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2281A -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 Google Patents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2281A
KR20210002281A KR1020190078328A KR20190078328A KR20210002281A KR 20210002281 A KR20210002281 A KR 20210002281A KR 1020190078328 A KR1020190078328 A KR 1020190078328A KR 20190078328 A KR20190078328 A KR 20190078328A KR 20210002281 A KR20210002281 A KR 202100022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compressor
cylinder
discharge
chamb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83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변영민
김대현
김영주
엄재웅
조상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78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2281A/en
Priority to EP20182565.0A priority patent/EP3757277B1/en
Priority to EP24177337.3A priority patent/EP4411141A3/en
Publication of KR202100022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2281A/en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3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 F04C18/34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 F04C18/356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with vanes reciprocating with respect to the outer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3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 F04C18/34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 F04C18/356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with vanes reciprocating with respect to the outer member
    • F04C18/356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with vanes reciprocating with respect to the outer member the inner and outer member being in contact along one line or continuous surface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xis of rotation
    • F04C18/3564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with vanes reciprocating with respect to the outer member the inner and outer member being in contact along one line or continuous surface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xis of rotation the surfaces of the inner and outer member, forming the working space, being surfaces of revolutio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6Heat pump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3/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each being of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type,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Multi-stage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3/001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each being of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type,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Multi-stage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similar working princip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3/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each being of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type,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Multi-stage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3/008Hermetic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3/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each being of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type,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Multi-stage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3/02Pump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8/00Control of, monitoring of,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8/24Control of, monitoring of,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characterised by using valves controlling pressure or flow rate, e.g. discharge valves or unload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042Driving elements, brakes, coupling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pumps
    • F04C29/0085Prime m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2Lubrication; Lubricant sepa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12Arrangements for admission or discharge of the working fluid, e.g.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inlet or outl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12Arrangements for admission or discharge of the working fluid, e.g.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inlet or outlet
    • F04C29/124Arrangements for admission or discharge of the working fluid, e.g.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inlet or outlet with inlet and outlet valves specially adapted for rotary or oscillating piston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0/00Heat pumps
    • F25B30/02Heat pumps of the compression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10/00Fluid
    • F04C2210/26Refrigerants with particular properties, e.g. HFC-134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20R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30Casings or hou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40Electric m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50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60Shaf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4Refrigerants with particular properties, e.g. HFC-134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ressor using R-290, which is a flammable refrigerant, a heat pump using the compressor, and a clothes treatment apparatus using the compressor. Since R-290, a flammable refrigerant, should be used according to environmental regulations, redesign of the compressor, evaporator, condenser, and expansion valve constituting the heat pump is required for optimization of the heat pump, and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othes treatment apparatus reflecting the redesign.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A Laundry Treatment Apparatus}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본 발명은 인화성 냉매를 이용한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using a flammable refrigerant.

일반적인 의류처리장치는 세탁물을 건조시키기 위해서 히터나 히트펌프를 이용한다. 특히, 히트펌프를 사용하는 의류처리장치는 증발기 및 응축기를 이용하여 습공기를 제습냉각한 후 다시 이를 가열하여 건조된 고온의 공기를 의류에 공급하게 된다. 히터를 사용하는 방식에 비해 적은 양의 일을 가지고 고온의 열을 만들어 낼 수 있어, 에너지 효율면에서 뛰어나 최근 많이 이용되고 있다. A general clothing treatment device uses a heater or a heat pump to dry laundry. In particular, a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using a heat pump dehumidifies and cools moist air using an evaporator and a condenser, and then heats it again to supply the dried high-temperature air to the clothing. Compared to the method of using a heater, high-temperature heat can be generated with a small amount of work, and thus, it is widely used in recent years because it is excellent in terms of energy efficiency.

이러한 히트펌프의 냉동사이클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냉매가 필수적이다. 냉매는 냉동사이클에서 증발하기 쉬운 작동유체로 저온부의 열을 빼앗아 고온부로 운반해주는 역할을 담당한다. A refrigerant is essential to realize the refrigeration cycle of such a heat pump. The refrigerant is a working fluid that is easy to evaporate in the refrigeration cycle. It takes the heat of the low temperature part and transports it to the high temperature part.

냉매의 자연냉매, 1세대 CFC(Chlorofluorocarbon, 염화불화탄소), 2세대 HCFC(Hydro Chlorofluorocarbon, 수소염화탄소), 3세대 HFC(Hydrofluorocarbon, 수소불화탄소), 4세대 HFO(Hydrofluoroolefin, 수소불화올레핀)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중 프레온 가스로 분류되는 CFC와 HCFC계열 냉매가 오존층파괴의 주요물질로 알려지면서, 몬트리올의정서에 의해 규제되고 있다.Natural refrigerant of refrigerant, 1st generation CFC (Chlorofluorocarbon, chlorofluorocarbon), 2nd generation HCFC (Hydro chlorofluorocarbon), 3rd generation HFC (hydrofluorocarbon), 4th generation HFO (Hydrofluoroolefin), etc. It can be classified as Among them, CFC and HCFC refrigerants classified as Freon gas are known as major substances for ozone depletion, and are regulated by the Montreal Protocol.

HFC 계열은 오존층 파괴는 없으나, 지구온난화 물질에 해당한다. 이에 해당하는 대표적인 냉매로 자동차 및 가정용 전자제품에 사용되는 R-134a가 있다. 이 냉매는 교토의정서에 6대 지구온난화 물질 중 하나로 분류되었으나 강제성이 없어 사용이 가능하였다. 그러나, 1987년 몬트리올의정서에 의해 오존층파괴 규제물질로 규정됨에 따라, 선진국은 2020년, 개발도상국은 2030년 이전에 사용이 금지될 예정이다. 또한, HFC계열의 냉매가 2006년 유럽의 불화온실가스(F-gas)규정에 포함되면서 낮은 GWP를 갖는 HFO계열의 냉매가 차세대 냉매로 대두되고 있다.HFC series does not destroy the ozone layer, but is a global warming material. A representative refrigerant corresponding to this is R-134a, which is used in automobiles and household electronics. This refrigerant was classified as one of the six major global warming substances in the Kyoto Protocol, but it could be used because it was not forced. However, as it was regulated as a regulated substance for ozone depletion by the Montreal Protocol in 1987, it is expected to be banned in developed countries by 2020 and before 2030 in developing countries. In addition, as HFC-series refrigerants were included in European fluorinated greenhouse gas (F-gas) regulations in 2006, HFO-series refrigerants with low GWP are emerging as the next-generation refrigerants.

지구온난화지수(Global warming potential, GWP)는 이산화탄소가 지구 온난화에 미치는 영향을 기준으로 다른 온실가스가 지구온난화에 기여하는 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즉, 개별 온실가스 1kg의 태양에너지 흡수량을 이산화탄소 1kg이 가지는 태양에너지 흡수량으로 나눈 값을 말한다. 단위 질량당 온난화 효과를 지수화 한 것이다. 예를 들어, 이산화탄소를 1로 볼때 메탄은 21, 아산화질소는 310, 수소불화탄소는 1,300, 육불화황은 23,900이다.Global warming potential (GWP) represents the degree to which other greenhouse gases contribute to global warming based on the impact of carbon dioxide on global warming. That is, it refers to the value obtained by dividing the amount of solar energy absorption of 1 kg of individual greenhouse gas by the amount of solar energy absorption of 1 kg of carbon dioxide. The warming effect per unit mass is indexed. For example, considering carbon dioxide as 1, methane is 21, nitrous oxide is 310, hydrogen fluoride is 1,300, and sulfur hexafluoride is 23,900.

특히 유럽(EU)의 경우, GWP가 150을 넘는 경우는 2020년부터 상업용 밀폐냉동장치들의 유럽내 판매가 금지되며, GWP가 150을 초과하고 40kW를 넘는 상업적 용도의 중앙집중식 냉동장치들도 2022년부터 시장판매가 금지된다. In Europe, in particular, if the GWP exceeds 150, the sale of commercial closed refrigeration units in Europe will be prohibited from 2020.Central refrigeration units for commercial use with a GWP exceeding 150 and exceeding 40 kW will also be banned from 2022 Market sales are prohibited.

이에 대처하기위해 R-290을 이용한 히트펌프 및 이를 이용한 의류처리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선행문헌으로는 소형가전기기에 사용하는 로터리 압축기 및 히트펌프에 관한 것으로 유럽특허공개번호 EP2871432A1 또는 유럽특허공개번호 EP2985466A1이 있다. 선행 문헌은 모두, 로터리 압축기 내부의 롤러가 갖는 높이대 반지름의 비율이 1.2 내지 1.4를 갖는 로터리 압축기를 사용하고 있다. 또한, R-290사용에 따른 증발기와 응축기의 핀의 개수 변화 및 R-290냉매의 사용에 따른 POE라는 폴리에스테르계 합성유를 냉매오일로 사용하고 있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To cope with this, a heat pump using R-290 and a clothes treatment device using the same are being developed. As prior literature, there are European Patent Publication No. EP2871432A1 or European Patent Publication No. EP2985466A1, which relates to a rotary compressor and a heat pump used in small household appliances. All of the prior literature uses a rotary compressor having a height-to-radius ratio of 1.2 to 1.4 of the rollers inside the rotary compressor. In addition, it is disclosed that a polyester-based synthetic oil called POE is used as a refrigerant oil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number of fins of the evaporator and condenser according to the use of R-290 and the use of the R-290 refrigerant.

그러나, 선행문헌들은 베인을 이용한 로터리압축기 및 이를 이용한 히트펌프에 관한 것으로 로터리 압축기 내부의 롤러가 갖는 높이대 반지름의 비율이 1.2 내지 1.4인 단일 실린더를 사용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즉, 1개의 롤러 및 1개의 베인, 1개의 실런더만을 이용해 냉매를 압축해서 사용하고 있다. 상술한대로 롤러의 높이 대 반지름의 비율이 1이상이므로 실린더와의 마찰 손실이 크고, 롤러 및 실린더 사이로 유출되는 냉매량도 커진다. 또한, 편심된 질량이 하나이므로 진동이 커지고, 하나의 실린더를 사용함으로써, 편심롤러 혹은 편심부에 걸리는 축하중이 커지고 결국 관성모멘트가 커서 구동축에 더 많은 벤딩모멘트 및 전단력이 가해지게 된다. However, the prior literature relates to a rotary compressor using a vane and a heat pump using the same, and relates to the use of a single cylinder having a height-to-radius ratio of 1.2 to 1.4 of a roller inside the rotary compressor. That is, the refrigerant is compressed and used using only one roller, one vane, and one cylinder.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ratio of the height to the radius of the roller is 1 or more, the friction loss with the cylinder is large, and the amount of refrigerant flowing between the roller and the cylinder increases. In addition, since the eccentric mass is one, the vibration increases, and by using one cylinder, the axial weight applied to the eccentric roller or the eccentric portion increases, and eventually, the moment of inertia is large, so that more bending moment and shear force are applied to the drive shaft.

또한, 선행문헌에서 사용하는 냉매오일은 POE(폴리에스테르)계 합성 오일이다. POE계 합성오일은 세정효과가 높아 모든 종류의 윤활유, 녹방지용 코팅, 용접시 발생하는 산화물질등을 씻어 유화시키(Emulsify)며 냉동사이클을 따라 흐르게 할 수 있으므로 고장을 일으킬 수 있다. 또한 수분에 노출시 수분을 매우 흡수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refrigerant oil used in the prior literature is a POE (polyester)-based synthetic oil. POE-based synthetic oil has a high cleaning effect, so it can emulsify by washing all kinds of lubricants, anti-rust coatings, oxides generated during welding, and flowing along the refrigeration cycle, which can cause failure.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of very absorbing moisture when exposed to moisture.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첫째, R-290냉매를 이용하면서도 기존 R-134a와 동일한 냉동 성능을 갖는 로터리 압축기를 개발하고자 한다. 둘째, 내부의 롤러가 갖는 높이 대 반지름의 비율이 1 미만인 트윈압축기를 개발하고자 한다. 셋째, 롤러와 실린더사이의 마찰 손실 및 압축시 베인과 롤러의 틈새로 빠져나가는 냉매의 누설 손실을 줄이고자 한다. 넷째, 대칭되는 편심부를 갖는 트윈압축기를 이용하여 진동 및 소음을 줄이고 다섯째, 구동축에 걸리는 축하중 및 관성모멘트를 줄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여섯째, R-290냉매의 압축에 따라 기존 R-134a와 동일하거나 뛰어난 냉동 성능을 갖게 하기 위한 증발기와 응축기, 모세관 튜브등을 개발하고자 한다. 일곱째, 이와 같은 냉동 성능에 적합한 오일을 이용하고자 한다. 여섯째, 이를 이용한 의류처리장치를 개발하고자 한다. To solve this problem, first, we intend to develop a rotary compressor that uses the R-290 refrigerant and has the same refrigeration performance as the existing R-134a. Second, we intend to develop a twin compressor whose height-to-radius ratio of the inner roller is less than 1. Third, it is intended to reduce the friction loss between the roller and the cylinder and the leakage loss of the refrigerant that escapes through the gap between the vane and the roller during compression. Fourth, it is intended to reduce vibration and noise by using a twin compressor having a symmetrical eccentric portion, and fifth, to reduce the axial load and the moment of inertia applied to the drive shaft. Through this, we intend to develop an evaporator, a condenser, and a capillary tube to have the same or superior refrigeration performance as the existing R-134a according to the compression of the R-290 refrigerant. Seventh, it is intended to use oil suitable for such refrigeration performance. Sixth, we intend to develop a laundry treatment device using this.

인화성 냉매를 사용하는 경우, 기존의 R-134a와 같은 성능을 위해서는 히트펌프의 설계가 달라져야 한다. In the case of using a flammable refrigerant, the design of the heat pump must be changed for the same performance as the existing R-134a.

첫째, 압축기 설계의 변경을 필요로 한다. 새로이 사용하고자 하는 인화성 냉매인 R-290과 기존 냉매인 R-134a를 비교하면, 응축압력-증발압력의 차이도 ASHRAE 37(The American Society of Heating, Refrigerating and Air-Conditioning Engineers) 평가 조건에서 R-134a는 1355 kPa, R-290은 1666 kPa로 R-134a 보다 더 크고 냉매의 비체적도 (R-134a는 0.000845 ㎥/kg, R-290은 0.00208 ㎥/kg) 더 크다. 또한, 동일한 냉동능력을 위해서는 R-290의 경우 행정체적을 25%정도 줄일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압축기의 행정체적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소음 및 진동, 압축기에서의 마찰 손실 및 누설 손실을 줄이기 위해 압축기에 사용하는 편심롤러의 높이 대 반지름의 비율을 1 미만으로 하는 것이 좋으므로 이를 위해 트윈압축기를 사용한다. First, a change in compressor design is required. Comparing the new flammable refrigerant R-290 and the existing refrigerant R-134a, the difference between condensation pressure and evaporation pressure is also R- in ASHRAE 37 (The American Society of Heating, Refrigerating and Air-Conditioning Engineers) evaluation conditions. 134a is 1355 kPa, R-290 is 1666 kPa, which is larger than R-134a, and the specific volume of the refrigerant (R-134a is 0.000845 ㎥/kg, R-290 is 0.00208 ㎥/kg). In addition, for the same refrigeration capacity, the R-290 can reduce the stroke volume by 25%. Considering this, the stroke volume of the compressor can be reduced. In addition, in order to reduce noise and vibration, friction loss and leakage loss in the compressor, it is recommended that the ratio of the height to radius of the eccentric roller used in the compressor be less than 1, so that a twin compressor is used.

둘째, 증발기파이프 사이즈를 변경을 필요로 한다. 체적유량이 준 만큼 기존과 동일한 파이프의 직경 및 길이를 사용하는 경우, 증발기 출구에서 과포화상태가 되어 압축기에 무리를 가져오게 되므로 증발기파이프의 길이를 줄이거나, 직경을 줄여야 한다. 직경을 줄이면 냉매의 속도가 빨라지게 된다. Second,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evaporator pipe size. If the same diameter and length of the pipe is used as the volume flow rate is given, it is supersaturated at the evaporator outlet, which causes an unreasonable effect on the compressor. Reducing the diameter increases the speed of the refrigerant.

셋째, 응축기도 출구에서 과냉상태가 되는 것을 막기 위해 응축기파이프의 길이를 줄이거나, 직경을 줄여야 한다. Third, the length or diameter of the condenser pipe should be shortened to prevent the condenser from becoming subcooled at the outlet.

넷째, 냉매 변경으로 인해 이에 맞는 압축기 냉매용 오일을 사용해야 하므로 R-134a의 극성으로 인해 사용하던 합성유인 POE계열에서 광유인 5GSD 타입으로 변경하고자 한다. Fourth, due to the refrigerant change, it is necessary to use oil for compressor refrigerant, so we intend to change from POE, a synthetic oil used due to the polarity of R-134a, to a 5GSD type, which is a mineral oil.

다섯째, 압축기에 사용되는 압축기모터의 동손 손실 감소 및 슬롯 유효면적 확대를 위해 상단부에 단차를 갖는 2단 스테이터 코어를 사용하고자 한다. Fifth, to reduce the copper loss of the compressor motor used in the compressor and expand the effective slot area, a two-stage stator core having a step at the upper end is used.

구체적으로는 압축기 케이스, 상기 압축기 케이스 내부에 위치하여 제1챔버를 제공하는 원형의 제1실린더, 상기 압축기 케이스 내부에 위치하여 제2챔버를 제공하는 원형의 제2실린더, 상기 제1실린더와 제2실린더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챔버와 상기 제2챔버를 분리하는 격판, 상기 제1챔버에 위치하여 상기 제1실린더의 내주면에 접하여 회전가능한 제1편심롤러와 상기 제2챔버에 위치하여 상기 제2실린더의 내주면에 접하여 회전가능한 제2편심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실린더, 상기 제2실린더 및 상기 격판을 관통하는 구동축, 일단은 상기 제1실린더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1편심롤러에 접촉하며, 상기 제1편심롤러의 회전시 왕복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1베인, 일단은 상기 제2실린더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2편심롤러에 접촉하며, 상기 제2편심롤러의 회전시 왕복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2베인, 상기 제1챔버에 냉매를 유입하는 제1유입포트, 상기 제2챔버에 냉매를 유입하는 제2유입포트, 상기 제1베어링을 관통하여 상기 제1챔버의 냉매를 배출하는 제1토출포트와 상기 제2베어링을 관통하여 상기 제2챔버의 냉매를 배출하는 제2토출포트를 포함하는 압축기토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편심롤러 및 상기 제2편심롤러는 각각 높이 대 반지름의 비율(Height-to-radius ratio)가 0.75이상 0.8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Specifically, the compressor case, a circular first cylinder located inside the compressor case to provide a first chamber, a circular second cylinder located inside the compressor case to provide a second chamber, the first cylinder and the first cylinder 2 A diaphragm located between the cylinders and separating the first and second chambers, a first eccentric roller located in the first chamber and rotatable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cylinder, and located in the second chamber. It includes a second eccentric roller rotatable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cylinder, and a drive shaft penetrating the first cylinder, the second cylinder and the diaphragm, one end is fixed to the first cylinder, and the other end is the first eccentric A first vane that contacts a roller and is installed to enable a reciprocating motion when the first eccentric roller rotates, one end is fixed to the second cylinder, the other end contacts the second eccentric roller, and the second eccentric roller A second vane that is installed to enable a reciprocating motion during rotation, a first inlet port for introducing a refrigerant into the first chamber, a second inlet port for introducing a refrigerant into the second chamber, and passing through the first bearing A compressor discharge unit including a first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the refrigerant in the first chamber and a second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the refrigerant in the second chamber through the second bearing, and the first eccentric roller and the first Two eccentric rollers are to provide a compressor, characterized in that the height-to-radius ratio (Height-to-radius ratio) is 0.75 or more and 0.8 or less, respectively.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압축기의 행정체적이 8cc/회전이상 10cc/회전 이하이고, 상기 제1토출포트와 상기 제2토출포트의 유효면적은 각각 25㎟ 이상 26 ㎟ 이하이고, 상기 구동축의 반경은 5.5 ㎜ 에서 7.5 ㎜이하이며 상기 제1토출포트와 상기 제2토출포트의 두께는 각각 1.5㎜ 이상 2.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More specifically, the stroke volume of the compressor is 8 cc/revolution or more and 10 cc/revolution or less, the effective areas of the first and second discharge ports are 25 mm2 or more and 26 mm2 or less, respectively, and the radius of the drive shaft is 5.5 mm Is 7.5 mm or less and the thickness of the first discharge port and the second discharge port is 1.5 mm or more and 2.5 mm or less, respectively.

또한 상기 압축기는 상기 제1편심롤러와 상기 제2편심롤러의 편심은 상기 구동축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위치하여, 상기 구동축의 1회전시 상기 제1토출포트와 상기 제2토출포트가 교번적으로 상기 압축된 냉매를 배출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compressor, eccentricities of the first eccentric roller and the second eccentric roller are located in opposite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drive shaft, so that the first discharge port and the second discharge port alternate when the drive shaft rotates once. As a result, the compressed refrigerant may be discharged.

또한 상기 압축기는 냉매로 R-290을 사용하고 오일로 5GSD타입을 사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mpressor may use R-290 as a refrigerant and 5GSD type as an oil.

