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3347A - Pedot을 이용한 차량용 터치 패드 및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Pedot을 이용한 차량용 터치 패드 및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3347A
KR20210003347A KR1020190078897A KR20190078897A KR20210003347A KR 20210003347 A KR20210003347 A KR 20210003347A KR 1020190078897 A KR1020190078897 A KR 1020190078897A KR 20190078897 A KR20190078897 A KR 20190078897A KR 20210003347 A KR20210003347 A KR 202100033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pattern
transparent conductive
touch pad
substrate
transpa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8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희창
황영준
전인섭
Original Assignee
한국성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성전(주) filed Critical 한국성전(주)
Priority to KR1020190078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3347A/ko
Publication of KR202100033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33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6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other non-metallic substances
    • H01B1/12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other non-metallic substances organic substances
    • H01B1/124Intrinsically conductive polymers
    • H01B1/127Intrinsically conductive polymers comprising five-membered aromatic rings in the main chain, e.g. polypyrroles, polythiophe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5/14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comprising conductive layers or films on insulating-suppo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4Multi-touch detection in digitiser, i.e. details about the simultaneous detection of a plurality of touching locations, e.g. multiple fingers or pen and fing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기판에 형성된 제1 투명도전패턴, 제1 투명도전패턴 위로 기판에 설치된 투명절연층, 투명절연층 위로 기판에 형성된 제2 투명도전패턴을 구비하며, 투명절연층은 제1 투명도전패턴과 제2 투명도전 패턴이 겹치는 부분에 한정되게 설치되고, 제1 투명도전패턴과 제2 투명도전패턴은 PEDOT 재질로 이루어진 차량용 터치 패드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기판의 같은 면에 제1 투명도전패턴과 제2 투명도전패턴을 함께 형성하여 터치 패드를 이루는 기판 수와 이들 기판을 결합시키기 위한 OCA 필름과 같은 적층되는 물질 층수를 줄일 수 있고, 투명절연막의 형성 면적도 줄일 수 있어서 제작되는 터치 패드는 얇고 구부러지기 용이하게 만들어 장착될 위치 및 표면 제약을 줄일 수 있으며, 재료 비용을 줄이고 공정을 단순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Description

PEDOT을 이용한 차량용 터치 패드 및 제조 방법{touch pad for car using PEDOT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용 전장장비의 일종인 터치패널 등에 사용될 수 있는 터치 패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PEDOT을 이용한 터치 패드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디스플레이 장치와 터치 패드가 결합되고, 이들을 콘트롤 보드 등 제어장치를 통해 공조시킴으로써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화면 일부 영역을 터치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상의 해당 영역에 할당된 기능이 구현되도록 이루어진 터치패널 혹은 터치스크린패널(TSP)이 많이 사용된다.
이런 터치패널은 휴대폰이나 태블릿컴퓨터, 노트북컴퓨터, 각종 장비의 디스플레이장치를 겸한 제어 및 입력 수단으로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최근 스마트폰의 사용이 많아지면서 급속히 사용이 증가되고 있다.
이런 터치패널에 사용되는 터치 패드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대상을 즉각적으로 터치함으로써 원하는 기능이 선택되고 실현되도록 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디스플레이와 일체화되어 별도의 키보드와 같은 입력수단을 소지할 필요가 없어 휴대성도 높일 수 있다.
터치 패드는 기존에 다양한 방식과 구조를 가진 것이 개발되어 구체적으로 잘 알려져 있다. 가령, 정전식 터치 패드는 특히 몇 가지 방식으로 구분되고 각각의 구조가 잘 알려지고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저항식 터치 패드도 정밀한 터치를 가능하게 한다는 점 등의 장점으로 초기부터 많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터치 패드의 다양한 구성 및 방식은 이미 이 기술분야에 잘 알려진 것이고 대부분 확립된 것이므로 그 각각의 구체적 구성에 대한 설명은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이런 터치 패드는 차량용으로 센터페시아나 계기판 등에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도 터치 패드는 기판의 어떤 특정 영역에 도전막으로 터치 패턴을 형성하고, 이 부분을 터치하면 연결 도선을 따라 터치 패널 외부의 콘트롤 보드로 신호를 전달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통상 패턴 주변부에 연결 도선 일부가 겹치도록 하고, 신호 전류가 효율적으로 전달되도록 패턴과 겹치는 연결 도선의 끝단을 확장시켜 전기 단자 혹은 접속부를 이루도록 한다.
