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1419A - 면접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면접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1419A
KR20210001419A KR1020190077485A KR20190077485A KR20210001419A KR 20210001419 A KR20210001419 A KR 20210001419A KR 1020190077485 A KR1020190077485 A KR 1020190077485A KR 20190077485 A KR20190077485 A KR 20190077485A KR 20210001419 A KR20210001419 A KR 202100014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view
image
feature points
preparer
simul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7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재진
류동엽
이광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앤비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앤비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앤비즈
Priority to KR1020190077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1419A/ko
Publication of KR202100014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14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 G06Q10/1053Employment or hi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8Staff planning in a project environ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20Analysis of mo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02Feature extraction for speech recognition; Selection of recognition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ultimedia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촬영 영상을 기반으로 하는 면접 컨설팅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의 단말에 의해 촬영된 면접 준비자의 모의 면접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모의 면접 영상으로부터 상기 면접 준비자의 특징점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특징점을 기반으로 언어적 평가요소와 비언어적 평가요소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된 언어적 평가요소 및 비언어적 평가요소를 기반으로 모의 면접 컨설팅 보고서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면접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 시스템 및 방법{USER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RVIEW CONSULTING SERVICE}
본 발명은 촬영 영상을 기반으로 하는 면접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2019년 2월을 기준으로 15세 내지 29세 청년들의 체감 실업률이 24.4%에 이르렀을 만큼 취업난은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와 더불어 강원랜드와 같은 공기업이나 금융기관 등에서 발생한 채용과정에서의 점수 조작, 끼워넣기 등의 채용비리 사건 등으로 인해 공공 부문은 물론 민간기업들도 앞다투어 블라인드 채용을 도입하면서 취업자들에게 면접의 중요도는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
2018년 2월에 실시된 인사담당자 682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직무역량을 판단하는 기준으로 실무면접이 46.9%, 관련 직무 종사기간 및 경험이 46.9%, 프로젝트 수행경험이 41.2% 순으로 조사된 바 있으며, 경총이 전국 377개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기업이 생각하는 채용과정별 중요도" 조사에서 면접전형(65%), 서류전형(32%) 및 필기전형(3%) 순으로 나타났다.
이렇게 심화되는 취업난에 따라 면접이 더욱 중요하게 되었으며, 그 결과 시간당 15~20만원을 호가하는 고가의 오프라인 면접 컨설팅 시장이 호황기를 누리고 있다.
통상 면접은 구직자와 구인자가 직접 대면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구인자는 면접을 통해 구직자의 전문지식이나 경험, 태도나 자세를 평가하여 해당 기업에서 필요로 하는 적합안 인재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구직자는 해당 기업의 근무환경과 조직문화 등을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면접은 채용의 일 과정으로 구인자 및 구직자 모두에게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필기, 논술 시험 준비, 또는 자격증 취득 준비 등과는 달리, 면접을 대비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매우 어려우며, 면접의 일 대안으로 복수의 구직자들이 그룹을 이루어 서로의 예상 면접 상황을 상호 평가해 주는 방법 등이 사용된다. 이처럼, 구직자가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조언을 받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따라, 구직자는 면접시 평소 언어습관, 즉 '어~', '음~', '자~'와 같은 비문이나 비속어의 사용, 그리고 표정 몸짓 및 태도 등 비언어적 평가요소에 대해 자신의 습관이나 버릇 등을 정확히 파악하기 어렵고, 질문에 대한 자신의 답변 내용이 적절한 것인지에 대해서도 객관적으로 평가받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구직자의 모의 면접 영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언어적 평가요소와 비언어적 평가요소를 분석하고, 분석된 결과를 모의 면접 컨설팅 보고서 형태로 제공함으로써, 구직자 스스로 면접 연습과 이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받을 수 있는 면접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촬영 영상을 기반으로 하는 면접 컨설팅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의 단말에 의해 촬영된 면접 준비자의 모의 면접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모의 면접 영상으로부터 상기 면접 준비자의 특징점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특징점을 기반으로 언어적 평가요소와 비언어적 평가요소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된 언어적 평가요소 및 비언어적 평가요소를 기반으로 모의 면접 컨설팅 보고서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로, 상기 모의 면접 영상으로부터 상기 면접 준비자의 특징점을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모의 면접 영상으로부터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기반으로 