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2630U - 발바닥 보강 덧버선 - Google Patents

발바닥 보강 덧버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2630U
KR20210002630U KR2020200001707U KR20200001707U KR20210002630U KR 20210002630 U KR20210002630 U KR 20210002630U KR 2020200001707 U KR2020200001707 U KR 2020200001707U KR 20200001707 U KR20200001707 U KR 20200001707U KR 20210002630 U KR20210002630 U KR 2021000263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basic
supplying
toe
apost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17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동
Original Assignee
김재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동 filed Critical 김재동
Priority to KR20202000017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2630U/ko
Publication of KR2021000263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263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01Seam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12Means at the upper end to keep the stockings up
    • A41B11/123Elastic or flexible bands attached at the upper end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4Other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primarily by the use of particular thread materials
    • D04B1/18Other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primarily by the use of particular thread materials elastic threa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04B1/26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stock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덧버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유도관이 하나 더 형성된 사도에 실을 추가 공급하여 바닥부가 더 두꺼워서 발이 비치지 않고 구멍이 잘 나지 않아서 내구성이 훨씬 향상되는 덧버선 편직기 및 이를 이용하여 편직된 발끝 보강 덧버선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바닥부, 바닥부 양측에 형성되는 발가락부, 발등부 및 뒤꿈치부, 발이 삽입되는 상부 개방부 테두리에 밴드부가 구비된 덧버선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 양측에 형성되는 발가락부, 발등부 및 뒤꿈치부는 실을 공급하는 2개의 유도관이 형성된 제1사도로부터 공급받은 기본사와 탄력사로 편직되고, 상기 바닥부는 실을 공급하는 3개의 유도관이 형성된 제2사도로부터 공급받은 기본사와 탄력사 외에 추가 1개의 기본사로 편직되며, 상기 바닥부는 사용자가 착용시 발바닥 부분에 의해 지면에 접촉되는 부분 전체를 가르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바닥 보강 덧버선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발바닥 보강 덧버선{Outer socks}
본 고안은 덧버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도관이 하나 더 형성된 사도에 기본사를 추가 공급하여 바닥부가 더 두꺼워서 발이 비치지 않고 구멍이 잘 나지 않아서 내구성이 훨씬 향상되는 발바닥 보강 덧버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덧버선은 바닥부와, 바닥부 양측에 형성되는 앞꿈치부 및 뒤꿈치부와, 앞꿈치부 및 뒤꿈치부의 끝단(발이 삽입되는 상부 개방부 테두리)에 형성되어 덧버선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는 밴드부로 구성된다.
여기서, 바닥부와, 바닥부 양측에 형성되는 앞꿈치부 및 뒤꿈치부는 신축성을 고려하여 면 등의 면 기본사 1올과 스판덱스 탄력사 1올을 사용하여 편직하는데, 실을 유도하는 유도관이 2개 형성된 사도를 사용하여 편직한다.
그리고, 밴드부는 신축성을 더욱 좋게 하기 위해 직조시 고무사가 사용되고, 통상 신축성을 더욱 좋게 하기 위해 고무사가 내,외부 2겹으로 포개진 구조(Double welt)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기존의 덧버선은 바닥부가 면 기본사 1올과 스판덱스 탄력사 1올을 사용하여 편직됨으로써, 착용시 발바닥 또는 발가락에 의해 바닥부 또는 앞꿈치부 끝단이 늘어남에 따라 발이 비치게 되고 약해져서 구멍이 잘 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등록실용신안 0452389 (2011.02.16) KR 등록실용신안 0467945 (2013.07.05)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구조 변경된 새로운 사도의 추가 사용으로 1올의 기본사를 편직에 더 가담시켜 착용시 발바닥 또는 발가락에 의해 바닥부 또는 발가락부 끝단이 늘어나더라도 발이 쉽게 비치지 않고 내구성이 향상되는 발바닥 보강 덧버선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발바닥 보강 덧버선은 바닥부, 바닥부 양측에 형성되는 발가락부, 발등부 및 뒤꿈치부, 발이 삽입되는 상부 개방부 테두리에 밴드부가 구비된 덧버선에 있어서, 상기 발가락부, 발등부, 뒤꿈치부는 실을 공급하는 2개의 유도관이 형성된 제1사도로부터 공급받은 기본사와 탄력사로 편직되고, 상기 바닥부는 실을 공급하는 3개의 유도관이 형성된 제2사도로부터 공급받은 기본사와 탄력사 외에 추가 1개의 기본사로 