또한, 상기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동력발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력발생부는 전자기력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압축기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압축기모터는 상기 구동축과 결합된 로터 및 코일이 권선된 스테이터를 포함하는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further comprising a power generating unit for rotating the drive shaft, the power generating unit includes a compressor motor that generates rotational force by electromagnetic force, the compressor motor includes a rotor coupled to the drive shaft and a stator on which a coil is wound. To provide a compressor.

또한, 상기 오일을 이용하여, 상기 구동축, 상기 동력발생부, 상기 제1베인, 상기 제2베인, 상기 제1편심롤러, 상기 제2편심롤러, 상기 제1베어링 및 상기 제2베어링을 윤활하기 위해 오일을 공급하는 오일유로부를 더 포함하는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using the oil to lubricate the drive shaft, the power generation unit, the first vane, the second vane, the first eccentric roller, the second eccentric roller, the first bearing and the second bearing. It is to provide a compressor further comprising an oil passage portion for supplying oil to the hazard.

또한, 상기 격판과 멀어지는 방향에 위치한 상기 제1실린더의 일면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축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베어링, 상기 격판과 멀어지는 방향에 위치한 상기 제2실린더의 일면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축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베어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토출포트는 상기 제1베어링을 관통하여 상기 제1챔버의 냉매를 배출하고 상기 제2토출포트는 상기 제2베어링을 관통하여 상기 제2챔버의 냉매를 배출하고, 상기 압축기토출부는 상기 제1베어링에 위치하여, 상기 제1토출포트를 통해 토출되는 냉매의 압력이 기설정된 압력 이상인 경우에만 토출시키는 제1토출밸브; 상기 제2베어링에 위치하여, 상기 제2토출포트를 통해 토출되는 냉매의 압력이 기설정된 압력 이상인 경우에만 토출시키는 제2토출밸브;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a first bearing that is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first cylinder locat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diaphragm to rotatably support the drive shaft, and is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second cylinder locat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diaphragm to rotate the drive shaft And a second bearing capable of supporting the second bearing, wherein the first discharge port passes through the first bearing to discharge the refrigerant in the first chamber, and the second discharge port passes through the second bearing A first discharge valve for discharging the refrigerant in the two chambers, the compressor discharge unit being located in the first bearing and discharging only when the pressure of the refrigerant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discharge port is equal to or higher than a preset pressure; A second discharge valve positioned on the second bearing and configured to discharge only when the pressure of the refrigerant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discharge port is equal to or higher than a preset pressure; It is to provide a compresso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상기 압축기를 사용하여 히트펌프를 구성하는 경우, 히트펌프에 포함되는 증발기는 열교환을 위한 복수개의 증발기방열핀, 상기 복수개의 증발기방열핀을 관통하여 복수 번 왕복하는 증발기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증발기방열핀은 공기에서 응축된 수분이 상기 증발기방열핀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친수성코팅을 할 수 있다. When configuring a heat pump using the compressor, the evaporator included in the heat pump includes a plurality of evaporator heat exchange fins for heat exchange, an evaporator pipe passing through the plurality of evaporator heat sinks and reciprocating a plurality of times, and the evaporator heat sink is air Hydrophilic coating may be applied to prevent moisture condensed in the evaporator from adhering to the heat dissipation fin.

또한 상기 히트펌프에 포함되는 응축기는 열교환을 위한 복수개의 응축기방열핀 및 상기 복수개의 응축기방열핀을 관통하여 복수 번 왕복하는 응축기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응축기파이프의 직경은 상기 증발기파이프의 직경보다 작게 설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denser included in the heat pump includes a plurality of condenser radiating fins for heat exchange and a condenser pipe passing through the plurality of condenser radiating fins and reciprocating a plurality of times, and the diameter of the condenser pipe is designed to be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evaporator pipe. I can.

또한, 상기 히트펌프에 포함되는 냉매관은 상기 증발기와 상기 압축기를 연결하는 흡입파이프; 상기 압축기와 상기 응축기를 연결하는 토출파이프; 상기 증발기와 상기 압축기사이를 연결하는 팽창부;를 포함하고, 상기 팽창부는 상기 냉매의 압력을 강하시키는 모세관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모세관튜브의 길이는 1250mm이상 1350mm 이하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frigerant pipe included in the heat pump may include a suction pipe connecting the evaporator and the compressor; A discharge pipe connecting the compressor and the condenser; And an expansion unit connecting the evaporator and the compressor, wherein the expansion unit includes a capillary tube for lowering the pressure of the refrigerant, and the length of the capillary tube may be 1250mm or more and 1350mm or less.

또한, 상기 히트펌프를 이용한 건조기능을 갖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it is to provide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having a drying function using the heat pump.

첫째, R-290 냉매의 사용에 따른 최적화된 압축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롤러와 실린더 사이의 마찰 손실 및 유량손실을 줄일 수 있다. First, it is intended to provide an optimized compressor according to the use of R-290 refrigerant. This can reduce friction loss and flow loss between the roller and the cylinder.

둘째, 증발기파이프 직경 변경 및 전열면적 변경으로 열교환효율을 높이면서도 출구에서 과포화상태를 방지할 수 있다. Second, it is possible to prevent supersaturation at the outlet while increasing heat exchange efficiency by changing the diameter of the evaporator pipe and changing the heat transfer area.

셋째, 응축기파이프 직경 변경 및 전열면적 변경으로 열교환효율을 높이면서도 출구에서 과냉상태를 방지할 수 있다. Third, by changing the diameter of the condenser pipe and changing the heat transfer area, it is possible to prevent subcooling at the outlet while increasing heat exchange efficiency.

넷째, 오일을 5GSD광유를 사용함으로써, 수분 노출에 덜 민감하고, 합성유보다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Fourth, by using 5GSD mineral oil as the oil, it is less sensitive to moisture exposure and can reduce cost compared to synthetic oil.

다섯째, 2단 스테이터 코어를 사용하여 압축기모터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Fifth,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compressor motor by using a two-stage stator core.

여섯째, 이를 이용한 히트펌프 설계로 제품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Sixth, the durability of the product can be increased by designing a heat pump using this.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의류처리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2는 프론트서포터, 필터 및 프론트 덕트를 나타낸 것이다.
도3은 리어서포터 및 리어덕트를 나타낸 것이다.
도4는 베이스부의 기계부품들간 결합관계 및 배치에 관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5는 본 발명인 의류처리장치의 공기 순환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6은 베이스부의 기계부품들간 결합관계 및 배치에 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7은 증발기, 응축기 및 압축기 그리고 냉매관에 대해 나타낸 것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압축기를 나타낸 것이다.
도9는 도8A를 확대해서 나타낸 것이다.
도10은 압축기 실린더의 일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11의 (a)는 기존 압축기모터의 스테이터 이고 (b)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되는 압축기모터의 스테이터를 나타낸 것이다. (c)는 기존 압축기모터의 스테이터 코어이고 (d)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되는 압축기모터의 스테이터 코어를 나타낸 것이다.
도12는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에 사용되는 압축기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13은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에 사용되는 압축기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14는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에 사용되는 응축기의 일 실시예이다.
도15는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에 사용되는 증발기의 일 실시예이다.
도16의 (a)는 냉매관 및 팽창부의 연결을 나타낸 그림이고, (b)는 팽창부 (c)는 토출파이프 (d)는 흡입파이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1 shows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shows a front supporter, a filter and a front duct.
3 shows a rear porter and a rear duct.
4 shows an embodiment of the coupling relationship and arrangement between the mechanical parts of the base unit.
Figure 5 schematically shows the air circulation flow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6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coupling relationship and arrangement between the mechanical parts of the base unit.
7 shows the evaporator, the condenser and the compressor, and the refrigerant pipe.
8 shows a compressor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n enlarged view of Fig. 8A.
Fig. 10 shows one end of the compressor cylinder.
Figure 11 (a) is a stator of the conventional compressor motor and (b) shows the stator of the compressor motor provided in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 is a stator core of a conventional compressor motor, and (d) is a stator core of a compressor motor provided in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a compressor used in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a compressor used in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n embodiment of a condenser used in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n embodiment of an evaporator used in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6 (a) is a diagram showing the connection of the refrigerant pipe and the expansion unit, (b) is an expansion unit (c) is a discharge pipe (d) is an embodiment of a suction pipe.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On the other hand, the configuration or control method of the device to be described below is for explain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reference numerals used identically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re the same components. Show them.

본 명세서 중에서 사용되고 있는 특정한 용어는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으로 예시된 실시예의 한정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어느 방향으로」, 「어느 방향을 따라」, 「평행」, 「직교」, 「중심」, 「동심」 혹은 「동축」등의 상대적 혹은 절대적인 배치를 나타내는 표현은, 엄밀하게 그러한 배치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공차, 혹은, 같은 기능이 얻어지는 정도의 각도나 거리를 가지고 상대적으로 변위하고 있는 상태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Specific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merely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are not used as limitations of the illustrated embodiments. For example, expressions representing relative or absolute arrangements such as "in which direction", "along any direction", "parallel", "orthogonal", "center", "concentric" or "coaxial" are strictly such It is assumed that not only the arrangement is indicated, but also the state in which the displacement is relatively displaced with tolerances or angles and distances at a degree to which the same function is obtained.

예를 들어, 「동일」, 「동일하다」 및 「균질」 등의 사물이 동일한 상태인 것을 나타내는 표현은, 엄밀하게 동일한 상태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공차, 혹은, 같은 기능이 얻어지는 정도의 차가 존재하고 있는 상태도 나타낸다. For example, expressions indicating that things are in the same state, such as ``same'', ``is the same'', and ``homogeneous'', not only indicate exactly the same state, but also a tolerance or a difference in the degree to which the same function is obtained. It also shows the state.

예를 들어, 사각 형상이나 원통 형상 등의 형상을 나타내는 표현은, 기하학적으로 엄밀한 의미에서의 사각 형상이나 원통 형상 등의 형상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같은 효과가 얻어지는 범위에서, 요철부나 모따기부등을 포함하는 형상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For example, an expression indicating a shape such as a square shape or a cylindrical shape not only indicates a shape such as a square shape or a cylindrical shape in a geometrical strict sense, but also includes an uneven portion or a chamfer within the range in which the same effect is obtained. It is assumed that the shape is also shown.

한편, 하나의 구성 요소를 「준비하다」, 「갖추다」, 「구비하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라고 하는 표현은, 다른 구성 요소의 존재를 제외하는 배타적인 표현은 아니다.On the other hand, the expression "to prepare", "have", "have", "include", or "have" one component is not an exclusive expression excluding the presence of another component.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 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bers are assigned to the same or similar configurations even in different embodiments, and redundant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구조적, 기능적으로 모순이 되지 않는 한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구조는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Structures applied to one embodiment may be equally applied to another embodiment, as long as different embodiments do not contradict structurally and functionally.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making it easier to understand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technical idea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ll changes and equivalent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water or substitutes.

본 발명은 인화성 냉매, 예컨대 R-290을 사용한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using a flammable refrigerant such as R-290.

상술한 바와 같이 4세대인 HFO 냉매는 (i)독성이 없고 안정하다. (ii) 냉매오일인 광유에 대해서 적당한 용해도를 나타낸다. (iii) 오존층 파괴위험이 없고 지구 온난화지수(GWP)도 매우 낮다는 장점이 있다. 반면, R-290과 같은 4세대 HFO 냉매는 인화성 혹은 가연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누설되는 경우, 인화성 냉매의 농도가 1.8% 이상이 되면 사용중 발화나 폭발의 위험이 있다. (ii) 가전제품에 사용하는 경우 최대 충전량에 대한 국제적 규제에 의해 인화성 냉매의 최대 충전량은 150g으로 한정된다. 따라서, 기존 R-134a와 같은 성능을 위해서는 기존 의류처리장치에서 사용하고 있는 히트펌프의 재설계가 요구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fourth generation HFO refrigerant is (i) non-toxic and stable. (ii) It shows an appropriate solubility in mineral oil, which is a refrigerant oil. (iii) There is no risk of destruction of the ozone layer and the global warming index (GWP) is very low. On the other hand, 4th generation HFO refrigerants such as R-290 are flammable or flammable. Therefore, in the case of leakage, if the concentration of the flammable refrigerant exceeds 1.8%, there is a risk of ignition or explosion during use. (ii) When used in home appliances, the maximum charging amount of flammable refrigerant is limited to 150 g by international regulations on the maximum charging amount. Therefore, in order to achieve the same performance as the existing R-134a, a redesign of the heat pump used in the existing laundry treatment system is required.

다시 말해, R-290은 R-134a와 비교하여 임계압력 및 임계온도는 비슷하나, 증발압력과 응축압력의 차이가 1.2배정도 크고, 냉매의 비체적 (R-134a는 0.000845 ㎥/kg, R-290은 0.00208 ㎥/kg)이 더 크다. 또한, 증발잠열을 고려하면, 동일한 냉동능력을 위해서는 R-290의 경우 행정체적을 25%정도 줄일 수 있다. 또한, 증발잠열이 높아야 냉매의 양이 적어도 냉동효율이 높아지는데 이러한 관점에서 R-290은 R-134a의 좋은 대체 냉매로 볼 수 있다. In other words, R-290 has similar critical pressure and critical temperature compared to R-134a, but the difference between evaporation pressure and condensation pressure is 1.2 times larger, and the specific volume of refrigerant (R-134a is 0.000845 ㎥/kg, R- 290 is larger than 0.00208 m3/kg). In addition, considering the latent heat of evaporation, for the same refrigeration capacity, the stroke volume of the R-290 can be reduced by 25%. In addition, when the latent heat of evaporation is high, the amount of refrigerant at least increases the refrigeration efficiency. From this point of view, R-290 can be seen as a good alternative refrigerant for R-134a.

다만, 이를 고려한 히트펌프의 압축기, 증발기, 응축기 및 팽창부를 포함하는 냉매관의 재설계가 요구된다. 다만, 누설을 감지하고 폭발을 막기 위한 여러 안전설계도 동시에 필요로 하게 된다. However, a redesign of the refrigerant pipe including the compressor, evaporator, condenser, and expansion unit of the heat pump is required in consideration of this. However, several safety designs to detect leakage and prevent explosions are also required at the same time.

도1은 본 발명은 인화성 냉매, 예컨대 R-290를 사용하는 히트펌프를 이용하여 건조기능을 수행하는 의류처리장치(100)의 일 실시예의 외관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1을 참고하면, 의류처리장치는 대략 직육면체 형태의 의류처리장치의 본체인 캐비닛(101)을 포함하며, 캐비닛 전면(103)에는 원형의 투입구(106)가 구비되어 있다. 전면(103) 상부에는 건조기의 각종 기능을 제어하고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컨트롤 패널(104)이 구비될 수 있다.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appearance of an embodiment of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00 that performs a drying function using a heat pump using a flammable refrigerant, for example R-290. Referring to FIG. 1,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includes a cabinet 101 that is a main body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a circular inlet 106 is provided in the front surface 103 of the cabinet. A control panel 104 that controls various functions of the dryer and displays an operating state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side 103.

캐비닛의 전면(103)에는 캐비닛(10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하여 투입구(106)를 개폐할 수 있는 도어(10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108)의 개폐여부는 기존의 전기식 접촉방식에 의한 감지를 대체하여 자석을 이용한 비접촉식 감지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이는 R-290과 같은 인화성 냉매를 사용하는 경우, 혹시라도 인화성 냉매가 누설되는 경우 폭발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기존의 전기식 접촉방식은 전기적 접점을 누르는 경우 스파크(Spark)가 발생할 수 있고, 스파크에 의해 인화석 냉매가 폭발할 수 있다. The front surface 103 of the cabinet may be provided with a door 108 tha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cabinet 101 to open and close the inlet 106. Whether the door 108 is opened or closed may use a non-contact detection sensor using a magnet in place of detection by a conventional electric contact method. This is to prevent the risk of explosion when a flammable refrigerant such as R-290 is used, or if a flammable refrigerant leaks. That is, in the conventional electrical contact method, when the electrical contact is pressed, spark may occur, and the phosphite refrigerant may explode by the spark.

이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 전기적 접점을 사용하지 않고 비접촉식으로 동작가능한 도어의 일측에 구비되는 자성부(1082)및 캐비닛의 전면(103)에 위치하여 상기 자성부(1082)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감지부(1083)를 구비할 수 있다. In order to prevent this in advance, a magnetic portion 1082 provided on one side of a door that can be operated in a non-contact manner without using an electrical contact and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magnetic portion 1082 by being located on the front surface 103 of the cabinet. It may be provided with a sensing unit (1083).

상기 감지부(1083)은 상기 자성부(1082)의 자력(혹은 자기력)을 감지하는 리드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108)가 투입구(106)에 접근함에 따라, 상기 자성부(1082)가 상기 감지부(1083)에 접촉하지 않더라도 상기 자성부(1082)의 자기력에 의해 리드스위치가 온(On)되어 상기 도어를 감지할 수 있는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1083 may include a reed switch for sensing the magnetic force (or magnetic force) of the magnetic unit 1082. Therefore, as the door 108 approaches the inlet 106, the reed switch is turned on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ic unit 1082 even if the magnetic unit 1082 does not contact the sensing unit 1083. ) So that the door can be detected.

캐비닛(101) 내부에는 투입구(106)과 연통하여 세탁물을 수용하는 원통형상의 드럼(110)을 포함한다. 드럼(110)의 하부에는 드럼(110)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덕트(120)및 덕트내부의 공기를 제습냉각후 다시 가열할 수 있는 히트펌프(140)를 포함하는 기계부품들이 위치하는 베이스부(130)가 구비될 수 있다. 베이스부(130)는 캐비닛(101)의 바닥면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의류처리장치(100)의 각종 기능을 수행할 기계부품들이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4 내지 도7을 이용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The inside of the cabinet 101 includes a cylindrical drum 110 in communication with the inlet 106 to accommodate laundry. In the lower portion of the drum 110, a base portion in which mechanical parts including a duct 120 for circulating air in the drum 110 and a heat pump 140 for reheating the air in the duct after dehumidifying cooling are located ( 130) may be provided. The base unit 130 may provide a floor surface of the cabinet 101 as well as a space in which mechanical parts to perform various functions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00 may be installed.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4 to 7.

또한, 도어(108)는 투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108)가 닫힌 상태에서도, 투광부를 통해 드럼(110)의 내부가 시각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oor 108 may include a light transmitting part. Accordingly, even when the door 108 is closed, the inside of the drum 110 may be visually exposed through the light transmitting part.

드럼(110)은 원통형의 형상으로 전방측 과 후방측이 모두 개구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일 실시예일뿐, 전방측은 개구되고 후방측은 폐쇄된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다. 이는 드럼(110)의 작동방식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The drum 110 has a cylindrical shape and may be provided in a shape in which both the front side and the rear side are opened. However, this is only an exemplary embodiment, and the front side may be opened and the rear side may be closed. This may vary depending on how the drum 110 operates.

예를 들어, 상기 드럼의 후방에서 드럼을 회전시키기 위한 드럼구동축(미도시)이 구비되고, 상기 드럼구동축(미도시)을 드럼모터에 직접 결합시켜 상기 드럼모터 의해 상기 드럼(110)을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드럼의 후방에서 드럼을 구동시키는 드럼구동축이 드럼과 결합하고, 구동모터 및 풀리 그리고 풀리와 드럼구동축을 연결하는 벨트를 이용해 드럼이 아닌 드럼구동축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드럼(110)은 드럼의 후방측에서 드럼을 지지하고 회전시키는 리어서포터가 필요없으므로, 드럼의 후방측이 개구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따라서, 드럼의 후방측은 개구되지 않고 막혀 있으며, 드럼의 후방면에 드럼을 회전시키기 위한 드럼구동축이 결합될 수 있다. For example, a drum drive shaft (not shown) for rotating the drum at the rear of the drum is provided, and the drum drive shaft (not shown) is directly coupled to a drum motor to rotate the drum 110 by the drum motor. I can. In addition, a drum drive shaft for driving the drum at the rear of the drum is coupled to the drum, and a drum drive shaft other than the drum can be rotated using a drive motor and a pulley, and a belt connecting the pulley and the drum drive shaft. In this case, since the drum 110 does not need a follower for supporting and rotating the drum at the rear side of the drum, the rear side of the drum may not need to be opened. Accordingly, the rear side of the drum is not opened and is closed, and a drum drive shaft for rotating the drum can be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drum.

이하에서는 드럼(110)의 전방측과 후방측이 개구되고, 드럼을 회전지지하기 위한 프론트서포터(Front Supporter, 104)와 리어서포터(Rear Supporter, 105)에 의해 회전 가능한 실시예를 이용하여 상기 의류처리장치를 설명하고자 한다. 프론트서포터(104)와 리어서포터(105)는 드럼(110)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배치되어, 드럼(11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Hereinafter, us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drum 110 are opened and rotatable by a front supporter 104 and a rear supporter 105 for supporting rotation of the drum, the clothing I will describe the processing device. The front supporter 104 and the rear supporter 105 are disposed at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drum 110, respectively, and may support the drum 110 in a rotatable manner.