각각 영상 분석 및 음성 분석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 분석 및 음성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면접 준비자의 특징점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영상 분석 및 음성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면접 준비자의 특징점을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음성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핵심 키워드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핵심 키워드에 기초하여 상기 면접 준비자에 대한 표준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표준 데이터는 학군, 경력, 직군, 직무 및 지원동기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특징점을 기반으로 언어적 평가요소와 비언어적 평가요소를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음성 데이터에 대하여 음성인식 기술을 적용하여 상기 언어적 평가요소로 속도, 성량, 키워드, 의미역, 컨셉, 관계, 정서 및 감정 정보 중 하나 이상을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하여 얼굴인식, 시선추적 및 동작감지 기술 중 하나 이상을 적용하여 상기 비언어적 평가요소로 면접 준비자의 감정 정보 및 태도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면접 컨설팅 서비스 제공 방법은 일 실시예로, 상기 추출된 특징점에 기초하여 상기 면접 준비자와 매칭되는 합격자의 면접 영상을 서칭하는 단계; 상기 서칭된 합격자의 면접 영상으로부터 미리 추출된 특징점을 상기 모의 면접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특징점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면접 준비자의 합격 가능성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추출된 특징점에 기초하여 상기 면접 준비자와 매칭되는 합격자의 면접 영상을 서칭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된 면접 준비자의 특징점을 기반으로 생성된 표준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면접 준비자와 매칭되는 합격자의 면접 영상을 서칭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서칭된 합격자의 면접 영상으로부터 미리 추출된 특징점을 상기 모의 면접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특징점과 비교하는 단계는, 상기 합격자의 면접 영상에 대한 특징점을 기준으로 상기 모의 면접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특징점을 정량적인 매칭도로 산출하여 비교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비교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면접 준비자의 합격 가능성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음성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하는 언어적 평가요소와, 상기 음성 분석 결과 및 영상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하는 비언어적 평가요소를 각각 산출하여 상기 합격 가능성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촬영 영상을 기반으로 하는 면접 컨설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모듈,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모의 면접 영상을 기반으로 면접 컨설팅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이때, 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시킴에 따라, 상기 모의 면접 영상으로부터 특징점을 추출하고, 추출된 특징점에 기초하여 상기 면접 준비자와 매칭되는 합격자의 면접 영상을 서칭하며, 상기 서칭된 합격자의 면접 영상으로부터 미리 추출된 특징점을 상기 모의 면접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특징점과 비교하여 상기 면접 준비자의 합격 가능성을 산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측면에 따른 촬영 영상을 기반으로 면접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사용자 단말은 면접 준비자의 모의 면접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 상기 면접 컨설팅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된 메모리,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관리하는 면접 컨설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모듈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킴에 따라, 상기 카메라 모듈을 통해 촬영된 모의 면접 영상으로부터 상기 면접 준비자의 특징점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특징점을 기반으로 언어적 평가요소와 비언어적 평가요소를 산출하여 모의 면접 컨설팅 보고서를 생성한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다른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구직자는 모의 면접을 위한 다른 파트너를 섭외하지 않고도 모의 면접에 대한 태도, 감정, 전문성 등 다양한 언어적, 비언어적 평가요소에 대한 평가를 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구직자와 매칭되는 합격자를 서칭하고 이들의 모의 면접 영상을 비교 매칭함으로써, 구직자는 실제 합격 가능성을 정량적인 지표 또는 정성적인 내용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접 컨설팅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접 컨설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접 컨설팅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면접 컨설팅 보고서의 일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접 컨설팅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접 컨설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200)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이 일 실시예는 면접 컨설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을 통해 면접 컨설팅 서비스를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접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각 구성요소들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network)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network)의 일 예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WiFi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2를 