) 모드로 스케줄링되고, UL 서브프레임 4 및 5는 n+k+2(k-T) 모드로 스케줄링된다.
도 15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다른 예시적 스케줄링 방식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5에 나타난 바와 같이, UL 서브프레임들은 n+k 모드, n+k+(k-T) 모드, 및 n+k+2(k-T) 모드의 조합 모드로 마지막 2개의 DL 서브프레임들에 의해 스케줄링될 수 있다. 조합 모드는 단일 단말기 디바이스 또는 2개의 상이한 단말기 디바이스들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DL 서브프레임 2는 UL 서브프레임들 0, 2 및 4를 스케줄링하기 위한 단일 UL 그랜트를 전송하는데 사용되고, 서브프레임 3은 UL 서브프레임들 1, 3 및 5를 스케줄링하기 위한 단일 UL 그랜트를 전송하는데 사용된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것보다 많은 UL 서브프레임들이 있을 경우에, n+k+3(k-T), n+k+4(k-T) 등을 더 사용할 수도 있음에 유의한다.
도 16 및 도 17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다른 예시적 스케줄링 방식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이 스케줄링 방식들은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것과 마찬가지이지만, DL 버스트의 마지막 K-T DL 서브프레임들은 UL 서브프레임들에 대한 UL 그랜트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며, k0' 및 k0"가 도 16 및 도 17에서 사용되며, 여기서 k0'=0, 1,... floor(M/(N'))이고, k0"=0, 1,... floor(M/(N'))-1인데, 여기서 N'은 N 또는 k 대신에 k-T와 같음은 다르다.
또한, T>=k이고 T가 요구되는 시간 지연 k에 대해 고려될 수 있다면, 즉,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UL 버스트의 모든 UL 서브프레임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해 마지막 하나의 DL 서브프레임을 사용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고, 여기서 UL 서브프레임들은 n+T+mi로 스케줄링된다. 또한, 이러한 경우에, 도 12 또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케줄링 방식, 즉 스케줄링 시간 지연에 T를 직접 더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실시예들은 채널이 제1 스케줄링된 UL 서브프레임에서만 이용 가능한 것으로 설명된다. 그러나, 실제의 UL 송신에서는, UL 버스트 이후 또는 UL 버스트 이전에 채널을 사용할 수 있을 경우가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잠재적 문제들이 발생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UL 버스트 이전에 채널이 이용 가능할 경우, 2가지 가능한 옵션들이 있을 수 있다. 하나의 옵션에서는, 단말기 디바이스는 스케줄링된 서브프레임이 도착할 때까지 대기한 다음, 스케줄링된 대로 송신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대기 시간 동안 다른 RATS 및 노드들이 채널을 점유하게 할 수 있다. 다른 옵션으로서는, 대기 시간 동안 채널이 다른 RATS 및 노드들에 의해 점유될 수 없게 하며, 단말기 디바이스는 채널을 예약하기 위해 예약 신호를 전송할 수 있으며, 이는 채널 자원 낭비를 의미한다. 이러한 경우, 단말기 디바이스는 스케줄링된 대로 UL 송신을 수행할 수 있고, 즉 단말기 디바이스는 UL 버스트 및 스케줄링된 UL 서브프레임들에 앞서 실제로 클리어 채널을 점유하지만, 즉 스케줄링된 것보다 많은 UL 서브프레임들 점유하지만, UL 송신이 MCOT를 초과할 가능성이 있다. 또는 대안으로, UE는 MCOT를 충족하기 위해 허용된 기간 내에서만 송신할 수 있으므로, 단말기 디바이스는 예상된 송신 기간 또는 MCOT를 알고 송신의 개시를 모니터하고 예약 신호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한편, 채널이 UL 버스트 이후인 경우, UL 버스트는 특정 시간 동안 연기될 수 있고, 이전에 전송된 UL 그랜트들은 전체 UL 버스트를 커버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단말기 디바이스가 UL 송신을 스케줄링된 대로 수행하면, 그것은 덜 효율적인 송신을 의미한다.
이를 고려해서, 이 방법은, 도 1의 단계 140에 나타난 바와 같이, 허용된 UL 송신 기간을 표시하는 송신 기간 표시를 송신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실제의 UL 송신에서, 채널이 UL 버스트 이후 또는 UL 버스트 이전에 이용 가능할 경우가 있을 수 있고, 이에 따라 자원 낭비, 덜 효율적인 송신 등과 같은 잠재적 문제들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UL 송신에서 효율적인 송신 시간을 보장하기 위해, 요구되는 것보다 많은 서브프레임들이 UL 송신에서 사용되도록 추가 UL 서브프레임이 그랜트될 수 있다면 유익할 것이다.
