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1509A - CO2 supply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ainer-type plant factory using tri-generation - Google Patents

CO2 supply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ainer-type plant factory using tri-gener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1509A
KR20210001509A KR1020190077708A KR20190077708A KR20210001509A KR 20210001509 A KR20210001509 A KR 20210001509A KR 1020190077708 A KR1020190077708 A KR 1020190077708A KR 20190077708 A KR20190077708 A KR 20190077708A KR 20210001509 A KR20210001509 A KR 202100015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ly
container
plant factory
type plan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77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80741B1 (en
Inventor
김창업
이상민
오승묵
최은정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077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0741B1/en
Publication of KR202100015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150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0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074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8Greenhouses for treating plants with carbon dioxide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2Treatment of plants with carbon dioxid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6Air-conditioning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otan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_2 supplying apparatus of a container-type plant factory using a tri-generation technique, and a method thereof.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the CO_2 supplying apparatus of the container-type plant factor using a tri-generation technique, and the method thereof which enable effective distribution and supply of CO_2 to highly integrated plants in a small space such as a container when a tri-generation system is applied to the container-type plant factory.

Description

트라이젠 기법을 이용한 컨테이너형 식물공장의 CO2 공급장치 및 방법 {CO2 supply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ainer-type plant factory using tri-generation}CO2 supply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ainer-type plant factory using tri-generation}

본 발명은 트라이젠 기법을 이용한 컨테이너형 식물공장의 CO2 공급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난방, 냉방, CO2를 생산하는 트라이젠 시스템을 식물공장에 도입하되, 트라이젠 시스템에서 발생되는 CO2를 컨테이너형 식물공장의 구조에 최적화된 형태로서 보다 효과적으로 식물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트라이젠 기법을 이용한 컨테이너형 식물공장의 CO2 공급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lying CO 2 in a container-type plant factory using the Trizen technique, and more particularly, a Trizen system for producing heating, cooling, and CO 2 is introduced into the plant factory, but in the Trizen system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lying CO 2 in a container-type plant factory using the Trigen technique, which enables the generated CO 2 to be supplied to plants more effectively in a form optimized for the structure of a container-type plant factory.

가스엔진 히트펌프(Gas engine-driven Heat Pump, GHP)란 청정 저탄소 가스연료(NG, LPG, 합성가스)를 사용하는 내연기관의 동력으로 구동되는 압축기를 이용하여 냉방 및 난방을 생산하는 장치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내연기관에서는 매우 많은 열이 발생하며, 따라서 내연기관에는, 냉각수가 내연기관의 주변을 유통하면서 과도한 열을 흡수하여 내연기관을 냉각하도록 하는 구조가 구비되어 있다. 이 때 열을 흡수하여 고온이 된 냉각수는 다시 내연기관으로 돌아가 열을 흡수할 수 있도록 외부에 열을 버리게 되는데, 이 폐열을 이용하여 난방을 수행할 수도 있고, 또한 히트펌프를 포함하는 냉방 사이클을 이용하여 냉방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내연기관에서 발생되는 배기가스에는 이산화탄소(CO2)가 포함되는 바, 배기가스 내 유해물질 및 과도한 습기를 제거함으로써 CO2도 생산할 수 있다.Gas engine-driven heat pump (GHP) refers to a device that produces cooling and heating using a compressor driven by the power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that uses clean low-carbon gas fuel (NG, LPG, synthetic gas). . In general, a very large amount of heat is generated in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therefore,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is provided with a structure to cool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by absorbing excess heat while cooling water circulates around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At this time, the coolant that has reached a high temperature by absorbing heat returns to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discards heat to the outside so that it can absorb heat.This waste heat can be used to perform heating, or a cooling cycle including a heat pump is performed. Cooling can also be performed by using. In addition, since carbon dioxide (CO 2 ) is included in the exhaust gas generated from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it is possible to produce CO 2 by removing harmful substances and excessive moisture in the exhaust gas.

이처럼 GHP는 난방, 냉방, CO2 3가지를 한꺼번에 생산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시스템을 3중 발전 시스템(tri-generation system) 또는 트라이젠 시스템(trigen system)이라 한다. 이러한 트라이젠 시스템의 예시가 한국특허등록 제1569677호("고희박연소를 이용한 트라이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2015.11.11.)에 잘 개시된다. 한편 트라이젠 시스템이라고 할 때 반드시 GHP를 사용하여 난방, 냉방, CO2만을 생산하는 것만을 지칭하는 것은 아닌데, 일례로 트라이젠 시스템의 중심장치로서 가스엔진으로 작동되는 발전기가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발전기로부터 전기가, 가스엔진의 폐열로부터 난방이, 가스엔진의 배기가스로부터 CO2가 생산되어, 전기, 난방, CO2를 생산하는 트라이젠 시스템이 형성된다. 이 경우 발전기로부터 발생되는 전기를 이용하여 냉방을 생산할 수도 있는데, 이와 같이 할 경우 전기, 난방, 냉방, CO2를 생산하는 4중 발전 시스템으로 활용될 수도 있다.As such, GHP can produce three types of heating, cooling, and CO 2 at once, and such a system is called a tri-generation system or a trigen system. An example of such a Trigen system is well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569677 ("Trigen system and its control method using high lean combustion", 2015.11.11.). On the other hand, when referring to the Trigen system, it does not necessarily refer to only producing heating, cooling, and CO 2 using GHP. For example, a generator operated by a gas engine may be used as the central device of the Trizen system. In this case, electricity from a generator, heating from waste heat from a gas engine, and CO 2 from exhaust gas from a gas engine are produced, thereby forming a Trigen system that produces electricity, heating, and CO 2 .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produce cooling by using electricity generated from the generator. In this case, it can be utilized as a quadruple power generation system that produces electricity, heating, cooling, and CO 2 .

한편 최근 북미, 유럽 등 선진국 대도시 위주로, 신선한 작물을 사람들에게 신속하고 용이하게 공급하기 위해 건물 옥상 등에 온실을 설치하여 직접 작물을 재배하는 형태의 도시형 스마트 팜(smart farm) 도입이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도시형 스마트 팜, 시설원예 등과 같은 식물공장 설비는, 작물 재배를 위한 각종 장비에 공급하기 위한 전기가 필요하고, 작물 생육에 적합하도록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난방 및 냉방이 필요하며, 또한 작물 생육을 촉진시키기 위한 CO2 공급이 필요하다. 즉 상술한 3중 또는 4중 발전 시스템을 적용하기 적합하다. 국내의 경우 해외에 비해 전기세가 저렴한 편이기 때문에 GHP에서 전기까지 생산하지는 않아도 되는 바, 국내 식물공장의 경우에는 앞서 설명한 난방, 냉방, CO2를 생산하는 GHP 기반 트라이젠 시스템을 적용하기에 매우 적합하다.Meanwhile, the introduction of urban smart farms in the form of direct cultivation of crops by installing greenhouses on the roof of buildings in order to quickly and easily supply fresh crops to people, mainly in large cities in advanced countries such as North America and Europe, is spreading. Plant factory facilities such as urban smart farms and facility gardening require electricity to supply various equipment for crop cultivation, heating and cooling to control the temperature suitable for crop growth, and also to control crop growth. A supply of CO 2 is needed to facilitate it. That is, it is suitable to apply the above-described triple or quadruple power generation system. In Korea, electricity bills are cheaper than overseas, so it is not necessary to produce electricity from GHP. In case of domestic plant factories, it is very suitable to apply the GHP-based Trigen system that produces heating, cooling, and CO 2 as described above. Do.

일반적으로 식물공장은, 복수 개의 선반 상에 배치된 긴 화분에 식물들이 심어져 이루어지는 수납장이 복수 개 배열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수납장들이 배열되어 있는 공간은 외부와 격리되어, 식물이 생장하기에 최적의 광량, 온도, 습도, 공기 질 조건 등이 만족되도록 조명, 난방, 냉방, CO2 등이 공급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식물공장에 GHP가 도입되면 난방, 냉방, CO2를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으며, 조명 등은 외부 전기를 사용할 수 있다.In general, a plant factory consists of a plurality of cabinets arranged by planting plants in long pots arranged on a plurality of shelves. The space in which these storage cabinets are arranged is isolated from the outside, and lighting, heating, cooling, and CO 2 are supplied to satisfy the optimal light quantity, temperature, humidity, and air quality conditions for plant growth. As described above, when GHP is introduced into a plant factory, heating, cooling, and CO 2 can be supplied smoothly, and external electricity can be used for lighting.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식물공장은 식물들이 상당히 고집적화된 형태로 배열되어 있으므로, 단순히 어느 하나의 배출구에서 CO2를 공급할 경우 식물공장 공간 내 CO2 농도가 불균일해지며, 따라서 식물의 생장효율을 극대화할 수 없다. 따라서 트라이젠 시스템을 식물공장에 적용할 때, 트라이젠 시스템에서 발생되는 CO2를 식물에 효과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since plants are arranged in a highly integrated form, if CO 2 is simply supplied from one outlet, the concentration of CO 2 in the plant factory space becomes non-uniform, thus maximizing the plant growth efficiency. Can't. Therefore, when applying the Trigen system to a plant factory, there is a need for a technology that can effectively supply the CO 2 generated from the Trigen system to the plant.