참조하면 면접 컨설팅 제공 시스템(100)은 통신모듈(110), 메모리(120) 및 프로세서(13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모듈(110)은 사용자 단말(200)과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이때, 통신 모듈(110)은 유선 통신 모듈 및 무선 통신 모듈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 모듈은 전력선 통신 장치, 전화선 통신 장치, 케이블 홈(MoCA), 이더넷(Ethernet), IEEE1294, 통합 유선 홈 네트워크 및 RS-485 제어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모듈은 WLAN(wireless LAN), Bluetooth, HDR WPAN, UWB, ZigBee, Impulse Radio, 60GHz WPAN, Binary-CDMA, 무선 USB 기술 및 무선 HDMI 기술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20)에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모의 면접 영상을 기반으로 면접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이때, 메모리(120)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도 저장된 정보를 계속 유지하는 비휘발성 저장장치 및 휘발성 저장장치를 통칭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메모리(120)는 콤팩트 플래시(compact flash; CF) 카드, SD(secure digital) 카드,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state drive; SSD) 및 마이크로(micro) SD 카드 등과 같은 낸드 플래시 메모리(NAND 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HDD) 등과 같은 마그네틱 컴퓨터 기억 장치 및 CD-ROM, DVD-ROM 등과 같은 광학 디스크 드라이브(optical disc driv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킴에 따라,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면접 준비자의 모의 면접 영상으로부터 특징점을 추출하고, 추출된 특징점에 기초하여 언어적 평가요소와 비언어적 평가요소를 분석한 결과를 모의 면접 컨설팅 보고서로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면접 준비자와 매칭되는 합격자의 면접 영상을 서칭하고, 서칭된 합격자의 면접 영상으로부터 미리 추출된 특징점을 모의 면접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면접 준비자의 특징점과 비교하여 면접 준비자의 합격 가능성을 산출하며, 이를 통신모듈(120)을 통해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00)은 카메라 모듈(210), 메모리(220), 통신모듈(230) 및 프로세서(2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메모리(220), 통신모듈(230) 및 프로세서(240)는 도 2에서의 면접 컨설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과 유사하게 구현될 수 있는바 구체적인 내용은 생략하도록 한다.
사용자 단말(200)에는 면접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명령어들의 시퀀스를 포함하는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즉 어플리케이션이 미리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200)은 상술한 면접 컨설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에 의해 모의 면접 컨설팅 보고서가 생성되거나 합격 가능성이 산출되는 경우, 카메라 모듈(210)을 통해 면접 준비자의 모의 면접 영상을 촬영하여 통신모듈(230)을 통해 면접 컨설팅 제공 시스템(100)으로 전달하고, 면접 컨설팅 제공 시스템(100)에 의해 생성 또는 산출된 모의 면접 컨설팅 보고서나 합격 가능성 결과를 제공받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달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면접 컨설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과 별도로, 미리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직접 면접 컨설팅 보고서를 생성하거나 합격 가능성 결과를 분석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200)은 면접 컨설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에 의해 배포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카메라 모듈(210)을 구동시켜 모의 면접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모의 면접 영상으로부터 면접 준비자의 특징점을 추출하며, 추출된 특징점을 기반으로 언어적 평가요소와 비언어적 평가요소를 산출하여 모의 면접 컨설팅 보고서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은 면접 컨설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에 의해 서칭된 면접 준비자와 매칭되는 합격자의 면접 영상을 전달받으면, 합격자의 면접 영상으로부터 미리 추출된 특징점을 모의 면접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면접 준비자의 특징점과 비교하여 면접 준비자의 합격 가능성을 산출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 주체는 면접 준비자임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면접 준비자가 아닌 제3자가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 주체인 경우, 제3자가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면접 준비자를 촬영하고, 사용자 단말(200)은 면접 준비자에 대한 면접 컨설팅 보고서나 합격 가능성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200)은 휴대용 단말기에 인터넷 통신과 정보 검색 등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단말기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즉,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실행할 수 있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패드(Pad),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웨어러블(wearable) 단말, 기타 이동통신 단말 등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실행할 수 있는 일반 PC, 노트북, 태블릿 PC 등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접 컨설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에 의해 수행되는 면접 컨설팅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접 컨설팅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접 컨설팅 서비스 제공 방법은 먼저, 사용자 단말(200)에 의해 촬영된 면접 준비자의 모의 면접 영상을 수신한다(S110).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모의 면접 영상으로부터 면접 준비자의 특징점을 추출한다(S120).