도 19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추정된 갭 T 이전에 채널이 이용 가능할 경우의 예시적 스케줄링 방식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채널이 UL 버스트 이전에 이용 가능할 경우, UL 송신에 사용되는 UL 서브프레임들 직전에, 즉 UL 스케줄링된 버스트 앞에 위치하는 추가 UL 서브프레임이 스케줄링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eNB 등의 서빙 노드는 요구되는 것 이상의 충분한 UL 그랜트들, 예를 들면 UL 버스트 및 서브프레임 0-5에 대한 UL 그랜트들을 전송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효율적인 송신 시간이 보장될 수 있다. 한편, 단말기가 예상 송신 기간 또는 MCOT를 알고 있다면, 단말기 디바이스는 송신의 개시를 모니터할 수 있고 그에 따라 UL MCOT 내에서 송신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예상 송신 기간 또는 MCOT가 초과되지 않음을 보장할 수 있다. 예상 정보는, 예를 들면 DCI 포맷 1C에 의해 전송될 수 있다. 또한, n+2k+T 모드가 n+k+T+m' 모드로 대체될 수도 있음은 분명하다.
도 20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채널이 추정된 갭 이후에 이용 가능할 경우의 예시적 스케줄링 방식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2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채널이 UL 버스트 이후에 이용 가능하면, UL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UL 서브프레임들 직후에, 즉 UL 스케줄링된 버스트 뒤에 위치하는 추가 UL 서브프레임이 스케줄링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 eNB 등의 서빙 노드는 요구되는 것보다 많은 충분한 UL 그랜트들, 예를 들면 서브프레임 0 내지 6에 대한 UL 그랜트들을 전송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효율적인 송신 시간이 보장될 수 있다. 한편, 단말기가 예상 송신 기간 또는 MCOT를 알고 있다면, 단말기 디바이스가 송신의 개시를 모니터링하고 그에 따라 UL MCOT 내에서 송신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예상 송신 기간 또는 MCOT가 초과되지 않음을 보장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예상 정보는 DCI 포맷 1C에 의해 전송될 수 있다. 또한, n+2k+T 모드가 n+k+T+m' 모드로 대체될 수 있음은 분명하다.
도 20 및 도 21은 추가 서브프레임들을 스케줄링하는 2가지 방법들을 단지 설명하기 위해 제시된 것이고, 추가 서브프레임들을 스케줄링하는 방식은 도시된 스케줄링 방식들에 제한되지 않고, 본원에서 제공되는, 예를 들면 도 2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케줄링 방식들 중 어느 하나에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그랜트된 추가 UL 서브프레임은 둘 이상의 서브프레임일 수 있고, 이것은 채널이 이용 가능한 시간에 의존함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UL 송신이 부분 서브프레임에서 개시 및/또는 종료되는 것을 허용하는 부분적인 서브프레임 송신이 가능하면, 그랜트된 추가 UL 서브프레임이 또한 부분적인 서브프레임을 포함할 수도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8을 참조해서 설명된 스케줄링 방식들에 있어서, 스케줄링 모드 표시는 도 4 내지 도 8의 스케줄링 방식들과 마찬가지일 수 있고, 단지 스케줄링 지연 시간 또는 스케줄링 타이밍이 변경된다는 점만이 상이함을 이해할 수 있다.
특히,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마찬가지로, 갭 내의 서브프레임들의 수 T가 요구되는 시간 지연 k에 더해지는 실시예에 대해, 상이한 변경된 스케줄링 모드들을 나타내기 위해 마찬가지인 표시자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5를 참조해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서, n+k에 대해서 표시자 10이 사용될 수 있고, n+k+(k-T)에 대해서 표시자 01이 사용될 수 있고, n+k+2(k-T)에 대해서 표시자 11이 사용될 수 있고; 또는 대안으로, n+k, n+k+(k-T), 및 n+k+2(k-T)에 대해 표시자 11이 사용될 수 있고; 또한 이들 스케줄링 모드들을 표시하기 위해 2비트들의 임의의 다른 가능한 조합을 사용할 수도 있다. 게다가,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케줄링 방식들에 대해, 표시자들은 도 10 및 도 11의 것과 정확히 동일할 수 있다.