더불어 식물공장 역시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지는데, 농경단지 형태나 대형 건물의 한 층으로 이루어지는 형태 등과 같이 대형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도 있지만, 상대적으로 적은 개수의 화분들을 수용하는 컨테이너 정도의 소형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도 있다. 식물공장에 CO2 공급장치를 별도로 설치한다고 할 때, 대형 식물공장과 (컨테이너형과 같은) 소형 식물공장은 설치가능 공간 자체의 크기에도 차이가 있고, 공간 크기 차이로 인하여 위치에 따라 CO2 밀도가 불균형한 정도에도 차이가 있는 등, 환경조건이 여러 가지로 상이하다.In addition, the plant factory is also made in various forms, such as in the form of an agricultural complex or a single floor of a large building, but in some cases it is made as small as a container that accommodates a relatively small number of pots. When a CO 2 supply device is separately installed in a plant factory, large plant factories and small plant factories (such as container type) have differences in the size of the space that can be installed, and the density of CO 2 depending on the location due to the difference in space size. There are many differences in environmental conditions, such as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unbalance.

1. 한국특허등록 제1569677호("고희박연소를 이용한 트라이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2015.11.11.)1.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569677 ("Trigen system using high lean combustion and its control method", 2015.11.11.)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트라이젠 시스템을 컨테이너형 식물공장에 적용하는 경우 컨테이너와 같은 소형 공간에 고집적화된 식물에 효과적으로 CO2를 분배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해 주는, 트라이젠 기법을 이용한 컨테이너형 식물공장의 CO2 공급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was conceiv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ffectively reduce CO2 to plants highly integrated in a small space such as a container when the Trigen system is applied to a container-type plant factory. It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lying CO 2 in a container-type plant factory using the Trigen technique, which enables the supply of 2 by distribution.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트라이젠 기법을 이용한 컨테이너형 식물공장의 CO2 공급장치(100)는, 일방향으로 연장되며 연장방향에 따라 복수 개의 식물이 심어진 복수 개의 화분(550)을 포함하며 외부와 격리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컨테이너(1000) 내에 상기 화분들이 수용되어 이루어지는 컨테이너형 식물공장에 설치되며, CO2를 생산하여 배출구(210)로 배출하는 트라이젠 시스템(200)으로부터 상기 식물로 CO2를 분배하여 공급하는 컨테이너형 식물공장의 CO2 공급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210)와 연통된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져 내부로 CO2가 유통되며, 상기 화분(550)에 상응하는 복수 개의 분기부가 형성되는 메인파이프(110); 일단이 상기 분기부와 연통되며 복수 개의 공급홀(125)이 형성된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져 CO2를 상기 식물 쪽으로 배출하여 공급하고, 상기 화분(550)의 연장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컨테이너(1000)의 모서리에 배치되는 공급파이프(120)를 포함하는 분배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분배부는, 상기 분기부 측에 형성되어 CO2를 상기 식물 쪽으로 송풍하여 공급하는 공급팬(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 2 supply device 100 of a container-type plant factory using the Trizen techniqu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extended in one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pots 550 in which a plurality of plants are planted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It is installed in a container-type plant factory in which the pots are accommodated in a container 1000 that forms a space that is isolated from the outside, and produced from the Trigen system 200 for producing CO 2 and discharging it to the outlet 210. In the CO 2 supply device 100 of a container-type plant factory that distributes and supplies CO 2 to plants, it is made in the form of a pipe in communication with the outlet 210 so that the CO 2 is circulated inside, and the pollen 550 A main pipe 110 in which a plurality of corresponding branches are formed; One end is in the form of a pipe in communication with the branch part and a plurality of supply holes 125 are formed to discharge and supply CO 2 toward the plant, and extend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flower pot 550 to the edge of the container 1000 A distribution unit including a supply pipe 120 disposed in the; It may include. In this case, the distribut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 supply fan 130 formed on the branch side and supplied by blowing CO 2 toward the plant.

또한 상기 분배부는, 복수 개의 상기 공급홀(125)이 모두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되되, 상기 메인파이프(110)의 직경을 D, 상기 공급파이프(120)의 직경을 d, 상기 공급파이프(120)의 개수를 N, 상기 공급홀(125)의 직경을 a, 상기 공급홀(125)의 개수를 n이라 할 때, 하기의 식을 만족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tribution unit, a plurality of the supply holes 125 are all arranged at equal intervals, the diameter of the main pipe 110 is D, the diameter of the supply pipe 120 is d, the supply pipe 120 When the number is N, the diameter of the supply holes 125 is a, and the number of supply holes 125 is n, it may be formed to satisfy the following equation.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또한 상기 컨테이너형 식물공장의 CO2 공급장치(100)는, 각각의 상기 공급파이프(120)에 형성된 복수 개의 상기 공급홀(125)이 모두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되되, 각각의 상기 공급파이프(120)에 형성된 복수 개의 상기 공급홀(125)이 형성되는 위치가 서로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O 2 supply device 100 of the container-type plant factory, the plurality of supply holes 125 formed in each of the supply pipes 120 are all arranged at equal intervals, each of the supply pipes 120 Positions in which the plurality of supply holes 125 formed in are formed may be arranged to be shifted from each other.

또한 상기 공급홀(125)은, 하나의 공급위치(P)에서, 상기 컨테이너(1000)의 폭 또는 높이가 미리 결정된 기준 미만일 경우 하나의 상기 공급위치(P) 당 하나의 상기 공급홀(125)이 상기 공급파이프(120)의 상기 컨테이너(1000)의 대각선 방향 내측으로 배치되고, 상기 컨테이너(1000)의 폭 또는 높이가 미리 결정된 기준 이상일 경우 하나의 상기 공급위치(P) 당 한 쌍의 상기 공급홀(125)이 상기 공급파이프(120)의 상기 컨테이너(1000)의 대각선 방향 내측에서 미리 결정된 각도만큼 벌어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ly hole 125 is one supply hole 125 per supply position P when the width or height of the container 1000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at one supply position P When the supply pipe 120 is disposed in the diagonal direction of the container 1000 and the width or height of the container 1000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standard, a pair of the supply per supply position P The hole 125 may be arranged to be widened by a predetermined angle inside the container 1000 of the supply pipe 120 in a diagonal direction.

또한 상기 컨테이너형 식물공장의 CO2 공급장치(100)는, 상기 메인파이프(110) 및 상기 공급파이프(120)의 연결부에 구비되어 상기 공급파이프(120)로 유통되는 CO2의 유량을 조절하는 복수 개의 공급밸브(140); 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 2 supply device 100 of the container-type plant factory is provided at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main pipe 110 and the supply pipe 120 to control the flow rate of CO 2 circulating through the supply pipe 120. A plurality of supply valves 140; It may further include.

또한 상기 컨테이너형 식물공장의 CO2 공급장치(100)는, 상기 공급파이프(120) 및 상기 식물 사이에 배치되어 CO2 농도를 측정하는 복수 개의 농도센서(150); 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 2 supply device 100 of the container-type plant factory includes a plurality of concentration sensors 150 disposed between the supply pipe 120 and the plant to measure the CO 2 concentration; It may further include.