모의 면접 영상으로부터 면접 준비자의 특징점을 추출하는 일 실시예로, 먼저 모의 면접 영상으로부터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를 각각 추출한다.
그리고 추출된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에 대하여 각각 영상 분석 및 음성 분석을 수행하며, 수행된 영상 분석 및 음성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면접 준비자의 특징점을 추출하게 된다.
또한, 일 실시예로 본 발명은 모의 면접 영상으로부터의 음성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핵심 키워드를 추출하고, 핵심 키워드에 기초하여 면접 준비자에 대한 표준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즉, 모의 면접 영상에는 기본적으로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으며, 음성인식 기술을 통해 면접 준비자의 답변 내용에서 핵심 키워드를 추출하여 표준 데이터로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추출된 면접 준비자의 특징점을 기반으로 생성된 표준 데이터는 추후 면접 준비자와 매칭되는 합격자의 면접 영상 서칭시 이용될 수 있다.
이때, 표준 데이터는 면접 지원자에 대한 학군, 경력, 직군, 직무 및 지원동기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추출된 특징점을 기반으로 언어적 평가요소와 비언어적 평가요소를 분석한다(S130).
일 실시예로, 언어적 평가 요소는 음성 데이터에 대하여 음성인식 기술, 예를 들어 STT(Speech To Text) 기술이나 대화관리 기술을 적용하여 면접 준비자의 발화 속도, 성량, 키워드, 의미역, 컨셉, 관계, 정서 및 감정 정보 중 하나 이상을 분석한 것을 의미한다.
일 실시예로, 비언어적 평가요소는 영상 데이터에 대하여 얼굴인식, 시선추적 및 동작감지 기술 중 하나 이상을 적용하여, 면접 준비자의 기쁨, 슬픔, 무표정 등의 감정 정보, 시선처리와 시선이동 정보, 자세 변화나 목소리 변화 등의 태도 정보를 분석한 것을 의미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면접 준비자의 발화 속도와 성량 등을 측정하고, 얼굴인식, 시선추적과 동작감지 기능을 융합하여 면접 준비자의 태도 및 감정 변화를 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최근 기계학습 기반의 인공지능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함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감성분석, 엔터티 분석, 구문분석과 같은 자연어 처리기술과 텍스트 마이닝 기술을 면접 영상 분석시 적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면접 준비자에 대한 질문 및 답변의 상관성과 핵심 어휘를 추출할 수 있으며, 감정을 표현하는 단어, 전문 용어의 사용 빈도와 윤리적 언어 사용 여부 등을 통해 면접 준비자의 업무 이해도, 전문성 등의 적합도를 언어적, 비언어적 평가요소로 나누어 평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분석된 언어적 평가요소와 비언어적 평가요소를 기반으로 모의 면접 컨설팅 보고서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한다(S140).
도 5 및 도 6은 면접 컨설팅 보고서의 일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면접 컨설팅 보고서에는 면접 준비자의 인적사항과 면접 준비자가 모의 면접에서 받은 질문과 그에 대한 답변이 순서대로 정렬되어 제공된다.
그리고 답변에 대한 언어적 평가요소 및 비언어적 평가요소가 정량화되어 제공되고 정성적 평가도 함께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면접 준비자가 "이제까지 가장 큰 업무성과는 무엇인지 말씀해주세요"라는 두번째 질문 사항에 대한 답변을 한 경우, 이에 대한 '자세 및 태도' 점수, '답변의 적절성 점수', '커뮤니케이션' 점수 등 언어적 및 비언어적 평가요소가 정량화 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의견'란을 통하여 답변에 대한 정성적 평가, 즉 답변에 대한 코멘트가 기록될 수 있다. 이러한 코멘트는 인공지능에 의해 분석되어 생성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관리자, 즉 컨설턴트에 의해 생성될 수도 있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자신의 답변이 녹음 또는 녹화되어 사용자 단말(200)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자신의 답변 사항 및 답변 태도 등을 정량적, 정성적 평가 항목을 참조하여 다시 반복하여 확인함으로써 면접 스킬을 보다 개선시킬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로 본 발명은 보다 구체적인 언어적 평가요소와 비언어적 평가요소를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즉, 언어적 평가요소로 '자세 및 태도', '답변의 적절성', '커뮤니케이션', '적극성', '전문성' 등의 항목이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비언어적 평가요소로 '표정(시선)', '자세(태도)', '말속도(SPM)', 'Tone(dB)', '비문사용빈도' 등의 항목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항목은 정성적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평가의견', '개선사항' 등과 같은 정성적 형태가 함께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도 5와 도 6과 같은 보고서 형태를 관리자 즉, 컨설턴트가 확인하여 작성할 수도 있다.