터치 패드는 터치패널에서 이와 결합되는 디스플레이의 화면을 사용자가 보고 터치를 할 수 있도록 투명해야 하며, 터치된 영역의 감지를 위해, 가장 많이 사용되는 정전식 혹은 저항식 터치 패드에 있어서, 도전층 혹은 도전 패턴은 필수적인 것이 된다.
터치영역의 도전성 폴리머로 이루어진 터치 패턴을 콘트롤 보드와 연결하기 위해 상당 거리를 연결하는 연결 도선 패턴 혹은 연결 패턴이 필요하고, 이 연결 패턴을 도전성 폴리머로 할 경우 투명성은 좋지만 도전성이 약화되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연결 패턴은 터치 패턴에 비해 도전성이 좋은 금속 페이스트를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도1의 단면도와 도2의 평면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터치 패드를 형성하는 기판(11)에는 터치 영역의 도전층 혹은 터치 패턴(13)을 형성할 때 터치 패드를 통해 디스플레이 화면이 보이도록 투명한 도전체를 사용하게 되며, 투명 도전체로 기존에 금속 산화막 도전체의 일종인 ITO(indium tin oxide)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1에서 참조번호 13은 터치 패턴을, 참조번호 15는 터치 영역의 터치 패턴과 접속부(콘트롤 보드와 연결을 위한 접속부)를 연결할 때 도전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은 페이스트층 연결 패턴을, 참조번호 17은 이들 도전 패턴을 보호하기 위한 오버코트막을, 참조번호 19는 그 위로 다른 기판층이나 윈도우를 부착시키는 데 사용하는 OCA층을 각각 나타낸다.
이런 터치 패드를 형성하는 기판의 아래에는 통상 터치패널 형성을 위해 결합되는 디스플레이장치(미도시)가 있고, 터치 패드의 접속부에서는 단자에 해당하는 도전 패턴이 이방성도전필름(ACF:20)을 통해 연성인쇄회로기판(FPCB:30)의 도전층(31)과 결합된다. 연성인쇄회로기판의 다른 단부에 노출된 도전층(31)은 콘트롤 보드(40)의 기판(41) 표면에 노출된 단자 패턴(45)과 여러 방식으로 접속되어 결국 터치 패드와 콘트롤 보드를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한다.
그러나, ITO는 대개 스퍼터링 증착과 같은 진공 박막공정을 통해 많이 이루어지고,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을 거쳐야 하며, 기판이 구부러지는 것이 요구되는 경우 이 기판에 내구적으로 부착상태를 유지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반면, 터치 패드는 그 사용빈도와 용도가 늘어나면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에도 적용될 필요성이 늘어나고 있으며, 상용화가 이루어질 때에는 상시적으로 제작비용 절감의 압력을 받게 되는데, ITO 적층 및 패터닝과 같은 진공 적층공정이나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은 장비 및 공정 비용이 많이 드는 공정이므로 비용절감이 쉽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투명 도전 필름으로 ITO막을 진공환경에서 증착하고 포토리소그래피를 통해 패터닝하여 사용하는 대신 PEDOT(poly 3,4-ethylenedioxythiophene) 계열의 고분자 투명 도전 패턴을 직접 인쇄 형태로 형성하여 사용하기 위한 개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PEDOT막은 점성 조절이 어려워 잉크젯 방식 인쇄는 적합하지 않고, 흐르는 성질이 커서 미세한 패턴을 이루기가 쉽지 않고, 인접 패턴 사이의 단락의 문제가 생길 수 있다.
한편, 기존의 차량용 터치스크린 패널은 차량 대시보드에 주로 설치된다. 차량 대시보드는 주로 계기판과 센터페시아와 콘솔박스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데, 계기판과 센터페시아는 디스플레이 화면과 차량 요소 조절을 위한 버튼이 집중적으로 설치되는 곳이다. 종래에는 디스플레이 화면과 조절 버튼은 별개 구성을 이루는 경우가 많고 조절 버튼도 누름 버튼과 같은 기계적인 구성이 위주가 되었지만, 근래에는 차량의 전장 요소가 강화되고 사용자의 편의성이 강조되면서 표시 대상과 버튼을 직관적으로 일체화시킬 수 있는 터치 패널 방식의 도입이 늘어나고 있다.