또한 본 발명의 트라이젠 기법을 이용한 컨테이너형 식물공장의 CO2 공급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은 컨테이너형 식물공장의 CO2 공급장치(100)를 사용하는 컨테이너형 식물공장의 CO2 공급방법에 있어서, 상기 메인파이프(110)로 유통된 CO2가 복수 개의 상기 분배부로 분배되는 단계; 상기 분배부로 유통된 CO2가 상기 식물로 공급되는 단계; 복수 개의 상기 농도센서(150)에 의해 복수 개의 측정위치(S)에서 CO2 농도가 측정되는 단계; 측정된 CO2 농도가 미리 결정된 기준을 벗어나는 경우, 해당 측정위치(S)에 근접한 공급위치(P)로의 CO2 공급량이 증감되도록, 상기 공급밸브(140) 또는 상기 공급팬(130)이 작동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CO 2 supply method of a container-type plant factory using Tra Now technique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O 2 supply method of a container-type plant factory using the container CO 2 supply of the type plant factory device 100 as described above , Distributing the CO 2 circulated through the main pipe 110 to a plurality of the distribution units; Supplying the CO 2 distributed to the distribution unit to the plant;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CO 2 at a plurality of measurement locations (S) by a plurality of the concentration sensors 150; When the measured CO 2 concentration deviates from a predetermined standard, the supply valve 140 or the supply fan 130 is operated so that the amount of CO 2 supplied to the supply position P close to the measurement position S increases or decreases. step; It may include.

본 발명에 의하면, 트라이젠 시스템을 식물공장에 적용하는 경우 고집적화된 식물에 효과적으로 CO2를 분배하여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복수 개의 선반 상에 배치된 긴 화분에 식물들이 심어져 이루어지는 수납장이 복수 개 배열된 형태로 이루어지되, 컨테이너형으로 형성되어 소형의 공간을 가지는 식물공장에 대하여, 식물들이 나열되어 있는 화분의 연장방향으로 연장되며 컨테이너의 각 모서리부에 구비되는 파이프 또는 팬을 이용하여 식물을 향하여 CO2를 뿜어주되, GHP 배출구로부터의 거리 등을 고려하여 CO2 분사위치가 적절하게 최적화되어 형성되게 함으로써, 컨테이너형 식물공장 내 어느 위치에 있는 식물로든지 균일한 농도로 CO2를 공급할 수 있게 해 주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rigen system is applied to a plant factory, there is an effect that CO 2 can be effectively distributed and supplied to highly integrated plants. More specifically, a storage cabinet formed by planting plants in long pots arranged on a plurality of shelves is arranged in a form in which a plurality of cabinets are arranged, but for a plant factory formed in a container type and having a small space, plants are arranged. It is extended in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potted plant and sprays CO 2 toward the plant using a pipe or fan provided at each corner of the container, but the CO 2 injection location is appropriately optimized in consideration of the distance from the GHP outlet. By making it possible to supply CO 2 at a uniform concentration to plants at any location in the container-type plant factory, it has the effect of supplying CO 2 .

물론 이와 같은 효과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하면, 식물공장 내 식물의 생장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뒤집어 보자면 이는 난방, 냉방 및 CO2를 생산하는 트라이젠 시스템에서의 CO2 사용을 최적화할 수 있다는 의미가 되므로, 결과적으로 트라이젠 시스템 자체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도 얻게 된다.Of course, according to this eff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of maximizing the growth efficiency of plants in the plant factory. On the flip side, this means that the use of CO 2 in the Trigen system that produces heating, cooling and CO 2 can be optimized, resulting in the maximization of the efficiency of the Trigen system itself.

도 1은 컨테이너형 식물공장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CO2 공급장치의 한 실시예.
도 3은 분배부의 제1실시예.
도 4는 분배부의 제2실시예.
도 5는 컨테이너 내 화분 및 공급파이프의 배치 실시예.
도 6은 공급파이프의 하면상세도.
도 7은 공급홀의 배치 실시예.
도 8은 공급파이프의 단면상세도.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ontainer-type plant factory.
Figure 2 is an embodiment of the CO 2 suppl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irst embodiment of the distribution unit.
4 is a second embodiment of the distribution unit.
Figure 5 is an embodiment of the arrangement of pots and supply pipes in the container.
6 is a detailed view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ly pipe.
7 is an exemplary arrangement of supply holes.
8 is a detail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supply pipe.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트라이젠 기법을 이용한 컨테이너형 식물공장의 CO2 공급장치 및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lying CO 2 in a container-type plant factory using the Trigen techniqu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컨테이너형 식물공장의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식물공장에는 복수 개의 선반(510) 상에 배치된 긴 화분(550)에 식물들이 심어져 이루어지는 수납장(500)이 복수 개 배열된다. 상기 화분(55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방향으로 연장되며 연장방향에 따라 복수 개의 식물이 심어진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수납장(500)에는, 식물이 원활히 생장할 수 있도록 빛 공급을 위한 조명(520) 등이 설치된다. 수경재배의 경우에는 기본적으로 식물이 물에 심겨진 상태이므로 수질을 관리하기 위한 여러 장치들이 더 구비될 수 있고, 토양재배의 경우에는 식물에 물을 주기 위한 노즐 등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일반적인 식물공장은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들을 포함하되, 특히 컨테이너형 식물공장은, 외부와 격리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컨테이너(1000) 내에 상기 화분(550)들이 수용되어 이루어진다.1 schematically shows the shape of a container-type plant factory. As shown, in the plant factory, a plurality of storage cabinets 500 formed by planting plants in long pots 550 disposed on a plurality of shelves 510 are arranged. As shown, the flower pot 550 extends in one direction and has a shape in which a plurality of plants are planted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In addition, in the storage cabinet 500, a lighting 520 for supplying light is installed so that plants can grow smoothly. In the case of hydroponic cultivation, since the plants are basically planted in water, various devices for managing water quality may be further provided, and in the case of soil cultivation, a nozzle for watering the plants may be further installed. A typical plant factory includes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s. In particular, a container-type plant factory is made by receiving the pots 550 in a container 1000 forming a space isolated from the outside.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식물공장 공간은 식물 생장에 최적화된 온도, 습도, CO2 농도 등의 환경조건을 맞추어 주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 난방, 냉방, CO2 등이 공급될 필요가 있다. 이 때 난방, 냉방, CO2를 생산하는 GHP 기반 트라이젠 시스템은 식물공장에 도입하기에 매우 적합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lant factory space needs to meet environmental conditions such as temperature, humidity, and CO 2 concentration optimized for plant growth, and for this, heating, cooling, and CO 2 need to be supplied. At this time, the GHP-based Trigen system that produces heating, cooling, and CO 2 is very suitable for introduction into plant factories.

[1] 본 발명의 컨테이너형 식물공장의 CO[1] CO of the container-type plant factory of the present invention 22 공급장치의 기본구성 Basic configuration of supply device

도 2는 본 발명의 CO2 공급장치의 개략도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CO2를 생산하여 배출구(210)로 배출하는 트라이젠 시스템(200)으로부터 상기 식물로 CO2를 분배하여 공급하는 본 발명의 컨테이너형 식물공장의 CO2 공급장치(1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컨테이너형 식물공장의 CO2 공급장치(100)는, 메인파이프(110), 공급홀(125)이 형성된 공급파이프(120)를 포함하는 분배부를 포함하는데, 이 때 상기 분배부는 공급팬(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테이너형 식물공장의 CO2 공급장치(1000)는, 여기에 더하여 공급밸브(140), 농도센서(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2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CO 2 suppl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distributing and supplying CO 2 to the plant from the Trigen system 200 for producing CO 2 and discharging it to the outlet 210 It schematically shows the CO 2 supply device 100 of the container-type plant factory. As shown, the CO 2 supply device 100 of the container-type plant factory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tribution unit including a main pipe 110 and a supply pipe 120 having a supply hole 125 formed therein. The distribut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 supply fan 130. In addition, the CO 2 supply device 1000 of the container-type plant factory may further include a supply valve 140 and a concentration sensor 150 in addition to this.

상기 메인파이프(110)는 상기 배출구(210)와 연통된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져 내부로 CO2가 유통되며, 상기 화분(550)에 상응하는 복수 개의 분기부가 형성된다. 상기 트라이젠 시스템(200)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에는 물론 CO2 외에도 유해물질 및 과도한 습기 등이 더 포함되어 있지만, 유해물질 제거를 위한 촉매, 습기 제거를 위한 흡습제 등을 통과시켜 줌으로써, 상기 배출구(210)로 배출되는 가스는 단지 CO2 농도만 높은 청정한 공기가 될 수 있다.The main pipe 110 is formed in the form of a pipe in communication with the outlet 210 so that CO 2 is circulated therein, and a plurality of branch portions corresponding to the flower pots 550 are formed. In addition to CO 2 , the exhaust gas discharged from the Trigen system 200 further contains harmful substances and excessive moisture, but by passing a catalyst for removing harmful substances and a desiccant for removing moisture, the outlet ( 210) can be clean air with only a high concentration of CO 2 .

