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2263A - 하수관로 맨홀 협잡물 수거장치 및 수거방법 - Google Patents

하수관로 맨홀 협잡물 수거장치 및 수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2263A
KR20210002263A KR1020190078004A KR20190078004A KR20210002263A KR 20210002263 A KR20210002263 A KR 20210002263A KR 1020190078004 A KR1020190078004 A KR 1020190078004A KR 20190078004 A KR20190078004 A KR 20190078004A KR 20210002263 A KR20210002263 A KR 202100022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age
trap
manhole
primary
impuriti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8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4755B1 (ko
Inventor
오재일
Original Assignee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780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4755B1/ko
Publication of KR20210002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22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4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47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2Manhole shafts or other inspection chambers; Snow-filling openings; accessor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관로 맨홀 협잡물 수거장치 및 수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수관로에 설치되는 맨홀의 내부공간에 구비되어 하수에 포함된 협잡물을 입자 크기별로 퇴적시켜 제거하기 위한 협잡물 수거장치에 있어서, 후방 일측이 하수유입관 끝단에 연결되어 내부로 하수가 유입되어 1차 그물망을 통해 중대형협잡물이 걸러진 상태로 하수를 외부 맨홀 내부공간으로 배출시키는 1차 트랩; 및 전방 일측이 하수 유출관 입구에 연결되며, 상기 맨홀 내부 공간의 하수가 2차 그물망을 통해 소형협잡물이 걸러진 상태로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하수 유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2차 트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로 맨홀 협잡물 수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하수관로 맨홀 협잡물 수거장치 및 수거방법{Sewer Manhole Sediment Collect Equipment}
본 발명은 하수관로 맨홀 협잡물 수거장치 및 수거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의 하수관로는 합류식 혹은 분류식의 2가지 유형으로 설치되어있으며, 어느 유형에 관계없이 하수관로의 일정구간마다 퇴적물 및 협잡물의 청소를 하기 위한 맨홀이 설비되어 있다. 도 1은 통상의 하수관로에 설치되는 맨홀을 도시한 것이다. 이들 맨홀에는 각종 다양한 생활쓰레기 및 퇴거물들이 모여들어서 협잡물의 형태로 퇴적되어 있다. 이를 제거하기 위하여 공공시설물의 위탁관리업체, 관공서 등에 소속된 유지관리요원 등이 주기적으로 퇴적물의 퇴거 및 세정작업을 벌이고 있으나, 유지관리 활동대비 퇴적비율이 현저히 높게 발생됨에 따라서, 퇴적물의 제거작업이 지연됨에 따라서, 맨홀내에서 하수의 역류 및 악취발생 등의 문제가 가중되고 있다.
현재로서는 이러한 협잡물의 제거를 준설장비를 활용한 용역작업으로 대처하고 있으나, 준설호스 및 펌핑작업시 발생되는 애로사항 등으로 제거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있다.
특히 맨홀 내에는 협잡물의 종류 및 크기가 다양하여, 준설호스를 활용하여 펌핑시, 소규모 협잡물 등이 호스 내로 유입되어 펌핑장치의 효율을 저하하거나, 일시적인 재밍(Jamming)현상 등으로 현장에서 즉흥적인 유지보수작업을 겸하면서 퇴적물제거작업이 병행되기 때문에, 작업능률이 매우 낮은 상황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일부 퇴적물 제거요원들은 펌핑장치 오작동 및 고장 등을 우려하여, 버킷 등을 활용하여 수작업으로 퇴적물을 제거하는 등 전반적으로 작업의 효율이 매우 낮은 편이고, 그로 인하여 퇴적증가량 대비, 제거량이 매우 낮은 실정이다.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중대형 협잡물들이 맨홀에서 걸러지지 않고, 관로로 들어가서 관로를 막는 현상발생, 관로 내부에서 막힐 경우 유지보수가 훨씬어렵고, 맨홀 내부에 퇴적되는 협잡물들이 소중대 구분없이 무작위로 퇴적되므로, 준설 세정 작업시 흡입호스에 협잡물이 재밍(jamming)되는 현상이 자주발생되며, 흡입호스의 재밍 등으로 중대형협잡물을 처리하기 위해서 맨홀 내부에 인력이 직접 들어가서 인력으로 덤핑(dumping)하는데 작업안전상 매우 위험하다 (유독가스 등).