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1552A - 유리문의 도어락 장치 - Google Patents

유리문의 도어락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1552A
KR20210001552A KR1020190077815A KR20190077815A KR20210001552A KR 20210001552 A KR20210001552 A KR 20210001552A KR 1020190077815 A KR1020190077815 A KR 1020190077815A KR 20190077815 A KR20190077815 A KR 20190077815A KR 20210001552 A KR20210001552 A KR 202100015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glass door
rotation
gear
door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7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8002B1 (ko
Inventor
강재욱
강재석
Original Assignee
강재욱
강재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재욱, 강재석 filed Critical 강재욱
Priority to KR10201900778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8002B1/ko
Publication of KR202100015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15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8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80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3/00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 E05B13/10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formed by a lock arranged in the handle
    • E05B13/103Combination lock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1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25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glass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8Details of actuator transmissions
    • E05B2047/002Geared transmiss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3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1Toothed gearing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리문에 설치되는 도어락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유리문에 마련된 기존의 손잡이 구멍에 설치할 수 있는 도어락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리문의 도어락 장치는 유리문에 마련된 손잡이 구멍을 통해 설치된 외기 본체와, 상기 유리문에 끼워져 설치된 가이드 부재와, 상기 가이드 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외기 본체와 상기 손잡이 구멍을 통해 연결되어 설치된 내기 본체와, 상기 외기 본체 및 내기 본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 부재 위를 슬라이드 이동하는 걸림 부재와, 유리문의 다른 편에 고정 설치되는 걸림 지지 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걸림 부재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상기 걸림 부재가 상기 걸림 지지 부재에 근접하거나 떨어지면서 유리문이 잠금 상태가 되거나 유리문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리문의 도어락 장치{Glass door lock apparatus}
본 발명은 유리문에 설치되는 도어락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유리문에 마련된 기존의 손잡이 구멍에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는 유리문의 도어락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존 문에 도어락 장치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문에 구멍을 내어 외측에는 버튼이나 터치패드를 부착하고 내측에는 잠금부를 부착하게 된다.
나무나 금속으로 만들어진 문의 경우에는 도어락 부착을 위해 문에 구멍을 내는 것이 비교적 쉬울 수 있으나, 유리문의 경우에는 유리문의 강도에 따라 구멍을 뚫는 것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유리문의 강도가 크면 유리문에 구멍을 뚫어 도어락을 설치할 수 있지만 유리문의 강도가 크지 않은 경우에는 파손의 위험이 있으므로 설치 브라켓을 유리문에 끼워 양면 접착제나 볼트를 통해 고정한 후 설치 브라켓 상에 도어락을 설치할 수 있다.
그러나 도어락 설치를 위해 유리문에 구멍을 뚫는 작업은 번거로운 일이며 더욱이 설치 기사가 아닌 일반 사용자가 개인적으로 설치하려고 구멍을 뚫는다는 것은 매우 어렵고 힘든 일이다.