상기 분배부는 기본적으로 상기 공급파이프(120)를 포함하며, 공급팬(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배부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이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The distribution unit basically includes the supply pipe 120 and may further include a supply fan 130. The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distribution uni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later.

상기 공급파이프(120)는 상기 분기부에 연결될 수 있으며, 즉 상기 메인파이프(110)당 복수 개가 형성되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화분(550)마다 적어도 하나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공급파이프(120)는 일단이 상기 분기부와 연통되며 복수 개의 공급홀(125)이 형성된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공급파이프(120)는, 일단은 상기 메인파이프(110)와 연통되는 연결단(120a)을 형성하고 타단은 폐쇄되어 폐쇄단(120b)을 형성하는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메인파이프(110)에서 유통되는 CO2가 상기 연결단(120a)을 통해 상기 공급파이프(120) 내부로 흘러들어와 유통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공급파이프(120)에 형성된 상기 공급홀(125)을 통해 CO2가 상기 공급파이프(120)로부터 배출되어 상기 식물 쪽으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공급파이프(120)는 상기 화분(550)의 연장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컨테이너(1000)의 모서리에 배치되는데, 이러한 배치에 따라 상기 식물을 수용하고 있는 상기 컨테이너(1000) 내부 공간 전체에 CO2가 자연스럽고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다.The supply pipe 120 may be connected to the branch, that is, a plurality of the main pipes 110 may be formed, and at least one may be disposed for each of the flower pots 550 as shown. The supply pipe 120 has one end in communication with the branch and has a pipe shape in which a plurality of supply holes 125 are formed. More specifically, the supply pipe 120 has one end in the form of a pipe forming a connection end 120a communicating with the main pipe 110 and the other end being closed to form a closed end 120b. Accordingly, the CO 2 circulating in the main pipe 110 flows into the supply pipe 120 through the connection end 120a and can be distributed. In addition, CO 2 can be discharged from the supply pipe 120 through the supply hole 125 formed in the supply pipe 120 to be supplied to the plant. The supply pipe 120 extends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flower pot 550 and is disposed at the corner of the container 1000. According to this arrangement, the entire interior space of the container 1000 containing the plant is CO 2 Can be supplied naturally and smoothly.

상기 공급팬(130)은 상기 분기부 측에 형성되어 CO2를 상기 식물 쪽으로 송풍하여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공급팬(130)이 상기 공급파이프(120)와 함께 설치될 경우, 상기 공급팬(130)의 송풍에 의하여 상기 공급파이프(120)에서 배출된 CO2의 위치에 따른 농도를 적절하게 조절해 주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상기 공급팬(130)의 역할에 대해서는 이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The supply fan 130 is formed on the branch side and serves to supply the CO 2 by blowing it toward the plant. When the supply fan 130 is installed together with the supply pipe 120, the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CO 2 discharged from the supply pipe 120 is appropriately adjusted by blowing of the supply fan 130 It can also serve as a giving. The role of the supply fan 13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later.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컨테이너형 식물공장의 CO2 공급장치(100)에 의해 CO2가 공급되는 과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메인파이프(110)로 유통된 CO2가 복수 개의 상기 분배부로 분배된다. 다음으로 상기 공급파이프(120) 또는 상기 공급팬(130)에 의하여 CO2가 상기 식물로 공급된다.A summary of the process of supplying CO2 by the CO 2 supply device 100 of the container-type plant factory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First, the CO 2 circulated through the main pipe 110 is distributed to the plurality of distribution units. Next, CO 2 is supplied to the plant by the supply pipe 120 or the supply fan 130.

종래에는 상기 트라이젠 시스템(200)에서 배출되는 CO2를 식물공장에 공급할 때 벽면에 설치된 배출구 등과 같은 장치를 통하여 공간 전체에 공급하는 방식이 사용되었다. 그런데 이와 같이 할 경우 배출구와 가까운 쪽에는 CO2 농도가 높은 반면 배출구에서 멀어질수록 CO2 농도가 낮아지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배출구와 가까운 쪽에 배치된 식물이 CO2를 소비해버림으로써 이러한 농도 불균형 문제가 더욱 심화되는 문제가 있었다.Conventionally, when the CO 2 discharged from the Trigen system 200 is supplied to a plant factory, a method of supplying the entire space through a device such as an outlet installed on the wall has been used. However,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centration of CO 2 is high near the outlet, whereas the concentration of CO 2 decreases as the distance from the outlet increases.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oncentration imbalance problem is further aggravated by the plants disposed near the outlet consume CO 2 .

그러나 본 발명의 컨테이너형 식물공장의 CO2 공급장치(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트라이젠 시스템(200)에서 배출되는 CO2를 그대로 식물공장 공간에 배출하는 것이 아니라, CO2를 상기 메인파이프(110)를 통해 적절한 경로로 유통시키되 상기 메인파이프(110)와 연통되는 복수 개의 상기 분배부를 통해 상기 컨테이너(1000) 내부 공간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분배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처럼 상기 분배부에 의하여 CO2가 상기 컨테이터(1000) 내부 공간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분배됨에 따라, 상기 컨테이너(1000) 내 수용되어 있는 식물 위치가 상기 배출구(210)와 얼마나 멀고 가까운지와는 상관없이, 즉 식물이 어느 위치에 있든지 균일하게 CO2를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However, the CO 2 supply device 100 of the container-type plant factory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directly discharge the CO 2 discharged from the Trizen system 200 into the plant factory space as described above, but the CO 2 It is made to distribute in an appropriate path through the pipe 110, but uniformly distribute the entire inner space of the container 1000 through the plurality of distribution units in communication with the main pipe 110. In this way, as CO 2 is evenly distributed throughout the interior space of the container 1000 by the distribution unit, regardless of how far and close to the outlet 210 the plant location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1000 is In other words, wherever the plant is, it is possible to uniformly receive CO 2 .

도 2 및 도 3은 상기 분배부의 여러 실시예들을 도시하고 있다. 각각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2 and 3 show several embodiments of the distribution unit. Each of them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도 3은 분배부의 제1실시예로서, 상기 분배부가 상기 공급파이프(120)만을 포함하는 경우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공급파이프(120)에는 복수 개의 상기 공급홀(125)이 형성되어 있으며, 따라서 상기 공급파이프(120) 내에 유통되어 온 CO2가 자연스럽게 상기 공급홀(125)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공급파이프(120)는 상기 화분(550)의 연장방향으로 연장되기 때문에, 상기 화분(550)의 연장방향으로 균일하게 CO2를 배출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공급파이프(1000)는 직육면체 형태의 상기 컨테이너(1000)의 각 4개의 모서리에 배치되므로, 상기 컨테이터(1000) 내부 공간 전체에 매우 균일하게 CO2를 공급할 수 있다.3 is a first embodiment of the distribution unit, in which the distribution unit includes only the supply pipe 120. As described above, a plurality of the supply holes 125 are formed in the supply pipe 120, so that the CO 2 circulating in the supply pipe 120 is naturally discharged through the supply hole 125. I can. At this time, since the supply pipe 120 extends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flower pot 550, CO 2 can be uniformly discharged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flower pot 550. In addition, since the supply pipe 1000 is disposed at each of the four corners of the container 1000 having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it is possible to very uniformly supply CO 2 to the entire inner space of the container 1000.

