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1736A - Device for protecting patient and surgery cover - Google Patents

Device for protecting patient and surgery cov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1736A
KR20210001736A KR1020190078259A KR20190078259A KR20210001736A KR 20210001736 A KR20210001736 A KR 20210001736A KR 1020190078259 A KR1020190078259 A KR 1020190078259A KR 20190078259 A KR20190078259 A KR 20190078259A KR 20210001736 A KR20210001736 A KR 202100017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protection
surgical
attachment
sa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82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69468B1 (en
Inventor
성태연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Priority to KR1020190078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9468B1/en
Publication of KR20210001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173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9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946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46/00Surgical drapes
    • A61B46/20Surgical drap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46/00Surgical drapes
    • A61B46/20Surgical drap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 A61B2046/205Adhesive drap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Disclosed are a patient protector and a surgery cover comprising the same. Among the same, the patient prot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rotection unit configured to support a surgical cloth; and an attachment unit disposed on at least a part of an edge of one surface of the protection unit, and provided so that the protection unit can be attached to a body part of the patient or the surgical cloth.

Description

환자 보호기 및 수술용 커버{DEVICE FOR PROTECTING PATIENT AND SURGERY COVER}Patient protector and surgical cover {DEVICE FOR PROTECTING PATIENT AND SURGERY COVER}

본 발명은 환자 보호기 및 수술용 커버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tient protector and a surgical cover.

일반적으로, 수술을 위한 전신 마취시 환자는 전신 마취 하에 호흡 유지를 위하여 구강을 통한 기관내 삽관(Endotracheal Intubation Tube Insertion)이 시행된다. 대부분의 기관내 삽입관은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며, 기관내 삽관 후 기관내 삽입관은 환자의 안면 부위의 측면부에 위치하게 된다. In general, during general anesthesia for surgery, a patient undergoes an Oral Endotracheal Intubation Tube Insertion to maintain breathing under general anesthesia. Most endotracheal canals are made of a flexible material, and after endotracheal intubation, the endotracheal canals are located on the side of the patient's face.

기관내 삽관이 완료되고 나면, 환자 수술 부위의 멸균 소독 과정 후 환자의 안면부를 포함하여 소독되지 않은 환자의 신체 부위를 수술포로 덮게 된다. 이때, 수술포가 비소독된 환자의 안면 부위로부터 이격될 수 있도록 수술포의 상단부는 환자의 양측에 위치하는 기둥에 고정된다. After the endotracheal intubation is complete, the patient's body part, including the patient's face, is covered with a surgical cloth after the sterilization process of the patient's surgical site. At this time, the upper end of the surgical fabric is fixed to the pillars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patient so that the surgical fabric can be spaced apart from the non-sterilized patient's facial area.

그러나, 수술이 진행되는 동안 수술포의 무게에 의해 기둥에 고정된 수술포가 흘러내려서 환자의 안면을 가압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환자의 안면 부위와 수술포 사이에 있는 유연한 재질의 기관내 삽입관이 수술포에 의해 환자의 안면을 짓누르게 되는 문제가 있다. However, there may be a case in which the surgical cloth fixed to the column flows down by the weight of the surgical cloth during the operation and presses the patient's face. In this proces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lexible endotracheal tube between the patient's facial area and the surgical cloth presses the patient's face by the surgical cloth.

또한, 수술포가 환자의 신체를 덮고 있는 상황에서 수술 집도의 및 마취의는 수술포에 가려진 환자의 안면을 확인하기 어렵고, 집도의가 수술 집도 중 의도치 않게 환자의 안면 부위에 충격을 가할 가능성이 있다. In addition, when the surgical cloth covers the patient's body, it is difficult for the surgeon and anesthesiologist to check the patient's face covered by the surgical cloth, an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surgeon accidentally inflicts an impact on the patient's face during the operation. .

또한, 수술포가 환자의 안면 부위를 덮게 되면, 수시로 환자의 안면 부위와 기관내 삽입관의 위치를 확인하여야 하는 마취의가 환자의 안면을 지속적으로 관찰하지 못하고, 기관내 삽입관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마취의가 환자의 안면 부위에 덮힌 수술포를 별도로 들어올려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In addition, when the surgical cloth covers the patient's facial area, an anesthesiologist who must check the patient's facial area and the location of the endotracheal tube cannot continuously observe the patient's face and check the condition of the endotracheal tube. In order to do so, there is a hassle of having to separately lift the surgical cloth covered with the patient's face by the anesthesiologist.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1-070318호 (2001.03.21. 공개)Japanese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1-070318 (published on March 31, 2001)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술한 바와 같은 배경에 착안하여 제안되는 것으로서, 수술이 진행되는 동안 환자의 안면으로부터 수술포가 이격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고, 물리적 충격으로부터 환자의 안면을 보호할 수 있는 환자 보호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posed based on the above-described background, and the patient can maintain the surgical fabric spaced apart from the patient's face during the operation, and protect the patient's face from physical shock. It is to provide a protecto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술포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보호부; 및 상기 보호부의 일면의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고, 상기 보호부가 환자의 안면 부위 또는 수술포에 부착될 수 있게 제공되는 부착부를 포함하는, 환자 보호기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otection unit configured to support the surgical fabric; And an attachment portion disposed on at least a portion of an edge of one surface of the protective portion and provided so that the protective portion may be attached to a facial portion of the patient or a surgical cloth, a patient protector may be provided.

또한, 상기 보호부는 상기 일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휘어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otection part may have a shape curved along an edge of the one surface.

또한, 상기 보호부는 제1 단부, 및 상기 제1 단부와 대향하는 제2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부는 중심부가 상기 보호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요입되도록 휘어져 형성되고, 상기 제2 단부는 중심부가 상기 보호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휘어져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otection unit includes a first end and a second end opposite to the first end, and the first end is formed to be bent such that a central portion is concave inward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rotection unit, and the second end May be formed to be bent so that the central part extends outward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protection part.

또한, 상기 보호부의 상기 제1 단부의 곡률은 상기 보호부의 상기 제2 단부의 곡률보다 클 수 있다. In addition, a curvature of the first end of the protection part may be greater than a curvature of the second end of the protection part.

또한, 상기 부착부가 환자의 안면 부위에 부착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보호부의 제1 단부가 휘어지는 정도 및 상기 보호부의 제2 단부가 휘어지는 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degree of bending of the first end of the protection unit and the degree of bending of the second end of the protection unit may vary according to a position at which the attachment portion is attached to the patient's face.

또한, 상기 보호부는 제1 단부에서 제2 단부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otection unit may have a shape in which the width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first end to the second end.

또한, 상기 보호부의 폭은 상기 보호부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width of the protection part may be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protection part.

또한, 상기 부착부는, 상기 보호부의 제1 단부에서 상기 보호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는 제1 부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ttachment portion may include a first attachment member disposed along an edge of the protection portion at a first end of the protection portion.

또한, 상기 제1 부착 부재는 복수 개로 제공되고, 복수의 상기 제1 부착 부재 중 상기 보호부의 가장자리에 인접하는 복수 개의 상기 제1 부착 부재는 중 서로 대칭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the first attachment members may be provided, and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attachment members, the plurality of first attachment members adjacent to the edge of the protection unit may have a symmetrical shape.

또한, 상기 부착부는, 상기 제1 부착 부재 보다 상측에 배치되는 제2 부착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부착 부재는 인접하는 상기 제1 부착 부재와 밀착될 수 있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attachment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attachment member disposed above the first attachment member, and the second attachment member may have a shape capable of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adjacent first attachment member.

또한, 상기 보호부는,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제2 단부를 연결하고 직선 형상을 가지는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otection part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first end and the second end and having a linear shape.

또한, 상기 보호부는,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제2 단부를 연결하고 곡선 형상을 가지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의 상기 곡선 형상은 중심부가 상기 보호부의 폭방향 내측으로 요입되도록 휘어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otection unit further includes a connection unit that connects the first end and the second end and has a curved shape, and the curved shape of the connection unit has a curved shape such that the center is concav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protection unit. I can.

또한, 상기 제1 단부는 중심부가 상기 보호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요입되도록 휘어져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의 상기 곡선 형상의 곡률은 상기 제1 단부의 곡률보다 작거나 상기 제1 단부의 곡률과 동일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end is formed to be bent so that the central portion is concave inwar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rotection unit, and the curvature of the curved shape of the connection part is less than the curvature of the first end or equal to the curvature of the first end. can do.