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876279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907012 일본 공개특허 제2016-37721호 일본 공개특허 제2012-21386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수관로 맨홀 내에 퇴적되는 협잡물들을 손쉽게 수거하고 처리하기 위한 장치로서, 1차 트랩, 2차 트랩의 2번의 수거과정을 통하여, 맨홀 등에 퇴적되는 퇴적물의 크기와 유형을 분류하고, 나아가서 이를 손쉽게 퇴거하는 부가기구 등을 활용하여, 맨홀 내의 퇴적물들을 용이하게 수거할 수 있는 하수관로 맨홀 협잡물 수거장치 및 수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제1목적은, 하수관로에 설치되는 맨홀의 내부공간에 구비되어 하수에 포함된 협잡물을 입자 크기별로 퇴적시켜 제거하기 위한 협잡물 수거장치에 있어서, 후방 일측이 하수유입관 끝단에 연결되어 내부로 하수가 유입되어 1차 그물망을 통해 중대형협잡물이 걸러진 상태로 하수를 외부 맨홀 내부공간으로 배출시키는 1차 트랩; 및 전방 일측이 하수 유출관 입구에 연결되며, 상기 맨홀 내부 공간의 하수가 2차 그물망을 통해 소형협잡물이 걸러진 상태로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하수 유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2차 트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로 맨홀 협잡물 수거장치로서 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1차 트랩은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상기 1차 그물망이 외면을 형성하고, 상기 2차 트랩은 상부와 외면이 모두 2차 그물망으로 형성된 원통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1차 그물망의 구멍은 상기 2차 그물망의 구멍보다 크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중대형협잡물은 상기 1차 트랩의 내부 후방측 영역에 퇴적되고, 상기 소형협잡물은 상기 2차 트랩 외부 전방측 영역에 퇴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하수유입관 끝단 상부에서 상기 1차 트랩의 내부 공간 측으로 형성되어 1차 트랩 내부로 유입되는 하수의 흐름을 1차 트랩의 후방측으로 유도하는 상부 스크린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부스크린은 점진적으로 폭이 커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1차 트랩 내부 양단 측에 구비되어, 상기 하수 흐름을 제어하여 중대형협잡물은 상기 1차 트랩의 내부 후방측 영역에 퇴적되도록 유도하는 하수 흐름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하수 흐름제어부는 기어박스와, 상기 기어박스의 기어에 설치되는 흐름제어판을 포함하여, 상기 하수의 흐름에 의해 비동력식으로 상기 기어가 회전하여 상기 하수의 유동을 후방측으로 유도하여 중대형협잡물이 상기 1차 트랩의 내부 후방측 영역에 퇴적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하수 흐름제어부는 제1기어와, 상기 제1기어에 구비되어 유입되는 하수의 유압에 의해 상기 제1기어를 구동시키는 제1흐름제어판과, 상기 제1기어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기어와 맞물려 구동되는 연결기어와, 상기 연결기어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기어와 맞물려 구동되는 제2기어와, 상기 제2기어에 구비되어 하수의 흐름에 의해 상기 제2기어에 구동력을 부가시키는 제2흐름제어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1차 트랩의 내부 후방측 영역에 퇴적된 중대형 협잡물을 상부측으로 이동시키는 이송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이송수단은, 1차 트랩의 내부 후방측 영역에 구비되어 내부에 중대형 협잡물이 퇴적되며 그물망으로 구성된 트레이와, 상기 1차 트랩의 후방 외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견인레일과, 상기 트레이를 상기 견인레일을 따라 상부측으로 이송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트레이 내에 퇴적된 중대형 협잡물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측정부와, 상기 무게측정부에서 측정된 값이 설정된 값을 초과하면 상기 구동수단을 구동시켜 상기 트레이를 이동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하수관로에 설치되는 맨홀의 내부공간에 구비되어 하수에 포함된 협잡물을 입자 크기별로 퇴적시켜 제거하기 위한 협잡물 수거방법에 있어서, 후방 일측이 하수유입관 끝단에 연결된 1차 트랩의 내부로 하수가 유입되는 제1단계; 상기 1차트랩의 외면을 구성하는 1차 그물망을 통해 중대형협잡물이 걸러진 상태로 하수가 1차 트랩 외부, 맨홀 내부공간으로 배출되는 제2단계; 전방 일측이 하수 유출관 입구에 연결되고 상부와 외면이 모두 상기 1차 그물망의 구멍보다 작은 구멍을 갖는 2차 그물망으로 구성된 2차 