도 4는 분배부의 제2실시예로서, 상기 분배부가 상기 공급파이프(120)와 더불어 상기 공급팬(130)도 포함하는 경우이다. 상기 공급팬(130)은 단지 CO2의 균일한 분배 역할만을 하는 것이 아니라 식물에 적절한 바람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식물의 원활한 생장을 위해서는 적절한 바람이 필요한데, 바람의 세기는 CO2의 균일 분포, 습기 유지, 식물의 기공 열림 등에 영향을 주는 요소이다. 식물의 기공이 적절하게 열리면 산소, 이산화탄소, 수분 등의 교환량이 많아지므로 생장에 도움이 되지만, 지나치게 열리게 되면 뿌리에서 빨아올리는 수분보다 기공으로 빠져나가는 수분이 많아지게 되어 탈수현상이 일어나게 되는 바, 바람의 세기를 적절히 조절할 필요가 있다. 더불어 식물이 직접적으로 바람을 맞게 되면 생장에 악영향을 주어 식물의 키가 작아지기 때문에 직풍은 삼가야 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상기 공급팬(130)에서 송풍되는 바람의 풍속은 1~3m/s 정도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화분(550)의 길이가 상당히 길 경우 끝까지 CO2를 송풍하기 어려울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공급팬(130)을 추가적으로 설치할 필요가 있다.4 is a second embodiment of the distribution unit, in which the distribution unit includes the supply pipe 120 as well as the supply fan 130. The supply fan 130 not only serves to uniformly distribute CO 2 , but also serves to supply adequate wind to plants. Proper wind is required for the smooth growth of plants, and the strength of the wind is a factor that affects the uniform distribution of CO 2 , moisture retention, and opening of the pores of the plant. If the pores of the plant are properly opened, the amount of exchange of oxygen, carbon dioxide, moisture, etc. increases, which is helpful for growth, but if the pores of the plant are opened excessively, more moisture escaping into the pores than the moisture sucked from the root causes dehydration. It is necessary to properly adjust the intensity of In addition, direct winds should be avoided as plants directly hit the wind, which adversely affects the growth and reduces the height of the plants. In consideration of this point, it is preferable that the wind speed of the wind blown from the supply fan 130 is about 1 to 3 m/s. At this time, if the length of the flower pot 550 is quite long, it may be difficult to blow out CO 2 to the end, and in this case, it is necessary to additionally install the supply fan 130.

또한 이처럼 상기 공급파이프(120)에 상기 공급팬(130)이 더 설치되는 경우, 상기 공급팬(130)을 이용하여 CO2를 더욱 고르게 분배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공급파이프(120)를 이용하여 상기 식물에 CO2를 공급함에 있어서, 이상적으로는 상기 연결단(120a)에서 상기 폐쇄단(120b)까지 CO2가 균일하게 공급되어야 하겠으나, 실제로는 상기 연결단(120a)에서 상기 폐쇄단(120b)까지 진행하면서 압력강하가 발생함에 따라 상기 폐쇄단(120b) 쪽에서의 CO2 유량이 일부 줄어들게 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연결단(120a)에 가까운 쪽의 상기 공급홀(125)에서 CO2가 미리 빠져나가 버림으로써 상기 폐쇄단(120b) 쪽으로 갈수록 CO2 유량이 줄어드는 경향은 더욱 강해진다. 즉 상기 공급파이프(120)를 이용하여 상기 식물에 CO2를 공급하여도, 상기 연결단(120a) 쪽이 상기 폐쇄단(120b) 쪽보다 CO2 농도가 높게 형성되는 농도 불균일 문제가 여전히 약간은 남아있을 수 있다. 이 때 상기 공급팬(130)이 상기 연결단(120a) 쪽에서 상기 폐쇄단(120b) 쪽으로 CO2 농도가 높은 공기를 송풍해 줌으로써, 이러한 농도 불균일 문제가 훨씬 완화될 수 있다. 즉 상기 공급팬(130)은, 상기 연결단(120a) 쪽에 배치되어 상기 폐쇄단(120b) 쪽으로 송풍하여 위치별 CO2 농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더불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공급팬(130)을 이용하여 식물에 바람을 공급함으로써, 습기 유지, 기공 확장 등과 같이 식물 생장 촉진 영향을 더 줄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when the supply fan 130 is further installed in the supply pipe 120 as described above, the CO 2 can be more evenly distributed by using the supply fan 130. More specifically, it is as follows. In supplying CO 2 to the plant using the supply pipe 120 as described above, ideally, CO 2 should be uniformly supplied from the connection end 120a to the closed end 120b, but in reality As the pressure drop occurs while proceeding from the connection end 120a to the closed end 120b, the CO 2 flow rate at the side of the closed end 120b may be partially reduced. In addition, as CO 2 exits from the supply hole 125 near the connection end 120a in advance, the tendency for the CO 2 flow rate to decrease toward the closed end 120b becomes stronger. That is, even if CO 2 is supplied to the plant using the supply pipe 120, the problem of concentration non-uniformity in which the concentration of CO 2 is higher in the connection end 120a than the closed end 120b is still slightly Can remain. At this time, the supply fan 130 blows air having a high CO 2 concentration from the connection end 120a to the closed end 120b, so that this concentration non-uniformity problem can be greatly alleviated. That is, the supply fan 130 is disposed on the connection end 120a and blows toward the closed end 120b to control the concentration of CO 2 for each location.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by supplying wind to the plants using the supply fan 130, it is of course possible to further affect plant growth promotion, such as maintaining moisture and expanding pores.

[2] 본 발명의 컨테이너형 식물공장의 CO[2] CO of the container-type plant factory of the present invention 22 공급장치의 추가구성 Additional configuration of the supply device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컨테이너형 식물공장의 CO2 공급장치(100)는 공급밸브(140) 및 농도센서(15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보다 정밀한 환경조건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s described above, the CO 2 supply device 100 of the container-type plant factory may further include a supply valve 140 and a concentration sensor 150, thereby performing more precise environmental condition control.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상기 공급밸브(140)는, 상기 메인파이프(110) 및 상기 공급파이프(120)의 연결부에 구비되어 상기 공급파이프(120)로 유통되는 CO2의 유량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CO2 농도가 필요한 만큼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 상기 공급밸브(140)를 더 열어줌으로써 식물에 공급되는 CO2 유량을 늘릴 수도 있고, CO2 농도가 필요 이상으로 과도하게 높아진 경우 상기 공급밸브(140)를 더 닫아줌으로써 식물에 공급되는 CO2 유량을 줄일 수도 있다.The supply valve 140 is provided at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main pipe 110 and the supply pipe 120 and serves to adjust the flow rate of CO 2 circulating through the supply pipe 120. For example, when the concentration of CO 2 is not as high as necessary, the flow rate of CO 2 supplied to the plant may be increased by opening the supply valve 140 further, and when the concentration of CO 2 is excessively increased than necessary, the supply valve ( 140) by giving a may be further reduced by closing the CO 2 flow rate to be supplied to the plant.

상기 농도센서(150)는, 상기 공급파이프(120) 및 상기 식물 사이에 배치되어 CO2 농도를 측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농도센서(150)에서 측정한 CO2 농도에 따라 앞서 설명한 상기 공급밸브(140)의 개폐정도 및 상기 공급팬(130)의 송풍정도가 제어되도록 함으로써, 식물 주변의 CO2 농도 조건을 언제나 최적화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The concentration sensor 150 is disposed between the supply pipe 120 and the plant to measure the CO 2 concentration. By controlling the degree of opening and closing of the supply valve 140 and the degree of blowing of the supply fan 130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CO 2 measured by the concentration sensor 150, the CO 2 concentration condition around the plant is always optimized. You can keep it.

상기 공급밸브(140), 상기 농도센서(150)가 더 구비되는 경우, 상기 컨테이너형 식물공장의 CO2 공급장치(100)는 다음과 같이 동작할 수 있다. 먼저 복수 개의 상기 농도센서(150)에 의해 복수 개의 측정위치(S)에서 CO2 농도가 측정된다. 다음으로, 측정된 CO2 농도가 미리 결정된 기준을 벗어나는 경우, 해당 측정위치(S)에 근접한 공급위치(P)로의 CO2 공급량이 증감되도록, 상기 공급밸브(140) 또는 상기 공급팬(130)이 작동된다. 예를 들어 어떤 하나의 화분(550) 전체에 걸쳐 형성된 측정위치(S)들에서 측정된 CO2 농도가 미리 결정된 기준보다 낮다면, 해당 화분(550)에 상응하는 상기 공급파이프(120)에 구비된 상기 공급밸브(140)를 좀더 열어주는 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어떤 하나의 화분(550)에서 상기 연결단(120a) 쪽 CO2 농도는 적절하거나 조금 과도하나 상기 폐쇄단(120b) 쪽 CO2 농도는 미달일 경우, 해당 화분(550)에 상응하는 상기 공급팬(130)에서 송풍을 시킴으로써 상기 폐쇄단(120b) 쪽으로 CO2 농도가 높은 공기를 송풍해 주는 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When the supply valve 140 and the concentration sensor 150 are further provided, the CO 2 supply device 100 of the container-type plant factory may operate as follows. First, the concentration of CO 2 is measured at a plurality of measurement locations (S) by the plurality of concentration sensors 150. Next, when the measured CO 2 concentration deviates from a predetermined standard, the supply valve 140 or the supply fan 130 so that the amount of CO 2 supplied to the supply position P close to the measurement position S increases or decreases. This works. For example, if the concentration of CO 2 measured at the measurement locations (S) formed throughout a single flowerpot 550 is low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it is provided in the supply pipe 120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flowerpot 550 It can be operated in a way to further open the supplied valve 140. In other cases, for example side said connection ends (120a) in which one of the pots 550, as previously described the CO 2 concentration is appropriate or slightly excessive one said closed end (120b) p CO 2 concentration is below one, the pollen ( By blowing air from the supply fan 130 corresponding to 550), air having a high concentration of CO 2 may be blown toward the closed end 120b.

