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1983A - 무선통신장치, 그 장치의 제어 방법 및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 - Google Patents

무선통신장치, 그 장치의 제어 방법 및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1983A
KR20210001983A KR1020200076258A KR20200076258A KR20210001983A KR 20210001983 A KR20210001983 A KR 20210001983A KR 1020200076258 A KR1020200076258 A KR 1020200076258A KR 20200076258 A KR20200076258 A KR 20200076258A KR 20210001983 A KR20210001983 A KR 202100019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ommunication
communication device
unit
parameter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6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코토 우메하라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01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19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 H04W12/00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4Key management, e.g. using generic bootstrapping architecture [GB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4Key management, e.g. using generic bootstrapping architecture [GBA]
    • H04W12/047Key management, e.g. using generic bootstrapping architecture [GBA] without using a trusted network node as an anch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30Security of mobile devices; Security of mobile applications
    • H04W12/35Protecting application or service provisioning, e.g. securing SIM application provisio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50Secure pairing of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50Service provisioning or reconfigu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20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60Context-dependent security
    • H04W12/69Identity-depend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제1 무선통신과, 해당 제1 무선통신보다도 소비 전력이 낮은 제2 무선통신을 행할 수 있는 무선통신장치를 제공한다. 이 무선통신장치는, 다른 무선통신장치가 상기 제1 무선통신에서 사용할 수 있는 채널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제2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다른 무선통신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다른 무선통신장치에 제공되는 통신 파라미터를 선택하고-상기 통신 파라미터는 상기 제1 무선통신이 일어나는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장치에 접속하기 위해서 상기 다른 무선통신장치가 필요로 함-; 상기 선택된 통신 파라미터를 상기 제1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다른 무선통신장치에 송신한다.

Description

무선통신장치, 그 장치의 제어 방법 및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APPARATUS,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본 개시내용은, 무선통신장치, 그 제어 방법, 및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 액세스 포인트(이하, "AP"라고 칭한다)를 사용하여 무선LAN통신을 행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무선통신장치와 AP와의 사이에서 시큐어 무선LAN통신을 행하기 위해서는, 암호방식, 암호열쇠, 인증방식, 및 인증 열쇠를 포함하는 다양한 통신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통신 파라미터를 무선LAN으로 전송하는 방식으로서, Wi-Fi Alliance에 있어서 Device Provisioning Protocol(DPP)이 개발되어 있었다. DPP에서는, 통신 파라미터를 제공하는 컨피규레이터(configurator)가, AP에 접속하기 위해서 필요한 커넥터라고 하는 정보를, 통신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엔롤리(enrollee)에 제공한다. DPP에서는, QR코드(등록상표)나 Bluetooth(등록상표) Low Energy(BLE)등에 의해 공개열쇠 정보를 취득하는 부트스트랩 처리가 규정되어 있다. 또한, DPP에서는, 디바이스 인증을 행하는 인증 처리로서의 DPP Authentication처리 및 통신 파라미터의 송신을 행하는 설정 처리로서의 DPP Configuration처리가 규정되어 있다.
일본 특허공개 2015-23441호 공보에는, 휴대 단말을 통해 통신 장치의 통신 파라미터를 설정하도록, 접속처가 되는 AP를 유저가 선택하는 통신 파라미터 설정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 통신 파라미터 설정 방법에서는, 통신 장치가 주위의 AP를 스캔하고, 해당 스캔에 의해 검출한 AP에 대한 정보를 휴대 단말에 송신한다. 휴대 단말은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사용하여, AP의 일람을 휴대 단말의 유저 인터페이스(UI)에 표시한다. 유저가 AP를 선택하면, 선택된 AP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 파라미터는, 휴대 단말로부터 통신 장치에 송신된다.
일본 특허공개 2015-23441호 공보에 기재된 통신 파라미터 설정 방법에, BLE를 사용한 DPP를 적용함으로써, 컨피규레이터로서 동작하는 휴대 단말로부터 엔롤리로서 동작하는 통신 장치에 통신 파라미터를 전송하는 것을 생각한다.
유저가 컨피규레이터 및 엔롤리의 UI를 조작하고, 통신 파라미터 설정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면, 컨피규레이터와 엔롤리는 부트스트랩 처리를 시작한다. 또한, 엔롤리는 주위의 AP를 검출하기 위해서 무선LAN을 사용한 스캔을 시작한다. 부트스트랩 처리에서는, 엔롤리는, 공개 열쇠나 미디어 액세스 제어(MAC) 어드레스 등의 DPP인증 처리에서 필요한 부트스트랩 정보를 송신한다. 부트스트랩 정보는, BLE를 사용해서 애드버타이징 패킷으로 송신된다. 컨피규레이터는, 이 애드버타이징 패킷을 수신하고, 부트스트랩 정보를 취득한다. 그리고, 컨피규레이터는, 취득된 부트스트랩 정보에 근거하여, 엔롤리에 무선LAN 접속을 확립하기 위해, DPP Authentication Request(인증 요구)을 무선LAN을 통해 엔롤리에 송신한다. 그 후, 컨피규레이터는, 엔롤리로부터 AP리스트를 무선LAN으로 수신하고, 유저가 선택한 AP의 통신 파라미터를 엔롤리에 송신한다.
상기 통신 파라미터 설정 처리에서는, 엔롤리가 통신 파라미터 설정 애플리케이션 기동후에 무선LAN에 의한 스캔을 행하므로, 그 엔롤리에 있어서 높은 전력소비가 생긴다. 또한, 엔롤리는, 컨피규레이터로부터 DPP인증 요구가 송신될 때까지, 상기 엔롤리가 이 DPP인증 요구를 수신할 수 있는 상태(수신 아이들 상태)로 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수신 아이들 상태에서, 송수신기능을 정지시키는 슬립 상태와 비교하여, 보다 높은 전력을 소비한다. 특히, 엔롤리가 카메라 등의 배터리 구동기기일 경우, 전력소비가 문제가 될 수도 있다.