단계들 120 내지 140은 임의의 적절한 방식들로 수행될 수 있고 도시된 순서들로 제한되지만; 대신, 그들은 도시된 것들과 다른 순서들로 수행되거나 동시에 수행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21은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UL 송신을 수행하는 방법(2100)의 플로차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방법(2000)은 UE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디바이스들 등의 단말기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 있다.
도 2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방법(2100)은 단계 2110에서 개시되고, 여기서 UL 송신은 UL 스케줄링을 위한 스케줄링 모드에 의거하여 수행된다. 이 스케줄링 모드는 미리 결정된 스케줄링 모드 또는 UL 스케줄링 모드 표시에서 표시된 스케줄링 모드일 수 있다. 스케줄링 모드가 미리 결정된 스케줄링 모드이거나 스케줄링 모드가 서브프레임 구조에 특정된 경우, 모드 표시가 필요하지 않다.
한편, 스케줄링 모드들이 실시간으로 서빙 모드들(eNB)에 의해 결정되면, 서빙 모드는 UL 스케줄링 모드 표시를 단말기 디바이스에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단계 2120에서, 방법(2100)은 UL 스케줄링을 위한 스케줄링 모드를 표시하는 UL 스케줄링 모드 표시를 수신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UL 스케줄링 모드는 다양한 방식으로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면, UL 스케줄링 모드 표시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 포맷의 UL 인덱스에 의해 또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 포맷의 추가 비트들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UL 스케줄링에서, 상이한 단말기 디바이스들은 상이한 스케줄링 지연 시간 지연들을 갖는 상이한 스케줄링 모드들을 사용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들에서, UL 스케줄링에서, 단일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이한 스케줄링 시간 지연들을 갖는 상이한 스케줄링 모드들을 사용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상이한 스케줄링 시간 지연들은, 적어도 UL 그랜트와 UL 송신 사이의 요구되는 시간 지연 k에 의거하여 결정될 수 있다. 요구되는 시간 지연 k는 고정된 값일 수 있다. 또는 대안으로, DL 서브프레임들의 수 및 UL 서브프레임들의 수에 의거하여 결정되는 가변값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단계 S2130에서, 방법(2100)은 요구되는 시간 지연 k를 표시하는 요구되는 시간 지연 표시를 수신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서, UL 송신에서의 서브프레임들이 가능한 한 많이 스케줄링되도록, 상이한 스케줄링 시간 지연들은 UL 그랜트와 UL 송신 사이의 요구되는 시간 지연 k; 요구되는 시간 지연 k의 배수; 요구되는 시간 지연 k 및 미리 결정된 확장값; 요구되는 시간 지연 k의 다른 배수; 요구되는 시간 지연 k의 배수 및 미리 결정된 확장 시간값; 및 요구되는 시간 지연 k 및 2개 이상의 가변 확장값들을 포함하는 시간 지연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상이한 스케줄링 모드들이 DL 송신과 UL 송신 사이의 갭에 의거하여 더 결정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상이한 스케줄링 모드들은, 요구되는 시간 지연에 갭 내의 서브프레임들의 수를 더하는 것; 갭 내의 서브프레임들의 수가 요구되는 시간 지연보다 작은 경우, 최신 Q의 DL 서브프레임들을 사용하여 모든 UL 서브프레임들을 스케줄링하는 것(여기서 Q는 갭 내의 서브프레임들의 수와 요구되는 시간 지연 사이의 차이); 및 마지막 DL 서브프레임을 사용하여 모든 UL 서브프레임들을 스케줄링하는 것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더 결정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효율적인 송신 시간을 보장하기 위해, 요구되는 것보다 많은 서브프레임들이 UL 송신에서 사용되도록 추가 UL 서브프레임이 그랜트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단계 2140에서, 방법(2100)은 허용된 UL 송신 기간을 표시하는 송신 기간 표시를 수신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UL 송신은 허용된 UL 송신 기간에 수행된다. 추가 UL 서브프레임은 UL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UL 서브프레임들의 직전 또는 직후에 위치된다.