최근에는 이런 대시보드에 주로 설치되던 터치스크린 패널을 다양한 차량 부위에 설치하면서 종래의 기계식 장치를 대체하거나 정보 입력의 수단으로 편리하게 이용하려는 시도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도3a 내지 도3c는 이런 패널에 사용될 수 있는 터치 패드의 상부 기판(제1 기판), 하부 기판(제2 기판) 및 상부 기판과 하부 기판을 겹친 상태에서의 도전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부 기판(10)의 제1 투명도전패턴(11)은 다수 쌍의 상하 방향으로 달리는 도선을 지그재그 형태로 구부려 각 쌍의 도전 패턴이 각 쌍의 중간을 지나는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면서 반복적으로 마름모 형태를 이루고, 마름모와 마름모 사이에는 서로 인접하게 평행을 이루는 짧은 선형 구간이 있도록 하여 전체적으로는 각 도선이 서로 만나지 않으면서 격자무늬와 비슷한 모양을 이룬다.
하부 기판(20)의 제2 투명도전패턴(21)은 다수 쌍의 좌우 방향으로 달리는 도선을 지그재그 형태로 구부려 각 쌍의 도전 패턴이 각 쌍의 중간을 지나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면서 반복적으로 마름모 형태를 이루고 마름모와 마름모 사이에는 서로 인접하게 평행을 이루는 짧은 선형 구간이 있도록 하여 전체적으로는 각 도선이 서로 만나지 않으면서 격자무늬와 비슷한 모양을 이룬다.
제1 투명도전패턴과 제2 투명도전패턴 사이에 전체적으로 유전체층이 존재하도록 하면서 상부 기판과 하부 기판을 적층하여 터치 패드를 형성할 때에는 제1 도전 패턴의 짧은 선형 구간과 제2 도전 패턴의 짧은 선형 구간이 평면도 상으로 서로 수직하게 가로지르면서 겹치는 영역(31)을 형성하고, 다른 영역에서는 서로 겹치는 부분이 없이, 마름모를 이루는 변들에서 제1 투명도전패턴과 제2 투명도전패턴이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면서 서로 평행한 상태가 된다.
상부 기판과 하부 기판 사이의 위치 정렬이 잘 이루어진 것을 전제로 볼 때, 제1 투명도전패턴과 제2 투명도전패턴이 서로 겹치는 영역(31) 혹은 겹치는 부분은 전체 면적에서 매우 한정된 부분이며 다른 패턴 부분은 제1 투명도전패턴과 제2 투명도전패턴 사이에 유전체가 없어도 단락의 문제가 없음을 알 수 있고, 유전체가 있으면 터치 패드 두께가 두꺼워져 광 효율이나 재료 소비, 쉽게 구부러질 수 있는 능력인 가요성(flexibility) 등의 측면에서 오히려 불리하게 작용하게 된다.
WO 2012015254A2: 투명 도전막의 제조방법 및 의에 의해 제조된 투명 도전막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125932호 : 인쇄층 일체형 터치스크린 패널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17784호 : 터치스크린 방식 자동차 센터페이사 패널 및 그 센터페시아 패널 제조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13826호 : 정전용량 터치패널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종래의 차량용 터치 패드가 대시보드와 같은 위치에 전체적으로 평평한 형태로 설치되던 것에서 확장되어 다양한 부위에 다양한 형태로 설치되기에 적합한 구성을 가지는 차량용 터치 패드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에 해당 기능의 단순한 온/오프, 증가/감소 등의 조절을 담당하던 것에서 멀티터치가 가능하고, 데이터 입력이 더욱 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구성을 가지는 차량용 터치 패드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상의 목적을 위해 구성을 더욱 단순화할 수 있고, 형태를 설치 위치에 따라 자재로 변형시키는 것이 용이한 차량용 터치 패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투명도전 패턴을 형성한 두 기판을 서로 패턴이 마주보게 형성하거나, 하나의 기판의 양 면에 투명도전 패턴을 각각 형성하여 패널을 터치할 때 두 도전패턴 사이의 정전용량 등의 변화를 감지하여 패널 상의 터치가 이루어진 위치를 감지하던 것에서 기판이나 OCA필름의 층 수가 많아지고 이에 따른 패널 두께 증가, 광투과성 감조 및 광효율 감소의 문제를 경감시킬 수 있는 간단한 구성의 차량용 터치 패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용 터치 패드는
기판에 형성된 제1 투명도전패턴, 제1 투명도전패턴 위로 기판에 설치된 투명절연층, 투명절연층 위로 기판에 형성된 제2 투명도전패턴을 구비하며,