컨피규레이터가 스캔을 행하면 엔롤리의 소비 전력을 감소할 수 있지만, 컨피규레이터가 지원하는 무선LAN 채널이 엔롤리와 상이할 때, 시스템의 유저 편리성이 감소된다. 예를 들면, 컨피규레이터는 2.4GHz 및 5GHz를 지원하고 엔롤리가 2.4GHz만 지원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컨피규레이터는, 비록 엔롤리와 무선LAN을 사용한 접속이 5GHz에서 불가능할지라도 5GHz에서 동작하고 있는 AP를 포함하는 AP리스트를 표시하여도 된다. 이에 따라, 유저는, 비록 엔롤리와 무선LAN을 사용한 접속이 5GHz에서 불가능할지라도 5GHz에서 동작하고 있는 AP를 잘못 선택할 수도 있다.
본 개시내용의 여러 가지의 실시 형태들은, 종래기술에 있는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려고 한다.
본 개시내용의 특징은, 통신 파라미터를 취득하기 위해서 자신의 장치에 대한 인증 정보를 다른 무선통신장치에 제공할 때에, 자신의 장치의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는 무선통신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개시내용의 여러 가지의 실시 형태들에서는, 제1 무선통신과, 해당 제1 무선통신보다도 소비 전력이 낮은 제2 무선통신을 행할 수 있는 무선통신장치를 제공하고, 이 무선통신장치는, 다른 무선통신장치가 상기 제1 무선통신에서 사용할 수 있는 채널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제2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다른 무선통신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다른 무선통신장치에 제공되는 통신 파라미터를 선택하는 선택부-상기 통신 파라미터는 상기 제1 무선통신이 일어나는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장치에 접속하기 위해서 상기 다른 무선통신장치가 필요로 함-; 및 상기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상기 통신 파라미터를 상기 제1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다른 무선통신장치에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한다.
추가의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실시 형태들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에 포함되고 그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도면들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 형태들을 예시하고, 이 설명과 함께, 본 개시내용의 원리를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도1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 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 형태에 따른 통신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다.
도3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 형태에 따른 도2의 통신 장치의 소프트웨어 기능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다.
도4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 형태에 따른 카메라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5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 형태에 따른 스마트 폰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6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 형태에 따른 도1의 통신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 도다.
도7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 형태에 따른 표준적인 DPP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 도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 형태는 청구된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다. 실시 형태에는 복수의 특징이 기재되어 있지만, 이러한 복수의 특징들 모두를 필요로 하는 실시 형태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복수의 이러한 특징은 적절히 조합되어도 된다. 더욱, 첨부 도면에 있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에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그의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들에서는, The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nc.(IEEE) 802.11 시리즈와 상기 BLE에 준거한 통신 시스템을 사용한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BLE는, 저소비 전력으로 근거리 통신을 행할 수 있다. 그렇지만, 본 개시내용의 여러 가지 실시 형태들은 IEEE 802.11시리즈에 준거한 무선LAN 및/또는 BLE이외의 무선통신 방식에 적용가능하다는 것을 주목한다.
<통신 시스템>
도1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10)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다.
통신 시스템(10)은, 카메라(20)와, 스마트 폰(30)과, AP(303, 304, 305, 306)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AP(303∼306)에 의해 형성된 네트워크에, 카메라(20)를 참가시키는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카메라(20)는 배터리 구동기기로 한다.
스마트 폰(30)은, DPP에서 규정되는 컨피규레이터로 동작하고, AP(303∼306)에 접속하기 위한 정보를 카메라(20)에 제공한다. 카메라(20)는, DPP에서 규정되는 엔롤리로서 동작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AP(303∼306)의 Service Set Identifier(SSID)을 SSID_AP(303∼306)로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통신 시스템(10)을 구성하는 장치가 카메라(20), 스마트 폰(30) 및 AP(303∼306)로서 설명되지만, 통신 시스템(10)을 구성하는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전화, 프린터, 퍼스널 컴퓨터(PC), 비디오카메라, 스마트 워치,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DA) 및 프로젝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AP의 수를 4로서 설명하지만, 임의의 수의 AP가 사용되어도 좋다(AP의 수는 3이하라도 좋거나, 5이상이라도 좋다). 통신 시스템(10)에 있어서, 카메라(20), 스마트 폰(30) 및 AP(303∼306)은 각각 통신 장치의 일례이며, 이 통신 장치는, 프린터, 웨어러블 디바이스, 사물 인터넷(IoT) 기기등이여도 좋다.
<통신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
통신 시스템(10)의 통신 장치(카메라(20), 스마트 폰(30) 및 AP(303∼306))의 하드웨어 구성에 대해서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신 장치(101)은, 제어부(102)와, 기억부(103)와, 무선LAN통신부(104)와, BLE통신부(105)와, 무선LAN통신용 안테나(106)와, BLE통신용 안테나(107)와, 표시부(108)와, 입력부(109)와, 촬영부(110)를 구비한다. 통신 장치(101)는 무선통신장치다.
제어부(102)는, 기억부(103)에 기억되는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에 의해 통신 장치(101) 전체를 제어한다. 제어부(102)는,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예를 들면, 중앙처리유닛(CPU) 또는 마이크로 처리유닛(MPU))로 구성된다. 카메라(20) 또는 스마트 폰(30)내의 제어부(102)는, 기억부(103)에 기억되는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에 의해, 도4나 도5의 흐름도를 행한다.
기억부(103)는, 제어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 및 통신 파라미터 등의 다양한 정보를 기억한다. 후술하는 각종 동작은, 기억부(103)에 기억된 제어 프로그램을 제어부(102)가 실행 함에 의해 행해진다. 기억부(103)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로 구성된다. 이 메모리는, 이를테면, 판독전용 메모리(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플래시 메모리, 또는 착탈가능한 보안 디지털(SD) 카드등의 기억 매체다.
무선LAN통신부(104)는 IEEE 802.11시리즈에 준거한 무선통신을 행한다. 무선LAN통신부(104)는, 무선LAN통신을 행하기 위한 안테나(106)를 가진다.