또한, 유리문에 구멍을 뚫지 않고 설치 브라켓을 이용하여 도어락을 설치하는 경우에도 외부 충격에 의해 설치 브라켓의 고정력이 쉽게 풀려 도어락의 설치 안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7051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리문에 도어락 설치를 위한 구멍을 뚫지 않고도 도어락의 설치 안정도를 높일 수 있는 유리문의 도어락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일반적인 유리문의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유리문에 도어락을 설치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리문의 도어락 장치는 본체 하우징과, 상기 본체 하우징의 일 측면과 결합하는 커버 부재와, 상기 본체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커버 부재의 축 구멍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회전축 부재와, 상기 회전축 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커버 부재 위를 슬라이드 이동하는 슬라이드 부재와, 유리문에 끼워져 고정되는 가이드 부재와, 상기 가이드 부재 위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드 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이동에 따라 상기 가이드 부재 위를 슬라이드 이동하는 걸림 부재와, 유리문의 다른 편에 고정 설치되는 걸림 지지 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걸림 부재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상기 걸림 부재가 상기 걸림 지지 부재에 근접하거나 떨어지면서 유리문이 잠금 상태가 되거나 유리문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리문의 도어락 장치는 유리문에 마련된 손잡이 구멍을 통해 설치된 외기 본체와, 상기 유리문에 끼워져 설치된 가이드 부재와, 상기 가이드 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외기 본체와 상기 손잡이 구멍을 통해 연결되어 설치된 내기 본체와, 상기 외기 본체 및 내기 본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 부재 위를 슬라이드 이동하는 걸림 부재와, 유리문의 다른 편에 고정 설치되는 걸림 지지 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걸림 부재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상기 걸림 부재가 상기 걸림 지지 부재에 근접하거나 떨어지면서 유리문이 잠금 상태가 되거나 유리문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리문의 도어락 장치는 본체 하우징과, 상기 본체 하우징의 일 측면과 결합하는 커버 부재와, 상기 본체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커버 부재의 축 구멍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회전축 부재와, 상기 회전축 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커버 부재 위를 슬라이드 이동하는 슬라이드 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회전축 부재는 회전축을 따라 회전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샤프트 연결부와, 모터 기어와 맞물려 상기 커버 부재의 축 구멍의 외주연에 설치되며 상기 사프트 연결부와 결합된 상태 또는 분리된 상태를 가지는 축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샤프트 연결부에는 회전축 단차가 형성되고, 상기 축기어의 일측에는 상기 회전축 단차에 대응하는 축기어 단차가 형성되고, 상기 축기어의 타측에는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 부재의 축 구멍의 외주연에는 상기 돌기에 대응하는 리세스가 형성되어, 상기 축기어가 회전하면서 상기 축기어의 돌기가 상기 리세스로부터 이탈하면 상기 회전축 단차와 축기어 단차가 상호 맞물려 상기 샤프트 연결부와 축기어가 결합된 상태가 되고, 상기 축기어의 돌기가 상기 리세스에 삽입되면 상기 회전축 단차와 축기어 단차의 상호 맞물림이 해제되어 상기 샤프트 연결부와 축기어가 분리된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리문의 도어락 장치는 기존 유리문의 손잡이 설치를 위해 마련된 구멍을 통해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별도의 구멍을 뚫을 필요가 없다.
이와 같이 기존에 마련된 유리문의 구멍을 이용하므로 도어락 설치가 매우 용이하고, 구멍을 통해 설치하므로 종래 설치 브라켓을 이용하는 방식에 비해 도어락의 설치 안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리문의 도어락 장치는 도어락 본체에 기존의 유리문 손잡이를 설치할 수 있어서 손잡이가 달린 기존 유리문의 형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리문의 도어락 장치는 버튼입력체의 모터를 이용해 자동으로 도어락을 동작시키는 경우 축기어와 샤프트 연결부를 연결 상태로 하고, 내기 본체의 중앙부를 돌리거나 열쇠로 돌리는 동작과 같이 수동으로 도어락을 동작시키는 경우에는 축기어와 샤프트 연결부를 이격 상태로 함으로써, 수동 조작시의 사용 조작감을 높이고 모터에 불필요한 회전력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모터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리문의 도어락 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외기본체 및 내기본체의 연결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외기본체와 걸림부재의 연결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외기본체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외기본체와 버튼입력체의 연결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축 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축 부재와 커버 부재가 분리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축기어와 샤프트 연결부의 연결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걸림 부재를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표시하며, 공지된 구성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함에 유의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리문의 도어락 장치의 외관을 나타내고, 도 2는 외기본체(11) 및 내기본체(21)의 연결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리문의 도어락 장치는 유리문(30)의 외측에 설치되는 외기(10) 및 유리문(30)의 내측에 설치되는 내기(20)로 구성된다.
외기(10) 및 내기(20)는 유리문(30)에 마련되어 있는 기존 손잡이 설치용 구멍(미도시)을 통해 유리문(30)의 외측 및 내측에 각각 설치된다.
외기(10)는 외기본체(11), 외측 손잡이(13) 및 버튼 입력체(15)로 구성되고, 내기(20)는 내기본체(21) 및 내측 손잡이(23)로 구성된다.
