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3373A - 전동칫솔 - Google Patents

전동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3373A
KR20210003373A KR1020190079077A KR20190079077A KR20210003373A KR 20210003373 A KR20210003373 A KR 20210003373A KR 1020190079077 A KR1020190079077 A KR 1020190079077A KR 20190079077 A KR20190079077 A KR 20190079077A KR 20210003373 A KR20210003373 A KR 202100033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brush
rotating
fluorescence
unit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9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준
Original Assignee
김대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준 filed Critical 김대준
Priority to KR10201900790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3373A/ko
Publication of KR202100033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33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16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 A61C17/2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 A61C17/24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rotating continuously
    • A61C17/26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rotating continuously driven by electric motor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3/00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 A46B13/02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power-driven carrier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02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 A46B15/0016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enhancing means
    • A46B15/0034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enhancing means with a source of radiation, e.g. UV, IR, LASER, X-ray for irradiating the teeth and associated su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71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by measuring fluorescence emis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77Devices for viewing the surface of the body, e.g. camera, magnifying l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82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 A61B5/0088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for oral or dental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16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 A61C17/2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 A61C17/221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에 칫솔모(112)가 구비되고 회전운동 가능한 회전칫솔부(110); 전동모터(220)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회전칫솔부(110)의 회전운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구동기어(140)가 내장되어 있고 상기 회전칫솔부(110) 하부에 연결되어 있는 칫솔헤드부(120); 상기 칫솔헤드부(120) 일단에 연결되어 형성된 연장부(130); 및 상기 연장부(130)와 연결된 몸체부(200)를 포함하며, 자외선(ultraviolet ray)을 치아에 조사하기 위한 UV LED 모듈(150)과, 상기 UV LED 모듈(150)로부터 조사된 자외선에 의해 치아에서 발산하는 형광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기 위한 형광필터(160)와, 상기 형광필터(160)로부터 필터링된 형광을 촬영하거나 저장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170)이 상기 칫솔헤드부(120) 내부 또는 상기 몸체부(200) 상단에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칫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자외선 조사시에 치아에서 발생되는 형광을 형광필터를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필터링하고 카메라 모듈을 통해 촬영하여 이를 스마트폰 등으로 확인함으로써 치아의 건강 상태를 확인하고 관리할 수가 있다.

Description

전동칫솔{Electric toothbrush}
본 발명은 전동칫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외선 조사시에 치아에서 발생되는 형광을 형광필터를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필터링하고 카메라 모듈을 통해 촬영하여 이를 스마트폰 등으로 확인함으로써 치아의 건강 상태를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는 전동칫솔에 관한 것이다.
음식물을 섭취 후 치아 사이에 끼인 음식찌꺼기, 플라그, 치석 등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칫솔은 구강위생용 용구로서 충치, 치주질환, 치은염 등을 방지하는데 큰 역할을 해왔다.
하지만 치아상태를 육안으로는 확인하기가 어려워 프라그가 있는 부분을 찾지 못해 효과적인 프라그 제거가 어려웠고 치석의 침착으로 치주염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최근, 전기모터에 의해 자동으로 회전하는 칫솔모가 치경부와 치아를 마사지하면서 치태를 제거해 주는 전동칫솔이 개발되어 양치질이 익숙치 않은 어린이들 뿐만 아니라 치아 건강에 관심이 많은 성인들 사이에 사용이 확산되는 추세이다. 특히 칫솔모가 손잡이의 길이 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형 전동칫솔은 양치시 칫솔모가 회전하면서 치아 사이의 틈새를 쓸어내리도록 구성되어 상술한 회전법으로 치아를 닦아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56578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자외선 조사시에 치아에서 발생되는 형광을 형광필터를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필터링하고 카메라 모듈을 통해 촬영하여 이를 스마트폰 등으로 확인함으로써 치아의 건강 상태를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는 전동칫솔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부에 칫솔모(112)가 구비되고 회전운동 가능한 회전칫솔부(110); 전동모터(220)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회전칫솔부(110)의 회전운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구동기어(140)가 내장되어 있고 상기 회전칫솔부(110) 하부에 연결되어 있는 칫솔헤드부(120); 상기 칫솔헤드부(120) 일단에 연결되어 형성된 연장부(130); 및 상기 연장부(130)와 연결된 몸체부(200)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200)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210); 상기 전원공급부(2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고 상기 회전칫솔부(11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전동모터(220); 상기 몸체부(200) 외부 일측에 설치되어 전원의 공급을 조작하기 위한 전원버튼(230); 상기 몸체부(200) 외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전동모터(22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회전버튼(240); 및 카메라 모듈(170)로부터 얻은 신호를 저장하거나 저장된 데이터를 블루투스에 의한 무선통신 방식으로 통해 스마트폰으로 전송하거나 페어링을 통해 실시간으로 스마트폰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제어부(250)를 포함하고, 자외선(ultraviolet ray)을 치아에 조사하기 위한 UV LED 모듈(150)과, 상기 UV LED 모듈(150)로부터 조사된 자외선에 의해 치아에서 발산하는 형광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기 위한 형광필터(160)와, 상기 형광필터(160)로부터 필터링된 형광을 촬영하거나 저장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170)이 상기 칫솔헤드부(120) 내부 또는 상기 몸체부(200) 상단에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칫솔을 제공한다.
상기 UV LED 모듈(150)은 380∼405㎚ 파장대의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는 LE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형광필터(160)는 400∼600㎚ 파장대의 푸른색 형광을 흡수하고 600∼700㎚ 파장대의 붉은색 형광을 투과시키는 형광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형광필터(160) 하부에 상기 카메라 모듈(170)이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칫솔부(110)는 상기 칫솔헤드부(120)로부터 착탈착이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칫솔헤드부(120) 내부에 상기 UV LED 모듈(150)과, 상기 형광필터(160)와, 상기 카메라 모듈(170)이 내장되어 있을 수 있고, 상기 UV LED 모듈(150)로부터 조사된 광이 치아로 조사될 수 있게 하고 상기 치아에서 발산하는 형광이 상기 형광필터(160)에서 수집될 수 있게 하기 위한 개구부(114)가 상기 회전칫솔부(110)에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칫솔헤드부(120) 상부에 상기 칫솔헤드부(120) 상부에 2개의 회전칫솔부(110a, 110b)가 구비될 수 있고, 2개의 회전칫솔부(110a, 110b)는 서로 같은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고, 서로 다른 방향으로도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칫솔헤드부(120) 내부에 상기 UV LED 모듈(150)과, 상기 형광필터(160)와, 상기 카메라 모듈(170)이 내장되어 있을 수 있고, 상기 칫솔헤드부(120) 상부에 2개의 회전칫솔부(110a, 110b)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UV LED 모듈(150)로부터 조사된 광이 치아로 조사될 수 있게 하기 위한 개구부(114b)가 하나의 회전칫솔부(110b)에 구비되고, 상기 치아에서 발산하는 형광이 상기 형광필터(160)에서 수집될 수 있게 하기 위한 개구부(114a)가 다른 회전칫솔부(110a)에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전동칫솔은 상기 전동모터(220)와 상기 구동기어(140)를 연결하고 상기 전동모터(220)의 회전동력을 상기 구동기어(140)에 전달하며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대(18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회전칫솔부(110)는 상기 회전대(180)의 회전축과 수평한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기어(140)는 베벨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블루투스를 통해 카메라 모듈에서 촬영된 데이타를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와 스마트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상호 연동시켜 카메라 모듈(170)에서 촬영된 데이타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치아의 상태를 확인하고 관리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페어링을 통해 카메라 모듈에서 촬영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스마트폰에서 확인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자외선 조사시에 치아에서 발생되는 형광을 형광필터를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필터링하고 카메라 모듈을 통해 촬영하여 이를 스마트폰 등으로 확인함으로써 치아의 건강 상태를 확인하고 관리할 수가 있다.