BLE통신부(105)는 BLE에 준거한 무선통신을 행한다. BLE통신부(105)는, BLE통신을 행하기 위한 안테나(107)를 가진다. BLE통신부(105)는, 무선LAN통신부(104)보다 소비 전력이 작다. 즉, BLE통신부(105)은, 무선LAN통신부(104)보다 저소비 전력으로 동작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통신 장치(101)가 무선LAN통신부(104) 및 BLE통신부(105)를 구비하지만, 통신 장치(101)는, 통신 장치(101)가 무선 주파수(RF) 스위치를 더 구비하고 하나의 안테나는 2개의 안테나: 무선LAN통신용 안테나(106)와 BLE통신용 안테나(107)로서 공용되는 구성을 가져도 좋다.
표시부(108)는 다양한 정보(문자, 화상, 음성등)를 표시 및 출력한다. 표시부(108)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LCD)나 발광 다이오드(LED)를 구비하고, 시각적 모드로 그 정보를 표시한다. 표시부(108)는, 예컨대, 스피커를 구비하고, 가청 모드로 그 정보를 출력한다. 표시부(108)는 시각정보와 소리정보 중 적어도 한쪽을 출력하는 기능을 갖는다. 표시부(108)가 시각정보를 출력(표시)할 경우, 표시부(108)는, 표시하는 시각정보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를 보유하는 비디오 RAM(VRAM)을 구비한다. 표시부(108)는, VRAM에 격납된 화상 데이터를 LCD나 LED에 표시하기 위한 제어를 행한다. 표시부(108)는, 출력부라고 칭해도 좋다.
입력부(109)는, 유저에 의한 조작에 응답하여 각종 입력을 행한다. 입력부(109)는, 통신 장치(101)를 조작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입력부(109)는, 입력에 대응하는 플래그를 기억부(103)에 기억한다. 입력부(109)를 사용하여, 음성 입력을 행하여도 좋다. 입력부(109)는, 조작부라고 칭해도 좋다.
촬영부(110)는, 촬상 소자, 렌즈 등으로 구성되고, 정지 화상(사진)이나 동화상의 촬영을 행한다.
도2에 나타낸 구성은 일례일 뿐이며, 통신 장치(101)는, 다른 하드웨어 구성을 가져도 좋다. 예를 들면, 통신 장치(101)가 프린터일 경우에는, 도2에 나타낸 구성요소와 아울러, 통신 장치(101)는 인쇄부를 구비하여도 좋다. 통신 장치(101)가 AP 303∼306 중 임의의 것일 경우에는, 통신 장치(101)는 표시부(108)와 촬영부(110)를 구비하지 않아도 좋다.
<통신 장치의 기능 블록도>
도3은, 통신 장치(101)의 소프트웨어 기능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통신 장치(101)의 각 기능 블록(202∼210)은 기억부(103)에 프로그램으로서 기억되고, 각 기능 블록에 대응한 기능은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제어부(102)에 의해 행해진다. 제어부(102)는, 각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제어하고,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그 정보를 연산하고 가공하여 각 기능을 실현한다.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신 장치(101)는, 통신 파라미터 제어부(202)와, BLE패킷 송신부(203)와, BLE패킷 수신부(204)와, BLE통신 기능 제어부(205)를 구비한다. 또한, 통신 장치(101)는, 무선LAN패킷 송신부(206)와, 무선LAN패킷 수신부(207)와, 무선LAN통신 기능 제어부(208)와, 데이터 기억부(209)와, 서비스 제어부(210)를 구비한다.
통신 파라미터 제어부(202)는, 장치간에 통신 파라미터를 공유하기 위한 통신 파라미터 공유 처리를 행한다. 통신 파라미터 공유 처리에 있어서는, 제공 장치가 수신 장치에, 무선통신하기 위한 통신 파라미터를 제공한다. 통신 파라미터에는, 네트워크 식별자인 SSID, 암호방식, 암호열쇠, 인증 방식 및 인증 열쇠등의 무선LAN통신을 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무선통신 파라미터가 포함된다. 통신 파라미터에는, DPP에서 규정되는 커넥터, MAC어드레스, 사전공유 키(PSK), 패스프레이즈, 인터넷 프로토콜(IP)층에서의 통신을 행하기 위한 IP 어드레스, 상위 서비스에 필요한 정보등도 포함되어도 좋다. 통신 파라미터 제어부(202)가 행한 통신 파라미터 공유 처리는, DPP에 준거한다.
BLE패킷 송신부(203)와 BLE패킷 수신부(204)는, BLE규격에 준거한 패킷의 송신 및 수신을 행하기 위해서 BLE통신부(105)를 제어한다. BLE를 사용한 DPP에서는, 엔롤리는 공개 열쇠나 MAC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부트스트랩 정보를, 애드버타이징 패킷의 일종인 AUX_ADV_IND를 사용해서 컨피규레이터에 송신한다. 공개 열쇠는, 공개 열쇠 암호방식에서 사용된 암호열쇠의 일종이다.
BLE통신 기능 제어부(205)는, BLE패킷 송신부(203) 및 BLE패킷 수신부(204)를 제어하여 BLE규격에 규정되는 통신 기능을 제공한다.
무선LAN패킷 송신부(206) 및 무선LAN패킷 수신부(207)는, 상위 레이어의 통신 프로토콜을 포함하는 모든 패킷의 송수신을 제어한다. 또한, 무선LAN패킷 송신부(206) 및 무선LAN패킷 수신부(207)는, 대향장치에 및 대향장치로부터 IEEE 802.11규격에 준거한 패킷의 송신 및 수신을 행하기 위해서 무선LAN통신부(104)를 제어한다.
무선LAN통신 기능 제어부(208)는, 무선LAN패킷 송신부(206) 및 무선LAN패킷 수신부(207)를 제어하여 IEEE 802.11규격에 규정된 통신 기능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무선LAN통신 기능 제어부(208)는 무선LAN패킷 수신부(207)를 제어하여, 주위의 AP를 검출하기 위한 스캔 처리를 행한다. 행해지는 스캔 처리는, Probe Request를 송신하고 Probe Response를 수신하는 액티브 스캔이여도 좋거나, AP로부터 송신된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패시브 스캔이여도 좋다. 무선LAN통신 기능 제어부(208)는, 통신 장치(101)가 스테이션(이하, "STA"라고 칭한다)으로서 동작할 경우, 인증 및 암호처리 등을 행한다. 무선LAN통신 기능 제어부(208)는, 통신 장치(101)가 AP로서 동작할 경우, 무선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STA에 대한 인증 및 암호처리 및 STA의 관리 등을 행한다.
