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1773U - 다용도 폴딩 프레임 구조물 - Google Patents

다용도 폴딩 프레임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1773U
KR20210001773U KR2020200000315U KR20200000315U KR20210001773U KR 20210001773 U KR20210001773 U KR 20210001773U KR 2020200000315 U KR2020200000315 U KR 2020200000315U KR 20200000315 U KR20200000315 U KR 20200000315U KR 20210001773 U KR20210001773 U KR 2021000177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xis
extension arm
axis extension
vertex
coup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03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상기
Original Assignee
서상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상기 filed Critical 서상기
Priority to KR20202000003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1773U/ko
Publication of KR2021000177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177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4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made mainly of wood or plastics
    • A47B47/047Modular arrangements of similar assemblies of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4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made mainly of wood or plastics
    • A47B47/045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made mainly of wood or plastics with four vertical uprigh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A47B87/001Furniture units made of wire or tub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A47B87/02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stackable ; stackable and linkable
    • A47B87/0207Stackable racks, trays or shelf units
    • A47B87/0253Shelves stackable by means of vertical parts integrated or already fixed to the shelves, the parts not being frames or made of tubes or wi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02Dress holders; Dress suspending devices; Clothes-hanger assemblies; Clothing lift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개시되는 다용도 폴딩 프레임 구조물은, 제 1 내지 제 4 하부 꼭짓점 연결구와, 상기 제 1 내지 제 4 하부 꼭짓점 연결구들을 x축 및 y축 방향으로 연결하는 제 1 내지 제 4 하부 수평 로드들을 가지는 하부 프레임; 제 1 내지 제 4 상부 꼭짓점 연결구와, 상기 제 1 내지 제 4 상부 꼭짓점 연결구들을 x축 및 y축 방향으로 연결하는 제 1 내지 제 4 상부 수평 로드들을 가지는 상부 프레임; 및 제 1 내지 제 4 중간 관절부와, 상기 제 1 내지 제 4 중간 관절부들을 마주하는 상기 제 1 내지 제 4 하부 꼭짓점 연결구들에 연결하는 제 1 내지 제 4 하부 수직 로드들과, 상기 제 1 내지 제 4 중간 관절부들을 마주하는 상기 제 1 내지 제 4 상부 꼭지점 연결구들에 연결하는 제 1 내지 제 4 상부 수직 로드들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다용도 폴딩 프레임 구조물{MULTI-PURPOSE FOLDING FRAME STRUCTURE}
본 고안(Disclosure)은, 구조가 간단하고 폴딩 조작이 단순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다용도 폴딩 프레임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는, 본 고안에 관한 배경기술이 제공되며, 이들이 반드시 공지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is section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is not necessarily prior art).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0-0006744호,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1465호,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65644호 등에는 접이식 프레임을 가지는 선반(shelf) 등이 개시되어 있으며,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459371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95526호 등에는 접이식 프레임을 가지는 행거(hanger) 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공보들에 개시된 프레임들은 그 구조가 복잡하고, 또한 펼치거나 접기 위해서는 반드시 설명서 등을 참고해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전술한 공보들에 개시된 프레임들 뿐만 아니라 종래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사용되는 접이식 프레임들은 사용 용도가 한정되어 있어 활용범위가 적은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출원의 고안자는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노력하였으며, 그 결과물로 본 고안을 실용신안 출원하기에 이르렀다.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0-0006744호.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1465호.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65644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459371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95526호.