이로 인해 프라그를 조기에 발견하고 올바를 양치질과 자신에게 맞는 칫솔, 치약을 사용하게 하여 치석, 충치를 사전에 예방하고, 특히 칫솔질을 막 시작하는 4~5세 어린이들의 충치예방에 많은 기여를 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기존의 전동칫솔모와 다르게 칫솔모가 각각 양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여 효과적인 프라그 제거가 가능하고, 칫솔모의 헤드만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여 불필요한 소모품 낭비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전동칫솔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전동칫솔의 칫솔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전동칫솔의 몸체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전동칫솔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전동칫솔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전동칫솔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전동칫솔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전동칫솔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 실시예에 따른 전동칫솔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 실시예에 따른 전동칫솔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는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이 충분히 이해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기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당해 구성요소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칫솔은, 상부에 칫솔모(112)가 구비되고 회전운동 가능한 회전칫솔부(110); 전동모터(220)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회전칫솔부(110)의 회전운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구동기어(140)가 내장되어 있고 상기 회전칫솔부(110) 하부에 연결되어 있는 칫솔헤드부(120); 상기 칫솔헤드부(120) 일단에 연결되어 형성된 연장부(130); 및 상기 연장부(130)와 연결된 몸체부(200)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200)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210); 상기 전원공급부(2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고 상기 회전칫솔부(11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전동모터(220); 상기 몸체부(200) 외부 일측에 설치되어 전원의 공급을 조작하기 위한 전원버튼(230); 상기 몸체부(200) 외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전동모터(22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회전버튼(240); 및 카메라 모듈(170)로부터 얻은 신호를 저장하거나 저장된 데이터를 블루투스에 의한 무선통신 방식으로 통해 스마트폰으로 전송하거나 페어링을 통해 실시간으로 스마트폰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제어부(250)를 포함하고, 자외선(ultraviolet ray)을 치아에 조사하기 위한 UV LED 모듈(150)과, 상기 UV LED 모듈(150)로부터 조사된 자외선에 의해 치아에서 발산하는 형광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기 위한 형광필터(160)와, 상기 형광필터(160)로부터 필터링된 형광을 촬영하거나 저장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170)이 상기 칫솔헤드부(120) 내부 또는 상기 몸체부(200) 상단에 구비되어 있다.
상기 UV LED 모듈(150)은 380∼405㎚ 파장대의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는 LE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형광필터(160)는 400∼600㎚ 파장대의 푸른색 형광을 흡수하고 600∼700㎚ 파장대의 붉은색 형광을 투과시키는 형광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형광필터(160) 하부에 상기 카메라 모듈(170)이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칫솔부(110)는 상기 칫솔헤드부(120)로부터 착탈착이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칫솔헤드부(120) 내부에 상기 UV LED 모듈(150)과, 상기 형광필터(160)와, 상기 카메라 모듈(170)이 내장되어 있을 수 있고, 상기 UV LED 모듈(150)로부터 조사된 광이 치아로 조사될 수 있게 하고 상기 치아에서 발산하는 형광이 상기 형광필터(160)에서 수집될 수 있게 하기 위한 개구부(114)가 상기 회전칫솔부(110)에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칫솔헤드부(120) 상부에 상기 칫솔헤드부(120) 상부에 2개의 회전칫솔부(110a, 110b)가 구비될 수 있고, 2개의 회전칫솔부(110a, 110b)는 서로 같은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고, 서로 다른 방향으로도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칫솔헤드부(120) 내부에 상기 UV LED 모듈(150)과, 상기 형광필터(160)와, 상기 카메라 모듈(170)이 내장되어 있을 수 있고, 상기 칫솔헤드부(120) 상부에 2개의 회전칫솔부(110a, 110b)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UV LED 모듈(150)로부터 조사된 광이 치아로 조사될 수 있게 하기 위한 개구부(114b)가 하나의 회전칫솔부(110b)에 구비되고, 상기 치아에서 발산하는 형광이 상기 형광필터(160)에서 수집될 수 있게 하기 위한 개구부(114a)가 다른 회전칫솔부(110a)에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전동칫솔은 상기 전동모터(220)와 상기 구동기어(140)를 연결하고 상기 전동모터(220)의 회전동력을 상기 구동기어(140)에 전달하며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대(18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회전칫솔부(110)는 상기 회전대(180)의 회전축과 수평한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기어(140)는 베벨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칫솔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전동칫솔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전동칫솔의 칫솔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전동칫솔의 몸체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전동칫솔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칫솔은 칫솔대(100)와 몸체부(200)를 포함한다.
상기 칫솔대(100)는 상부에 칫솔모(112)가 구비되고 회전운동 가능한 회전칫솔부(110)와, 상기 회전칫솔부(110) 하부에 연결된 칫솔헤드부(120)와, 상기 칫솔헤드부(120) 일단에 연결되어 형성된 연장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칫솔부(110)는 상부에 칫솔모(112)가 구비되고 회전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회전칫솔부(110)는 칫솔헤드부(120)로부터 착탈착이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회전칫솔부(110)가 착탈착 가능하므로 칫솔모(112)의 마모도에 따라 교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회전칫솔부(110)에는 UV LED 모듈(150)로부터 조사된 광이 치아로 조사될 수 있게 하고 상기 치아에서 발산하는 형광이 형광필터(160)에서 수집될 수 있게 하기 위한 개구부(114)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개구부(114)는 UV LED 모듈(150)로부터 조사된 광이 치아로 조사될 수 있게 하고 상기 치아에서 발산하는 형광이 상기 형광필터(160)에서 수집될 수 있게 하기 위해 관통홀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개구부(114)는 회전칫솔부(110)의 중심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UV LED 모듈(150)과 형광필터(160)의 배치 위치에 따라 회전칫솔부(110)의 선단이나 후단에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칫솔헤드부(120)는 회전칫솔부(110) 하부에 연결되어 구비된다. 칫솔헤드부(120)는 전동모터(220)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회전칫솔부(110)의 회전운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구동기어(140)와, 자외선(ultraviolet ray)을 치아에 조사하기 위한 UV LED 모듈(Ultraviolet Light Emitting Diode module)(150)과, 상기 UV LED 모듈(150)로부터 조사된 자외선에 의해 치아에서 발산하는 형광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기 위한 형광필터(160)와, 상기 형광필터(160)로부터 필터링된 형광(빛)을 촬영하거나 저장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170)을 포함한다.
상기 구동기어(140)는 전동모터(220)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회전칫솔부(110)의 회전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회전칫솔부(110)와 구동기어(140)는 기어축(116) 등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회전칫솔부(110)를 칫솔헤드부(120)로부터 탈착시에는 회전칫솔부(110)가 기어축(116) 등으로 부터 분리될 수 있게 구비되어 구동기어(14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구동기어(140)의 일 예로서 베벨기어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전동모터(220)와 구동기어(140)를 연결하고 전동모터(220)의 회전동력을 구동기어(140)에 전달하며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대(180)가 구비된다. 회전대(180)는 연장부(130)로부터 칫솔헤드부(120)에 이르기까지 그 내부에 내장되어 있을 수 있다. 회전칫솔부(110)는 회전대(180)의 회전축과 수평한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UV LED 모듈(Ultraviolet Light Emitting Diode module)(150)은 자외선(ultraviolet ray)을 치아에 조사하는 역할을 한다. UV LED 모듈(150)은 바람직하게는 380∼405㎚ 파장대의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는 LED(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형광필터(160)는 UV LED 모듈(150)로부터 조사된 자외선에 의해 치아에서 발산하는 형광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역할을 한다. 형광필터(160)는 400∼600㎚ 파장대의 푸른색 형광을 흡수하고 600∼700㎚ 파장대의 붉은색 형광을 투과시키는 형광필터일 수 있다. 형광필터(160)는 아크릴,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플라스틱이나 유리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170)은 형광필터(160)로부터 필터링된 형광(빛)을 촬영하거나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카메라 모듈(170)은 일 예로서 CCD(charge-coupled device) 카메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70)은 형광필터(160) 하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정 범위의 파장(600∼700㎚ 파장)만을 통과시키는 형광필터(160)와 카메라 모듈(170)을 이용하여 형광을 가시화할 수가 있다. 형광을 유발시키는 파장의 광을 발산하는 UV LED 모듈(150)을 치아에서 형광을 유발하고, 형광필터(160)를 사용하여 원하는 파장대만을 통과한 형광(빛)을 카메라 모듈(170)을 이용하여 촬영하여 볼 수가 있다.
UV LED 모듈(150)을 통해 자외선을 치아에 조사하면 치아에서 형광이 방출된다. 치아에서 자외선을 조사하게 되면, 건전 치질에서는 푸른색 형광을 나타낸 반면, 우식 병소에서는 형광이 소실되는 것이 관찰된다.