투명절연층은 제1 투명도전패턴과 제2 투명도전 패턴이 겹치는 부분에 한정되게 설치되고, 제1 투명도전패턴과 제2 투명도전패턴은 PEDOT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기판은 플렉시블 기판으로 폴리이미드, PET 등 합성수지 기판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투명도전패턴이 겹치는 부분인 투명절연층은 행렬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1 투명도전패턴과 제2 투명도전패턴이 겹치는 부분으로서 투명절연층이 형성되는 부분은 터치 패드 전체 면적의 20% 이내의 부분, 가령 1 내지 16%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터치 패드는 드래그, 2점 이상의 동시적 멀티터치, 패턴이나 문자 입력이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용 터치 패드 제조 방법은,
기판에 제1 투명도전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투명도전패턴 위로 기판에 투명절연층을 형성하되 제1 투명도전패턴과 제2 투명도전 패턴이 겹치는 부분에 한정되게 설치하는 단계, 투명절연층 위로 기판에 제2 투명도전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구비하고, 제1 투명도전패턴과 제2 투명도전패턴은 PEDOT 재질로 인쇄 방식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기판의 같은 면에 제1 투명도전패턴과 제2 투명도전패턴을 함께 형성하여 종래와 같은 두 개의 기판에 각각 투명도전패턴을 형성하던 것에 비해 기판 수와 이들 기판을 결합시키기 위한 OCA 필름과 같은 적층되는 물질 층수를 줄일 수 있다.
적층되는 물질 층수가 감소하면 제작되는 터치 패드는 얇고 구부러지기 용이하게 만들 수 있으며, 재료 비용을 줄이고 공정을 단순화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또한, 터치 패드가 얇고 구부러지기 용이하면 설치되는 차량 부위의 표면이 단순 평면이 아니라도 그 표면 굴곡을 따라 콘포멀(conformable)하게 설치될 수 있어 설치 용이성을 높일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에 결합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플렉시블한 특성을 가지도록 기술이 발전되는 최근의 추세로 볼 때 이런 효과는 더욱 현실적으로 증가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서 기판을 플렉시블 기판을 사용하고 도전 패턴을 PEDOT을 사용하면 설치 용이성을 더욱 높일 수 있으며, 구부러짐과 변형에 따른 도전 패턴의 박리 제거 등의 문제를 더욱 줄여 기능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도전 패턴의 손상 가능성, 박리 제거의 문제가 해결되면 터치 패드의 내구성이 높아지고 기능 불량이 방지되면서 보다 복잡하고 정밀한 도전 패턴의 형성이 가능하게 되고, 종래에 해당 기능의 단순한 온/오프, 증가/감소 등의 조절을 담당하던 것에서 멀티터치가 가능하고, 데이터 입력이 더욱 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구성을 가지는 차량용 터치스크린 패널을 제공할 수 있다.
도1은 종래의 차량용 터치 패드의 터치 패턴, 연결 패턴의 층 구조 및 이에 연결되는 이방성 도전 필름, FPCB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2는 종래의 차량용 터치 패드의 개략적 구성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3a 내지 도3c는 종래의 터치 패널에 사용될 수 있는 터치 패드의 상부 기판, 하부 기판 및 상부 기판과 하부 기판을 겹친 상태에서의 도전 패턴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4a 내지 도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이루는 터치 패드 형성의 중요 단계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5는 도4와 같은 터치 패드를 제2 투명도전패턴을 따라 절개한 일부분에 대한 측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4a 내지 도4c는 본 발명의 터치 패드 형성의 각 단계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5는 이런 터치 패드의 일부분에 대한 측단면도이다.
도4a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플렉시블 기판(110)의 한 표면에 도3a와 같은 제1 투명도전패턴(111)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다.