또한, 상기 보호부는,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제2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부착부는, 상기 제1 단부를 따라 배치되는 제1 부착 부재; 상기 연결부를 따라 배치되는 제3 부착 부재; 및 상기 제2 단부를 따라 배치되는 제2 부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otection part further includes a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first end and the second end, and the attachment part comprises: a first attachment member disposed along the first end; A third attachment member disposed along the connection portion; And a second attachment member disposed along the second end.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수술포; 및 상기 수술포의 일면에 부착될 수 있는 환자 보호기를 포함하고, 상기 환자 보호기는 상기 수술포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보호부; 및 상기 보호부의 일면의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고, 상기 보호부를 상기 수술포에 부착시킬 수 있도록 제공되는 부착부를 포함하는, 수술용 커버가 제공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urgical cloth; And a patient protector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surgical fabric, wherein the patient protector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surgical fabric; And an attachment portion disposed on at least a portion of an edge of one side of the protective portion and provided to attach the protective portion to the surgical cloth. A surgical cover may be provided.

또한, 상기 부착부는 상기 보호부의 일면의 가장자리에서 서로 마주하는 모서리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ttachment portion may be disposed at an edge facing each other at an edge of one surface of the protection portion.

또한, 상기 수술포의 상기 일면에 부착되고 상기 환자 보호기를 커버하는 가림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shielding member attached to the one surface of the surgical fabric to cover the patient protector.

또한, 상기 가림 부재의 일면은 상기 수술포의 일면과 상기 환자 보호기의 상기 보호부의 타면에 부착될 수 있다. In addition, one surface of the covering member may be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surgical cloth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protective part of the patient protector.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수술포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보호부; 및 상기 보호부가 환자의 안면 부위 또는 수술포에 부착될 수 있게 제공되는 부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부는, 보호 바디; 및 상기 보호 바디에 대하여 접히거나 휘어져서 상기 보호 바디에 연결되는 꺾임부를 포함하고, 상기 부착부는 상기 꺾임부에 배치되는, 환자 보호기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ective unit configured to support the surgical fabric; And an attachment part provided so that the protection part can be attached to the patient's facial area or the surgical cloth, and the protection part includes: a protection body; And a bent portion that is folded or bent with respect to the protective body and connected to the protective body, and the attachment portion is disposed on the bent portion, and a patient protector may be provided.

또한, 상기 꺾임부는, 제1 꺾임부 및 상기 제1 꺾임부와 독립적으로 상기 보호 바디에 대하여 접히거나 휘어질 수 있는 제2 꺾임부를 포함하고, 상기 부착부는 상기 제1 꺾임부 및 상기 제2 꺾임부에 배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ending portion includes a first bending portion and a second bending portion that can be folded or bent with respect to the protective body independently from the first bending portion, and the attachment portion is the first bending portion and the second bending portion. Can be placed in the department.

또한, 상기 보호 바디는 상기 제1 꺾임부가 연결된 일측과 상기 제2 꺾임부가 연결된 타측이 서로에 대하여 휘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otective body may be formed such that one side to which the first bent part is connected and the other side to which the second bent part is connected are bent with respect to each other.

상기 부착부는, 상기 보호 바디에 있어서 상기 꺾임부의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다. The attachment part may be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bent part in the protective body.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환자 보호기는 수술이 진행되는 동안 환자의 안면 등의 환자의 신체로부터 수술포가 이격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고, 물리적 충격으로부터 환자의 신체를 보호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The patient protec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maintaining a state where the surgical fabric is spaced apart from the patient's body, such as the patient's face, while the operation is in progress, and can protect the patient's body from physical shock. .

또한, 소독된 수술 부위와 비소독된 환자의 다른 신체 부위가 물리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sterilized surgical site and other body parts of the non-sterilized patient can be physically separat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환자 보호기에 의해 수술포와 환자의 안면 부위가 이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환자 보호기에 의해 수술포와 환자의 안면 부위가 이격된 상태를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환자 보호기가 환자의 안면 부위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환자 보호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환자 보호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제1 변형예에 따른 환자 보호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제2 변형예에 따른 환자 보호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환자 보호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환자 보호기가 수술포에 부착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술포의 분해도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술포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환자 보호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환자 보호기가 소정 각도로 휘어져 수술포에 부착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환자 보호기가 도 13과 다른 각도로 휘어져 수술포에 부착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환자 보호기가 수술포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operating cloth and a facial part of a patient are spaced apart by a patient protec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as viewed from another side of a state in which the surgical fabric and the patient's face are separated by the patient protec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atient protec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the patient's fac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tient protec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view showing a patient protec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lan view showing a patient protector according to a first modified exampl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lan view showing a patient protector according to a second modified exampl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lan view showing a patient protect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patient protecto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the surgical fabric.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urgical fabric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side view of a surgical fabric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lan view showing a patient protecto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at a patient protecto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attached to a surgical cloth.
1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at a patient protecto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ent at a different angle from that of FIG. 13 and attached to a surgical cloth.
1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patient protecto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from the surgical fabric.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특허 청구 가능한 본 발명의 여러 측면(aspects) 중 하나이며,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기술의 일부를 이룰 수 있다. Hereinafter, a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following description is one of several aspects of the invention that are claimable, and the following description may form part of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된 구성 또는 기능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을 명료하게 하기 위해 생략할 수 있다. However,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known configurations or functions may be omitted to clarify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includ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embodiment, and should be understood as including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corresponding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접촉되어' 있다거나 '부착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접촉되어 있거나 또는 부착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in contact' or'attach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be in direct contact with or attach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the middle. Should be.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 하, 측 등의 방향 표현은 도면의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direction expressions such as up, down, and side are described based on the illustrations in the drawings, and it should be noted in advance that if the direction of the object is changed, it may be expressed differently.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보호기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Hereinafter, a patient prot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환자 보호기(1)는 환자의 안면 부위 등의 환자의 신체에 부착 가능하게 제공되어 환자의 안면 등의 신체 부위와 수술포(3) 사이를 이격시킬 수 있는 장치이다. 여기서 예시된 환자의 안면 부위는 환자의 안면을 포함한 그 주변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1 to 3, the patient protector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so as to be attached to the patient's body such as the patient's face, so that body parts such as the patient's face and an operating cloth ( 3) It is a device that can separate the space. The exemplified patient's facial region may be a concept including the patient's face and its surroundings.

환자 보호기(1)가 환자의 안면 부위에 부착되는 경우, 환자 보호기(1)에 의해 환자의 안면 부위와 수술포(3) 사이가 이격됨에 따라, 수술이 진행되는 동안 환자의 안면 부위로부터 수술포(3)가 이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으며, 물리적 충격으로부터 환자의 안면 부위가 보호될 수 있다. When the patient protector (1) is attached to the patient's facial area, as the patient protector (1) separates the patient's facial area from the surgical cloth (3), the surgical cloth is removed from the patient's facial area during the operation. (3) The separated state can be maintained, and the patient's facial area can be protected from physical shock.

또한, 환자 보호기(1)에 의해 이격된 환자의 안면 부위와 수술포(3) 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며, 이 공간을 통해 환자의 구강 내에 삽입된 기관내 삽입관(2)의 상태가 지속적으로 관찰될 수 있다. In addition, a predetermined space is formed between the patient's facial area and the surgical cloth 3 separated by the patient protector 1, and the state of the endotracheal tube 2 inserted into the patient's oral cavity through this space Can be observed continuously.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보호기(1)는 보호부(10) 및 부착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4 and 5, the patient protecto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rotection unit 10 and an attachment unit 20.