도2를 참조하면, 프론트서포터(104)에는 처리 대상물의 투입을 위한 드럼(110)의 전방측 개구에 대응되는 개구부(1042)가 형성되며, 하부측 둘레부에는 프론트덕트(1210) 과 연통되는 유출구(1041)가 형성된다. 프론트덕트(1210)는 베이스부로 하향연장되어 필터설치부(1242)와 결합하여 인렛덕트를 이룬다. 도2에서는 프론트덕트(1210)가 프론트덕트 커넥터(1212)와 필터가이드(1211)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보이고 있으나, 이와 달리 프론트덕트 커넥터(1212)로만 이루어질 수도 있다.2, the front supporter 104 has an opening 1042 corresponding to the front opening of the drum 110 for inputting the object to be treated, and the lower circumferential portion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front duct 1210. An outlet 1041 is formed. The front duct 1210 extends downward to the base portion and is combined with the filter installation portion 1242 to form an inlet duct. 2 shows that the front duct 1210 is configured to include the front duct connector 1212 and the filter guide 1211, but unlike this, it may be formed of only the front duct connector 1212.

따라서, 드럼(1030)에서 처리 대상물을 건조시킨 공기는 프런트덕트(1210)와 필터설치부(1242, 도4참조)가 결합된 인렛덕트를 지나 송풍팬설치부(127)에 위치한 송풍팬(미도시)을 지나게 된다. 그뒤 증발기(142) 및 응축기(143)를 지나면서 건조된 가열공기가 된 후, 리어덕트(230)를 지나 다시 드럼으로 순환하게 된다. Therefore, the air dried on the object to be treated in the drum 1030 passes through the inlet duct where the front duct 1210 and the filter installation unit 1242 (refer to FIG. 4) are combined, and a blowing fan (not shown) located at the blowing fan installation unit 127 Poetry). After that, the dried heated air passes through the evaporator 142 and the condenser 143, and then passes through the rear duct 230 and circulates back to the drum.

필터가이드(1211)는 프론트서포터(104)에 장착되어 유출구(1041)에 삽입된다. 필터가이드(1211)는 프론트서포터(104)의 둘레부에 장착될수 있다. 필터가이드(1211)의 내부에는 필터(124)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드럼(110)의 전방측 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 중의 린트를 필터링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필터(124)는 복수 개의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도2와 달리 아우터 필터(Outer filter)내에 인너 필터(Inner filter)가 삽입되고 아우터 필터가 필터가이드(1211)의 내부에 삽입되어 유출구(1041)을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아우터 필터와 이너 필터의 단위 면적당 매쉬망의 홀의 개수는 서로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이너 필터의 매쉬망은 아우터 필터의 매쉬망보다 촘촘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필터(124)는 필터가이드(1211)를 따라 삽입되어 프론트덕트 커넥터(1212)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130)에는 프론트덕트 커넥터(1212)에 대응되는 크기의 필터설치부(1242)가 있어, 상기 프론트덕트 커넥터(1212)와 결합하여 공기 순환 유로인 인렉덕트를 구성할 수 있다. 이와 달리 필터(124)는 프론트 덕트(1212)에 필터가이드(1211)가 없이 프론트덕트 커넥터(1212)로 이루진 경우에는 상기 필터설치부(1242)에 필터가 설치되어 드럼(110)에서 유출구(1041)을 통해 나온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를 거르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The filter guide 1211 is mounted on the front supporter 104 and inserted into the outlet 1041. The filter guide 1211 may be mounted on the circumference of the front supporter 104. The filter 124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filter guide 1211 and is configured to filter lint in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front opening of the drum 110. In addition, the filter 124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lters. That is, unlike FIG. 2, the inner filter may be inserted into the outer filter, and the outer filter may be inserted into the filter guide 1211 to pass through the outlet 1041. In addition, the number of holes in the mesh network per unit area of the outer filter and the inner filter may be configured differently. In one embodiment, the mesh network of the inner filter may be formed to be denser than that of the outer filter. The filter 124 may be inserted along the filter guide 1211 and installed inside the front duct connector 1212. In addition, the base unit 130 includes a filter installation unit 1242 having a size corresponding to the front duct connector 1212, and may be combined with the front duct connector 1212 to form an induct that is an air circulation channel. In contrast, when the filter 124 is formed of a front duct connector 1212 without a filter guide 1211 in the front duct 1212, a filter is installed in the filter installation part 1242 so that the outlet ( 1041) can filter the air containing foreign matter.

도3은 도 1에 도시된 드럼(110) 후방의 구조를 보인 개념도이다. 도3을 참조하면, 드럼(110)과 마주하는 리어서포터(105)의 전면에는 드럼(110)의 후방측 개구(미도시)에 대응되는 리어 드럼서포트링(1053)이 돌출되어 형성될수 있다. 상기 리어 드럼서포트링(1053)은 드럼(110)의 후방측 개구에 삽입되어 드럼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드럼을 회전시키기 위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다. 상기 리어서포터(105)를 이용해 상기 드럼의 몸체를 지지하고 회전시키는 것과 다른 방식으로 회전시켜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상기 드럼의 후방에서 드럼을 회전시키기 위한 드럼구동축이 구비되고, 상기 드럼구동축을 드럼모터(180, 도4참조)에 연결하여 상기 드럼모터(180)에 의해 상기 드럼(110)을 직접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드럼의 후방에서 드럼을 구동시키는 드럼구동축이 드럼과 결합하고, 구동모터 및 풀리 그리고 풀리와 드럼구동축을 연결하는 벨트를 이용해 드럼이 아닌 드럼구동축을 회전시킬 수도 있다. 3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tructure behind the drum 110 shown in FIG. 1. Referring to FIG. 3, a rear drum support ring 1053 corresponding to a rear opening (not shown) of the drum 110 may be formed to protrude on a front surface of the rear supporter 105 facing the drum 110. The rear drum support ring 1053 may be inserted into the rear opening of the drum 110 to rotatably support the drum. However, this is only one embodiment for rotating the drum. It is also possible to rotate in a different manner from that of supporting and rotating the body of the drum using the supporter 105. For example, a drum drive shaft for rotating the drum at the rear of the drum is provided, and the drum drive shaft is connected to a drum motor 180 (refer to FIG. 4) to thereby control the drum 110 by the drum motor 180. Can be rotated directly. In addition, the drum drive shaft for driving the drum at the rear of the drum is coupled to the drum, and the drum drive shaft other than the drum may be rotated using a drive motor and a pulley, and a belt connecting the pulley and the drum drive shaft.

이하에서는 도3과 같이 리어서포터를 구비한 일 실시예에 대해 기술한다. 리어서포터(105)의 전면에는 드럼(110)의 후방측 개구(미도시)에 대응되는 리어 드럼서포트링(1053)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리어 드럼서포트링(1053)은 후방측 개구(미도시)에 삽입되어 드럼(11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Hereinafter, as shown in FIG. 3, an embodiment including a supporter will be described. A rear drum support ring 1053 corresponding to a rear opening (not shown) of the drum 110 may be protru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rear supporter 105. The rear drum support ring 1053 may be inserted into a rear opening (not shown) to rotatably support the drum 110.

리어서포터(105)에는 드럼롤러(115)가 적어도 두 개 이상 회전 가능 하게 장착된다. 드럼롤러(115)는 드럼(110)의 하부에서 드럼(11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At least two drum rollers 115 are rotatably mounted on the supporter 105. The drum roller 115 rotatably supports the drum 110 under the drum 110.

드럼(110)의 후방측 개구(미도시)와 리어 드럼서포트링(1053)사이의 틈으로 공기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링패드(미도시)가 연결부분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실링패드(미도시)는 드럼(110)의 후방측 개구(미도시)와 리어 드럼서포트링(1053)을 덮어 감싸도록 형성된다. In order to prevent air from leaking into the gap between the rear opening (not shown) of the drum 110 and the rear drum support ring 1053, a sealing pad (not shown) may be disposed to cover the connection portion. The sealing pad (not shown) is formed to cover and surround the rear opening (not shown) of the drum 110 and the rear drum support ring 1053.

리어서포터(105)에는 드럼(110)의 후방측 개구(미도시)에 대응되는 유입구(1051)가 형성된다. 상기 유입구(1051)는 리어서포터(105)의 중심을 지나는 수직 기준선을 기준으로 일측으로 편심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입구(1051)는 리어서포터(105)의 중심을 지나는 수평기준선보다 위에 형성될 수 있다. In the follower 105, an inlet 1051 corresponding to the rear opening (not shown) of the drum 110 is formed. The inlet 1051 may be formed at a position eccentric to one side with respect to a vertical reference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supporter 105. In addition, the inlet 1051 may be formed above a horizontal reference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follower 105.

이와 달리 유입구(1051)는 상기 후방측 개구(미도시)에 대응되는 모든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리어서포터(105)에는 유입구(1051)와 상기 응축기를 지난 공기를 배출하는 리어덕트 커넥터(1231)와 유입구(1051)를 연결하는 리어덕트(230)가 장착될 수 있다. 만약 송풍팬이 상기 응축기를 지난 이후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송풍팬을 지나 공기가 배출되는 송풍팬배출구(1272)와 리어덕트 커넥터(1231)이 연결된 후 리어덕트 커넥터(1231)와 유입구(1051)를 연결하는 리어덕트(230)가 장착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inlet 1051 may be formed in all areas corresponding to the rear opening (not shown). The rear ductor 105 may be equipped with an inlet 1051 and a rear duct connector 1231 for discharging the air passing through the condenser and a rear duct 230 for connecting the inlet 1051. If the blowing fan is after the condenser, the ventilation fan outlet 1272 and the rear duct connector 1231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are connected, and then the rear duct connector 1231 and the inlet 1051 are connected. The connecting rear duct 230 may be mounted.

리어서포터(105)에서 리어덕트(230)가 미배치된 부분은 후방으로 돌출된 리어돌출부(1052)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리어서포터(105) 전면은 상대적으로 후방을 향하여 움푹 들어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드럼(1030)의 내부 공간이 더 확보될 수 있다A rear protrusion 1052 protruding rearward may be formed in a portion of the rear supporter 105 in which the rear duct 230 is not disposed. Accordingly, the front of the rear porter 105 may have a shape that is relatively recessed toward the rear. Therefore, the inner space of the drum 1030 can be further secured.

리어덕트(230)는 상향 연장되게 형성되어, 열교환기를 지나 건조된 가열공기를 리어서포터(105)의 유입구(1051)로 가이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rear duct 230 is formed to extend upward and may be configured to guide the dried heated air through the heat exchanger to the inlet 1051 of the rear porter 105.

도4는 드럼(110)의 하부인 베이스부(130)에 위치한 덕트(120), 압축기(200)를 포함한 히트펌프(140) 드럼모터(180) 및 증발기(142)를 청소하기 위한 물공급부(160)의 배치에 관한 그림이다. 4 is a water supply unit for cleaning the heat pump 140 including the duct 120, the compressor 200, the drum motor 180 and the evaporator 142 located in the base unit 130, which is the lower part of the drum 110 ( 160) is a picture of the arrangement.

상기 베이스부(130)에는 공기를 순환시키는 역할을 하는 덕트(120)가 위치한다. 덕트는 세분화하면 아래와 같이 구분할 수 있다. 증발기(142) 및 응축기(143)를 중심으로 하는 제2유로, 프론트 덕트(1210)와 송풍팬 설치부(127)에 의해 한정되는 제1유로, 리어 덕트 커넥터(1231)과 리어덕트(230)의해 한정되는 유로는 제3유로로 나눌 수 있다. 따라서, 드럼(110) 내부의 공기는 제1유로를 통해 배출되고, 제2유로에서 제습 및 열교환이 이루어지고, 제3유로를 통해 드럼(110)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A duct 120 that serves to circulate air is positioned in the base unit 130. If the duct is subdivided, it can be classified as follows. The second flow path centered on the evaporator 142 and the condenser 143, the first flow path defined by the front duct 1210 and the blower fan installation part 127, the rear duct connector 1231 and the rear duct 230 The flow path defined by can be divided into a third flow path. Accordingly, air inside the drum 110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passage, dehumidification and heat exchange may be performed in the second passage, and may be introduced into the drum 110 through the third passage.

이 중에서 제2유로는 제2유로의 바닥면은 베이스부(130)의 바닥면을 이용하고, 증발기(142)와 응축기(143)위를 덮어 제2유로의 천장을 형성하는 커버플레이트(128) 및 커버측면(미도시)을 이용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2유로는 하나의 단일부재로 형성되어 공기를 유동시킬 수 도 있다.Among them, the second flow path uses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unit 130 as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flow path, and covers the evaporator 142 and the condenser 143 to form the ceiling of the second flow path. And it may be formed using the cover side (not shown). Unlike this, the second flow path may be formed as a single member to allow air to flow.

제1유로는 유출구(1041)에서 배출된 공기가 유입되는 경로를 형성하고, 베이스부(130)의 바닥면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2유로는 베이스부(130)의 일측 후방을 향하여 직선 형태로 연장될 수 있다. 제3유로는 상기 베이스부(130)의 일측에서 유입구(1051)까지 상향 연장될 수 있다. The first flow path forms a path through which air discharged from the outlet 1041 flows in, and may extend toward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unit 130. The second flow path may extend in a straight line toward the rear of one side of the base unit 130. The third flow path may extend upward from one side of the base portion 130 to the inlet 1051.

제2유로는 베이스부(130)에서 직선형태로 연장되어, 열교환효율 저하를 방지하고 유로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The second flow path extends in a straight line from the base portion 130, thereby preventing a decrease in heat exchange efficiency and reducing flow resistance.

덕트(120)의 내부, 특히 제2유로상에는 히트펌프(140)를 이루는 구성요소의 일부가 설치되는데, 히트펌프(140)은 압축기(200), 증발기(142), 응축기(143) 및 팽창부(145)를 포함하는 냉매관(146)를 포함할 수 있다. Some of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heat pump 140 are installed inside the duct 120, particularly on the second flow path, and the heat pump 140 includes a compressor 200, an evaporator 142, a condenser 143, and an expansion unit. It may include a refrigerant pipe 146 including 145.

덕트(120)는 캐비닛(101) 내부에서 드럼(110)을 통과하여 건조대상물을 건조시키는 공기의 경로가 된다. 특히, 덕트(120)는 캐비닛(101)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캐비닛(101) 내부에 덕트(duct) 형태로 형성된다. The duct 120 passes through the drum 110 in the cabinet 101 and becomes a path for air to dry the object to be dried. In particular, the duct 120 is formed in a duct shape inside the cabinet 101 from the front to the rear of the cabinet 101.

덕트(120)에는 증발기(121) 및 응축기(124)가 설치되어 있고, 팽창기 및 압축기는 순환유로의 외측에 있는 캐비닛(101)의 베이스부(130)에 배치된다. 여기서, 증발기(121)가 응축기(124)보다 덕트(120)에서 제1유로에 가까운 곳에 장착된다. 따라서, 공기흐름으로 보아 필터설치부(1242)로부터 유입된 공기는 덕트(120)를 지나면서 증발기(121)와 응축기(124)를 순차적으로 지나게 되고, 그에 따라 냉각(응축) 및 재가열이 이루어지게 된다. The evaporator 121 and the condenser 124 are installed in the duct 120, and the expander and the compressor are disposed on the base 130 of the cabinet 101 outside the circulation passage. Here, the evaporator 121 is mounted closer to the first flow path in the duct 120 than the condenser 124. Accordingly, the air introduced from the filter installation unit 1242 in terms of air flow passes through the duct 120 and sequentially passes through the evaporator 121 and the condenser 124, and cooling (condensation) and reheating are performed accordingly. do.

드럼모터(180)에 의해 캐비닛(101) 내부에서 회전되는 드럼(110)은 리어덕트(230)를 통해 가열된 공기가 토출되어 드럼 내부의 세탁물을 건조시킨다. 건조에 사용된 공기는 세탁물에서 증발된 수분을 함유하여 다습한 공기가 되어 도어(108)측에 가까운 드럼(110)의 전방의 유출구(1041) 연통된 린트필터 설치부(112) 및 덕트(120)로 배출된다. In the drum 110 rotated in the cabinet 101 by the drum motor 180, heated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rear duct 230 to dry laundry inside the drum. The air used for drying contains moisture evaporated from the laundry and becomes humid air, and the lint filter installation part 112 and the duct 120 communicated with the outlet 1041 in front of the drum 110 near the door 108 side. ).

한편, 히트펌프(140)은 순환유로를 순환하는 공기를 냉매와 열교환하여 냉각 및 가열시키는 장치를 뜻한다. 이러한 히트펌프(140)는 증발기(142), 압축기(200), 응축기(143) 및 팽창부(145)가 냉매가 흐르는 냉매관(146)에 의해 순차적으로 연결된다. 히트펌프(140)의 구성 중에서 순환되는 공기와 직접적으로 열교환을 하는 구성은 증발기(142)와 응축기(143)이다.Meanwhile, the heat pump 140 refers to a device that cools and heats air circulating through a circulation passage by heat exchange with a refrigerant. In the heat pump 140, the evaporator 142, the compressor 200, the condenser 143, and the expansion unit 145 are sequentially connected by a refrigerant pipe 146 through which a refrigerant flows. Among the configurations of the heat pump 140, the evaporator 142 and the condenser 143 are configured to directly heat exchange with circulating air.

히트펌프(140)를 순환하는 냉매는 증발기(142)에서 드럼을 빠져나온 고온 다습한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증발된다. 그에 따라 순환되는 공기는 냉각되며, 공기중에 함유된 수분이 응축되어 중력에 의해 덕트형태의 순환유로의 바닥면으로 떨어지게 된다.The refrigerant circulating through the heat pump 140 absorbs heat from the hot and humid air exiting the drum from the evaporator 142 and evaporates. Accordingly, the circulating air is cooled, and the moisture contained in the air is condensed and falls to the bottom of the duct-shaped circulation channel by gravity.

한편, 히트펌프(140)의 배관을 순환하는 냉매는 증발기(142)에서 증발된 후, 압축기(200)에서 고온고압으로 압축된 후 응축기(143)에서 전술한 냉각된 순환공기에 열을 전달하여 응축된다. 그에 따라 순환공기는 가열되어 고온의 건조한 공기가 되어 리어덕트(230)에 의해 다시 드럼(110)으로 토출된다. On the other hand, the refrigerant circulating through the pipe of the heat pump 140 is evaporated in the evaporator 142, compressed at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in the compressor 200, and then transferred to the cooled circulation air in the condenser 143. It is condensed. Accordingly, the circulating air is heated to become hot dry air and is discharged back to the drum 110 by the rear duct 230.

또한, 냉각된 냉매는 팽창부(145)를 통해 팽창하고 다시 증발기(142)에서 열을 흡수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팽창부(145)는 팽창밸브로 구비될 수도 있고, 오리피스현상을 이용하는 모세관튜브로 구비될수 있다. 또한 냉매내 이물질를 걸러내기 위해 필터드라이어(1465)를 구비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cooled refrigerant expands through the expansion unit 145 and becomes a state in which heat can be absorbed by the evaporator 142 again. The expansion part 145 may be provided as an expansion valve, or may be provided as a capillary tube using an orifice phenomenon. In addition, a filter dryer 1465 may be provided to filter out foreign substances in the refrigerant.

한편, 상기 증발기(142)에 의해 응축되면서 생성된 응축수는 증발기 및 응축기 위치한 바닥면으로 떨어져 응축수 포집부(미도시)에 일차적으로 포집될 수 있다. 이렇게 포집된 응축수는 압축기(200)와 인접하여 위치하는 응축수 저장부(161)로 유입될 수 있다. Meanwhile, the condensed water generated while condensing by the evaporator 142 may fall to the bottom surface where the evaporator and the condenser are located, and may be primarily collected in a condensate collection unit (not shown). The condensed water collected in this way may be introduced into the condensed water storage unit 161 located adjacent to the compressor 200.

응축수 저장부(161)로 유입되어 저장 저장된 응축수는 워터펌프(165)에 의해서 커버 플레이트(140)의 상부에 설치된 제어밸브(미도시)로 공급될 수 있다. 워터펌프(165)와 제어밸브(미도시) 사이에 연결된 급수관(166)을 통해서 공급된 응축수는 제어밸브(미도시)에 구비된 복수 개의 급수포트(1611, 1612, 1613) 및 배수포트(168)를 통해서 배출될 수 있다. 응축수는 복수 개의 급수포트(1611, 1612, 1613)를 거쳐서 분사관(167)으로 공급될 수 있다. The condensed water which is introduced into the condensed water storage unit 161 and stored and stored may be supplied to a control valve (not shown) installed above the cover plate 140 by the water pump 165. Condensed water supplied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166 connected between the water pump 165 and the control valve (not shown)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water supply ports 1611, 1612, 1613 and a drain port 168 provided in the control valve (not shown). ) Can be discharged. The condensed water may be supplied to the injection pipe 167 through a plurality of water supply ports 1611, 1612, 1613.

분사관(170)은 중앙부가 휘어진 파이프 형태를 가지며, 분사관(170)의 토출구(미도시)는 커버플레이트(128)를 관통하여, 커버플레이트(128)의 저면, 즉 베이스부(130)의 바닥면,을 향해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커버 플레이트(140)의 저면에는 분사관(170)의 토출구(미도시)가 구비되어 응축수를 증발기(142)에 분사할 수 있다. 증발기의 모든 영역에 분사할 필요는 없으며 드럼에서 배출된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이 쌓일 가능성이 있는 영역에만 분사할 수 있다. The injection pipe 170 has a pipe shape with a central portion bent, and a discharge port (not shown) of the injection pipe 170 penetrates through the cover plate 128,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cover plate 128, that is, of the base portion 130 It is arranged to protrude toward the bottom surface. In addition, a discharge port (not shown) of the injection pipe 170 is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cover plate 140 to spray condensed water into the evaporator 142. It is not necessary to spray all areas of the evaporator, and can only be sprayed in areas where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rum may accumulate.