본 고안(Disclosure)은, 구조가 간단하고 폴딩 조작이 단순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다용도 폴딩 프레임 구조물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여기서는, 본 고안의 전체적인 요약(Summary)이 제공되며, 이것이 본 고안의 외연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된다(This section provides a general summary of the disclosure and is not a comprehensive disclosure of its full scope or all of its features).
상기한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고안을 기술하는 여러 관점들 중 어느 일 관점(aspect)에 따른 다용도 폴딩 프레임 구조물은, 제 1 내지 제 4 하부 꼭짓점 연결구와, 상기 제 1 내지 제 4 하부 꼭짓점 연결구들을 x축 및 y축 방향으로 연결하는 제 1 내지 제 4 하부 수평 로드들을 가지는 하부 프레임; 제 1 내지 제 4 상부 꼭짓점 연결구와, 상기 제 1 내지 제 4 상부 꼭짓점 연결구들을 x축 및 y축 방향으로 연결하는 제 1 내지 제 4 상부 수평 로드들을 가지는 상부 프레임; 및 제 1 내지 제 4 중간 관절부와, 상기 제 1 내지 제 4 중간 관절부들을 마주하는 상기 제 1 내지 제 4 하부 꼭짓점 연결구들에 연결하는 제 1 내지 제 4 하부 수직 로드들과, 상기 제 1 내지 제 4 중간 관절부들을 마주하는 상기 제 1 내지 제 4 상부 꼭지점 연결구들에 연결하는 제 1 내지 제 4 상부 수직 로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다용도 폴딩 프레임 구조물에서, 상기 제 1 내지 제 4 하부 꼭짓점 연결구들은 각각 x축, y축, z축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 암들을 가지며, 상기 제 1 내지 제 4 하부 꼭짓점 연결구들의 x축, y축, z축 연장 암들의 연장단에는 각각 연결공들이 형성되되, 상기 제 1 내지 제 4 하부 꼭짓점 연결구들의 상기 x축 연결 암은 각각 상기 y축 연결 암 및 상기 z축 연결 암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게 장착되고, 상기 제 1 내지 제 4 상부 꼭짓점 연결구들은 각각 x축, y축, z축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 암들을 가지며, 상기 제 1 내지 제 4 상부 꼭짓점 연결구들의 x축, y축, z축 연장 암들의 연장단에는 각각 연결공들이 형성되되, 상기 제 1 내지 제 4 상부 꼭짓점 연결구들의 상기 x축 연결 암은 각각 상기 y축 연결 암 및 상기 z축 연결 암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게 장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다용도 폴딩 프레임 구조물에서, 상기 제 1 하부 꼭짓점 연결구의 상기 x축 연장 암과 상기 제 2 하부 꼭짓점 연결구의 상기 x축 연장 암은 마주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 2 하부 꼭짓점 연결구의 상기 y축 연장 암과 상기 제 3 하부 꼭짓점 연결구의 상기 y축 연장 암은 마주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3 하부 꼭짓점 연결구의 상기 x축 연장 암과 상기 제 4 하부 꼭짓점 연결구의 상기 x축 연장 암은 마주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 4 하부 꼭짓점 연결구의 상기 y축 연장 암과 상기 제 1 하부 꼭짓점 연결구의 상기 y축 연장 암은 마주하게 배치되되, 상기 제 1 하부 수평 로드의 일단 및 타단은 상기 제 1 하부 꼭짓점 연결구의 상기 x축 연장 암과 상기 제 2 하부 꼭짓점 연결구의 상기 x축 연장 암에 형성된 상기 연결공에 끼워지고, 상기 제 2 하부 수평 로드의 일단 및 타단은 상기 제 2 하부 꼭짓점 연결구의 상기 y축 연장 암과 상기 제 3 하부 꼭짓점 연결구의 상기 y축 연장 암에 형성된 상기 연결공에 끼워지며, 상기 제 3 하부 수평 로드의 일단 및 타단은 상기 제 3 하부 꼭짓점 연결구의 상기 x축 연장 암과 상기 제 4 하부 꼭짓점 연결구의 상기 x축 연장 암에 형성된 상기 연결공에 끼워지며, 상기 제 4 하부 수평 로드의 일단 및 타단은 상기 제 4 하부 꼭짓점 연결구의 상기 y축 연장 암과 상기 제 1 하부 꼭짓점 연결구의 상기 y축 연장 암에 형성된 연결공에 끼워질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다용도 폴딩 프레임 구조물에서, 상기 제 1 상부 꼭짓점 연결구의 상기 x축 연장 암과 상기 제 2 상부 꼭짓점 연결구의 상기 x축 연장 암은 마주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 2 상부 꼭짓점 연결구의 y축 연장 암과 상기 제 3 상부 꼭짓점 연결구의 y축 연장 암은 마주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3 상부 꼭짓점 연결구의 상기 x축 연장 암과 상기 제 4 상부 꼭짓점 연결구의 상기 x축 연장 암은 마주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 4 상부 꼭짓점 연결구의 상기 y축 연장 암과 상기 제 1 상부 꼭짓점 연결구의 상기 y축 연장 암은 마주하게 배치되되, 상기 제 1 상부 수평 로드의 일단 및 타단은 상기 제 1 상부 꼭짓점 연결구의 상기 x축 연장 암과 상기 제 2 상부 꼭짓점 연결구의 상기 x축 연장 암에 형성된 상기 연결공에 끼워지고, 상기 제 2 상부 수평 로드의 일단 및 타단은 상기 제 2 상부 꼭짓점 연결구의 상기 y축 연장 암과 상기 제 3 상부 꼭짓점 연결구의 상기 y축 연장 암에 형성된 상기 연결공에 끼워지며, 상기 제 3 상부 수평 로드의 일단 및 타단은 상기 제 3 상부 꼭짓점 연결구의 상기 x축 연장 암과 상기 제 4 상부 꼭짓점 연결구의 상기 x축 연장 암에 형성된 상기 연결공에 끼워지며, 상기 제 4 상부 수평 로드의 일단 및 타단은 상기 제 4 상부 꼭짓점 연결구의 상기 y축 연장 암과 상기 제 1 상부 꼭짓점 연결구의 상기 y축 연장 암에 형성된 상기 연결공에 끼워질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다용도 폴딩 프레임 구조물에서, 상기 제 1 내지 제 4 중간 관절부는 각각 y축 연장 암과, 상기 y축 연장 암의 상부 및 하부로 연장되는 제 1 및 제 2 z축 연장 암들을 가지며, 상기 중간 관절부들의 상기 y축 연장 암과, 제 1 및 제 2 z축 연장 암들의 연장단에는 각각 연결공들이 형성되되, 상기 제 1 내지 제 4 중간 관절부들의 상기 제 1 및 제 2 z축 연장 암들은 상기 y축 연장 암에 대하여 회동할 수 있게 장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다용도 폴딩 프레임 구조물에서, 상기 제 1 중간 관절부의 상기 제 1 z축 연장 암 및 상기 제 2 z축 연장 암은 각각 상기 제 1 하부 꼭지점 연결구의 상기 z축 연장 암과 상기 제 1 상부 꼭지점 연결구의 상기 z축 연장 암과 마주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 4 중간 관절부의 상기 제 1 z축 연장 암 및 상기 제 2 z축 연장 암은 각각 상기 제 4 하부 꼭지점 연결구의 상기 z축 연장 암과 상기 제 4 상부 꼭지점 연결구의 상기 z축 연장 암과 마주하게 배치되되, 상기 제 1 중간 관절부의 상기 y축 연장 암과 상기 제 4 중간 관절부의 상기 y축 연장 암은 마주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 2 중간 관절부의 상기 제 1 z축 연장 암 및 상기 제 2 z축 연장 암은 각각 상기 제 2 하부 꼭지점 연결구의 