트랩의 내부로, 상기 맨홀 내부 공간의 하수가 상기 2차 그물망을 통해 소형협잡물이 걸러진 상태로 유입되는 제3단계; 및 상기 2차 트랩 내부의 하수가 상기 하수 유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로 맨홀 협잡물 수거방법으로서 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하수유입관 끝단 상부에서 상기 1차 트랩의 내부 공간 측으로 형성되는 상부 스크린을 통해 1차 트랩 내부로 유입되는 하수의 흐름을 1차 트랩의 후방측으로 유도하여 상기 중대형협잡물이 상기 1차 트랩의 내부 후방측 영역에 퇴적되도록 하고, 상기 제3단계에서, 상기 소형협잡물은 상기 2차 트랩 외부 전방측 영역에 퇴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1차 트랩 내부 양단 측에 구비되는 하수 흐름제어부를 통해, 상기 하수 흐름을 제어하여 중대형협잡물은 상기 1차 트랩의 내부 후방측 영역에 퇴적되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이송수단에 의해 상기 1차 트랩의 내부 후방측 영역에 퇴적된 중대형 협잡물을 상부측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로 맨홀 협잡물 수거장치 및 수거방법에 따르면, 하수관로 맨홀 내에 퇴적되는 협잡물들을 손쉽게 수거하고 처리하기 위한 장치로서, 1차 트랩, 2차 트랩의 2번의 수거과정을 통하여, 맨홀 등에 퇴적되는 퇴적물의 크기와 유형을 분류하고, 나아가서 이를 손쉽게 퇴거하는 부가기구 등을 활용하여, 맨홀 내의 퇴적물들을 용이하게 수거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통상의 하수관로에 설치되는 맨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로 맨홀 협잡물 수거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1차 트랩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차 트랩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협잡물이 퇴적된 상태의 1차, 2차 트랩의 사시도,
도 6은 1차 트랩에 퇴적된 중대형 협잡물을 준설세정호스를 투입하여 제거하는 상태의 사시도,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내부 후방측 영역에 중대형 협잡물이 퇴적된 상태의 1차 트랩의 사시도,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내부 후방측 영역에 중대형 협잡물이 퇴적된 상태의 1차 트랩의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하수 흐름제어부가 구비된 1차 트랩의 평면도,
도 9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하수 흐름제어부와 상부 스크린이 구비된 1차 트랩의 평면도,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부 스크린이 구비된 1차 트랩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내부 후방측 영역에 중대형 협잡물이 퇴적된 상태의 1차 트랩의 측면도,
도 1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송수단을 갖는 1차 트랩의 측면도,
도 1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송수단을 갖는 1차 트랩의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내부 후방측 영역에 중대형 협잡물이 퇴적되고, 외부 전방측 영역에 퇴적된 소형 협잡물을 준설 세정호스를 통해 흡입하는 상태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로 맨홀 협잡물 수거장치(100)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로 맨홀 협잡물 수거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1차 트랩(10)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차 트랩(40)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협잡물이 퇴적된 상태의 1차, 2차 트랩(10, 40)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로 맨홀 협잡물 수거장치(100)는, 전제적으로 하수관로에 설치되는 맨홀(1)의 내부공간(3)에 구비되어 하수에 포함된 협잡물을 입자 크기별로 퇴적시켜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1차 트랩(10)과 2차 트랩(40)으로 구성됨을 알 수 있다.
1차 트랩(1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일측의 유입공(11)이 하수유입관(4) 끝단에 연결되어 내부로 하수가 유입되도록 구성됨을 알 수 있다. 또한, 1차 트랩(10)은 상부가 개방되며 외면이 1차 그물망으로 구성된 형태를 취하고 있다. 따라서 내부로 유입된 하수는 외면의 1차 그물망을 통해 중대형 협잡물(12)이 걸러진 상태로 1차 트랩(10)의 외부, 맨홀 내부공간(3)으로 배출되게 된다.
이러한 1차 트랩(10)을 통해 중대형 협잡물(12)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트랩(10)의 내부 후방측 영역에 퇴적되게 됨을 알 수 있다.