데이터 기억부(209)는, 소프트웨어, 통신 파라미터, 바코드류의 정보의 기억부(103)에 및 기억부로부터의 기록 및 판독을 제어한다.
통신 장치(101)가 AP 303∼306 중 임의의 것일 경우에는, 통신 장치(101)는, BLE패킷 송신부(203)와, BLE패킷 수신부(204)와, BLE통신 기능 제어부(205)를 구비하지 않아도 좋다.
서비스 제어부(210)는, 애플리케이션 레이어에 있어서의 제어부다. 애플리케이션 레이어란, 개방형 시스템간 상호접속(OSI) 참조 모델에 있어서의 제5층이상의 상위 레이어에 있어서의 서비스 제공층을 의미한다. 즉, 서비스 제어부(210)는, 무선LAN통신부(104)에 의한 무선LAN통신을 사용하여, 화상 스트리밍 처리나, 파일 전송 처리등을 행한다.
도3에 나타낸 복수의 기능 블록이 1개의 기능 블록으로 통합되어도 좋거나, 어느 하나의 기능 블록이 복수의 기능 블록으로 나뉘어져도 좋다. 또한, 도3에 나타낸 기능 블록에 포함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이 하드웨어로 실현되어도 좋다. 이 경우, 각 기능 블록의 일부 또는 전부는, 예를 들면 특정용도 지향 집적회로(ASIC)로 구성된다.
이제, 이상의 구성을 갖는 통신 장치(101)를 구비하는 통신 시스템(10)의 동작을, 도4∼도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스마트 폰(30)은 AP(303)에 접속하기 위해서 필요한 통신 파라미터를 미리 보유하는 것으로 한다.
<엔롤리의 처리 플로우>
도4는, 엔롤리로서 기능하는 카메라(20)가 행한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이하의 흐름도에서, S는 Step을 나타낸다.
도4를 참조하여, S401에 있어서, 유저가 카메라(20)의 입력부(109)를 조작하여, 통신 파라미터 설정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한다. 통신 파라미터 설정 애플리케이션이 기동되면, 카메라(20)는, S402에 있어서, BLE통신부(105)를 기동한다.
S403에 있어서, 카메라(20)는, BLE통신부(105)를 제어하여, ADV_EXT_IND의 송신을 시작한다. DPP에서는, 후술하는 DPP Authentication처리(인증 처리)에 필요한 공개 열쇠와 MAC어드레스 등의 부트스트랩 정보를 AUX_ADV_IND에서 송신하는 것이 규정되어 있다. ADV_EXT_IND와 AUX_ADV_IND는 BLE에서 규정되는 애드버타이징 패킷이다. ADV_EXT_IND는, AUX_ADV_IND의 존재를 나타내기 위한 애드버타이징 패킷이다. 원래, DPP에서 규정되는 엔롤리는, ADV_EXT_IND와 AUX_ADV_IND를 주기적으로 송신해(각각, 도7의 참조부호 701과 702), AUX_ADV_IND에 부트스트랩 정보를 포함시켜서 송신을 행한다. 본 실시 형태의 엔롤리인 카메라(20)는, S403에서는 ADV_EXT_IND만을 송신해(도6의 참조부호 601), AUX_ADV_IND를 송신하지 않는다.
S404에 있어서, 카메라(20)는, 스마트 폰(30)으로부터 AUX_SCAN_REQ를 수신하는지를 판정한다. S404의 판정 결과가 긍정(YES)일 경우, S405에 진행된다. S404의 판정 결과가 부정(NO)일 경우, S404를 반복한다.
AUX_SCAN_REQ는, 애드버타이징 패킷 송신원에 대하여, AUX_SCAN_RSP을 요구하기 위한 패킷이다. DPP에서 규정되는 컨피규레이터는, ADV_EXT_IND를 수신하지 않을 때, AUX_SCAN_REQ를 송신하고, DPP에서 규정되는 엔롤리는, AUX_SCAN_REQ를 수신했을 경우, AUX_SCAN_RSP에 부트스트랩 정보를 포함시켜서 AUX_SCAN_RSP를 송신한다.
또한, 도4에서는 S404의 판정 결과가 부정(NO)일 경우, S404를 반복하지만, 카메라(20)가 스마트 폰(30)으로부터 AUX_SCAN_REQ를 소정시간내에 수신하지 않는 경우, 카메라(20)는 애플리케이션을 종료하는 타임아웃 처리를 행해도 좋다. 즉, S404의 판정 결과가 부정(NO)인 상태가 소정시간 계속될 경우에는, S404로부터 END에 진행되어도 좋다.
S405에 있어서, 카메라(20)는, 무선LAN통신부(104)를 기동한다. 즉, AUX_SCAN_REQ는, 카메라(20)에서의 2개의 통신부 104와 105 중에서, 소비 전력이 보다 높은 쪽의 통신부를 기동시키는 신호다.
S406에 있어서, 카메라(20)는, 스마트 폰(30)에 AUX_SCAN_RSP를 송신한다. 여기에서, 카메라(20)는, DPP인증 처리에 필요한 공개 열쇠와 MAC어드레스의 이외에, 카메라(20)의 무선LAN통신부(104)가 지원하는 채널 리스트를 AUX_SCAN_RSP에 포함시켜서 송신한다. 해당 채널 리스트는, 카메라(20)의 무선LAN통신부(104)가 지원하는 채널을 나타내는 임의의 형식(리스트이외의 형식)의 정보로 치환되어도 좋다.