보호부(10)는 환자 보호기(1)가 환자의 안면 부위 등에 부착될 때 수술포(3)가 환자의 안면을 직접 덮지 않도록 수술포(3)를 지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보호부(10)는 환자의 안면 부위 등과 수술포(3) 사이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보호부(10)는 환자 보호기(1)가 환자의 안면 부위 등에 부착될 때 적어도 일부가 환자의 안면을 향하는 제1 면과, 이러한 제1 면의 반대측 면인 제2 면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rotection unit 10 may support the surgical fabric 3 so that the surgical fabric 3 does not directly cover the patient's face when the patient protector 1 is attached to the patient's face. In other words, the protection unit 10 may form a space between the patient's facial area and the surgical fabric 3. When the patient protector 1 is attached to the patient's facial area, the protective part 10 may include a first surface at least partially facing the patient's face, and a second surface that is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또한, 보호부(10)는 환자의 안면 부위와 접촉될 수 있는 제1 단부(11), 이러한 제1 단부(11)의 반대편에 구비되는 제2 단부(12), 및 제1 단부(11)와 제2 단부(12)를 연결하는 연결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단부(12)는 보호부(10)의 환자의 안면 부위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13)는 제1 단부(11)와 제2 단부(12) 사이에서 선형적으로 내지 직선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otection unit 10 includes a first end 11 capable of contacting the patient's facial area, a second end 12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irst end 11, and a first end 11 It may include a connection portion 13 connecting the second end 12 and. The second end 12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patient's facial portion of the protection unit 10. In addition, the connection part 13 may have a shape extending linearly or linearly between the first end 11 and the second end 12.

보호부(10)의 제1 단부(11)는 그 중심부가 보호부(10)의 길이방향(도 4 및 도 5의 y축 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요입되도록 휘어진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보호부(10)의 제2 단부(12)는 그 중심부가 보호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휘어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의 중심부는 단부와 단부의 사이의 어느 한 부분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한 반드시 정 중앙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The first end 11 of the protection part 10 may have a shape curved so that the center thereof is concave inwar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rotection part 10 (y-axis direction in FIGS. 4 and 5), and the protection part The second end 12 of (10) may have a curved shape such that the center thereof extends outward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protection part 10.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center refers to any part between the end and the end, and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center unless specifically limited.

보호부(10)의 제1 단부(11)의 곡률은 환자의 안면 부위, 예컨대, 턱선의 굴곡을 반영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부(11)는 곡선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제1 단부(11)의 곡선 형상은 두 개의 변곡점(P1, P2)을 가질 수 있다. 이때, 두 개의 변곡점(P1, P2)을 지나면서 제1 단부(11)에 접하는 두 접선(TL1, TL2)이 이루는 각도(θ1)는 100°이상 140°미만일 수 있다. The curvature of the first end 11 of the protection unit 10 may be determined by reflecting the curvature of the patient's facial region, for example, the jaw line. For example, the first end 11 may have a curved shape, and the curved shape of the first end 11 may have two inflection points P 1 and P 2 . At this time, the angle θ 1 formed by the two tangent lines TL 1 and TL 2 in contact with the first end 11 while passing through the two inflection points P 1 and P 2 may be 100° or more and less than 140°.

보호부(10)의 제1 단부(11)의 곡률은 보호부(10)의 제2 단부(12)의 곡률보다 클 수 있다. 이와 같이, 보호부(10)의 제1 단부(11)의 곡률이 보호부(10)의 제2 단부(12)의 곡률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제1 단부(11)가 제2 단부(12)에 비해 용이하게 휘어질 수 있다. 또한, 입체적인 환자의 안면 형상으로 인해 보호부(10)의 제1 단부(11)가 환자의 안면 부위로부터 박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The curvature of the first end 11 of the protection part 10 may be greater than the curvature of the second end 12 of the protection part 10. In this way, the curvature of the first end 11 of the protection part 10 is formed larger than the curvature of the second end 12 of the protection part 10, so that the first end 11 becomes the second end 12 It can be easily bent compared to. In addition, due to the three-dimensional shape of the patient's face, the first end 11 of the protection unit 10 may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patient's face.

또한, 보호부(10)의 제2 단부(12)의 곡률이 보호부(10)의 제1 단부(11)의 곡률 보다 작게 형성되어 보호부(10)의 제2 단부(12)가 수술포(3)와 접촉되는 면적이 증가됨으로써, 보호부(10)가 수술포(3)를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urvature of the second end 12 of the protective part 10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curvature of the first end 11 of the protective part 10, so that the second end 12 of the protective part 10 is a surgical cloth. By increasing the area in contact with (3), the protective part 10 can easily support the surgical cloth (3).

한편, 보호부(10)는 환자의 안면 부위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휘어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환자 보호기(1)가 환자의 안면 부위에 부착되더라도 보호부(10)의 형상으로 인해 보호부(10)와 환자의 구강 내에 삽입된 기관내 삽입관(2)이 서로 간섭되지 않을 수 있다. Meanwhile, the protection unit 10 may have a shape that is curv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patient's facial region. Accordingly, even if the patient protector 1 is attached to the patient's face, the protector 10 and the endotracheal tube 2 inserted into the patient's oral cavity may not interfere with each other due to the shape of the protector 10. have.

보호부(10)의 두께(d)는 일 예로 약 0.3 mm 내지 약 0.5 mm일 수 있다. 보호부(10)의 두께(d)가 0.3 mm 미만이면 보호부(10)가 수술포(3)를 지지하는 지지력이 저하될 수 있고, 보호부(10)의 두께(d)가 0.5 mm를 초과하면, 보호부(10)의 휘어짐이 줄어들어 환자의 안면 부위에 대한 보호부(10)의 밀착력이 저하될 수 있다. The thickness d of the protection part 10 may be, for example, about 0.3 mm to about 0.5 mm. If the thickness (d) of the protective part 10 is less than 0.3 mm, the supporting force of the protective part 10 to support the surgical cloth 3 may be reduced, and the thickness (d) of the protective part 10 is 0.5 mm. If it exceeds, the curvature of the protective part 10 may be reduced, so that the adhesion of the protective part 10 to the patient's face may be reduced.

보호부(10)는 환자의 안면 부위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약 15 cm 내지 약 20 cm의 길이(l)를 가져서 환자의 안면 부위가 갖는 길이의 0.5배 이상에 해당하는 길이를 커버 및 보호할 수 있다. 이때, 보호부(10)의 길이(l)는 보호부(10)의 제1 단부(11)의 중앙점(11a)에서 보호부(10)의 제2 단부(12)의 중앙점(12a)을 일직선상으로 잇는 가상선의 길이를 의미한다. The protective part 10 may be dispos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patient's facial area, for example, having a length l of about 15 cm to about 20 cm, corresponding to 0.5 times or more of the length of the patient's facial area. The length can be covered and protected. At this time, the length (l) of the protection part 10 is from the center point 11a of the first end 11 of the protection part 10 to the center point 12a of the second end 12 of the protection part 10 It means the length of an imaginary line connecting in a straight line.

보호부(10)는 제1 단부(11)에서 제2 단부(12)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보호부(10)의 폭은 도 5에서 보았을 때 좌측의 연결부(13)와 우측의 연결부(13) 사이의 거리로 정의될 수 있다. The protection part 10 may have a shape whose width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first end 11 to the second end 12. The width of the protection part 10 may be defined as a distance between the connection part 13 on the left and the connection part 13 on the right as seen in FIG. 5.

또한, 보호부(10)는 일 예로 탄력성 및 유연성을 갖는 투명한 플라스틱 필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보호부(10)는 감염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일회 사용 후 폐기될 수 있으며, 예컨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이미드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재질은 예시적인 것이고, 보호부(10)의 재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n addition, the protection unit 10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plastic film having elasticity and flexibility, for example. In addition, the protection unit 10 may be disposed of after one use in order to prevent the risk of infection, and may be formed of at least one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thyl methacrylate, polycarbonate, and polyimide. However, these materials are exemplary, and the material of the protection part 10 is not limited thereto.

한편, 부착부(20)가 구비되는 위치에 따라 보호부(10)의 제1 단부(11)가 휘어지는 정도 및 보호부(10)의 제2 단부(12)가 휘어지는 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 부착부(20)가 부착되는 환자의 안면 부위가 갖는 형상에 따라 보호부(10)의 제1 단부(11)가 휘어지는 정도가 달라지므로, 보호부(10)의 제1 단부(11)의 휘어지는 정도에 상응하게 보호부(10)의 제2 단부(12)도 휘어질 수 있다. Meanwhile, the degree to which the first end 11 of the protection unit 10 is bent and the degree to which the second end 12 of the protection unit 10 is bent may vary depending on the position where the attachment unit 20 is provided. Since the degree of bending of the first end 11 of the protective part 10 varies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patient's face to which the attachment part 20 is attached, the bending of the first end 11 of the protective part 10 According to the degree, the second end 12 of the protection part 10 may also be bent.