편직되며, 상기 바닥부는 사용자가 착용시 발바닥 부분에 의해 지면에 접촉되는 부분 전체를 가르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가락부의 끝단부는 실을 공급하는 3개의 유도관이 형성된 제2사도로부터 공급받은 기본사와 탄력사 외에 추가 1개의 기본사로 편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발바닥 보강 덧버선은 유도관이 3개로 형성된 사도에 기본사를 추가 공급하여 발바닥 또는 발가락부의 끝단부가 더 두꺼워서 발이 비치지 않고 구멍이 잘 나지 않아서 내구성이 훨씬 향상되는 유용한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발바닥 보강 덧버선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덧버선을 편직하기 위한 덧버선 편직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바닥 보강 덧버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이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발바닥 보강 덧버선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2는 도 1의 덧버선을 편직하기 위한 덧버선 편직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고안의 발바닥 보강 덧버선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바닥부, 바닥부 양측에 형성되는 발가락부, 발등부 및 뒤꿈치부, 발이 삽입되는 상부 개방부 테두리에 밴드부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바닥부 양측에 형성되는 발가락부, 발등부 및 뒤꿈치부는 실(T)을 공급하는 2개의 유도관(12)이 형성된 제1사도(10)로부터 공급받은 기본사와 탄력사로 편직된다.
또한, 상기 바닥부(도면에서 짙게 표시된 부분)는 실(T)을 공급하는 3개의 유도관(22)이 형성된 제2사도(20)로부터 공급받은 기본사와 탄력사 외에 추가 1개의 기본사로 편직된다.
여기서, 상기 바닥부는 사용자가 착용시 발바닥 부분에 의해 지면에 접촉되는 부분 전체를 가르킨다.
상기 기본사로는 면, 탄력사로는 스판덱스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즉 기본사로 면 1올과 탄력사로 스판덱스 1올 외에 추가 기본사인 면 1올이 더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닥부에 추가하여 발가락부의 끝단부(도면에서 추가로 짙게 표시된 부분)는 실(T)을 공급하는 3개의 유도관(22)이 형성된 제2사도(20)로부터 공급받은 기본사와 탄력사 외에 추가 1개의 기본사로 편직된다.
상기 끝단부라 함은 봉조라인과 이격된 앞끝부분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서도 마찬가지로 기본사로는 면, 탄력사로는 스판덱스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즉 기본사로 면 1올과 탄력사로 스판덱스 1올 외에 추가 기본사인 면 1올이 더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덧버선을 편직하기 위한 덧버선 편직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하는 실린더 주위에 배치된 바늘(N)을 승강시켜 덧버선을 편직한다.
상기 덧버선 편직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사도(10) 및 제2사도(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사도(10)와 제2사도(20)는 바늘(N)에 실(T)을 공급하는 것으로 중앙에 고정축(A)이 관통하는 가이드홀(11,21)이 천공되고, 전단부에 실(T)을 공급하는 유도관(12,22)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축(A)은 편직기의 부품으로 제1사도(10)와 제2사도(20)의 회동을 가이드하며, 제1사도(10)와 제2사도(20)는 스프링에 의해 탄압된 상태에서 고정축을 따라 회동하면서 실(T)을 바늘(N)에 공급한다.
그리고, 제1사도(10)는 실(T)을 공급하는 2개의 유도관(12)이 형성되어, 덧버선의 바닥부(또는 다른 실시예로 추가 발가락부의 끝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편직할 때 회동하면서 기본사와 탄력사를 바늘(N)에 공급한다.
상기 기본사로는 면, 탄력사로는 스판덱스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즉 기본사로 면 1올과 탄력사로 스판덱스 1올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사도(20)는 실(T)을 공급하는 3개의 유도관(22)이 형성되어, 덧버선의 바닥부(또는 다른 실시예로 추가 발가락부의 끝단부)를 편직할 때 회동하면서 기본사와 탄력사 외에 추가 1개의 기본사를 바늘(N)에 더 공급한다.
상기 기본사로는 면, 탄력사로는 스판덱스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즉 기본사로 면 2올과 탄력사로 스판덱스 1올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추가 1개의 실은 면이나 폴리에스터, 폴리우레탄 등의 덧버선에 통상 사용되는 기본사 재질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필요에 따라 탄력사인 스판덱스도 채용될 수 있다.
상기 바닥부(또는 다른 실시예로 추가 발가락부의 끝단부) 외의 나머지 부분들을 편직할 때에도 실을 공급하는 3개의 유도관이 형성된 제2사도(20)로부터 공급받은 기본사 1올과 탄력사 1올로 편직하는 것도 물론 채용 가능한 실시예일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발바닥 보강 덧버선은 사용자가 착용시 발바닥 부분에 의해 지면에 접촉되는 부분인 바닥부 또는 추가로 발가락이 접촉하는 발가락부의 끝단부가 두꺼워서 발끝이 비치지 않고 구멍 등의 손상을 방지하여 뛰어난 내구성을 갖는다. 즉 기존 덧버선 보다 바닥부 또는 추가 발가락부의 끝단부가 약 30% 정도 더 두꺼워서 발이 비치지 않고 구멍이 잘 나지 않으므로 내구성이 훨씬 향상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고안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
10...제1사도 11...유도관
12...가이드홀 20...제2사도
21...유도관 22...가이드홀