상기 z축 연장 암과 상기 제 2 상부 꼭지점 연결구의 상기 z축 연장 암과 마주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 3 중간 관절부의 상기 제 1 z축 연장 암 및 상기 제 2 z축 연장 암은 각각 상기 제 3 하부 꼭지점 연결구의 상기 z축 연장 암과 상기 제 3 상부 꼭지점 연결구의 상기 z축 연장 암과 마주하게 배치되되, 상기 제 2 중간 관절부의 y축 연장 암과 상기 제 3 중간 관절부의 y축 연장 암은 마주하게 배치되고, 마주하는 상기 제 1 중간 관절부의 상기 y축 연장 암과 상기 제 4 중간 관절부의 상기 y축 연장 암 및 상기 마주하는 상기 제 2 중간 관절부의 상기 y축 연장 암과 상기 제 3 중간 관절부의 상기 y축 연장 암에는 각각 제 1 및 제 2 중간 보강 로드가 끼워질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다용도 폴딩 프레임 구조물에서, 상기 제 1 하부 수직 로드의 일단 및 타단은 상기 제 1 중간 관절부의 상기 제 1 z축 연장 암과 상기 제 1 하부 꼭짓점 연결구의 상기 z축 연결 암에 형성된 상기 연결공에 끼워지고, 상기 제 2 하부 수직 로드의 일단 및 타단은 상기 제 2 중간 관절부의 상기 제 1 z축 연장 암과 상기 제 2 하부 꼭짓점 연결구의 상기 z축 연결 암에 형성된 상기 연결공에 끼워지며, 상기 제 3 하부 수직 로드의 일단 및 타단은 상기 제 3 중간 관절부의 상기 제 1 z축 연장 암과 상기 제 3 하부 꼭짓점 연결구의 상기 z축 연결 암에 형성된 상기 연결공에 끼워지고, 상기 제 4 하부 수직 로드의 일단 및 타단은 상기 제 4 중간 관절부의 상기 제 1 z축 연장 암과 상기 제 4 하부 꼭짓점 연결구의 상기 z축 연결 암)에 형성된 상기 연결공에 끼워지며, 상기 제 1 상부 수직 로드의 일단 및 타단은 상기 제 1 중간 관절부의 상기 제 2 z축 연장 암과 상기 제 1 상부 꼭짓점 연결구의 상기 z축 연결 암에 형성된 상기 연결공에 끼워지고, 상기 제 2 상부 수직 로드의 일단 및 타단은 상기 제 2 중간 관절부의 상기 제 2 z축 연장 암과 상기 제 2 상부 꼭짓점 연결구의 상기 z축 연결 암에 형성된 상기 연결공에 끼워지며, 상기 제 3 상부 수직 로드의 일단 및 타단은 상기 제 3 중간 관절부의 상기 제 2 z축 연장 암과 상기 제 3 상부 꼭짓점 연결구의 상기 z축 연결 암에 형성된 상기 연결공에 끼워지고, 상기 제 4 상부 수직 로드의 일단 및 타단은 상기 제 4 중간 관절부의 상기 제 2 z축 연장 암과 상기 제 4 상부 꼭짓점 연결구의 z축 연결 암에 형성된 상기 연결공에 끼워질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접을 수 있기 때문에 운송, 설치 및 보관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구조가 간단하고 폴딩 조작이 단순하기 때문에 누구나 쉽게 빠른 속도로 접었다 펼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폴딩 프레임 구조물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폴딩 프레임 구조물이 접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폴딩 프레임 구조물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폴딩 프레임 구조물를 구현한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고안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형태에 의해 그 실시 가능 형태가 제한된다고 할 수는 없고, 본 고안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형태를 치환 또는 변경의 방법으로 용이하게 제안될 수 있는 범위를 포섭함을 밝힌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선택한 것이므로, 본 고안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을 파악하는 데 있어서,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로 적절히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첨부된 도면 중, 도 1 내지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폴딩 프레임 구조물을 나타낸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폴딩 프레임 구조물(10)은 물건 등을 올려놓을 수 있는 선반(shelf) 등의 프레임(도 3 참조) 또는 옷 등을 걸어놓을 수 있는 행거(hanger) 등의 프레임(도 4 참조)으로 사용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폴딩 프레임 구조물(10)은 전술한 선반(shelf) 또는 행거(hanger) 이외에도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누구나 알 수 있을 것이다.
일례로,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폴딩 프레임 구조물(10)을 직물지 등으로 감싸 통상의 비키니 옷장, 또는 탈의실 등의 부스, 또는 캠핑용 사워부스 등의 프레임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폴딩 프레임 구조물(10)는 접을 수 있어서 운송, 설치 및 보관이 용이하고, 사용 시 직육면체 형상으로 펼쳐지며, 또한 접혔을 때에도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접힌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폴딩 프레임 구조물(10)은 하부 프레임(20)과, 상부 프레임(40) 및 하부 프레임(20)과 상부 프레임(40)을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160)를 포함한다.
먼저, 하부 프레임(20)은 4개의 하부 꼭짓점 연결구(22, 24, 26, 28)와, 4개의 하부 꼭짓점 연결구(22, 24, 26, 28)들을 x축 및 y축 방향으로 연결하는 4개의 하부 수평 로드(32, 34, 36, 38)들을 포함한다.
여기서, 하부 프레임(20)은 4개의 하부 꼭짓점 연결구(22, 24, 26, 28)와, 4개의 하부 수평 로드(32, 34, 36, 38)들에 의해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의 형상을 이루게 된다.
하부 꼭짓점 연결구(22, 24, 26, 28)들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x축, y축, z축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 암들을 가지며, 하부 꼭짓점 연결구(22, 24, 26, 28)들의 x축, y축, z축 연장 암들의 연장단에는 각각 연결공들이 연장 암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그리고 하부 꼭짓점 연결구(22, 24, 26, 28)들의 x축 연결 암은 각각 y축 연결 암 및 z축 연결 암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게 장착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하부 꼭짓점 연결구(22, 24, 26, 28)들은 하부 프레임(20)이 형성하는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형상의 모서리 부분에 배치되되 각각의 z축 연결 암(22z, 24z, 26z, 28z)들은 상부 프레임(40) 측으로 연장되게 배치된다.