부착부(20)는 보호부(10)를 환자의 안면 부위에 부착시키는 부분으로, 보호부(10)의 제1 면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부착부(20)는 인체에 무해한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양면에 러버계 점착제가 도포된 폴리에스테르 필름, 일면에 실리콘계 점착제가 도포된 후지(liner)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부착부(20)의 종류는 예시적인 것 일뿐, 부착부(20)의 종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attachment part 20 is a part that attaches the protection part 10 to the patient's face, and may be provided on the first surface of the protection part 10. The attachment part 20 may include an adhesive that is harmless to the human body, and may be, for example, at least one of a polyester film coated with a rubber-based adhesive on both sides, and a liner coated with a silicone-based adhesive on one side. However, the type of the attachment portion 20 is only exemplary, and the type of the attachment portion 20 is not limited thereto.

이러한 부착부(20)는 보호부(10)의 일면의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고, 보호부가 환자의 안면 부위 등에 부착될 수 있게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부착부(20)는 일 예로 보호부(10)의 제1 단부(11)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보호부(10)의 제1 단부(11)는 환자의 안면 부위와 접촉되어 휘어지는 부분일 수 있다. 또한, 부착부(20)는 보호부(10)의 제1 단부(11)에서 보호부(10)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는 제1 부착 부재(21)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ttachment part 20 may be disposed on at least a part of an edge of one surface of the protection part 10 and may be provided so that the protection part may be attached to the patient's face. Such an attachment part 20 may be provided at the first end 11 of the protection part 10 for example. The first end 11 of the protection part 10 may be a part that is bent in contact with the patient's face. In addition, the attachment portion 20 may include a first attachment member 21 disposed along the edge of the protection portion 10 at the first end 11 of the protection portion 10.

제1 부착 부재(21)가 복수 개로 제공되는 경우, 복수의 제1 부착 부재(21)는 서로 상이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서로 상이한 면적을 가질 수 있다. 보호부(10)의 폭방향 외측은 보호부(10)의 폭방향 내측보다 부착력이 요구되는 부분이므로, 보호부(10)의 폭방향 외측에 배치된 제1 부착 부재(21a)는 보호부(10)의 폭방향 내측에 배치된 제1 부착 부재(21b)보다 큰 접착력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호부(10)의 폭방향 외측에 배치된 제1 부착 부재(21a)에는 보호부(10)의 폭방향 내측에 배치된 제1 부착 부재(21b)보다 더 큰 접착력을 가지는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 보호부(10)의 폭방향 외측에 배치된 제1 부착 부재(21a)는 보호부(10)의 폭방향 내측에 배치된 제1 부착 부재(21b)보다 길이방향으로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보호부(10)의 가장자리에 인접하는 제1 부착 부재(21)는 중심부에 대하여 서로 대칭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When a plurality of first attachment members 21 are provided, the plurality of first attachment members 21 may have different shapes and may have different areas. Since the out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protection part 10 is a part that requires an adhesive force than the inn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protection part 10, the first attachment member 21a disposed outside the width direction of the protection part 10 is the protection part ( 10) may be provided to have a greater adhesive force than the first attachment member (21b) disposed inside the width direction. For example, the first attachment member 21a disposed outside the width direction of the protection part 10 is an adhesive having a greater adhesive force than the first attachment member 21b disposed inside the width direction of the protection part 10 Can be applied. In addition, as another example, the first attachment member 21a disposed outside the width direction of the protection part 10 is long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an the first attachment member 21b disposed inside the width direction of the protection part 10 Can be formed. In addition, the first attachment member 21 adjacent to the edge of the protection part 10 may have a shape symmetrical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center.

한편, 제1 부착 부재(21)는 인체에 무해한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양면에 러버계 점착제가 도포된 폴리에스테르 필름, 일면에 실리콘계 점착제가 도포된 후지(liner)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다만, 제1 부착 부재(21)의 종류는 예시적인 것 일뿐, 제1 부착 부재(21)의 종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On the other hand, the first attachment member 21 may include an adhesive that is harmless to the human body, for example, at least one of a polyester film coated with a rubber-based adhesive on both sides, and a liner coated with a silicone-based adhesive on one side. I can. However, the type of the first attachment member 21 is merely exemplary, and the type of the first attachment member 21 is not limited thereto.

한편, 상술한 구성들은 본 발명의 사상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대한 제1 변형예 및 제2 변형예를 설명한다. 상술한 실시예에 대한 차이점 위주로 변형예들을 설명하고, 동일한 설명 및 도면부호는 원용한다.Meanwhile,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s may be modified within a range no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 first modified example and a second modified example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Modified examples will be described mainly on differences with respect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same description and reference numerals are used.

먼저, 도 6를 참조하여 제1 변형예를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보호부(10)의 제1 단부(11)와 제2 단부(12)를 연결하는 연결부(13)는 곡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First, a first modified exampl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Referring to FIG. 6, the connection part 13 connecting the first end 11 and the second end 12 of the protection part 10 may have a curved shape.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13)는 그 중심부가 보호부(10)의 폭방향(도 6의 x축 방향) 내측으로 요입되도록 휘어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연결부(13)가 직선으로 이루어진 경우에 비해 환자의 구강 내에 삽입된 기관내 삽입관(2)이 보호부(10)와 접촉되는 것이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6, the connection part 13 may have a curved shape such that the center portion thereof is concave in the width direction (the x-axis direction of FIG. 6) of the protection part 10.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connection part 13 is made of a straight line, the endotracheal tube 2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of the patient may be more effectively prevented from contacting the protection part 10.

또한, 연결부(13)의 곡선 형상은 두 개의 변곡점(P3, P4)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두 개의 변곡점(P3, P4)을 지나면서 연결부(13)에 접하는 두 접선(TL3, TL4)이 이루는 각도(θ2)는 115°이상 155°이하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curved shape of the connection part 13 may have two inflection points P 3 and P 4 . The angle θ 2 formed by the two tangent lines TL 3 and TL 4 in contact with the connection part 13 while passing through these two inflection points P 3 and P 4 may be 115° or more and 155° or less.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보호부(10)의 폭(w)은 보호부(10)의 길이(l) 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보호부(10)의 폭(w)은 폭방향으로 대향하는 두 연결부(13)의 만곡된 형상의 극점(13a)을 일직선상으로 잇는 가상선의 길이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보호부(10)의 길이(l)는 보호부(10)의 제1 단부(11)의 중앙점(11a)에서 보호부(10)의 제2 단부(12)의 중앙점(12a)을 일직선상으로 잇는 가상선의 길이로 정의될 수 있다. Further, referring to FIG. 6, the width w of the protection part 10 may be shorter than the length l of the protection part 10. The width w of the protection part 10 may be defined as the length of an imaginary line connecting the curved poles 13a of the two connecting parts 13 opposite in the width direction in a straight line. In addition, the length (l) of the protection part 10 is from the center point 11a of the first end 11 of the protection part 10 to the center point 12a of the second end 12 of the protection part 10 It can be defined as the length of an imaginary line connecting in a straight line.

한편, 연결부(13)가 보호부(10)의 폭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휘어진 정도는 제1 단부(11)가 보호부(10)의 길이방향(도 6의 y축 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휘어진 정도보다 작거나 동일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연결부(13)의 곡률은 제1 단부(11)의 곡률 이하일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degree to which the connection part 13 is bent inwar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protection part 10 is that the first end 11 is bent inward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protection part 10 (y-axis direction in FIG. 6). It may be less than or equal to the degree. In other words, the curvature of the connection part 13 may be less than or equal to the curvature of the first end 11.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여, 제2 변형예를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부착부(20)는 제1 부착 부재(21) 및 제2 부착 부재(22)를 포함할 수도 있다. Next, a second modified exampl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Referring to FIG. 7, the attachment part 20 may include a first attachment member 21 and a second attachment member 22.

제2 부착 부재(22)는 제1 부착 부재(21) 보다 상측(도 7의 y축 방향)에 배치되어 제1 부착 부재(21)만이 제공되는 경우보다 부착부(20)의 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2 부착 부재(22)는 인접하는 제1 부착 부재(21)와 밀착될 수 있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second attachment member 22 is disposed above the first attachment member 21 (in the y-axis direction in Fig. 7), so that the attachment force of the attachment part 20 is improved compared to the case where only the first attachment member 21 is provided. I can. The second attachment member 22 may have a shape capable of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adjacent first attachment member 21.

제2 부착 부재(22)가 복수 개로 제공되는 경우, 복수 개의 제2 부착 부재(22)는 서로 상이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서로 상이한 면적을 가질 수 있다. When a plurality of second attachment members 22 are provided, the plurality of second attachment members 22 may have different shapes and may have different areas.