드럼(110)을 구동시키기 위한 드럼모터(180)도 베이스부(130)에 장착될 수 있다. 드럼모터(180)의 위치는 드럼(110)을 구동하는 방식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드럼의 후방에서 드럼(110)의 드럼구동축과 직접 결합하는 경우에는 드럼모터(180)는 드럼의 후방에 위치하여야 하므로 베이스부(130)에 위치할 수 없다. 그러나, 드럼(110)을 벨트를 이용해서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드럼모터(180)와 드럼모터(180)의 구동력을 드럼(11)으로 전달하기 위한 벨트(미도시)가 드럼의 어느 부분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느냐에 따라 드럼 의 하부에서 위치가 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드럼의 원통형 본체를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의 중앙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그러나 드럼구동축을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드럼의 후방 하부에 위치할 수 도 있다. 이하 드럼모터 (180)및 송풍팬 그리고 압축기(200)를 냉각하기 위한 박스팬(2001)에 대해서는 도7을 이용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A drum motor 180 for driving the drum 110 may also be mounted on the base unit 130. The position of the drum motor 180 may vary depending on a method of driving the drum 110. In the case of direct coupling with the drum driving shaft of the drum 110 at the rear of the drum, the drum motor 180 must be located at the rear of the drum, and thus cannot be located at the base unit 130. However, in the case of rotating the drum 110 using a belt, a belt (not shown) for transmitting the driving force of the drum motor 180 and the drum motor 180 to the drum 11 transmits the rotational force to any part of the drum. Depending on the delivery, the position at the bottom of the drum can change. For example, when rotating the cylindrical body of the drum, it may be located at the lower center of the drum as shown. However, when the drum drive shaft is rotated, it may be located at the rear and lower portions of the drum. Hereinafter, the drum motor 180, the blowing fan, and the box fan 2001 for cooling the compressor 200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7.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의류처리장치의 공기 순환과 냉매 순환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송풍팬이 덕트(120) 중 제1유로부분에 위치한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 송풍팬설치부(127)는 응축기(143)를 지난 후에 위치하여 리어덕트(230)로 공기를 토출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5 illustrates air circulation and refrigerant circulation in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hown that the blowing fan is located in the first flow path part of the duct 120, but in some cases, the blowing fan installation part 127 is located after passing through the condenser 143 so that the rear duct 230 It may be provided to discharge air.

도6은 송풍팬설치부(127)및 송풍팬설치부 내부에 위치한 송풍팬(1273, 미도시)이 리어덕트(230)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증발기(142) 및 응축기(143)를 지난 후에 설치된 일 실시예이다.6 is after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142 and the condenser 143 to supply air to the rear duct 230 by the blowing fan installation part 127 and the blowing fan 1273 (not shown) located inside the blowing fan installation part. It is an installed embodiment.

도7은 덕트(120)에서 커버플레이트(128)을 없애어 증발기(142) 및 응축기(143)를 노출시킨 것이다. 도7을 이용하여, 드럼모터(180), 송풍팬(1273) 및 박스팬(2001)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한다. 7 shows the evaporator 142 and the condenser 143 by removing the cover plate 128 from the duct 120. With reference to FIG. 7, the drum motor 180, the blowing fan 1273, and the box fan 2001 will be described.

드럼모터(180)는 드럼(110)의 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드럼모터(180)에는 드럼모터(180)의 구둥력을 드럼(100)으로 전달하기 위한 벨트(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다. 벨트는 드럼(110)의 외주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The drum motor 180 is for generating a driving force for rotation of the drum 110, and a belt (not shown) for transmitting the driving force of the drum motor 180 to the drum 100 is connected to the drum motor 180. I can. The belt may be disposed to sur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drum 110.

또한, 벨트에 걸리는 장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풀리(181)와 스프링(미도시)이 이용될 수 있다. 풀리(181)는 벨트에 일정 장력(Tension)을 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풀리(1811)는 드럼모터가 장착되는 베이스부(130)에 위치한 드럼모터 장착부(미도시) 또는 드럼모터 장착부(미도시)에 장착되는 브라켓(미도시)에 회전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pulley 181 and a spring (not shown) may be used to adjust the tension applied to the belt. Pulley 181 may be configured to apply a certain tension (Tension) to the belt. The pulley 1811 may be configured to be rotatable on a drum motor mounting unit (not shown) located on the base unit 130 on which the drum motor is mounted or a bracket (not shown) mounted on the drum motor mounting unit (not shown).

벨트의 장력 조절을 위하여, 드럼모터(180)는 일축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되었다가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초기 위치로 원복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드럼모터(180)는 드럼모터 장착부에 일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고, 스프링은 드럼모터 장착부와 드럼모터(180) 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In order to adjust the tension of the belt, the drum motor 180 may be configured to be rotated around one axis within a certain angle range and then returned to the initial positio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To this end, the drum motor 180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about one axis in the drum motor mounting portion, and the spring may be connected to the drum motor mounting portion and the drum motor 180, respectively.

한편, 드럼모터(180)의 샤프트에는 송풍팬(1273)이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드럼모터(180)의 일측에 구비되는 샤프트에 벨트가 연결되고, 드럼모터(180)의 타측에 구비되는 샤프트에 송풍팬(1273)이 장착될 수 있다. Meanwhile, a blower fan 1273 may be mounted on the shaft of the drum motor 180.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elt is connected to a shaf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drum motor 180, and a blowing fan 1273 may be mounted on a shaft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drum motor 180.

따라서, 드럼모터(18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샤프트는 동일 방향, 동일 속도로 회전된다. 하나의 드럼모터(180)에 두 개의 샤프트가 구비되면 의류 처리 장치(100)의 소모 전력 개선 관점에서 많은 장점을 갖을 수 있다. 기본적으로 드럼(110)의 회전을 위한 드럼모터(180)와 송풍팬(1273)의 회전을 위한 드럼모터가 각각 구비되는 경우와 비교하면, 소모 전력이 절반으로 줄어들 수 있다. Accordingly, shaft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drum motor 180 are rotated in the same direction and at the same speed. When two shafts are provided in one drum motor 180, there may be many advantages in terms of improving power consumption of the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100. Basically, compared to the case in which the drum motor 180 for rotating the drum 110 and the drum motor for rotating the blowing fan 1273 are respectively provided, power consumption may be reduced by half.

송풍팬(1273)의 회전이 필요한 시점은 드럼(110)이 회전하는 시점과 동일하다. 왜냐하면, 드럼(110)이 회전하는 동안 고온 건조한 공기가 드럼(110)으로 공급되고, 고온 다습한 공기가 드럼(110)으로부터 배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드럼(110)과 송풍팬(1273) 중 어느 하나의 회전이 불필요한 상태는 발생하지 않는다.The time point at which the blowing fan 1273 is required to rotate is the same as the time point at which the drum 110 rotates. This is because, while the drum 110 rotates, high-temperature dry air is supplied to the drum 110, and hot and humid air may be discharged from the drum 110. Accordingly, a state in which rotation of any one of the drum 110 and the blowing fan 1273 is unnecessary does not occur.

압축기(200)에 인접하게는 박스팬(2001)이 설치될 수 있다. 박스팬(2001)은 압축기(200)를 향해 바람을 일으키거나 압축기(200) 주변의 공기를 흡입하여 송풍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박스팬(2001)에 의해 압축기(200) 의 온도가 낮아질 수 있으며, 그 결과 압축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박스팬(2001)이 압축기(200)의 후방에 위치하여 캐비닛의 후면에 가깝게 위치하고 있는 것을 보이고 있다.A box fan 2001 may be installed adjacent to the compressor 200. The box fan 2001 may be configured to generate wind toward the compressor 200 or to suck and blow air around the compressor 200. The temperature of the compressor 200 may be lowered by the box fan 2001, and as a result, compression efficiency may be improv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hown that the box fan 2001 is located at the rear of the compressor 200 and is located close to the rear of the cabinet.

박스팬(2001)이 위치하는 캐비닛(101)에는 캐비닛 외부의 공기와 캐비닛 내부의 공기를 교환하기 위한 캐비닛 배출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박스팬(2001)이 위치한 캐비닛의 후면에 캐비닛 배출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캐비닛(101)이 밀폐된 구조가 아니므로, 결합시 생기는 틈새가 캐비닛 배출홀을 형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캐비닛 내부의 공기와 외부의 공기를 교환할 수도 있다. A cabinet discharge hole (not shown) for exchanging air outside the cabinet and air inside the cabinet may be formed in the cabinet 101 in which the box fan 2001 is located. Preferably, a cabinet discharge hole (not shown) may be formed at the rear of the cabinet in which the box fan 2001 is located. However, since the cabinet 101 is not a closed structure, a gap generated during coupling forms a cabinet discharge hole, and air inside the cabinet and air outside the cabinet may be exchanged using the gap.

박스팬(2001)은 다른 용도로도 구비될 수 있다. 즉, 인화성 냉매, 예컨대 R-290을 사용하는 경우, 폭발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책이 필요로 한다. 상기 인화성 냉매가 누설되어 공기보다 무거운 밀도로 인해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모여 있는 경우, 전기적인 스파크(spark)에 의해 폭발할 수 도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폭발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인화성 냉매가 모일 것으로 예상되는 곳에 공기의 유동을 주어 상기 인화성 냉매의 농도를 폭발가능한 농도 미만으로 낮추거나, 인화성 냉매를 캐비닛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어야 한다. The box fan 2001 may be provided for other purposes. That is, in the case of using a flammable refrigerant such as R-290, a safety measure is required to prevent explosion. This is because when the flammable refrigerant leaks and is collected inside the cabinet due to a density heavier than air, it may explode due to an electrical spark. In order to prevent such an explosion,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concentration of the flammable refrigerant to less than the explosive concentration by providing a flow of air where the flammable refrigerant is expected to collect, or to discharge the flammable refrigerant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누설이 예상되는 곳은 진동이 많고 접합부가 많은 압축기(200) 부근이다. 따라서, 누설된 냉매는 베이스부(130)에서 덕트(120)를 제외한 압축기(200) 부근에 모일 수 있다. 이때, 팬(2001)을 이용하면, 캐비닛(101)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게 되고 결국 누설된 냉매의 농도를 희석시킬 수 있다. 또한, 캐비닛배출홀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킬수도 있고 외부의 공기를 내부로 유입시켜 누설된 냉매의 농도를 낮출 수 있다. 따라서, 팬(2001)은 압축기 냉각뿐만 아니라 인화성 냉매의 누설시 공기순환이나 공기의 교환을 유도하여 누설된 냉매의 희석을 통해 폭발을 방지하는 역할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The place where leakage is expected is near the compressor 200 with many vibrations and many joints. Accordingly, the leaked refrigerant may collect in the vicinity of the compressor 200 except for the duct 120 in the base unit 130. At this time, if the fan 2001 is used, the air inside the cabinet 101 is circulated, and the concentration of the leaked refrigerant can be diluted. In addition, it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cabinet discharge hole, and the concentration of the leaked refrigerant can be lowered by introducing outside air into the inside. Accordingly, the fan 2001 may not only cool the compressor, but also induce air circulation or exchange of air when the flammable refrigerant leaks, thereby preventing explosion through dilution of the leaked refrigerant.

도8 내지 도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인화성 냉매를 이용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되는 히트펌프의 압축기(200)에 관한 것이다. 8 to 13 relate to a compressor 200 of a heat pump provided in a clothes treatment apparatus using a flammable refrigera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히트펌프의 압축기(200)는 로터리식 압축기로 외형은 원통형의 압축기케이스(203), 케이스의 양단면을 막는 제1캡(201)과 제2캡(202)이 설치되어 밀폐된 내부공간을 형성한다. 그리고, 압축기케이스(203)를 베이스부(130)에 결합시키는 압축기바닥고정부(29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외형은 제1캡(201)과 제2캡(202)이 반구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고, 케이스와 용접되어 일체된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The compressor 200 of the heat pu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rotary compressor, and a compressor case 203 having a cylindrical shape and a first cap 201 and a second cap 202 blocking both ends of the case are installed. It forms a closed interior space. In addition, it may include a compressor bottom fixing portion 290 that couples the compressor case 203 to the base unit 130. In contrast, the first cap 201 and the second cap 202 may be provided in a hemispherical shape, or may be welded to the case and provided in an integrated form.

압축기케이스(203)의 내부에 위치하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압축기모터(210)와 동력을 이용해서 냉매를 압축시키는 압축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압축기모터(210)는 압축기케이스(203) 혹은 제1캡(201) 혹은 제2캡(202)에 위치한 터미날(218)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도8에서 압축기모터(210)는 압축기의 상부에 위치하고, 압축부(220)는 압축기의 하부에 위치하나 필요에 따라 이들의 위치들은 서로 바뀔 수 있다.It may include a compressor motor 210 for generating power located inside the compressor case 203 and a compression unit 220 for compressing a refrigerant using power. The compressor motor 210 may receive power through the compressor case 203 or the terminal 218 located in the first cap 201 or the second cap 202. In FIG. 8, the compressor motor 210 is located above the compressor, and the compression unit 220 is located below the compressor, but their positions may be changed as necessary.

압축기모터(210)는 압축기케이스(203)에 고정되는 압축기모터의 스테이터(217)과, 압축기모터의 스테이터(217)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압축기모터의 로터(216)와, 압축기모터의 로터(216)에 압입되는 구동축(214)을 포함한다. 압축기모터의 로터(216)은 전자기력에 의해 회전하며, 구동축(214)은 압축기모터의 로터 (216)의 회전력을 압축부(220)에 전달한다. The compressor motor 210 includes a stator 217 of the compressor motor fixed to the compressor case 203, a rotor 216 of the compressor motor rotatably supported inside the stator 217 of the compressor motor, and the compressor motor. It includes a drive shaft 214 pressed into the rotor 216. The rotor 216 of the compressor motor rotates by electromagnetic force, and the drive shaft 214 transmits the rotational force of the rotor 216 of the compressor motor to the compression unit 220.

냉매를 흡입하는 냉매유입부(281)은 압축기케이스(203)의 일측에 설치되고, 또한 냉매의 기상과 액상을 분리하는 어큐물레이터(28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캡(101)에는 압축된 냉매가 토출되는 압축기토출관(2281)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2캡(202)에는 마찰 운동하는 부재의 윤활 및 냉각을 위해 일정량의 오일(또는 냉매오일)이 채워질 수 있다. The refrigerant inlet 281 for sucking the refrigerant may b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compressor case 203 and may be connected to an accumulator 280 that separates the gas phase and the liquid phase of the refrigerant. In addition, a compressor discharge pipe 2281 through which the compressed refrigerant is discharged may be installed in the first cap 101. In addition, the second cap 202 may be filled with a certain amount of oil (or refrigerant oil) to lubricate and cool the frictional member.

이 때, 구동축(214)의 단부는 오일에 잠겨져 있다. 따라서 오일이 구동축(214) 내부에 위치하는 오일유로부(미도시)를 따라 공급되면, 오일은 냉매에 용해되어 같이 순환될 수 있다. 따라서, 엄밀히 히트펌프에서 순환되는 냉매는 오일과 냉매의 혼합유체이다. At this time, the end of the drive shaft 214 is immersed in oil. Therefore, when oil is supplied along the oil passage part (not shown) located inside the drive shaft 214, the oil may be dissolved in the refrigerant and circulated together. Therefore, strictly, the refrigerant circulated in the heat pump is a mixed fluid of oil and refrigerant.

기존의 단일실린더 형태의 압축부(220)는 크게 케이스에 고정되는 실린더, 실린더)내부에 위치되는 롤러 및 실린더의 상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상부 및 하부 베어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린더는 소정 크기의 내부체적을 가지며 압축되는 유체의 압력을 견딜수 있도록 충분한 강도를 갖게 설계되어야 한다. 실린더는 또한 내부체적내에 상기 구동축에 형성되는 편심롤러부를 수용한다. 편심롤러부는 일종의 편심된 캠과 롤러의 결합체이다. 따라서, 상기 구동축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일정거리만큼 이격된 중심을 갖는다. The conventional compression unit 220 in the form of a single cylinder may be composed of a roller positioned inside a cylinder, a cylinder fixed to the case, and upper and lower bearings respectively installed 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cylinder. The cylinder must have an internal volume of a predetermined size and must be designed to have sufficient strength to withstand the pressure of the compressed fluid. The cylinder also houses an eccentric roller portion formed on the drive shaft within the inner volume. The eccentric roller part is a combination of an eccentric cam and roller. Accordingly, it has a center spaced apart from the rotation center of the drive shaf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그리고, 실린더의 내주면으로부터 일정 깊이로 연장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에는 베인이 설치되고, 상기 베인은 상기 편심롤러부에 접하여 내부체적을 제1-1챔버와 제1-2챔버로 나눌 수 있다. 제1-1챔버와 제1-2챔버는 고정된 부피를 갖는 것이 아니라, 상기 편심롤러의 운동에 따라 변하며 내부의 냉매를 압축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a groove extending to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er may be formed. A vane is installed in the groove, and the vane is in contact with the eccentric roller to divide an internal volume into a 1-1 chamber and a 1-2 chamber. The first and second chambers do not have a fixed volume, but change according to the motion of the eccentric roller, and may provide a space for compressing an internal refrigerant.

그러나, 인화성 냉매의 경우, 예컨대 R-290은 R-134a와 비교하여 액체상태의 비체적이 각각 R-134a는 0.000845 ㎥/kg, R-290은 0.00208 ㎥/kg로 R-290의 비체적이 2.5배정도 크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에 R-134a가 500 g정도 충전되나, R-290의 경우 규제에 의해 150 g이하로만 충전이 가능하다. 따라서, 충전되는 양을 고려한 전체적인 체적은 오히려 R-290이 줄어들게 된다. 실제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생산과정에서는 충전양에 오차가 발생할 수 있어, 바람직하게는 145 g이하로 충전될 수 있다. 응축압력-증발압력의 차이도 ASHRAE 37 (The American Society of Heating, Refrigerating and Air-Conditioning Engineers) 평가 조건에서 1355 kPa, R-290은 1666 kPa로 R-134a일 때 보다 더 크다. 그러므로, 응축압력-증발압력의 차이를 고려하면, 비슷한 냉동능력을 위해서는 R-290의 경우 행정체적을 25%정도 줄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대략적인 행정체적은 압축기 1회전당 8cc 이상 10cc 이하가 된다. 10cc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압축기의 발열문제가 발생하고, 8cc를 미만인 경우에는 냉매의 양이 작아 충분한 열교환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인화성 냉매로 기존의 R-134a를 대체하면서 최적의 성능을 위해서 상기 압축기의 행정체적은 8cc/rev 이상 10cc/rev이하가 되어야 한다. However, in the case of flammable refrigerants, for example, R-290 has a specific volume in a liquid state of 0.000845 ㎥/kg for R-134a and 0.00208 ㎥/kg for R-290, compared to R-134a, which is about 2.5 times the specific volume of R-290. Big. In general, about 500 g of R-134a is charged in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but the R-290 can only be charged to less than 150 g by regulation. Therefore, the overall volume considering the amount to be charged is rather reduced in R-290. Actually, an error may occur in the amount of filling in the production process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it may preferably be charged to 145 g or less. The difference between condensing pressure and evaporation pressure is 1355 kPa in ASHRAE 37 (The American Society of Heating, Refrigerating and Air-Conditioning Engineers) evaluation conditions, and R-290 is 1666 kPa, which is greater than R-134a. Therefore, considering the difference between condensing pressure and evaporation pressure, for similar refrigeration capacity, R-290 can reduce the stroke volume by 25%. Therefore, the approximate stroke volume is 8 cc or more and 10 cc or less per one revolution of the compressor. If it exceeds 10cc, a heat generation problem of the compressor occurs, and if it exceeds 8cc, the amount of refrigerant is small and sufficient heat exchange is impossible. Therefore, for optimal performance while replacing the existing R-134a with a flammable refrigerant, the stroke volume of the compressor should be 8cc/rev or more and 10cc/rev or less.

이러한 인화성 냉매를 압축하기 위해서 기존과 같은 단일 실린더형태의 사용하기 위해서는 행정체적을 고려하여 실제 냉매를 압축하는 롤러의 수치를 설계해야 한다.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베이스부(130)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압축기 롤러의 반지름이 커질 수 없으므로 일반적으로는 단일실린더에 편심롤러의 높이 대 반지름의 비율(hr:rr, 도10 참조)이 1.2이상 1.6이하를 사용한다. 그러나, 압축을 위해 롤러의 높이 대 반지름의 비율이 큰 경우 롤러의 원통 외주면과 접하는 실린더 내부의 마찰 손실이 커지게 된다. 또한, 베인을 사이에 두고 분리된 양 챔버내부의 냉매가 베인과 롤러 혹은 베인과 실린더 사이, 베인과 베어링 사이의 틈으로 유출될 수 있다. 이를 누설 손실이 라 한다. 따라서 높이가 크게 되면 더 큰 틈새가 발생하게 되므로 냉매의 누설 손실도 커지게 된다. 특히, 베인을 사용하는 로터리압축기에서는 다른 압축기에 이러한 손실이 상대적으로 크다. 이를 줄이기 위해서는 롤러의 높이 대 반지름의 비율이 1미안인 경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In order to compress such flammable refrigerants, in order to use the conventional single cylinder type, the number of rollers that actually compress the refrigerant must be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the stroke volume. In order to install on the base 130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the radius of the compressor roller cannot be increased, so in general, the ratio of the height to the radius of the eccentric roller in a single cylinder (hr:rr, see Fig. 10) is 1.2 or more and 1.6 or less. Use. However, when the ratio of the height to the radius of the roller is large for compression, the friction loss inside the cylinder in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ller increases. In addition, the refrigerant in both chambers separated by the vane may flow out through the gap between the vane and the roller, or between the vane and the cylinder, and between the vane and the bearing. This is called leakage loss. Therefore, when the height is increased, a larger gap is generated, so that the leakage loss of the refrigerant increases. In particular, in a rotary compressor using a vane, this loss is relatively large for other compressors. In order to reduce this, it may be desirable to use the case where the ratio of the height to the radius of the roller is 1 µm.