도 1의 단계들 120 내지 140과 마찬가지로, 단계들 2120 내지 2140은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고, 이들은 예시된 순서들로 제한되고, 이 대신 예시된 것과는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도 2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UL 스케줄링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2200)의 블록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장치(2200)는 eNB 등의 서빙 노드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디바이스들에서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장치(2200)는 스케줄링 모드 결정 유닛(2210)을 포함할 수 있다. 스케줄링 모드 결정 유닛(2210)은 DL 서브프레임들의 수 및 UL 서브프레임들의 수에 의거하여 UL 스케줄링을 위한 적어도 2가지 모드들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여기서 적어도 2가지 모드들은 상이한 스케줄링 시간 지연들을 표시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상이한 스케줄링 시간 지연들은 적어도 UL 그랜트와 UL 송신 사이의 요구되는 시간 지연에 의거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요구되는 시간 지연은 DL 서브프레임들의 수 및 UL 서브프레임들의 수에 의거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상기 방법은, 요구되는 시간 지연을 표시하는 요구되는 시간 지연 표시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지연 표시 송신 유닛(22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적어도 2가지 모드들은 상이한 단말기 디바이스들에 사용될 수 있다. 또는 대안으로, 적어도 2가지 모드들이 단일 단말기 디바이스에 사용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UL 송신에서의 서브프레임들이 가능한 한 많이 스케줄링되도록 상이한 스케줄링 시간 지연들이 결정될 수 있다. 상이한 스케줄링 시간 지연들은, UL 그랜트와 UL 송신 사이의 요구되는 시간 지연; 요구되는 시간 지연의 배수; 요구되는 시간 지연 및 미리 결정된 확장값; 요구되는 시간 지연의 다른 배수; 요구되는 시간 지연의 배수 및 미리 결정된 확장 시간값; 및 요구되는 시간 지연 및 2개 이상의 가변 확장값들을 포함하는 시간 지연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UL 스케줄링을 위한 적어도 2가지 모드들은 DL 송신과 UL 송신 사이의 갭에 의거하여 더 결정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UL 스케줄링을 위한 적어도 2가지 모드들은, 요구되는 시간 지연에 갭 내의 서브프레임들의 수를 더하는 것; 갭 내의 서브프레임들의 수가 상기 요구되는 시간 지연보다 작은 경우, 최신 Q의 DL 서브프레임들을 사용하여 모든 UL 서브프레임들을 스케줄링하는 것(여기서, Q는 갭 내의 서브프레임들의 수와 요구되는 시간 지연 사이의 차이); 및 마지막 DL 서브프레임을 사용하여 모든 UL 서브프레임들을 스케줄링하는 것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장치는, 기간 표시 송신 유닛(22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기간 표시 송신 유닛(2330)은 허용된 UL 송신 기간을 표시하는 송신 기간 표시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UL 송신에 효율적인 송신 시간을 보장하기 위해, 요구되는 것보다 많은 서브프레임들이 UL 송신에서 사용되도록 추가 UL 서브프레임이 그랜트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추가 UL 서브프레임은, 업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UL 서브프레임들의 직전 또는 직후에 위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장치(2200)는 모드 표시 송신 유닛(22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모드 표시 송신 유닛(2240)은 UL 스케줄링을 위한 적어도 2가지 모드들을 표시하는 UL 스케줄링 모드 표시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모드 표시 송신 유닛(2240)은 많은 상이한 방식으로 UL 스케줄링 모드 표시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UL 스케줄링 모드 표시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 포맷의 UL 인덱스를 재사용함으로써 송신된다. 다른 예로서, 다운링크 제어 정보 포맷의 추가 비트들을 사용함으로써 UL 스케줄링 모드 표시가 송신될 수 있다.