많은 연구자들이 빛에 의해 치아와 우식 병소에서 방출되는 형광에 관하여 연구하였고, 빛을 이용한 형광 탐지법은 우식의 활성을 찾아낼 수 있는 중요한 방법이다. 아직 치아 경조직에서 형광을 유발하는 형광단(fluorophore 또는 chromophore)에 대해서 명확히 밝혀진 바는 없지만, 푸른색 형광은 di-tyrosine에 의해, 노란색 형광은 proteinic chromophore에 의해, 붉은색 형광은 미생물 대사산물인 protoporphyrin에 의해 방출된다.
Porphyrin은 400㎚ 부근인 Soret band라고 불리는 파장영역에서 붉은색 형광을 효율적으로 방출하고, 500㎚에서 630㎚ 사이의 피크를 갖는 파장 영역의 4개의 Q band에서는 보다 낮은 효율로 붉은색 형광을 방출한다.
붉은색 형광 대사산물을 생성하는 세균으로 주로 치주염과 연관된 세균이 알려져 왔지만, 치아 우식과 연관이 있는 S. mutans 또한 580㎚에서 640㎚ 파장에서 방출 스펙트럼을 갖는다.
UV LED 모듈(150)과 카메라 모듈(170)은 모듈대(190)를 통해 전원공급부(210)와 연결된다.
상기 연장부(130)는 상기 칫솔헤드부(120) 일단에 연결되어 형성된다.
상기 칫솔헤드부(120)와 연장부(130)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칫솔헤드부(120)와 연장부(130)는 투명 또는 반투명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불투명 합성수지 재질도 가능하다. 전동칫솔 사용자의 연령, 사용 특징 등에 따라 칫솔헤드부(120)와 연장부(130)의 크기는 변동될 수 있으며, 그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칫솔대(100)와 몸체부(200)는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몸체부(200)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210)와, 전원공급부(2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고 회전칫솔부(11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전동모터(220)와, 몸체부(200) 외부 일측에 설치되어 전원의 공급을 조작하기 위한 전원버튼(230)과, 몸체부(200) 외부 일측에 설치되어 전동모터(22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회전버튼(240)과, 카메라 모듈(170)로부터 얻은 신호를 저장하거나 저장된 데이터를 블루투스에 의한 무선통신 방식으로 통해 스마트폰으로 전송하거나 페어링을 통해 실시간으로 스마트폰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제어부(250)를 포함한다.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210)는 배터리(battery)에 의해 전원을 공급하는 방식이 일 예일 수 있으나, 충전이 가능한 축전지로 구성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전동모터(220)는 전원공급부(2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고 회전칫솔부(11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한다. 칫솔헤드부(120)와 연장부(130)의 내부에는 전동모터(220)에서 전달된 회전동력에 의해 회전칫솔부(110)가 회전되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회전대(180)가 구비되어 있다. 칫솔헤드부(120)에는 전동모터(220)의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회전대(180)와 연결된 구동기어(140)가 구비되어 있고, 구동기어(140)의 메커니즘에 따라 회전칫솔부(110)가 회전한다. 전동모터(220)와 구동기어(140)는 회전대(180)를 통해 연결되어 있고, 전동모터(220)의 동작에 따라 회전대(180)가 회전하고 회전대(180)의 회전에 따라 구동기어(140)를 통해 회전구동력이 전달되어 회전칫솔부(110)가 회전되게 구성된다.
전원버튼(230)을 눌러서 전원이 전동모터(220)에 전달되면, 전동모터(220)가 구동되고, 전동모터(220)의 회전동력에 의해서 전동모터(220)에 연결된 회전대(180)는 회전운동 하게 된다.
회전대(180)가 회전운동을 하면, 회전대(180)에 연결된 구동기어(140)(예컨대, 베벨기어 등)가 회전운동을 하게 된다. 구동기어(140)에 연동되어 회전칫솔부(110)가 회전운동을 하게 됨으로써 칫솔질을 할 수 있게 된다.
회전버튼(240)은 전동모터(220)의 작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회전칫솔부(110)가 1개 구비되는 경우, 칫솔헤드부(120)에 구비되는 구동기어(140)(예컨대, 베벨기어 등)를 통해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회전칫솔부(110)가 회전한다.
예를 들면, 회전버튼(240)을 한 번 누르면 전동모터(220)가 구동되어 회전칫솔부(110)가 회전되고, 회전칫솔부(110)가 회전하는 상태에서 회전버튼(240)을 다시 한 번 누르면 전동모터(220)의 동작이 중지되고 회전칫솔부(110)의 회전이 멈추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원버튼(230)은 몸체부(200) 외부 일측에 설치되어 전원의 공급을 조작하기 위해 설치된다. 전원버튼(230)은 UV LED 모듈(150) 및 카메라 모듈(170)에 공급되는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예컨대, 전원버튼(230)을 길게 누르면 전원공급부(210)로부터 전원이 공급되고, UV LED 모듈(150) 및 카메라 모듈(170)에 전원이 공급되게 된다.
예컨대, 전원버튼(230)을 짧게 누르면 블루투스를 통해 카메라 모듈(170)에서 촬영된 데이타를 확인할 수 있다. 블루투스는 공지의 블루투스 송수신 모듈을 통해 구성될 수 있으며, 제어부(250)와 스마트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상호 연동시켜 카메라 모듈(170)에서 촬영된 데이타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치아의 상태를 확인하고 관리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예컨대, 전원버튼(230)을 두 번 누르면 페어링이 된다. 페어링이 이루어지면 카메라 모듈(170)에서 촬영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스마트폰에서 확인할 수가 있다.
상기 제어부(250)는 카메라 모듈(170)로부터 얻은 신호를 저장하거나 저장된 데이터를 블루투스에 의한 무선통신 방식으로 통해 스마트폰으로 전송하거나 페어링을 통해 실시간으로 스마트폰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설치될 수 있다. 제어부(250)는 전동모터(2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50)는 UV LED 모듈(150) 및 카메라 모듈(170)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자외선 조사시에 치아에서 발생되는 형광을 형광필터(160)를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필터링하고 카메라 모듈(170)을 통해 촬영하여 이를 스마트폰 등으로 확인함으로써 치아의 건강 상태를 확인하고 관리할 수가 있다.
<실시예 2>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전동칫솔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전동칫솔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칫솔은 칫솔대(100)와 몸체부(200)를 포함한다.
상기 칫솔대(100)는 상부에 칫솔모(112)가 구비되고 회전운동 가능한 2개의 회전칫솔부(110a, 110b)와, 상기 회전칫솔부(110a, 110b) 하부에 연결된 칫솔헤드부(120)와, 상기 칫솔헤드부(120) 일단에 연결되어 형성된 연장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칫솔부(110a, 110b)는 상부에 칫솔모(112)가 구비되고 회전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회전칫솔부(110a, 110b)는 칫솔헤드부(120)로부터 착탈착이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회전칫솔부(110a, 110b)가 착탈착 가능하므로 칫솔모(112)의 마모도에 따라 교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회전칫솔부(110b)에는 UV LED 모듈(150)로부터 조사된 광이 치아로 조사될 수 있게 하기 위한 개구부(114b)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고, 상기 회전칫솔부(110a)에는 상기 치아에서 발산하는 형광이 형광필터(160)에서 수집될 수 있게 하기 위한 개구부(114a)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개구부(114a, 114b)는 관통홀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개구부(114a, 114b)는 회전칫솔헤드부(110a, 110b)의 중심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UV LED 모듈(150)과 형광필터(160)의 배치 위치에 따라 회전칫솔부(110a, 110b)의 선단이나 후단에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칫솔헤드부(120)는 회전칫솔부(110a, 110b) 하부에 연결되어 구비된다. 칫솔헤드부(120)는 전동모터(220a, 220b)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회전칫솔부(110a, 110b)의 회전운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구동기어(140a, 140b)와, 자외선(ultraviolet ray)을 치아에 조사하기 위한 UV LED 모듈(Ultraviolet Light Emitting Diode module)(150)과, 상기 UV LED 모듈(150)로부터 조사된 자외선에 의해 치아에서 발산하는 형광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기 위한 형광필터(160)와, 상기 형광필터(160)로부터 필터링된 형광(빛)을 촬영하거나 저장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170)을 포함한다.