그리고 제 1 하부 꼭짓점 연결구(22)의 x축 연장 암(22x)과 제 2 하부 꼭짓점 연결구(24)의 x축 연장 암(24x)은 마주하게 배치되며, 제 2 하부 꼭짓점 연결구(24)의 y축 연장 암(24y)과 제 3 하부 꼭짓점 연결구(26)의 y축 연장 암(26y)은 마주하게 배치된다. 또한 제 3 하부 꼭짓점 연결구(26)의 x축 연장 암(26x)과 제 4 하부 꼭짓점 연결구(28)의 x축 연장 암(28x)은 마주하게 배치되며, 제 4 하부 꼭짓점 연결구(28)의 y축 연장 암(28y)과 제 1 하부 꼭짓점 연결구(22)의 y축 연장 암(22y)은 마주하게 배치된다.
4개의 하부 수평 로드(32, 34, 36, 38)들은 x축 및 y축 방향으로 마주하는 하부 꼭짓점 연결구(22, 24, 26, 28)들을 연결시킨다.
이를 위해서, 제 1 하부 수평 로드(32)의 일단 및 타단은 제 1 하부 꼭짓점 연결구(22)의 x축 연장 암(22x)과 제 2 하부 꼭짓점 연결구(24)의 x축 연장 암(24x)에 형성된 연결공에 끼워지고, 제 2 하부 수평 로드(34)의 일단 및 타단은 제 2 하부 꼭짓점 연결구(24)의 y축 연장 암(24y)과 제 3 하부 꼭짓점 연결구(26)의 y축 연장 암(26y)에 형성된 연결공에 끼워진다. 또한 제 3 하부 수평 로드(36)의 일단 및 타단은 제 3 하부 꼭짓점 연결구(26)의 x축 연장 암(26x)과 제 4 하부 꼭짓점 연결구(28)의 x축 연장 암(28x)에 형성된 연결공에 끼워지며, 제 4 하부 수평 로드(38)의 일단 및 타단은 제 4 하부 꼭짓점 연결구(28)의 y축 연장 암(28y)과 제 1 하부 꼭짓점 연결구(22)의 y축 연장 암(22y)에 형성된 연결공에 끼워진다.
이렇게 형성된 하부 프레임(20)은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폴딩 프레임 구조물(10)의 바닥을 형성한다.
상부 프레임(40)은 4개의 상부 꼭짓점 연결구(42, 44, 46, 48)와, 4개의 상부 꼭짓점 연결구(42, 44, 46, 48)들을 x축 및 y축 방향으로 연결하는 4개의 상부 수평 로드(52, 54, 56, 58)들을 포함한다.
상부 프레임(40)은 하부 프레임(20)과 마찬가지로 4개의 상부 꼭짓점 연결구(42, 44, 46, 48)와, 4개의 상부 수평 로드(52, 54, 56, 58)들에 의해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의 형상을 이루게 된다.
상부 꼭짓점 연결구(42, 44, 46, 48)들은 하부 꼭짓점 연결구(22, 24, 26, 28)들과 마찬가지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x축, y축, z축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 암들을 가지며, 상부 꼭짓점 연결구(42, 44, 46, 48)들의 x축, y축, z축 연장 암들의 연장단에는 각각 연결공들이 연장 암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 꼭짓점 연결구(42, 44, 46, 48)들의 x축 연결 암은 각각 y축 연결 암 및 z축 연결 암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게 장착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상부 꼭짓점 연결구(42, 44, 46, 48)들은 상부 프레임(40)이 형성하는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형상의 모서리 부분에 배치되되 각각의 z축 연결 암(42z, 44z, 46z, 48z)들은 하부 프레임(20) 측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제 1 상부 꼭짓점 연결구(42)의 x축 연장 암(42x)과 제 2 상부 꼭짓점 연결구(44)의 x축 연장 암(44x)은 마주하게 배치되며, 제 2 상부 꼭짓점 연결구(44)의 y축 연장 암(44y)과 제 3 상부 꼭짓점 연결구(46)의 y축 연장 암(46y)은 마주하게 배치된다. 또한 제 3 상부 꼭짓점 연결구(46)의 x축 연장 암(46x)과 제 4 상부 꼭짓점 연결구(48)의 x축 연장 암(48x)은 마주하게 배치되며, 제 4 상부 꼭짓점 연결구(48)의 y축 연장 암(48y)과 제 1 상부 꼭짓점 연결구(42)의 y축 연장 암(42y)은 마주하게 배치된다.
4개의 상부 수평 로드(52, 54, 56, 58)들은 x축 및 y축 방향으로 마주하는 상부 꼭짓점 연결구(42, 44, 46, 48)들을 연결시킨다.
이를 위해서, 제 1 상부 수평 로드(52)의 일단 및 타단은 제 1 상부 꼭짓점 연결구(42)의 x축 연장 암(42x)과 제 2 상부 꼭짓점 연결구(44)의 x축 연장 암(44x)에 형성된 연결공에 끼워지고, 제 2 상부 수평 로드(54)의 일단 및 타단은 제 2 상부 꼭짓점 연결구(44)의 y축 연장 암(44y)과 제 3 상부 꼭짓점 연결구(46)의 y축 연장 암(46y)에 형성된 연결공에 끼워진다. 또한 제 3 상부 수평 로드(56)의 일단 및 타단은 제 3 상부 꼭짓점 연결구(56)의 x축 연장 암(56x)과 제 4 상부 꼭짓점 연결구(58)의 x축 연장 암(58x)에 형성된 연결공에 끼워지며, 제 4 상부 수평 로드(58)의 일단 및 타단은 제 4 상부 꼭짓점 연결구(48)의 y축 연장 암(48y)과 제 1 상부 꼭짓점 연결구(42)의 y축 연장 암(42y)에 형성된 연결공에 끼워진다.
이렇게 형성된 상부 프레임(40)은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폴딩 프레임 구조물(10)의 상부를 형성한다.
연결 프레임(60)은 4개의 중간 관절부(62, 64, 66, 68)와, 중간 관절부(62, 64, 66, 68)들을 마주하는 하부 꼭짓점 연결구(22, 24, 26, 28)들에 연결하는 4개의 하부 수직 로드(82a, 84a, 86a, 88a)들과, 중간 관절부(62, 64, 66, 68)들을 마주하는 상부 꼭지점 연결구(42, 44, 46, 48)들에 연결하는 4개의 상부 수직 로드(82b, 84b, 86b, 88b)들을 포함한다.