Claims (2)

  1. 바닥부, 바닥부 양측에 형성되는 발가락부, 발등부 및 뒤꿈치부, 발이 삽입되는 상부 개방부 테두리에 밴드부가 구비된 덧버선에 있어서,
    상기 상기 바닥부 양측에 형성되는 발가락부, 발등부 및 뒤꿈치부는 실을 공급하는 2개의 유도관이 형성된 제1사도로부터 공급받은 기본사와 탄력사로 편직되고,
    상기 바닥부는 실을 공급하는 3개의 유도관이 형성된 제2사도로부터 공급받은 기본사와 탄력사 외에 추가 1개의 기본사로 편직되며,
    상기 바닥부는 사용자가 착용시 발바닥 부분에 의해 지면에 접촉되는 부분 전체를 가르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바닥 보강 덧버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가락부의 끝단부는 실을 공급하는 3개의 유도관이 형성된 제2사도로부터 공급받은 기본사와 탄력사 외에 추가 1개의 기본사로 편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바닥 보강 덧버선.
KR2020200001707U 2020-05-20 2020-05-20 발바닥 보강 덧버선 KR2021000263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1707U KR20210002630U (ko) 2020-05-20 2020-05-20 발바닥 보강 덧버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1707U KR20210002630U (ko) 2020-05-20 2020-05-20 발바닥 보강 덧버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630U true KR20210002630U (ko) 2021-11-29

Family

ID=78719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1707U KR20210002630U (ko) 2020-05-20 2020-05-20 발바닥 보강 덧버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2630U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2389B1 (ko) 1999-12-14 2004-10-08 프로탄 인베스트먼츠 리미티드 케이블 tv 시스템의 일부를 형성하는 로컬 네트워크
KR100467945B1 (ko) 2004-04-29 2005-01-27 김동규 보·차도 경계 펜스용 커넥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2389B1 (ko) 1999-12-14 2004-10-08 프로탄 인베스트먼츠 리미티드 케이블 tv 시스템의 일부를 형성하는 로컬 네트워크
KR100467945B1 (ko) 2004-04-29 2005-01-27 김동규 보·차도 경계 펜스용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144563A (en) Stocking
US2050535A (en) Stocking with elastic areas
JP5269835B2 (ja) 靴下
US10876232B2 (en) Sock
CA2391951C (en) Double layer sock and method for making same
IE51251B1 (en) Sock and method of forming it
US4263793A (en) Dress weight tube sock
JP6401558B2 (ja) フットカバー
US4172370A (en) Method of knitting a dress weight tube sock
GB1603286A (en) Knitted sock
US3995322A (en) Cushion top sock
JP2018048427A (ja) 編地及び靴下
KR101458883B1 (ko) 면양말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02502U (ko) 덧버선 편직기 및 이를 이용하여 편직된 발끝 보강 덧버선
US9957649B2 (en) Sock structure
KR20210002630U (ko) 발바닥 보강 덧버선
KR101357614B1 (ko) 발가락양말 및 그 편직방법
KR101623078B1 (ko) 발가락 덧신 양말의 제조방법
KR102544788B1 (ko) 발목 압박양말
JP6798695B2 (ja) フットカバー
KR20210002503U (ko) 보강 덧버선 및 덧버선 편직기
JP3227121U (ja) 高フィット性の靴下
JP3170949U (ja) 靴下
US20180343927A1 (en) Sock with double-layer foot portion and bottom toe seam
JP2019099974A (ja) 靴下履口部の編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