구동기어(140a)는 전동모터(220a)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회전칫솔부(110a)의 회전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하고, 구동기어(140b)는 전동모터(220b)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회전칫솔부(110b)의 회전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회전칫솔부(110a)와 구동기어(140a)는 기어축(116a) 등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고, 회전칫솔부(110b)와 구동기어(140b)는 기어축(116b) 등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회전칫솔부(110a)를 칫솔헤드부(120)로부터 탈착시에는 회전칫솔부(110a)가 기어축(116a) 등으로 부터 분리될 수 있게 구비되어 구동기어(140a)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회전칫솔부(110b)를 칫솔헤드부(120)로부터 탈착시에는 회전칫솔부(110b)가 기어축(116b) 등으로 부터 분리될 수 있게 구비되어 구동기어(140b)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구동기어(140a, 140b)의 일 예로서 베벨기어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전동모터(220a)와 구동기어(140a)를 연결하고 전동모터(220a)의 회전동력을 구동기어(140a)에 전달하며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대(180a)가 구비되고, 전동모터(220b)와 구동기어(140b)를 연결하고 전동모터(220b)의 회전동력을 구동기어(140b)에 전달하며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대(180b)가 구비된다. 회전대(180a, 180b)는 연장부(130)로부터 칫솔헤드부(120)에 이르기까지 그 내부에 내장되어 있을 수 있다. 회전칫솔부(110a)는 회전대(180a)의 회전축과 수평한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고, 회전칫솔부(110b)는 회전대(180b)의 회전축과 수평한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UV LED 모듈(Ultraviolet Light Emitting Diode module)(150)은 자외선(ultraviolet ray)을 치아에 조사하는 역할을 한다. UV LED 모듈(150)은 바람직하게는 380∼405㎚ 파장대의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는 LED(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형광필터(160)는 UV LED 모듈(150)로부터 조사된 자외선에 의해 치아에서 발산하는 형광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역할을 한다. 형광필터(160)는 400∼600㎚ 파장대의 푸른색 형광을 흡수하고 600∼700㎚ 파장대의 붉은색 형광을 투과시키는 형광필터일 수 있다. 형광필터(160)는 아크릴,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플라스틱이나 유리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170)은 형광필터(160)로부터 필터링된 형광(빛)을 촬영하거나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카메라 모듈(170)은 일 예로서 CCD(charge-coupled device) 카메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70)은 형광필터(160) 하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정 범위의 파장(600∼700㎚ 파장)만을 통과시키는 형광필터(160)와 카메라 모듈(170)을 이용하여 형광을 가시화할 수가 있다. 형광을 유발시키는 파장의 광을 발산하는 UV LED 모듈(150)을 치아에서 형광을 유발하고, 형광필터(160)를 사용하여 원하는 파장대만을 통과한 형광(빛)을 카메라 모듈(170)을 이용하여 촬영하여 볼 수가 있다.
UV LED 모듈(150)을 통해 자외선을 치아에 조사하면 치아에서 형광이 방출된다. 치아에서 자외선을 조사하게 되면, 건전 치질에서는 푸른색 형광을 나타낸 반면, 우식 병소에서는 형광이 소실되는 것이 관찰된다.
많은 연구자들이 빛에 의해 치아와 우식 병소에서 방출되는 형광에 관하여 연구하였고, 빛을 이용한 형광 탐지법은 우식의 활성을 찾아낼 수 있는 중요한 방법이다. 아직 치아 경조직에서 형광을 유발하는 형광단(fluorophore 또는 chromophore)에 대해서 명확히 밝혀진 바는 없지만, 푸른색 형광은 di-tyrosine에 의해, 노란색 형광은 proteinic chromophore에 의해, 붉은색 형광은 미생물 대사산물인 protoporphyrin에 의해 방출된다.
Porphyrin은 400㎚ 부근인 Soret band라고 불리는 파장영역에서 붉은색 형광을 효율적으로 방출하고, 500㎚에서 630㎚ 사이의 피크를 갖는 파장 영역의 4개의 Q band에서는 보다 낮은 효율로 붉은색 형광을 방출한다.
붉은색 형광 대사산물을 생성하는 세균으로 주로 치주염과 연관된 세균이 알려져 왔지만, 치아 우식과 연관이 있는 S. mutans 또한 580㎚에서 640㎚ 파장에서 방출 스펙트럼을 갖는다.
UV LED 모듈(150)과 카메라 모듈(170)은 모듈대(190)를 통해 전원공급부(210)와 연결된다.
상기 연장부(130)는 상기 칫솔헤드부(120) 일단에 연결되어 형성된다.
상기 칫솔헤드부(120)와 연장부(130)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칫솔헤드부(120)와 연장부(130)는 투명 또는 반투명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불투명 합성수지 재질도 가능하다. 전동칫솔 사용자의 연령, 사용 특징 등에 따라 칫솔헤드부(120)와 연장부(130)의 크기는 변동될 수 있으며, 그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칫솔대(100)와 몸체부(200)는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몸체부(200)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210)와, 전원공급부(2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고 회전칫솔부(110a)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전동모터(220a)와, 전원공급부(2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고 회전칫솔부(110b)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전동모터(220b)와, 몸체부(200) 외부 일측에 설치되어 전원의 공급을 조작하기 위한 전원버튼(230)과, 몸체부(200) 외부 일측에 설치되어 전동모터(220a, 220b)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회전버튼(240)과, 카메라 모듈(170)로부터 얻은 신호를 저장하거나 저장된 데이터를 블루투스에 의한 무선통신 방식으로 통해 스마트폰으로 전송하거나 페어링을 통해 실시간으로 스마트폰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제어부(250)를 포함한다.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210)는 배터리(battery)에 의해 전원을 공급하는 방식이 일 예일 수 있으나, 충전이 가능한 축전지로 구성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전동모터(220a)는 전원공급부(2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고 회전칫솔부(110a)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고, 전동모터(220b)는 전원공급부(2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고 회전칫솔부(110b)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한다. 칫솔헤드부(120)와 연장부(130)의 내부에는, 전동모터(220a)에서 전달된 회전동력에 의해 회전칫솔부(110a)가 회전되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회전대(180a)가 구비되어 있고, 전동모터(220b)에서 전달된 회전동력에 의해 회전칫솔부(110b)가 회전되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회전대(180b)가 구비되어 있다. 칫솔헤드부(120)에는 전동모터(220a)의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회전대(180a)와 연결된 구동기어(140a)가 구비되어 있고, 구동기어(140a)의 메커니즘에 따라 회전칫솔부(110a)가 회전하고, 또한 칫솔헤드부(120)에는 전동모터(220b)의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회전대(180b)와 연결된 구동기어(140b)가 구비되어 있고, 구동기어(140b)의 메커니즘에 따라 회전칫솔부(110b)가 회전한다. 전동모터(220a)와 구동기어(140a)는 회전대(180a)를 통해 연결되어 있고, 전동모터(220a)의 동작에 따라 회전대(180a)가 회전하고 회전대(180a)의 회전에 따라 구동기어(140a)를 통해 회전구동력이 전달되어 회전칫솔부(110a)가 회전되게 구성되고, 전동모터(220b)와 구동기어(140b)는 회전대(180b)를 통해 연결되어 있고, 전동모터(220b)의 동작에 따라 회전대(180b)가 회전하고 회전대(180b)의 회전에 따라 구동기어(140b)를 통해 회전구동력이 전달되어 회전칫솔부(110b)가 회전되게 구성된다.
전원버튼(230)을 눌러서 전원이 전동모터(220a)에 전달되면, 전동모터(220a)가 구동되고, 전동모터(220a)의 회전동력에 의해서 전동모터(220a)에 연결된 회전대(180a)는 회전운동을 하게 된다. 또한, 전원버튼(230)을 눌러서 전원이 전동모터(220b)에 전달되면, 전동모터(220b)가 구동되고, 전동모터(220b)의 회전동력에 의해서 전동모터(220b)에 연결된 회전대(180b)는 회전운동을 하게 된다.
회전대(180a)가 회전운동을 하면, 회전대(180a)에 연결된 구동기어(140a)(예컨대, 베벨기어 등)가 회전운동을 하게 되고, 구동기어(140a)에 연동되어 회전칫솔부(110a)가 회전운동을 하게 됨으로써 칫솔질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회전대(180b)가 회전운동을 하면, 회전대(180b)에 연결된 구동기어(140b)(예컨대, 베벨기어 등)가 회전운동을 하게 되고, 구동기어(140b)에 연동되어 회전칫솔부(110b)가 회전운동을 하게 됨으로써 칫솔질을 할 수 있게 된다.