중간 관절부(62, 64, 66, 68)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y축 연장 암과, y축 연장 암의 상부 및 하부로 연장되는 2개의 z축 연장 암들을 가지며, 중간 관절부(62, 64, 66, 68)들의 y축 연장 암과, 2개의 z축 연장 암들의 연장단에는 각각 연결공들이 연장 암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그리고 중간 관절부(62, 64, 66, 68)들의 2개 z축 연장 암들은 y축 연장 암에 대하여 회동할 수 있게 장착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중간 관절부(62, 64, 66, 68)들은 마주하는 하부 꼭지점 연결구(22, 24, 26, 28)와 상부 꼭지점 연결구(42, 44, 46, 48) 사이에 배치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폴딩 프레임 구조물(10)이 펼쳐진 상태에서 제 1 중간 관절부(62)의 제 1 z축 연장 암(62z-1) 및 제 2 z축 연장 암(62z-2)은 각각 제 1 하부 꼭지점 연결구(22)의 z축 연장 암(22z)과 제 1 상부 꼭지점 연결구(42)의 z축 연장 암(42z)과 마주하게 배치되며, 제 4 중간 관절부(68)의 제 1 z축 연장 암(68z-1) 및 제 2 z축 연장 암(68z-2)은 각각 제 4 하부 꼭지점 연결구(28)의 z축 연장 암(28z)과 제 4 상부 꼭지점 연결구(48)의 z축 연장 암(48z)과 마주하게 배치되는데, 제 1 중간 관절부(62)의 y축 연장 암(62y)과 제 4 중간 관절부(68)의 y축 연장 암(68y)은 마주하게 배치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폴딩 프레임 구조물(10)이 펼쳐진 상태에서 제 2 중간 관절부(64)의 제 1 z축 연장 암(64z-1) 및 제 2 z축 연장 암(64z-2)은 각각 제 2 하부 꼭지점 연결구(24)의 z축 연장 암(24z)과 제 2 상부 꼭지점 연결구(44)의 z축 연장 암(44z)과 마주하게 배치되며, 제 3 중간 관절부(66)의 제 1 z축 연장 암(66z-1) 및 제 2 z축 연장 암(66z-2)은 각각 제 3 하부 꼭지점 연결구(26)의 z축 연장 암(26z)과 제 3 상부 꼭지점 연결구(46)의 z축 연장 암(46z)과 마주하게 배치되는데, 제 2 중간 관절부(64)의 y축 연장 암(64y)과 제 3 중간 관절부(66)의 y축 연장 암(66y)은 마주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마주하는 제 1 중간 관절부(62)의 y축 연장 암(62y)과 제 4 중간 관절부(68)의 y축 연장 암(68y) 및 마주하는 제 2 중간 관절부(64)의 y축 연장 암(64y)과 제 3 중간 관절부(66)의 y축 연장 암(66y)에는 각각 제 1 및 제 2 중간 보강 로드(72, 74)가 끼워진다.
한편, 4개의 하부 수직 로드(82a, 84a, 86a, 88a)들은 중간 관절부(62, 64, 66, 68)들과 마주하는 하부 하부 꼭지점 연결구(22, 24, 26, 28)들 연결시키고, 4개의 상부 수직 로드(82b, 84b, 86b, 88b)들은 중간 관절부(62, 64, 66, 68)들과 마주하는 상부 하부 꼭지점 연결구(42, 44, 46, 48)들 연결시킨다.
이를 위해서, 제 1 하부 수직 로드(82a)의 일단 및 타단은 제 1 중간 관절부(62)의 제 1 z축 연장 암(62z-1)과 제 1 하부 꼭짓점 연결구(22)의 z축 연결 암(22z)에 형성된 연결공에 끼워지고, 제 2 하부 수직 로드(84a)의 일단 및 타단은 제 2 중간 관절부(64)의 제 1 z축 연장 암(64z-1)과 제 2 하부 꼭짓점 연결구(24)의 z축 연결 암(24z)에 형성된 연결공에 끼워진다. 또한, 제 3 하부 수직 로드(86a)의 일단 및 타단은 제 3 중간 관절부(66)의 제 1 z축 연장 암(66z-1)과 제 3 하부 꼭짓점 연결구(26)의 z축 연결 암(26z)에 형성된 연결공에 끼워지고, 제 4 하부 수직 로드(88a)의 일단 및 타단은 제 4 중간 관절부(68)의 제 1 z축 연장 암(68z-1)과 제 4 하부 꼭짓점 연결구(28)의 z축 연결 암(28z)에 형성된 연결공에 끼워진다.
그리고 제 1 상부 수직 로드(82b)의 일단 및 타단은 제 1 중간 관절부(62)의 제 2 z축 연장 암(62z-2)과 제 1 상부 꼭짓점 연결구(42)의 z축 연결 암(42z)에 형성된 연결공에 끼워지고, 제 2 상부 수직 로드(84b)의 일단 및 타단은 제 2 중간 관절부(64)의 제 2 z축 연장 암(64z-2)과 제 2 상부 꼭짓점 연결구(44)의 z축 연결 암(44z)에 형성된 연결공에 끼워진다. 또한, 제 3 상부 수직 로드(86b)의 일단 및 타단은 제 3 중간 관절부(66)의 제 2 z축 연장 암(66z-2)과 제 3 상부 꼭짓점 연결구(46)의 z축 연결 암(46z)에 형성된 연결공에 끼워지고, 제 4 상부 수직 로드(88b)의 일단 및 타단은 제 4 중간 관절부(68)의 제 2 z축 연장 암(68z-2)과 제 4 상부 꼭짓점 연결구(48)의 z축 연결 암(44z)에 형성된 연결공에 끼워진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폴딩 프레임 구조물(10)은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폴딩 프레임 구조물(10)을 좀 더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게 하면서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하나 이상의 크로스 로드(90a, 90b; 도 3 및 도 4 참조)를 더 포함한다.