즉, 컨설턴트는 여러 질문에 대한 면접 준비자의 답변이 녹화된 영상을 하나씩 확인하고 이에 대한 정량적 평가와 정성적 평가를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평가와 더불어 면접자의 개선사항을 기재함으로써, 면접 준비자는 이러한 보고서를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확인함으로써 자신의 면접 스킬을 개선해 나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면접 준비자와 매칭되는 합격자의 면접 영상을 서칭 및 비교하여 면접 준비자의 면접 영상에 대한 합격 가능성을 산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모의 면접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면접 준비자의 특징점에 기초하여 면접 준비자와 매칭되는 합격자의 면접 영상을 서칭한다.
이때, 면접 준비자와 매칭되는 합격자의 면접 영상은 전술한 바와 같이, 추출된 면접 준비자의 특징점을 기반으로 생성된 표준 데이터에 기초하여 면접 비자와 매칭되는 합격자의 면접 영상을 서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면접 준비자의 답변 내용으로부터 추출된 핵심 키워드를 기반으로,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를 갖는 핵심 키워드가 포함된 합격자의 면접 영상을 서칭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보다 정확한 합격자와의 매칭을 위해 면접 준비자의 인적 사항과 더불어 지원 회사, 지원 직군 등의 세부 정보를 사전에 요구할 수도 있다.
그리고 서칭된 합격자의 면접 영상으로부터 미리 추출된 특징점을 모의 면접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특징점과 비교한 후, 비교 결과를 기반으로 면접 준비자의 합격 가능성을 산출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합격자의 면접 영상에 대한 특징점을 기준으로 모의 면접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면접 준비자의 특징점을 정량적인 매칭도로 산출하여 비교할 수 있다.
즉, 합격자가 면접 준비자일 당시에 촬영한 모의 면접 영상에 대하여 영상 및 음성 분석을 통한 특징점이 추출되어 있는 상태에서, 금번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 주체인 면접 준비자의 모의 면접 영상으로부터 특징점을 추출한 다음, 합격자의 특징점을 기준으로 면접 준비자의 특징점을 비교하여 일치하는 정도, 상관도 등으로 나타낼 수 있는 정략적인 매칭도로 산출하여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성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하는 언어적 평가요소와, 음성 분석 결과 및 영상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하는 비언어적 평가요소를 각각 산출하여 합격 가능성을 산출할 수 있다.
이때, 합격 가능성은 비교 결과에 따른 매칭도를 등급별로 구분하여 합격 유력, 합격 불확실, 불합격 유력 등 복수의 등급으로 나누어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합격자의 모의 면접 영상과의 비교 매칭 과정은 전술한 모의 면접 컨설팅 보고서와 함께 제공됨으로써 면접 준비자는 보다 실전감을 가지고 모의 면접에 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110 내지 S140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아울러, 기타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3에서의 면접 컨설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 및 사용자 단말(200)에 관하여 이미 기술된 내용은 도 4 내지 도 6의 면접 컨설팅 서비스 제공 방법에도 적용된다.