2차 트랩(40)은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일측의 유출공(41)이 하수 유출관(5) 입구에 연결되며, 상부와 외면이 모두 2차 그물망으로 형성된 원통형으로 구성되게 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2차 그물망의 구멍은 1차 트랩(10)의 1차 그물망의 구멍보다 작게 구성된다.
따라서 맨홀 내부 공간(3)의 하수가 2차 그물망을 통해 소형협잡물(42)이 걸러진 상태로 2차 트랩(40)의 내부로 유입되어, 하수 유출관(5)을 통해 배출되게 된다. 이러한 소형협잡물(42)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 트랩(40) 외부 전방측 영역에 퇴적되게 됨을 알 수 있다.
도 6은 1차 트랩(10)에 퇴적된 중대형 협잡물(12)을 준설세정호스(6)를 투입하여 제거하는 상태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내부 후방측 영역에 중대형 협잡물(12)이 퇴적된 상태의 1차 트랩(10)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내부 후방측 영역에 중대형 협잡물(12)이 퇴적된 상태의 1차 트랩(10)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퇴적된 협잡물 청소시에는 준설제정장비를 활용하여 제거하는 방법이 보편적이나 1차 그물망에 걸러진 대형협잡물 등은 대부분 생활쓰레기로 중대형 이상의 협잡물 등이 많기 때문에 준설세정호스로 처리하기 어려운 대상이 많다. 또한, 기존방식은 세정호스에 이물질이 자주끼어서 청소효율이 낮기 때문에 실제로는 인력이 맨홀(1)바닥에 들어가서 인력에 의거해서 퇴적물을 치우는 방식을 적용해야 하므로 작업에 위험이 존재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트랩(10)에 의해 중대형 협잡물(12)이 특정영역 증 1차 트랩(10)의 내부 후방영역에 퇴적될 수 있기때문에 협잡물의 수거, 퇴출이 용이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1차 트랩(10)은, 1차 트랩(10) 내부 양단 측에 구비되어, 하수 흐름을 제어하여 중대형 협잡물(12)이 상기 1차 트랩(10)의 내부 후방측 영역에 퇴적되도록 유도하는 하수 흐름제어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전방측에서 지속적으로 유입되는 하수의 유압을 이용하여 협잡물을 퇴거시키기 용이한 형태로 퇴적되도록 하수 흐름제어부(20)가 설치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하수 흐름제어부(20)가 구비된 1차 트랩(10)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수 흐름제어부(20)는 기어박스와, 이러한 기어박스의 기어에 설치되는 흐름제어판을 포함하여, 하수의 흐름, 유압에 의해 비동력식으로 기어가 회전하여 하수의 유동을 후방측으로 유도하여 중대형 협잡물(12)이 1차 트랩(10)의 내부 후방측 영역에 퇴적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수 흐름제어부(2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기어(21)와, 제1기어(21)에 구비되어 유입되는 하수의 유압에 의해 제1기어(21)를 구동시키는 제1흐름제어판(22)과, 제1기어(21)의 하측에 구비되어 제1기어(21)와 맞물려 구동되는 연결기어(23)와, 연결기어(23)의 하측에 구비되어 연결기어(23)와 맞물려 구동되는 제2기어(24)와, 제2기어(24)에 구비되어 하수의 흐름에 의해 제2기어(24)에 구동력을 부가시키는 제2흐름제어판(2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하수 유입관(4)을 통해 오수와 협잡물이 포함된 하수가 유입되면 양측의 기어박스의 기어가 비동력식으로 유압에 의해 회전되면서, 중대형 협잡물(12)을 1차 트랩(10)의 후방측으로 밀어내면서 퇴적되게 된다.
또한, 중대형 협잡물(12)과 하수의 상부 유동 흐름을 방지하기 위해 상부스크린(26)이 설치되어 질 수 있다. 도 9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하수 흐름제어부(20)와 상부 스크린(26)이 구비된 1차 트랩(10)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부 스크린(26)이 구비된 1차 트랩(10)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내부 후방측 영역에 중대형 협잡물(12)이 퇴적된 상태의 1차 트랩(10)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하수유입관(4) 끝단 상부에서 1차 트랩(10)의 내부 공간 측으로 형성되는 상부스크린(26)은 1차 트랩(10) 내부로 유입되는 하수의 흐름을 1차 트랩(10)의 후방측으로 유도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상부스크린(26)은 점진적으로 폭이 커지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상부스크린(26)과 하수 흐름제어부(20)에 의해 중대형 협잡물(12)들이 자연스럽게 유압과 상부스크린(26)의 흐름에 따라서 1차 트랩(10)의 후방 끝단으로 모이게 된다.