따라서, 인화성 냉매의 큰 비체적에 의한 단위질량당 압축일이 많이 필요로 하는 점과, 편심롤러와 실런더사이의 마찰손실, 압축시 유체손실, 압축기가 설치되는 공간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롤러의 높이대 반지름의 비율이 1미만이면서도 단위 질량당 압축일을 줄이고, 마찰손실 및 유체손실을 줄이기 위해 압축되는 냉매를 나누어서 동시에 압축하는 압축기를 이용하는 것이다. Therefore, taking into account the need for a lot of compression work per unit mass due to the large specific volume of flammable refrigerant, friction loss between the eccentric roller and the cylinder, fluid loss during compression, and the space where the compressor is installed, the roller Although the ratio of the height to radius of is less than 1, the compression work per unit mass is reduced, and the compressed refrigerant is divided and compressed simultaneously in order to reduce frictional loss and fluid loss.

이를 위해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의류처리장치에서 사용하는 압축기(200)의 압축부(220)는 크게 압축기케이스(203)에 고정되는 2개의 실린더(2211, 2212), 각 실린더 내부에 위치되는 2개의 편심롤러부(2231, 2232), 2개의 실린더를 분리하여 냉매가 섞이는 것을 방지하는 격벽(22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실린더(2211)는 격벽과 만나는 면의 반대면에서 제1베어링(2251)과 결합하고, 제2실린더(2212)는 격벽과 만나는 면의 반대면에서 제2베어링(2252)과 결합할 수 있다.For this purpose, referring to FIG. 8, the compression unit 220 of the compressor 200 used in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two cylinders 2211 and 2212 fixed to the compressor case 203. , It may include two eccentric roller parts 2231 and 2232 positioned inside each cylinder, and a partition wall 2223 for preventing refrigerant from being mixed by separating the two cylinders. The first cylinder 2211 may be combined with the first bearing 2251 on the opposite surface of the surface meeting the partition wall, and the second cylinder 2212 may be combined with the second bearing 2252 on the opposite surface of the surface meeting the partition wall. have.

각각 실린더(2211, 2212)는 소정 크기의 부피를 갖는 챔버(2291, 2292)를 가지며 압축되는 유체의 압력을 견딜수 있도록 충분한 강도를 갖게 설계되어야 한다. 또한, 실린더(2211, 2212)는 챔버(2291, 2292)내부에 상기 구동축에 형성되는 제1편심롤러(2231)과 제2편심롤러(2232)를 수용할 수 있다. 제1편심롤러(2231)와 제2편심롤러(2232)를 일종의 편심된 캠으로 구동축의 회전 중심(L1, 도10 참조)으로부터 일정거리만큼 이격된 중심(L2, 도10 참조)을 갖는다. 1편심롤러(2231)와 제2편심롤러(2232)는 각가 편심부와 롤러가 결합된 것일 수 도 있으나 하나의 단일 부재일 수도 있다.Each of the cylinders 2211 and 2212 has chambers 2291 and 2292 having a predetermined volume and must be designed to have sufficient strength to withstand the pressure of the compressed fluid. Further, the cylinders 2211 and 2212 may accommodate a first eccentric roller 2231 and a second eccentric roller 2232 formed on the drive shaft inside the chambers 2291 and 2292. The first eccentric roller 2231 and the second eccentric roller 2232 are a kind of eccentric cam and have a center (L2, see FIG. 10) spaced apart from the rotation center of the drive shaft (L1, see FIG. 1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first eccentric roller 2231 and the second eccentric roller 2232 may be a combination of an eccentric portion and a roller, but may be a single member.

그리고, 각각의 실린더(2211, 2212)는 내주면으로부터 일정 깊이로 연장되는 실린더홈(2211a, 2212a, 도9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실린더홈((2211a)과 제2실린더홈(2212a)에는 각각 제1베인(2241)과 제2베인(2242)가 설치되고, 제1베인(2241)과 제2베인(2242)은 각각 제1편심롤러(2231)과 제2편심롤러(2232)에 접하여 내부체적을 각각 2개로 나눌 수 있다. 도10을 참조하면 제1챔버(2291)은 제1베인(2241)과 제1편심롤러(2231)에 의해 각각 제1-1챔버(2291a)와 제1-2챔버(2291b)로 나누어질 수 있다. 2개로 나누어진 챔버(2291a, 2291b)는 고정된 부피를 갖는 것이 아니라, 상기 제1편심롤러의 운동에 따라 변하게 되며, 내부에 냉매를 유입하여 압축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Further, each of the cylinders 2211 and 2212 may have cylinder grooves 2211a and 2212a (refer to FIG. 9) extending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a predetermined depth. The first cylinder groove (2211a) and the second cylinder groove (2212a) are respectively provided with a first vane (2241) and a second vane (2242), the first vane (2241) and the second vane (2242), respectively In contact with the first eccentric roller 2231 and the second eccentric roller 2232, the internal volume can be divided into two, respectively. Referring to Fig. 10, the first chamber 2291 includes a first vane 2241 and a first eccentric roller. It can be divided into a 1-1 chamber 2291a and a 1-2 chamber 291b, respectively by 2231. The chambers 2291a and 2291b divided into two do not have a fixed volume, but 1 It changes according to the motion of the eccentric roller, an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pace for compressing by introducing a refrigerant inside.

제1챔버(2291)과 제2챔버(2292)로 공급되는 냉매는 각각 제1실린더(2211) 와 제2실린더(2212)를 관통하는 제1유입포트(2814a)와 제2유입포트(2814b)를 통해 공급된다. 어큐뮬레이터(280)을 통과한 냉매가 냉매유입부(281)을 통해 공급되면 Y자 형태로 분기되는 제1유입포트(2814a)와 제2유입포트(2814b)를 통해 각각 제1실린더(2211)와 제2실런더(2212) 내부로 공급된다. The refrigerant supplied to the first chamber 2291 and the second chamber 2292 is a first inlet port (2814a) and a second inlet port (2814b) passing through the first cylinder (2211) and the second cylinder (2212), respectively. Is supplied through. When the refrigerant that has passed through the accumulator 280 is supplied through the refrigerant inlet 281, the first cylinder 2211 and the first cylinder 2211 and through the first inlet port 2814a and the second inlet port 2814b branched in a Y-shape, respectively. It is supplied into the second cylinder 2212.

도8에서는 하나의 유입포트가 압축기 내부에서 제1유입포트(2814a)와 제2유입포트(2814b)로 분기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해당한다. 제1유입포트(2814a)와 제2유입포트(2814b)가 경사져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도12에서와 마찬가지로 어큐뮬레이터(280)에서 냉매가 처음부터 제1유입부(2811) 및 제2유입부(2812)로 나누어져 유입될 수도 있다. 8 shows that one inlet port is branched into the first inlet port 2814a and the second inlet port 2814b inside the compressor, but this corresponds to an embodiment. The first inlet port 2814a and the second inlet port 2814b may not be inclined, and as in FIG. 12, the refrigerant from the accumulator 280 starts from the first inlet portion 2811 and the second inlet portion ( 2812) and can also be introduced.

도 9를 참조하면, 로터리 압축기의 작동원리에 대해 설명한다. 도9는 도8의 제1실린더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제1실린더(2211)에는 제1베인(2241)의 일단을 탄성고정하기 위한 제1실린더홈(2211a)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베인(2241)의 타단은 제1편심롤러(2231)에 항상 접촉하고 있다. 이는 탄성부재(2233)의 탄성력 때문이다. 따라서, 제1챔버(2291)는 제1베인(2241)에 의해 2개의 챔버로 분리되어 각각 제1-1챔버(2291a) 및 제1-2챔버(2291b)로 나누어진다. Referring to FIG. 9, the operating principle of the rotary compressor will be described. Fig. 9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rst cylinder of Fig. 8; The first cylinder 2211 may include a first cylinder groove 2211a for elastically fixing one end of the first vane 2241. The other end of the first vane 2241 is always in contact with the first eccentric roller 2231. This is due to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2233. Accordingly, the first chamber 2291 is divided into two chambers by the first vanes 2241 and is divided into a 1-1 chamber 2291a and a 1-2 chamber 291b, respectively.

상기 구동축(214)의 내부에는 윤활을 위해 오일을 공급하는 제1오일유로(26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축(214)은 편심된 제1편심롤러(2231)이 결합할 수 있다. 상기 구동축(214)이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1편심롤러(2231)는 상기 제1실린더(2211)의 내주면을 따라 구름운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제1-1챔버(2291a) 및 제1-2챔버(2291b)의 부피는 계속적으로 변하게 된다. 한쪽의 챔버에서는 냉매의 유입이 이루어지고, 다른쪽 챔버에서는 냉매의 압축이 이루어지게 된다. 냉매가 기설정된 압력 이상으로 압축이 되면, 제1토출밸브(2271a)가 열려 압축된 냉매를 토출포트(2271, 도10참조)를 통해 배출하게 된다. 이렇게 토출된 냉매는 압축기토출관(2281)을 통해 토출파이프(1461)을 지나 응축기(143)로 들어가게 된다. The driving shaft 214 may include a first oil passage 261 that supplies oil for lubrication. The drive shaft 214 may be coupled with an eccentric first eccentric roller 2231. When the drive shaft 214 rotates, the first eccentric roller 2231 performs a rolling motion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cylinder 2211. Accordingly, the volumes of the 1-1 chamber 2291a and the 1-2 chamber 291b are continuously changed. In one chamber, the refrigerant is introduced, and in the other chamber, the refrigerant is compressed. When the refrigerant is compressed to a predetermined pressure or higher, the first discharge valve 2271a is opened to discharge the compressed refrigerant through the discharge port 2271 (see FIG. 10). The refrigerant discharged in this way passes through the discharge pipe 1461 through the compressor discharge pipe 2281 and enters the condenser 143.

도10에서 제1토출밸브(2271a)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와 달리 제1토출밸브(2271a)는 토출포트(2271)바로 위에 설치되어 기설정된 압력 이상에서만 열리는 체크밸브와 같은 원리로 동작할 수도 있다. Although the first discharge valve 2271a is schematically shown in FIG. 10, the first discharge valve 2271a is installed directly above the discharge port 2271 and may operate on the same principle as a check valve that opens only above a preset pressure. have.

도10을 참조하면 상기 제1토출포트(2271)는 제1베어링(2251)을 관통하여 구비되며, 제1실린더(2211)와 접촉하지 않는 제1베어링(2251)의 바깥면에는 상기 제1토출밸브 (2271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토출밸브(2271a)는 상기 제1토출포트의 유효면적 및 토출포트의 두께를 고려하여 상기 제1베어링의 홈 안에 삽입되어 상기 제1토출포트를 개폐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10, the first discharge port 2231 is provided through the first bearing 2251, and the first discharge port 2251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bearing 2251 that does not contact the first cylinder 2211. A valve 2271a may be provided. The first discharge valve 2271a may be inserted into the groove of the first bearing in consideration of the effective area of the first discharge port and the thickness of the discharge port to open and close the first discharge port.

상기 제1편심롤러(2231)와 제2편심롤러(2232)는 구동축(214)를 중심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편심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1편심롤러(2231)와 제2편심롤러(2232)가 서로 교번적으로 냉매를 압축하여 토출할수 있게 되어, 토출에 의한 압력의 변화주기가 작아져 진동이 줄어든다. 또한, 상기 구동축의 축방향을 중심으로 편심된 정도가 동일하여 편심에 의한 진동 및 소음도 줄일 수 있다. 또한 토출압의 변화에 따라 가해지는 축하중도 줄어드는 효과를 가진다. The first eccentric roller 2231 and the second eccentric roller 2232 may be provided so as to be eccentric around the drive shaft 214 in opposite directions. Since the first eccentric roller 2231 and the second eccentric roller 2232 can alternately compress and discharge the refrigerant with each other, the cycle of pressure change due to the discharge is reduced, thereby reducing vibration. In addition, since the degree of eccentricity around the axial direction of the drive shaft is the same, vibration and noise due to eccentricity can be reduced. In addition, it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load of celebration appli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discharge pressure.

이렇게 2개의 실린더를 이용하여 냉매를 나누어 압축하게 되면, 기존의 편심롤러의 높이 대 반지름의 비율을 1미만으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높이 대 반지름의 비율이 1 미만인 편심롤러 하나만을 사용하는 경우보다 반지름의 사이즈가 적어져 면적을 덜차지하게 되고, 동일한 체적을 압축하기 위해 들어가는 힘도 줄어드는 반지름과 높이에 의해 관성모멘트과 줄어들게 되므로 필요한 회전력이 줄어들게 된다. When the refrigerant is divided and compressed using two cylinders in this way, the ratio of the height-to-radius of the existing eccentric roller can be used less than one. Therefore, the size of the radius is smaller than the case of using only one eccentric roller with a height-to-radius ratio of less than 1, thus taking up less area, and the force applied to compress the same volume decreases with the moment of inertia due to the decreasing radius and height. The required torque is reduced.

또한, 높이 대 반지름의 1.2~1.6을 갖는 기존의 압축기에 비해 마찰 손실 및 누설 손실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friction loss and leakage loss compared to conventional compressors having a height-to-radius of 1.2 to 1.6.

압축기의 행정체적이 8cc/rev 이상 10cc/rev이하가 되어야 함을 고려하면, 편심롤러(2231, 2232)의 높이 대 반지름의 비율은 0.75이상 0.8이하가 될 수 있다. 2개의 실린더를 갖는 압축기, 소위 트윈 압축기, 에서 상술한 행정체적의 범위를 고려하고 R-290의 임계온도, 비체적, 압축된 냉매의 누설 손실, 압축기 내부에서의 관로 마찰 등의 유체역학적 손실 및 토출밸브의 밸브 걔폐시간 등을 반영한 결과이다. 예를 들어, 편심롤러(2231, 2232)의 높이 대 반지름의 비율이 0.8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토출밸브(2271a, 2272a)가 오래 열려 원하는 행정체적 이상이 토출되고, 0.75미만인 경우에는 압축된 냉매가 토출되면서 챔버(2291, 2292)내 압력강하가 빨라 원하는 행정체적을 토출하지 못할 수 있다. 즉, 토츨밸브의 응답속도도 이러한 설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가 될 수 있다. 이런 여러 변수를 고려하여 편심롤러(2231, 2232)의 높이 대 반지름의 비율은 0.75이상 0.8이하가 될 수 있다Considering that the stroke volume of the compressor must be 8cc/rev or more and 10cc/rev or less, the ratio of the height to radius of the eccentric rollers 2231 and 2232 may be 0.75 or more and 0.8 or less. Considering the range of the stroke volume described above in the compressor having two cylinders, the so-called twin compressor, the critical temperature of R-290, the specific volume, the leakage loss of the compressed refrigerant, the hydrodynamic losses such as friction in the pipeline inside the compressor, and This is the result of reflecting the valve opening and closing time of the discharge valve. For example, if the ratio of the height to the radius of the eccentric rollers 2231 and 2232 exceeds 0.8, the discharge valves 2271a and 2272a are opened for a long time to discharge more than the desired stroke volume, and if it is less than 0.75, the compressed refrigerant is As it is discharged, the pressure drop in the chambers 2291 and 2292 is rapid, so the desired stroke volume may not be discharged. In other words, the response speed of the discharge valve can also be a variable that influences this design. Considering these variables, the ratio of the height to the radius of the eccentric rollers 2231 and 2232 may be 0.75 or more and 0.8 or less.

도10을 이용하여 최적의 히트펌프 성능을 위해 필요한 조건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10은 도8의 점선으로 된 8A 부분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구동축(214)의 중심을 지나는 직선을 L1이라하고 제1편심롤러(2231)의 중심을 L2라 하면 L1을 중심으로 L2는 소정의 이격거리만큼 떨어져 있다. 제1토출포트의 유효면적(Q)은 인화성 냉매인 R-290의 임계압력 (4.25MPa) 및 임게온도 (97 ℃)를 고려하면, 상기 제1토출포트(2271)와 상기 제2토출포트의 유효면적은 각각 25 ㎟ 이상 26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2토출포트(2271)도 마찬가지이다. With reference to FIG. 10, conditions necessary for optimal heat pump performance will be described.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section 8A in Fig. 8 by a dotted line. If the straight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drive shaft 214 is L1 and the center of the first eccentric roller 2231 is L2, L2 is separated from L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effective area (Q) of the first discharge port is, considering the critical pressure (4.25 MPa) and impingement temperature (97 ℃) of the flammable refrigerant R-290, the first discharge port (2271) and the second discharge port The effective area is preferably 25 mm2 or more and 26 mm2 or less, respectively. This is also the case with the second discharge port 2271.

또한, 상기 제1토출포트(2271)와 상기 제2토출포트의 두께는 각각 1.5㎜ 이상 2.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토출포트의 두께가 너무 두꺼우면 마찰손실이 발생하고, 너무 얇으면 내부 압력을 견딜 수 없기 때문이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thickness of the first discharge port 2271 and the second discharge port is 1.5 mm or more and 2.5 mm or less, respectively. This is because if the thickness of the discharge port is too thick, friction loss occurs, and if it is too thin, it cannot withstand internal pressure.

또한, 구동축(214)에 제1편심롤러(2231)와 제2편심롤러(2232)에 의해 생기는 편심하중과 분당 회전수를 고러하면, 일반적으로 구동축에 사용되는 재질인 주철의 경우 구동축의 반경(rs)은 5.5 ㎜ 에서 7.5 ㎜ 인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considering the eccentric load and revolutions per minute generated by the first eccentric roller 2231 and the second eccentric roller 2232 on the drive shaft 214, in the case of cast iron, which is a material generally used for the drive shaft, the radius of the drive shaft ( rs) is preferably 5.5 mm to 7.5 mm.

만약 편심롤러가 단일부재가 아니라, 편심부인 캠과 롤러를 결합하여 조립된 경우에는 캠과 롤러는 높이를 달리하여 캠의 높이가 롤러의 높이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 할 수 있다. 이는 조립시 공차로 인해 예기치 못한 베어링이나 격벽과의 마찰을 줄이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롤러의 높이(hr)가 12 mm인 경우라면 캠의 높이는 8.5 mm로 설정할 수 있다. If the eccentric roller is not a single member but is assembled by combining a cam and a roller, which is an eccentric part, it may be preferable that the cam and the roller have different heights so that the height of the cam is smaller than the height of the roller. This is to reduce unexpected friction with bearings or bulkheads due to tolerances during assembly. For example, if the height (hr) of the roller is 12 mm, the height of the cam can be set to 8.5 mm.

도8과 도10을 이용하여 압축기의 윤활에 필요한 오일유로부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자 한다. 구동축(214)의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오일유로(261)을 포함하는 오일유로부(미도시)는 구동축(214), 제1베어링(2251) 및 제2베어링(2252)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A brief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n oil passage part required for lubrication of a compressor using FIGS. 8 and 10. An oil passage part (not shown) including a first oil passage 261 penetrating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drive shaft 214 is formed along the drive shaft 214, the first bearing 2251 and the second bearing 2252. I can.

제1오일유로(261)는 구동축(214)의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형성되어 실질적으로 구동축(214)를 구동축의 축방향을 따라 관통할 수 있다. 또한 제1오일유로(261)에서 상기 베이스부(130) 방향의 일단부에는 오일과 오일펌프(미도시)가 구비된다. 오일펌프(미도시)는 일종의 원심펌프일 수 있다. The first oil passage 261 may be formed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of the drive shaft 214 to substantially penetrate the drive shaft 214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drive shaft. In addition, an oil and an oil pump (not shown) are provided at one end of the first oil passage 261 in the direction of the base unit 130. The oil pump (not shown) may be a kind of centrifugal pump.

오일 펌프는 오일에 잠기며 이에 따라 오일은 오일펌프를 거쳐 제1유로(261)에 유입될 수 있다. 오일펌프(111)를 거쳐 제1오일유로(261)에 유입될 수 있게 된다. 이 후, 오일은 제1오일유로(261)를 따라 펌핑되어 상기 구동축(214)의 말단에서 각 구동축(214), 제1베어링(2251) 및 제2베어링(2252)으로 공급되도록 비산될 수 있다. The oil pump is immersed in oil, and accordingly, the oil can flow into the first flow path 261 through the oil pump. It is possible to flow into the first oil passage 261 through the oil pump 111. Thereafter, the oil may be pumped along the first oil passage 261 and scattered to be supplied from the end of the drive shaft 214 to each of the drive shafts 214, the first bearings 2251 and the second bearings 2252. .