외기본체(11)의 상부에는 버튼입력체(15)가 설치되고, 외기본체(11)의 하부에는 외측 손잡이(13)가 설치되어 있다. 내기본체(21)의 상부 및 하부에는 내측 손잡이(23)가 설치되어 있다.
외기본체(11) 및 내기본체(21)는 각각 외측과 내측에 한 쌍씩 설치되어 있는데, 상부에 위치한 외기본체(11) 및 내기본체(21)에는 도어락 부품이 내장되어 있으나, 하부에 위치한 외기본체 및 내기본체는 손잡이(13, 23) 설치를 위한 것이므로 하우징으로만 구성되어 있다.
외기본체(11)와 내기본체(21) 사이에는 가이드 부재(12)가 설치된다. 가이드 부재(12)는 유리문(30)에 끼워져 고정 설치된다.
가이드 부재(12)의 양측에는 걸림 부재(14)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걸림 지지 부재(40)는 유리문(30)이 양문형인 경우 다른 쪽 유리문(미도시)에 설치되거나, 1개의 문인 경우 도어 프레임(미도시)에 설치될 수 있다.
걸림 부재(14)가 가이드 부재(12) 위를 슬라이드 이동함에 따라 걸림 부재(14)가 걸림 지지 부재(40)의 외면에 접촉 또는 근접하면 유리문(30)이 잠금 상태가 되고, 반대로 걸림 부재(14)가 걸림 지지 부재(40)와 떨어지면 유리문(30)의 잠금 상태가 해제된다.
걸림 부재(14)는 3가지 방법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사용자가 밖에 있을 때 버튼입력체(15)의 버튼을 누르거나 외기본체(11)의 열쇠구멍에 열쇠를 넣고 돌려 걸림 부재(14)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안에 있을 때는 내기본체(21)의 중앙부를 돌려 걸림 부재(14)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 3은 외기본체와 걸림부재의 연결 구조를 나타내고, 도 4는 외기본체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고, 도 5는 외기본체와 버튼입력체의 연결 구조를 나타내고, 도 6은 회전축 부재를 나타내고, 도 7은 회전축 부재와 커버 부재가 분리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에서, 걸림 부재(14)가 슬라이드 이동하는 구조를 보면, 걸림 부재(14)의 훅(152)이 슬라이드 부재(140)의 훅 걸림부(143)에 걸려 슬라이드 부재(140)에 걸림 부재(14)가 연결된다.
슬라이드 부재(140)는 후술하는 회전 메커니즘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하고 슬라이드 부재(140)의 이동에 따라 걸림 부재(14)가 가이드 부재(12) 위를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외기본체(11)는 외기본체 하우징(100), 열쇠회전 부재(110), 회전축 부재(120), 커버부재(130), 슬라이드 부재(140) 등을 포함한다.
외기본체 하우징(100) 내부에 열쇠회전 부재(110) 및 회전축 부재(120)가 설치되고, 커버 부재(130)가 외기본체 하우징(100)의 일 측면과 결합하며, 회전축 부재(120)가 커버 부재(130)의 축 구멍(130-2)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커버 부재(130) 상에는 슬라이드 부재(140)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열쇠회전 부재(110)는 열쇠가 삽입되는 열쇠뭉치(111) 및 열쇠뭉치(111)의 내부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열쇠회전 연결부(112)로 구성된다.
회전축 부재(120)는 회전축을 따라 회전하는 샤프트(125), 열쇠회전 연결부(112)와 접속하여 열쇠회전 연결부(112)의 회전력을 받아 샤프트(125)를 회전시키는 샤프트 연결부(121), 샤프트(125)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면서 슬라이드 부재(140)의 걸림부(141, 142)와 접촉하여 슬라이드 부재(140)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샤프트 걸림부(124), 모터 기어(154)의 회전력을 샤프트(125)에 전달하는 축기어(123), 축기어(123)와 샤프트 연결부(121) 사이에 있는 스프링(미도시) 등으로 구성된다.
샤프트(125)는 커버 부재(130)의 축 구멍(130-2)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며 노출된 샤프트(125)는 샤프트 커버부(125)에 삽입된다. 샤프트 커버부(125)는 내기본체(21)의 회전축 부품(미도시)과 접속한다.