도 2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UL 송신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2300)의 블록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장치(2300)는 UE 등의 단말기 디바이스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디바이스들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2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장치(2300)는 UL 송신 수행 유닛(2310)을 포함할 수 있다. UL 송신 수행 유닛(2310)은 UL 스케줄링을 위한 스케줄링 모드에 의거하여 UL 송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스케줄링 모드는 UL 스케줄링 모드 표시에서 표시되는 스케줄링 모드 또는 미리 결정된 스케줄링 모드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UL 스케줄링에서, 상이한 단말기 디바이스들은 상이한 스케줄링 지연 시간 지연들을 갖는 상이한 스케줄링 모드들을 사용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UL 스케줄링에서, 단일 단말기 디바이스는 또한, 단일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상이한 스케줄링 시간 지연들을 갖는 상이한 스케줄링 모드들을 사용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상이한 스케줄링 시간 지연들은 적어도 UL 그랜트와 UL 송신 사이의 요구되는 시간 지연에 의거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장치(2300)는 지연 표시 수신 유닛(23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연 표시 수신 유닛(2320)은, DL 서브프레임들의 수 및 UL 서브프레임들의 수에 의거하여 결정되는 요구되는 시간 지연을 표시하는 요구되는 시간 지연 표시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상이한 스케줄링 시간 지연들은, UL 송신에서의 서브프레임들이 가능한 한 많이 스케줄링되도록, UL 그랜트와 UL 송신 사이의 요구되는 시간 지연; 요구되는 시간 지연의 배수; 요구되는 시간 지연 및 미리 결정된 확장값; 요구되는 시간 지연의 다른 배수; 요구되는 시간 지연의 배수 및 미리 결정된 확장 시간값; 및 요구되는 시간 지연 및 2개 이상의 가변 확장값들을 포함하는 시간 지연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상이한 스케줄링 모드들은 DL 송신과 UL 송신 사이의 갭에 의거하여 더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이한 스케줄링 모드들은, 요구되는 시간 지연에 갭 내의 서브프레임들의 수를 더하는 것; 갭 내의 서브프레임들의 수가 요구되는 시간 지연보다 작은 경우, 최신 Q의 DL 서브프레임들을 사용하여 모든 UL 서브프레임들을 스케줄링하는 것(여기서, Q는 갭 내의 서브프레임들의 수와 요구되는 시간 지연 사이의 차이); 및 마지막 DL 서브프레임을 사용하여 모든 UL 서브프레임들을 스케줄링하는 것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더 결정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장치는 기간 표시 수신 유닛(23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기간 표시 수신 유닛(2330)은, 허용된 UL 송신 기간을 표시하는 송신 기간 표시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효율적인 송신 시간을 보장하기 위해, 요구되는 것보다 많은 서브프레임들이 UL 송신에서 사용되도록 추가 UL 서브프레임이 그랜트되고, UL 송신이 허용된 UL 송신 기간에서 수행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추가 UL 서브프레임은 UL 송신에 사용되는 UL 서브프레임들 직전에 위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들에서, 추가 UL 서브프레임은, UL 송신에 사용되는 UL 서브프레임들 직후에 위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장치(2300)는 스케줄링 모드 수신 유닛(23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스케줄링 모드 수신 유닛(2340)은, UL 스케줄링을 위한 스케줄링 모드를 표시하는 UL 스케줄링 모드 표시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UL 스케줄링 모드 표시는 많은 상이한 방식들로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면, UL 스케줄링 모드 표시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 포맷의 UL 인덱스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또는 대안으로, UL 스케줄링 모드 표시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 포맷의 추가 비트들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이상, 도 22 및 도 23을 참조해서 장치들(2200 및 2300)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장치들(2200 및 2300)은 도 1 내지 도 21을 참조해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기능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 따라서, 이 장치들에서의 모듈들의 동작들에 관한 세부 사항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21을 참조해서 방법들의 각 단계에 대한 해당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또한, 장치들(2200 및 2300)의 컴포넌트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및/또는 그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 예를 들면, 장치들(2200 및 2300)의 구성 요소들은 회로, 프로세서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선택 디바이스에 의해 각각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통상의 기술자는, 상술한 예들이 제한이 아닌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일 뿐이며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할 것이고, 본원에서 제공된 교시로부터 많은 변형, 추가, 삭제 및 수정을 쉽게 생각할 수 있으며, 이러한 모든 변형, 추가, 삭제 및 수정은 본 개시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또한,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 장치들(2200 및 230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과 함께 사용하기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예를 들면, 이미 공지되었거나 장래에 개발될 일반 및 특수 목적 프로세서들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들(2200 및 2300)은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는, 반도체 메모리 디바이스들, 예를 들면 RAM, ROM, EPROM, EEPROM, 및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는 컴퓨터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 프로그램은 고수준 및/또는 저수준 호환 가능한 또는 해석 가능한 프로그래밍 언어들로 작성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컴퓨터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장치들(2200 및 2300)로 하여금 적어도 각각 도 1 내지 도 21을 참조해서 논의된 방법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24는, 무선 네트워크 내의 무선 네트워크에 대한 UE 등의 단말기 디바이스로서 구현되거나 그에 포함될 수 있는 장치(2410) 및 설명되는 NB 또는 eNB 등의 기지국으로서 구현되거나 그에 포함될 수 있는 장치(2420)의 단순화된 블록도를 나타낸다.