이상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접 컨설팅 서비스 제공 방법은, 하드웨어인 서버와 결합되어 실행되기 위해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전술한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가 프로그램을 읽어 들여 프로그램으로 구현된 상기 방법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CPU)가 상기 컴퓨터의 장치 인터페이스를 통해 읽힐 수 있는 C, C++, JAVA,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상기 방법들을 실행하는 필요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al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기능들을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코드는 상기 기능들을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상기 컴퓨터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상기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코드는 상기 컴퓨터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되는 매체는,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저장되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가 접속할 수 있는 다양한 서버 상의 다양한 기록매체 또는 사용자의 상기 컴퓨터상의 다양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면접 컨설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110: 통신모듈
120: 메모리
130: 프로세서
200: 사용자 단말
210: 카메라
220: 통신모듈
230: 메모리
240: 프로세서

Claims (10)

  1. 촬영 영상을 기반으로 하는 면접 컨설팅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단말에 의해 촬영된 면접 준비자의 모의 면접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모의 면접 영상으로부터 상기 면접 준비자의 특징점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특징점을 기반으로 언어적 평가요소와 비언어적 평가요소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된 언어적 평가요소 및 비언어적 평가요소를 기반으로 모의 면접 컨설팅 보고서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면접 컨설팅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의 면접 영상으로부터 상기 면접 준비자의 특징점을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모의 면접 영상으로부터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기반으로 각각 영상 분석 및 음성 분석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 분석 및 음성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면접 준비자의 특징점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면접 컨설팅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분석 및 음성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면접 준비자의 특징점을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음성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핵심 키워드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핵심 키워드에 기초하여 상기 면접 준비자에 대한 표준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표준 데이터는 학군, 경력, 직군, 직무 및 지원동기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면접 컨설팅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특징점을 기반으로 언어적 평가요소와 비언어적 평가요소를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음성 데이터에 대하여 음성인식 기술을 적용하여 상기 언어적 평가요소로 속도, 성량, 키워드, 의미역, 컨셉, 관계, 정서 및 감정 정보 중 하나 이상을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하여 얼굴인식, 시선추적 및 동작감지 기술 중 하나 이상을 적용하여 상기 비언어적 평가요소로 면접 준비자의 감정 정보 및 태도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면접 컨설팅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특징점에 기초하여 상기 면접 준비자와 매칭되는 합격자의 면접 영상을 서칭하는 단계;
    상기 서칭된 합격자의 면접 영상으로부터 미리 추출된 특징점을 상기 모의 면접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특징점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면접 준비자의 합격 가능성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면접 컨설팅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특징점에 기초하여 상기 면접 준비자와 매칭되는 합격자의 면접 영상을 서칭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된 면접 준비자의 특징점을 기반으로 생성된 표준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면접 준비자와 매칭되는 합격자의 면접 영상을 서칭하는 것인 면접 컨설팅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서칭된 합격자의 면접 영상으로부터 미리 추출된 특징점을 상기 모의 면접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특징점과 비교하는 단계는,
    상기 합격자의 면접 영상에 대한 특징점을 기준으로 상기 모의 면접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특징점을 정량적인 매칭도로 산출하여 비교하는 것인 면접 컨설팅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면접 준비자의 합격 가능성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음성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하는 언어적 평가요소와, 상기 음성 분석 결과 및 영상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하는 비언어적 평가요소를 각각 산출하여 상기 합격 가능성을 산출하는 것인 면접 컨설팅 서비스 제공 방법.
  9. 촬영 영상을 기반으로 하는 면접 컨설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모듈,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모의 면접 영상을 기반으로 면접 컨설팅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시킴에 따라, 상기 모의 면접 영상으로부터 특징점을 추출하고, 추출된 특징점에 기초하여 상기 면접 준비자와 매칭되는 합격자의 면접 영상을 서칭하며, 상기 서칭된 합격자의 면접 영상으로부터 미리 추출된 특징점을 상기 모의 면접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특징점과 비교하여 상기 면접 준비자의 합격 가능성을 산출하는 것인 면접 컨설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 촬영 영상을 기반으로 면접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사용자 단말에 있어서,
    면접 준비자의 모의 면접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
    상기 면접 컨설팅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된 메모리,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관리하는 면접 컨설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모듈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킴에 따라, 상기 카메라 모듈을 통해 촬영된 모의 면접 영상으로부터 상기 면접 준비자의 특징점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특징점을 기반으로 언어적 평가요소와 비언어적 평가요소를 산출하여 모의 면접 컨설팅 보고서를 생성하는 것인 사용자 단말.