[3] 공급파이프 및 공급홀의 상세구성[3] Detailed configuration of supply pipe and supply hole

도 5는 컨테이너 내 화분 및 공급파이프의 배치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분배부에 포함되는 상기 공급파이프(120)는 상기 컨테이너(1000) 내의 4개의 모서리마다 설치되며, 상기 화분(550)의 연장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된다. 이 때 상기 화분(550)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테이너(1000) 내에 1열만 구비될 수도 있고, 또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열이 구비될 수도 있다. 컨테이너형 식물공장은 통상적인 식물공장에 비해 훨씬 작은 크기를 가지는데, 일반적으로 컨테이너의 길이가 10m 정도 되며, 폭이나 높이는 그보다 더욱 작다. 따라서 상기 화분(550)이 지나치게 많은 열을 이루도록 할 필요는 없으며, 또한 상기 공급파이프(120)도 4모서리 이상으로 많이 설치될 필요도 없다.5 shows an example of arrangement of a flower pot and a supply pipe in a container. As described above, the supply pipe 120 included in the distribution unit is installed at every four corners of the container 1000 and extends parallel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flower pot 550. In this case, the flower pot 550 may be provided with only one row in the container 1000 as shown in FIG. 5(A), or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ows as shown in FIG. 5(B). have. The container-type plant factory has a size much smaller than that of a conventional plant factory. In general, the length of the container is about 10 m, and the width or height is smaller than that. Therefore, it is not necessary to make the flower pot 550 generate too much heat, and also, the supply pipe 120 does not need to be installed in more than four corners.

도 6은 CO2 공급파이프의 하면상세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상기 메인파이프(110)의 연장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자른 단면도로서, 즉 도 2에서의 A-A' 단면이다.6 is a detailed view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CO 2 supply pipe.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vertically with respect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main pipe 110, that is, a cross-section AA′ in FIG. 2.

상기 메인파이프(110)는 복수 개의 상기 공급파이프(120)에 CO2를 잘 분배할 수 있도록 충분히 많은 양의 CO2가 유통될 수 있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상기 메인파이프(110)는 상기 공급파이프(120)에 비하여 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ain pipe 110 is preferably made able to be a sufficiently large amount of CO 2 flow to better distribute the CO 2 to a plurality of the supply pipe 120. In consideration of this point, it is preferable that the main pipe 110 has a larger diameter than the supply pipe 120.

한편 상기 공급홀(125)의 직경이 너무 크면 상기 연결단(120a)에 가까운 쪽에서 지나치게 많은 CO2가 배출되어 버림으로써 상기 폐쇄단(120b)까지 흘러갈 CO2 유량이 모자라게 될 우려가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공급파이프(120) 직경에 비해 상기 공급홀(125)의 직경이 너무 클 경우 상기 공급파이프(120)의 강성이 약해지는 문제도 생길 수 있다. 반대로 상기 공급홀(125)의 직경이 너무 작으면 충분한 양의 CO2를 배출하여 줄 수가 없는 문제가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diameter of the supply hole 125 is too large, too much CO 2 is discharged from the side close to the connection end 120a, and thus there is a concern that the flow rate of CO 2 flowing to the closed end 120b is insufficient. In addition, when the diameter of the supply hole 125 is too large compared to the diameter of the supply pipe 120, the rigidity of the supply pipe 120 may be weakened. On the contrary, if the diameter of the supply hole 125 is too small, there is a problem that a sufficient amount of CO 2 cannot be discharged.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급파이프(120)에는 상기 공급홀(125)이 복수 개 모두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 때 상기 공급홀(125)이 얼마나 조밀하게 배치되어 있느냐에 따라 공급위치(P) 주변에서 CO2 농도가 균일한 정도가 달라지는 바, 상기 공급홀(125) 개수는 상당히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하는 설계요소이다. 더불어 하나의 상기 공급파이프(120) 당 형성되는 상기 공급홀(125)의 개수와 마찬가지로, 하나의 상기 메인파이프(110) 당 연결되는 상기 공급파이프(120)의 개수 역시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함은 물론이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6, a plurality of the supply holes 125 are all arranged at the same interval in the supply pipe 120. At this time, the degree of uniformity of the CO 2 concentration around the supply location (P) varies depending on how densely the supply holes 125 are arranged, and the number of the supply holes 125 is a design that should be considered very important. Element. In addition, like the number of supply holes 125 formed per one supply pipe 120, the number of supply pipes 120 connected per one main pipe 110 should also be considered important. to be.

이처럼 원활한 CO2 공급을 위해서는, 상기 메인파이프(110), 상기 공급파이프(120), 상기 공급홀(125)의 직경 및 개수 등이 서로 적절히 연관되어 설계되어야 한다. 도 6에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파이프(110)의 직경을 D, 상기 공급파이프(120)의 직경을 d, (상기 메인파이프(110) 1개당) 상기 공급파이프(120)의 개수를 N, 상기 공급홀(125)의 직경을 a, (상기 공급파이프(120) 1개당) 상기 공급홀(125)의 개수를 n이라 할 때, 상기 메인파이프(110), 상기 공급파이프(120), 상기 공급홀(125)의 직경 및 개수 사이에는 하기의 수학식 1, 2가 모두 만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supply CO 2 smoothly, the diameter and number of the main pipe 110, the supply pipe 120, and the supply hole 125 must be designed in accordance with each other. 6, the diameter of the main pipe 110 is D, the diameter of the supply pipe 120 is d, the number of the supply pipes 120 (per one of the main pipes 110) is N, and the When the diameter of the supply hole 125 is a and the number of supply holes 125 is n (per one supply pipe 120), the main pipe 110, the supply pipe 120, and the supply It is preferable to satisfy all of the following Equations 1 and 2 between the diameter and the number of holes 125.

Figure pat00003
… (식 1)
Figure pat00003
… (Equation 1)

Figure pat00004
… (식 2)
Figure pat00004
… (Equation 2)

식 1은 상기 메인파이프(110) 및 상기 공급파이프(120) 간의 관계에 관한 것으로, 상기 메인파이프(110)의 단면적(πD2/4)이 복수 개(N)의 상기 공급파이프(120)의 단면적(πd2/4)들의 합(N*πD2/4)보다 커야 한다는 것이다. 식 1이 만족되지 못할 경우, 상기 메인파이프(110)로 유통되는 CO2가 복수 개의 상기 공급파이프(120)들로 충분히 균일하게 분배되지 못한다.Equation 1 relates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in pipe 110 and the supply pipe 120, wherein the cross-sectional area (πD 2 /4) of the main pipe 110 is a plurality of (N) of the supply pipe 120 It must be greater than the sum of the cross-sectional areas (πd 2 /4) (N*πD 2 /4). If Equation 1 is not satisfied, the CO 2 circulating through the main pipe 110 is not sufficiently uniformly distributed to the plurality of supply pipes 120.

식 2는 상기 공급파이프(120) 및 상기 공급홀(125) 간의 관계에 관한 것으로, 식 1과 유사하게, 상기 공급파이프(120)의 단면적(πd2/4)이 복수 개(n)의 상기 공급홀(125)의 면적(πa2/4)들의 합(n*πD2/4)보다 커야 한다는 것이다. 식 2가 만족되지 못할 경우, 식 1에서와 마찬가지로, 상기 공급파이프(120)로 유통되는 CO2가 복수 개의 상기 공급홀(125)들로 충분히 균일하게 분배되지 못한다.Equation 2 relates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pply pipe 120 and the supply hole 125. Similar to Equation 1, the cross-sectional area (πd 2 /4) of the supply pipe 120 is a plurality of (n) That is, it should be larger than the sum (n*πD 2 /4) of the areas (πa 2 /4) of the supply hole 125. When Equation 2 is not satisfied, as in Equation 1, CO 2 circulating through the supply pipe 120 is not sufficiently uniformly distributed to the plurality of supply holes 125.