또한, 제2 부착 부재(22)의 부착면에는 제1 부착 부재(21)의 부착면에 도포되는 접착제와 동일한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ame adhesive as the adhesive applied to the attachment surface of the first attachment member 21 may be applied to the attachment surface of the second attachment member 22.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환자 보호기(1)는 수술이 진행되는 동안 기관내 삽관(3)이 되어 있는 환자의 안면을 외부의 물리적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The patient protector 1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has the effect of protecting the face of the patient, which has been intubated 3 during the operation, from external physical shock.

또한, 소독된 수술 부위와 비소독된 환자의 안면 부위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소독된 수술 부위와 비소독된 환자의 안면 부위의 경계가 명확하게 유지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sterilized surgical site and the non-sterilized patient's facial area are physically separated so that the boundary between the sterilized surgical site and the non-sterilized patient's facial area can be clearly maintained.

또한, 예컨대 환자의 구강과 인접한 부위의 수술이 진행되는 동안 비소독된 환자의 안면 부위에서 발생할 수 있는 구강균 노출로부터 환자의 무균 상태인 수술 부위가 안전하게 분리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for exampl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sterile surgical site of the patient can be safely separated from the exposure of oral bacteria that may occur in the facial area of the non-sterilized patient during the operation of the area adjacent to the oral cavity of the patient.

또한, 마취의의 위치에서 수술포(3)에 덮힌 환자의 안면 부위와 기관내 삽입관(2)의 상태가 수술이 진행되는 동안에도 지속적으로 관찰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condition of the patient's facial area covered by the surgical cloth 3 and the endotracheal tube 2 at the position of the anesthesiologist can be continuously observed during the operation.

한편,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환자 보호기(1)가 환자의 안면 부위에 부착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서술하였으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환자 보호기(1)는 수술포(3)에 부착될 수도 있다. 이하, 도 8 내지 도 11을 더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2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술한 실시예와 비교하였을 때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동일한 설명 및 도면부호는 상술한 실시예를 원용한다. Meanwhile, in the above embodiments, it has been exemplarily described that the patient protector 1 is attached to the patient's face, bu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tient protector 1 may be attached to the surgical cloth 3 have. Hereinafter,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further reference to FIGS. 8 to 11. In the descrip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differences compar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mainly described, and the same description and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환자 보호기(1)는 수술포(3)에 부착되어 수술포(3)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환자 보호기(1)에 구비되는 부착부(20)는 보호부(10)의 일면의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환자 보호기(1)는 수술포(3)에 있어서 환자를 향하는 면에 부착될 수도 있고 그 반대편의 면에 부착될 수도 있다. 8 to 11, the patient protec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attached to the surgical cloth 3 to support the surgical cloth 3. In addition, the attachment part 20 provided on the patient protector 1 may be disposed on the edge of one surface of the protector 10. The patient protector 1 may be attached to a side facing the patient of the surgical cloth 3 or may be attached to a side opposite to the side of the surgical cloth 3.

예를 들어, 부착부(20)는 제1 부착 부재(21), 제3 부착 부재(23), 및 제4 부착 부재(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착 부재(21)는 보호부(10)의 제1 단부(11)에 배치될 수 있고, 제3 부착 부재(23)는 연결부(13)를 따라 배치될 수 있으며, 제4 부착 부재(24)는 보호부(10)의 제2 단부(12)에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부착부(20)가 보호부(10)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됨으로써 보호부(10)가 수술포(3)에 더욱 안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attachment part 20 may include a first attachment member 21, a third attachment member 23, and a fourth attachment member 24. The first attachment member 21 may be disposed at the first end 11 of the protection part 10, the third attachment member 23 may be disposed along the connection part 13, and the fourth attachment member ( 24) may be disposed on the second end 12 of the protection part 10. In this way, since the attachment part 20 is disposed along the edge of the protection part 10, the protection part 10 can be more stably attached to the surgical cloth 3.

환자 보호기(1)는 부착부(20)를 통해 수술포(3)에 부착 가능하게 구성되어, 환자와 수술포(3) 사이를 이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부착부(20)가 환자의 안면 부위의 근처에 위치하도록 수술포(3)에 부착될 경우, 환자 보호기(1)는 환자의 안면과 수술포(3)를 이격시킬 수 있다. The patient protector 1 is configured to be attached to the surgical cloth 3 through the attachment part 20, so that the patient and the surgical cloth 3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For example, when the attachment part 20 is attached to the surgical fabric 3 to be located near the patient's face, the patient protector 1 may separate the patient's face from the surgical fabric 3.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환자 보호기(1)가 수술포(3)에 부착된 것은 '수술용 커버(5)'로 정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수술용 커버(5)는 환자 보호기(1)와 수술포(3)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atient protec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ttached to the surgical cloth 3 may be defined as a'surgical cover 5'. In other words, the surgical cover 5 may include a patient protector 1 and a surgical cloth 3.

수술용 커버(5)의 일부는 기울어져 세워진 채로 지지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수술포(3)의 일부는 환자 보호기(1)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며, 환자 보호기(1)에 의해 지지되는 수술포(3)의 일부는 수술포(3)의 나머지 부분에 대하여 기울어진 채로 유지될 수 있다. A portion of the surgical cover 5 may be supported while being inclined and erected. In other words, a part of the surgical fabric 3 may be supported by the patient protector 1, and a part of the surgical fabric 3 supported by the patient protector 1 is relative to the rest of the surgical fabric 3 Can remain tilted.

한편, 수술포(3)에는 환자의 수술 부위가 시술자에게 노출시키기 위한 개방구(3a)가 형성될 수 있다. 환자의 대부분의 신체 부위는 수술포(3)에 의해 가려지고, 시술자는 개방구(3a)를 통해 환자의 신체에 시술하게 된다. Meanwhile, the surgical fabric 3 may be provided with an opening 3a for exposing the patient's surgical site to the operator. Most of the body part of the patient is covered by the surgical cloth 3, and the operator performs treatment on the patient's body through the opening 3a.

수술용 커버(5)의 환자 보호기(1)는 개방구(3a)에 근방에서의 수술포(3)를 지지하도록 개방구(3a) 근방에서 수술포(3)에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환자 보호기(1)가 배치되는 위치를 기준으로 소독된 수술 부위와 비소독된 환자의 다른 신체부위가 물리적으로 구분될 수 있다. 환자 보호기(1)가 개방구(3a) 근처에서 수술포(3)를 지지한다는 것은 예를 들어 환자 보호기(1)로부터 개방구(3a)까지의 거리가 환자 보호기(1)의 길이보다 작은 위치에서 수술포(3)를 지지하는 것일 수 있다. The patient protector 1 of the surgical cover 5 may be attached to the surgical cloth 3 in the vicinity of the opening 3a to support the surgical cloth 3 in the vicinity of the opening 3a. Based on the position where the patient protector 1 is disposed, a disinfected surgical site and other body parts of a non-sterilized patient may be physically distinguished. The patient protector (1) supporting the surgical fabric (3) near the opening (3a) means that the distance from the patient protector (1) to the opening (3a) is less than the length of the patient protector (1). It may be to support the surgical fabric (3).

한편, 이러한 수술용 커버(5)는 수술포(3)의 일면에 부착된 환자 보호기(1)를 커버하기 위해 가림 부재(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such a surgical cover 5 may further include a covering member 4 to cover the patient protector 1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surgical cloth 3.

가림 부재(4)는 수술포(3)에 부착된 보호부(10)를 커버하도록 수술포(3)에 부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가림 부재(4)와 보호부(10)는 수술포(3)의 동일한 면에 부착되어 보호부(10)를 커버할 수 있다. 이러한 가림 부재(4)의 일면은 적어도 그 가장자리는 수술포(3)에 부착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가림 부재(4)의 일면은 수술포(3)에 부착되는 부분의 안쪽 부분에서 환자 보호기(1)에 부착될 수 있다. 환자 보호기(1)는 수술포(3)에 부착되는 면의 반대쪽의 면이 가림 부재(4)의 일면에 부착될 수 있다. 가림 부재(4)의 일면에는 환자 보호기(1)와 수술포(3)에 부착될 수 있도록 접착제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가림 부재(4)는 수술시에 환자 보호기(1)가 오염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The covering member 4 may be attached to the surgical cloth 3 to cover the protective part 10 attached to the surgical cloth 3. In other words, the covering member 4 and the protective part 10 may be attached to the same surface of the surgical cloth 3 to cover the protective part 10. At least one side of the shielding member 4 may have an edge attached to the surgical cloth 3. In addition, one surface of the shielding member 4 may be attached to the patient protector 1 at an inner portion of the portion attached to the surgical cloth 3. The patient protector 1 may have a side opposite to the side attached to the surgical cloth 3 attached to one side of the covering member 4. An adhesive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overing member 4 to be attached to the patient protector 1 and the surgical fabric 3. This covering member 4 can minimize contamination of the patient protector 1 during surgery.