제1 투명도전패턴(111)은 도3의 제1 투명도전패턴과 같이 다수 쌍의 상하 방향으로 달리는 도선을 지그재그 형태로 구부려 각 쌍의 투명도전패턴이 각 쌍의 중간을 지나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면서 반복적으로 마름모 형태를 이루고, 마름모와 마름모 사이에는 서로 인접하게 평행을 이루는 짧은 선형 구간이 있도록 하여 전체적으로는 각 도선이 서로 만나지 않으면서 격자무늬와 비슷한 모양을 이룬다.
짧은 선형 구간은 하나의 마름모의 상하 폭의 대략 10 내지 20% 정도이며, 상하 방향으로 하나의 마름모당 하나의 짧은 선형 구간을 가지는 형태가 된다. 물론, 터치 패드의 해상도 혹은 인식점의 수를 늘리기 위해 마름모의 크기를 줄여 설치 밀도를 높이고 격자점을 늘리는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짧은 선형 구간은 마름모의 상하 폭의 30%나 그 이상이 될 수도 있으며 크기 비율을 어느 정도로 반드시 한정할 필요는 없다.
이런 경우, 제1 투명도전패턴에서 상하 방향 짧은 선형 구간과 제2 투명도전패턴에서 좌추 방향 짧은 선형 구간이 모두 가령 마름모를 포함하는 반복 형성 패턴의 길이의 20% 정도를 차지한다고 하면 패턴 사이의 정렬 오차를 충분히 두어 4각형 절연막의 한 변의 길이는 반복 형성 패턴 길이의 40%, 비율로는 0.4 정도가 된다고 하고, 단순 계산을 통해 0.4의 제곱은 0.16, 즉 면적의 16%를 이룬다.
작게 계산하여 짧은 선형 구간이 반복 형성 패턴 길이의 10% 정도를 차지하고, 정렬 오차는 거의 두지 않는다고 하면 4각형 절연막의 한 변의 길이는 반복 형성 패턴 길이의 10%, 비율로는 0.1 정도가 된다고 하고, 단순 계산을 통해 0.1의 제곱은 0.01, 즉 면적의 1%를 이룬다.
이상 계산을 고려하면 절연막의 면적은 일반적으로 기판 전체 면적의 20%를 넘지않을 것이라는 계산을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투명도전패턴은 PEDOT를 스크린 인쇄나 옵셋 인쇄 등 평판형 인쇄, 기타 인쇄기법으로 후막 인쇄를 통해 형성할 수 있으며, 충분한 시간과 조건을 통해 인쇄 패턴이 안정화, 경화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4a와 같은 상태에서 제1 투명도전패턴(TX 패턴: 111) 위로 투명절연층(130) 혹은 유전층 패턴을 형성하여 도4b와 같은 상태를 형성한다. 유전층도 절연 잉크를 이용한 후막 인쇄를 통해 형성할 수 있고, 유전층은 절연 파괴를 방지하기 위해 고유전물질로 고르고 치밀하게 형성하도록 한다. 물론, 인쇄 방법 외에도 얇은 OCA 필름, 기타 고르고 치밀한 고유전성 재질의 접착 필름을 부착하는 방법도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4b와 같은 상태에서 제1 투명도전패턴(111) 및 투명절연층(130) 패턴 위로 제2 투명도전패턴(RX 패턴: 121)을 형성하여 도4c와 같은 상태가 되도록 한다. 제2 투명도전패턴은 실질적으로 제1 투명도전 패턴을 90도 회전시킨 형태를 취하는 것이며 도3b의 패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태를 가지고, 인쇄기법으로 후막 인쇄를 통해 형성할 수 있으며, 충분한 시간과 조건을 통해 인쇄 패턴이 안정화, 경화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제1 투명도전패턴(111)과 제2 투명도전패턴(121) 사이에 전체 면적의 일부에만 형성된 투명절연층(130)이 존재하여 이들을 절연시키면서, 터치 패드를 형성할 때 제1 투명도전패턴의 짧은 선형 구간과 제2 투명도전패턴의 짧은 선형 구간이 평면도 상으로 서로 수직하게 가로지르면서 겹치는 형태가 되고, 다른 영역에서는 서로 겹치는 부분이 없이, 마름모를 이루는 변들에서 제1 투명도전패턴과 제2 투명도전패턴이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면서 서로 평행한 상태가 된다.