회전버튼(240)은 전동모터(220a, 220b)의 작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전동모터(220a)와 전동모터(220b)는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게 구비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2개의 회전칫솔부(110a, 110b)가 구비되는 경우, 회전대(180a)에 연결된 구동기어(140a)(예컨대, 베베릭어)를 통해 전달되는 제1 동력에 의해 회전칫솔부(110a)가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회전대(180b)에 연결된 구동기어(140b)(예컨대, 베벨기어)를 통해 전달되는 제2 동력에 의해 회전칫솔부(110b)가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2개의 회전칫솔부(110a, 110b)가 구성되는 경우로서, 회전버튼(240)을 한 번 누르면 전동모터(220a, 220b)가 구동되어 2개의 회전칫솔부(110a, 110b)가 같은 방향으로 회전되게 하고, 2개의 회전칫솔부(110a, 110b)가 회전하는 상태에서 회전버튼(240)을 다시 한 번 누르면 전동모터(220a, 220b)의 동작이 중지되고 회전칫솔부(110a, 110b)의 회전이 멈추게 구성될 수 있다.
2개의 회전칫솔부(110a, 110b)가 2개로 구성되는 경우로서, 회전버튼(240)을 연속하여 두 번 누르면 전동모터(220a, 220b)가 구동되어 2개의 회전칫솔부(110a, 110b)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되게 하고, 2개의 회전칫솔부(110a, 110b)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는 상태에서 회전버튼(240)을 다시 한 번 누르면 전동모터(220a, 220b)의 동작이 중지되고 회전칫솔부(110a, 110b)의 회전이 멈추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원버튼(230)은 몸체부(200) 외부 일측에 설치되어 전원의 공급을 조작하기 위해 설치된다. 전원버튼(230)은 UV LED 모듈(150) 및 카메라 모듈(170)에 공급되는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예컨대, 전원버튼(230)을 길게 누르면 전원공급부(210)로부터 전원이 공급되고, UV LED 모듈(150) 및 카메라 모듈(170)에 전원이 공급되게 된다.
예컨대, 전원버튼(230)을 짧게 누르면 블루투스를 통해 카메라 모듈(170)에서 촬영된 데이타를 확인할 수 있다. 블루투스는 공지의 블루투스 송수신 모듈을 통해 구성될 수 있으며, 제어부(250)와 스마트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상호 연동시켜 카메라 모듈(170)에서 촬영된 데이타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치아의 상태를 확인하고 관리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예컨대, 전원버튼(230)을 두 번 누르면 페어링이 된다. 페어링이 이루어지면 카메라 모듈(170)에서 촬영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스마트폰에서 확인할 수가 있다.
상기 제어부(250)는 카메라 모듈(170)로부터 얻은 신호를 저장하거나 저장된 데이터를 블루투스에 의한 무선통신 방식으로 통해 스마트폰으로 전송하거나 페어링을 통해 실시간으로 스마트폰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설치될 수 있다. 제어부(250)는 전동모터(2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50)는 UV LED 모듈(150) 및 카메라 모듈(170)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자외선 조사시에 치아에서 발생되는 형광을 형광필터(160)를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필터링하고 카메라 모듈(170)을 통해 촬영하여 이를 스마트폰 등으로 확인함으로써 치아의 건강 상태를 확인하고 관리할 수가 있다.
<실시예 3>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전동칫솔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전동칫솔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칫솔은 칫솔대(100)와 몸체부(200)를 포함한다.
상기 칫솔대(100)는 상부에 칫솔모(112)가 구비되고 회전운동 가능한 회전칫솔부(110)와, 상기 회전칫솔부(110) 하부에 연결된 칫솔헤드부(120)와, 상기 칫솔헤드부(120) 일단에 연결되어 형성된 연장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칫솔부(110)는 상부에 칫솔모(112)가 구비되고 회전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회전칫솔부(110)는 칫솔헤드부(120)로부터 착탈착이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회전칫솔부(110)가 착탈착 가능하므로 칫솔모(112)의 마모도에 따라 교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칫솔헤드부(120)는 회전칫솔부(110) 하부에 연결되어 구비된다. 칫솔헤드부(120)는 전동모터(220)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회전칫솔부(110)의 회전운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구동기어(140)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기어(140)는 전동모터(220)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회전칫솔부(110)의 회전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회전칫솔부(110)와 구동기어(140)는 기어축(116) 등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회전칫솔부(110)를 칫솔헤드부(120)로부터 탈착시에는 회전칫솔부(110)가 기어축(116) 등으로 부터 분리될 수 있게 구비되어 구동기어(14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구동기어(140)의 일 예로서 베벨기어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전동모터(220)와 구동기어(140)를 연결하고 전동모터(220)의 회전동력을 구동기어(140)에 전달하며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대(180)가 구비된다. 회전대(180)는 연장부(130)로부터 칫솔헤드부(120)에 이르기까지 그 내부에 내장되어 있을 수 있다. 회전칫솔부(110)는 회전대(180)의 회전축과 수평한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몸체부(200)는 자외선(ultraviolet ray)을 치아에 조사하기 위한 UV LED 모듈(Ultraviolet Light Emitting Diode module)(150)과, 상기 UV LED 모듈(150)로부터 조사된 자외선에 의해 치아에서 발산하는 형광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기 위한 형광필터(160)와, 상기 형광필터(160)로부터 필터링된 형광(빛)을 촬영하거나 저장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170)을 포함한다. 형광필터(160)와 카메라 모듈(170)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200) 상단에 돌출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UV LED 모듈(150)도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200) 상단에 돌출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UV LED 모듈(Ultraviolet Light Emitting Diode module)(150)은 자외선(ultraviolet ray)을 치아에 조사하는 역할을 한다. UV LED 모듈(150)은 바람직하게는 380∼405㎚ 파장대의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는 LED(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형광필터(160)는 UV LED 모듈(150)로부터 조사된 자외선에 의해 치아에서 발산하는 형광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역할을 한다. 형광필터(160)는 400∼600㎚ 파장대의 푸른색 형광을 흡수하고 600∼700㎚ 파장대의 붉은색 형광을 투과시키는 형광필터일 수 있다. 형광필터(160)는 아크릴,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플라스틱이나 유리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170)은 형광필터(160)로부터 필터링된 형광(빛)을 촬영하거나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카메라 모듈(170)은 일 예로서 CCD(charge-coupled device) 카메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70)은 형광필터(160) 하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정 범위의 파장(600∼700㎚ 파장)만을 통과시키는 형광필터(160)와 카메라 모듈(170)을 이용하여 형광을 가시화할 수가 있다. 형광을 유발시키는 파장의 광을 발산하는 UV LED 모듈(150)을 치아에서 형광을 유발하고, 형광필터(160)를 사용하여 원하는 파장대만을 통과한 형광(빛)을 카메라 모듈(170)을 이용하여 촬영하여 볼 수가 있다.
UV LED 모듈(150)을 통해 자외선을 치아에 조사하면 치아에서 형광이 방출된다. 치아에서 자외선을 조사하게 되면, 건전 치질에서는 푸른색 형광을 나타낸 반면, 우식 병소에서는 형광이 소실되는 것이 관찰된다.
많은 연구자들이 빛에 의해 치아와 우식 병소에서 방출되는 형광에 관하여 연구하였고, 빛을 이용한 형광 탐지법은 우식의 활성을 찾아낼 수 있는 중요한 방법이다. 아직 치아 경조직에서 형광을 유발하는 형광단(fluorophore 또는 chromophore)에 대해서 명확히 밝혀진 바는 없지만, 푸른색 형광은 di-tyrosine에 의해, 노란색 형광은 proteinic chromophore에 의해, 붉은색 형광은 미생물 대사산물인 protoporphyrin에 의해 방출된다.
Porphyrin은 400㎚ 부근인 Soret band라고 불리는 파장영역에서 붉은색 형광을 효율적으로 방출하고, 500㎚에서 630㎚ 사이의 피크를 갖는 파장 영역의 4개의 Q band에서는 보다 낮은 효율로 붉은색 형광을 방출한다.
붉은색 형광 대사산물을 생성하는 세균으로 주로 치주염과 연관된 세균이 알려져 왔지만, 치아 우식과 연관이 있는 S. mutans 또한 580㎚에서 640㎚ 파장에서 방출 스펙트럼을 갖는다.
UV LED 모듈(150)과 카메라 모듈(170)은 전원공급부(2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연장부(130)는 상기 칫솔헤드부(120) 일단에 연결되어 형성된다.