한편, 이러한 구성 이외에도 환자 보호기(1)는 휘어진 부분이 수술포(3)에 부착되도록 변형될 수도 있다. 이하,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3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술한 실시예와 비교하였을 때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동일한 설명 및 도면부호는 상술한 실시예를 원용한다. Meanwhile, in addition to this configuration, the patient protector 1 may be modified so that the curved portion is attached to the surgical cloth 3. Hereinafter,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2 to 14. In the description of the third embodiment, differences compar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mainly described, and the same description and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환자 보호기(1)의 보호부(10)는 프레임, 및 외피가 제공될 수 있다. 프레임은 플라스틱과 같은 강체, 굽혀질 수 있는 가요성 소재 또는 탄성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외피는 수술포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재질로 형성되어 프레임을 전체적으로 둘러싸서 커버할 수 있다. 12 to 14, the protection unit 10 of the patient protec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provided with a frame and a shell. The frame may be formed of a rigid body such as plastic, a flexible material that can bend, or an elastic body. In addition, the outer shell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or similar to the surgical fabric to cover the entire frame.

이러한 보호부(10)는 보호 바디(10a), 및 꺾임부(10b, 10c)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rotection part 10 may include a protection body 10a and bent parts 10b and 10c.

보호 바디(10a)는 수술포(3)와 어긋나는 방향으로 수술포(3)에 부착된 채 수술포(3)를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보호 바디(10a)로 인해 수술시 수술포(3)가 환자의 안면 등을 덮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The protective body 10a may support the surgical fabric 3 while being attached to the surgical fabric 3 in a direction that deviates from the surgical fabric 3. Due to such a protective body 10a, the surgical cloth 3 may be prevented from covering the patient's face during surgery.

꺾임부(10b, 10c)는 보호 바디(10a)에 대하여 접히거나 휘어진채로 보호 바디(10a)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도면에서는 제1 꺾임부(10b)와 보호 바디(10a) 간의 각도와 제2 꺾임부(10c)와 보호 바디(10a) 간의 각도가 90°인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bent parts 10b and 10c may be connected to the protective body 10a while being folded or bent with respect to the protective body 10a. Meanwhile, in the drawing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shown that the angle between the first bent portion 10b and the protective body 10a and the angle between the second bent portion 10c and the protective body 10a are 90°. The idea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또한, 꺾임부(10b, 10c)에는 제1 부착 부재(21)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꺾임부(10b, 10c)는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꺾임부(10b, 10c)는 제1 꺾임부(10b) 및 제2 꺾임부(10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꺾임부(10b)는 폭 방향에 있어서의 일측(예를 들어, 도 12에서의 좌측)에 구비되고, 제2 꺾임부(10c)는 폭 방향에 있어서의 타측(예를 들어, 도 12에서의 우측)에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a first attachment member 21 may be provided at the bent portions 10b and 10c. A plurality of such bent portions 10b and 10c may be provided. For example, the bent portions 10b and 10c may include a first bent portion 10b and a second bent portion 10c. The first bent portion 10b is provided on one side in the width direction (for example, on the left in FIG. 12), and the second bent portion 10c is on the oth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for example, FIG. 12 On the right side).

이처럼 꺾임부(10b, 10c)가 복수 개로 제공될 경우, 보호 바디(10a) 중에서 복수 개의 꺾임부 중 어느 하나가 연결된 부분과, 보호 바디(10a) 중에서 복수 개의 꺾임부 중 다른 하나가 연결된 부분은 서로에 대하여 휘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로 인해 복수 개의 꺾임부(10b, 10c)도 서로 다른 각도로 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When a plurality of bent portions 10b and 10c are provided in this way, a portion to which one of the plurality of bent portions is connected among the protective body 10a and the portion to which the other one of the plurality of bent portions is connected among the protective body 10a is It can be formed to bend with respect to each other. In addition, due to this, a plurality of bent portions 10b and 10c may also be disposed to exten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t different angles.

부착부(20)의 제1 부착 부재(21)는 이러한 제1 꺾임부(10b) 및 제2 꺾임부(10c)에 제공될 수 있다. 제1 부착 부재(21)는 폭방향 일측에 배치된 제1 부착 부재(21c) 및 폭방향 타측에 배치된 제1 부착 부재(21d)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꺾임부(10b)에 제공되는 제1 부착 부재(21)는 폭방향 일측에 배치된 제1 부착 부재(21c)로 명명되고, 제2 꺾임부(10c)에 제공되는 제1 부착 부재(21)는 폭방향 타측에 배치된 제1 부착 부재(21d)로 명명될 수 있다. 제1 꺾임부(10b)는 폭방향 일측에 배치된 제1 부착 부재(21c)에 의해 수술포(3)에 접착될 수 있고, 제2 꺾임부(10c)는 폭방향 타측에 배치된 제1 부착 부재(21d)에 의해 수술포(3)에 접착될 수 있다. The first attachment member 21 of the attachment portion 20 may be provided on the first bending portion 10b and the second bending portion 10c. The first attachment member 21 may include a first attachment member 21c disposed on one side in the width direction and a first attachment member 21d disposed on the oth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Here, the first attachment member 21 provided to the first bending portion 10b is named as a first attachment member 21c disposed on one side in the width direction, and a first attachment member provided on the second bending portion 10c Reference numeral 21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attachment member 21d disposed on the oth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The first bent part 10b may be adhered to the surgical fabric 3 by a first attachment member 21c disposed on one side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second bent part 10c is a first bent part 10c disposed on the oth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It can be adhered to the surgical fabric (3) by the attachment member (21d).

또한, 부착부(20)의 제4 부착 부재(24)가 보호부(20)의 제2 단부(12)에 제공될 수 있고, 이러한 제4 부착 부재(24)에도 수술포(3)가 부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ourth attachment member 24 of the attachment portion 20 may be provided on the second end 12 of the protection portion 20, and the surgical cloth 3 is attached to the fourth attachment member 24 as well. Can be.

한편, 환자 보호기(1)는 보호 바디(10a)가 도 13과 같은 방향으로 꺾여진 채 수술포(3)에 부착될 수도 있고, 보호 바디(10a)가 도 14와 같은 방향으로 꺾여진 채 수술포(3)에 부착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patient protector 1 may be attached to the surgical fabric 3 with the protective body 10a bent in the direction as shown in FIG. 13, and the protective body 10a may be operated with the protective body 10a bent in the same direction as in FIG. It can also be attached to the fabric (3).

일 예로 도 13를 참조하면, 보호 바디(10a) 중 제1 꺾임부(10b)가 연결된 부분과 보호 바디(10a) 중 제2 꺾임부(10c)가 연결된 부분은, 보호 바디(10a)가 일직선으로 편평하게 놓인 것을 기준으로 제4 부착 부재(24)가 부착된 면이 포개어지는 방향으로 서로에 대하여 40° 내지 60°로 꺾여질 수 있다. 다시 말해, 보호 바디(10a)의 좌측과 보호 바디(10a)의 우측은 제4 부착 부재(24)가 부착된 면이 포개어지는 방향으로 서로에 대하여 40° 내지 60°로 꺾여질 수 있다. 또한, 제1 꺾임부(10b)와 제2 꺾임부(10c)는 일직선으로 편평하게 놓인 것을 기준으로 서로에 대하여 벌어지도록 40° 내지 60°로 꺾여질 수 있다. As an example, referring to FIG. 13, a portion of the protective body 10a to which the first bent portion 10b is connected and a portion of the protective body 10a to which the second bent portion 10c is connected, the protective body 10a is in a straight line. The fourth attachment member 24 may be bent at 40° to 60° relative to each other in a direction in which the surfaces to which the fourth attachment member 24 is attached are superimposed on the basis of being laid flat. In other words, the left side of the protective body 10a and the right side of the protective body 10a may be bent at 40° to 60° with respect to each other in a direction in which the surface to which the fourth attachment member 24 is attached is overlapped. In addition, the first bent portion 10b and the second bent portion 10c may be bent by 40° to 60° so as to be wider with respect to each other based on a flat lay in a straight line.