중대형 협잡물(12)이 보다 후방측으로 밀착해서 퇴적되고 1차 트랩(10)의 1차 그물망으로 인하여 삼투압작용으로 퇴적상단에는 비교적 중량이 작은 퇴적물이 하단에는 무거운 퇴적물들이 모이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로 맨홀 협잡물 수거장치(100)는, 1차 트랩(10)의 내부 후방측 영역에 퇴적된 중대형 협잡물(12)을 상부측으로 이동시키는 이송수단(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송수단(30)을 갖는 1차 트랩(10)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1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송수단(30)을 갖는 1차 트랩(10)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수단(30)은, 1차 트랩(10)의 내부 후방측 영역에 구비되어 내부에 중대형 협잡물(12)이 퇴적되며 그물망으로 구성된 트레이(31)와, 1차 트랩(10)의 후방 외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견인레일(32)과, 트레이(31)를 견인레일(32)을 따라 상부측으로 이송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1차 트랩(10)의 후방 하부에 그물망으로 구성된 트레이(31)가 배치되고 견인레일(32)은 맨홀(1)을 통해서 상부에서 유압윈치나 준설세정용 윈치 등에 의해 쉽게 연결되어 트레이(31)를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할 수 있다.
견인레일로 맨홀(1) 중앙부까지만 들어올려도, 맨홀 뚜껑(2)을 통해서 상부에서 인력으로 중대형 협잡물(12)의 덤핑(dumping)이 가능하므로, 악취 및 유동가스가 발생되는 맨홀(1) 내부에서 협잡물 제거를 위해서 인력이 투입되는 위험한 상황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트레이(31) 내에 퇴적된 중대형 협잡물(12)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측정부와, 무게측정부에서 측정된 값이 설정된 값을 초과하면 구동수단을 구동시켜 트레이(31)를 이동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협잡물의 제거를 자동화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내부 후방측 영역에 중대형 협잡물(12)이 퇴적되고, 외부 전방측 영역에 퇴적된 소형협잡물(42)을 준설 세정호스(6)를 통해 흡입하는 상태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후 2차 트랩(40)에서 걸러지는 협잡물은 소형협잡물(42)로서 준설 세정호스(6)에서 재밍(jamming)되는 현상 없이 지상에서 맨홀(1) 내부로 세정호스(6)를 직투입해서 용이하게 흡입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설명된 장치 및 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맨홀
2:맨홀뚜껑
3:내부공간
4:하수유입관
5:하수유출관
6:준설세정호스
10:1차 트랩
11:유입공
12:중대형 협잡물
20:하수 흐름제어부
21:제1기어
22:제1흐름제어판
23:연결기어
24:제2기어
25:제2흐름제어판
26:상부스크린
30:이송수단
31:트레이
32:견인레일
40:2차 트랩
41:유출공
42:소형협잡물
100:하수관로 맨홀 협잡물 수거장치

Claims (16)

  1. 하수관로에 설치되는 맨홀의 내부공간에 구비되어 하수에 포함된 협잡물을 입자 크기별로 퇴적시켜 제거하기 위한 협잡물 수거장치에 있어서,
    후방 일측이 하수유입관 끝단에 연결되어 내부로 하수가 유입되어 1차 그물망을 통해 중대형협잡물이 걸러진 상태로 하수를 외부 맨홀 내부공간으로 배출시키는 1차 트랩; 및
    전방 일측이 하수 유출관 입구에 연결되며, 상기 맨홀 내부 공간의 하수가 2차 그물망을 통해 소형협잡물이 걸러진 상태로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하수 유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2차 트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로 맨홀 협잡물 수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트랩은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상기 1차 그물망이 외면을 형성하고, 상기 2차 트랩은 상부와 외면이 모두 2차 그물망으로 형성된 원통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로 맨홀 협잡물 수거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1차 그물망의 구멍은 상기 2차 그물망의 구멍보다 크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로 맨홀 협잡물 수거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중대형협잡물은 상기 1차 트랩의 내부 후방측 영역에 퇴적되고, 상기 소형협잡물은 상기 2차 트랩 외부 전방측 영역에 퇴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로 맨홀 협잡물 수거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하수유입관 끝단 상부에서 상기 1차 트랩의 내부 공간 측으로 형성되어 1차 트랩 내부로 유입되는 하수의 흐름을 1차 트랩의 후방측으로 유도하는 상부 스크린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로 맨홀 협잡물 수거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스크린은 점진적으로 폭이 커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로 맨홀 협잡물 수거장치.