크로스 로드(90a, 90b)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이 마주하는 제 1 및 제 2 중간 보강 로드(72, 74; 도 3 참조), 또는 마주하는 제 1 및 제 3 상부 수평 로드(52, 56), 또는 마주하는 제 2 및 제 4 상부 수평 로드(54, 58; 도 4 참조)에 끼워진다.
이렇게 크로스 로드(90a, 90b)로 의해 연결된 제 1 및 제 2 중간 보강 로드(72, 74)의 상부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반용 트레이(T) 등을 설치할 수 있으며,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옷 등을 걸 수 있는 옷걸이 등이 거치될 수 있다.
하기에는 도 2를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폴딩 프레임 구조물(10)이 접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도 1과 같이 펼쳐진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폴딩 프레임 구조물(10)을 접기 위해서는, 우선 제 1 및 제 4 중간 관절부(62, 68)를 접어 제 1 중간 보강 로드(72)를 제 2 상부 수평 로드(54) 측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제 2 및 제 3 중간 관절부(64, 66)를 접어 제 2 중간 보강 로드(74)가 제 4 하부 수평 로드(38) 측으로 이동시킨다.
이렇게 제 1 중간 보강 로드(72)가 제 2 상부 수평 로드(54) 측으로 이동하고, 동시에 제 2 중간 보강 로드(74)가 제 4 하부 수평 로드(38) 측으로 이동하면, 제 1 및 제 4 상부 수직 로드(82b, 88b)는 제 1 및 제 4 중간 관절부(62, 68)와 제 1 및 제 4 상부 꼭짓점 연결구(42, 48)을 회동시키면서 제 1 및 제 3 상부 수평 로드(52, 56)와 대략 수평하게 마주하게 되고, 제 2 및 제 3 하부 수직 로드(84a, 86a)는 제 2 및 제 3 중간 관절부(64, 66)와 제 2 및 제 3 하부 꼭짓점 연결구(24, 26)을 회동시킨면서 제 1 및 제 3 하부 수평 로드(32, 36)과 대략 수평하게 마주하게 된다. 이때, 제 1 및 제 4 하부 수직 로드(82a, 88a)와 제 2 및 제 3 상부 수직 로드(84b, 86b)와 수직으로 마주하게 된다.
즉, 다용도 폴딩 프레임 구조물(10)은 도 2의 (A)와 같이 대략 굴절 형태로 접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다용도 폴딩 프레임 구조물(10)이 굴절 형태로 접히면, 다음으로 상부 프레임(40)을 하부 프레임(20) 측으로 이동시켜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폴딩 프레임 구조물(10)을 완전히 접는다.
다시 말해, 상부 프레임(40)을 하부 프레임(20) 측으로 밀어 접으면, 수직으로 마주하게 배치된 제 1 및 제 4 하부 수직 로드(82a, 88a)와 제 2 및 제 2 및 제 4 상부 수직 로드(84b, 86b)들은 각각 중간 관절부(62, 64, 66, 68), 제 1 및 제 4 하부 꼭지점 연결구(22, 28) 및 제 2 및 제 3 상부 꼭지점 연결구(44, 46)를 회동시키면서 제 2 및 제 3 하부 수직 로드(84a, 86a) 측으로 선회하게 되며, 제 1 및 제 4 상부 수직 로드(82b, 88b)는 마찬가지로 중간 관절부(62, 64, 66, 68), 제 1 및 제 4 하부 꼭지점 연결구(22, 28) 및 제 2 및 제 3 상부 꼭지점 연결구(44, 46)를 회동시키면서제 1 및 제 4 하부 수직 로드(82a, 88a) 측으로 선회하여 도 2의 (B)와 같이 접히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폴딩 프레임 구조물(10)을 펼치기 위해서는 위의 방향을 역순으로 실시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폴딩 프레임 구조물(10)은 접을 수 있기 때문에 운송, 설치 및 보관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구조가 간단하고 폴딩 조작이 단순하기 때문에 누구나 쉽게 빠른 속도로 접었다 펼 수 있게 한다.
앞에서,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Claims (7)

  1. 제 1 내지 제 4 하부 꼭짓점 연결구와, 상기 제 1 내지 제 4 하부 꼭짓점 연결구들을 x축 및 y축 방향으로 연결하는 제 1 내지 제 4 하부 수평 로드들을 가지는 하부 프레임;
    제 1 내지 제 4 상부 꼭짓점 연결구와, 상기 제 1 내지 제 4 상부 꼭짓점 연결구들을 x축 및 y축 방향으로 연결하는 제 1 내지 제 4 상부 수평 로드들을 가지는 상부 프레임; 및
    제 1 내지 제 4 중간 관절부와, 상기 제 1 내지 제 4 중간 관절부들을 마주하는 상기 제 1 내지 제 4 하부 꼭짓점 연결구들에 연결하는 제 1 내지 제 4 하부 수직 로드들과, 상기 제 1 내지 제 4 중간 관절부들을 마주하는 상기 제 1 내지 제 4 상부 꼭지점 연결구들에 연결하는 제 1 내지 제 4 상부 수직 로드들을 포함하는 다용도 폴딩 프레임 구조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4 하부 꼭짓점 연결구들은 각각 x축, y축, z축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 암들을 가지며, 상기 제 1 내지 제 4 하부 꼭짓점 연결구들의 x축, y축, z축 연장 암들의 연장단에는 각각 연결공들이 형성되되, 상기 제 1 내지 제 4 하부 꼭짓점 연결구들의 상기 x축 연결 암은 각각 상기 y축 연결 암 및 상기 z축 연결 암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게 장착되고,