또한, 제1오일유로(261) 제1편심롤러(2231)과 제2편심롤러(2232)에 오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제1편심롤러(2231)과 제2편심롤러(2232)의 주변에서 구동축의 원주방향으로 상기 제1오일유로(261)와 연통될 수 있는 오일홀 (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오일홀에 연통하여 제1베어링(2251) 및 제2베어링(2252)에 오일을 공급할 수 있는 제2오일유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제1베어링(2251) 및 제2베어링(2252)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홈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riving shaft around the first eccentric roller 2231 and the second eccentric roller 2232 so that oil can be supplied to the first oil passage 261 and the first eccentric roller 2231 and the second eccentric roller 2232 It may further include an oil hole (not shown)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oil passage 261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addition, it may include a second oil passage (not shown) that communicates with the oil hole to supply oil to the first bearing 2251 and the second bearing 2252. This may be formed as a groove formed i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first bearing 2251 and the second bearing 2252.

압축기에 사용되는 오일(냉매오일)은 첫째, 윤활작용-베어링과 구동축과 같은 구동부분, 편심롤러와 실릴더의 접동부분의 윤활, 마찰과 마모의 저감을 위해 사용된다. 둘째 실링작용을 할수도 있다. 셋째, 마찰열을 제거하는 등 냉각작용을 할 수 있다. 넷째, 금속의 산화를 방지하는 방청기능을 할 수 있다. Oil (refrigerant oil) used in compressors is firstly used for lubricating action-lubrication of driving parts such as bearings and drive shafts, sliding parts of eccentric rollers and cylinders, and reduction of friction and wear. Second, it can also act as a sealing. Third, it can cool down, such as removing frictional heat. Fourth, it can have a rust prevention function to prevent oxidation of metal.

이러한 오일은 인화성 냉매와 섞여 사용하므로 적당한 용해도를 가져야 하며, 우수한 점도 및 높은 인화점을 가질수록 좋다. 적당한 용해도를 가져야 하는 이유는, 압축기 토유량이 압축기 및 시스템의 성능 및 신뢰성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인자이기 때문이다. 냉매에 오일이 많이 용해되어 토유량이 과도한 경우 온도 상승에 따른 효율저하, 유압축에 따른 이상 고압으로 펌프부의 신뢰성 악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응축기의 열교환 방해, 팽창밸브의 기능이 저하, 증발기파이프에서 유막이 형성됨으로 인한 열교환능력 감소 및 압력 손실 등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Since these oils are mixed with flammable refrigerants, they must have an appropriate solubility, and the better they have good viscosity and high flash point. The reason for having an adequate solubility is that the compressor oil volume is a factor that greatly affects the performance and reliability of the compressor and system. When the amount of oil is excessive due to a large amount of oil dissolved in the refrigerant, the reliability of the pump unit may deteriorate due to a decrease in efficiency due to an increase in temperature and abnormal high pressure due to a hydraulic shaft. In addition, this is because heat exchange is disturbed by the condenser, the function of the expansion valve is deteriorated, and heat exchange capacity decreases and pressure loss occurs due to the formation of an oil film in the evaporator pipe.

특히, R-134a는 극성을 가지고 있어 기존 오일인 광유에 잘 용해되지 않는다. 따라서, 합성유인 폴리에스테르계 오일(이하 POE계 오일)을 사용하였다. 윤활의 측면만을 살펴보면 합성유인 POE계 오일이 좋을 수 있으나 아래와 같은 단점이 있다. 첫째, 흡습성이 좋아 대기에 노출시 수분함유율이 높아지므로 반드시 밀폐가 유지되어야 한다. 따라서 누설이 발생시 습기를 함유하게 되어 부식의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둘째, POE계 오일은 세정효과가 좋으나, 모든 종류의 윤활유, 녹방지용 코팅, 용접시 발생하는 산화물질등을 씻어 유화시키(Emulsify)며 냉동사이클을 따라 흐르게 해서 고장을 일으킬 수 있다. In particular, R-134a has polarity and is not well soluble in mineral oil, an existing oil. Therefore, a synthetic oil, polyester oil (hereinafter, POE oil) was used. Looking only at the aspect of lubrication, POE oil, which is a synthetic oil, may be good, but it has the following disadvantages. First, the moisture content is high when exposed to the atmosphere due to its good hygroscopicity, so it must be kept sealed. Therefore, when leakage occurs, it contains moisture, which may cause corrosion problems. Second, POE oil has a good cleaning effect, but it can cause failure by washing all kinds of lubricants, anti-rust coatings, and oxides generated during welding, emulsifying them and allowing them to flow along the refrigeration cycle.

따라서, 인화성 냉매인 R290의 경우 극성이 없으므로 적당한 용해도(상기 압축기운전 중 온도 및 압력에 범위에서 대략 40%이상 60%이하)를 가지고, 동점도가 우수하며, 높인 인화점을 갖는 광유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한 광유의 타입으로는 5GSD가 있다. 동점도는 40 ℃ 기준으로 95.11 ㎟/s로, 기존 4GSD에 비해 2배이상 높으며 인화점(194 ℃)이 높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50 ℃ 내지 90 ℃ 범위에서 섞임성(Miscibility)이 좋고 오일과 냉매의 이층분리가능성이 매우 낮다. 유동점(Pour point)도 약 -25 ℃ 로 낮아 상기 의류처리장치를 위한 히트펌프용 오일로 적합하다. 상기 압축기(200)에서 5GSD 타입의 오일봉입량은 바람직하게는 220cc 일 수 있다. Therefore, since the flammable refrigerant R290 has no polarity, it has an appropriate solubility (about 40% or more and 60% or less in the range of temperature and pressure during operation of the compressor), has excellent kinematic viscosity, and a mineral oil having a high flash point can be used. One such type of mineral oil is 5GSD. The kinematic viscosity is 95.11 ㎟/s based on 40 ℃, which is more than twice as high as the existing 4GSD and has a high flash point (194 ℃), so it can be used safely. In addition, the miscibility is good in the range of -50°C to 90°C, and the possibility of two-layer separation between oil and refrigerant is very low. The pour point is also low at about -25°C, making it suitable as an oil for a heat pump for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In the compressor 200, the 5GSD type oil filled amount may be preferably 220cc.

도11은 압축기모터(210)에 관한 것이다. 도11(a)와 도11(c)는 기존 압축기 모터의 스테이터(217)와 스테이터 코어에 대해 도시되어 있다. 11 is related to the compressor motor 210. 11(a) and 11(c) show the stator 217 and the stator core of the conventional compressor motor.

도8을 참조하면, 압축기모터(210)의 스테이터(217), 압축기모터의 로터 (216) 및 구동축(215)를 포함한다. 압축기모터의 스테이터(217)는 링 형상의 전자 강판 (전기 강판 혹은 규소 강판)을 적층한 라미네이션과 라미네이션에 권선된 코일(215)을 구비할 수 있다. 압축기모터의 로터(216)도 전자 강판을 적층한 라미네이션으로 구비될 수 있다. 구동축(214)는 압축기모터의 로터(216) 의 중앙을 관통하며, 압축기모터의 로터(216) 에 고정된다. 압축기(200)에 전류가 인가되면, 압축기모터(210)의 스테이터(217) 와 압축기모터의 로터(216) 사이의 상호전자기력에 의해 압축기모터의 로터(216)가 회전하며, 압축기모터의 로터(216)에 고정된 구동축(214) 또한 함께 회전하는 원리이다. 8, a stator 217 of a compressor motor 210, a rotor 216 of a compressor motor, and a drive shaft 215 are included. The stator 217 of the compressor motor may include a lamination in which a ring-shaped electronic steel sheet (electric steel sheet or silicon steel sheet) is stacked and a coil 215 wound on the lamination. The rotor 216 of the compressor motor may also be provided by lamination in which electromagnetic steel sheets are stacked. The drive shaft 214 passes through the center of the rotor 216 of the compressor motor and is fixed to the rotor 216 of the compressor motor. When current is applied to the compressor 200, the rotor 216 of the compressor motor rotates due to mutual electromagnetic force between the stator 217 of the compressor motor 210 and the rotor 216 of the compressor motor, and the rotor 216 of the compressor motor rotates. The drive shaft 214 fixed to 216 is also a principle of rotating together.

따라서, 압축기모터(210)의 회전력은 압축기의 성능을 가장 크게 좌우할 수 있다. 성능향상을 위해서 코일(215)의 단위면적당 감은수를 늘리면 되나 좁은 공간에서는 한계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도11(b)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모터(210)의 경우에는 도11(d)와 같이 스테이터가 단차를 갖는 2단코어(2171)로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슬롯유효면적의 확대를 가져와 동손(Copper loss)에 의한 손실 개선 및 자속 흐름 증가를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압축기 효율이 향상되고, 기존의 단차없는 코어에 비해 재료비도 줄이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Therefore, the rotational force of the compressor motor 210 may influence the performance of the compressor the most. In order to improve performance, the number of turns per unit area of the coil 215 may be increased, but there may be a limit in a narrow space. Accordingly, in the case of the compressor motor 2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1(b), the stator may be provided with a two-stage core 2171 having a step as shown in FIG. 11(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effective slot area, thereby improving loss due to copper loss and increasing magnetic flux flow.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compressor efficiency and reduce the material cost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core without step difference.

도13은 트윈압축기와 달리 다단계로 냉매를 다단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냉매를 다단으로 압축하는 경우가 한번에 원하는 압력까지 압축하는 경우보다 필요한 일이 훨씬 적으므로 그 만큼 히트펌프의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실린더(2212)는 저압에서 냉매를 압축하고, 제1실린더(2211)는 고압에서 냉매를 압축할 수 있다. 이는 일 실시예일 분, 제1실린더(2211)와 제2실린더(2212)의 기능이 바뀌어도 무방하다. 도13에서는 제2유입부(2811)을 통해 제2실린더(2212)에 냉매가 유입되고, 제2실린더(2212)에서 압축된 냉매는 제3유입부(2810)를 통해 배출된 후 중간연결부(2813) 및 제1유입부(2811)을 통해 제1실린더(2211)에 유입될 수 있다. 제1실린더는 제2실린더보다 높은 압력에서 냉매를 다시 압축하여 원하는 응축압력에 도달 시킨 후 압축기토출관(2281)을 통해 응축기로 내보낼 수 있다. Fig. 13 relates to a multi-stage compressor of refrigerant in multiple stages unlike a twin compressor. Since the case of compressing the refrigerant in multiple stages requires much less work than the case of compressing the refrigerant to a desired pressure at once, the performance of the heat pump can be improved accordingly. To this end, the second cylinder 2212 compresses the refrigerant at low pressure, and the first cylinder 2211 compresses the refrigerant at high pressure. In this embodiment, the functions of the first cylinder 2211 and the second cylinder 2212 may be changed. In FIG. 13, refrigerant flows into the second cylinder 2212 through the second inlet 2811, and the refrigerant compressed in the second cylinder 2212 is discharged through the third inlet 2810, and then the intermediate connection ( 2813) and the first inlet 2811 may be introduced into the first cylinder 2211. The first cylinder may compress the refrigerant again at a higher pressure than the second cylinder to reach a desired condensing pressure, and then discharge the refrigerant to the condenser through the compressor discharge pipe 2281.

도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인화성 냉매를 이용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되는 히트펌프(140)의 응축기(143)에 관한 것이다.14 is a condenser 143 of a heat pump 140 provided in a clothes treatment apparatus using a flammable refrigera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덕트(120)의 내부에 위치하는 응축기(143)는 압축기(200)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시켜 발생하는 열을 응축기(143)를 지나가는 공기에 전달하여 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 상기 응축기(143)은 덕트(120)의 양 측면에 위치하는 제1응축기판(1431)과 제2응축기판(1432)를 포함할 수 있다. 냉매가 유입되어 흐르는 응축기파이프(1433)는 제1응축기판(1431)과 제2응축기판(1432)을 통해 지지된다. 응축기파이프는 제1응축기판(1431)과 제2응축기판(1432)의 사이를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복수 번 반복왕복하여 하나의 연결된 파이프로 제1응축기판(1431)과 제2응축기판(1432)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제1응축기판(1431)과 제2응축기판(1432) 사이에는 제1응축기판과 제2응축기판과 같은 방향으로 복수개의 응축기방열핀(1434)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ondenser 143 located inside the duct 120 may heat air by transferring heat generated by condensing the refrigerant compressed by the compressor 200 to the air passing through the condenser 143. The condenser 143 may include a first condensed substrate 1431 and a second condensed substrate 1432 positioned on both sides of the duct 120. The condenser pipe 1433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flows is supported through the first condensed substrate 1431 and the second condensed substrate 1432. The condenser pipe is repeatedly reciprocated a plurality of times while maintaining a predetermined distance between the first condensed substrate 1431 and the second condensed substrate 1432 to form a single connected pipe. ) Can be connected. In addition, a plurality of condenser radiating fins 1434 may be included between the first condensed substrate 1431 and the second condensed substrate 1432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first condensed substrate and the second condensed substrate.

따라서, 제1응축기판(1431)과 제2응축기판(1432)사이를 응축기파이프(1433)가 왕복운동할 때 복수개의 응축기방열핀(1434)를 관통하게 되며, 복수개의 응축기방열핀(1434)은 응축기파이프(1433)가 관통하는 부위와 응축기파이프(1433)가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고온의 냉매가 응축기파이프(1433)를 지나가면서 복수개의 응축기방열핀(1434)에 열이 전달되고, 상기 복수개의 방열핀 사이를 지나가는 공기에 전달되는 원리이다.Therefore, when the condenser pipe 1433 reciprocates between the first condensed substrate 1431 and the second condensed substrate 1432, it passes through the plurality of condenser radiating fins 1434, and the plurality of condenser radiating fins 1434 is a condenser. The portion through which the pipe 1433 passes and the condenser pipe 1433 may be coupled to allow heat exchange. Therefore, as the high-temperature refrigerant passes through the condenser pipe 1433, heat is transferred to the plurality of condenser radiating fins 1434, and the heat is transferred to the air passing between the plurality of radiating fins.

다시 말해, 공기가 화살표 방향(제1유로에서 제3유로의 방향, 덕트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향하는 방향 또는 덕트의 길이방향)으로 유동할 때, 상기 덕트의 양 측면을 가로지는 방향으로 설치된 응축기파이프(1433)를 지나는 고온의 냉매가 상대적으로 저온인 공기에 열을 전달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when air flows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the direction of the first flow path to the third flow path, the direction from the front to the rear of the duct, or the length direction of the duct), a condenser pipe installed in a direction crossing both sides of the duct The high-temperatur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1433) can transfer heat to the relatively low-temperature air.

R-134a에 비해 R-290은 비체적이 크나 사용하는 충전양이 작으므로 전체 체적은 작게된다. 따라서, 기존 R-134a에서 사용하던 응축기와 동일한 직경 및 길이를 갖는 응축기파이프(1433)를 사용하게 되면 응축기파이프의 출구(1433b)에서 과냉상태가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응축기파이프(1433)의 직경을 작게 설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응축기파이프(1433)의 직경은 5mm일 수 있다. Compared to R-134a, R-290 has a larger specific volume, but the amount of charging used is small, so the overall volume is smaller. Therefore, if the condenser pipe 1433 having the same diameter and length as the condenser used in the existing R-134a is used, the condenser pipe is in a subcooled state at the outlet 1433b. In order to prevent this, the diameter of the condenser pipe 1433 may be designed to be small. Preferably, the diameter of the condenser pipe 1433 may be 5 mm.

응축기파이프(1433)의 직경이 줄어들면 내부를 흐르는 냉매는 더 빠른 속도로 지나가게 되어 시간당 열전달양이 많아지게 된다. 또한, 응축기파이프(1433)의 직경이 작아진 경우, 응축기(143) 에서 공기가 실제로 지나가는 유동단면적이 커지게 되므로 더 많은 공기가 응축기(143)를 지나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응축기방열핀(1434)의 인치당 핀 개수를 나타내는 FPI (Fin per inch)는 기존 R-134a에서의 FPI보다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존 R-134a에서는 16 FPI인 반면에 R-290에서 사용하는 응축기에서는 18 FPI를 사용할 수 있다. As the diameter of the condenser pipe 1433 decreases, the refrigerant flowing through the inside passes at a higher speed, so that the amount of heat transfer per hour increases. In addition, when the diameter of the condenser pipe 1433 is decreased, the flow cross-sectional area through which air actually passes in the condenser 143 increases, so that more air can pass through the condenser 143. Therefore, it may be desirable to increase the FPI (Fin per inch) representing the number of fins per inch of the condenser radiating fins 1434 than the FPI in the existing R-134a. For example, 16 FPI is available on the conventional R-134a, while 18 FPI is available on the condenser used on the R-290.

또한, 열전달양이 많아지므로 상기 응축기의 길이(L)은 R-134a에서 사용하는 응축기에서의 길이보다 짧게 구비될 수 있다. 이는 곧, 응축기(142)의 소형화를 의미한다. 즉, 응축기(142)의 내부용적은 R134-a에서의 응축기 내부용적 대비 50%정도 감소된다. In addition, since the amount of heat transfer increases, the length L of the condenser may be shorter than that of the condenser used in R-134a. This means that the condenser 142 is miniaturized. That is, the internal volume of the condenser 142 is reduced by about 50% compared to the internal volume of the condenser in R134-a.

또한, 상기 덕트(120)의 측면에서 제1응축기판(1421)과 제2응축기판(1422)을 관통하는 응축기파이프의 배열개수가 응축기파이프의 직경감소로 더 많이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존 R-134a에서의 응축기파이프의 배열이 제1응축기판의 길이방향 및 높이방향 기준으로 8개와 5개 (8R × 5C) 배열되었다면, R-290에서는 응축기파이프의 배열이 제1응축기판의 길이방향(L) 및 높이방향(T) 기준으로 8개와 6개 (8R × 6C)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인접한 응축기파이프(1431)의 거리를 뜻하는 dL과 dT는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number of condenser pipes passing through the first condensed substrate 1421 and the second condensed substrate 1422 from the side of the duct 120 may be arranged more by reducing the diameter of the condenser pipe. For example, if the arrangement of the condenser pipes in the existing R-134a is 8 and 5 (8R × 5C)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height direction of the first condensing board, the arrangement of the condenser pipes in R-290 is the first. It can be arranged in eight and six (8R × 6C) based on the length direction (L) and height direction (T) of the condensing substrate. In addition, dL and dT indicating the distance between adjacent condenser pipes 1431 may be set equally.

열전당량이 많아지면 응축기를 지나는 공기의 압력차(△P)도 커져 공기의 유동속도도 커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공기의 유동속도는 2~3m/s를 가질 수 있다. When the amount of heat transfer equivalent increases, the pressure difference (ΔP) of air passing through the condenser also increases, and the flow rate of air may increase. Preferably, the flow rate of air may have 2 to 3 m/s.

도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인화성 냉매를 이용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되는 히트펌프(140)의 증발기(142)에 관한 것이다.15 relates to an evaporator 142 of a heat pump 140 provided in a clothes treatment apparatus using a flammable refrigera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덕트(120)의 내부에 위치하는 증발기(142)는 드럼(110)에서 유입된 고온 다습한 공기와의 열교환을 통해 냉매에게 열을 전달하고 냉매를 다시 증발시키는 장치이다. 이때 고온다습한 공기는 증발기(142)를 지나면서 상대적으로 저온제습된 공기가 된다. The evaporator 142 located inside the duct 120 is a device that transfers heat to the refrigerant through heat exchange with the hot and humid air introduced from the drum 110 and evaporates the refrigerant again. At this time, the high-temperature and high-humidity air becomes relatively low-temperature dehumidified air while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142.

상기 증발기(142)은 덕트(120)의 양 측면에 위치하는 제1증발기판(1421)과 제2증발기판(1422)를 포함할 수 있다. 냉매가 유입되어 흐르는 증발기파이프(1423)는 제1증발기판(1421)과 제2증발기판(1422)을 통해 지지된다. 증발기파이프(1423)는 제1증발기판(1421)과 제2증발기판(1422)의 사이를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복수 번 반복왕복하여 하나의 연결된 파이프로 제1증발기판(1421)과 제2증발기판(1422)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제1증발기판(1421)과 제2증발기판(1422) 사이에는 제1증발기판(1421)과 제2증발기판(1422) 같은 방향으로 복수개의 증발기방열핀(1424)을 포함할 수 있다. The evaporator 142 may include a first evaporator plate 1421 and a second evaporator plate 1422 positioned on both sides of the duct 120. The evaporator pipe 1423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flows is supported through the first evaporation substrate 1421 and the second evaporation substrate 1422. The evaporator pipe 1423 repeats a plurality of times while maintaining a certain distance between the first evaporation substrate 1421 and the second evaporation substrate 1422, and the first evaporation substrate 1421 and the second evaporation through a single connected pipe. It is possible to connect between the substrates 1422. In addition, a plurality of evaporator heat dissipation fins 1424 may be includ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first evaporation substrate 1421 and the second evaporation substrate 1422 between the first evaporation substrate 1421 and the second evaporation substrate 1422.