장치(2410)는 데이터 프로세서(DP) 등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411) 및 프로세서(2411)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MEM)(2412)를 포함한다. 장치(2410)는 프로세서(2411)에 연결된 송신기 TX 및 수신기 RX(2413)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것은 장치(2420)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MEM(2412)은 프로그램(PROG)(2414)을 저장한다. PROG(2414)는, 연관된 프로세서(2411) 상에서의 실행 시, 장치(2410)가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라 동작하게, 예를 들면 방법(2100)을 수행하게 할 수 있는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411) 및 적어도 하나의 MEM(2412)의 조합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구현하는데 적합한 처리 수단(2415)을 형성할 수 있다.
장치(2420)는 DP 등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421) 및 프로세서(2421)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MEM(2422)을 포함한다. 장치(2420)는, 장치(2410)와의 무선 통신을 위해 동작할 수 있도록 프로세서(2421)에 연결된 적절한 TX/RX(24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MEM(2422)은 PROG(2424)를 저장한다. PROG(2424)는, 연관된 프로세서(2421) 상에서의 실행 시, 장치(2420)가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라 동작하게, 예를 들면 방법(100)을 수행하게 할 수 있는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421) 및 적어도 하나의 MEM(2422)의 조합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구현하는데 적합한 처리 수단(2425)을 형성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2411, 2421), 소프트웨어, 펌웨어, 하드웨어 또는 그 조합에 의해 실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MEM(2412 및 2422)은 로컬 기술 환경에 적합한 임의의 유형일 수 있고, 제한이 아닌 예시로서, 반도체 기반 메모리 디바이스들, 자기 메모리 디바이스들 및 시스템들, 광학 메모리 디바이스들 및 시스템들, 고정식 메모리 및 착탈식 메모리 등의 임의의 적당한 데이터 스토리지 기술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들(2411 및 2411)은 로컬 기술 환경에 적합한 임의의 유형일 수 있고, 제한이 아닌 예시로서,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들, 특수 목적 컴퓨터들,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들(DSP) 및 멀티코어 프로세서 아키텍처 기반 프로세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캐리어를 제공할 수도 있고, 여기서 캐리어는 전자 신호, 광 신호, 무선 신호,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중 하나이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는, 예를 들면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 자기 테이프, CD-ROM, DVD, 블루레이 등과 같은 광학 콤팩트 디스크 또는 전자 메모리 디바이스일 수 있다.
실시예와 함께 설명된 대응하는 장치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구현하는 장치는 종래 기술의 수단뿐만 아니라 실시예와 함께 설명된 대응하는 장치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구현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개별 기능마다 개별 수단 또는 2가지 이상의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수단을 포함하도록, 본원에 기술된 기술들이 다양한 수단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 기술들은 하드웨어(하나 이상의 장치들), 펌웨어(하나 이상의 장치들), 소프트웨어(하나 이상의 모듈들), 또는 그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에 대해서, 여기에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모듈들(예컨대, 절차들, 기능들 등)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본원에서의 예시적 실시예들은 방법들 및 장치들의 블록도 및 플로차트를 참조해서 위에서 설명되었다. 블록도 및 플로차트의 각각의 블록, 및 블록도 및 플로차트에서의 블록들의 조합들은 각각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수단에 의해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이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 목적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처리 장치 상에 로딩되어 머신을 생성할 수 있어,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처리 장치 상에서 실행되는 명령어들이 플로차트 블록 또는 블록들에서 특정된 기능들을 실현하기 위한 수단을 생성한다.
본 명세서는 많은 특정 구현 세부 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임의의 구현의 범위 또는 청구될 수 있는 범위에 대한 제한으로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오히려 특정 구현의 특정 실시예들에 특정될 수 있는 특징들의 설명으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개별 실시예들의 맥락에서 설명되는 특정 특징들은 단일 실시예에서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예의 맥락에서 설명된 다양한 특징들은 다수의 실시예들에서 별개로 또는 임의의 적합한 하위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더욱이, 특징들이 특정 조합으로 작용하고 심지어 처음 청구되는 그 자체로 설명될 수도 있을지라도, 청구되는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이 일부 경우에는 그 조합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고, 청구되는 조합은 하위 조합 또는 하위 조합의 변형에 관한 것일 수 있다.
기술의 발전에 따라, 본 발명의 개념은 다양한 방식들로 구현될 수 있음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상술한 실시예들은 본 개시를 제한하기보다는 설명하기 위해 주어진 것이고, 통상의 기술자가 잘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개시 및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범주 내에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본 개시의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규정된다.