  7.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1차 트랩 내부 양단 측에 구비되어, 상기 하수 흐름을 제어하여 중대형협잡물은 상기 1차 트랩의 내부 후방측 영역에 퇴적되도록 유도하는 하수 흐름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로 맨홀 협잡물 수거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하수 흐름제어부는 기어박스와, 상기 기어박스의 기어에 설치되는 흐름제어판을 포함하여, 상기 하수의 흐름에 의해 비동력식으로 상기 기어가 회전하여 상기 하수의 유동을 후방측으로 유도하여 중대형협잡물이 상기 1차 트랩의 내부 후방측 영역에 퇴적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로 맨홀 협잡물 수거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하수 흐름제어부는 제1기어와, 상기 제1기어에 구비되어 유입되는 하수의 유압에 의해 상기 제1기어를 구동시키는 제1흐름제어판과, 상기 제1기어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기어와 맞물려 구동되는 연결기어와, 상기 연결기어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기어와 맞물려 구동되는 제2기어와, 상기 제2기어에 구비되어 하수의 흐름에 의해 상기 제2기어에 구동력을 부가시키는 제2흐름제어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로 맨홀 협잡물 수거장치.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1차 트랩의 내부 후방측 영역에 퇴적된 중대형 협잡물을 상부측으로 이동시키는 이송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로 맨홀 협잡물 수거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1차 트랩의 내부 후방측 영역에 구비되어 내부에 중대형 협잡물이 퇴적되며 그물망으로 구성된 트레이와, 상기 1차 트랩의 후방 외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견인레일과, 상기 트레이를 상기 견인레일을 따라 상부측으로 이송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로 맨홀 협잡물 수거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내에 퇴적된 중대형 협잡물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측정부와, 상기 무게측정부에서 측정된 값이 설정된 값을 초과하면 상기 구동수단을 구동시켜 상기 트레이를 이동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로 맨홀 협잡물 수거장치.
  13. 하수관로에 설치되는 맨홀의 내부공간에 구비되어 하수에 포함된 협잡물을 입자 크기별로 퇴적시켜 제거하기 위한 협잡물 수거방법에 있어서,
    후방 일측이 하수유입관 끝단에 연결된 1차 트랩의 내부로 하수가 유입되는 제1단계;
    상기 1차트랩의 외면을 구성하는 1차 그물망을 통해 중대형협잡물이 걸러진 상태로 하수가 1차 트랩 외부, 맨홀 내부공간으로 배출되는 제2단계;
    전방 일측이 하수 유출관 입구에 연결되고 상부와 외면이 모두 상기 1차 그물망의 구멍보다 작은 구멍을 갖는 2차 그물망으로 구성된 2차 트랩의 내부로, 상기 맨홀 내부 공간의 하수가 상기 2차 그물망을 통해 소형협잡물이 걸러진 상태로 유입되는 제3단계; 및
    상기 2차 트랩 내부의 하수가 상기 하수 유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로 맨홀 협잡물 수거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하수유입관 끝단 상부에서 상기 1차 트랩의 내부 공간 측으로 형성되는 상부 스크린을 통해 1차 트랩 내부로 유입되는 하수의 흐름을 1차 트랩의 후방측으로 유도하여 상기 중대형협잡물이 상기 1차 트랩의 내부 후방측 영역에 퇴적되도록 하고,
    상기 제3단계에서, 상기 소형협잡물은 상기 2차 트랩 외부 전방측 영역에 퇴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로 맨홀 협잡물 수거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1차 트랩 내부 양단 측에 구비되는 하수 흐름제어부를 통해, 상기 하수 흐름을 제어하여 중대형협잡물은 상기 1차 트랩의 내부 후방측 영역에 퇴적되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로 맨홀 협잡물 수거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이송수단에 의해 상기 1차 트랩의 내부 후방측 영역에 퇴적된 중대형 협잡물을 상부측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로 맨홀 협잡물 수거방법.