AUX_SCAN_RSP의 송신이 완료하면, 카메라(20)는, S407에 있어서, BLE통신부(105)를 정지시킨다. S408에 있어서, 카메라(20)는, 스마트 폰(30)으로부터 DPP Authentication Request(인증 요구)를 수신했는지를 판정한다. S408의 판정 결과가 긍정(YES)일 경우, S409에 진행된다. S408의 판정 결과가 부정(NO)일 경우, S408을 반복한다.
S409에 있어서, 카메라(20)는, 카메라(20)의 공개 열쇠로부터 계산한 식별 정보와, 수신한 DPP인증 요구에 포함된 식별 정보에 근거하여, 인증 처리를 행한다. 카메라(20)는, 수신한 DPP인증 요구에 포함된 식별 정보가 계산한 식별 정보와 일치하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하고, 인증 처리가 성공한 것인가 아닌가를 나타내는 DPP Authentication Response(인증 응답)을 송신한다. 그 후, 스마트 폰(30)로부터 인증에 성공한 것을 나타내는 DPP Authentication Confirm을 수신하면, 인증 처리가 완료되고, DPP에 근거하는 무선LAN접속이 확립된다.
S410에 있어서, 카메라(20)는 스마트 폰(30)의 통신 파라미터를 요구하는 DPP Configuration Request(컨피규레이션 요구)을 송신한다. 해당 DPP Configuration Request에 응답하여 카메라(20)가 스마트 폰(30)으로부터 통신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DPP Configuration Response(컨피규레이션 응답)을 수신하면, DPP Configuration처리가 완료된다. DPP에서는, 통신 파라미터로서 인증 및 열쇠 관리(AKM), 레거시PSK-패스프레이즈, Connector(커넥터), Expiry(유효기한)등이 정해져 있다. AKM은, 통신시에 어느 인증 프로토콜과 열쇠교환 알고리즘을 사용할지를 나타내는 값이다. 레거시PSK-패스프레이즈는, 종래의 Wi-Fi 보호 액세스(WPA)나 IEEE 802.11에 근거한 인증 열쇠 교환을 실시할 때의 암호열쇠다. 레거시PSK-패스프레이즈는, DPP를 지원하지 않는 AP에 접속하기 위한 정보다. 커넥터는, DPP에서 규정한 인증 프로토콜과 열쇠교환 알고리즘에서 사용한 다양한 정보다. 커넥터는, DPP를 지원하는 상기 AP에 접속하기 위한 정보다.
S411에 있어서, 카메라(20)는, DPP컨피규레이션 응답에 포함된 통신 파라미터에 근거해 AP에 접속 요구 신호를 송신한다. DPP에 준거한 접속 요구 신호에는 커넥터가 포함된다. 커넥터에는, 적어도 통신 파라미터를 제공한 장치(컨피규레이터)가 스마트 폰(30)인 것을 나타내는 관리 장치정보가 포함된다. AP는, 접속 요구 신호를 수신하면, 신호중의 관리 장치정보와 자신이 기억하는 관리 장치 리스트를 비교하여, 동일한 장치(스마트 폰 30)가 등록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 AP가 동일장치가 등록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면, AP는 카메라(20)의 접속을 허가하는 접속 허가 신호를 카메라(20)에 송신한다. 카메라(20)는, AP로부터 접속 허가 신호를 수신하면, AP와의 사이에서 4-Way Handshake를 사용한 열쇠 교환 처리등의 필요한 처리를 행하고, 카메라(20)와 AP간에 무선LAN접속을 확립한다.
<컨피규레이터의 처리 플로우>
도5는, 컨피규레이터로서 기능하는 스마트 폰(30)이 행하는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5를 참조하면, S501에 있어서, 유저가 스마트 폰(30)에서의 입력부(109)를 조작하여, 통신 파라미터 설정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한다. 통신 파라미터 설정 애플리케이션이 기동하면, 스마트 폰(30)은, S502에 있어서, 무선LAN통신부(104)를 기동한다.
S503에 있어서, 스마트 폰(30)은, 자신이 지원한 전체 채널의 무선LAN스캔을 행하여, 주위의 AP를 검출한다. 예를 들면, 스마트 폰(30)이 2.4GHz와 5GHz의 양쪽을 지원하는 경우에는, 쌍방의 밴드에서 무선LAN스캔을 행하여, 2.4GHz채널 또는 5GHz 채널에 있어서 무선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주위의 AP를 검출한다.
무선LAN스캔이 완료하면, 스마트 폰(30)은, S504에 있어서 BLE통신부(105)를 기동한다.
S505에 있어서, 스마트 폰(30)은, 카메라(20)로부터 송신된 ADV_EXT_IND를 수신했는지를 판정한다. S505의 판정 결과가 긍정(YES)일 경우, S506에 진행된다. S505의 판정 결과가 부정(NO)일 경우는, S505를 반복한다.
S506에 있어서, 스마트 폰(30)은 카메라(20)에 AUX_SCAN_REQ를 송신한다. 스마트 폰(30)의 S506의 동작의 결과, 카메라(20)에서는 S405와 S406이 행해지고, 카메라(20)로부터 스마트 폰(30)에 AUX_SCAN_RSP가 송신된다.
S507에 있어서, 스마트 폰(30)은, 카메라(20)로부터 AUX_SCAN_RSP를 수신한다. 그 후, 스마트 폰(30)은, AUX_SCAN_RSP에 포함된 채널 리스트로부터, 카메라(20)가 지원한 채널을 파악한다.
S508에 있어서, 스마트 폰(30)은, S503의 스캔 결과에 근거한 AP리스트를 표시부(108)에 표시한다.