상기 칫솔헤드부(120)와 연장부(130)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칫솔헤드부(120)와 연장부(130)는 투명 또는 반투명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불투명 합성수지 재질도 가능하다. 전동칫솔 사용자의 연령, 사용 특징 등에 따라 칫솔헤드부(120)와 연장부(130)의 크기는 변동될 수 있으며, 그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칫솔대(100)와 몸체부(200)는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몸체부(200)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210)와, 전원공급부(2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고 회전칫솔부(11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전동모터(220)와, 몸체부(200) 외부 일측에 설치되어 전원의 공급을 조작하기 위한 전원버튼(230)과, 몸체부(200) 외부 일측에 설치되어 전동모터(22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회전버튼(240)과, 카메라 모듈(170)로부터 얻은 신호를 저장하거나 저장된 데이터를 블루투스에 의한 무선통신 방식으로 통해 스마트폰으로 전송하거나 페어링을 통해 실시간으로 스마트폰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제어부(250)를 포함한다.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210)는 배터리(battery)에 의해 전원을 공급하는 방식이 일 예일 수 있으나, 충전이 가능한 축전지로 구성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전동모터(220)는 전원공급부(2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고 회전칫솔부(11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한다. 칫솔헤드부(120)와 연장부(130)의 내부에는 전동모터(220)에서 전달된 회전동력에 의해 회전칫솔부(110)가 회전되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회전대(180)가 구비되어 있다. 칫솔헤드부(120)에는 전동모터(220)의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회전대(180)와 연결된 구동기어(140)가 구비되어 있고, 구동기어(140)의 메커니즘에 따라 회전칫솔부(110)가 회전한다. 전동모터(220)와 구동기어(140)는 회전대(180)를 통해 연결되어 있고, 전동모터(220)의 동작에 따라 회전대(180)가 회전하고 회전대(180)의 회전에 따라 구동기어(140)를 통해 회전구동력이 전달되어 회전칫솔부(110)가 회전되게 구성된다.
전원버튼(230)을 눌러서 전원이 전동모터(220)에 전달되면, 전동모터(220)가 구동되고, 전동모터(220)의 회전동력에 의해서 전동모터(220)에 연결된 회전대(180)는 회전운동 하게 된다.
회전대(180)가 회전운동을 하면, 회전대(180)에 연결된 구동기어(140)(예컨대, 베벨기어 등)가 회전운동을 하게 된다. 구동기어(140)에 연동되어 회전칫솔부(110)가 회전운동을 하게 됨으로써 칫솔질을 할 수 있게 된다.
회전버튼(240)은 전동모터(220)의 작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회전칫솔부(110)가 1개 구비되는 경우, 칫솔헤드부(120)에 구비되는 구동기어(140)(예컨대, 베벨기어 등)를 통해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회전칫솔부(110)가 회전한다.
예를 들면, 회전버튼(240)을 한 번 누르면 전동모터(220)가 구동되어 회전칫솔부(110)가 회전되고, 회전칫솔부(110)가 회전하는 상태에서 회전버튼(240)을 다시 한 번 누르면 전동모터(220)의 동작이 중지되고 회전칫솔부(110)의 회전이 멈추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원버튼(230)은 몸체부(200) 외부 일측에 설치되어 전원의 공급을 조작하기 위해 설치된다. 전원버튼(230)은 UV LED 모듈(150) 및 카메라 모듈(170)에 공급되는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예컨대, 전원버튼(230)을 길게 누르면 전원공급부(210)로부터 전원이 공급되고, UV LED 모듈(150) 및 카메라 모듈(170)에 전원이 공급되게 된다.
예컨대, 전원버튼(230)을 짧게 누르면 블루투스를 통해 카메라 모듈(170)에서 촬영된 데이타를 확인할 수 있다. 블루투스는 공지의 블루투스 송수신 모듈을 통해 구성될 수 있으며, 제어부(250)와 스마트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상호 연동시켜 카메라 모듈(170)에서 촬영된 데이타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치아의 상태를 확인하고 관리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예컨대, 전원버튼(230)을 두 번 누르면 페어링이 된다. 페어링이 이루어지면 카메라 모듈(170)에서 촬영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스마트폰에서 확인할 수가 있다.
상기 제어부(250)는 카메라 모듈(170)로부터 얻은 신호를 저장하거나 저장된 데이터를 블루투스에 의한 무선통신 방식으로 통해 스마트폰으로 전송하거나 페어링을 통해 실시간으로 스마트폰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설치될 수 있다. 제어부(250)는 전동모터(2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50)는 UV LED 모듈(150) 및 카메라 모듈(170)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자외선 조사시에 치아에서 발생되는 형광을 형광필터(160)를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필터링하고 카메라 모듈(170)을 통해 촬영하여 이를 스마트폰 등으로 확인함으로써 치아의 건강 상태를 확인하고 관리할 수가 있다.
<실시예 4>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 실시예에 따른 전동칫솔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 실시예에 따른 전동칫솔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칫솔은 칫솔대(100)와 몸체부(200)를 포함한다.
상기 칫솔대(100)는 상부에 칫솔모(112)가 구비되고 회전운동 가능한 2개의 회전칫솔부(110a, 110b)와, 상기 회전칫솔부(110a, 110b) 하부에 연결된 칫솔헤드부(120)와, 상기 칫솔헤드부(120) 일단에 연결되어 형성된 연장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칫솔부(110a, 110b)는 상부에 칫솔모(112)가 구비되고 회전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회전칫솔부(110a, 110b)는 칫솔헤드부(120)로부터 착탈착이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회전칫솔부(110a, 110b)가 착탈착 가능하므로 칫솔모(112)의 마모도에 따라 교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칫솔헤드부(120)는 회전칫솔부(110a, 110b) 하부에 연결되어 구비된다. 칫솔헤드부(120)는 전동모터(220a, 220b)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회전칫솔부(110a, 110b)의 회전운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구동기어(140a, 140b)를 포함한다.
구동기어(140a)는 전동모터(220a)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회전칫솔부(110a)의 회전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하고, 구동기어(140b)는 전동모터(220b)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회전칫솔부(110b)의 회전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회전칫솔부(110a)와 구동기어(140a)는 기어축(116a) 등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고, 회전칫솔부(110b)와 구동기어(140b)는 기어축(116b) 등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회전칫솔부(110a)를 칫솔헤드부(120)로부터 탈착시에는 회전칫솔부(110a)가 기어축(116a) 등으로 부터 분리될 수 있게 구비되어 구동기어(140a)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회전칫솔부(110b)를 칫솔헤드부(120)로부터 탈착시에는 회전칫솔부(110b)가 기어축(116b) 등으로 부터 분리될 수 있게 구비되어 구동기어(140b)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구동기어(140a, 140b)의 일 예로서 베벨기어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전동모터(220a)와 구동기어(140a)를 연결하고 전동모터(220a)의 회전동력을 구동기어(140a)에 전달하며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대(180a)가 구비되고, 전동모터(220b)와 구동기어(140b)를 연결하고 전동모터(220b)의 회전동력을 구동기어(140b)에 전달하며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대(180b)가 구비된다. 회전대(180a, 180b)는 연장부(130)로부터 칫솔헤드부(120)에 이르기까지 그 내부에 내장되어 있을 수 있다. 회전칫솔부(110a)는 회전대(180a)의 회전축과 수평한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고, 회전칫솔부(110b)는 회전대(180b)의 회전축과 수평한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몸체부(200)는 자외선(ultraviolet ray)을 치아에 조사하기 위한 UV LED 모듈(Ultraviolet Light Emitting Diode module)(150)과, 상기 UV LED 모듈(150)로부터 조사된 자외선에 의해 치아에서 발산하는 형광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기 위한 형광필터(160)와, 상기 형광필터(160)로부터 필터링된 형광(빛)을 촬영하거나 저장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170)을 포함한다. 형광필터(160)와 카메라 모듈(170)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200) 상단에 돌출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UV LED 모듈(150)도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200) 상단에 돌출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UV LED 모듈(Ultraviolet Light Emitting Diode module)(150)은 자외선(ultraviolet ray)을 치아에 조사하는 역할을 한다. UV LED 모듈(150)은 바람직하게는 380∼405㎚ 파장대의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는 LED(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형광필터(160)는 UV LED 모듈(150)로부터 조사된 자외선에 의해 치아에서 발산하는 형광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역할을 한다. 형광필터(160)는 400∼600㎚ 파장대의 푸른색 형광을 흡수하고 600∼700㎚ 파장대의 붉은색 형광을 투과시키는 형광필터일 수 있다. 형광필터(160)는 아크릴,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플라스틱이나 유리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170)은 형광필터(160)로부터 필터링된 형광(빛)을 촬영하거나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카메라 모듈(170)은 일 예로서 CCD(charge-coupled device) 카메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70)은 형광필터(160) 하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정 범위의 파장(600∼700㎚ 파장)만을 통과시키는 형광필터(160)와 카메라 모듈(170)을 이용하여 형광을 가시화할 수가 있다. 형광을 유발시키는 파장의 광을 발산하는 UV LED 모듈(150)을 치아에서 형광을 유발하고, 형광필터(160)를 사용하여 원하는 파장대만을 통과한 형광(빛)을 카메라 모듈(170)을 이용하여 촬영하여 볼 수가 있다.