여기에서 N, n 값의 경우 식물공장의 크기, 식물공장에 배치되는 화분의 개수 등에 따라 자연스럽게 미리 결정될 수 있는 값이다. 이 때 식 1, 2를 만족시킬 수 있는 D, d, a 값은 매우 다양할 수 있다. 그러나 실제 설치 등과 같은 현실적인 문제를 고려할 때, D나 d의 선정은 위의 식을 만족하는 최소값으로 하는 것이 무한정 크기가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Here, the values of N and n are values that can be naturally predetermin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plant plant and the number of potted plants arranged in the plant plant. At this time, the values of D, d, and a that can satisfy Equations 1 and 2 can be very diverse. However, when considering practical problems such as actual installation, the selection of D or d as the minimum value that satisfies the above equation can prevent the size from increasing indefinitely.

도 7은 공급홀의 배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상기 공급홀(125)은 상기 연결단(120a)에서 상기 폐쇄단(120b)까지의 범위 내에서 모두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된다. 이와 같이 할 경우, 상기 공급파이프(120) 제작 시 단지 동일한 간격으로 상기 공급홀(125)를 형성해 주기만 하면 되므로, 미리 아주 길게 상기 공급파이프(120)를 제작한 다음 원하는 대로 적절한 길이로 잘라서 사용하면 되는 바, 제작용이성이 매우 높다는 장점이 있다.7 shows an exemplary arrangement of supply holes. As described above, the plurality of supply holes 125 are all arranged at equal intervals within the range from the connection end 120a to the closed end 120b. In this case, when the supply pipe 120 is manufactured, it is only necessary to form the supply holes 125 at equal intervals, so if the supply pipe 120 is manufactured in advance for a very long time, it is cut to an appropriate length as desired and used. Bar, there is an advantage of very high manufacturing ease.

이 때, 각각의 상기 공급파이프(120)에 형성된 복수 개의 상기 공급홀(125)이 서로 다른 간격으로 배치되게 할 수도 있지만, 제작이나 제어 상의 용이성을 고려할 때 각각의 상기 공급파이프(120)에 형성된 복수 개의 상기 공급홀(125)이 모두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각각의 상기 공급파이프(120)에 형성된 복수 개의 상기 공급홀(125)은,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형성되는 위치가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급홀(125)의 배치가 도 10(B)와 같이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컨테이너(1000) 내 CO2 분포가 보다 균일해질 수 있다.At this time, a plurality of the supply holes 125 formed in each of the supply pipes 120 may be arranged at different intervals, but when considering the ease of manufacture or control, the supply holes 125 formed in each of the supply pipes 120 It is preferable that the plurality of supply holes 125 are all arranged at the same interval. Meanwhile, it is preferable that the plurality of supply holes 125 formed in each of the supply pipes 120 are disposed so that their positions are shifted from each other, as shown in FIG. 10B. Since the supply hole 125 is disposed as shown in FIG. 10B, the distribution of CO 2 in the container 1000 may be more uniform.

도 8은 CO2 공급파이프의 단면상세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공급홀(125)은, 하나의 공급위치(P)에서, 도 8(A)와 같이 상기 컨테이너(1000)의 폭 또는 높이가 미리 결정된 기준 미만일 경우 하나의 상기 공급위치(P) 당 하나의 상기 공급홀(125)이 상기 공급파이프(120)의 상기 컨테이너(1000)의 대각선 방향 내측으로 배치되게 할 수 있다. 또는 도 8(B)와 같이 상기 컨테이너(1000)의 폭 또는 높이가 미리 결정된 기준 이상일 경우 하나의 상기 공급위치(P) 당 한 쌍의 상기 공급홀(125)이 상기 공급파이프(120)의 상기 컨테이너(1000)의 대각선 방향 내측에서 미리 결정된 각도만큼 벌어지도록 배치되게 할 수 있다.8 shows a detailed cross-sectional view of a CO 2 supply pipe. When the width or height of the container 1000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standard at one supply position P, as shown in FIG. 8(A), one supply hole 125 is provided per supply position P. The supply hole 125 may be arranged diagonally inside the container 1000 of the supply pipe 120. 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8(B), when the width or height of the container 1000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reference, a pair of the supply holes 125 per supply position P The container 1000 may be arranged to open at a predetermined angle inside the diagonal direction.

상기 컨테이너(1000)의 폭 또는 높이가 좁으면 상기 공급홀(125) 하나만으로도 충분히 상기 컨테이너(1000) 내부 공간 전체에 적절히 CO2를 공급할 수 있겠으나, 상기 컨테이너(1000)의 폭 또는 높이가 넓어지면 상기 컨테이너(1000)의 최상측 또는 최하측에 배치된 식물은 충분한 양의 CO2를 공급받지 못할 수 있다. 그러나 도 8(B)와 같이 상기 공급홀(125)을 2개 형성하여 적당한 간격으로 벌어지게 형성해 줌으로써 CO2 배출방향을 넓혀주면, 상기 컨테이너(1000)의 최상측 또는 최하측에 배치된 식물로도 충분한 양의 CO2를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다. 이 때 한 쌍의 상기 공급홀(125) 간의 각도가 60도 내지 120도 범위 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f the width or height of the container 1000 is narrow, the supply hole 125 alone can adequately supply CO 2 to the entire inner space of the container 1000, but the width or height of the container 1000 is wide. Plants disposed on the top or bottom of the container 1000 may not receive a sufficient amount of CO 2 . However, if the CO 2 discharge direction is widened by forming two supply holes 125 at appropriate intervals by forming two supply holes 125 as shown in FIG. 8(B), plants disposed on the top or bottom of the container 1000 Also, a sufficient amount of CO 2 can be supplied smoothly.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angle between the pair of supply holes 125 is formed within the range of 60 degrees to 120 degrees.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scope of application thereof is diverse, as well as anyone with ordinary knowledge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100 : 컨테이너형 식물공장의 CO2 공급장치
1000: 컨테이너
110 : 메인파이프 120 : 공급파이프
125 : 공급홀 130 : 공급팬
140 : 공급밸브 150 : 농도센서
200 : 트라이젠 시스템 210 : 배출구
500 : 수납장 510 : 선반
520 : 조명 550 : 화분
100: CO 2 supply device of container-type plant factory
1000: container
110: main pipe 120: supply pipe
125: supply hole 130: supply fan
140: supply valve 150: concentration sensor
200: Trigen system 210: outlet
500: cabinet 510: shelf
520: lighting 550: flower pot

Claims (8)