AP리스트를 표시부(108)에 표시할 때, 스마트 폰(30)은, S507에서 취득한 카메라(20)의 채널 리스트에서, 카메라(20)가 접속 가능한 채널에서 동작하고 있는 AP만을 표시해도 좋다. 즉, 스마트 폰(30)은, 검출한 AP의 모두를 표시하지 않고, 그 AP의 일부를 표시해도 좋다. 예를 들면, 카메라(20)가 2.4GHz만을 지원하는 경우에는, 스마트 폰(30)은, 5GHz에서 동작하고 있는 AP를 표시하지 않고, 2.4GHz에서 검출되는 AP만을 표시해도 좋다. 이러한 표시에 있어서, 컨피규레이터와 엔롤리가 지원한 무선LAN 채널이 상이한 경우에도(컨피규레이터가 2.4GHz와 5GHz를 지원하고, 엔롤리가 2.4GHz만을 지원한다)도, 스마트 폰(30)은, 엔롤리와 무선LAN접속할 수 없는 5GHz에서 동작하고 있는 AP를 AP리스트에 표시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유저는 잘못해서 5GHz에서 동작하고 있는 AP(엔롤리가 무선LAN접속할 수 없는 AP)를 선택하지 않는다.
또한, 스마트 폰(30)은, 검출한 AP 모두를 표시부(108)에 표시하고, 표시된 AP 중, 카메라(20)가 접속 가능한 채널에서 동작하고 있는 AP만을 선택 가능한 AP로서 표시해도 좋다. 이 경우, 마크나 색등을 사용하여 AP의 선택 가부를 나타내어도 좋다. 즉, 표시부(108)는, 무선LAN통신부(104)의 스캔 처리에 의해 검출한 AP 모두를 표시하고, 또한, 상기 채널의 리스트(S507)에 기재된 액세스 포인트와 그 이외의 액세스 포인트를 구별가능하게 표시해도 좋다.
스마트 폰(30)은, DPP를 사용해서 카메라(20)에 통신 파라미터를 제공가능한 AP만을 선택하여 그 선택된 AP를 표시해도 좋다.
스마트 폰(30)은, DPP를 사용해서 카메라(20)에 통신 파라미터를 제공 가능하고, 자신이 관리 장치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는 것이 기지의 AP만을 표시하도록 해도 좋다.
표시가능한 AP가 1대만 일 경우는, S508은 스마트 폰(30)에서 스킵되어도 좋다.
S509에 있어서, 유저는 스마트 폰(30)의 입력부(109)를 조작하여, 카메라(20)의 무선LAN접속처인 AP를 선택한다. 스마트 폰(30)은 S510에 있어서 DPP인증 처리를 시작한다.
S510에 있어서, 스마트 폰(30)은, 취득한 부트스트랩 정보에 포함되는 공개 열쇠에 대한 해시 값을 계산함에 의해, 식별 정보를 생성하고, 해당 식별 정보를 포함시킨 DPP인증 요구를 송신한다. 그 후, DPP인증 요구를 카메라(20)가 수신해(S408), 카메라(20)로부터 DPP인증 응답이 스마트 폰(30)에 송신된다(S409). 그 후, 스마트 폰(30)은, DPP인증 응답에 포함된 정보에 근거하여, 인증 처리와 공통 열쇠의 생성 처리를 행한다. 스마트 폰(30)은, 인증 처리에 성공하면, 인증에 성공한 것을 나타내는 DPP Authentication Confirm을 카메라(20)에 송신한다. 그 후, DPP인증 처리를 종료한다.
S511에 있어서, 스마트 폰(30)은, S509에서 선택된 AP의 통신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DPP Configuration Confirm을 카메라(20)에 송신한다.
<엔롤리와 컨피규레이터의 동작 시퀀스>
도6은, 카메라(20)와 스마트 폰(30)의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시퀀스 도다.
카메라(20)는, 통신 파라미터 설정 애플리케이션의 기동후, BLE통신부(105)를 기동해(S402), ADV_EXT_IND601의 송신을 시작한다(S403). 스마트 폰(30)은, 통신 파라미터 설정 애플리케이션의 기동후, 무선LAN통신부(104)를 기동해(S502), 스캔 처리를 행한다(S503). 그 후, 스마트 폰(30)은, BLE통신부(105)를 기동한다(S504). 카메라(20)로부터 ADV_EXT_IND601을 수신하면(S505), 스마트 폰(30)은, AUX_SCAN_REQ602를 카메라(20)에 송신한다(S506). 카메라(20)는, AUX_SCAN_REQ602를 수신하면(S404), 무선LAN통신부(104)를 기동한다(S405). 다시 말해, 카메라(20)는, 스마트 폰(30)으로부터 송신된 AUX_SCAN_REQ602를, 무선LAN통신부(104)의 기동 트리거로서 사용한다.
이제, 도7을 참조하여, AUX_SCAN_REQ602을 무선LAN통신부(104)의 기동 트리거로서 사용하는 것의 이점(소비 전력의 감소)을 설명한다.
도7은, DPP에서 규정된 표준적인 동작 시퀀스를 나타낸다. 도7에 나타낸 동작 시퀀스는, 도6에 나타낸 본 실시 형태의 동작 시퀀스와는 다르다. 도7을 참조하면, 카메라(200)는, 통신 파라미터 설정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면, ADV_EXT_IND701과 AUX_ADV_IND702의 송신을 시작한다. 스마트 폰(300)은, AUX_ADV_IND702를 수신하면, 부트스트랩 정보에 근거해서 DPP인증 요구 703을 카메라(200)에 송신한다. DPP에서는, 카메라(200)와 스마트 폰(300)의 사이에 있어서, AUX_ADV_IND702의 수신 확인을 행하는 시퀀스는 규정되어 있지 않고, 카메라(200)는 스마트 폰(300)이 DPP인증 요구 703을 송신하는 타이밍을 알지 못한다. 이에 따라, 카메라(200)는, DPP인증 요구 703을 수신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ADV_EXT_IND701을 송신하기 전에 무선LAN통신부(104)를 기동해(704), 수신 아이들 상태에 있는 것이 필요하다. 수신 아이들 상태에 있어서, 카메라(200)에서는 높은 전력소비가 생긴다.
도6을 다시 참조하면, 상술한 것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카메라(20)는, 스마트 폰(30)으로부터 송신된 AUX_SCAN_REQ602를, 무선LAN통신부(104)의 기동 트리거로서 이용한다. 이에 따라, 카메라(20)의 무선LAN통신부(104)가 수신 아이들 상태에 있는 기간을 단축하여, 소비 전력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카메라(20)의 무선LAN통신부(104)가 기동된 후(S405), 카메라(20)는 스마트 폰(30)에 AUX_SCAN_RSP603을 송신해(S406), BLE통신부(105)를 정지한다(S407). 스마트 폰(30)은, 카메라(20)로부터 AUX_SCAN_RSP603을 수신한다(S507).