KR1020190077485A 2019-06-28 2019-06-28 면접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014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7485A KR20210001419A (ko) 2019-06-28 2019-06-28 면접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7485A KR20210001419A (ko) 2019-06-28 2019-06-28 면접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419A true KR20210001419A (ko) 2021-01-07

Family

ID=74126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7485A KR20210001419A (ko) 2019-06-28 2019-06-28 면접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1419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1161B1 (ko) * 2021-05-25 2021-07-23 주식회사 무하유 자기소개서를 기반으로 면접 질문을 생성하는 서버 및 방법
KR102418472B1 (ko) * 2021-03-29 2022-07-08 주식회사 비주얼이즈 이러닝 기반 법정의무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30001583A (ko) * 2021-06-28 2023-01-05 주식회사 이수시스템 국가직무능력표준 기반 유사도 추출 모델을 이용한 심층 질문형 비대면 면접 시스템
KR20230127455A (ko) * 2022-02-25 2023-09-01 박경호 데이터 수신자의 권한에 따라 편집된 면접 데이터를 제공하는 면접 플랫폼 시스템
KR102584078B1 (ko) * 2022-12-15 2023-10-04 에이블제이 주식회사 면접 피드백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587833B1 (ko) * 2022-08-01 2023-10-12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쌍방향 구인구직 매칭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
KR102597539B1 (ko) * 2022-08-01 2023-11-03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산학연 연계 매칭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8472B1 (ko) * 2021-03-29 2022-07-08 주식회사 비주얼이즈 이러닝 기반 법정의무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281161B1 (ko) * 2021-05-25 2021-07-23 주식회사 무하유 자기소개서를 기반으로 면접 질문을 생성하는 서버 및 방법
KR20230001583A (ko) * 2021-06-28 2023-01-05 주식회사 이수시스템 국가직무능력표준 기반 유사도 추출 모델을 이용한 심층 질문형 비대면 면접 시스템
KR20230127455A (ko) * 2022-02-25 2023-09-01 박경호 데이터 수신자의 권한에 따라 편집된 면접 데이터를 제공하는 면접 플랫폼 시스템
KR102587833B1 (ko) * 2022-08-01 2023-10-12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쌍방향 구인구직 매칭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
KR102597539B1 (ko) * 2022-08-01 2023-11-03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산학연 연계 매칭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
KR102584078B1 (ko) * 2022-12-15 2023-10-04 에이블제이 주식회사 면접 피드백 제공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01419A (ko) 면접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 시스템 및 방법
Xie et al. Detecting leadership in peer-moderated online collaborative learning through text mining and social network analysis
CN107680019B (zh) 一种考试方案的实现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Bellamy et al. Crafting a public for geoengineering
CN106685916B (zh) 电子会议智能装置及方法
CN111641514B (zh) 会议智能系统、用于会议智能的方法和存储介质
CN106663383B (zh) 分析受试者的方法和系统
WO2021218028A1 (zh) 基于人工智能的面试内容精炼方法、装置、设备及介质
US20180307750A1 (en) Opportunity network system for providing career insights by determining potential next positions and a degree of match to a potential next position
Zhao et al. Semi-automated 8 collaborative online training module for improving communication skills
Scheib et al. African American and Latina community health workers engage PhotoPAR as a resource in a post-disaster context: Katrina at 5 years
KR20200145299A (ko) 온라인 면접 동영상 분석 및 소셜미디어 정보분석 기반 지능형 채용지원 플랫폼
KR101830747B1 (ko) 온라인 면접 시스템 및 그 방법
Tsoni et al. From Analytics to Cognition: Expanding the Reach of Data in Learning.
Zoe Cremer et al. Artificial Canaries: Early warning signs for anticipatory and democratic governance of AI
US20220084151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rank
Ritchie et al. The pairs training effect in unfamiliar face matching
Stade et al. Don't Worry, Be Happy–Exploring Users' Emotions During App Usage for Requirements Engineering
Bragg et al. Exploring collection of sign language videos through crowdsourcing
KR102523808B1 (ko) 외국인을 위한 ai 면접 수행 방법 및 장치
Delfau Knowledge management and integrated water resource management—Types of knowledge and key considerations
CN113822589A (zh) 智能面试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insley et al. Perspectives of emerging museum professionals on the role of big data in museums
Reicher Photovoice
Rasipuram et al. A comprehensive evaluation of audio-visual behavior in various modes of interviews in the wil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