UV LED 모듈(150)을 통해 자외선을 치아에 조사하면 치아에서 형광이 방출된다. 치아에서 자외선을 조사하게 되면, 건전 치질에서는 푸른색 형광을 나타낸 반면, 우식 병소에서는 형광이 소실되는 것이 관찰된다.
많은 연구자들이 빛에 의해 치아와 우식 병소에서 방출되는 형광에 관하여 연구하였고, 빛을 이용한 형광 탐지법은 우식의 활성을 찾아낼 수 있는 중요한 방법이다. 아직 치아 경조직에서 형광을 유발하는 형광단(fluorophore 또는 chromophore)에 대해서 명확히 밝혀진 바는 없지만, 푸른색 형광은 di-tyrosine에 의해, 노란색 형광은 proteinic chromophore에 의해, 붉은색 형광은 미생물 대사산물인 protoporphyrin에 의해 방출된다.
Porphyrin은 400㎚ 부근인 Soret band라고 불리는 파장영역에서 붉은색 형광을 효율적으로 방출하고, 500㎚에서 630㎚ 사이의 피크를 갖는 파장 영역의 4개의 Q band에서는 보다 낮은 효율로 붉은색 형광을 방출한다.
붉은색 형광 대사산물을 생성하는 세균으로 주로 치주염과 연관된 세균이 알려져 왔지만, 치아 우식과 연관이 있는 S. mutans 또한 580㎚에서 640㎚ 파장에서 방출 스펙트럼을 갖는다.
UV LED 모듈(150)과 카메라 모듈(170)은 전원공급부(2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연장부(130)는 상기 칫솔헤드부(120) 일단에 연결되어 형성된다.
상기 칫솔헤드부(120)와 연장부(130)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칫솔헤드부(120)와 연장부(130)는 투명 또는 반투명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불투명 합성수지 재질도 가능하다. 전동칫솔 사용자의 연령, 사용 특징 등에 따라 칫솔헤드부(120)와 연장부(130)의 크기는 변동될 수 있으며, 그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칫솔대(100)와 몸체부(200)는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몸체부(200)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210)와, 전원공급부(2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고 회전칫솔부(110a)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전동모터(220a)와, 전원공급부(2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고 회전칫솔부(110b)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전동모터(220b)와, 몸체부(200) 외부 일측에 설치되어 전원의 공급을 조작하기 위한 전원버튼(230)과, 몸체부(200) 외부 일측에 설치되어 전동모터(220a, 220b)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회전버튼(240)과, 카메라 모듈(170)로부터 얻은 신호를 저장하거나 저장된 데이터를 블루투스에 의한 무선통신 방식으로 통해 스마트폰으로 전송하거나 페어링을 통해 실시간으로 스마트폰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제어부(250)를 포함한다.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210)는 배터리(battery)에 의해 전원을 공급하는 방식이 일 예일 수 있으나, 충전이 가능한 축전지로 구성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전동모터(220a)는 전원공급부(2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고 회전칫솔부(110a)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고, 전동모터(220b)는 전원공급부(2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고 회전칫솔부(110b)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한다. 칫솔헤드부(120)와 연장부(130)의 내부에는, 전동모터(220a)에서 전달된 회전동력에 의해 회전칫솔부(110a)가 회전되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회전대(180a)가 구비되어 있고, 전동모터(220b)에서 전달된 회전동력에 의해 회전칫솔부(110b)가 회전되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회전대(180b)가 구비되어 있다. 칫솔헤드부(120)에는 전동모터(220a)의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회전대(180a)와 연결된 구동기어(140a)가 구비되어 있고, 구동기어(140a)의 메커니즘에 따라 회전칫솔부(110a)가 회전하고, 또한 칫솔헤드부(120)에는 전동모터(220b)의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회전대(180b)와 연결된 구동기어(140b)가 구비되어 있고, 구동기어(140b)의 메커니즘에 따라 회전칫솔부(110b)가 회전한다. 전동모터(220a)와 구동기어(140a)는 회전대(180a)를 통해 연결되어 있고, 전동모터(220a)의 동작에 따라 회전대(180a)가 회전하고 회전대(180a)의 회전에 따라 구동기어(140a)를 통해 회전구동력이 전달되어 회전칫솔부(110a)가 회전되게 구성되고, 전동모터(220b)와 구동기어(140b)는 회전대(180b)를 통해 연결되어 있고, 전동모터(220b)의 동작에 따라 회전대(180b)가 회전하고 회전대(180b)의 회전에 따라 구동기어(140b)를 통해 회전구동력이 전달되어 회전칫솔부(110b)가 회전되게 구성된다.
전원버튼(230)을 눌러서 전원이 전동모터(220a)에 전달되면, 전동모터(220a)가 구동되고, 전동모터(220a)의 회전동력에 의해서 전동모터(220a)에 연결된 회전대(180a)는 회전운동을 하게 된다. 또한, 전원버튼(230)을 눌러서 전원이 전동모터(220b)에 전달되면, 전동모터(220b)가 구동되고, 전동모터(220b)의 회전동력에 의해서 전동모터(220b)에 연결된 회전대(180b)는 회전운동을 하게 된다.
회전대(180a)가 회전운동을 하면, 회전대(180a)에 연결된 구동기어(140a)(예컨대, 베벨기어 등)가 회전운동을 하게 되고, 구동기어(140a)에 연동되어 회전칫솔부(110a)가 회전운동을 하게 됨으로써 칫솔질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회전대(180b)가 회전운동을 하면, 회전대(180b)에 연결된 구동기어(140b)(예컨대, 베벨기어 등)가 회전운동을 하게 되고, 구동기어(140b)에 연동되어 회전칫솔부(110b)가 회전운동을 하게 됨으로써 칫솔질을 할 수 있게 된다.
회전버튼(240)은 전동모터(220a, 220b)의 작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전동모터(220a)와 전동모터(220b)는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게 구비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2개의 회전칫솔부(110a, 110b)가 구비되는 경우, 회전대(180a)에 연결된 구동기어(140a)(예컨대, 베베릭어)를 통해 전달되는 제1 동력에 의해 회전칫솔부(110a)가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회전대(180b)에 연결된 구동기어(140b)(예컨대, 베벨기어)를 통해 전달되는 제2 동력에 의해 회전칫솔부(110b)가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2개의 회전칫솔부(110a, 110b)가 구성되는 경우로서, 회전버튼(240)을 한 번 누르면 전동모터(220a, 220b)가 구동되어 2개의 회전칫솔부(110a, 110b)가 같은 방향으로 회전되게 하고, 2개의 회전칫솔부(110a, 110b)가 회전하는 상태에서 회전버튼(240)을 다시 한 번 누르면 전동모터(220a, 220b)의 동작이 중지되고 회전칫솔부(110a, 110b)의 회전이 멈추게 구성될 수 있다.
2개의 회전칫솔부(110a, 110b)가 2개로 구성되는 경우로서, 회전버튼(240)을 연속하여 두 번 누르면 전동모터(220a, 220b)가 구동되어 2개의 회전칫솔부(110a, 110b)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되게 하고, 2개의 회전칫솔부(110a, 110b)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는 상태에서 회전버튼(240)을 다시 한 번 누르면 전동모터(220a, 220b)의 동작이 중지되고 회전칫솔부(110a, 110b)의 회전이 멈추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원버튼(230)은 몸체부(200) 외부 일측에 설치되어 전원의 공급을 조작하기 위해 설치된다. 전원버튼(230)은 UV LED 모듈(150) 및 카메라 모듈(170)에 공급되는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예컨대, 전원버튼(230)을 길게 누르면 전원공급부(210)로부터 전원이 공급되고, UV LED 모듈(150) 및 카메라 모듈(170)에 전원이 공급되게 된다.