그 후, 스마트 폰(30)은 카메라(20)에 DPP인증 요구 604를 송신한다(S510). 카메라(20)는 DPP인증 요구 604를 수신한다(S408).
<실시 형태의 이점>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카메라(20)(엔롤리)는, 소정범위내에 있는 AP를 검출하기 위한 스캔 처리를 행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카메라(20)의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 카메라(20)가 스마트 폰(30)으로부터 송신된 AUX_SCAN_REQ602를 수신할 때까지, 무선LAN통신부(104)를 기동하지 않으므로, 카메라(20)의 무선LAN통신부(104)의 수신 아이들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메라(20)의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더욱, 카메라(20)가 접속 가능한 AP리스트를 스마트 폰(30)(컨피규레이터)에 표시할 수 있으므로, 유저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카메라(20)가 AUX_ADV_IND를 송신하지 않는 동작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개시내용의 실시 형태는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카메라(20)는, 무선LAN통신부(104)의 기동 트리거로서 AUX_SCAN_REQ를 수신할 수 있으면 좋다. 카메라(20)가 AUX_ADV_IND를 송신하면,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스마트 폰(30)은 스캔이 행해진 후에 AUX_SCAN_REQ를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스마트 폰(30)은, 스캔이 행해지기 전에 카메라(20)로부터 AUX_ADV_IND를 수신하고, AUX_ADV_IND에 포함된 채널 리스트에 근거하여, 카메라(20)가 지원하는 AP에 대해서만 스캔 처리를 행해도 좋다. 즉, 스캔 처리를 행하는 채널을, 채널 리스트(채널에 대한 정보)에 근거하여 결정해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카메라(20)와 스마트 폰(30)의 사이의 통신을, IEEE 802.11준거의 무선LAN통신과 BLE에 의해 행할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개시내용의 실시 형태는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롱 텀 에볼루션(LTE), 제5세대(5G)등의 공중무선통신, 와이어리스 초광대역(UWB), Bluetooth(등록상표), ZigBee(등록상표), 근거리 통신(NFC)등의 무선통신을 사용해도 좋다. 또 상기 설명에 있어서 무선LAN에서 사용하는 채널의 2.4GHz와 5GHz는 일례일 뿐이며, 6GHz를 포함하는 그 밖의 채널을 사용해도 좋다. 또한, 와이어리스 UWB는, 와이어리스 범용 직렬버스(USB), 와이어리스1394, 와이어리스 네트워킹(WINET) 등을 포함한다.
도4의 S408의 판정 결과가 부정(NO)일 경우나 도5의 S505의 판정 결과가 부정(NO)일 경우도, 애플리케이션을 종료하는 타임아웃 처리를 행하여도 된다.
그 밖의 실시 형태
또한, 본 개시내용의 실시 형태들은, 기억매체(보다 완전하게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라고도 함)에 레코딩된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들(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실행하여 상술한 실시 형태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 및/또는 상술한 실시 형태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회로(예를 들면, 특정 용도 지향 집적회로(ASIC))를 구비하는 것인, 시스템 또는 장치를 갖는 컴퓨터에 의해 실현되고, 또 예를 들면 상기 기억매체로부터 상기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을 판독하고 실행하여 상기 실시 형태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 및/또는 상술한 실시 형태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회로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상기 시스템 또는 상기 장치를 갖는 상기 컴퓨터에 의해 행해지는 방법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예를 들면, 중앙처리장치(CPU), 마이크로처리장치(MPU))를 구비하여도 되고, 컴퓨터 실행 가능한 명령을 판독하여 실행하기 위해 별개의 컴퓨터나 별개의 프로세서의 네트워크를 구비하여도 된다. 상기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을, 예를 들면 네트워크나 상기 기억매체로부터 상기 컴퓨터에 제공하여도 된다. 상기 기억매체는, 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랜덤액세스 메모리(RAM), 판독전용 메모리(ROM), 분산형 컴퓨팅 시스템의 스토리지, 광디스크(콤팩트 디스크(CD),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BD)TM등), 플래시 메모리 소자, 메모리 카드 등 중 하나 이상을 구비하여도 된다.
본 개시내용의 여러 가지의 실시 형태들을 예시적 실시 형태를 참조하여 기재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개시된 예시적 실시 형태들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것이다. 아래의 청구항의 범위는, 모든 변형, 동등한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폭 넓게 해석해야 한다.

Claims (11)

  1. 제1 무선통신과, 해당 제1 무선통신보다도 소비 전력이 낮은 제2 무선통신을 행할 수 있는 무선통신장치로서,
    다른 무선통신장치가 상기 제1 무선통신에서 사용할 수 있는 채널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제2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다른 무선통신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다른 무선통신장치에 제공되는 통신 파라미터를 선택하는 선택부-상기 통신 파라미터는 상기 제1 무선통신이 일어나는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장치에 접속하기 위해서 상기 다른 무선통신장치가 필요로 함-; 및
    상기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상기 통신 파라미터를 상기 제1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다른 무선통신장치에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하는, 무선통신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가 필요로 한 정보를 송신한 후, 상기 제2 무선통신을 행하는 무선통신부의 동작을 정지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무선통신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통신에서, 액세스 포인트를 검출하기 위한 스캔 처리를 행하지 않는, 무선통신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장치는 배터리 구동기기인, 무선통신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장치는, Device Provisioning Protocol(DPP)에서 규정된 엔롤리로서 동작하는, 무선통신장치.