    상기 제 1 내지 제 4 상부 꼭짓점 연결구들은 각각 x축, y축, z축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 암들을 가지며, 상기 제 1 내지 제 4 상부 꼭짓점 연결구들의 x축, y축, z축 연장 암들의 연장단에는 각각 연결공들이 형성되되, 상기 제 1 내지 제 4 상부 꼭짓점 연결구들의 상기 x축 연결 암은 각각 상기 y축 연결 암 및 상기 z축 연결 암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게 장착되는 다용도 폴딩 프레임 구조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부 꼭짓점 연결구의 상기 x축 연장 암과 상기 제 2 하부 꼭짓점 연결구의 상기 x축 연장 암은 마주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 2 하부 꼭짓점 연결구의 상기 y축 연장 암과 상기 제 3 하부 꼭짓점 연결구의 상기 y축 연장 암은 마주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3 하부 꼭짓점 연결구의 상기 x축 연장 암과 상기 제 4 하부 꼭짓점 연결구의 상기 x축 연장 암은 마주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 4 하부 꼭짓점 연결구의 상기 y축 연장 암과 상기 제 1 하부 꼭짓점 연결구의 상기 y축 연장 암은 마주하게 배치되되,
    상기 제 1 하부 수평 로드의 일단 및 타단은 상기 제 1 하부 꼭짓점 연결구의 상기 x축 연장 암과 상기 제 2 하부 꼭짓점 연결구의 상기 x축 연장 암에 형성된 상기 연결공에 끼워지고, 상기 제 2 하부 수평 로드의 일단 및 타단은 상기 제 2 하부 꼭짓점 연결구의 상기 y축 연장 암과 상기 제 3 하부 꼭짓점 연결구의 상기 y축 연장 암에 형성된 상기 연결공에 끼워지며, 상기 제 3 하부 수평 로드의 일단 및 타단은 상기 제 3 하부 꼭짓점 연결구의 상기 x축 연장 암과 상기 제 4 하부 꼭짓점 연결구의 상기 x축 연장 암에 형성된 상기 연결공에 끼워지며, 상기 제 4 하부 수평 로드의 일단 및 타단은 상기 제 4 하부 꼭짓점 연결구의 상기 y축 연장 암과 상기 제 1 하부 꼭짓점 연결구의 상기 y축 연장 암에 형성된 연결공에 끼워지는 다용도 폴딩 프레임 구조물.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1 상부 꼭짓점 연결구의 상기 x축 연장 암과 상기 제 2 상부 꼭짓점 연결구의 상기 x축 연장 암은 마주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 2 상부 꼭짓점 연결구의 y축 연장 암과 상기 제 3 상부 꼭짓점 연결구의 y축 연장 암은 마주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3 상부 꼭짓점 연결구의 상기 x축 연장 암과 상기 제 4 상부 꼭짓점 연결구의 상기 x축 연장 암은 마주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 4 상부 꼭짓점 연결구의 상기 y축 연장 암과 상기 제 1 상부 꼭짓점 연결구의 상기 y축 연장 암은 마주하게 배치되되,
    상기 제 1 상부 수평 로드의 일단 및 타단은 상기 제 1 상부 꼭짓점 연결구의 상기 x축 연장 암과 상기 제 2 상부 꼭짓점 연결구의 상기 x축 연장 암에 형성된 상기 연결공에 끼워지고, 상기 제 2 상부 수평 로드의 일단 및 타단은 상기 제 2 상부 꼭짓점 연결구의 상기 y축 연장 암과 상기 제 3 상부 꼭짓점 연결구의 상기 y축 연장 암에 형성된 상기 연결공에 끼워지며, 상기 제 3 상부 수평 로드의 일단 및 타단은 상기 제 3 상부 꼭짓점 연결구의 상기 x축 연장 암과 상기 제 4 상부 꼭짓점 연결구의 상기 x축 연장 암에 형성된 상기 연결공에 끼워지며, 상기 제 4 상부 수평 로드의 일단 및 타단은 상기 제 4 상부 꼭짓점 연결구의 상기 y축 연장 암과 상기 제 1 상부 꼭짓점 연결구의 상기 y축 연장 암에 형성된 상기 연결공에 끼워지는 다용도 폴딩 프레임 구조물.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4 중간 관절부는 각각 y축 연장 암과, 상기 y축 연장 암의 상부 및 하부로 연장되는 제 1 및 제 2 z축 연장 암들을 가지며,
    상기 중간 관절부들의 상기 y축 연장 암과, 제 1 및 제 2 z축 연장 암들의 연장단에는 각각 연결공들이 형성되되,
    상기 제 1 내지 제 4 중간 관절부들의 상기 제 1 및 제 2 z축 연장 암들은 상기 y축 연장 암에 대하여 회동할 수 있게 장착되는 다용도 폴딩 프레임 구조물.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 1 중간 관절부의 상기 제 1 z축 연장 암 및 상기 제 2 z축 연장 암은 각각 상기 제 1 하부 꼭지점 연결구의 상기 z축 연장 암과 상기 제 1 상부 꼭지점 연결구의 상기 z축 연장 암과 마주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 4 중간 관절부의 상기 제 1 z축 연장 암 및 상기 제 2 z축 연장 암은 각각 상기 제 4 하부 꼭지점 연결구의 상기 z축 연장 암과 상기 제 4 상부 꼭지점 연결구의 상기 z축 연장 암과 마주하게 배치되되, 상기 제 1 중간 관절부의 상기 y축 연장 암과 상기 제 4 중간 관절부의 상기 y축 연장 암은 마주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 2 중간 관절부의 상기 제 1 z축 연장 암 및 상기 제 2 z축 연장 암은 각각 상기 제 2 하부 꼭지점 연결구의 상기 z축 연장 암과 상기 제 2 상부 꼭지점 연결구의 상기 z축 연장 암과 마주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 3 중간 관절부의 상기 제 1 z축 연장 암 및 상기 제 2 z축 연장 암은 각각 상기 제 3 하부 꼭지점 연결구의 상기 z축 연장 암과 상기 제 3 상부 꼭지점 연결구의 상기 z축 연장 암과 마주하게 배치되되, 상기 제 2 중간 관절부의 y축 연장 암과 상기 제 3 중간 관절부의 y축 연장 암은 마주하게 배치되고,