회전축 부재(120)의 회전 메커니즘을 살펴본다.
1) 버튼입력체(15)의 버튼을 눌러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입력된 비밀번호가 기저장된 번호와 일치하면 모터(152)가 구동한다. 모터(152)가 구동하면 모터(152)의 회전축에 연결된 모터기어(154)가 회전하고, 모터기어(154)에 맞물려 있는 축기어(123)가 회전한다. 축기어(123)가 회전하면 축기어(123)와 연결된 샤프트 연결부(121)가 회전한다.
2) 열쇠회전 부재(110)의 열쇠 구멍에 열쇠를 넣고 돌리면 열쇠회전 연결부(112)가 회전하고, 열쇠회전 연결부(112)에 접속한 샤프트 연결부(121)가 회전한다.
3) 내기본체(21)의 중앙부를 돌리면 내기본체(21)의 회전축 부품이 회전하고 회전축 부품에 접속한 회전축 커버부(126)가 회전하여 샤프트(125)가 회전함으로써 샤프트 연결부(121)가 회전한다.
이와 같이, 샤프트 연결부(12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샤프트 연결부(121)에 설치된 샤프트 걸림부(124)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슬라이드 부재(140)의 제1 걸림부(141)와 접촉하여 걸림 부재(14)가 나오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부재(140)가 슬라이드 이동한다.
반대로 샤프트 연결부(121)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샤프트 연결부(121)에 설치된 샤프트 걸림부(124)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슬라이드 부재(140)의 제2 걸림부(142)와 접촉하여 걸림 부재(14)가 들어가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부재(140)가 슬라이드 이동한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축기어와 샤프트 연결부의 연결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축기어(123)과 샤프트 연결부(121)가 맞물려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도 9는 축기어(123)와 샤프트 연결부(121)가 떨어져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샤프트 연결부(121)의 하단에는 회전축 단차(121-1)가 형성되어 있고, 축기어(123)에도 회전축 단차(121-1)에 대응하여 축기어 단차(123-1)가 형성되어, 회전축 단차(121-1)와 축기어 단차(123-1)가 상호 맞물리는 상태가 되거나 맞물림에서 이탈한 상태가 된다.
축기어(123)는 샤프트 연결부(121)와 접촉하는 면에 축기어 단차(123-1)이 형성되어 있는 한편, 커버부재(130)와 접촉하는 면에는 돌기(123-2)가 형성되어 있다. 커버부재(130)의 축구멍(130-2) 외주연에는 120도 간격으로 리세스(130-1)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리세스(130-1)에 대응하여 축기어(123)의 돌기(123-2)가 형성되어 있다.
축기어(123)는 샤프트(125)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120도마다 돌기(123-2)가 리세스(130-1)에 삽입되거나 리세스(130-1)로부터 이탈하는 상태가 된다.
축기어(123)와 샤프트 연결부(121)의 사이에는 스프링(미도시)이 설치되어 있어서, 축기어(123)의 회전에 의해 돌기(123-2)가 리세스(130-1)에서 빠져 나오면 축기어(123)가 샤프트 연결부(121) 쪽으로 이동하면서 축기어 단차(123-1)와 회전축 단차(121-1)가 상호 맞물리고 스프링은 압축 상태가 된다.
도 8과 같이, 축기어 단차(123-1)와 회전축 단차(121-1)가 상호 맞물리면 축기어(123)와 샤프트 연결부(121)는 결합하여,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즉, 샤프트 연결부(121)가 회전할 때 축기어(123)도 함께 회전하고, 반대로 축기어(123)가 회전할 때 샤프트 연결부(121)도 같이 회전하게 된다.
이에 대하여, 축기어(123)의 회전에 의해 돌기(123-2)가 리세스(130-1)로 삽입되면 축기어(123)가 샤프트 연결부(121)의 반대쪽으로 이동하면서 축기어 단차(123-1)와 회전축 단차(121-1)의 상호 맞물림이 떨어지고 스프링은 복원력에 의해 원래 상태로 복귀한다.