기판의 주변부에 있는 각 투명도전패턴의 끝단은 단자를 형성하고, 종래의 도1에서 보듯이 외부와의 전기적 연결에 이용되어 전기 신호를 주거나 받으면서 통상의 터치 패드와 같이 특정 기판 영역에서의 터치를 감지하여 해당 영역에 부여된 선택 기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기판의 표면 혹은 이면에는 디스플레이 장치나 보호패널과 같은 다른 터치스크린 패널의 구성요소와의 결합을 위해 OCA 필름 등이 부착될 수 있고, 도전패턴과 절연 패턴이 형성된 기판 위로 별도의 보호막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런 구성들은 기존의 터치 패널 구성과 공통적인 개념이므로 더이상의 구체적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투명도전패턴(111)과 제2 투명도전패턴(121)은 이들 두 패턴이 서로 겹치는 위치 일부에 한정하여 패턴층 사이에 투명절연층(130)을 형성함으로써 종래와 비교할 때 기능적으로 동일한 터치 패드 역할을 하면서 전체 패드의 두께를 줄이고, 패턴 사이의 정전용량이나 감지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투명도전패턴을 형성할 때 PEDOT층을 사용하여 터치 패드의 설치 위치에서의 표면 형태에 따라 구부러지고 변형된 설치를 하여도 투명도전패턴과 기판 사이의 박리, 단선의 문제를 보다 잘 예방하여 터치 기능에 있어서의 이상 발생을 줄일 수 있고, 터치 패드 자체도 얇아서 플렉시블 특성이 좋은 상태에서 터치 패드가 디스플레이에 조합될 때 디스플레이 자체가 플렉시블한 기판을 채용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인 경우, 터치스크린 패널 전체가 표면 적응성을 높여 표면 형태에 따른 설치 제한을 극복할 수 있다.
이런 특성의 향상은 차량 전장용 터치 패드의 사용 범위를 확장시켜 가령 차량 문 주변에 설치하여 잠금 장치를 해제하기 위한 패턴이나 암호를 입력하기 위한 장치로 이용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인식 해상도를 높일 수 있도록 투명도전패턴을 높은 단위면적당 밀도로 형성하는 것도 충분히 가능하며, 종래의 단순한 스위칭 온/오프, 볼륨 증가/감소 등의 간단한 조작에서 벗어나 스마트폰의 터치스크린 패널과 같이 드래그, 멀티터치, 문자 입력 등이 가능하여 다양한 입력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한정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적으로 설명된 것일 뿐 본원 발명은 이들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따라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을 토대로 다양한 변경이나 응용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형례나 응용예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20, 110: 기판(substrate) 11, 111: 제1 투명도전패턴
21, 121: 제2 투명도전패턴 130: 투명절연층

Claims (5)

  1. 기판에 형성된 제1 투명도전패턴, 상기 제1 투명도전패턴 위로 상기 기판에 설치된 투명절연층, 상기 투명절연층 위로 상기 기판에 형성된 제2 투명도전패턴을 구비하며,
    상기 투명절연층은 상기 제1 투명도전패턴과 상기 제2 투명도전 패턴이 겹치는 부분에 한정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1 투명도전패턴과 상기 제2 투명도전패턴은 PEDOT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터치 패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합성수지 재질의 플렉시블 기판이며,
    상기 투명절연층은 행렬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터치 패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투명도전패턴은 상기 기판에서 복수 쌍의 상하 방향으로 달리는 도선을 지그재그 형태로 구부려 각 쌍의 도전 패턴이 각 쌍의 중간을 지나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면서 반복적으로 마름모 형태를 이루고, 마름모와 마름모 사이에는 서로 인접하게 평행을 이루는 짧은 선형 구간이 있도록 하여 전체적으로는 각 도선이 서로 만나지 않으면서 격자형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제2 투명도전패턴은 상기 기판에서 복수 쌍의 좌우 방향으로 달리는 도선을 지그재그 형태로 구부려 각 쌍의 도전 패턴이 각 쌍의 중간을 지나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면서 반복적으로 마름모 형태를 이루고 마름모와 마름모 사이에는 서로 인접하게 평행을 이루는 짧은 선형 구간이 있도록 하여 전체적으로는 각 도선이 서로 만나지 않으면서 격자형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제1 투명도전패턴의 상기 짧은 선형 구간과 상기 제2 투명도전패턴의 상기 짧은 선형 구간은 서로 수직하게 가로지르면서 겹치고, 마름모를 이루는 변들에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면서 서로 평행한 상태를 이루며,
    상기 투명절연층이 형성되는 부분은 터치 패드 전체 면적의 1 내지 1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터치 패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패드는 드래그, 멀티터치, 패턴 입력 가운데 적어도 하나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터치 패드.