일방향으로 연장되며 연장방향에 따라 복수 개의 식물이 심어진 복수 개의 화분을 포함하며 외부와 격리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컨테이너 내에 상기 화분들이 수용되어 이루어지는 컨테이너형 식물공장에 설치되며, CO2를 생산하여 배출구로 배출하는 트라이젠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식물로 CO2를 분배하여 공급하는 컨테이너형 식물공장의 CO2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와 연통된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져 내부로 CO2가 유통되며, 상기 화분에 상응하는 복수 개의 분기부가 형성되는 메인파이프;
일단이 상기 분기부와 연통되며 복수 개의 공급홀이 형성된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져 CO2를 상기 식물 쪽으로 배출하여 공급하고, 상기 화분의 연장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컨테이너의 모서리에 배치되는 공급파이프를 포함하는 분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형 식물공장의 CO2 공급장치.
And extending in the one direction comprises a plurality of pots with a plurality of plants planted in accordance with the extension direction and is disposed in a container type plant factory made is accommodated to the pots in a container to form a space that is isolated from the outside, the outlet to produce CO 2 In the CO 2 supply device of a container-type plant factory that distributes and supplies CO 2 to the plants from the discharged Trigen system,
A main pipe in the form of a pipe in communication with the outlet, through which CO 2 is circulated, and a plurality of branch portions corresponding to the flower pots are formed;
One end is in the form of a pipe in communication with the branch part and a plurality of supply holes are formed to discharge and supply CO 2 toward the plant, and a supply pipe extending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potted plant and disposed at the corner of the container Distribution;
CO 2 supply device of a container-type plant factory comprising a.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부는,
상기 분기부 측에 형성되어 CO2를 상기 식물 쪽으로 송풍하여 공급하는 공급팬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형 식물공장의 CO2 공급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istribution unit,
CO 2 supply device of a container-type plant factory,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upply fan formed on the side of the branch to supply the CO 2 by blowing toward the plan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부는,
복수 개의 상기 공급홀이 모두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되되,
상기 메인파이프의 직경을 D, 상기 공급파이프의 직경을 d, 상기 공급파이프의 개수를 N, 상기 공급홀의 직경을 a, 상기 공급홀의 개수를 n이라 할 때,
하기의 식을 만족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형 식물공장의 CO2 공급장치.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6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istribution unit,
All of the plurality of supply holes are arranged at the same interval,
When the diameter of the main pipe is D, the diameter of the supply pipe is d, the number of supply pipes is N, the diameter of the supply hole is a, and the number of supply holes is n,
CO 2 supply device of a container-type plant factory,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o satisfy the following equation.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형 식물공장의 CO2 공급장치는,
각각의 상기 공급파이프에 형성된 복수 개의 상기 공급홀이 모두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되되,
각각의 상기 공급파이프에 형성된 복수 개의 상기 공급홀이 형성되는 위치가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형 식물공장의 CO2 공급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 2 supply device of the container-type plant factory,
The plurality of supply holes formed in each of the supply pipes are all arranged at the same interval,
CO 2 supply device of a container-type plant factory, characterized in that the positions at which the plurality of supply holes formed in each of the supply pipes are formed are arranged to be shifted from each oth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홀은,
하나의 공급위치에서,
상기 컨테이너의 폭 또는 높이가 미리 결정된 기준 미만일 경우 하나의 상기 공급위치 당 하나의 상기 공급홀이 상기 공급파이프의 상기 컨테이너의 대각선 방향 내측으로 배치되고,
상기 컨테이너의 폭 또는 높이가 미리 결정된 기준 이상일 경우 하나의 상기 공급위치 당 한 쌍의 상기 공급홀이 상기 공급파이프의 상기 컨테이너의 대각선 방향 내측에서 미리 결정된 각도만큼 벌어지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형 식물공장의 CO2 공급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upply hole,
At one supply location,
When the width or height of the container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standard, one supply hole per one supply position is disposed diagonally inside the container of the supply pipe,
Container type,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width or height of the container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standard, a pair of the supply holes per supply position are arranged to open by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diagonal direction of the container of the supply pipe Plant factory CO 2 supply system.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형 식물공장의 CO2 공급장치는,
상기 메인파이프 및 상기 공급파이프의 연결부에 구비되어 상기 공급파이프로 유통되는 CO2의 유량을 조절하는 복수 개의 공급밸브;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형 식물공장의 CO2 공급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 2 supply device of the container-type plant factory,
A plurality of supply valves provided at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main pipe and the supply pipe to control a flow rate of CO 2 circulating through the supply pipe;
CO 2 supply device of a container-type plant factory,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형 식물공장의 CO2 공급장치는,
상기 공급파이프 및 상기 식물 사이에 배치되어 CO2 농도를 측정하는 복수 개의 농도센서;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형 식물공장의 CO2 공급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 2 supply device of the container-type plant factory,
A plurality of concentration sensors disposed between the supply pipe and the plant to measure the concentration of CO 2 ;
CO 2 supply device of a container-type plant factory,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 1항에 따른 컨테이너형 식물공장의 CO2 공급장치를 사용하는 컨테이너형 식물공장의 CO2 공급방법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형 식물공장의 CO2 공급장치는,
상기 메인파이프 및 상기 공급파이프의 연결부에 구비되어 상기 공급파이프로 유통되는 CO2의 유량을 조절하는 복수 개의 공급밸브;
상기 공급파이프 및 상기 식물 사이에 배치되어 CO2 농도를 측정하는 복수 개의 농도센서;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컨테이너형 식물공장의 CO2 공급방법은,
상기 메인파이프로 유통된 CO2가 복수 개의 상기 분배부로 분배되는 단계;
상기 분배부로 유통된 CO2가 상기 식물로 공급되는 단계;
복수 개의 상기 농도센서에 의해 복수 개의 측정위치에서 CO2 농도가 측정되는 단계;
측정된 CO2 농도가 미리 결정된 기준을 벗어나는 경우, 해당 측정위치에 근접한 공급위치로의 CO2 공급량이 증감되도록, 상기 공급밸브 또는 상기 공급팬이 작동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형 식물공장의 CO2 공급방법.
In the CO 2 supply method of a container-type plant factory using the CO 2 supply device of the container-type plant factory according to claim 1,
The CO 2 supply device of the container-type plant factory,
A plurality of supply valves provided at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main pipe and the supply pipe to control a flow rate of CO 2 circulating through the supply pipe;
A plurality of concentration sensors disposed between the supply pipe and the plant to measure the concentration of CO 2 ;
It further includes,
The CO 2 supply method of the container-type plant factory,
Distributing the CO 2 distributed to the main pipe to a plurality of the distribution units;
Supplying the CO 2 distributed to the distribution unit to the plant;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CO 2 at a plurality of measurement locations by a plurality of the concentration sensors;
Operating the supply valve or the supply fan so that when the measured CO 2 concentration deviates from a predetermined standard, the supply amount of CO 2 to a supply position close to the measurement position is increased or decreased;
CO 2 supply method of a container-type plant factory comprising a.
KR1020190077708A 2019-06-28 2019-06-28 CO2 supply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ainer-type plant factory using tri-generation KR10228074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7708A KR102280741B1 (en) 2019-06-28 2019-06-28 CO2 supply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ainer-type plant factory using tri-gener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7708A KR102280741B1 (en) 2019-06-28 2019-06-28 CO2 supply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ainer-type plant factory using tri-gener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509A true KR20210001509A (en) 2021-01-06
KR102280741B1 KR102280741B1 (en) 2021-07-22

Family

ID=74128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7708A KR102280741B1 (en) 2019-06-28 2019-06-28 CO2 supply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ainer-type plant factory using tri-gener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0741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13414A (en) * 2008-03-11 2009-09-24 Osaka Gas Co Ltd Carbon dioxide supplying system
KR20110009235U (en) * 2010-03-23 2011-09-29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Device for plant cultivator using container
KR101569677B1 (en) 2015-02-04 2015-11-17 한국기계연구원 Tri-generation system using high lean burn opera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7070230A (en) * 2015-10-06 2017-04-13 Ckd株式会社 Individual environmental system
KR20180029329A (en) * 2016-09-12 2018-03-21 (주)대륙기술 농업회사법인 Mushroom cultivating system having function of maintaining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and exhausting CO2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13414A (en) * 2008-03-11 2009-09-24 Osaka Gas Co Ltd Carbon dioxide supplying system
KR20110009235U (en) * 2010-03-23 2011-09-29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Device for plant cultivator using container
KR101569677B1 (en) 2015-02-04 2015-11-17 한국기계연구원 Tri-generation system using high lean burn opera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7070230A (en) * 2015-10-06 2017-04-13 Ckd株式会社 Individual environmental system
KR20180029329A (en) * 2016-09-12 2018-03-21 (주)대륙기술 농업회사법인 Mushroom cultivating system having function of maintaining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and exhausting CO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0741B1 (en) 2021-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78237B2 (en) Transplant production system
JP6755177B2 (en) Plant cultivation methods and facilities
ES2935305T3 (en) Method and system for the air conditioning of closed environments, in particular for vertical farms
KR101321441B1 (en) Method and device for hydroponically cultivating forage barley
EA034406B1 (en) Environment controlled multibay structured greenhouse
WO2018020935A1 (en) Hydroponic apparatus and hydroponic method
JP2008267684A (en) Function-improving installation structure of air conditioner outdoor unit
JP4610695B2 (en) Multi-stage shelf-type seedling device and watering method thereof
US11540452B2 (en) Air movement control and air source device for cultivation
KR102280741B1 (en) CO2 supply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ainer-type plant factory using tri-generation
JP2002291349A (en) Apparatus for raising seedling and method for raising seedling
CN110140557B (en) Utilize breeding room of underground earth temperature regulation
KR100772473B1 (en) System for culturing seeding
KR102272887B1 (en) CO2 supply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lant factory using tri-generation
JP2013021938A (en) Mist sprinkling apparatus in plant factory
FI20195666A1 (en) Aeroponic farming system and method for aeroponic farming
US20220272917A1 (en) An aeroponic farming system and a method
JP2007061014A (en) Greenhouse device with dehumidification function
CN210352387U (en) Plant factory circulating air device and plant factory
WO2021184050A2 (en) An aeroponic plant growing system and method
TW546113B (en) Sprout cultivation device
KR102492425B1 (en) System for plant cultivation
CN217364004U (en) Seedling raising box for rape breeding
JPS6374429A (en) Hydroponic facilities for leaf vegetables
KR102515375B1 (en) Eco-friendly facility house using underground sp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