Claims (5)

  1. UE(user equipment)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서브프레임 n에서 제 1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 포맷의 제 1 값을 가진 제 1 파라미터 및 DCI 포맷 1C의 제 2 파라미터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 1 DCI 포맷은 비면허 스펙트럼(unlicensed spectrum)의 다수의 서브프레임들 각각에서의 PUSCH 송신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 1 DCI 포맷은 DCI 포맷 1C와는 상이함 -;
    상기 제 1 파라미터 및 상기 제 2 파라미터에 의거하여 상기 다수의 서브프레임들에서의 상기 PUSCH 송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프레임 n으로부터의 오프셋이, 미리 정해진 값과 같은지 또는 상기 기지국에 의해 결정되는 오프셋 값인지는 상기 제 1 값에 기반하고,
    상기 서브프레임들에서의 상기 PUSCH 송신의 기간은 상기 제 2 파라미터에 의거하여 결정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USCH 송신은 LBT(Listen Before Talk) 절차에 기반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PUSCH 송신은 서브프레임의 심볼 내에서 개시되는,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PUSCH 송신은 하나 이상의 연속 서브프레임을 점유하는, 방법.
  5.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서브프레임 n에서 제 1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 포맷의 제 1 값을 가진 제 1 파라미터 및 DCI 포맷 1C의 제 2 파라미터를 UE(user equipment)에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 1 DCI 포맷은 비면허 스펙트럼(unlicensed spectrum)의 다수의 서브프레임들 각각에서의 PUSCH 송신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 1 DCI 포맷은 DCI 포맷 1C와는 상이함 -;
    상기 제 1 파라미터 및 상기 제 2 파라미터에 의거하여 상기 다수의 서브프레임들에서의 상기 PUSCH 송신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프레임 n으로부터의 오프셋이, 미리 정해진 값과 같은지 또는 상기 기지국에 의해 결정되는 오프셋 값인지는 상기 제 1 값에 기반하고,
    상기 서브프레임들에서의 상기 PUSCH 송신의 기간은 상기 제 2 파라미터에 의거하여 결정되는, 방법.
KR1020207037755A 2016-02-02 2016-02-02 Ul 스케줄링 및 ul 송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2907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7007024A KR20180040630A (ko) 2016-02-02 2016-02-02 Ul 스케줄링 및 ul 송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PCT/CN2016/073216 WO2017132840A1 (en) 2016-02-02 2016-02-02 Methods and apparatuses for performing uplink scheduling and ul transmission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7024A Division KR20180040630A (ko) 2016-02-02 2016-02-02 Ul 스케줄링 및 ul 송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3953A true KR20210003953A (ko) 2021-01-12
KR102290725B1 KR102290725B1 (ko) 2021-08-19

Family

ID=5949926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7024A KR20180040630A (ko) 2016-02-02 2016-02-02 Ul 스케줄링 및 ul 송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0207037755A KR102290725B1 (ko) 2016-02-02 2016-02-02 Ul 스케줄링 및 ul 송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7024A KR20180040630A (ko) 2016-02-02 2016-02-02 Ul 스케줄링 및 ul 송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10880908B2 (ko)
EP (1) EP3332596B1 (ko)
JP (1) JP6887428B2 (ko)
KR (2) KR20180040630A (ko)
CN (1) CN108141871A (ko)
WO (1) WO2017132840A1 (ko)
ZA (1) ZA20180155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94577A (zh) * 2016-04-01 2017-10-24 索尼公司 无线通信系统中的电子设备和无线通信方法
CN109391426B (zh) * 2017-08-11 2021-11-1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资源位置的指示、接收方法及装置
WO2019079500A1 (en) * 2017-10-19 2019-04-25 Idac Holdings, Inc. CHANNEL ACCESS PROCEDURES FOR DIRECTIONAL SYSTEMS IN BANDS WITHOUT LICENSE
CN109756973B (zh) 2017-11-01 2022-06-28 华为技术有限公司 资源分配方法、装置及系统
WO2020032583A1 (ko) * 2018-08-08 2020-0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비순차적 스케줄링에 기반하여 상향링크 물리 채널을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7148622B2 (ja) * 2018-09-27 2022-10-05 株式会社Nttドコモ 端末及び通信方法
WO2020095568A1 (ja) * 2018-11-07 2020-05-14 日本電気株式会社 管理サーバ、データ処理方法、及び非一時的な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US11246153B2 (en) * 2019-02-15 2022-02-08 Mediatek Singapore Pte.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out-of-order uplink scheduling in mobile communication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42835A1 (en) * 2013-09-26 2015-04-0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EFFICIENT USAGE OF DAI BITS FOR eIMTA IN LTE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0742B1 (ko) 2011-05-30 2018-01-22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 방법