  5. 기판에 제1 투명도전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투명도전패턴 위로 상기 기판에 제2 투명도전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차량용 터치 패드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투명도전패턴이 상기 기판에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제2 투명도전패턴을 형성하기 전에 상기 제1 투명도전패턴과 제2 투명도전 패턴이 겹치는 부분에 한정되게 투명절연막을 설치하는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투명도전패턴과 상기 제2 투명도전패턴은 PEDOT 재질로 인쇄 방식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터치 패드 제조방법.
KR1020190078897A 2019-07-01 2019-07-01 Pedot을 이용한 차량용 터치 패드 및 제조 방법 KR202100033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8897A KR20210003347A (ko) 2019-07-01 2019-07-01 Pedot을 이용한 차량용 터치 패드 및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8897A KR20210003347A (ko) 2019-07-01 2019-07-01 Pedot을 이용한 차량용 터치 패드 및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3347A true KR20210003347A (ko) 2021-01-12

Family

ID=74129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8897A KR20210003347A (ko) 2019-07-01 2019-07-01 Pedot을 이용한 차량용 터치 패드 및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3347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15254A2 (ko) 2010-07-30 2012-02-02 주식회사 잉크테크 투명 도전막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투명 도전막
KR101113826B1 (ko) 2009-10-15 2012-02-29 도재훈 정전용량 터치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20140125932A (ko) 2013-04-19 2014-10-30 주식회사 에스에스뉴테크 인쇄층 일체형 터치스크린 패널
KR101617784B1 (ko) 2014-07-22 2016-05-04 김상범 터치스크린 방식 자동차 센터페시아 패널 및 그 센터페시아 패널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3826B1 (ko) 2009-10-15 2012-02-29 도재훈 정전용량 터치패널 및 그 제조방법
WO2012015254A2 (ko) 2010-07-30 2012-02-02 주식회사 잉크테크 투명 도전막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투명 도전막
KR20140125932A (ko) 2013-04-19 2014-10-30 주식회사 에스에스뉴테크 인쇄층 일체형 터치스크린 패널
KR101617784B1 (ko) 2014-07-22 2016-05-04 김상범 터치스크린 방식 자동차 센터페시아 패널 및 그 센터페시아 패널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40741B2 (en) Touch window having a sensing electrode with a variable width of a conductive line
US9857923B2 (en) Touch panel including an elastic intermediate layer
US9952737B2 (en) Single layer touch sensor
EP2827231B1 (en) Touch window and display including the same
CN102736780B (zh) 输入装置
CN106201145B (zh) 一种触摸屏、其制作方法及显示装置
EP2593852B1 (en) Touch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110109583A1 (en) Capacitive Touch Screen Panel
JP5374457B2 (ja) 面状体及びタッチパネル
CN110023889B (zh) 电容式触摸面板
US20150060120A1 (en) Touch panel
CN101882044A (zh) 电子设备
KR20130091518A (ko)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 패널 및 그 제조방법
US8803830B2 (en) Touch panel with conductive layers formed of parallel strips
JP2013206315A (ja) フィルム状タッチパネルセンサー及びその製造方法
EP2833246B1 (en) Touch window and touch device including the same
CN111373356B (zh) 触控基板、触控显示装置、制造触控基板的方法
TW201510810A (zh) 觸控視窗以及包含其之觸控裝置
CN102830836A (zh) 一种触控面板及其制造方法、触控设备
KR20210003347A (ko) Pedot을 이용한 차량용 터치 패드 및 제조 방법
JP6134965B2 (ja) タッチパネル装置
JP2013148941A (ja) 静電容量式タッチパネル及びその生産方法
KR20200047809A (ko) Pedot를 이용한 차량 대시보드용 터치패널
KR20200017998A (ko) 초박형 터치 패널의 적층 구조 및 그 제조 방법
KR20200106237A (ko) 도전성 폴리머를 이용한 차량용 터치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