따라서, 제1증발기판(1421)과 제2증발기판(1422) 사이를 증발기파이프(1423)가 왕복운동할 때 복수개의 증발기방열핀(1424)를 관통하게 되며, 복수개의 증발기 방열핀(1424)은 증발기파이프(1423)가 관통하는 부위와 증발기파이프(1423)가 서로 열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고온의 공기가 증발기(142)를 통과할 때, 복수개의 증발기방열핀(1424)에 의해 열이 전달되고, 이 열은 다시 상대적으로 저온의 냉매가 지나가는 증발기파이프(1423)으로 전달되는 원리이다. Therefore, when the evaporator pipe 1423 reciprocates between the first evaporator plate 1421 and the second evaporator plate 1422, it passes through the plurality of evaporator radiating fins 1424, and the plurality of evaporator radiating fins 1424 is an evaporator. The portion through which the pipe 1423 passes and the evaporator pipe 1423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such that heat transfer is possible. Therefore, when relatively high temperature air passes through the evaporator 142, heat is transferred by the plurality of evaporator heat dissipation fins 1424, and this heat is transferred to the evaporator pipe 1423 through which the relatively low temperature refrigerant passes. It is a principle.

다시 말해, 공기가 화살표 방향(제1유로에서 제3유로의 방향, 덕트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향하는 방향 또는 덕트의 길이방향)으로 유동할 때, 상기 덕트의 양 측면을 가로지는 방향으로 설치된 증발기파이프(1423)를 지나는 저온의 냉매는 상대적으로 고온인 공기로부터 열을 전달받을 수 있다. In other words, when air flows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the direction of the first flow path to the third flow path, the direction from the front to the rear of the duct, or the length direction of the duct), an evaporator pipe installed in a direction crossing both sides of the duct The low temperatur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1423 may receive heat from the relatively high temperature air.

R-134a에 비해 R-290은 비체적이 크나 사용하는 충전양이 작으므로 전체 체적은 작게된다. 따라서, 기존 R-134a에서 사용하던 증발기(142)와 동일한 직경 및 길이를 갖는 증발기파이프(1423)를 사용하게 되면 증발기파이프의 출구(1422b)에서 과포화증기상태가 된다. 이는 곧 압축기의 에너지 소모가 많아지거나, 압축기에 손상을 주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증발기파이프(1423)의 직경을 작게 설계할 수 있다. 그러나, 응축기파이프(1433)의 직경보다는 크게 설계될 수 있다. 이는 응축기내에서 열교환하는 냉매와 공기의 온도차가 증발기내에서 열교환하는 냉매의 공기의 온도차보다 크기 때문이다. 따라서 증발기내부에서는 냉매의 유속을 천천히 하여 충분한 열전달이 이루어지게 하기 위해 증발기파이프(1423)의 직경이 응축기파이프(1433)의 직경보다 크게 설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증발기파이프(1423)의 직경은 7.94mm일 수 있다. Compared to R-134a, R-290 has a larger specific volume, but the amount of charging used is small, so the overall volume is smaller. Therefore, if the evaporator pipe 1423 having the same diameter and length as the evaporator 142 used in the existing R-134a is used, the evaporator pipe becomes a supersaturated vapor state at the outlet 1422b of the evaporator pipe. This soon increases the energy consumption of the compressor or damages the compressor. In order to prevent this, the diameter of the evaporator pipe 1423 may be designed to be small. However, it may be designed to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condenser pipe 1433. This is because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refrigerant heat exchanged in the condenser and air is greater than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refrigerant heat exchanged in the evaporator. Therefore, the diameter of the evaporator pipe 1423 may be designed to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condenser pipe 1433 in order to achieve sufficient heat transfer by slowing the flow rate of the refrigerant inside the evaporator. Preferably, the diameter of the evaporator pipe 1423 may be 7.94mm.

작아진 직경을 갖는 증발기파이프(1423)의 내부를 저온의 냉매는 더 빠른 속도로 지나가게 되어 시간당 열전달양이 많아지게 된다. 또한, 증발기파이프(1423)의 직경이 작아진 경우, 증발기(142)내에서 공기가 실제로 지나가는 유동단면적이 커지게 되므로 더 많은 공기가 증발기(142)를 지나갈 수 있게 되므로 열전달이 향상될 수 있다.The low-temperature refrigerant passes through the inside of the evaporator pipe 1423 having a smaller diameter at a higher speed, so that the amount of heat transfer per hour increases. In addition, when the diameter of the evaporator pipe 1423 is decreased, the flow cross-sectional area through which air actually passes in the evaporator 142 increases, so that more air can pass through the evaporator 142, so that heat transfer can be improved.

열전당량이 많아지면 응축기를 지나는 공기의 압력차(△P)도 커져 공기의 유동속도도 커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공기의 유동속도는 2~3m/s를 가질 수 있다. When the amount of heat transfer equivalent increases, the pressure difference (ΔP) of air passing through the condenser also increases, and the flow rate of air may increase. Preferably, the flow rate of air may have 2 to 3 m/s.

이를 위해 증발기방열핀(1424)의 두께를 R-134a를 사용할 때의 증발기방열핀보다 얇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존 증발기방열핀(1424)의 두께가 0.14mm 였다면, R290 에서의 증발기방열핀(1424)의 두께는 0.13mm 이하, 바람직하게는 0.1mm일 수 있다. 또한 제습된 수분이 증발기방열핀(1423)에 부착될 수 있다. 이는 곧 증발기방열핀(1424)의 열교환 성능을 떨어뜨리게 된다. 따라서, 이를 막기위해 증발기방열핀(1424)은 친수성코팅을 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thickness of the evaporator heat sink 1424 may be thinner than that of the evaporator heat sink when R-134a is used. For example, if the thickness of the existing evaporator radiating fins 1424 was 0.14 mm, the thickness of the evaporator radiating fins 1424 in R290 may be 0.13 mm or less, preferably 0.1 mm. In addition, the dehumidified moisture may be attached to the evaporator heat dissipation fin 1423. This soon deteriorates the heat exchange performance of the evaporator heat sink 1424.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this, the evaporator heat dissipation fin 1424 may be coated with a hydrophilic property.

또한 열전달양이 많아지므로 상기 덕트의 길이(L)은 R-134a에서 사용하는 증발기에서의 길이보다 짧게 구비될 수 있다. 이는 곧, 증발기(142)의 소형화를 의미한다. 즉, 증발기(142)의 내부용적은 R134-a에서의 증발기 내부용적 대비 30%정도 감소된다. In addition, since the amount of heat transfer increases, the length L of the duct may be shorter than that of the evaporator used in R-134a. This means that the evaporator 142 is miniaturized. That is, the internal volume of the evaporator 142 is reduced by about 30% compared to the internal volume of the evaporator in R134-a.

또한, 상기 덕트(120)의 측면에서 제1증발기판(1421)과 제2증발기판(1422)을 관통하는 증발기파이프(1423)의 배열개수가 응축기파이프의 직경감소로 더 많이 배열될 수 있다. R-290에서는 증발기파이프(1423)의 배열이 제1증발기판(1421)의 길이방향(L) 및 높이방향(T) 기준으로 5개와 4개 (5R × 4C)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인접한 증발기파이프(1423)의 거리를 뜻하는 dL과 dT는 일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number of arrangements of the evaporator pipes 1423 passing through the first evaporation substrate 1421 and the second evaporation substrate 1422 from the side of the duct 120 may be more arranged by reducing the diameter of the condenser pipe. In the R-290, the evaporator pipes 1423 may be arranged in 5 and 4 (5R×4C) length directions (L) and height directions (T) of the first evaporator plate 1421. In addition, dL and dT indica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adjacent evaporator pipes 1423 may be constant.

응축기파이프 입구(1431a) 및 응축기파이프 출구(1431b), 그리고 증발기파이프 입구(1421a) 및 증발기파이프 출구(1421b)는 덕트(120)의 측면을 관통하여 덕트(120)외부에 있는 팽창부(145) 및 압축기(200)와 냉매관(146)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The condenser pipe inlet (1431a) and the condenser pipe outlet (1431b), and the evaporator pipe inlet (1421a) and the evaporator pipe outlet (1421b) pass through the side of the duct 120 and the expansion part 145 outside the duct 120 And the compressor 200 and the refrigerant pipe 146 may be connected.

도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인화성 냉매를 이용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되는 히트펌프(140) 에서 인화성 냉매를 순환시키는 냉매관(146)에 관한 것이다. 16 is a refrigerant pipe 146 for circulating a flammable refrigerant in a heat pump 140 provided in a clothes treatment apparatus using a flammable refrigera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6의 (a)는 냉매관 및 팽창부의 연결을 나타낸 그림이고, (b)는 팽창부 (c)는 토출파이프 (d)는 흡입파이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Figure 16 (a) is a diagram showing the connection of the refrigerant pipe and the expansion unit, (b) is an expansion unit (c) is a discharge pipe (d) is an embodiment of a suction pipe.

도16(a)를 참조하면, 냉매를 순환시키는 냉매관은 압축기(200)와 응축기(142)를 연결하는 토출파이프(1461), 응축기(142)과 증발기(143)를 연결하는 팽창부(145), 증발기(142)와 압축기(200)의 어큐뮬레이터(280)를 연결하는 흡입파이프(1462)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 16(a), the refrigerant pipe for circulating the refrigerant includes a discharge pipe 1461 connecting the compressor 200 and the condenser 142, and an expansion unit 145 connecting the condenser 142 and the evaporator 143. ), a suction pipe 1462 connecting the evaporator 142 to the accumulator 280 of the compressor 200.

도1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의류처리장치에서 사용되는 팽창부(145)를 도시한 것이다. 이는 일 실시예일뿐, 파이프의 형상 및 길이등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변형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팽창부(145)는 응축된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밸브나 모세관튜브(146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응축된 냉매에 포함될 수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모세관튜브(1464)에 앞서 필터드라이어(1465)를 통과할 수 있다. 증발기파이프의 입구(1421a)와 연결되는 팽창부의 증발기연결부(1451a)는 증발기파이프(1423) 직경을 고려하여 팽창부의 직경을 확대시켜 결합시킨다. 팽창부의 직경은 테이퍼드(tapeed) 된 연속적인 확장이 아니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차를 가지면서 단계적으로 확대시킨 형상을 갖는다. 이는 증발기파이프의 입구(1421a)와 팽창부의 증발기연결부(1451a)가 넓은 면접촉을 통해 결합하여 냉매가 새어나가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바람직하게 증발기파이프의 입구(1421a)와 팽창부의 증발기연결부(1451a)는 용접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Fig. 16(b) shows an expansion part 145 used in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only an embodiment, and the shape and length of the pipe can be modified and used unless otherwise specified. The expansion unit 145 may include an expansion valve or a capillary tube 1464 for expanding the condensed refrigerant. In addition, in order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that may be included in the condensed refrigerant, it may pass through the filter dryer 1465 before the capillary tube 1464. The evaporator connection part 1451a of the expansion part connected to the inlet 1421a of the evaporator pipe is combined by expanding the diameter of the expansion part in consideration of the diameter of the evaporator pipe 1423. The diameter of the expansion portion is not tapered continuous expansion, but has a shape expanded in stages while having at least one step difference. This is to prevent the refrigerant from leaking by combining the inlet 1421a of the evaporator pipe and the evaporator connector 1451a of the expansion unit through a wide surface contact. Preferably, the inlet 1421a of the evaporator pipe and the evaporator connection part 1451a of the expansion part may be connected by welding.

또한 상기 모세관튜브(1464)의 길이는 R-290의 모세관 길이당 압력강하의 비율이 R-134a보다 빠르고 프레온가스와 비슷하여, 압력강하 R-134a에서 사용하는 모세관튜브(1464)의 길이보다 짧아 질 수 있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1300 mm일 수 있다. 그러나, R-290이 상기 압축기에 충전되는 충전양에는 오차가 있을 수 있으므로 모세관튜브(1464)의 길이 1250 mm 이상 1350 mm이하로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ength of the capillary tube 1464 is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capillary tube 1464 used in the pressure drop R-134a because the ratio of the pressure drop per capillary length of R-290 is faster than R-134a and is similar to that of Freon gas. I can lose. Therefore, it may be preferably 1300 mm. However, since there may be an error in the amount of filling R-290 is charged to the compressor, the length of the capillary tube 1464 may be 1250 mm or more and 1350 mm or less.

도1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의류처리장치에서 사용되는 토출파이프(1461)를 도시한 것이다. 응축기파이프의 입구(1431a)와 연결되는 토출파이프의 응축기연결부(1461a)는 응축기파이프의 직경에 맞추기 위해 직경이 적어도 한번 이상의 단차로 단계적으로 줄어든다. 이는 응축기파이프의 입구(1431a)와 토출파이프의 응축기연결부(1461a)가 넓은 면접촉을 통해 결합하여 냉매가 새어나가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바람직하게 응축기파이프의 입구(1431a)와 토출파이프의 응축기연결부(1461a)는 용접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Fig. 16(c) shows a discharge pipe 1461 used in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denser connection part 1461a of the discharge pipe connected to the inlet 1431a of the condenser pipe is gradually reduced in diameter by at least one or more steps to match the diameter of the condenser pipe. This is to prevent the refrigerant from leaking out by combining the inlet (1431a) of the condenser pipe and the condenser connector (1461a) of the discharge pipe through wide surface contact. Preferably, the inlet (1431a) of the condenser pipe and the condenser connection portion (1461a) of the discharge pipe may be connected by welding.

도16(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의류처리장치에서 사용되는 흡입파이프(1462)를 도시한 것이다. 증발기파이프의 출구(1421b)와 연결되는 흡입파이프의 증발기연결부(1462a)는 증발기파이프(1423)의 직경에 맞추기 위해 증발기연결부(1462a)의 직경이 적어도 한번 이상의 단차로 단계적으로 축소된다. 이는 증발기파이프의 출구(1421b)와 흡입파이프의 증발기연결부(1462a)가 넓은 면접촉을 통해 결합하여 냉매가 새어나가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바람직하게 증발기파이프의 출구(1421b)와 흡입파이프의 증발기연결부(1462a)는 용접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Fig. 16(d) shows a suction pipe 1462 used in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vaporator connection 1462a of the suction pipe connected to the outlet 1421b of the evaporator pipe is gradually reduced in diameter by at least one step or more in order to match the diameter of the evaporator pipe 1423. This is to prevent the refrigerant from leaking by combining the outlet 1421b of the evaporator pipe and the evaporator connection 1462a of the suction pipe through a wide surface contact. Preferably, the outlet 1421b of the evaporator pipe and the evaporator connection 1462a of the suction pipe may be connected by welding.

본 명세서 상에서는 특정한 실시예가 예시되었는바, 도시된 특정한 실시예는 동일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계산된 어떠한 재구성으로도 대체될 수 있고 개시된 본 발명은 다른 환경에서 달리 적용될 수 있음을 본 발명과 관련한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할 것이다. 즉, 본 출원은 본 발명의 개시에 대한 어떠한 적용이나 변화도 커버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후속되는 청구범위는 본 명세서의 특정한 실시예와 관련한 개시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 specific embodiment has been illustrated, and it is understood that the shown specific embodiment can be replaced with any reconstruction calculated to achieve the same purpose, and the disclosed invention can be applied differently in other environments. It will be self-explanatory to the technician. That is, this application should be understood to cover any application or change to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laims that follow are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scope of the disclosure relating to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refore, if the modified embodiment includes the elements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viewed as belongi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의류처리장치
101 캐비닛 104 컨트롤 패널 106 투입구
108 도어 1081 도어힌지 1082 자성부
1083 감지부 109 디스플레이부
104 프론트서포터 1041 유출구 1042 개구부
105 리어서포터 1051 유입구 1052 리어돌출부
110 드럼 120 덕트
1210 프론트덕트 1211 필터가이드
230 리어덕트 1231 리어덕트 커넥터
124 필터 1242 필터설치부
127 송풍팬설치부 128 커버플레이트
130 베이스부
140 히트펌프 200 압축기 2001 박스팬
142 증발기 1423 증발기파이프
143 응축기 1433 응축기파이프
145 팽창부 146 냉매관 1464 모세관튜브
200 압축기 203 압축기케이스 214 구동축 (Crank Shaft) 2141 편심부 220 압축부 221 실린더
2223 격벽 2231 제1편심롤러 2232 제2편심롤러
2241 제1베인 2242 제2베인
2251 제1베어링 2252 제2베어링
226 소음저감부 227 압축기토출부
2271 제1토출포트 2271a 제1토출밸브
2272 제2토출포트 2272a 제2토출밸브 2273 토출연결부 228 압축기유입부
2281 제1유입포트 2282 제2유입포트
2291 제1챔버 2292 제2챔버
100 clothes handling equipment
101 cabinet 104 control panel 106 slot
108 Door 1081 Door hinge 1082 Magnetic part
1083 Sensing unit 109 Display unit
104 Front supporter 1041 Outlet 1042 Opening
105 Rear porter 1051 Inlet 1052 Rear protrusion
110 drum 120 duct
1210 Front Duct 1211 Filter Guide
230 rear duct 1231 rear duct connector
124 Filter 1242 Filter installation part
127 Ventilation fan installation part 128 Cover plate
130 base
140 Heat pump 200 Compressor 2001 Box fan
142 evaporator 1423 evaporator pipe
143 Condenser 1433 Condenser pipe
145 Expansion part 146 Refrigerant tube 1464 Capillary tube
200 Compressor 203 Compressor case 214 Crank shaft 2141 Eccentric part 220 Compression part 221 Cylinder
2223 bulkhead 2231 1st eccentric roller 2232 2nd eccentric roller
2241 First vane 2242 Second vane
2251 First bearing 2252 Second bearing
226 Noise reduction part 227 Compressor discharge part
2271 1st discharge port 2271a 1st discharge valve
2272 2nd discharge port 2272a 2nd discharge valve 2273 Discharge connection 228 Compressor inlet
2281 1st inlet port 2282 2nd inlet port
2291 Chamber 1 2292 Chamber 2

Claims (27)