도 9와 같이, 축기어 단차(123-1)와 회전축 단차(121-1)의 상호 맞물림이 해제되면서 축기어 단차(123-1)와 회전축 단차(121-1)의 상면이 상호 접촉하면 축기어(123)와 샤프트 연결부(121)의 결합이 풀리게 된다. 이러한 풀림 상태에서 축기어(123) 또는 샤프트 연결부(121)의 회전력이 서로에게 전달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축기어(123)와 샤프트 연결부(121)를 연결 상태로 하거나 이격 상태로 하는 것은 축기어(123)가 모터기어(154)와 항상 맞물려 있어서 수동으로 샤프트 연결부(121)를 회전시킬 때 모터기어(154)도 함께 회전하여 사용 조작감이 좋지 못하고 모터에 불필요한 회전력이 가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버튼입력체(15)의 모터(152)를 이용해 자동으로 도어락을 동작시키는 경우 축기어(123)와 샤프트 연결부(121)를 연결 상태로 하고, 내기 본체(21)의 중앙부를 돌리거나 열쇠로 돌리는 동작과 같이 수동으로 도어락을 동작시키는 경우에는 축기어(123)와 샤프트 연결부(121)를 이격 상태로 한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걸림 부재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걸림 부재(14)는 도 1 내지 3에서 도시한 걸림 부재(14)와 동일한 것으로 'ㄱ' 모양을 가지고 있다.
걸림 부재(14)는 가이드 홈(154)을 통해 가이드 부재(12)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훅(152)을 통해 슬라이드 부재(140)와 접속된다.
또한, 두께조절 부재(156)가 탈착 가능하게 되어 있어, 유리문(30)의 두께에 따라 걸림 지지 부재(40)의 외면과 접촉하는 걸림 부재(14)의 접촉면 두께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0의 (a)에서 두께 조절 부재(156)가 걸림 부재(14)의 접촉면 속으로 들어가 접촉면 두께가 작은 것을 나타내고, 도 10의 (b)에서는 두께 조절 부재(156)가 걸림 부재(14)의 접촉면 밖으로 나와 접촉면 두께가 큰 것을 나타낸다.
도 11을 참조하면, 걸림 부재(14)는 일자 형태로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걸림 부재(14)는 가이드 홈(164)을 통해 가이드 부재(12)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훅(162)을 통해 슬라이드 부재(140)와 접속된다.
도 11에 도시된 걸림 부재(14)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걸림 지지 부재(4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달라진다.
즉, 일자형의 걸림 부재(14)는 걸림 지지 부재(40)의 외면에 접촉할 수 없으므로 걸림 지지 부재(40)에 일자형의 걸림 부재(14)가 삽입되는 삽입구가 형성되어야 한다.
또한, 두께조절 부재(166)가 탈착 가능하게 되어 있어, 유리문(30)의 두께에 따라 걸림 지지 부재(40)에 삽입되는 걸림 부재(14)의 삽입면 두께를 조절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10: 외기 11: 외기본체
12: 가이드 부재 13: 외기 손잡이
14: 걸림 부재 15: 버튼입력체
20: 내기 21: 내기본체
23: 내기 손잡이 30: 유리문
40: 걸림 지지 부재

Claims (6)

  1. 본체 하우징과,
    상기 본체 하우징의 일 측면과 결합하는 커버 부재와,
    상기 본체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커버 부재의 축 구멍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회전축 부재와,
    상기 회전축 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커버 부재 위를 슬라이드 이동하는 슬라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유리문의 도어락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 부재는 회전축을 따라 회전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걸림부와 접촉하여 상기 슬라이드 부재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샤프트 걸림부와,
    열쇠회전 부재와 접속하여 열쇠회전 부재의 회전력을 받아 상기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샤프트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문의 도어락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 부재는 회전축을 따라 회전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샤프트 연결부와,
    모터 기어와 맞물려 상기 커버 부재의 축 구멍의 외주연에 설치되며 상기 사프트 연결부와 결합된 상태 또는 분리된 상태를 가지는 축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문의 도어락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연결부에는 회전축 단차가 형성되고, 상기 축기어의 일측에는 상기 회전축 단차에 대응하는 축기어 단차가 형성되고, 상기 축기어의 타측에는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 부재의 축 구멍의 외주연에는 상기 돌기에 대응하는 리세스가 형성되어,
    상기 축기어가 회전하면서 상기 축기어의 돌기가 상기 리세스로부터 이탈하면 상기 회전축 단차와 축기어 단차가 상호 맞물려 상기 샤프트 연결부와 축기어가 결합된 상태가 되고,
    상기 축기어의 돌기가 상기 리세스에 삽입되면 상기 회전축 단차와 축기어 단차의 상호 맞물림이 해제되어 상기 샤프트 연결부와 축기어가 분리된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문의 도어락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연결부와 상기 축기어 사이에는 스프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문의 도어락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프트 연결부와 축기어가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모터 기어의 회전에 의한 자동 동작이 수행되고, 상기 사프트 연결부와 축기어가 분리된 상태에서는 사용자에 의한 수동 동작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문의 도어락 장치.