KR1020190078004A 2019-06-28 2019-06-28 하수관로 맨홀 협잡물 수거장치 및 수거방법 KR1022647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8004A KR102264755B1 (ko) 2019-06-28 2019-06-28 하수관로 맨홀 협잡물 수거장치 및 수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8004A KR102264755B1 (ko) 2019-06-28 2019-06-28 하수관로 맨홀 협잡물 수거장치 및 수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263A true KR20210002263A (ko) 2021-01-07
KR102264755B1 KR102264755B1 (ko) 2021-06-15

Family

ID=74126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8004A KR102264755B1 (ko) 2019-06-28 2019-06-28 하수관로 맨홀 협잡물 수거장치 및 수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4755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6015B1 (ko) * 2008-11-06 2009-05-11 주식회사한국수안 비점 오염원 저감 맨홀
KR20100056053A (ko) * 2008-11-19 2010-05-27 이병관 오수용 맨홀
JP2012021386A (ja) 2010-07-16 2012-02-02 Ibaraki Public Corp 下水道マンホール用スクリーン
JP2016037721A (ja) 2014-08-06 2016-03-22 有限会社 原技研工業 マンホール夾雑物除去装置
KR101785556B1 (ko) * 2016-07-05 2017-10-17 제이에이치종합건설(주) 초기우수 비점오염물질 처리 기능을 갖는 우수처리장치
KR101876279B1 (ko) 2017-12-20 2018-07-09 브니엘 네이처 주식회사 맨홀용 하수관로 협잡물 제거장치
KR101907012B1 (ko) 2018-04-23 2018-10-12 황성근 착탈식 맨홀 멀티 스크린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6015B1 (ko) * 2008-11-06 2009-05-11 주식회사한국수안 비점 오염원 저감 맨홀
KR20100056053A (ko) * 2008-11-19 2010-05-27 이병관 오수용 맨홀
JP2012021386A (ja) 2010-07-16 2012-02-02 Ibaraki Public Corp 下水道マンホール用スクリーン
JP2016037721A (ja) 2014-08-06 2016-03-22 有限会社 原技研工業 マンホール夾雑物除去装置
KR101785556B1 (ko) * 2016-07-05 2017-10-17 제이에이치종합건설(주) 초기우수 비점오염물질 처리 기능을 갖는 우수처리장치
KR101876279B1 (ko) 2017-12-20 2018-07-09 브니엘 네이처 주식회사 맨홀용 하수관로 협잡물 제거장치
KR101907012B1 (ko) 2018-04-23 2018-10-12 황성근 착탈식 맨홀 멀티 스크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4755B1 (ko) 202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91422B1 (en) Dual screen treatment systems with debris ramps and screened deflectors
CA2536300C (en) Apparatus for trapping floating and non-floating particulate matter
AU2008288900B2 (en) Water treatment and bypass system
US20160001201A1 (en) Construction site water treatment system and methods
US10155670B1 (en) Stormwater polymer treatment system
US10384956B1 (en) Restrictive up flow media filter with servicing system
US20080116151A1 (en) Methods of removing solids from liquids
KR100649180B1 (ko) 경사판 침전을 이용한 초기우수(비점오염원) 및 하수관거월류수 처리장치
US713804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removal of solids and floatables from a wastewater stream
WO2005115582A1 (en) Filtration device
KR100775953B1 (ko) 준설차
US10472815B1 (en) Hydro-variant baffle cartridge system
KR101047570B1 (ko) 맨홀
KR102264755B1 (ko) 하수관로 맨홀 협잡물 수거장치 및 수거방법
WO2019061868A1 (zh) 一种捞渣装置
CN108607684A (zh) 一种自动除杂装置及具有该装置的污泥处置系统
KR101291606B1 (ko) 와류 챔버를 포함하는 노면 초기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CN210887505U (zh) 一种新型固液分离排污除淤地下管道
CN210507726U (zh) 一种便于检修的道路下水管道
US20130043171A1 (en) Storm water pollution full capturing system
CN208928376U (zh) 一种自动除杂装置及具有该装置的污泥处置系统
KR20210002262A (ko) 우수토실과 차집관로 협잡물 방지 및 수거장치
CN206970424U (zh) 一种垃圾给料斗的渗滤液密封收集排放系统
CN111704252A (zh) 隔油提升一体化设备
US20200399883A1 (en) Surface Drain Precursor Scre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