압축기 케이스;
상기 압축기 케이스 내부에 위치하여 제1챔버를 제공하는 원형의 제1실린더;
상기 압축기 케이스 내부에 위치하여 제2챔버를 제공하는 원형의 제2실린더;
상기 제1실린더와 제2실린더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챔버와 상기 제2챔버를 분리하는 격판;
상기 제1챔버에 위치하여 상기 제1실린더의 내주면에 접하여 회전가능한 제1편심롤러와 상기 제2챔버에 위치하여 상기 제2실린더의 내주면에 접하여 회전가능한 제2편심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실린더, 상기 제2실린더 및 상기 격판을 관통하는 구동축;
일단은 상기 제1실린더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1편심롤러에 접촉하며, 상기 제1편심롤러의 회전시 왕복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1베인;
일단은 상기 제2실린더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2편심롤러에 접촉하며, 상기 제2편심롤러의 회전시 왕복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2베인;
상기 제1실린더를 관통하여 상기 제1챔버에 냉매를 유입하는 제1유입포트;
상기 제2실린더를 관통하여 상기 제2챔버에 냉매를 유입하는 제2유입포트;
상기 제1챔버의 냉매를 배출하는 제1토출포트와 상기 제2챔버의 냉매를 배출하는 제2토출포트를 포함하는 압축기토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편심롤러 및 상기 제2편심롤러는
각각 높이 대 반지름의 비율(Height-to-radius ratio)가 0.75이상 0.8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Compressor case;
A circular first cylinder positioned inside the compressor case to provide a first chamber;
A circular second cylinder positioned inside the compressor case to provide a second chamber;
A diaphragm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ylinders and separating the first and second chambers;
A first eccentric roller located in the first chamber and rotatable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cylinder, and a second eccentric roller located in the second chamber and rotatable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cylinder, and the first A cylinder, a drive shaft passing through the second cylinder and the diaphragm;
A first vane having one end fixed to the first cylinder, the other end contacting the first eccentric roller, and installed to enable a reciprocating motion when the first eccentric roller rotates;
A second vane having one end fixed to the second cylinder, the other end contacting the second eccentric roller, and installed to enable a reciprocating motion when the second eccentric roller rotates;
A first inlet port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flows into the first chamber through the first cylinder;
A second inlet port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flows into the second chamber through the second cylinder;
A compressor discharge unit including a first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the refrigerant in the first chamber and a second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the refrigerant in the second chamber; and
The first eccentric roller and the second eccentric roller
Compressor, characterized in that the height-to-radius ratio (Height-to-radius ratio) is 0.75 or more and 0.8 or less, respective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의 행정체적이 8cc/회전이상 10cc/회전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The method of claim 1,
Compressor, characterized in that the stroke volume of the compressor is 8 cc/revolution or more and 10 cc/revolution or les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편심롤러와 상기 제2편심롤러의 편심은 상기 구동축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위치하여,
상기 구동축의 1회전시 상기 제1토출포트와 상기 제2토출포트가 교번적으로 상기 압축된 냉매를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eccentricity of the first eccentric roller and the second eccentric roller are located in opposite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drive shaft,
The compressor,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discharge port and the second discharge port alternately discharge the compressed refrigerant during one rotation of the drive shaft.
제1항 있어서,
상기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동력발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력발생부는 전자기력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압축기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압축기모터는 상기 구동축과 결합된 로터 및 코일이 권선된 스테이터를 포함하는 압축기.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ower generating unit for rotating the drive shaft,
The power generating unit includes a compressor motor that generates rotational force by electromagnetic force,
The compressor motor includes a rotor coupled to the drive shaft and a stator wound with a coil.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격판과 멀어지는 방향에 위치한 상기 제1실린더의 일면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축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베어링;
상기 격판과 멀어지는 방향에 위치한 상기 제2실린더의 일면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축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베어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토출포트는
상기 제1베어링을 관통하여 상기 제1챔버의 냉매를 배출하고
상기 제2토출포트는
상기 제2베어링을 관통하여 상기 제2챔버의 냉매를 배출하고,
상기 압축기토출부는
상기 제1베어링에 위치하여, 상기 제1토출포트를 통해 토출되는 냉매의 압력이 기설정된 압력 이상인 경우에만 토출시키는 제1토출밸브;
상기 제2베어링에 위치하여, 상기 제2토출포트를 통해 토출되는 냉매의 압력이 기설정된 압력 이상인 경우에만 토출시키는 제2토출밸브;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A first bearing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first cylinder locat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diaphragm to rotatably support the drive shaft;
A second bearing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second cylinder position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diaphragm to rotatably support the drive shaft; further comprising,
The first discharge port is
Discharge the refrigerant in the first chamber through the first bearing,
The second discharge port is
Discharge the refrigerant in the second chamber through the second bearing,
The compressor discharge unit
A first discharge valve positioned on the first bearing to discharge only when a pressure of the refrigerant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discharge port is equal to or higher than a preset pressure;
A second discharge valve positioned on the second bearing and configured to discharge only when the pressure of the refrigerant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discharge port is equal to or higher than a preset pressure; Compresso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토출포트와 상기 제2토출포트의 유효면적은 각각 25㎟ 이상 26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The method of claim 5,
The compressor, characterized in that the effective areas of the first discharge port and the second discharge port are 25 mm2 or more and 26 mm2 or less, respectively.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토출포트와 상기 제2토출포트의 두께는 각각 1.5㎜ 이상 2.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The method of claim 6,
The compressor, wherein the first discharge port and the second discharge port have a thickness of 1.5 mm or more and 2.5 mm or less, respective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의 반경은 5.5 ㎜ 에서 7.5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The method of claim 1,
Compressor, characterized in that the radius of the drive shaft is 5.5 mm to 7.5 mm.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 상기 동력발생부, 상기 제1베인 상기 제2베인, 상기 제1편심롤러, 상기 제2편심롤러, 상기 제1베어링 및 상기 제2베어링을 윤활하기 위해 오일을 공급하는 오일유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The method of claim 4,
An oil passage part supplying oil to lubricate the drive shaft, the power generating part, the first vane, the second vane, the first eccentric roller, the second eccentric roller, the first bearing, and the second bearing; Compresso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는 인화성 냉매임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compressor, characterized in that the refrigerant is a flammable refrigerant.
공기의 유출입을 위한 덕트;
상기 덕트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덕트로 유입된 공기를 냉각하는 증발기;
상기 덕트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증발기를 통과한 공기를 가열하는 응축기;
상기 덕트 외부에 위치하고, 상기 증발기를 통과한 냉매를 압축하여 상기 응축기에 공급하는 압축기;
상기 증발기, 상기 응축기 및 상기 압축기와 연통되어 상기 냉매가 유동하는 냉매관;을 포함하고,
상기 압축기는
압축기 케이스;
상기 압축기 케이스 내부에 위치하여 제1챔버를 제공하는 원형의 제1실린더;
상기 압축기 케이스 내부에 위치하여 제2챔버를 제공하는 원형의 제2실린더;
상기 제1실린더와 제2실린더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챔버와 상기 제2챔버를 분리하는 격판;
상기 제1챔버에 위치하여 상기 제1실린더의 내주면에 접하여 회전가능한 제1편심롤러와 상기 제2챔버에 위치하여 상기 제2실린더의 내주면에 접하여 회전가능한 제2편심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실린더, 상기 제2실린더 및 상기 격판을 관통하는 구동축;
일단은 상기 제1실린더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1편심롤러에 접촉하며, 상기 제1편심롤러의 회전시 왕복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1베인;
일단은 상기 제2실린더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2편심롤러에 접촉하며, 상기 제2편심롤러의 회전시 왕복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2베인;
상기 제1실린더를 관통하여 상기 제1챔버에 냉매를 유입하는 제1유입포트;
상기 제2실린더를 관통하여 상기 제2챔버에 냉매를 유입하는 제2유입포트;
상기 제1챔버의 냉매를 배출하는 제1토출포트와 상기 제2챔버의 냉매를 배출하는 제2토출포트를 포함하는 압축기토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편심롤러 및 상기 제2편심롤러는
각각 높이 대 반지름의 비율(Height-to-radius ratio)가 0.75이상 0.8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펌프.
Ducts for inflow and outflow of air;
An evaporator located inside the duct and cooling the air introduced into the duct;
A condenser located inside the duct and heating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evaporator;
A compressor located outside the duct, compressing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and supplying it to the condenser;
A refrigerant pipe in communication with the evaporator, the condenser and the compressor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flows; and
The compressor
Compressor case;
A circular first cylinder positioned inside the compressor case to provide a first chamber;
A circular second cylinder positioned inside the compressor case to provide a second chamber;
A diaphragm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ylinders and separating the first and second chambers;
A first eccentric roller located in the first chamber and rotatable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cylinder, and a second eccentric roller located in the second chamber and rotatable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cylinder, and the first A cylinder, a drive shaft passing through the second cylinder and the diaphragm;
A first vane having one end fixed to the first cylinder, the other end contacting the first eccentric roller, and installed to enable a reciprocating motion when the first eccentric roller rotates;
A second vane having one end fixed to the second cylinder, the other end contacting the second eccentric roller, and installed to enable a reciprocating motion when the second eccentric roller rotates;
A first inlet port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flows into the first chamber through the first cylinder;
A second inlet port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flows into the second chamber through the second cylinder;
A compressor discharge unit including a first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the refrigerant in the first chamber and a second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the refrigerant in the second chamber; and
The first eccentric roller and the second eccentric roller
Each of the heat pump, characterized in that the height-to-radius ratio (Height-to-radius ratio) is 0.75 or more and 0.8 or less.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의 행정체적이 8cc/회전이상 10cc/회전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펌프.
The method of claim 11,
A heat pump, characterized in that the stroke volume of the compressor is 8 cc/revolution or more and 10 cc/revolution or less.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편심롤러와 상기 제2편심롤러의 편심은 상기 구동축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위치하여,
상기 구동축의 1회전시 상기 제1토출포트와 상기 제2토출포트가 교번적으로 상기 압축된 냉매를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펌프.
The method of claim 11,
The eccentricity of the first eccentric roller and the second eccentric roller are located in opposite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drive shaft,
The heat pump,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discharge port and the second discharge port alternately discharge the compressed refrigerant upon one rotation of the drive shaft.
제11항 내지 제1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격판과 멀어지는 방향에 위치한 상기 제1실린더의 일면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축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베어링;
상기 격판과 멀어지는 방향에 위치한 상기 제2실린더의 일면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축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베어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토출포트는
상기 제1베어링을 관통하여 상기 제1챔버의 냉매를 배출하고
상기 제2토출포트는
상기 제2베어링을 관통하여 상기 제2챔버의 냉매를 배출하고,
상기 압축기토출부는
상기 제1베어링에 위치하여, 상기 제1토출포트를 통해 토출되는 냉매의 압력이 기설정된 압력 이상인 경우에만 토출시키는 제1토출밸브;
상기 제2베어링에 위치하여, 상기 제2토출포트를 통해 토출되는 냉매의 압력이 기설정된 압력 이상인 경우에만 토출시키는 제2토출밸브;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펌프.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1 to 13,
A first bearing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first cylinder locat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diaphragm to rotatably support the drive shaft;
A second bearing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second cylinder position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diaphragm to rotatably support the drive shaft; further comprising,
The first discharge port is
Discharge the refrigerant in the first chamber through the first bearing,
The second discharge port is
Discharge the refrigerant in the second chamber through the second bearing,
The compressor discharge unit
A first discharge valve positioned on the first bearing to discharge only when a pressure of the refrigerant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discharge port is equal to or higher than a preset pressure;
A second discharge valve positioned on the second bearing and configured to discharge only when the pressure of the refrigerant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discharge port is equal to or higher than a preset pressure; Heat pump,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토출포트와 상기 제2토출포트의 유효면적은 각각 25 ㎟ 이상 26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펌프.
The method of claim 14,
The heat pump, wherein the effective areas of the first discharge port and the second discharge port are 25 mm2 or more and 26 mm2 or less, respectively.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토출포트와 상기 제2토출포트의 두께는 각각 1.5 ㎜ 이상 2.5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펌프.
The method of claim 15,
The heat pump, characterized in that the thickness of the first discharge port and the second discharge port is 1.5 mm or more and 2.5 mm or less, respectively.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의 반경은 5.5 ㎜ 에서 7.5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펌프.
The method of claim 11,
Heat pump, characterized in that the radius of the drive shaft is 5.5 mm to 7.5 mm.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는 인화성 냉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펌프.
The method of claim 11,
The refrigerant is a heat pump, characterized in that the flammable refrigerant.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인화성 냉매는 R-29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펌프.
The method of claim 18,
Heat pump, characterized in that the flammable refrigerant is R-29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는
상기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동력발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축, 상기 동력발생부, 상기 제1베인 상기 제2베인, 상기 제1편심롤러, 상기 제2편심롤러, 상기 제1베어링 및 상기 제2베어링을 윤활하기 위해 오일을 공급하는 오일유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펌프.
The method of claim 11,
The compressor
Further comprising a; power generating unit for rotating the drive shaft,
An oil passage part supplying oil to lubricate the drive shaft, the power generating part, the first vane, the second vane, the first eccentric roller, the second eccentric roller, the first bearing, and the second bearing; Heat pump,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은 5GSD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펌프.
The method of claim 20,
The oil is a heat pump, characterized in that the 5GSD typ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는
판형상을 가지고, 열교환을 위한 복수개의 증발기방열핀
상기 복수개의 증발기방열핀을 관통하여 복수 번 왕복하는 증발기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냉매는 상기 응축기를 지난 냉매가 유입되어 공기와 열교환한 후 상기 압축기로 유출되고,
상기 증발기방열핀은 공기에서 응축된 수분이 상기 증발기방열핀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친수성코팅을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펌프.
The method of claim 11,
The evaporator is
A plurality of evaporator radiating fins for heat exchange with a plate shape
It includes an evaporator pipe passing through the plurality of evaporator radiating fins and reciprocating a plurality of times,
The refrigerant is discharged to the compressor after the refrigerant flowing through the condenser flows into and exchanges heat with air,
The evaporator heat sink is a heat pump, characterized in that the hydrophilic coating to prevent the moisture condensed in the air from adhering to the evaporator heat sink.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는
판형상을 가지고, 열교환을 위한 복수개의 응축기방열핀
상기 복수개의 응축기방열핀을 관통하여 복수 번 왕복하는 응축기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냉매는 상기 압축기를 지난 냉매가 유입되어 공기와 열교환후 상기 증발기로 유출되고,
상기 응축기파이프의 직경은 상기 증발기파이프의 직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펌프.
The method of claim 23,
The condenser is
Plate shape, multiple condenser radiating fins for heat exchange
It includes a condenser pipe passing through the plurality of condenser radiating fins and reciprocating a plurality of times,
The refrigerant is discharged to the evaporator after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compressor flows in and heat exchange with air,
Heat pump, characterized in that the diameter of the condenser pipe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evaporator pip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관은
상기 증발기와 상기 압축기를 연결하는 흡입파이프;
상기 압축기와 상기 응축기를 연결하는 토출파이프;
상기 증발기와 상기 압축기사이를 연결하는 팽창부;를 포함하고,
상기 팽창부는 상기 냉매의 압력을 강하시키는 모세관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모세관튜브의 길이는 1250mm이상 1350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펌프.
The method of claim 11,
The refrigerant pipe is
A suction pipe connecting the evaporator and the compressor;
A discharge pipe connecting the compressor and the condenser;
Including; an expansion unit connecting between the evaporator and the compressor,
The expansion unit includes a capillary tube for lowering the pressure of the refrigerant,
Heat pump, characterized in that the length of the capillary tube is 1250mm or more and 1350mm or less.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위치한 원통형상의 드럼;
상기 드럼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덕트;
상기 덕트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덕트로 유입된 공기를 냉각하는 증발기;
상기 덕트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증발기를 통과한 공기를 가열하는 응축기;
상기 덕트 외부에 위치하고, 상기 증발기를 통과한 냉매를 압축하여 상기 응축기에 공급하는 압축기;
상기 증발기, 상기 응축기 및 상기 압축기와 연통되어 상기 냉매가 유동하는 냉매관;을 포함하고,
상기 압축기는
압축기 케이스;
상기 압축기 케이스 내부에 위치하여 제1챔버를 제공하는 원형의 제1실린더;
상기 압축기 케이스 내부에 위치하여 제2챔버를 제공하는 원형의 제2실린더;
상기 제1실린더와 제2실린더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챔버와 상기 제2챔버를 분리하는 격판;
상기 제1챔버에 위치하여 상기 제1실린더의 내주면에 접하여 회전가능한 제1편심롤러와 상기 제2챔버에 위치하여 상기 제2실린더의 내주면에 접하여 회전가능한 제2편심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실린더, 상기 제2실린더 및 상기 격판을 관통하는 구동축;
일단은 상기 제1실린더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1편심롤러에 접촉하며, 상기 제1편심롤러의 회전시 왕복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1베인;
일단은 상기 제2실린더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2편심롤러에 접촉하며, 상기 제2편심롤러의 회전시 왕복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2베인;
상기 제1실린더를 관통하여 상기 제1챔버에 냉매를 유입하는 제1유입포트;
상기 제2실린더를 관통하여 상기 제2챔버에 냉매를 유입하는 제2유입포트;
상기 제1챔버의 냉매를 배출하는 제1토출포트와 상기 제2챔버의 냉매를 배출하는 제2토출포트를 포함하는 압축기토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편심롤러 및 상기 제2편심롤러는
각각 높이 대 반지름의 비율(Height-to-radius ratio)가 0.75이상 0.8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Cabinets forming the exterior;
A cylindrical drum located inside the cabinet;
A duct for circulating air in the drum;
An evaporator located inside the duct and cooling the air introduced into the duct;
A condenser located inside the duct and heating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evaporator;
A compressor located outside the duct, compressing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and supplying it to the condenser;
A refrigerant pipe in communication with the evaporator, the condenser and the compressor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flows; and
The compressor
Compressor case;
A circular first cylinder positioned inside the compressor case to provide a first chamber;
A circular second cylinder positioned inside the compressor case to provide a second chamber;
A diaphragm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ylinders and separating the first and second chambers;
A first eccentric roller located in the first chamber and rotatable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cylinder, and a second eccentric roller located in the second chamber and rotatable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cylinder, and the first A cylinder, a drive shaft passing through the second cylinder and the diaphragm;
A first vane having one end fixed to the first cylinder, the other end contacting the first eccentric roller, and installed to enable a reciprocating motion when the first eccentric roller rotates;
A second vane having one end fixed to the second cylinder, the other end in contact with the second eccentric roller, and installed to enable a reciprocating motion when the second eccentric roller rotates;
A first inlet port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flows into the first chamber through the first cylinder;
A second inlet port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flows into the second chamber through the second cylinder;
A compressor discharge unit including a first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the refrigerant in the first chamber and a second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the refrigerant in the second chamber; and
The first eccentric roller and the second eccentric roller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height-to-radius ratio (Height-to-radius ratio) is 0.75 to 0.8, respectively.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는 R-29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25.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frigerant is R-290.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격판과 멀어지는 방향에 위치한 상기 제1실린더의 일면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축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베어링;
상기 격판과 멀어지는 방향에 위치한 상기 제2실린더의 일면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축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베어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토출포트는
상기 제1베어링을 관통하여 상기 제1챔버의 냉매를 배출하고
상기 제2토출포트는
상기 제2베어링을 관통하여 상기 제2챔버의 냉매를 배출하고,
상기 압축기토출부는
상기 제1베어링에 위치하여, 상기 제1토출포트를 통해 토출되는 냉매의 압력이 기설정된 압력 이상인 경우에만 토출시키는 제1토출밸브;
상기 제2베어링에 위치하여, 상기 제2토출포트를 통해 토출되는 냉매의 압력이 기설정된 압력 이상인 경우에만 토출시키는 제2토출밸브;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26,
A first bearing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first cylinder locat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diaphragm to rotatably support the drive shaft;
A second bearing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second cylinder position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diaphragm to rotatably support the drive shaft; further comprising,
The first discharge port is
Discharge the refrigerant in the first chamber through the first bearing,
The second discharge port is
Discharge the refrigerant in the second chamber through the second bearing,
The compressor discharge unit
A first discharge valve positioned on the first bearing to discharge only when a pressure of the refrigerant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discharge port is equal to or higher than a preset pressure;
A second discharge valve positioned on the second bearing and configured to discharge only when the pressure of the refrigerant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discharge port is equal to or higher than a preset pressure;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a.
KR1020190078328A 2019-06-28 2019-06-28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eased KR20210002281A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8328A KR20210002281A (en) 2019-06-28 2019-06-28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EP20182565.0A EP3757277B1 (en) 2019-06-28 2020-06-26 Compressor for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EP24177337.3A EP4411141A3 (en) 2019-06-28 2020-06-26 Compressor for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8328A KR20210002281A (en) 2019-06-28 2019-06-28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281A true KR20210002281A (en) 2021-01-07

Family

ID=71266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8328A Ceased KR20210002281A (en) 2019-06-28 2019-06-28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EP (2) EP3757277B1 (en)
KR (1) KR20210002281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5075323A1 (en) * 2023-10-05 2025-04-10 삼성전자주식회사 Washing machin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1029707B1 (en) * 2021-08-23 2023-03-20 Miele & Cie Method and device for carrying out a cleaning process for a cleaning device and cleaning device
CN114011102B (en) * 2021-11-12 2023-05-12 广西维云再生资源回收有限责任公司 Multilayer separation system for high-temperature distillation of waste lubricating oil
US20230151532A1 (en) * 2021-11-18 2023-05-18 Whirlpool Corporation Functionalized surfaces for home appliances
JP7284436B1 (en) * 2022-03-24 2023-05-31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rotary compressor and air conditioner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263762B (en) * 2002-08-27 2006-10-11 Sanyo Electric Co Multi-stage compression type rotary compressor and a setting method of displacement volume ratio for the same
JP2004141650A (en) * 2002-10-01 2004-05-20 Sanyo Electric Co Ltd Laundry drier
JP5631398B2 (en) * 2010-07-08 2014-11-2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Rotary compressor and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EP3066406B1 (en) * 2013-11-06 2018-01-10 BSH Hausgeräte GmbH Heat pump for a household appliance
EP2871432A1 (en) 2013-11-06 2015-05-13 BSH Hausgeräte GmbH Heat pump for a household appliance
EP2985466A1 (en) 2014-08-14 2016-02-17 BSH Electrodomésticos España, S.A. Rotary compressor, heat pump, and household appliance
CN105466078A (en) * 2014-08-18 2016-04-06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Heat pump system, washing-drying integrated machine and clothes dryer
EP2987904A1 (en) * 2014-08-21 2016-02-24 BSH Hausgeräte GmbH Front-loading tumble dryer comprising a heat pump
JP6407432B2 (en) * 2015-07-08 2018-10-17 三菱電機株式会社 Compressor and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EP3333305A1 (en) * 2016-12-12 2018-06-13 BSH Hausgeräte GmbH Clothes drying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5075323A1 (en) * 2023-10-05 2025-04-10 삼성전자주식회사 Wash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57277A1 (en) 2020-12-30
EP4411141A2 (en) 2024-08-07
EP4411141A3 (en) 2024-10-23
EP3757277B1 (en) 2024-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02281A (en)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N114111113B (en) Lubricant Management for HVACR Systems
CN101275568B (en) Injectible two-staged rotary compressor and heat pump system
EP3066406B1 (en) Heat pump for a household appliance
RU2642550C2 (en) Compressor and air-conditioning device, using it
JP3726541B2 (en) Refrigeration air conditioner
JPWO2010023737A1 (en) Two-stage compression heat pump cycle device
Wu et al. Experimental study on the oil return characteristics of miscible or partially miscible oil in R290 room air conditioners
CN107076147B (en) Rotary compressor, heat pump and household appliance
JP6479302B2 (en) Compressor and refrigeration cycle system using the same
JP5321697B2 (en) Injection-compatible two-stage compression rotary compressor
KR20010014817A (en) refrigerant compressor and refrigeration cooling apparatus using the same
EP2871432A1 (en) Heat pump for a household appliance
KR102148716B1 (en) The freezing apparatus and compressor
US20160312781A1 (en) Refrigerant compressor lubricant viscosity enhancement
JPH11294877A (en) Refrigeration cycle device using flammable refrigerant
JP2020169782A (en) Refrigeration cycle equipment
CN104033388B (en) Low pressure chamber rotary compressor and refrigeration plant
JP3685163B2 (en) Refrigeration cycle equipment
CN204494884U (en) Heat source unit and refrigerating circulatory device
JP7237231B1 (en) Compressors and air conditioners
JP2020045866A (en) Refrigeration air conditioning device and hermetic type electric compressor used for the same
JP2024157942A (en) Positive displacement compressor and refrigerator
AU2014392299A1 (en) Heat pump laundry dryer
JPH11118271A (en) Refrigeration cycle device using flammable refrigera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62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32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9062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6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402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3061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402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3111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4S01D

Patent event date: 2024061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2405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24022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23111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230614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