다른 예로 도 14를 참조하면, 보호 바디(10a) 중 제1 꺾임부(10b)가 연결된 부분과 보호 바디(10a) 중 제2 꺾임부(10c)가 연결된 부분은, 보호 바디(10a)가 일직선으로 편평하게 놓인 것을 기준으로 제4 부착 부재(24)가 부착된 면의 반대측의 면이 포개어지는 방향으로 서로에 대하여 40° 내지 60°로 꺾여질 수 있다. 다시 말해, 보호 바디(10a)의 좌측과 보호 바디(10a)의 우측은 제4 부착 부재(24)가 부착된 면의 반대측의 면이 포개어지는 방향으로 서로에 대하여 40° 내지 60°로 꺾여질 수 있다. 또한, 제1 꺾임부(10b)와 제2 꺾임부(10c)는 일직선으로 편평하게 놓인 것을 기준으로 서로에 대하여 모아지도록 40° 내지 60°로 꺾여질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referring to FIG. 14, a portion of the protective body 10a to which the first bent portion 10b is connected and a portion of the protective body 10a to which the second bent portion 10c is connected, the protective body 10a is in a straight line. It may be bent at 40° to 60° with respect to each other in a direction in which the surface opposite to the surface to which the fourth attachment member 24 is attached is superimposed on the basis of being laid flat. In other words, the left side of the protective body 10a and the right side of the protective body 10a are bent at 40° to 60° with respect to each other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urface opposite to the surface to which the fourth attachment member 24 is attached overlap. I can. In addition, the first bent portion 10b and the second bent portion 10c may be bent by 40° to 60° so that they are gathered with respect to each other based on a flat lay in a straight line.

한편, 이상에서 서술한 것과 마찬가지로, 본 실시예에서도 환자 보호기(1)가 수술포(3)에 부착된 것이 수술용 커버(5)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수술용 커버(5)에 있어서의 환자 보호기(1)는 도 13 및 도 14에서와 같이 수술포(3)의 외측면에 부착될 수도 있으나, 도 15에서와 같이 수술포(3)의 내측면에 구비될 수도 있다. 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patient protector 1 attached to the surgical fabric 3 in this embodiment may be defined as the surgical cover 5. In addition, the patient protector 1 in the surgical cover 5 may be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urgical cloth 3 as shown in FIGS. 13 and 14, but the surgical cloth 3 as shown in FIG. 15 It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side.

도 15에서와 같이 수술포(3)의 내측면에 환자 보호기(1)가 배치될 경우 환자 보호기(1)는 꺾임부(10b, 10c) 측에서 수술포(3)에 지지되고, 꺾임부(10b, 10c)의 반대편에서 환자의 신체에 지지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보호부(20)의 제2 단부(12)에 구비된 제4 부착 부재(24)는 환자의 안면 부위와 같은 환자의 신체에 부착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보호부(20)의 제2 단부(12)는 환자의 안면 부위에 대응하여 부착될 수 있도록 그 중심부가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내측으로 요입되도록 휘어져 형성될 수도 있다. When the patient protector 1 is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urgical fabric 3 as shown in FIG. 15, the patient protector 1 is supported by the surgical fabric 3 at the bent parts 10b and 10c, and the bent part ( It may be arranged to be supported by the patient's body on the opposite side of 10b, 10c). In this case, the fourth attachment member 24 provided at the second end 12 of the protection part 20 may be attached to the patient's body such as the patient's face.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second end 12 of the protection unit 20 may be formed to be bent so that the central portion thereof is concave inwar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it can be attached to the patient's face.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도면에서는 환자 보호기(1)에 구비되는 보호부(10)가 전체적으로 사각형 형상인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본 실시예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실시예에서의 보호부(10)가 본 실시예에 적용될 수도 있다. Meanwhile, in the drawing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shown that the protection unit 10 provided in the patient protector 1 has a rectangular shape as a whole, but this embodimen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the protection unit 10 in another embodiment ) May be applied to this embodiment.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각 구성요소의 재질, 크기 등을 적용 분야에 따라 변경하거나, 실시형태들을 조합 또는 치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명확하게 개시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 적인 것으로 한정적인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 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You will understand that you can. For example, a person skilled in the art may change the material, size, etc. of each component according to the field of application, or combine or substitute embodiments to implement it in a form that is not clearly disclos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does not go beyond the scope of.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should not be understood as limiting, and it should be said that these modified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technical idea described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 환자 보호기 2: 기관내 삽입관
3: 수술포 4: 가림 부재
5: 수술용 커버 10: 보호부
10a: 보호 바디 10b, 10c: 꺾임부
11: 보호부의 제1 단부 11a, 12a: 중앙점
12: 보호부의 제2 단부 13: 연결부
13a: 극점 20: 부착부
21, 21a, 21b, 21c, 21d: 제1 부착 부재
22: 제2 부착 부재 23: 제3 부착 부재
24: 제4 부착 부재
1: patient protector 2: endotracheal cannula
3: surgical fabric 4: no occlusion
5: surgical cover 10: protective part
10a: protective body 10b, 10c: bent part
11: first end of the protection 11a, 12a: center point
12: second end of the protection part 13: connection part
13a: pole 20: attachment
21, 21a, 21b, 21c, 21d: first attachment member
22: second attachment member 23: third attachment member
24: fourth attachment member

Claims (22)