WO2013051856A1 (ko) 2011-10-04 2013-04-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번들링 스케줄링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9331828B2 (en) 2011-10-11 2016-05-03 Lg Electronics Inc. Bundling scheduling method in wireless access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CN103384192A (zh) * 2012-05-02 2013-11-06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动态tdd系统中保持上行harq进程的传输连续性的方法
CN104080161A (zh) * 2013-03-29 2014-10-01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物理上行共享信道的传输方法及用户设备
CN104104483A (zh) * 2013-04-03 2014-10-15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物理上行共享信道的传输方法、上行调度方法及设备
CN104104486A (zh) * 2013-04-12 2014-10-15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一种支持多子帧调度上行数据传输的方法和设备
WO2016105125A1 (ko) * 2014-12-23 2016-06-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비면허 대역에서의 상향링크 전송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EP3282789B1 (en) * 2015-04-06 2020-12-02 Fujitsu Limited Base station, terminal,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base station control method
KR102467048B1 (ko) * 2015-04-09 2022-11-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히든 노드 문제와 사용자 단말들의 채널 점유를 고려한 상향 링크 데이터 전송 방법
US10448420B2 (en) * 2015-04-10 2019-10-15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uplink resources
US10375714B2 (en) * 2015-08-12 2019-08-06 Blackberry Limited Uplink resource scheduling control in response to channel busy condition
US10986658B2 (en) * 2015-08-14 2021-04-20 Lenovo Innovations Limited (Hong Kong) Uplink/downlink schedul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3320738A4 (en) * 2015-08-14 2019-03-13 Lenovo Innovations Limited (Hong Kong) BURST-BASED TRANSMISSION PLANN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DE112015006876T5 (de) * 2015-09-04 2018-05-30 Intel Corporation Pusch-Uplink ohne Autorisierung
CN106658742B (zh) * 2015-11-03 2020-07-0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数据调度及传输的方法、装置及系统
WO2017099832A1 (en) * 2015-12-07 2017-06-15 Intel IP Corporation Multi-subframe uplink scheduling in unlicensed spectrum
WO2017126926A1 (ko) * 2016-01-20 2017-07-27 주식회사 윌러스표준기술연구소 비면허 대역 채널 액세스 방법, 장치,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42835A1 (en) * 2013-09-26 2015-04-0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EFFICIENT USAGE OF DAI BITS FOR eIMTA IN LTE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53183 *
3GPP R1-153844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880908B2 (en) 2020-12-29
EP3332596B1 (en) 2021-09-29
ZA201801551B (en) 2019-07-31
CN108141871A (zh) 2018-06-08
EP3332596A4 (en) 2019-03-13
KR102290725B1 (ko) 2021-08-19
US20210105792A1 (en) 2021-04-08
KR20180040630A (ko) 2018-04-20
EP3332596A1 (en) 2018-06-13
JP2018531554A (ja) 2018-10-25
US20180324825A1 (en) 2018-11-08
JP6887428B2 (ja) 2021-06-16
WO2017132840A1 (en) 2017-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0725B1 (ko) Ul 스케줄링 및 ul 송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ES2827698T3 (es) Transmisión de señales de referencia de descubrimiento en una portadora sin licencia en una red inalámbrica
JP2018531554A6 (ja) アップリンクスケジューリングとアップリンク送信を実行するための方法
US1115928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fractional subframe transmission
CN111345101A (zh) 用于传输和接收抢占指示的方法和装置
CN108141855B (zh) 用于执行上行链路传输和接收的方法和装置
KR20170098290A (ko) 채널 감지 향상
JP2020039147A (ja) ユーザ機器、及び基地局によって実行される方法
JP6988955B2 (ja) 上りリンク送信及び受信を実施するための方法、ユーザ機器、及び基地局
CN112544119B (zh) 用于v2v通信的方法和设备
AU201725884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fractional subframe transmission
JP6690013B2 (ja) 上りリンク情報送信方法、端末デバイス及びアクセスネットワークデバイス
JP7255658B2 (ja) ユーザ機器、基地局、及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