예컨대, 전원버튼(230)을 짧게 누르면 블루투스를 통해 카메라 모듈(170)에서 촬영된 데이타를 확인할 수 있다. 블루투스는 공지의 블루투스 송수신 모듈을 통해 구성될 수 있으며, 제어부(250)와 스마트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상호 연동시켜 카메라 모듈(170)에서 촬영된 데이타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치아의 상태를 확인하고 관리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예컨대, 전원버튼(230)을 두 번 누르면 페어링이 된다. 페어링이 이루어지면 카메라 모듈(170)에서 촬영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스마트폰에서 확인할 수가 있다.
상기 제어부(250)는 카메라 모듈(170)로부터 얻은 신호를 저장하거나 저장된 데이터를 블루투스에 의한 무선통신 방식으로 통해 스마트폰으로 전송하거나 페어링을 통해 실시간으로 스마트폰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설치될 수 있다. 제어부(250)는 전동모터(2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50)는 UV LED 모듈(150) 및 카메라 모듈(170)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자외선 조사시에 치아에서 발생되는 형광을 형광필터(160)를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필터링하고 카메라 모듈(170)을 통해 촬영하여 이를 스마트폰 등으로 확인함으로써 치아의 건강 상태를 확인하고 관리할 수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0: 칫솔대
110, 110a, 110b: 회전칫솔부
112: 칫솔모
114, 114a, 114b: 개구부
120: 칫솔헤드부
130: 연장부
140, 140a, 140b: 구동기어
150: UV LED 모듈
160: 형광필터
170: 카메라 모듈
180, 180a, 180b: 회전대
190: 모듈대
200: 몸체부
210: 전원공급부
220, 220a, 220b: 전동모터
230: 전원버튼
240: 회전버튼
250: 제어부

Claims (10)

  1. 상부에 칫솔모(112)가 구비되고 회전운동 가능한 회전칫솔부(110);
    전동모터(220)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회전칫솔부(110)의 회전운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구동기어(140)가 내장되어 있고 상기 회전칫솔부(110) 하부에 연결되어 있는 칫솔헤드부(120);
    상기 칫솔헤드부(120)에 연결되어 형성된 연장부(130); 및
    상기 연장부(130)와 연결된 몸체부(200)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200)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210);
    상기 전원공급부(2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고 상기 회전칫솔부(11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전동모터(220);
    상기 몸체부(200) 외부 일측에 설치되어 전원의 공급을 조작하기 위한 전원버튼(230);
    상기 몸체부(200) 외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전동모터(22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회전버튼(240); 및
    카메라 모듈(170)로부터 얻은 신호를 저장하거나 저장된 데이터를 블루투스에 의한 무선통신 방식으로 통해 스마트폰으로 전송하거나 페어링을 통해 실시간으로 스마트폰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제어부(250)를 포함하고,
    자외선(ultraviolet ray)을 치아에 조사하기 위한 UV LED 모듈(150)과, 상기 UV LED 모듈(150)로부터 조사된 자외선에 의해 치아에서 발산하는 형광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기 위한 형광필터(160)와, 상기 형광필터(160)로부터 필터링된 형광을 촬영하거나 저장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170)이 상기 칫솔헤드부(120) 내부 또는 상기 몸체부(200) 상단에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칫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V LED 모듈(150)은 380∼405㎚ 파장대의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는 LE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칫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필터(160)는 400∼600㎚ 파장대의 푸른색 형광을 흡수하고 600∼700㎚ 파장대의 붉은색 형광을 투과시키는 형광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칫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필터(160) 하부에 상기 카메라 모듈(170)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칫솔.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칫솔부(110)는 상기 칫솔헤드부(120)로부터 착탈착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칫솔.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칫솔헤드부(120) 내부에 상기 UV LED 모듈(150)과, 상기 형광필터(160)와, 상기 카메라 모듈(170)이 내장되어 있고,
    상기 UV LED 모듈(150)로부터 조사된 광이 치아로 조사될 수 있게 하고 상기 치아에서 발산하는 형광이 상기 형광필터(160)에서 수집될 수 있게 하기 위한 개구부(114)가 상기 회전칫솔부(110)에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칫솔.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칫솔헤드부(120) 상부에 2개의 회전칫솔부(110a, 110b)가 구비되고,
    2개의 회전칫솔부(110a, 110b)는 서로 같은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고, 서로 다른 방향으로도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칫솔.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칫솔헤드부(120) 내부에 상기 UV LED 모듈(150)과, 상기 형광필터(160)와, 상기 카메라 모듈(170)이 내장되어 있고,
    상기 칫솔헤드부(120) 상부에 2개의 회전칫솔부(110a, 110b)가 구비되며,
    상기 UV LED 모듈(150)로부터 조사된 광이 치아로 조사될 수 있게 하기 위한 개구부(114b)가 하나의 회전칫솔부(110b)에 구비되고,
    상기 치아에서 발산하는 형광이 상기 형광필터(160)에서 수집될 수 있게 하기 위한 개구부(114a)가 다른 회전칫솔부(110a)에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칫솔.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모터(220)와 상기 구동기어(140)를 연결하고 상기 전동모터(220)의 회전동력을 상기 구동기어(140)에 전달하며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대(18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칫솔부(110)는 상기 회전대(180)의 회전축과 수평한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칫솔.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어(140)는 베벨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칫솔.
KR1020190079077A 2019-07-02 2019-07-02 전동칫솔 KR202100033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9077A KR20210003373A (ko) 2019-07-02 2019-07-02 전동칫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9077A KR20210003373A (ko) 2019-07-02 2019-07-02 전동칫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3373A true KR20210003373A (ko) 2021-01-12

Family

ID=74129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9077A KR20210003373A (ko) 2019-07-02 2019-07-02 전동칫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337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70386A1 (en) 2022-03-08 2023-09-14 Dyson Technology Limited Systems & methods for oral inspection
KR102604199B1 (ko) * 2022-10-28 2023-11-20 김태환 진공석션 방식의 전동 혀 클리너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6578A (ko) 2008-11-20 2010-05-28 이주혁 세개의 회전칫솔부재를 갖는 전동칫솔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6578A (ko) 2008-11-20 2010-05-28 이주혁 세개의 회전칫솔부재를 갖는 전동칫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70386A1 (en) 2022-03-08 2023-09-14 Dyson Technology Limited Systems & methods for oral inspection
KR102604199B1 (ko) * 2022-10-28 2023-11-20 김태환 진공석션 방식의 전동 혀 클리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8915B1 (ko) 전자기 방사선 방출 칫솔 및 치분 시스템
JP4475923B2 (ja) 診断用撮影器
JP4521180B2 (ja) 診断用撮影器
US8938838B2 (en) Toothbrush with an imaging device being camera
RU2413479C2 (ru) Электрическая зубная щетка и заменяемые компоненты
JP2007515193A (ja) 電動歯ブラシ及び取替え可能な構成要素
WO2004012593A1 (en) Dental implement and method for tooth surface inspection
US7020925B1 (en) Mechanical toothbrush
KR20210003373A (ko) 전동칫솔
KR102022291B1 (ko) 구강살균 전동칫솔
KR100737691B1 (ko) 살균기능이 구비된 칫솔
US9956063B2 (en) Electric motorized toothbrush with rotating spindles
US20110151394A1 (en) Plaque toothtool and dentifrice system
KR20100056578A (ko) 세개의 회전칫솔부재를 갖는 전동칫솔
CN106913058B (zh) 发光式口腔护理器具
JP3230433U (ja) プラーク表示機能を備えた歯ブラシ
TWI540986B (zh) 具牙菌斑顯示功能之牙刷
KR200470176Y1 (ko) 칫솔
KR100314114B1 (ko) 레이저 살균기능을 이용한 전동칫솔
RU178767U1 (ru) Щетка зубная с подсветкой
TWM605635U (zh) 藍光牙刷
KR20240004067A (ko) 이미지 정보 수집 기능을 구비하는 광 조사 위생 장치
JP2023016715A (ja) 歯ブラシ並びに口腔内環境改善方法及び歯磨き方法
KR20110009089U (ko) 칫솔용 led 조사기
TWM497476U (zh) 具牙菌斑顯示功能之牙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