    마주하는 상기 제 1 중간 관절부의 상기 y축 연장 암과 상기 제 4 중간 관절부의 상기 y축 연장 암 및 상기 마주하는 상기 제 2 중간 관절부의 상기 y축 연장 암과 상기 제 3 중간 관절부의 상기 y축 연장 암에는 각각 제 1 및 제 2 중간 보강 로드가 끼워지는 다용도 폴딩 프레임 구조물.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부 수직 로드의 일단 및 타단은 상기 제 1 중간 관절부의 상기 제 1 z축 연장 암과 상기 제 1 하부 꼭짓점 연결구의 상기 z축 연결 암에 형성된 상기 연결공에 끼워지고, 상기 제 2 하부 수직 로드의 일단 및 타단은 상기 제 2 중간 관절부의 상기 제 1 z축 연장 암과 상기 제 2 하부 꼭짓점 연결구의 상기 z축 연결 암에 형성된 상기 연결공에 끼워지며, 상기 제 3 하부 수직 로드의 일단 및 타단은 상기 제 3 중간 관절부의 상기 제 1 z축 연장 암과 상기 제 3 하부 꼭짓점 연결구의 상기 z축 연결 암에 형성된 상기 연결공에 끼워지고, 상기 제 4 하부 수직 로드의 일단 및 타단은 상기 제 4 중간 관절부의 상기 제 1 z축 연장 암과 상기 제 4 하부 꼭짓점 연결구의 상기 z축 연결 암에 형성된 상기 연결공에 끼워지며,
    상기 제 1 상부 수직 로드의 일단 및 타단은 상기 제 1 중간 관절부의 상기 제 2 z축 연장 암과 상기 제 1 상부 꼭짓점 연결구의 상기 z축 연결 암에 형성된 상기 연결공에 끼워지고, 상기 제 2 상부 수직 로드의 일단 및 타단은 상기 제 2 중간 관절부의 상기 제 2 z축 연장 암과 상기 제 2 상부 꼭짓점 연결구의 상기 z축 연결 암에 형성된 상기 연결공에 끼워지며, 상기 제 3 상부 수직 로드의 일단 및 타단은 상기 제 3 중간 관절부의 상기 제 2 z축 연장 암과 상기 제 3 상부 꼭짓점 연결구의 상기 z축 연결 암에 형성된 상기 연결공에 끼워지고, 상기 제 4 상부 수직 로드의 일단 및 타단은 상기 제 4 중간 관절부의 상기 제 2 z축 연장 암과 상기 제 4 상부 꼭짓점 연결구의 z축 연결 암에 형성된 상기 연결공에 끼워지는 다용도 폴딩 프레임 구조물.
KR2020200000315U 2020-01-22 2020-01-22 다용도 폴딩 프레임 구조물 KR2021000177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0315U KR20210001773U (ko) 2020-01-22 2020-01-22 다용도 폴딩 프레임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0315U KR20210001773U (ko) 2020-01-22 2020-01-22 다용도 폴딩 프레임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773U true KR20210001773U (ko) 2021-07-30

Family

ID=77125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0315U KR20210001773U (ko) 2020-01-22 2020-01-22 다용도 폴딩 프레임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1773U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5644Y1 (ko) 2004-08-10 2004-10-25 (주) 아이앤에이 글로벌 접이식 선반을 갖는 이동형 진열케이지
KR200401465Y1 (ko) 2005-08-12 2005-11-17 주식회사 원구 접이식 선반
KR20100006744U (ko) 2008-12-24 2010-07-02 주식회사 미광아트 접이식 다단 상품 진열대의 선반 절첩 구조
KR101459371B1 (ko) 2013-03-15 2014-11-07 황종부 접이식 행거
KR20150095526A (ko) 2014-02-13 2015-08-21 (주)아이지베스트 접이식 행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5644Y1 (ko) 2004-08-10 2004-10-25 (주) 아이앤에이 글로벌 접이식 선반을 갖는 이동형 진열케이지
KR200401465Y1 (ko) 2005-08-12 2005-11-17 주식회사 원구 접이식 선반
KR20100006744U (ko) 2008-12-24 2010-07-02 주식회사 미광아트 접이식 다단 상품 진열대의 선반 절첩 구조
KR101459371B1 (ko) 2013-03-15 2014-11-07 황종부 접이식 행거
KR20150095526A (ko) 2014-02-13 2015-08-21 (주)아이지베스트 접이식 행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98500B2 (en) Unmanned helicopter
CN211242110U (zh) 一种折叠凳/桌及其折叠框架
KR20210001773U (ko) 다용도 폴딩 프레임 구조물
KR840007687A (ko) 유모차용 베드
US4437413A (en) Folding structure employing a Sarrus linkage
ATE155973T1 (de) Zusammenklappbare strukturen
WO2023193658A1 (zh) 一种折叠桌结构改进
CN208009085U (zh) 折叠伸缩架以及晾衣机
CN207125509U (zh) 一种多功能可调节绘画用书桌
Wilcox et al. Exploring movements and potential actuation in action origami
CN217922693U (zh) 可折叠的晾衣架
CN215014854U (zh) 一种便于收纳的折叠衣柜
CN209211130U (zh) 可折叠式晾衣架
JP3238901U (ja) 便利に組み立てるx字型折り畳み物干し具
US20070204772A1 (en) Storage table system and method
CN106426276A (zh) 一种双三角式复合机械臂
CN220423440U (zh) 一种壁挂式折叠柜
CN206729631U (zh) 折叠式蚊帐
CN211974577U (zh) 一种可自由拼接的帐篷
CN209493743U (zh) 一种可收折式衣篓
KR920005841Y1 (ko) 절첩식 쇼파
CN108691168A (zh) 一种落地晾衣架
CN207130497U (zh) 折叠式晾衣架
CN207754882U (zh) 收缩折叠式塑料凳
CN107007111A (zh) 一种可折叠的衣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