KR1020190077815A 2019-06-28 2019-06-28 유리문의 도어락 장치 KR1022480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7815A KR102248002B1 (ko) 2019-06-28 2019-06-28 유리문의 도어락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7815A KR102248002B1 (ko) 2019-06-28 2019-06-28 유리문의 도어락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552A true KR20210001552A (ko) 2021-01-06
KR102248002B1 KR102248002B1 (ko) 2021-05-03

Family

ID=74128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7815A KR102248002B1 (ko) 2019-06-28 2019-06-28 유리문의 도어락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800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2979A (ko) * 2008-03-27 2009-10-01 (주)메이즈텍 도어락 모티스
KR20110028186A (ko) * 2009-09-11 2011-03-17 정 열 한 강화유리문용 잠금장치
KR20140017905A (ko) * 2012-08-02 2014-02-12 (주)락시스 디지털 도어락장치
KR101370516B1 (ko) 2012-08-17 2014-03-06 주식회사 아이레보 유리문용 도어락 설치 브라켓 및 이의 설치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2979A (ko) * 2008-03-27 2009-10-01 (주)메이즈텍 도어락 모티스
KR20110028186A (ko) * 2009-09-11 2011-03-17 정 열 한 강화유리문용 잠금장치
KR20140017905A (ko) * 2012-08-02 2014-02-12 (주)락시스 디지털 도어락장치
KR101370516B1 (ko) 2012-08-17 2014-03-06 주식회사 아이레보 유리문용 도어락 설치 브라켓 및 이의 설치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8002B1 (ko) 2021-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70423B2 (en) Electro-mechanical lock structure
US9181730B1 (en) Driving structure of electronic lock
EP2985397B1 (en) Mortise lock
US9945155B2 (en) Cylinder lock device
KR102292903B1 (ko) 록킹수단을 갖는 푸쉬풀 도어록
KR101778913B1 (ko) 분전반용 도어 핸들
US20150368940A1 (en) Door-lock apparatus
US20090120142A1 (en) Door Lock with An Improved Structure
KR102248002B1 (ko) 유리문의 도어락 장치
KR200411519Y1 (ko) 폴딩도어의 이동안내부재 고정구조
KR102452891B1 (ko) 창호용 잠금장치
US4123097A (en) Sectional entrance handle retract mechanism
KR102248001B1 (ko) 유리문의 도어락 장치
KR101383289B1 (ko) 푸쉬-풀 구조의 도어락의 내부 강제잠금 구조체
JP5034065B2 (ja) 施錠装置、及び収納家具
JP6897995B2 (ja) スイッチ装置
KR101941589B1 (ko) 레버 타입 dls 창호용 손잡이
KR101318204B1 (ko)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
KR200355677Y1 (ko) 환기공을 구비하는 창문용 프레임
KR200352025Y1 (ko) 도어락의 좌ㆍ우수 겸용 클러치 장치
KR101401653B1 (ko) 창호용 잠금장치
KR101631088B1 (ko) 로드 연동장치
WO2022166169A1 (zh) 一种拼接锁及显示屏
KR101440528B1 (ko) 다중 래치 멀티 록 장치
JP4392394B2 (ja) 錠装置および建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