  6. 무선통신장치로서,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장치에 접속하기 위해서 필요한 통신 파라미터를 선택하는데 사용된 정보와, 그 선택된 통신 파라미터를 다른 무선통신장치에 제공할 때에 사용된 암호열쇠를, 취득하는 취득부;
    상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다른 무선통신장치에 제공되는 통신 파라미터를 선택하는 선택부; 및
    상기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상기 통신 파라미터를, 상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암호열쇠를 사용해서 상기 다른 무선통신장치에 제공하는 제공부를 구비하는, 무선통신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장치는, Device Provisioning Protocol(DPP)에서 규정된 엔롤리로서 동작하는, 무선통신장치.
  8. 제1 무선통신과, 해당 제1 무선통신보다도 소비 전력이 낮은 제2 무선통신을 행할 수 있는 무선통신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다른 무선통신장치가 상기 제1 무선통신에서 사용할 수 있는 채널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제2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다른 무선통신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다른 무선통신장치에 제공되는 통신 파라미터를 선택하는 단계-상기 통신 파라미터는 상기 제1 무선통신이 일어나는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장치에 접속하기 위해서 상기 다른 무선통신장치가 필요로 함-; 및
    상기 선택된 통신 파라미터를 상기 제1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다른 무선통신장치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통신장치의 제어 방법.
  9. 무선통신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장치에 접속하기 위해서 필요한 통신 파라미터를 선택하는데 사용된 정보와, 그 선택된 통신 파라미터를 다른 무선통신장치에 제공할 때에 사용된 암호열쇠를, 취득하는 단계;
    상기 취득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다른 무선통신장치에 제공되는 통신 파라미터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통신 파라미터를, 상기 취득된 암호열쇠를 사용해서 상기 다른 무선통신장치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통신장치의 제어 방법.
  10. 제1 무선통신과, 해당 제1 무선통신보다도 소비 전력이 낮은 제2 무선통신을 행할 수 있는 무선통신장치에,
    다른 무선통신장치가 상기 제1 무선통신에서 사용할 수 있는 채널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제2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다른 무선통신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다른 무선통신장치에 제공되는 통신 파라미터를 선택하는 단계-상기 통신 파라미터는 상기 제1 무선통신이 일어나는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장치에 접속하기 위해서 상기 다른 무선통신장치가 필요로 함-; 및
    상기 선택된 통신 파라미터를 상기 제1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다른 무선통신장치에 송신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명령들을 기억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
  11. 무선통신장치에,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장치에 접속하기 위해서 필요한 통신 파라미터를 선택하는데 사용된 정보와, 그 선택된 통신 파라미터를 다른 무선통신장치에 제공할 때에 사용된 암호열쇠를, 취득하는 단계;
    상기 취득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다른 무선통신장치에 제공되는 통신 파라미터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통신 파라미터를, 상기 취득된 암호열쇠를 사용해서 상기 다른 무선통신장치에 제공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명령들을 기억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
KR1020200076258A 2019-06-27 2020-06-23 무선통신장치, 그 장치의 제어 방법 및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 KR2021000198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119944 2019-06-27
JP2019119944A JP7438676B2 (ja) 2019-06-27 2019-06-27 無線通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983A true KR20210001983A (ko) 2021-01-07

Family

ID=73888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6258A KR20210001983A (ko) 2019-06-27 2020-06-23 무선통신장치, 그 장치의 제어 방법 및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11337216B2 (ko)
JP (1) JP7438676B2 (ko)
KR (1) KR20210001983A (ko)
CN (1) CN11215363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21568B1 (en) * 2018-11-02 2024-01-03 Google LLC Device provisioning protocol with enrollee feedback
JP7438676B2 (ja) * 2019-06-27 2024-02-27 キヤノン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22131420A (ja) * 2021-02-26 2022-09-07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22131419A (ja) * 2021-02-26 2022-09-07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23059463A (ja) * 2021-10-15 2023-04-27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32788A (ja) * 2005-05-23 2006-12-07 Toshiba Corp 基地局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基地局制御方法
JP5929590B2 (ja) 2012-07-27 2016-06-0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装置
US9591574B2 (en) * 2012-10-09 2017-03-07 Apple Inc. Dynamic receive diversity selection for LTE
JP6344893B2 (ja) 2013-07-19 2018-06-20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207330B2 (ja) * 2013-10-02 2017-10-04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データ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6355424B2 (ja) * 2014-05-20 2018-07-11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6472202B2 (ja) * 2014-10-02 2019-02-20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並びに通信方法、通信装置並びに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70092648A (ko) * 2014-12-12 2017-08-11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통신 장치, 통신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JP6472259B2 (ja) * 2015-02-10 2019-02-20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6532333B2 (ja) 2015-07-21 2019-06-19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594212B2 (ja) * 2016-01-15 2019-10-23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通信システム
US11632710B2 (en) * 2016-03-02 2023-04-18 Blackberry Limited Provisioning a device in a network
US10547448B2 (en) 2016-10-19 2020-01-28 Qualcomm Incorporated Configurator key package for device provisioning protocol (DPP)
JP6920814B2 (ja) * 2016-12-12 2021-08-18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6797674B2 (ja) 2016-12-26 2020-12-09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1647386B2 (en) * 2017-10-17 2023-05-09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Device based credentials
JP7011448B2 (ja) * 2017-10-31 2022-01-26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端末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
JP7438676B2 (ja) * 2019-06-27 2024-02-27 キヤノン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413403A1 (en) 2020-12-31
CN112153634A (zh) 2020-12-29
JP2021005837A (ja) 2021-01-14
US20220256540A1 (en) 2022-08-11
US11991678B2 (en) 2024-05-21
US11337216B2 (en) 2022-05-17
JP7438676B2 (ja) 2024-02-27
CN112153634B (zh) 2024-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83382B2 (en) Communication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device, and program
US10547468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KR20210001983A (ko) 무선통신장치, 그 장치의 제어 방법 및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
US11729617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CN107439052B (zh) 通信装置、通信装置的控制方法和存储介质
EP3955552B1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program
US11838753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program
US10966261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method, and program
US10575171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US20210195410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10685104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for communication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20190274048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method, and program
US12069477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JP7406893B2 (ja) 通信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1018868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for controlling the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storing the program
WO2023218759A1 (ja) 通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通信システム
JP2020088567A (ja) 通信装置、その制御方法、通信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