수술포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보호부; 및
상기 보호부의 일면의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고, 상기 보호부가 환자의 신체 부위 또는 수술포에 부착될 수 있게 제공되는 부착부를 포함하는,
환자 보호기.
A protection unit configured to support the surgical fabric; And
It is dispos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edge of one side of the protection unit, including an attachment portion provided so that the protection unit can be attached to the patient's body part or surgical cloth,
Patient sav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는 상기 일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휘어진 형상을 갖는,
환자 보호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protection part has a shape curved along the edge of the one side,
Patient sav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는 제1 단부, 및 상기 제1 단부와 대향하는 제2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부는 중심부가 상기 보호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요입되도록 휘어져 형성되고, 상기 제2 단부는 중심부가 상기 보호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휘어져 형성되는,
환자 보호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protection part includes a first end and a second end opposite to the first end,
The first end is formed to be bent so that the central portion is concave inwardl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rotection unit, and the second end is formed so that the central portion is bent to extend outwar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rotection unit,
Patient save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의 상기 제1 단부의 곡률은 상기 보호부의 상기 제2 단부의 곡률보다 큰,
환자 보호기.
The method of claim 3,
The curvature of the first end of the protection part is greater than the curvature of the second end of the protection part,
Patient save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가 상기 환자의 신체 부위 또는 상기 수술포에 부착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보호부의 제1 단부가 휘어지는 정도 및 상기 보호부의 제2 단부가 휘어지는 정도가 달라지는,
환자 보호기.
The method of claim 3,
The degree of bending of the first end of the protection unit and the degree of bending of the second end of the protection unit vary according to a position where the attachment portion is attached to the patient's body part or the surgical cloth,
Patient save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는 제1 단부에서 제2 단부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형상을 갖는,
환자 보호기.
The method of claim 3,
The protection part has a shape whose width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first end to the second end,
Patient sav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의 폭은 상기 보호부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는,
환자 보호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width of the protection part is formed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protection part,
Patient save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는,
상기 보호부의 제1 단부에서 상기 보호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는 제1 부착 부재를 포함하는,
환자 보호기.
The method of claim 3,
The attachment part,
Including a first attachment member disposed along the edge of the protection at the first end of the protection,
Patient saver.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착 부재는 복수 개로 제공되고, 복수의 상기 제1 부착 부재 중 상기 보호부의 가장자리에 인접하는 복수 개의 상기 제1 부착 부재는 중 서로 대칭인 형상을 갖는,
환자 보호기.
The method of claim 8,
The first attachment member is provided in plural, and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attachment members, a plurality of the first attachment members adjacent to the edge of the protection unit have a shape that is symmetrical to each other,
Patient saver.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는,
상기 제1 부착 부재 보다 상측에 배치되는 제2 부착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부착 부재는 인접하는 상기 제1 부착 부재와 밀착될 수 있는 형상을 갖는,
환자 보호기.
The method of claim 8,
The attachment part,
Further comprising a second attachment member disposed above the first attachment member,
The second attachment member has a shape capable of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adjacent first attachment member,
Patient save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는,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제2 단부를 연결하고 직선 형상을 가지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환자 보호기.
The method of claim 3,
The protection part further comprises a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first end and the second end and having a linear shape,
Patient save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는,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제2 단부를 연결하고 곡선 형상을 가지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의 상기 곡선 형상은 중심부가 상기 보호부의 폭방향 내측으로 요입되도록 휘어진 형상을 갖는,
환자 보호기.
The method of claim 3,
The protection part further comprises a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first end and the second end and having a curved shape,
The curved shape of the connection portion has a shape curved so that the center portion is concav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protection portion,
Patient saver.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부는 중심부가 상기 보호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요입되도록 휘어져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의 상기 곡선 형상의 곡률은 상기 제1 단부의 곡률보다 작거나 상기 제1 단부의 곡률과 동일한,
환자 보호기.
The method of claim 12,
The first end is formed to be bent so that the central portion is concave inward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protection unit,
The curvature of the curved shape of the connection part is less than the curvature of the first end or equal to the curvature of the first end,
Patient saver.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는,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제2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부착부는,
상기 제1 단부를 따라 배치되는 제1 부착 부재;
상기 연결부를 따라 배치되는 제3 부착 부재; 및
상기 제2 단부를 따라 배치되는 제2 부착 부재를 포함하는,
환자 보호기.
The method of claim 8,
The protection part further includes a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first end and the second end,
The attachment part,
A first attachment member disposed along the first end;
A third attachment member disposed along the connection portion; And
Comprising a second attachment member disposed along the second end,
Patient saver.
수술포; 및
상기 수술포의 일면에 부착될 수 있는 환자 보호기를 포함하고,
상기 환자 보호기는
상기 수술포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보호부; 및
상기 보호부의 일면의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고, 상기 보호부를 상기 수술포에 부착시킬 수 있도록 제공되는 부착부를 포함하는,
수술용 커버.
Surgical cloth; And
Including a patient protector that can be attached to one side of the surgical fabric,
The patient protector
A protection unit configured to support the surgical fabric; And
It is dispos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edge of one surface of the protection unit, including an attachment portion provided to attach the protection unit to the surgical cloth,
Surgical cover.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는 상기 보호부의 일면의 가장자리에서 서로 마주하는 모서리에 배치되는,
수술용 커버.
The method of claim 15,
The attachment portion is disposed at an edge facing each other at the edge of one surface of the protection portion,
Surgical cover.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술포의 상기 일면에 부착되고 상기 환자 보호기를 커버하는 가림 부재를 더 포함하는,
수술용 커버.
The method of claim 15,
It is attached to the one surface of the surgical fabric and further comprises a shielding member covering the patient protector,
Surgical cover.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가림 부재의 일면은 상기 수술포의 일면과 상기 환자 보호기의 상기 보호부의 타면에 부착되는,
수술용 커버.
The method of claim 17,
One side of the shielding member i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surgical cloth and the other side of the protection part of the patient protector,
Surgical cover.
수술포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보호부; 및
상기 보호부가 환자의 신체 부위 또는 수술포에 부착될 수 있게 제공되는 부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부는,
보호 바디; 및
상기 보호 바디에 대하여 접히거나 휘어져서 상기 보호 바디에 연결되는 꺾임부를 포함하고,
상기 부착부는 상기 꺾임부에 배치되는,
환자 보호기.
A protection unit configured to support the surgical fabric; And
Includes an attachment portion provided so that the protection portion can be attached to the patient's body part or surgical cloth,
The protection unit,
Protective body; And
It includes a bent portion folded or bent with respect to the protective body to be connected to the protective body,
The attachment portion is disposed on the bent portion,
Patient saver.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꺾임부는, 제1 꺾임부 및 상기 제1 꺾임부와 독립적으로 상기 보호 바디에 대하여 접히거나 휘어질 수 있는 제2 꺾임부를 포함하고,
상기 부착부는 상기 제1 꺾임부 및 상기 제2 꺾임부에 배치되는,
환자 보호기.
The method of claim 19,
The bent part includes a first bent part and a second bent part that can be folded or bent with respect to the protective body independently of the first bent part,
The attachment portion is disposed in the first bending portion and the second bending portion,
Patient saver.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바디는 상기 제1 꺾임부가 연결된 일측과 상기 제2 꺾임부가 연결된 타측이 서로에 대하여 휘어지도록 형성되는,
환자 보호기.
The method of claim 20,
The protective body is formed such that one side connected to the first bending portion and the other side connected to the second bending portion bend with respect to each other,
Patient saver.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는, 상기 보호 바디에 있어서 상기 꺾임부의 반대편에 배치되는,
환자 보호기.
The method of claim 19,
The attachment portion is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bent portion in the protective body,
Patient saver.
KR1020190078259A 2019-06-28 2019-06-28 Device for protecting patient and surgery cover KR10226946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8259A KR102269468B1 (en) 2019-06-28 2019-06-28 Device for protecting patient and surgery cov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8259A KR102269468B1 (en) 2019-06-28 2019-06-28 Device for protecting patient and surgery cov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736A true KR20210001736A (en) 2021-01-06
KR102269468B1 KR102269468B1 (en) 2021-06-25

Family

ID=74128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8259A KR102269468B1 (en) 2019-06-28 2019-06-28 Device for protecting patient and surgery cov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9468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65066A (en) * 1982-02-09 1984-08-14 Carpel Emmett F Surgical drape support
US5546961A (en) * 1995-10-10 1996-08-20 Harrison; Samuel W. Sterility maintenance cover and instrument support
JP2001070318A (en) 1999-09-06 2001-03-21 Motoko Iwabuchi Facial protective shield for surgical operation
US20130199543A1 (en) * 2012-01-17 2013-08-08 E. Kathryn Hinson Sterile drape support
KR20190143034A (en) * 2018-06-19 2019-12-30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Device for protecting face of patien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65066A (en) * 1982-02-09 1984-08-14 Carpel Emmett F Surgical drape support
US5546961A (en) * 1995-10-10 1996-08-20 Harrison; Samuel W. Sterility maintenance cover and instrument support
JP2001070318A (en) 1999-09-06 2001-03-21 Motoko Iwabuchi Facial protective shield for surgical operation
US20130199543A1 (en) * 2012-01-17 2013-08-08 E. Kathryn Hinson Sterile drape support
KR20190143034A (en) * 2018-06-19 2019-12-30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Device for protecting face of pati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9468B1 (en) 2021-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132224B (en) Surgical face protector, surgical frame, surgical polarization shield and surgical system
ES2921990T3 (en) Protective dressing for a medical device placed on the skin
ES2869202T3 (en) Cannula line system for the puncture of central subcutaneous access lines
ES2211548T3 (en) ADHESIVE TANK.
ES2908352T3 (en) surgical eye shield
ES2540988T3 (en) Palmar thumb splint and thumb saddle joint
US20220313955A1 (en) Devices for Monitoring Movement of a Secured Catheter During a Procedure
US20130204190A1 (en) Intravenous splint cover and associated methods
KR20170065480A (en) Disposable medical round mask
KR102147910B1 (en) Device for protecting patient
KR101782213B1 (en) Waterproofing mask for the wound protection
KR102269468B1 (en) Device for protecting patient and surgery cover
JP6793986B1 (en) Face shield
JP2018130428A (en) Ophthalmic drape and eye covering member for medical procedure
US11957839B2 (en) Intubation assembly to protect from airborne illnesses
US20190038468A1 (en) A protective eyewear device
ES2704005T3 (en) Catheter patch applicator set
KR102166439B1 (en) Apparatus for fixing arm
US20190298566A1 (en) Movement restraining device
JP7356089B2 (en) Medical infection protection equipment
KR200410457Y1 (en) Eye bandage for protecting eyes
KR20120040542A (en) Epithesis set for analgesic immobilistion of thorax surgical site
KR102591398B1 (en) Nasotracheal Intubation Fixing Device
US20230122165A1 (en) Head and Facial Protective Device
US20230309975A1 (en) Tongue depressor and oral/nasal swab mounted shield, method of use, and method of manufa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